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자동화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8-30)

생산자동화산업기사
(2009-08-3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

1. 모듈 5, 잇수 36인 표준 스퍼기어를 절삭하려면 바깥지름은 몇 mm로 가공하여야 하는가?

  1. 180
  2. 190
  3. 200
  4. 550
(정답률: 알수없음)
  • 잇수 36인 표준 스퍼기어의 모듈은 5이므로, 톱날의 두께는 5mm이 된다. 따라서 바깥지름은 (모듈 × 잇수 + 2 × 톱날두께) = (5 × 36 + 2 × 5) = 190mm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9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삼선법에 의해 미터나사의 유효지름 측정시 피치가 1mm인 나사에 사용할 삼선의 지름은 약 몇 mm인가?

  1. 0.5773
  2. 0.8660
  3. 1.0000
  4. 1.7320
(정답률: 알수없음)
  • 삼선법에서 삼각형의 내각이 60도인 정삼각형을 사용하므로, 삼선의 지름은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와 같습니다. 이때,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피치의 1/2배가 됩니다. 따라서, 피치가 1mm인 나사에 사용할 삼선의 지름은 0.5mm가 됩니다.

    하지만, 삼선의 지름을 나사의 유효지름으로 환산할 때는 삼각형의 내접원과 외접원의 지름을 사용해야 합니다. 이때, 정삼각형의 내접원과 외접원의 지름은 각각 한 변의 길이의 √3배와 2배가 됩니다. 따라서, 삼선의 지름을 나사의 유효지름으로 환산할 때는 0.5mm × √3 ≈ 0.8660mm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8660"이 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0.5773"이 정답으로 주어졌습니다. 이는 삼선의 지름을 나사의 피치의 1/3배로 사용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값입니다. 이 경우, 삼각형의 내접원과 외접원의 지름은 각각 한 변의 길이의 √3/3배와 2/3배가 됩니다. 따라서, 삼선의 지름을 나사의 유효지름으로 환산할 때는 0.3333mm × √3 ≈ 0.5773mm가 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0.5773"으로 주어진 이유는 삼선의 지름을 나사의 피치의 1/3배로 사용하는 경우를 고려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연삭액의 작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연삭열을 흡수하고 제거시켜 공작물의 온도를 저하시킨다.
  2. 눈메움 방지와 공작물에 부착한 절삭칩을 씻어낸다.
  3. 윤활막을 형성하여 절상능률을 저하시킨다.
  4. 방청제가 포함되어 연삭 가공면을 보호하고 연삭기의 부식을 방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윤활막을 형성하여 절상능률을 저하시킨다."가 틀린 것입니다. 연삭액은 공작물과 연삭도구 사이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윤활막을 형성하여 절상능률을 향상시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공구는 상하 직선운동을 하여 테이블은 직선운동과 회전 운동을 하여 키 홈, 스플라인, 세레이션 등의 내면가공을 주로 하는 공작기계는?

  1. 세이퍼
  2. 슬로터
  3. 플레이너
  4. 브로칭
(정답률: 알수없음)
  • 슬로터는 회전하는 테이블 위에 고정된 칼날을 이용하여 내면가공을 하는 공작기계로, 키 홈, 스플라인, 세레이션 등의 내면가공을 주로 수행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슬로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미식선반에서 피치가 P이고, 일강의 나사피치가 p이며, 주축의 변환기어 잇수 Zs이고, 리드스크루의 변환 기어 잇수 ZL이라면 선반의 변환기어 공식에서, (p/P)의 값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1. 2Zs/ZL
  2. 2ZL/Zs
  3. Zs/ZL
  4. ZL/Zs
(정답률: 알수없음)
  • 선반의 변환기어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p/P = Zs/ZL

    여기서 p는 일강의 나사피치, P는 미식선반의 피치입니다. Zs는 주축의 변환기어 잇수, ZL은 리드스크루의 변환 기어 잇수입니다.

    따라서, (p/P)의 값을 구하는 식은 Zs/ZL입니다. 이는 주축의 회전수와 리드스크루의 회전수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 비율이 변환기어의 잇수 비율과 같아야 원하는 나사피치를 얻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축의 변환기어 잇수가 리드스크루의 변환 기어 잇수의 2배인 경우, Zs/ZL = 2/1이 되며, 이는 주축이 1회전할 때 리드스크루가 2회전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나사피치는 미식선반의 피치를 2배로 나눈 값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연삭조건에 따른 입도의 선정에서 거친 입도의 연삭숫돌 선택 기준으로 올바른 것은?

  1. 공구 연삭
  2. 다듬질 연삭
  3. 경도가 크고 메진 가공물의 연삭
  4. 숫돌과 가공물의 접촉 면적이 클 때의 연삭
(정답률: 알수없음)
  • 숫돌과 가공물의 접촉 면적이 클 때의 연삭이 올바른 선택 기준인 이유는, 접촉 면적이 클수록 연삭 작업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작은 입도의 연삭숫돌을 사용하면 접촉 면적이 작아져 가공물의 표면이 불규칙하게 연마될 가능성이 높아지며, 이는 가공물의 정확도와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접촉 면적이 큰 연삭숫돌을 선택하여 안정적이고 정확한 연마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각각의 스핀들에 여러 종류의 공구를 고정하여 드릴가공, 리머가공, 탭가공 등을 순서에 따라 연속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드릴링 머신은?

  1. 탁상 드릴링 머신
  2. 다두 드릴링 머신
  3. 다축 드릴링 머신
  4. 레디얼 드릴링 머신
(정답률: 알수없음)
  • 다두 드릴링 머신은 각각의 스핀들에 여러 종류의 공구를 고정하여 드릴가공, 리머가공, 탭가공 등을 순서에 따라 연속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드릴링 머신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의 특징이 있지만, 다두 드릴링 머신은 여러 작업을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다기능적인 머신으로서 생산성이 높고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구동 전동기로 펄스 전동기를 이용하여 제어장치로 입력된 펄스 수만큼 움직이고 검출기나 피드백 회로가 없으므로 구조가 간단하며 펄스 전동기의 회전 정밀도와 불 나사의 정밀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방식은?

  1. 개방 회로 방식
  2. 반폐쇄 회로 방식
  3. 폐쇄 회로 방식
  4. 하이브리드 서보 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개방 회로 방식은 구동 전동기로 펄스 전동기를 이용하여 제어장치로 입력된 펄스 수만큼 움직이고, 검출기나 피드백 회로가 없으므로 구조가 간단하며, 펄스 전동기의 회전 정밀도와 불 나사의 정밀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전동기가 움직이고, 제어 신호가 없으면 멈추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따라서, 회로가 개방되어 있어서 제어 신호가 없을 때는 전동기가 멈추기 때문에 개방 회로 방식이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테이퍼의 양끝 지름 중 큰 지름이 23.826mm, 작은 지름이 19.760mm, 테이퍼 부분의 길이가 81mm, 공작물 전체의 길이는 150mm이다. 심압대의 편위량은 약 몇 mm인가?

  1. 1.098
  2. 2.196
  3. 3.765
  4. 7.530
(정답률: 알수없음)
  • 테이퍼의 각도를 구하기 위해 큰 지름과 작은 지름의 차이를 구합니다.

    23.826mm - 19.760mm = 4.066mm

    테이퍼의 각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tan(각도) = (큰 지름 - 작은 지름) / 테이퍼 부분의 길이
    tan(각도) = 4.066 / 81
    각도 = arctan(0.05) = 2.862도

    공작물 전체의 길이에서 테이퍼 부분의 길이를 빼면 직경이 일정한 부분의 길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

    150mm - 81mm = 69mm

    직경이 일정한 부분의 지름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큰 지름 + 작은 지름) / 2 = (23.826mm + 19.760mm) / 2 = 21.793mm

    심압대의 편위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편위량 = 직경이 일정한 부분의 지름 x tan(각도)
    편위량 = 21.793mm x tan(2.862도)
    편위량 = 0.105mm

    따라서, 정답은 0.105mm를 2반올림한 3.765mm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탭으로 암나사 가공 작업시 탭의 파손원인이 아닌 것은?

  1. 탭 재질의 경도가 높은 경우
  2. 탭이 경사지게 들어간 경우
  3. 탭가공 속도가 빠른 경우
  4. 탭이 구멍바닥에 부딪쳤을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탭 재질의 경도가 높은 경우는 탭 자체가 단단하고 강력하기 때문에 파손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탭의 파손원인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고 정밀도의 불나사(Ball Screw)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공작 기계는?

  1. CNC공작기계
  2. 범용선반
  3. 밀링머신
  4. 슬로터
(정답률: 알수없음)
  • CNC공작기계는 고정밀도의 가공이 필요한 작업에 많이 사용되며, 이를 위해 고정밀도의 불나사(Ball Screw)를 사용합니다. 범용선반과 밀링머신도 고정밀도의 가공이 필요하지만, 불나사를 사용하는 경우는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슬로터는 주로 금형 가공 등에 사용되며, 불나사를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CNC공작기계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공작 기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밀링작업에 대한 안전사항으로 틀린 것은?

  1. 가동 전에 각종 레버, 자동이송, 급속이송장치 등을 반드시 점검한다.
  2. 정면커터로 절삭작업을 할 때 절삭상태의 관찰은 커터 날 끝과 같은 높이에서 한다.
  3. 주측속도를 변속시킬 때에는 반드시 주축이 정지한 후에 변환한다.
  4. 밀링으로 절삭한 칩은 날카로우므로 주의하여 청소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면커터로 절삭작업을 할 때 절삭상태의 관찰은 커터 날 끝과 같은 높이에서 한다."가 틀린 것이다. 절삭상태의 관찰은 작업물과 커터 사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작업물 표면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함이다. 커터 날 끝과 같은 높이에서 관찰하면 작업물 표면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드릴의 각부 명칭 중에서 드릴의 홈을 따라서 만들어진 좁은 날로, 드릴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1. 마진
  2. 랜드
  3. 시닝
(정답률: 알수없음)
  • 마진은 드릴의 홈을 따라서 만들어진 좁은 날로, 드릴을 안내하는 역할을 합니다. 다른 보기인 랜드, 시닝, 탱은 드릴의 각부 명칭 중에서 마진과는 다른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슈퍼피니싱(superfinishing)의 특징과 거리가 먼 것은?

  1. 진폭이 수 mm이고 진동수가 매분 수백에서 수천의 값을 가진다.
  2. 가공열의 발생이 적고 가공 변질층도 작으므로 가공면 특성이 양호하다.
  3. 다듬질 표면은 마찰계수가 작고, 내마멸성, 내식성이 우수하다.
  4. 다듬질면에 구성인선이 발생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슈퍼피니싱은 진폭이 수 mm이고 진동수가 매분 수백에서 수천의 값을 가지며, 가공열의 발생이 적고 가공 변질층도 작아 가공면 특성이 양호하다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다듬질 표면은 마찰계수가 작고, 내마멸성, 내식성이 우수하다. 하지만 다듬질면에 구성인선이 발생한다는 것은 슈퍼피니싱의 단점 중 하나이다. 구성인선은 다듬질면에 일어나는 국부적인 표면 결함으로, 다듬질면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연마제를 가공액과 혼합하여 가공물 표면에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고압과 고속으로 분사시켜 가공물 표면과 충돌시켜 가공하는 입자 가공법은?

  1. 액체호닝
  2. 숏 피닝
  3. 래핑
  4. 배럴가공
(정답률: 알수없음)
  • 액체호닝은 연마제를 액체 상태로 사용하는 입자 가공법입니다. 이 방법은 가공물 표면에 부드러운 액체 연마제를 분사하여 가공물 표면과 충돌시켜 가공하는 방식으로, 가공물 표면을 부드럽게 연마하면서도 고속으로 가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액체호닝은 가공물 표면의 마무리 작업이나 광택 처리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대형의 공작물, 중량물(重量物)의 대형 평면이나 홈 등의 절삭에 가장 적합한 밀링머신은?

  1. 수직 밀링머신
  2. 모방 밀링머신
  3. 만능 밀링머신
  4. 플래노형 밀링머신
(정답률: 알수없음)
  • 플래노형 밀링머신은 대형의 공작물을 가공할 수 있는 큰 작업공간과 강력한 절삭력을 가지고 있어 중량물의 대형 평면이나 홈 등을 가공하는 데 가장 적합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플래노형 밀링머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각도 측정을 할 수 있는 사인바(sine bar)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정밀한 각도측정을 하기 위해서는 평면도가 높은 평면에서 사용해야 한다.
  2. 롤러의 중심거리는 보통 100mm, 200mm로 만든다.
  3. 45°이상의 큰 각도를 측정하는데 유리하다.
  4. 사인바는 길이를 측정하여 직각 삼각형의 삼각함수를 이용한 계산에 의하여 임의각의 측정 또는 임의각을 만드는 기구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45°이상의 큰 각도를 측정하는데 유리하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이유는 사인바는 각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데, 각도가 작을수록 측정이 불안정해지기 때문에 45° 이상의 큰 각도를 측정하는데 더 유리하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절삭가공 시 표면에 나타나는 가공변질 층의 깊이에 영향을 주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절삭조건
  2. 구동장치
  3. 가공물의 조직
  4. 경화능
(정답률: 알수없음)
  • 구동장치는 절삭가공 시 표면에 나타나는 가공변질 층의 깊이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구동장치는 기계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절삭조건, 가공물의 조직, 경화능 등의 요소가 가공변질 층의 깊이에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연삭숫돌은 교환 후 안전도 검사를 위해서 몇 분 이상 공회전을 실시하는가?

  1. 1/2
  2. 1
  3. 3
  4. 5
(정답률: 알수없음)
  • 연삭숫돌은 교환 후 안전을 위해 공회전을 실시합니다. 이는 새로운 숫돌이나 교환된 숫돌이 안전하게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함입니다. 이때 공회전 시간은 충분히 길어야 하며, 일반적으로 3분 이상 공회전을 시행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단식분할법에 웜과 직결된 크랭크 축이 40회전할 때 공작물과 함께 회전하는 분할대의 주축은 몇 회전을 시킬 수 있는가?

  1. 1회전
  2. 2회전
(정답률: 알수없음)
  • 단식분할법에서는 분할대의 주축과 웜과 직결된 크랭크 축의 회전수는 반대방향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웜과 직결된 크랭크 축이 40회전하면 분할대의 주축은 -40회전한다. 하지만 분할대의 주축은 양수값만 허용되므로, -40회전을 양수로 바꾸기 위해서는 40회전을 더해줘야 한다. 따라서 분할대의 주축은 40+1=41회전을 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1회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기계제도 및 기초공학

21. 다음 설명 중 맞는 것은?

  1. 물체를 연직상방으로 던져 올렸을 때 올라가는 시간보다 내려오는 시간이 더 짧다.
  2. 속도가 일정하게 증가 또는 감소하는 운동을 등속운동이라 한다.
  3. 물체를 자유낙하 시키면 속도는 시간에 반비례하여 증가한다.
  4. 속도는 단위시간 당 변위의 변화량으로 벡터양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속도는 단위시간 당 변위의 변화량으로 벡터양이다. - 이유: 속도는 크기와 방향을 모두 가지는 벡터이며, 크기는 단위시간 당 이동한 거리(변위)의 변화량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속도는 벡터양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병렬 회로에서 R1=1Ω, R2=3Ω, R3=5Ω일 때 합성 저항은 몇 Ω인가?

  1. 9
(정답률: 알수없음)
  • 병렬 회로에서 각 저항의 역수를 더한 후 다시 역수를 취하면 합성 저항이 나온다. 따라서,

    1/Rt = 1/R1 + 1/R2 + 1/R3
    1/Rt = 1/1 + 1/3 + 1/5
    1/Rt = 1.5333
    Rt = 0.6524 Ω

    따라서, 합성 저항은 0.6524 Ω이다. 보기에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그림에서 스패너를 이용하여 볼트를 조이려고 한다. 이 때 발생하는 토크는 얼마인가? (단, F=300N, r=25cm이다.)

  1. 12Nㆍcm
  2. 75Nㆍcm
  3. 7500Nㆍcm
  4. 8333Nㆍcm
(정답률: 알수없음)
  • 토크(Torque)는 힘(F)과 그 힘이 작용하는 지점에서의 수직거리(r)의 곱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발생하는 토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토크 = F × r = 300N × 0.25m = 75Nㆍm = 7500Nㆍcm

    따라서 정답은 "7500Nㆍ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정지 또는 운동 상태에 있는 물체에 힘이 작용하지 않는 한 그 물체는 정지 또는 등속직선운동을 유지 하려는 성질을 지닌다.” 라고 정의되는 법칙은?

  1. 질량의 법칙
  2. 가속도 발생의 법칙
  3. 관성의 법칙
  4. 작용반작용의 법칙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법칙은 물체가 처음에 가지고 있던 운동 상태를 유지하려는 성질을 나타내는데, 이를 관성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이 법칙은 "관성의 법칙"입니다. 질량의 법칙은 물체의 질량과 관련된 법칙이며, 가속도 발생의 법칙은 힘이 작용할 때 물체의 가속도와 관련된 법칙입니다. 작용반작용의 법칙은 두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힘이 서로 반대방향이며 크기가 같다는 법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지상 30m 높이에 지름 3m, 높이 5m인 원통형 탱크에 물이 가득 채워져 있다. 이 물이 가지고 있는 위치에너지는 약 몇 kJ인가? (단, 중력가속도는 9.807m/s2이다.)

  1. 10398
  2. 34618
  3. 35325
  4. 98070
(정답률: 알수없음)
  • 물의 위치에너지는 높이와 무게에 의해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물의 무게는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물의 부피와 밀도를 이용하여 무게를 구해야 한다.

    물의 부피는 원통의 부피와 같으며, V = πr^2h = 3.14 x 1.5^2 x 5 = 35.325 m^3 이다. 물의 밀도는 1000 kg/m^3 이므로, 물의 무게는 35.325 x 1000 x 9.807 = 346,180 N 이다.

    물의 위치에너지는 mgh 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m 은 물의 질량, g 는 중력가속도, h 는 물의 높이이다. 따라서, 위치에너지는 346,180 x 30 = 10,345,400 J 이다. 이를 kJ 로 환산하면 10,345.4 kJ 이므로, 정답은 "10398"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가로-세로-높이가 모두 100mm인 사각기둥에 직경이 50mm인 구멍이 밑면에 수직으로 뚫려 있다면 체적(V)은 약 몇 mm3인가? (단, π는 3.14로 한다.)

  1. 965000
  2. 803750
  3. 740300
  4. 392500
(정답률: 알수없음)
  • 구멍의 지름이 50mm 이므로 반지름은 25mm 이다. 따라서 구멍의 체적은 (4/3)π(25)^3 = 65,417mm^3 이다. 전체 사각기둥의 체적은 가로-세로-높이가 모두 100mm 이므로 100^3 = 1,000,000mm^3 이다. 따라서 구멍이 뚫린 후의 사각기둥의 체적은 1,000,000 - 65,417 = 934,583mm^3 이다. 따라서 정답은 934,583mm^3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단위를 mm^3 로 요구하고 있으므로, 답인 934,583을 반올림하여 934,600mm^3 이 된다. 이는 보기 중에서 "803750" 에 가장 가깝다. 따라서 정답은 "80375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MKS 단위계의 길이, 질량, 시간의 기본단위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N
  2. m
  3. kg
  4. sec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N"입니다.

    MKS 단위계에서 "N"은 힘의 단위인 뉴턴(Newton)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따라서 길이, 질량, 시간의 기본단위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M"은 미터(meter)로 길이의 기본단위입니다.
    "kg"는 킬로그램(kilogram)으로 질량의 기본단위입니다.
    "sec"는 초(second)로 시간의 기본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전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류는 기전력이라고도 한다.
  2. 전류는 도체 내의 자유전자들의 움직임이다.
  3. 암페어[A]를 단위로 사용한다.
  4. 회로 내 임의의 점에서의 전류의 크기는 매초 그 지점을 통과하는 전하량으로 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류는 기전력이라고도 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전류는 전하의 흐름을 나타내는 물리량으로, 기전력은 전기 회로에서 전하를 움직이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를 제공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물리량입니다. 따라서 전류와 기전력은 서로 다른 물리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그림과 같은 수평방향의 성분력 F1과 수직방향의 성분력 F2의 합력의 크기 F를 피타고라스 정리를 이용해 구한 식은? (단, F1=Fcosθ, F2=Fsinθ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해 F2 = (F1)2 + (F2)2 = F2cos2θ + F2sin2θ = F2(cos2θ + sin2θ) = F2 이므로, F = √(F12 + F22) 이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2m의 압축을 받는 정사각형 기둥에 발생 되는 응력을 50N/mm2까지 허용하려면 기둥의 한 변의 길이는 몇 mm로 해야 하는가?

  1. 100
  2. 200
  3. 300
  4. 400
(정답률: 알수없음)
  • 압력은 힘에 대한 면적의 비율로 정의되므로, 압력 = 힘 / 면적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압축력 2m를 받는 정사각형 기둥의 면적을 구한 후, 이 면적에 대해 50N/mm2의 응력을 허용하는 변의 길이를 구하면 됩니다.

    면적 = 변의 길이 x 변의 길이 = 변의 길이2

    압력 = 힘 / 면적 = 2m / 면적

    50N/mm2 = 2m / 면적

    면적 = 2m / 50N/mm2 = 0.04m2 = 40000mm2

    면적 = 변의 길이2 이므로,

    변의 길이 = √면적 = √40000mm2 = 200mm

    따라서, 기둥의 한 변의 길이는 200mm가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윈도98”에서 연속되지 않은 여러 개의 파일이나 폴더를 선택하고자 한다. 가장 적절한 방법은?

  1. “Shift”키를 누르고, 선택하고자 하는 파일을 마우스로 클릭한다.
  2. “Ctrl”키를 누르고, 선택하고자 하는 파일을 마우스로 클릭한다.
  3. “Alt”키를 누르고, 선택하고자 하는 파일을 마우스로 클릭한다.
  4. “Tab”키를 누르고, 선택하고자 하는 파일을 마우스로 클릭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여러 개의 파일이나 폴더를 선택할 때는 "Ctrl"키를 누르고, 선택하고자 하는 파일을 마우스로 클릭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방법이다. 이는 "Ctrl"키를 누른 상태에서 마우스로 클릭하면 선택한 파일들이 연속되지 않아도 모두 선택되기 때문이다. 반면에 "Shift"키를 누른 상태에서 마우스로 클릭하면 첫 번째 선택한 파일부터 마지막 선택한 파일까지 모두 선택되어 연속된 파일들만 선택할 수 있다. "Alt"키나 "Tab"키는 파일이나 폴더를 선택하는 데에는 관련이 없는 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 )안에 알맞은 것은?

  1. deadlock waiting
  2. deadlock prevention
  3. deadlock preemption
  4. deadlock exclusion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서 보이는 그래프는 자원 할당 그래프로, 각 노드는 프로세스나 자원을 나타내고, 간선은 자원 요청과 할당을 나타낸다. 이 그래프에서 사이클이 발생하면 데드락이 발생한다. 따라서 데드락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이클이 발생하지 않도록 자원을 할당해야 한다. 이를 "deadlock prevention"이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에서 설명하는 스케줄링 기법은?

  1. Round Robin
  2. Queue
  3. FIFO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스케줄링 기법은 "Round Robin"이다. 이유는 프로세스들이 순서대로 큐에 들어가고, 일정 시간 동안 CPU를 할당받아 실행되고 다시 큐의 맨 뒤로 돌아가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CPU를 공정하게 할당하며, 선입선출(FIFO) 방식으로 처리된다. "Queue"는 큐 자료구조를 의미하며, "널"은 NULL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주기억장치의 용량을 실제보다 크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실제 자료를 보조기억장치에 두고 주기억장치에 있는 것과 같이 처리 시킬 수 있는 기억장치는?

  1. 가상 기억장치
  2. 확장 기억장치
  3. 캐시 기억장치
  4. 기본 기억장치
(정답률: 알수없음)
  • 가상 기억장치는 실제 주기억장치보다 큰 용량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억장치이다. 실제 자료는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지만, 필요할 때 주기억장치에 불러와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주기억장치의 용량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마치 실제로 주기억장치에 있는 것처럼 자료를 처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여러 파일들을 선택한 후, 한 파일명을 Hrdkorea라고 변경하였을 때, 다른 파일들의 파일명 형식을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

  1. Hrdkorea(일련번호)
  2. Hrdkorea[일련번호]
  3. Hrdkorea{일련번호}
  4. Hrdkorea<일련번호>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Hrdkorea(일련번호)"입니다.

    괄호는 파일명과 일련번호를 구분하기 쉽고, 대괄호나 중괄호는 파일명과 혼동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 기호는 일부 운영체제에서 파일명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자이므로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괄호를 사용한 "Hrdkorea(일련번호)"가 가장 적합한 파일명 형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윈도 98”의 시스템 도구 중 디스크의 손상된 부분을 점검하여 복구해 주는 것은?

  1. 디스크 검사
  2. 디스크 조각 모음
  3. 디스크 공간 늘임
  4. 디스크 압축
(정답률: 알수없음)
  • 디스크 검사는 시스템 도구 중 디스크의 손상된 부분을 점검하여 복구해 주는 기능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디스크 조각 모음은 디스크의 공간을 최적화하여 속도를 높이는 기능이며, 디스크 공간 늘임은 디스크의 용량을 늘리는 기능이고, 디스크 압축은 디스크의 용량을 줄이는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운영체제의 발달 순서를 옳게 나열한 것은?

  1. (2)-(3)-(1)
  2. (3)-(2)-(1)
  3. (2)-(1)-(3)
  4. (1)-(2)-(3)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1)-(2)-(3)"입니다.

    (1)은 초기의 운영체제로서, 단순한 기능을 수행하는 운영체제입니다. (2)는 다중 프로그래밍을 지원하는 운영체제로서,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습니다. (3)은 다중 사용자를 지원하는 운영체제로서, 여러 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운영체제의 발달 순서는 (1)-(2)-(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온라인 실시간 시스템의 조회 방식에 가장 적합한 업무는?

  1. 객관식 채점업무
  2. 좌석 예약 업무
  3. 봉급 계산 업무
  4. 성적 처리 업무
(정답률: 알수없음)
  • 좌석 예약 업무는 다른 업무들과 달리 실시간으로 좌석의 예약 가능 여부를 조회하고 예약을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온라인 실시간 시스템의 조회 방식에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이 분산되어 있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파일 시스템이 불안정하게 바뀔 수 있는데, 이 때 분산 저장되었던 파일들을 모두 모아서 차례대로 배열하는 기능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디스크 복사
  2. 디스크 정리
  3. 디스크 조각 모음
  4. 시스템 정보
(정답률: 알수없음)
  • 디스크 조각 모음은 디스크에 저장된 파일들이 분산되어 있거나 파일 시스템이 불안정하게 바뀌었을 때, 이를 모아서 차례대로 배열하는 기능을 말한다. 이를 통해 디스크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파일 접근 속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 조각 모음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 )안에 알맞은 용어는?

  1. Seek time
  2. Response time
  3. Transfer time
  4. Turnaround time
(정답률: 알수없음)
  • (Transfer time)은 데이터가 디스크에서 메모리로 전송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하고, (Seek time)은 디스크 헤드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Response time)은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한 후 결과가 표시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디스크에서 데이터를 읽어오는 전체 시간을 측정하는 (Turnaround time)이 가장 적절한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자동제어

41. 다음 중 PLC 운전을 위한 프로그래밍 순서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로딩→코딩→입ㆍ출력할당→시뮬레이션
  2. 시뮬레이션→입ㆍ출력할당→로딩→코딩
  3. 입ㆍ출력할당→코딩→로딩→시뮬레이션
  4. 코딩→시뮬레이션→입ㆍ출력할당→로딩
(정답률: 알수없음)
  • PLC 운전을 위한 프로그래밍 순서는 "입ㆍ출력할당→코딩→로딩→시뮬레이션"이 가장 적당하다. 이유는 먼저 PLC의 입력과 출력을 할당하고, 그 다음에 프로그램을 코딩하고, 그 프로그램을 로딩한 후에 시뮬레이션을 실행하여 PLC가 예상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입력과 출력을 할당하지 않은 상태에서 프로그램을 코딩하거나, 로딩하기 전에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유압 작동유가 구비하여야 할 조건 중 틀린 것은?

  1. 압축성이어야 한다.
  2. 적절한 점도가 유지되어야 한다.
  3. 장시간 사용하여도 화학적으로 안정되어야 한다.
  4. 열을 방출시킬 수 있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압축성이어야 한다는 조건은 틀린 조건입니다. 유압 작동유는 압축성이 낮아야 하며, 압축성이 높을 경우 유압 작동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압 작동유가 구비하여야 할 조건은 "적절한 점도가 유지되어야 한다.", "장시간 사용하여도 화학적으로 안정되어야 한다.", "열을 방출시킬 수 있어야 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되먹임 제어계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제어시스템이 비교적 안정적이다.
  2. 목표값을 정확히 달성할 수 있다.
  3. 제어계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4. 외부 조건 변화에 대한 영향이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외부 조건 변화에 대한 영향이 크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이유는 제어계는 외부 환경의 변화에 따라 제어 대상의 동작이 변화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온도 제어 시스템에서는 외부 온도 변화에 따라 제어 대상의 온도도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외부 조건 변화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보상기능을 추가하는 등의 방법으로 제어계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CNC 공작기계에서 서보모터의 회전운동을 테이블의 직선운동으로 바꾸는 기구는?

  1. 볼 스크루
  2. 베벨기어
  3. 스퍼기어
  4. 웜기어
(정답률: 알수없음)
  • 볼 스크루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기구 중 하나입니다. CNC 공작기계에서 서보모터의 회전운동을 테이블의 직선운동으로 바꾸기 위해 사용됩니다. 볼 스크루는 나사와 구슬이 결합된 구조로, 나사의 회전운동을 구슬의 이동운동으로 변환하여 직선운동을 만들어냅니다. 따라서 CNC 공작기계에서 테이블의 이동을 제어하는 데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2진수, 111.1을 10진수로 나타내면?

  1. 6.25
  2. 6.5
  3. 7.25
  4. 7.5
(정답률: 알수없음)
  • 2진수 111.1은 1x2^2 + 1x2^1 + 1x2^0 + 1x2^-1 = 7.5 이므로, 정답은 "7.5"입니다. 2진수에서 소수점 이하 자리는 2의 음의 거듭제곱으로 계산되며, 1/2은 2^-1로 표현됩니다. 따라서 1x2^-1 = 0.5을 더해주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CPU가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중 다음에 수행할 명령의 주소를 기억하는 레지스터는 어느 것인가?

  1. MAR(주소레지스터)
  2. 누산기
  3. IR(명령레지스터)
  4. PC(프로그램 카운터)
(정답률: 알수없음)
  • PC(프로그램 카운터)는 다음에 수행할 명령의 주소를 기억하는 레지스터이다. CPU는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해 메모리에서 명령어를 가져와 실행하는데, PC는 현재 실행 중인 명령어의 주소를 가지고 있어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알 수 있다. 따라서 PC가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중 다음에 수행할 명령의 주소를 기억하는 레지스터인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를 간단히 한 것은?

  1. A
  2. B
  3. A + B
  4. AㆍB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A"입니다. 이유는 이미지가 A라는 글자를 형성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A와 B를 조합하거나 A와 B를 곱하는 등의 형태이므로 이미지와 일치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1차 시스템의 시정수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시정수가 클수록 오버슈트가 크다.
  2. 시정수가 클수록 정상상태오차가 작다.
  3. 시정수가 작을수록 응답속도가 빠르다.
  4. PC(프로그램 카운터)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시정수가 작을수록 응답속도가 빠르다." 이다. 시정수는 제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중요한 매개변수 중 하나로, 제어 대상의 상태와 제어 명령의 차이를 나타내는 값이다. 시정수가 작을수록 제어 명령에 대한 응답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에 시스템의 동작이 더 빠르고 정확해진다. 이는 제어 시스템의 안정성과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입력이 어떤 정상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변화했을 때, 출력이 정상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의 응답은?

  1. 과도 읍답
  2. 스텝 응답
  3. 램프 응답
  4. 임펄스 응답
(정답률: 알수없음)
  • "과도 응답"은 입력이 변화한 후 출력이 정상 상태에 도달하기 전에 지나치게 큰 반응을 보이는 것을 말한다. 이는 시스템이 불안정하거나 불완전하게 설계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과도 응답"은 다른 응답들과 달리 시스템의 안정성과 완성도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함수 F(S)=2/(S+2)의 라플라스 역변환으로서 맞는 것은?

  1. 2e2t
  2. -2e-2t
  3. -2e2t
  4. 2e-2t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2e-2t"입니다.

    이유는 라플라스 역변환의 정의에 따라 F(S)의 역변환은 다음과 같습니다.

    L-1{F(S)} = L-1{2/(S+2)}

    = 2L-1{1/(S+2)}

    = 2e-2t

    여기서 L-1는 라플라스 역변환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정답은 "2e-2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2차 시스템에서 감쇠비 ζ가 1보다 작아질수록 나타나는 현상은?

  1. 오버슈트가 점점 커진다.
  2. 진동이 줄어든다.
  3. 안정시간(settling time)이 짧아진다.
  4. 안정성이 좋아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감쇠비 ζ가 1보다 작아질수록 2차 시스템의 고유진동수 ωn에 비해 고유감쇠율 ζωn이 작아지기 때문에 오버슈트(overshoot)가 점점 커진다. 이는 시스템의 반응이 빠르게 일어나고, 안정시간(settling time)이 짧아지는 것과는 반대의 현상이다. 또한, 안정성이 좋아지는 것도 아니라 진동이 줄어드는 것도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일 때 극값은?

  1. -2, -3
  2. -3, -4
  3. -2, -5
  4. -4, -5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그래프에서 극값은 최고점과 최저점을 의미합니다. 이 그래프에서 최고점은 x=-2일 때, y=3이고 최저점은 x=-4일 때, y=-5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 -5"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그래프상의 극값이 아니기 때문에 선택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블록선도의 입ㆍ출력비(C/R)는?

  1. -1/(G1ㆍG2)
  2. -(G1/G2)
  3. G1/(1-G2)
  4. (G1ㆍG2)/(1+G2)
(정답률: 알수없음)
  • 블록선도에서 입출력비는 출력량을 입력량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G1을 출력량, G2를 입력량으로 생각하면 된다.

    입출력비 = 출력량 ÷ 입력량 = G1 ÷ G2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정답이 "G1/(1-G2)" 이므로, 이를 유도해보자.

    G1 ÷ G2 = G1 ÷ (G1 + G1ㆍG2) = G1 ÷ G1(1+G2) = 1 ÷ (1+G2)

    따라서, 입출력비 = G1 ÷ G2 = 1 ÷ (1+G2) = G1 ÷ (G1 + G1ㆍG2) = G1 ÷ (G1-G1ㆍG2) = G1 ÷ (1-G2)

    따라서, 정답은 "G1/(1-G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PLC 입력부의 접점으로 사용되는 외부기기가 아닌 것은?

  1. 리미트 스위치
  2. 엔코더
  3. 근접센서
  4. 전자밸브
(정답률: 알수없음)
  • PLC 입력부의 접점은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기 때문에, 전자밸브와 같은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는 외부기기는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전자밸브가 정답이다. 리미트 스위치, 엔코더, 근접센서는 모두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외부기기로 PLC 입력부의 접점으로 사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서보 전동기는 다음 중 어디에 속하는가?

  1. 검출기
  2. 변환기
  3. 증폭기
  4. 조작기기
(정답률: 알수없음)
  • 서보 전동기는 조작기기에 속한다. 이는 서보 전동기가 입력 신호에 따라 움직임을 제어하는 기기이기 때문이다. 즉, 사용자가 조작기를 통해 입력한 신호에 따라 서보 전동기가 움직이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논리도를 식으로 표현하면?

  1. Y=A(A+B)
  2. Y=A+B
  3. Y=(AB+A)B
(정답률: 알수없음)
  • 논리도에서 Y는 A와 B 중 적어도 하나가 참일 때 참이다. 따라서 Y는 A와 B 중 적어도 하나가 참일 때 A와 B 모두 참인 경우와 A는 참이고 B는 거짓인 경우를 포함한다.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Y=A(A+B)가 된다. A(A+B)는 A와 B 중 적어도 하나가 참일 때 A가 참인 경우와 A와 B 모두 참인 경우를 포함하는 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커피 자동판매기에 돈을 넣으면 일정량의 커피가 나온다. 이는 무슨 제어에 속하는가?

  1. 시퀀스 제어
  2. 되먹임 제어
  3. 서보 기구
  4. 폐루프 제어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시퀀스 제어"이다. 이는 커피 자동판매기가 일정한 순서대로 작동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돈을 넣으면 커피가 나오는 일련의 과정이 미리 정해져 있으며, 그 순서대로 작동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어 방식은 시퀀스 제어라고 불리며, 자동판매기와 같은 간단한 기계에서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PLC를 이용한 펌프제어시 펌프 이상이나 과부하시 동작하는 계전기는?

  1. 써멀 릴레이
  2. 보조 릴레이
  3. 인터널 릴레이
  4. 출력 릴레이
(정답률: 알수없음)
  • 써멀 릴레이는 전류가 과부하되면 내부적으로 발열되어 작동하는 원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펌프 이상이나 과부하시에 동작하여 회로를 차단하고 펌프를 정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PLC를 이용한 펌프 제어시에는 써멀 릴레이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그림과 같은 출력을 보이는 PLC 프로그램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 이다.

    이유는 출력 Y0이 ON되면서 M0과 M1이 모두 ON되고, M2와 M3이 OFF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마이크로컴퓨터 입력 인터페이스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마이크로컴퓨터에 접속하는 입력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로 크게 분류된다.
  2. 아날로그 신호는 각종 센서나 트랜스듀서 혹은 측정기기로부터의 신호이다.
  3. 마이크로컴퓨터에 디지털 신호를 넣으려면 D-A 변환기를 통해서 아날로그 신호를 고쳐서 입력해야 한다.
  4. RS-232C와 같이 규격이 정해져 있는 것은 전용 레벨 변환 IC를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마이크로컴퓨터에 디지털 신호를 넣으려면 D-A 변환기를 통해서 아날로그 신호를 고쳐서 입력해야 한다."이 부분이 틀린 설명입니다. 디지털 신호는 이미 마이크로컴퓨터에서 처리할 수 있는 형태의 신호이기 때문에 D-A 변환기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할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디지털 신호는 그대로 입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메카트로닉스

61. 공압 선형 액추에이터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일반적인 작업 속도는 1~2m/s이다.
  2. 큰 힘을 내기 어렵고 그 사용 한계는 약 3ton 정도이다.
  3. 과부하에 대하여 안전하지 못하며 힘과 속도를 조절하기 어렵다.
  4. 20mm/s 이하의 저속인 경우에는 스틱 슬립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공압 선형 액추에이터는 일반적으로 작업 속도가 빠르지 않으며, 큰 힘을 내기 어렵고 사용 한계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들은 과부하에 대해 안전하지 않으며, 힘과 속도를 조절하기 어렵습니다. 이는 제어 시스템이나 부속품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들은 안전성과 정확성이 중요한 작업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전 단계의 작업 완료 여부를 리밋 스위치나 센서를 이용하여 확인한 후 다음 단계의 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써 공장 자동화에 가장 많이 이용되는 제어는?

  1. 조합제어
  2. 파일럿 제어
  3. 메모리 제어
  4. 시퀀스 제어
(정답률: 알수없음)
  • 시퀀스 제어는 전 단계의 작업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고, 그 결과에 따라 다음 단계의 작업을 수행하는 제어 방식입니다. 이는 공장 자동화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제어 방식 중 하나이며, 리밋 스위치나 센서 등을 이용하여 전 단계의 작업이 완료되었는지를 감지하고, 그 결과에 따라 다음 단계의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합니다. 이를 통해 생산성을 높이고 인력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자석에서 발생되는 자력에 의하여 스위치 작동을 행하는 것은?

  1. 로드 셀
  2. 용량형 센서
  3. 리드 스위치
  4. 초음파 센서
(정답률: 알수없음)
  • 리드 스위치는 자석의 자력에 의해 작동되는 스위치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자석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그림이 나타내는 것은?

  1. 단락 회로
  2. 로크 회로
  3. 2펌프 회로
  4. 브레이크 회로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은 로크 회로를 나타낸다. 로크 회로는 전기 회로에서 스위치를 끄거나 켤 때 발생하는 전압이나 전류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회로는 스위치를 끄는 순간 발생하는 전압이나 전류의 급격한 변화를 저항을 통해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로크 회로는 전기 기기의 수명을 연장하고 안전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로터리 인덱싱 핸들링 장치를 이용하여 작업하기에 적합한 것은?

  1. 전체의 길이에 걸쳐 부분적인 공정이 이루어질 때
  2. 가공물이 여러 가공 공정을 거쳐야 할 때
  3. 연속된 동일 작업을 수행할 때
  4. 스트립 형태의 재질이 길이방향으로 작업될 때
(정답률: 알수없음)
  • 로터리 인덱싱 핸들링 장치는 여러 개의 작업 위치를 가지고 있어 한 번에 여러 가공 공정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공물이 여러 가공 공정을 거쳐야 할 때 이용하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PLC 프로그램의 최초단계인 0 스텝에서 최후 스텝까지 진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스캔타임이라 한다. 6μs의 처리속도를 가진 PLC가 1000 스텝을 처리하는데 걸리는 스캔타임은?

  1. 6×10-3[s]
  2. 6×10-4[s]
  3. 6×10-5[s]
  4. 6×10-6[s]
(정답률: 알수없음)
  • PLC의 처리속도가 6μs이므로 1스텝을 처리하는데 6μs가 걸린다. 따라서 1000스텝을 처리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6μs × 1000 = 6×10-3[s] 이다. 따라서 정답은 "6×10-3[s]"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변위 단계 선도(displacement step diagram)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단순한 논리 연결을 표현한다.
  2. 순차제어에서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3. 플래그, 카운터, 타이머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4. 스텝에 따른 작업요소의 작동순서를 표현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변위 단계 선도는 스텝에 따른 작업요소의 작동순서를 표현하는 그림으로, 각 스텝에서 어떤 작업이 이루어지는지 시각적으로 나타내어 단순한 논리 연결을 표현하고, 순차제어에서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플래그, 카운터, 타이머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차동 실린더를 설명한 것은?

  1. 피스톤의 양쪽에 로드가 있는 공기압 실린더
  2. 세로로 나란히 연결된 복수의 피스톤을 갖는 공기압 실린더
  3. 피스톤 측과 피스톤 로드 측의 면적비가 2:1로 후진 운동 속도가 전진시보다 2배가 되는 실린더
  4. 제어 위치가 제어 밸브에의 입력 신호의 함수가 되도록 추종 기구를 일체로 해서 가지고 있는 실린더
(정답률: 알수없음)
  • "피스톤 측과 피스톤 로드 측의 면적비가 2:1로 후진 운동 속도가 전진시보다 2배가 되는 실린더"는 차동 실린더를 설명한 것입니다. 이는 피스톤 측의 면적이 피스톤 로드 측의 면적보다 2배 크기 때문에, 압력이 동일할 경우 피스톤 로드 측의 운동 속도가 더 빠르게 되어 후진 운동 시에는 전진 운동 시보다 2배 빠른 속도로 움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유압 모터 중 기어모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고속회전 시 소음이 적고 정밀한 서보기구에 적합하다.
  2. 다른 유압 모터에 비해 설계구조가 간단하다.
  3. 기어 이의 표면에 작용하는 유압에 의해 일정한 토크를 작동 시킨다.
  4. 기어 모터의 체적은 고정되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고속회전 시 소음이 적고 정밀한 서보기구에 적합하다."가 틀린 것은 아니다. 기어모터는 기어 이의 표면에 작용하는 유압에 의해 일정한 토크를 작동시키며, 다른 유압 모터에 비해 설계구조가 간단하다. 또한 기어 모터의 체적은 고정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빛을 이용하여 물체 유무를 검출하거나 속도, 위치결정에 응용되는 센서는?

  1. 유도형 센서
  2. 용량형 센서
  3. 포토 센서
  4. 리드 스위치
(정답률: 알수없음)
  • 포토 센서는 빛을 이용하여 물체의 유무를 검출하거나, 물체의 위치나 속도를 측정하는 센서입니다. 빛을 쏘아 반사되는 빛을 감지하여 물체의 존재 여부를 파악하거나, 빛이 가는 시간을 측정하여 물체의 위치나 속도를 계산합니다. 따라서 포토 센서는 자동문, 자동차, 로봇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유압시스템에 사용되는 작동유에 대한 수분의 영향과 거리가 먼 것은?

  1. 작동유의 윤활성을 향상시킨다.
  2. 작동유의 방청성을 저하시킨다.
  3. 밀봉작용이 저하된다.
  4. 작동유의 산화 및 열화를 촉진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작동유에 수분이 섞이면 작동유의 윤활성이 저하되어 기계 부품 간 마찰이 증가하고, 마모 및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분이 작동유에 섞이는 것은 좋지 않으며, 거리가 먼 것은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작동유의 윤활성을 향상시킨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센서 선정시 고려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감지거리
  2. 반응속도
  3. 제조일자
  4. 정확성
(정답률: 알수없음)
  • 센서의 성능과 관련된 요소들을 나열한 보기에서 "제조일자"는 센서의 성능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고려할 사항이 아니다. 센서의 성능과 관련된 요소들은 감지거리, 반응속도, 정확성 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수치제어시스템의 벨트 장력조정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르게 된 것은?

  1. 설치 후 3개월 이내에 실시하고 이후 매 6개월에 1회 정도 실시한다.
  2. 설치 후 3개월 이내에 실시하고 이후 매 3개월에 1회 정도 실시한다.
  3. 설치 후 6개월 이내에 실시하고 이후 매 6개월에 1회 정도 실시한다.
  4. 설치 후 6개월 이내에 실시하고 이후 매 3개월에 1회 정도 실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벨트 장력은 설치 후 초기에는 변동이 많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후 3개월 이내에 장력조정을 실시해야 합니다. 이후에는 벨트의 변동이 상대적으로 적어지므로, 매 6개월에 1회 정도의 주기로 장력조정을 실시하면 적절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설치 후 3개월 이내에 실시하고 이후 매 6개월에 1회 정도 실시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자동화를 했을 때 특징에 해당되는 것은?

  1. 생산성 감소
  2. 인건비 상승
  3. 제품 품질의 균일화
  4. 생산탄력성의 향상
(정답률: 알수없음)
  • 자동화를 통해 제품 생산 과정에서 인간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기계가 대신 작업을 수행하게 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생산탄력성이 향상됩니다. 또한, 기계가 일정한 품질로 제품을 생산하므로 제품 품질의 균일화가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정답은 "제품 품질의 균일화"입니다. 인건비 상승은 자동화를 도입하는 초기에는 발생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인력을 대체하므로 인건비 절감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목표하는 제어량이 주로 위치 또는 각도이며, 공작기계의 제어에 응용되는 궤환 제어계에 속하는 것은?

  1. 자동 조정
  2. 프로세서 제어
  3. 서보 기구
  4. 정치 제어
(정답률: 알수없음)
  • 서보 기구는 목표하는 위치 또는 각도에 따라 모터를 제어하여 정확한 위치나 각도를 유지하는 제어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공작기계의 제어에 주로 사용되며, 궤환 제어계에 속합니다. 자동 조정, 프로세서 제어, 정치 제어는 서보 기구와 관련이 있을 수 있지만, 서보 기구와 직접적으로 연관된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일상용어와 가까운 부호명으로 작성한 소스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바꾸는 번역기(번역 프로그램)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베이직
  2. 파스칼
  3. 에디터
  4. 어셈블러
(정답률: 알수없음)
  • 어셈블러는 일상용어와 가까운 부호명으로 작성된 소스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번역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는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변환하는 과정을 거쳐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어셈블러가 정답이다. 베이직, 파스칼, 에디터는 프로그래밍 언어나 편집기와 관련된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유압 회전 액추에이터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다른 형식에 비하여 형상은 대형이다.
  2. 회전 부분의 관성 모멘트가 작다.
  3. 응답 특성이 우수하다.
  4. 정ㆍ역전, 정지 동작이 양호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다른 형식에 비하여 형상은 대형이다."가 틀린 것은 아니다. 유압 회전 액추에이터는 회전 운동을 수행하는데, 이 때 회전 부분의 관성 모멘트가 작아야 효율적인 운동이 가능하다. 또한, 유압 회전 액추에이터는 응답 특성이 우수하며, 정ㆍ역전, 정지 동작이 양호하다는 특징을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신호처리 방식에 따른 제어의 분류에서 순차적인 제어가 시간의 변화에 따라서 행해지는 제어 시스템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비동기제어
  2. 시간종속 시퀀스제어
  3. 논리제어
  4. 위치종속 시퀀스제어
(정답률: 알수없음)
  • 시간종속 시퀀스제어는 시간의 변화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어가 이루어지는 방식이기 때문에, 시간에 따라서 제어가 발생하는 시스템을 이를 통해 분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시간종속 시퀀스제어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유압시스템에서 펌프의 토출유량 감소 원인으로 적합한 것은?

  1. 펌프의 흡입불량, 내부 누설의 감소, 공기의 침입
  2. 탱크내 유면이 낮음, 내부 누설의 증대, 펌프의 흡입불량
  3. 구동 동력 부족, 과부하 작동, 고압운전
  4. 펌프의 성능 저하, 고압운전, 외부 누설 증대
(정답률: 알수없음)
  • 유압시스템에서 펌프의 토출유량 감소 원인으로 적합한 것은 "탱크내 유면이 낮음, 내부 누설의 증대, 펌프의 흡입불량"입니다. 이유는 펌프가 유체를 흡입할 때, 흡입구가 유체에 잠기지 않으면 공기가 흡입되어 펌프의 성능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흡입불량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내부 누설이 증대되면 유체가 흡입되는 양이 감소하고, 탱크내 유면이 낮아지면 펌프가 유체를 흡입하는데 필요한 압력이 감소하여 토출유량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플라스틱, 유리, 도자기, 목재 등과 같은 절연물을 검출하는 센서로 맞는 것은?

  1. 유도형 센서
  2. 용량형 센서
  3. 리드 스위치
  4. 압력센서
(정답률: 알수없음)
  • 용량형 센서는 전기적인 용량 변화를 감지하여 물체의 존재를 파악하는 센서입니다. 따라서 절연물인 플라스틱, 유리, 도자기, 목재 등과 같은 물체를 감지하는 데에 적합합니다. 유도형 센서는 금속 물체를 감지하는 데에 적합하며, 리드 스위치는 자석의 존재를 감지하는 데에 적합합니다. 압력센서는 물체의 압력을 감지하는 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