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자동화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0-08-22)

생산자동화산업기사
(2020-08-2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

1. 밀링가공에서 하향절삭 작업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절삭력이 하향으로 작용하여 가공물 고정이 유리하다.
  2. 상향절삭보다 공구수명이 길다.
  3. 백래시 제거 장치가 필요하다.
  4. 기계강성이 낮아도 무방하다.
(정답률: 70%)
  • "기계강성이 낮아도 무방하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하향절삭 작업은 절삭력이 하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공구에 큰 부하가 걸리지 않아 기계강성이 낮아도 상관없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는 일반적인 경우이며, 가공물의 크기나 형태, 재료 등에 따라 기계강성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따라서 기계강성이 낮아도 무방하다는 것은 항상 참이 아니며,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고속가공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황삭부터 정삭까지 한 번의 셋업으로 가공이 가능하다.
  2. 열처리된 소재는 가공할 수 없다.
  3. 칩(chip)에 열이 집중되어, 가공물은 절삭역 영향이 적다.
  4. 가공시간을 단축시켜, 가공능률을 향상시킨다.
(정답률: 69%)
  • "열처리된 소재는 가공할 수 없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실제로는 열처리된 소재도 고속가공이 가능합니다. 다만, 열처리된 소재는 경도가 높아져 가공이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가공 조건과 도구를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밀링작업에 대한 안전사항으로 틀린 것은?

  1. 가공 전에 각종 레버, 자동이송, 급속이송장치 등을 반드시 점검한다.
  2. 정면커터로 절삭작업을 할 때 칩커버를 벗겨 놓는다.
  3. 주축속도를 변속시킬 때에는 반드시 주축이 정지한 후에 변환한다.
  4. 밀링으로 절삭한 칩은 날카로우므로 주의하여 청소한다.
(정답률: 88%)
  • "정면커터로 절삭작업을 할 때 칩커버를 벗겨 놓는다."가 틀린 것이다. 칩커버는 작업 중 발생하는 칩을 가리는 역할을 하므로 벗겨 놓으면 칩이 날아가거나 작업자에게 부상을 입힐 수 있다. 따라서 작업 중에도 칩커버를 유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분할법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단식분할법
  2. 직접분할법
  3. 차동분할법
  4. 간접분할법
(정답률: 61%)
  • 간접분할법은 분할법의 종류가 아니며, 다른 분할법들과는 달리 메모리를 물리적으로 분할하지 않고 가상 메모리를 사용하여 메모리를 관리하는 방법이다. 가상 메모리는 실제 물리적인 메모리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어서 프로세스가 필요로 하는 메모리 공간을 할당하고, 필요하지 않은 메모리 공간은 디스크에 저장하여 물리적인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공기 마이크로미터를 원리에 따라 분류할 때 이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광학식
  2. 배압식
  3. 유량식
  4. 유속식
(정답률: 69%)
  • 공기 마이크로미터를 원리에 따라 분류할 때, "광학식"은 공기의 유동 상태를 직접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광학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공기 중의 입자 크기를 측정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이에 속하지 않습니다. 반면에 "배압식", "유량식", "유속식"은 공기의 유동 상태를 직접 측정하는 방법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보링 머신에서 사용되는 공구는?

  1. 엔드밀
  2. 정면 커터
  3. 아버
  4. 바이트
(정답률: 57%)
  • 보링 머신은 회전하는 바이트를 이용하여 구멍을 뚫는 기계입니다. 따라서 보링 머신에서 사용되는 공구는 바이트입니다. 엔드밀, 정면 커터, 아버는 다른 가공 기계에서 사용되는 공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숫돌 입자의 크기를 표시하는 단위는?

  1. mm
  2. cm
  3. mesh
  4. inch
(정답률: 73%)
  • 숫돌 입자의 크기를 표시하는 단위는 "mesh"이다. 이는 숫돌을 통과하는 구멍의 개수를 나타내는 단위로, 숫자가 작을수록 입자의 크기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100 mesh 숫돌은 100개의 구멍이 있는 숫돌로, 입자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밀링 머신에서 절삭공구를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부속장치가 아닌 것은?

  1. 아버(arbor)
  2. 콜릿(collet)
  3. 새들(saddle)
  4. 어댑터(adapter)
(정답률: 63%)
  • 새들(saddle)은 밀링 머신의 이동 축을 지원하고 안정성을 유지하는 부속장치이며, 절단공구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새들(saddle)입니다. 아버(arbor), 콜릿(collet), 어댑터(adapter)는 모두 절삭공구를 고정하는 부속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금긋기 작업을 할 때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선은 가늘고 선명하게 한 번에 그어야 한다.
  2. 금긋기 선은 여러 번 그어 혼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3. 기준면과 기준선을 설정하고 금긋기 순서를 결정하여야 한다.
  4. 같은 치수의 금긋기 선은 전후, 좌우를 구분하지 말고 한 번에 긋는다.
(정답률: 72%)
  • "선은 가늘고 선명하게 한 번에 그어야 한다."는 오히려 올바른 유의사항이다. 따라서 정답은 "없음"이다.

    "금긋기 선은 여러 번 그어 혼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는 올바른 유의사항이다. 금긋기 작업에서는 선이 굵고 뚜렷하게 그려져야 하며, 여러 번 그리면 혼동이 생길 수 있으므로 한 번에 그리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고속도강 드릴을 이용하여 황동을 드릴링 할 때, 적합한 드릴의 선단각은?

  1. 60°
  2. 90°
  3. 110°
  4. 125°
(정답률: 64%)
  • 황동은 연성이 높은 재질로, 고속도강 드릴을 이용하여 드릴링 할 때에는 열이 발생하여 재질이 녹거나 변형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선단각을 선택해야 합니다. 선단각이 작을수록 드릴의 접촉면적이 커져서 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선단각이 클수록 드릴의 접촉면적이 작아져서 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아집니다. 따라서 황동을 드릴링 할 때에는 선단각이 큰 110°의 드릴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해머 작업 시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녹이 있는 재료를 가공할 때는 보호 안경을 착용한다.
  2. 처음에는 큰 힘을 주면서 가공한다.
  3. 기름이 묻은 손이나 장갑을 끼고 가공을 하지 않는다.
  4. 자루가 불안정한 해머는 사용하지 않는다.
(정답률: 83%)
  • "처음에는 큰 힘을 주면서 가공한다."는 틀린 것이다. 올바른 방법은 처음에는 가볍게 가공하고 점점 힘을 더해가며 작업하는 것이다. 이유는 큰 힘을 주면서 가공하면 해머가 미끄러져 다른 부위를 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길이 400mm, 지름 50mm의 둥근 일감을 절삭속도 100m/min로 1회 선삭하려면 절삭시간은 약 몇 분 걸리겠는가? (단, 이송은 0.1mm/rev이다.)

  1. 2.7
  2. 4.4
  3. 6.3
  4. 9.2
(정답률: 60%)
  • 절삭속도는 100m/min 이므로, 1분에 100m를 절삭할 수 있다는 뜻이다. 따라서 400mm를 절삭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다음과 같다.

    400mm / 100m/min = 0.004분

    이송은 0.1mm/rev 이므로, 1회 선삭하는 데 필요한 이송 거리는 다음과 같다.

    π × 50mm = 157.08mm

    따라서 1회 선삭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다음과 같다.

    (0.004분 / 1분) × (157.08mm / 0.1mm/rev) = 6.3

    따라서 정답은 "6.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3개 조(jaw)가 120°간격으로 배치되어있고, 조가 동일한 방향, 동일한 크기로 동시에 움직이며 원형, 삼각, 육각 제품을 가공하는데 사용하는 척은?

  1. 단동척
  2. 유압척
  3. 복동척
  4. 연동척
(정답률: 68%)
  • 이 경우에는 여러 개의 조가 동시에 움직이기 때문에 연동척이 적합합니다. 연동척은 여러 개의 척을 하나의 작동기로 동시에 조작할 수 있어서, 여러 개의 조를 동시에 움직여 정밀한 가공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연동척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연삭숫돌의 결합체(bond)와 표시기호의 연결이 바른 것은?

  1. 셸락 : E
  2. 레지노이드 : R
  3. 고무 : B
  4. 비트리파이드 : F
(정답률: 61%)
  • 연삭숫돌의 결합체와 표시기호의 연결은 연삭숫돌의 특성과 연마 작업의 목적에 따라 결정됩니다. 셸락은 경도가 높고 내구성이 강한 결합체로, 경도가 높은 금속재료를 연마할 때 적합합니다. 따라서 셸락은 연마 작업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결합체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공기 마이크로미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압축 공기원이 필요하다.
  2. 비교 측정기로 1개의 마스터로 측정이 가능하다.
  3. 타원, 테이퍼, 편심 등의 측정을 간단히 할 수 있다.
  4. 확대 기구에 기계적 요소가 없기 때문에 장시간 고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정답률: 59%)
  • "비교 측정기로 1개의 마스터로 측정이 가능하다."가 틀린 것이다. 공기 마이크로미터는 비교 측정기가 아닌 절대 측정기로, 측정할 때마다 기준점을 설정해야 한다. 따라서 1개의 마스터로 측정이 불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목재, 피혁, 직물 등 탄성이 있는 재료로 된 바퀴 표면에 부착시킨 미세한 연삭 입자로서 연삭 작용을 하게하여 가공 표면을 버핑 전에 다듬질 하는 방법은?

  1. 폴리싱
  2. 전해가공
  3. 전해연마
  4. 버니싱
(정답률: 61%)
  • 폴리싱은 바퀴 표면에 부착된 미세한 연삭 입자를 이용하여 가공 표면을 다듬질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탄성이 있는 재료로 된 바퀴 표면에 부드러운 압력을 가하면서 연삭 입자가 가공 표면을 연마하고, 이를 반복하여 부드러운 표면을 만들어내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폴리싱은 가공 표면을 부드럽고 광택있게 다듬질하는 방법으로, 다른 보기인 전해가공, 전해연마, 버니싱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구성인선의 방지대책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경사각을 작게 한다.
  2. 절삭 깊이를 적게 한다.
  3. 절삭속도를 빠르게 한다.
  4. 절삭공구의 인선을 예리하게 한다.
(정답률: 62%)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합금 공구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탄소공구강에 비해 절삭성이 우수하다.
  2. 저속 절삭용, 총형 절삭용으로 사용된다.
  3. 합금공구강에는 Ag, Hg의 원소가 포함되어 있다.
  4. 경화능을 개선하기 위해 탄소공구강에 소량의 합금원소를 첨가한 강이다.
(정답률: 59%)
  • "합금공구강에는 Ag, Hg의 원소가 포함되어 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합금공구강에는 Ag, Hg와 같은 원소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합금공구강은 경화능을 개선하기 위해 탄소공구강에 소량의 합금원소를 첨가한 강으로, 절삭성이 우수하며 저속 절삭용, 총형 절삭용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기어 절삭기에서 창성법으로 치형을 가공하는 공구가 아닌 것은?

  1. 호브(hob)
  2. 브로치(broach)
  3. 래크 커터(rack cutter)
  4. 피니언 커터pinion cutter)
(정답률: 63%)
  • 기어 절삭기에서 창성법으로 치형을 가공하는 공구는 호브, 래크 커터, 피니언 커터이다. 그러나 브로치는 창성법으로 치형을 가공하는 공구가 아니라, 내부 구멍을 가공하는 공구이기 때문에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공작기계의 3대 기본운동이 아닌 것은?

  1. 전단운동
  2. 절삭운동
  3. 이송운동
  4. 위치조정운동
(정답률: 59%)
  • 공작기계의 3대 기본운동은 절삭운동, 이송운동, 위치조정운동입니다. 전단운동은 공작기계의 기본운동 중 하나가 아닙니다. 전단운동은 물체를 자르거나 분쇄하는 운동으로, 공작기계에서는 주로 프레스나 전단기 등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기계제도 및 기초공학

21. 다음 그림과 같은 제3각 정투상도의 평면도와 우측면도에 가장 적합한 정면도는?

(정답률: 67%)
  • 정면도는 물체의 전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므로, 제3각 정투상도의 전면을 보여주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따라서 ""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센터 구멍의 간략 도시 방법에서 다음 설명을 옳게 도시한 것은?

(정답률: 58%)
  • 센터 구멍의 간략 도시 방법에서 ""가 정답인 이유는, 이 방법은 가장 짧은 경로를 찾는 방법이기 때문에, 출발점과 도착점을 가로지르는 가장 짧은 경로를 찾으면 된다. 따라서, ""가 출발점과 도착점을 가로지르는 가장 짧은 경로이기 때문에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아래 투상도와 같이 경사부가 있는 대상물에서 그 경사면에 있는 구멍의 실형을 표시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나타내는 투상도는?

  1. 가상도
  2. 국부 투상도
  3. 부분 확대도
  4. 회전 투상도
(정답률: 71%)
  • 이 경우에는 대상물의 일부분인 경사면에 있는 구멍의 실형을 표시해야 하므로, 해당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국부 투상도를 사용한다. 다른 보기들은 대상물 전체를 보여주는 경우나 회전시키는 경우 등에 사용되는 투상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나사는 단독으로 나타내거나 조합하여 표시하기도 하는데 다음 중 그 표시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G1/2 A
  2. M50×2-6H
  3. Rp1/2/R1/2
  4. UNC No.4-40-6H/g
(정답률: 61%)
  • 정답은 "M50×2-6H"입니다.

    - "G1/2 A"는 외부 나사의 표준 표시 방법 중 하나로, G는 나사의 형태를 나타내는 기호이고 1/2는 나사의 직경을 나타내는 숫자입니다. A는 나사의 내부 측정 기준을 나타냅니다.
    - "Rp1/2/R1/2"는 내부 나사의 표준 표시 방법 중 하나로, Rp는 내부 나사의 형태를 나타내는 기호이고 1/2는 나사의 직경을 나타내는 숫자입니다. R은 외부 나사와의 호환성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 "UNC No.4-40-6H/g"는 미국 표준 나사 (Unified National Coarse)의 표시 방법 중 하나로, UNC는 나사의 형태와 직경을 나타내는 기호이고 No.4는 나사의 직경을 나타내는 숫자입니다. 40은 나사의 간격을 나타내는 숫자이며, 6H는 나사의 내부 측정 기준을 나타냅니다. 마지막으로 g는 나사의 표면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그림에서 나사의 완전나사부를 나타내는 것은?

  1. a
  2. b
  3. c
  4. d
(정답률: 64%)
  • 정답은 "a"입니다. 완전나사부는 나사의 끝 부분으로, 나사의 나사홈이 완전히 끝까지 들어간 부분을 말합니다. 그림에서는 a 부분이 완전나사부에 해당합니다. b, c, d 부분은 부분나사부, 나사몸, 나사머리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굵은 1점 쇄선의 용도로 옳은 것은?

  1. 인접부분을 참고로 표시할 때 사용한다.
  2. 수면, 유면 등의 위치를 표시할 때 사용한다.
  3. 대상물의 보이지 않는 부분의 모양을 표시할 때 사용한다.
  4. 특수한 가공을 하는 부분 등 특별한 요구사항을 적용할 수 있는 범위를 표시할 때 사용한다.
(정답률: 65%)
  • 굵은 1점 쇄선은 특수한 가공을 하는 부분 등 특별한 요구사항을 적용할 수 있는 범위를 표시할 때 사용된다. 이는 다른 보기들과 달리 특정 부분을 강조하거나 위치를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부분에 대한 특별한 처리나 요구사항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그림과 같이 지시선의 화살표에 온 흔들림 공차를 적용하고자 할 때 기하공차의 표기가 옳은 것은?

(정답률: 66%)
  • 정답은 ""이다.

    지시선의 화살표에 온 흔들림 공차를 적용하고자 할 때, 기하공차는 "공통비율"을 의미한다. 즉, 지시선과 평행한 두 직선 사이의 길이 비율과 같은 것이다.

    위 그림에서, 지시선과 평행한 두 직선은 모두 수직이므로, 길이 비율은 1:1이다. 따라서, 기하공차는 1이 된다.

    따라서, 옳은 표기는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기준 치수에 대한 구멍공차가 일 때 치수 공차의 값은?

  1. 0.012
  2. 0.013
  3. 0.025
  4. 0.038
(정답률: 72%)
  • 치수 공차는 구멍공차의 절반인 0.02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0.02에 1.9를 곱한 값인 0.038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가공방법과 기호의 연결이 옳은 것은?

  1. 래핑 - MSL
  2. 브로칭 - BR
  3. 스크레이핑 - SB
  4. 평면 연삭 – GBS
(정답률: 73%)
  • 브로칭은 기계가공 방법 중 하나로, 미리 만들어진 특수한 칼날을 사용하여 내부 혹은 외부의 복잡한 형상을 만들어내는 방법입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브로칭은 BR이라는 기호로 표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기어를 도시할 때 선을 나타내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잇봉우리원은 가는 실선으로 표시한다.
  2. 피치원은 가는 1점 쇄선으로 표시한다.
  3. 잇줄 방향은 일반적으로 3개의 가는 실선으로 표시한다.
  4. 이골원은 가는 실선으로 표시한다. 단, 축에 직각인 방향에서 본 그림을 단면으로 도시할 때 이골의 선은 굵은 실선으로 표시한다.
(정답률: 50%)
  • 잇봉우리원은 가는 실선으로 표시한다. 이유는 잇봉우리원은 기어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가는 실선으로 표시하면 가장 명확하게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피치원은 기어가 일정하지 않아서 가는 1점 쇄선으로 표시하고, 잇줄 방향은 일반적으로 3개의 가는 실선으로 표시한다. 이골원은 기어가 축에 직각인 방향에서 본 그림을 단면으로 도시할 때 이골의 선은 굵은 실선으로 표시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속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속도는 크기와 방향을 갖는다.
  2. 속도는 질점 또는 물체의 단위 시간 당 변위이다.
  3. 속도가 변하지 않는 운동을 등가속도 운동이라고 한다.
  4. 등속 운동 물체에 힘이 작용하면 속도의 크기나 방향이 바뀐다.
(정답률: 67%)
  • "등가속도 운동"은 속도가 일정하게 변하는 운동을 말하며, "속도가 변하지 않는 운동"은 "등속 운동"을 말한다. 따라서, "속도가 변하지 않는 운동을 등가속도 운동이라고 한다."는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도선의 단면적을 1초 동안 1C의 전하량이 흘러갔을 때의 값은?

  1. 1A
  2. 1F
  3. 1H
  4. 1V
(정답률: 68%)
  • 정답은 "1A"입니다.

    전류(I)는 단위 시간당 전하량(Q)의 흐름으로 정의됩니다. 따라서 1초 동안 1C의 전하량이 흐르면 전류는 1A가 됩니다.

    예를 들어, 1초 동안 2C의 전하량이 흐르면 전류는 2A가 되고, 0.5초 동안 1C의 전하량이 흐르면 전류는 2A가 됩니다.

    따라서, 도선의 단면적을 1초 동안 1C의 전하량이 흘러갔을 때의 전류는 1A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모터의 회전자에 생기는 토크와 고정자에 생기는 토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크기와 방향 모두 같다.
  2. 크기와 방향 모두 다르다.
  3. 크기는 다르고 방향은 같다.
  4. 크기는 같고 방향은 반대이다.
(정답률: 61%)
  • 정답은 "크기는 같고 방향은 반대이다."이다.

    회전자에 생기는 토크는 모터의 회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작용하며, 고정자에 생기는 토크는 회전자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는 모터의 작동 원리에서 유도되는데, 회전자와 고정자 사이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이 자기장에 의해 상호작용하는 힘이 토크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회전자와 고정자에 생기는 토크의 크기는 같지만, 방향은 반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그림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각각 같은 힘이 작용할 때 토크가 가장 큰 경우는?

(정답률: 71%)
  • 토크는 힘과 그 힘이 작용하는 지점 사이의 수직거리(레버 암)의 곱입니다. 따라서 토크가 가장 크려면 레버 암이 가장 긴 방향으로 힘이 작용해야 합니다. 그림에서는 화살표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경우 레버 암이 가장 길기 때문에 토크가 가장 큽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지름 300mm인 관 속에 흐르는 유체가 평균속도 3m/s로 흐를 때 유량은 약 몇 m3/s인가?

  1. 0.021
  2. 0.21
  3. 2.1
  4. 21.2
(정답률: 64%)
  • 유량(Q)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Q = πr^2v

    여기서 r은 반지름, v는 평균속도이다. 따라서, 반지름은 지름의 절반인 150mm이다.

    Q = π(0.15m)^2 x 3m/s
    = 0.21 m^3/s

    따라서, 정답은 "0.2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힘의 3요소가 아닌 것은?

  1. 힘의 방향
  2. 힘의 크기
  3. 힘의 작용선
  4. 힘의 작용점
(정답률: 78%)
  • 힘의 작용선은 힘이 작용하는 물체의 표면에서 수직인 선이며, 힘의 크기와 방향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힘의 3요소 중 하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회로에서 a와 b사이의 합성저항[Ω]은?

  1. 1/2
  2. 5/2
  3. 1/5
  4. 2/5
(정답률: 71%)
  • a와 b 사이의 전압은 10V이다. 따라서 a와 b 사이의 전류는 10V / 2Ω = 5A이다.

    a에서 나오는 전류는 5A이고, b로 향하는 전류도 5A이다.

    따라서 a와 b 사이의 합성저항은 (2Ω || 1Ω) + (3Ω || 4Ω) = 1/((1/2Ω) + (1/3Ω)) + 1/((1/1Ω) + (1/4Ω)) = 5/2Ω 이다.

    따라서 정답은 "5/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물질 내부의 전하들이 이동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저항
  2. 전력
  3. 전류
  4. 전압
(정답률: 75%)
  • 물질 내부의 전하들이 이동하는 것을 전류라고 합니다. 전류는 전자의 이동이나 이온의 이동으로 발생하며, 전기 에너지를 운반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전류는 전기 회로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1atm 4℃의 순수한 물의 비중량을 SI단위로 바르게 표현한 것은?

  1. 971N/m3
  2. 981N/m3
  3. 9710N/m3
  4. 9810N/m3
(정답률: 50%)
  • 1atm 4℃에서의 물의 밀도는 1000kg/m3이다. 따라서 비중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비중량 = 밀도 × 중력가속도 = 1000kg/m3 × 9.81m/s2 = 9810N/m3

    따라서 정답은 "9810N/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압축응력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압축응력은 응력의 방향이 전단응력과 동일하다.
  2. 압축응력은 응력이 단면에 직각방향으로 작용한다.
  3. 압축응력은 순수한 전단하중이 작용해도 발생한다.
  4. 굽힘하중이 작용해도 압축응력은 발생되지 않는다.
(정답률: 56%)
  • 압축응력은 단면 내부에서 응력이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단면에 수직 방향으로 압축력이 작용하는 것입니다. 이는 전단응력과는 방향이 다릅니다. 따라서 "압축응력은 응력이 단면에 직각방향으로 작용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자동제어

41. 다음 나이퀴스트 선도에 해당되는 전달 함수로 옳은 것은?

(정답률: 43%)
  • 선도에 해당하는 전달 함수는 "" 입니다. 이유는 선도는 다음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A가 B를 선도하고, B가 C를 선도하면, A는 C를 선도할 수 있다." 이때 A가 C를 선도하기 위해서는 B를 거쳐야 합니다. 따라서 A가 B를 거쳐 C를 선도하는 것과 같은 개념으로, "" 함수가 선도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전기식 서보기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작동속도가 유압식에 비해 느리다.
  2. 유압식에 비해 큰 출력을 얻을 수 있다.
  3. 전기식 서보기구에는 분사관식 서보기구가 있다.
  4. 유압식에 비해 경제성이 우수하고 취급이 용이하다.
(정답률: 64%)
  • 전기식 서보기구는 전기를 이용하여 작동하는 기구로, 유압식에 비해 경제성이 우수하고 취급이 용이합니다. 이는 유압식은 유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유체의 유지보수와 관리가 필요하며, 전기식은 전기만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유지보수와 관리가 간편하고 비용이 적게 듭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DC 서보모터의 설계 시 응답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토크의 맥동을 작게 한다.
  2. 기계적 시정수를 작게 한다.
  3. 순시 최대 토크까지의 선형성을 높인다.
  4. 전기적 시정수(인덕턴스/저항)를 크게 한다.
(정답률: 68%)
  • 전기적 시정수(인덕턴스/저항)를 크게 한다는 것은 모터의 응답 속도를 늦추는 것이므로, 응답을 개선하는 방법으로는 적절하지 않다. 인덕턴스나 저항을 크게 하면 전류가 느려지고, 모터의 회전속도가 느려지게 되어 응답 속도가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전기적 시정수를 작게 하는 것이 응답을 개선하는 방법으로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PLC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PLC언어에는 IL과 LD가 있다.
  2. PLC의 출력부에 AC 220V의 부하를 연결할 수 없다.
  3. PLC의 입력부에 AC 220V용 스위치를 연결할 수 있다.
  4. PLC의 명령어에는 비트 시프트, 전송, 비교 명령어가 있다.
(정답률: 63%)
  • "PLC의 출력부에 AC 220V의 부하를 연결할 수 없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PLC의 출력부에는 AC 220V의 부하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이는 PLC의 출력부가 DC 전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AC 전원을 사용하는 부하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AC-DC 전환기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그림에서 전달함수 G로 옳은 것은?

(정답률: 50%)
  • 전달함수 G는 입력 x와 출력 y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이다. 그림에서 x와 y는 비례 관계이므로 G는 y = kx (k는 상수)와 같은 형태의 함수이다. 이에 해당하는 보기는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물체의 위치나 방향, 자세 등의 기계적인 변위를 제어량으로 해서 목표값의 임의의 변화에 추종하도록 구성된 제어계는?

  1. 서보기구
  2. 자동조정
  3. 프로세스 제어
  4. 프로그래밍 제어
(정답률: 68%)
  • 서보기구는 기계적인 변위를 제어량으로 사용하여 목표값의 변화에 추종하는 제어계입니다. 따라서 물체의 위치나 방향, 자세 등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습니다. 자동조정, 프로세스 제어, 프로그래밍 제어는 서보기구와 관련이 있지만, 서보기구는 이러한 제어 방법들 중에서도 기계적인 변위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구성된 제어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유압 실린더의 속도제어 회로에 해당하는 것은?

  1. 미터인 회로, 블리드 오프 회로, 플립플롭 회로
  2. 미터아웃 회로, 로킹 회로, 카운터 밸런스 회로
  3. 언로드 회로, 플립플롭 회로, 카운터 밸런스 회로
  4. 미터인 회로, 미터아웃 회로, 블리드 오프 회로
(정답률: 70%)
  • 유압 실린더의 속도제어 회로는 유압 유량을 조절하여 실린더의 속도를 제어하는 회로이다. 이 회로에서 사용되는 미터인 회로는 유압 유량을 측정하는 회로이고, 미터아웃 회로는 측정된 유압 유량을 출력하는 회로이다. 블리드 오프 회로는 유압 유량을 제어하기 위해 유압 유량을 조절하는 회로로, 유압 유량을 조절하여 실린더의 속도를 제어한다. 따라서, 정답은 "미터인 회로, 미터아웃 회로, 블리드 오프 회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전달함수 인 2차제어시스템으로 옳은 것은?

  1. 과제동시스템
  2. 무제동시스템
  3. 부족제동시스템
  4. 임계제동시스템
(정답률: 60%)
  • 전달함수가 임계값을 넘어설 때 제어를 가하는 시스템을 임계제동시스템이라고 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전달함수가 임계값을 넘어설 때 제어를 가하는 2차제어시스템이 임계제동시스템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분해능이 8bit이고 기준 입력 전압(Vref)범위가 0~5V를 가지고 있는 D/A컴버터에 디지털 출력값으로 128을 출력하였을 경우 출력전압[V]은?

  1. 1.5
  2. 2
  3. 2.5
  4. 3
(정답률: 48%)
  • 분해능이 8bit이므로 디지털 출력값의 범위는 0~255이다. 이를 0~5V의 전압 범위로 변환하면 0~5V를 256단계로 나눈 값이 된다. 따라서 1단계당 전압은 5V/256 = 0.0195V 이다. 디지털 출력값이 128일 때, 전압은 128 x 0.0195V = 2.5V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논리식 를 드모르간 정리를 이용하여 간소화한 것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5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특성 방정식 s4+3s3+2s2+5s+k=0으로 표시되는 시스템이 안정되려면 k의 범위는?

(정답률: 46%)
  • 안정되려면 시스템의 근들이 모두 좌표축의 좌측 반평면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특성방정식의 근들이 모두 실수이고 음수일 때 안정되므로, k의 값이 어떤 경우에도 특성방정식의 근들이 모두 음수가 되도록 해야 한다. 이를 만족하는 k의 범위는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프로그램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은 메모리상에서 비트를 왼쪽으로 이동, &은 비트 OR 연산자이다.
  2. >>은 메모리상에서 비트를 왼쪽으로 이동, &은 비트 AND 연산자이다.
  3. >>은 메모리상에서 비트를 오른쪽으로 이동, &은 비트 OR 연산자이다.
  4. >>은 메모리상에서 비트를 오른쪽으로 이동, &은 비트 AND 연산자이다.
(정답률: 64%)
  • 정답은 ">>은 메모리상에서 비트를 오른쪽으로 이동, &은 비트 AND 연산자이다." 이다. &은 비트 AND 연산자로, 두 비트가 모두 1일 경우에만 결과값이 1이 된다. >>은 비트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는 연산자로, 이동시키는 비트 수만큼 오른쪽 끝에 0을 채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무접점 시퀀스와 비교한 유접점 시퀀스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동작속도가 느리다.
  2. 소비전력이 비교적 작다.
  3. 접점 등의 마모가 발생한다.
  4. 기계적 진동, 충격에 약하다.
(정답률: 58%)
  • 소비전력이 비교적 작다는 것이 틀린 것이다. 유접점 시퀀스는 접점 등의 마모가 발생하지 않고 기계적 진동, 충격에도 강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무접점 시퀀스에 비해 동작속도가 느리고 소비전력이 높은 특징이 있다. 이는 유접점 시퀀스가 전기적인 접촉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소비전력이 무접점 시퀀스보다 높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타이머를 사용하여 어떤 목표 시간에 점등하는 회로의 제어방식으로 적절한 것은?

  1. 공정 제어
  2. 순차 제어
  3. 되먹임 제어
  4. 폐회로 제어
(정답률: 65%)
  • 타이머를 사용하여 어떤 목표 시간에 점등하는 회로는 순차 제어 방식으로 적절합니다. 이는 타이머가 설정한 시간이 되면 순서대로 다음 동작을 수행하며, 이를 통해 목표 시간에 점등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제어 방식들은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PLC의 CPU부 구성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연산부
  2. 데이터 메모리부
  3. 래더 다이어그램부
  4. 프로그램 메모리부
(정답률: 61%)
  • PLC의 CPU부 구성에는 연산부, 데이터 메모리부, 프로그램 메모리부가 포함되지만, 래더 다이어그램부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래더 다이어그램은 PLC 프로그래밍 언어 중 하나이며, 프로그램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CPU가 실행합니다. 따라서 래더 다이어그램은 CPU부 구성 요소가 아니라 PLC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기계적 병진운동 시스템의 세 가지 기본 특성이 아닌 것은?

  1. 감쇠
  2. 속도
  3. 질량
  4. 탄성
(정답률: 36%)
  • 속도는 기계적 병진운동 시스템의 세 가지 기본 특성 중 하나가 아닙니다. 이는 기계적 병진운동 시스템에서 물체의 운동 상태를 나타내는 속성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기계적 병진운동 시스템의 세 가지 기본 특성은 감쇠, 질량, 탄성입니다. 감쇠는 시스템 내부에서 일어나는 에너지 손실을 나타내며, 질량은 물체의 무게와 관련된 속성입니다. 탄성은 물체가 변형된 후 원래의 모양으로 돌아오는 능력을 나타내는 속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온도, 유량, 압력 등을 제어량으로 하는 제어에 적합한 제어 방식은?

  1. 서보 제어
  2. 정치 제어
  3. 개루프 제어
  4. 프로세스 제어
(정답률: 62%)
  • 온도, 유량, 압력 등과 같은 제어량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는 연속적인 값이므로, 이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프로세스 제어 방식이 적합합니다. 프로세스 제어는 연속적인 값을 측정하고, 이를 피드백하여 제어량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제어량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온도, 유량, 압력 등을 제어하는 경우에는 프로세스 제어 방식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PLC 입력부에 사용되는 기기가 아닌 것은?

  1. 엔코더
  2. 근접센서
  3. 전자밸브
  4. 리밋 스위치
(정답률: 54%)
  • PLC 입력부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부분이므로, 전자밸브와 같은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는 기기는 입력부에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자밸브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괄호에 알맞은 것은?

  1. 26.8
  2. 30.5
  3. 63.2
  4. 70.4
(정답률: 61%)
  • 주어진 그래프는 빈도수 분포표의 상대도수 그래프이다. 따라서 각 구간의 상대도수는 해당 구간의 빈도수를 전체 자료의 개수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50~70 구간의 상대도수는 (해당 구간의 빈도수) / (전체 자료의 개수) = 16 / 25 = 0.64 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소수점 첫째자리까지만 답을 구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므로, 0.64를 반올림하여 0.6으로 계산한다.

    따라서 50~70 구간의 상대도수는 0.6이고, 이 구간의 중앙값은 60이다. 따라서 전체 자료의 중앙값은 60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소수점 첫째자리까지만 답을 구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므로, 60을 반올림하여 63.2로 계산한다.

    따라서 정답은 "63.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무접점 스퀀스를 구성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논리회로
  2. 입력회로
  3. 출력회로
  4. 공기압회로
(정답률: 70%)
  • 공기압회로는 전기적인 신호가 아닌 공기압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달하는 회로이기 때문에 무접점 스퀀스를 구성하는 요소가 아닙니다. 무접점 스퀀스는 전기적인 신호를 이용하여 신호를 전달하는 회로들로 구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메카트로닉스

61. 디지털 시스템의 출력 장치나 구동 장치에서 연산되어진 계산 값들을 적절한 구동신호로 바꾸어 출력하는 장치는?

  1. 인버터
  2. A/D변환기
  3. D/A변환기
  4. 초퍼 변환기
(정답률: 59%)
  • 디지털 시스템에서는 모든 데이터가 0과 1로 이루어진 디지털 신호로 처리됩니다. 하지만 출력 장치나 구동 장치에서는 아날로그 신호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해주는 장치가 필요한데, 이것이 D/A변환기입니다. D/A변환기는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아 적절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D/A변환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발광부와 수광부가 서로 마주보고 배치되어 있고 이 사이에 물체가 들어가면 빛이 차단되어 출력을 내보내는 원리로 회전속도제어, 위치제어, 계수 등에 사용되는 센서는?

  1. 로드 셀
  2. 자기 센서
  3. 유도형 센서
  4. 포토 인터럽트
(정답률: 67%)
  • 포토 인터럽트는 발광부와 수광부가 마주보고 물체가 들어가면 빛이 차단되어 출력을 내보내는 센서입니다. 이 원리를 이용하여 회전속도제어, 위치제어, 계수 등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포토 인터럽트가 정답입니다. 로드 셀은 무게를 측정하는 센서, 자기 센서는 자기장을 감지하는 센서, 유도형 센서는 근접한 물체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중앙처리장치(CPU)의 주요 기능이 아닌 것은?

  1. 메모리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2. 외부 인터럽트에 응답하여 처리한다.
  3. 프로그램 명령을 인출, 해독, 실행한다.
  4. DMA(Direct Memory Access)를 처리하다.
(정답률: 61%)
  • CPU는 DMA(Direct Memory Access)를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DMA 컨트롤러를 통해 메모리와 입출력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을 관리한다. DMA는 CPU의 개입 없이 입출력 장치와 메모리 간 데이터 전송을 처리하는 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DC서보모터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제어성이 좋다.
  2. 속도제어 점위가 넓다.
  3. 열이 발생하지 않는다.
  4. 크기에 비해 큰 토크를 발생한다.
(정답률: 70%)
  • DC서보모터의 특징 중에서 "열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틀린 것입니다. DC서보모터는 작동 시 전기 에너지를 운동 에너지로 변환하므로, 전기 에너지의 일부는 열로 소비됩니다. 따라서 DC서보모터도 작동 중에는 일정량의 열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기호의 명칭은?

  1. 다이오드
  2. 트라이악
  3. 사이리스터
  4. 트랜지스터
(정답률: 61%)
  • 위 기호는 "트라이악"을 나타내며, 세 개의 다이오드가 결합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트라이악"은 AC 전원에서의 전류 조절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회로의 논리식으로 옳은 것은?

  1. Y=A+B
  2. Y=A(A+B)
  3. Y=(AB-A)B
(정답률: 72%)
  • AND 게이트와 OR 게이트를 이용하여 논리식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A와 B가 AND 게이트에 입력되어 있으므로, AND 게이트의 출력은 A와 B가 모두 1일 때 1이 됩니다.

    그리고 A와 (A+B)가 OR 게이트에 입력되어 있으므로, OR 게이트의 출력은 A와 (A+B) 중 하나 이상이 1일 때 1이 됩니다.

    따라서, 전체 논리식은 Y=A(A+B)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반도체의 결합으로서 두 원소의 금속성과 비금속성의 차가 크지 않은 원소로 이루어진 두 개의 원자가 서로의 가전자를 내놓고 서로 반응하여 생기는 결합은?

  1. 공유결합
  2. 금속결합
  3. 이온결합
  4. 수소결합
(정답률: 65%)
  • 공유결합은 두 원자가 서로의 가전자를 공유하여 결합하는 것으로, 금속성과 비금속성의 차이가 크지 않은 원소들끼리 서로 결합할 때 주로 일어납니다. 이는 두 원자가 서로 전자를 나누어 가지며, 이를 통해 두 원자가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반도체에서도 공유결합이 많이 일어나며, 이는 반도체의 전기적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불(boolean) 연산이 아닌 것은?

  1. Union(합집합)
  2. Project(투영합)
  3. Intersect(교집합)
  4. Subtract(차집합)
(정답률: 70%)
  • 투영합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특정 속성을 선택하여 새로운 릴레이션을 만드는 연산이다. 따라서 불(boolean) 연산과는 다른 개념이다. 합집합, 교집합, 차집합은 모두 두 개 이상의 집합을 다루는 불(boolean) 연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스테핑모터의 회전 속도를 결정하는 것은?

  1. 여자 전류
  2. 펄스 진폭
  3. 입력 펄스 수
  4. 입력 펄스 주파수
(정답률: 57%)
  • 스테핑모터는 입력 펄스를 받아서 회전을 합니다. 따라서 입력 펄스의 주파수가 높을수록 스테핑모터의 회전 속도가 빨라집니다. 따라서 스테핑모터의 회전 속도를 결정하는 것은 입력 펄스 주파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파형의 주파수[Hz]는?

  1. 1
  2. 2
  3. 4
  4. 8
(정답률: 73%)
  • 주파수는 1초당 진동수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파형의 주기는 4분의 1초이므로, 주파수는 1초당 4번 진동하므로 4Hz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4"가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키르히호프 제1법칙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회로망의 해석에 자주 사용되는 전류 법칙이다.
  2. 한 점에 유입되는 전류의 합과 유출되는 전류의 합은 같다.
  3. 한 점에 유입되는 전류와 유출되는 전류의 합은 0이다.
  4. 한 점에 유입되는 전류와 유출되는 전류의 합은 대수합과 같다.
(정답률: 49%)
  • 정답은 "한 점에 유입되는 전류와 유출되는 전류의 합은 0이다." 이다.

    키르히호프 제1법칙은 회로망에서 한 점에 유입되는 전류와 유출되는 전류의 합이 0이라는 법칙이다. 이는 전류의 보존 법칙으로, 전류는 어디서나 보존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한 점에서 유입되는 전류와 유출되는 전류의 합은 대수합과 같다는 설명은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접시머리 나사의 머리 부분을 묻히게 하기 위해 자리를 파는 작업은?

  1. 스텝 보링(step boring)
  2. 스폿 페이싱(spot facing)
  3. 카운터 보링(counter boring)
  4. 카운터 싱킹(counter sinking)
(정답률: 64%)
  • 카운터 싱킹은 접시머리 나사의 머리 부분을 묻히게 하기 위해 자리를 파는 작업으로, 나사 머리가 부드럽게 들어갈 수 있도록 새겨진 홈을 만드는 과정이다. 스텝 보링은 다양한 지름의 구멍을 만들기 위해 단계적으로 드릴링하는 작업이고, 스폿 페이싱은 표면을 평평하게 만들기 위해 작은 양의 재료를 제거하는 작업이다. 카운터 보링은 구멍의 깊이를 균일하게 만들기 위해 드릴링하는 작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RL병렬회로의 임피던스는?

(정답률: 49%)
  • RL병렬회로의 임피던스는 이다. 이유는 병렬회로에서는 전압은 같고 전류는 각 분기점에서 나뉘어 흐르기 때문에, 각각의 분기점에서의 임피던스는 역수의 합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RL병렬회로에서는 R과 L의 임피던스가 역수의 합으로 계산되어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금속의 기계적 성질 중 금속재료에 압력이나 타격을 가할 때, 종이처럼 얇게 잘펴지는 성질은?

  1. 전성
  2. 융해성
  3. 절삭성
  4. 접합성
(정답률: 68%)
  • 금속재료에 압력이나 타격을 가할 때, 금속 입자들이 서로 밀착되어 있는 결정구조를 미세하게 이동하면서 금속재료가 얇게 펴지는 성질을 전성이라고 합니다. 이는 금속재료의 결정구조가 규칙적이고 밀도가 높기 때문에 가능한 성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8개의 데이터 선과 10개의 어드레스 선을 갖는 램(RAM)이 저장할 수 있는 최대 바이트 수는?

  1. 80
  2. 256
  3. 1024
  4. 8192
(정답률: 48%)
  • 8개의 데이터 선은 2의 8승(256)개의 바이트를 저장할 수 있고, 10개의 어드레스 선은 2의 10승(1024)개의 바이트를 저장할 수 있으므로, 램이 저장할 수 있는 최대 바이트 수는 102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2진수 101010의 10진수 변환결과로 옳은 것은?

  1. 32
  2. 42
  3. 52
  4. 62
(정답률: 72%)
  • 2진수 101010은 각 자리수가 2의 제곱수로 이루어진 수이다. 따라서 101010은 2^5 + 2^3 + 2^1 = 32 + 8 + 2 = 42이다. 따라서 정답은 "4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진리표에 해당되는 논리식은?

  1. Y=A+B
  2. Y=A·B
  3. Y=A⊕B
  4. Y=A⊙B
(정답률: 68%)
  • 논리식에서 Y는 A와 B의 배타적 논리합(XOR)을 나타내는 것으로, A와 B가 서로 다른 경우에만 1이 되고 같은 경우에는 0이 된다. 따라서 Y=A⊕B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AC서보모터와 DC서보모터의 구조상 가장 큰 차이점은?

  1. 브러시 유무
  2. 영구자석 유무
  3. 고정자 코일 유무
  4. 전기차 코일 유무
(정답률: 64%)
  • AC서보모터와 DC서보모터의 구조상 가장 큰 차이점은 "브러시 유무"입니다. AC서보모터는 브러시가 없고, DC서보모터는 브러시가 있습니다. 브러시는 전기적 신호를 모터 내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AC서보모터는 브러시가 없어서 유지보수가 쉽고, 브러시가 없기 때문에 내구성이 높습니다. 반면에 DC서보모터는 브러시가 있어서 내구성이 낮고, 유지보수가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전자력(electromagnetic force)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음, 양의 전하가 대전되어 생기는 힘이다.
  2. 전기에너지에 의해 일을 한 속도와 힘이다.
  3. 서로 같은 극 사이에서 흡인력이 작용하는 힘이다.
  4. 자장 내에 있는 도체에 전류를 홀리면 작용하는 힘이다.
(정답률: 56%)
  • 전자력은 전하에 의해 발생하는 힘이며, 자장 내에 있는 도체에 전류를 홀리면 작용하는 힘이다. 이는 전류가 자기장을 만들어내고, 이 자기장이 다른 전하에게 힘을 전달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8비트 2진수 0010 0110을 2의 보수로 변환한 결과로 옳은 것은?

  1. 1101 1001
  2. 1101 1011
  3. 1101 1010
  4. 1101 0001
(정답률: 52%)
  • 8비트 2진수 0010 0110을 2의 보수로 변환하려면 먼저 1의 보수를 취한 후 1을 더해주면 된다.

    1의 보수는 0을 1로, 1을 0으로 바꾸면 된다. 따라서 0010 0110의 1의 보수는 1101 1001이 된다.

    이제 1을 더해준다. 1101 1001 + 1 = 1101 1010이므로, 정답은 "1101 10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