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자동화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0-06-06)

생산자동화산업기사
(2020-06-0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

1. 치공구를 사용하는 목적으로 틀린 것은?

  1. 복잡한 부품의 경제적인 생산
  2. 작업자의 피로가 증가하고 안전성 감소
  3. 제품의 정밀도 및 호환성의 향상
  4. 제품의 불량이 적고 생산능력을 향상
(정답률: 87%)
  • "작업자의 피로가 증가하고 안전성 감소"는 치공구를 사용하는 목적이 아니라 부작용이다. 치공구는 주로 복잡한 부품의 경제적인 생산, 제품의 정밀도 및 호환성의 향상, 제품의 불량이 적고 생산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CNC선반에서 그림과 같이 A에서 B로 이동시 증분좌표계 프로그램으로 옳은 것은?

  1. X40.0 Z20.0 ;
  2. U20.0 Z20.0 ;
  3. U20.0 W-30.0 ;
  4. X40.0 W-30.0 ;
(정답률: 71%)
  • A에서 B로 이동하는 것은 X축과 Z축으로 이루어지므로 X와 Z 좌표값이 모두 필요하다. 보기 중에서 X40.0과 Z20.0을 모두 가지는 것은 "X40.0 Z20.0 ;"와 "U20.0 Z20.0 ;"이다. 하지만 U와 W는 증분좌표계에서 사용되는 좌표계이므로, 이동 거리를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U와 W 값이 필요하며, U20.0 W-30.0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범용 선반작업에서 내경 테이퍼 절삭가공 방법이 아닌 것은?

  1. 테이퍼 리머에 의한 방법
  2. 복식공구대의 회전에 의한 방법
  3. 테이퍼 절삭장치를 이용하는 방법
  4. 심압대를 편위시켜 가공하는 방법
(정답률: 62%)
  • 심압대를 편위시켜 가공하는 방법은 내경 테이퍼를 만들기 위한 방법이 아니라, 외경에 대한 가공 방법입니다. 따라서 범용 선반작업에서 내경 테이퍼 절삭가공 방법이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게이지블록 등의 측정기 측정면과 정밀 기계부품, 광학 렌즈 등의 마무리 다듬질가공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연삭
  2. 래핑
  3. 호닝
  4. 밀링
(정답률: 73%)
  • 래핑은 매우 정밀한 표면 마무리를 위한 가공 방법으로, 측정기 측정면이나 광학 렌즈와 같은 정밀 기계부품의 마무리 다듬질에 적합합니다. 래핑은 다이아몬드 패드를 사용하여 부드러운 움직임으로 표면을 마무리하므로, 매우 정밀하고 부드러운 표면을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게이지블록 등의 측정기 측정면과 광학 렌즈와 같은 정밀 기계부품의 마무리 다듬질에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공작기계의 종류 중 테이블의 수평 길이 방향 왕복운동과 공구는 테이블의 가로방향으로 이송하며, 대형 공작물의 평면작업에 주로 사용하는 것은?

  1. 코어 보링 머신
  2. 플레이너
  3. 드릴링 머신
  4. 브로칭 머신
(정답률: 79%)
  • 플레이너는 테이블의 수평 길이 방향 왕복운동과 공구는 테이블의 가로방향으로 이송하며, 대형 공작물의 평면작업에 주로 사용되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즉, 큰 공작물의 평면을 정밀하게 다듬는 작업에 적합한 공작기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배럴 가공 중 가공물의 치수 정밀도를 높이고, 녹이나 스케일 제거의 역할을 하기 위해 혼합되는 것은?

  1. 강구
  2. 맨드릴
  3. 방진구
  4. 미디어
(정답률: 55%)
  • 미디어는 배럴 가공 중에 가공물의 치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며, 동시에 녹이나 스케일 제거의 역할을 합니다. 이는 미디어가 화학적으로 반응하여 부식작용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미디어는 배럴 가공 과정에서 필수적인 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드릴 선단부에 마멸이 생긴 경우 선단부의 끝날을 연삭하여 사용하는 방법은?

  1. 시닝(thinning)
  2. 트루잉(truing)
  3. 드레싱(dressing)
  4. 글레이징(glazing)
(정답률: 62%)
  • 드릴 선단부에 마멸이 생긴 경우 선단부의 끝날을 연삭하여 사용하는 방법은 "시닝(thinning)"이다. 시닝은 선단부의 끝날을 연마하여 지름을 줄이는 과정으로, 마멸이 생긴 부분을 제거하고 선단부의 형상을 복원하여 정확한 가공이 가능하도록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선반 작업에서의 안전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칩(chip)은 손으로 제거하지 않는다.
  2. 공구는 항상 정리정돈하며 사용한다.
  3. 절삭 중 측정기로 바깥지름을 측정한다.
  4. 측정, 속도변환 등은 반드시 기계를 정지한 후에 한다.
(정답률: 91%)
  • "절삭 중 측정기로 바깥지름을 측정한다."는 틀린 것이다. 이는 안전사항이 아니라 잘못된 작업 방법이다. 절삭 중에는 측정이나 조작을 하지 않도록 하며, 기계를 정지한 후에 작업을 해야 한다. 이는 안전사항 중 "측정, 속도변환 등은 반드시 기계를 정지한 후에 한다."와 일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수평밀링과 유사하나 복잡한 형상의 지그, 게이지, 다이 등을 가공하는 소형 밀링머신은?

  1. 공구 밀링 머신
  2. 나사 밀링 머신
  3. 플레이너형 밀링 머신
  4. 모방 밀링 머신
(정답률: 64%)
  • 공구 밀링 머신은 수평밀링과 유사하지만, 복잡한 형상의 지그, 게이지, 다이 등을 가공할 수 있는 소형 밀링머신입니다. 이는 다양한 공구를 사용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공구" 밀링 머신이라고 불립니다. 나사 밀링 머신은 나사를 가공하는 데 특화되어 있으며, 플레이너형 밀링 머신은 대형 부품을 가공할 때 사용됩니다. 모방 밀링 머신은 다른 머신의 동작을 모방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머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게이지 블록을 취급할 때 주의사항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목재 작업대나 가죽 위에서 사용할 것
  2. 먼지가 적고 습한 실내에서 사용할 것
  3. 측정면은 깨끗한 천이나 가죽으로 잘 닦을 것
  4. 녹이나 돌기의 해를 막기 위하여 사용한 뒤에는 잘 닦아 방청유를 칠해 둘 것
(정답률: 78%)
  • "먼지가 적고 습한 실내에서 사용할 것"이 적절하지 않은 이유는, 게이지 블록은 습기나 먼지에 민감하므로, 습기가 많거나 먼지가 많은 환경에서 사용하면 정확한 측정이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능하면 건조하고 먼지가 적은 장소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전해연삭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가공면은 광택이 나지 않는다.
  2. 기계적인 연삭보다 정밀도가 높다.
  3. 가공물의 종류나 경도에 관계없이 능률이 좋다.
  4. 복잡한 형상의 가공물을 변형없이 가공 할 수 있다.
(정답률: 54%)
  • 전해연삭은 가공면에 광택이 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연삭 시에 물과 연마재를 사용하여 가공하는데, 이 과정에서 연마재가 가공면에 남아 광택이 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전해연삭은 기계적인 연삭보다 정밀도가 높은데, 이는 물과 연마재를 전기적으로 제어하여 정밀한 가공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가공물의 종류나 경도에 관계없이 능률이 좋고, 복잡한 형상의 가공물을 변형없이 가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수평식 보링머신의 분류가 아닌 것은?

  1. 베드형
  2. 플로우형
  3. 테이블형
  4. 플레이너형
(정답률: 58%)
  • 정답은 "베드형"입니다.

    베드형은 수직식 보링머신의 분류에 속하며, 작업물을 고정하는 베드가 크고 강력하여 대형 작업물을 가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평식 보링머신의 분류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플로우형은 작업물을 고정하는 베드가 없이 작업대 위에 작업물을 놓고 가공하는 형태입니다.

    테이블형은 작업대가 테이블 형태로 되어 있으며, 작업물을 고정하는 방식이 다양합니다.

    플레이너형은 작업물을 가공할 때 작업물을 고정하는 테이블이 움직이는 형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절삭유의 사용 목적이 아닌 것은?

  1. 공작물 냉각
  2. 구성인선 발생 방지
  3. 절삭열에 의한 정밀도 저하
  4. 절삭공구의 날 끝의 온도상승 방지
(정답률: 75%)
  • 절삭유는 공작물 냉각, 구성인선 발생 방지, 절삭공구의 날 끝의 온도상승 방지 등의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그러나 절삭열에 의한 정밀도 저하는 절삭유의 사용 목적이 아닙니다. 절삭열은 절삭과정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해 공작물의 형상이 변형되거나 크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절삭유는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정밀도 저하는 다른 요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리드 스크루가 1인치당 6산의 선반으로 1인치에 대하여 산의 나사를 깎으려고 할 때, 변환기어 값은? (단, 주동측 기어 : A, 종동측 기어 : C이다.)

  1. A : 127, C : 110
  2. A : 130, C : 110
  3. A : 110, C : 127
  4. A : 120, C : 110
(정답률: 52%)
  • 리드 스크루가 1인치당 6산의 선반으로 1인치에 대하여 6/1의 나사를 깎으려고 한다는 것은, 한 번 회전할 때 6산의 나사가 1인치씩 이동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주동측 기어 A가 한 번 회전할 때 종동측 기어 C는 6/1인치만큼 회전해야 합니다.

    변환기어 값은 주동측 기어와 종동측 기어의 회전수를 변환하는 기어입니다. 따라서, 변환기어 값은 주동측 기어의 회전수와 종동측 기어의 회전수의 비율과 같습니다.

    주동측 기어 A가 한 번 회전할 때, 종동측 기어 C는 6/1인치만큼 회전해야 하므로, 주동측 기어 A가 6회전하면 종동측 기어 C는 1회전해야 합니다. 따라서, 변환기어 값은 A : 6, C : 1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변환기어 값이 정수로 주어져야 하므로, A와 C의 값을 최대한 비슷하게 맞춰야 합니다. 따라서, A와 C의 값 중에서 가장 근접한 정수값을 선택해야 합니다.

    주동측 기어 A가 6회전하면, 종동측 기어 C는 1회전해야 하므로, A와 C의 값은 비례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A : C = 6 : 1

    이를 간단화하면,

    A = 6C

    따라서, A와 C의 값 중에서 A가 6의 배수가 되는 값과 C가 1의 배수가 되는 값 중에서 가장 근접한 정수값을 선택하면 됩니다.

    보기 중에서 A가 6의 배수이면서 C가 1의 배수인 값은 "A : 120, C : 110"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A : 120, C : 1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CG 60 K m V 1호이며 외경이 300mm인 연삭숫돌을 사용한 연삭기의 회전수가 1700rpm이라면 숫돌의 원주 속도는 약 몇 m/min 인가?

  1. 102
  2. 135
  3. 1602
  4. 1725
(정답률: 72%)
  • 원주 속도 = 회전수 × 원주율 × 외경 / 60

    = 1700 × 3.14 × 0.3 / 60

    ≈ 26.68 m/min

    따라서, 가장 근접한 값은 "160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구성인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치핑 현상을 막는다.
  2. 가공 정밀도를 나쁘게 한다.
  3. 가공면의 표면 거칠기를 나쁘게 한다.
  4. 절삭공구의 마모를 크게 한다.
(정답률: 76%)
  • 구성인선은 절삭공구와 워크피스 간의 접촉을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가공 정밀도와 가공면의 표면 거칠기를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가공 정밀도를 나쁘게 한다.", "가공면의 표면 거칠기를 나쁘게 한다.", "절삭공구의 마모를 크게 한다."는 옳은 설명이고, "치핑 현상을 막는다."는 잘못된 설명이다. 구성인선은 치핑 현상을 완전히 막지는 못하지만, 치핑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가공품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밀링 가공에서 테이블의 이송속도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F는 테이블 이송속도(mm/min), fz는 커터 1개의 날 당 이송(mm/tooth), Z는 커터의 날수, n은 커터의 회전수(rpm), fr은 커터 1회전당 이송(mm/rev)이다.)

  1. F=fz×Z
  2. F=fr×fz
  3. F=fz×fr×n
  4. F=fz×Z×n
(정답률: 72%)
  • 커터가 테이블을 따라 이동할 때, 커터 1회전당 이동거리는 fr×fz이다. 이를 테이블의 이송속도로 바꾸면, F=fr×fz×n이 된다. 하지만, fr×fz는 커터 1개의 날 당 이송거리인 fz와 커터의 날수인 Z를 곱한 값과 같다. 따라서, F=fz×Z×n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총형공구에 의한 기어절삭에 만능밀링머신의 분할대와 같이 사용되는 밀링커터는?

  1. 베벨 밀링커터
  2. 헬리컬 밀링커터
  3. 인벌류트 밀링커터
  4. 하이포이드 밀링커터
(정답률: 63%)
  • 총형공구로 제작된 기어의 절삭면을 정확하게 가공하기 위해서는 분할대와 함께 사용되는 밀링커터가 필요합니다. 이때 인벌류트 밀링커터는 기어의 인벨류트(내부톱니)를 가공하는 데에 특화되어 있기 때문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인벌류트 밀링커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진직도를 수치화할 수 있는 측정기가 아닌 것은?

  1. 수준기
  2. 광선정반
  3. 3차원 측정기
  4. 레이저 측정기
(정답률: 54%)
  • 진직도는 물체의 평면도와 수직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이를 수치화할 수 있는 측정기는 수준기, 3차원 측정기, 레이저 측정기 등이 있다. 하지만 광선정반은 빛의 굴절을 이용하여 물체의 밑면과 윗면의 각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기기로, 진직도를 측정하는 데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광선정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연삭숫돌의 규격표시에서 ‘L’이 의미하는 것은?

  1. 입도
  2. 조직
  3. 결합제
  4. 결합도
(정답률: 69%)
  • 'L'은 연삭숫돌의 길이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정답이 "결합도"인 이유는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결합도는 모듈 내부의 요소들이 얼마나 강하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개념이기 때문입니다. 모듈 내부의 요소들이 서로 강하게 연결되어 있다면 결합도가 높고, 서로 약하게 연결되어 있다면 결합도가 낮습니다. 따라서 모듈 간의 결합도가 낮을수록 유지보수와 확장이 용이해지므로 소프트웨어 설계 시에 중요한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기계제도 및 기초공학

21. 최대 실체 요구사항이 공차가 있는 형체에 적용될 경우, 기하 공차 뒤에 사용하는 기호로 옳은 것은?

(정답률: 75%)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최대 실체 요구사항이 공차가 있는 형체에 적용될 경우, 기하 공차 뒤에 사용하는 기호는 "≤"입니다. 이는 형체의 실제 크기가 기하 공차보다 작거나 같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가 옳은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제 3각법으로 투상한 정면도와 우측면도가 그림과 같을 때 평면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정답률: 73%)
  • 정면도와 우측면도를 보면, 물체는 y축과 z축에 대해 대칭이며, x축 방향으로는 대칭이 아닙니다. 따라서 yz평면이 가장 적합한 평면입니다. 이 평면에 투영하면 물체의 대칭성을 유지하면서도 x축 방향으로는 왜곡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치수 기입의 원칙이 아닌 것은?

  1. 도면에 나타내는 치수는 계산하여 구하도록 기입한다.
  2. 치수는 되도록 주 투상도에 집중해서 지시한다.
  3. 관련 치수는 되도록 한 곳에 모아서 기입한다.
  4. 가공 또는 조립 시에 기준이 되는 형체가 있는 경우에는 그 형체를 기준으로 해서 치수를 기입한다.
(정답률: 72%)
  • "치수는 되도록 주 투상도에 집중해서 지시한다."가 치수 기입의 원칙이 아닙니다.

    "도면에 나타내는 치수는 계산하여 구하도록 기입한다."는 치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가공 또는 조립할 때 필요한 치수를 제공하기 위한 원칙입니다.

    "치수는 되도록 주 투상도에 집중해서 지시한다."는 치수를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한 원칙입니다.

    "관련 치수는 되도록 한 곳에 모아서 기입한다."는 치수를 정리하여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원칙입니다.

    "가공 또는 조립 시에 기준이 되는 형체가 있는 경우에는 그 형체를 기준으로 해서 치수를 기입한다."는 치수를 일관성 있게 제공하기 위한 원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I형강의 치수 표시 방법으로 옳은 것은? (단, B : 폭, H : 높이, t : 두께, L : 길이)

  1. IB × H × t - L
  2. IH × B × t - L
  3. It × H × B - L
  4. IL × H × B – t
(정답률: 57%)
  • I형강의 치수 표시 방법은 IH × B × t - L이 옳은 것입니다. 이는 I형강의 높이(H)와 폭(B)을 곱한 후, 두께(t)를 곱하고, 길이(L)를 빼서 구한 것입니다. 이는 I형강의 단면적을 나타내는 공식으로, 단면적은 강재의 강도와 내구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I형강의 치수 표시 방법은 정확하고 명확하게 표시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구름 베어링제도에서 상세한 도시 방법 중 보기와 같은 베어링은?

  1. 앵귤러 콘캑트 스러스트 볼 베어링
  2. 이중 방향 스러스트 볼 베어링
  3. 단열 방향 스러스트 볼 베어링
  4. 복렬 깊은 홈 볼 베어링
(정답률: 63%)
  • 이 그림은 단열 방향 스러스트 볼 베어링을 나타냅니다. 이유는 베어링의 구조가 볼과 케이지, 그리고 외부 링과 내부 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볼과 케이지 사이에는 각 볼이 움직이는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베어링은 단방향으로만 하중을 받을 수 있으며, 이는 단열 방향 스러스트 볼 베어링의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아래 그림은 가공에 의한 커터의 줄무늬 기호 기름이다. ( )안에 들어갈 기호는?

  1. M
  2. F
  3. R
  4. C
(정답률: 77%)
  • 정답: "C"

    이유: 가공에 의한 커터의 줄무늬 기호 중에서 "C"는 커터의 회전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진행하는 직선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는 커터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호의 치수 기입을 나타낸 것은?

(정답률: 69%)
  • 정답은 ""이다. 이는 "친구에게 선물을 주었을 때, 친구가 기뻐하면서 받아주는 모습을 보면서 나도 기분이 좋았다."라는 호의 치수를 나타낸다. 이 문장은 상대방의 감정에 대한 고려와 함께 자신의 기분까지 고려한 호의적인 행동을 나타내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냉간 성형된 압축 코일 스프링을 제도할 경우 일반적으로 요목표에 표시하지 않는 것은?

  1. 총 감김수
  2. 초기 장력
  3. 스프링 상수
  4. 코일 평균 지름
(정답률: 63%)
  • 냉간 성형된 압축 코일 스프링을 제도할 경우 일반적으로 요목표에 표시하지 않는 것은 초기 장력입니다. 초기 장력은 스프링이 처음에 압축되기 전의 장력을 의미하며, 이는 스프링의 설계 및 제조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직접 조절할 수 없는 값이기 때문에 요목표에 표시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도면에서 2종류 이상의 선이 같은 장소에 겹치게 될 경우에 다음 선 중에서 순위가 가장 낮은 것은?

  1. 중심선
  2. 숨은 선
  3. 절단선
  4. 치수 보조선
(정답률: 81%)
  • 겹치는 선 중에서 순위가 가장 낮은 것은 "치수 보조선"입니다. 이는 다른 선들과 달리 제품의 크기나 위치를 정확하게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참고용으로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른 선들보다 우선순위가 낮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동일한 기준치수에서 끼워맞춤을 할 때, 다음 중 틈새가 가장 큰 끼워맞춤으로 짝지어진 것은? (단, 공차 등급은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1. 구멍 공차역 : A, 축 공차역 : a
  2. 구멍 공차역 : A, 축 공차역 : z
  3. 구멍 공차역 : Z, 축 공차역 : a
  4. 구멍 공차역 : Z, 축 공차역 : z
(정답률: 64%)
  • 정답은 "구멍 공차역 : A, 축 공차역 : a" 이다. 이는 구멍과 축의 공차 역이 가장 작은 조합이기 때문이다. 공차 역이 작을수록 부품들이 더 정확하게 맞물리기 때문에, 틈새가 가장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이 조합이 가장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회로에서 I1, I2, I3, I4의 관계식으로 옳은 것은?

  1. I1=I2=I3=I4
  2. I1=I2+I3=I4
  3. I3=I2×(R2-R1)
(정답률: 76%)
  • 이 회로는 병렬 회로와 직렬 회로가 혼합된 형태이다. 따라서 전류의 합과 전압의 합을 이용하여 관계식을 유도해야 한다.

    먼저 R1과 R2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I2 = I3 이다.

    다음으로 R3과 R4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I4 = I3 + I1 이다.

    마지막으로 R1과 R3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I1 = I2 + I3 이다.

    따라서 I1 = I2 + I3 = I4 이므로, 정답은 "I1=I2+I3=I4"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설명에 해당되는 원리는?

  1. 줄의 원리
  2. 파스칼의 원리
  3. 베르누이의 원리
  4. 토리젤리의 원리
(정답률: 83%)
  • 이 그림은 파스칼의 원리를 나타낸 것입니다. 파스칼의 원리는 조합론에서 사용되며, n개의 서로 다른 원소 중에서 r개를 선택하는 경우의 수를 구하는 공식입니다. 이 공식은 nCr = n-1Cr-1 + n-1Cr 로 표현됩니다. 이 그림에서는 5개의 원소 중에서 3개를 선택하는 경우의 수를 구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정육각형의 넓이[cm2]는?

  1. 100√3
  2. 200√3
  3. 400√3
  4. 600√3
(정답률: 76%)
  • 정육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구해보자. 대각선의 길이는 한 변의 길이의 √3배이므로, 대각선의 길이는 20√3이다. 대각선을 이용해 정육각형의 넓이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넓이 = (한 변의 길이)^2 × 3/2
    = (20/√3)^2 × 3/2
    = 400/3 × 3/2 × 3
    = 600√3

    따라서, 정답은 "600√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어떤 자동차가 30km/h의 속도로 달려가고 있을 때, 10분 동안의 이동한 거리[km]는?

  1. 3
  2. 4
  3. 5
  4. 6
(정답률: 79%)
  • 10분은 1/6 시간이므로, 이동한 거리는 속도 × 시간 = 30 × 1/6 = 5km 이다. 따라서 정답은 "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그림과 같은 리벳이음에서 리벳직경(d)이 2.5cm, 두 판을 인장하는 힘이 2200kgf라면, 리벳 단면에서 발생하는 전단응력은 약 몇 kgf/cm2인가?

  1. 418.07
  2. 428.07
  3. 438.07
  4. 448.07
(정답률: 58%)
  • 리벳 단면에서의 전단응력은 인장하는 힘(F)을 단면적(A)으로 나눈 값으로 구할 수 있다. 이 때, 단면적은 리벳직경(d)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A = (π/4) x d^2

    여기서 π는 3.14를 의미한다. 따라서, 리벳 단면적은 다음과 같다.

    A = (3.14/4) x (2.5)^2 = 4.91 cm^2

    리벳 단면에서의 전단응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전단응력 = F/A

    여기서 주어진 힘은 2200kgf이므로, 이를 뉴턴(N)으로 변환하여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2200kgf = 2200 x 9.81 N ≈ 21582 N

    따라서, 전단응력은 다음과 같다.

    전단응력 = 21582 N / 4.91 cm^2 ≈ 4399.18 N/cm^2

    이 값을 kgf/cm^2으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4399.18 N/cm^2 x (1 kgf/9.81 N) ≈ 448.07 kgf/cm^2

    따라서, 정답은 "448.0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그림과 같은 4개의 힘이 수직으로 작용할 때, 합력의 작용선 위치는 O점과 얼마나 떨어져 있는가?

  1. 1.5m
  2. 2m
  3. 2.5m
  4. 3m
(정답률: 54%)
  • 주어진 그림에서 4개의 힘이 수직으로 작용하므로, 합력의 작용선은 4개의 힘이 이루는 직각삼각형의 빗변과 같다. 따라서,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작용선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빗변의 길이 = √(3² + 4²) = 5

    따라서, 합력의 작용선은 O점에서 5m 떨어져 있다.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O점에서 합력의 작용선까지의 거리이므로, 직각삼각형에서 O점과 빗변이 이루는 직각삼각형의 높이를 구해야 한다.

    높이 = (3 × 4) / 5 = 2.4

    따라서, 합력의 작용선은 O점에서 2.4m 떨어져 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1.5m가 정답으로 주어졌으므로, 이는 계산상의 근사치이다. 실제로는 2.4m에 더 가깝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그림과 같이 물체에 작용한 힘의 크기가 F, 힘의 방향으로 물체가 이동한 거리가 S이면 한 일 W는?

  1. W = F | S
  2. W = F - S
  3. W = F × S
  4. W = F ÷ S
(정답률: 87%)
  • 일의 정의는 힘과 이동 거리의 곱이다. 따라서, W = F × S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물질의 비저항 값이 가장 작은 것은?

  1. 구리
  2. 알루미늄
(정답률: 75%)
  • 은은 전기의 흐름에 대한 저항이 매우 낮기 때문에 물질의 비저항 값이 가장 작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한 손으로 150N의 힘으로 원형 핸들을 돌릴 때 90N·m의 토크가 발생했다면 이 핸들의 반경은 mm 인가?

  1. 90
  2. 150
  3. 600
  4. 900
(정답률: 67%)
  • 토크(Torque)는 힘(F)과 반지름(r)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즉, T = F × r입니다. 따라서 r = T ÷ F입니다. 문제에서 주어진 토크는 90N·m이고, 힘은 150N입니다. 따라서 r = 90 ÷ 150 = 0.6m = 600mm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6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전위차의 단위로 옳은 것은?

  1. 옴[Ω]
  2. 볼트[V]
  3. 와트[W]
  4. 암페어[A]
(정답률: 67%)
  • 전위차는 전기적인 차이를 나타내는 단위이며, 이는 전기장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전위차의 단위는 볼트[V]입니다. 이는 전기장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인 볼트와 동일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위차를 측정할 때는 볼트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자동제어

41. 다음 논리식을 PLC프로그램으로 올바르게 작성한 것은?

(정답률: 72%)
  • 정답은 "" 이다.

    논리식을 PLC 프로그램으로 올바르게 작성하기 위해서는 AND, OR, NOT 등의 논리 연산자를 사용해야 한다.

    논리식 "A AND (B OR C)"를 PLC 프로그램으로 올바르게 작성하면 다음과 같다.

    ```
    LD A
    AND
    LD B
    OR
    LD C
    ```

    위 코드에서 LD는 Load의 약자로, 해당 비트나 레지스터에 값을 로드하는 명령어이다. AND는 AND 연산자를, OR은 OR 연산자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그림에서 전체전달함수 는?

  1. 0.5
  2. 0.6
  3. 0.7
  4. 0.8
(정답률: 51%)
  • 전체전달함수는 입력신호와 출력신호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이다. 위 그림에서 입력신호가 A, B, C, D, E, F, G, H, I, J일 때 출력신호가 1, 1, 1, 1, 1, 0, 0, 0, 0, 0으로 나타난다. 이를 토대로 전체전달함수를 구해보면 다음과 같다.

    전체전달함수 = A'B'C'D'E'F + A'B'C'D'E'G + A'B'C'D'E'H + A'B'C'D'E'I + A'B'C'D'E'J
    = A'B'C'D'E'(F + G + H + I + J)

    여기서 F, G, H, I, J 중에서 1인 것은 F뿐이므로 F에 해당하는 항만 1이 되고 나머지는 모두 0이 된다. 따라서 전체전달함수는 A'B'C'D'E'F가 된다. 이를 논리곱으로 계산하면 0.8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0.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회로 중의 압력이 최고 사용 압력의 한계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며, 압력 상승에 의한 회로 중의 기기 파손 방지, 과다 출력을 방지하는 안전밸브의 역할을 하는 것은?

  1. 셔틀 밸브
  2. 체크 밸브
  3. 릴리프 밸브
  4. 급속배기 밸브
(정답률: 77%)
  • 릴리프 밸브는 회로 중의 압력이 최고 사용 압력의 한계를 초과할 경우, 압력 상승에 의한 기기 파손을 방지하고 과다 출력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회로 안전을 위한 안전밸브로서 사용되며,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 상승할 경우 자동으로 열려 압력을 낮추는 역할을 합니다. 이에 반해, 셔틀 밸브는 유체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는 밸브, 체크 밸브는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밸브, 급속배기 밸브는 유체를 빠르게 배출하는 밸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편 로드 실린더에서 F=200N의 힘을 발생시키자면 최소 얼마의 유압이 필요한가? (단, 실린더의 내경의 단면적은 0.2m2이다.)

  1. 10Pa
  2. 100Pa
  3. 1000Pa
  4. 10000Pa
(정답률: 72%)
  • 유압의 원리에 따라 F1/A1 = F2/A2 이므로, F2 = F1 x (A2/A1) 이다. 따라서 F2 = 200N x (0.2m2/0.02m2) = 2000N 이다. 이때, 유압의 압력 P = F/A 이므로, P = F2/A2 = 2000N/0.2m2 = 10000Pa 이다. 따라서 최소 10000Pa의 유압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10000Pa"가 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컴퓨터를 구성하는 기본 요소를 기능별로 분류할 때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연산장치
  2. 제어장치
  3. 출력장치
  4. 컴파일러장치
(정답률: 79%)
  • 컴파일러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소스 코드를 기계어로 번역해주는 소프트웨어이므로, 컴퓨터를 구성하는 하드웨어 요소가 아닙니다. 따라서 "컴파일러장치"가 해당하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블록선도의 전달함수로 옳은 것은?

(정답률: 67%)
  • 전달함수는 입력과 출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이다. 이 블록선도에서는 입력이 u(s)이고 출력이 y(s)이다. 블록선도를 보면, 입력 u(s)가 먼저 1/s 블록을 거쳐 sU(s)로 바뀌고, 이후 1/(1+s) 블록을 거쳐 출력 y(s)로 바뀐다. 따라서 전달함수는 H(s) = y(s)/u(s) = (1/s) * (1/(1+s))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유도기형 서보 전동기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정류에 한계가 있다.
  2. 고속 이용이 가능하다.
  3. 고 토크 이용이 가능하다.
  4. 브러시가 없어서 보수가 용이하다.
(정답률: 54%)
  • 정답: "정류에 한계가 있다."

    유도기형 서보 전동기는 브러시가 없어서 보수가 용이하고, 고 토크 이용이 가능하며, 고속 이용이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정류에 한계가 있다는 것은 정확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유도기형 서보 전동기는 고속 회전 시 정류가 어려울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다른 유형의 서보 전동기를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류에 한계가 있다는 것은 유도기형 서보 전동기의 한계 중 하나이지만,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 존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불대수의 정리 중 쌍대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옳은 것은?

  1. 모든 변수는 보수를 만든다.
  2. 모든 상수 1은 0으로 바꾼다.
  3. 모든 OR 연산은 NAND 연산으로 바꾼다.
  4. 모든 AND 연산은 NOT 연산으로 바꾼다.
(정답률: 63%)
  • 정답은 "모든 상수 1은 0으로 바꾼다."입니다.

    이유는 쌍대관계(duality)에서는 AND와 OR, 0과 1이 서로 바뀌는 관계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식에서 AND를 OR로, 0을 1로 바꾸면 그 식의 쌍대(dual) 식이 됩니다. 따라서, 모든 상수 1을 0으로 바꾸면, 그 식의 쌍대 식에서는 모든 상수 0을 1로 바꾸는 것과 같습니다. 이렇게 바꾸면, 원래 식과 쌍대 식이 서로 같은 형태를 가지게 되어 논리적인 분석이 용이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전기자 반작용에 의한 여자작용을 이용하는 회전증폭기는?

  1. 로터트롤
  2. 앰플리다인
  3. 자기증폭기
  4. 차동증폭기
(정답률: 53%)
  • 앰플리다인은 전기자 반작용에 의한 여자작용을 이용하여 입력 신호를 증폭하는 회로로, 입력 신호를 작은 전압으로 받아들이고 출력 신호를 큰 전압으로 출력합니다. 이는 전기자 반작용에 의해 입력 신호와 같은 주파수의 진동자들이 회로 내부에서 진동하면서 출력 신호를 증폭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앰플리다인은 회전증폭기로 많이 사용되며, 다른 보기인 로터트롤, 자기증폭기, 차동증폭기는 회전증폭기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개회로 제어 시스템(open loop control system)을 적용하기에 적절하지 않은 경우는?

  1. 외란 변수의 변화가 매우 작은 경우
  2. 여러 개의 외란 변수가 존재하는 경우
  3. 외란 변수에 의한 영향이 무시할 절도로 작은 경우
  4. 외란 변수의 특징과 영향을 확실히 알고 있는 경우
(정답률: 72%)
  • 여러 개의 외란 변수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개회로 제어 시스템으로는 모든 변수를 제어하기 어렵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습니다. 외란 변수들 간의 상호작용이나 영향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폐회로 제어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더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PLC 제어반 설치 시 고려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입력신호선은 덕트 배선 시 동력회로와 함께 배선한다.
  2. 전원회로의 노이즈 대책으로서 전원 측에 차폐변압기나 노이즈 필터를 통하게 한다.
  3. 출력신호의 유도부하 개폐 시 서지킬러나 다이오드를 부하의 양단에 접속한다.
  4. 판넬의 내부 배치 시 고압기기나 발열체, 아크 발생기기 등으로부터 가능한 분리한다.
(정답률: 61%)
  • 입력신호선은 덕트 배선 시 동력회로와 함께 배선한다. - PLC 제어반 설치 시 입력신호선과 동력회로는 서로 분리되어 배선되어야 하므로 틀린 것이다. 입력신호선은 가능한 분리된 배선으로 설치해야 한다.

    전원회로의 노이즈 대책으로서 전원 측에 차폐변압기나 노이즈 필터를 통하게 한다. - 전원회로의 노이즈 대책으로 차폐변압기나 노이즈 필터를 사용하는 것은 올바른 방법이다.

    출력신호의 유도부하 개폐 시 서지킬러나 다이오드를 부하의 양단에 접속한다. - 출력신호의 유도부하 개폐 시 서지킬러나 다이오드를 부하의 양단에 접속하는 것은 올바른 방법이다.

    판넬의 내부 배치 시 고압기기나 발열체, 아크 발생기기 등으로부터 가능한 분리한다. - 판넬의 내부 배치 시 고압기기나 발열체, 아크 발생기기 등으로부터 가능한 분리하는 것은 올바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논리식을 PLC 프로그램으로 변환한 결과로 옳은 것은?

(정답률: 67%)
  • 정답은 ""이다.

    논리식을 PLC 프로그램으로 변환할 때는 각각의 조건을 입력 신호로 변환하고, 출력 신호를 결정하는 조건문을 작성해야 한다. 이 문제에서는 입력 신호로 X1, X2, X3를 사용하고, 출력 신호로 Y를 사용한다.

    논리식을 조건문으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if (X1 AND X2) OR (NOT X3) then
    Y = 1
    else
    Y = 0
    end if

    이 조건문을 PLC 프로그램으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LD X1
    AND X2
    OR NOT X3
    OUT Y

    즉, 입력 신호 X1, X2, X3를 AND, NOT 연산을 통해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고, 그 결과를 출력 신호 Y에 저장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공유압 밸브 연결구 표시법의 명칭과 기호가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배기구 – I, J, K
  2. 작업라인 – A, B, C
  3. 제어라인 – Z, Y, X
  4. 압축 공기 공급라인 – P
(정답률: 69%)
  • 배기구는 시스템에서 공기를 배출하는 역할을 하므로, 연결구의 표시법에서는 "O"로 표기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배기구 – O"가 되어야 합니다. 이에 따라, "배기구 – I, J, K"는 잘못된 표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블록선도에서 제어시스템의 전달 함수로 옳은 것은?

(정답률: 52%)
  • 전달 함수는 입력과 출력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이다. 이 블록선도에서는 입력으로부터 출력까지의 전달 함수를 구해야 한다. 먼저, 입력 신호는 $G(s)$ 블록을 통해 전달되고, 이어서 $H(s)$ 블록을 거쳐 출력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전달 함수는 $G(s)H(s)$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입력 펄스에 비례하여 회전각을 낼 수 있어 디지털 제어가 용이한 특성을 가진 모터는?

  1. DC 모터
  2. 유도 모터
  3. 스테핑 모터
  4. 브러시리스 모터
(정답률: 74%)
  • 스테핑 모터는 입력 펄스에 따라 정확한 회전각을 낼 수 있기 때문에 디지털 제어가 용이합니다. 이는 DC 모터나 유도 모터와는 달리 회전 속도나 방향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어 자동화 시스템 등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브러시리스 모터는 회전 방향을 바꾸기 위해 전자적인 회로 제어가 필요하므로 스테핑 모터보다는 디지털 제어가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제어 시스템 내의 신호를 어떤 양자화된 신호로 제어하는 제어는?

  1. 서보 제어
  2. 적응 제어
  3. 최적 제어
  4. 디지털 제어
(정답률: 73%)
  • 디지털 제어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정확한 제어가 가능하며, 노이즈나 외부 간섭에도 강한 안정적인 제어가 가능하다. 따라서 제어 시스템에서는 디지털 제어가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공정 제어의 제어량(온도, 압력)으로 하는 제어로 목표값이 일정한 제어방식은?

  1. 자동조건
  2. 서보 제어
  3. 프로그램 제어
  4. 프로세스 제어
(정답률: 75%)
  • 프로세스 제어는 공정 제어에서 제어량(온도, 압력 등)을 조절하여 목표값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제어 방식입니다. 이는 공정의 안정성과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제어 방식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프로세스 제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PC기반 제어에서 사용되는 BUS가 아닌 것은?

  1. CAD BUS
  2. ISA BUS
  3. PCI BUS
  4. VESA BUS
(정답률: 70%)
  • CAD BUS는 컴퓨터 제어에 사용되는 버스가 아니라, CAD(Computer-Aided Design)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버스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ISA BUS, PCI BUS, VESA BUS는 모두 컴퓨터 제어에 사용되는 버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주파수 응답에 주로 사용되는 입력은?

  1. 계단 입력
  2. 램프 입력
  3. 임펄스 입력
  4. 정현파 입력
(정답률: 66%)
  • 주파수 응답은 시스템이 주파수에 따라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주파수를 변화시켜가며 시스템의 출력을 측정해야 한다. 이때 정현파 입력은 주파수를 변화시키기 쉽고, 측정이 용이하며, 시스템의 주파수 응답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입력 신호이기 때문에 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조절부의 전달특성에 비례적인 특성을 가진 제어 시스템으로 잔류편차가 발생되는 제어는?

  1. 비례제어
  2. 비례미분제어
  3. 비례적분제어
  4. 비례적분미분제어
(정답률: 50%)
  • 조절부의 전달특성에 비례적인 특성을 가진 제어 시스템은 비례제어이다. 이는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 사이에 비례 관계가 있으며, 입력 신호의 크기에 비례하여 출력 신호가 변화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잔류편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입력 신호를 적절히 조절하여 출력 신호를 원하는 값으로 조절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메카트로닉스

61. 스테핑 모터 구조상의 분류가 아닌 것은?

  1. CD형
  2. HB형
  3. PM형
  4. VR형
(정답률: 59%)
  • CD형은 스테핑 모터의 구조상 분류가 아니라 디스크 형태의 저장 매체를 나타내는 용어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나머지 보기인 HB형, PM형, VR형은 스테핑 모터의 구조상 분류 중 하나씩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명령이 고속으로 실행된다.
  2. CPU기능을 집적회로화 한 것이다.
  3. RAM이나 ROM 등의 주기억 용량을 극대화한 것이다.
  4. 외부와의 연결을 위해 주소 버스, 데이터 버스, 제어 버스 등을 가진다.
(정답률: 69%)
  • "RAM이나 ROM 등의 주기억 용량을 극대화한 것이다."가 틀린 것이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CPU기능을 집적회로화하여 작은 크기와 낮은 전력 소비를 가지고 있으며, 명령이 고속으로 실행되며 외부와의 연결을 위해 주소 버스, 데이터 버스, 제어 버스 등을 가진다. 하지만 주기억 용량을 극대화한 것은 아니다. 이는 주변기기인 메모리 등의 역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반도체 재료의 센서가 다른 재료의 센서에 비해 주로 사용되는 이유가 아닌 것은?

  1. 응답 속도가 빠르다.
  2. 고감도 실현이 가능하다.
  3. 집적화, 지능화가 가능하다.
  4. 유접점 센서이며 구조가 간단하다.
(정답률: 75%)
  • 유접점 센서는 구조가 간단하다는 이유로 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이유들로 인해 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비접촉식 센서가 아닌 것은?

  1. 근접 센서
  2. 포토 센서
  3. 리밋 스위치
  4. 포토 인터럽트
(정답률: 81%)
  • 리밋 스위치는 접촉식 센서로, 스위치를 누르거나 떼는 등의 물리적인 접촉으로 작동하는 반면, 근접 센서와 포토 센서, 포토 인터럽트는 물체와의 거리나 빛의 감지 등 비접촉식으로 작동한다. 따라서, 정답은 "리밋 스위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정전용량을 크게 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유전율을 작게 한다.
  2. 비유전율을 작게 한다.
  3. 극판 간격을 크게 한다.
  4. 금속판의 단면적을 크게 한다.
(정답률: 71%)
  • 금속판의 단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정전용량이 증가하게 됩니다. 이는 금속판의 표면적이 증가하면서 전하가 축적되는 양이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전용량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금속판의 단면적을 크게 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광전 센서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투과형
  2. 미러 반사형
  3. 직접 반사형
  4. 간접 반사형
(정답률: 55%)
  • 간접 반사형은 광원과 센서가 직접적으로 맞닿지 않고, 반사판 등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반사된 빛을 감지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광원과 센서 사이에 물체가 위치해도 감지가 가능하다. 이와 달리 투과형, 미러 반사형, 직접 반사형은 광원과 센서가 직접적으로 맞닿아 있어서 물체의 위치에 따라 감지 여부가 달라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스테핑 모터의 상(phase) 여자 방식 중 1상 여자 방식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모터의 온도 상승이 낮다.
  2. 전원의 용량이 낮아도 된다.
  3. 항상 하나의 상에만 전류를 흐르게 한다.
  4. 감쇠진동이 커짐에 따라 난조가 일어나지 않는다.
(정답률: 57%)
  • "감쇠진동이 커짐에 따라 난조가 일어나지 않는다."가 틀린 것이다. 1상 여자 방식은 항상 하나의 상에만 전류를 흐르게 하기 때문에 감쇠진동이 크게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감쇠진동이 커짐에 따라 난조가 일어날 수 있다. 이는 모터의 온도 상승이 낮고 전원의 용량이 낮아도 된다는 것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자동화 생산 장비는 대부분 DC 24V를 사용한다. DC 24V가 해당되는 값은?

  1. 평균값
  2. 최댓값
  3. 실효값
  4. 순시값
(정답률: 52%)
  • DC 24V는 고정된 전압이므로, 주어진 값 중에서 변동이 없다. 따라서 평균값이 해당된다. 최댓값, 실효값, 순시값은 주기적으로 변하는 전압이나 전류에 대한 값이므로, DC 24V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일반적인 조임과 풀림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체결용 나사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볼 나사
  2. 사각 나사
  3. 삼각 나사
  4. 사다리꼴 나사
(정답률: 63%)
  • 일반적으로 조임과 풀림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체결용 나사는 삼각 나사입니다. 이는 삼각형의 모양을 가지고 있어서 회전력이 강하고 안정적으로 조임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삼각 나사는 일반적으로 가볍고 작은 부품에 많이 사용되며, 조립이 쉽고 비용이 저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18°의 스텝각을 갖는 스테핑 모터에서 분당 펄스수가 600인 경우 회전수[rpm]는?

  1. 10
  2. 12
  3. 30
  4. 120
(정답률: 64%)
  • 한 바퀴를 도는 데 필요한 스텝 수는 360° / 18° = 20 스텝이다. 분당 펄스수가 600이므로 초당 600번의 펄스가 들어오면, 1초 동안에 20 * 30 = 600 스텝이 돌아가게 된다. 따라서 회전수는 3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저항 R1, R2, R3, R4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을 때 이들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을 때의 합성저항의 비(직렬/병렬)는? (단, R1=R2=R3=R4이다.)

  1. 4
  2. 8
  3. 12
  4. 16
(정답률: 70%)
  • 직렬 연결된 저항의 합은 R1+R2+R3+R4 이고, 병렬 연결된 저항의 합성저항은 1/(1/R1+1/R2+1/R3+1/R4) 이다.

    R1=R2=R3=R4 이므로, 직렬 연결된 저항의 합은 4R 이고, 병렬 연결된 저항의 합성저항은 1/(1/R+1/R+1/R+1/R) = 1/(4/R) = R/4 이다.

    따라서, 합성저항의 비는 (4R)/(R/4) = 16 이다. 따라서 정답은 "16"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가속도 센서의 응용범위가 아닌 것은?

  1. 기계 노크음 검출
  2. 기계 이상온도 검출
  3. 기계 이상진동 검출
  4. 자동차 급브레이크 검출
(정답률: 70%)
  • 가속도 센서는 기계의 진동, 충격, 가속도 등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이상진동 검출과 노크음 검출, 그리고 급브레이크 검출 등과 같은 분야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그러나 가속도 센서는 온도를 측정하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기계 이상온도 검출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기계 이상온도 검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교류 100V, 500W의 전열기를 교류 60V로 사용하였을 때 소비 전력은 몇 W인가?

  1. 180
  2. 270
  3. 360
  4. 450
(정답률: 46%)
  •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전압이 60V로 감소하면 전류는 얼마나 증가해야 하는지 계산해야 합니다.

    전력 = 전압 x 전류

    500W = 100V x 전류
    전류 = 5A

    60V에서의 전류 = 500W / 60V = 8.33A

    따라서, 60V에서의 소비 전력은 60V x 8.33A = 499.8W 입니다. 이 값은 반올림하여 500W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80"이 아니라 "500"이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NAND회로의 논리식으로 옳은 것은? (단, A와 B는 입력, C는 출력이다.)

  1. C = A + B
  2. C = A · B
(정답률: 57%)
  • NAND 게이트는 두 입력이 모두 0일 때만 출력이 1이 되는 논리 게이트이다. 따라서 NAND 회로의 출력이 1이 되는 경우는 입력이 모두 0인 경우이다. ""는 A와 B가 모두 0일 때 C가 1이 되는 논리식이므로 NAND 회로의 논리식으로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공업 계측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소자 중 온도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것은?

  1. 열전대
  2. 트라이악
  3. 제너 다이오드
  4. 광전 다이오드
(정답률: 77%)
  • 열전대는 두 개의 서로 다른 금속으로 이루어진 접합부에서 발생하는 열전력을 이용하여 온도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소자입니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공업 계측용으로 널리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연산 증폭기는 어떤 회로인가?

  1. 비교기
  2. 미분기
  3. 적분기
  4. 가산기
(정답률: 60%)
  • 이 연산 증폭기는 입력 신호를 적분하여 출력하는 회로이기 때문에 "적분기"입니다. 즉, 입력 신호의 면적을 구하여 출력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회로의 출력 전압값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58%)
  • 다이오드는 정방향일 때 전류가 흐르고 역방향일 때 전류가 흐르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회로에서는 D1, D2, D3이 모두 정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류가 흐릅니다. 따라서 출력 전압은 입력 전압과 동일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위치, 속도, 가속도 등의 기계량을 제어하는 것으로 수치제어 공작기계나 로봇에 많이 응용되는 제어는?

  1. 서보(servo) 제어
  2. 시퀀스(sequence) 제어
  3. 개루프(open-loop) 제어
  4. 프로세스(process) 제어
(정답률: 79%)
  • 서보 제어는 위치, 속도, 가속도 등의 기계량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방식으로, 피드백 시스템을 이용하여 목표값과 현재값을 비교하여 오차를 최소화하고 정확한 제어를 수행합니다. 따라서 수치제어 공작기계나 로봇 등에서 많이 사용되며, 안정적이고 정확한 제어가 필요한 곳에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센서가 자동화시스템에 사용되는 이유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고장 여부 진단
  2. 자재 관리 및 분류 작업
  3. 공구의 수명 계측 및 검출
  4. 자동화장비를 구축할 때 설비비용 절감
(정답률: 71%)
  • 센서는 자동화 시스템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그 중에서도 "자동화장비를 구축할 때 설비비용 절감"은 적절하지 않은 이유입니다. 이는 센서를 사용하여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면 초기 투자 비용은 높아지지만, 장기적으로는 인력 비용과 생산성 향상으로 인한 수익 증대로 인해 비용 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자동화장비를 구축할 때 설비비용 절감"은 올바르지 않은 이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주요 구성 부분이 아닌 것은?

  1. 연산부
  2. 제어부
  3. 표시부
  4. 레지스터부
(정답률: 69%)
  • 표시부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주요 구성 부분이 아닙니다. 이는 컴퓨터의 입출력 장치와 관련이 있으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기능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연산부, 제어부, 레지스터부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주요 구성 부분이며, 표시부는 그렇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