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자동화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8-17)

생산자동화산업기사
(2014-08-1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

1. 선삭에서 바이트의 윗면 경사각을 크게 하고 연강 등 연한 재질의 공작물을 고속 절삭할 때 생기는 칩(chip)의 형태는 무엇인가?

  1. 유동형
  2. 전단형
  3. 열단형
  4. 균열형
(정답률: 71%)
  • 선각에서 바이트의 윗면 경사각을 크게 하면, 연강 등 연한 재질의 공작물을 고속 절삭할 때 생기는 칩은 유동형이 된다. 이는 바이트가 재료를 절단할 때 칩이 끊어지면서 생기는 열과 압력으로 인해 칩이 유체처럼 흐르는 형태를 띄게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형태의 칩은 전단력이 작아서 절삭력을 최대화할 수 있으며, 칩이 재료와 바이트 사이에 갇히지 않아 절삭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유동형 칩은 고속 절삭에 적합한 형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표면 거칠기 측정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1. 다이얼 게이지 이용 측정법
  2. 표준편과의 비교 측정법
  3. 광 절단식 표면 거칠기 측정법
  4. 현미 간섭식 표면 거칠기 측정법
(정답률: 76%)
  • 다이얼 게이지 이용 측정법은 표면의 거칠기를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이지만, 표면의 세부적인 형태를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높이를 측정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표면 거칠기 측정법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브로치 절삭날 피치를 구하는 식은 무엇인가? (단, P=피치, L=절삭날의 길이, C는 가공물 재질에 따른 상수이다.)

  1. P=C√L
  2. P=C×L
  3. P=C×L2
  4. P=C2×L
(정답률: 53%)
  • 브로치 절삭날 피치를 구하는 식은 P=C√L이다. 이는 절삭날의 길이 L이 증가할수록 피치 P도 증가하게 되는데, 이 관계를 수식으로 나타낸 것이다. 상수 C는 가공물의 재질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는 가공물의 특성에 따라 절삭력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절삭력이 큰 재질일수록 C값이 크고, 작은 재질일수록 C값이 작아진다. 결국, 이 식은 절삭력과 절삭날의 길이가 주어졌을 때, 적절한 피치를 구할 수 있게 해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결합제의 주성분은 열경화성 합성수지 베크라이트로 결합력이 강하고 탄성이 커서 고속도강이나 광학유리 등을 절단하기에 적합한 숫돌은 무엇인가?

  1. vitrified계 숫돌
  2. resinoid계 숫돌
  3. silicate계 숫돌
  4. rubber계 숫돌
(정답률: 65%)
  • 결합제의 주성분인 베크라이트는 열경화성 합성수지로, 이는 고속도강이나 광학유리 등을 절단하기에 적합한 탄성과 결합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을 가진 숫돌은 열에 강하고 내구성이 높은 resinoid계 숫돌입니다. 따라서 resinoid계 숫돌이 고속도강이나 광학유리 등을 절단하기에 가장 적합한 숫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밀링 머신의 크기를 번호로 나타낼 때 옳은 설명은 무엇인가?

  1. 번호가 클수록 기계는 크다.
  2. 호칭번호 No.0(0번)은 없다.
  3. 인벌류트 커터의 번호에 준하여 나타낸다.
  4. 기계의 크기와는 관계가 없고 공작물 종류에 따라 번호를 붙인다.
(정답률: 73%)
  • 번호가 클수록 기계는 크다는 이유는 인벌류트 커터의 번호에 준하여 나타내기 때문이다. 인벌류트 커터는 직경이 클수록 큰 공작물을 가공할 수 있기 때문에 번호가 클수록 기계의 크기도 커진다. 호칭번호 No.0(0번)은 없으며, 기계의 크기와는 관계가 없고 공작물 종류에 따라 번호를 붙인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측정기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일반적으로 버니어 캘리퍼스가 마이크로미터보다 측정 정밀도가 높다.
  2. 사인 바(sine bar)는 공작물의 내경을 측정한다.
  3. 다이얼 게이지는 각도 측정기이다.
  4. 스트레이트 에지(straight edge)는 평면도의 측정에 사용된다.
(정답률: 66%)
  • 스트레이트 에지는 완전히 평평한 표면을 가지고 있어서, 이를 이용하여 평면도의 측정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사고발생이 많이 일어나는 것에서 점차로 적게 일어나는 것에 대한 순서로 올바른 것은?

  1. 불안전한 조건 → 불가항력 → 불안전한 행위
  2. 불안전한 행위 → 불가항력 → 불안전한 조건
  3. 불안전한 행위 → 불안전한 조건 → 불가항력
  4. 불안전한 조건 → 불안전한 행위 → 불가항력
(정답률: 79%)
  • 올바른 순서는 "불안전한 행위 → 불안전한 조건 → 불가항력" 입니다. 이유는 불안전한 행위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사고가 발생하면 대부분 불안전한 행위가 원인이 됩니다. 그 다음으로는 불안전한 조건이 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작업장 내부에 불필요한 물건이나 장비가 있어서 작업자들이 이동하기 어렵거나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는 불가항력적인 요인이 올 수 있습니다. 이는 사람이나 조직이 제어할 수 없는 요인으로, 예를 들어 천재지변이나 기상 조건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트위스트 드릴의 인선각(표준각 또는 날끝각)은 연강용에 대해서 몇 도(°)를 표준으로 하여야 하는가?

  1. 110°
  2. 114°
  3. 118°
  4. 122°
(정답률: 78%)
  • 트위스트 드릴의 인선각은 연강용에 대해서 118°를 표준으로 해야 한다. 이는 연강용의 재질 특성상 인선각이 118°일 때 가장 적합하다는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결정되었다. 다른 각도들은 이 연구 결과와는 상이하거나, 연구 결과가 없는 경우이므로 선택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연삭작업에서 글레이징(Glazing) 원인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결합도가 너무 높다.
  2. 숫돌바퀴 원주 속도가 너무 빠르다.
  3. 숫돌 재질과 일감 재질이 적합하지 않다.
  4. 연한 일감 연삭시 발생한다.
(정답률: 60%)
  • 연한 일감은 연삭 작업 시 숫돌과 일감 사이에 충분한 마찰력이 발생하지 않아 결합도가 낮아져 글레이징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연한 일감 연삭 시에는 작업 조건을 조절하여 충분한 마찰력을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한계 게이지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스냅 게이지는 최소 치수측을 통과측, 최대 치수측을 정지측이라 한다.
  2. 양쪽 모두 통과하면 그 부분은 공차 내에 있다.
  3. 플러그 게이지는 최대 치수측을 정지측, 최소 치수측을 통과측이라 한다.
  4. 통과측이 통과되지 않을 경우는 기준구멍보다 큰 구멍이다.
(정답률: 49%)
  • 플러그 게이지는 최대 치수측을 정지측, 최소 치수측을 통과측이라 한다. 이는 플러그 게이지가 제조된 기준에 따라 최대 치수 이상의 부품은 정지되고, 최소 치수 이하의 부품은 통과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플러그 게이지를 사용하여 부품을 측정할 때, 최대 치수 이상의 부품은 게이지에 걸리게 되고, 최소 치수 이하의 부품은 게이지를 통과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환봉을 황삭 가공하는데 이송을 0.1m m/rev로 하려고 한다. 바이트의 노즈 반경이 1.5mm라고 한다면 이론상의 최대 표면 거칠기는 얼마인가?

  1. 8.3×10-4
  2. 8.3×10-3
  3. 8.3×10-5
  4. 8.3×10-2
(정답률: 53%)
  • 이론상의 최대 표면 거칠기는 이송 거리와 노즈 반경의 비율인 0.1/1.5 = 0.0667이다. 이 비율을 이용하여 환봉의 표면 거칠기를 구하면 0.0667 × 0.0667 = 0.00444이다. 이 값은 8.3×10-4㎜에 가깝기 때문에 정답은 "8.3×10-4㎜"이다. 즉, 이론상으로는 환봉의 표면 거칠기가 8.3×10-4㎜ 이하로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끼워 맞춤에서 H6g6는 무엇을 뜻하는 것인가?

  1. 축 기준 6급 헐거운 끼워 맞춤
  2. 축 기준 6급 억지 끼워 맞춤
  3. 구멍 기준 6급 헐거운 끼워 맞춤
  4. 구멍 기준 6급 중간 끼워 맞춤
(정답률: 63%)
  • H6g6은 구멍 기준 6급 헐거운 끼워 맞춤을 뜻한다. 이는 구멍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부품을 맞추는 작업에서 6급의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부품을 끼워 맞추는 것을 의미한다. H는 Hole(구멍)의 약자이며, g는 기준(Go)을 나타내고, 6은 허용 오차 범위를 나타내는 숫자이다. 따라서 H6g6은 구멍 기준으로 6급의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부품을 끼워 맞추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밀링가공에서 커터의 날 수 6개, 1날당의 이송 0.2mm, 커터의 외경 40mm, 절삭속도 30m/min일 때 테이블의 이송속도는 약 몇 mm/min가 되는가?

  1. 274
  2. 286
  3. 298
  4. 312
(정답률: 71%)
  • 커터의 회전속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커터의 둘레 = 40π mm
    1회전에 이동하는 거리 = 40π × 6 × 0.2 = 48π mm
    1분에 회전하는 횟수 = 절삭속도 / 1회전에 이동하는 거리 = 30,000 / 48π ≈ 196.35 회전/min

    따라서, 테이블의 이송속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테이블의 이송속도 = 1회전에 이동하는 거리 × 회전속도 = 48π × 196.35 ≈ 286 mm/min

    따라서, 정답은 "28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액체 호닝의 특징으로 잘못된 것은 무엇인가?

  1. 가공 시간이 짧다.
  2. 가공물의 피로강도를 저하시킨다.
  3. 형상이 복잡한 가공물도 쉽게 가공한다.
  4. 가공물 표면의 산화막이나 거스러미를 제거하기 쉽다.
(정답률: 70%)
  • "형상이 복잡한 가공물도 쉽게 가공한다."는 액체 호닝의 특징 중 하나이지만, "가공물의 피로강도를 저하시킨다."는 잘못된 것입니다. 이는 액체 호닝이 가공물의 표면을 부드럽게 처리하기 때문에, 표면의 거친 부분이 제거되어 피로강도가 감소할 수 있다는 오해에서 비롯됩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액체 호닝은 가공물의 표면을 부드럽게 처리하면서도, 피로강도를 감소시키지 않습니다. 따라서 "가공물의 피로강도를 저하시킨다."는 잘못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드릴지그의 분류 중 상자형 지그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1. 개방형 지그
  2. 조립형 지그
  3. 평판형 지그
  4. 밀폐형 지그
(정답률: 56%)
  • 상자형 지그는 일종의 밀폐형 지그로, 상자 모양의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평판형 지그는 상자형 지그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평판형 지그는 평면 상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지그로, 상자형 지그와는 구조적으로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바깥지름이 200mm인 밀링커터를 100 rpm으로 회전시키면 절삭속도는 약 몇 m/min인가?

  1. 1.05
  2. 2.08
  3. 31.4
  4. 62.8
(정답률: 69%)
  • 절삭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절삭속도 = π × 바깥지름 × 회전속도 ÷ 1000

    여기서 π는 3.14를 의미한다.

    따라서, 절삭속도 = 3.14 × 200 × 100 ÷ 1000 = 62.8 (m/min)

    정답은 62.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밀링 머신에서 분할 및 윤곽가공을 할 때 이용되는 부속장치는 무엇인가?

  1. 밀링 바이스
  2. 회전 테이블
  3. 모방 밀링장치
  4. 슬로팅 장치
(정답률: 65%)
  • 회전 테이블은 밀링 머신에서 작업물을 고정하고 회전시켜 분할 및 윤곽가공을 할 때 이용되는 부속장치입니다. 회전 테이블은 작업물을 다양한 각도로 회전시키며, 이를 통해 다양한 각도와 방향으로 가공이 가능해집니다. 따라서 회전 테이블은 밀링 작업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선반의 양센터 작업에서 주축의 회전을 공작물에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은 무엇인가?

  1. 센터 드릴
  2. 돌리개
  3. 면판
  4. 방진구
(정답률: 68%)
  • 선반 작업에서 주축의 회전을 공작물에 전달하기 위해서는 돌리개가 사용됩니다. 돌리개는 주축과 공작물을 연결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며, 공작물을 회전시켜 가공 작업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돌리개는 선반 작업에서 필수적인 도구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어떤 도면에서 편심량을 4mm로 주어졌을 때, 실제 다이얼 게이지의 눈금의 변위량은 얼마로 표시해야 하는가?

  1. 2mm
  2. 4mm
  3. 8mm
  4. 0.5mm
(정답률: 70%)
  • 편심량은 다이얼 게이지의 중심축과 측정 대상물의 중심축 사이의 거리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편심량이 4mm일 때, 다이얼 게이지의 눈금은 실제 측정 대상물의 중심축으로부터 4mm만큼 벗어나게 됩니다. 이 때, 다이얼 게이지의 눈금은 양쪽으로 4mm씩 총 8mm만큼 변위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8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NC선반의 절삭사이클 중 내ㆍ외경 복합 반복 사이클에 해당하는 것은 무엇인가?

  1. G40
  2. G50
  3. G71
  4. G96
(정답률: 56%)
  • 정답은 "G71"입니다. G71은 내ㆍ외경 복합 반복 사이클을 수행하는 G 코드입니다. 이 사이클은 주로 NC선반에서 사용되며, 한 번의 프로그래밍으로 여러 개의 부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 사이클은 주로 원형 부품을 가공할 때 사용되며, 내경과 외경을 번갈아가며 가공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기계제도 및 기초공학

21. 그림은 맞물리는 어떤 기어를 나타낸 간략도인데, 이 기어는?

  1. 스퍼 기어
  2. 헬리컬 기어
  3. 나사 기어
  4. 스파이럴 베벨기어
(정답률: 50%)
  • 그림에서 보이는 기어는 나사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회전운동을 일으키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 기어는 나사 기어이다. 스퍼 기어는 일반적인 원통 기어이며, 헬리컬 기어는 나선형으로 되어 있지만 나사 모양은 아니다. 스파이럴 베벨기어는 평면에서 보면 원형이 아닌 원뿔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회전운동과 함께 축의 방향도 변경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그림과 같은 정면도에 의하여 나타날 수 있는 평면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무엇인가?

(정답률: 58%)
  • 정면도에서 보이는 선들이 모두 수직선이거나 수평선인 것을 고려할 때, ""이 가장 적합하다. 이는 수직선과 수평선이 교차하는 지점이 많아서 평면도를 그리기 용이하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선들이 기울어져 있거나 교차하는 지점이 적어 평면도를 그리기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줄무늬 방향의 그림과 그 기호가 서로 바르지 않은 것은?

(정답률: 82%)
  • 정답은 "" 이다.

    줄무늬 방향이 대각선인데, 기호가 수직으로 그려져 있기 때문에 바르지 않다.

    반면, "" 의 경우에는 줄무늬 방향과 기호의 방향이 모두 수직이므로 바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금속재료 기호 중 탄소강 단강품의 KS 기호는 무엇인가?

  1. SF 440 A
  2. FC 440 A
  3. SC 440 A
  4. HBsC 440 A
(정답률: 51%)
  • 정답은 "SF 440 A"이다. 이유는 KS 기호에서 "S"는 탄소강을 나타내고, "F"는 단강품을 나타낸다. 따라서 SF 440 A는 탄소강 단강품을 나타내는 기호이다.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다른 금속재료를 나타내는 기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구멍의 치수가 이고, 축의 치수가 이라면 무슨 끼워 맞춤 이겠는가?

  1. 헐거운 끼워 맞춤
  2. 중간 끼워 맞춤
  3. 억지 끼워 맞춤
  4. 가열 끼워 맞춤
(정답률: 66%)
  • 구멍의 치수와 축의 치수가 모두 중간 정도의 크기이기 때문에 중간 끼워 맞춤이 적합하다. "헐거운 끼워 맞춤"은 구멍이 크고 축이 작은 경우, "억지 끼워 맞춤"은 구멍이 작고 축이 큰 경우, "가열 끼워 맞춤"은 열팽창으로 인해 구멍과 축의 크기가 변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축의 도시방법에 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축의 구석부나 단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 형상에 대한 세부적인 지시가 필요할 경우 부분 확대도로 표시할 수 있다.
  2. 긴 축은 단축하여 그릴 수 있으나 길이는 실제 길이를 기입해야 한다.
  3. 축은 통상 길이방향으로 단면 도시하여 나타낼 수 있다.
  4. 축의 절단면은 90도 회전하여 회전도시 단면도로 나타낼 수 있다.
(정답률: 75%)
  • "축은 통상 길이방향으로 단면 도시하여 나타낼 수 있다."는 바르지 않은 설명이다. 축은 길이방향으로 단면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축의 방향에 따라 다양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축의 구석부나 단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 대한 세부적인 지시가 필요할 경우 부분 확대도로 표시할 수 있으며, 축의 절단면은 90도 회전하여 회전도시 단면도로 나타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H7 구멍과 가장 억지로 끼워지는 축의 공차는 무엇인가?

  1. f6
  2. h6
  3. p6
  4. g6
(정답률: 85%)
  • H7 구멍과 가장 억지로 끼워지는 축은 H7 핀과 가장 근접한 크기인 p6 축이다. 이는 H7 구멍의 공차가 0.018mm이고, p6 축의 공차가 -0.010mm ~ -0.028mm 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p6 축이 H7 구멍에 가장 근접한 크기이며, 가장 억지로 끼워지는 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일반적으로 치수선을 그릴 때 사용하는 선의 며칭은 무엇인가?

  1. 굵은 2점 쇄선
  2. 굵은 1점 쇄선
  3. 가는 실선
  4. 가는 1점 쇄선
(정답률: 84%)
  • 일반적으로 치수선을 그릴 때 사용하는 선의 며칭은 "가는 실선"이다. 이는 치수선이 물체의 크기나 길이를 나타내는 중요한 선이기 때문에, 눈에 잘 띄고 명확하게 보이도록 가늘고 진한 실선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굵은 2점 쇄선이나 굵은 1점 쇄선은 일반적으로 부재나 구성 요소의 경계를 나타내는 용도로 사용되며, 가는 1점 쇄선은 일반적으로 숨겨진 부분을 나타내는 용도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KS 규격에 따른 나사의 표시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나사산의 감김 방향은 오른나사인 경우만 RH로 명기하고, 왼 나사인 경우 따로 명기하지 않는다.
  2. 미터 가는 나사는 피치를 생략하거나 산의 수로 표시한다.
  3. 2줄 이상인 경우 그 줄 수를 표시하며 줄 대신에 L로 표시할 수 있다.
  4. 피치를 산의 수로 표시하는 나사(유니파이 나사 제외)의 경우 나사호칭은 (나사의 종류를 표시하는 기호, 나사의 지름을 표시하는 숫자, 산의수) 나타낸다.
(정답률: 69%)
  • 피치를 산의 수로 표시하는 나사(유니파이 나사 제외)의 경우 나사호칭은 (나사의 종류를 표시하는 기호, 나사의 지름을 표시하는 숫자, 산의수) 나타낸다. 이는 KS 규격에 따른 나사의 표시 방법 중 하나이다. 산의 수는 나사가 한 번 감길 때 나사가 이동하는 거리를 나타내며, 이 값은 피치의 역수이다. 따라서 피치를 알면 산의 수를 계산할 수 있고, 산의 수를 알면 피치를 계산할 수 있다. 이 방법은 피치를 직접 표시하는 것보다 간단하고 편리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기계제도의 기본원칙에 어긋나는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무엇인가?

  1. a, b
  2. b, c
  3. c, d
  4. a, d
(정답률: 70%)
  • 기계제도의 기본원칙은 정확성, 경제성, 안전성, 기능성 등이 있다.

    a. "a, b" : 정확성과 경제성을 고려한 것으로 기계제도의 기본원칙에 어긋나지 않는다.

    b. "b, c" : 안전성과 기능성을 고려한 것으로 기계제도의 기본원칙에 어긋나지 않는다.

    c. "c, d" : 이 보기에서는 기계제도의 기본원칙에 어긋나는 것으로, 기능성을 고려하지 않고 안전성만을 고려한 것이다. 따라서, 정확성과 경제성을 고려하지 않아 기계제도의 기본원칙에 어긋난다.

    d. "a, d" : 이 보기에서는 기계제도의 기본원칙에 어긋나는 것으로, 안전성을 고려하지 않고 정확성과 경제성만을 고려한 것이다. 따라서, 기능성을 고려하지 않아 기계제도의 기본원칙에 어긋난다.

    따라서, 정답은 "c, 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지름이 4mm인 원의 1/4 크기에 해당하는 부채꼴의 면적은 얼마인가? (단, π는 3.14이다.)

  1. 1.57mm2
  2. 3.14mm2
  3. 6.28mm2
  4. 12.56mm2
(정답률: 72%)
  • 원의 면적은 πr^2 이므로, 반지름이 2mm인 원의 면적은 3.14 x 2^2 = 12.56mm^2 이다. 1/4 크기에 해당하는 부채꼴의 면적은 이 값의 1/4인 3.14m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응력의 종류가 아닌 것은 무엇인가?

  1. 압축 응력
  2. 인장 응력
  3. 전단 응력
  4. 피로 응력
(정답률: 85%)
  • 피로 응력은 응력의 종류가 아니라, 장기간 반복적인 응력에 의해 발생하는 손상을 의미하는 용어이다. 따라서 정답은 "피로 응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그림과 같이 길이 ℓ(m)의 단순보에 ω(N/m)의 균일분포하중이 작용할 때 발생하는 최대 굽힘 모멘트는 무엇인가?

  1. wℓ2
(정답률: 50%)
  • 최대 굽힘 모멘트는 보의 중간 지점에서 발생한다. 이 지점에서의 하중은 ω(N/m)/2이며, 이에 의해 발생하는 최대 굽힘 모멘트는 Mmax = (ω(N/m)/2) × (ℓ/2) × (ℓ/2) = wℓ2/8 이다. 따라서 정답은 "wℓ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전기에 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전류는 음(-)극에서 양(+)극으로 흐른다.
  2. 전자는 음(-)극에서 양(+)극으로 이동한다.
  3. 전기적인 압력의 차이를 전압이라 한다.
  4. 전기저항은 도체의 길이에 비례하고 도체의 단면적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74%)
  • "전류는 음(-)극에서 양(+)극으로 흐른다."가 바르지 않은 설명이다. 실제로는 전류는 양극에서 음극으로 흐르는 것이다. 이는 전자의 이동 방향과 반대이다. 전자는 음극에서 양극으로 이동한다. 이는 전자의 음(-)전하가 양극으로 이동하면서 전류가 흐르는 것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유압 제어시스템에 사용되는 유압 실린더의 동작 원리와 가장 관계 깊은 것은 무엇인가?

  1. 파스칼의 원리
  2. 질량 보존의 법칙
  3. 베르누이의 정리
  4. 보일의 법칙
(정답률: 83%)
  • 유압 실린더는 압축된 유압 유체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기계 부품이다. 이 때, 유압 실린더의 동작 원리와 가장 관계 깊은 것은 "파스칼의 원리"이다. 파스칼의 원리는 압력이 일정한 유체에 작용하면 그 압력은 모든 방향으로 동일하게 전달된다는 원리이다. 따라서, 유압 실린더에서 압축된 유압 유체가 실린더의 한쪽에 가해지면, 파스칼의 원리에 따라 압력이 모든 방향으로 전달되어 실린더의 다른 쪽에서는 같은 압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압력의 전달로 인해 실린더는 움직이게 되어 유압 제어시스템의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단면적이 30cm2인 배관에 2m/s의 속도로 물이 흘러가고 있다면 유량은 얼마인가?

  1. 20cm3/s
  2. 600cm3/s
  3. 6000cm3/s
  4. 60000cm3/s
(정답률: 74%)
  • 유량(Q)은 단면적(A)과 속도(V)의 곱으로 구할 수 있다.

    Q = A x V

    여기서 단면적은 30cm2이고, 속도는 2m/s이다.

    단위를 맞추기 위해 속도를 cm/s로 변환해준다.

    2m/s = 200cm/s

    따라서,

    Q = 30cm2 x 200cm/s = 6000cm3/s

    따라서 정답은 "6000cm3/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철판을 1초에 200mm 가공하는 레이저 가공기가 있다. 이 기계의 가공 속도(m /min)는 얼마인가?

  1. 0.2
  2. 12
  3. 200
  4. 12000
(정답률: 71%)
  • 1초에 가공되는 길이는 200mm 이므로, 1분에 가공되는 길이는 200mm x 60초 = 12,000mm 이다. 따라서, 가공 속도는 12,000mm/min 이다. 이를 m/min 으로 환산하면 12m/min 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1kW의 동력을 일의 단위로 나타내면 얼마인가?

  1. 95kgfㆍm/s
  2. 102kgfㆍm/s
  3. 112kgfㆍm/s
  4. 130kgfㆍm/s
(정답률: 79%)
  • 1kW는 1초 동안 1,000J의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이를 일의 단위로 나타내기 위해서는 일의 정의인 "힘 × 거리"를 이용해야 합니다. 여기서 힘은 kgf(킬로그램힘)이고 거리는 m(미터)입니다. 따라서 1kW는 1초 동안 1,000J의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1초 동안 1,000J의 일을 하기 위해서는 1,000J / 1s = 1,000N의 힘을 1m 거리만큼 가해야 합니다. 이를 kgfㆍm/s로 변환하면 1,000N × 0.10197kgf/N = 101.97kgfㆍm/s가 됩니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값은 "102kgfㆍm/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1N을 나타낸 것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1kgㆍm/s2
  2. 105dyn
  3. 105gㆍcm/s2
  4. 1kgf
(정답률: 42%)
  • 1N을 나타내는 단위는 "1kgㆍm/s2"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힘을 나타내는 단위이지만, 단위가 다르기 때문에 1N과 같은 값을 나타내지 않는다. "1kgf"는 힘을 나타내는 단위이지만, SI 단위계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단위이다. 1kgf는 9.81N과 같은 값을 나타내며, 중력가속도를 1g로 가정했을 때 1kg의 물체가 받는 힘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그림과 같은 지렛대의 양단 끝에 힘이 작용하고 중앙에 받침점이 있고 평형을 이루었을 때 올바른 식은?

  1. W1=W2
  2. (W1×W2)L=1
(정답률: 71%)
  • 지렛대가 평형을 이루기 위해서는 왼쪽과 오른쪽에 작용하는 힘이 서로 균형을 이루어야 합니다. 따라서 왼쪽에 작용하는 힘 W1과 오른쪽에 작용하는 힘 W2는 서로 같아야 합니다. 이는 지렛대의 원리 중 하나인 "작용-반작용의 법칙"에 따른 결과입니다. 따라서 올바른 식은 W1=W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자동제어

41. 과도응답에서 상승시간은 응답이 최종값의 몇 %까지의 시간으로 정의되는가?

  1. 0~10
  2. 10~90
  3. 30~70
  4. 0~100
(정답률: 85%)
  • 과도응답에서 상승시간은 응답이 최종값의 10%에서 90%까지 상승하는 시간으로 정의됩니다. 이 범위를 선택하는 이유는 응답이 초기값에서 최종값까지 상승하는 시간을 측정하는 것보다 더 정확한 측정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입니다. 0~10 범위는 너무 짧아서 측정이 불안정할 수 있고, 30~70 범위는 너무 좁아서 응답의 전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0~100 범위는 최종값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기 때문에 과도응답의 특성을 파악하는 데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10~90 범위가 가장 적절한 상승시간의 정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그림과 같은 블록선도의 전달함수로 옳은 것은 무엇인가?

  1. 1/Ts
  2. 1/Ts+1
  3. Ts+1
  4. Ts
(정답률: 77%)
  • 정답은 "1/Ts+1"이다.

    이유는 블록선도에서 입력과 출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전달함수는 출력값을 입력값으로 나눈 것이다. 따라서 전달함수는 출력값을 입력값으로 나눈 비율을 나타내며, 이 비율은 블록선도에서 출력 블록과 입력 블록 사이의 전달함수를 따라가면서 구할 수 있다.

    위 그림에서 출력 블록은 1/(sTs+1)이고, 입력 블록은 1/s이다. 따라서 전달함수는 출력값을 입력값으로 나눈 비율인 1/(sTs+1) / 1/s = 1/(sTs+1) * s = 1/(Ts*s + 1)이다. 이를 정리하면 1/Ts+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PLC에서 프로그램을 한 사이클 실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무엇인가?

  1. 로딩 타임(loading time)
  2. 딜레이 타임(delay time)
  3. 스캔 타임(scan time)
  4. 코딩 타임(coding time)
(정답률: 85%)
  • PLC에서 프로그램을 한 사이클 실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스캔 타임(scan time)" 입니다. 이는 PLC가 입력 신호를 읽어들이고,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출력 신호를 내보내는 과정을 모두 수행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PLC의 성능과 프로그램의 복잡도에 따라 스캔 타임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로딩 타임은 PLC가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로딩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하며, 딜레이 타임은 프로그램 실행 중 지연되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코딩 타임은 PLC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시퀀스 제어에 속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1. 전기로의 온도제어
  2. 자동판매기 제어
  3. 교통신호등 제어
  4. 컨베이어 제어
(정답률: 79%)
  • "전기로의 온도제어"는 시퀀스 제어에 속하지 않는다. 시퀀스 제어는 일련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말하는데, "전기로의 온도제어"는 단순히 온도를 제어하는 것으로 시퀀스 제어와는 관련이 없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자동판매기, 교통신호등, 컨베이어와 같이 일련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시퀀스 제어에 속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PLC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총 몇[ms]인가?

  1. 25
  2. 30
  3. 35
  4. 85
(정답률: 55%)
  • 주어진 PLC 프로그램은 5개의 논리적인 단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단계는 1ms의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총 실행 시간은 5ms x 6 = 30ms 이다. 따라서 정답은 "3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제어량의 종류를 기준으로 온도, 압력, 유량, 액면 등의 상태량을 제어량으로 하는 제어는 무엇인가?

  1. 프로세스 제어
  2. 서보 기구
  3. 시퀀스 제어
  4. 자동 조정
(정답률: 76%)
  • 프로세스 제어는 공정이나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상태량을 제어량으로 사용하여 제어하는 방식이다. 이때 제어량으로 사용되는 상태량은 온도, 압력, 유량, 액면 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량의 종류를 기준으로 온도, 압력, 유량, 액면 등의 상태량을 제어량으로 하는 제어는 프로세스 제어이다. 서보 기구는 위치나 속도 등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며, 시퀀스 제어는 일련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자동 조정은 제어 시스템이 자동으로 조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그림과 같은 기호는 무엇을 뜻하는 것인가?

  1. 전달요소
  2. 가합점
  3. 인출점
  4. 출력점
(정답률: 82%)
  • 이 기호는 "가합점"을 뜻한다. 이유는 이 기호는 여러 개의 입력선이 하나의 출력선으로 합쳐지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입력된 신호들이 합쳐져서 출력되는 지점을 가리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서보기구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제어량이 기계적 변위인 자동제어계를 의미한다.
  2. 일반적으로 신호변환부와 파워변환부로 구성된다.
  3. 신호변환 시 전기식보다는 공압식이 많이 사용된다.
  4. 서보기구의 파워변환부는 증력 및 조작을 행하는 부분이다.
(정답률: 82%)
  • "서보기구의 파워변환부는 증력 및 조작을 행하는 부분이다."는 바르지 않은 설명이다. 서보기구의 파워변환부는 입력 신호를 적절한 출력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신호변환 시 전기식보다는 공압식이 많이 사용되는 이유는 전기식은 민감하게 반응하여 작은 오차도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반면에 공압식은 오차에 둔감하며, 높은 정밀도와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공압식은 전기식에 비해 방폭성이 높아서 위험한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주파수 전달 함수가 G(jw)=1+j일 때 보드 선도의 위상은 얼마인가?

  1. 45°
  2. 90°
  3. 135°
(정답률: 67%)
  • 주파수 전달 함수 G(jw)=1+j는 실수부와 허수부가 모두 존재하므로 복소수 평면에서 45도 각도를 이루는 벡터를 나타낸다. 이는 위상이 45도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4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그림은 방향 제어 밸브의 기호이다. 명칭으로 올바른 것은 무엇인가?

  1. 3포트 3위치 밸브
  2. 4포트 3위치 밸브
  3. 3포트 4위치 밸브
  4. 4포트 2위치 밸브
(정답률: 76%)
  • 정답은 "4포트 3위치 밸브"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 4포트: 이 밸브는 4개의 포트가 있으며, 각각의 포트는 연결되는 파이프나 튜브 등의 기계적인 장치가 있다.
    - 3위치: 이 밸브는 3개의 위치를 가지며, 각 위치에서는 다른 포트들이 서로 연결되거나 차단된다.
    - 따라서, 이 밸브는 4개의 포트 중 3개의 위치에서 서로 다른 연결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보기들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오답이다.

    - "3포트 3위치 밸브": 이 밸브는 3개의 포트와 3개의 위치를 가지며, 따라서 방향 제어 밸브의 기호와는 다르다.
    - "3포트 4위치 밸브": 이 밸브는 3개의 포트와 4개의 위치를 가지며, 따라서 방향 제어 밸브의 기호와는 다르다.
    - "4포트 2위치 밸브": 이 밸브는 4개의 포트와 2개의 위치를 가지며, 따라서 방향 제어 밸브의 기호와는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유압펌프의 기계효율이 90%이고, 용적효율이 90%일 경우 펌프의 전 효율(Overall Efficiency)은 얼마인가?

  1. 45%
  2. 81%
  3. 85%
  4. 90%
(정답률: 70%)
  • 전 효율 = 기계효율 × 용적효율
    전 효율 = 0.9 × 0.9
    전 효율 = 0.81
    따라서, 전 효율은 8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완전한 진공을 “0”으로 하는 압력의 세기는 무엇인가?

  1. 최고압력
  2. 평균압력
  3. 절대압력
  4. 게이지 압력
(정답률: 81%)
  • 완전한 진공은 압력이 없는 상태이므로, 이를 기준으로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절대압력을 사용해야 한다. 절대압력은 대기압을 포함한 압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대기압이 0이 되는 고도 0m에서의 압력을 기준으로 측정한다. 따라서 완전한 진공을 “0”으로 하는 압력의 세기는 절대압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자동제어의 필요성으로 부적합한 것은 무엇인가?

  1. 생산속도의 상승
  2. 제품의 품질 균일화
  3. 인건비 증가
  4. 노동조건의 상승
(정답률: 81%)
  • 자동제어는 생산속도의 상승과 제품의 품질 균일화를 도모할 수 있지만, 인건비 증가와 노동조건의 상승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인건비 증가는 인건비를 지불하는 기업에게 부담이 될 수 있으며, 이는 자동제어와는 관련이 없는 문제입니다. 따라서 자동제어의 필요성으로 부적합한 것은 "인건비 증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그림과 같이 결합된 2개의 전달함수의 값 G(s)을 구하시오.

  1. G(s)=G1(s)×G2(s)
  2. G(s)=G1(s)+G2(s)
  3. G(s)=G2(s)÷G1(s)
  4. G(s)=G1(s)÷G2(s)
(정답률: 73%)
  • 두 전달함수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체 전달함수는 각 전달함수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G(s) = G1(s) × G2(s)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G(s)=G1(s)×G2(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어떤 제어계에 입력신호를 가한 다음 출력신호가 정상상태에 도달할 때까지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선형 상태
  2. 과도 상태
  3. 무동작 상태
  4. 안정 상태
(정답률: 73%)
  • 정답: 과도 상태

    입력신호를 가한 후 출력신호가 정상상태에 도달하기까지 시간이 지연되는 상태를 과도 상태라고 한다. 이는 제어계가 입력신호에 대해 반응하는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출력신호가 입력신호보다 늦게 반응하므로 제어계의 동작이 불안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과도 상태는 제어계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릴레이제어에 비해 PLC제어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제어내용의 변경이 어렵다.
  2. 회로배선이 간소화 된다.
  3. 신뢰성이 향상된다.
  4. 보수가 용이하다.
(정답률: 84%)
  • "제어내용의 변경이 어렵다."는 PLC제어의 특징이 아니라, 오히려 릴레이제어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PLC제어는 프로그래밍을 통해 제어내용을 쉽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는 회로배선이 간소화되고, 신뢰성이 향상되며, 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개회로 제어 시스템(open loop control system)을 적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제어계는 무엇인가?

  1. 외란 변수의 변화가 매우 작은 경우
  2. 여러 개의 외란 변수가 존재하는 경우
  3. 외란 변수에 의한 영향이 무시할 정도로 작은 경우
  4. 외란 변수의 특징과 영향을 확실히 알고 있는 경우
(정답률: 77%)
  • 여러 개의 외란 변수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어 대상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 요인들이 매우 복잡하게 얽혀 있기 때문에, 개회로 제어 시스템으로는 이를 제어하기 어렵습니다. 이 경우에는 피드백 제어 시스템을 사용하여 외부 요인들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제어를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주파수 응답에 주로 사용되는 입력은 무엇인가?

  1. 계단 입력
  2. 임펄스 입력
  3. 램프 입력
  4. 정현파 입력
(정답률: 72%)
  • 주파수 응답은 시스템이 주파수에 따라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주로 정현파 입력이 사용됩니다. 이는 시간 영역에서 주기적인 신호이므로 주파수 영역에서는 하나의 주파수 성분만을 가지며, 이를 이용하여 시스템의 주파수 응답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유압 시스템에서 유압유의 선택 시 필요한 조건 중 틀린 것은 무엇인가?

  1. 확실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압축성일 것
  2. 녹이나 부식 발생이 없을 것
  3. 화재의 위험이 없을 것
  4. 수분을 쉽게 분리시킬 수 있을 것
(정답률: 76%)
  • "확실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압축성일 것"이 틀린 조건입니다. 유압 시스템에서는 유압유가 압축성이 높을수록 유압 실린더나 모터 등에서 발생하는 작동 속도와 힘이 높아지기 때문에 압축성이 높은 유압유를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확실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압축성이 높을 것"이 올바른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파이프 직경을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할 항목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1. 압축공기 공급 유량
  2. 파이프 길이
  3. 파이프 라인 내의 교축 효과를 주는 부속 요소의 양
  4. 파이프 경사 각도
(정답률: 66%)
  • 파이프 경사 각도는 파이프 설치 위치나 방향에 따라 달라지는 요소이며, 압축공기 공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정답은 "파이프 경사 각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메카트로닉스

61. 역방향 항복에서 동작하도록 설계되어진 다이오드로서 전압안정화 회로로 사용되는 것은 무엇인가?

  1. 제너 다이오드
  2. 쇼트키 다이오드
  3. 가변용량 다이오드
  4. 터널 다이오드
(정답률: 79%)
  • 제너 다이오드는 역방향 항복에서 동작하도록 설계되어져 있기 때문에 전압안정화 회로에서 사용됩니다. 이는 제너 다이오드가 역방향 전압에서도 일정한 전압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제너 다이오드는 전압안정화 회로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다이오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RL 병렬회로의 임피던스는 무엇인가?

(정답률: 55%)
  • RL 병렬회로의 임피던스는 이다. 이유는 병렬회로에서 전압은 각 분기점에서 동일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전압에 대한 전류의 비율이 각 분기점에서 동일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병렬회로에서는 각 분기점에서의 임피던스의 역수를 모두 더한 후 다시 역수를 취한 값이 전체 회로의 임피던스가 된다. RL 병렬회로에서는 저항과 인덕턴스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임피던스의 역수를 더한 후 다시 역수를 취한 값이 전체 회로의 임피던스가 된다. 따라서, RL 병렬회로의 임피던스는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지름 100mm의 공작물을 절삭길이 25 mm, 회전속도 300rpm, 이송속도 0.25 mm/rev으로 1회 가공할 때 소요되는 시간은 약 몇 초(sec)인지 고르시오.

  1. 10
  2. 20
  3. 30
  4. 40
(정답률: 59%)
  • 절삭길이 25mm, 이송속도 0.25mm/rev 이므로 1회 가공에 필요한 회전수는 25 / 0.25 = 100회이다. 따라서 1회 가공에 소요되는 시간은 100회 / 300rpm = 1/3초이다. 따라서 1회 가공에 소요되는 시간은 약 0.33초이고, 보기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20초이므로 정답은 "2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이캐스팅 주조의 특징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정밀도가 우수하다.
  2.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3. 기공이 적고 치밀하다.
  4. 용융점이 높은 금속의 주조에 이용된다.
(정답률: 62%)
  • 다이캐스팅 주조는 용융점이 낮은 금속, 예를 들면 아연 합금 등에 주로 이용된다. 따라서 "용융점이 높은 금속의 주조에 이용된다."는 바르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센서가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소비전력이 클 것
  2. 호환성이 좋을 것
  3. 재현성, 안정성이 우수할 것
  4. 검출하고자 하는 물리량에 따라 출력이 가급적 직선적일 것
(정답률: 85%)
  • 센서가 갖추어야 할 조건 중 "소비전력이 클 것"은 바르지 않은 조건입니다. 이는 에너지 효율성을 고려할 때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적은 전력으로 더 많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센서가 더욱 효율적이며, 이는 배터리 수명을 연장하고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센서가 갖추어야 할 조건은 소비전력이 낮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아래 회로의 출력 전압값으로 올바른 것은?

(정답률: 60%)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입력 전압이 10V이고, R1과 R2의 저항값이 같기 때문에, 출력 전압은 입력 전압의 절반인 5V가 됩니다. 따라서, ""이 올바른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수광부와 발광부가 대향 배치되어 있고, 그 사이에 물체가 들어가면 동작하게 되어 있는 포토 인터럽터의 특징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소형 경량이다.
  2. 고 신뢰성이 있다.
  3. 저속 응답성이 있다.
  4. 높은 정밀도를 갖는다.
(정답률: 79%)
  • 정답: "저속 응답성이 있다."

    포토 인터럽터는 빛을 이용하여 물체의 감지를 수행하는데, 이때 수광부와 발광부 사이의 빛이 차단되면 물체의 감지가 이루어지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포토 인터럽터는 빠른 속도로 동작해야 하지만, "저속 응답성이 있다"는 보기는 이와 반대되는 내용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바르지 않은 것입니다.

    그 외의 보기들은 모두 포토 인터럽터의 특징으로서 옳은 내용입니다. 포토 인터럽터는 소형 경량이며 고 신뢰성을 갖고 있으며, 높은 정밀도를 가지고 동작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한 제어장치에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일시 저장할 수 있는 기억장치는 무엇인가?

  1. CPU
  2. RAM
  3. ROM
  4. I/O 인터페이스
(정답률: 82%)
  • RAM은 Random Access Memory의 약자로, 컴퓨터에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기억장치입니다. CPU가 작업을 처리할 때 필요한 데이터를 RAM에서 읽어와 작업을 수행하고, 작업 결과를 다시 RAM에 저장합니다. 따라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기억장치는 RA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여러 개의 입ㆍ출력 주변장치 중 어느 장치로부터 인터럽트가 발생 되었는지 CPU가 주변장치를 하나씩 순차로 점검하여 인터럽트를 요구한 장치를 찾아내는 방식은 무엇인가?

  1. 데이지 체인
  2. 벡터
  3. 폴링
  4. 핸드세이킹
(정답률: 65%)
  • CPU가 주변장치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점검하여 인터럽트를 요구한 장치를 찾아내는 방식을 폴링이라고 합니다. 이는 CPU가 주변장치를 계속해서 확인하며 인터럽트를 처리하기 때문에 처리 속도가 느리고 CPU의 부하가 많아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논리 대수의 공식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A + B = B + A
  2. (A + B) + C = A + (B + C)
  3. (A + B) ㆍ B = A ㆍ B
  4. A + (B ㆍ C) = (A + B) ㆍ (A + C)
(정답률: 67%)
  • "(A + B) ㆍ B = A ㆍ B"가 바르지 않은 공식이다. 이는 분배 법칙을 이용하여 "(A + B) ㆍ B = A ㆍ B + B ㆍ B"로 변형할 수 있지만, 이는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A=1, B=2일 때, "(A + B) ㆍ B = (1 + 2) ㆍ 2 = 6"이지만, "A ㆍ B + B ㆍ B = 1 ㆍ 2 + 2 ㆍ 2 = 6"이 아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RL 직렬 회로에 인가되는 전압의 주파수가 감소하면 위상각은 무엇인가?

  1. 증가한다.
  2. 감소한다.
  3. 변함없다.
  4. 일정시간 증가 후 감소한다.
(정답률: 60%)
  • RL 직렬 회로에서 전압의 주파수가 감소하면 인덕티브 리액턴스(L)가 증가하게 되어 위상각이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증가한다."가 아닌 "감소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리액턴스의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자체 인덕턴스가 클수록 유도 리액턴스 값은 커진다.
  2. 정전용량이 작아질수록 용량 리액턴스의 값은 커진다.
  3. 교류전압의 주파수가 커질수록 용량 리액턴스의 값은 작아진다.
  4. 교류전압의 주파수가 커질수록 유도 리액턴스의 값은 작아진다.
(정답률: 44%)
  • "교류전압의 주파수가 커질수록 유도 리액턴스의 값은 작아진다."가 바르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오히려 반대로, 교류전압의 주파수가 커질수록 유도 리액턴스의 값은 커진다. 이는 인덕턴스의 식인 XL = 2πfL에서도 알 수 있다. 주파수가 증가하면 XL 값도 증가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PLC 사용시 접지하는 목적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1. 누설 전류에 의한 감전을 방지한다.
  2. 센서부의 입력 신호를 증폭하여 명확히 한다.
  3. PLC 제어반과 대지간의 전위차를 “0” 으로 한다.
  4. 혼입한 잡음을 대지로 배제하여 잡음의 영향을 감소시킨다.
(정답률: 66%)
  • 센서부의 입력 신호를 증폭하여 명확히 하는 것은 PLC의 기능 중 하나이지만, 접지의 목적은 아닙니다. PLC 제어반과 대지간의 전위차를 "0"으로 하여 전기적 안전을 유지하고, 누설 전류에 의한 감전을 방지하며, 혼입한 잡음을 대지로 배제하여 잡음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것이 접지의 목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AC 서보모터 특징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1. 자극의 위치검출이 필요없다.
  2. 브러시가 없기 때문에 보수가 용이하다.
  3. 코일이 스테이터에 있기 때문에 방열성이 좋다.
  4. 정류한계가 없기 때문에 고속 회전시 높은 토크가 가능하다.
(정답률: 53%)
  • "자극의 위치검출이 필요없다."는 AC 서보모터의 특징이 아니다. AC 서보모터는 자극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엔코더나 해설기 등의 장치를 사용한다. 이는 모터의 위치 제어와 회전 속도 제어에 필수적이다. 따라서 "자극의 위치검출이 필요없다."는 올바르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마이크로프로세서 내에서 산술 연산의 기본 연산은 무엇인가?

  1. 덧셈
  2. 뺄셈
  3. 곱셈
  4. 나눗셈
(정답률: 87%)
  • 마이크로프로세서 내에서 산술 연산의 기본 연산은 덧셈이다. 이는 컴퓨터에서 모든 숫자는 2진수로 표현되기 때문이다. 2진수에서 덧셈은 각 자리수를 더하고, 자리올림이 발생하면 다음 자리수에 더해주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도 덧셈이 가장 기본적인 산술 연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10진수 0.6875를 2진수로 변환하면 무엇인가?

  1. (0.1011)2
  2. (0.1111)2
  3. (0.1101)2
  4. (0.1110)2
(정답률: 67%)
  • 0.6875를 2진수로 변환하려면 소수점 이하부터 2를 곱하면서 1이 되는 자리를 찾아가면 됩니다.

    0.6875 × 2 = 1.375 : 1
    0.375 × 2 = 0.75 : 0
    0.75 × 2 = 1.5 : 1
    0.5 × 2 = 1 : 1

    따라서 (0.1011)2가 정답입니다.

    첫 번째 자리에서부터 2를 곱하면서 1이 되는 자리를 찾아가면서 1과 0을 번갈아가며 채워넣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서보 시스템에서 기준값과 실제값의 차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외란
  2. 상태변수
  3. 제어편차
  4. 레퍼런스
(정답률: 82%)
  • 서보 시스템에서 기준값과 실제값의 차이를 제어편차라고 합니다. 이는 제어 시스템에서 원하는 목표값과 실제값의 차이를 나타내며, 이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제어 시스템이 작동합니다. 따라서 제어편차는 제어 시스템의 핵심 개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서로 다른 2종류의 금속 양끝을 접합하고 양접점간의 온도차에 의해 발생되는 열기전력을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것은 무엇인가?

  1. 열전쌍
  2. 서미스터
  3. 압전센서
  4. 측온저항체
(정답률: 77%)
  • 열전쌍은 서로 다른 2종류의 금속을 이용하여 만든 측정 장치로, 양접점 간의 온도차에 의해 발생되는 열기전력을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합니다. 이는 두 금속의 열전위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데, 이 차이는 온도에 따라 변화하므로 온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고정자측에 영구자석을 배치하여 공극부에 직류 바이어스 자계를 발생시켜 제어하는 스테핑 모터는 무엇인가?

  1. 가변 릴럭턴스형
  2. 반영구 자석형
  3. 영구 자석형
  4. 하이브리드형
(정답률: 62%)
  • 하이브리드형 스테핑 모터는 고정자측에 영구자석을 배치하여 공극부에 직류 바이어스 자계를 발생시켜 제어하는데, 이는 가변 릴럭턴스형과 반영구 자석형의 특징을 결합한 것이기 때문에 하이브리드형이라고 부른다. 즉, 가변 릴럭턴스형의 고정자와 반영구 자석형의 회전자를 결합한 것으로, 고정자에는 영구자석을 사용하고 회전자에는 가변 릴럭턴스를 사용하여 정확한 위치 제어와 높은 토크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아래 논리회로를 간략화한 식으로 올바른 것은 무엇인가?

  1. Y=A+B
  2. Y=A
  3. Y=B
  4. Y=AB
(정답률: 5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