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2-03-05)

축산기사
(2022-03-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가축육종학

1. 산유량에 대한 어린 수송아지의 선발 방법으로 알맞은 것은?

  1. 개체 선발
  2. 혈통 선발
  3. 형매 검정
  4. 후대 검정
(정답률: 54%)
  • 산유량은 유전적인 특성이 크게 작용하는 요인이므로, 혈통 선발 방법이 가장 적합합니다. 혈통 선발은 부모 동물의 유전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적합한 부모를 선택하여 번식시키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어린 수송아지의 산유량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선발 지수를 산출하는데 필요한 자료가 아닌 것은?

  1. 육종가
  2. 유전력
  3. 상대적 경제가치
  4. 유전 상관 계수
(정답률: 53%)
  • 선발 지수를 산출하는데 필요한 자료는 유전력, 상대적 경제가치, 유전 상관 계수이다. 육종가는 동물의 육질과 관련된 지표로, 선발 지수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따라서 육종가는 선발 지수를 산출하는데 필요한 자료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R의 가계도가 다음과 같을 때 R의 근교계수는? (단, FA = 0)

  1. 0.10
  2. 0.25
  3. 0.50
  4. 0.75
(정답률: 91%)
  • R의 근교계수는 R과 R의 모든 이웃 노드들 간의 연결이 존재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지수입니다.

    위의 가계도에서 R의 이웃 노드는 A, B, C, D, E, F, G, H, I, J입니다. 이 중에서 R과 연결된 노드는 A, B, C, D, E, G, H, I, J이므로 R의 근교계수는 9/36 = 0.25입니다.

    FA = 0이라는 조건은 A와 F 사이에는 연결이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A와 F를 제외한 모든 노드들 간의 연결 수는 36-1 = 35개이며, 이 중에서 R과 연결된 노드는 9개이므로 근교계수는 9/35 = 0.25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종간 잡종인 노새를 얻기 위한 교배법은?

  1. 암말과 수나귀간의 교배
  2. 암나귀와 수말간의 교배
  3. 암소와 수나귀간의 교배
  4. 암나귀와 수소간의 교배
(정답률: 83%)
  • 암말과 수나귀간의 교배는 종간 잡종인 노새를 얻기 위한 교배법 중 하나입니다. 이는 암말과 수나귀를 교배하여 태어난 새끼를 말합니다. 이 교배법은 암말과 수나귀의 유전자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새로운 형질을 가진 노새를 얻을 수 있습니다. 노새는 일반적으로 크기가 작고 힘이 약한 편이지만, 높은 내구성과 건강성을 가지고 있어서 농경지나 산업용으로 이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우리나라에서 사육하고 있는 주요 돼지 품종인 듀록, 요크셔, 랜드레이스 3원교잡종 돼지에서 기대하는 잡종강세 현상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잡종 종빈돈의 산자능력이 우수하다.
  2. 잡종 자돈의 이유 시 체중이 순종보다 가볍다.
  3. 잡종은 순종에 비하여 이유 후 성장이 빨라 일당증체량이 높다.
  4. 잡종 자돈의 사산비율이 낮고, 출생 시 활력이 강하여 이유 시까지의 생존율이 높다.
(정답률: 90%)
  • 정답: "잡종 자돈의 이유 시 체중이 순종보다 가볍다."

    이유: 잡종강세 현상은 잡종 돼지의 유전적 다양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으로, 잡종 종빈돈의 산자능력이 우수하고, 이유 후 성장이 빠르며 일당증체량이 높아지는 등의 이점이 있다. 하지만 체중이 순종보다 가벼운 것은 잡종 돼지의 특징 중 하나이다. 이는 잡종 돼지의 유전적 다양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이는 잡종 돼지의 다양한 유전자가 혼합되어 체중이 순종보다 가벼워지는 결과를 가져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한우 선발육종 시 생시체중(Birth weight)에 역점을 두는 경우 예상되는 위험성은?

  1. 난산(難産)의 우려
  2. 과적(過積)의 우려
  3. 왜소의 우려
  4. 장기재태(長旗在胎)의 우려
(정답률: 75%)
  • 한우 선발육종 시 생시체중에 역점을 두면, 새끼 소의 크기가 커져서 산모 소의 자궁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난산(難産)의 우려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근친교배의 이용 목적이 아닌 것은?

  1. 어떤 유전자를 고정하고자 할 때
  2. 특정개체와 혈연관계가 높은 자손을 생산하기 위해
  3. 근교계통을 조성하여 근교계통 간 교잡으로 잡종강세를 얻기 위해
  4. 근친교배를 통해 산란율, 수정율과 같은 생산능력을 높이고자 할 때
(정답률: 67%)
  • 근친교배를 통해 산란율, 수정율과 같은 생산능력을 높이고자 할 때는 올바른 유전자 다양성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근친교배를 하면 안됩니다. 따라서, 이용 목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X의 가계도가 다음과 같을 때 X의 생산에 이용된 교배법은?

  1. 퇴교배(back cross)
  2. 누진교배(grading up)
  3. 계통교배(line breeding)
  4. 무작위 교배(random mating)
(정답률: 74%)
  • X의 가계도를 보면 한 조상으로부터 유래한 개체들이 많이 존재하고, 그 중에서도 특정한 개체들이 많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계통교배(line breeding)이 가장 적합한 교배법입니다. 계통교배는 특정한 개체를 계속해서 교배시켜서 그 개체의 유전적 특성을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한 조상으로부터 유래한 개체들이 많은 상황에서는 특정한 개체의 유전적 특성을 고정시키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유전인자의 다면작용(pleiotropism)이란?

  1. 1개의 유전자가 다수의 형질에 관여하는 현상
  2. 1개의 형질에 다수의 유전자가 관여하는 현상
  3. 다수 유전자 중에서 특정형질에만 특정유전자가 관여 하는 현상
  4. 다수 유전자가 복합적으로 원래 유전자 작용이 아닌 특수한 작용을 하는 현상
(정답률: 85%)
  • 유전인자의 다면작용(pleiotropism)은 하나의 유전자가 다수의 형질에 관여하는 현상입니다. 즉, 하나의 유전자가 여러 가지 형질을 결정하는 것입니다. 이는 유전자의 작용이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인간의 유전자 중 하나인 SLC24A5는 피부색, 눈색, 머리색 등 다양한 형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돼지 생산에 있어 모돈의 잡종강세와 자돈의 잡종강세를 모두 이용할 수 있는 교배 방법은?

  1. 무작위 교배
  2. 순종교배
  3. 2품종 종료교배
  4. 3품종 종료교배
(정답률: 84%)
  • 3품종 종료교배는 모돈과 자돈의 잡종강세를 모두 이용할 수 있는 교배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먼저 모돈과 자돈을 교배하여 F1을 얻은 후, F1과 다른 종의 돈을 교배하여 F2를 얻는 방법입니다. 이렇게 하면 F2에서는 모돈과 자돈의 특성이 모두 나타나게 되어 잡종강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돼지의 등지방 두께에 대한 유전력은 0.5로 고도의 유전력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유전력이 높은 형질을 개량하는데 있어 가장 좋은 선발 방법은?

  1. 개체 선발
  2. 혈통 선발
  3. 형매 검정
  4. 후대 검정
(정답률: 73%)
  • 유전력이 높은 형질을 개량하는데 있어 가장 좋은 선발 방법은 개체 선발입니다. 이는 개체의 유전자를 직접 조사하여 원하는 형질을 가진 개체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혈통 선발이나 형매 검정, 후대 검정보다 더 정확하고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개체 선발은 유전자 조작 기술이 발전하기 전부터 사용되어 왔으며, 현재도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돼지의 선발 시 고려사항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암퇘지보다는 수퇘지를 선발함으로써 개량의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2. 암퇘지에 비해 수퇘지의 종돈 소요두수가 적으므로 선발강도를 낮추어야 한다.
  3. 선발된 암퇘지는 번식적령기에 도달 시 수태성적 등에 근거하여 일부 불량 개체는 도태한다.
  4. 능력이 우수한 경우라도 사지와 발굽의 상태가 불량하면 도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답률: 82%)
  • "능력이 우수한 경우라도 사지와 발굽의 상태가 불량하면 도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돼지의 선발 시 고려사항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능력이 우수한 돼지라도 사지와 발굽의 상태가 불량하다면 이는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한 것이며, 이는 개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선발 시 고려사항으로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암퇘지에 비해 수퇘지의 종돈 소요두수가 적으므로 선발강도를 낮추어야 한다."는 수퇘지를 선발함으로써 개량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적절한 고려사항입니다. 수퇘지는 암퇘지에 비해 종돈 소요두수가 적기 때문에 선발강도를 낮추어 개체 수를 늘리는 것이 더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산란계의 경제형질이 아닌 것은?

  1. 산란능력
  2. 난중
  3. 육성율
  4. 난형지수
(정답률: 86%)
  • 산란능력, 난중, 난형지수는 모두 산란계의 경제형질로서, 생산성과 직결된다. 하지만 육성율은 산란능력과는 다르게, 산란 후 새끼가 생존하여 성장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생산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따라서 육성율은 산란계의 경제형질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무각적색(PPRR)과 유각백색(pprr)인 Shorthorn종 육우를 교배하여 생산한 F1(PpRr)의 표현형이 무각조모색으로 나타났다. 멘델이 세웠던 가설 중 어느 것에 모순되는가?

  1. 특정 형질의 발현을 조절하는 유전인자는 한 쌍으로 되어 있다.
  2. 한 쌍의 유전인자는 양친으로부터 하나씩 물려받은 것이다.
  3. 생식 세포가 만들어질 때 유전인자들은 분리된 단위로서, 각 배우자에게 독립적으로 분배된다.
  4. 한 쌍의 유전인자가 서로 다를 때 한 인자가 다른 인자를 억제시키고 그 인자만이 발현된다.
(정답률: 78%)
  • 생산된 F1(PpRr)의 표현형이 무각조모색으로 나타난 것은 "한 쌍의 유전인자가 서로 다를 때 한 인자가 다른 인자를 억제시키고 그 인자만이 발현된다." 가설에 모순된다. 이는 무각적색과 유각백색이 서로 다른 유전자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다. 만약 억제작용이 없었다면, F1의 표현형은 무각적색과 유각백색의 혼합색이 나타났을 것이다.

    한 쌍의 유전인자가 서로 다를 때 한 인자가 다른 인자를 억제시키고 그 인자만이 발현되는 이유는, 서로 다른 유전자가 서로 다른 형태의 단백질을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이 단백질들은 특정 형질의 발현을 조절하는데 관여하며, 한 유전자가 다른 유전자를 억제시키면서 그 형질을 발현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을 우리는 "우열을 가리는 역할"이라고 부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돼지의 경제적 개량 형질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유량
  2. 이유시 체중
  3. 복당 산자수
  4. 도체의 품질
(정답률: 84%)
  • 유량은 돼지의 경제적 개량 형질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유량은 유전적으로 쉽게 조절할 수 없는 형질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량을 개량하는 것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어가며, 그 결과가 불확실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이유시 체중, 복당 산자수, 도체의 품질은 상대적으로 쉽게 개량할 수 있는 형질이기 때문에 경제적인 개량 형질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요크셔(Yorkshire)종과 폴란드차이나(Poland China)종간 1대 잡종 돼지의 모색은?

  1. 흑색
  2. 적색
  3. 갈색
  4. 백색
(정답률: 77%)
  • 요크셔종은 흰색, 폴란드차이나종은 검은색 또는 흑갈색이므로, 이 두 종을 교배하면 백색 돼지가 나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백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공식은 무엇을 추정하는데 쓰이는 것인가?

  1. 육종가
  2. 선발차
  3. 유전상관
  4. 유전적 개량량
(정답률: 77%)
  • 위 공식은 유전적 개량량을 추정하는데 사용된다. 이는 유전적 특성을 개량하기 위해 필요한 개체의 수를 추정하는 것이다. "육종가"는 유전적 개량을 위해 선택된 개체들의 평균 유전적 가치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선발차"는 개체들 간의 유전적 차이를 나타내는 지표이고, "유전상관"은 두 개체 간의 유전적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어느 젖소 집단에 있어 유전자가 Hardy-Weinberg 평형상태에 있을 때, 흑색인자의 유전자 빈도를 a라 하면 이 집단에서 3세대 경과 후 이의 유전자 빈도는 어떻게 변화되겠는가?

  1. a
  2. a+3
  3. a×3
  4. a3
(정답률: 77%)
  • Hardy-Weinberg 평형상태에서는 유전자 빈도가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3세대 경과 후에도 흑색인자의 유전자 빈도는 여전히 a이다. 따라서 정답은 "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돼지의 경제형질에 대한 유전력이 가장 낮은 것은?

  1. 복당산자수
  2. 일당증체량
  3. 사료효율
  4. 등지방두께
(정답률: 75%)
  • 복당산자수는 돼지의 경제형질 중에서는 가장 유전력이 낮은 것으로, 돼지의 육질과는 관련이 없는 혈당 조절과 관련된 형질이기 때문입니다. 일당증체량은 돼지의 성장속도와 관련된 형질, 사료효율은 돼지가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료를 소화하고 성장하는지에 관련된 형질, 등지방두께는 돼지의 지방층 두께와 관련된 형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주로 양적형질의 유전에 관여하며, 형질발현에 관계된 유전자수의 수는 대단히 많으나 유전자 개개의 작용 역가는 극히 경미해 환경변이 효과보다 적다. 이러한 유전자 작용은?

  1. 유전자의 다면 작용(polymorphism)
  2. 중복 유전자(duplicate gene)
  3. 복다 유전자(multiple gene)
  4. 중다 유전자(polygene)
(정답률: 60%)
  • 답: 중다 유전자는 양적형질의 유전에 관여하며, 형질발현에 관계된 유전자수의 수가 많고 개개의 작용 역가가 경미해 환경변이 효과보다 적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중다 유전자는 양적형질의 복잡한 유전적 기반을 담당하는 유전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가축번식생리학

21. 다배란을 유도시킨 한우로부터 수정란을 비외과적으로 채취할 때 가장 적당한 시기는?

  1. 수정직전
  2. 수정직후
  3. 착상직전
  4. 착상직후
(정답률: 54%)
  • 한우의 수정란이 다배란을 유도시키는 경우, 수정란이 출현하는 시기는 일반적으로 착상 직전입니다. 따라서 수정란을 비외과적으로 채취하기에 가장 적합한 시기는 착상 직전입니다. 이 시기에 채취된 수정란은 다른 수컷의 정자와 함께 인공수정을 통해 배아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모축의 자궁에 착상되는 수정란의 단계는?

  1. 8세포기
  2. 16세포기
  3. 상실배
  4. 배반포
(정답률: 78%)
  • 모축의 자궁에 착상된 수정란은 분열을 거쳐 16개의 세포로 나누어지는데, 이 중에서 외부와 접촉하는 면이 있는 세포가 배반포이다. 따라서 정답은 "배반포"이다. 8세포기와 16세포기는 각각 8개와 16개의 세포로 나누어진 단계를 의미하며, 상실배는 배반포 이후에 발생하는 단계로서, 내부 세포들이 중심으로 모여들어 상부에 위치한 공간을 만들어내는 단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정자의 생존성과 운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정자의 운동은 정액의 pH가 7.0일 때 가장 활발하다.
  2. 정자의 운동을 활발하게 하기 위해서는 회석액 내 고농도의 Ca와 P가 필요하다.
  3. 정액을 급속도로 냉각하면 정자의 활력은 저하한다.
  4. 직사광선은 정자의 활력을 일시적으로 증가시키지만 곧이어 유해하게 작용한다.
(정답률: 61%)
  • "정자의 생존성과 운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에 대한 답은 없습니다. 따라서 각 보기에 대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 "정자의 운동은 정액의 pH가 7.0일 때 가장 활발하다.": 맞는 설명입니다. 정자의 운동성은 정액의 pH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pH가 7.0일 때 가장 운동이 활발해집니다.
    - "정자의 운동을 활발하게 하기 위해서는 회석액 내 고농도의 Ca와 P가 필요하다.": 맞는 설명입니다. 정자의 운동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회석액 내 Ca와 P의 농도가 일정 수준 이상 유지되어야 합니다.
    - "정액을 급속도로 냉각하면 정자의 활력은 저하한다.": 맞는 설명입니다. 정액을 급속도로 냉각하면 정자의 활력이 감소하게 되므로, 정자의 생존성과 운동성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 "직사광선은 정자의 활력을 일시적으로 증가시키지만 곧이어 유해하게 작용한다.": 맞는 설명입니다. 직사광선은 일시적으로 정자의 활력을 증가시키지만, 오래 노출되면 정자의 DNA를 손상시키고 생존성과 운동성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자의 운동을 활발하게 하기 위해서는 회석액 내 고농도의 Ca와 P가 필요하다."에 대한 설명은 맞는 설명입니다. 회석액 내 Ca와 P의 농도가 일정 수준 이상 유지되어야 정자의 운동성이 유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난소에서 난포가 배란된 위치에 처음으로 생기는 것은?

  1. 백체
  2. 황체
  3. 난구
  4. 과립막
(정답률: 68%)
  • 난소에서 난포가 배란된 위치에 처음으로 생기는 것은 황체입니다. 이는 난포가 배란 후에 그 자리에 형성되는 임시적인 내분비선으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을 분비하여 배란과 임신을 조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임신을 유지시키는 성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1. 에스트로겐(estrogen)
  2.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
  3.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4. 황체형성호르몬(LH)
(정답률: 71%)
  • 프로게스테론은 임신 초기에 배아가 자라고 발달할 수 있도록 자궁 내막을 두껍게 만들어주고, 임신 후반기에는 자궁 경추근을 이완시켜 분만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또한, 프로게스테론은 태반의 형성과 유지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프로게스테론은 임신을 유지시키는 성 스테로이드 호르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분만 후 모체가 정상적인 상태로 회복되는 산욕기에 일어나는 생리적 변화가 아닌 것은?

  1. 황체퇴행
  2. 자궁 퇴축
  3. 자궁내막 재생
  4. 발정재귀
(정답률: 59%)
  • 황체퇴행은 분만 후에 일어나는 생리적 변화 중 하나입니다. 황체는 임신 초기에 형성되어 프로게스테론을 분비하며 임신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분만 후에는 태아와 태반이 제거되면서 황체도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어 퇴행하게 됩니다. 따라서 황체퇴행은 정상적인 생리적 변화 중 하나입니다. 자궁 퇴축, 자궁내막 재생, 발정재귀도 모두 분만 후에 일어나는 정상적인 생리적 변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정소상체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정자의 생산
  2. 정자의 운반
  3. 정자의 성숙
  4. 정자의 저장
(정답률: 75%)
  • 정소상체는 정자의 생산에는 관여하지 않습니다. 정소상체는 남성의 생식기에서 생산되어 정자를 운반하고 성숙시키며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젖소의 난포낭종이 발생하는 가장 직접적인 원인은?

  1. 난포자극호르몬(FSH)의 분비부족
  2. 황체형성호르몬(LH)의 분비과잉
  3. 황체형성호르몬(LH)의 분비부족
  4. 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의 분비부족
(정답률: 53%)
  • 젖소의 난포낭종은 난포안에 액체가 축적되어 발생하는 것인데, 이는 황체형성호르몬(LH)의 분비부족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LH는 난포안의 액체를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분비가 부족하면 액체가 축적되어 난포낭종이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황체형성호르몬(LH)의 분비부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소에서 교배(인공수정) 후 정자와 난자가 난관팽대부에서 만나 수정을 완료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1. 5~8시간
  2. 10~12시간
  3. 20~24시간
  4. 30~36시간
(정답률: 57%)
  • 소에서 교배 후 정자와 난자가 만나 수정을 완료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평균적으로 20~24시간이다. 이는 정자와 난자가 난관팽대부에서 만나서 결합하고, 수정이 완료되기까지의 시간을 의미한다. 이 과정에서는 여러 가지 생리학적인 요인들이 작용하며, 이에 따라 시간이 달라질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20~24시간이 소요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배반포에서 태아로 발달되는곳은?

  1. 간질세포
  2. 영양막
  3. 투명대
  4. 내부세포괴
(정답률: 70%)
  • 배반포에서 태아로 발달되는 곳은 내부세포괴입니다. 이는 배반포 내부에 위치한 세포로, 태아의 발달 초기에 중추신경계와 내분비계를 형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내부세포괴는 신경세포와 인지세포로 분화되어 중추신경계와 내분비계를 구성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암소의 발정시기에 나타나는 내외부적 현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대부분의 암소는 발정전기부터 수컷을 허용한다.
  2. 발정기에는 에스트로겐이 왕성하게 분비된다.
  3. 발정후기에는 황체가 형성된다.
  4. 발정기에는 외음부가 붓고 충혈된다.
(정답률: 60%)
  • "대부분의 암소는 발정전기부터 수컷을 허용한다."는 암소가 발정기에 들어가면 수컷을 향해 더욱 더 호전적이고 수컷을 찾아다니는 행동을 보이기 때문입니다. 이는 암소의 발정기가 수컷을 만나서 번식을 하기 위한 시기이기 때문입니다. 발정기에는 에스트로겐이 왕성하게 분비되어 암소의 외음부가 붓고 충혈되며, 발정후기에는 황체가 형성됩니다. 이러한 내외부적인 변화로 인해 암소는 수컷을 더욱 더 찾아다니며 번식을 위한 준비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암가축의 생식기관 내에서 수정능력을 획득할 때 주로 변화되는 정자 부분은?

  1. 두부
  2. 중편부
  3. 주부
  4. 종부
(정답률: 77%)
  • 암가축의 생식기관 내에서 수정능력을 획득할 때 주로 변화되는 정자 부분은 중편부와 주부입니다. 그러나 이 중에서도 두부는 가장 큰 변화를 겪는 부분으로, 수정능력을 획득한 정자는 두부의 크기와 형태가 변화하여 생식능력이 향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포유동물의 분만 개시기에 일어나는 호르몬 변화가 틀린 것은?

  1. 황체호르몬(progesterone) 농도 감소
  2. 난포호르몬(estrogen) 농도 증가
  3. 프로스타글란딘(PGF) 분비 감소
  4. 옥시토신(oxytocin) 방출
(정답률: 70%)
  • 포유동물의 분만 개시기에는 황체호르몬 농도가 감소하고, 난포호르몬 농도가 증가하며, 옥시토신이 방출되는데, 프로스타글란딘(PGF) 분비는 감소합니다. 이는 분만을 유도하기 위해 자궁 경축을 유발하는 프로스타글란딘의 역할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수정란 동결 보존 시 동해방지제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DMSO(Dimethyl sulfoxide)
  2. 글리세롤(Glycerol)
  3.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4. 시트르산(Citric acid)
(정답률: 69%)
  • 시트르산은 산성성분으로, 동결 보존 시 pH를 낮춰서 세포나 조직을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동해방지제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소와 돼지에서 황체 퇴행 시작부터 배란이 일어나기까지의 시기인 난포기(follicular phase) 기간은?

  1. 4~5일
  2. 7~8일
  3. 10~11일
  4. 14~15일
(정답률: 48%)
  • 난포기 기간은 황체 퇴행 시작부터 배란이 일어나기까지의 시기를 말한다. 소와 돼지의 경우, 이 기간은 보통 4~5일 정도이다. 이는 난포가 성장하고, 에스트로겐 수치가 상승하며, 배란을 준비하는 시기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포유동물에서 성숙한 암컷의 발정주기 단계가 올바르게 배열된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B→D→A→C
  2. B→C→D→A
  3. D→C→A→B
  4. D→C→B→A
(정답률: 53%)
  • 암컷의 발정주기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다.

    A. 발정전(Proestrus) : 짧은 기간 동안 질분비물이 많아지고, 암컷은 수컷에게 관심을 보이기 시작한다.

    B. 발정(Estrus) : 암컷은 수컷과 교미를 하기 위해 준비가 완료된 상태이며, 이때 수컷에게 매우 호전적이고 적극적으로 다가간다.

    C. 발정후(Metestrus) : 교미 후 암컷은 임신 여부와 상관없이 수컷과의 접촉을 피하며, 질분비물의 양이 감소한다.

    D. 무배란기(Anestrus) : 암컷은 발정주기가 끝나고 다음 발정주기까지의 기간 동안 수컷에게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올바른 답은 "D→C→A→B"이다. 무배란기(Anestrus)가 발정주기의 마지막 단계이기 때문에 가장 마지막에 위치하며, 발정전(Proestrus), 발정(Estrus), 발정후(Metestrus)는 순서대로 배열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릴랙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난포호르몬과 협동하여 유선발육을 촉진시킨다.
  2. 치골 결합을 분리시키거나 자궁경관을 이완시켜 태아가 쉽게 출산할 수 있도록 한다.
  3. 난포호르몬과 협동하여 자궁에서 옥시토신에 대한 감수성을 높인다.
  4. 난소에서 분비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이다.
(정답률: 61%)
  • 난소에서 분비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이다. (정답)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포유류 난관의 구성 순서가 옳은 것은?

  1. 난관채→난관누두부→난관팽대부→난관협부→자궁
  2. 난관누두부→난관채→난관팽대부→난관협부→자궁
  3. 난관채→난관누두부→난관협부→난관팽대부→자궁
  4. 난관누두부→난관채→난관협부→난관팽대부→자궁
(정답률: 57%)
  • 포유류의 난관 구조는 난관채 → 난관누두부 → 난관팽대부 → 난관협부 → 자궁 순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는 정상적인 배아 발달 과정에서 난관채가 자궁으로 발달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구조적 변화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난관채→난관누두부→난관팽대부→난관협부→자궁"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발정 종료 후에 배란이 일어나는 가축은?

  1. 면양
  2. 돼지
(정답률: 67%)
  • 발정 종료 후에 배란이 일어나는 가축은 소입니다. 소는 발정 기간이 끝나면 자연적으로 배란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말, 면양, 돼지는 발정 기간이 끝나더라도 인공적인 방법을 통해 배란을 유도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1년 중 단 한번의 발정기 밖에 없는 단발정 동물에 해당하는 것은?

  1. 돼지
  2. 여우
  3. 면양
(정답률: 61%)
  • 여우는 1년에 한 번의 발정기를 가지는 동물로, 다른 보기들인 소, 돼지, 면양은 연간 여러 차례 발정기를 가지기 때문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가축사양학

41. 다음 중 다당류가 아닌 것은?

  1. Glucose
  2. Starch
  3. Glycogen
  4. Cellulose
(정답률: 67%)
  • Glucose는 단당류이며, 나머지는 다당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단미사료 중 강피류 사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소맥피
  2. 대두피
  3. 쌀겨
  4. 옥수수글루텐
(정답률: 79%)
  • 옥수수글루텐은 강피류 사료가 아닌, 영양보충제로 사용되는 원료입니다. 강피류 사료는 주로 소맥피, 대두피, 쌀겨 등의 곡물이나 콩류 등을 사용하여 제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산란계의 사양관리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점등시간을 연장하여 산란을 촉진시킨다.
  2. 강제환우를 위해 절수와 절식을 시킨다.
  3. 제한급여보다는 자유급여를 실시한다.
  4. 부리다듬기는 식우벽(cannibalism) 예방에 도움이 된다.
(정답률: 76%)
  • "제한급여보다는 자유급여를 실시한다."는 틀린 내용입니다. 산란계의 사양관리에서는 제한급여가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산란기간에는 단백질 함량이 높은 사료를 제한적으로 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산란을 촉진시키고 건강한 알을 생산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산란계의 사양관리에서는 상황에 따라 제한급여와 자유급여를 적절히 조절하여 적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부화 중 제 2회 검란시의 관찰 상태가 아닌 것은?

  1. 기실이 크고 난황이 검은 무정란이 보이기 시작한다.
  2. 정상 발육란에서는 배자의 운동을 볼 수 있다.
  3. 발육란은 기실 가까이까지 굵은 혈관이 뻗어 있다.
  4. 발육 중지란은 혈관 발달이 적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정답률: 72%)
  • 정상 발육란에서는 배자의 운동을 볼 수 있다는 것은 옳은 설명이므로 제외할 수 없다. 발육란은 기실 가까이까지 굵은 혈관이 뻗어 있으며, 발육 중지란은 혈관 발달이 적음을 확인할 수 있다는 것도 옳은 설명이다. 따라서, 부화 중 제 2회 검란시의 관찰 상태가 아닌 것은 "기실이 크고 난황이 검은 무정란이 보이기 시작한다." 이다. 이는 부화 중 제 1회 검란시에 나타나는 증상으로, 제 2회 검란시에는 이미 발생한 것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비육용 밑소의 입식 시 사양관리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청결하고 건조한 장소를 마련할 것
  2. 물을 마음껏 먹을 수 있도록 할 것
  3. 농후사료를 자유채식 시킬 것
  4. 기호성이 좋은 양질의 조사료를 급여할 것
(정답률: 77%)
  • "농후사료를 자유채식 시킬 것"은 적절하지 않은 사양관리 방법입니다. 이는 비육용 밑소가 영양소를 균형적으로 섭취하지 못하고 비만이나 영양실조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적절한 양질의 조사료를 급여하여 영양소 섭취를 보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축종별 사료 중 비중이 가장 무거운 것은?

  1. 비육우 사료
  2. 착유우 사료
  3. 비육돈 사료
  4. 산란계 사료
(정답률: 65%)
  • 산란계 사료는 닭이 낳는 알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영양소가 많이 들어있어서 비중이 가장 무겁습니다. 다른 축종의 사료는 그 동물의 목적에 맞게 조성되어 있기 때문에 영양소 비중이 다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한국 가축 사양표준'에서 사용하지 않는 에너지단위 또는 시스템은?

  1. Total digestible nutrients
  2. Metabolizable energy
  3. Therm
  4. Digestible energy
(정답률: 78%)
  • Therm은 에너지의 양을 측정하는 미국식 단위이며, 한국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단위이기 때문에 '한국 가축 사양표준'에서 사용하지 않는 에너지 단위 또는 시스템이다. 대신 한국에서는 대부분 Metabolizable energy와 Digestible energy를 사용하여 가축의 영양소 섭취량을 측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반추동물 침(saliva)의 역할이 아닌 것은?

  1. 반추위 내 미생물 활동에 필요한 무기물을 공급한다.
  2. 반추위 내 산도조절을 위한 완충제(buffer) 역할을 한다.
  3. 반추위 내 거품발생을 억제한다.
  4. 반추위 내에 여러 가지 소화효소를 공급한다.
(정답률: 59%)
  • 반추동물 침은 소화효소를 포함하고 있어 반추위 내에서 소화를 돕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반추위 내에 여러 가지 소화효소를 공급한다."가 아닌 것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일반적인 자돈의 사양관리 중 가장 늦게 실시하는 것은?

  1. 거세
  2. 견치 제거
  3. 꼬리 자르기
  4. 초유 급여
(정답률: 68%)
  • 일반적으로 거세는 다른 사양관리 작업들보다 더 늦게 실시됩니다. 이는 거세가 동물의 성장과 발육에 따라 변화하는 부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른 사양관리 작업들은 상대적으로 더 일찍 실시될 수 있지만, 거세는 동물의 성장과 발육을 고려하여 적절한 시기에 실시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임신돈의 사양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임신 후반기에 사료를 증량하여 급여하면 자돈의 생시체중이 증가하고 생존율이 향상된다.
  2. 임신돈에는 비교적 섬유질이 적게 함유된 고에너지 사료를 급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임신 전반기에는 자유채식 할 수 있도록 사료를 충분히 급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4. 임신 전반기에는 합사, 혼사, 예방주사를 하여도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다.
(정답률: 52%)
  • 임신 후반기에는 자돈의 생체중이 급격히 증가하므로 사료를 증량하여 급여하면 충분한 영양공급을 할 수 있어 생존율이 향상됩니다. 이는 새끼돼지의 출생체중과 생존율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임신 후반기에는 충분한 사료를 급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사료를 에너지가로 표현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대사에너지는 가소화에너지에서 오줌 및 가연성 가스 등으로 손실되는 에너지를 공제한 값으로 계산한다.
  2. 가소화 에너지는 섭취한 에너지에서 분으로 배설된 에너지를 공제한 값으로 계산한다.
  3. 정미에너지는 순수하게 가축의 생명 유지, 성장, 축산물 생산, 기초대사, 체온조절 등으로 쓰이는 에너지이다.
  4. 사료의 영양성분 1g당 총에너지 값은 탄수화물>단백질>지방 순으로 크다.
(정답률: 78%)
  • "사료의 영양성분 1g당 총에너지 값은 탄수화물>단백질>지방 순으로 크다." 이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사료의 총에너지는 대사에너지, 가소화 에너지, 정미에너지로 나뉘어 계산된다. 대사에너지는 가소화에너지에서 오줌 및 가연성 가스 등으로 손실되는 에너지를 공제한 값으로 계산하며, 가소화 에너지는 섭취한 에너지에서 분으로 배설된 에너지를 공제한 값으로 계산한다. 정미에너지는 순수하게 가축의 생명 유지, 성장, 축산물 생산, 기초대사, 체온조절 등으로 쓰이는 에너지이다.

    사료의 영양성분 1g당 총에너지 값은 탄수화물>단백질>지방 순으로 크다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이는 탄수화물과 단백질이 1g당 4kcal의 에너지를 제공하고, 지방이 1g당 9kcal의 에너지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료의 영양성분 중에서 탄수화물과 단백질이 에너지 공급에 더 많은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단백질의 평균 질소 함유량으로 가장 가까운 것은?

  1. 16%
  2. 18%
  3. 20%
  4. 22%
(정답률: 64%)
  • 단백질은 질소를 함유하고 있으며, 질소의 원자량은 14입니다. 따라서, 단백질의 평균 질소 함유량은 단백질의 분자량에서 질소의 원자량 비율을 곱한 값으로 계산됩니다.

    예를 들어, 분자량이 100인 단백질은 14 x (100/100) = 14g의 질소를 함유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평균 질소 함유량이 가장 가까운 값은 16%입니다. 16%는 분자량이 100인 단백질에서 약 16.6g의 질소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배합사료의 저장 시 사료 가치를 보존하고 풍미 저하를 가장 최소화 할 수 있는 수분함량은?

  1. 11~13%
  2. 20~22%
  3. 28~30%
  4. 31~33%
(정답률: 65%)
  • 배합사료의 수분함량이 너무 높으면 곰팡이와 미생물의 번식을 촉진시켜 사료의 내부적인 변질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수분함량이 높아지면 사료의 저장기간이 짧아지고, 저장환경에 따라서는 곰팡이와 미생물의 발생이 더욱 촉진될 수 있습니다. 반면에 수분함량이 너무 낮으면 사료가 너무 건조해져서 풍미가 저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배합사료의 저장 시 사료 가치를 보존하고 풍미 저하를 가장 최소화 할 수 있는 수분함량은 11~1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분쇄사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가축 소화기관 내 통과속도가 빨라진다.
  2. 다른 사료와 혼합이 용이하다.
  3. 젖소사료용 곡류는 곱게 분쇄할수록 유지방율을 증가시킨다.
  4. 곱게 분쇄한 사료는 거칠게 분쇄한 사료보다 기호성이 저하되고 사료효율이 감소된다.
(정답률: 52%)
  • "젖소사료용 곡류는 곱게 분쇄할수록 유지방율을 증가시킨다." 이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이유는 곡류를 곱게 분쇄하면 소의 소화기관에서 소화가 더 잘 되기 때문에 영양소 흡수가 높아지고, 이는 유지방율을 증가시키는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곱게 분쇄한 사료는 다른 사료와 혼합이 용이하며, 소화기관 내 통과속도가 빨라져 소의 소화능력을 향상시킵니다. 따라서 "젖소사료용 곡류는 곱게 분쇄할수록 유지방율을 증가시킨다."는 설명이 맞습니다.

    반면에 "곱게 분쇄한 사료는 거칠게 분쇄한 사료보다 기호성이 저하되고 사료효율이 감소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사료를 곱게 분쇄하면 소의 소화능력이 향상되어 오히려 사료효율이 높아지며, 기호성도 소화가 잘 되어 오히려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사료공장 분쇄공정에서 선분쇄공정(pre-grinding system)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분쇄 기능 마비가 생산체계 마비로 연결되지 않는다.
  2. 원료사료 및 분쇄사료의 저장 시설, 면적, 자본 등이 감소한다.
  3. 최고 동력 요구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4. 개별 사료당 분쇄 공정의 조절이 가능하다.
(정답률: 64%)
  • 선분쇄공정은 분쇄 기능 마비가 생산체계 마비로 연결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지만, 원료사료 및 분쇄사료의 저장 시설, 면적, 자본 등이 감소하는 것은 장점이 아닌 단점이다. 이는 분쇄 공정을 하나로 통합하여 저장 공간과 자본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이는 선분쇄공정의 장점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유지사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조섬유의 함량이 높고, 부피가 커서 반추가축에게 급여 시 포만감을 줄 수 있는 사료이다.
  2. 지용성 비타민과 필수 지방산의 공급원이다.
  3. 가축의 사료 기호성을 높이고, 사료에서 먼지가 일어나는 것을 감소시킨다.
  4. 사료 중 에너지 함량을 높이고 사료효율을 개선시킨다.
(정답률: 68%)
  • "사료 중 에너지 함량을 높이고 사료효율을 개선시킨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유지사료는 조섬유 함량이 높고 부피가 크기 때문에 소화가 어렵고 소화기관을 자극하여 소화를 촉진시키고, 이로 인해 포만감을 줄 수 있는 사료입니다. 따라서 에너지 함량을 높이는 것보다는 소화를 돕고 포만감을 주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젖소에거 1일 50g의 요소를 섭취시켰다면 조단백질 약 몇 g에 해당하는가?

  1. 50g
  2. 80g
  3. 144g
  4. 235g
(정답률: 52%)
  • 조단백질은 1g당 3.6kcal의 열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50g의 요소를 섭취했다면, 이는 50g x 3.6kcal/g = 180kcal의 열량을 의미합니다. 이 열량 중에서 조단백질이 차지하는 비율은 젖소의 사료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80% 정도라고 합니다. 따라서 180kcal x 0.8 = 144kcal의 열량이 조단백질에서 비롯된 것이며, 1g의 조단백질은 3.6kcal의 열량을 가지므로 144kcal ÷ 3.6kcal/g = 40g의 조단백질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44g"가 아니라 "40g"가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자돈의 빈혈 바지와 가장 거리가 먼 광물질은?

  1. Na
  2. Fe
  3. Co
  4. Cu
(정답률: 69%)
  • 자돈의 빈혈 바지는 철분이 부족하여 발생하는 빈혈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철분을 함유한 광물질인 Fe가 자돈의 빈혈 바지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반면에 Na는 나트륨의 화학식으로, 철분과는 전혀 다른 원소입니다. 따라서 Na가 자돈의 빈혈 바지와 가장 거리가 먼 광물질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젖소의 유선조직에서 지방산 합성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전구물질은?

  1. 젖산(lactic acid)
  2.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3. 초산(acetic acid)
  4. 포도당(glucose)
(정답률: 54%)
  • 젖소의 유선조직에서 지방산 합성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전구물질은 초산입니다. 이는 초산이 지방산 합성의 중간체로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초산은 또한 유기산 중에서도 가장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지방산 합성에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초산은 젖소의 유선조직에서 지방산 합성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전구물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돼지와 달리 닭에게만 있는 소화기관은?

  1. 맹장(cecum)
  2. 소장(small intestine)
  3. 대장(large intestine)
  4. 소낭(crop)
(정답률: 82%)
  • 소낭은 닭의 소화기관 중 하나로, 식사한 먹이를 저장하고 부드러운 먹이를 분해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돼지와 같은 다른 동물에는 없는 특징적인 소화기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사료작물학 및 초지학

61. 목초의 보통명과 학명이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톨 페스큐(Tall fescue) : Dactylis glomerata L.
  2. 오차드그래스(Orchardgrass) : Festuca arundinaceae L.
  3. 알팔파(Alfalfa) : Phleum pratense L.
  4. 화이트 클로버(White clover) : Trifolium repens L.
(정답률: 64%)
  • 화이트 클로버의 보통명은 "화이트 클로버"이며, 학명은 "Trifolium repens" L.입니다. 이는 국제적으로 인정된 식물 분류 체계인 라틴어 학명 체계에 따라 분류된 것입니다. Trifolium은 삼잎을 뜻하고, repens는 땅속에서 번식하는 것을 뜻합니다. 따라서, 화이트 클로버는 삼잎이 땅속에서 번식하는 식물이라는 뜻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사료작물의 작부체계를 설정하기 위해 작물을 선택할 경우 고려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지역의 기상조건
  2. 재배작물의 수확시기와 파종시기
  3. 연중 노동력의 안배
  4. 만생종 품종의 선택
(정답률: 64%)
  • 만생종 품종의 선택은 작물의 작부체계를 설정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지만,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작물의 특성과 관련이 없는 요소이기 때문에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지역의 기상조건, 수확시기와 파종시기, 연중 노동력의 안배는 작물의 성장과 수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기 때문에 작물을 선택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건초조제 과정을 순서대로 바륵 나열한 것은?

  1. 수확→결속(곤포)→뒤집기(반전)→집초→저장
  2. 집초→뒤집기(반전)→수확→결속(곤포)→저장
  3. 수확→뒤집기(반전)→집초→결속(곤포)→저장
  4. 뒤집기(반전)→결속(곤포)→수확→집초→저장
(정답률: 70%)
  • 건초조제 과정은 수확 → 뒤집기(반전) → 집초 → 결속(곤포) → 저장 순서로 진행됩니다.

    먼저 수확 단계에서는 건초를 수확하여 건조시킵니다. 그 다음으로 뒤집기(반전) 단계에서는 건초를 뒤집어서 바닥면이 위로 오도록 합니다. 이렇게 하면 건초가 더 잘 마르고, 품질이 좋아집니다.

    그 다음으로 집초 단계에서는 건초 사이에 끼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합니다. 이렇게 하면 건초의 품질이 더욱 개선됩니다.

    결속(곤포) 단계에서는 건초를 곤포로 묶어서 저장하기 쉽도록 합니다. 마지막으로 저장 단계에서는 건초를 저장하여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수확→뒤집기(반전)→집초→결속(곤포)→저장"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두과 목초에서 건초 조제 중 양분손실이 가장 큰 것은?

  1. 잎의 탈락에 의한 손실
  2. 발효, 일광조사 및 공기접촉에 의한 손실
  3. 강우에 의한 손실
  4. 식물의 호흡에 의한 손실
(정답률: 72%)
  • 잎은 광합성을 통해 양분을 만들어내는 주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잎이 탈락하면 양분이 손실됩니다. 따라서, 양분손실이 가장 큰 것은 "잎의 탈락에 의한 손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화본과목초에 두과목초의 혼파조합 시 유리한 점이 아닌 것은?

  1. 질소비료의 시용을 줄일 수 있다.
  2. 초지의 재배관리가 용이하다.
  3. 계절별로 균등한 목초생산이 가능하다.
  4. 가축에게 영양분이 높고 기호성이 좋은 풀을 공급할 수 있다.
(정답률: 65%)
  • 초지의 재배관리가 용이하다는 것은 화본과목초와 두과목초가 서로 잘 어울려서 복합적인 관리가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는 유리한 점이 아닌 것이 아니라, 오히려 유리한 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경운 초지 조성을 위한 적지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유호토심이 얕은 곳
  2. 방목축의 음료수가 있는 곳
  3. 교통이 편리하고 진입로 신설이 용이한 곳
  4. 평탄지, 산록, 저구릉지 등으로 경사도 15° 미만인 곳
(정답률: 72%)
  • 유호토심이 얕은 곳은 물이 잘 흐르지 않아 뿌리가 물을 흡수하기 어렵기 때문에 식물이 자라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경운 초지 조성을 위해서는 유호토심이 깊은 곳을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목초 중 하번초는?

  1. 켄터키블루그래스
  2. 오차드그래스
  3. 티머시
  4. 톨페스큐
(정답률: 58%)
  • 정답은 "켄터키블루그래스"입니다. 이는 켄터키주에서 유래한 초목으로, 이름 그대로 푸른 잎과 줄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초목은 주로 축구장이나 골프장 등의 잔디로 사용되며, 미국의 대표적인 목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건초조제 시 건조속도 개선을 위해 목초의 줄기를 눌러주며 수확하는 기계는?

  1. 테더
  2. 스퀘어 베일러
  3. 라운드 베일러
  4. 모어 컨디셔너
(정답률: 72%)
  • 모어 컨디셔너는 건초를 수확할 때 건조속도를 개선하기 위해 건초의 줄기를 눌러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건초를 더 빠르게 건조시켜서 보관할 수 있게 해주는데, 다른 보기인 테더, 스퀘어 베일러, 라운드 베일러는 이러한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가축의 방목개시 적기로 적합한 초장의 높이는?

  1. 20~50cm 일 때
  2. 60~100cm 일 때
  3. 120~160cm 일 때
  4. 200~300cm 일 때
(정답률: 62%)
  • 가축은 초장을 먹으면서 이동하며 먹이를 찾기 때문에 초장의 높이가 너무 높으면 먹이를 찾기 어렵고, 너무 낮으면 초장이 빨리 소모되어 먹이가 부족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축의 방목개시 적기로 적합한 초장의 높이는 20~50cm 일 때입니다. 이 높이는 가축이 먹이를 찾기 쉽고, 초장도 빨리 소모되지 않아서 적절한 양의 먹이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초장의 높이가 너무 높거나 낮아서 가축에게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디스크 해로우(disk harrow)의 용도로 맞는 것은?

  1. 땅 갈기
  2. 석회 살포
  3. 파종 후 진압
  4. 쇄토 및 정지
(정답률: 62%)
  • 디스크 해로우는 쇄토 및 정지를 위해 사용됩니다. 이는 디스크 해로우가 땅을 깊게 갈기보다는 땅을 흐리게 만들어 씨앗이 뿌려진 땅 위에 씨앗을 덮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디스크 해로우는 땅을 정리하고 작물의 성장을 돕기 위해 작물 잔여물을 파종 후 진압하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우리나라 산지 토양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산성 토양
  2. 유기물의 부족
  3. 높은유효인산 함량
  4. 낮은 양이온 교환용량
(정답률: 68%)
  • 정답: "높은 유효인산 함량"

    산지 토양은 일반적으로 산성 토양이며, 유기물의 부족과 낮은 양이온 교환용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유효인산 함량은 일반적으로 낮은 편입니다. 이는 산성 토양에서는 인이 토양에 고정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산지 토양에서는 인의 흡수를 촉진하기 위해 인을 추가로 공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논에 답리작용이나 밭의 윤작용으로 당분 함량이 목초 중 가장 높아 사일리지용으로도 적합한 초종은?

  1. 티머시
  2. 오차드그라스
  3.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4. 톨페스큐
(정답률: 59%)
  •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는 답리작용이나 밭의 윤작용으로 인해 당분 함량이 높아지기 때문에 사일리지용으로 적합합니다. 다른 초종들도 사일리지용으로 적합한 경우가 있지만,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는 그 중에서도 가장 높은 당분 함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년생 목초 또는 재생을 하는 1년생 사료 작물의 수확 후 재생을 위해 보유하여야 하는 주요 저장 양분은?

  1. 탄수화물
  2. 지방
  3. 비타민
  4. 무기물
(정답률: 66%)
  • 탄수화물은 광합성 과정에서 생산되는 주요 양분으로, 식물의 에너지원이 됩니다. 따라서 수확 후 재생을 위해 보유해야 하는 주요 저장 양분은 탄수화물입니다. 지방, 비타민, 무기물도 중요하지만, 재생을 위해서는 탄수화물이 가장 필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알팔파를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여러해살이 식물이다.
  2. 뿌리에 근류근을 갖는다.
  3. 수정은 바람으로 이루어진다.
  4. 잎이 3개 소엽으로 이루어져 있다.
(정답률: 56%)
  • 알팔파를 설명한 것 중에서 틀린 것은 없습니다.

    수정은 바람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은 틀린 정보입니다. 알팔파의 잎에는 세포질이 축적된 구멍이 있는데, 이것이 바로 알팔파의 특징인 알팔파 결정체입니다. 이 결정체는 물에 녹지 않고 바람에도 흔들리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수정은 바람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알팔파 결정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화본과 목초의 일반적인 특성이 아닌 것은?

  1. 근계는 섬유모양의 수염뿌리로 되어 있다.
  2. 두과목초에 비해 단위면적당 수량은 적지만 가소화영양소총량이 높다.
  3. 줄기는 대체로 속이 비고, 둥글며 뚜렷한 마디를 가지고 있다.
  4. 일반적으로 하나의 수상꽃차례, 원추꽃차례 또는 총상꽃차례로 되어 있다.
(정답률: 55%)
  • 정답은 "근계는 섬유모양의 수염뿌리로 되어 있다."입니다.

    화본과 목초는 모두 식물이지만, 화본은 대부분 수상꽃차례, 원추꽃차례 또는 총상꽃차례로 되어 있고, 줄기는 대체로 속이 비고, 둥글며 뚜렷한 마디를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 목초는 근계가 뿌리모양이며, 두과목초에 비해 단위면적당 수량은 적지만 가소화영양소총량이 높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 Of-yet? R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잎이 떨어기지 쉬운 두과목초는 어떤 방법으로 건초를 제조하는 것이 영양분의 손실이 가장 적은가?

  1. 양건법
  2. 음건법
  3. 화력 건조법
  4. 발효 건조법
(정답률: 68%)
  • 화력 건조법은 빠른 시간 내에 건조가 가능하며, 건조 과정에서 열을 이용하여 물기를 증발시키기 때문에 영양분의 손실이 적습니다. 따라서 잎이 떨어기지 쉬운 두과목초를 건초로 제조할 때는 화력 건조법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오차드그라스의 주요 병해가 아닌 것은?

  1. 탄저병
  2. 맥각병
  3. 검은녹병
  4. 줄무늬마름병
(정답률: 50%)
  • 맥각병은 오차드그라스의 주요 병해가 아닙니다. 맥각병은 보리와 밀 등의 곡물 작물에서 발생하는 질병으로, 오차드그라스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오차드그라스를 재배하는 농부들은 맥각병 대신 탄저병, 검은녹병, 줄무늬마름병 등의 병해에 대해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ha당 50톤의 목초(생초)가 생산되는 초지에서 필요로 하는 질소 추비량은? (단, 생초 중 질소 성분 0.5%, 천연 공급량 150 kg/ha, 비료 이용율 50% 이다.)

  1. 50 kg/ha
  2. 100 kg/ha
  3. 150 kg/ha
  4. 200 kg/ha
(정답률: 50%)
  • 생초 중 질소 성분이 0.5%이므로, 1톤(1000kg)의 생초에는 5kg의 질소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50톤의 생초에서는 250kg의 질소가 생산된다.

    천연 공급량이 150kg/ha이므로, 1ha당 150kg의 질소가 자연적으로 공급된다.

    비료 이용율이 50%이므로, 1ha당 75kg의 질소를 비료로 추가할 수 있다.

    따라서, 총 필요한 질소 추비량은 250kg - 150kg(천연 공급량) + 75kg(비료 이용량) = 175kg/ha이다.

    보기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200 kg/ha"이므로, 정답은 "200 kg/h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초지의 하고대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질소질 비료의 추비를 억제한다.
  2. 스프링클러에 의한 관개를 실시한다.
  3. 초지조성의 대상지를 점질토양이나 사질토양으로 선정한다.
  4. 하고에 비교적 강한 초종인 톨 페스큐, 오차드그라스 등을 선택한다.
(정답률: 59%)
  • 초지조성을 할 때, 점질토양이나 사질토양을 선택하는 것은 초지의 생육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토양은 비료와 물을 잘 흡수하고 보존할 수 있어서 초지의 성장을 돕고, 추비를 줄여서 경제적인 효과를 가져옵니다. 따라서 초지조성의 대상지를 점질토양이나 사질토양으로 선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집약적인 윤작체계에 적합한 사료작물이다.
  2. 단백질과 칼슘 함량이 비교적 높은 사료작물이다.
  3. 자당과 전분함량이 높아 양질의 사일리지를 만들 수 있다.
  4. 옥수수 사일리즈는 콩과목초의 좋은 보완 사료작물이다.
(정답률: 58%)
  • 단백질과 칼슘 함량이 비교적 높은 사료작물이 아닌 것은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특징이다. 옥수수는 자당과 전분 함량이 높아 양질의 사일리지를 만들 수 있고, 집약적인 윤작체계에 적합하며 콩과목초의 좋은 보완 사료작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축산경영학 및 축산물가공학

81. 축산경영 공동조직의 운영원칙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경쟁의 원칙
  2. 인화의 원칙
  3. 공평의 원칙
  4. 민주화의 원칙
(정답률: 64%)
  • 축산경영 공동조직은 경쟁의 원칙을 따르지 않는 것이 가장 적절하지 않습니다. 이는 경쟁이 없는 상황에서는 혁신과 발전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경쟁을 통해 서로 경쟁하며 발전하고, 더 나은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므로, 경쟁의 원칙은 축산경영 공동조직의 성장과 발전에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축산경영 분석을 위한 대차대조표의 대변(貸邊)에 기재되는 것은?

  1. 당좌예금
  2. 미수금
  3. 미지불금
  4. 현금
(정답률: 55%)
  • 대차대조표의 대변(貸邊)에 기재되는 것은 회사가 받은 돈이나 자산의 증가분 등이다. "미지불금"은 아직 지불되지 않은 채무나 미수금이 아니라, 이미 지불해야 할 금액이지만 아직 지불하지 않은 상태인 미지불금이 대변에 기재된다. 따라서 정답은 "미지불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경영형태가 동일한 농장 중 경영조직 및 경영성과 등이 모범적인 목장을 설정하고, 그 경영성과와 자가농장의 경영성과를 직접 비교하여 목장 경영상의 개선점을 찾아내어 경영계획을 수립하는 방법은?

  1. 표준계획법
  2. 직접비교법
  3. 예산법
  4. 적정이익법
(정답률: 74%)
  • 직접비교법은 경영형태가 동일한 목장을 모범적인 목장으로 설정하고, 그 목장의 경영성과와 자가농장의 경영성과를 직접 비교하여 목장 경영상의 개선점을 찾아내어 경영계획을 수립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직접비교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자돈을 생산 및 판매하기 위하여 모돈을 육성하고 번식하는 경영형태는?

  1. 종돈생산 경영
  2. 비육돈 경영
  3. 번식돈 경영
  4. 일관 경영
(정답률: 59%)
  • 번식돈 경영은 자돈을 생산하고 판매하기 위해 모돈을 육성하고 번식하는 경영 형태이다. 이는 새로운 자돈을 생산하고 육성하는 것으로 비육돈 경영과는 차이가 있다. 종돈생산 경영은 순수한 품종의 돈을 생산하는 것이 목적이며, 일관 경영은 일정한 품질과 생산성을 유지하는 것이 목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축산경영의 입지조건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지역은?

  1. 수리와 교통이 편리한 지역
  2. 초지면적이 충분한 지역
  3. 전기, 도로 등 기간시설에 가까운 지역
  4. 공업단지와 가까운 지대
(정답률: 75%)
  • 축산경영은 환경오염과의 관련성이 높기 때문에 공업단지와 가까운 지대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공업단지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이 축산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축산경영에는 공업단지와는 거리가 먼 지역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축산물 공급탄력성의 크기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아닌 것은?

  1. 생산비의 변화정도
  2. 기술수준의 정도
  3. 생산요소의 가격
  4. 대체재의 유무
(정답률: 54%)
  • 대체재의 유무는 축산물 공급탄력성의 크기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아닙니다. 축산물 공급탄력성은 생산비의 변화정도, 기술수준의 정도, 생산요소의 가격 등과 같은 내부적인 요인에 영향을 받습니다. 대체재의 유무는 외부적인 요인으로, 축산물 대신 사용될 수 있는 대체재가 있는지 여부에 따라 수요가 변화할 수 있지만, 공급탄력성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축산업의 역할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식량위기에 대비하는 저장기능이 있다.
  2. 농한기 유휴 노동력을 흡수하는 기능이 있다.
  3. 농산물의 부산물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기능이 있다.
  4. 다른 식품에 비하여 인체에 필요한 동물성 고지방을 주로 공급하는 기능이 있다.
(정답률: 56%)
  • "다른 식품에 비하여 인체에 필요한 동물성 고지방을 주로 공급하는 기능이 있다."는 축산업의 역할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축산업은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인체에 필요한 동물성 고지방을 주로 공급하는 것은 그 중 하나일 뿐입니다.

    축산업은 식량위기에 대비하는 저장기능, 농한기 유휴 노동력을 흡수하는 기능, 농산물의 부산물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기능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또한, 축산업은 인간의 영양소 섭취와 건강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동물성 단백질, 철분, 아연 등의 영양소를 공급하며, 이를 통해 인체의 면역력을 강화하고 건강한 신체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경운기의 취득가격이 10,000,000원이고, 잔존(폐기)가격이 1,000,000원, 내용 연수가 10년이라면 정액법으로 계산할 때 매년의 감가상각액은?

  1. 1,000,000원
  2. 900,000원
  3. 800,000원
  4. 500,000원
(정답률: 76%)
  • 정액법으로 감가상각을 할 경우, 취득가격에서 잔존가치를 뺀 금액을 내용 연수로 나누어 매년 감가상각액을 계산합니다.

    따라서, (10,000,000원 - 1,000,000원) / 10년 = 900,000원이 됩니다.

    즉, 매년 900,000원씩 감가상각을 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900,000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경영조직에 의한 낙농경영의 분류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초지형 낙농
  2. 복합경영형 낙농
  3. 도시원교형 낙농
  4. 착유형 낙농
(정답률: 59%)
  • 도시원교형 낙농은 경영조직에 의종하여 도시 내에서 농작물을 생산하는 형태로, 일반적인 낙농경영의 분류에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양계 경영진단을 위한 지표와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산란율
  2. 육성율
  3. 일당증체량
  4. 농외소득율
(정답률: 68%)
  • 양계 경영진단을 위한 지표들은 모두 양계 생산과 관련된 지표이지만, "농외소득율"은 양계 생산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지표입니다. 농외소득율은 농가의 총소득 중 농업 이외의 다른 경제활동에서 얻은 소득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양계 생산과는 무관한 지표입니다. 따라서 양계 경영진단을 위한 지표들 중에서 "농외소득율"은 가장 거리가 먼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식육의 숙성이 이루어지는 이유와 관련이 없는 것은?

  1. Z-선의 약화
  2. 코넥틴(connectin) 단백질의 약화
  3. 새로운 거대 식육단백질의 합성
  4. 액틴과 미오신 간 결합력의 약화
(정답률: 75%)
  • 식육의 숙성은 주로 Z-선의 약화와 코넥틴 단백질의 약화로 인해 일어납니다. 새로운 거대 식육단백질의 합성은 이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자연치즈 제조 시 염지(salting)의 목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부패 미생물 증식 저해
  2. 유청 배출 촉진
  3. 단백질의 용해도 감소
  4. 치즈에 향미 부여
(정답률: 67%)
  • 염지는 자연치즈 제조 시 부패 미생물의 증식을 저해하고, 유청 배출을 촉진하며, 치즈에 향미를 부여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단백질의 용해도 감소입니다. 염지는 단백질의 용해도를 감소시켜 치즈의 질감과 맛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우유 단백질의 80%를 차지하는 케이신(casein) 중 케이신 플라스틱 용도로 쓰이는 것은?

  1. 염산 케이신
  2. 황산 케이신
  3. 유산 케이신
  4. 렌넷 케이신
(정답률: 74%)
  • 렌넷 케이신은 케이신 중에서도 가장 용해도가 낮아서 물에 잘 녹지 않습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케이신을 플라스틱 제조에 이용할 때는 렌넷 케이신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버터 제조 시 교반(churning)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크림의 양
  2. 교반 온도
  3. 색소와 소금의 양
  4. 교반장치의 회전 수
(정답률: 69%)
  • 색소와 소금은 버터 제조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에 교반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반면에 크림의 양, 교반 온도, 교반장치의 회전 수는 버터 제조 시 교반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식육제조의 부재료로 쓰이는 물질과 그 주요 기능이 잘못 연결된 것은?

  1. 전분 – 탄력성 부여
  2. 식염 – 맛과 저장성 향상
  3. 글루코노델타락톤 – 발색 촉진
  4. 에르소르브산염 – 보수성 증진
(정답률: 49%)
  • 에르소르브산염은 식육의 보존성을 높이는 보존제로 사용되며, 식품의 부패를 방지하고 유통기한을 연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에르소르브산염 – 보수성 증진"이 올바른 연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소시지 제조과정에서 유화물의 수분과 지방이 분리되는 현상에 주로 영향을 끼치는 것은?

  1. 물의 성질
  2. 유화물의 온도
  3. 증량제의 함량
  4. 인산염의 농도
(정답률: 50%)
  • 유화물의 온도가 주로 영향을 끼치는 이유는, 온도가 높아질수록 유화물 내부의 지방이 녹아들어가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유화물 내부의 수분과 지방이 더 잘 섞이게 되어 분리 현상이 줄어들게 됩니다. 따라서 소시지 제조과정에서 유화물의 온도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돼지고기 이상육 중 하나인 PSE육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2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2, 4번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육색이 창백하고 조직이 무르고 물기가 많은 고기이다.
  2. 조리 시 수분손실이 많으나 가공육 제조 시 감량은 적다.
  3. 정상육과 비교하여 최정 pH 가 5.2정도로 낮다.
  4. 도살 전 계류되어 있는 돼지에서 많이 발생한다.
(정답률: 77%)
  • PSE육은 고열과 급속한 냉각으로 인해 근육 내의 글리코겐이 고갈되고 pH가 떨어져서 발생하는 고기병이다. 따라서 육색이 창백하고 조직이 무르고 물기가 많은 고기이며, 정상육과 비교하여 최정 pH가 낮다. 조리 시 수분손실이 많은 것은 고기의 특성상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현상이지만, 가공육 제조 시 감량은 적다는 것은 PSE육이 물기가 많아서 가공 시 물이 덜 증발하기 때문이다. 도살 전 계류되어 있는 돼지에서 많이 발생한다는 것은 PSE육이 돼지의 육질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식육에 존재하는 수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결합수는 용매로써 작용하지 않는 물이다.
  2. 식육의 수분 함량은 일반적으로 70% 이상이다.
  3. 자유수는 결합수 표면의 수분 분자들과 수소결합을 이루고 있다.
  4. 식육에서 수분의 존재 상태는 자유수, 결합수, 고정수로 구성되어 있다.
(정답률: 57%)
  • "자유수는 결합수 표면의 수분 분자들과 수소결합을 이루고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자유수는 결합수와는 반대로 용매로써 작용하는 물 분자입니다. 결합수는 물 분자들끼리 수소결합으로 결합하여 형성되는 수분 분자이며, 자유수는 이러한 결합수 분자들 사이에 존재하는 수분 분자입니다. 따라서 자유수는 결합수와는 다른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근원섬유단백질 중 칼슘이온 수용단백질로서 근수축기작에 중요한 기능을 하는 것은?

  1. 트로포닌
  2. 리소좀
  3. 엘라스틴
  4. 네불린
(정답률: 65%)
  • 트로포닌은 근육 섬유 내에서 근수축기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칼슘이온 수용단백질입니다. 이는 근육 섬유 내에서 칼슘이온 농도가 증가하면 트로포닌이 칼슘이온을 결합하여 근수축을 유발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트로포닌은 근육 섬유의 수축과 이완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원유에 흔히 오염되는 저온성 세균이 아닌 것은?

  1. Pseudomonas
  2. Clostridium
  3. Alcaligenes
  4. Leuconostoc
(정답률: 45%)
  • Clostridium 속은 anaerobic한 세균으로,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원유와 같은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어, 원유에 오염되는 세균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반면, Pseudomonas 속, Alcaligenes 속, Leuconostoc 속은 aerobic한 세균으로, 산소가 있는 환경에서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원유와 같은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는 살아남을 수 없어, 원유에 오염되는 세균으로는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