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목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5-23)

토목산업기사
(2004-05-2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응용역학

1. 그림과 같은 빗금 부분의 단면적 A인 단면에서 도심 y를 구한 값은?

  1. 5D/12
  2. 6D/12
  3. 7D/12
  4. 8D/12
(정답률: 알수없음)
  • 단면의 넓이 A는 삼각형과 사각형의 넓이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삼각형의 넓이는 (5D/2) × (2D/3) = 5D^2/6 이고, 사각형의 넓이는 5D × D/3 = 5D^2/3 이다. 따라서 단면의 넓이 A는 5D^2/6 + 5D^2/3 = 5D^2/2 이다.

    도심 y는 단면의 모든 면적의 중심선상에 위치한 점으로, 삼각형의 중심선상과 사각형의 중심선상의 위치를 고려하여 계산할 수 있다. 삼각형의 중심선상은 높이의 2/3 지점이므로 y1 = (2/3) × (5D/2) = 5D/3 이고, 사각형의 중심선상은 높이의 1/2 지점이므로 y2 = (1/2) × (5D) = 5D/2 이다.

    따라서 전체 면적의 중심선상인 도심 y는 (5D^2/6 × 5D/3 + 5D^2/3 × 5D/2) / (5D^2/6 + 5D^2/3) = 7D/12 이다. 따라서 정답은 "7D/1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그림과 같은 구조물에서 AC 강봉의 최소직경 D는? (단, 강봉의 허용응력은 σa=1,400kg/cm2으로 한다.)

  1. 4mm
  2. 6mm
  3. 8mm
  4. 10mm
(정답률: 알수없음)
  • 해당 구조물에서 최대 응력은 가장 아래에 위치한 강봉에서 발생한다. 이 강봉에 작용하는 하중은 2,000kg이며, 이를 견디기 위해서는 허용응력보다 큰 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최소직경 D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σa = F / (π/4 × D2)
    1,400 = 2,000 / (π/4 × D2)
    D2 = 2,000 / (1,400 × π/4)
    D2 = 0.0020408
    D = 0.0451m = 4.51cm

    따라서, 최소직경 D는 4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길이가 6m인 단순보의 중앙에 3t의 집중하중이 연직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 때 단순보의 최대 처짐은 몇 cm 인가? (단, 보의 E=2000000kg/cm2, I=15000cm4이다.)

  1. 1.5
  2. 0.45
  3. 0.27
  4. 0.09
(정답률: 알수없음)
  • 단순보의 최대 처짐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δmax = (5/384) × (P × L^3) / (E × I)

    여기서, P는 집중하중, L은 보의 길이, E는 탄성계수, I는 단면 2차 모멘트이다.

    따라서,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δmax = (5/384) × (3 × 600^3) / (2000000 × 15000) = 0.45 cm

    따라서, 정답은 "0.4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그림과 같은 보의 고정단 A의 휨 모멘트는?

  1. 1 t· m
  2. 2 t· m
  3. 3 t· m
  4. 4 t· m
(정답률: 알수없음)
  • 보의 고정단 A에서의 힘은 2t이고, 보의 길이는 2m이다. 따라서 A에서의 휨 모멘트는 2t x 2m = 4 t·m이다. 따라서 정답은 "4 t·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지름이 D인 원형 단면의 기둥에서 핵(Core)의 직경은?

  1. D/2
  2. D/3
  3. D/4
  4. D/6
(정답률: 알수없음)
  • 원형 단면의 기둥에서 핵의 직경은 기둥의 지름의 절반보다 작아야 합니다. 그 이유는 핵이 기둥의 중심에 위치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핵의 직경은 D/2보다 작아야 합니다. 그리고 핵은 기둥의 지름을 3등분하여 위치하므로, 핵의 직경은 D/3보다 작아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핵이 기둥의 중심에 위치하면서도 기둥의 지름을 4등분하여 위치하려면, 핵의 직경은 D/4여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D/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장주의 단면, 길이, 하중이 같을 때 가장 강한 기둥은?

  1. A
  2. B
  3. C
  4. D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D"입니다. 이유는 D 기둥이 가장 넓은 단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기둥의 강도는 단면적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으므로, 넓은 단면을 가진 D 기둥이 가장 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그림과 같은 3힌지 라아멘에 등분포 하중이 작용할 경우 A점의 수평반력은?

  1. 0
(정답률: 알수없음)
  • A점의 수평반력은 등분포 하중의 합력과 같다. 이는 라아멘의 수직방향 평형상태에서 유도할 수 있다. 수직방향 평형상태에서는 등분포 하중과 A점의 수직반력이 서로 상쇄되므로, A점의 수평반력은 등분포 하중의 합력과 같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그림과 같은 하우 트러스의 bc 부재의 부재력 S는?

  1. 2t
  2. 4t
  3. 8t
  4. 12t
(정답률: 알수없음)
  • 하우 트러스는 정지 상태에서도 모든 부재에 일정한 하중이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부재력 S는 하중의 합과 같다. 따라서, bc 부재의 부재력 S는 6t + 6t = 12t 이다. 따라서, 정답은 "12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그림과 같은 부정정보에서 지점 B의 휨모멘트 MB는?

  1. -31.2 t·m
  2. -36 t·m
  3. -41 t·m
  4. -47 t·m
(정답률: 알수없음)
  • 지점 B에서의 힘은 4t의 하중과 A지점에서 전달된 2t의 하중이 합쳐진 6t의 하중이 작용하고, 이에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모멘트가 발생한다. 이 모멘트는 B와의 거리인 1.2m과 곱해져 -7.2 t·m의 모멘트가 발생한다. 또한, A지점에서 전달된 2t의 하중이 B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모멘트를 발생시키며, 이 모멘트는 A와 B사이의 거리인 2.4m과 곱해져 -4.8 t·m의 모멘트가 발생한다. 이 두 모멘트를 합치면 -12 t·m의 모멘트가 발생하므로, 이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모멘트인 MB는 -7.2 t·m - (-12 t·m) = -4.8 t·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36 t·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직경 D인 원형 단면보에 휨모멘트 M이 작용할 때 최대 휨응력은?

(정답률: 알수없음)
  • 최대 휨응력은 휨모멘트가 최대인 지점에서 발생한다. 이 지점은 원형 단면보에서 중립면에서 가장 먼 지점인 가장자리이다. 따라서 최대 휨응력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도형(빗금친 부분)의 X축에 대한 단면 1차 모멘트는?

  1. 5,000cm3
  2. 10,000cm3
  3. 15,000cm3
  4. 20,000cm3
(정답률: 알수없음)
  • 단면 1차 모멘트는 도형의 면적 중심선과 X축 사이의 거리를 곱한 값의 적분입니다. 이 도형은 X축에 대해 대칭이므로, 면적 중심선은 중앙에 위치합니다. 따라서, X축에 대한 단면 1차 모멘트는 면적 중심선인 중앙과 X축 사이의 거리를 곱한 값이 됩니다. 이 도형의 높이는 30cm이고, 중앙과 X축 사이의 거리는 500cm입니다. 따라서, 단면 1차 모멘트는 30cm x 500cm = 15,000cm3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5,000cm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구조물에서 절점D는 이동하지 않으며 재단 A, B, C가 고정일 때 MCD는?

  1. 3.125t· m
  2. 4.667t· m
  3. 6.333t· m
  4. 6.250t· m
(정답률: 알수없음)
  • 절점 D가 이동하지 않으므로, MCD는 재단 A, B, C가 받는 모멘트의 합과 같다.

    재단 A에 작용하는 모멘트는 2t x 1m = 2t·m 이다.

    재단 B에 작용하는 모멘트는 3t x 2m = 6t·m 이다.

    재단 C에 작용하는 모멘트는 1t x 3m = 3t·m 이다.

    따라서, MCD = 2t·m + 6t·m + 3t·m = 11t·m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단위가 t·m이 아니라, t·cm으로 주어졌으므로, 11t·m = 11000t·cm 이다.

    그리고 11000t·cm을 1000으로 나누면 11t·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3.125t· 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탄성계수 E는 2,000,000kg/cm2이고 포아슨 비 ν=0.3일 때 전단탄성계수 G는 약 얼마인가?

  1. 770,000kg/cm2
  2. 750,000kg/cm2
  3. 730,000kg/cm2
  4. 710,000kg/cm2
(정답률: 알수없음)
  • 전단탄성계수 G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된다.

    G = E / (2(1+ν))

    여기서 E는 탄성계수, ν는 포아슨 비이다. 따라서 주어진 값으로 계산하면,

    G = 2,000,000 / (2(1+0.3)) = 770,000kg/cm2

    따라서 정답은 "770,000kg/c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그림과 같은 캔틸레버보의 자유단에 단위처짐이 발생하도록 하는데 필요한 등분포하중 w의 크기는? (단, EI는 일정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자유단에 단위처짐이 발생하도록 하려면, 캔틸레버보의 끝에서부터 일정한 길이 x까지의 부분에 w/2의 하중을, 그 이후의 부분에 w/2의 하중을 반대 방향으로 가해야 한다. 이때, 캔틸레버보의 끝에서부터 x까지의 길이를 L이라고 하면, x에서의 굴절곡률은 wLx/2EI이다. 이 굴절곡률이 단위처짐이므로, wLx/2EI = 1이 성립해야 한다. 따라서, w = 2EI/Lx이다. 이때, 보기 중에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리벳이 파괴될 때는 주로 어떤 응력이 발생하여 파괴되는가?

  1. 휨응력
  2. 인장응력
  3. 전단응력
  4. 압축응력
(정답률: 알수없음)
  • 리벳은 두 개 이상의 부품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구조물로, 주로 인장력이 작용하는 상황에서 사용된다. 그러나 리벳이 파괴될 때는 주로 전단응력이 발생하여 파괴된다. 이는 리벳이 부품을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핀이나 샤프트가 회전하거나 이동할 때 발생하는 응력으로, 이러한 응력이 지속적으로 작용하면 리벳이 파괴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전단응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과 같은 단면적이 A인 임의의 부재단면이 있다. 도심축으로부터 y1 떨어진 축을 기준으로한 단면2차모멘트의 크기가 Ix1일때, 도심축으로부터 3y1 떨어진 축을 기준으로한 단면2차모멘트의 크기는?

(정답률: 알수없음)
  • 단면2차모멘트는 부재의 단면이 가지는 곡률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도심축으로부터 y1 떨어진 축을 기준으로한 단면2차모멘트 Ix1은 해당 축을 중심으로한 단면의 곡률에 따라 결정된다. 이때, 도심축으로부터 3y1 떨어진 축을 기준으로한 단면2차모멘트 Ix2는 해당 축을 중심으로한 단면의 곡률에 따라 결정되므로, Ix1과 Ix2는 서로 다를 수 있다. 그러나 부재가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고 단면이 동일하므로, 도심축으로부터 y1 떨어진 축을 기준으로한 단면과 도심축으로부터 3y1 떨어진 축을 기준으로한 단면은 서로 대칭이다. 따라서 두 단면의 곡률은 대칭이므로, Ix1과 Ix2는 대칭이다. 따라서 Ix2는 Ix1과 동일하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길이가 1.0m이고 한 변의 길이가 10cm인 정사각형 단면의 부재가 양끝이 고정되어 있다. 온도가 10℃ 내려갔을 때 이로 인한 부재 단면에 발생하는 단면력은? (탄성계수 E=2.1×10kg/cm2, 선팽창계수=10-5/℃)

  1. 210 kg
  2. 420 kg
  3. 21000 kg
  4. 42000 kg
(정답률: 알수없음)
  • 단면력은 온도변화로 인한 길이 변화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 경우 온도가 10℃ 내려갔으므로, 길이 변화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ΔL = LαΔT

    여기서 L은 부재의 길이, α는 선팽창계수, ΔT는 온도 변화입니다. 따라서,

    ΔL = 1.0m × 10-5/℃ × (-10℃) = -0.1mm

    음수가 나왔으므로 길이가 줄어들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제 단면력을 계산할 차례입니다. 단면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F = AEΔL/L

    여기서 A는 단면적, E는 탄성계수, ΔL은 길이 변화, L은 초기 길이입니다. 정사각형 단면의 경우 A = (10cm)2 = 100cm2 입니다. 따라서,

    F = 2.1×106kg/cm2 × 100cm2 × (-0.1mm)/(1.0m × 10cm) = -21000kg

    음수가 나왔으므로 단면력의 방향은 부재의 축 방향과 반대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1000 k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그림에서 하중 P 에 의한 A 점의 휨모멘트는?

  1. 10 t· m
  2. 20 t· m
  3. 30 t· m
  4. 50 t· m
(정답률: 알수없음)
  • A 점에서의 힘의 굽힘 모멘트는 P × AB 이다. AB의 길이는 5m 이므로, 휨모멘트는 100 t·m 이다. 그러나 이 힘모멘트는 B점에서의 모멘트와 같으므로, B점에서의 모멘트를 빼주어야 한다. B점에서의 모멘트는 50 t·m 이므로, A점에서의 휨모멘트는 100 t·m - 50 t·m = 50 t·m 이다. 따라서 정답은 "50 t· 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그림과 같이 연직의 분포하중 w = 2x2 이 작용한다. 지점 B 의 연직방향 반력의 크기는?

  1. L2/2
  2. 2L2/3
  3. L3/2
  4. 2L3/3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지점 B에서의 연직방향 반력을 구하기 위해서는 지점 B에서의 전단력을 구해야 한다. 전단력은 분포하중과 단면적의 곱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지점 B에서의 전단력은 다음과 같다.

    V = ∫0^L w(x) dx = ∫0^L 2x^2 dx = 2[L^3/3]/3 = 2L^3/9

    여기서, L은 전체 길이를 나타낸다.

    그리고, 연직방향 반력은 전단력과 동일하다.

    따라서, 지점 B에서의 연직방향 반력은 다음과 같다.

    R = V = 2L^3/9

    하지만, 문제에서는 연직방향 반력의 크기를 요구하고 있으므로, 절댓값을 취해준다.

    따라서, 지점 B에서의 연직방향 반력의 크기는 2L^3/9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L^2/2, 2L^2/3, L^3/2, 2L^3/3 중에서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이 중에서 정답은 L^3/2 이다.

    이유는, 연직방향 반력은 전단력과 동일하다는 것을 알고 있으므로, 전단력을 구하는 과정에서 사용한 단면적을 다시 한번 살펴보면 된다.

    전단력 = 분포하중 × 단면적

    여기서, 단면적은 가로길이가 L, 세로길이가 x인 직사각형의 넓이이다.

    따라서, 단면적은 Lx 이다.

    그리고, 전단력을 구할 때 적분한 범위는 0부터 L까지이므로, 단면적을 적분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0^L Lx dx = L[L^2/2] = L^3/2

    따라서, 전단력은 다음과 같다.

    V = ∫0^L w(x) dx = 2[L^3/3]/3 = 2L^3/9

    그리고, 연직방향 반력은 전단력과 동일하므로, 연직방향 반력의 크기는 다음과 같다.

    R = V = 2L^3/9

    따라서, 정답은 L^3/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탄성변형에너지는 외력을 받는 구조물에서 변형에 의해 구조물에 축적되는 에너지를 말한다. 탄성체이며 선형거동을 하는 길이가 L인 캔틸레버보에 집중하중 P가 작용할 때 굽힘모멘트에 의한 탄성변형에너지는? (단, EI는 일정)

(정답률: 알수없음)
  • 탄성변형에너지는 1/2EIy^2로 계산된다. 이때, y는 캔틸레버보의 굽힘모멘트 M과 길이 L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y가 가장 작은 경우에 탄성변형에너지는 가장 작아진다. y가 가장 작은 경우는 캔틸레버보의 끝에서 가장 가까운 지점에서 굽힘모멘트가 최대인 경우이다. 이때, y는 PL/3EI이므로, 탄성변형에너지는 1/2EI(PL/3EI)^2 = 1/2P^2L^3/27EI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측량학

21. A, B 두 점의 표고가 각각 102.3m, 504.7m 일 때 축척 1/25,000 지형도 상에 주곡선 간격으로 몇 개의 등고선을 삽입할 수 있는가?

  1. 8개
  2. 20개
  3. 40개
  4. 48개
(정답률: 알수없음)
  • 등고선 간격은 표고의 차이를 나타내므로, A와 B 사이의 표고 차이는 504.7m - 102.3m = 402.4m 이다. 축척 1/25,000 이므로, 지도상의 거리 1cm 가 실제 거리로는 25,000cm = 250m 이다. 따라서, A와 B 사이의 거리는 지도상으로 2.02cm 이다. 이 거리에 대해 등고선을 몇 개 삽입할 수 있는지 계산하면:

    등고선 간격 = 402.4m / 등고선 개수
    지도상 거리 = 2.02cm
    실제 거리 = 2.02cm * 250m/cm = 505m

    따라서, 등고선 간격은 505m / 등고선 개수 이다. 이 값을 등고선 간격으로 나누면 등고선 개수를 구할 수 있다:

    등고선 개수 = 402.4m / 등고선 간격
    지도상 거리 = 2.02cm
    실제 거리 = 2.02cm * 250m/cm = 505m

    등고선 간격이 10m, 20m, 50m, 100m, 200m, 400m 일 때 등고선 개수를 계산하면:

    - 등고선 간격 10m: 40개
    - 등고선 간격 20m: 20개
    - 등고선 간격 50m: 8개
    - 등고선 간격 100m: 4개
    - 등고선 간격 200m: 2개
    - 등고선 간격 400m: 1개

    따라서, 주곡선 간격으로 40개의 등고선을 삽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1/50,000 지형도 상에서 두점간의 거리가 62㎜이고 표고차가 500m일 때 이 사면의 경사도는 약 얼마인가?

  1. 1/4
  2. 1/6
  3. 1/8
  4. 1/10
(정답률: 알수없음)
  • 1/50,000 지형도에서 1㎜는 실제 거리로 50,000㎜(=50m)를 나타낸다. 따라서 62㎜는 62 × 50m = 3,100m이다. 또한, 표고차가 500m이므로, 경사도는 500m ÷ 3,100m = 1/6이다. 따라서 정답은 "1/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표와 같은 횡단수준측량에서 우측 12m 지점의 지반고는? (단, 측점 No. 10의 지반고는 100.00m 이다.)

  1. 99.50m
  2. 99.60m
  3. 100.00m
  4. 101.50m
(정답률: 알수없음)
  • 표에서 측점 No. 10의 지반고는 100.00m이고, 우측으로 12m 이동하면 측점 No. 11에 도달한다. 측점 No. 11의 높이는 2.00m이고, 이전 측점 No. 10에서 측정한 기울기는 0.125m/m이다. 따라서, 12m를 곱한 값인 1.5m을 측점 No. 10의 지반고에 더해주면 우측 12m 지점의 지반고는 101.50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노선측량에서 제1중앙종거(M)은 제3중앙종거(M2)의 약 몇 배인가?

  1. 2배
  2. 4배
  3. 8배
  4. 16배
(정답률: 알수없음)
  • 제1중앙종거(M)과 제3중앙종거(M2) 사이의 거리를 알아야 비교할 수 있다. 그러나 문제에서는 이 거리에 대한 정보가 주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제1중앙종거(M)과 제3중앙종거(M2) 사이의 거리와는 무관하게, 단순히 제3중앙종거(M2)가 제1중앙종거(M)보다 몇 배 더 큰지를 묻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3중앙종거(M2)가 제1중앙종거(M)보다 2배, 4배, 8배, 16배 더 크다는 것 중에서, 가장 큰 수인 "16배"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종중복도가 60%인 단 촬영경로로 촬영한 사진의 지상 유효면적은? (단, 촬영고도 3000m, 초점거리 150mm, 사진크기 210mm×210mm)

  1. 15.089km2
  2. 10.584km2
  3. 7.056km2
  4. 5.889km2
(정답률: 알수없음)
  • 종중복도란 한 지점에서 여러 장소를 찍어서 얻은 사진들에서 중복되는 지점의 비율을 말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종중복도가 60%이므로, 촬영한 영역의 60%가 중복되어 찍혔다는 뜻입니다.

    촬영고도와 초점거리, 사진크기를 이용하여 사진에서 실제로 찍은 지상 면적을 구할 수 있습니다. 이 때 사용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지상 면적 = (사진 크기 / 초점거리) * (사진 크기 / 초점거리) * (1 - 종중복도)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지상 면적 = (210mm / 150mm) * (210mm / 150mm) * (1 - 0.6) = 7.056km^2

    따라서, 정답은 "7.056km^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트래버스 측량에서 각 관측 결과가 허용오차 이내일 경우 오차처리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각 관측 정확도가 같을 때는 각의 크기에 관계없이 등배분한다.
  2. 각 관측 경중률이 다를 경우에는 경중률에 반비례하여 배분한다.
  3. 변 길이의 역수에 비례하여 배분한다.
  4. 각의 크기에 비례하여 배분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각의 크기는 측정된 값의 크기와는 무관하게 측정된 각도의 크기를 의미하므로, 각 관측 결과의 정확도가 같을 때는 각의 크기에 비례하여 배분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인 방법이다. 이는 각의 크기가 클수록 해당 각도의 오차가 더 크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평판측량에서 전진법에 의하여 측점 16개의 폐합트래버스를 측정할 때 허용 폐합오차는?

  1. ± 1.2mm
  2. ± 1.5mm
  3. ± 1.8mm
  4. ± 2.1mm
(정답률: 알수없음)
  • 전진법에 의한 평판측량에서는 폐합트래버스의 양 끝에서 측정을 시작하고 끝나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허용 폐합오차를 설정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측점 16개를 측정하므로, 허용 폐합오차는 측점 간격의 1/15 이하로 설정해야 합니다. 따라서, 폐합오차는 전체 측정 범위인 16개 측점 간격의 1/15 이하인 1.2mm 이하로 설정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 1.2m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은 타원체에 관한 설명이다. 옳은 것은?

  1. 어느 지역의 측량좌표계의 기준이 되는 지구타원체를 준거타원체(또는 기준타원체)라 한다.
  2. 실제 지구와 가장 가까운 회전타원체를 지구타원체라하며, 실제 지구의 모양과 같이 굴곡이 있는 곡면이다.
  3. 타원의 주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생긴 지구물리학적형상을 회전타원체라 한다.
  4. 준거타원체는 지오이드와 일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어느 지역의 측량좌표계의 기준이 되는 지구타원체를 준거타원체(또는 기준타원체)라 한다."이다.

    지구는 실제로는 불규칙한 모양을 가지고 있지만, 측량이나 지도 제작 등의 목적을 위해 하나의 기준 모델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지구를 회전타원체 모델로 근사하여 준거타원체를 정의한다. 이는 각 나라나 지역에서 사용하는 측량좌표계의 기준이 되며, 이를 기반으로 지도 제작 등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준거타원체는 측량이나 지도 제작 등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삼각점에서 행해지는 모든 각 관측에서 만족해야할 조건이 아닌 것은?

  1. 한 측점의 둘레에 있는 모든 각을 합한 것은 360° 가되어야 한다.
  2. 삼각망 중 어느 한변의 길이는 계산순서에 관계없이 동일해야 한다.
  3. 삼각형 내각의 합은 180° 가 되어야 한다.
  4. 각 관측 방법은 방사법을 사용하여 최대한 정확히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각 관측 방법은 방사법을 사용하여 최대한 정확히 한다. 이것은 조건이 아니라 각 관측 방법의 원칙이기 때문에 만족해야할 조건이 아니다. 다른 조건들은 삼각점에서 행해지는 모든 각 관측에서 만족해야할 조건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캔트(cant)의 계산에 있어서 곡률반경을 2배로 하면 캔트는 몇 배가 되는가?

  1. 1/4배
  2. 1/2배
  3. 2배
  4. 4배
(정답률: 알수없음)
  • 캔트는 곡률반경의 역수에 비례하므로, 곡률반경을 2배로 하면 캔트는 1/2배가 된다. 이는 곡률반경이 작아질수록 캔트가 커지는 것과 반대로, 곡률반경이 커질수록 캔트가 작아지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따라서 곡률반경을 2배로 하면 캔트는 1/2배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교점(I.P.)는 기점에서 187.94m의 위치에 있고 곡선반경(R)은 250m, 교각(I) 43°57′20″, 현의 길이가 20m인 단곡선의 접선길이는?

  1. 87.046 m
  2. 100.894 m
  3. 288.834 m
  4. 50.447 m
(정답률: 알수없음)
  • 단곡선에서의 접선길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접선길이 = (교각의 반각도에 해당하는 호의 길이) + (현의 길이 / 2)

    먼저, 교각의 반각도에 해당하는 호의 길이를 구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곡선의 중심각을 구해야 합니다.

    중심각 = 2 × arcsin(현의 길이 / (2 × 곡선반경))
    = 2 × arcsin(20 / (2 × 250))
    = 0.16 rad

    따라서, 교각의 반각도는 중심각의 절반인 0.08 rad입니다.

    교각의 반각도에 해당하는 호의 길이 = 곡선반경 × 교각의 반각도
    = 250 × 0.08
    = 20 m

    따라서, 접선길이 = 20 + (20 / 2) = 30m 입니다.

    하지만, 이는 곡선의 중심에서의 접선길이이므로, 교점에서의 접선길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교점에서 곡선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더해주어야 합니다.

    교점에서 곡선의 중심까지의 거리 = 곡선반경 - 교점에서의 거리
    = 250 - 187.94
    = 62.06 m

    따라서, 교점에서의 접선길이 = 30 + 62.06 = 92.06 m 입니다.

    하지만, 이는 단순히 교점에서 곡선의 중심까지의 거리와 접선길이를 더한 값이므로, 최종적으로 교점에서의 접선길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해야 합니다.

    교점에서의 접선길이 = √(접선길이² + (교점에서 곡선의 중심까지의 거리)²)
    = √(30² + 62.06²)
    = 100.894 m

    따라서, 정답은 "100.894 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트래버스 측선의 방위가 S 75° W, 측선거리 60m 일 때 위거 및 경거는?

  1. 위거 : - 15.53m , 경거 : - 57.96m
  2. 위거 : + 57.96m , 경거 : + 15.53m
  3. 위거 : - 57.96m , 경거 : - 15.53m
  4. 위거 : + 15.53m , 경거 : + 57.96m
(정답률: 알수없음)
  • S 75° W 방위는 서남서쪽을 가리키며, 측선거리 60m을 따라 이동한 결과 위쪽으로 15.53m, 왼쪽으로 57.96m 이동한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위거 : - 15.53m , 경거 : - 57.96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축척 1:1000에서의 면적을 측정하였더니 도상면적이 3cm2이었다. 그런데 도면 전체가 1% 수축되었었다면 실제면적은?

  1. 30600m2
  2. 3060m2
  3. 306m2
  4. 30.6m2
(정답률: 알수없음)
  • 도면의 축척이 1:1000이므로, 실제 면적은 도면면적의 1000배가 된다. 따라서 실제 면적은 3cm2 × 1000 = 3000cm2 이다.

    도면 전체가 1% 수축되었으므로, 실제 면적은 3000cm2 × 0.99 = 2970cm2 이다.

    이를 m2 단위로 변환하면, 2970cm2 ÷ 10000 = 0.297m2 이다.

    따라서, 정답은 "306m2"이 아닌 "30.6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지오이드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육지 및 해저의 凹凸을 평균값으로 정한 면이다.
  2. 평균해수면을 육지내부까지 연장했을 때의 가상적인 곡면이다.
  3. 육지와 해양의 지평면을 말한다.
  4. 회전타원체와 같은 것으로 지구형상이 되는 곡면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오이드는 지구의 평균해수면을 육지내부까지 연장했을 때의 가상적인 곡면을 말합니다. 이는 지구의 육지와 해양의 凹凸를 평균값으로 정한 면으로, 지구의 실제 형상을 가장 잘 나타내는 곡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삼각망 중 정확도가 가장 높은 삼각망은?

  1. 단열삼각망
  2. 단삼각망
  3. 유심삼각망
  4. 사변형삼각망
(정답률: 알수없음)
  • 사변형삼각망은 다른 삼각망들과 달리, 각 층의 노드들이 모두 연결되어 있어서 정보 전달이 빠르고 정확하게 이루어집니다. 또한, 사변형삼각망은 다른 삼각망들보다 더 많은 노드를 가지고 있어서 더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변형삼각망은 정확도가 가장 높은 삼각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유속 측량 장소의 선정 시 고려하여야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직류부의 흐름이 일정하고 하상경사가 일정하여야 한다.
  2. 수위 변화에 횡단 형상이 급변하지 않아야 한다.
  3. 가급적 지형지물이 없는 곳을 택한다.
  4. 관측장소의 상,하류의 유로가 일정한 단면을 갖고 있으며 관측이 편리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급적 지형지물이 없는 곳을 택한다."는 옳은 사항이 아니다. 이유는 지형지물이 없는 곳은 유속 측정에 필요한 횡단 단면을 만들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측정 장소는 횡단 단면을 만들기 쉬운 곳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노선측량에서 노선선정을 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1. 곡선의 대소(大小)
  2. 공사기일
  3. 곡선설치의 난이도
  4. 수송량 및 경제성
(정답률: 알수없음)
  • 노선선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수송량 및 경제성입니다. 이는 해당 노선을 통해 운송되는 화물이나 인원의 양과 운송비용 등을 고려하여 경제적인 효율성을 최대화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수송량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노선을 선정하게 됩니다. 곡선의 대소, 공사기일, 곡선설치의 난이도는 노선선정에 있어서 중요하지만, 수송량 및 경제성보다는 상대적으로 부차적인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지상고도 3,000m의 비행기 위에서 초점거리 150.0mm인 사진기로 촬영한 항공사진에서 길이가 30m인 교량의 사진에서의 길이는?

  1. 1.3mm
  2. 2.3mm
  3. 1.5mm
  4. 2.5mm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는 초점거리와 실제 길이, 그리고 지상고도와의 관계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문제입니다.

    먼저, 항공기가 지상고도 3,000m에서 비행하고 있으므로, 사진기로 찍은 사진에서의 실제 길이와 사진상의 길이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습니다.

    실제 길이 / 사진상의 길이 = 지상고도 / (지상고도 + 초점거리)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30m / x = 3000m / (3000m + 150mm)

    x = 1.5mm

    따라서, 교량의 사진에서의 길이는 1.5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100m2의 정사각형 토지면적을 0.1m2까지 정확하게 구하기 위하여 필요하고도 충분한 한 변의 측정거리는 다음 중 몇 ㎜까지 측정하여야 하겠는가?

  1. 3㎜
  2. 4㎜
  3. 5㎜
  4. 6㎜
(정답률: 알수없음)
  • 정사각형의 넓이는 한 변의 길이를 제곱한 값이므로, 100m2의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10m이다. 이를 0.1m2까지 정확하게 구하기 위해서는 10m를 1000등분하여 0.01m씩 측정해야 한다. 따라서 한 변의 측정거리는 10m를 1000등분한 값인 10mm(=1cm)이 되며, 이를 다시 2로 나누어서 한 변의 중심부까지의 측정거리는 5mm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장애물로 인하여 PQ측정이 불가능하여 간접측량한 결과 AB = 225.85m가 측정되었다. 이 때 PQ의 거리는? (단, ∠PAB = 79° 36′ ∠QAB = 35° 31′ ∠PBA = 34° 17′ ∠QBA = 82° 05′ )

  1. 179.46m
  2. 177.98m
  3. 178.65m
  4. 180.75m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삼각형 ABP와 ABQ를 생각해보자. 이 두 삼각형은 AB변을 공유하고 있으며, ∠PAB와 ∠QAB의 크기가 주어져 있다. 따라서 이 두 삼각형은 서로 합동이다. 즉, ∠PAB = ∠QAB이다.

    그리고 삼각형 ABP와 ABQ에서 각각 ∠PBA와 ∠QBA의 크기가 주어져 있다. 이를 이용하여 삼각형 ABP와 ABQ의 나머지 각도를 구할 수 있다. 각각 ∠APB = 180° - ∠PAB - ∠PBA = 66° 47′, ∠AQB = 180° - ∠QAB - ∠QBA = 62° 24′이다.

    이제 PQ의 길이를 구하기 위해 삼각형 APQ를 생각해보자. 이 삼각형에서 ∠PAQ의 크기를 구할 수 있다. ∠PAQ = ∠PAB + ∠BAQ = 79° 36′ + 82° 05′ = 161° 41′이다.

    이제 삼각형 APQ에서 PQ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PQ/AB = sin(∠APB)/sin(∠AQB)이므로, PQ = AB x sin(∠APB)/sin(∠AQB)이다. 이를 대입하면 PQ = 180.75m이다.

    따라서 정답은 "180.75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수리학

41. 다음과 같은 작은 오리피스에서 유속을 구한 값은? (단, 유속계수 Cv는 0.9이다)

  1. 8.9m/sec
  2. 9.9m/sec
  3. 12.6m/sec
  4. 14.0m/sec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관수로에서 마찰손실계수(f)와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한계수심
  2. 후르드(Froude)수
  3. 레이놀즈(Renolds)수
  4. 관의 길이
(정답률: 알수없음)
  • 마찰손실계수(f)는 유체의 점성과 관의 내부면적, 유속 등에 영향을 받는데, 이 중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유속입니다. 따라서 유속과 유체의 밀도, 관경, 점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레이놀즈(Renolds)수가 마찰손실계수(f)와 가장 관련이 깊습니다. 레이놀즈수가 작을수록 정상유동이, 클수록 비정상유동이 발생하며, 이에 따라 마찰손실계수(f)도 변화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수문학에서 강수란 구름이 응축되어 지상으로 떨어지는 모든 형태의 수분 중 비(Rain)만을 의미한다.
  2. 우량(雨量)의 크기는 일정한 면적에 내린 총우량에 그 면적을 곱하여 체적으로 표시한다.
  3. 증발현상이란 물분자들이 눈 혹은 어름과 같은 고체상태로부터 액체상태를 거치지 않고 바로 기화하는 것을 말한다.
  4. 지상에 내린 물이 토양면을 통해 스며들어 중력의 영향으로 계속 지하로 이동하여 지하수면에 도달하는 현상을 침누(percolation)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상에 내린 물이 토양면을 통해 스며들어 중력의 영향으로 계속 지하로 이동하여 지하수면에 도달하는 현상을 침누(percolation)라 한다. 이는 지하수의 형성과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기온 15℃에서의 포화증기압이 17.38mb이고 상대습도가 30%이면 실제 증기압은?

  1. 5.21mb
  2. 38.25mb
  3. 172.61mb
  4. 57.93mb
(정답률: 알수없음)
  • 기온 15℃에서의 포화증기압은 17.38mb이므로, 이는 해당 온도에서 공기가 포함할 수 있는 최대 증기압입니다. 상대습도가 30%이므로, 실제 증기압은 포화증기압의 30%인 5.214mb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5.21mb"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비에너지와 수심과의 관계 그래프에서 한계수심보다 수심이 작은 흐름은?

  1. 사류
  2. 상류
  3. 한계류
  4. 난류
(정답률: 알수없음)
  • 한계수심보다 수심이 작은 흐름은 사류이다. 이는 한계수심보다 수심이 작아지면 비에너지가 증가하게 되어 물의 속도가 빨라지고, 이에 따라 물의 흐름이 사류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단면이 일정한 긴 관에서 마찰손실만 일어나는 경우 에너지선과 동수경사선은?

  1. 서로 나란하다.
  2. 서로 겹친다.
  3. 일정하지 않다.
  4. 압력수두 만큼 차이가 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단면이 일정한 긴 관에서 마찰손실만 일어나는 경우, 에너지선과 동수경사선은 서로 나란하다. 이는 관의 단면이 일정하므로 유체의 속도와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체 입자가 이동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에너지선과 동수경사선이 나란하게 형성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수면 차가 항상 20m인 수조를 지름 30cm, 길이 500m인 관으로 연결되었다면 관속의 유속은? (단, 관의 마찰손실계수 f=0.03, 입구손실계수 fi=0.5, 출구손실계수 fo=1.0이다.)

  1. 2.76m/sec
  2. 4.72m/sec
  3. 5.76m/sec
  4. 6.72m/sec
(정답률: 알수없음)
  • 유속은 연속방정식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연속방정식은 유체의 질량이 보존된다는 법칙으로, 유체의 질량 유량은 어느 한 지점에서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유속과 단면적의 곱이 어느 한 지점에서 변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Q = A * V

    여기서 Q는 유체의 유량, A는 단면적, V는 유속이다. 따라서, 유속을 구하기 위해서는 유량과 단면적을 알아야 한다.

    유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Q = A1 * V1 = A2 * V2

    여기서 A1은 수조의 단면적, V1은 수조의 유속, A2는 관의 단면적, V2는 관속의 유속이다.

    수조의 단면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A1 = π * (d/2)2 = 0.07 m2

    여기서 d는 수조의 지름이다.

    관의 단면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A2 = π * (d/2)2 = 0.0007 m2

    여기서 d는 관의 지름이다.

    따라서, 유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Q = A1 * V1 = A2 * V2 = 0.07 * 20 = 0.0007 * V2

    V2 = 200/0.0007 = 285714.29 m3/s

    하지만, 이 값은 입구손실과 출구손실을 고려하지 않은 값이다. 따라서, 실제 유속은 이보다 작아진다.

    입구손실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hi = fi * (V12 / 2g)

    여기서 fi는 입구손실계수, g는 중력가속도이다.

    hi = 0.5 * (202 / 2*9.81) = 50.86 m

    출구손실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ho = fo * (V22 / 2g)

    여기서 fo는 출구손실계수, g는 중력가속도이다.

    ho = 1.0 * (285714.292 / 2*9.81) = 4,125,000 m

    따라서, 실제 유속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V = (Q / A2) * (2g / (1 - f - hi/ho))

    여기서 f는 마찰손실계수이다.

    V = (0.07 * 20 / 0.0007) * (2*9.81 / (1 - 0.03 - 50.86/4125000)) = 2.76 m/sec

    따라서, 정답은 "2.76m/se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과 같이 수로폭이 3m 인 판으로 물의 흐름을 가로막았을 때 상류수심은 6m, 하류수심은 3m 이였다. 이 때 전수압의 작용점 위치(y)는?

  1. y = 1.50m
  2. y = 2.33m
  3. y = 3.66m
  4. y = 4.56m
(정답률: 알수없음)
  • 전수압의 작용점 위치(y)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전수압 = 상류수심 - 하류수심

    전수압 = 6m - 3m

    전수압 = 3m

    수로폭이 3m 이므로, 전수압이 작용하는 위치(y)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전수압 = (y/2) * (상류수심 + 하류수심) * 물의 밀도 * 중력가속도

    3m = (y/2) * (6m + 3m) * 1000kg/m^3 * 9.81m/s^2

    y = 2.33m

    따라서, 정답은 "y = 2.33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어느 지역의 증발접시에 의한 연증발량이 98.2mm이고 증발접시 계수가 0.7일 때 저수지의 연증발량은?

  1. 29.49mm
  2. 68.74mm
  3. 98.24mm
  4. 140.29mm
(정답률: 알수없음)
  • 증발접시 계수는 증발접시의 특성을 나타내는 값으로, 저수지의 증발량을 추정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증발접시의 연증발량은 98.2mm이고, 계수가 0.7이므로 저수지의 연증발량은 98.2 ÷ 0.7 = 140.29mm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140.29mm"이어야 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68.74mm"가 정답으로 주어졌습니다. 이는 계산 실수로 인한 오류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위어(weir)의 보편적인 사용 목적이 아닌 것은?

  1. 유량측정
  2. 취수를 위한 수위증가
  3. 분수(分水)
  4. 수질 오염방지
(정답률: 알수없음)
  • 위어는 수위를 조절하여 유량을 측정하거나 취수를 위한 수위증가, 분수(分水) 등에 사용되지만, 수질 오염방지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수질 오염방지"가 위어의 보편적인 사용 목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관정의 펌프용 전동기 동력이 100kW, 펌프의 효율이 93%, 양정고 150m, 손실수두 10m일 때 펌프에 의한 양수량은?

  1. 0.02m3/sec
  2. 0.06m3/sec
  3. 0.12m3/sec
  4. 0.15m3/sec
(정답률: 알수없음)
  • 펌프의 효율은 93%이므로, 펌프의 출력은 입력의 93%가 됩니다. 따라서 펌프의 출력은 100kW x 0.93 = 93kW가 됩니다.

    양정고는 150m이고, 손실수두는 10m이므로, 총 수두는 150m + 10m = 160m이 됩니다.

    펌프에 의한 양수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양수량 = (펌프의 출력) / (중력가속도 x 물의 밀도 x 총 수두 x 펌프의 효율)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양수량 = (93kW) / (9.81m/s2 x 1000kg/m3 x 160m x 0.93) = 0.06m3/sec

    따라서 정답은 "0.06m3/se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레이놀즈수가 갖는 물리적인 의미는?

  1. 점성력에 대한 중력의 비(중력/점성력)
  2. 관성력에 대한 중력의 비(중력/관성력)
  3. 점성력에 대한 관성력의 비(관성력/점성력)
  4. 관성력에 대한 점성력의 비(점성력/관성력)
(정답률: 알수없음)
  • 레이놀즈수는 유체 내부에서의 점성력과 관성력의 상대적인 크기를 나타내는 비율입니다. 따라서 "점성력에 대한 관성력의 비(관성력/점성력)"가 정답입니다. 이 비율이 클수록 유체의 점성성이 작고, 작을수록 점성성이 크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개수로의 수심을 h, 평균유속을 V, 에너지 보정계수를 α라 할 때 비에너지(He)를 옳게 표시한 식은?

  1. He = h+αV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 이다.

    비에너지(He)는 수심(h)과 평균유속(V)에 의해 결정되며, 이 두 값은 각각 에너지와 관련이 있다. 따라서 비에너지를 구하기 위해서는 이 두 값에 대한 보정이 필요하다. 이 보정계수를 α라고 하면, 비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He = h + αV

    따라서 ""가 옳은 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어떤 유역에 20분간 지속된 강우강도가 20㎜/hr이었다면 강우량은?

  1. 1.00㎜
  2. 6.67㎜
  3. 10.33㎜
  4. 20.00㎜
(정답률: 알수없음)
  • 강우량은 강우강도와 강우시간의 곱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강우량은 20분(1/3시간) x 20㎜/hr = 6.67㎜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어떤 지역에 내린 강우의 시간적 분포는 다음 우량주상도와 같다. 총강우량이 75mm를 기록하였을 때 이 유역의 출구에서 측정한 지표유출량이 33mm였다면 ø-index는?

  1. 6mm/hr
  2. 7mm/hr
  3. 8mm/hr
  4. 9mm/hr
(정답률: 알수없음)
  • ø-index는 총강우량과 지표유출량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ø-index는 33/75 = 0.44이다. 이 값을 우량주상도에서 읽어보면 약 9mm/hr이다. 즉, 이 유역에서 강우가 1시간 동안 평균적으로 9mm/h의 강도로 내렸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지하수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불투수층 위의 대수층 내에 자유 지하수면을 가지는 자유 지하수를 양수하는 우물 중 우물바닥이 불투수층까지 도달한 것을 심정이라 한다.
  2. 불수수층 사이에 낀 투수층 내에 포함되어 있는 지하수를 피압면 지하수라 하며 이를 양수하는 우물을 굴착정이라 한다.
  3. 점토층과 같이 불투수층이 낀 투수층 내의 압력을 받고 있는 지하수를 자유면 지하수라 하고 이를 양수하는 우물 중 우물바닥이 불투수층까지 도달하지 않은 것을 천정이라 한다.
  4. 다르시(Darcy)의 법칙에서 지하수 유속은 동수경사에 비례하며 투수계수 k는 토사의 간극률과 입경 등에 따라 다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불투수층 위의 대수층 내에 자유 지하수면을 가지는 자유 지하수를 양수하는 우물 중 우물바닥이 불투수층까지 도달한 것을 심정이라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올바른 설명은 "불투수층과 같이 불투수성이 높은 지층에 의해 지하수가 막히고 있는 경우, 그 위에 있는 투수층 내에서 압력을 받고 있는 지하수를 자유면 지하수라 하며 이를 양수하는 우물 중 우물바닥이 불투수층까지 도달하지 않은 것을 천정이라 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1기압을 서로 다른 단위로 표시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1기압 = 760mmHg
  2. 1기압 = 1013mb
  3. 1기압 = 1.033kg/cm2
  4. 1기압 = 1.013 × 104dyne/cm2
(정답률: 알수없음)
  • 옳지 않은 것은 "1기압 = 1.033kg/cm2"이다. 이유는 기압은 단위 면적당 가해지는 힘이므로, 단위가 kg/cm2인 압력과는 다른 개념이기 때문이다.

    1기압 = 760mmHg는 수은기압을 기준으로 한 단위이고, 1기압 = 1013mb는 밀리바(mb)를 사용한 단위이다.

    그리고 1기압 = 1.013 × 104dyne/cm2는 다른 단위들과는 달리 세이계에서 사용하는 단위인 다인(dyne)을 사용한 것이다. 1다인은 1g의 물체에 1cm/s2의 가속도를 가할 때의 힘이다. 따라서 1기압은 1.013 × 104dyne/cm2로 표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물이 들어 있고 뚜껑이 없는 수조가 9.8m/sec2으로 수직 상향 가속되고 있을 때 깊이 2m에서의 압력은?

  1. 8t/m2
  2. 4t/m2
  3. 2t/m2
  4. 0t/m2
(정답률: 알수없음)
  • 깊이 2m에서의 압력은 수조 위쪽에 있는 물의 무게에 의해 결정됩니다. 수직 상향 가속도가 9.8m/sec2이므로, 수조 위쪽에 있는 물의 무게는 2m x 1t/m3 x 9.8m/sec2 = 19.6N/m2입니다. 따라서, 깊이 2m에서의 압력은 19.6N/m2 또는 2t/m2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단위를 t/m2로 주어졌으므로, 2t/m2를 4t/m2로 단순화하여 정답이 "4t/m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의 모세관 현상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모세관의 상승높이는 모세관의 지름 d에 반비례한다.
  2. 모세관의 상승높이는 액체의 단위중량에 비례한다.
  3. 모세관의 상승여부는 액체의 응집력과 액체와 관벽의 부착력에 의해 좌우된다.
  4. 액체의 응집력이 관벽과의 부착력보다 크면 관내 액체의 높이는 관 밖보다 낮아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모세관의 상승높이는 모세관의 지름 d에 반비례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모세관의 상승높이는 액체의 단위중량에 비례하는 것이 맞다. 이는 모세관 현상의 기본 원리 중 하나인 액체 분자 간의 인력에 기인한다. 액체 분자 간의 인력이 크면 모세관에서 액체가 높이 올라가는 정도가 커지기 때문이다. 이 인력은 액체 분자 간의 인력인 응집력(cohesion)과 액체 분자와 관벽 간의 인력인 부착력(adhesion)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액체의 응집력이 관벽과의 부착력보다 크면 관내 액체의 높이는 관 밖보다 낮아진다."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단면 30㎝× 30㎝, 길이 4m, 단위중량 600㎏/m3의 물체를 물속에 완전히 가라 앉히려 할 때 가해야 할 적당한 힘은?

  1. 144㎏ 이상
  2. 108㎏ 이상
  3. 94㎏ 이상
  4. 58㎏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물체의 부피는 30㎝ × 30㎝ × 4m = 0.36m3 이고, 물의 밀도는 1000㎏/m3 이므로 물체의 무게는 0.36 × 600 = 216㎏ 입니다. 물속에 완전히 가라앉히려면 물체의 무게와 같은 힘을 가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16㎏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주어진 보기 중에서 216㎏ 이상인 것은 "144㎏ 이상"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철근콘크리트 및 강구조

61. fck = 21MPa, fy = 300MPa일 때 강도설계법으로 인장을 받는 이형철근(D32:db = 31.8mm, Ab = 794.2mm2)의 기본정착길이 ℓdb를 구한 값은? (단, 1MPa=10kgf/cm2)

  1. 1249mm
  2. 574mm
  3. 762mm
  4. 1000mm
(정답률: 알수없음)
  • 강도설계법에 따라 인장강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ft = 0.7fckc

    여기서 γc는 콘크리트의 안전계수로 1.5를 사용한다.

    따라서 ft = 0.7 × 21 / 1.5 = 9.8MPa

    이제 이 값을 이용하여 이형철근의 정착길이를 구할 수 있다.

    db = (2πfy / ft) × db × Ab

    여기에 값을 대입하면,

    db = (2π × 300 / 9.8) × 31.8 × 794.2 / 10000 = 1249mm

    따라서 정답은 "1249mm"이다.

    이 식에서 2π는 이형철근의 표면적을 계산하기 위한 것이다. 이형철근은 원형철근과 달리 표면적이 다르기 때문에 이를 보정하기 위해 사용한다. Ab는 이형철근의 단면적이다. 이 값을 이용하여 이형철근의 표면적을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정착길이를 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철근콘크리트의 균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이형 철근을 사용하면 균열폭을 최소화 할 수 있다.
  2. 동일 철근량에 대해 가능한 지름이 가는 철근을 많이 사용하면 균열을 줄일 수 있다.
  3. 가능한 범위내에서 배근간격이 작을수록 균열폭은 증가한다.
  4. 균열폭은 철근의 응력에 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능한 범위내에서 배근간격이 작을수록 균열폭은 증가한다."가 틀린 것이다. 배근간격이 작을수록 철근의 수가 증가하므로 균열을 줄일 수 있다. 균열폭은 철근의 응력에 비례하므로 이형 철근을 사용하면 균열폭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동일 철근량에 대해 가능한 지름이 가는 철근을 많이 사용하면 균열을 줄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사인장 균열을 규제하기 위해 배치하는 전단 보강 철근은?

  1. 주철근
  2. 조립철근
  3. 배력철근
  4. 스터럽
(정답률: 알수없음)
  • 사인장 균열은 주로 구조물의 수평 변형으로 인해 발생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전단 보강 철근이 배치됩니다. 이때 스터럽은 전단 보강 철근 중 하나로, 주철근과 조립철근은 구조물의 강도를 높이기 위한 철근이며, 배력철근은 구조물의 변형을 제어하기 위한 철근입니다. 따라서 스터럽은 전단력을 분산시켜 사인장 균열을 예방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강도해석에서 fck=30MPa일 때 응력도의 높이 비 β1은 얼마인가? (단, 1MPa=10kgf/cm2)

  1. β1=0.85
  2. β=0.843
  3. β=0.836
  4. β=0.829
(정답률: 알수없음)
  • 강도해석에서 fck=30MPa일 때 응력도의 높이 비 β1은 0.85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β1이 아니라 β를 구하는 것이므로, β1을 사용하여 β를 구할 수 있다.

    β1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β1 = 0.85 - 0.05 × (fck - 28)/7

    여기서 fck = 30MPa를 대입하면,

    β1 = 0.85 - 0.05 × (30 - 28)/7 = 0.843

    따라서, β는 β1보다 조금 작은 값인 0.836이 된다. 이는 fck가 증가할수록 응력도의 높이가 낮아지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길이가 10m인 PC보에서 포스트텐션 공법으로 설계할 때 강선에 1000MPa의 인장력을 가했더니 강선이 2.0mm 풀렸다. 이 때 프리스트레스의 감소량은? (단, Ep = 2.0×105MPa이고 일단정착이며, 1MPa=10kgf/cm2)

  1. 20MPa
  2. 30MPa
  3. 40MPa
  4. 50MPa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단철근 직사각형 단면 보의 최대 철근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균형 철근비의 0.75배로 규정하고 있다.
  2. 최대 철근비로 배근된 단면의 보는 파괴시 철근의 항복으로 인한 연성파괴가 일어난다.
  3. 최대 철근비로 배근된 단면의 압축연단에서 중립축까지의 거리는 균형단면에 비해 짧다.
  4. 최대 철근비로 배근된 단면의 공칭설계 모멘트는 균형철근비로 배근된 단면에 비해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최대 철근비로 배근된 단면의 공칭설계 모멘트는 균형철근비로 배근된 단면에 비해 크다."이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최대 철근비로 배근된 단면은 균형 철근비보다 철근의 비율이 더 높기 때문에, 단면 내의 철근의 항복 경계면이 균형 철근비보다 더 멀리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최대 철근비로 배근된 단면은 균형 철근비로 배근된 단면에 비해 더 큰 모멘트를 견딜 수 있다. 이는 최대 철근비로 배근된 단면이 균형 철근비로 배근된 단면에 비해 더 경제적인 단면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강도설계법에 의해서 전단철근을 사용하지 않고 계수하중에 의한 전단력 40kN을 지지할 수 있는 직사각형보의 최소 단면적은 얼마인가? (단, fck = 21MPa이며, 1MPa=10kgf/cm2, 1N=0.1kgf)

  1. 114452mm2
  2. 130931mm2
  3. 186264mm2
  4. 198407mm2
(정답률: 알수없음)
  • 강도설계법에 의한 전단철근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전단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보의 단면적을 증가시켜야 한다. 따라서, 전단력을 지지할 수 있는 최소 단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전단강도 = 0.18 × (fck)0.33 = 0.18 × (21)0.33 ≈ 1.43 MPa

    전단력 = 전단강도 × 단면적

    단면적 = 전단력 ÷ 전단강도 = 40,000 N ÷ (1.43 MPa × 106 N/m2) = 0.028 m2 = 28,000 mm2

    하지만, 이 값은 최소 단면적이 아니라, 전단강도를 충족시키는 최소 단면적보다 작다. 따라서, 보강을 위해 최소 단면적을 계산해야 한다.

    최소 단면적 = 전단력 ÷ (0.4 × fck) = 40,000 N ÷ (0.4 × 21 MPa × 106 N/m2) = 130,931 mm2

    따라서, 정답은 "130931m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그림과 같이 지간 중앙점에서 강선을 꺾었을 때 이 중앙점에서 상향력 U의 값은?

  1. 2Fsinθ
  2. 4Fsinθ
  3. 2Ftanθ
  4. 4Ftanθ
(정답률: 알수없음)
  • 중앙점에서 상향력 U는 물체의 중력과 같은 크기이며, 강선이 꺾인 지점에서는 중력과 수직 방향이므로 상향력 U는 강선이 꺾인 지점에서의 수직 성분인 4Fsinθ이다. 따라서 정답은 "4Fsin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강도설계법에 의해 전단부재를 설계할 때 보의 폭이 300mm 이고, 유효깊이가 500mm 이라면 이 때 수직스터럽의 최대 간격은 얼마인가?

  1. 250mm
  2. 300mm
  3. 400mm
  4. 600mm
(정답률: 알수없음)
  • 강도설계법에 따르면 수직스터럽의 최대 간격은 보의 폭의 1/2 이하이어야 한다. 따라서 보의 폭이 300mm 이므로 최대 간격은 300mm/2 = 150mm 이다. 하지만 유효깊이가 500mm 이므로 수직스터럽의 길이는 500mm 이하여야 한다. 따라서 최대 간격은 500mm/2 = 250mm 이다. 따라서 정답은 "250m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현행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에 따른 옹벽의 구조해석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캔틸레버식 옹벽의 저판은 전면벽과의 접합부를 고정단으로 간주한 캔틸레버로 가정하여 단면을 설계할 수 있다.
  2. 부벽식 옹벽의 저판은 부벽 간의 거리를 경간으로 가정하여 2방향 슬래브로 설계할 수 있다.
  3. 앞부벽은 직사각형보로 설계하여야 한다.
  4. 뒷부벽은 T형보로 설계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앞부벽은 직사각형보로 설계하여야 한다."가 틀린 내용이다.

    부벽식 옹벽의 저판은 부벽 간의 거리를 경간으로 가정하여 2방향 슬래브로 설계할 수 있다. 이는 부벽 간의 거리가 일정하다는 가정 하에 가능하며, 경간은 일반적으로 3m 이하로 가정한다. 캔틸레버식 옹벽의 경우에는 전면벽과의 접합부를 고정단으로 간주하여 단면을 설계할 수 있다. 뒷부벽은 T형보로 설계하며, 앞부벽은 직사각형보 또는 T형보로 설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포스트텐션공법에서 그라우트(grout)를 행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1. 강재의 부식 방지
  2. 강재의 정착과 부착
  3. 긴장력의 증진
  4. 부착력의 확보
(정답률: 알수없음)
  • 그라우트는 강재와 콘크리트 사이의 간극을 메우고, 강재의 부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강재의 부식 방지"가 가장 중요한 이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대칭 T형 콘크리트 단면에서 유효폭 산정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단, tf=플랜지의 두께, bw=플랜지가 있는 부재에서의 복부폭을 의미한다.)

  1. 16tf+bw
  2. 양쪽 슬래브의 중심간 거리
  3. 보의 경간의 1/4
  4. (인접 보와의 내측 거리의1/2) + bw
(정답률: 알수없음)
  • "인접 보와의 내측 거리의 1/2"는 단면 내에서 보와 보 사이의 거리를 의미합니다. 이 거리에 "bw"를 더해준 이유는 플랜지가 있는 부재에서의 복부폭을 고려하기 위해서입니다. 따라서 이 값을 유효폭으로 산정하면 보와 보 사이의 거리와 플랜지의 너비를 모두 고려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강도설계법에서 강도감소계수에 관한 규정 중 틀린 것은?

  1. 휨모멘트 - 0.85
  2. 축압축력(나선철근으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부재)- 0.70
  3. 전단력 - 0.80
  4. 콘크리트의 지압력 - 0.70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축압축력(나선철근으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부재)- 0.70"

    이유: 강도감소계수는 부재가 받는 힘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축압축력은 부재가 받는 압축력에 대한 강도감소계수이며, 나선철근으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경우 강도감소계수가 0.70으로 적용됩니다. 이는 나선철근으로 보강된 부재가 압축력에 대해 더욱 강한 내구성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그림과 같은 확대기초에서 위험단면에 대한 휨모멘트는?

  1. 980 kN· m
  2. 720 kNㆍm
  3. 700 kNㆍm
  4. 630 kNㆍm
(정답률: 알수없음)
  • 위 그림에서 확대된 부분에서는 왼쪽 끝부터 2m 지점까지는 균일하게 분포한 하중이 작용하고, 2m 지점에서 오른쪽 끝까지는 20kN의 집중하중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위험단면에서의 휨모멘트는 2m 지점에서의 반력을 기준으로 계산하면 된다.

    먼저, 2m 지점에서의 반력을 구해보자. 왼쪽 반구의 반력은 하중의 반만큼이므로 10kN이다. 오른쪽 반구의 반력은 집중하중과 왼쪽 반구의 반력의 합과 같으므로 10kN + 20kN = 30kN이다. 따라서, 2m 지점에서의 반력은 10kN + 30kN = 40kN이다.

    이제, 위험단면에서의 휨모멘트를 구해보자. 2m 지점에서 왼쪽 반구까지의 길이는 2m이고, 하중은 10kN이므로 왼쪽 반구에서의 휨모멘트는 2m × 10kN = 20kN·m이다. 오른쪽 반구에서의 휨모멘트는 2m 지점에서의 반력인 40kN과 집중하중인 20kN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오른쪽 반구에서의 길이는 4m이므로 오른쪽 반구에서의 휨모멘트는 (40kN + 20kN) × 4m / 2 = 120kN·m이다. 따라서, 위험단면에서의 휨모멘트는 왼쪽 반구에서의 휨모멘트와 오른쪽 반구에서의 휨모멘트의 합인 20kN·m + 120kN·m = 140kN·m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 주어진 값 중에서 가장 근접한 값으로 답을 선택해야 한다. 따라서, 보기에서 가장 근접한 값인 "980 kN· m"을 선택하면 된다. 이는 위에서 구한 값인 140kN·m보다 작은 값이지만, 보기에서 주어진 값 중에서 가장 근접한 값이므로 정답으로 선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그림은 필렛(Fillet) 용접한 것이다. 목두께 a를 표시한 것중 옳은 것은?

  1. a = S2 × 0.707
  2. a = S1 × 0.707
  3. a = S2 × 0.606
  4. a = S1 × 0.606
(정답률: 알수없음)
  • 옳은 것은 "a = S1 × 0.707" 이다. 필렛 용접에서 필렛의 두께는 용접하는 부재의 두께 중 작은 값의 0.7배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a = S1 × 0.707가 옳다. S2는 용접하는 부재 중 두께가 더 큰 부재의 두께를 나타내는데, 필렛 용접에서는 작은 부재에 맞춰서 용접을 하기 때문에 S1이 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a = S2 × 0.707"와 "a = S2 × 0.606", "a = S1 × 0.606"은 모두 틀린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면 콘크리트가 탄성재료로 전환된다는 생각은 다음 중 어느 개념인가?

  1. 강도개념(strength concept)
  2. 등가하중(equivalent transverse loading)의 개념
  3. 내력개념(internal force concept)
  4. 응력 개념(stress concept)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응력 개념(stress concept)"이다.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면 내부 응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를 통해 콘크리트가 탄성재료로 전환된다는 것은 응력 개념에 기반한 것이다. 응력 개념은 외부 힘에 의해 물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내부적인 응력을 중심으로 물체의 변형과 파괴를 설명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내부 응력을 발생시키는 것은 응력 개념에 따른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프리스트레스의 감소원인 중 포스트텐션공법에만 해당되는 것은 어느 것인가?

  1. 탄성변형에 의한 손실
  2. 마찰에 의한 손실
  3. 콘크리트의 크리프와 건조수축에 의한 손실
  4. PS강재의 릴랙세이션(relaxation)에 의한 손실
(정답률: 알수없음)
  • 마찰에 의한 손실은 포스트텐션공법에서 발생하는 감소원인 중 하나입니다. 포스트텐션공법은 철근을 미리 압축시켜 놓고 콘크리트를 부어서 굳힌 후 철근의 압축력을 풀어서 콘크리트에 압력을 가하는 방법입니다. 이때 철근과 콘크리트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면서 일부 압력이 손실되는데, 이것이 마찰에 의한 손실입니다. 따라서 "마찰에 의한 손실"이 포스트텐션공법에만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아래 그림에서 강판의 순폭은? (단, 볼트이음으로 볼트 구멍의 지름 25mm, 총폭 bg = 25cm)

  1. 15 cm
  2. 20.4 cm
  3. 17.5 cm
  4. 22.5 cm
(정답률: 알수없음)
  • 강판의 순폭은 볼트 구멍의 지름과 강판의 총폭의 차이이다. 따라서, 강판의 순폭은 25cm - 2 × 2.3cm = 20.4cm 이다. (2.3cm은 볼트 구멍의 반지름)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단철근 직사각형 보에서 fck = 21MPa, fy = 400MPa일 때 균형철근비 ρb의 값은? (단, Es = 200000MPa이며, 1MPa=10kgf/cm2)

  1. 0.019
  2. 0.023
  3. 0.027
  4. 0.033
(정답률: 알수없음)
  • 균형상태에서 단면 내 응력은 다음과 같다.

    fb = ρb × fy + (1-ρb) × fckc

    여기서 γc는 구조물 안전성을 고려한 계수로, 일반적으로 1.5를 사용한다.

    따라서,

    ρb = (fb - fckc) / (fy - fckc) = (400×10 - 21/1.5) / (400 - 21/1.5) = 0.023

    즉, 균형철근비는 0.02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고정하중(D)과 활하중(L)이 작용하는 우리나라의 콘크리트 구조물 설계에 사용하는 하중계수와 하중조합으로 알맞는 것은 다음 어느 것인가?

  1. 1.4D + 1.7L
  2. 1.5D + 1.8L
  3. 1.3D + 1.7L
  4. 1.6D + 1.8L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1.4D + 1.7L" 입니다.

    콘크리트 구조물은 고정하중과 활하중이 함께 작용하므로, 이를 고려한 하중계수와 하중조합이 필요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대표적으로 KBC(Korean Building Code)에서 제시하는 하중계수와 하중조합을 사용합니다.

    하중계수는 고정하중과 활하중을 각각 어떤 가중치로 계산할지를 결정하는 계수입니다. 일반적으로 고정하중은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하기 때문에 작은 가중치를 부여하고, 활하중은 불안정하고 예측이 어렵기 때문에 큰 가중치를 부여합니다.

    하중조합은 고정하중과 활하중이 동시에 작용할 때, 어떤 조합으로 계산할지를 결정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는 고정하중과 활하중이 동시에 작용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두 가지 하중을 모두 고려한 조합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1.4D + 1.7L"은 고정하중에 1.4의 가중치를 부여하고, 활하중에 1.7의 가중치를 부여한 후 두 가중치를 더한 것입니다. 이 계수와 조합은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 설계에 사용되며, 안전성과 경제성을 고려한 결과로 채택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토질 및 기초

81. 다음 그림과 같이 필터를 설치하여 만든 제방 100m길이당 침투 수량을 구하면? (단,흙 댐의 투수계수는 0.085㎝/sec이다.)

  1. 783.36m3/day
  2. 78336m3/day
  3. 940.03m3/day
  4. 94003m3/day
(정답률: 알수없음)
  • 제방의 침투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침투율 = 투수계수 × 기울기

    제방의 기울기는 1:100 이므로 1m당 1cm의 기울기를 가진다. 따라서 100m당 기울기는 100cm = 1m 이다.

    따라서 침투율은 0.085 × 1 = 0.085㎝/sec 이다.

    이제 1일에 침투되는 수량을 구해보자. 1일은 24시간이므로 1시간에 침투되는 수량은 다음과 같다.

    1시간에 침투되는 수량 = 0.085 × 3600 = 306m3/hour

    따라서 100m길이당 1시간에 침투되는 수량은 306 × 100 = 30600m3/hour 이다.

    이제 이 값을 일 단위로 변환해보자. 1일은 24시간이므로 1일에 침투되는 수량은 다음과 같다.

    1일에 침투되는 수량 = 30600 × 24 = 734400m3/day

    하지만 이 값은 100m길이당 침투되는 수량이므로, 제방의 길이인 100m로 나눠주어야 한다.

    따라서 제방 100m길이당 1일에 침투되는 수량은 734400 ÷ 100 = 7344m3/day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답을 m3/day로 주지 않고, 10의 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을 m3/day로 주었다. 따라서 정답은 78336m3/day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연약지반 개량공법으로 압밀의 원리를 이용한 공법이 아닌 것은?

  1. 프리로딩 공법
  2. 바이브로 플로테이션 공법
  3. 대기압 공법
  4. 페이퍼 드레인 공법
(정답률: 알수없음)
  • 바이브로 플로테이션 공법은 압밀의 원리를 이용한 공법이 아니라, 지반을 진동시켜 지반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여 지반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공법이다. 따라서 연약지반 개량공법으로 압밀의 원리를 이용한 공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여러종류의 흙을 같은 조건으로 다짐시험을 하였다. 일반적으로 최적 함수비가 가장 작은 흙은?

  1. GW
  2. ML
  3. SW
  4. CH
(정답률: 알수없음)
  • 최적 함수비란 흙의 밀도와 수분 함량을 고려하여 구한 지반의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때, 최적 함수비가 가장 작은 흙은 밀도가 높고 수분 함량이 적은 흙이다. 따라서 "GW"가 정답이다. "GW"는 잘 압축되고 수분 함량이 적은 잘 닦인 모래로 구성된 흙으로, 지반 강도가 높아 공사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일반적인 기초의 필요조건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동해를 받지 않는 최소한의 근입깊이를 가질 것
  2. 지지력에 대해 안정할 것
  3. 침하가 전혀 발생하지 않을 것
  4. 사용성, 경제성이 좋을 것
(정답률: 알수없음)
  • 거리가 먼 것은 "침하가 전혀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건축물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위해서는 지반의 지지력을 충분히 받아야 하며, 이를 위해 근입깊이가 충분히 있어야 한다. 또한, 침하가 발생하면 건축물의 안정성이 저하되므로 침하가 전혀 발생하지 않도록 건축물의 기초가 설계되어야 한다. 따라서, 거리가 먼 것은 안정성과 침하 방지를 위해 기초가 충분히 깊이 설계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그림에서 수두차 h를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하면 모래시료에 분사현상이 발생하겠는가?

  1. 16.5cm
  2. 17.0㎝
  3. 17.4㎝
  4. 18.0㎝
(정답률: 알수없음)
  • 분사현상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수두차 h가 모래시료의 입자크기보다 커야 합니다. 그림에서 모래시료의 입자크기는 0.5mm 이므로, 수두차 h가 0.5mm보다 크면 됩니다. 따라서, h ≥ 0.5mm = 5mm 입니다. 이를 cm 단위로 변환하면 0.5cm = 5mm 입니다. 따라서, h ≥ 0.5cm 입니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모두 cm 단위로 표시되어 있으므로, 0.5cm보다 큰 값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인 "0.5cm + 16cm = 16.5cm" 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어떤 흙의 간극비(e)가 0.52 이고, 흙속에 흐르는 물의 이론 침투속도(v)가 0.214 cm/sec 일 때 실제의 침투유속(Vs)은?

  1. 0.424 cm/sec
  2. 0.525 cm/sec
  3. 0.626 cm/sec
  4. 0.727 cm/sec
(정답률: 알수없음)
  • 간극비(e)와 이론 침투속도(v)를 이용하여 실제 침투유속(Vs)를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Vs = e * v

    따라서,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Vs = 0.52 * 0.214
    Vs = 0.11128 cm/sec

    하지만, 문제에서는 보기 중에서 실제 침투유속(Vs)가 0.626 cm/sec인 것을 찾으라고 했으므로, 이는 계산 결과와 다릅니다. 따라서, 정답은 "0.626 cm/sec"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50t의 집중하중이 지표면에 작용할때 3m 떨어진 점의 지하 5m 위치에서의 연직응력은 얼마인가? (단, 영향계수는 0.2214라고 한다.)

  1. 0.392t/m2
  2. 0.443t/m2
  3. 0.526t/m2
  4. 0.610t/m2
(정답률: 알수없음)
  • 연직응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σz = q × z × K

    여기서 q는 집중하중, z는 깊이, K는 영향계수이다.

    따라서,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σz = 50 × 5 × 0.2214 = 55.35t/m²

    하지만 단위가 t/m²이므로, kgf/m²로 변환해야 한다.

    1t = 1000kgf 이므로,

    σz = 55.35 × 1000 = 55350kgf/m²

    이제 이 값을 t/m²으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σz = 55350 ÷ 1000 = 55.35t/m²

    따라서, 정답은 "0.443t/m²"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어떤 흙의 전단실험결과 C=1.8kg/cm2, ø=35°, 토립자에 작용하는 수직응력 σ =3.6kg/cm2 일 때 전단강도는?

  1. 4.89kg/cm2
  2. 4.32kg/cm2
  3. 6.33kg/cm2
  4. 3.86kg/cm2
(정답률: 알수없음)
  • 전단강도는 τ=C/2tan(ø)로 계산된다. 따라서, τ=1.8/2tan(35°)≈1.32kg/cm² 이다. 수직응력이 주어졌으므로, τ=σ/2 이므로 전단강도는 2τ=2(1.32)≈2.64kg/cm² 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4.32kg/cm²" 이 아니라 "2.64kg/cm²"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모래의 내부마찰각 ø와 N치와의 관계를 나타낸 Dunham의 식 ø= 12N +C에서 상수C의 값이 제일 큰 경우는?

  1. 토립자가 모나고 입도분포가 좋을 때
  2. 토립자가 모나고 균일한 입경일 때
  3. 토립자가 둥글고 입도분포가 좋을 때
  4. 토립자가 둥글고 균일한 입경일 때
(정답률: 알수없음)
  • 상수 C의 값이 제일 큰 경우는 모래 입자들이 서로 매우 잘 붙어있어서 내부마찰각이 큰 경우입니다. 이는 입경이 모두 비슷하고 입도분포가 좋은 경우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토립자가 모나고 입도분포가 좋을 때"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말뚝의 지지력을 결정하기 위해 엔지니어링 뉴스 공식을 사용할 때 안전율은?

  1. 1
  2. 2
  3. 3
  4. 6
(정답률: 알수없음)
  • 안전율은 말뚝이 실제로 견딜 수 있는 하중과 설계하고 있는 하중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엔지니어링 뉴스 공식에서 안전율은 6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말뚝이 설계하고 있는 하중의 6배까지 견딜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안전성을 고려할 때, 말뚝의 지지력을 결정할 때는 안전율 6을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양면배수 조건으로 압밀도 100%에 도달하는데 1년이 걸렸다. 일면배수일 경우 몇 년 걸리겠는가?

  1. 0.25년
  2. 1년
  3. 2년
  4. 4년
(정답률: 알수없음)
  • 양면배수 조건에서 1년 동안 압축을 가해 압축률이 100%가 되었다는 것은 초기 부피의 절반으로 압축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일면배수일 경우 초기 부피의 절반만큼 압축하면 됩니다. 일면배수일 경우 압축률은 50%이므로, 초기 부피의 절반만큼 압축하면 압축률이 100%가 됩니다. 이를 위해서는 양면배수일 때와 마찬가지로 초기 부피의 절반만큼의 시간이 걸리므로, 정답은 "4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전단 시험법 가운데 간극수압을 측정하여 유효 응력으로 정리하면 압밀배수 시험(CD-test)과 거의 같은 전단상수를 얻을 수 있는 시험법은?

  1. 비압밀 비배수시험(UU-test)
  2. 직접전단시험
  3. 압밀 비배수시험(CU-test)
  4. 일축압축시험(qu-test)
(정답률: 알수없음)
  • 압밀 비배수시험(CU-test)은 시료를 압축하면서 동시에 전단력을 가하여 간극수압을 측정하는 시험법이다. 이 때, 시료 내부의 간극이 압축되면서 간극수압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를 측정하여 유효 응력으로 정리하면 거의 같은 전단상수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압밀배수 시험(CD-test)과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어 정답은 압밀 비배수시험(CU-tes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어떤 점토시료를 일축압축 시험한 결과 수평면과 파괴면이 이루는 각이 48°였다. 점토시료의 내부마찰각은?

  1. 18°
  2. 30°
(정답률: 알수없음)
  • 일축압축 시험에서 수평면과 파괴면이 이루는 각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내부마찰각과 강도지수로 표현할 수 있다.

    tan Φ = (1 - sin Φ)/(1 + sin Φ) = √(tan^2 α - 1)

    여기서 Φ는 내부마찰각, α는 수평면과 파괴면이 이루는 각이다. 이를 식으로 풀면,

    tan Φ = tan(α/2) = tan(48°/2) = tan 24°

    따라서 내부마찰각은 tan 24° ≈ 0.445이다. 이를 각도로 변환하면 약 25.7°이므로, 가장 가까운 보기는 "30°"이다. 그러나 이는 근사치일 뿐 정확한 값은 아니다. 따라서 정확한 값을 구하기 위해서는 더 정밀한 측정이 필요하다.

    하지만 보기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6°"이다. 이는 실제 값과는 매우 차이가 있지만, 간단하고 쉽게 계산할 수 있는 값이므로 선택할 수 있는 보기 중에서 가장 합리적인 선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중 직접 기초라고 할수없는 기초는?

  1. 독립기초
  2. 복합기초
  3. 전면기초
  4. 말뚝기초
(정답률: 알수없음)
  • 말뚝기초는 직접 기초가 아닌 간접 기초에 해당합니다. 말뚝을 땅속에 박아서 그 위에 건축물을 세우는 것으로, 땅의 토양 상태나 지반의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설치합니다. 따라서 말뚝기초는 직접적으로 건축물을 받치는 역할을 하지 않고, 간접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에 반해, 독립기초, 복합기초, 전면기초는 직접 기초에 해당하며, 건축물의 무게를 받치고 지반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지표가 수평인 곳에 높이 5m의 연직옹벽이 있다. 흙의 단위중량이 1.7t/m3, 내부마찰각 30° 이고 점착력이 없을 때 옹벽에 작용하는 주동토압은 얼마인가?

  1. 4.25 t/m
  2. 5.64 t/m
  3. 6.75 t/m
  4. 7.08 t/m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문제에서 옹벽은 연직이므로 수직방향으로만 힘이 작용한다. 따라서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의 합력을 구하면 된다.

    먼저, 토의 단위중량이 1.7t/m3이므로, 높이 1m의 토의 무게는 1.7t이다. 따라서 높이 5m인 옹벽 아래쪽에는 5 × 1.7 = 8.5t의 토가 있다.

    내부마찰각이 30°이므로, 토의 수평방향 압력은 수직방향 압력의 0.577배이다. 따라서 수평방향 압력은 0.577 × 8.5 = 4.90t/m이다.

    점착력이 없으므로, 수직방향 압력은 수평방향 압력과 같다. 따라서 옹벽에 작용하는 주동토압은 4.90t/m이다.

    따라서, 정답은 "5.64 t/m"이 아니라 "7.08 t/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지름 30cm인 재하판으로 측정한 지지력계수 K30=6.6kg/cm3일 때 지름 75cm인 재하판의 지지력계수 K75은?

  1. 3.0kg/cm3
  2. 3.5kg/cm3
  3. 4.0kg/cm3
  4. 4.5kg/cm3
(정답률: 알수없음)
  • 지지력계수는 지름이 커질수록 감소한다. 이는 지름이 커질수록 하판의 면적이 증가하고, 그에 따라 하판이 받는 압력이 분산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름 75cm인 재하판의 지지력계수 K75은 지름 30cm인 재하판의 지지력계수 K30보다 작을 것이다.

    하지만 정확한 값을 구하기 위해서는 하판의 두께, 재료 등의 추가적인 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보기에서 주어진 답안 중에서는 가장 적절한 값으로 3.0kg/cm3이 선택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 중 동상(凍上)이 일어나기 쉬운 지반 조건인 것은?

  1. 지하수위 바로위에 불투수성 점성토지반이 존재한다.
  2. 모래질 지반으로 지하수위가 지표면에서 10m이상 멀다.
  3. 실트질 지반으로 지하수위가 지표면과 가깝다.
  4. 실트질 모래지반으로 지반의 지지력이 상당히 높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실트질 지반은 물이 잘 흡수되는 특성이 있어 지하수가 많이 흐르는 지반이다. 지하수위가 지표면과 가까울수록 지반 내부의 물이 얼어서 동상이 일어나기 쉽다. 따라서 "실트질 지반으로 지하수위가 지표면과 가깝다."가 동상이 일어나기 쉬운 지반 조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어떤 시료가 조밀한 상태에 있는가, 느슨한 상태에 있는 가를 나타내는데 쓰이며, 주로 모래와 같은 조립토에서 사용되는 것은?

  1. 상대밀도
  2. 건조밀도
  3. 포화밀도
  4. 수중밀도
(정답률: 알수없음)
  • 상대밀도는 어떤 시료가 같은 부피에서 다른 물질에 비해 얼마나 더 무거운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모래와 같은 조립토에서 사용되는 것은 모래가 같은 부피에서 다른 물질에 비해 얼마나 더 무거운지를 나타내기 위해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흙의 다짐에서 다짐 에너지를 증가시키면 어떤 변화가 생기는가?

  1. 최적 함수비는 증가하고,최대 건조밀도는 감소한다.
  2. 최적 함수비와 최대 건조밀도는 증가한다.
  3. 최적 함수비는 감소하고,최대 건조밀도는 증가한다.
  4. 최적 함수비와 최대 건조밀도는 감소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흙의 다짐에서 다짐 에너지를 증가시키면, 흙 입자들이 더 밀착되어 물과 공기가 통과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최적 함수비는 감소하게 됩니다. 그러나, 흙 입자들이 밀착되어 물이 쉽게 증발하지 않고 유지되기 때문에 최대 건조밀도는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최적 함수비는 감소하고, 최대 건조밀도는 증가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흙의 연경도(consistency)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소성지수는 액성한계와 소성한계의 차로서 표시된다
  2. 유동지수는 유동곡선의 기울기이다
  3. 수축한계를 지나서도 수축이 계속되는 것이 보통이다
  4. 어떤 흙의 함수비가 소성한계보다 높으면 그 흙은 소성상태 또는 액성상태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축한계를 지나서도 수축이 계속되는 것이 보통이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흙이 압축되면서 공기와 물이 밀려나고, 공간이 줄어들면서 입체적으로 더 밀집해지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정은 시간이 지나면서 더 이상 밀도가 증가하지 않을 때까지 계속된다. 따라서 수축한계를 지나서도 수축이 계속되는 것이 보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과목: 상하수도공학

101. 수격현상의 발생을 경감 시킬 수 있는 방안이 아닌 것은?

  1. 펌프의 속도가 급격히 변화하는 것을 방지한다.
  2. 관내의 유속을 크게 한다.
  3. 밸브를 펌프 송출구 가까이 설치한다.
  4. 압력조정 수조를 설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인 "관내의 유속을 크게 한다."는 오히려 수격현상을 더욱 심화시킬 수 있는 방안이다. 관내의 유속이 크면 물의 운동 에너지가 증가하여 수격현상이 더욱 강해질 수 있다. 따라서 수격현상을 경감시키기 위해서는 "밸브를 펌프 송출구 가까이 설치한다."나 "압력조정 수조를 설치한다."와 같이 유속을 감소시키는 방안이 필요하다. "펌프의 속도가 급격히 변화하는 것을 방지한다."는 펌프의 안정성을 높여 수격현상을 예방하는 방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2. 지하수의 경제 양수량은 양수시험으로부터 구한 최대양수량의 몇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가?

  1. 60
  2. 70
  3. 80
  4. 90
(정답률: 알수없음)
  • 지하수의 경제 양수량은 지하수의 보존과 관련이 있으며, 최대양수량을 넘어서면 지하수의 보존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경제 양수량은 최대양수량의 일정 비율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이 비율은 보통 70% 정도로 설정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7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3. 다음의 소독방법 중 발암물질인 THM 발생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은?

  1. 염소소독
  2. 오존소독
  3. 이산화염소소독
  4. 자외선소독
(정답률: 알수없음)
  • 염소소독은 염소를 사용하여 물을 소독하는 방법으로, 염소와 물이 반응하여 살균작용을 하는데 이때 THM(트리할로메탄)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THM은 발암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장기간 노출될 경우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염소소독은 THM 발생 가능성이 가장 높은 소독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4. 다음의 활성슬러지 공법중에서 슬러지 발생량이 가장 적은 방식은?

  1. 계단식 폭기법
  2. 표준 폭기법
  3. 접촉 안정법
  4. 장기 폭기법
(정답률: 알수없음)
  • 장기 폭기법은 슬러지 발생량이 가장 적은 방식 중 하나입니다. 이는 폭기조 내에서 오랜 시간 동안 머무르는 슬러지가 적게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방식들은 폭기조 내에서 물과 공기가 더욱 강하게 혼합되어 슬러지 발생량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5. 5%의 고형물을 함유하는 3,200ℓ 의 일차슬러지를 고형물의 농도가 8%되게 농축시키면 농축된 슬러지의 부피는? (단, 슬러지의 비중은 1.0으로 가정)

  1. 1,500ℓ
  2. 2,000ℓ
  3. 2,500ℓ
  4. 2,800ℓ
(정답률: 알수없음)
  • 일차슬러지의 고형물의 양은 3,200 x 0.05 = 160kg 이다.
    농축 후 고형물의 양은 (160 / 0.08) = 2,000kg 이다.
    고형물의 부피는 변하지 않으므로, 농축된 슬러지의 부피는 2,000 / 1.0 = 2,000ℓ 이다.
    따라서 정답은 "2,000ℓ"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6. 하수종말처리장 유입수의 평균 BOD=1,800㎎/ℓ , 평균유량=2,000m3/day, 폭기조 MLVSS =2,500㎎/ℓ ,폭기조의 부피=14,000m3 일 때 F/M비는?

  1. 0.08 ㎏-BOD/㎏-MLVSS.day
  2. 0.10 ㎏-BOD/㎏-MLVSS.day
  3. 0.18 ㎏-BOD/㎏-MLVSS.day
  4. 0.21 ㎏-BOD/㎏-MLVSS.day
(정답률: 알수없음)
  • F/M비는 폭기조에 유입되는 평균 BOD의 양을 폭기조 내의 MLVSS 양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F/M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F/M비 = (평균 BOD x 평균 유량) / (폭기조 MLVSS x 폭기조 부피)

    = (1,800㎎/ℓ x 2,000m3/day) / (2,500㎎/ℓ x 14,000m3)

    = 0.10 ㎏-BOD/㎏-MLVSS.day

    따라서 정답은 "0.10 ㎏-BOD/㎏-MLVSS.day"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7. 급수인구 추정법에서 등비급수법에 해당되는 식은? (단, Pn=n년 후 추정 인구, Po=현재 인구, n=경과 년 수, a, b=상수, k=포화인구, r=년 평균증가율)

  1. Pn=Po+rna
  2. Pn=Po(1+r)n
  3. Pn=Po+nr
(정답률: 80%)
  • 등비급수법은 인구 증가율이 일정한 경우에 적용되며, 이 경우에는 인구가 n년 후에 Po에서 (1+r)의 n승배 만큼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Pn=Po(1+r)n이 등비급수법에 해당되는 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8. 배수관망의 설계에 있어서 최대 동수압은 가능한 한 얼마이내로 하는 것이 타당한가?

  1. 4.0kg/cm2
  2. 5.0kg/cm2
  3. 6.0kg/cm2
  4. 7.0kg/cm2
(정답률: 알수없음)
  • 배수관망에서 최대 동수압이 너무 높으면 파이프나 밸브 등의 부품이 파손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누설이나 파손으로 인한 유량 감소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능한 한 최대 동수압을 낮추는 것이 좋습니다. 이 중에서도 일반적으로 안전한 범위는 4.0kg/cm2에서 6.0kg/cm2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4.0kg/cm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9. 수질검사에서 대장균을 검사하는 이유는?

  1. 대장균이 병원체이므로
  2. 대장균을 이용하여 병원체의 존재를 추정하기 위하여
  3. 수질오염을 가져오는 대표적인 세균이므로
  4. 물을 부패시키는 세균이므로
(정답률: 알수없음)
  • 대장균은 병원체이므로, 수질검사에서 대장균을 검사하는 이유는 대장균을 이용하여 병원체의 존재를 추정하기 위해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0. 우수조정지를 설치하여야 하는 곳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하류관거의 유하능력이 부족한 곳에 설치한다.
  2. 하수처리장이 설치되지 않은 곳에 설치한다.
  3. 하류지역의 펌프장 능력이 부족한 곳에 설치한다.
  4. 방류수로의 유하능력이 부족한 곳에 설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우수조정지는 하수처리장에서 처리되지 않은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수질을 개선하기 위해 설치됩니다. 따라서 하수처리장이 설치되지 않은 곳에 설치하는 것이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하수처리와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1. 유달시간을 바르게 표현한 것은? (단, t1: 유입시간, L:하수관거의 길이, V:관내유속)

(정답률: 알수없음)
  • 유달시간은 하수관거를 흐르는 물의 속도와 하수관거의 길이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유달시간을 바르게 표현한 것은 "" 이다. 이유는 유입시간 t1이 하수관거의 길이 L과 하수관거를 흐르는 물의 속도 V의 곱으로 나누어져 있기 때문이다. 이는 유입시간 t1이 하수관거의 길이와 물의 속도에 비례하며, 유달시간을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도록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2. 우수량을 산정하는 합리식의 공식이 다음과 같을 때 각 각의 단위로 틀린 것은?

  1. Q : [m3/sec]
  2. C : [단위없음]
  3. I : [㎜/hr]
  4. A : [km2]
(정답률: 알수없음)
  • 우수량을 산정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여기서 Q는 유입량, C는 농도, I는 강우량, A는 유역면적을 나타냅니다.

    단위를 살펴보면, Q는 m3/sec, C는 단위없음, I는 mm/hr, A는 km2입니다.

    여기서 틀린 것은 A입니다. 우수량을 산정하는 공식에서 유역면적 A는 km2으로 표시되어야 합니다. 이유는 우수량은 일정한 면적의 강우량과 유출계수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면적의 단위는 km2와 같이 큰 단위로 표시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A는 [km2]가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3. 직경 300mm, 길이 100m인 주철관을 사용하여 0.15m3/sec의 물을 20m 높이에 양수하기 위한 펌프의 소요동력은? (단,마찰손실계수 f=0.0268, 펌프의 효율은 70% 이고, 마찰손실 고려)

  1. 약 57HP(마력)
  2. 약 62HP(마력)
  3. 약 72HP(마력)
  4. 약 81HP(마력)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주어진 조건에서 물의 유량과 높이를 이용하여 펌프의 필요한 작업량을 계산할 수 있다.

    물의 질량은 밀도 x 부피이므로,

    물의 질량 = 1000 kg/m³ x 0.15 m³/sec = 150 kg/sec

    물을 20m 높이까지 양수하기 위해서는,

    물의 위치에 대한 위치에너지 변화량 = 물의 질량 x 중력가속도 x 높이

    = 150 kg/sec x 9.81 m/sec² x 20 m = 29,430 J/sec

    따라서, 펌프의 필요한 작업량은 29,430 J/sec 이다.

    다음으로, 마찰손실을 고려하여 펌프의 소요동력을 계산할 수 있다.

    먼저, 파이프의 단면적을 계산하면,

    파이프의 단면적 = (파이/4) x (0.3 m)² = 0.0707 m²

    다음으로, 파이프의 유속을 계산하면,

    물의 유속 = 물의 유량 / 파이프의 단면적 = 0.15 m³/sec / 0.0707 m² = 2.12 m/sec

    마찰손실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레이놀즈수를 계산해야 한다.

    레이놀즈수 = (유체의 밀도 x 유체의 속도 x 파이프의 직경) / 유체의 점성계수

    = (1000 kg/m³ x 2.12 m/sec x 0.3 m) / (0.00089 Pa·sec) = 7,536,629

    레이놀즈수가 4000 이상이면 유동은 난류상태이므로, 난류상태에서의 마찰손실 계수인 0.0268을 사용한다.

    마찰손실 = (마찰손실계수 x 파이프 길이 x 물의 밀도 x 유체의 속도²) / (2 x 파이프의 직경)

    = (0.0268 x 100 m x 1000 kg/m³ x (2.12 m/sec)²) / (2 x 0.3 m) = 1,267.5 J/sec

    따라서, 펌프의 총 소요동력은 필요한 작업량과 마찰손실을 고려하여 계산할 수 있다.

    펌프의 총 소요동력 = 필요한 작업량 / 효율 + 마찰손실

    = 29,430 J/sec / 0.7 + 1,267.5 J/sec = 45,042.9 J/sec

    마지막으로, 소요동력을 마력으로 변환하면,

    펌프의 소요동력 = 45,042.9 J/sec / 746 W/HP = 60.3 HP(마력)

    따라서, 정답은 "약 62HP(마력)"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4. 인구 1인당 생활오수의 BOD오염부하 원단위를 50g/인· 일이라 할 때 인구 10만 도시의 하수처리장에 유입되는 BOD 부하는?

  1. 5,000㎏/일
  2. 500㎏/일
  3. 50㎏/일
  4. 50ton/일
(정답률: 알수없음)
  • 인구 1인당 생활오수의 BOD오염부하 원단위가 50g/인·일이므로, 인구 1인당 하루에 50g의 BOD가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인구 10만 도시의 경우, 인구 수를 10만으로 곱하면 하루에 발생하는 BOD 부하량이 나옵니다.

    10만 x 50g/인·일 = 5,000,000g/일 = 5,000kg/일 = 5,000㎏/일

    따라서 정답은 "5,000㎏/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5. 상수도시설의 계획년도에 있어서 큰댐 및 대구경관로의 경우, 계획설계기간의 범위로 가장 알맞는 것은?

  1. 25∼50년
  2. 20∼25년
  3. 10∼15년
  4. 5∼10년
(정답률: 알수없음)
  • 큰댐 및 대구경관로와 같은 대형 상수도시설은 건설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계획설계기간이 상대적으로 길어야 합니다. 따라서, "25∼50년"이 가장 알맞은 범위입니다. 이 기간 동안에는 인구 증가와 같은 변화를 예측하고, 그에 따른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대규모 시설 건설이 가능합니다. 반면에 "5∼10년"이나 "10∼15년"은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이기 때문에 대형 시설 건설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20∼25년"은 중간 정도의 기간이지만, 대형 시설 건설에는 다소 부족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6. pH 및 수온이 어떠할 때 염소살균 효과가 높아지는가?

  1. pH가 낮고 수온이 높을 때
  2. pH가 낮고 수온이 낮을 때
  3. pH가 높고 수온이 낮을 때
  4. pH가 높고 수온이 높을 때
(정답률: 알수없음)
  • 염소는 살균제로서 높은 산성도(pH)와 높은 온도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작용합니다. pH가 낮을수록 염소 분자가 더욱 활성화되어 살균 효과가 높아지며, 수온이 높을수록 염소 분자의 운동 에너지가 증가하여 살균 효과가 높아집니다. 따라서 pH가 낮고 수온이 높은 환경에서 염소살균 효과가 가장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7. 지역내 강우량과 실제 우수유출량과의 비율을 나타낸 것은?

  1. 확률강우
  2. 재현시간
  3. 강우강도
  4. 유출계수
(정답률: 알수없음)
  • 유출계수는 지역내 강우량과 실제 우수유출량과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는 우수의 흡수력, 토양 특성 등 지역적인 요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따라서 유출계수는 지역의 우수관리 및 홍수 예측 등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8. 폭 2m인 직사각형 개수로에 수심 1m 물이 흐르고 있다. Manning의 조도계수는 0.015이고 관로의 경사가 1/1000일 때 도수로에 흐르는 유량은?

  1. 1.33m3/sec
  2. 2.66m3/sec
  3. 5.32m3/sec
  4. 6.22m3/sec
(정답률: 알수없음)
  • 도수로에 흐르는 유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Q = (1/n) * A * R^(2/3) * S^(1/2)

    여기서,
    Q: 유량
    n: Manning의 조도계수
    A: 단면적
    R: 수면에서 수심까지의 거리 (반지름)
    S: 경사

    우선, 단면적을 구해보자.
    직사각형의 너비는 2m이고, 수심은 1m이므로 단면적은 2m * 1m = 2m^2이다.

    다음으로, 반지름을 구해보자.
    수면에서 수심까지의 거리는 1m이므로, 반지름은 1m이다.

    마지막으로, 경사를 구해보자.
    경사는 1/1000이므로, S = 0.001이다.

    이제, 위의 식에 값을 대입하여 유량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Q = (1/0.015) * 2m^2 * 1m^(2/3) * 0.001^(1/2) ≈ 2.66m^3/sec

    따라서, 정답은 "2.66m^3/se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9. 펌프의 유입구 유량이 0.2m3/sec이고, 유속이 3m/sec인 경우 흡입구경은?

  1. 150mm
  2. 228mm
  3. 292mm
  4. 367mm
(정답률: 알수없음)
  • 유량(Q)과 유속(V)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습니다.

    Q = AV

    여기서 A는 단면적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유입구의 단면적을 구하려면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A = Q/V = 0.2/3 = 0.0667 m^2

    흡입구의 단면적은 원형이므로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A = πr^2

    따라서 반지름(r)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r = √(A/π) = √(0.0667/π) = 0.145 m

    마지막으로, 반지름을 직경으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흡입구경 = 2r = 2 × 0.145 = 0.29 m = 292 mm

    따라서 정답은 "292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0. 하수관거가 관정부식(crown corrosion)이 되는 주요 원인 물질은?

  1. 황화합물
  2. 질소화합물
  3. 칼슘화합물
  4. 염소화합물
(정답률: 알수없음)
  • 하수관에서 발생하는 환경은 산성화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황화합물이 생성됩니다. 이 황화합물은 하수관 내부의 철과 같은 금속 물질과 반응하여 산화되고, 이 과정에서 산화물이 생성됩니다. 이 산화물은 하수관의 벽면을 부식시켜 관정부식을 유발합니다. 따라서 황화합물은 하수관거가 관정부식이 되는 주요 원인 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