1과목: 재료 및 배합
1. 시방배합을 현장배합으로 고칠 경우에 고려하여야 하는 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2. 고성능AE감수제에 관한 설명으로서 옳은 것은?
3. 다음 혼화제 중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작업성 변화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혼화제가 아닌 것은?
4. 모래 A의 조립률이 3.2 이고, 모래 B의 조립률이 2.2인 모래를 혼합하여 조립률 2.8의 모래 C를 만들려면 모래 A와 B는 얼마의 비율로 섞어야 하는가?
5. 시멘트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6. 부순 굵은 골재 및 부순 굵은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7. 아래와 같은 굵은 골재의 표면건조포화상태의 밀도(Ds)를 구하는 식에서 B의 값으로 옳은 것은?
8. 콘크리트 1m3를 만드는 배합설계에서, 단위 시멘트량이 320kg, 단위수량이 160kg, 공기량이 5% 이었다. 잔골재율이 35%, 잔골재 표건밀도가 2.7g/cm3, 굵은골재 표건밀도가 2.6/cm3, 시멘트의 밀도가 3.2g/cm3일 때, 단위잔골재량(S)은?
9. 30회 이상의 압축강도시험 실적으로부터 구한 압축강도의 표준편차가 5MPa 이고, 콘크리트의 설계기준 압축강도가 45MPa인 경우 배합강도는?
10. 골재의 체가름시험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1. 골재의 안정성 시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2. 적절한 입도의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3. 시멘트의 강도시험(KS L ISO 679)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4. 시멘트 성분 중에 Na2O가 0.5%, K2O가 0.4% 있었다면 이 시멘트에서 도입되는 전알칼리의 양은?
15. 굵은 골재의 밀도 및 흡수율 시험(KS F 2503)에서 각 무더기로 나누어서 시험한 굵은 골재의 밀도가 아래의 표와 같을 때 이 굵은 골재의 평균밀도를 구하면?
16. 포졸란 활성이나 잠재 수경성을 가지며, 주로 시멘트의 대체 재료로 이용되는 혼화재료가 아닌 것은?
17.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시험횟수가 22회일 경우 배합강도를 결정하기 위해 적용하는 표준편차의 보정계수로 옳은 것은?
18. 콘크리트의 배합설계에서 단위수량과 단위시멘트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9. 시멘트 비중 시험(KS L 5110)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0. 아래 표의 ( )에 공통으로 들어갈 용어로 옳은 것은?
2과목: 제조, 시험 및 품질관리
21. 믹싱플랜트에서 완전히 반죽된 콘크리트를 애지테이터 트럭 혹은 트럭믹서로 교반하면서 목적지까지 운반하는 방법은?
22. 콘크리트 재료의 계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3. 콘크리트 압축강도 추정을 위한 반발경도 시험(KS F 2730)에 사용되는 테스트 헤머의 종류 중 보통 콘크리트용으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24.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에 영향을 주는 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5. 다음 콘크리트 재료 중 재료의 계량 허용오차가 가장 큰 것은?
26. 콘크리트의 크리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7. 콘크리트의 받아들이기 품질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8. 콘크리트 원주 공시체의 정탄성계수 및 포아송비 시험(KS F 2438)에서 350MPa까지의 콘크리트 탄성계수를 계산하기 위하여 S1과 S2를 구하여야 하는데 여기서 S1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S2는 가해진 최대하중에 대한 응력(MPa)이다.)
29. 품질의 목표를 정하고 이것을 달성하기 위해서 행하는 활동은?
30. 굳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31.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에 대한설명으로 틀린 것은?
32. 콘크리트 비비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3. 콘크리트는 일반적으로 강알칼리성을 띄고 있으나, 콘크리트중의 수산화칼슘이 공기 중의 탄산가스와 접촉하여 콘크리트의 알칼리성을 상실하는 현상은?
34.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제조설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5. 레디믹스트 콘크리트(KS F 4009)에서 규정하고 있는 콘크리트 회수수의 품질기준으로 틀린 것은?
36. 콘크리트의 휨강도시험(KS F 2408)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7.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의 길이 변화 시험에서 공시체의 중심축의 길이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은?
38. ø150㎜×300㎜인 콘크리트 표준공시체에 대하여 쪼갬인장강도 시험 결과, 하중 150kN에서 파괴되었다. 이 공시체의 인장강도는?
39.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 측정방법이 아닌 것은?
40.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결과가 다음 표와 같다. 이 콘크리트의 강도에 대한 변동계수는? (단, 표준편차 계산은 불편분산에 의한다.)
3과목: 콘크리트의 시공
41. 수중콘크리트에 대한 아래 표의 설명에서 ( )에 알맞은 것은?
42. 슬럼프가 20mm 이하의 된반죽 공장제품 콘크리트의 반죽질기를 측정하는 시험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43. 한중콘크리트 시공 시 비빈 직후 콘크리트의 온도 및 주위 기온이 아래의 조건과 같을 때, 타설이 완료된 후 콘크리트의 온도는?
44. 매스콘크리트의 온도균열 방지 및 제어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45. 아래 표는 공장제품 콘크리트 양생방법 중 증기양생 작업 순서를 일반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이 중 틀린 것은?
46. 일반적으로 현장 콘크리트 타설 시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다지기 방법은?
47. 매스콘크리트의 온도균열 발생에 대한 검토는 온도균열지수에 의해 평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만약, 연질의 지반위에 타설된 평판구조 등과 같이 내부구속응력이 큰 구조물에서 △Ti(내부온도가 최고일 때 내부와 표면과의 온도차)가 12.5℃ 발생하였다면 간이적인 방법으로 온도균열지수를 구하면?
48. 일반 수중 콘크리트 타설의 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9. 경량골재콘크리트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50. 시공 전에 계획하지 않은 곳에서 생겨난 이음으로서, 먼저 타설된 콘크리트와 나중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사이에 완전히 일체화가 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 발생하는 이음은?
51. 고강도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52. 프리플레이스트 콘크리트의 일반적인 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53. 숏크리트의 초기강도 표준값으로 옳은 것은?
54. 일반콘크리트의 타설에서 외기온도가 25℃를 초과한 경우 허용 이어치기 시간간격의 표준으로 옳은 것은?
55. 바닥틀에 관련한 시공이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6. 해양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57. 일평균 기온이 15℃ 이상일 때 일반 콘크리트 습윤 양생기간의 표준으로 옳은 것은? (단, 보통포틀랜드시멘트-고로슬래그시멘트-조강보틀랜드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순서)
58. 고유동 콘크리트의 사용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59. 팽창콘크리트의 팽창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60. 숏크리트에 대한 아래표의 설명에서 ( )에 적합한 것은?
4과목: 구조 및 유지관리
61. 콘크리트 열화 중에서 알칼리-실리카반응으로 인한 현상이 아닌 것은?
62. 아래 그림의 직사각형 단철근보에서 공칭전단강도(Vn)를 구하면? (단, 스터럽은 D13(공칭단면적 126.7mm2)을 사용하며, 스터럽 간격은 200mm, fyt=350MPa 이고, fck=28MPa 이다.)
63. 아래 그림과 같은 조건에서 탄성파법에 의해 측정한 균열깊이(d)는? (단, Tc-To 법을 사용하며, 측정한 Tc=250㎲, To=120㎲이고, Tc는 균열을 사이에 두고 측정한 전파시간, To는 건전부 표면에서의 전파시간을 나타낸다.)
64. 아래 표에서 설명하는 비파괴 시험 방법은?
65. 보강에 사용되는 재료인 유리섬유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66. 철근간격 및 사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d는 보의 유효깊이(mm)이다.)
67. 단면의 도심에 PS 강재가 배치되어 있으며 초기 프리스트레스 힘 120kN을 작용시켰다. 이때 15% 손실을 가정해서 콘크리트의 하연응력이 0이 되도록 하려면 휨모멘트는?
68. 철근 콘크리트의 역학적 해석에 관한 기본가정으로 틀린 것은?
69. 프리스트레스 하지 않는 부재의 현장치기 콘크리트에 대한 철근의 최소 피복두께 규정으로 틀린 것은?
70. 콘크리트 품질시험 중에서 현장시험이 아닌 것은?
71. 단면이 350㎜×350㎜이고 철근량이 3800mm2인 띠철근기둥(단주)의 축방향 설계강도(øPn)는? (단, fck=28MPa, fy=400MPa이고, 압축지배단면이다.)
72. 화재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73. 피로에 대한 검토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74. 아래 표와 같은 조건에서 처짐을 계산하지 않는 경우의 보의 최소 두께로 옳은 것은?
75. 강판접착공법의 시공순서가 올바른 것은?
76. 구조물의 사용성 평가 항목으로 거리가 먼 것은?
77. 재령 28일이 경과한 굳은 콘크리트의 수용성 염화물 이온량은 규정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이때 부재의 종류에 따른 굳은 콘크리트의 최대 수용성 염소이온 비율로 옳은 것은? (단, 시멘트 질량에 대한 비율)
78. 아래 그림과 같은 복철근 직사각형 보에서 압축연단에서 중립축까지의 거리(c)는 약 얼마인가? (단, As=6-D32=4764mm2, As=2-D29.1284mm2, fck=35MPa, fy=350MPa 이다.)
79. 철근콘크리트 보에서 전단철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80. 다음 중 콘크리트의 중성화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열화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