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응용역학
1. 그림과 같은 3힌지 아치의 수평반력 HA는?
2. 그림과 같이 지름이 d인 원형 단면의 B-B축에 대한 단면 2차 모멘트는?
3. 다음 값 중 경우에 따라서는 부(-)의 값을 갖기도 하는 것은?
4. 그림과 같은 단순보에 발생하는 최대 처짐은?
5. 그림과 같은 단순보에서 B점의 수직반력 RB가 50kN까지의 힘을 받을 수 있다면 하중 80kN은 A점에서 몇 m까지 이동할 수 있는가?
6. 지점 A에서의 수직반력의 크기는?
7. 그림과 같이 세 개의 평행력이 작용하고 있을 때 A점으로부터 합력(R)의 위치까지의 거리 x는 얼마인가?
8. 그림과 같은 원형 단면의 단순보가 중앙에 200kN 하중을 받을 때 최대 전단력에 의한 최대 전단응력은? (단, 보의 자중은 무시한다.)
9. 그림에서 두 힘(P1 = 50kN, P2 = 40kN)에 대한 합력(R)의 크기와 방향(θ) 값은?
10. 그림과 같은 양단고정인 기둥의 이론적인 유효세장비(λe)는 약 얼마인가?
11. 그림과 같이 단순보의 양단에 모멘트 하중 M이 작용할 경우, 이 보의 최대 처짐은? (단, EI는 일정하다.)
12. 트러스(Truss)를 해석하기 위한 가정 중 틀린 것은?
13. 그림과 같은 음영 부분의 단면적이 A인 단면에서 도심 y를 구한 값은?
14. 균질한 균일 단면봉이 그림과 같이 P1, P2, P3의 하중을 B, C, D점에서 받고 있다. 각 구간의 거리 a=1.0m, b=0.4m, c=0.6m이고 P2=100kN, P3=50kN의 하중이 작용할 때 D점에서의 수직방향 변위가 일어나지 않기 위한 하중 P1은 얼마인가?
15. 지지조건이 양단힌지인 장주의 좌굴하중이 1000kN인 경우 지점조건이 일단힌지, 타단고정으로 변경되면 이때의 좌굴하중은? (단, 재료성질 및 기하학적 형상은 동일하다.)
16. 어떤 재료의 탄성계수가 E, 푸아송 비가 ν일 때 이 재료의 전단 탄성계수(G)는?
17. 외력을 받으면 구조물의 일부나 전체의 위치가 이동될 수 있는 상태를 무엇이라 하는가?
18. 직사각형 단면의 최대 전단응력은 평균 전단응력의 몇 배인가?
19. 경간(L)이 10m인 단순보에 그림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중이 작용할 때 절대 최대 휨모멘트는? (단, 보의 자중은 무시한다.)
20. 전단력을 S, 단면 2차 모멘트를 I, 단면 1차 모멘트를 Q, 단면의 폭을 b라 할 때 전단응력도의 크기를 나타낸 식으로 옳은 것은? (단, 단면의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2과목: 측량학
21. 삼각형 표석에서 반석과 주석에 관한 내용 중 틀린 것은?
22. 수준측량에서 전시와 후시의 시준거리를 같게 하여 소거할 수 있는 오차는?
23. 다음 조건에 따른 C점의 높이 최확값은?
24. 축적 1:1000에서의 면적을 측정하였더니 도상면적이 3cm2 이었다. 그런데 이 도면 전체가 가로, 세로 모두 1%씩 수축되어 있었다면 실제면적은?
25. 편각법에 의하여 원곡선을 설치하고자 한다. 곡선 반지름이 500m, 시단현이 12.3m일 때 시단현의 편각은?
26. 하천의 평균유속을 구할 때 횡단면의 연직선 내에서 일점법으로 가장 적합한 관측 위치는?
27. 지형도를 작성할 때 지형 표현을 위한 원칙과 거리가 먼 것은?
28. 그림의 등고선에서 AB의 수평거리가 40m일 때 AB의 기울기는?
29. 지구전체를 경도를 6°씩 60개로 나누고, 위도는 8°씩 20개(남위 80° ~ 북위 84°)로 나누어 나타내는 좌표계는?
30. 그림과 같은 도로의 횡단면도에서 AB의 수평거리는?
31. 어느 지역의 측량 결과가 그림과 같다면 이 지역의 전체 토량은? (단, 각 구역의 크기는 같다.)
32. 표고 100m인 촬영기준면을 초점거리 150mm 카메라로 사진축척 1:20000의 사진을 얻기 위한 촬영비행고도는?
33. 위성의 배치상태에 따른 GNSS의 오차 중 단독측위(독립측위)와 관련이 없는 것은?
34. 매개변수 A=100m인 클로소이드 곡선길이 L=50m에 대한 반지름은?
35. 수준측량에서 도로의 종단측량과 같이 중간시가 많은 경우에 현장에서 주로 사용하는 야장기입법은?
36. 측량지역의 대소에 의한 측량의 분류에 있어서 지구의 곡률로부터 거리오차에 따른 정확도를 1/107까지 허용한다면 반지름 몇 km 이내를 평면으로 간주하여 측량할 수 있는가? (단, 지구의 곡률반지름은 6372km이다.)
37. 그림과 같은 관측값을 보정한 ∠AOC는?
38. 산지에서 동일한 각관측의 정확도로 폐합트래버스를 관측한 결과, 관측점수(n)가 11개, 각관측 오차가 1′ 15″ 이었다면 오차의 배분 방법으로 옳은 것은? (단, 산지의 오차한계는 ±90″ √n을 적용한다.)
39. 측선의 방위각이 50° 30′이고 그림과 같이 각 관측을 실시하였다. 측선의 방위각은?
40. 종단 및 횡단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과목: 수리학
41. 지하수의 유수 이동에 적용되는 Darcy의 법칙은? (단, v : 유속, k : 투수계수, I : 동수경사, h : 수심, R : 동수반경, C : 유속계수)
42. 반지름 1.5m의 강관에 압력수두 100m의 물이 흐른다. 강재의 허용응력이 147MPa일 때 강관의 최소 두께는?
43. 관수로 내의 흐름을 지배하는 주된 힘은?
44. 에너지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45. 위어(weir) 중에서 수두변화에 따른 유량 변화가 가장 예민하여 유량이 적은 실험용 소규모 수로에 주로 사용하며, 비교적 정확한 유량측정이 필요할 경우 사용하는 것은?
46. 그림과 같이 단면적이 200cm2인 90° 굽어진 관(1/4 원의 형태)을 따라 유량 Q = 0.05 m3/s 의 물이 흐르고 있다. 이 굽어진 면에 작용하는 힘(P)은?
47. 지름 0.3cm의 작은 물방울에 표면장력 T15 = 0.00075 N/cm가 작용할 때 물방울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는?
48. 정수(靜水) 중의 한 점에 작용하는 정수압의 크기가 방향에 관계없이 일정한 이유로 옳은 것은?
49. 개수로에서 도수로 인한 에너지 손실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h1 : 도수 전의 수심, h2 : 도수 후의 수심)
50. 그림과 같이 단면 ①에서 관의 지름이 0.5m, 유속이 2m/s이고, 단면 ②에서 관의 지름이 0.2m일 때 단면 ②에서의 유속은?
51. 흐름 중 상류(常流)에 대한 수식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Hc : 한계수심, Ic : 한계경사, Vc : 한계유속, H : 수심, I : 수로경사, V : 유속)
52. 10m 깊이의 해수 중에서 작업하는 잠수부가 받는 계기압력은? (단, 해수의 비중은 1.025)
53. Darcy의 법칙을 지하수에 적용시킬 수 있는 경우는?
54. 수축계수 0.45, 유속계수 0.92인 오리피스의 유량 계수는?
55. 유체의 점성(viscosity)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56. 그림과 같이 지름 3m, 길이 8m인 수문에 작용하는 수평분력의 작용점까지 수심(hc)은?
57. 사다리꼴 단면인 개수로에서 수리학적으로 가장 유리한 단면의 조건은? (단, R : 경심, B : 수면 폭, h : 수심)
58. 관수로의 관망설계에서 각 분기점 또는 합류점에 유입하는 유량은 그 점에서 정지하지 않고 전부 유출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관망을 해석하는 방법은?
59. 개수로에서 파상도수가 일어나는 범위는? (단, Fr1 : 도수 전의 Froude number)
60. 마찰손실계수(f)가 0.03일 때 Chezy의 평균유속계수(C, m1/2/s)는? (단, Chezy의 평균유속 V = C √RI)
4과목: 철근콘크리트 및 강구조
61.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가 25MPa, 철근의 항복강도가 300MPa로 설계된 부재에서 공칭지름이 25mm인 인장 이형철근의 기본정착길이는? (단, 경량콘크리트 계수 : λ = 1)
62. 그림과 같은 고장력 볼트 마찰이음에서 필요한 볼트 수는 몇 개 인가? (단, 볼트는 M24(=ø24mm), F10T를 사용하며, 마찰이음의 허용력은 56kN이다.)
63. 보통중량 콘크리트(mc=2300kg/m3)와 설계기준 항복강도 400 MPa인 철근을 사용한 길이 10m의 단순 지지 보에서 처짐을 계산하지 않는 경우의 최소 두께는?
64.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 단면의 보에서 등가직사각형 응력블록의 깊이(a)는? (단, As = 2382 mm2, fy = 400 MPa, fck = 28 MPa)
65. fck = 28 MPa, fy = 400 MPa 인 단철근 직사각형 보의 균형철근비는?
66. 프리스트레스 도입 시의 프리스트레스 손실원인이 아닌 것은?
67.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원리를 설명할 수 있는 기본개념으로 옳지 않은 것은?
68. 다음 중 용접이음을 한 겨우 용접부의 결함을 나타내는 용어가 아닌 것은?
69. 단철근 직사각형보에서 인장철근량이 증가하고 다른 조건은 동일할 경우 중립축의 위치는 어떻게 변하는가?
70. 경간 10m 대칭 T형보에서 양쪽 슬래브의 중심간 거리가 2100mm, 플랜지 두께는 100mm, 복부의 폭(bw)은 400mm일 때 플랜지의 유효폭은?
71. 1방향 슬래브의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72. 그림과 같은 보에서 전단력과 휨모멘트만을 받는 경우 보통중량 콘크리트가 받을 수 있는 전단강도 Vc 는 얼마인가? (단, fck = 28 MPa, fy = 400 MPa)
73. 옹벽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74. 폭 250mm, 유효깊이 500mm, 압축연단에서 중립축까지의 거리(c)가 200mm,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fck)가 24MPa인 단철근 직사각형 균형보에서 공칭휨강도(Mn)는?
75. 철근과 콘크리트가 구조체로서 일체 거동을 하기 위한 조건으로 틀린 것은?
76. 아래의 표에서 설명하고 있는 철근은?
77. 강판을 리벳 이음할 때 불규칙 배치(엇모배치)할 경우 재편의 순폭은 최초의 리벳구멍에 대하여 그 지름(d)을 빼고 다음 것에 대하여는 다음 중 어느 식을 사용하여 빼주는가? (단, g : 리벳선간거리, p : 리벳의 피치)
78. 그림과 같은 단순보에서 자중을 포함하여 계수하중이 20kN/m 작용하고 있다. 이 보의 전단 위험단면에서의 전단력은?
79. 직사각형 단면 300mm×400mm인 프리텐션 부재의 550mm2의 단면적을 가진 PS강선을 단면도심에 배치하고 1350MPa의 인장응력을 가하였다. 콘크리트의 탄성변형에 따라 실제로 부재에 작용하는 유효 프리스트레스는 약 얼마인가? (단, 탄성계수비 n=6 이다.)
80. 아래의 표와 같은 조건에서 하중재하 기간이 5년이 넘은 경우 추가 장기처짐량은?
5과목: 토질 및 기초
81. 점토층에서 채취한 시료의 압축지수(Cc)는 0.39, 간극비(e)는 1.26이다. 이 점토층 위에 구조물이 축조되었다. 축조되기 이전의 유효압력은 80 kN/m2, 축조된 후에 증가된 유효압력은 60 kN/m2이다. 점토층의 두께가 3m일 때 압밀 침하량은 얼마인가?
82. 포화도가 100%인 시료의 체적이 1000cm3이었다. 노건조 후에 측정한 결과, 물의 질량이 400g 이었다면 이 시료의 간극률(n)은 얼마인가?
83. Dunham의 공식으로, 모래의 내부마찰각(ø)과 관입저항치(N)와의 관계식으로 옳은 것은? (단, 토질은 입도배합이 좋고 둥근 입자이다.)
84. 기존 건물에 인접한 장소에 새로운 깊은 기초를 시공하고자 한다. 이때 기존 건물의 기초가 얕아 보강하는 공법 중 적당한 것은?
85. 예민비가 큰 점토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86. 일축압축강도가 32 kN/m2, 흙의 단위중량이 16 kN/m3이고, ø=0 인 점토지반을 연직굴착 할 때 한계고는 얼마인가?
87. 동해의 정도는 흙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다음 중 우리나라에서 가장 동해가 심한 것은?
88. 모래치환법에 의한 흙의 밀도 시험에서 모래를 사용하는 목적은 무엇을 알기 위해서인가?
89. 어느 흙 시료의 액성한계 시험결과 낙하횟수 40일 때 함수비가 48%, 낙하횟수 4일 때 함수비가 73%였다. 이때 유동지수는?
90. 파이핑(Piping) 현상을 일으키지 않는 동수경사(i)와 한계 동수경사(ic)의 관계로 옳은 것은?
91. 평판재하시험에서 재하판과 실제기초의 크기에 따른 영향, 즉 Scale effcect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92. 도로공사 현장에서 다짐도 95%에 대한 다음 설명으로 옳은 것은?
93. 압축작용(pressure action)과 반죽작용(kneading action)을 함께 가지고 있는 롤러는?
94. 아래 그림과 같은 정수위 투수시험에서 시료의 길이는 L, 단면적은 A, t시간 동안 메스실런더에 개량된 물의 양이 Q, 수위차는 h로 일정할 때 이 시료의 투수계수는?
95. 다음 중 사질토 지반의 개량공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96. 다음 중 흙 속의 전단강도를 감소시키는 요인이 아닌 것은?
97. 일반적인 기초의 필요조건으로 거리가 먼 것은?
98. 다음 중 투수계수를 좌우하는 요인과 관계가 먼 것은?
99. 그림과 같은 옹벽에서 전주동 토압(Pa)과 작용점의 위치(y)는 얼마인가?
100. 다음 중 전단강도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것은?
6과목: 상하수도공학
101. 유입하수량 30000 m3/day, 유입 BOD 200mg/L, 유입 SS 150mg/L이고, BOD 제거율이 95%, SS 제거율이 90%일 경우, 유출 BOD의 농도( ㉠ )와 유출 SS의 농도( ㉡ )는?
102. 하천에 오수가 유입될 때 하천의 자정작용 중 최초의 분해지대에서 BOD가 감소하는 주요 원인은?
103. 하수도계획의 목표연도는 원칙적으로 몇 년을 기준으로 하는가?
104. 계획1인1일최대급수량 400L/(인ㆍday), 급수보급율 95%, 인구 15만명의 도시에 급수계획을 하고자 할 때, 이 도시의 계획1일최대급수량은?
105. 취수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06. 하수 관정부식(crown corrosion)의 원인이 되는 물질은?
107. 하수처리장의 반응조에서 미생물의 고형물 체류시간(SRT)을 구할 때 무시될 수 있는 항목은?
108. 상수도관 내의 수격현상(water hammer)을 경감시키는 방안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09. 펌프의 임펠러 입구에서 정압이 그 수온에 상당하는 포화 증기압 이하가 되면 그 부분에 증기가 발생하거나 흡입관으로부터 공기가 흡입되어 기포가 생기는 현상은?
110. 침전시설과 여과시설 등을 거친 정수장의 배출수는 최종적으로 적절한 배출수 처리설비를 거쳐 방류된다. 배출수 처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11. 상수의 소독방법 중 염소처리와 오존처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12. 대장균군이 오염지표로 널리 사용되는 이유로 옳은 것은?
113. 현재 인구가 20만명이고 연평균 인구증가율이 4.5%인 도시의 10년 후 추정 인구는? (단, 등비급수법에 의한다.)
114. 정수시설 중 혼화지와 침전지 사이에 위치하는 설비로서 완속교반을 행하는 설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15. 하수관로의 경사와 유속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16. 계획배수량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17. 하수배제방식 중 분류식과 비교하여 합류식이 갖는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18. 분류식에서 사용되는 중계 펌프장 시설의 계획하수량은?
119. 계획오수량 산정에서 고려되는 것이 아닌 것은?
120. 호기성 소화와 혐기성 소화를 비교할 때, 혐기성 소화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먼저, 수직반력 VA는 물체의 무게와 같으므로 200 kN이다.
다음으로, 수평반력 HB를 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3힌지 아치의 반력을 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아치의 중심에서의 모멘트 균형을 이용할 수 있다.
시계 방향으로 순서대로 힘의 합력과 모멘트를 구해보면 다음과 같다.
- 200 kN (물체의 무게)
- 60 kN (A 지점에서의 수직반력)
- 80 kN (B 지점에서의 수평반력)
- 100 kN (C 지점에서의 수직반력)
이를 이용하여 모멘트 균형식을 세우면 다음과 같다.
(200 kN) × 4 m + (60 kN) × 2 m - (80 kN) × 3 m - (100 kN) × 2 m = 0
이를 풀면 수평반력 HB = 80 kN을 얻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수평반력 HA를 구하기 위해서는 아치의 중심에서의 수평반력의 합력이 0이 되도록 모멘트 균형식을 세워야 한다.
(80 kN) × 3 m - HA × 4 m = 0
이를 풀면 수평반력 HA = 60 kN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80 kN"이 아니라 "60 kN"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