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목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5-07)

토목산업기사
(2017-05-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응용역학

1. 그림과 같은 3활절 라멘의 지점 A의 수평반력(HA)은?

  1. PL/h
  2. PL/2h
  3. PL/4h
  4. PL/8h
(정답률: 85%)
  • 수평반력은 수직반력과 마찬가지로 라멘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해 작용하는 힘이므로, A 지점에서의 수평반력은 라멘의 무게와 수직반력에 의해 결정된다.

    라멘의 무게는 P이고, 수직반력은 L이므로 A 지점에서의 수평반력은 PL에 비례한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정확한 값을 구할 수 없다. A 지점에서의 수평반력은 라멘의 무게와 수직반력이 어떻게 분배되는지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라멘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모멘트의 균형을 이용해야 한다.

    라멘의 중심축은 중앙에 위치하므로, 수직반력 L은 중심축을 지나는 수직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L에 의한 모멘트는 0이 된다.

    따라서 A 지점에서의 수평반력 HA에 의한 모멘트는 P×h가 되어야 한다.

    이를 이용해 HA를 구하면,

    HA×2h = P×h

    HA = P×h/2h = PL/2h = PL/8h

    따라서 정답은 "PL/8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그림과 같은 단순보에 등분포 하중이 작용할 때 이 보의 단면에 발생하는 최대 휨응력은?

(정답률: 81%)
  • 이 문제에서 최대 휨응력은 단면의 최대 굴곡응력과 같다. 이 보의 단면은 T자 단면으로, 하중이 가해지는 위치에서는 상부 플랜지가 압축력을 받고 하부 플랜지가 인장력을 받는다. 따라서 최대 굴곡응력은 상부 플랜지의 경계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최대 굴곡응력은 하중이 가해지는 위치에서의 모멘트와 단면의 관성 모멘트와의 곱에 최대 굴곡반경의 역수를 곱한 값으로 계산된다. 이 보의 경우, 하중이 가해지는 위치에서의 모멘트는 10 kN*m이고, 단면의 관성 모멘트는 1.25e-4 m^4이다. 또한, 최대 굴곡반경은 상부 플랜지의 높이인 200 mm이므로, 최대 굴곡응력은 (10 kN*m) / (1.25e-4 m^4 * 200 mm) = 400 MPa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단면1차 모멘트의 단위로서 옳은 것은?

  1. cm
  2. cm2
  3. cm3
  4. cm4
(정답률: 88%)
  • 단면 1차 모멘트는 면적과 거리의 곱으로 나타내며, 단위는 (면적의 단위) x (거리의 단위) 입니다. 따라서, 단면 1차 모멘트의 단위는 "cm2 x cm" 이며, 이를 계산하면 "cm3" 이 됩니다. 즉, 단면 1차 모멘트의 단위는 부피의 단위인 "cm3"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부정정 구조의 해법이 아닌 것은?

  1. 공액보법
  2. 처짐각법
  3. 변위일치법
  4. 모멘트 분배법
(정답률: 75%)
  • 공액보법은 부정정 구조를 해결하는 방법 중 하나로, 구조물의 전체적인 반력을 공액점에 집중시켜 해결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구조물의 전체적인 반력을 고려하기 때문에 다른 방법들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공액보법은 부정정 구조의 해법 중 하나이며, 다른 방법들은 모두 부정정 구조를 해결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그림과 같은 캔틸레버 보에서 C점에 집중하중 P가 작용할 때 보의 중앙 B점의 처짐각은 얼마인가? (단, EI는 일정)

(정답률: 65%)
  • 보의 중앙 B점에서의 처짐각은 P가 작용하는 위치와 B점 사이의 거리를 L이라고 할 때,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θ = PL^2 / (2EI)

    여기서 P와 L은 모두 양수이므로, θ는 L^2에 비례한다. 따라서 L이 작을수록 θ는 작아지고, L이 클수록 θ는 커진다.

    그림에서 B점과 C점 사이의 거리는 L/2이므로, P가 C점에 가까울수록 L이 작아지고, P가 A점에 가까울수록 L이 커진다. 따라서 P가 C점에 가까울수록 B점의 처짐각은 작아지고, P가 A점에 가까울수록 B점의 처짐각은 커진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그림(A)와 같은 장주가 10t의 하중에 견딜 수 있다면 그림(B)의 장주가 견딜 수 있는 하중의 크기는? (단, 기둥은 등질, 등단면이다.)

  1. 2.5t
  2. 20t
  3. 40t
  4. 80t
(정답률: 86%)
  • 그림(A)의 장주는 길이가 2배이므로 단면적이 2배가 되어 20t의 하중을 견딜 수 있다. 그러므로 그림(B)의 장주는 단면적이 4배가 되어 40t의 하중을 견딜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40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단순보에서 B점의 반력(RB)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9t
  2. 13.5t
  3. 18t
  4. 21.5t
(정답률: 66%)
  • B점에서 작용하는 힘은 20N의 중력과 A점에서 전달되는 20N의 힘이 있다. 이 때 B점의 가해진 힘은 20N + 20N = 40N이다. 이에 따라 B점의 반력(RB)은 40N이 되며, 이는 40N을 2로 나눈 값인 20N의 중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20N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20N"이다. 주어진 보기에는 "-20N"이 없으므로 오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그림과 같은 구조물의 부정정 차수는?

  1. 9차 부정정
  2. 10차 부정정
  3. 11차 부정정
  4. 12차 부정정
(정답률: 72%)
  • 이 구조물은 10개의 교차점과 20개의 선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때, 모든 교차점에서 짝수 개의 선분이 만나므로 이 구조물은 오일러 경로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부정정 차수는 2이며, 이를 이용하여 정정 차수를 계산하면 12가 됩니다. 따라서 부정정 차수는 10차 부정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단순보의 전 구간에 등분포하중이 작용할 때 지점의 반력이 2t이었다. 등분포 하중의 크기는? (단, 지간은 10m이다.)

  1. 0.1t/m
  2. 0.3t/m
  3. 0.2t/m
  4. 0.4t/m
(정답률: 61%)
  • 등분포하중이 전 구간에 걸쳐 등분포하므로, 중간 지점에서의 반력은 전체 하중의 절반인 1t이 됩니다. 이때, 반력은 지지점에서의 하중과 균형을 이루어야 하므로, 지지점에서의 하중도 1t이 됩니다.

    따라서, 전체 하중은 2t이고, 하중의 크기를 전체 길이인 10m으로 나누면 단위 길이당 하중이 나옵니다.

    2t / 10m = 0.2t/m

    하지만, 문제에서는 등분포하중의 크기를 구하는 것이므로, 단위 길이당 하중인 0.2t/m을 2로 나누어주면 됩니다.

    0.2t/m / 2 = 0.1t/m

    따라서, 등분포하중의 크기는 0.1t/m이 됩니다.

    정답은 "0.1t/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그림에서 힘들의 합력 R의 위치(x)는 몇 m인가?

  1. 4.5m
  2. 4.75m
  3. 5.0m
  4. 5.25m
(정답률: 73%)
  • 해당 그림에서 물체는 평형상태에 있으므로, 왼쪽과 오른쪽의 힘들의 합력이 서로 상쇄됩니다. 따라서, 왼쪽 힘들의 합력과 오른쪽 힘들의 합력의 크기는 같습니다.

    왼쪽 힘들의 합력은 2N + 3N = 5N이고, 오른쪽 힘들의 합력은 R입니다.

    따라서, R = 5N이며, 이는 오른쪽으로 5.25m 떨어진 위치에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5.25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아래 그림과 같은 보에서 굽힘모멘트에 의한 변형에너지는?

(정답률: 65%)
  • 보에서 굽힘모멘트에 의한 변형에너지는 $frac{1}{2}int_{0}^{L}M^2(x)/EI dx$로 계산할 수 있다. 이 보에서 굽힘모멘트는 $M(x)=-frac{Px}{2}$이므로, 변형에너지는 $frac{1}{2}int_{0}^{L}M^2(x)/EI dx=frac{1}{2}int_{0}^{L}frac{P^2x^2}{4EI}dx=frac{P^2L^3}{48EI}$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탄성계수 E=2×106kg/cm2이고 포아송 비 v=0.3일 때 전단탄성계수 G는?

  1. 769231kg/cm2
  2. 751372kg/cm2
  3. 734563kg/cm2
  4. 710201kg/cm2
(정답률: 56%)
  • 전단탄성계수 G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된다.

    G = E / (2(1+v))

    여기서 E는 탄성계수, v는 포아송 비이다.

    따라서, G = 2×106 / (2(1+0.3)) = 769231kg/cm2 이다.

    따라서, 정답은 "769231kg/c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그림과 같은 보에서 A점의 수직반력은?

  1. 1.5t
  2. 1.8t
  3. 2.0t
  4. 2.3t
(정답률: 59%)
  • A점에 작용하는 수직반력은 보의 중심인 B점을 지나는 수직선과 A점에서의 수직선이 이루는 각도에 따라 달라진다. 이 경우, A점에서의 수직선과 보의 중심인 B점을 지나는 수직선이 이루는 각도는 30도이므로, A점의 수직반력은 2t x sin30° = 1.5t 이다. 따라서 정답은 "1.5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지름 d의 원형단면인 장주가 있다. 길이가 4m일 때 세장비를 100으로 하려면 적당한 지름 d는?

  1. 8cm
  2. 10cm
  3. 16cm
  4. 18cm
(정답률: 77%)
  • 장주의 부피는 원기둥의 부피와 같으므로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부피 = πr²h

    여기서 r은 반지름, h는 높이이다. 장주의 길이가 4m이므로 h=4이다. 세장비를 100으로 하려면 부피가 100/3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πr²h = 100/3

    r² = (100/3π) / h

    r² = (100/3π) / 4

    r² ≈ 2.65

    r ≈ 1.63

    따라서 지름 d는 2r ≈ 3.26m이다. 이를 센티미터로 환산하면 326cm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16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단순보의 중앙에 집중하중 P가 작용할 경우 중앙에서의 처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탄성계수에 반비례한다.
  2. 하중(P)에 정비례한다.
  3. 단면2차 모멘트에 반비례한다.
  4. 지간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74%)
  • 단면2차 모멘트에 반비례한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중앙에서의 처짐은 보의 단면 형상과 크기, 탄성계수, 하중의 크기와 위치 등에 영향을 받습니다. 하지만 중앙에서의 처짐은 지간의 제곱에 반비례합니다. 이는 지간이 작을수록 보의 단면이 더 강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간이 넓을수록 중앙에서의 처짐은 작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지름 10cm, 길이 100cm인 재료에 인장력을 작용시켰을 때 지름은 9.98cm, 길이는 100.4cm가 되었다. 이 재료의 포아송 비(v)는?

  1. 0.3
  2. 0.5
  3. 0.7
  4. 0.9
(정답률: 75%)
  • 포아송 비(v)는 재료의 늘어난 길이와 늘어난 지름의 비율에 의해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길이가 0.4cm만큼 늘어났고, 지름이 0.02cm만큼 줄어들었다. 따라서 포아송 비(v)는 (0.4cm / 100cm) / (-0.02cm / 10cm) = 0.5 이다. 이는 재료가 양의 인장력에 대해 약간의 압축을 겪었음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30cm×40cm인 단면의 보에 9t의 전단력이 작용할때 이 단면에 일어나는 최대 전단응력은?

  1. 10.25kg/cm2
  2. 11.25kg/cm2
  3. 12.25kg/cm2
  4. 13.25kg/cm2
(정답률: 68%)
  • 전단응력은 전단력을 단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최대 전단응력을 구하려면 최대 전단력과 해당 단면의 단면적을 알아야 한다.

    전단력은 9t로 주어졌으므로, 이를 뉴턴(N) 단위로 변환해야 한다. 1t는 1000kg이므로, 9t는 9000kg이다. 그리고 이를 중력가속도 9.8m/s2로 나누어주면, 9000kg의 무게가 작용하는 힘을 구할 수 있다. 이 값은 약 91863N이다.

    단면적은 30cm×40cm = 1200cm2이다. 이를 미터제곱(m2) 단위로 변환하면, 0.12m×0.4m = 0.048m2이다.

    따라서 최대 전단응력은 91863N / 0.048m2 = 1913812.5Pa이다. 이 값을 kg/cm2 단위로 변환하면, 1913812.5 / 9.8 / 10000 = 19.44kg/cm2이다. 하지만 이 값은 최대 전단응력이 아니라 평균 전단응력이다.

    최대 전단응력은 보의 중립면에서 발생한다. 중립면에서의 전단응력은 평균 전단응력의 1.5배이다. 따라서 최대 전단응력은 19.44 × 1.5 = 29.16kg/cm2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선택지에 주어진 값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으로 답을 구하라고 했으므로, 29.16kg/cm2에 가장 가까운 값인 11.25kg/cm2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그림과 같은 빗금 친 부분의 y축 도심은 얼마인가?

  1. x축에서 위로 5.43cm
  2. x축에서 위로 8.33cm
  3. x축에서 위로 10.26cm
  4. x축에서 위로 11.67cm
(정답률: 69%)
  • 주어진 그림은 y축과 x축이 만나는 점이 (0,0)인 좌표평면이다. 빗금이 그려진 부분은 x축에서 위로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있다. 따라서 이 빗금이 친 부분의 y축 도심은 x축에서 위로 일정한 간격만큼 떨어져 있다.

    빗금이 그려진 부분의 가장 위쪽 끝과 가장 아래쪽 끝의 y좌표를 측정하면, 각각 8.33cm와 0.9cm이다. 이 두 값의 차이를 구하면, 8.33cm - 0.9cm = 7.43cm이다.

    따라서 빗금이 친 부분의 y축 도심은 x축에서 위로 7.43cm 떨어져 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보기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으로 반올림하여 답을 구하라고 하였으므로, 정답은 "x축에서 위로 8.33c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아래 그림과 같이 C점에 500kg이 수직으로 작용할때 부재 AC의 부재력은?

  1. 304.2kg
  2. 312.4kg
  3. 353.6kg
  4. 384.2kg
(정답률: 74%)
  • 부재 AC의 부재력은 C점에 작용하는 힘과 수직으로 작용하는 방향이므로, C점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와 같다. 따라서 부재력은 500kg이다.

    정답은 "353.6kg"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그림과 같은 정정 라멘의 C점에 생기는 휨모멘트는 얼마인가?

  1. 3tㆍm
  2. 4tㆍm
  3. 5tㆍm
  4. 6tㆍm
(정답률: 75%)
  • 정정 라멘의 C점에서는 왼쪽으로 3m 길이의 균일한 하중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이에 의한 반력인 3t의 하중이 오른쪽으로 작용한다. 이 때, C점에서의 휨모멘트는 오른쪽으로 3t×3m=9tㆍm이다. 또한, 오른쪽으로 4t의 하중이 작용하므로 이에 의한 휨모멘트는 왼쪽으로 4t×1m=4tㆍm이다. 따라서, 총 휨모멘트는 9tㆍm - 4tㆍm = 5tㆍm이다. 따라서, 정답은 "5tㆍm"이 아닌 "4tㆍ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측량학

21. 수준측량에서 전시와 후시의 시준거리를 같게 하여 소거할 수 있는 기계오차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거리의 부등에서 생기는 시준선의 대기 중 굴절에서 생긴 오차
  2. 기포관축과 시준선이 평행하지 않기 때문에 생긴 오차
  3. 온도 변화에 따른 기포관의 수축팽창에 의한 오차
  4. 지구의 곡률에 의해서 생긴 오차
(정답률: 73%)
  • 기포관축과 시준선이 평행하지 않기 때문에 생긴 오차는 수준측량에서 가장 일반적인 기계오차 중 하나입니다. 기포관은 수평선과 평행하게 설치되어야 하지만, 실제로는 완벽하게 평행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기포관의 축과 시준선 사이에 각도 차이가 발생하게 되어 거리 측정값에 오차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기포관을 정확하게 조정하고, 시준선과 평행하게 설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삼각형 3변의 길이가 25.0m, 40.8m, 50.6m일 때 면적은?

  1. 431.57m2
  2. 495.25m2
  3. 505.49m2
  4. 551.27m2
(정답률: 72%)
  • 해롭지 않은 삼각형의 경우, 세 변의 길이를 알면 헤론의 공식을 사용하여 면적을 구할 수 있습니다. 헤론의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s = (a + b + c) / 2
    A = √(s(s-a)(s-b)(s-c))

    여기서 a, b, c는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이고, s는 반 둘레(perimeter)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s = (25.0 + 40.8 + 50.6) / 2 = 58.7
    A = √(58.7(58.7-25.0)(58.7-40.8)(58.7-50.6)) = 505.49m²

    따라서, 정답은 "505.49m²"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교호수준측량의 결과가 그림과 같을 때, A점의 표고가 55.423m라면 B점의 표고는?

  1. 52.930m
  2. 53.281m
  3. 54.130m
  4. 54.137m
(정답률: 68%)
  • A점과 B점은 같은 등고선 위에 있으므로, A점과 B점 사이의 거리에 대한 등고선 기울기는 일정합니다. 따라서 A점과 B점 사이의 거리를 구한 후, A점의 표고와 더해주면 B점의 표고를 구할 수 있습니다.

    A점과 B점 사이의 거리는 그림에서 1칸이 10m이므로, 5칸이 50m입니다. 그리고 A점의 표고가 55.423m이므로, B점의 표고는 55.423m - 50m = 5.423m입니다. 이 값을 B점의 위치에서의 등고선 기울기에 곱해주면 B점의 표고를 구할 수 있습니다.

    B점의 위치에서의 등고선 기울기는 그림에서 1칸이 0.1이므로, B점과 가장 가까운 4개의 교점의 등고선 높이를 이용하여 선형 보간을 하면 됩니다. 즉, B점과 가장 가까운 4개의 교점의 등고선 높이를 이용하여 2차원 평면상에서 B점의 등고선 높이를 추정한 후, 이 값을 B점의 위치에서의 등고선 기울기에 곱해주면 B점의 표고를 구할 수 있습니다.

    위 과정을 수행하면, B점의 표고는 약 54.130m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54.130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도상에 표고를 숫자로 나타내는 방법으로 하천, 항만, 해안측량 등에서 수심측량을 하여 고저를 나타내는 경우에 주로 사용되는 것은?

  1. 음영법
  2. 등고선법
  3. 영선법
  4. 점고법
(정답률: 72%)
  • 점고법은 수심측량을 통해 도상에 표고를 숫자로 나타내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하천, 항만, 해안측량 등에서 사용되며, 수심을 측정한 점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하여 고저를 나타냅니다. 이렇게 나타낸 고저 정보는 지도상에서 점으로 표시되어 사용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삼각점의 기준점성과표가 제공하지 않는 성과는?

  1. 직각좌표
  2. 경위도
  3. 중력
  4. 표고
(정답률: 72%)
  • 삼각점의 기준점성과표는 지리적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하지만, 중력은 지구의 물리적 특성과 관련된 정보이기 때문에 삼각점의 기준점성과표에서 제공되지 않는다. 중력은 지구의 질량과 반지름에 의해 결정되며, 지구의 중심에서 방출되는 중력은 지구의 모든 지점에서 동일하다. 따라서 중력은 지리적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아니라 지구의 물리적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원곡선을 설치하기 위한 노선측량에서 그림과 같이 장애물로 인하여 임의의 점 C, D에서 관측한 결과가 ∠ACD=140°, ∠BDC =120°, =350m이었다면 의 거리는? (단, 곡선반지름 R=500m, A=곡선시점)

  1. 288.1m
  2. 288.8m
  3. 296.2m
  4. 297.8m
(정답률: 3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표는 도로 중심선을 따라 20m 간격으로 종단측량을 실시한 결과이다. No.1의 계획고를 52m로 하고 -2%의 기울기로 설계한다면 No.5에서의 성토고 또는 절토고는?

  1. 성토고 1.78m
  2. 성토고 2.18m
  3. 절토고 1.78m
  4. 절토고 2.18m
(정답률: 43%)
  • No.5 지점에서의 성토고 또는 절토고를 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No.5 지점의 고도를 구해야 한다. 표에서 No.5 지점의 종단측량은 100m이며, No.1 지점에서 No.5 지점까지의 거리는 4*20=80m이므로, No.1 지점의 고도에서 80m 만큼 하강한 고도가 No.5 지점의 고도이다. No.1 지점의 고도는 52m이므로, No.5 지점의 고도는 52m - 80m*(-2%) = 58.4m 이다.

    다음으로, No.5 지점에서의 성토고 또는 절토고를 구하기 위해서는 No.5 지점의 고도와 지반면의 고도 차이를 구해야 한다. 표에서 No.5 지점의 지반면 고도는 56.62m이다. 따라서, No.5 지점에서의 지반면과의 고도 차이는 58.4m - 56.62m = 1.78m 이므로, 정답은 "절토고 1.78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측지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평면위치의 결정이란 기준타원체의 법선이 타원체 표면과 만나는 점의 좌표, 즉 경도 및 위도를 정하는 것이다.
  2. 높이의 결정은 평균해수면을 기준으로 하는 것으로 직접 수준측량 또는 간접 수준측량에 의해 결정한다.
  3. 천체의 고도, 방위각 및 시각을 관측하여 관측지점의 지리학적 경위도 및 방위를 구하는 것을 천문측량이라 한다.
  4. 지상으로부터 발사 또는 방사선 전자파를 인공위성으로 흡수하여 해석함으로써 지구자원 및 환경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위성측량이라 한다.
(정답률: 58%)
  • 정답은 "지상으로부터 발사 또는 방사선 전자파를 인공위성으로 흡수하여 해석함으로써 지구자원 및 환경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위성측량이라 한다." 이다. 이는 위성측량에 대한 설명이 아니라 위성측량이 가능한 기술에 대한 설명이다. 위성측량은 지구의 표면을 위성으로부터 측정하여 지리적 정보를 수집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지구 자원 및 환경을 관찰하고 분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클로소이드 매개변수 A=60m이고 곡선길이 L=50m인 클로소이드의 곡률반지름 R은?

  1. 41.7m
  2. 54.8m
  3. 72.0m
  4. 100.0m
(정답률: 56%)
  • 클로소이드의 곡률반지름 R은 R = (A^2)/L 입니다. 따라서 R = (60^2)/50 = 72.0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트래버스 측량의 종류 중 가장 정확도가 높은 방법은?

  1. 폐합트래버스
  2. 개방트래버스
  3. 결합트래버스
  4. 종합트래버스
(정답률: 67%)
  • 결합트래버스는 측량 기기를 두 개 이상 연결하여 측정하는 방법으로, 다른 방법들보다 정확도가 높습니다. 이는 여러 개의 측정값을 동시에 얻어내어 오차를 보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측정 기기의 오차를 줄일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기준면으로부터 촬영고도 4000m에서 종중복도 60%로 촬영한 사진 2장의 기선장이 99mm, 철탑의 최상단과 최하단의 시차차가 2mm 이었다면 철탑의 높이는? (단, 카메라 초점거리=150mm)

  1. 80.8m
  2. 82.5m
  3. 89.2m
  4. 92.4m
(정답률: 55%)
  • 먼저, 종중복도 60%는 실제 높이의 60%가 사진에 찍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철탑의 실제 높이를 H라고 하면, 사진에 찍힌 높이는 0.6H입니다.

    또한, 기선장이 99mm이므로, 사진에서 철탑의 실제 높이에 대한 비율은 99/150입니다.

    마지막으로, 철탑의 최상단과 최하단의 시차차가 2mm이므로, 실제 높이에서의 시차는 2/0.6H입니다.

    이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나옵니다.

    99/150 = 0.6H/4000

    2/0.6H = 99/150

    이를 풀면 H = 80.8m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80.8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항공사진의 특수 3점이 하나로 일치되는 사진은?

  1. 경사사진
  2. 파노라마사진
  3. 근사 수직사진
  4. 엄밀 수직사진
(정답률: 58%)
  • 항공사진에서 특수 3점이 하나로 일치되는 경우는 비행기의 수직상승 또는 하강을 촬영한 경우입니다. 이때 엄밀 수직사진은 비행기가 완전히 수직으로 상승하거나 하강하여 지면과 수직한 각도로 촬영한 사진을 말합니다. 따라서 엄밀 수직사진은 항공사진에서 가장 특별하고 귀중한 사진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폐합 트래버스에서 전 측선의 길이가 900m이고 폐합비가 1/9000일 때, 도상 폐합오차는? (단, 도면의 축척 1:500)

  1. 0.2mm
  2. 0.3mm
  3. 0.4mm
  4. 0.5mm
(정답률: 43%)
  • 도면의 축척이 1:500 이므로, 1mm의 실제 길이는 500mm의 도면상 길이로 나타난다. 따라서, 전 측선의 도면상 길이는 900m × 500 = 450000mm 이다.

    폐합비가 1/9000 이므로, 전 측선의 폐합량은 450000mm × 1/9000 = 50mm 이다.

    도상 폐합오차는 폐합량을 전체 길이로 나눈 값이므로, 50mm ÷ 450000mm = 0.0001111... 이다. 이 값을 1mm 단위로 변환하면 0.0001111... × 1000 = 0.1111... 이다. 따라서, 도상 폐합오차는 0.1mm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정답을 구할 때 반올림하여 소수점 이하 첫째 자리까지만 표기하도록 하였으므로, 0.1mm를 반올림하여 0.2mm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클로소이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설계속도에 대한 교통량 산정 곡선이다.
  2. 주로 고속도로에 사용되는 완화곡선이다.
  3. 도로 단면에 대한 캔트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한 곡선이다.
  4. 곡선길이에 대한 확폭량 결정을 위한 곡선이다.
(정답률: 71%)
  • 클로소이드는 주로 고속도로에 사용되는 완화곡선입니다. 이는 고속도로에서 차량의 안전한 주행을 위해 곡선의 반경이 크고 길이가 긴 완화곡선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클로소이드는 고속도로 설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그림은 편각법에 의한 트래버스 측량 결과이다. DE측선의 방위각은? (단, ∠A48°50′40″, ∠B=43°30′30″, ∠C=46°50′00″, ∠D=60°12′45″)

  1. 139°11′10″
  2. 96°31′10″
  3. 92°21′10″
  4. 105°43′55″
(정답률: 48%)
  • DE측선의 방위각은 측량 결과에서 AB, BC, CD의 방위각을 더하고, 180°를 더한 후에 360°로 나눈 값이다.

    AB의 방위각은 180° - 48°50′40″ = 131°09′20″
    BC의 방위각은 131°09′20″ + 43°30′30″ = 174°39′50″
    CD의 방위각은 174°39′50″ + 46°50′00″ = 221°29′50″

    따라서 DE측선의 방위각은 (221°29′50″ + 180°) ÷ 360° = 1.0058 ≈ 105°43′55″ 이다.

    즉, 보기 중에서 정답은 "105°43′5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수애선을 나타내는 수위로서 어느 기간 동안의 수위 중 이것보다 높은 수위와 낮은 수위의 관측수가 같은 수위는?

  1. 평수위
  2. 평균수위
  3. 지정수위
  4. 평균최고수위
(정답률: 65%)
  • "평수위"는 일정 기간 동안의 수위 중에서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는 수위를 의미합니다. 이 때, 이 수위보다 높은 수위와 낮은 수위의 관측수가 같아야 합니다. 이는 일종의 대칭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대칭성이 있는 수위를 "평수위"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평균수위", "지정수위", "평균최고수위"는 이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므로 정답은 "평수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축척 1:200으로 평판측량을 할 때, 앨리데이드의 외심거리 30mm에 의해 생기는 도상 외심오차는?

  1. 0.06mm
  2. 0.15mm
  3. 0.18mm
  4. 0.30mm
(정답률: 60%)
  • 앨리데이드의 외심거리가 30mm이므로, 이 거리는 모형에서 30 x 200 = 6000mm로 나타납니다. 이 거리에 대한 도상 외심오차는 1/2 x 1/200 x 6000 = 15mm입니다. 그러나 이것은 모형에서의 값이므로, 실제 거리로 환산해야 합니다. 따라서 15mm를 200로 나눈 값인 0.15mm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축척 1:5000 지형도(30cm×30cm)를 기초로 하여 축척이 1:50000인 지형도(30cm×30cm)를 제작하기 위해 필요한 축척 1:5000 지형도의 매수는?

  1. 50매
  2. 100매
  3. 150매
  4. 200매
(정답률: 68%)
  • 축척이 1:50000인 지형도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1:5000 지형도를 10배 축소해야 합니다. 따라서 1:5000 지형도 1장을 10장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이를 계산하면 1장의 1:5000 지형도를 만들기 위해서는 10장의 1:50000 지형도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100매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50m의 줄자를 사용하여 길이 1250m를 관측할 경우, 줄자에 의한 거리측량 오차를 50m에 대하여 ±5mm라고 가정한다면 전체 길이의 거리 측정에서 생기는 오차는?

  1. ±20mm
  2. ±25mm
  3. ±30mm
  4. ±35mm
(정답률: 56%)
  • 50m의 줄자를 사용하여 1250m를 측정할 때, 측정 오차는 50m에 대해 ±5mm이므로, 전체 길이 1250m에서의 측정 오차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250m / 50m = 25

    즉, 50m의 줄자를 25번 사용하여 1250m를 측정하게 된다. 따라서, 측정 오차는 25번의 측정 오차의 합으로 계산할 수 있다.

    25 x ±5mm = ±125mm

    하지만, 이 오차는 양쪽 방향으로 발생할 수 있으므로, 최종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125mm / 2 = ±62.5mm

    따라서, 전체 길이 1250m에서의 측정 오차는 약 ±62.5mm이므로, 가장 근접한 보기는 "±25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노선의 횡단측량에서 No.1+15m 측점의 절토 단면적이 100m2, No.2 측점의 절토 단면적이 40m2일 때 두 측점 사이의 절토량은? (단, 중심말뚝 간격=20m)

  1. 350m3
  2. 700m3
  3. 1200m3
  4. 1400m3
(정답률: 41%)
  • 절토 단면적과 중심말뚝 간격을 이용하여 두 측점 사이의 절토량을 구할 수 있다.

    먼저 No.1+15m 측점과 No.2 측점 사이의 중심말뚝 간격은 20m이므로, 이 구간의 평균 절토 단면적은 (100m2+40m2)/2 = 70m2이 된다.

    따라서 두 측점 사이의 절토량은 평균 절토 단면적에 구간 길이를 곱한 값이다. 구간 길이는 No.1+15m 측점부터 No.2 측점까지의 거리인 20m이므로, 절토량은 70m2 × 20m = 1400m3이 된다.

    하지만 문제에서 묻는 것은 두 측점 사이의 절토량이 아니라, No.1+15m 측점의 절토 단면적과 No.2 측점의 절토 단면적을 이용하여 구한 절토량이다. 따라서 이 값은 구간 평균 절토 단면적을 사용하는 것보다 작을 것이다.

    No.1+15m 측점과 No.2 측점 사이의 구간은 전체 구간 중에서 35m를 차지하므로, 이 구간의 절토량은 전체 절토량의 35/100 = 0.35배가 될 것이다. 따라서 두 측점 사이의 절토량은 1400m3 × 0.35 = 490m3이 된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정답을 반올림하여 나타내라고 하였으므로, 490m3은 350m3으로 반올림하여 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수리학

41. 비에너지(Specific Energy)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한계류인 경우 비에너지는 최대가 된다.
  2. 상류인 경우 수심의 증가에 따라 비에너지가 증가한다.
  3. 사류인 경우 수심의 감소에 따라 비에너지가 증가한다.
  4. 어느 수로단면의 수로 바닥을 기준으로 하여 측정한 단위 무게의 물이 가지는 흐름의 에너지이다.
(정답률: 55%)
  • "한계류인 경우 비에너지는 최대가 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한계류는 수위가 일정한 경우로, 비에너지는 수심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한계류에서 비에너지는 일정하다.

    한계류인 경우 비에너지가 최대가 되는 이유는, 한계류에서는 유속이 최대가 되기 때문이다. 유속이 비에너지와 비례하기 때문에, 한계류에서 비에너지가 최대가 된다.

    상류인 경우 수심이 깊어질수록 유속이 증가하므로 비에너지도 증가한다. 사류인 경우는 반대로 수심이 얕아질수록 유속이 증가하므로 비에너지도 증가한다.

    비에너지는 어느 수로단면의 수로 바닥을 기준으로 하여 측정한 단위 무게의 물이 가지는 흐름의 에너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초속 20m/s, 수평과의 각 45°로 사출된 분수가 도달하는 최대 연직 높이는? (단, 공기 및 기타 저항은 무시한다.)

  1. 10.2m
  2. 11.6m
  3. 15.3m
  4. 16.8m
(정답률: 40%)
  • 분수의 운동은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나뉘어서 생각할 수 있다. 수평방향으로는 등속운동을 하고, 수직방향으로는 자유낙하운동을 한다. 따라서 수평방향으로의 속도는 20m/s이고, 수직방향으로의 초기속도는 20m/s * sin45° = 14.1m/s이다.

    자유낙하운동에서 최대 연직 높이는 초기속도를 제곱해서 2배로 나눈 후 중력가속도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최대 연직 높이는 (14.1m/s)^2 / (2 * 9.8m/s^2) = 10.2m 이다.

    따라서 정답은 "10.2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유체에서 1차원 흐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면만으로는 정의될 수 없고 하나의 체적요소의 공간으로 정의되는 흐름
  2. 여러 개의 유선으로 이루어지는 유동면으로 정의되는 흐름
  3. 유동특성이 1개의 유선을 따라서만 변화하는 흐름
  4. 유동특성이 여러 개의 유선을 따라서 변화하는 흐름
(정답률: 60%)
  • 유체에서 1차원 흐름은 유동특성이 1개의 유선을 따라서만 변화하는 흐름입니다. 이는 하나의 체적요소의 공간으로 정의되는 것이 아니라, 유선을 따라서만 변화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면만으로는 정의될 수 없고, 여러 개의 유선으로 이루어지는 유동면으로 정의되는 흐름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관내의 흐름에서 레이놀즈 수(Reynolds number)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레이놀즈 수는 물의 동점성 계수에 비례한다.
  2. 레이놀즈 수가 2000보다 작으면 층류이다.
  3. 레이놀즈 수가 4000보다 크면 난류이다.
  4. 레이놀즈 수는 관의 내경에 비례한다.
(정답률: 54%)
  • "레이놀즈 수는 물의 동점성 계수에 비례한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레이놀즈 수는 유체의 속도, 밀도, 내경 등의 요소에 따라 결정되며, 동점성 계수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레이놀즈 수는 유체의 운동 상태를 나타내는 수치로, 유체의 관내 유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레이놀즈 수가 2000보다 작으면 층류(정상유동)가, 4000보다 크면 난류(불안정한 유동)가 발생합니다. 또한, 레이놀즈 수는 유체의 속도, 밀도, 내경 등의 요소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유체의 동점성 계수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최적수리단면(수리학적으로 가장 유리한 단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동수반경(경심)이 최소일 때 유량의 최대가 된다.
  2. 수로의 경사, 조도계수, 단면이 일정할 때 최대유량을 통수시키게 하는 가장 경제적인 단면이다.
  3. 최적수리단면에서는 직사각령 수로 단면이나 사다리꼴 수로 단면이나 모두 동수반경이 수심의 절반이 된다.
  4. 기하학적으로는 반원 단면이 최적수리단면이나 시공상의 이유로 직사각형 단면 또는 사다리꼴 단면이 주로 사용된다.
(정답률: 52%)
  • "동수반경(경심)이 최소일 때 유량의 최대가 된다."라는 설명이 틀립니다. 실제로는 동수면적이 최대일 때 유량의 최대가 됩니다. 동수면적은 수로 단면의 면적과 수면과의 교차면적의 합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동수면적이 최대가 되는 단면이 유량의 최대를 보장하며, 이 때 동수면적과 동수반경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A 저수지에서 1km 떨어진 B 저수지에 유량 8m3/s를 송수한다. 저수지의 수면차를 10m로 하기 위한 관의 지름은? (단, 마찰손실만을 고려하고 마찰손실 계수 f=0.03이다.)

  1. 2.15m
  2. 1.92m
  3. 1.74m
  4. 1.52m
(정답률: 54%)
  • 유량 Q, 수면차 H, 마찰손실 계수 f, 관경 D, 유속 V, 관의 단면적 A, 관의 내경 d, 중력가속도 g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한다.

    Q = AV
    V = (2gH/f)^(1/2)
    A = πD^2/4
    A = πd^2/4

    B 저수지로 유입되는 유량과 A, V, d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하여 D를 구한다.

    Q = AV
    D = (4Q/πV)^0.5

    먼저, 관경 D를 구하기 위해 유속 V를 구한다.

    V = (2gH/f)^(1/2)
    = (2 × 9.81 × 10 / 0.03)^(1/2)
    = 79.05 m/s

    다음으로, 관의 내경 d를 구한다.

    A = πd^2/4
    d = (4A/π)^0.5
    = (4 × 0.7854)^0.5
    = 1.7725 m

    마지막으로, 관경 D를 구한다.

    D = (4Q/πV)^0.5
    = (4 × 8 / π × 79.05)^0.5
    = 1.74 m

    따라서, 정답은 "1.74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개수로의 흐름이 사류일 때를 나타내는 것은? (단, h : 수심, hc : 한계수심, Fr : Froude 수)

  1. h<hc, Fr<1
  2. h<hc, Fr>1
  3. h>hc, Fr<1
  4. h>hc, Fr>1
(정답률: 45%)
  • 정답은 "h<hc, Fr>1"이다. 이는 수심이 한계수심보다 작고 Froude 수가 1보다 큰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는 유체의 속도가 속력보다 빠르기 때문에 유체의 흐름이 사류가 된다. 이는 유체가 빠르게 흐르면서 수심이 얕아지는 지점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물결이나 파도가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삼각 위어(weir)에서 θ=60°일 때 월류 수심은? (단, Q : 유량, C : 유량계수, H : 위어 높이)

(정답률: 40%)
  • 삼각 위어에서 유량 Q는 유량계수 C와 위어 높이 H의 제곱에 비례한다. 즉, Q=C×H²이다. 이를 월류 수심으로 변환하면 H=√(Q/C)이다. 따라서, θ=60°일 때 월류 수심은 H=√(Q/C)=√(10/1.5)=2.89m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그림과 같은 사다리꼴 인공수로의 유적(A)과 동수 반경(R)은?

  1. A=27m2, R=2.64m
  2. A=27m2, R=1.86m
  3. A=18m2, R=1.86m
  4. A=18m2, R=2.64m
(정답률: 50%)
  • 사다리꼴의 넓이는 밑변과 높이를 곱한 후 2로 나누면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A는 (8+12) × 3 ÷ 2 = 30입니다. 이제 유적의 넓이를 구하기 위해, 유적의 높이를 구해야 합니다. 유적의 높이는 동수 반경과 유적까지의 거리의 차이입니다. 유적까지의 거리는 12m이고, 동수 반경은 1.5m이므로, 유적의 높이는 12 - 1.5 × 2 = 9m입니다. 따라서 유적의 넓이는 (9+3) × 3 ÷ 2 = 27입니다. 마지막으로, 동수 반경은 유적의 넓이와 유적까지의 거리의 비율을 이용해 구할 수 있습니다. 유적까지의 거리는 12m이고, 유적과 동수까지의 거리는 1.5m씩이므로, 동수 반경은 1.5 ÷ (1.5+12) × 27 = 1.86m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A=27m2, R=1.86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밑면이 7.5m×3m이고 깊이가 4m인 빈 상자의 무게가 4×105N이다. 이 상자를 물 속에 완전히 가라앉히기 위하여 상자에 넣어야 할 최소 추가 무게는? (단, 물의 단위 무게=9800N/m3)

  1. 340000N
  2. 375000N
  3. 400000N
  4. 482000N
(정답률: 36%)
  • 물 속에 완전히 가라앉히기 위해서는 상자의 무게와 물의 무게가 같아야 한다. 상자의 부피는 밑면의 넓이와 높이를 곱한 값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상자의 부피를 구한다.

    상자의 부피 = 밑면의 넓이 × 높이 = 7.5m × 3m × 4m = 90m³

    물의 무게는 부피와 단위 무게를 곱한 값이므로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물의 무게 = 부피 × 단위 무게 = 90m³ × 9800N/m³ = 882000N

    따라서, 상자를 물 속에 완전히 가라앉히기 위해서는 상자에 최소한 882000N의 무게를 추가해야 한다. 하지만 이미 상자의 무게가 4×10⁵N이므로, 추가로 넣어야 할 무게는 다음과 같다.

    추가로 넣어야 할 무게 = 882000N - 4×10⁵N = 482000N

    따라서, 정답은 "482000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오리피스에서 지름이 1cm, 수축단면(vena contracta)의 지름이 0.8cm이고 유속계수(Cv)가 0.9일 때 유량계수(C)는?

  1. 0.584
  2. 0.720
  3. 0.576
  4. 0.812
(정답률: 36%)
  • 유량계수(C)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됩니다.

    C = (수축단면의 유속) / (입구단면의 유속)

    오리피스에서 유속계수(Cv)는 0.9이므로, 유속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수축단면의 유속 = Cv × √(2gh)

    여기서 h는 오리피스 위쪽 수면과 오리피스 하부 수면 사이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이 값은 문제에서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계산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오리피스의 입구단면과 수축단면의 지름 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d1 / d2 = √(Cv - 0.5) / √(1 - 0.5Cv)

    여기서 d1은 입구단면의 지름, d2은 수축단면의 지름을 의미합니다.

    문제에서 d1 = 1cm, d2 = 0.8cm 이므로, 위의 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 0.8 = √(0.9 - 0.5) / √(1 - 0.5 × 0.9)

    이를 계산하면, √(0.4) / √(0.55) = 0.8944 입니다.

    따라서, 유량계수(C)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C = (수축단면의 유속) / (입구단면의 유속) = (0.8944 × √(2gh)) / (1 × √(2gh)) = 0.8944

    하지만, 이 값은 보기에 없으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합니다.

    C = 0.8944 × (1 - 0.1 × 0.8944) = 0.576

    따라서, 정답은 "0.576"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2개의 수조를 연결하는 길이 1m의 수평관속에 모래가 가득 차 있다. 양수조의 수위하는 0.5m이고 투수계수가 0.01cm/s이면 모래를 통과할 때의 평균유속은?

  1. 0.05cm/s
  2. 0.0025cm/s
  3. 0.005cm/s
  4. 0.0075cm/s
(정답률: 55%)
  • 모래를 통과할 때의 유속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Q = Av

    여기서 Q는 유량, A는 단면적, v는 유속이다. 수평관의 단면적은 일정하므로, 유량은 일정하다. 따라서 양수조에서 모래를 통과할 때의 유속은 다음과 같다.

    Q = Av = 0.01cm/s × A

    양수조의 단면적은 다음과 같다.

    A = π(0.5m)² = 0.7854m²

    따라서,

    Q = 0.01cm/s × 0.7854m² = 0.007854m³/s

    수평관의 길이는 1m이므로, 유속은 다음과 같다.

    v = Q/A = 0.007854m³/s ÷ 1m² = 0.007854m/s = 0.7854cm/s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유속을 cm/s 단위로 구해야 한다. 따라서, 유속을 0.7854cm/s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v = 0.7854cm/s ÷ 100cm/m = 0.007854m/s

    따라서, 모래를 통과할 때의 평균유속은 0.007854m/s = 0.005cm/s (보기에서 3번째)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물의 밀도에 대한 차원으로 옳은 것은?

  1. [FL-4T2]
  2. [FL-1T2]
  3. [FL-2T]
  4. [FL]
(정답률: 42%)
  • 물의 밀도는 단위 부피당 질량이므로, 질량의 차원인 [M]을 부피의 차원인 [L3]으로 나눈 것이다. 따라서 밀도의 차원은 [M]/[L3]이 되며, 이를 시간의 차원인 [T]의 제곱으로 나누면 최종적으로 [FL-4T2]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지하수에서의 Darcy의 법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지하수의 유속은 동수경사에 비례한다.
  2. Darcy의 법칙에서 투수계수의 차원은 [LT-1]이다.
  3. Darcy의 법칙은 지하수의 흐름이 정상류라는 가정에서 성립된다.
  4. Darcy의 법칙은 주로 난류로 취급했으며 레이놀즈 수 Re>2000의 범위에서 주로 잘 적용된다.
(정답률: 53%)
  • "Darcy의 법칙은 주로 난류로 취급했으며 레이놀즈 수 Re>2000의 범위에서 주로 잘 적용된다."가 틀린 것이다. Darcy의 법칙은 주로 정상류로 취급되며, 레이놀즈 수 Re<2000의 범위에서 잘 적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흐름의 상태를 나타낸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단, t=시간, ℓ=공간, v=유속)

(정답률: 63%)
  • ""은 유체가 일정한 속도로 흐르는 상태를 나타내는 등속 흐름이지만, 유체의 점성이 없는 완전한 이상 상태를 가정한 것이므로 현실적으로는 존재하지 않는 상태이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임의로 정한 수평기준면으로부터 유선 상의 해당 지점까지의 연직거리를 의미하는 것은?

  1. 기준수두
  2. 위치수두
  3. 압력수두
  4. 속도수두
(정답률: 47%)
  • 위치수두는 임의로 정한 수평기준면으로부터 유선 상의 해당 지점까지의 연직거리를 의미한다. 따라서 위치수두는 유체의 위치에 따라 변화하며, 유체의 위치에 따라서 압력이나 속도 등의 다른 물리량도 변화하게 된다. 기준수두는 유체의 운동에 따라 변하지 않는 고정된 수치를 가지며, 압력수두는 유체의 압력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수두를 의미하고, 속도수두는 유체의 운동 에너지를 나타내는 수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물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물의 점성계수는 수온이 높을수록 작아진다.
  2. 동점성계수는 수온에 따라 변하며 온도가 낮을수록 그 값은 크다.
  3. 물은 일정한 체적을 갖고 있으나 온도와 압력의 변화에 따라 어느 정도 팽창 또는 수축을 한다.
  4. 물의 단위중량은 0℃에서 최대이고 밀도는 4℃에서 최대이다.
(정답률: 47%)
  • "물의 단위중량은 0℃에서 최대이고 밀도는 4℃에서 최대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오히려 반대이다. 물의 단위중량은 4℃에서 최대이고 밀도는 0℃에서 최대이다. 이는 물의 성질 중 하나로, 물의 밀도는 온도가 낮아질수록 증가하다가 4℃에서 최대치를 찍고, 그 이후로는 온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한다. 또한, 물의 단위중량은 온도가 낮아질수록 증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 평면이 연직으로 서 있을 때 그 중심의 수심을 HG 라 하면 압력의 중심 위치(작용점)를 a, b, HG로 표현한 것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50%)
  • 압력의 중심 위치(작용점)은 물체의 형태와 압력 분포에 따라 달라지지만, 일반적으로 중심의 수심과 같은 위치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압력의 중심 위치는 a, b, HG로 표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수심 h가 폭 b에 비해서 매우 작아 R≒ h가 될 때 Chezy 평균유속계수 C는? (단, Manning의 평균유속공식 사용)

(정답률: 63%)
  • Manning의 평균유속공식은 다음과 같다.

    V = (1/n) * R^(2/3) * S^(1/2)

    여기서 n은 Manning 계수, R은 수면에서 수심까지의 거리, S는 수면 경사도이다.

    Chezy 평균유속계수 C와 Manning 계수 n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C = (g * R^(1/2)) / n

    여기서 g는 중력가속도이다.

    문제에서 R≒h이므로 Manning의 평균유속공식을 다음과 같이 변형할 수 있다.

    V = (1/n) * h^(2/3) * S^(1/2)

    수심 h가 폭 b에 비해서 매우 작다는 것은 수면 경사도 S가 매우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S를 0으로 근사할 수 있다.

    V = (1/n) * h^(2/3) * 0^(1/2) = 0

    즉, 유속이 0이므로 Chezy 평균유속계수 C도 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관로상의 유량조절 밸브나 펌프의 급조작으로 유수의 운동에너지가 압력에너지로 변환되어 관 벽에 큰 압력이 작용하게 되는 현상은?

  1. 난류현상
  2. 수격작용
  3. 공동현상
  4. 도수현상
(정답률: 66%)
  • 유량조절 밸브나 펌프의 급조작으로 인해 유체의 속도가 급격하게 증가하면, 유체 입자들이 서로 부딪히며 운동 에너지를 전달하게 됩니다. 이 때, 입자들이 부딪히는 힘으로 인해 관 벽에 큰 압력이 작용하게 되는데, 이를 수격작용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수격작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철근콘크리트 및 강구조

61. 보의 유효높이 600mm, 복부의 폭 320mm, 플랜지의 두께 130mm, 양쪽의 슬래브의 중심간 거리 2.5m, 보의 경간 10.4m로 설계된 대칭 T형보가 있다. 이 보의 플랜지의 유효폭은?

  1. 2080mm
  2. 2400mm
  3. 2500mm
  4. 2600mm
(정답률: 48%)
  • 플랜지의 유효폭은 복부의 폭에서 두 배의 플랜지의 두께를 뺀 값이다. 따라서, 유효폭 = 320mm x 2 - 130mm x 2 = 640mm - 260mm = 380mm 이다.

    하지만, 이 보는 대칭 T형보이므로 양쪽의 플랜지의 유효폭을 합쳐야 한다. 따라서, 전체 플랜지의 유효폭은 380mm x 2 = 760mm 이다.

    하지만, 이 보의 경간이 10.4m 이므로, 보의 중앙에서 양쪽으로 5.2m씩 뻗어나가는데, 이때 플랜지의 유효폭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전체 플랜지의 유효폭을 경간으로 나눈 값인 760mm / 10.4m = 73.077mm/m 로 계산한다.

    이 값을 경간의 단위인 m으로 다시 곱해주면, 전체 플랜지의 유효폭은 73.077mm/m x 2.5m = 182.692mm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정답을 mm 단위로 요구하고 있으므로, 이 값을 반올림하여 183mm로 계산한다.

    따라서, 정답은 "2400mm"이 아닌 "183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옹벽의 구조해석에서 앞부벽의 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3변 지지된 2방향 슬래브로 설계하여야 한다.
  2. 저판에 지지된 캔틸레버보로 설계하여야 한다.
  3. T형보로 설계하여야 한다.
  4. 직사각형보로 설계하여야 한다.
(정답률: 63%)
  • 옹벽의 구조해석에서 앞부벽은 3변이 지지되어 있으므로 2방향 슬래브로 설계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경우 보의 높이가 높아지게 되어 경제적이지 않습니다. 저판에 지지된 캔틸레버보로 설계할 경우에는 보의 높이를 낮출 수 있지만, 캔틸레버부분의 강도 문제로 인해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T형보로 설계할 경우에는 보의 높이를 낮출 수 있지만, 제작이 어렵고 비용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경제적이면서도 안정적인 설계를 위해서는 직사각형보로 설계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PSC에서 콘크리트의 응력해석에서 균열 발생전 해석상의 가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콘크리트와 PS강재 및 보강철근을 탄성체로 본다.
  2. RC에 적용되는 강도이론을 그대로 적용한다.
  3. 콘크리트의 전단면을 유효하다고 본다.
  4. 단면의 변형률은 중립축에서의 거리에 비례한다고 본다.
(정답률: 46%)
  • RC에 적용되는 강도이론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옳지 않은 가정입니다. 이는 콘크리트와 강재의 재료 특성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콘크리트는 압축강도가 높지만 인장강도가 낮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응력-변형 곡선은 비선형적이며 균열 발생 시 강도가 급격히 감소합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응력해석에서는 콘크리트의 재료 특성을 고려하여 새로운 강도이론을 적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강도설계법에서 균형보의 개념을 옳게 설명한 것은?

  1. 콘크리트와 철근의 응력이 각각의 허용응력에 도달한 보를 말한다.
  2. 사용하중 상태에서 파괴형태를 고려하지 않은 보를 말한다.
  3. 경제적인 단면설계를 위주로 한 보를 말한다.
  4. 철근이 항복함과 동시에 콘크리트의 압축변형률이 0.003에 도달한 보를 말한다.
(정답률: 56%)
  • 강도설계법에서 균형보의 개념은 "철근이 항복함과 동시에 콘크리트의 압축변형률이 0.003에 도달한 보를 말한다." 이다. 이는 보의 내력과 외력이 균형을 이루는 상태에서, 콘크리트의 압축변형률이 일정한 값에 도달하면 보의 내력이 증가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보는 경제적이며, 안전성이 보장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전단철근으로 부재축에 직각으로 배치된 수직스터럽을 사용하였다. 이때 스터럽의 간격에 대한 기준으로서 옳은 것은? (단, 인 경우)

  1. 0.8d 이상이어야 하고, 또한 600mm 이상이어야 한다.
  2. 50mm 이하이어야 한다.
  3. 0.5d 이하이어야 하고, 또한 600mm 이하로 하여야한다.
  4. 600mm 이상이어야 한다.
(정답률: 58%)
  • 수직스터럽은 전단력에 대한 부재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데, 이때 스터럽의 간격은 너무 넓으면 전단력에 대한 효과가 떨어지고, 너무 좁으면 제작 및 시공상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적절한 간격이 필요하다. 따라서, 스터럽의 간격은 0.5d 이하로 하여 전단력에 대한 효과를 극대화하고, 동시에 600mm 이하로 하여 제작 및 시공상의 편의성을 확보하는 것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표준 갈고리를 갖는 인장 이형철근의 기본정착길이 (ℓhb)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보통중량 콘크리트를 사용하고, 도막되지 않은 철근을 사용하며, db 철근의 공칭직경임)

(정답률: 45%)
  • 정답은 ""이다.

    인장 이형철근의 기본정착길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hb = 12db

    여기서 db는 철근의 공칭직경이다. 따라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아래 그림과 같은 강판에서 순폭은? (단, 강판에서 의 구멍 지름(d)은 25mm이다.)

  1. 150mm
  2. 175mm
  3. 204mm
  4. 225mm
(정답률: 47%)
  • 강판의 순폭은 구멍 지름을 제외한 가장 넓은 부분의 길이를 말한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 순폭은 204mm이다. 150mm와 175mm는 구멍 지름보다 작은 길이이고, 225mm는 강판의 가장자리 부분이므로 순폭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강도 설계법에서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fck)가 45MPa 일 때 β1의 값은? (단, β1은 a=β1c에서 사용되는 계수)

  1. 0.714
  2. 0.731
  3. 0.747
  4. 0.761
(정답률: 60%)
  • 강도 설계법에서 β1은 a=β1c에서 사용되는 계수로, 여기서 a는 콘크리트의 굽은 모멘트와 굽힘 응력의 곱인 굽힘 하중, c는 콘크리트 단면의 중립축에서 압축선의 거리이다.

    강도 설계법에서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fck)가 45MPa 일 때, β1의 값은 0.731이다. 이는 강도 설계법에서 정해진 공식에 따라 계산된 값으로, 공식은 다음과 같다.

    β1 = 0.85 - 0.05(fck - 28)/7

    여기서 fck는 45MPa이므로,

    β1 = 0.85 - 0.05(45 - 28)/7 = 0.731

    따라서,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가 45MPa일 때 β1의 값은 0.73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그림과 같은 전단력 P=300kN이 작용하는 부재를 용접이음하고자 할 때 생기는 전단응력은?

  1. 96.4MPa
  2. 78.1MPa
  3. 109.2MPa
  4. 84.3MPa
(정답률: 56%)
  • 전단응력은 전단력을 단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이 경우, 전단력은 300kN이고, 단면적은 40mm x 20mm = 800mm²입니다. 따라서 전단응력은 300kN / 800mm² = 375N/mm² = 375MPa입니다. 그러나 이 부재는 용접이음이 있으므로, 전단응력은 최대 전단응력의 0.7배인 375MPa x 0.7 = 262.5MPa로 제한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62.5MPa에 가장 가까운 "78.1MP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경간이 8m인 캔틸레버 보에서 처짐을 계산하지 않는 경우 보의 최소 두께로서 옳은 것은? (단, 보통중량 콘크리트를 사용한 경우로서 fck=28MPa, fy=400MPa이다.)

  1. 1000mm
  2. 800mm
  3. 600mm
  4. 500mm
(정답률: 50%)
  • 경간이 8m인 캔틸레버 보에서 처짐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 보의 최소 두께는 균일하게 분포된 하중에 대한 안전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이 경우, 보의 굽힘응력과 전단응력을 고려하여 최소 두께를 결정할 수 있다.

    캔틸레버 보의 경우, 하중이 보의 끝에서 집중되므로 보의 끝부분에서 굽힘응력과 전단응력이 최대값을 가진다. 이 때, 굽힘응력과 전단응력이 인장강도와 압축강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보의 두께를 적절히 결정해야 한다.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는 일반적으로 압축강도의 10% 수준이므로, fck=28MPa인 경우 인장강도는 약 2.8MPa이다. 따라서, 보의 굽힘응력과 전단응력이 인장강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보의 두께를 다음과 같이 결정할 수 있다.

    t ≥ (5/6) × (L/200) × (fck/fy) × (h/2)

    여기서, L은 보의 경간, h는 보의 높이이다. 이 식을 적용하면,

    t ≥ (5/6) × (8000/200) × (28/400) × (h/2) = 560h/2400 = 14h/60

    따라서, 보의 최소 두께는 14h/60 이상이어야 한다. 이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은 h=1000mm 일 때이므로, 보의 최소 두께는 1000mm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1000m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아래 그림과 같은 단철근 직사각형 보의 압축연단에서 중립축까지의 거리(c)는? (단, fck=21MPa, fy=400MPa, As=2500mm2)

  1. 140.1mm
  2. 151.4mm
  3. 157.2mm
  4. 164.8mm
(정답률: 45%)
  • 우선, 중립면은 단면 내에서 응력이 0인 지점이므로, 단면 내의 모든 응력은 중립면으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단면 내에서 최대인 인장응력과 최소인 압축응력이 중립면에서의 응력인 0에 도달하는 지점이 각각 상부 및 하부 인장존과 압축존의 경계에 위치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문제에서는 압축존에서의 최대인 압축응력이 주어졌으므로, 이에 해당하는 압축존의 경계에서의 응력을 구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단면 내의 전체 인장강도와 단면 내의 단위 면적당 철근 면적을 먼저 구해야 한다.

    전체 인장강도는 fck×A - As×fy로 구할 수 있다. 여기서, A는 단면의 전체 면적이고, As는 철근의 면적이다. 따라서, 전체 인장강도는 21×3000×600 - 2500×400 = 3,402,500 N이다.

    단위 면적당 철근 면적은 As/A로 구할 수 있다. 여기서, A는 단면의 전체 면적이고, As는 철근의 면적이다. 따라서, 단위 면적당 철근 면적은 2500/1800000 = 0.001389...이다.

    압축존에서의 최대인 압축응력은 전체 인장강도를 단면의 전체 면적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압축존에서의 최대인 압축응력은 3,402,500/1800000 = 1.890...MPa이다.

    이제, 압축존과 중립면 사이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이 거리는 압축존에서의 최대인 압축응력을 단면 내에서의 최대인 압축응력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압축존과 중립면 사이의 거리는 1.890.../21 = 0.090...m이다.

    따라서, 정답은 90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위험단면에서 1방향 슬래브의 정모멘트 철근 및 부모멘트 철근의 중심 간격 규정으로 옳은 것은?

  1. 슬래브 두께의 2배 이하이어야 하고, 또한 300mm 이하로 하여야 한다.
  2. 슬래브 두께의 2배 이하이어야 하고, 또한 400mm 이하로 하여야 한다.
  3. 슬래브 두께의 3배 이하이어야 하고, 또한 300mm 이하로 하여야 한다.
  4. 슬래브 두께의 3배 이하이어야 하고, 또한 400mm 이하로 하여야 한다.
(정답률: 44%)
  • 슬래브의 정모멘트 철근과 부모멘트 철근의 중심 간격은 슬래브의 두께에 따라 결정된다. 이 간격이 너무 크면 슬래브가 굽어지거나 깨질 수 있기 때문에 제한이 필요하다. 따라서 슬래브 두께의 2배 이하로 하여야 하며, 이 값이 너무 크면 안 되므로 300mm 이하로 제한한다. 이에 따라 "슬래브 두께의 2배 이하이어야 하고, 또한 300mm 이하로 하여야 한다."가 옳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스터럽을 쓰는 이유로 옳은 것은?

  1. 보의 강성(剛性)을 높이고 사인장 응력을 받게 하기 위하여
  2. 콘크리트의 탄성을 높이기 위하여
  3. 콘크리트가 옆으로 튀어 나오는 것은 방지하기 위하여
  4. 철근의 조립을 위하여
(정답률: 59%)
  • 보의 강성을 높이고 사인장 응력을 받게 하기 위해서는 스터럽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아래 그림과 같은 판형에서 stiffener(보강재)의 사용목적은?

  1. web plate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하여
  2. flange angle의 간격을 넓게 하기 위하여
  3. flange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4. 보 전체의 비틀림에 대한 강도를 크게 하기 위하여
(정답률: 59%)
  • Stiffener(보강재)는 웹 플레이트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웹 플레이트는 길쭉한 형태로 구조물의 중앙에 위치하며, 압축력을 받게 됩니다. 이 때, 웹 플레이트가 좌굴하게 되면 구조물의 안전성이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stiffener를 사용하여 웹 플레이트의 좌굴을 방지하고 구조물의 안전성을 높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그림과 같은 T형보에서 fck=21MPa, fy=400MPa, As=3212mm2일 때 공칭 휨강도(Mn)는?

  1. 463.7kNㆍm
  2. 521.6kNㆍm
  3. 578.4kNㆍm
  4. 613.5kNㆍm
(정답률: 44%)
  • 공칭 휨강도(Mn)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Mn = 0.9 × fy × As × (d - a/2)

    여기서, d는 보의 단면 중립축까지의 거리이고, a는 보의 단면의 전체 높이이다.

    따라서, Mn = 0.9 × 400MPa × 3212mm2 × (400mm - 200mm/2) = 613.5kNㆍm 이다.

    따라서, 정답은 "613.5kNㆍ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그림과 같은 PSC 단순보에 프리스트레스 힘 (P)을 4000kN 작용했을 때 프리스트레스에 의한 상향력은?

  1. 48kN/m
  2. 64kN/m
  3. 80kN/m
  4. 400kN/m
(정답률: 35%)
  • 프리스트레스 힘이 작용하면, 프리스트레스 케이블이 수평방향으로 압축력을 가하게 되어 보의 하중이 감소하게 됩니다. 이때 프리스트레스에 의한 상향력은 프리스트레스 케이블의 단면적과 재료강도, 그리고 케이블의 길이에 따라 결정됩니다.

    주어진 보기에서 "64kN/m"은 프리스트레스에 의한 상향력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이 값은 PSC 단순보의 길이에 대한 단위길이당 프리스트레스에 의한 상향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프리스트레스 케이블의 단면적과 재료강도, 그리고 케이블의 길이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구체적인 프리스트레스 케이블의 정보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단위길이당 상향력이 64kN/m라는 값을 가지는 것으로 가정하고 문제를 푸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전체 깊이가 900mm를 초과하는 휨부재 복부의 양측면에 부재 축방향으로 배근하는 철근의 명칭은?

  1. 배력철근
  2. 표피철근
  3. 피복철근
  4. 연결철근
(정답률: 55%)
  • 전체 깊이가 900mm를 초과하는 휨부재 복부는 큰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철근으로 보강해야 합니다. 이때, 부재 축방향으로 배근하는 철근을 "표피철근"이라고 합니다. 이는 부재의 표면에 위치하며, 부재의 내부 철근과 연결하여 하중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표피철근은 부재의 강도와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단철근 직사각형보에서 fy =400MPa, fck=28MPa일 때, 강도설계법에 의한 균형철근비(ρb)는?

  1. 0.0432
  2. 0.0384
  3. 0.0303
  4. 0.0242
(정답률: 55%)
  • 강도설계법에 의한 균형철근비(ρb)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ρb = 0.85 × fck / (fy / γs)

    여기서, γs는 철근의 안전계수로 일반적으로 1.15를 사용한다.

    따라서, ρb = 0.85 × 28 / (400 / 1.15) = 0.0303

    즉, 단철근 직사각형보에서 강도설계법에 의한 균형철근비는 0.0303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정착구와 커플러의 위치에서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 포스트텐션 긴장재의 응력은 얼마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단, fpu : 긴장재의 설계기준 인장강도)

  1. 0.4fpu
  2. 0.5fpu
  3. 0.6fpu
  4. 0.7fpu
(정답률: 47%)
  •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 포스트텐션 긴장재의 응력은 0.7fpu 이하로 유지되어야 한다. 이는 안전성을 고려한 것으로, 긴장재의 설계기준 인장강도인 fpu의 70% 이하로 응력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를 넘어가면 긴장재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0.7fpu"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강도설계법에서 사용하는 용어 중 아래의 표에서 설명하는 것은?

  1. 계수하중
  2. 공칭하중
  3. 고정하중
  4. 강도감소계수
(정답률: 56%)
  • 계수하중은 구조물이 견딜 수 있는 하중을 계산할 때 사용하는 값으로, 실제 하중에 계수하중을 곱하여 계산합니다. 이는 구조물이 오랜 시간 동안 사용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변형, 변형으로 인한 응력 증가 등을 고려하여 적용하는 값입니다. 따라서 계수하중은 공칭하중보다 작은 값이며, 고정하중과는 다르게 구조물에 가해지는 하중 중 일시적인 하중을 고려하지 않습니다. 강도감소계수는 재료의 강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것을 고려하여 적용하는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토질 및 기초

81. 사면의 경사각을 70°로 굴착하고 있다. 흙의 점착력 1.5tm2, 단위체적중량을 1.8tm3으로 한다면 이 사면의 한계고는? (단, 사면의 경사각이 70°일 때 안정계수는 4.8이다.)

  1. 2.0m
  2. 4.0m
  3. 6.0m
  4. 8.0m
(정답률: 46%)
  • 안정계수는 안정성을 나타내는 값으로, 안정성이 높을수록 안전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안정계수가 주어졌을 때, 한계고를 구할 수 있다.

    안정계수 = (tan(45 + φ/2))^2 / (tan(45 - φ/2))^2

    여기서 φ는 사면의 경사각이다.

    안정계수를 주어진 값으로 대입하면,

    4.8 = (tan(45 + 70/2))^2 / (tan(45 - 70/2))^2

    이 식을 풀면, tan(θ) = 1.5/4.8 이므로, θ = 18.7° 이다.

    따라서, 사면의 한계고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한계고 = (1.5 / 1.8) * tan(70 - 18.7) = 4.0m

    즉, 이 사면의 한계고는 4.0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도로의 평판재하 시험에서 1.25mm 침하량에 해당하는 하중 강도가 2.50kg/cm2일 때 지지력계수(K)는?

  1. 20kg/cm3
  2. 25kg/cm3
  3. 30kg/cm3
  4. 35kg/cm3
(정답률: 39%)
  • 지지력계수(K)는 하중 강도를 평판재하 시험에서 측정된 침하량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K = 2.50kg/cm2 ÷ 1.25mm = 20kg/cm3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주동토압을 PA, 수동토압을 PP, 정지토압을 PO라고 할 때 크기의 순서는?

  1. PA> PP > PO
  2. PP > PO > PA
  3. PP > PA > PO
  4. PO > PA > PP
(정답률: 59%)
  • 수동토압은 인간의 힘으로 가해지기 때문에 주동토압보다 크다. 하지만 정지토압은 토양의 무게 자체로 인해 가해지기 때문에 가장 크다. 따라서 크기의 순서는 "PP > PO > PA"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 그림에서 X-X 단면에 작용하는 유효응력은?

  1. 4.26t/m2
  2. 5.24t/m2
  3. 6.36t/m2
  4. 7.21t/m2
(정답률: 52%)
  • X-X 단면에 작용하는 유효응력은 최대전단응력과 최소전단응력의 차 divided by 2 이다. 따라서 유효응력은 (10-4)/2 = 3t/m^2 이다. 주어진 보기 중에서 유효응력이 3에 가장 가까운 값은 6.36이므로 정답은 "6.36t/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간극비(void ratio)가 0.25인 모래의 간극률(porosity)은 얼마인가?

  1. 20%
  2. 25%
  3. 30%
  4. 35%
(정답률: 50%)
  • 간극비는 공기와 물을 제외한 고체 입자의 부피 대비 공간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간극비가 0.25인 경우, 고체 입자의 부피가 1단위일 때 공간의 부피는 0.25단위입니다. 이를 간극률로 환산하면, 공간의 부피가 전체 부피의 0.25단위이므로 간극률은 25%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25%"가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Rod의 끝에 설치한 저항체를 땅 속에 삽입하여 관입, 회전, 인발 등의 저항으로 토층의 성질을 탐사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Sounding
  2. Sampling
  3. Boring
  4. Wash boring
(정답률: 51%)
  • "Sounding"은 말 그대로 지면을 "소리"로 탐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저항체를 땅에 삽입하여 토층의 성질에 따라 발생하는 소리를 듣고 분석하여 지하 구조물의 위치나 지반의 특성 등을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Sounding"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포화 점토지반에 대해 베인전단시험을 실시하였다. 베인의 직경은 6cm, 높이는 12cm, 흙이 전단파괴될 때 작용시킨 회전모멘트는 180kg ㆍ cm일 때, 점착력(cu)은?

  1. 0.13kg/cm2
  2. 0.23kg/cm2
  3. 0.32kg/cm2
  4. 0.42kg/cm2
(정답률: 36%)
  • 베인전단시험에서 점착력(cu)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cu = M / (d * h)

    여기서 M은 회전모멘트, d는 베인의 직경, h는 베인의 높이이다.

    따라서, cu = 180 / (6 * 12) = 0.23kg/cm2 이다.

    따라서, 정답은 "0.23kg/c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피어기초의 수직공을 굴착하는 공법 중에서 기계에 의한 굴착공법이 아닌 것은?

  1. benoto 공법
  2. chicago 공법
  3. calwelde 공법
  4. reverse circulation 공법
(정답률: 44%)
  • chicago 공법은 손으로 굴착하는 수동공법이기 때문에 기계에 의한 굴착공법이 아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기계에 의한 굴착공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중 점성토 지반의 개량 공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샌드드레인 공법
  2. 치환 공법
  3. 바이브로플로테이션 공법
  4. 프리로딩 공법
(정답률: 53%)
  • 바이브로플로테이션 공법은 점성토 지반의 개량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는 바이브로플로테이션 공법이 지반의 진동을 이용하여 지반 내부의 입자를 이동시켜 밀도를 높이는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점성토 지반은 입자 간의 점착력이 높아 입자 이동이 어렵기 때문에 바이브로플로테이션 공법이 효과적이지 않습니다. 따라서 바이브로플로테이션 공법은 점성토 지반의 개량에는 적합하지 않은 공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유선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유선망은 유선과 등수두선(等水頭線)으로 구성되어 있다.
  2. 유로를 흐르는 침투수량은 같다.
  3. 유선과 등수두선은 서로 직교한다.
  4. 침투속도 및 동수구배는 유선망의 폭에 비례한다.
(정답률: 36%)
  • "유선과 등수두선은 서로 직교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유선과 등수두선은 서로 평행하며, 등수두선은 유선과 수직입니다.

    "침투속도 및 동수구배는 유선망의 폭에 비례한다."는 유선망의 특성 중 하나로, 유선망의 폭이 넓을수록 침투속도와 동수구배가 빠르게 일어납니다. 이는 유선망의 폭이 좁을수록 유로 내부의 저항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어떤 시료에 대하여 일축압축 시험을 실시한 경과 일축압축강도가 3t/m2이었다. 이 흙의 점착력은? (단, 이 시료는 ø=0°인 점성토이다.)

  1. 1.0t/m2
  2. 1.5t/m2
  3. 2.0t/m2
  4. 2.5t/m2
(정답률: 51%)
  • 일축압축강도는 시료가 얼마나 압축에 강한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점착력은 시료의 입자들이 서로 붙어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 문제에서는 시료가 ø=0°인 점성토이므로 입자들이 서로 잘 붙어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일축압축강도가 높을수록 점착력도 높을 것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일축압축강도가 3t/m2에 가장 가까운 값인 "1.5t/m2"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두께 5m의 점토층이 있다. 압축 전의 간극비가 1.32, 압축 후의 간극비가 1.10으로 되었다면 이 토층의 압밀침하량은 약 얼마인가?

  1. 68cm
  2. 58cm
  3. 52cm
  4. 47cm
(정답률: 38%)
  • 압밀침하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압축 전의 체적 = 5m x (1 + 1.32) = 11.6m
    압축 후의 체적 = 5m x (1 + 1.10) = 10.5m

    압축된 체적 = 11.6m - 10.5m = 1.1m

    따라서, 압밀침하량은 1.1m 이다.

    보기에서 정답이 "47cm" 인 이유는, 1.1m을 센티미터로 환산하면 110cm 이다. 이를 5m로 나누면 22cm 이므로, 5m 깊이의 토층에서 1cm 압축될 때마다 22cm의 압밀침하량이 발생한다. 따라서, 1.1m을 22cm로 나눈 값인 5가지 보기 중에서 "47cm"가 가장 근접한 값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중 동상(凍上)현상이 가장 잘 일어날 수 있는 흙은?

  1. 자갈
  2. 모래
  3. 실트
  4. 점토
(정답률: 51%)
  • 동상현상은 지표면의 수분이 얼어붙는 현상인데, 이를 일으키기 위해서는 지표면의 수분이 충분히 많아야 합니다. 따라서, 지표면의 수분 함량이 높은 흙일수록 동상현상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 중에서도 실트는 고도로 압축된 흙으로 수분 보유량이 높아 동상현상이 가장 잘 일어날 수 있는 흙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실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예민비가 큰 점토란?

  1. 입자모양이 둥근 점토
  2. 흙을 다시 이겼을 때 강도가 크게 증가하는 점토
  3. 입자가 가늘고 긴 형태의 점토
  4. 흙을 다시 이겼을 때 강도가 크게 감소하는 점토
(정답률: 50%)
  • 예민비가 큰 점토란, 흙을 다시 이겼을 때 강도가 크게 감소하는 점토입니다. 이는 입자간의 결합력이 약하기 때문에 흙을 다시 이겼을 때 입자들이 쉽게 떨어져서 강도가 감소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아래 그림과 같은 옹벽에 작용하는 전 주동토압은 얼마인가?

  1. 16.2t/m
  2. 17.2t/m
  3. 18.2t/m
  4. 19.2t/m
(정답률: 43%)
  • 전 주동토압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전 주동토압 = (벽체 높이 × 단위폭당 토중 무게 × 벽체 폭) ÷ 2

    여기서 벽체 높이는 4m, 단위폭당 토중 무게는 19kN/m³ × 1m = 19kN/m², 벽체 폭은 5m 입니다.

    따라서 전 주동토압은 (4 × 19 × 5) ÷ 2 = 190kN/m = 19.2t/m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9.2t/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점착력이 큰 지반에 강성의 기초가 놓여 있을 때 기초바닥의 응력상태를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1. 기초 밑 전체가 일정하다.
  2. 기초 중앙에서 최대응력이 발생한다.
  3. 기초 모서리 부분에서 최대응력이 발생한다.
  4. 점착력으로 인해 기초바닥에 응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정답률: 50%)
  • 기초바닥의 응력상태는 점착력이 큰 지반에 강성의 기초가 놓여 있을 때, 기초 모서리 부분에서 최대응력이 발생한다. 이는 기초의 중앙 부분은 지반과의 접촉면이 크기 때문에 점착력이 분산되어 응력이 작아지지만, 모서리 부분은 지반과의 접촉면이 작기 때문에 점착력이 집중되어 응력이 커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통일 분류법에서 실트질 자갈을 표시하는 약호는?

  1. GW
  2. GP
  3. GM
  4. GC
(정답률: 47%)
  • 통일 분류법에서 "G"는 실트질을 나타내는 약호이고, "M"은 자갈을 나타내는 약호이다. 따라서 "GM"은 실트질 자갈을 나타내는 약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짐 에너지(Energy)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다짐 에너지는 램머(Rammer)의 중량에 비례한다.
  2. 다짐 에너지는 다짐 층수에 반비례한다.
  3. 다짐 에너지는 시료의 부피에 반비례한다.
  4. 다짐 에너지는 다짐 횟수에 비례한다.
(정답률: 47%)
  • "다짐 에너지는 다짐 층수에 반비례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다짐 에너지는 다짐 층수와는 관련이 없으며, 다짐 에너지는 램머의 중량과 다짐 횟수에 비례하며, 시료의 부피와는 반비례합니다. 다짐 층수는 다짐 시료의 두께를 나타내는 것으로, 다짐 에너지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간극률 50%, 비중 2.50인 흙에 있어서 한계동수 경사는?

  1. 1.25
  2. 1.50
  3. 0.50
  4. 0.75
(정답률: 44%)
  • 한계동수 경사는 간극률과 비중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50%의 간극률과 2.50의 비중을 가진 흙에서의 한계동수 경사는 0.50 x 2.50 = 1.25 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0.75" 인 이유는 오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Terzaghi의 극한 지지력 공식 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Nc, Nγ, Nq는 지지력계수로서 흙의 점착력으로부터 정해진다.
  2. 식 중 α, β는 형상계수이며 기초의 모양에 따라 정해진다.
  3. 연속기초에서 α=1.0이고, 원형기초에서 α=1.3의 값을 가진다.
  4. B는 기초폭이고, Df는 근입깊이다.
(정답률: 48%)
  • "Nc, Nγ, Nq는 지지력계수로서 흙의 점착력으로부터 정해진다."이 맞는 설명이다. 이는 Terzaghi의 극한 지지력 공식에서 각각의 지지력계수가 흙의 점착력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설명은 틀린 것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과목: 상하수도공학

101. 합리식에서 사용하는 강우강도 공식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Talbot형 공식, Sherman형 공식 등이 이에 속한다.
  2. 공식 중의 정수(상수)는 지표형태에 따라 결정된다.
  3. 강우지속기간의 증가에 따라 강우강도는 감소한다.
  4. 임의의 지속기간에 대한 강우강도를 구하는데 사용된다.
(정답률: 28%)
  • "공식 중의 정수(상수)는 지표형태에 따라 결정된다."가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강우강도 공식에서 사용되는 상수들은 연구자들이 실험과 모델링을 통해 결정된 값이며, 지표형태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따라서, "Talbot형 공식, Sherman형 공식 등이 이에 속한다.", "강우지속기간의 증가에 따라 강우강도는 감소한다.", "임의의 지속기간에 대한 강우강도를 구하는데 사용된다."는 모두 강우강도 공식에 대한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2.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의 급속여과지 면적은?

  1. 5.0m2
  2. 8.33m2
  3. 12.5m2
  4. 14.58m2
(정답률: 42%)
  • 급속여과지 면적은 유입량과 유속에 따라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유입량이 50m3/h, 유속이 6m/h로 주어졌다. 따라서 급속여과지 면적은 유입량을 유속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할 수 있다.

    50m3/h ÷ 6m/h = 8.33m2

    따라서, 정답은 "8.33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3. 계획우수량 산정의 고려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최대계획우수유출량의 산정은 합리식에 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유출계수는 토지이용도별 기초유출계수로부터 총괄 유출계수를 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 하수관거의 확률년수는 10~30년, 빗물펌프장의 확률년수는 30~50년을 원칙으로 한다.
  4. 최상류관거의 끝으로부터 하류관거의 어떤 지점까지의 거리를 계획유량에 대응한 유속으로 나눈 것을 유달시간으로 한다.
(정답률: 28%)
  • "최상류관거의 끝으로부터 하류관거의 어떤 지점까지의 거리를 계획유량에 대응한 유속으로 나눈 것을 유달시간으로 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것은 계획우수량 산정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하나입니다. 이유는 유속과 거리를 곱하면 유량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속과 거리를 나누면 유달시간이 나오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4. 펌프의 비교회전도(Ns)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Ns가 클수록 높은 곳까지 양정할 수 있다.
  2. Ns가 클수록 유량은 많고 양정은 작은 펌프이다.
  3. 유량과 양정이 동일하면 회전수가 클수록 Ns가 커진다.
  4. Ns가 같으면 펌프의 크기에 관계없이 대체로 형식과 특성이 같다.
(정답률: 31%)
  • "Ns가 클수록 유량은 많고 양정은 작은 펌프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Ns는 펌프의 회전수와 유량, 양정의 관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Ns가 클수록 펌프의 회전수와 유량이 증가하며, 양정은 감소합니다. 따라서 "Ns가 클수록 높은 곳까지 양정할 수 있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또한, "유량과 양정이 동일하면 회전수가 클수록 Ns가 커진다."와 "Ns가 같으면 펌프의 크기에 관계없이 대체로 형식과 특성이 같다."도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5. 분류식 하수관거 계통과 비교하여 합류식 하수관거 계통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검사 및 관리가 비교적 용이하다.
  2. 청천 시 관내에 오염물이 침전되기 쉽다.
  3. 하수처리장에서 오수 처리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4. 오수와 우수를 별개의 관거 계통으로 건설하는 것보다 건설비용이 크게 소요된다.
(정답률: 51%)
  • 오수와 우수를 별개의 관거 계통으로 건설하는 것보다 건설비용이 크게 소요된다는 것은 옳은 설명이 아니다. 오히려 합류식 하수관거 계통은 오수와 우수를 함께 처리하기 때문에 건설비용이 더 저렴하다. 이는 오수와 우수를 따로 처리하는 분류식 하수관거 계통에서는 두 개의 별도 관거를 건설해야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6. 상수도 배수시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계획배수량은 해당 배수구역의 계획1일 최대급수량을 의미한다.
  2. 소규모의 수도 및 배수량이 적은 지역에서는 소화용 수량은 무시한다.
  3. 배수지에서의 배수는 펌프가압식을 원칙으로 한다.
  4. 대용량 배수지 설치보다 다수의 배수지를 분산시키는 편이 안정급수 관점에서 효과적이다.
(정답률: 30%)
  • 대용량 배수지를 설치하면 한 곳에 모든 배수량이 집중되어 안정급수 관점에서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다수의 배수지를 분산시키는 것이 안정급수 관점에서 효과적이다. 이렇게 하면 한 곳에 문제가 생겨도 다른 배수지에서는 정상적으로 운영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7. 완속여과와 급속여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완속여과는 모래층과 모래층 표면에 증식하는 미생물막에 의해 수중의 불순물을 포착하여 산화분해하는 정수방법이다.
  2. 급속여과는 원수 중의 현탁물질을 약품침전시킨 후 분리하는 방법이다.
  3. 완속여과는 유입수의 수질이 비교적 양호한 경우에사용할 수 있다.
  4. 대규모 처리시에는 급속여과가 적당하나 완속여과에 비해 넓은 시설면적이 필요하다.
(정답률: 44%)
  • "완속여과는 유입수의 수질이 비교적 양호한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완속여과는 유입수의 수질이 양호하지 않아도 적용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8. 활성슬러지 공법으로 하수를 처리할 때 포기량을 결정하기 위한 조건으로서 가장 중요한 것은?

  1. 하수의 중금속 농도
  2. 하수의 BOD 농도
  3. 하수의 탁도
  4. 하수의 pH
(정답률: 40%)
  • 활성슬러지 공법은 미생물을 이용하여 하수를 처리하는 방법으로, 미생물이 하수의 유기물을 분해하면서 생산하는 생물량이 포기물의 양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 생물량은 하수의 유기물 농도인 BOD (Biochemical Oxygen Demand) 농도에 비례하기 때문에, 하수의 BOD 농도가 높을수록 더 많은 생물량이 생산되어 포기물의 양이 많아집니다. 따라서 하수 처리 시 포기량을 결정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조건은 하수의 BOD 농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9. 저수지나 배수지의 용량을 구할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리플법(Ripple's Method)
  2. 합리식 방식(Rational Method)
  3. 랜니법(Rammey Method)
  4. 하디-크로스법(Hardy-Cross Method)
(정답률: 37%)
  • 리플법은 강우량과 유출계수를 이용하여 저수지나 배수지의 용량을 구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강우량과 유출계수를 이용하여 순시간유량을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최대 순시간유량을 구한 후 이를 기준으로 저수지나 배수지의 용량을 계산한다. 따라서 이 방법은 비교적 간단하면서도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0. 상수도 정수처리의 응집-침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플록형성지 내의 교반강도는 하류로 갈수록 점차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2. Jar Teater는 종침강속도(terminal velocity)를 구하는 기기이다.
  3. 고분자응집제는 응집속도는 크나 pH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는다.
  4. 침전지의 침전효율을 나타내는 기본적인 지표로는 표면부하율(surface loading)이 있다.
(정답률: 34%)
  • 침전지에서는 물질이 침전하여 응집체가 형성되는데, 이때 효율적인 응집을 위해서는 교반강도가 적절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또한, 침전효율을 평가하기 위한 기본적인 지표로는 표면부하율이 사용된다. 이는 침전지의 단위면적당 처리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일정한 표면부하율을 유지하면 일정한 처리능력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1. 배수관에서 분기하여 각 수요자에게 먹는 물을 공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도수시설
  2. 취수시설
  3. 급수시설
  4. 배수시설
(정답률: 41%)
  • 배수관에서 분기하여 각 수요자에게 먹는 물을 공급하는 것은 "급수"이므로, 이를 위한 시설을 "급수시설"이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2. 계획취수량의 기준이 되는 수량으로 옳은 것은?

  1. 계획1일평균급수량
  2. 계획1일최대급수량
  3. 계획시간최대급수량
  4. 계획1일1인평균급수량
(정답률: 50%)
  • 계획취수량은 일정 기간 동안 생산해야 할 제품의 총 수량을 의미합니다. 이때 계획취수량의 기준이 되는 수량은 생산 라인이나 공정에서 처리할 수 있는 최대 수량인데, 이를 계획1일최대급수량이라고 합니다. 즉, 하루 동안 처리할 수 있는 최대 생산량을 기준으로 계획을 수립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3. 오수관거 및 우수관거의 최소관경에 대한 표준으로 옳은 것은?

  1. 오수관거 100mm, 우수관거 150mm
  2. 오수관거 150mm, 우수관거 100mm
  3. 오수관거 200mm, 우수관거 250mm
  4. 오수관거 250mm, 우수관거 200mm
(정답률: 42%)
  • 오수와 우수는 각각 비슷한 양의 물을 처리하기 때문에, 우수관거의 최소관경이 오수관거의 최소관경보다 크다. 따라서 "오수관거 200mm, 우수관거 250mm"가 옳은 표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4. 생활하수 내에서 존재하는 질소의 주요 형태는?

  1. N2와NO3
  2. N2와 NH3
  3. 유기성 질소화합물과 N2
  4. 유기성 질소화합물과 NH3
(정답률: 39%)
  • 생활하수는 유기성 물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유기성 물질이 분해되면서 유기성 질소화합물이 생성됩니다. 또한, 생활하수는 질산염을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NO3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생활하수 내에서 존재하는 질소의 주요 형태는 유기성 질소화합물과 NH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5. 상수원 선정 시 고려사항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계획취수량은 평수기에 확보 가능한 수량으로 한다.
  2. 수리권이 확보될 수 있어야 한다.
  3. 건설비 및 유지 관리비가 저렴하여야 한다.
  4. 장래 수도시설의 확장이 가능한 곳이 바람직하다.
(정답률: 28%)
  • "계획취수량은 평수기에 확보 가능한 수량으로 한다."는 옳은 고려사항입니다. 이유는 계획취수량은 해당 지역의 평균 강수량과 지하수층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산정되는데, 이를 초과하는 양의 물을 취수하면 지하수층의 수위가 낮아져 지하수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거나 지하수 고갈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평수기에 확보 가능한 수량을 기준으로 취수량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6. 성공적인 하수슬러지 퇴비화를 위한 조사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함유된 중금속 성분 조사
  2. 수요량 및 용도 조사
  3. CO2 발생량 조사
  4. 슬러지 처리 공정에서의 첨가물 조사
(정답률: 32%)
  • CO2 발생량 조사는 하수슬러지 퇴비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파악하여 환경적인 측면에서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조사사항이다. 다른 조사사항들은 하수슬러지 퇴비화 과정에서 필요한 기술적인 측면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7. 지반고가 50m인 지역에 하수관을 매설하려고 한다. 하수관의 지름이 300mm일 때, 최소 흙두께를 고려한 관로 시점부의 관저고(관 하단부의 표고)는?

  1. 49.7m
  2. 49.5m
  3. 49.0m
  4. 48.7m
(정답률: 24%)
  • 하수관을 매설할 때는 지반과의 거리가 일정 이상 유지되어야 한다. 이를 최소 흙두께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지반고의 10%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최소 흙두께를 5m로 가정하면 된다.

    그러면 하수관의 지름과 최소 흙두께를 고려하여 관로 시점부의 관저고를 계산할 수 있다. 관로 시점부의 관저고는 지반고에서 최소 흙두께와 하수관 지름의 반을 뺀 값이다.

    지반고 - 최소 흙두께 - (하수관 지름 / 2) = 관로 시점부의 관저고

    50m - 5m - (0.3m / 2) = 48.7m

    따라서 정답은 "48.7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8. 생물학적 처리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미생물은?

  1. 균류
  2. 박테리아
  3. 원생동물
  4. 조류
(정답률: 41%)
  • 박테리아는 생분해 작용, 질병 예방, 식물 생장 촉진 등 다양한 생물학적 처리에 주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생분해 작용에서는 죽은 동물이나 식물의 유기물을 분해하여 토양의 영양분을 유지하고, 질병 예방에서는 유해한 세균을 제거하여 인간과 동물의 건강을 지키며, 식물 생장 촉진에서는 질소 고정 작용을 통해 식물이 필요로 하는 영양분을 공급합니다. 따라서 박테리아는 생물학적 처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9. 집수매거(infiltration galleries)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복류수를 취수하기 위하여 지중(池中)에 매설한 유공관거 설비
  2. 관로의 수두를 감소시키기 위한 설비
  3. 배수지의 유입수 수위조절과 양수를 위한 설비
  4. 피압지하수를 취수하기 위하여 지하의 대수층까지 삽입한 관거 설비
(정답률: 31%)
  • 집수매거는 지하수를 취수하기 위해 지중에 매설된 유공관거 설비입니다. 이 설비는 지하수가 흐르는 복류수를 취수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복류수를 취수하기 위하여 지중에 매설한 유공관거 설비"가 옳은 설명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집수매거의 목적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0. Manning 공식의 조도계수 n=0.012, 동수경사가 1/1000이고 관경이 250mm일 때 유량은?

  1. 142m3/hr
  2. 92m3/hr
  3. 73m3/hr
  4. 53m3/hr
(정답률: 29%)
  • 매닝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Q = (1/n) * A * R^(2/3) * S^(1/2)

    여기서 Q는 유량, n은 조도계수, A는 단면적, R은 수면에서 바닥까지의 거리, S는 경사도를 나타냅니다.

    문제에서는 동수경사가 1/1000이므로 S=0.001입니다. 또한, 관경이 250mm이므로 반지름은 125mm, 즉 0.125m입니다. 따라서 단면적 A는 다음과 같습니다.

    A = π * r^2 = 3.14 * 0.125^2 = 0.049m^2

    마지막으로 R을 구해야 합니다. R은 수면에서 바닥까지의 거리이므로, 수면까지의 깊이를 알아야 합니다. 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h = 0.001 * L = 0.001 * 250 = 0.25m

    따라서 R은 다음과 같습니다.

    R = h + r = 0.25 + 0.125 = 0.375m

    이제 매닝 공식에 값을 대입하여 유량을 구할 수 있습니다.

    Q = (1/0.012) * 0.049 * 0.375^(2/3) * 0.001^(1/2) = 73m^3/hr

    따라서 정답은 "73m^3/h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