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자동화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5-25)

생산자동화산업기사
(2014-05-2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

1. 빌트업 에지(built-up edge)의 발생을 방지하는 대책으로 옳은 것은?

  1. 바이트의 윗면 경사각을 작게 한다.
  2. 절삭깊이, 이송속도를 크게 한다.
  3. 피가공물과 친화력이 많은 공구 재료를 선택한다.
  4. 절삭속도를 높이고, 절삭유를 사용한다.
(정답률: 71%)
  • 빌트업 에지는 공구와 가공물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므로, 절삭속도를 높여 마찰을 줄이고, 절삭유를 사용하여 마찰을 더욱 줄여 빌트업 에지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절삭속도를 높이고, 절삭유를 사용한다."가 옳은 대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숏 피닝(shot peening)과 관계없는 것은?

  1. 금속 표면 경도를 증가시킨다.
  2. 피로 한도를 높여준다.
  3. 표면 광택을 증가시킨다.
  4. 기계적 성질을 증가시킨다.
(정답률: 53%)
  • 숏 피닝은 금속 표면을 작은 구슬이나 입자로 충격하여 표면을 강화시키는 공정이다. 따라서 "표면 광택을 증가시킨다."는 숏 피닝과 관계없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범용 밀링에서 원주를 10° 30′ 분할할 때 맞는 것은?

  1. 분할판 15구멍열에서 1회전과 3구멍씩 이동
  2. 분할판 18구멍열에서 1회전과 3구멍씩 이동
  3. 분할판 21구멍열에서 1회전과 4구멍씩 이동
  4. 분할판 33구멍열에서 1회전과 4구멍씩 이동
(정답률: 72%)
  • 원주를 10° 30′로 분할하면 360°를 10° 30′로 나눈 값인 약 34.2857 회전이 필요하다. 이때 분할판의 구멍 수와 이동 거리를 고려해야 한다.

    - "분할판 15구멍열에서 1회전과 3구멍씩 이동": 1회전당 이동 거리가 3구멍이므로 34.2857 회전에 필요한 이동 거리는 34.2857 x 3 = 102.8571 구멍이다. 하지만 15구멍열에서는 102.8571 구멍을 정확히 이동할 수 없으므로 적합하지 않다.
    - "분할판 18구멍열에서 1회전과 3구멍씩 이동": 1회전당 이동 거리가 3구멍이므로 34.2857 회전에 필요한 이동 거리는 34.2857 x 3 = 102.8571 구멍이다. 이를 18구멍열에서는 6회전과 2구멍 이동으로 정확히 이동할 수 있으므로 적합하다.
    - "분할판 21구멍열에서 1회전과 4구멍씩 이동": 1회전당 이동 거리가 4구멍이므로 34.2857 회전에 필요한 이동 거리는 34.2857 x 4 = 137.1428 구멍이다. 하지만 21구멍열에서는 137.1428 구멍을 정확히 이동할 수 없으므로 적합하지 않다.
    - "분할판 33구멍열에서 1회전과 4구멍씩 이동": 1회전당 이동 거리가 4구멍이므로 34.2857 회전에 필요한 이동 거리는 34.2857 x 4 = 137.1428 구멍이다. 이를 33구멍열에서는 4회전과 5구멍 이동으로 정확히 이동할 수 있으므로 적합하다.

    따라서, 분할판 18구멍열에서 1회전과 3구멍씩 이동하는 것이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연삭에 관한 안전사항 중 틀린 것은?

  1. 받침대와 숫돌은 5mm 이하로 유지해야 한다.
  2. 숫돌바퀴는 제조 후 사용할 원주 속도의 1.5∼2배 정도의 안전검사를 한다.
  3. 연삭숫돌 측면에 연삭하지 않는다.
  4. 연삭숫돌을 고정 후 3분 이상 공회전 시킨 후 작업을 한다.
(정답률: 64%)
  • 정답은 "연삭숫돌을 고정 후 3분 이상 공회전 시킨 후 작업을 한다." 이다. 연삭숫돌을 고정 후 공회전 시키면 숫돌의 균형이 깨질 수 있으며, 이는 작업 중에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연삭숫돌을 고정한 후 즉시 작업을 시작해야 한다. "받침대와 숫돌은 5mm 이하로 유지해야 한다."는 숫돌과 받침대 사이의 간격을 말하는데, 이 간격이 너무 크면 숫돌이 흔들리거나 불안정해져 작업 중에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5mm 이하로 유지해야 한다. "숫돌바퀴는 제조 후 사용할 원주 속도의 1.5∼2배 정도의 안전검사를 한다."는 숫돌바퀴의 안전성을 검사하는 것으로, 숫돌바퀴가 고속으로 회전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연삭숫돌 측면에 연삭하지 않는다."는 연삭숫돌의 측면을 연마하지 않는 것으로, 측면을 연마하면 숫돌이 파손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연마하지 않는 것이 안전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선반작업에서 절삭저항이 가장 적은 분력은?

  1. 내 분력
  2. 이송 분력
  3. 주 분력
  4. 배 분력
(정답률: 69%)
  • 선반작업에서 절삭저항이 가장 적은 분력은 이송 분력입니다. 이는 물체가 이동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분력으로, 물체를 움직이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최소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선반작업에서 물체를 이동시키는 데 가장 적은 저항을 제공하는 이송 분력이 가장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전해연마 가공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연마량이 적어 깊은 홈은 제거가 되지 않으며 모서리가 라운드된다.
  2. 가공면에 방향성이 없다.
  3. 연질의 금속은 연마할 수 없다.
  4. 복잡한 형상의 공작물 연마도 가능하다.
(정답률: 65%)
  • 연질의 금속은 연마할 수 없다는 것은, 연마 과정에서 연질의 금속은 너무 부드러워서 연마가 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연마 과정에서 연질의 금속 부분은 제거되지 않고 남아있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표면 거칠기 표기방법 중 산술평균 거칠기를 표기하는 기호는?

  1. Rp
  2. Rv
  3. Rz
  4. Ra
(정답률: 77%)
  • 산술평균 거칠기를 표기하는 기호는 "Ra"이다. 이는 표면의 모든 고점과 저점 사이의 평균 거리를 나타내는 지표이기 때문이다. 다른 기호들은 다른 방식으로 표면 거칠기를 측정하며, 예를 들어 "Rz"는 최대 고점과 최대 저점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고, "Rp"는 가장 높은 고점과 가장 낮은 저점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NC공작기계의 특징 중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다품종 소량 생산가공에 적합하다.
  2. 가공조건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3. 공구가 표준화되어 공구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4. 복잡한 형상의 부품가공 능률화가 가능하다.
(정답률: 64%)
  • 정답: "복잡한 형상의 부품가공 능률화가 가능하다."

    이유: NC공작기계는 컴퓨터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가공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복잡한 형상의 부품도 높은 정확도와 속도로 가공이 가능하다. 이는 수작업으로는 어려운 부품가공을 가능하게 하며,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측정기에서 읽을 수 있는 측정값의 범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지시 범위
  2. 지시 한계
  3. 측정 범위
  4. 측정 한계
(정답률: 83%)
  • 측정기에서 읽을 수 있는 측정값의 범위를 측정 범위라고 한다. 이는 측정기가 측정할 수 있는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범위를 의미한다. 따라서 측정 범위를 벗어나는 값은 측정할 수 없다. "지시 범위"와 "지시 한계"는 측정기가 표시하는 값의 범위를 의미하며, "측정 한계"는 측정기가 측정할 수 있는 최소값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원형의 측정물을 V 블록위에 올려놓은 뒤 회전하였더니 다이얼 게이지의 눈금에 0.5mm의 차이가 있었다면 그 진원도는 얼마인가?

  1. 0.125mm
  2. 0.25mm
  3. 0.5mm
  4. 1.0mm
(정답률: 70%)
  • V 블록은 원형의 중심축과 수직으로 위치하고 있으므로, 다이얼 게이지의 눈금 차이는 원형의 지름 차이와 같다. 따라서, 원형의 지름 차이는 0.5mm이다. 원의 지름은 반지름의 2배이므로, 반지름 차이는 0.25mm이다. 따라서, 진원도는 0.25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대표적인 수평식 보링머신은 구조에 따라 몇 가지 형으로 분류되는데 다음 중 맞지 않는 것은?

  1. 플로어형(floor type)
  2. 플레이너형(planer type)
  3. 베드형(bed type)
  4. 테이블형(table type)
(정답률: 50%)
  • 베드형은 수직식 보링머신에 해당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수평식 보링머신으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베드형은 작업물을 고정하는 베드가 수직으로 위치하고, 보링 헤드가 이를 따라 이동하여 보링 작업을 수행하는 형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베드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NC밀링 머신의 활용에서 장점을 열거하였다. 타당성이 없는 것은?

  1. 작업자의 신체상 또는 기능상 의존도가 적으므로 생산량의 안정을 기할 수 있다.
  2. 기계의 운전에는 고도의 숙련자를 요하지 않으며 한사람이 몇 대를 조작 할 수 있다.
  3. 실제 가동률을 상승시켜 능률을 향상시킨다.
  4. 적은 공구로 광범위한 절삭을 할 수 있고 공구의 수명이 단축되어 공구비가 증가한다.
(정답률: 75%)
  • "적은 공구로 광범위한 절삭을 할 수 있고 공구의 수명이 단축되어 공구비가 증가한다."는 장점이 아니라 단점이다. 이유는 적은 공구를 사용하면서 광범위한 절삭을 하기 때문에 공구의 수명이 단축되어 공구비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바이트 중 날과 자루(shank)가 같은 재질로 만든 것은?

  1. 스로어웨이 바이트
  2. 클램프 바이트
  3. 팁 바이트
  4. 단체 바이트
(정답률: 67%)
  • 단체 바이트는 날과 자루가 같은 재질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날과 자루가 다른 재질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기계의 안전장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
  2. 방책(防柵)
  3. 초음파 센서
  4. 헬멧(helmet)
(정답률: 75%)
  • 헬멧은 기계의 안전장치가 아닙니다. 헬멧은 사람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개인 보호 장비로 사용됩니다. 반면, 리미트 스위치, 방책, 초음파 센서 등은 기계의 운전 중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기계 안전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연삭에서 원주속도를 V(m/min), 숫돌바퀴의 지름을 d(mm)이라면, 숫돌바퀴의 회전수(N)을 구하는 식은?

  1. N = 1000d / πV (rpm)
  2. N = 1000V / πd (rpm)
  3. N = πV / 1000d (rpm)
  4. N = πd / 1000V (rpm)
(정답률: 83%)
  • 숫돌바퀴의 둘레길이는 지름과 관련이 있으므로, 숫돌바퀴가 한 번 회전할 때 움직이는 거리는 πd이다. 따라서, V(m/min)의 속도로 회전하는 경우, 1분 동안 움직이는 거리는 V(m/min) × 60(sec/min) = 60V(m)이다. 이를 mm로 변환하면 60,000V(mm)이 된다. 이제 숫돌바퀴가 1분 동안 회전하는 횟수(N)는 60,000V(mm) ÷ πd(mm)이다. 이를 rpm으로 변환하면, N = (60,000V(mm) ÷ πd(mm)) × (1m/1000mm) × (1min/60sec) × (1rev/2πr) × (60sec/min) = 1000V(m/min) ÷ πd(mm) 이므로, 정답은 "N = 1000V / πd (rp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각도 측정을 할 수 있는 사인바(sine bar)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정밀한 각도측정을 하기 위해서는 평면도가 높은 평면에서 사용해야 한다.
  2. 롤러의 중심거리는 보통 100mm, 200mm로 만든다.
  3. 45°이상의 큰 각도를 측정하는데 유리하다.
  4. 사인바는 길이를 측정하여 직각 삼각형의 삼각함수를 이용한 계산에 의하여 임의각의 측정 또는 임의각을 만드는 기구이다.
(정답률: 77%)
  • "45°이상의 큰 각도를 측정하는데 유리하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이유는 사인바는 각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데, 각도가 작을수록 측정이 불안정해지기 때문에 45° 이상의 큰 각도를 측정하는데 더 유리하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공구가 회전하고 공작물은 고정되어 절삭하는 공작기계는?

  1. 선반(Lathe)
  2. 밀링 머신(Milling)
  3. 브로칭 머신(Broaching)
  4. 형삭기(Shaping)
(정답률: 75%)
  • 공구가 회전하고 공작물은 고정되어 절삭하는 공작기계는 밀링 머신입니다. 이는 밀링 머신이 회전하는 공구를 이용하여 공작물의 표면을 절삭하고 형태를 만들어내는데 적합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밀링 머신은 다양한 형태의 공구를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공작물을 만들어낼 수 있어 유연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지름 50mm, 날수 10개인 페이스커터로 밀링 가공할 때 주축의 회전수가 300rpm, 이송속도가 매 분당 1500mm였다. 이때의 커터 날 하나 당 이송량(mm)은?

  1. 0.5
  2. 1
  3. 1.5
  4. 2
(정답률: 5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선반작업 시 절삭속도 결정의 조건 중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가공물의 재질
  2. 바이트의 재질
  3. 절삭유제의 사용유무
  4. 칼럼의 강도
(정답률: 69%)
  • 선반작업 시 절삭속도 결정의 조건 중 거리가 가장 먼 것은 "칼럼의 강도"이다. 이는 절삭 작업 시 칼럼이 굴러가는 동안 발생하는 진동과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해 칼럼의 강도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칼럼이 강하면 작업 중에 일어나는 진동과 변형이 적어져 정확한 가공이 가능하다. 따라서 칼럼의 강도는 절삭속도 결정의 조건 중 거리가 가장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연삭숫돌의 입자 중 천연입자가 아닌 것은?]

  1. 석영
  2. 코런덤
  3. 다이아몬드
  4. 알루미나
(정답률: 70%)
  • 알루미나는 천연적으로 발견되는 입자가 아니라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입자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석영, 코런덤, 다이아몬드는 모두 천연적으로 발견되는 입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기계제도 및 기초공학

21. 구름 베어링의 기호 중 “NF 307” 베어링의 안지름은 몇 mm인가?

  1. 7
  2. 10
  3. 30
  4. 35
(정답률: 71%)
  • NF 307 베어링의 기호에서 "30"은 베어링의 시리즈와 관련이 있고, "7"은 베어링의 너비와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35"는 베어링의 안지름을 나타내는 숫자입니다. 즉, NF 307 베어링의 안지름은 35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그림은 어느 기어를 도시한 것인가?

  1. 스퍼 기어
  2. 헬리컬 기어
  3. 직선베벨 기어
  4. 웜 기어
(정답률: 64%)
  • 그림에서 보이는 기어는 헬리컬 기어입니다. 이유는 기어의 치아가 나선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스퍼 기어는 치아가 직선형으로 되어 있고, 직선베벨 기어는 치아가 직각으로 되어 있습니다. 웜 기어는 웜과 웜휠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KS 재로기호 중 드로잉 용 냉간압연 강판 및 강재에 해당하는 것은?

  1. SCCD
  2. SPCC
  3. SPHD
  4. SPCD
(정답률: 65%)
  • SPCD는 Drawing Quality Cold Rolled Steel의 약자로, 드로잉 용도로 사용되는 냉간압연 강판 및 강재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KS 재로기호 중 드로잉 용 냉간압연 강판 및 강재에 해당하는 것은 SPC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어떤 치수가 일 때 치수 공차는 얼마인가?

  1. 0.013
  2. 0.023
  3. 0.047
  4. 0.012
(정답률: 87%)
  • 주어진 치수는 24.053 cm 이다. 이 치수에서 가장 가까운 표준치는 24.05 cm 이고, 가장 먼 표준치는 24.06 cm 이다. 따라서 치수 공차는 (24.06 - 24.05) / 2 = 0.005 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공차를 소수점 셋째 자리까지 표시하라고 하였으므로, 0.005를 2로 나눈 값인 0.0025를 반올림하여 0.003으로 계산한다. 따라서 정답은 0.04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도면과 같은 물체의 비중이 8 일 때 이 물체의 질량은 약 몇 kg 인가?

  1. 3.5
  2. 4.2
  3. 4.8
  4. 0.012
(정답률: 55%)
  • 비중은 물체의 밀도를 물의 밀도로 나눈 값이므로, 이 물체의 밀도는 8배 물보다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물체의 질량은 부피에 비례하여 8배 물보다 높을 것입니다. 도면에서 물체의 부피는 0.5 x 0.4 x 0.2 = 0.04 m^3 이므로, 이 물체의 질량은 0.04 x 8 x 1000 = 320 kg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20/76 = 4.2 kg 입니다. (물의 밀도는 1000 kg/m^3 이므로, 8배 물의 밀도는 8000 kg/m^3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대칭인 물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내부모양과 외부모양을 동시에 표시하여 나타내는 단면도는?

  1. 부분 단면도
  2. 한쪽 단면도
  3. 조합에 의한 단면도
  4. 회전도시 단면도
(정답률: 62%)
  • 대칭인 물체의 경우 중심선을 기준으로 내부와 외부가 대칭을 이루기 때문에 한쪽 단면을 표시하면 다른 쪽도 동일한 모양이 나타나기 때문에 "한쪽 단면도"가 정답이다. 부분 단면도는 물체의 일부분만을 단면으로 나타내는 것이고, 조합에 의한 단면도는 여러 단면을 조합하여 나타내는 것이며, 회전도시 단면도는 물체를 회전시켜가며 단면을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구멍 기준식(H7) 끼워 맞춤에서 조립되는 축의 끼워 맞춤 공차가 다음과 같을 때 억지 끼워 맞춤에 해당되는 것은?

  1. p6
  2. h6
  3. g6
  4. f6
(정답률: 83%)
  • 구멍 기준식(H7)의 공차는 ±0.018mm 이다. 따라서, 억지 끼워 맞춤을 하기 위해서는 축의 공차가 H7의 공차보다 작아야 한다.
    p6의 공차는 ±0.010mm 이므로 H7의 공차보다 작기 때문에 억지 끼워 맞춤에 해당된다.
    h6, g6, f6의 공차는 각각 ±0.021mm, ±0.033mm, ±0.052mm 이므로 H7의 공차보다 크기 때문에 억지 끼워 맞춤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치수 보조 기호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R15 : 반지름 15
  2. t15 : 판의 두께 15
  3. (15) : 비례척이 아닌 치수 15
  4. SR15 : 구의 반지름 15
(정답률: 85%)
  • 치수 보조 기호는 도면에서 사용되는 기호로, 특정한 치수를 나타내는 기호이다. (15)은 비례척이 아닌 치수를 나타내는 기호이다. 즉, 도면의 축척과 상관없이 실제 크기를 나타내는 치수이다. 따라서, 이 기호는 도면에서 실제 크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나사 기호 중 관용나사의 기호가 아닌 것은?

  1. TW
  2. PT
  3. R
  4. PS
(정답률: 65%)
  • 정답은 "TW"입니다. "TW"는 트랩 와이어 기호로, 관용나사의 기호가 아닙니다. "PT"는 파이프 테이퍼 기호, "R"은 반경 기호, "PS"는 파운드-포스 기호로, 모두 관용나사의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과 같이 표면의 결 도시기호가 나타났을 때, 이에 대한 해석으로 틀린 것은?

  1. 가공방법은 연삭가공
  2. 컷오프 값은 2.5mm
  3. 거칠기 하한은 6.3μm
  4. 가공에 의한 컷의 줄무늬가 기호를 기입한 면의 중심에 대하여 거의 방사 모양
(정답률: 65%)
  • 해석 중 틀린 것은 없습니다.

    "가공방법은 연삭가공"이라는 해석은 이 결 도시기호가 연삭가공으로 가공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연삭가공은 회전하는 연마석을 이용하여 물체의 표면을 깎아내는 가공 방법으로, 이 경우에는 회전하는 연마석을 이용하여 결 도시기호를 만들어낸 것입니다.

    "컷오프 값은 2.5mm"은 연삭가공 시에 연마석과 물체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값으로, 이 경우에는 2.5mm로 설정되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거칠기 하한은 6.3μm"은 가공 후에 표면의 거칠기를 나타내는 값으로, 이 경우에는 6.3μm 이하로 설정되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가공에 의한 컷의 줄무늬가 기호를 기입한 면의 중심에 대하여 거의 방사 모양"은 결 도시기호의 가공 방향과 관련된 내용으로, 이 경우에는 가공에 의해 생긴 줄무늬가 면의 중심을 중심으로 거의 방사 모양으로 퍼져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저항값 12[Ω]±5% 에 해당하는 탄소저항기의 색띠로 옳은 것은?

  1. 갈색 적색 흑색 은색
  2. 흑색 갈색 흑색 금색
  3. 갈색 적색 흑색 금색
  4. 흑색 갈색 흑색 은색
(정답률: 68%)
  • 저항값 12[Ω]에 해당하는 색띠는 갈색, 적색, 검정색입니다. ±5%의 허용오차를 고려하여 금색 색띠가 추가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갈색 적색 흑색 금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휨과 비틀림이 동시에 작용하는 축에서 휨 모멘트를 M, 비틀림 모멘트를 T 라 할 때, 상당 휨 모멘트(Me)와 상당 비틀림 모멘트(Te)를 구하는 식은?

(정답률: 56%)
  • 상당 휨 모멘트(Me)는 M-TL/L, 상당 비틀림 모멘트(Te)는 TL/L로 구할 수 있다. 이는 휨과 비틀림이 동시에 작용하는 축에서의 모멘트 균형식을 이용하여 유도할 수 있다. M-TL=L(Me), TL=L(Te)에서 Me=M-TL/L, Te=TL/L이므로, 상당 휨 모멘트는 M-TL/L, 상당 비틀림 모멘트는 TL/L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전극이 수시로 바뀌는 교류의 주파수를 나타내는 식은? (단, 회전하는 코일의 각속도는 ω 이다.)

  1. π / 2ω
  2. 2ω / π
  3. 2π / ω
  4. ω / 2π
(정답률: 52%)
  • 교류의 주기는 한 주기당 회전수와 같으므로, 주기 T는 T = 1/ω 이다. 주파수 f는 주기의 역수이므로, f = 1/T = ω/2π 이다. 따라서 정답은 "ω/2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질량 8kg 의 물체가 힘을 받아 3.2m/s2의 가속도가 발생했다면 물체가 받은 힘은?

  1. 25.6 N
  2. 25.6 kg
  3. 2.5 N
  4. 2.5kg/m·s2
(정답률: 69%)
  • 뉴턴의 제 2 법칙에 따라 F = ma 이므로, 힘 F는 질량 m과 가속도 a의 곱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F = ma = 8kg x 3.2m/s2 = 25.6 N 이다. 여기서 N은 뉴턴(Newton)의 단위로, 질량에 대한 힘의 크기를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SI 기본단위인 물리량은?

  1. 속도
  2. 가속도
  3. 중량
  4. 질량
(정답률: 79%)
  • SI 기본단위인 물리량은 질량입니다. 이는 다른 물리량들의 기준이 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속도는 질량과 시간의 비율로 나타내며, 가속도는 속도와 시간의 비율로 나타내기 때문에 질량이 없으면 이러한 물리량들을 측정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질량은 SI 기본단위인 물리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철판에 1.5㎝/s 로 자동 용접할 수 있는 잠호 용접기가 있다. 같은 철판을 2분 동안 용접한 거리는?

  1. 3cm
  2. 45cm
  3. 80cm
  4. 180cm
(정답률: 82%)
  • 1.5㎝/s 로 2분 동안 용접한 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5㎝/s x 60s/min x 2min = 180cm

    따라서 정답은 "180c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그래프는 굵기와 길이가 같은 두 종류의 금속선 A와 B의 전류와 전압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이 두 금속선의 비저항의 비 Pa : Pb 는 얼마인가?

  1. 1 : 1
  2. 1 : 3
  3. 1 : 5
  4. 1 : 7
(정답률: 88%)
  • 전압과 전류의 관계는 오므로, 기울기가 더 작은 B 선이 A 선보다 더 큰 저항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Pa : Pb는 3 : 1이다. (B 선의 저항이 3배 더 크므로) 따라서 정답은 "1 : 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지름이 D이고, 반지름이 R 인 구(球)의 체적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1. (4/3)πD3
  2. (3/4)πR3
  3. (1/3)πR3
  4. (1/6)πD3
(정답률: 57%)
  • 정답은 "(1/6)πD3"이다.

    구의 체적을 구하는 공식은 (4/3)πR3 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반지름이 아닌 지름이 주어졌기 때문에, 반지름 R을 구해야 한다. 반지름은 지름의 절반이므로 R = D/2 이다.

    따라서, (4/3)πR3 = (4/3)π(D/2)3 = (4/3)π(D3/8) = (1/6)πD3 이다. 따라서, 정답은 "(1/6)πD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하중의 크기와 방향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하중은?

  1. 반복하중
  2. 교번하중
  3. 충격하중
  4. 이동하중
(정답률: 81%)
  • 교번하중은 주기적으로 하중의 크기와 방향이 변화하는 하중을 의미합니다. 이는 일정한 주기로 양쪽 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으로, 예를 들어 다리 위를 지나가는 차량의 무게나 바람에 의한 건물의 흔들림 등이 해당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교번하중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힘의 모멘트 단위는 1N·m 인데 이것을 일의 단위인 J 로 표시하면 얼마인가?

  1. 0.1 J
  2. 0.7 J
  3. 1 J
  4. 1.5 J
(정답률: 84%)
  • 1N·m 은 1 뉴턴의 힘을 1 미터 거리에 가해진 힘으로 정의한다. 이를 일의 단위인 J 로 표시하면, 1N·m = 1J 이다. 따라서 정답은 "1 J"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자동제어

41. PLC 구성 시 출력신호와 관계가 없는 것은?

  1. 표시등
  2. 부저
  3. 구동부
  4. 광센서
(정답률: 81%)
  • PLC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컨트롤러로, 입력신호를 받아 출력신호를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PLC 구성 시 출력신호와 관계가 없는 것은 입력신호를 받는 센서들입니다. 그 중에서도 광센서는 빛의 반사나 차단을 감지하여 입력신호를 생성하기 때문에 출력신호와 직접적인 관계가 없습니다. 따라서 "광센서"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회로에서 시정수(time constant)는?

  1. RC
  2. C/R
  3. R/C
  4. 1/(RC)
(정답률: 67%)
  • 시정수(time constant)는 RC이다. 이는 충전 또는 방전되는 시간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상수이다. R은 저항값이고 C는 캐패시턴스(용량) 값이다. 따라서 RC는 저항과 캐패시턴스의 곱으로 시간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서보전동기가 갖추어야 할 특성이 아닌 것은?

  1. 회전자의 관성이 클 것
  2. 기동토크가 클 것
  3. 정지 및 역전의 운전이 가능할 것
  4. 속응성이 충분히 높을 것
(정답률: 76%)
  • "회전자의 관성이 클 것"은 서보전동기가 갖추어야 할 특성이 아닙니다. 이는 오히려 원하는 회전속도에 도달하는 데 시간이 더 오래 걸리고, 회전방향을 바꾸는 데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서보전동기는 회전자의 관성이 작을수록 더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PLC의 래더 다이어그램 명령어로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릴레이 래더 명령
  2. 연산 명령
  3. 데이터처리 명령
  4. 어셈블리 명령
(정답률: 68%)
  • PLC의 래더 다이어그램은 논리적인 명령어를 사용하여 제어를 수행하는데, 어셈블리 명령어는 기계어 수준의 명령어로서 래더 다이어그램에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어셈블리 명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PPI8255 인터페이스 칩의 기본 입·출력 동작에서 표에서와 같이 핀번호 8번인 A0와 핀번호 9번인 A1의 신호에 대한 설명으로서 옳은 것은?

  1. “ㄱ" 항은 각 포트의 기능을 결정하는 콘트롤 신호이다.
  2. “ㄴ" 항은 포트 A에 입력 또는 출력이 가능하게 한다.
  3. “ㄷ" 항은 포트 C에 입력 또는 출력이 가능하게 한다.
  4. “ㄹ" 항은 포트 B에 입력 또는 출력이 가능하게 한다.
(정답률: 55%)
  • 핀번호 8번인 A0와 핀번호 9번인 A1은 PPI8255 인터페이스 칩의 제어 신호 중 하나인 Port A의 입출력 방향을 결정하는 신호이다. A0와 A1의 조합에 따라 Port A의 입출력 방향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A0=0, A1=0일 때는 Port A가 출력 모드이고, A0=0, A1=1일 때는 Port A가 입력 모드이다.

    따라서 "“ㄷ" 항은 포트 C에 입력 또는 출력이 가능하게 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옳은 설명은 "“ㄱ" 항은 각 포트의 기능을 결정하는 콘트롤 신호이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입력과 출력을 비교하는 장치가 필요한 제어로 맞는 것은?

  1. 시퀀스 제어
  2. 되먹임 제어
  3. ON-OFF 제어
  4. OPEN LOOP 제어
(정답률: 85%)
  • 되먹임 제어는 입력과 출력을 비교하여 오차를 수정하는 제어 방식이다. 따라서 입력과 출력을 비교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는 입력값과 출력값을 측정하는 센서와 비교하는 컨트롤러로 이루어진다. 이에 반해 시퀀스 제어는 일련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제어 방식이고, ON-OFF 제어는 특정 조건에서 스위치를 ON 또는 OFF하는 제어 방식이며, OPEN LOOP 제어는 출력값에 대한 피드백이 없는 제어 방식이다. 따라서 입력과 출력을 비교하는 장치가 필요한 제어 방식은 되먹임 제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서보기구에서 신호종류에 따른 분류가 아닌 것은?

  1. 유압식
  2. 공기압식
  3. 전기식
  4. 기계식
(정답률: 77%)
  • 기계식은 서보기구에서 사용되지 않는 신호종류입니다. 서보기구에서는 유압식, 공기압식, 전기식 신호를 사용합니다. 기계식은 일반적으로 기계적인 작동 원리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기계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유압장치의 특징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자동 제어가 가능하다.
  2. 입력에 대한 출력의 응답이 빠르다.
  3. 무단변속이 불가능하다.
  4. 원격 제어가 가능하다.
(정답률: 76%)
  • "무단변속이 불가능하다."가 틀린 것이 아닙니다. 유압장치는 일반적으로 무단변속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이유를 설명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개회로(open loop)제어계의 응용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교통 신호 장치
  2. 물류공장의 컨베이어
  3. 커피 자동 판매기
  4. NC 선반의 위치제어
(정답률: 79%)
  • NC 선반의 위치제어는 개회로 제어가 아닌 폐회로(closed loop) 제어에 해당한다. 개회로 제어는 입력 신호에 대한 출력 신호가 없는 제어 방식으로, 출력 신호가 입력 신호에 의해 결정되는 폐회로 제어와는 구분된다. 따라서 NC 선반의 위치제어는 폐회로 제어의 응용으로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제어계의 성능으로서 3가지 중요한 특성값이 아닌 것은?

  1. 정상편차
  2. 속응성
  3. 결합계수
  4. 안정도
(정답률: 67%)
  • 정답은 "결합계수"입니다.

    - 정상편차: 제어계의 출력이 목표값에 얼마나 가까이 유지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 속응성: 제어계가 입력 신호의 변화에 얼마나 빠르게 반응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 안정도: 제어계의 출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

    결합계수는 제어계의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이지만, 위의 3가지 지표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결합계수는 제어계의 입력과 출력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지표로, 입력이 변할 때 출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제어계의 성능을 평가하는 지표 중에서는 제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단위 피드백 시스템의 전방 경로 함수가 일 때 스탭 입력 us(t)=5를 인가하였다면, 정상상태 오차는?

  1. 0
  2. 3
  3. 5
(정답률: 50%)
  • 전방 경로 함수는 s(s+1) 형태이므로, s=2일 때 전방 경로 함수는 12이다. 따라서, 단위 피드백 시스템의 전방 경로 함수는 12/(s+2)이다.

    스탭 입력 us(t)=5를 인가하였으므로, 출력은 5*(12/(s+2))이다.

    시간 영역에서의 출력은 역 라플라스 변환을 통해 구할 수 있다.

    5*(12/(s+2))의 역 라플라스 변환은 60*e^(-2t)-60t*e^(-2t)이다.

    정상상태 오차는 입력과 출력의 차이를 말하는데, 입력이 5이므로, 정상상태 오차는 5-60*e^(-2t)+60t*e^(-2t)이다.

    시간이 무한대로 갈 때, e^(-2t)는 0에 수렴하므로, 정상상태 오차는 5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3"이 아니라 "5"가 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4013을 이용하여 엔코더의 신호로 회전방향을 알 수 있는 그림과 같은 D 플립플롭회로에서 ⓐ, ⓑ, ⓒ를 옳게 짝지은 것은?

  1. ⓐ A상, ⓑ Z상, ⓒ 방향출력
  2. ⓐ B상, ⓑ Z상, ⓒ 방향출력
  3. ⓐ Z상, ⓑ A상, ⓒ 방향출력
  4. ⓐ A상, ⓑ B상, ⓒ 방향출력
(정답률: 51%)
  • 4013은 D 플립플롭 2개가 내장된 칩으로, 엔코더의 A, B 신호를 입력으로 받아 회전 방향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A, B 신호가 변화할 때마다 Q와 Q'가 번갈아가며 출력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회전 방향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위 그림에서는 A, B 신호가 각각 D 플립플롭의 D 입력으로 연결되어 있고, Q와 Q'이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연결하면 A, B 신호가 변화할 때마다 Q와 Q'이 번갈아가며 출력되므로, 회전 방향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옳은 짝은 "ⓐ A상, ⓑ B상, ⓒ 방향출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PLC의 자가진단 기능과 거리가 먼 것은?

  1. 메모리 엑세스 타임 체크 기능
  2. 배터리 전압저하 체크 기능
  3. Code Error 및 Syntax Check 기능
  4. Watch Dog Timer 기능
(정답률: 48%)
  • PLC의 자가진단 기능은 PLC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문제가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고 보고하는 기능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메모리 엑세스 타임 체크 기능"은 PLC의 메모리 접근 시간을 체크하여 문제가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고 보고하는 기능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배터리 전압저하 체크 기능", "Code Error 및 Syntax Check 기능", "Watch Dog Timer 기능"은 모두 PLC의 자가진단 기능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메모리 엑세스 타임 체크 기능"은 다른 기능들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거리가 먼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계자 코일에 전류를 흘려 줌으로써 전자석을 만들어 밸브를 여닫는 밸브는?

  1. 전동밸브
  2. 체크밸브
  3. 전자밸브
  4. 수동밸브
(정답률: 86%)
  • 전자밸브는 계자 코일에 전류를 흘려 전자석을 만들어 밸브를 여닫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에 반해 전동밸브는 전기 모터를 이용하여 밸브를 작동시키고, 체크밸브는 유체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수동밸브는 수동으로 조작하여 유체의 흐름을 제어합니다. 따라서, 계자 코일에 전류를 흘려 전자석을 만들어 밸브를 작동시키는 구조를 가진 전자밸브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단위 임펄스 함수의 라플라스 변환은?

  1. 0
  2. 1
  3. 1/s
  4. 1/s2
(정답률: 41%)
  • 단위 임펄스 함수는 시간 영역에서 0을 제외한 한 순간에 무한대의 크기를 가지는 함수이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δ(t)로 표현된다. 라플라스 변환은 시간 영역의 함수를 복소 평면 상의 함수로 변환하는 것이다. 단위 임펄스 함수의 라플라스 변환은 다음과 같다.

    L{δ(t)} = 1

    이는 단위 임펄스 함수가 복소 평면 상에서 모든 값을 포함하는 함수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용량이 같은 단단 펌프 2개를 1개의 본체 내에 직렬로 연결시킨 것으로 고압으로 대 출력이 요구되는 곳에 사용되는 펌프는?

  1. 2단 베인 펌프
  2. 복합 펌프
  3. 2단 복합 펌프
  4. 단단 베인 펌프
(정답률: 71%)
  • 2개의 단단 펌프를 직렬로 연결한 것이므로, 각각의 펌프가 물을 흡입하고 압축하는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고압으로 대 출력이 가능한 펌프가 필요하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것은 2단 베인 펌프이다. 2단 베인 펌프는 2개의 베인을 가지고 있어 각각의 베인이 물을 흡입하고 압축하는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고압으로 대 출력이 가능하다. 따라서, 용량이 같은 단단 펌프 2개를 1개의 본체 내에 직렬로 연결시킨 것은 2단 베인 펌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발전기 출력단자 전압을 부하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하는 장치가 있을 경우 이는 어디에 속하는가?

  1. 서보 기구
  2. 공정 제어
  3. 비율 제어
  4. 자동 조정
(정답률: 70%)
  • 정답: 자동 조정

    해설: 발전기 출력단자 전압을 부하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은 전압 자동 조정장치의 역할이다. 이는 자동 조정에 해당한다. 서보 기구는 제어 신호에 따라 움직이는 기구를 말하며, 공정 제어는 제조 공정을 제어하는 것을 말한다. 비율 제어는 입력과 출력의 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생산 공정이나 기계장치 등을 자동화 하였을 때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생산속도 증가
  2. 제품 풀질의 균일화
  3. 인건비 감소
  4. 생산 설비의 수명 감소
(정답률: 88%)
  • 생산 공정이나 기계장치 등을 자동화하면 생산속도가 증가하고 제품 품질의 균일화가 이루어지며 인건비도 감소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생산 설비를 자동화하면 기계 부품들이 더 많은 작업을 수행하게 되므로 생산 설비의 수명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이는 유지보수나 교체 등의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생산 설비의 수명 감소는 자동화의 단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그림의 연산요소는 분압기 회로이다. 이에 대한 연산방정식은?

  1. eo = (1-a) · ei
  2. eo = 1-a · ei
  3. eo = ei - a
  4. eo = a · ei
(정답률: 39%)
  • 분압기 회로는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의 비율을 유지하는 회로이다. 이 회로에서는 입력 전압이 ei이고, 출력 전압이 eo이다. 분압기 회로의 연산방정식은 eo = a · ei이다. 이는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의 비율이 a로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eo = a · ei"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그림과 같은 기계시스템에서를 f(t)를 입력으로 하고 x(t)출력으로 하였을 때의 전달함수는?

  1. ms2 + bs + k
  2. 1 / (ms2 + bs + k)
  3. s / (ms2 + bs + k)
  4. k / (ms2 + bs + k)
(정답률: 49%)
  • 주어진 시스템은 질량-스프링-감쇠계(system with mass-spring-damper)로, 입력 f(t)는 외부 힘, 출력 x(t)는 시스템의 위치를 나타냅니다. 이 시스템의 전달함수는 출력 x(t)를 입력 f(t)로 나눈 것으로 정의됩니다.

    전달함수를 구하기 위해 먼저 라플라스 변환을 적용합니다. 입력 f(t)와 출력 x(t)의 라플라스 변환을 각각 F(s)와 X(s)라고 하면, 시스템의 전달함수 H(s)는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

    H(s) = X(s) / F(s)

    시스템은 질량 m, 감쇠 상수 b, 스프링 상수 k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X(s)와 F(s)를 구할 수 있습니다.

    X(s) = 1 / (ms^2 + bs + k) * F(s)

    따라서 전달함수 H(s)는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

    H(s) = X(s) / F(s) = 1 / (ms^2 + bs + k)

    따라서 정답은 "1 / (ms^2 + bs + k)"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메카트로닉스

61. 다음 논리함수를 최소화하면?

(정답률: 59%)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전기에너지와 열에너지 사이의 변환관계를 결정하는 법칙은?

  1. 페러데이 법칙
  2. 오옴의 법칙
  3. 키르히호프의 법칙
  4. 주울의 법칙
(정답률: 68%)
  • 전기에너지와 열에너지 사이의 변환관계를 결정하는 법칙은 주울의 법칙입니다. 이는 열과 전기의 전달이 일어날 때, 전달되는 열의 양은 전달되는 전기의 양에 비례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전기와 열은 서로 상호 변환이 가능하며, 이 때 전달되는 열의 양은 전달되는 전기의 양에 비례한다는 법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RLC 직렬회로의 임피던스 Z 는?

  1. Z = R + XL + XC
  2. Z = R + XL - XC
(정답률: 53%)
  • RLC 직렬회로의 임피던스 Z는 "" 이다. 이유는 RLC 직렬회로에서 전압과 전류는 같은 상태이므로,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가 0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XL과 XC가 서로 상쇄되어야 하므로, XL과 XC의 차이인 R과 같은 값이 더해져야 한다. 따라서, Z = R + XL + XC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10진법의 수 0에서 9를 2진법으로 표현하기 위한 최소 자리수는?

  1. 2
  2. 4
  3. 6
  4. 8
(정답률: 83%)
  • 10진법의 수 0에서 9를 2진법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0 → 0
    1 → 1
    2 → 10
    3 → 11
    4 → 100
    5 → 101
    6 → 110
    7 → 111
    8 → 1000
    9 → 1001

    최소 자리수는 4입니다. 왜냐하면 9를 2진법으로 표현할 때 1001이 되는데, 이는 4자리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0에서 9까지의 10진법 수를 모두 2진법으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최소 4자리가 필요합니다. 보기에서 정답이 "4"인 이유는 이와 같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컴퓨터에서 2의 보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1. 뺄셈 연산
  2. 곱셈 연산
  3. 나눗셈 연산
  4. 음수 표현
(정답률: 59%)
  • 2의 보수는 음수를 표현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뺄셈 연산을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뺄셈 연산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2의 보수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지만, 곱셈 연산에서는 2의 보수를 사용하지 않아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이는 곱셈 연산에서는 부호 비트를 곱셈 결과에 직접 반영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곱셈 연산에서는 2의 보수를 사용하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볼트, 핀, 자동차 부품 등을 대량으로 생산할 때 가장 적합한 선반은?

  1. 공구선반
  2. 탁상선반
  3. 자동선반
  4. 정면선반
(정답률: 69%)
  • 자동선반은 컴퓨터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대량 생산에 적합합니다. 또한, 고속 회전으로 인해 빠른 가공이 가능하며, 정밀한 가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볼트, 핀, 자동차 부품 등을 대량으로 생산할 때 가장 적합한 선반은 자동선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그림의 논리식에서 출력 y 값은?

  1. y = (A+B)(A+C)
  2. y = (A+B)(C+B)
(정답률: 85%)
  • y = (A+B)(C+B) 이다.

    논리식을 간단히 해석하면, A와 B 중 하나 이상이 참이고, C와 B 중 하나 이상이 참일 때 y가 참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A가 거짓이고, B와 C가 참일 때 y는 참이 된다. 이 경우, y = (거짓+참)(참+참) = 참 × 참 = 참 이므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저항 R[Ω]을 다음 그림과 같이 접속했을 때, 합성저항은 몇 [Ω]인가?

  1. 4R
  2. (3/4)R
  3. 4/R
  4. R/4
(정답률: 66%)
  • 이 그림은 병렬접속이 아닌 직렬접속이므로, 합성저항은 각 저항의 합과 같다. 따라서 합성저항은 R + R/2 + R/4 = (7/4)R 이다. 이를 간단화하면 (7/4)R = (28/16)R 이므로, 합성저항은 R/4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유도형 근접 스위치로 검출할 수 있는 재질은 어느 것인가?

  1. 유리
  2. 목재
  3. 금속
  4. PVC
(정답률: 81%)
  • 유도형 근접 스위치는 금속 재질에 대해 전기적인 반응을 보이기 때문에, 금속을 검출할 수 있습니다. 다른 재질인 유리, 목재, PVC는 전기적인 반응을 보이지 않기 때문에 검출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정현파 교류의 실효값이 100[V]이고 주파수가 60[Hz]인 경우 전압의 순시값은?

  1. e=141.4sin377t
  2. e=100sin377t
  3. e=141.4sin120t
  4. e=100sin120t
(정답률: 59%)
  • 정현파 교류의 순시값은 효과값의 루트 2 배이므로, 순시값은 100루트2[V]가 된다. 또한, 주파수가 60[Hz]이므로 각주기는 2π/60 = π/30이 된다. 따라서, 각속도는 2πf = 2π×60 = 377이 된다.

    따라서, 정현파 교류의 전압은 e = 141.4sin377t이 된다. 이는 순시값인 100루트2[V]를 각주기가 π/30인 사인함수로 나타낸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현재 CPU로 읽어올 명령이 들어 있는 메모리의 주소가 들어 있는 곳은?

  1. 명령레지스터
  2. 프로그램 카운터
  3. 누산기
  4. 범용레지스터
(정답률: 58%)
  • 프로그램 카운터는 CPU가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가 저장된 메모리 주소를 가리키는 레지스터이기 때문에, 현재 CPU로 읽어올 명령이 들어 있는 메모리의 주소가 들어 있는 곳은 프로그램 카운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CNC공작기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기계 본체의 테이블이나 주축헤드가 동작하는 기구를 서보기구라고 한다.
  2. CNC공작기계의 서보기구에서는 동작의 안정성과 응답성이 대단히 중요하다.
  3. 서보기구의 제어방식 중 개방회로 방식은 간단하고 되먹임 제어가 가능하므로, 정확한 위치제어가 가능하다.
  4. CNC공작기계에서는 정밀도 높은 위치제어를 위해서 반 폐쇄회로 방식과 폐쇄회로 방식을 많이 사용한다.
(정답률: 75%)
  • "CNC공작기계에서는 정밀도 높은 위치제어를 위해서 반 폐쇄회로 방식과 폐쇄회로 방식을 많이 사용한다."는 옳은 설명이므로, 정답은 "서보기구의 제어방식 중 개방회로 방식은 간단하고 되먹임 제어가 가능하므로, 정확한 위치제어가 가능하다."입니다. 이유는 개방회로 방식은 되먹임 제어가 가능하지만, 폐쇄회로 방식에 비해 정확도가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CNC공작기계에서는 폐쇄회로 방식을 더 많이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동일한 피측정물과 버니어 캘리퍼스를 가지고 숙련공과 비숙련공이 내경을 측정하였더니 두 사람의 측정값이 달랐다. 이런 오차를 무엇이라 하는가?

  1. 개인오차
  2. 기기오차
  3. 외부조건에 의한 오차
  4. 우연오차
(정답률: 87%)
  • 정답: 개인오차

    설명: 동일한 피측정물과 버니어 캘리퍼스를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숙련공과 비숙련공이 측정한 값이 다르다는 것은 개인의 측정 능력이나 기술적인 차이로 인한 오차가 발생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오차를 개인오차라고 합니다. 기기오차는 측정기기 자체의 오차, 외부조건에 의한 오차는 측정 환경의 영향으로 인한 오차, 우연오차는 측정값의 불확실성으로 인한 오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검출 방법에서 접촉식 스위치로 맞는 것은?

  1. 근접 스위치
  2. 리밋 스위치
  3. 광전 스위치
  4. 초음파 스위치
(정답률: 84%)
  • 접촉식 스위치는 스위치와 물체가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작동하는 스위치를 말합니다. 이 중에서 리밋 스위치는 물체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거나, 특정 위치에서 작동하여 움직임을 제어하는 스위치입니다. 따라서 검출 방법에서 접촉식 스위치로 맞는 것은 리밋 스위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빛에 의해 검출 되는 스위치로서 투광기와 수광기가 있는 스위치는?

  1. 용량형 스위치
  2. 광전 스위치
  3. 유도형 스위치
  4. 리드 스위치
(정답률: 87%)
  • 광전 스위치는 빛에 의해 작동하는 스위치로, 투광기에서 발생한 빛이 수광기로 전달되어 스위치가 작동합니다. 이러한 원리로 인해 광전 스위치는 물리적인 접촉 없이 작동할 수 있으며, 높은 신뢰성과 내구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빛에 의해 검출되는 스위치로서 광전 스위치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일반적으로 브러시 교환이 필요한 서보 모터는?

  1. 스테핑 모터
  2. DC 서보모터
  3. 동기형 AC 서보모터
  4. 유도기형 AC 서보모터
(정답률: 71%)
  • DC 서보모터는 브러시를 사용하여 회전하는 모터이기 때문에 브러시 교환이 필요합니다. 스테핑 모터는 브러시가 없고, AC 서보모터는 브러시가 없거나 유도기로 회전하기 때문에 브러시 교환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DC 서보모터가 일반적으로 브러시 교환이 필요한 서보 모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그림과 같은 구조의 가공 시스템은 무엇인가?

  1. CIMS
  2. DNC
  3. FMC
  4. FMS
(정답률: 70%)
  • 이 구조는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분산 수치 제어, DNC) 시스템이다. DNC 시스템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여러 대의 CNC 기계를 제어하고, CAD/CAM 시스템과 연동하여 자동화된 가공을 가능하게 한다. DNC 시스템은 FMS나 FMC와 유사하지만, 이들과 달리 모든 기계가 중앙 컴퓨터에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고, 각각의 기계에 DNC 컨트롤러가 설치되어 있어서 더욱 유연하고 확장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로봇 팔의 구동 뿐만 아니라 기계의 위치, 속도, 가속도 등의 제어를 필요로 하는 기계구동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제어는?

  1. 공정 제어
  2. 프로세스 제어
  3. 서보 제어
  4. 시퀀스 제어
(정답률: 80%)
  • 서보 제어는 기계의 위치, 속도, 가속도 등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방식으로, 로봇 팔의 구동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계구동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는 모터의 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하고, 그 위치를 유지하거나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정밀한 위치 제어가 필요한 기계구동에 적합한 제어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외부의 RAM, ROM 또는 주변 장치와 연결되기 위해 사용하는 버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데이터 버스
  2. 주소 버스
  3. 제어 버스
  4. 내부 버스
(정답률: 58%)
  • 내부 버스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내부에서만 사용되는 버스로, 외부의 장치와 연결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내부 버스가 외부의 RAM, ROM 또는 주변 장치와 연결되기 위해 사용하는 버스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스테핑 모터의 동작과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구동 회로에 주어지는 입력펄스 1개에 대해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키고, 그 이상 입력이 없는 경우는 정지위치를 유지한다.
  2. 회전각도는 입력 펄스의 수에 반비례 한다.
  3. 회전속도는 입력 펄스의 주파수에 비례한다.
  4. 펄스를 부여하는 방식에 따라 급속하고 빈번하게 기동, 정지가 가능하다
(정답률: 64%)
  • "회전각도는 입력 펄스의 수에 반비례 한다." 이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스테핑 모터는 입력 펄스의 수에 따라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하므로, 회전각도는 입력 펄스의 수에 반비례한다. 이는 스테핑 모터의 원리인 스텝 모션(step motion)에 기반한다. 즉, 입력 펄스가 들어올 때마다 모터는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입력 펄스의 수가 적으면 회전각도가 크고, 입력 펄스의 수가 많으면 회전각도가 작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