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지적측량
1. 평판측량방법에 의한 세부측량을 도선법으로 하는 경우 도선의 변은 몇 개 이하로 제한 하는가?
2. 평판측량방법으로 세부측량을 하는 경우의 기준으로서 옳지 않은 것은?
3. 지적삼각보조점측량에서 다각망도선법에 의한 측량시 1도선의 점의 수는 최대 몇 개까지로 할 수 있는가? (단, 기지점과 교점을 포함한 점의 수)
4. 강제권척(steel tape)으로 일정한 거리를 측정하여 96.98m를 얻었다. 강제권척을 검정한 바 100m에 35mm가 줄어 있음을 알았다. 보정된 실거리는?
5. 경계점좌표등록부 시행지역에서 배각법에 의하여 도근측량을 실시하였다. 폐색변을 포함하여 17변일 때 1등도선의 폐색오차의 허용범위는?
6. 다음 중 지적소관청이 축척변경 시행기간 중에 축척변경 시행지역에서 축척변경 확정공고일까지 정지하여야 하는 것은? (단, 보기 ②의 경계복원측량의 경우 경계점표지의 설치를 위한 경계복원측량은 제외한다.)
7. 지적도 축척이 1/1200인 지역에서 평판측량방법으로 세부측량을 시행할 경우 도상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는 지상거리의 허용범위는?
8. 지번 및 지목을 제도하는 때에 지번과 지목의 글자간격은 글자크기의 어느 정도를 띄어서 제도하는가?
9. 지적기준점 표지설치의 점간거리 기준으로 옳은 것은?
10. 지적조면에 등록하는 동ㆍ리의 행정구역선 폭은?
11. 경사거리가 28.80m이고 하시준공으로 관측한 앨리데이트(aildade)의 경사분획이 +15분획이었다면 이때 보정한 수평거리는 얼마인가?
12. 두 점간의 수평거리가 148m이고 연직각이 -5°10‘00“일 때 두 점간의 경사거리는?
13. 방위각법에 의한 지적도근점측량시 관측방위각이 83°15‘이고 기자방위각이 83°18’이었을 때 방위각 오차는?
14. 다음 중 지적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5. 평판측량방법에 의한 세부측량으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은?
16. 경위의측량방법에 따른 세부측량을 실시하는 경우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7. 지적도의 축척 1/600에 등록된 토지의 면적이 70.65m2으로 산출되었다. 지적공부에 등록하는 결정면적은?
18. 방위각법에 의한 지적도근점측량 계산에서 종횡선오차는 어떻게 배분하는가? (단, 연결오차가 허용범위 이내인 경우)
19. 교회법에 의한 지적삼각보조점측량에서 두 점간의 종선차가 40.30m, 횡선차가 61.25m일 때 두 점 간의 연결교차는?
20. 다음 중 트랜싯(Transit)이 갖추어야 할 3축의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2과목: 응용측량
21. 다음 중 원곡선이 아닌 것은?
22. 촬영고도가 1500m인 비행기에서 표고 1000m의 지형을 촬영했을 때 이 지형의 사진축척은? (단, 초점거리는 150mm)
23. 원곡선 설치시 교각 60°, 반지름 200m, 곡선시점의 위치가 No.20+12.5m일 때 곡선종점의 위치는? (단, 측점간 거리는 20m)
24. GPS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25. 등고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6. 1:50000 지형도에서 A점은 140m 등고선 위에, B점은 180m 등고선 위에 있다. 두 점 사이의 경사가 15%일 때 수평거리는?
27. 다음 중 깊이 50m, 직경 5cm인 수직 터널에 의해 터널 내외를 연결하는 측량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28. 지형도는 지표면 상의 자연 및 지물(地物), 지모(地貌)를 표현하게 되는데, 다음 항목 중에서 지모(地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29. 초점거리 150mm, 가진크기 23cm×23cm, 축척 1:10000인 사진이 있다. 종중복도가 60%일 때 기선고도비는?
30. 사진판독에서 정성적 요소가 아닌 것은?
31. 곡선반지름이나 곡선길이가 작은 시가지의 곡선설치나 철도, 도로 등의 기설곡선의 검사 또는 개정에 편리한 노선측량 방법은?
32. 등고선간 최소거리의 방향이 의미하는 것은?
33. 지하시설물 도면을 작성할 경우 시설물과 색상이 바르게 연결되지 않는 것은?
34. 수준측량에서 전시와 후시의 거리를 같게 측량함으로써 제거되는 오차가 아닌 것은?
35. 삼각수준측량에서 연직각 a=20°, 두 점 사이의 수평거리 D=400m, 기계 높이 I=1.70m, 표척의 높이 Z=2.50m이면 두 점간의 고저차는? (단, 대기오차와 지구의 곡률 오차는 고려하지 않는다.)
36. GPS 측량에서 지적기준점 측량과 같이 높은 정밀도를 필요로 할 때 사용하는 관측방법은?
37. 사진측량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8. 상호표정이 끝났을 때 사진모델과 실제 지형모델의 관계로 옳은 것은?
39. 그림에서 여유 폭을 고려한 단면용지의 폭은? (단, 여유폭은 0.5m로 한다.)
40. A점의 표고 100.65m. B점의 표고 104.25m일 때 레벨을 사용하여 A점에 세운 표척의 읽음값이 5.23m이었다면 B점에 세운 표척의 읽음값은?
3과목: 토지정보체계론
41. 모든 데이터들을 테이블과 같은 형태로 나타내는 것으로 데이터 구조를 릴레이션으로 표현하는 모델은?
42. 다음 중 래스터데이터가 갖는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43. 다음 중 지적전산화의 목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
44. 한 픽셀에 대해 8bit를 사용하면 몇 가지 서로 다른 값을 표현할 수 있는가?
45. 도로, 전력, 상하수도 등과 같이 연결성을 기반으로 하는 분야에서 최적 경로, 효율적인 자원의 이동과 배치 등을 산출하는 분석기법은?
46. 토지정보체계의 데이터 모델 생성과 관련된 개체(entity)와 객체(object)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47. 데이터베이스 구축에서 현지조사 및 현장보완 측량 결과를 이용하여 이미 입력된 공간 데이터를 수정하는 것은?
48. 토지정보를 공간자료를 속성자료로 분류할 때 다음 중 공간자료에 해당하는 것으로만 나열된 것은?
49. 토지정보체계에 있어 기반이 되는 것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50. 지적도 재작성 사업을 시행하여 지적도 독취자료를 이용하는 도면전산화의 추진 년도는?
51. 공간데이터의 질을 평가하는 기준과 거리가 먼 것은?
52. 다음 중 데이터베이스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53. 메타데이터의 기본적인 요소가 아닌 것은?
54. 베이스맵을 만들고 각 레이어 별로 분류도를 만들었다. 이들을 중첩했을 때 산사태로 가장 큰 피해가 예상되는 지역은?
55. 지도 형상이 일정한 격자구조로 정의되는 측성정보로 옳은 것은?
56. 국가공간정보에 관한 법령에 의한 국가공간정보위원회의 분과위원회가 아닌 것은?
57. 다음 중 SQL의 특징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58. 다음 중 광범위한 자료를 호환을 위한 규약으로서, 국가지리정보체계(NGIS)의 공간데이터 교환포맥으로 하였던 것은?
59. 다음의 데이터 언어 중 데이터 정의어(DLL)에 해당하는 것은?
60. 공간데이터를 취득하는 디지타이저의 유형이 아닌 것은?
4과목: 지적학
61. 우리나라의 지적에 수치지적이 시행되기 시작한 연대는?
62. 다음 중 지적의 발생설과 관계가 먼 것은?
63. 다음 지목 중 잡종지에서 분리된 지목에 해당 하는 것은?
64. 다음 중 적극적 토지등록제도의 기본원칙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65. 지적의 원리 중, 지적활동의 정확도를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66. 공훈의 자등에 따라 공신들에게 일정한 면적의 토지를 나누어 준 것으로, 고려시대 토지제도 정비의 효시가 된 것은?
67. 경계의 결정 원칙 중 경계불가분의 원칙과 관련이 없는 것은?
68. 다음 중 토렌스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69. 토지소유권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70. 궁장토 관리조직의 변천과정으로 옳은 것은?
71. 다음 중 지적형식주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72. 다음 중 지적의 일반적 기능 및 역할로 옳지 않은 것은?
73. 토지를 등록하는 지적공부를 크게 토지대장 등록지와 임야대장 등록지로 구분하고 있는 직접적인 원인은?
74. 다음 중 근대 지적제도가 창설되기 이전에 문란한 토지제도를 바로잡기 위하여 대한제국에서 과도기적으로 시행한 제도는?
75. 지적공개주의의 의미로 가장 적합한 것은?
76. 지목의 설정원칙이 아닌 것은?
77. 다음 중 조선시대 토지제도인 양전법에서 규정한 전형(田形:토지의 모양) 5가지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78. 고려시대 토지를 기록하는데 대장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79. 다음 중 지적도와 임야도의 등록사항이 아닌 것은?
80. 조선시대에 정약용이 주장한 양전개정론의 내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5과목: 지적관계
81. 지적도에 기재하는 지목부호는 “유”와 “장”은 어떤 지목인가?
82. 1필지로 정할 수 있는 기준에 적합하지 않는 것은?
83. 다음 중 일람도를 작성하는 축척 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도면의 장수가 많아서 1장에 작성할 수 없는 경우는 고려하지 않는다.)
84. 다음 중 합병의 금지사유가 아닌 것은?
85. 다음 대한지적공사의 사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86. 지적공부의 등록사항 중 모든 지적공부에 공부에 공통으로 등록되는 사항으로 맞는 것은?
87. 다음 중 지번을 순차적으로 부여하여야 하는 방향 기준으로 옳은 것은?
88. 다음 중 지적공부 등록을 말소할 수 있는 사항은?
89. 축척변경 시행공고 시 기재해야할 사항이 아닌 것은?
90. 다음 중 지적측량업의 등록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91. 다음 중 지목이 “체육용지”가 아닌 것은?
92. 측량ㆍ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에 따른 용어의 정의가 틀린 것은?
93. 지적전산자료의 이용ㆍ활용에 대한 승인권자가 아닌 자는?
94. 축척변경에 대한 확정공고의 시기로 옳은 것은?
95. 지적공부의 복구자료가 될 수 없는 것은?
96. 지목 부호는 다음의 지적공부 중 어디에 표기하는가?
97. 지적공부를 복구하려는 경우에는 복구하려는 토지의 표시 등을 시ㆍ군ㆍ구 게시판 및 인터넷 홈페이지에 몇 일 이상 게시하여야 하는가?
98. 지적 관련 법령에 따른 지목설정의 원칙이 아닌 것은?
99. 다음 중 공유지연명부의 등록사항으로 틀린 것은?
100. 다음 중 지적공부를 청사 밖으로 반출할 수 없는 경우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