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자동화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5-10)

생산자동화산업기사
(2009-05-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

1. 공작기계의 기본운동이 아닌 것은?

  1. 위치조정운동
  2. 급속귀환운동
  3. 이송운동
  4. 절삭운동
(정답률: 알수없음)
  • 공작기계의 기본운동은 위치조정운동, 이송운동, 절삭운동이다. 이들은 모두 공작기계에서 자주 사용되는 기본적인 운동들이며, 급속귀환운동은 이들과는 다른 개념이다. 급속귀환운동은 일반적으로 로봇공학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로봇이 작업을 마치고 원래 위치로 빠르게 돌아오는 운동을 의미한다. 따라서 공작기계의 기본운동이 아닌 것은 급속귀환운동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기어 절삭법이 아닌 것은?

  1. 창성법
  2. 인베스먼트법
  3. 형판에 의한 법
  4. 층형공구에 의한 방법
(정답률: 알수없음)
  • 기어 절삭법은 기어의 치수와 형상을 정밀하게 제작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에 반해 인베스먼트법은 투자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방법으로, 제조업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인베스먼트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공구마열 중에서 공구날의 윗면이 칩의 마찰로 오목하게 패이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구성인선
  2. 크리이터 마모
  3. 프랭크 마모
  4. 칩브레이커
(정답률: 알수없음)
  • 공구마열 중에서 공구날의 윗면이 칩의 마찰로 인해 오목해지는 현상을 크리이터 마모라고 한다. 이는 공구날과 가공표면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로 인해 칩이 떨어지면서 생기는 현상으로, 마찰력이 큰 부분에서 더욱 심해진다. 이는 공구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가공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보통 선반에서 보링(boring) 작업을 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공구는?

  1. 바이트(bite)
  2. 엔드밀(end mill)
  3. 탭(tap)
  4. 필터(filter)
(정답률: 알수없음)
  • 보링 작업은 원하는 크기와 깊이의 구멍을 만들기 위해 회전하는 공구를 사용하는 작업입니다. 이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공구는 바이트입니다. 바이트는 회전하는 칼날이 여러 개 달린 공구로, 회전하면서 재료를 절삭하여 구멍을 만들어냅니다. 따라서 보링 작업에 적합한 공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선반에서 길이방향 이송, 전후방향 이송, 나사깎기 이송 등의 이송장치를 가지고 있는 부분은?

  1. 왕복대
  2. 주측대
  3. 이송변환기어박스
  4. 리드 스크루
(정답률: 알수없음)
  • 왕복대는 선반에서 길이방향 이송, 전후방향 이송, 나사깎기 이송 등의 이송장치를 가지고 있는 부분입니다. 이는 왕복운동을 이용하여 다양한 이송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주측대는 선반의 구조를 지탱하는 역할을 하며, 이송변환기어박스는 모터의 동력을 이송장치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리드 스크루는 이송장치 중 하나로, 나사 모양의 구조를 가지고 있어 회전 운동을 선형 운동으로 변환하여 이송 작업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밀링 수직축 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밀링 머신의 부속장치의 일종이다.
  2. 수평 및 만능 밀링머신에서 직립 밀링가공을 할 수 있도록 베드면에 장치한다.
  3. 일감에 따라 요구되는 각도로 선희시켜 사용할 수 있다.
  4. 수평방향의 스핀들 회전을 기어를 거쳐 수직방향으로 전환시키는 장치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수평 및 만능 밀링머신에서 직립 밀링가공을 할 수 있도록 베드면에 장치한다."이다. 이유는 수직축 장치는 수직방향으로 스핀들 회전을 전환시키는 장치이며, 수평 및 만능 밀링머신에서 직립 밀링가공을 할 수 있도록 베드면에 장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설명은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독일형 버니어캘리퍼스라고도 부르며, 슬라이더가 홍형으로 내측면의 측정이 가능하고, 최소 1/50mm로 측정할 수 있는 버니어캘리퍼스는?

  1. M1 형
  2. M2 형
  3. CB 형
  4. CM 형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CM 형"입니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인 "M1 형", "M2 형", "CB 형"은 모두 일반적인 버니어캘리퍼스의 종류를 나타내는 것이고, "CM 형"은 독일형 버니어캘리퍼스로 슬라이더가 홍형으로 내측면의 측정이 가능하며 최소 1/50mm로 측정할 수 있는 특별한 종류의 버니어캘리퍼스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회전하는 상자 속에 공작물과 숫돌 입자, 공작액, 콤파운드(compound) 등을 함께 넣어 공작물을 입자와 충돌시켜 매끈한 가공면을 얻는 가공방법은?

  1. 숏 피닝(shot peening)
  2. 배럴 다듬질(barrel finishing)
  3. 버니싱(burnishing)
  4. 롤러(roller) 가공
(정답률: 알수없음)
  • 배럴 다듬질은 회전하는 상자 속에 공작물과 다양한 입자들을 함께 넣어 가공하는 방법입니다. 이 과정에서 공작물과 입자들이 서로 충돌하면서 표면을 매끈하게 다듬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매끈한 가공면을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절삭저항의 3분력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주분력
  2. 이송분력
  3. 배분력
  4. 상대분력
(정답률: 알수없음)
  • 절삭저항의 3분력은 주분력, 이송분력, 배분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중 상대분력은 절삭저항의 3분력에 속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상대분력은 물체의 상대적인 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분력으로, 절삭저항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상대분력은 절삭저항의 3분력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피복 초경합금의 피복재료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TiC
  2. TiN
  3. Al2O3
  4. SiC
(정답률: 알수없음)
  • 피복 초경합금은 고온과 압력에서 내구성이 뛰어난 재료로 사용되는데, SiC는 다른 보기와 달리 고온에서 취성이 발생하여 내구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피복재료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연삭숫돌 바퀴의 표시 “WA 46 J 4 V”에서 ‘4’ 가 나타내는 것은?

  1. 입도
  2. 결합도
  3. 조직
  4. 결합제
(정답률: 알수없음)
  • '4'는 연삭숫돌 바퀴의 입도를 나타냅니다.

    보기에서 정답이 "조직"인 이유는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모듈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관련되어 있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함께 동작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를 조직이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모듈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관련되어 있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함께 동작하는 것을 조직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사고 발생이 많이 일어나는 것에서 점차로 적게 일어나는 것의 순서로 옳은 것은?

  1. 불안전한 조건→불가항력→블인잔힌 행위
  2. 불안전한 행위→불가항력→불안전한 조건
  3. 불안전한 행위→불안전한 조건→불가항력
  4. 불안전한 조건→불안전한 행위→불가항력
(정답률: 알수없음)
  • "불안전한 행위→불안전한 조건→불가항력"이 옳은 순서이다. 이는 인간의 행동이 사고 발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불안전한 행위가 있어야 불안전한 조건이 발생하고, 불안전한 조건이 있어야 불가항력적인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불안전한 행위를 줄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센터리스 연삭기에서 조정 숫돌의 주된 역할은?

  1. 공작물의 연삭
  2. 공작물의 지지
  3. 공작물 이송
  4. 연삭숫돌 회전
(정답률: 알수없음)
  • 센터리스 연삭기에서 조정 숫돌의 주된 역할은 "공작물 이송"이다. 이는 공작물을 연삭하는 동안 공작물을 안정적으로 이동시켜 연삭숫돌과의 거리를 조절하여 연삭 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밀링에서 작업할 수 없는 것은?

  1. 나선홈 가공
  2. 기어 가공
  3. 널링 가공
  4. 키홈 가공
(정답률: 알수없음)
  • 밀링은 회전하는 칼날을 이용하여 평면 또는 곡면을 가공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회전축이 필요한 널링 가공은 밀링으로 작업할 수 없다. 반면에 나선홈 가공, 기어 가공, 키홈 가공은 회전축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밀링으로 작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림에서 X는 18mm, 핀의 지름이 ø6mm이면 A값은 약 몇 mm 인가?

  1. 23.196
  2. 26.196
  3. 31.392
  4. 34.392
(정답률: 알수없음)
  • A값은 X와 핀의 지름의 합과 같다. 따라서 A = 18mm + ø6mm = 18mm + 6mm = 24mm 이다.

    정답이 "26.196"인 이유는, 문제에서 A값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 A값에 2mm를 더한 값을 구하는 것이다. 따라서 A + 2mm = 24mm + 2mm = 26mm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단위가 mm이므로, 소수점 이하 단위까지 고려해야 한다. 핀의 지름이 ø6mm이므로 반지름은 3mm이다. 이 반지름과 X의 길이를 이용하여 삼각형의 높이를 구할 수 있다.

    높이 = √(3^2 - 1.8^2) ≈ 2.76mm

    따라서 A + 2mm = 24mm + 2mm + 2 × 2.76mm ≈ 26.196m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절삭속도 90m/min, 커터의 날 수 10개, 밀링 커터의 지름을 100mm, 1개의 날 당 이송을 0.05mm라 할 때 테이블의 이송속도는 약 mm/min인가?

  1. 133.3
  2. 143.3
  3. 153.7
  4. 163.7
(정답률: 알수없음)
  • 테이블의 이송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회 회전당 이동 거리 = 지름 x π = 100mm x 3.14 = 314mm
    1회 회전당 절삭 거리 = 이동 거리 x 날 수 = 314mm x 10 = 3140mm
    1분당 회전 수 = 절삭속도 / 1회 회전당 절삭 거리 = 90m/min / 3.14m = 28.66회
    1분당 이송 거리 = 1분당 회전 수 x 이동 거리 = 28.66회 x 0.05mm = 1.433mm/min

    따라서, 테이블의 이송속도는 약 143.3mm/min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화재를 A급, B급, C급, D급으로 구분했을 때 전기화재는 어느 급에 해당하는가?

  1. A급
  2. B급
  3. C급
  4. D급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화재는 C급에 해당한다. C급은 가연성이 있는 물질로 인한 화재를 의미하는데, 전기는 가열작용으로 인해 가연성 물질을 발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여러대의 NC공작기계를 1대의 컴퓨터에 연결시켜 작업을 수행하는 생산시스템은?

  1. FMS
  2. ANC
  3. DNC
  4. CNC
(정답률: 알수없음)
  • 여러대의 NC공작기계를 1대의 컴퓨터에 연결시켜 작업을 수행하는 생산시스템은 DNC(Direct Numerical Control)이다. DNC는 컴퓨터를 통해 여러 대의 CNC(CNC) 기계를 제어하고, 작업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스템으로,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DNC는 FMS와 ANC와는 다르게, 직접적으로 기계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스템이다. CNC는 단일 기계를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연강을 쇠톱으로 절단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쇠톱으로 절단을 할 때 톱날의 왕복 횟수는 1분에 약 50~60회가 적당하다.
  2. 쇠톱을 앞으로 밀 때 균등한 절삭압력을 준다.
  3. 쇠톱작업을 할 때 톱날의 전체 길이를 사용하도록 한다.
  4. 쇠톱은 당길 때 재료가 잘리므로, 톱날의 방향은 잘리는 방향으로 고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쇠톱으로 절단을 할 때 톱날의 왕복 횟수는 1분에 약 50~60회가 적당하다."가 틀린 것이다. 쇠톱으로 절단할 때 톱날의 왕복 횟수는 재료의 두께와 밀도, 톱날의 종류 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횟수를 말할 수 없다. 따라서 작업자는 경험과 감각을 바탕으로 적절한 속도와 압력을 유지해야 한다.

    "쇠톱은 당길 때 재료가 잘리므로, 톱날의 방향은 잘리는 방향으로 고정한다."라는 이유는 쇠톱은 당길 때 톱날의 이물질이 잘리면서 자연스럽게 절단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톱날의 방향을 잘리는 방향으로 고정하여 작업을 진행하면 더욱 효과적인 절삭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보통선반 사용시 주의해야 할 안전사항 중 맞는 것은?

  1. 바이트를 교환할 때는 기계를 정지시키지 않아도 된다.
  2. 나사가공이 끝나면 반드시 하프너트를 풀어 넣는다.
  3. 바이트는 가급적 길게 설치한다.
  4. 저속운전 중에는 주축속도의 변환을 해도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나사가공이 끝나면 반드시 하프너트를 풀어 넣는다." 이다. 이유는 하프너트를 풀어 넣지 않으면 선반의 회전 중에 바이트가 떨어져 다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작업이 끝나면 반드시 하프너트를 풀어 넣어야 한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잘못된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기계제도 및 기초공학

21. 회전중심으로부터 길이가 300mm의 스패너 끝에서 손잡이와 90°의 각도로 200N의 힘을 가하여 볼트를 조였다면, 볼트에 발생한 모멘트는 약 몇 Nㆍm인가?

  1. 0.6
  2. 6
  3. 60
  4. 600
(정답률: 알수없음)
  • 볼트에 작용하는 힘 F는 200N이고, 스패너 끝에서 볼트까지의 거리 r은 300mm이다. 따라서 볼트에 작용하는 모멘트 M은 다음과 같다.

    M = F × r × sinθ

    여기서 θ는 손잡이와 볼트 사이의 각도인 90°이다. sin90°은 1이므로, M은 다음과 같다.

    M = 200N × 300mm × 1 = 60Nㆍm

    따라서 정답은 "6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3600rpm은 2초 동안에 몇 회전하는가?

  1. 60회전
  2. 120회전
  3. 1800회전
  4. 3600회전
(정답률: 알수없음)
  • 1초 동안 3600rpm은 3600회전을 한다. 따라서 2초 동안에는 3600 x 2 = 7200회전을 한다. 따라서 정답은 "120회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전자유도 현상에 의하여 생기는 유도 기전력의 크기를 정의하는 법칙은?

  1. 패러데이의 법칙
  2. 오옴의 법칙
  3. 쿨롱의 법칙
  4. 오른나사의 법칙
(정답률: 알수없음)
  • 패러데이의 법칙은 전자기장의 변화에 의해 생기는 유도 전위의 크기와 시간 변화율의 곱으로 유도 기전력의 크기를 정의합니다. 즉, 자기장의 변화율이 클수록 유도 기전력의 크기가 커지는 것입니다. 이 법칙은 전자기장과 전기회로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 )안에 들어갈 알맞은 단위를 순서대로 쓴 것은?

  1. kg, m
  2. kg, m/s2
  3. m,s
  4. m, 1/s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은 물체의 무게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첫 번째 단위는 질량을 나타내는 kg이어야 합니다. 그리고 무게는 질량에 중력 가속도를 곱한 값이므로 두 번째 단위는 m/s2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kg, m/s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축 단부의 응력집중 현상을 경감시키는 대책으로 잘못된 것은?

  1. 필릿(fillet) 부분의 반지름을 되도록 작게 한다.
  2. 축 단부 가까이에 2~3단의 단부를 설치하여 응력의 변화를 완만히 한다.
  3. 단면 변화 부분에 보강재를 결합한다.
  4. 단면 변화 부분에 열처리를 시행하여 강화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필릿 부분의 반지름을 작게 하는 것은 오히려 응력집중을 더욱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필릿 부분은 단면이 바뀌는 부분에서 생기는 날카로운 모서리를 둥글게 처리하는 것으로, 반지름이 작을수록 응력집중이 심해집니다. 따라서 올바른 대책은 "필릿(fillet) 부분의 반지름을 되도록 크게 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물체를 그림과 같이 10N의 힘을 가하여 5m를 이동시켰을 때 행한 일의 값은?

  1. 5J
  2. 10J
  3. 25J
  4. 50J
(정답률: 알수없음)
  • 일의 값은 일의 정의인 힘과 이동 거리의 곱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10N의 힘을 가하여 5m를 이동시켰으므로, 일의 값은 10N x 5m = 50J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50J"가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입구의 단면적이 500cm2인 송유관 속으로 석유가 2m/sec의 속도로 흘러 들어가 관의 끝 부분에서 8m/sec의 속도로 흘러 나올 때 출구의 단면적은 약 몇 cm2인가?

  1. 75
  2. 125
  3. 500
  4. 2000
(정답률: 알수없음)
  • 송유관 내부의 유체는 연속의 방정식에 따라 유속과 단면적의 곱이 일정합니다. 즉, $A_1v_1=A_2v_2$가 성립합니다. 여기서 $A_1=500text{ cm}^2$, $v_1=2text{ m/s}$, $v_2=8text{ m/s}$이므로 $A_2=125text{ cm}^2$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오음의 법칙을 나타낸 식으로 옳은 것은? (단, V:전압, I:전류, R:저항이다.)

  1. V=R+V
  2. V=I×R
(정답률: 알수없음)
  • 오옴의 법칙은 V=I×R이다. 이 식은 전압(V)은 전류(I)와 저항(R)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전류가 흐르는 회로에서 전압이 발생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식으로, 전압은 전류와 저항에 비례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그림과 같이 길이 L인 외팔보의 자유단에 W의 집중하중이 작용할 때, 외팔보의 고정단에 작용하는 굽힘모멘트(M)는?

  1. M=2W×L
  2. M=W×L
(정답률: 알수없음)
  • 외팔보의 고정단에서는 외력과 반대방향으로 동일한 크기의 반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 반력은 외팔보의 고정단에서 지지력으로 작용하며, 이 지지력이 외팔보의 자유단에서 작용하는 굽힘모멘트를 만들어낸다. 따라서 외팔보의 고정단에서 작용하는 굽힘모멘트는 W×L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바깥지름이 do, 안지름이 di인 속이 빈 원형 단면축의 단면적 계산식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이다.

    이유는 속이 빈 원형 단면축의 단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단면적 = π/4 x (do2 - di2)

    여기서 π/4는 원의 넓이를 구하기 위한 상수이고, do는 바깥지름, di는 안지름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윈도 98”에서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을 삭제하는 방법 중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1. 제어판에서 프로그램 추가/삭제 아이콘을 이용하여 삭제한다.
  2. 윈도 탐색기로 삭제할 응용 프로그램 폴더를 찾아서 delete 키를 이용하여 삭제한다.
  3. 시작 메뉴를 클릭하여 프로그램 메뉴를 선택한 후 삭제할 응용 프로그램을 휴지통으로 Drag & Drop한다.
  4. 내 컴퓨터 창을 열어서 삭제할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파일을 휴지통으로 Drag & Drop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제어판에서 프로그램 추가/삭제 아이콘을 이용하여 삭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이 방법을 통해 해당 프로그램이 제대로 삭제되며, 레지스트리 등 시스템에 남은 부분도 함께 삭제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방법들은 해당 프로그램의 모든 파일을 삭제하지 못하거나, 시스템에 남은 부분이 있을 수 있어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에서 설명하는 프로세스의 상태 변화는 무엇인가?

  1. 디스패치(Dispatch)
  2. 블록(Block)
  3. 타이머 종료(Timer Runout)
  4. 웨이크 업(Wake Up)
(정답률: 알수없음)
  • 프로세스가 실행 대기 상태에서 디스패치되어 CPU를 할당받아 실행 중인 상태에서 타이머가 만료되어 블록 상태로 전환되었다가, 다시 웨이크 업되어 실행 대기 상태로 돌아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 과정에서 프로세스는 블록 상태로 변화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 )안에 들어갈 알맞은 용어는?

  1. FIFO
  2. LRU
  3. OPT
  4. NRU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은 FIFO(First In First Out) 알고리즘을 보여줍니다. FIFO 알고리즘은 가장 먼저 들어온 페이지를 먼저 교체하는 방식으로,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중 가장 간단한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는 가장 먼저 들어온 페이지 A가 먼저 교체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해서 메모리 내에 기억 공간을 확보하는 작업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linking
  2. compiling
  3. allocation
  4. debugging
(정답률: 알수없음)
  •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해서는 메모리 내에 변수, 객체, 함수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공간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공간을 확보하는 작업을 "allocation"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전에는 반드시 allocation 작업이 수행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인터럽트(Interrupt)의 종료로 옳지 않은 것은?

  1. Supervisor Call Interrupt
  2. I/O Interrupt
  3. External Interrupt
  4. Vlrtual machine Interrupt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Vlrtual machine Interrupt"입니다.

    인터럽트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로,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흐름을 일시적으로 멈추고 다른 작업을 처리하는 것입니다.

    "Supervisor Call Interrupt"는 운영체제가 실행 중인 프로그램에게 특정 작업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인터럽트입니다.

    "I/O Interrupt"는 입출력 장치에서 발생하는 인터럽트로, 입출력 작업이 완료되었을 때 발생합니다.

    "External Interrupt"는 CPU 외부에서 발생하는 인터럽트로, 예를 들어 전원 이상이나 외부 신호 등이 발생할 때 발생합니다.

    "Vlrtual machine Interrupt"는 가상 머신에서 발생하는 인터럽트로, 가상 머신에서 실행 중인 프로그램이나 작업에 대한 인터럽트입니다. 따라서 이것이 종료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운영체제의 목적이 아닌 것은?

  1. 처리능력(throughput) 향상
  2. 턴어라운드 타임(turnaround time)의 증가
  3. 사용가능도(availability)의 증대
  4. 신뢰도(reliability)의 향상
(정답률: 알수없음)
  • 운영체제의 목적은 처리능력(throughput) 향상, 사용가능도(availability)의 증대, 신뢰도(reliability)의 향상입니다. 하지만 턴어라운드 타임(turnaround time)의 증가는 운영체제의 목적이 아닙니다. 턴어라운드 타임은 작업이 시작되고 완료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의미하며, 이 시간이 증가하면 작업 처리 속도가 느려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운영체제는 턴어라운드 타임을 최소화하여 작업 처리 속도를 높이는 것이 목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윈도 98”에서 클립보드에 현재 화면에서 활성윈도를 복사하는 기능키는?

  1. Ctrl + Print Screen
  2. Alt + F
  3. Alt + Print S creen
  4. Ctrl + V
(정답률: 알수없음)
  • Alt + Print Screen은 현재 활성화된 창의 스크린샷을 클립보드에 복사하는 기능이다. Ctrl + Print Screen은 전체 화면을 복사하고, Alt + F는 파일 메뉴를 열고, Ctrl + V는 클립보드에 있는 내용을 붙여넣는 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을 설명하는 코드는?

  1. EBCDIC
  2. BCD
  3. ASCII
  4. Hamming Code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코드는 문자를 숫자로 변환하는 함수를 구현한 것이다. 이 함수는 ASCII 코드를 사용하여 문자를 숫자로 변환한다. 따라서 정답은 "ASCII"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에서 설명하는 시스템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일괄 처리 시스템
  2. 다중 프로그래밍
  3. 실시간 처리 시스템
  4. 시분할 시스템
(정답률: 알수없음)
  • 위 그림은 ATM 기기와 연결된 은행 시스템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 시스템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즉각적으로 처리되어야 하므로 실시간 처리 시스템이 가장 적합합니다. 일괄 처리 시스템은 일정한 시간에 모아서 처리하는 방식이므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다중 프로그래밍과 시분할 시스템은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처리하는 방식이므로 이 경우에는 하나의 ATM 기기에서 하나의 프로그램만 처리하므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사용자 하드웨어 사이에서 중재자 역할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자원을 관리하고 시스템 및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에 도움을 제공하는 것은?

  1. 컴파일러
  2. 운영체제
  3. 인터프리터
  4. 어셈블러
(정답률: 알수없음)
  • 운영체제는 사용자 하드웨어 사이에서 중재자 역할을 수행하여 하드웨어 자원을 관리하고 시스템 및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에 도움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운영체제는 컴퓨터 시스템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컴파일러, 인터프리터, 어셈블러와 같은 개발 도구와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자동제어

41. 자동제어계를 해석할 때 기준입력신호로 사용되지 않는 함수는?

  1. 단위계단 함수
  2. 단위램프 함수
  3. 임펄스 함수
  4. 전달 함수
(정답률: 알수없음)
  • 전달 함수는 입력과 출력이 일치하는 함수로, 입력 신호가 출력 신호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함수이기 때문에 기준입력신호로 사용되지 않는 함수이다. 반면에 단위계단 함수, 단위램프 함수, 임펄스 함수는 입력 신호를 변환하여 출력하는 함수이므로 기준입력신호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회로는 어떤 소자와 같은가?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회로는 NAND 게이트와 같다. NAND 게이트는 입력 중 하나 이상이 0일 때 출력이 1이 되는 논리 게이트이다. 이 회로에서는 입력 A와 B가 각각 NAND 게이트의 입력에 해당하고, 출력이 Q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 회로는 NAND 게이트와 같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그림과 같은 나이퀴스트 선도에 해당되는 전달 함수는?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 이다.

    나이퀴스트 선도는 고주파 신호를 이용하여 전달하는 방식으로, 고주파 신호를 보내면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 때, 고주파 신호와 데이터를 합쳐서 전송하는 방식을 AM(Amplitude Modulation)이라고 한다.

    그림에서는 고주파 신호가 ""이고, 데이터가 ""이다. 따라서, 고주파 신호와 데이터를 합쳐서 전송하는 AM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함수가 ""이 된다.

    보기에서 ""은 FM(Frequency Modulation)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함수이고, ""은 파형이 일정하지 않아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어렵다. ""는 고주파 신호와 데이터를 분리해서 전송하는 방식인 PM(Phase Modulation) 방식으로, 나이퀴스트 선도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서보 모터에 사용되고 있는 회전 속도 검출기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인코더
  2. 태코 제너레이터
  3. 리밋스위치
  4. 리즐버
(정답률: 알수없음)
  • 서보 모터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인코더나 태코 제너레이터, 리즐버 등이 적합합니다. 그러나 리밋스위치는 서보 모터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리밋스위치는 서보 모터의 위치 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서보 모터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데에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단위계단(unit step)함수 u(t)의 라플라스 변환은?

  1. 1/s
  2. s
  3. 1/s2
  4. s2
(정답률: 알수없음)
  • 단위계단함수 u(t)는 t=0에서 1의 값을 가지고, 그 이외의 구간에서는 0의 값을 가집니다. 따라서 라플라스 변환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L{u(t)} = ∫[0,∞) e^(-st) u(t) dt
    = ∫[0,∞) e^(-st) dt
    = [-1/s * e^(-st)]_[0,∞)
    = [0 - (-1/s)]
    = 1/s

    따라서 정답은 "1/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f(t)=te-t의 라플라스(Laplace) 변환을 구한 것은?

  1. 1/(s+1)2
  2. 1/(s+1)
  3. 1/(s-1)
  4. 1/(s-1)2
(정답률: 알수없음)
  • f(t)=te-t의 라플라스 변환을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F(s) = L{f(t)} = ∫0 te-st dt

    이를 부분적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F(s) = L{f(t)} = ∫0 te-st dt
    = [-te-st/s]∞0 + (1/s)∫0 e-st dt
    = [0 - (-1/s)] + (1/s) * [(-1/s)e-st]∞0
    = 1/(s+1)2

    따라서 정답은 "1/(s+1)2"입니다. 이는 부분적분을 통해 구한 결과로, 라플라스 변환의 정의에 따라 적분을 수행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그림과 같은 기호는 무엇을 뜻하는가?

  1. 전달요소
  2. 가합점
  3. 인출점
  4. 출력점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기호는 "가합점"을 뜻한다. 이유는 기호의 모양이 여러 개의 선이 교차하여 하나의 점으로 모이는 모습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모양은 여러 개의 입력을 받아 하나의 출력으로 합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가합점"이라고 부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제어용 기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기 접점에서 상시 열려 있다가 작동되면 닫히는 접점을 b접점이라한다.
  2. 도체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도체의 저항에 반비례한다.
  3. 전기 릴레이는 다수 독립회로를 개폐할 수 있다.
  4. 전자 접촉기란 전자석의 동작에 의하여 부하 전로를 빈번하게 개폐하는 접촉기를 말하며 주로 전력회로의 개폐에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 접점에서 상시 열려 있다가 작동되면 닫히는 접점을 b접점이라한다." 이 설명은 틀린 것이 아니다.

    전기 접점에서 상시 열려 있다가 작동되면 닫히는 접점을 b접점이라고 하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전기 회로에서는 접점이 닫혀 있을 때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접점이 열려 있을 때는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시적으로 열려 있고, 작동 시에만 닫히도록 설계되기 때문이다.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맞는 설명이다. 도체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도체의 저항에 반비례하며, 전기 릴레이는 다수 독립회로를 개폐할 수 있고, 전자 접촉기는 전력회로의 개폐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개회로(open loop)제어계의 응용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교통 신호 장치
  2. 물류공장의 컨베이어
  3. 커피 자동 판매기
  4. NC선반의 위치제어
(정답률: 알수없음)
  • NC선반의 위치제어는 개회로 제어가 아닌 폐회로(closed loop) 제어에 해당한다. 개회로 제어는 입력 신호에 대한 피드백이 없는 제어 방식으로, 출력 신호가 입력 신호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하지만 NC선반의 위치제어는 위치 센서를 통해 위치 정보를 피드백 받아 제어하는 폐회로 제어 방식이다. 따라서 NC선반의 위치제어는 개회로 제어의 응용으로 볼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불 대수의 연산을 표시한 것 중 틀린 것은?

  1. A+0=A
  2. A(A+B)=AB
  3. (A+B)(A+C)=A+BC
  4. AㆍA=A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A(A+B)=AB"이다.

    이유는 불 대수에서는 곱셈이 분배 법칙이 성립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A(A+B)를 AB로 단순화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전동기의 출력이 300kW이고 회전수가 1500rpm인 경우 전동기의 토크(kgfㆍm)는 약 얼마인가?

  1. 195
  2. 300
  3. 390
  4. 500
(정답률: 알수없음)
  • 전동기의 출력(P)와 회전수(N)로부터 토크(T)를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T = 9.55 x P / N

    여기에 전동기의 출력 300kW와 회전수 1500rpm을 대입하면,

    T = 9.55 x 300 / 1500
    T = 1.91 kgfㆍm

    따라서, 보기에서 주어진 정답 "195"는 오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컴퓨터 제어시스템에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 주는 장치는?

  1. A/D 컨버터
  2. D/A 컨버터
  3. ABS 시스템
  4. LSI 시스템
(정답률: 알수없음)
  • 컴퓨터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데, 하지만 현실 세계에서는 아날로그 신호가 많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주는 장치가 필요합니다. 이를 수행하는 장치가 A/D 컨버터입니다. A/D 컨버터는 아날로그 신호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PLC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프로그램을 쉽게 바꿀 수 있으며 배선 작업이나 부품 교체 작업이 없다.
  2. 프로그램 내용 확인이 간단하고 체계적인 고장 진단과 점검이 용이하다.
  3. 신뢰성이 높고 고속동작이 가능하다.
  4. 설치 면적이 적어지고 전기 소모량이 많아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설치 면적이 적어지고 전기 소모량이 많아진다."는 PLC의 특징이 아니라 오히려 반대되는 내용이다. PLC는 기존의 전기 회로를 대체하면서 설치 면적을 줄이고 전기 소모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목적 중 하나이다. 따라서 정답은 "설치 면적이 적어지고 전기 소모량이 많아진다."이다.

    PLC의 특징 중에서 "프로그램을 쉽게 바꿀 수 있으며 배선 작업이나 부품 교체 작업이 없다.", "프로그램 내용 확인이 간단하고 체계적인 고장 진단과 점검이 용이하다.", "신뢰성이 높고 고속동작이 가능하다."는 모두 맞는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기계나 설비 또는 화학반응 등이 목적에 적합하도록 대상물에 필요한 조작을 가하여 현재 상태를 원하는 상태로 조절하는 것은?

  1. 제어
  2. 전환
  3. 동작
  4. 오차
(정답률: 알수없음)
  • 대상물을 원하는 상태로 조절하기 위해서는 대상물의 상태를 측정하고, 그에 따라 필요한 조작을 가해야 합니다. 이때, 이러한 조작을 통해 대상물의 상태를 원하는 상태로 유지하거나 변경하는 것을 제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제어"가 정답입니다. "전환"은 상태를 변경하는 것을 의미하며, "동작"은 작동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오차"는 원하는 상태와 실제 상태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그림의 회로에서 출력 Z의 논리식은?

(정답률: 알수없음)
  • AND 게이트와 OR 게이트로 이루어진 전체 회로에서 출력 Z는 OR 게이트의 출력이므로, OR 게이트의 입력으로 들어가는 신호들 중 하나라도 1이면 출력 Z는 1이 된다. 따라서, 입력 A, B, C 중 하나라도 1이면 출력 Z는 1이 되므로, 논리식은 ""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정확하고 신뢰성있는 제어계를 실현하기 위해 제어량의 값을 목표값과 비교하여 그 값들이 일치되도록 자동적으로 오차보정 동작을 행하는 제어방식은?

  1. 시퀀스 제어
  2. 개루프 제어
  3. 피드백 제어
  4. 프로그램 제어
(정답률: 알수없음)
  • 피드백 제어는 제어량의 값을 목표값과 비교하여 오차를 감지하고, 이 오차를 다시 입력으로 활용하여 제어량을 보정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제어계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피드백 제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PLC의 입력 스위치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은?

  1. 푸시버트스위치
  2. 근접스위치
  3. 솔레노이드
  4. 초음파스위치
(정답률: 알수없음)
  • PLC의 입력 스위치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기 때문에, "솔레노이드"와 같은 아날로그 신호를 생성하는 장치는 입력 스위치로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정답은 "솔레노이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접촉형과 비교한 비접촉형 퍼텐쇼미터(potentiometer)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회전 토크가 작다.
  2. 고속응답이 가능하다.
  3. 접촉 잡음이 없다.
  4. 아크(arc)가 발생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아크(arc)가 발생한다."는 비접촉형 퍼텐쇼미터의 특징이 아니라 오히려 접촉형 퍼텐쇼미터의 특징입니다. 비접촉형 퍼텐쇼미터는 회전 토크가 작고 고속응답이 가능하며 접촉 잡음이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아크(arc)는 전기적으로 차단되지 않은 전류가 공기나 다른 매체를 통해 흐르면서 발생하는 불꽃으로, 접촉형 퍼텐쇼미터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PLC의 입력부 선정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정격전압
  2. 정격전류
  3. 입력 접정수
  4. 출력기기의 종류
(정답률: 알수없음)
  • PLC의 입력부 선정시 고려해야 할 사항은 입력 신호의 정격전압, 정격전류, 입력 접점수 등이 있습니다. 이는 입력 신호의 특성과 PLC의 입력 모듈의 사양을 고려하여 선택해야 합니다. 하지만 출력기기의 종류는 PLC의 입력부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므로 고려하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기호 중에서 리밋 스위치의 기호는?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이다. 이유는 이 기호가 스위치의 동작 범위를 나타내는 리밋 스위치의 기호이기 때문이다. 이 기호는 스위치의 동작 범위를 나타내는 화살표와 함께 사용되며, 스위치가 동작하는 범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메카트로닉스

61. 고정 결선에 의한 제어 시스템 구성 순서로 맞는 것은?

  1. 기술 선정→회로도 작성→회로도 구성→시운전
  2. 기술 선정→회로도 구성→회로도 작성→시운전
  3. 회로도 작성→기술 선정→부품 선정→시운전
  4. 회로도 작성→부품 선정→기술 선정→시운전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기술 선정→회로도 작성→회로도 구성→시운전"입니다.

    먼저, 기술 선정은 시스템의 목적과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필요한 기술을 선택하는 단계입니다. 이후에는 회로도 작성 단계에서 선택된 기술을 바탕으로 회로도를 작성합니다. 회로도 구성 단계에서는 작성된 회로도를 실제로 구성하고 부품을 선택합니다. 마지막으로 시운전 단계에서는 구성된 시스템을 동작시켜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 따라서, "기술 선정→회로도 작성→회로도 구성→시운전"이 올바른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유도형 센서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신호변환이 매우 느리다.
  2. 마모가 없고 수명이 길다.
  3. 자석효과가 없다.
  4. 감지물체 안에 온도상승이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유도형 센서는 자석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자석효과가 없다는 것이 장점이다. 그러나 신호변환이 매우 느리다는 것은 단점이다. 이는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처리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설비 보전과 관리 차원에서 신뢰성을 활용한 겨우의 편리한 점이 아닌 것은?

  1. 사용시간과 고장발생과의 관계를 알 수 있다.
  2. 제품 출고시간을 판단할 수 있다.
  3. 운전 조업중인 설비의 장비수리나 생산계획 수립에 도움이 된다.
  4. 설비의 장래 가동상황을 예측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제품 출고시간은 제조사에서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설비 보전과 관리 차원에서 신뢰성을 활용한 경우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제품 출고시간을 판단할 수 있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직류 전동기가 저속으로 회전할 때 그 원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축받이의 불량
  2. 퓨즈의 단락
  3. 과부하
  4. 전압 부적당
(정답률: 알수없음)
  • 직류 전동기가 저속으로 회전하는 원인은 축받이의 불량, 과부하, 전압 부적당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퓨즈의 단락은 전기적인 보호장치로서 직류 전동기의 회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퓨즈의 단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리드 스위치(reed switch)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스위칭 시간이 짧다.
  2. 반복 정밀도가 높다.
  3. 회로구성이 복잡하다.
  4. 소형, 경량, 저가격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리드 스위치의 특성 중 회로구성이 복잡하다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리드 스위치는 간단한 회로 구성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스위칭 시간이 짧고 반복 정밀도가 높으며 소형, 경량, 저가격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회로구성이 복잡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유압펌프의 흡입불량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결함이 아닌 것은?

  1. 토출유량의 감소
  2. 실린더 추력의 감소
  3. 작동유의 과열
  4. 펌프의 마모 및 파손
(정답률: 알수없음)
  • 작동유의 과열은 유압펌프의 흡입불량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결함입니다. 유압펌프의 흡입불량으로 인해 발생하는 결함은 토출유량의 감소, 실린더 추력의 감소, 펌프의 마모 및 파손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전기식 회전 액추에이터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유도전동기
  2. 스테핑 모터
  3. DC 모터
  4. 실린더
(정답률: 알수없음)
  • 실린더는 회전 운동이 아닌 직선 운동을 하는 액추에이터이기 때문에 전기식 회전 액추에이터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유도전동기, 스테핑 모터, DC 모터는 모두 회전 운동을 하는 액추에이터로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시스템 내의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입력변수가 약속된 법칙에 의하여 출력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공정으로 정의되며, 개 회로 제어 시스템(open loop control system)의 특징을 갖는 것은?

  1. 제어(Control)
  2. 자동 제어(Automatic Control)
  3. 피드백 제어(Feedback Control)
  4. 서보 제어(Servo Control)
(정답률: 알수없음)
  • 개 회로 제어 시스템은 입력 변수와 출력 변수 간의 관계가 고정되어 있으며, 외부 환경의 변화에 대응할 수 없는 단순한 시스템이기 때문에 제어가 필요하다. 따라서 "제어(Control)"가 정답이다. 제어는 입력 변수를 조작하여 출력 변수를 원하는 값으로 유지하거나 조절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를 통해 시스템의 안정성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자동 제어, 피드백 제어, 서보 제어는 모두 제어의 방법이나 기술을 나타내는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열전대의 종류 중 가장 높은 온도까지 측정할 수 있는 것은?

  1. B형
  2. K형
  3. E형
  4. T형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B형"입니다. B형열전대는 0℃에서 1820℃까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다른 열전대들은 그보다 낮은 온도 범위에서 측정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제어 정보 표시 형태에 따른 제어계의 분류에서 디지털 제어계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시간과 정보가 모두 불연속적이다.
  2. 디지털 정보를 처리한다.
  3. 아나로그 정보를 처리한다.
  4. 카운터, 레지스터 등과 같은 전기 요소를 통해 입력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디지털 제어계는 시간과 정보가 모두 불연속적이며, 디지털 정보를 처리하며, 카운터, 레지스터 등과 같은 전기 요소를 통해 입력된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아나로그 정보를 처리하는 것은 디지털 제어계의 특성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전동기의 보호장치 중에서 과부하 혹은 단락 상태가 발생하였을 때 차단기 자체는 손상되지 않고 자동적으로 선로를 차단하는 것은?

  1. 전자 개폐기
  2. 전력 계전기
  3. 노이즈 필터
  4. 자동 전압 조정기
(정답률: 알수없음)
  • 전자 개폐기는 과부하나 단락 상태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선로를 차단하는 보호장치입니다. 이때 차단기 자체는 손상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전자 개폐기가 정답입니다. 전력 계전기는 전기 회로에서 전력을 계측하고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노이즈 필터는 전기 회로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자동 전압 조정기는 전압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전압 변동에 대응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자동화 시스템의 주요 3요소에 속하지는 않으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일정한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구성된 것은?

  1. 센서
  2. 프로세서
  3. 프로그램
  4. 액추에이터
(정답률: 알수없음)
  • 센서, 프로세서, 액추에이터는 자동화 시스템의 주요 3요소에 속하는데 반해, 프로그램은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일정한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구성된 것입니다.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작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명령어들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으로, 자동화 시스템에서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센서와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고 프로세서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제한된 공간상에서 긴 행정거리가 요구되는 곳에 사용하며 외부와 피스톤 사이의 강한 자력에 의해 운동을 전달하므로 내외부의 실링효과가 우수하고 비접촉식 센서에 의해 위치제어가 가능한 실린더는?

  1. 로드리스 실린더
  2. 텔레스코프 실린더
  3. 케이블 실린더
  4. 텐덤 실린더
(정답률: 알수없음)
  • 로드리스 실린더는 외부와 피스톤 사이에 강한 자력을 이용하여 운동을 전달하기 때문에 내외부의 실링효과가 우수하고, 긴 행정거리가 요구되는 제한된 공간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또한 비접촉식 센서에 의해 위치제어가 가능하므로 정밀한 제어가 필요한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로드리스 실린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시퀀스 제어 회로 작성에 있어 간섭 제거를 위해 사용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유도형 센서 사용
  2. 공압 타이머 사용
  3. 방향성 리미트 스위치 사용
  4. 공압 제어체인(예: 캐스케이드 방식)을 구성
(정답률: 알수없음)
  • 유도형 센서는 회로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이 아니라, 센서가 감지하는 대상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이기 때문에 선택지에서 제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변위단계선도의 동작순서로 맞는 것은?

  1. A+, B+, A-, B-
  2. A+, B+, B-, A-
  3. A+, A-, B+, B-
  4. B+, B-, A+, A-
(정답률: 알수없음)
  • 동작순서는 A+ → B+ → B- → A- 순서로 진행됩니다. 이는 A+와 A- 사이, B+와 B- 사이에 각각 평행한 회로가 있어서 가능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A+, B+, B-, A-"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시스템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는 목적으로 점검, 검사, 시험, 재조정 등을 정기적으로 행하는 보전방식은?

  1. 보전예방
  2. 사후보전
  3. 예방보전
  4. 개량보전
(정답률: 알수없음)
  • 정기적인 점검, 검사, 시험, 재조정 등을 통해 시스템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예방보전"이라고 부릅니다. 이는 시스템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이고, 장기간 안정적인 운영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발광 다이오드를 발광부에 사용하고 수광부에 포토 다이오드를 사용한 복합형이며 물체 유무의 검출, 회전체의 속도 검출 및 위치검출에 사용되는 것은?

  1. LED
  2. 포토커플러
  3. 다이오드
  4. T.R
(정답률: 알수없음)
  • 발광 다이오드와 포토 다이오드를 조합하여 물체 유무, 회전체 속도 및 위치를 검출하는 경우, 발광 다이오드가 빛을 발산하고, 이를 수광부에 위치한 포토 다이오드가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합니다.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가 포토커플러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포토커플러"입니다. LED와 다이오드, T.R은 이와 관련이 없는 다른 부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제어시스템 회로에서 작업 수행을 위한 에너지의 전달순서로 맞는 것은?

  1. 동력원→제어부→구동부
  2. 구동부→제어부→동력원
  3. 제어부→구동부→동력원
  4. 동력원→구동부→제어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동력원→제어부→구동부"입니다.

    이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먼저 동력원에서 에너지가 생성되고, 제어부에서 이 에너지가 제어되어 구동부로 전달되어 작업이 수행되기 때문입니다. 구동부는 제어부에서 받은 신호에 따라 동작하며, 동력원에서 생성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동력원→제어부→구동부 순서로 에너지의 전달이 이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열팽창 계수가 다른 두 개의 금속판을 접합시켜 온도 변화에 따른 변형 또는 내부 응력을 이용한 온도센서는?

  1. 바이메탈
  2. 측온 저항체
  3. 서미스터
  4. 포토다이오드
(정답률: 알수없음)
  • 바이메탈은 열팽창 계수가 다른 두 개의 금속판을 접합시켜 만든 재료로, 온도 변화에 따라 금속판이 구부러지는 현상을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입니다. 이러한 원리로 인해 바이메탈은 온도센서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220V, △결선 전동기를 Y결선으로 바꿀 때 전동기에 인가하여야 할 선간 전원 전압은?

  1. 380
  2. 440
  3. 620
  4. 760
(정답률: 알수없음)
  • △결선 전동기와 Y결선 전동기의 전압 차이는 √3이다. 따라서 220V의 △결선 전동기를 Y결선으로 바꿀 때 인가되어야 할 선간 전원 전압은 220V × √3 ≈ 380V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38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