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기계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4-04)

건설기계정비기능사
(2004-04-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건설기계정비(임의구분)

1. 총배기량 2800cm3 인 디젤기관이 2200rpm으로 회전하고 있다. 실린더 안지름이 80mm 이면 행정은 약 몇 cm인가? (단, 실린더 수는 4이다.)

  1. 13.9cm
  2. 9.4cm
  3. 8.4cm
  4. 6.9cm
(정답률: 46%)
  • 행정 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행정 거리 = (총배기량 ÷ 실린더 수) ÷ (실린더 지름 ÷ 2) ÷ 회전수 × 2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행정 거리 = (2800 ÷ 4) ÷ (80 ÷ 2) ÷ 2200 × 2
    = 350 ÷ 40 ÷ 2200 × 2
    = 0.004375 m
    = 4.375 cm

    따라서, 정답은 "9.4cm"이 아니라 "6.9c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어스 방식의 장비에서 (+) 케이블은 언제 연결하는 것이 가장 타당한가?

  1. 먼저 연결한다.
  2. 나중에 연결한다.
  3. (+), (-)를 동시에 연결한다.
  4. (+), (-)를 접지시켜 연결한다.
(정답률: 64%)
  • 먼저 연결한다. 이유는 어스 방식의 장비에서는 먼저 (-) 케이블을 연결하여 지면에 접지시켜 안전성을 확보한 후에 (+) 케이블을 연결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하면 전기적인 안전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연소실 내에서 윤활유가 연소될 때 배기 가스의 색은?

  1. 검은색
  2. 황색
  3. 백색
  4. 연노랑색
(정답률: 61%)
  • 윤활유는 연소실 내에서 연소될 때 탄소와 수소로 이루어진 화합물을 생성합니다. 이 화합물은 연소 시 산화되어 이산화탄소와 물로 변하며, 이산화탄소는 투명한 가스이기 때문에 배기 가스의 색은 백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의 간격이 크면 어떤 현상이 생기게 되는가?

  1. 레이싱 현상이 생긴다.
  2. 블로우 바이 현상이 생긴다.
  3. 스틱 현상이 생긴다.
  4. 런-온 현상이 생긴다.
(정답률: 85%)
  •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의 간격이 크면, 연소실에서 압력이 상승할 때 피스톤이 실린더 벽면에 밀착하지 않고 일부 공간이 남아있게 되어, 고압 가스가 실린더 상단과 피스톤 하단 사이의 간격으로 누출되는 현상이 생기게 됩니다. 이를 블로우 바이 현상이라고 합니다. 이는 연소효율을 저하시키고, 엔진 성능 저하 및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200AH 인 축전지로는 10A 의 전류를 몇시간 계속 방전시킬 수 있는가?

  1. 10시간
  2. 20시간
  3. 30시간
  4. 40시간
(정답률: 87%)
  • 200AH 인 축전지는 10A 의 전류로 20시간 동안 방전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축전지의 전하량(용량)을 전류로 나눈 값인 전기학의 기본 공식인 Q=It 에 따라 계산됩니다. 따라서, 200AH / 10A = 20시간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교류 발전기 조정기에 컷 아웃 릴레이가 없는 이유는?

  1. 트랜지스터 작용 때문이다.
  2. 점화 스위치 작용 때문이다.
  3. 전류 릴레이 작용 때문이다.
  4. 다이오드 작용 때문이다.
(정답률: 65%)
  • 교류 발전기 조정기에서는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양/음의 반파를 구분하고, 양/음의 반파를 각각 다른 회로로 보내 전압을 조절합니다. 이 때 컷 아웃 릴레이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실린더 테이퍼 마멸을 측정하는데 가장 좋은 측정기는?

  1. 필러게이지
  2. 강철제의 줄자
  3. 보어게이지
  4. 플라스틱게이지
(정답률: 48%)
  • 실린더 테이퍼 마멸은 내부 직경의 변화를 측정해야 하므로, 내부 직경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기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보어게이지는 내부 직경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고정밀 측정기이며, 실린더 테이퍼 마멸 측정에 가장 적합합니다. 따라서 보어게이지가 가장 좋은 측정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엔진출력을 저하시키는 직접 원인이 아닌 것은?

  1. 노킹(knocking)이 일어날 때
  2. 연료분사량이 적을 때
  3. 클러치가 불량할 때
  4. 실린더내의 압력이 낮을 때
(정답률: 80%)
  • 클러치가 엔진출력을 직접적으로 조절하는 부품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클러치는 엔진과 변속기를 연결하고 분리하는 역할을 하며, 엔진출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클러치가 불량하면 엔진과 변속기의 연결이 원활하지 않아 엔진출력이 전달되지 않을 수 있지만, 직접적인 원인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연료분사 펌프에서 연료의 분사량을 조정하는 것은?

  1. 딜리버리 밸브
  2. 태핏간극
  3. 제어 슬리이브
  4. 플런저
(정답률: 45%)
  • 연료분사 펌프에서 연료의 분사량을 조정하는 것은 제어 슬리이브입니다. 이는 연료의 유속을 조절하여 분사량을 조절하는 장치로, 연료의 유속을 조절함으로써 분사량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어 슬리이브는 연료분사 펌프에서 연료의 분사량을 조절하는 핵심적인 부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디젤기관의 연료장치내에 공기 빼기순서로 가장 알맞는 것은?

  1. 연료공급 펌프 - 연료 여과기 - 분사펌프
  2. 분사펌프 - 연료공급 펌프 - 연료 여과기
  3. 연료 여과기 - 분사펌프 - 연료공급 펌프
  4. 연료공급 펌프 - 분사관 - 분사펌프
(정답률: 79%)
  • 디젤기관에서 연료공급 펌프는 연료를 공급하고, 연료 여과기는 연료를 정화하며, 분사펌프는 정화된 연료를 분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연료장치내에 공기를 빼기 위해서는 연료공급 펌프에서부터 시작하여 연료 여과기를 거쳐 분사펌프까지 순서대로 공기를 배출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연료공급 펌프 - 연료 여과기 - 분사펌프"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기관의 윤활유 소비가 많은 원인이 아닌 것은?

  1. 피스톤 및 실린더의 마멸과 손상
  2. 오일 펌프의 불량
  3. 밸브가이드 및 밸브스템의 마멸
  4. 외부로 부터의 누설
(정답률: 51%)
  • 오일 펌프는 엔진 내부의 오일을 순환시켜 윤활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오일 펌프가 불량하면 오일 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윤활유 소비가 많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분해된 크랭크 축에서 점검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축방향 유격
  2. 마모량
  3. 균열과 긁힘
(정답률: 72%)
  • 크랭크 축의 축방향 유격은 축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이며, 일반적으로 베어링의 불량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크랭크 축이 분해되어 점검될 때, 축방향 유격은 베어링의 교체로 해결할 수 있으므로 점검하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기관이 정지하고 있을 때, 시동 스위치를 ON 위치에 하여도 오일압력 경고등이 켜지지 않을 때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시동 스위치 고장
  2. 축전지 릴레이 고장
  3. 기관 오일의 누유
  4. 경고등 고장
(정답률: 57%)
  • 기관 오일의 누유는 시동 스위치를 ON 위치에 하여도 오일압력 경고등이 켜지지 않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기관 내부의 오일이 누출되어 오일압력이 부족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오일을 추가하거나 누출 부위를 점검하여 해결해야 합니다. 시동 스위치 고장, 축전지 릴레이 고장, 경고등 고장은 각각 다른 원인으로 인해 오일압력 경고등이 켜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1초간에 반복되는 사이클 수를 교류의 주파수라하며 기호는 ㎐를 사용한다. 다음중 교류의 주파수를 구하는 식으로 맞는 것은? (단 n은 자석의 회전수, p는 자극수이다.)

(정답률: 45%)
  • 정답은 ""이다.

    주파수는 초당 반복되는 사이클 수를 의미하므로, 주파수를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주파수 = 반복되는 사이클 수 / 시간

    여기서 반복되는 사이클 수는 자석의 회전수 n과 자극수 p의 곱이므로, 주파수를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주파수 = n * p / 시간

    시간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이 문제에서는 주파수를 구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실린더에 새로들어온 공기가 2000cc, 잔류가스가 200cc일때 실린더 행정체적이 2400cc 라면 충진비는 얼마인가?

  1. 91.7%
  2. 83.3%
  3. 88%
  4. 80%
(정답률: 58%)
  • 충진비는 실린더에 채워진 공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충진비는 (새로들어온 공기의 양 + 잔류가스의 양) / 실린더 행정체적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2000cc + 200cc) / 2400cc = 2200cc / 2400cc = 0.9167 = 91.7% 이므로, 정답은 "91.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전자제어 디젤 분사장치의 수행 기능이 아닌 것은?

  1. 전부하 분사량 제한
  2. 최고속도 제한
  3. 시동 분사량 제어
  4. 무 부하 분사량 제한
(정답률: 49%)
  • 전자제어 디젤 분사장치는 엔진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적절한 시기에 연료를 분사하여 최적의 연소를 유도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중 "무 부하 분사량 제한"은 수행 기능이 아닙니다. 이는 엔진이 일정 속도 이상으로 회전할 때, 즉 부하가 없는 상태에서는 일정량 이상의 연료를 분사하지 않도록 제한하는 기능입니다. 이는 연비 향상과 엔진 내부 부품의 과도한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무거운 기계 부품 등을 달아 올리는데 편리한 볼트는?

  1. 스테이 볼트(stay bolt)
  2. 아이 볼트(eye bolt)
  3. 탭 볼트(tap bolt)
  4. 스터드 볼트(stud bolt)
(정답률: 64%)
  • 아이 볼트는 기계 부품 등을 들어 올리기 위해 사용되는 볼트로, 볼트의 머리 부분이 루프 형태로 되어 있어 로프나 체인 등을 걸어서 들어 올리기에 편리합니다. 따라서 무거운 기계 부품 등을 들어 올리는데 편리한 볼트로 아이 볼트가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기어를 제도할 때 피치원은 어느 선으로 표시하는가?

  1. 가는 실선
  2. 굵은 실선
  3. 가는 1점쇄선
  4. 가는 2점쇄선
(정답률: 56%)
  • 기어를 제도할 때 피치원은 가는 1점쇄선으로 표시합니다. 이는 기어의 피치(한 바퀴를 도는 데 필요한 이동 거리)를 나타내는 선으로, 기어의 이동 거리와 회전 속도를 결정합니다. 가는 1점쇄선은 기어의 피치를 정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며, 기어의 제조 및 유지보수에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가스 용접에서 용제를 사용하는 이유는?

  1. 용접봉의 용융속도를 느리게 하기 위하여
  2. 침탄이나 질화 작용을 돕기 위하여
  3. 용접 중 산화물 등의 유해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4. 모재의 용융온도를 낮게 하기 위하여
(정답률: 63%)
  • 가스 용접 중에는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산화물은 용접 부위의 강도를 약화시키고, 용접 후에는 부식이나 균열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용접 중 산화물 등의 유해물을 제거하기 위해 용제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테르밋 용접의 테르밋은 무엇의 혼합물인가?

  1. 산화납과 산화철 분말
  2. 알루미늄과 마그네슘 분말
  3. 규소와 알루미늄 분말
  4. 알루미늄과 산화철 분말
(정답률: 58%)
  • 테르밋 용접은 알루미늄과 산화철 분말을 혼합하여 사용합니다. 이는 알루미늄과 산화철이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키고, 이 열로 인해 용접이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테르밋 용접에 사용되지 않는 물질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일반기계공학(임의구분)

21. 단면에 실시하는 해칭선은 원칙적으로 어떻게 긋는가?

  1. 가는실선을 사용하여 35恩로 실시
  2. 일점쇄선을 사용하여 35恩로 실시
  3. 가는실선을 사용하여 45恩로 실시
  4. 일점쇄선을 사용하여 45恩로 실시
(정답률: 57%)
  • 단면에 실시하는 해칭선은 가는실선을 사용하여 45도 각도로 실시합니다. 이는 해칭선이 단면의 모든 부분을 균일하게 해칭하기 위해서입니다. 35도로 실시하면 일부 부분은 해칭이 부족하거나 과도하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일점쇄선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가는실선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막대 양끝에 나사가 있어 한쪽나사를 본체 등에 단단하게 끼워 놓고 사용하는 특수 볼트는?

  1. 아이 볼트
  2. T 볼트
  3. 나비 볼트
  4. 스터드 볼트
(정답률: 62%)
  • 막대 양끝에 나사가 있어 한쪽 나사를 본체 등에 단단하게 끼워 놓고 사용하는 것은 스터드 볼트입니다. 다른 보기인 아이 볼트, T 볼트, 나비 볼트는 모두 다른 형태의 볼트이며, 스터드 볼트와는 구조적으로 차이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패킹(packing) 재료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1. 유연성이 클 것
  2. 탄력성이 적을 것
  3. 오래 사용하여도 변화가 적을 것
  4. 내수성이 클 것
(정답률: 77%)
  • 탄력성이 적을 것은 패킹 재료가 압력에 따라 변형되지 않고 고정되어야 하는 경우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패킹 재료는 유연성이 크고 내수성이 높으며 오래 사용해도 변화가 적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암모니아 가스속에 강을 넣어 표면을 경화시키는 방법은?

  1. 질화법
  2. 침탄법
  3. 고주파 경화법
  4. 화염경화법
(정답률: 45%)
  • 암모니아 가스속에 강을 넣어 표면을 경화시키는 방법은 "질화법"입니다. 이는 암모니아 가스와 철을 반응시켜 질화철을 형성하여 강의 표면을 경화시키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강의 경도를 높이고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치수선은 무슨 선으로 그려야 하는가?

  1. 굵은 실선
  2. 파선
  3. 가는 실선
  4. 가는 1점 쇄선
(정답률: 69%)
  • 치수선은 가는 실선으로 그려야 합니다. 이는 치수선이 부품의 크기나 위치를 정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선이기 때문입니다. 가는 실선은 다른 선들과 구분이 쉽고, 뚜렷하게 보이기 때문에 치수선으로 적합합니다. 굵은 실선은 주로 외곽선이나 중요한 선에 사용되고, 파선은 절단면이나 숨겨진 부분을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가는 1점 쇄선은 일반적으로 부품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미끄럼베어링과 비교한 구름베어링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고속회전이 가능하다.
  2. 마찰저항이 적다.
  3. 소음이 작다.
  4. 기계를 소형화 시킬 수 있다.
(정답률: 38%)
  • 구름베어링은 미끄럼베어링과 비교하여 소음이 작지 않습니다. 구름베어링은 구름과 같은 형태의 구멍이 있어서 회전 시에 공기가 흐르면서 소음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소음이 작다는 장점은 구름베어링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스테인리스강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2. 펄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3.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4.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정답률: 40%)
  • 펄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펄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산화철의 분말과 알루미늄의 분말을 혼합하여 연소할 때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접합시키는 용접법은?

  1. 전자비임 용접
  2.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
  3. 플라즈마 용접
  4. 테르밋 용접
(정답률: 66%)
  • 산화철과 알루미늄 분말을 혼합하여 연소시키면 매우 높은 온도가 발생하며, 이를 이용하여 두 개의 금속을 접합시키는 용접법이 테르밋 용접입니다. 이 용접법은 전기를 사용하지 않으며, 대량의 금속을 용접할 수 있어 철도나 다리 등 대형 구조물의 제작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외측 마이크로미터를 이용하여 축의 외경을 측정하였다. 정확한 치수는?

  1. 25.37mm
  2. 25.87mm
  3. 28.37mm
  4. 28.87mm
(정답률: 57%)
  • 외측 마이크로미터는 0부터 시작하여 눈금 한 칸이 0.5mm씩 증가한다. 따라서 첫 번째 눈금은 0mm, 두 번째 눈금은 0.5mm, 세 번째 눈금은 1.0mm, 네 번째 눈금은 1.5mm이다. 이를 바탕으로 외경을 측정한 결과, 25.37mm부터 25.87mm까지 0.5mm씩 증가하다가, 다섯 번째 눈금에서 0.37mm만큼 추가로 증가하여 28.87mm이 된다. 따라서 정확한 치수는 28.87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지름이 10mm인 드릴로 연강제의 구멍을 뚫을 때 드릴링 머신의 회전수가 400rpm 이면 절삭속도는 몇 m/min 인가?

  1. 10.56
  2. 12.56
  3. 15.25
  4. 17.25
(정답률: 48%)
  • 절삭속도(V)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V = π × d × n

    여기서, d는 드릴의 지름, n은 회전수입니다. 따라서, 연강제의 구멍을 뚫을 때의 절삭속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V = π × 10mm × 400rpm
    V = 1256mm/min
    V ≈ 12.56m/min

    따라서, 정답은 "12.5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연삭숫돌의 수정방법으로 숫돌면의 표면층을 깎아 떨어뜨려서 절삭성이 나빠진 숫돌면을 새롭고 날카로운 날끝을 발생시켜주는 방법은?

  1. 글레이징(glazing)
  2. 로딩(loading)
  3. 드레싱(dressing)
  4. 트루잉(truing)
(정답률: 51%)
  • 드레싱은 연삭숫돌의 표면을 깎아내어 숫돌면의 절삭성을 개선시키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숫돌면의 표면층을 깎아 떨어뜨려서 새롭고 날카로운 날끝을 발생시켜주는 것이 가능합니다. 다른 보기인 글레이징은 연삭숫돌의 표면을 윤활하여 마찰을 줄이는 방법, 로딩은 연삭숫돌의 표면에 연마된 물질이 끼어서 성능이 떨어지는 현상, 트루잉은 연삭숫돌의 직경을 조절하여 정확한 크기로 연마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재해가 가장 많이 일어날 수 있는 작업은?

  1. 선반작업
  2. 용접작업
  3. 운반작업
  4. 전기작업
(정답률: 63%)
  • 운반작업은 물건을 이동시키는 작업으로, 무거운 물건을 들고 이동하거나 차량을 운전하여 이동하는 등의 작업이 포함됩니다. 이 작업에서는 물건이 떨어지거나 미끄러져 다칠 수 있으며, 무거운 물건을 들고 이동하다가 근육통이나 부상을 입을 수도 있습니다. 또한, 차량 운전 중에는 교통사고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따라서, 운반작업은 재해가 가장 많이 일어날 수 있는 작업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소화 설비에 적용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작업의 성질
  2. 작업장의 환경
  3. 화재의 성질
  4. 작업자의 성격
(정답률: 95%)
  • 작업자의 성격은 소화 설비에 적용하는 것이 아닌 이유는, 소화 설비는 화재 발생 시 자동으로 작동하거나 수동으로 작동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장치이기 때문입니다. 작업자의 성격은 화재 예방 및 대처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소화 설비에 직접적으로 적용되는 사항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이얼 게이지 사용시 유의사항을 설명하였다. 틀린것은?

  1. 스핀들에 주유하거나 그리스를 발라서 보관하는 것이 좋다.
  2. 분해 청소나 조정을 함부로 하지 않는다.
  3. 게이지에 어떤 충격이라도 가해서는 안된다.
  4. 게이지를 설치할 때에는 지지대의 팔을 될 수 있는 대로 짧게하고 확실하게 고정해야 한다.
(정답률: 65%)
  • 정답은 "스핀들에 주유하거나 그리스를 발라서 보관하는 것이 좋다." 이다.

    스핀들에 주유하거나 그리스를 발라서 보관하는 것은 다이얼 게이지의 정확도와 수명을 높이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이다. 스핀들은 게이지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중요한 부품이기 때문에 마찰을 줄이고 부드럽게 움직이도록 윤활이 필요하다. 따라서 스핀들에 주유하거나 그리스를 발라서 보관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연료 파이프 피팅을 풀 때 가장 알맞은 렌치는?

  1. 탭렌치
  2. 복스렌치
  3. 소켓렌치
  4. 오픈 엔드렌치
(정답률: 64%)
  • 연료 파이프 피팅은 일반적으로 볼트와 너트가 아닌 플랭지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플랭지를 풀 때는 오픈 엔드렌치가 가장 적합합니다. 오픈 엔드렌치는 두 개의 평면이 열려있어 플랭지와 같은 넓은 표면을 감싸고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연료 파이프 피팅을 풀 때는 오픈 엔드렌치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연삭작업시 안전사항이 아닌 것은?

  1. 연삭숫돌 설치전 해머로 가볍게 두들겨 본다.
  2. 연삭숫돌의 측면에 서서 연삭한다.
  3. 연삭기의 카버를 벗긴 채 사용하지 않는다.
  4. 연삭숫돌의 주위와 연삭지지대 간의 간격은 5mm 이상으로 한다.
(정답률: 56%)
  • 연삭숫돌의 주위와 연삭지지대 간의 간격은 5mm 이상으로 한다는 것은 연삭작업시에 연삭숫돌과 연삭지지대 사이에 충분한 간격을 두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연삭작업시에 연삭숫돌이 너무 가까이 있으면 연삭물이 제대로 배출되지 않아 작업효율이 떨어지고, 또한 연삭숫돌과 연삭지지대가 마찰로 인해 과열되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연삭숫돌의 주위와 연삭지지대 간의 간격은 충분히 확보해야 안전하고 효율적인 연삭작업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정비공장에서 엔진을 이동시키는 방법 가운데 가장 옳은 것은?

  1. 사람이 들고 이동한다.
  2. 지렛대를 이용한다.
  3. 로프를 묶고 잡아당긴다.
  4. 체인 블록이나 호이스트를 사용한다.
(정답률: 85%)
  • 엔진은 매우 무거우므로 사람이 들고 이동하는 것은 위험하고 어렵습니다. 지렛대나 로프를 이용하여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지만, 체인 블록이나 호이스트를 사용하는 것이 더 안전하고 효율적입니다. 체인 블록이나 호이스트는 엔진을 안전하게 들어올리고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힘을 제공하며, 작업자들이 더 적은 노력으로 엔진을 이동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체인 블록이나 호이스트는 높은 안전성을 보장하므로 작업자들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아세틸렌 용접기에서 가스가 새어 나오는 것을 검사할 경우 가장 적당한 것은?

  1. 비눗물을 발라 본다.
  2. 순수한 물을 발라 본다.
  3. 기름을 발라 본다.
  4. 촛불을 대어 본다.
(정답률: 84%)
  • 아세틸렌 용접기에서 가스가 새어 나오는 것을 검사할 때는 가스가 새어 나오는 부분에 비눗물을 발라보면 된다. 이는 가스가 새어 나오는 부분에서 발생하는 가스와 비눗물이 반응하여 거품이 생기기 때문이다. 이렇게 검사하면 가스 누출 부분을 쉽게 찾을 수 있으며, 안전한 용접을 위해 가스 누출 부분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옳은 작업방법이 아닌 것은?

  1. 전해액을 다룰 때는 고무장갑을 껴야 한다.
  2. 밧데리는 그늘진 곳에 보관해야 한다.
  3. 공구손잡이가 짧을 때는 파이프를 연결하여 사용한다
  4. 무거운 것은 혼자 옮기지 않는다.
(정답률: 88%)
  • 공구손잡이가 짧을 때 파이프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은 안전하지 않은 방법입니다. 파이프를 연결하면 공구의 균형이 맞지 않아서 작업 중에 공구가 떨어질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공구손잡이가 짧을 때는 다른 안전한 대안을 찾아서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축전지 취급시 주의할 사항 중 틀린 것은?

  1. 충전실은 환기가 잘 되게 한다.
  2. 전해액의 보충은 비중계를 사용한다.
  3. 중화제는 중탄산소오다수를 사용한다.
  4. 충전상태는 불꽃 방전시켜서 알아본다.
(정답률: 89%)
  • "충전상태는 불꽃 방전시켜서 알아본다."가 틀린 것입니다. 충전상태는 전압계나 전류계를 사용하여 측정합니다.

    충전상태를 불꽃 방전으로 확인하는 방법은 예전에 사용되었던 방법으로, 충전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고 위험성이 높아 현재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안전관리(임의구분)

41. 기관정비시 안전 유의사항에 맞지 않는 것은?

  1. TPS, ISC Servo등은 솔벤트로 세척하지 않는다.
  2. 공기압축기를 사용하여 부품세척시 눈에 이물질이 튀지 않도록 한다.
  3. 캐니스터 점검시 흔들어서 연료증발가스를 활성화 시킨 후 점검한다.
  4. 배기가스 시험시 환기가 잘되는 곳에서 측정한다.
(정답률: 85%)
  • "캐니스터 점검시 흔들어서 연료증발가스를 활성화 시킨 후 점검한다."는 안전 유의사항에 맞는 내용입니다. 이유는 캐니스터 안에 쌓인 연료증발가스를 활성화시켜야만 캐니스터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엔진의 회전수가 1500rpm이고, 변속비가 1.5, 종감속비가 4.0 일때 총감속비는?

  1. 4.0
  2. 5.5
  3. 6
  4. 12
(정답률: 39%)
  • 총감속비는 변속비와 종감속비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총감속비는 1.5 x 4.0 = 6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클러치 용량이란 무엇을 표시하는가?

  1. 클러치판의 마찰계수
  2. 클러치 작동 확실성의 표시
  3. 클러치가 전달할 수 있는 회전력의 크기
  4. 클러치의 크기 및 압력판의 세기
(정답률: 60%)
  • 클러치 용량은 클러치가 전달할 수 있는 회전력의 크기를 나타냅니다. 클러치는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클러치 용량이 크면 더 많은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클러치 용량은 차량의 성능과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크레인에서 새들 블럭은 무엇을 하는 것인가?

  1. 디퍼 핸들을 유도해 준다.
  2. 디퍼에 흙을 제거 시킨다.
  3. 굴토력을 증가 시킨다.
  4. 쉬브붐을 올려준다.
(정답률: 44%)
  • 크레인에서 새들 블럭은 디퍼 핸들을 유도해 줍니다. 이는 크레인의 디퍼 핸들을 조작하여 물체를 들어올리거나 내릴 때 안정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토인조정은 어느 것으로 하는가?

  1. 스티어링휠
  2. 조향기어
  3. 드래그링크
  4. 타이로드
(정답률: 68%)
  • 토인조정은 바퀴의 방향을 조절하여 직진성을 유지하고 운전자의 핸들 조작에 따라 차량이 움직이는 방향을 결정하는 것입니다. 이 중에서도 타이로드는 스티어링 휠과 조향기어 사이에 위치한 부품으로, 스티어링 휠의 움직임을 조향기어로 전달하고, 조향기어에서 나온 움직임을 바퀴에 전달하여 바퀴의 방향을 결정합니다. 따라서 타이로드는 토인조정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유압 브레이크 회로내에서 마스터 실린더 리턴 스프링은 언제나 첵 밸브를 밀고 있기 때문에 회로내에 어느정도 압력이 남게되는데 이를 잔압이라 한다. 잔압의 역할이 아닌 것은?

  1. 브레이크 제동력 증가
  2. 공기의 침입 방지
  3. 오일의 누설 방지
  4. 베이퍼록 방지
(정답률: 63%)
  • 잔압은 유압 브레이크 회로내에서 공기나 오일이 누설되거나 베이퍼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공기의 침입을 막아 안전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브레이크 제동력 증가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브레이크 제동력 증가"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건설기계의 구동축을 분리하고 허브 시일을 점검한 결과 정상인 것은?

  1. 허브내의 시일 접촉부가 광이나고 단계가 진 부분이 보이지 않는다.
  2. 시일내면의 접촉부가 손톱에 약간 긁힌다.
  3. 시일내면의 마모부위에 0.1mm 미만의 흠집이 보인다.
  4. 시일내면은 마모나 변형이 있어도 누유만 없으면 교환할 필요는 없다.
(정답률: 72%)
  • 허브내의 시일 접촉부가 광이 나고 단계가 진 부분이 보이지 않는다는 것은 시일내면이 매끄럽고 균일하게 마모되어 있어서 접촉부가 광택을 유지하고 있으며, 단계가 진 부분이 없어서 균일한 마모가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정상적인 상태를 나타내며, 문제가 없음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굴삭기에서 운전석의 레버를 움직여도 작업장치가 동작하지 않을 때 점검사항 중 틀린 것은?

  1. 유압 탱크의 오일량을 점검한다.
  2. 유압 펌프 흡입구로 공기가 유입되는지 점검한다.
  3. 파일럿 펌프의 압력이 정상인지 확인한다.
  4. 방향 제어밸브가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정답률: 55%)
  • 방향 제어밸브는 굴삭기 작업장치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중요한 부품 중 하나이기 때문에, 이 밸브가 작동하지 않으면 작업장치가 움직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작업장치가 동작하지 않을 때는 방향 제어밸브가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도저의 트랙을 분리해서 정비해야 할 곳은?

  1. 상부 롤러 교환시
  2. 스프로켓 교환시
  3. 트랙 긴도 조정 실린더 시일 교환시
  4. 트랙 롤러 교환시
(정답률: 40%)
  • 스프로켓은 트랙과 연결되어 회전하며, 트랙의 움직임을 제어합니다. 따라서 스프로켓을 교환할 때는 트랙과의 연결이 중단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트랙을 분리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스프로켓 교환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도저의 뒤쪽 케이스 뒷면에 있는 유압리퍼는 몇 개의 섕크(shank)로 구성되어 있나?

  1. 1∼5개
  2. 6∼10개
  3. 10∼15개
  4. 8∼12개
(정답률: 58%)
  • 도저의 뒤쪽 케이스 뒷면에 있는 유압리퍼는 일반적으로 1~5개의 섕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는 유압리퍼가 작업하는 지형과 깊이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섕크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섕크의 개수는 작업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1~5개의 섕크를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동절기 제설작업에 적합한 건설기계는?

  1. 도로보수트럭
  2. 로울러
  3. 노상안정기
  4. 모터그레이더
(정답률: 70%)
  • 동절기 제설작업은 눈이나 얼음을 제거하는 작업이므로, 노면을 평탄하게 만들어주는 기계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모터그레이더는 노면을 정밀하게 다듬어주는 기능이 있어 동절기 제설작업에 적합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도로보수나 압축작업에 적합한 기계이지만, 제설작업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지게차 마스트 경사각을 조정할 때 마스트를 어느 상태로 하면 가장 효과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가?

  1. 수평상태
  2. 앞으로 기울인 상태
  3. 뒤로 기울인 상태
  4. 수직상태
(정답률: 62%)
  • 지게차 마스트를 수직상태로 유지하면, 마스트가 물체를 안정적으로 들어올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마스트가 수평상태나 앞으로 또는 뒤로 기울어져 있다면, 물체를 들어올리는 동안 물체가 떨어질 수 있거나, 마스트가 물체를 제대로 지지하지 못하여 물체가 불안정한 상태로 들어올라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마스트를 조정할 때는 수직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유압제어 밸브가 아닌 것은?

  1. 릴리프 밸브
  2. 카운터 밸런스 밸브
  3. 언로드 밸브
  4. 스로틀 밸브
(정답률: 61%)
  • 스로틀 밸브는 유체의 유량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지만, 유압 시스템에서 압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유압제어 밸브는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스로틀 밸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변속기 클러치 오일 압력이 감소되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피스톤 쪽의 실링에서 누유가 있을 때
  2. 피스톤 바깥쪽의 실링에서 누유가 있을 때
  3. 스테이터 서포트의 실링에서 누유가 있을 때
  4. 메인 레규레이터 밸브 스프링의 영구 변형에 의한 피스톤의 마모가 있을 때
(정답률: 32%)
  • 변속기 클러치 오일 압력이 감소되는 원인은 피스톤 쪽의 실링이나 피스톤 바깥쪽의 실링에서 누유가 있을 때, 그리고 메인 레규레이터 밸브 스프링의 영구 변형에 의한 피스톤의 마모가 있을 때입니다. 따라서 스테이터 서포트의 실링에서 누유가 있을 때는 변속기 클러치 오일 압력이 감소되는 원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유압기기의 필터 정비시 조립 불량으로 발생할 수 있는 고장의 유형과 관련되지 않는 것은?

  1. 누유
  2. 흡입 손실
  3. 공기의 혼입
  4. 막힘
(정답률: 63%)
  • 막힘은 필터 정비시 조립 불량으로 발생할 수 있는 고장의 유형 중 하나입니다. 필터가 제대로 조립되지 않으면 유체가 정상적으로 흐르지 않아 필터가 막히게 됩니다. 이로 인해 유압기기의 성능이 저하되거나 작동이 멈출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필터 정비시 조립 과정에서는 필터가 제대로 조립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유압 회로 내에서 발생된 맥압, 충격압을 흡수하는 장치는?

  1. 언로우더 밸브
  2. 분류 밸브
  3. 어큐뮬레이터
  4. 첵 밸브
(정답률: 82%)
  • 유압 회로 내에서 발생하는 맥압, 충격압을 흡수하는 장치는 어큐뮬레이터입니다. 어큐뮬레이터는 유체를 저장하여 유압 회로 내에서 발생하는 갑작스러운 압력 변화를 완화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유압 시스템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모터그레이더의 장치 중 기관의 동력을 뒷바퀴에 전달시켜 주는 장치는 어느 것인가?

  1. 스케리파이어
  2. 리이닝 장치
  3. 탠덤드라이브장치
  4. 서클 드로바
(정답률: 70%)
  • 탠덤드라이브장치는 모터그레이더의 뒷바퀴에 동력을 전달하는 장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터그레이더의 다른 부분과 관련된 장치들이며, 뒷바퀴에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탠덤드라이브장치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관로를 새로 설치하거나 유압 장치 내의 이물질이 들어갔을 때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을 무엇이라 하는 가?

  1. 랩핑작업
  2. 플러싱 작업
  3. 드로잉 작업
  4. 호닝 작업
(정답률: 68%)
  • 정답은 "플러싱 작업"입니다.

    이유는 관로나 유압 장치 내부에 이물질이 들어가면, 이물질이 유체의 움직임을 방해하거나 파손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제거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유체를 고속으로 흘려보내는 작업을 "플러싱 작업"이라고 합니다. 이 작업은 이물질을 제거하고 시스템을 정상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유동하고 있는 액체의 압력이 국부적으로 저하되어, 포화 증기나 기포가 발생하고, 이것들이 터지면서 소음이 발생하는 현상은?

  1. 디콤프레션
  2. 캐비테이션
  3. 채터링
  4. 점핑
(정답률: 65%)
  • 유동 액체의 압력이 국부적으로 저하되면, 액체 내부에서 압력이 낮아져서 포화 증기나 기포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기포들이 빠르게 커지면서 터지면, 주변 액체에 대한 충격파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소음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현상을 캐비테이션(cavitation)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기어식 유압 펌프에서 두 치형이 서로 접촉하지 않고 회전하므로 소음이 적고 배출량이 많은 펌프는?

  1. 로브 펌프
  2. 스크루 펌프
  3. 정현 곡선 기어 펌프
  4. 내접식 기어 펌프
(정답률: 31%)
  • 로브 펌프는 두 치형이 서로 접촉하지 않고 회전하므로 소음이 적고, 배출량이 많은 펌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