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기계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2-01)

건설기계정비기능사
(2004-02-0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건설기계정비(임의구분)

1. 연료파이프 내에 베이퍼록이 일어나면 어떤 현상이 발생 되는가?

  1. 엔진출력이 저하된다.
  2. 연료의 송출량이 많아진다.
  3. 기관 압축압력이 저하된다.
  4. 기관 출력과는 관계 없다.
(정답률: 69%)
  • 연료파이프 내에 베이퍼록이 일어나면 연료의 유동성이 감소하게 되어 연료의 송출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이는 연료의 공급량이 부족해져 엔진의 연소량이 감소하게 되어 엔진출력이 저하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엔진출력이 저하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밸브 서어징(surging)현상의 설명 중 알맞는 것은?

  1. 밸브가 열릴 때 천천히 열리는 현상
  2. 밸브의 흡기배기가 동시에 열리는 현상
  3. 고속시 밸브의 고유진동수와 캠의 회전수의 공명에 의하여 스프링이 튕기는 현상
  4. 고속회전에서 저속으로 변화할 때 스프링의 장력차에 의한 현상
(정답률: 68%)
  • 고속시 밸브의 고유진동수와 캠의 회전수의 공명에 의하여 스프링이 튕기는 현상은 밸브 서어징 현상의 원인입니다. 이는 밸브가 고속으로 열리고 닫힐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밸브 스프링의 고유진동수와 캠의 회전수가 일치하여 스프링이 튕기면서 밸브가 열리는 현상입니다. 이는 엔진의 성능 저하와 소음 발생 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대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4행정 싸이클 1-3-4-2의 폭발순서에서 1번이 흡기 행정시 4번은 무슨 행정을 하는가?

  1. 흡입
  2. 압축
  3. 폭발
  4. 배기
(정답률: 82%)
  • 4번은 폭발 행정을 합니다. 이는 1번이 흡입 행정을 하여 공기와 연료를 혼합한 후, 2번인 압축 행정에서 압축하여 높은 압력과 온도를 만들고, 3번인 폭발 행정에서 연료가 불타면서 폭발하고, 마지막으로 4번인 배기 행정에서 연소 가스를 배출하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4행정 싸이클에서 4번은 폭발 이후에 일어나는 배기 행정이 아니라, 폭발을 일으키는 행정을 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광원의 광도가 200cd 이고 거리가 2m 일 때의 조도는?

  1. 50 Lx
  2. 100 Lx
  3. 200 Lx
  4. 400 Lx
(정답률: 49%)
  • 조도는 광원에서 발산되는 광량을 수신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수식으로는 조도 = 광도 / 거리^2 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광도 200cd을 거리 2m의 제곱인 4로 나누어 계산하면 됩니다. 200 / 4 = 50 이므로, 정답은 "50 Lx"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연소실의 체적이 30cc이고 행정의 체적이 150cc인 기관의 압축비는?

  1. 5:1
  2. 6:1
  3. 7:1
  4. 8:1
(정답률: 64%)
  • 압축비는 연소실 체적과 행정 체적의 비율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압축비는 30cc/150cc = 1/5 = 5:1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2행정 사이클 디젤기관의 소기를 하기 위해서는?

  1. 에어 클리너에 의해 고압 공기를 밀어 넣는다.
  2. 캬브레이타에 의해 고압 공기를 밀어 넣는다.
  3. 거버너에 의해 고압 공기를 밀어 넣는다.
  4. 브로워(blower)에 의해 고압 공기를 밀어 넣는다.
(정답률: 66%)
  • 디젤기관에서 소기란 공기를 흡입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때 브로워는 엔진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브로워에 의해 고압 공기를 밀어 넣는 것이 소기를 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분사펌프의 테스트 결과가 아래와 같을 때 수정을 요하는 실린더는? (단, 불균율 한계는 ± 4(%)이다.)

  1. 1, 2번 실린더
  2. 2, 3번 실린더
  3. 3, 4번 실린더
  4. 5, 6번 실린더
(정답률: 79%)
  • 분사펌프의 테스트 결과를 보면 1번 실린더와 4번 실린더의 흡입압력과 분사압력의 차이가 모두 -4% 이하로 균일하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이 두 개의 실린더는 정상이다. 하지만 2번 실린더와 3번 실린더의 경우 흡입압력과 분사압력의 차이가 각각 -8%, -12%로 불균일하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이 두 개의 실린더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정답은 "2, 3번 실린더"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4행정 사이클 기관이 3행정을 끝내려면 크랭크 축의 회전 각도는?

  1. 1080°
  2. 900°
  3. 720°
  4. 540°
(정답률: 79%)
  • 4행정 사이클은 4개의 과정을 거치며 한 바퀴(360°)를 돕니다. 따라서 1행정을 끝내면 크랭크 축은 90° 회전하고, 2행정을 끝내면 180° 회전하고, 3행정을 끝내면 270° 회전합니다. 따라서 4행정을 끝내려면 크랭크 축은 360° + 270° = 630° 회전해야 합니다. 하지만 4행정을 끝내면 다시 1행정으로 돌아가므로, 크랭크 축은 360°를 더 회전하여 총 630° + 360° = 990° 회전합니다. 마지막으로 2행정을 끝내면 180°를 더 회전하여 총 990° + 180° = 1170° 회전합니다. 하지만 한 바퀴(360°)를 돌았으므로, 최종적으로 크랭크 축은 1170° - 360° = 810° 회전합니다. 따라서 3행정을 끝내려면 크랭크 축은 810° + 270° = 1080° 회전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80°"이 아닌 "54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AC 발전기의 정류용 다이오드는 무슨 작용을 하는가?

  1. 발전기 출력제어를 돕는다.
  2. 발전기 전압을 높인다.
  3. 발전기 전류를 정류한다.
  4. 발전기 출력을 증가시킨다.
(정답률: 79%)
  • AC 발전기에서 정류용 다이오드는 반도체 소자로서, 양방향 전류를 일방향으로 흐르게 만들어 발전기에서 나오는 교류 전류를 직류 전류로 변환합니다. 이를 통해 발전기에서 나오는 전류를 일정한 크기로 유지시켜 발전기 전류를 정류합니다. 따라서 "발전기 전류를 정류한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라디에이터에서 증기가 분출하는 원인이 될수 없는 것은?

  1. 냉각수 부족
  2. 라디에이터 캡의 패킹불량
  3. 연료 부족
  4. 라디에이터 핀 막힘
(정답률: 79%)
  • 라디에이터에서 증기가 분출하는 원인은 냉각수 부족, 라디에이터 캡의 패킹불량, 라디에이터 핀 막힘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연료 부족은 냉각 시스템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에 라디에이터에서 증기가 분출하는 원인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기동전동기에 대한 시험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누설 시험
  2. 부하 시험
  3. 무부하 시험
  4. 회전력 시험
(정답률: 66%)
  • 기동전동기의 누설 시험은 전기적인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한 시험이며, 부하 시험은 기동전동기의 출력 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시험이고, 무부하 시험은 회전체의 회전 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시험이며, 회전력 시험은 회전체의 회전 힘을 확인하기 위한 시험입니다. 따라서, 기동전동기에 대한 시험과 관계가 없는 것은 "누설 시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12(V), 100(AH)의 축전지 2개를 병렬로 접속하면?

  1. 24(V), 100(AH)가 된다.
  2. 12(V), 100(AH)가 된다.
  3. 24(V), 200(AH)가 된다.
  4. 12(V), 200(AH)가 된다.
(정답률: 72%)
  • 축전지의 전압은 병렬 접속 시에는 변하지 않고, 용량은 더해진다. 따라서 12V, 100AH의 축전지 2개를 병렬로 접속하면 전압은 12V로 유지되고, 용량은 100AH + 100AH = 200AH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2(V), 200(AH)가 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지게차 조종석의 계기판 사용 중 틀리게 설명한 것은 어떤 것인가?

  1. 엔진유압 경고 등은 엔진의 윤활유 압력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2. 충전 램프는 발전기의 발전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3. 연료계의 바늘이 "E"를 가르키면 연료가 거의 없는 것이다.
  4. 엔진 수온계의 바늘지침이 녹색(혹은 백색) 범위를 벗어나면 정상이다.
(정답률: 76%)
  • "엔진 수온계의 바늘지침이 녹색(혹은 백색) 범위를 벗어나면 정상이다."가 틀리다. 엔진 수온계의 바늘지침이 녹색(혹은 백색) 범위를 벗어나면 엔진이 과열되었거나 과냉각되었음을 나타내므로 이는 비정상적인 상황이다. 정상 범위는 일반적으로 노란색 또는 빨간색으로 표시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공회전 상태에서 디젤엔진의 진공도 시험시 진공계 지침이 130∼150mmHg 사이에서 규칙적으로 강약이 있게 흔들리는 경우는?

  1. 분사시기가 맞지 않을 때
  2. 배기계통에 막힘이 있을 때
  3. 헤드 가스켓이 파손되었을 때
  4. 밸브 타이밍이 틀리지 않을 때
(정답률: 45%)
  • 공회전 상태에서 디젤엔진의 진공도 시험시 진공계 지침이 130∼150mmHg 사이에서 규칙적으로 강약이 있게 흔들리는 경우는 헤드 가스켓이 파손되었을 때입니다. 이는 엔진 내부의 압력이 누출되어 실린더와 물이 섞이게 되어 발생하는 현상으로, 이로 인해 진공계 지침이 불안정하게 나타나게 됩니다. 따라서 헤드 가스켓이 파손되었을 때는 정상적인 엔진 작동이 어렵고, 엔진 내부의 물이 누출되어 엔진 오일이 물과 섞이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디젤기관의 실린더 헤드 변형은 무엇으로 점검하는가?

  1. 마이크로 미터와 강철자
  2. 다이얼 게이지와 직각자
  3. 플라스틱 게이지와 필러 게이지
  4. 직각자와 필러 게이지
(정답률: 73%)
  • 디젤기관의 실린더 헤드 변형은 직각자와 필러 게이지로 점검합니다. 이는 실린더 헤드의 평면도를 확인하기 위해 직각자를 사용하고, 필러 게이지를 사용하여 실린더 헤드의 평면과 실린더 블록의 평면 간의 높이 차이를 측정하기 때문입니다. 이 방법은 정확하고 간단하며, 디젤기관의 실린더 헤드 변형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29톤급 굴삭기 엔진에 부착되는 스탭핑 모터의 기능을 바르게 기술한 것은?

  1. 콘트롤러로 부터 신호를 받아 인젝션펌프를 미세 동작시킨다.
  2. 콘트롤러로 부터 신호를 받아 엔진의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3. 스피드센서로 부터 신호를 받아 인젝션펌프를 미세 동작시킨다.
  4. 스피드센서로 부터 신호를 받아 엔진의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정답률: 44%)
  • 스탭핑 모터는 인젝션펌프를 미세하게 동작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콘트롤러로부터 신호를 받아 인젝션펌프를 미세하게 동작시키는 것이 스탭핑 모터의 기능입니다. 스피드센서는 엔진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므로, 스피드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엔진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것은 스탭핑 모터의 기능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줄 작업 또는 기계 가공한 평면 또는 곡면을 더욱 정밀하게 다듬질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공구는?

  1. 다이스(dies)
  2. 스크레이퍼(scraper)
  3. 정(chisel)
  4. 탭(tap)
(정답률: 63%)
  • 스크레이퍼는 날이 뾰족하게 굽혀져 있어 작업 대상의 표면을 정밀하게 다듬는 데 사용되는 공구입니다. 따라서 줄 작업이나 기계 가공한 평면 또는 곡면을 더욱 정밀하게 다듬질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다이스는 나사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공구, 정은 나무나 돌 등을 조각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구, 탭은 나사를 만들기 위해 나사홈을 만드는 공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나사 가공시 사용하는 공구가 아닌 것은?

  1. 리머
  2. 다이스
  3. 탭핸들
(정답률: 49%)
  • 탭, 다이스, 탭핸들은 모두 나사 가공시 사용하는 공구이지만, 리머는 나사 가공이 아닌 다른 작업에 사용되는 공구입니다. 리머는 구멍의 내부를 깍아주는 공구로, 나사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리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탄소강의 표면경화 처리방법이 아닌 것은?

  1. 화염 경화법
  2. 풀림
  3. 고주파 경화법
  4. 침탄법
(정답률: 67%)
  • 정답인 "풀림"은 탄소강의 표면을 경화시키는 방법이 아니라, 오히려 경화된 표면이 녹아서 부서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는 탄소강의 표면을 경화시키는 방법들이 나열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칠드 주철의 표면 조직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시멘타이트
  2. 펄라이트
  3. 오스테나이트
  4. 레데뷰라이트
(정답률: 47%)
  • 칠드 주철은 주로 시멘타이트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주철과 시멘트 사이에 형성되는 화합물로, 주철의 경도와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칠드 주철의 표면 조직으로는 시멘타이트가 가장 적당합니다. 펄라이트, 오스테나이트, 레데뷰라이트는 칠드 주철의 특성과는 관련이 적은 조직 구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일반기계공학(임의구분)

21. 다음의 V 벨트 중 단면치수가 가장 큰 것은?

  1. A형
  2. B형
  3. C형
  4. D형
(정답률: 49%)
  • 단면치수란 벨트의 두께와 너비를 합한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단면치수가 가장 큰 벨트는 너비와 두께가 모두 큰 D형 벨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감속비를 가장 크게 할 수 있는 기어는?

  1. 내접 기어
  2. 웜 기어
  3. 베벨 기어
  4. 헬리컬 기어
(정답률: 37%)
  • 웜 기어는 웜 톱니와 웜 휠로 이루어져 있으며, 웜 톱니는 웜 휠의 축선과 직각으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이 구조로 인해 웜 기어는 다른 기어들과 달리 회전 방향이 수직으로 변화되며, 이로 인해 감속비를 크게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웜 기어가 감속비를 가장 크게 할 수 있는 기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미터 나사는 나사산의 각도가 60° 이다.
  2. 톱니 나사는 나사산의 각도가 30° , 45° 이다.
  3. 유니파이 나사는 나사산의 각도가 60° 이다.
  4. 유니파이 나사의 피치는 인접하는 나사산의 거리를 inch로 나타낸다.
(정답률: 60%)
  • 정답은 "유니파이 나사의 피치는 인접하는 나사산의 거리를 inch로 나타낸다."가 아닙니다.

    유니파이 나사의 피치는 인접하는 나사산의 거리를 나타내는 단위이며, 이는 inch 또는 mm 등으로 표시됩니다. 나사산의 각도는 60°이 맞습니다. 미터 나사는 나사산의 각도가 60°이며, 톱니 나사는 나사산의 각도가 30° 또는 4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주성분이 0.8%의 탄소(C)와 18%의 텅스텐(W), 4%의 크롬(Cr), 1%의 바나듐(V)으로 구성된 특수강은?

  1. 초경합금
  2. 스테인리스강
  3. 고속도강
  4. 스텔라이트
(정답률: 40%)
  • 주성분으로 텅스텐이 18%로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크롬과 바나듐도 함유하고 있어 내식성과 내마모성이 뛰어나며, 높은 인장강도와 경도를 가지고 있어 고속으로 회전하는 기계부품 등에 적합한 강종이므로 "고속도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끼워맞춤에서 구멍의 지름이 500+0.025이고, 축의 지름이 50-0.050-0.025일때 나타나는 최대틈새는 얼마인가?

  1. 0.000
  2. 0.025
  3. 0.050
  4. 0.075
(정답률: 39%)
  • 최대틈새는 구멍의 최대 지름과 축의 최소 지름의 차이가 됩니다. 따라서 구멍의 최대 지름인 500+0.025에서 축의 최소 지름인 50-0.050을 빼면,

    500+0.025 - 50-0.050 = 0.075

    따라서 정답은 "0.07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제3각법으로 도면을 표현할 때 옳은 것은?

  1. 배면도는 평면도 위에 위치한다.
  2. 정면도는 우측면도 우측에 위치한다.
  3. 평면도는 정면도 위에 위치한다.
  4. 좌측면도는 정면도 우측에 위치한다.
(정답률: 60%)
  • 정답은 "평면도는 정면도 위에 위치한다."입니다.

    이유는 제3각법에서 평면도는 정면도와 수직이며, 정면도는 우측면도와 수직입니다. 따라서 평면도는 정면도 위에 위치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1/100mm까지 측정할수 있는 마이크로미터의 딤블을 5눈금 회전 시켰을 때 스핀들의 움직인 양은 얼마인가?(단, 마이크로미터 딤블의 원주는 50등분 되어 있고, 나사 피치는 0.5mm이다.)

  1. 0.02mm
  2. 0.04mm
  3. 0.05mm
  4. 0.2mm
(정답률: 67%)
  • 마이크로미터 딤블의 원주는 50등분 되어 있으므로, 1눈금 회전 시켰을 때 스핀들의 움직인 양은 1/50mm이다. 따라서 5눈금 회전 시켰을 때 스핀들의 움직인 양은 5/50mm = 0.1mm이다. 하지만 나사 피치가 0.5mm이므로, 실제로 스핀들이 움직인 양은 0.1mm × 0.5 = 0.05mm이다. 따라서 정답은 "0.05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아세틸렌 발생기의 종류와 관계가 없는 것은?

  1. 투입식
  2. 주수식
  3. 확장식
  4. 침지식
(정답률: 51%)
  • 아세틸렌 발생기의 종류 중 "확장식"은 발생기 내부에 고체 아세틸렌 성분을 가지고 있는 카트리지를 사용하지 않고, 액체 아세틸렌과 산소를 직접 혼합하여 발생시키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카트리지의 종류와 관계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기계 제도의 척도로 사용하지 않는 것은?

  1. 1:2
  2. 1:5
  3. 1:√2
  4. 1:√3
(정답률: 44%)
  • 기계 제도에서는 일반적으로 1:2, 1:5, 1:√2의 척도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1:√3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1:√3은 정확한 값을 나타내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3은 무리수이기 때문에 정확한 값을 소수점 이하로 표현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1:√3은 정확한 척도가 아니며, 사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용접자세에 관한 기호와 뜻으로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아래 보기 자세 : F
  2. 수평자세 : H
  3. 수직자세 : V
  4. 위보기 자세 : H-Fil
(정답률: 63%)
  • 위보기 자세는 H-Fil이 아니라 H-Fla이어야 합니다. H-Fla는 위쪽으로 보는 자세를 나타내며, H-Fil은 아래쪽으로 보는 자세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MIG용접과 TIG용접의 공통적인 특징이 아닌 것은?

  1. 아르곤 또는 헬륨과 같은 가스를 써서 산화를 방지한다.
  2. 아크(arc)를 이용한 용접법이다.
  3. 알루미늄, 구리합금과 같은 특수금속을 용접할 수있다.
  4. 비용극식 용접법이다.
(정답률: 50%)
  • MIG용접과 TIG용접은 모두 아르곤 또는 헬륨과 같은 가스를 써서 산화를 방지하고, 아크(arc)를 이용한 용접법이며, 알루미늄, 구리합금과 같은 특수금속을 용접할 수 있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비용극식 용접법은 이들과는 다른 용접법으로, 전기를 통해 금속을 녹여서 용접하는 방식으로, MIG용접과 TIG용접과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적재물이 차량의 적재함 밖으로 나올 때는 어떤 색으로 위험표시를 하는가?

  1. 녹색
  2. 청색
  3. 황색
  4. 적색
(정답률: 73%)
  • 적재물이 차량의 적재함 밖으로 나올 때는 적색으로 위험표시를 합니다. 이는 교통안전법에서 규정한 것으로, 적색은 위험을 나타내는 색상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적색은 빨간색으로도 표현되며, 사람들이 가장 눈에 띄고 경고를 받기 쉬운 색상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적재물이 차량에서 떨어져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위험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을 때는 적색으로 표시하여 주변인들이 경고를 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냉각장치에 대한 설명이다. 잘못 표현된 것은?

  1. 방열기는 상부온도가 하부온도보다 낮으면 양호하다.
  2. 팬벨트의 장력이 약하면 엔진 과열의 원인이 된다.
  3. 물펌프 부싱이 마모되면 물의 누수원인이 된다.
  4. 실린더 블럭에 물때가 끼면 엔진과열의 원인이 된다.
(정답률: 69%)
  • "방열기는 상부온도가 하부온도보다 낮으면 양호하다."가 잘못된 표현입니다. 방열기는 열을 흡수하여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방열기의 상부온도가 하부온도보다 높을수록 냉각효율이 떨어지게 됩니다.

    "방열기는 상부온도가 하부온도보다 낮으면 양호하다."라는 표현이 잘못된 이유는, 이는 방열기의 역할과 반대되는 내용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전기장치의 배선 작업에서 작업 시작전에 제일 먼저 조치 해야할 사항은?

  1. 코일 1차선을 제거한다.
  2. 고압 케이블을 제거한다.
  3. 접지선을 제거한다.
  4. 밧데리 비중을 측정한다.
(정답률: 69%)
  • 접지선을 제거하는 이유는 전기장치 작업 시 발생할 수 있는 전기적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서입니다. 접지선은 전기적인 충격이나 화재 등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필요한 중요한 보호장치입니다. 따라서 작업 시작 전에 접지선을 제거하여 안전을 확보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측정계기의 보관방법 중 가장 좋은 것은?

  1. 캐비넷에 넣어 둔다.
  2. 책상 서랍속에 넣어 둔다.
  3. 작업대에 놓아 둔다.
  4. 오물을 닦아내고 공구실에 둔다.
(정답률: 77%)
  • 측정계기는 정확한 측정을 위해 깨끗하고 안전한 상태로 보관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오물을 닦아내고 공구실에 둔다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캐비넷이나 책상 서랍속에 넣어두면 먼지나 오염물질이 쌓일 수 있고, 작업대에 놓아두면 다른 작업물과 혼합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오물을 닦아내고 공구실에 둔다면 측정계기를 깨끗하고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기계 가공후 일감에 생기는 거스럼을 가장 안전하게 제거하는 것은?

  1. 바이트
  2. 스크레이퍼
(정답률: 53%)
  • 기계 가공 후 생기는 거스름은 매우 날카로우므로 안전한 제거 방법이 필요합니다. 이때 가장 안전한 방법은 "줄"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줄은 날카로운 모서리를 가진 물체를 자르는 데 사용되는 도구로, 거스름을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반면, "정"은 기계 가공 후 생긴 거스름을 제거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바이트"와 "스크레이퍼"는 거스름을 제거하는 데 사용되지만, 안전성 측면에서는 줄보다 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산소 아세틸렌 용접에서의 역류역화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토치의 팁이 과열되었을 때
  2. 토치의 팁이 석회분에 끼었을 때
  3. 아세틸렌 가스공급이 안전할 때
  4. 토치의 성능이 불량할 때
(정답률: 83%)
  • 역류역화란, 용접 중에 산소와 아세틸렌이 혼합된 가스가 토치의 역류로 인해 역류되어 뒤로 흐르면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는 토치의 팁이 과열되거나 석회분에 끼었거나, 토치의 성능이 불량할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세틸렌 가스공급이 안전할 때는 역류역화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사고예방 대책의 5단계 중 그 대상이 아닌 것은?

  1. 사실의 발견
  2. 분석평가
  3. 시정방법의 선정
  4. 엄격한 규율의 책정
(정답률: 72%)
  • 정답: "엄격한 규율의 책정"

    설명: 사고예방 대책의 5단계는 사실의 발견, 분석평가, 시정방법의 선정, 시행 및 유지관리, 평가 및 개선으로 구성됩니다. 이 중 "엄격한 규율의 책정"은 대상이 아닙니다. 이유는 사고예방 대책은 기업이나 조직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규율을 적용하는 것보다는 각 조직의 상황에 맞게 유연하게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LPG 충전 사업의 시설에서 저장 탱크와 가스 충전 장소의 사이에 설치해야 되는 것은?

  1. 역화 방화 장치
  2. 역류 방지 장치
  3. 방호벽
  4. 경계표시
(정답률: 73%)
  • LPG 충전 사업의 시설에서 저장 탱크와 가스 충전 장소 사이에는 방호벽을 설치해야 합니다. 이는 가스 유출 사고 발생 시 인명과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설치되는 장치로, 가스 유출을 차단하고 확산을 방지하여 안전을 유지합니다. 따라서 방호벽은 LPG 충전 사업의 시설에서 필수적인 보안 시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부품을 분해정비시 반드시 새것으로 교환해야 한다. 아닌것은?

  1. 오일실
  2. 볼트, 너트
  3. 개스 킷
  4. O 링
(정답률: 74%)
  • 정답은 "볼트, 너트"입니다.

    이유는 부품을 분해정비할 때, 오일실, 개스 킷, O 링 등의 부품은 기존에 사용하던 것을 교체해야 하지만, 볼트와 너트는 교체하지 않아도 재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볼트와 너트는 사용 중에 변형이나 파손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점검과 교체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안전관리(임의구분)

41. 그라인더 작업시의 주의사항중 부적합한 것은?

  1. 숫돌 받침대는 3mm이상 간극을 벌려줘야 한다.
  2. 작업전 숫돌을 나무 해머로 두드려보고 균열 여부를 점검 한다.
  3. 작업 중에는 반드시 보안경을 착용 해야 한다.
  4. 작업시 정면을 피해서 작업 하도록 한다.
(정답률: 65%)
  • "숫돌 받침대는 3mm이상 간극을 벌려줘야 한다."가 부적합한 것입니다. 이유는 숫돌과 받침대 사이에 간극이 없으면 작업 중에 발생하는 열로 인해 숫돌과 받침대가 접촉하여 둘 다 손상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간극을 벌려줌으로써 열이 분산되어 숫돌과 받침대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탠덤 드라이브 장치란?

  1. 환향 장치
  2. 최종 감속장치
  3. 브레이크 장치
  4. 연속 장치
(정답률: 54%)
  • 탠덤 드라이브 장치는 두 개 이상의 축이 서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장치입니다. 이 중에서 최종 감속장치는 탠덤 드라이브 장치에서 마지막으로 회전력을 감속시켜서 원하는 속도로 동작시키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최종 감속장치가 없으면 탠덤 드라이브 장치는 원하는 속도로 동작하지 못하고 과도한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1속기어의 감속비 4:1이고 종 감속비가 5:1인 덤프트럭이 2600rpm으로 기관이 회전하며 1속으로 주행하고 있을 때 바퀴의 회전수는 얼마인가?

  1. 130rpm
  2. 260rpm
  3. 520rpm
  4. 1000rpm
(정답률: 32%)
  • 1속기어의 감속비가 4:1이므로, 기관의 회전수 2600rpm을 4로 나누면 바퀴의 회전수가 나옵니다.

    2600rpm ÷ 4 = 650rpm

    하지만, 종 감속비가 5:1이므로, 바퀴의 회전수를 다시 5로 나눠줘야 합니다.

    650rpm ÷ 5 = 130rpm

    따라서, 바퀴의 회전수는 130rpm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일반적인 유압식 브레이크의 잔압으로 맞는 것은?

  1. 0.1∼0.2Kgf/cm2
  2. 0.6∼0.8Kgf/cm2
  3. 1.6∼1.8Kgf/cm2
  4. 2.1∼2.2Kgf/cm2
(정답률: 61%)
  • 일반적인 유압식 브레이크의 잔압은 0.6∼0.8Kgf/cm2이다. 이는 브레이크를 밟은 후에도 일정한 압력이 유지되어 브레이크 패드와 디스크 사이의 마찰력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너무 높은 잔압은 브레이크 패드와 디스크를 마모시키고, 너무 낮은 잔압은 브레이크 효과를 떨어뜨리기 때문에 적절한 잔압을 유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변속기 부축의 축 방향 놀음(end play)은 무엇으로 측정하는가?

  1. 마이크로미터
  2. 필러 게이지
  3. 버어니어캘리퍼스
  4. 텔레스코핑 게이지
(정답률: 39%)
  • 변속기 부축의 축 방향 놀음은 필러 게이지로 측정합니다. 이는 필러 게이지가 축과 수직 방향으로 삽입되어 부축의 축 방향 놀음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마이크로미터는 길이 측정에 사용되는 도구이며, 버어니어캘리퍼스와 텔레스코핑 게이지는 내경 측정에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클러치 페달의 자유간극 조정은?

  1. 클러치 페달을 움직여서
  2. 클러치 스프링의 장력을 조정하여
  3. 클러치 페달 리턴 스프링의 장력을 조정하여
  4. 클러치 링키지의 길이를 조정하여
(정답률: 60%)
  • 클러치 페달의 자유간극 조정은 클러치 링키지의 길이를 조정하여 이루어집니다. 이는 클러치 디스크와 플라이휠 사이의 연결을 끊고 결합하는 역할을 하는 클러치 링키지의 위치를 조정하여 클러치 페달의 작동 감도를 조절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클러치 페달을 움직이거나 클러치 스프링 또는 리턴 스프링의 장력을 조정하는 것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차체에 부착된 상태에서의 조향장치 점검사항이 아닌것은?

  1. 핸들의 흔들림 유격
  2. 섹터 샤프트의 흔들림 유격
  3. 피트먼 아암의 세레이션 마멸과 손상
  4. 기어물림의 중심점
(정답률: 39%)
  • 피트먼 아암은 조향장치의 일부로서 핸들과 타이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피트먼 아암에 세레이션(부식)이나 손상이 있으면 핸들 조작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운전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차체에 부착된 상태에서의 조향장치 점검사항 중에서 피트먼 아암의 세레이션 마멸과 손상은 반드시 점검해야 하는 중요한 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굴삭기에 장착된 콘트롤러의 기능으로 맞는 것은?

  1. 운전 상황에 맞는 엔진 속도제어, 고장진단 등을 하는 장치이다.
  2. 운전자가 편리하도록 작업장치를 자동적으로 조작시켜 주는 장치이다.
  3. 조이스틱의 작동을 전자화 한 장치이다.
  4. 콘트롤 밸브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자화 한 장치이다.
(정답률: 54%)
  • 굴삭기에 장착된 콘트롤러는 운전 상황에 맞는 엔진 속도제어, 고장진단 등을 하는 장치입니다. 이는 굴삭기의 작동을 최적화하고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기능들을 자동으로 제어하며, 운전자의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굴삭기의 하부 구동체 주유 개소와 유종(油種)이 틀리게 짝지어진 것은?

  1. 트랙 - 주유하지 않는다.
  2. 아이들러 - 기어 오일
  3. 트랙 롤러 - 그리스
  4. 트랙 텐션 실린더 - 그리스
(정답률: 58%)
  • 굴삭기의 하부 구동체는 디젤엔진을 사용하며, 이 엔진은 기어박스와 함께 작동합니다. 따라서 기어박스에는 기어 오일이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 아이들러(Idle gear)는 기어박스 내부에서 작동하는 부품으로, 기어 오일을 필요로 합니다. 따라서 아이들러와 기어 오일이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크레인용 와이어 로프의 꼬임 중 스트랜드를 왼쪽 방향으로 꼰 것은?

  1. Z 꼬임
  2. 랭 꼬임
  3. S 꼬임
  4. 보통 꼬임
(정답률: 55%)
  • 정답은 "Z 꼬임"입니다. 와이어 로프의 꼬임 방향은 일반적으로 오른쪽 방향으로 꼬이지만, 크레인용 와이어 로프는 안전을 위해 왼쪽 방향으로 꼬입니다. 이때 왼쪽 방향으로 꼬인 스트랜드를 Z 꼬임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도저의 화이널 드라이브 기어장치 구성부품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더블 헬리컬 기어
  2. 아이들 피니언 기어
  3. 메인 드라이브 기어
  4. 피니언 기어
(정답률: 62%)
  • 더블 헬리컬 기어는 도저의 화이널 드라이브 기어장치 구성부품 중 하나가 아닙니다. 이유는 도저의 화이널 드라이브 기어장치는 메인 드라이브 기어와 피니언 기어, 아이들 피니언 기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유압 실린더의 기름이 새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유압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에 녹이나 있다.
  2. 유압 실런더의 피스톤 로드가 굴곡 되어 있다.
  3. 유압이 높다.
  4. 그랜드 씨일(gland seal)이 손상되어 있다.
(정답률: 56%)
  • 유압 실린더의 기름이 새는 원인은 유압이 높아서 실린더 내부의 기름이 피스톤 로드 주변으로 밀려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압이 높을수록 기름이 새는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다른 보기들은 유압 실린더의 기름이 새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유압회로의 구성요소 중에서 회로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기기라고 볼수 없는 것은?

  1. 릴리프 밸브
  2. 스트레이너
  3. 필터
  4. 피스톤
(정답률: 60%)
  • 피스톤은 유압회로에서 유체를 압축하거나 움직이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회로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기기라고 볼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피스톤입니다. 반면에 릴리프 밸브, 스트레이너, 필터는 유체의 압력이나 오염물질 등을 제어하여 회로의 파손을 방지하는 기기로서 유압회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유압회로에서 작동유의 적정온도를 초과할 때 미치는 영향이 아닌 것은?

  1. 유막의 단절
  2. 기계작동의 저해
  3. 시일(seal)제의 노화촉진
  4. 점도상승
(정답률: 59%)
  • 작동유의 적정온도를 초과할 때 유막의 단절, 기계작동의 저해, 시일제의 노화촉진 등의 영향이 미치게 됩니다. 그러나 점도상승은 작동유의 온도가 높아질수록 발생하는 현상으로, 작동유의 점도가 높아지면 유압기기 내부의 유동성이 저하되어 유압기기의 작동이 원활하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점도상승은 작동유의 적정온도를 초과할 때 미치는 영향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트럭 믹서의 드럼이 회전되지 않는다. 그 원인으로 가장 잘 맞는 것은?

  1. 릴리프 밸브의 설정압이 낮다.
  2. 조작레버 링크 기구의 불량
  3. 유압모터의 불량
  4. 밸런스 밸브의 불량
(정답률: 59%)
  • 트럭 믹서의 드럼이 회전되지 않는다면, 그 원인으로 가장 잘 맞는 것은 유압모터의 불량입니다. 유압모터는 드럼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유압모터에 문제가 생기면 드럼이 회전하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유압모터의 불량이 드럼 회전 불능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은 유압회로의 일부를 표시한 것이다. A에는 무엇이 연결되어야 하겠는가?

  1. 유압 실린더
  2. 오일 여과기
  3. 펌프
  4. 방향제어 밸브
(정답률: 66%)
  • A에는 "펌프"가 연결되어야 한다. 이는 유압 회로에서 유체를 움직이는 역할을 하는데, 유체를 흡입하여 압력을 가해 유압 실린더나 모터 등을 작동시키기 위해 필요하다. 따라서 유압 회로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부품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유압기기의 작동원리는 어떤 원리를 이용한 것인가?

  1. 베르누이의 원리
  2. 파스칼의 원리
  3. 보일샬의 원리
  4. 아르키메데스의 원리
(정답률: 78%)
  • 유압기기는 파스칼의 원리를 이용하여 작동합니다. 파스칼의 원리는 압력이 일정한 유체에 가해지면 그 압력은 모든 방향으로 동일하게 전달된다는 원리입니다. 따라서 유압기기에서는 작은 힘으로 큰 힘을 발생시키기 위해 작은 피스톤에 압력을 가하면 그 압력이 유체를 통해 큰 피스톤으로 전달되어 큰 힘이 발생합니다. 이를 이용하여 유압기기는 다양한 용도로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은 불도저의 토크 변환기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다. 맞는 것은 어느 것인가?

  1. 터빈축은 구동판을 거쳐 기관의 플라이휠과 연결되어있다.
  2. 펌프는 커플링을 거쳐 기관의 플라이휠과 연결되어있다.
  3. 펌프는 구동판을 거쳐 기관의 플라이휠과 연결되어있다.
  4. 터빈축은 커플링을 거쳐 기관의 플라이휠과 연결되어있다.
(정답률: 41%)
  • 정답은 "펌프는 구동판을 거쳐 기관의 플라이휠과 연결되어있다."이다. 이유는 펌프가 구동되기 위해서는 터빈축에서 전달되는 동력이 필요하며, 이 동력은 구동판을 거쳐 펌프와 연결된 플라이휠로 전달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펌프와 플라이휠은 구동판을 통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유압펌프의 캐비테이션(cavitation)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의하여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오일탱크의 오일점도는 적정점도가 유지되도록 한다.
  2. 흡입구의 양정을 1m 이상으로 한다.
  3. 펌프의 운전속도는 규정속도 이상으로 해서는 안된다
  4. 흡입관의 굵기는 유압펌프 본체의 연결구 크기와 같은 것을 사용한다.
(정답률: 58%)
  • "흡입구의 양정을 1m 이상으로 한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유압펌프에서 캐비테이션 현상이 발생하면 펌프 내부에서 공백이 생기고, 이 공백이 압력이 생기면서 폭발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는 펌프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흡입구의 양정을 1m 이상으로 하는 것은 캐비테이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중요한 조치입니다. 이유는 흡입구에서 유체가 흐르는 속도가 빠르면 압력이 낮아지고, 이로 인해 공백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흡입구의 양정을 크게 하면 유체의 흐름이 안정화되어 캐비테이션 현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지게차의 마스트가 완전히 신장되었을 때, 인너레일과 아웃레일이 겹쳐있는 부분의 길이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옵셋트
  2. 오버항
  3. 오버랩
  4. 자유간극
(정답률: 51%)
  • 지게차의 마스트가 완전히 신장되면 인너레일과 아웃레일이 서로 겹쳐지게 되는데, 이때 겹쳐진 부분의 길이를 오버랩(overlap)이라고 합니다. 이는 두 개의 레일이 서로 겹쳐져 있어서 지게차가 안전하게 화물을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적인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