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응용역학
1. 트러스 해법상의 가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 다음 중 부정정구조물의 해석방법이 아닌 것은?
3. 양단이 고정되어 있는 길이 10m의 강(鋼)이 15℃에서 40℃로 온도가 상승할 때 응력은? (단, E=2.1×106kg/cm2, 선팽창계수 α=0.00001/℃)
4. 반지름 R, 길이 ℓ인 원형단면 기둥의 세장비는?
5. 직사각형 단면인 단순보의 단면계수가 2000m3이고, 200000tㆍm의 휨모멘트가 작용할 때 이 보의 최대휨응력은?
6. 아래의 표에서 설명하는 것은?
7. 다음 그림과 같은 구조물의 부정정 차수는?
8. 반지름이 r인 원형단면의 단주에서 도심에서의 핵거리 e는?
9. 다음 그림과 캔틸레버보에서 최대 휨모멘트는 얼마인가?
10. “탄성체가 가지고 있는 탄성변형 에너지를 작용하고 있는 하중으로 편미분하면 그 하중점에서의 작용방향의 변위가 된다”는 것은 어떤 이론인가?
11. 아래 그림과 같이 60°의 각도를 이루는 두 힘 P1, P2가 작용할 때 합력 R 의 크기는?
12. 보의 중앙에 집중하중을 받는 단순보에서 최대처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폭 b, 높이 h로한다.)
13. 그림과 같은 길이가 ℓ인 캔틸레버보에서 최대 처짐각은?
14. 다음 중 단면 1차 모멘트와 같은 차원을 갖는 것은?
15. 그림과 같은 3-hinge 라멘의 수평반력 HA값은?
16. 그림과 같은 게르버보의 C점에서 휨모멘트 값은?
17. 다음 그림과 같은 구조물에서 지점 A에서의 수직반력의 크기는?
18. 단면적 10cm2인 원형단면의 봉이 2t의 인장력을 받을 때 변형률(ε)은? (단, 탄성계수(E)=2×106kg/cm2)
19. 다음 그림과 같은 단순보의 중앙에 집중하중이 작용할 때 단면에 생기는 최대 전단응력은 얼마인가?
20. 그림에서 음영된 삼각형 단면의 X축에 대한 단면2차 모멘트는 얼마인가?
2과목: 측량학
21. 등고선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2. 수준측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3. 토적곡선(mass curve)을 작성하는 목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
24. 삼각측량을 통해 단일삼각망의 내각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각을 얻었다. 각 내각의 최확값은?
25. 축척 1:50,000 지형도에서 A점에서 B점까지의 도상거리가 50mm이고, A점의 표고가 200m, B점의 표고가 10m라고 할 때, 이 사면의 경사는?
26. 교점(I.P)는 도로의 기점에서 187.94m의 위치에 있고 곡선반지름 250m, 교각 43˚57´20˝인 단곡선의 접선길이는?
27. 노선의 완화곡선으로써 3차 포물선이 주로 사용되는 곳은?
28. 터널 양 끝단의 기준점 A, B를 포함해서 트래버스 측량 및 수준측량을 실시한 결과가 아래와 같을 때, AB간의 경사거리는?
29. 장애물로 인하여 P, Q점에서 관측이 불가능하여 간접측량한 결과 AB=225.85m이었다면 이때 PQ의 거리는? (단, ∠PAB=79°36´, ∠QAB=35°31´, ∠PBA=34°17´, ∠QBA=82°05´)
30. B.M.에서 P점까지의 고저를 관측하는데 10km인 A코스, 12km인 B코스로 각각 수준측량 하여 A코스의 결과 표고는 62.324m, B코스의 결과 표고는 62.341m이었다. P점 표고의 최확값은?
31. 동일한 구역을 같은 카메라로 촬영할 때 비행고도를 1,000m에서 2,000m로 높인다고 가정하면 1,000m 촬영에서 100장의 사진이 필요하다고 할 때, 2,000m 촬영에서 필요한 사진은 약 몇 장인가?
32. 지오이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3. 도로의 노선측량에서 종단면도에 나타나지 않는 항목은?
34. 하천측량을 실기할 경우 수애선의 기준이 되는 것은?
35. 시간과 경비가 많이 들고 조건식수가 많아 조정이 복잡하지만 정확도가 높은 삼각망은?
36. 유속 측량 장소의 선정 시 고려하여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37. 도로와 철도의 노선 선정 시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8. 초점길이 150mm인 카메라로 촬영고도 3,000m에서 촬영하였다. 이때의 촬영기선길이가 1,920m이라면 종중복도는? (단, 사진의 크기는 23cm×23cm)
39. 그림과 같은 지역의 면적은?
40. 1회 관측에서 ±3mm의 우연오차가 발생하였다. 10회 관측하였을 때의 우연오차는?
3과목: 수리학
41. 초속 VO의 사출수가 도달하는 수평 최대 거리는?
42. 지하대수층에서의 지하수 흐름에 대하여 Darcy법칙을 적용하기 위한 가정으로 옳지 않은 것은?
43.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44. 그림과 같이 단면적 A1, A2인 두 관이 연결되어 있고 관내 두 점의 수두차가 H일 때 유량을 계산하는 식은?
45. 관망의 유량을 계산하는 방법인 Hardy-Cross의 방법에서 가정조건이 아닌 것은?
46. 동수경사선(hydraulic grade lin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47. 길이 130m인 관로에서 양단의 압력수두차가 8m가 되도록 하고 0.3m3/s의 물을 송수하기 위한 관의 직경은? (단, 관로의 마찰손실계수는 0.03이다.)
48. 그림과 같은 수중 오리피스에서 오리피스 단면적이 30cm2일 때 유출량은? (단, 유량계수 C=0.6)
49. 물의 점성계수(coefficient of viscosity)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50. 한계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51. 다음 중 차원이 있는 것은?
52. 유체 내부 임의의 점 (x, y, z )에서의 시간 t에 대한 속도성분을 각각 u, v, w로 표시할 때, 정류이며 비압축성인 유체에 대한 연속방정식으로 옳은 것은? (단, ρ는 유체의 밀도이다.)
53. 원형 관수로의 흐름에서 레이놀즈수(Re)를 유량 Q, 지름 d 및 동점성계수 v의 함수로 표시한 것으로 옳은 것은?
54. 개수로의 흐름에서 등류의 흐름일 때 옳은 것은?
55. 투수계수가 0.1cm/s이고 지하수위의 동수경사가 1/10인 지하수 흐름의 속도는?
56. 오리피스에서 유출되는 실제유량을 계산하기 위한 수축계수 Ca로 옳은 것은? (단, a0 : 수축단면의 단면적, a : 오리피스의 단면적, V : 실제유속, V0: 이론유속)
57. 부체(浮體)가 불안정해지는 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58. 콘크리트 직사각형 수로 폭이 8m, 수심이 6m일 때 Chezy의 공식에서 유속계수(C)의 값은? (단, Manning의 조도계수 n=0.014이다.)
59. 수압 98kPa(1kg/cm2)을 압력수두로 환산한 값으로 옳은 것은?
60. 개수로의 수면기울기가 1/1200이고, 경심 0.85m, Chezy의 유속계수 56일 때 평균유속은?
4과목: 철근콘크리트 및 강구조
61. 다음 중 프리스트레스 감소의 원인으로 거리가 먼것은?
62. 그림과 같은 인장을 받는 표준 갈고리에서 정착길이란 어느 것을 말하는가?
63. 보의 단면이 300×500mm인 직사각형이고, 1개당 100mm2의 단면적을 가지는 PS 강선 6개를 강선군의 도심과 부재단면의 도심축이 일치하도록 배치된 프리텐션 PC 보가 있다. 강선의 초기 긴장력이 1000MPa일 때 콘크리트의 탄성변형에 의한 프리스트레스의 감소량은? (단, n=6)
64. 강도설계법에서 휨모멘트 또는 휨모멘트와 축력을 동시에 받는 부재의 콘크리트 압축연단의 극한변형률은 얼마로 가정하는가?
65. 보에 작용하는 계수 전단력 Vu=50kN을 콘크리트만으로 지지할 경우 필요한 유효깊이 d의 최소값은 약 얼마인가? (단, bw=350mm, fck=22MPa, fy=400MPa)
66. 강도설계에서 fck=24MPa, fy=280MPa를 사용하는 직사각형 단철근 보의 균형철근비는?
67. 나선철근으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강도감소계수(ø)는 얼마인가? (단, 압축지배단면인 경우)
68. 다음 중 강도설계법은 장·단점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69. 강판형의 경제적인 높이는 무엇에 의해 구해지는가?
70. 다음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에서 프리텐션 방식과 포스트텐션 방식의 장점을 열거한 것이다 옳지 않은 것은?
71. 아래의 표에서 설명하는 철근은?
72. 그림과 같이 인장력을 받는 두 강판을 볼트로 연결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파괴모드(failure mode)가 아닌 것은?
73. 강도설계법으로 보를 설계할 때 고정하중과 활하중이 각각 80kN/m, 100kN/m이라면, 하중계수 및 하중조합을 고려한 설계하중은?
74. 그림과 같은 리벳 이음에서 허용 전단응력이 70MPa이고, 허용 지압응력이 150MPa일 때 이 리벳의 강도는? (단, 리벳지름 d=22mm, 철판두께 t=12mm)
75. 아래 그림과 같은 띠철근 기둥에서 띠철근으로 D10(공칭지름 9.5mm) 및 축방향 철근으로 D32(공칭지름 31.8mm)의 철근을 사용할 때, 띠철근의 최대 수직간격은?
76. 아래 그림과 같은 T형보에 정모멘트가 작용할 때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단, fck=24MPa, fy=400MPa, As=5000mm2)
77. 철근콘크리트 부재 설계에서 강도감소계수(ø)를 사용하는 이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78. bw=400mm, d=600mm인 단철근 직사각형 보에 As=3320mm2인 철근을 일렬로 배치했을 때 직사각형응력블록의 깊이(a)는? (단, fck=21MPa, fy=400MPa)
79. 아래 그림과 같은 단순보에서 등가직사각형 응력블록의 깊이(a)가 152.94mm이었다면, 최외단 인장철근의 순인장변형률(εt)는? (단, fck=28MPa, fy=400MPa)
80. 경간 ℓ=10m인 대칭 T형보에서 양쪽 슬래브의 중심간격 2100mm, 플랜지의 두께 2100mm, 플랜지가 있는 부재의 복부폭 t=100mm일 때 플랜지의 유효폭은 얼마인가?
5과목: 토질 및 기초
81. 미세한 모래와 실트가 작은 아치를 형성한 고리모양의 구조로써 간극비가 크고, 보통의 정적 하중을 지탱할 수 있으나 무거운 하중 또는 충격하중을 받으면 흙구조가 부서지고 큰 침하가 발생되는 흙의 구조는?
82. 다음의 토질 시험 중 투수계수를 구하는 시험이 아닌 것은?
83. 압밀에 걸리는 시간을 구하는데 관계가 없는 것은?
84. 다음 중 얕은 기초는?
85. 유선망을 작도하는 주된 목적은?
86. 절편법에 의한 사면의 안정해석 시 가장 먼저 결정되어야 할 사항은?
87. 다음 중 지지력이 약한 지반에서 가장 적합한 기초 형식은?
88. 랭킨 토압론의 가정으로 틀린 것은?
89. 점토 지반에서 직경 30cm의 평판재하시험 결과 30t/m2의 압력이 작용할 때 침하량이 5mm라면, 직경 1.5m의 실제 기초에 30t/m2의 하중이 작용할때 침하량의 크기는?
90. 흙을 다지면 기대되는 효과로 거리가 먼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91. 흙의 일축압축시험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92. 다음 그림에서 점토 중앙 단면에 작용하는 유효압력은?
93. 얕은기초의 근입심도를 깊게 하면 일반적으로 기초지반의 지지력은?
94. 전단시험법 중 간극수압을 측정하여 유효응력으로 정리하면 압밀배수 시험(CD-test)과 거의 같은 전단상수를 얻을 수 있는 시험법은?
95. 그림과 같은 지반에서 깊이 5m 지점에서의 전단강도는? (단, 내부마찰각은 35°, 점착력은 0이다.)
96. 흙의 다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97. 어떤 흙의 습윤단위중량(γt)은 2.0t/m3이고, 함수비는 18%이다. 이 흙의 건조단위중량(γd)은?
98. 동수경사(i)의 차원은?
99. rod에 붙인 어떤 저항체를 지중에 넣어 타격관입, 인발 및 회전할 때의 저항으로 흙의 전단강도 등을 측정하는 원위치 시험을 무엇이라 하는가?
100. 다음 시험 중 흐트러진 시료를 이용한 시험은?
6과목: 상하수도공학
101. 하천이나 호소에서 부영양화(eutrophication)의 주된 원인 물질은?
102. 유량이 1000m3/day이고 BOD가 100mg/L인 폐수를 유효용량 200m3인 포기조에서 처리할 경우 BOD 용적부하는?
103. 도수시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04. 관거 접합 방법 중 다른 방법에 비해 흐름은 원활 하나 하류의 굴착 깊이가 커지는 접합 방법은?
105. 슬러지의 안정화 목적으로 거리가 먼 것은?
106. 유역면적 2km2, 유출계수 0.6인 어느 지역에서 2시간 동안에 70mm의 호우가 내렸다. 합리식에 의한 이 지역의 우수유출량은?
107. 다음 중 완속여과지에 비하여 급속여과지의 장점이 아닌 것은?
108. 상수를 처리한 후에 치아의 충치를 예방하기 위해 주입할 수 있으며 원수 중에 과량으로 존재하면 반상치(반점치) 등을 일으키므로 제거하여야 하는 물질은?
109. 우수관거 및 합류관거의 최소 관경(A)과 관거의 최소 흙두께(B)로 옳게 짝지어진 것은?
110. 그림과 같은 활성슬러지 변법은?
111. 분류식과 합류식 하수 배제방식의 특징으로 틀린것은?
112. 다음 중 BOD 값이 크게 나타나는 경우는?
113. 계획취수량 결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14. 관거별 계획하수량을 결정할 때 고려하여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15. 펌프에 연결된 관로에서 압력강하에 따른 부압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116. 하수관거의 길이가 1.8km인 하수관거 내에서 우수가 1.5m/s의 유속으로 흐르고, 유입시간이 8분일 때 유달시간은?
117. 취수시설 중 취수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18. BOD가 94.8mg/L인 오수 5m3/h를 유량이 50m3/h인 하천에 방류한 결과 BOD가 14.1mg/L가 되었다. 오수가 유입되기 이전의 하천 BOD는?
119. 파괴점염소처리(또는 불연속점염소처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20. 송수관을 자연유하식으로 설계할 때, 평균유속의 허용최대한계는?
트러스 해법에서의 가정은 다음과 같다.
1. 모든 부재는 직선이다.
2. 모든 부재는 마찰이 없는 핀으로 양단이 연결되어있다.
3. 외력의 작용선은 트러스와 동일 평면 내에 있다.
4. 집중하중은 절점에 작용시키고, 분포하중은 부재 전체에 분포한다.
따라서, "집중하중은 절점에 작용시키고, 분포하중은 부재 전체에 분포한다."가 틀린 것은 아니다. 이 가정은 트러스 해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트러스 구조의 해석에 필수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