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자동화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5-09)

생산자동화산업기사
(2010-05-0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

1. 램이 상하로 직선운동을 하며 급속귀환 장치가 있는 공작기계는?

  1. 세이퍼
  2. 슬로터
  3. 브로치
  4. 플레이너
(정답률: 46%)
  • 슬로터는 램이 상하로 직선운동을 하며 급속귀환 장치가 있는 공작기계로, 회전하는 브로치와 달리 직선운동을 하는 램을 이용하여 슬롯을 만들어내는 기계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램이 상하로 직선운동을 하며 급속귀환 장치가 있는 기계를 찾는 것이므로 슬로터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센터리스 연삭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중공(中空)의 가공물 연삭이 곤란하다.
  2. 연삭 작업에 숙련을 요구하지 않는다.
  3. 연삭 여유가 작아도 된다.
  4. 연삭숫돌의 폭이 크므로 연삭숫돌 지름의 마멸이 적다.
(정답률: 알수없음)
  • "중공(中空)의 가공물 연삭이 곤란하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이유는 센터리스 연삭은 작업물을 고정하는 중심축이 없기 때문에 중공 가공물의 경우 고정이 어렵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CNC 공작기계의 서보기구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개방회로 방식
  2. 하이브리드 서보 방식
  3. 폐쇄회로 방식
  4. 단일회로 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단일회로 방식은 CNC 공작기계의 서보기구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다. 이는 서보모터와 위치센서가 하나의 회로로 구성되어 있어서, 위치센서의 신호를 직접적으로 서보모터에 전달하는 방식이다. 다른 방식들은 위치센서와 서보모터가 각각 독립된 회로로 구성되어 있어서, 위치센서의 신호를 제어기를 통해 처리한 후 서보모터에 전달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정반위에 높이의 차이가 100mm인 2개의 게이지 블록 위에 길이가 200mm인 사인바를 놓았을 때 정반면과 사인바와 이루는 각은?

  1. 20°
  2. 30°
  3. 45°
  4. 60°
(정답률: 알수없음)
  • 정반위에 높이의 차이가 100mm인 2개의 게이지 블록은 삼각형을 이루고, 이 삼각형의 밑변은 200mm이다. 따라서 이 삼각형은 직각삼각형이며, 높이는 100mm, 밑변은 200mm이다. 이를 이용하여 사인값을 구하면, sinθ = 높이/빗변 = 100/200 = 0.5 이다. 이때, θ는 30°이므로, 정답은 "3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공작물을 절삭할대 절삭온도에 의한 측정방법으로 틀린 것은?

  1. 공구 현미경에 의한 측정
  2. 칩의 색깔에 의한 측정
  3. 열량계에 의한 측정
  4. 열전대에 의한 측정
(정답률: 73%)
  • 공작물을 절삭할 때 절삭 온도에 의한 측정 방법으로는 열량계와 열전대에 의한 측정이 가능하다. 그러나 "공구 현미경에 의한 측정"은 절삭 온도에 대한 측정 방법이 아니라, 공작물의 형태, 크기, 치수 등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측정 도구이다. 따라서 "공구 현미경에 의한 측정"이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선반의 부속품 중에서 돌리개(dog)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평행(클램프) 돌리개
  2. 곧은 돌리개
  3. 브로치 돌리개
  4. 굽은(곡형) 돌리개
(정답률: 60%)
  • 선반의 부속품 중에서 돌리개는 나사못을 고정하고 회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평행(클램프) 돌리개", "곧은 돌리개", "굽은(곡형) 돌리개"는 모두 일반적인 돌리개 종류이지만, "브로치 돌리개"는 선반에서 사용되는 돌리개가 아니라 보통 장신구나 의류 등에 사용되는 돌리개입니다. 따라서 "브로치 돌리개"가 선반의 부속품 중에서 돌리개의 종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나사의 유효지름을 측정할 수 없는 것은?

  1. 나사 마이크로미터
  2. 투영기
  3. 공구 현미경
  4. 이 두께 버니어 캘리퍼스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두께 버니어 캘리퍼스는 나사의 유효지름을 측정하는 도구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이 도구는 두께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며, 나사의 지름을 측정하는 데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도구로는 나사의 유효지름을 측정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선반이나 연삭기 작업에서 봉재의 중심을 구하기 위해 금긋기 작업을 위해 사용되는 공구와 관계가 먼 것은?

  1. V블록
  2. 서피스 게이지
  3. 캘리퍼스
  4. 마이크로미터
(정답률: 60%)
  • 선반이나 연삭기 작업에서 봉재의 중심을 구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구는 "V블록"이나 "서피스 게이지"이며, 금긋기 작업을 위해 사용되는 공구는 "캘리퍼스"입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관계가 먼 것은 "마이크로미터"입니다. 마이크로미터는 길이를 측정하는 도구로, 봉재의 중심을 구하거나 금긋기 작업에는 직접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도금을 응용한 방법으로 모델을 음극에 전착시킨 금속을 양극에 설치하고 전해액 속에서 전기를 통전하여 적당한 두께로 금속을 입히는 가공방법은?

  1. 전주가공
  2. 초음파가공
  3. 전해연삭
  4. 레이져가공
(정답률: 54%)
  • 전주가공은 전해액 속에서 전기를 통해 금속을 입히는 도금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음극에 전착시킨 모델을 양극에 설치하고 전기를 통해 적당한 두께로 금속을 입히는 방법으로, 전해액에는 도금할 금속의 이온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전주가공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밀링작업을 하고 있는 중에 지켜야 할 안전사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절삭공구나 가공물을 설치할 때는 반드시 전원을 켜고 한다.
  2. 주축 속도를 변속시킬 때는 반드시 주축이 정지한 후 변환한다.
  3. 가공물은 바른 자세에서 단단하게 고정한다.
  4. 기계 가동 중에는 자리를 이탈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절삭공구나 가공물을 설치할 때는 반드시 전원을 켜고 한다."

    해당 안전사항은 오히려 위험한 행동이다. 절삭공구나 가공물을 설치하기 전에는 반드시 전원을 끄고 작업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작업 중에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전원을 끄고 작업하면 전기적인 위험을 줄일 수 있고, 작업 중에 공구나 가공물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기어 가공을 위해 사용되는 공구가 아닌 것은?

  1. T홈 커터
  2. 피니언 커터
  3. 호브
  4. 래크 커터
(정답률: 알수없음)
  • "T홈 커터"는 기어 가공을 위해 사용되는 공구가 아니라, T자 모양의 홈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공구이기 때문입니다. 나머지 보기인 "피니언 커터", "호브", "래크 커터"는 모두 기어 가공을 위해 사용되는 공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수기 가공 용구의 센터 펀치에 대해서 기술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펀치의 선단은 열처리를 한다.
  2. 드릴로 구멍을 뚫을 자리 표시에 사용한다.
  3. 선단은 약 40°로 한다.
  4. 펀치의 선단을 목표물에 수직으로 고정하고 펀칭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선단은 약 40°로 한다." 이다.

    선단은 펀치의 끝 부분에 위치한 각이며, 이 각도는 펀치가 목표물에 들어갈 때 잘게 찢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설정된다. 40°로 설정하는 이유는 이 각도가 적당히 둥글면서도 충분히 날카로워서 효과적인 가공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선단은 열처리를 한다.", "드릴로 구멍을 뚫을 자리 표시에 사용한다.", "펀치의 선단을 목표물에 수직으로 고정하고 펀칭한다."는 모두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기차 바퀴와 같이 길이가 짧고 직경이 큰 공작물을 선삭하기에 가장 적합한 선반은?

  1. 터릿선반
  2. 정면선반
  3. 수직선반
  4. 모방선반
(정답률: 58%)
  • 정면선반은 작업물을 수평으로 고정시키고 회전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길이가 짧고 직경이 큰 공작물을 선삭하기에 가장 적합합니다. 특히 기차 바퀴와 같이 대형의 원형 작업물을 가공할 때 유용합니다. 따라서 정면선반이 가장 적합한 선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밀링작업에서 하향절삭에 비교한 상향절삭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날끝이 일감을 치켜 올리므로 일감을 단단히 고정해야 한다.
  2. 백래시 제거 장치가 없으면 가공이 곤란하다.
  3. 하향절삭에 비해 가공면이 깨끗하지 못하다.
  4. 공구의 수명이 짧다.
(정답률: 70%)
  • 상향절삭은 날끝이 일감을 밀어 올리는 방식으로 가공하는 것이며, 하향절삭은 날끝이 일감을 내려가면서 가공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상향절삭은 일감을 단단히 고정해야 하고, 하향절삭보다 가공면이 깨끗하지 못하며, 공구의 수명이 짧아집니다. 하지만 백래시 제거 장치가 없으면 가공이 곤란하다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백래시 제거 장치는 밀링 작업 시 발생하는 백래시(가공 후 남은 작은 조각)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이며, 없어도 가공은 가능합니다. 다만 백래시가 발생하면 가공면의 품질이 떨어지고, 공구의 수명이 짧아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절삭 공구의 구비조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강인성이 클 것
  2. 마찰계수가 클 것
  3. 내마모성이 높을 것
  4. 고온에서 경도가 저하되지 않을 것
(정답률: 60%)
  • 마찰계수가 클수록 절삭 공구와 가공 대상 사이의 마찰이 증가하므로 가공 효율이 저하됩니다. 따라서 절삭 공구의 구비조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마찰계수가 클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드릴링 머신의 안전사항에서 틀린 것은?

  1. 장갑을 끼고 작업을 하지 않는다.
  2. 가공물을 손으로 잡고 드릴링하지 않는다.
  3. 얇은 판의 구멍 뚫기에는 나무 보조판을 사용한다.
  4. 구멍 뚫기가 끝날 무렵은 이송을 빠르게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구멍 뚫기가 끝날 무렵은 이송을 빠르게 한다."는 올바른 안전사항이 아니다. 이유는 구멍 뚫기가 끝날 때는 드릴링 머신이 아직 돌아가고 있기 때문에, 이송을 빠르게 하면 부상의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구멍 뚫기가 끝난 후에는 드릴링 머신을 멈추고 이송을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연삭가공에서 내면연삭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연삭숫돌의 지름은 가공물의 지름보다 커야 한다.
  2. 외경 연삭에 비하여 숫돌의 마모가 많다.
  3. 숫돌 축의 회전수가 빨라야 한다.
  4. 숫돌 축은 지름이 적기 때문에 가공물의 정밀도가 다소 떨어진다.
(정답률: 50%)
  • "연삭숫돌의 지름은 가공물의 지름보다 커야 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다. 이는 내면연삭에서 중요한 특성 중 하나이다. 내면연삭은 가공물의 내부를 가공하는 과정으로, 가공물의 내부 지름에 맞게 연삭숫돌의 지름을 선택해야 한다. 따라서 연삭숫돌의 지름이 가공물의 지름보다 크거나 작으면 가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밀링 머신에서 가장 큰 규격의 호칭번호는? (단, 호칭번호는 새들의 이동범위로 정한다.)

  1. 0호
  2. 1호
  3. 3호
  4. 5호
(정답률: 75%)
  • 호칭번호는 새들의 이동범위를 나타내는데, 이는 밀링 머신의 작업 가능한 크기를 의미한다. 따라서, 가장 큰 규격의 호칭번호는 작업 가능한 범위가 가장 큰 "5호"이다. 다른 보기들은 작업 가능한 범위가 더 작기 때문에 "5호"가 가장 큰 규격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아래 그림의 연삭가공은 어떤 작업을 나타낸 것인가?

  1. 수퍼피니싱
  2. 호닝
  3. 래핑
  4. 버핑
(정답률: 72%)
  • 정답: 수퍼피니싱

    설명: 연삭가공은 주로 회전체를 가공하는 작업으로, 회전하는 작업물에 연마석을 이용하여 표면을 깎아내는 작업이다. 이 중에서 수퍼피니싱은 고정된 연마석을 이용하여 매우 정교한 마무리 작업을 하는 것으로, 표면의 거칠기를 매우 낮추고 광택을 부여하는 작업이다. 호닝은 내부면을 가공하는 작업, 래핑은 외부면을 가공하는 작업, 버핑은 연마된 표면을 광택을 내는 작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리머작업을 할 때에는 드릴작업에 비하여 어떻게 하는 것이 원칙인가?

  1. 고속에서 절삭하고 이송을 크게
  2. 고속에서 절삭하고 이송을 작게
  3. 저속에서 절삭하고 이송을 크게
  4. 저속에서 절삭하고 이송을 작게
(정답률: 55%)
  • 정답: "저속에서 절삭하고 이송을 크게"

    리머작업은 고속으로 절삭하는 드릴작업과는 달리, 저속에서 절삭하고 이송을 크게 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이는 리머가 작업 중에 발생하는 열과 진동을 최소화하고, 정밀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이송을 크게 하여 작업 중에 발생하는 치우침을 최소화하고, 작업물의 표면을 깨끗하게 마무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기계제도 및 기초공학

21. 경사면에 평행한 투상면을 설치하고 이것에 필요한 부분을 투상하여 물체의 실제 모양을 나타내는 투상법은?

  1. 경투상도
  2. 등각투상도
  3. 사투상도
  4. 보조투상도
(정답률: 34%)
  • 경사면에 평행한 투상면을 설치하고 이것에 필요한 부분을 투상하여 물체의 실제 모양을 나타내는 투상법은 경투상도이다. 따라서 보조투상도는 정답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모양 및 위치도 정밀도 허용값을 도시한 것 중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모양과 위치가 모두 정밀도 허용값 내에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양이나 위치 중 하나가 허용값을 벗어나기 때문에 올바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복렬 자동조심 볼 베어링에 해당하는 베어링 간략기호는?

(정답률: 73%)
  • 정답은 ""이다. 이유는 복렬 자동조심 볼 베어링은 내부에 볼이 두 줄 이상 있으며, 각 볼이 별도의 고정자와 접촉하여 하중을 분산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볼 베어링의 간략기호 중 볼의 줄 수를 나타내는 숫자가 2 이상인 경우 복렬 자동조심 볼 베어링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대상물의 구멍, 홈 등 한 국부만의 모양을 도시하는 것으로 충분한 경우 그림과 같이 도시하는 투상도는?

  1. 보조 투상도
  2. 국부 투상도
  3. 가상 투상도
  4. 부분 투상도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에서는 대상물의 한 국부만을 도시하는 것으로 충분하다고 하였으므로, 전체 대상물을 완전히 도시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국부 투상도를 사용하여 대상물의 일부분만을 도시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국부 투상도"입니다. "보조 투상도"는 대상물의 세부사항을 도시하기 위해 사용되며, "가상 투상도"는 대상물의 내부를 도시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부분 투상도"는 대상물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것을 의미하지만, 이 경우에는 국부 투상도라는 구체적인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더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재료 기호가 “STD 10”으로 표기되어있을 경우 이 재료는 KS에서 무슨 재료인가?

  1. 기계 구조용 합금강 강재
  2. 탄소 공구강 강재
  3. 기계 구조용 탄소 강재
  4. 합금 공구강 강재
(정답률: 알수없음)
  • "STD 10"은 KS에서 합금 공구강 강재를 나타내는 표기입니다. 이 재료는 공구나 기계 부품 등에 사용되며, 내구성과 강도가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그림과 같은 입체도를 화살표 방향에서 본 투상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정답률: 75%)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이 입체도를 화살표 방향에서 본 것이 가장 자연스러워 보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입체도의 각도나 방향이 조금 이상하게 보이거나, 일부 부분이 잘리거나 누락되어 있어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그림과 같이 가공된 축의 테이퍼값은 얼마인가?

  1. 1/5
  2. 1/10
  3. 1/20
  4. 1/40
(정답률: 40%)
  • 가공된 축의 길이가 20이므로, 축의 끝에서부터 1의 길이만큼 테이퍼가 적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테이퍼값은 축의 지름이 축 끝에서부터 1만큼 줄어든 것이므로, 축의 지름이 20에서 1만큼 줄어든 것이 됩니다. 이는 20분의 1의 비율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정답은 "1/2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핸들이나 바퀴 등 암 및 림, 리브 등의 절단선의 연장선 위에 90° 회전하여 실선으로 그리는 단면도는?

  1. 온 단면도
  2. 한쪽 단면도
  3. 회전도시 단면도
  4. 조합 단면도
(정답률: 67%)
  • 회전도시 단면도는 핸들이나 바퀴 등의 회전하는 부분을 중심으로 90도 회전하여 그린 실선으로, 해당 부분의 구조와 기능을 명확하게 보여줍니다. 따라서 이 단면도는 회전하는 부분의 설계나 제조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자동차나 기계 등의 제조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표면의 결 도시방법 및 면의 지시기호에서 가공으로 생긴 모양의 약호로 “C”로 표시된 것은 어떤 의미인가?

  1. 가공으로 생긴 선이 거의 방사상
  2. 가공으로 생긴 선이 다방면으로 교차
  3. 가공으로 생긴 선이 거의 동심원
  4. 가공으로 생긴 선이 거의 무방향
(정답률: 77%)
  • "C"는 가공으로 생긴 모양이 동심원이라는 의미입니다. 이는 가공 과정에서 원형의 도구를 사용하여 가공된 결과물이 동심원 모양을 띄게 되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가공으로 생긴 선이 거의 동심원"인 이유는 가공 과정에서 원형의 도구를 사용하여 회전하면서 가공하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가공된 선이 거의 동심원 모양을 띄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가는 실선을 잘못 사용하고 있는 것은?

  1. 투상도의 어느 부분이 평면이라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가는 실선으로 대각선을 그렸다.
  2. 단면한 부위의 해칭선을 가는 실선으로 그렸다.
  3. 가공 전이나 가공 후의 모양을 가는 실선으로 그렸다.
  4. 물체 내부에 회전 단면을 가는 실선으로 그렸다.
(정답률: 62%)
  • "가공 전이나 가공 후의 모양을 가는 실선으로 그렸다."가 잘못 사용된 것입니다. 투상도는 물체의 외형을 보여주는 것이므로, 가공 전이나 가공 후의 모양을 나타내는 실선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는 가공 전과 후의 모양이 다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대신에 가공 전과 후의 차이를 나타내기 위해 점선이나 다른 표기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속도가 빠를수록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의 에너지는?

  1. 위치에너지
  2. 열에너지
  3. 운동에너지
  4. 빛에너지
(정답률: 알수없음)
  • 속도가 빠를수록 물체는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습니다. 이는 물체가 가지고 있는 운동에너지 때문입니다. 운동에너지는 물체가 운동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로, 물체의 질량과 속도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물체의 속도가 빠를수록 운동에너지가 더 많아지며, 이는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동력이 일정할 때 회전수가 2배로 증가하면 전동 토크의 변화량은?

  1. 2배로 증가
  2. 4배로 증가
  3. 1/2배로 감소
  4. 1/4배로 감소
(정답률: 알수없음)
  • 전동 토크는 회전수와 비례하기 때문에 회전수가 2배로 증가하면 전동 토크도 2배로 증가합니다. 따라서 전동 토크의 변화량은 2배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회전수가 2배로 증가할 때 동력이 일정하다고 했으므로, 동력은 변하지 않습니다. 동력이 일정하면 전동 토크와 회전수는 반비례하므로, 회전수가 2배로 증가하면 전동 토크는 1/2배로 감소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2배로 감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질량 5kg인 어떤 물체가 로프에 매달려 있다. 이 때 로프의 장력은?

  1. 5N
  2. 49N
  3. 490N
  4. 10N
(정답률: 알수없음)
  • 로프에 매달린 물체는 중력에 의해 아래로 끌리고 있습니다. 이 때 로프는 물체의 중력과 같은 크기의 역방향 힘을 발생시켜야 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로프의 장력은 물체의 무게인 5kg에 중력가속도 9.8m/s^2을 곱한 값인 49N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괄호 안에 들어갈 알맞은 값은?

  1. 9.8
  2. 98
  3. 980
  4. 9800
(정답률: 75%)
  • 위 그림은 물체가 자유낙하하는 상황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물체가 자유낙하할 때, 중력가속도에 의해 가속도가 발생합니다. 중력가속도는 지구에서의 중력에 의해 발생하는 가속도이며, 대략 9.8m/s^2 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중력가속도를 나타내는 값인 "9.8"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지름이 20mm이고, 길이가 100mm인 환봉이 있다. 부피(mm3)를 구하는 식은?

(정답률: 58%)
  • 환봉의 부피는 원기둥의 부피와 같다. 따라서 부피를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부피 = π x (지름/2)2 x 길이

    여기에 지름이 20mm이므로 반지름은 10mm이다. 따라서 부피를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부피 = π x 102 x 100 = 31,416.π ≈ 98,520.4 (mm3)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자동차가 12분동안 6km를 달렸다면 이 자동차의 속도로 옳은 것은?

  1. 3 km/h
  2. 30 km/h
  3. 120 km/h
  4. 2 km/h
(정답률: 알수없음)
  • 속도 = 거리 ÷ 시간
    여기서 거리는 6km, 시간은 12분(0.2시간)이므로,
    속도 = 6 ÷ 0.2 = 30 km/h
    따라서 정답은 "30 km/h"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가위로 물체를 자르거나 전단기로 철판을 절단 할 경우에 주로 생기는 응력은?

  1. 인장응력
  2. 압축응력
  3. 전단응력
  4. 비틀림응력
(정답률: 82%)
  • 가위로 물체를 자르거나 전단기로 철판을 절단할 때, 물체의 두 부분이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응력을 전단응력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단응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어떤 교류발전기가 150π[rad/s]로 회전한다면, 이 전류의 주파수는 얼마인가?

  1. 50Hz
  2. 75Hz
  3. 100Hz
  4. 150Hz
(정답률: 59%)
  • 주파수는 회전속도를 나타내는 각속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주파수는 초당 회전수를 나타내므로, 주파수는 각속도를 초당 회전수로 변환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150π[rad/s]는 초당 150π/2π = 75회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교류발전기의 주파수는 75Hz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5Ω의 저항 5개를 병렬로 연결했을 때 합성저항 값은 몇 Ω 인가?

  1. 1
  2. 5
  3. 10
  4. 1/5
(정답률: 알수없음)
  • 5개의 저항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각 저항의 역수를 더한 후 다시 역수로 변환하면 합성저항을 구할 수 있다.

    1/5 + 1/5 + 1/5 + 1/5 + 1/5 = 1

    따라서, 합성저항 값은 1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지구에서의 중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중력은 물체의 운동 상태에 따라 각각 다른 방향으로 작용한다.
  2. 질량 1kg 인 물체에 작용하는 중력의 크기를 1kgf 라고 한다.
  3. 중력의 크기는 동일 장소에서는 물체의 질량에 비례한다.
  4. 동일 장소에서는 질량이 같으면 같은 중력을 받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중력은 물체의 운동 상태에 따라 각각 다른 방향으로 작용한다."가 틀린 것이다. 중력은 항상 물체와 지구 사이의 방향으로 작용하며, 물체의 운동 상태와는 무관하다. 이는 뉴턴의 중력 법칙에 의해 설명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자동제어

41. 다음 그림과 같은 블록선도의 전달함수로 올바른 것은?

  1. Ts + 1
  2. Ts
(정답률: 74%)
  • 전달함수는 출력과 입력의 비율을 나타내는 함수이다. 이 블록선도에서는 입력 u(t)가 시간상수 T를 가진 1차 시스템을 거쳐 출력 y(t)로 나타난다. 따라서 전달함수는 y(t)/u(t) = 1/(Ts + 1)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에서 서보 모터의 특성을 잘못 설명한 것은?

  1. 속도 응답성이 좋아야 한다.
  2. 제어성이 좋아야 한다.
  3. 빈번한 시동 및 정지 운전인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더라도 기계적 강도가 커야 한다.
  4. 관성이 크고, 전기적 또는 기계적 시상수가 커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관성이 크고, 전기적 또는 기계적 시상수가 커야 한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서보 모터의 관성이 작고, 전기적 또는 기계적 시상수가 작을수록 더 높은 정확도와 반응성을 가집니다. 이는 서보 모터가 정확한 위치 제어를 위해 빠르게 반응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시퀀스 제어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전기로의 온도제어
  2. 자동판매기 제어
  3. 교통신호등 제어
  4. 컨베이어 제어
(정답률: 75%)
  • "전기로의 온도제어"는 시퀀스 제어가 아닌 프로세스 제어에 해당한다. 시퀀스 제어는 일련의 단계를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것이고, 프로세스 제어는 연속적인 공정에서 변수를 제어하는 것이다. "전기로의 온도제어"는 연속적인 공정에서 온도를 제어하는 것으로, 시퀀스 제어가 아닌 프로세스 제어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공장 자동화의 약칭은?

  1. OA
  2. FA
  3. LA
  4. HA
(정답률: 91%)
  • 정답: FA

    설명: FA는 Factory Automation의 약어로, 공장 자동화를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OA(Office Automation), LA(Logistics Automation), HA(Home Automation) 등 다른 분야의 자동화를 나타내는 약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어떤 제어계에서 입력신호를 가한 후 출력신호가 정상상태에 도달할 때까지의 응답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정상응답
  2. 선형응답
  3. 과도응답
  4. 주파수응답
(정답률: 55%)
  • 입력신호를 가한 후 출력신호가 정상상태에 도달할 때까지의 응답을 "과도응답"이라고 한다. 이는 제어계의 출력신호가 입력신호에 대해 과도한 반응을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과도응답은 제어계의 안정성을 해치고, 원하는 출력을 얻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과도응답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어계의 설계와 조정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공기압 방향제어 밸브의 포트(Port)에 표시되는 기호가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작업라인 : A, B, C 또는 2, 4, 6
  2. 공급라인 : P 또는 1
  3. 배기구 : R, S, T 또는 3, 5, 7
  4. 제어라인 : a, b, c 또는 11, 13, 15
(정답률: 42%)
  • 제어라인은 공기압 방향제어 밸브에서 제어 신호가 전달되는 라인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제어라인에는 제어 신호를 받는 장치가 연결되어야 합니다. 작업라인은 밸브를 통해 작동되는 기계 또는 장치가 연결되는 라인이며, 공급라인은 공기압을 공급하는 라인, 배기구는 밸브를 통해 배기되는 공기가 흐르는 라인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제어라인에는 a, b, c 또는 11, 13, 15와 같은 제어용 포트가 있어야 하며, 작업라인, 공급라인, 배기구와 같은 다른 포트와는 구분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에서 공압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저속에서도 균일한 속도를 낼 수 있다.
  2. 힘과 속도를 무단으로 조절할 수 있다.
  3. 폭발 위험성이 있는 장소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4. 에너지 축적이 용이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저속에서도 균일한 속도를 낼 수 있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이는 공압의 특징 중 하나로,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기계장치에서 저속에서도 일정한 속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유압과는 달리 유체의 특성상 저속에서는 압력이 떨어지는 현상이 없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전달함수의 특성 방정식 s2 + 2ξωns + ω2n = 0 에서 ξ를 제동비(damping ratio)라고 할 때, ξ = 1인 경우 생기는 것은?

  1. 무제동(non damping)
  2. 임계제동(critical damping)
  3. 과제동(over damping)
  4. 아제동(under damping)
(정답률: 75%)
  • ξ = 1인 경우, 방정식의 해는 중근을 가지게 된다. 이는 전달함수의 분모에 중복된 근이 있음을 의미한다. 이 경우, 시스템은 가장 빠른 시간 내에 안정 상태에 도달하며, 진동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를 임계제동(critical damping)이라고 한다. 따라서 정답은 "임계제동(critical dampin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되먹임 제어방법 중 기계적 변위를 제어량으로 하는 서보 기구와 관계없는 것은?

  1. 자동 조타 장치
  2. 자동 위치 제어기
  3. 자동 전원 조정장치
  4. 자동 평형 기록계
(정답률: 알수없음)
  • 자동 전원 조정장치는 되먹임 제어방법 중 기계적 변위를 제어량으로 하는 서보 기구와 관계없는 것이다. 이는 전원 공급량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기계적 변위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서보 기구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서보 기구와 관련이 없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그림과 같은 회로의 명칭은?

  1. 시간지연회로
  2. 자기유지회로
  3. 쉬프트 회로
  4. 인터록 회로
(정답률: 92%)
  • 이 회로는 자기유지회로라고 불립니다. 이유는 스위치를 누르면 전원이 공급되어 C1이 충전되고, Q1이 동작하여 Q2를 ON 상태로 만듭니다. 이로 인해 Q3도 ON 상태가 되어 Q4를 OFF 상태로 만듭니다. 이때, Q4가 OFF 상태이므로 C1은 방전되지 않고 유지됩니다. 따라서, 스위치를 떼어도 C1에 축적된 전하로 인해 Q1, Q2, Q3은 계속 ON 상태를 유지하게 됩니다. 이러한 자기유지 효과로 인해 회로가 계속해서 동작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로봇 관절을 위치(각도)제어 하려고 할 때 흔히 쓰이는 센서가 아닌 것은?

  1. 엔코더
  2. 포텐쇼미터
  3. 스트레인게이지
  4. 리졸버
(정답률: 55%)
  • 스트레인게이지는 로봇 관절의 변형을 감지하여 위치(각도)를 파악하는 센서로, 로봇 관절의 부하나 변형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여 위치를 측정합니다. 따라서 로봇 관절을 위치(각도)제어 하려고 할 때 흔히 쓰이는 센서입니다. 반면에 엔코더, 포텐쇼미터, 리졸버는 모두 로봇 관절의 회전을 감지하여 위치(각도)를 파악하는 센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PPI8255 인터페이스 칩의 컨트롤 워드 사용에 있어서 아래 보기를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단, PW : 컨트롤 워드 번지)

  1. 포트A = 출력, 포트B = 출력, 포트C = 출력
  2. 포트A = 입력, 포트B = 출력, 포트C = 출력
  3. 포트A = 출력, 포트B = 입력, 포트C = 출력
  4. 포트A = 입력, 포트B = 출력, 포트C = 입력
(정답률: 알수없음)
  • 컨트롤 워드의 4~6비트가 0 1 1일 때, 포트A는 입력, 포트B와 포트C는 출력으로 설정됩니다. 따라서 "포트A = 입력, 포트B = 출력, 포트C = 출력"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PLC의 출력 형식이 아닌 것은?

  1. 릴레이 출력
  2. SSR 출력
  3. 변압기 출력
  4. 트랜지스터 출력
(정답률: 알수없음)
  • PLC는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기 때문에, "변압기 출력"은 아닙니다. 변압기는 주로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PLC의 출력 형식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변압기 출력"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보드선도에서 –3dB 점이란 기준 크기의 몇 배인가?

  1. 1/2
  2. 1/√2
  3. 1/3
  4. 1/√3
(정답률: 알수없음)
  • -3dB 점은 기준 크기의 1/√2 배이다. 이는 보드선도에서 전압이나 전류의 크기를 나타내는 dB 스케일에서 3dB 감소하는 지점을 의미한다. 이 때의 크기는 기준 크기의 절반인데, dB 스케일에서 3dB는 크기가 2배가 되는 것과 같다. 따라서, 3dB 감소하면 크기는 기준 크기의 1/2가 되고, 이는 기준 크기의 1/√2와 같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서보 기구의 제어량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위치, 방향, 자세
  2. 온도, 유량, 압력
  3. 조성, 품질, 효율
  4. 각도, 유량, 품질
(정답률: 80%)
  • 서보 기구는 위치, 방향, 자세를 제어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서보 기구가 일반적으로 로봇이나 자동화 시스템에서 사용되는데, 이 경우에는 정확한 위치, 방향, 자세를 제어해야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서보 기구의 제어량으로는 위치, 방향, 자세가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서비스 유닛(압축공기 조정 유닛)의 기능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압축공기 속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2. 진공을 발생시킨다.
  3. 공압 제어밸브와 실린더에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조절한다.
  4. 압축공기 속에 윤활유를 섞어서 공급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진공을 발생시키는 것은 서비스 유닛의 기능이 아니라 진공 펌프 등의 장비가 수행하는 기능이다. 따라서 정답은 "진공을 발생시킨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그림과 같은 전기회로의 입력과 출력간의 전달함수[Vo(s)/Vi(s)]를 구한 것은?

  1. (RCs+1)/RCs
  2. RCs+1
  3. 1/(RCs+1)
  4. RCs/(RCs+1)
(정답률: 알수없음)
  • 전달함수는 출력전압(Vo)를 입력전압(Vi)로 나눈 값이므로, Vo(s)/Vi(s)를 구하기 위해 전류 분배 법칙을 이용하여 전류 i를 구해보자.

    Vi(s) = iR + Ls(i/s)
    i = (Vi(s) - Ls(i/s))/R
    i = Vi(s)/(RCs+1)

    따라서, 출력전압 Vo(s)는 전압 분배 법칙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Vo(s) = RCs * i
    Vo(s) = RCs * Vi(s)/(RCs+1)

    따라서, 전달함수 Vo(s)/Vi(s)는 다음과 같다.

    Vo(s)/Vi(s) = RCs/(RCs+1)

    따라서, 정답은 "RCs/(RCs+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릴레이제어에 비해 PLC제어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제어내용의 변경이 어렵다.
  2. 회로배선이 간소화 된다.
  3. 신뢰성이 향상된다.
  4. 보수가 용이하다.
(정답률: 82%)
  • "제어내용의 변경이 어렵다."는 PLC제어의 특징이 아니라, 오히려 릴레이제어에 해당하는 특징입니다. PLC제어는 프로그램을 수정하거나 추가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쉽기 때문에 제어내용의 변경이 용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어떤 되먹임 제어계의 입력신호를 A(s), 출력신호를 B(s), 전달함수를 G(s)라 할 때 이들 관계식의 표현을 알맞게 한 것은?

  1. B(s) = A(s) + G(s)
  2. B(s) = A(s) - G(s)
  3. B(s) = A(s) ⦁ G(s)
  4. B(s) = A(s) / G(s)
(정답률: 64%)
  • 전달함수 G(s)는 입력신호 A(s)를 출력신호 B(s)로 변환하는 함수이다. 따라서 B(s)는 A(s)에 G(s)를 곱한 값이 되므로 "B(s) = A(s) ⦁ G(s)"가 정답이다. "B(s) = A(s) + G(s)"는 입력신호와 전달함수의 합을 출력신호로 간주한 것으로 올바르지 않다. "B(s) = A(s) - G(s)"는 입력신호와 전달함수의 차를 출력신호로 간주한 것으로 올바르지 않다. "B(s) = A(s) / G(s)"는 입력신호를 전달함수로 나눈 값을 출력신호로 간주한 것으로 올바르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제어계를 동작시키는 기준으로서 제어계에 입력되는 신호는?

  1. 동작 신호
  2. 기준입력 신호
  3. 조작량
  4. 궤환 신호
(정답률: 알수없음)
  • 제어계는 특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입력된 신호를 기준으로 동작합니다. 이때, 제어계에 입력되는 신호 중에서도 제어계가 동작하는 기준이 되는 신호를 기준입력 신호라고 합니다. 따라서, 기준입력 신호는 제어계를 동작시키는 가장 중요한 신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메카트로닉스

61. 소성변형을 이용한 가공이 아닌 것은?

  1. 단조
  2. 인발
  3. 브로우칭
  4. 전조
(정답률: 75%)
  • 브로우칭은 소성변형을 이용한 가공이 아니라, 절삭가공 방법 중 하나로 원하는 형상을 만들기 위해 회전하는 칼날을 이용하여 물체의 표면을 절삭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정답은 "브로우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회로에서 합성정전용량은 몇 [pF] 인가?

  1. 500
  2. 250
  3. 120
  4. 100
(정답률: 64%)
  • 합성정전용량은 C1과 C2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C1과 C2의 역수의 합의 역수가 합성정전용량이 된다. 따라서, 합성정전용량은 1/(1/C1 + 1/C2) 이다. C1 = 250 pF, C2 = 500 pF 이므로, 합성정전용량은 1/(1/250 + 1/500) = 120 pF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볼트, 판, 자동차 부품 등을 대량으로 생산할 때 가장 적합한 선반은?

  1. 정면선반
  2. 자동선반
  3. 탁상선반
  4. 공구선반
(정답률: 70%)
  • 자동선반은 대량 생산에 적합한 선반으로, 자동화된 작업으로 인해 생산성이 높아지고 일관된 품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볼트, 판, 자동차 부품 등과 같은 작은 부품을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SCR이라고도 하며, PNPN 접합의 실리콘 정류스위치 소자는 무엇인가?

  1. 다이오드
  2. 사이리스터
  3. 트랜지스터
  4. 트라이맥
(정답률: 39%)
  • PNPN 접합을 가진 실리콘 소자 중에서 SCR은 양방향 전류를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 역할을 하며, 주로 전력 제어용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정답은 "사이리스터"이다. 다이오드는 단방향 전류를 통과시키는 소자, 트랜지스터는 전류를 제어하는 소자, 트라이맥은 세 개의 PN 접합을 가진 소자로, SCR과 비슷한 역할을 하지만 양방향 전류 제어는 불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스테핑 모터의 구조상의 분류로 맞지 않는 것은?

  1. VR형
  2. AB형
  3. HB형
  4. PM형
(정답률: 알수없음)
  • AB형은 스테핑 모터의 구조상의 분류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VR형, HB형, PM형은 스테핑 모터의 구조상의 분류 중 일부이며, 각각의 특징과 용도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논리식 (A+B)+(A⦁B)를 간단히 하면?

  1. A
  2. B
  3. AB
  4. A+B
(정답률: 50%)
  • 논리식 (A+B)+(A⦁B)를 간단히 하면 A+B이다.

    이유는 A+B+(A⦁B)를 전개하면 A+B+A⦁B+B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A⦁B는 A와 B가 모두 참일 때 참이므로 A+B+A⦁B+B는 A와 B 중에 하나 이상이 참일 때 참이다.

    즉, A+B+(A⦁B)는 A+B와 동일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도체에 3[A]의 전류가 1분 동안 흘렀을 때, 도체를 통과한 전기량은?

  1. 180[C]
  2. 300[C]
  3. 500[C]
  4. 900[C]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량은 전류와 시간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전류 3[A]가 1분(60초) 동안 흐르면 전기량은 3[A] × 60[초] = 180[C]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80[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원통의 바깥 면을 연삭하며, 센터, 척 등을 사용하지 않고 연삭용 숫돌바퀴와 조정숫돌 바퀴로 공작물의 이송과 회전을 해주는 연삭기는?

  1. 평면 연삭기
  2. 센터리스 연삭기
  3. 만능 연삭기
  4. 원통 연삭기
(정답률: 30%)
  • 센터리스 연삭기는 센터나 척을 사용하지 않고 바깥면을 연삭할 수 있는 기계로, 연삭용 숫돌바퀴와 조정숫돌 바퀴로 공작물의 이송과 회전을 해주기 때문에 원통의 바깥면을 연삭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센터리스 연삭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측온저항체용 재료의 요구 조건으로 잘못된 것은?

  1. 저항 온도계수가 작을 것
  2. 온도-저항 특성이 직선적일 것
  3. 소선의 가공이 용이할 것
  4. 화학적, 기계적으로 안정될 것
(정답률: 25%)
  • "저항 온도계수가 작을 것"이 잘못된 것이다. 저항 온도계수란 온도가 변할 때 저항값이 얼마나 변하는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이 값이 작을수록 온도 변화에 민감하지 않아 신뢰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오히려 "저항 온도계수가 작을 것"이 요구 조건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연삭숫돌을 구성하는 3요소는?

  1. 입자, 결합제, 칩
  2. 입자, 결합제, 기공
  3. 조직, 결합제, 기공
  4. 입도, 입자, 기공
(정답률: 알수없음)
  • 연삭숫돌은 입자, 결합제, 기공으로 구성됩니다.

    - 입자: 연삭숫돌의 주요 구성 요소로, 연마 작업을 수행하는 입자들이 모여 있습니다.
    - 결합제: 입자들을 함께 묶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결합제가 강하면 입자들이 떨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됩니다.
    - 기공: 입자와 결합제 사이에 있는 공간으로, 연마 작업 시 입자와 결합제 사이에서 발생하는 열과 먼지를 흡수하여 연마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입자, 결합제, 기공"이 연삭숫돌을 구성하는 3요소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위치 검출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모터 자체가 지령된 회전량 만큼 회전할 수 있는 모터는?

  1. 스텝 모터
  2. 직류 서보모터
  3. 교류 서보모터
  4. 유압 서보모터
(정답률: 70%)
  • 스텝 모터는 회전 각도를 일정한 각도 단위로 나누어 지령된 회전량 만큼 정확하게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위치 검출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미리 정해진 회전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치 검출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모터 자체가 지령된 회전량 만큼 회전할 수 있는 모터는 스텝 모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16진수 9F2를 2진수로 변환하면?

  1. 100111100010
  2. 101011110010
  3. 100111100110
  4. 100111110010
(정답률: 40%)
  • 16진수 9F2는 2진수로 변환하면 1001 1111 0010이 된다. 이는 각 자리수를 2의 거듭제곱으로 나타내는 이진수 표기법에서 2^11 + 2^10 + 2^9 + 2^6 + 2^1이 되기 때문에 "100111110010"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발광부와 수광부가 대향 배치되어 있어 이 사이에 물체가 들어가면 빛이 차단되고 수광부의 광전류가 차단되어 물체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은?

  1. 포토 인터럽터
  2. 포토 사이리스터
  3. 포토 다이오드
  4. 포토 트랜지스터
(정답률: 60%)
  • 발광부와 수광부가 대향 배치되어 있어 물체가 들어가면 빛이 차단되고 수광부의 광전류가 차단되는데, 이를 이용하여 물체의 유무를 검출하는 센서를 포토 인터럽터라고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포토 인터럽터와는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2048×8 bit의 용량을 가진 ROM에서 어드레스 선은 몇 개가 필요한가?

  1. 8
  2. 10
  3. 11
  4. 12
(정답률: 알수없음)
  • ROM의 용량이 2048×8 bit이므로, 총 비트 수는 2048×8=16384 bit이다. 이를 2진수로 표현하면 2^14 bit이 된다. 따라서, 어드레스 선의 개수는 14개가 필요하다. 그러나, 2진수 14를 10진수로 변환하면 11이므로, 정답은 "1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CPU가 순차적으로 명령어를 수행하기 위해 다음 순서에 인출되어 오는 명령이 어디에 있는가를 지시하는 어드레스(번지)를 기억하는 레지스터는?

  1. 프로그램 레지스터
  2. 누산기
  3. 명령 레지스터
  4. 데이터 레지스터
(정답률: 40%)
  • 프로그램 레지스터는 CPU가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가 저장된 메모리 주소를 기억하는 레지스터이기 때문에, 순차적으로 명령어를 수행하기 위해 다음 순서에 인출되어 오는 명령이 어디에 있는지를 지시하는 어드레스(번지)를 기억하는 레지스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정현파 교류의 주파수가 60[Hz]라면 주기는 약 몇 [ms]인가?

  1. 16.7
  2. 57.7
  3. 70.7
  4. 86.6
(정답률: 28%)
  • 주기는 주파수의 역수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60[Hz]의 주기는 1/60 = 0.0167[초]이 됩니다. 이를 밀리초로 변환하면 0.0167 x 1000 = 16.7[ms]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6.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서보 시스템에서 기준값과 실제값의 차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제어기준값
  2. 제어편차
  3. 외란
  4. 제어변수
(정답률: 알수없음)
  • 서보 시스템에서 기준값은 원하는 위치나 각도 등의 목표값을 의미하고, 실제값은 서보 모터나 액추에이터 등의 출력값을 의미합니다. 이 두 값의 차이를 제어편차라고 합니다. 제어편차는 제어 시스템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이 값을 최소화하여 제어 시스템의 정확도와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 목표입니다. 따라서, "제어편차"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자계 중에 놓인 도체에 전류가 흐를 때 발생되는 힘을 구하고자 하는 경우에 적용된다.
  2. 직류 전동기의 회전력 발생 원리가 된다.
  3. 엄지손가락의 방향은 자기장의 방향이다.
  4. 자속과 도체의 놓인 방향이 서로 직각일 때 힘이 가장 크게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정답률: 46%)
  • "엄지손가락의 방향은 자기장의 방향이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엄지손가락을 향하게 된다. 이유는 오른손 법칙에서 엄지손가락은 전류의 방향을 나타내고, 나머지 손가락들은 자기장의 방향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서미스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온도변화에 의해서 소자의 전기저항이 크게 변하는 반도체 소자이다.
  2. PTC 서미스터는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저항이 현저히 증가하는 반도체 소자이다.
  3. NTC 서미스터는 부(-)온도계수를 갖는다.
  4. CTR 서미스터는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저항값이 증가 하는 반도체 소자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CTR 서미스터는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저항값이 증가 하는 반도체 소자이다."가 아닙니다. 올바른 설명은 "CTR 서미스터는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저항값이 감소하는 반도체 소자이다."입니다. CTR 서미스터는 부온도계수를 갖는 NTC 서미스터와는 반대로 양온도계수를 갖습니다. 따라서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저항값이 감소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음원 데이터를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재생하기 위한 추가적인 인터페이스 장치로 옳은 것은?

  1. D-A변환기
  2. A-D변환기
  3. AC-DC변환기
  4. DC-AC변환기
(정답률: 알수없음)
  • 음원 데이터는 디지털 신호로 표현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해주는 D-A 변환기가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D-A변환기"이다. A-D 변환기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며, AC-DC 변환기와 DC-AC 변환기는 전기 신호의 형태를 변환하는 장치로, 음원 재생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