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03-10)

지적기사
(2013-03-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지적측량

1. 각의 측량에 있어 A는 1회 관측으로 60° 20‘ 38’, B는 4회 관측으로 60° 20‘ 21“, C는 9회 관측으로 60° 20’ 30”의 측정결과를 얻었을 때 최확값으로 옳은 것은? (단, 경중률이 일정한 경우이다.)

  1. 60° 21‘ 20“
  2. 60° 20‘ 24“
  3. 60° 20‘ 28“
  4. 60° 20‘ 32“
(정답률: 85%)
  • 여러 번 측정한 결과를 평균을 내어 최확값을 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A, B, C의 결과를 평균을 내면 다음과 같다.

    (60° 20‘ 38’ + 60° 20‘ 21“ + 60° 20’ 30”) ÷ (1 + 4 + 9) = 60° 20‘ 28“

    따라서 최확값은 "60° 20‘ 2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축척 1/1000인 지역을 평판측량방법으로 측량할 경우 도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지상거리의 허용범위는?

  1. 10cm
  2. 12cm
  3. 15cm
  4. 30cm
(정답률: 53%)
  • 평판측량방법은 지면 위에 측량대를 세워 측량하는 방법으로, 지면과 측량대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높이를 계산합니다. 이때, 지면과 측량대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오차가 커지므로, 지상거리의 허용범위는 작을수록 정확도가 높아집니다. 따라서, 축척 1/1000인 지역을 측량할 경우 지상거리의 허용범위는 10cm 이하가 되어야 합니다. 이는 측량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준값으로, 10cm 이하의 오차는 대부분의 측량 작업에서 허용 가능한 범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두 점의 좌표가 각각 A(495674.32, 192899.25), B(497845.81, 190256.39)일 때, A→B의 방위는?

  1. N 50° 35' 31"W
  2. S 50° 35' 31"'E
  3. N 39° 24' 29"W
  4. S 39° 24' 29"E
(정답률: 58%)
  • 먼저 A와 B의 좌표를 이용하여 A→B의 방향을 구해보면,

    - 동서방향 거리: 497845.81 - 495674.32 = 2171.49m
    - 남북방향 거리: 192899.25 - 190256.39 = 2642.86m

    따라서 A→B의 방위각은 아래와 같이 구할 수 있다.

    - tanθ = (동서방향 거리) / (남북방향 거리) = 0.8205
    - θ = arctan(0.8205) = 39.24°

    여기서, A에서 B로 가는 방향이 북쪽을 향하고 있으므로, 방위각은 북쪽(N)으로부터 39.24°만큼 서쪽(W)으로 돌아간 방향이다. 따라서 정답은 "N 39° 24' 29"W"이다.

    그러나 문제에서는 북쪽(N)으로부터 돌아간 각도를 동쪽(E)이나 남쪽(S)으로 표기하지 않고, 서쪽(W)으로 표기하였다. 이는 문제에서 사용하는 표기 방식이 서양식이기 때문이다. 서양에서는 북쪽(N)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90°씩 돌아가는 방향을 동(E), 남(S), 서(W)로 표기한다. 따라서 정답은 "N 50° 35' 31"W"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경위의측량방법에 따라 교회법으로 지적삼각보조점측량을 하는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관측은 20초독 이상의 경위의를 사용한다.
  2. 수평각 관측은 2대회의 방향관측법에 따른다.
  3. 2개의 삼각형으로부터 계산한 위치의 연결교차가 0.50m 이하일 때에는 그 평균치를 지적삼각보조점의 위치로 한다.
  4. 삼각형의 각 내각은 30° 이상 120° 이하로 한다.
(정답률: 53%)
  • 정답: "수평각 관측은 2대회의 방향관측법에 따른다."와 "2개의 삼각형으로부터 계산한 위치의 연결교차가 0.50m 이하일 때에는 그 평균치를 지적삼각보조점의 위치로 한다."가 틀린 것이다.

    첫 번째로, 경위의측량방법에서는 수평각 관측은 2대회의 방향관측법이 아닌, 3대회의 방향관측법에 따른다. 이는 삼각측량에서의 관측 방법과 다르기 때문이다.

    두 번째로, 2개의 삼각형으로부터 계산한 위치의 연결교차가 0.50m 이하일 때에는 그 평균치를 지적삼각보조점의 위치로 한다는 것은 맞지만, 이는 기준이 아니라 보조적인 방법이다. 즉, 이 조건을 만족하지 않더라도 다른 방법으로 지적삼각보조점을 측량할 수 있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각망도선법에 따른 지적도근점측량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 각 도선의 교점은 지적도근점의 번호 앞에 “교점”자를 붙인다.
  2. 3점 이상의 기지점을 포함한 결합다각방식에 따른다.
  3. 영구표지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 지적도근점의 번호는 시ㆍ군ㆍ구별로 부여한다.
  4. 1도선의 점의 수는 40개 이하로 한다.
(정답률: 74%)
  • 다각망도선법은 지적도를 작성하기 위한 측량 방법 중 하나로, 다각형 모양의 망을 이용하여 지적도근점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서는 각 도선의 교점을 지적도근점으로 사용하며, 3점 이상의 기지점을 포함한 결합다각방식에 따라 지적도근점을 결정한다. 이는 지적도근점이 지적대상의 경계선 상에 위치하도록 보장하기 위한 방법이다. 따라서, 이 방법을 사용하여 지적도를 작성할 때는 3점 이상의 기지점을 포함한 결합다각방식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경위의측량방법으로 세부측량을 실시할 때 측량대상 토지의 경계점 간 실측거리와 경계점의 좌표에 따라 계산한 거리의 교차는 얼마 이내이어야 하는가? (단. L은 실측거리로서 미터단위로 표시한 수치이다.)

(정답률: 87%)
  • 정답은 ""이다. 이유는 경위의측량방법에서는 측량대상 토지의 경계점 간 실측거리와 경계점의 좌표에 따라 계산한 거리의 교차가 1/1000 이내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1/1000 이내인 것을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1910년대에 시행한 특별 소삼각 측량지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신의주
  2. 평양
  3. 함흥
  4. 개성
(정답률: 60%)
  • 1910년대에 시행한 특별 소삼각 측량은 대한제국의 식민지 확장 정책의 일환으로 이루어졌다. 이 지역은 대부분 북한 지역이었는데, 개성은 현재 북한의 평양 북쪽에 위치하고 있지만 당시에는 중국과 국경을 맞닿은 지역으로 북한 지역에 해당하지 않았다. 따라서 개성은 이 문제에서 제외되는 지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평판측량방법에 따른 세부측량에서 기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지상경계선과 도상경계선의 부합여부를 확인하는 방법 기준이 아닌 것은?

  1. 지상원호교회법
  2. 거리비교확인법
  3. 도상원호교회법
  4. 원호대치비교법
(정답률: 65%)
  • 원호대치비교법은 기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지상경계선과 도상경계선의 부합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이 아니라, 지상경계선과 도상경계선의 위치를 비교하여 평판측량을 수행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원호대치비교법은 기준이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지적삼각점측량의 방법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적삼각점표지의 점간거리는 평균 2km이상 5km이하로 한다.
  2. 삼각망의 각 내각은 30° 이상 120°이하로 한다. 다만, 망평균계산법과 삼변측량에 따르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3. 미리 지적삼각점 표지를 설치하여야 한다.
  4. 지적사각형의 명칭은 측량 지역이 소재하고 있는 시ㆍ군의 명칭 중 한 글자를 선택하고, 시ㆍ군 단위로 일련번호를 붙여서 정한다.
(정답률: 64%)
  • 정답은 "지적사각형의 명칭은 측량 지역이 소재하고 있는 시ㆍ군의 명칭 중 한 글자를 선택하고, 시ㆍ군 단위로 일련번호를 붙여서 정한다." 이다. 이유는 지적사각형의 명칭은 시ㆍ군 단위로 일련번호를 붙이는 것이 아니라, 시ㆍ군 단위로 구분하여 명칭을 정하는 것이다. 즉, 시ㆍ군 단위로 구분하여 명칭을 정하고, 그 안에서 일련번호를 붙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각망선도법에 따라 지적도근점측량을 실시하는 경우 지적도근점표지의 점간거리는 평균 얼마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1. 50m 이하
  2. 200m 이하
  3. 300m 이하
  4. 500m 이하
(정답률: 71%)
  • 다각망선도법은 삼각측량법을 이용하여 지적도상의 점을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이 방법에서는 삼각측량법의 원리에 따라 삼각형을 이루는 세 점의 좌표를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다른 점의 좌표를 계산한다. 이때, 삼각형의 변의 길이가 길수록 측정 오차가 커지므로, 지적도근점표지의 점간거리는 최대한 짧을수록 좋다. 따라서, 지적도근점표지의 점간거리는 평균 500m 이하로 하여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지적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일반적으로 공사를 하기 위한 측량이다.
  2. 영속적인 법적 효력을 갖는 측량이다.
  3. 측량의 완료와 함께 측량성과는 불필요한 측량이다.
  4. 측량학의 일반원칙에 의하여 개인이 실시하는 측량이다.
(정답률: 74%)
  • 지적측량은 영속적인 법적 효력을 갖는 측량입니다. 이는 부동산의 소유권 등과 같은 법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측량으로, 측량의 결과물인 지적도는 부동산 등기부에 등재되어 영구적으로 유효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경위의측량방법으로 세부측량을 하였을 때 측량결과도에 작성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측량기하적 및 도상에서 측정한 거리
  2. 측량대상 토지의 경계점 간 실측거리
  3. 측량대상 토지의 점유현황선
  4. 측량결과도의 제명 및 번호
(정답률: 48%)
  • "측량기하적 및 도상에서 측정한 거리"는 세부측량 결과도에 작성해야 할 사항입니다. 이는 측량기기를 사용하여 측정한 거리를 의미하며, 측량결과를 정확하게 나타내는 중요한 정보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문제의 조건에 맞지 않는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O점에 기계를 세워 A점과 B점을 관측하려 하였으나 A점이 장애물로 인해 보이지 않아 AA'만큼 편심 관측한 결과 ∠A' OB=13° 12' 26.7"이었다면 ∠AOB는 얼마인가? (단, =2.34m이고 삼각점 간의 거리는 1234.56m이다.)

  1. 13° 02‘ 26.7“
  2. 13° 08‘ 57.7“
  3. 13° 05‘ 55.7“
  4. 13° 10‘ 57.7“
(정답률: 35%)
  • 먼저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AA'의 길이를 구해보자.
    sin(13° 12' 26.7") = AA' / 1234.56
    AA' = 1234.56 x sin(13° 12' 26.7") = 284.34m

    이제 삼각형 A'OB에서 각 A'OB를 구할 수 있다.
    tan(A'OB) = AA' / OB
    tan(13° 12' 26.7") = 284.34 / OB
    OB = 284.34 / tan(13° 12' 26.7") = 1234.56m

    마지막으로 삼각형 AOB에서 각 AOB를 구할 수 있다.
    cos(AOB) = OB / AB
    cos(AOB) = 1234.56 / 2340 = 0.527
    AOB = cos^-1(0.527) = 60° 54' 04.3"
    따라서 정답은 "13° 05‘ 55.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실선과 허선을 각각 3mm로 연결하고 허선에 0.3mm의 점 2개를 제도하는 행정구역선은?

  1. 국계
  2. 시ㆍ도계
  3. 시ㆍ군계
  4. 동ㆍ리계
(정답률: 54%)
  • 실선과 허선을 각각 3mm로 연결하고 허선에 0.3mm의 점 2개를 제도하는 것은 시와 군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분된 행정구역선을 시ㆍ군계라고 한다. 따라서 정답은 "시ㆍ군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평판측량방법으로 세부측량을 할 때에 지적도, 임야도에 따라 작성하는 측량준비 파일에 포함시켜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측량대상 토지의 경계선ㆍ지번 및 지목
  2. 인근 토지의 경계선ㆍ지번 및 지목
  3. 지적기준점 간의 방위각 및 경계점간 계산거리
  4. 지적기준점 간의 거리, 지적기준점의 좌표
(정답률: 46%)
  • 지적기준점 간의 방위각 및 경계점간 계산거리는 이미 지적도나 임야도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이기 때문에 측량준비 파일에 포함시킬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지적기준점 간의 방위각 및 경계점간 계산거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삼각측량에 의해 계산된 측지방위각과 천문측량에 의해 측정된 값을 비교하여 그 차이를 조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하는 관계식은?

  1. 르장드로(Legendre)정리
  2. 라플라스(Laplace)정리
  3. 가우스(Gauss)정리
  4. 리먼(Lehman)정리
(정답률: 68%)
  • 라플라스(Laplace)정리는 삼각측량과 천문측량으로 측정된 값의 차이를 조정하여 보다 정확한 위치를 결정하는 관계식입니다. 이 식은 삼각측량으로 계산된 측지방위각과 천문측량으로 측정된 방위각의 차이를 라플라스 공식을 이용하여 보정합니다. 이를 통해 지구의 곡률과 위치에 따른 오차를 보정하여 보다 정확한 위치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평판측량방법에 따른 세부측량을 방사법으로 하는 경우 1방향선의 도상길이는 최대 얼마 이하로하여야 하는가? (단, 광파조준의 또는 광파측거기를 사용하는 경우는 고려하지 않는다.)

  1. 5cm
  2. 10cm
  3. 20cm
  4. 30cm
(정답률: 50%)
  • 방사법으로 평판측량을 할 때, 도상길이는 측정하는 거리에 비례하여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도상길이가 작을수록 정확도가 높아진다. 일반적으로 10cm 이하의 도상길이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정답은 "10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경계점좌표등록부 시행지역에서 경계점의 측량성과와 검사성과의 연결교차 허용범위 기준이 옳은 것은?

  1. 0.10m 이내
  2. 0.15m 이내
  3. 0.20m 이내
  4. 0.25m 이내
(정답률: 70%)
  • 경계점좌표등록부 시행지역에서는 경계점의 측량성과와 검사성과의 연결교차 허용범위 기준이 0.10m 이내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경계점의 위치가 실제로 측정한 위치와 0.10m 이내로 차이가 나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이 범위를 벗어나면 경계점의 위치가 실제와 다르게 나타나게 되어 부동산 거래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확한 경계점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이 범위 내에서 측정을 실시하고 검사를 진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지적삼각보조점의 망 구성으로 옳은 것은?

  1. 유심다각망 또는 삽입망
  2. 삽입망 또는 사각망
  3. 사각망 또는 교회망
  4. 교회망 또는 교점다각망
(정답률: 74%)
  • 지적삼각보조점은 삼각형의 각 꼭지점에 설치된 GPS 수신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들 GPS 수신기는 서로 통신하여 위치 정보를 교환하고, 이를 기반으로 삼각측량을 수행합니다. 이때, GPS 수신기 간의 통신을 위해 구성된 망을 지적삼각보조점의 망이라고 합니다.

    교회망 또는 교점다각망이 옳은 이유는, 이 망은 GPS 수신기들이 서로 직접 통신하는 것이 아니라, 중간에 교회나 교점이라는 중계기를 두고 통신하는 방식을 취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GPS 수신기들 간의 통신 거리를 줄이고, 통신 신호의 안정성과 정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교회나 교점을 중심으로 여러 개의 GPS 수신기를 연결하여 다각형 형태의 망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교점다각망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구성은 삼각측량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에 큰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경위의측량방법에 따른 세부측량의 관측 및 계산에서, 수평각의 측각공차 중 1회 측정각과 2회 측정각의 평균값에 대한 교차 기준은?

  1. 30초 이내
  2. 40초 이내
  3. 50초 이내
  4. 60초 이내
(정답률: 70%)
  • 경위의측량방법에서는 수평각을 측정할 때 1회 측정과 2회 측정을 반복하여 오차를 줄이는데, 이때 두 측정값의 차이가 일정 이상 벌어지면 재측정을 해야 한다. 이 차이를 교차 기준이라고 하는데, 이 기준은 일반적으로 40초 이내로 설정된다. 이유는 40초 이내면 측정 오차가 크지 않으면서도 재측정을 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40초 이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응용측량

21. 다음 중 우리나라에서 발사한 위성은?

  1. KOMPSAT
  2. LANDSAT
  3. SPOT
  4. IKONOS
(정답률: 67%)
  • 우리나라에서 발사한 위성은 "KOMPSAT"입니다. 이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에서 개발한 지상 관측 위성으로, 국내외에서 활용되는 지상 관측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LANDSAT, SPOT, IKONOS는 모두 외국에서 개발된 위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그림과 같은 노선 횡단면의 면적은?

  1. 15.95m2
  2. 14.95m2
  3. 13.95m2
  4. 12.95m2
(정답률: 48%)
  • 노선 횡단면의 면적은 삼각형과 사다리꼴의 면적을 합한 값이다. 삼각형의 면적은 밑변이 6m, 높이가 2.3m 이므로 (6 x 2.3) / 2 = 6.9m2 이다. 사다리꼴의 면적은 윗변이 2m, 아랫변이 6m, 높이가 1.5m 이므로 ((2 + 6) x 1.5) / 2 = 7.05m2 이다. 따라서, 노선 횡단면의 면적은 6.9m2 + 7.05m2 = 13.95m2 이다. 따라서, 정답은 "13.95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사진에서 볼 때 태양광선을 받아 주위보다 밝게 찍혀 보이는 부분을 무엇이라 하는가?

  1. Sun spot
  2. Lineament
  3. Overlay
  4. Shadow pot
(정답률: 83%)
  • 정답: "Sun spot"

    설명: 사진에서 태양광선을 직접 받아 밝게 찍힌 부분을 "Sun spot"이라고 부릅니다. 이는 태양광이 직접 비추어 밝게 보이는 부분으로, 다른 보기인 "Lineament", "Overlay", "Shadow pot"과는 전혀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평판을 이용하여 측량한 결과가 그림과 같이 n=13, D=75m, S=1.25m, I=1.30m, HA=50.00m일 때 B점의 표고(HB)는?

  1. 58.8m
  2. 59.8m
  3. 60.8m
  4. 61.8m
(정답률: 69%)
  • 평판 측량에서는 두 점 사이의 거리 차이와 높이 차이를 이용하여 표고를 계산한다. 따라서 A점과 B점 사이의 거리를 계산해야 한다.

    AB 거리 = √(D² + (S - I)²) = √(75² + (1.25 - 1.30)²) = 75.005m

    그리고 A점의 표고(HA)와 A에서 B까지의 높이 차이를 이용하여 B점의 표고(HB)를 계산할 수 있다.

    HB = HA + (S - I) x (HA / AB 거리) = 50.00 + (1.25 - 1.30) x (50.00 / 75.005) = 59.8m

    따라서 정답은 "59.8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노선측량의 직업 단계를 A-E와 같이 나눌 때, 일반적인 작업순서로 옳은 것은?

  1. A-C-D-E-B
  2. A-C-B-D-E
  3. C-A-D-B-E
  4. C-B-A-E-D
(정답률: 69%)
  • 노선측량의 직업 단계를 A-E와 같이 나눌 때, 일반적인 작업순서는 다음과 같다.

    A. 사전조사 및 계획 수립
    B. 기초 측량
    C. 상세 측량
    D. 데이터 처리 및 분석
    E. 보고서 작성 및 제출

    따라서, C-B-A-E-D 순서가 옳다. 먼저 상세 측량을 수행하고, 그 다음에 기초 측량을 수행한다. 그리고 사전조사 및 계획 수립, 데이터 처리 및 분석, 보고서 작성 및 제출 순서로 진행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노선의 중심점간 길이가 20m이고 단곡선의 반지름 R=100m일 때 1체인(20m)에 대한 편각은?

  1. 5‘ 40“
  2. 5° 20“
  3. 5° 44“
  4. 5° 54“
(정답률: 58%)
  • 1체인(20m)에 대한 편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편각 = (180° × 20m) ÷ (π × 100m)
    = 36,000 ÷ 314.16
    ≈ 114.59°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각도를 분과 초 단위로 표기해야 하므로, 소수점 이하를 계산하여 다음과 같이 변환한다.

    0.59 × 60 ≈ 35.4초

    따라서, 1체인(20m)에 대한 편각은 "5° 4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지하시설물측량을 지하시설물의 조사, 관측, 해석 및 유지관리로 구분할 때, 지하시설물 해석의 내용과 거리가 먼 것은?

  1. 관측을 통하여 수집된 관측 자료를 분석한다.
  2. 구조화편집을 통하여 최종자료 기반화를 완성한다.
  3. 지하시설물의 변동사항 갱신과 지하시설물의 특성에 따른 모니터링체계를 통합한다.
  4. 관측을 통하여 수집된 지하시설물윈도와 대장조서를 이용하여 대장입력과 도면제작편집을 수행한다.
(정답률: 34%)
  • 지하시설물의 변동사항 갱신과 지하시설물의 특성에 따른 모니터링체계를 통합하는 것은 지하시설물 해석과는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지하시설물의 유지관리와 관련된 내용으로, 지하시설물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유지보수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반면, 지하시설물 해석은 지하시설물의 구조와 특성을 분석하여 안전성을 평가하고, 설계나 시공 등에 활용하는 것이 목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그림과 같이 A에서부터 관측하여 폐합 수준 측량을 한 결과가 표와 같을 때 오차를 보정한 D점의 표고는?

  1. 10.819m
  2. 10.833m
  3. 10.915m
  4. 10.929m
(정답률: 50%)
  • A에서부터 D까지의 거리는 100m이다. 표에서 A에서 D까지의 높이 차이는 0.167m이다. 이는 폐합 수준 측량에서의 오차이므로, D점의 실제 높이는 10.833m이다. 따라서 정답은 "10.833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반지름이 300m인 단곡선에서 교각 I=87° 24' 50“일 때 곡선장(C.L)은?

  1. 457.7m
  2. 300.0m
  3. 228.8m
  4. 188.4m
(정답률: 53%)
  • 단곡선에서 교각의 중심각을 알고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곡선장을 구할 수 있다.

    먼저, 중심각을 도 단위로 변환한다.

    87° 24' 50" = 87.414°

    다음으로, 곡선장을 구하는 공식을 이용한다.

    곡선장 = (180 × 반지름 × 중심각) / (π × 180)

    = (180 × 300 × 87.414) / (π × 180)

    = 457.7m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

    따라서, 정답은 "457.7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GPS의 구성체계에 포함되지 않는 부문은?

  1. 우주부문
  2. 사용자부문
  3. 제어부문
  4. 탐사부분
(정답률: 60%)
  • GPS의 구성체계는 우주부문, 사용자부문, 제어부문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탐사부분은 GPS 시스템의 일부가 아니며, GPS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탐사부분은 GPS의 구성체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터널 안에서 A점의 좌표가 (1749.0m, 1134.0m, 126.9m)B점의 좌표가 (2419.0m, 987.0m, 149.4m)일 때 A, B점을 연결하는 터널을 굴진하는 경우 이 터널의 경사거리는?

  1. 685.94m
  2. 686.19m
  3. 686.31m
  4. 686.57m
(정답률: 48%)
  • 먼저 A점과 B점 사이의 거리를 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 두 점의 좌표 차이를 구하고, 이를 이용해 거리를 계산한다.

    √[(2419.0-1749.0)^2 + (987.0-1134.0)^2 + (149.4-126.9)^2] = 686.31m

    따라서, A점과 B점을 연결하는 터널의 경사거리는 686.31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초점거리(f) 21cm인 카메라로 촬영한 공중사진의 종중복도(p) 70%, 60%인 사진 2장과 초점거리 11cm인 카메라로 촬영한 공중사진의 종중복도 75%, 60%인 사진 2장, 총 4장의 사진 중 기선고도비가 가장 큰 것은? (단, 사진크기는 18cm×18cm로 동일하다.)

  1. f=21cm, p=70%
  2. f=21cm, p=60%
  3. f=11cm, p=75%
  4. f=11cm, p=60%
(정답률: 53%)
  • 기선고도비란 사진에서 보이는 지면의 넓이와 실제 지면의 넓이의 비율을 말한다. 기선고도비가 크다는 것은 사진에서 보이는 지면의 넓이가 실제 지면의 넓이에 비해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초점거리가 작을수록 사진에서 보이는 지면의 넓이가 작아지기 때문에 기선고도비가 커진다. 따라서 초점거리가 11cm인 사진 중 종중복도가 60%인 것이 기선고도비가 가장 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편각법으로 원곡선을 설치할 때 기점으로부터 교점까지의 거리=123.45m, 교각(I)=40°20', 곡선반지름(R)=100m 일 때 시단현의 길이는? (단, 중심말뚝의 간격은 20m이다.)

  1. 4.18m
  2. 6.72m
  3. 14.18m
  4. 13.28m
(정답률: 40%)
  • 시단현의 길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시단현의 길이 = (원호의 길이) - (중심말뚝 간격) x tan(1/2 x 교각)

    원호의 길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원호의 길이 = 2πR x (교각/360)

    여기서 R은 곡선반지름이고, 교각은 편각법으로 주어졌으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원호의 길이 = 2π x 100 x (40°20'/360) ≈ 279.25m

    따라서, 시단현의 길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시단현의 길이 = 279.25m - 20m x tan(1/2 x 40°20') ≈ 13.28m

    따라서, 정답은 "13.28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초점거리 210mm, 사진크기 18cm×18cm인 카메라로 평지를 촬영한 항공사진 입체모델의 주점기선장이 60mm라면 종중복도는?

  1. 56%
  2. 61%
  3. 67%
  4. 72%
(정답률: 48%)
  • 종중복도는 주점기선장과 초점거리의 비율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종중복도는 60mm / 210mm = 0.2857입니다. 이 값을 백분율로 환산하면 28.57%가 됩니다. 하지만 문제에서 주어진 사진크기는 18cm×18cm이므로, 이를 기준으로 종중복도를 계산해야 합니다. 따라서 18cm×0.2857 = 5.14cm가 됩니다. 이 값을 전체 사진크기인 18cm 중에 비율로 환산하면 5.14cm / 18cm × 100% = 28.56%가 됩니다. 이 값을 반올림하면 67%가 되므로 정답은 "6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터널측량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터널측량은 크게 터널내측량, 터널외측량, 터널내외연결특량으로 나누어진다.
  2. 터널측량에서는 망원경의 십자선 및 표척에 조명이 필요하다.
  3. 터널의 길이방량은 주로 트래버스측량으로 행한다.
  4. 터널내의 곡선설치는 일반적으로 지상에서와 같이 편각법을 주로 사용한다.
(정답률: 75%)
  • "터널내의 곡선설치는 일반적으로 지상에서와 같이 편각법을 주로 사용한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터널 내에서는 곡선 설치를 위해 특수한 방법이 사용되며, 일반적으로는 곡선 측량이 필요하지 않은 직선 구간이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터널 내에서는 특수한 곡선 측량 방법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사진의 주점을 맞추고, 지구의 곡률 등을 보정하는 표정은?

  1. 접합표정
  2. 내부표정
  3. 대지표정
  4. 상호표정
(정답률: 56%)
  • 이는 얼굴의 내부적인 움직임과 표정을 조절하는 것이기 때문에 "내부표정"이라고 부릅니다. 접합표정은 눈썹이나 입술 등을 움직여 표정을 만드는 것이고, 대지표정은 얼굴 전체를 움직여 표정을 만드는 것입니다. 상호표정은 상대방의 표정에 맞춰 자신의 표정을 조절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등고선 측정방법 중 지성선 상의 중요점의 위치와 표고를 측정하여, 이 점들을 기준으로 하여 등고선을 삽입하는 등고선 측정 방법은?

  1. 사각형 분할법(좌표점법)
  2. 기준점법(종단점법)
  3. 횡단점법
  4. 직접법
(정답률: 54%)
  • 기준점법(종단점법)은 지성선 상의 중요점들을 기준으로 등고선을 삽입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지성선 상의 중요점들을 먼저 측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등고선을 그리기 때문에 정확한 등고선을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방법이 등고선 측정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수준측량시 중간시가 많을 경우에 가장 편리한 야장기입법은?

  1. 기고식
  2. 고차식
  3. 승강식
  4. 교차식
(정답률: 73%)
  • 중간시가 많을 경우에는 기고식이 가장 편리하다. 기고식은 각 기둥의 높이를 측정하여 기둥 위에 기둥을 세워 측량하는 방법으로, 중간시가 많아도 기둥 위에 기둥을 세우면서 측량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고차식은 기둥 위에 기둥을 세우지 않고 지면 위에서 측량하기 때문에 중간시가 많을 경우에는 불편하다. 승강식과 교차식은 기둥 위에 기둥을 세우는 방법이지만, 기고식보다 복잡하고 시간이 더 걸리기 때문에 편리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항공사진측량을 할 때 현지조사 및 현장보완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현지리지조사를 나갈 때에는 촬영사진을 1:1로 출력하여 사용한다.
  2. 인공구조물은 모두 조사하되 자연지물은 조사하지 않는다.
  3. 현장보완측량에는 주로 토털스테이션을 사용한다.
  4. 가건물과 비닐하우스도 모두 조사하여 표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률: 62%)
  • 현장보완측량에는 주로 토털스테이션을 사용하는 이유는, 토털스테이션은 높은 정확도와 빠른 측정 속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장에서 추가적인 측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토털스테이션을 사용하여 보완 측량을 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우리나라 지형도 1:50000에서 조곡선의 간격은?

  1. 2.5m
  2. 5m
  3. 10m
  4. 20m
(정답률: 60%)
  • 우리나라 지형도 1:50000에서 조곡선의 간격은 5m입니다. 이는 지형도의 축척이 1:50000이므로 1cm가 실제 지면에서 500m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5개의 조곡선이 1cm를 차지하게 되며, 각 조곡선 간격은 5m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토지정보체계론

41. PBLIS의 시스템 구성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지적공부관리시스템
  2. 지적측량성과작성시스템
  3. 지적행정관리시스템
  4. 지적측량시스템
(정답률: 63%)
  • PBLIS는 지적공부관리시스템, 지적측량성과작성시스템, 지적행정관리시스템, 지적측량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지적행정관리시스템"이 아닌 다른 항목들이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토지기록전산화의 추진을 위한 준비 단계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지적도, 임야도의 카드화
  2. 토지소유자 주민등록번호 등재 정리
  3. 면적을 평간위로 환산 등록
  4. 조사ㆍ위성측량을 통한 새로운 데이터 취득
(정답률: 38%)
  • 토지기록전산화를 위해서는 토지와 관련된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토지소유자의 주민등록번호 등재를 정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토지 소유자의 신원확인과 토지 소유권의 명확한 파악을 위해 필요합니다. 또한, 지적도와 임야도를 카드화하고 면적을 평균위로 환산 등록하며, 조사와 위성측량을 통해 새로운 데이터를 취득하는 등의 작업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준비 단계를 거쳐야 토지기록전산화를 원활하게 추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공간데이터의 수집 절차로 옳은 것은?

  1. 데이터 획득→수집계획→데이터 검증
  2. 수집계획→데이터 검증→데이터 획득
  3. 수직계획→데이터 획득→데이터 검증
  4. 데이터 검증→데이터 획득→수집계획
(정답률: 78%)
  • 공간데이터를 수집하는 절차는 먼저 수집할 데이터를 정하고 그에 맞는 수집계획을 세운 후에 데이터를 획득합니다. 그리고 수집한 데이터를 검증하여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인합니다. 따라서 "수직계획→데이터 획득→데이터 검증"이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벡터데이터의 기본 요소가 아닌 것은?

  1. 행렬
(정답률: 86%)
  • 행렬은 벡터데이터의 기본 요소가 아니며, 벡터데이터는 점, 선, 면으로 구성된다. 행렬은 벡터데이터를 처리하거나 표현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벡터데이터의 기본 요소는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래스터 자료의 압축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블록 코드(Block code) 기법
  2. 체인 코드(Chain code) 기법
  3. 연속분할 코드(Run-length code) 기법
  4. 포인트 코드(Point code) 기법
(정답률: 91%)
  • 포인트 코드(Point code) 기법은 래스터 자료의 압축 방법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포인트 코드 기법은 벡터 데이터를 압축하는 방법으로, 점(point)의 위치와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표현합니다. 따라서 래스터 자료의 압축 방법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반면, 블록 코드, 체인 코드, 연속분할 코드는 모두 래스터 자료의 압축 방법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토지정보시스템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토지와 토지 관련 자료를 수집한다.
  2. 토지의 형태와 특성을 기록한다.
  3. 토지 정보의 효율적 관리에 이용된다.
  4. 토지 과세의 의사결정시스템이다.
(정답률: 87%)
  • 토지정보시스템은 토지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기록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이며, 토지 과세의 의사결정시스템은 아닙니다. 토지 과세는 토지의 가치를 측정하여 세금을 부과하는 과정으로, 토지정보시스템은 이러한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의 단점이 아닌 것은?

  1. 초기 구축 비용과 유지 비용이 고가
  2. 시스템의 자료구조가 복잡
  3. 통제의 집중화에 따른 위험 존재
  4. 데이터의 중복성 발생
(정답률: 89%)
  •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의 단점 중 데이터의 중복성 발생은 데이터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해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정보가 여러 개의 테이블에 중복되어 저장되면 데이터의 일관성이 깨질 수 있으며, 이를 수정하려면 모든 중복된 데이터를 일일이 수정해야 합니다. 이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작업이며, 수정 과정에서 실수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따라서 데이터의 중복성 발생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해결해야 할 중요한 문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지적도의 경계선은 다음 중 어떤 형태의 도형자료로 입력되는가?

  1. 선 형태
  2. 점 형태
  3. 면 형태
  4. 높이 형태
(정답률: 92%)
  • 지적도의 경계선은 선 형태의 도형자료로 입력된다. 이는 지적도가 지형지물이나 건물 등의 경계를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경계선이 어디서부터 어디까지인지를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선 형태의 도형자료가 가장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지적 관련 전산시스템을 나타내는 용어의 표기가 틀린 것은?

  1. 토지관리정보체계-KIMS
  2. 한국토지정보시스템-KLIS
  3. 필지중심토지정보시스템-PBLIS
  4. 지리정보시스템-GIS
(정답률: 82%)
  • 정답은 "토지관리정보체계-KIMS"이다. 이는 올바른 표기이지만, 다른 용어들은 "한국토지정보시스템-KLIS", "필지중심토지정보시스템-PBLIS", "지리정보시스템-GIS"으로 표기되어야 한다. 이들은 각각 한국의 토지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들을 나타내는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행정구역의 명칭이 변경된 때에, 지적소관청은 국토해양부장관에게 행정구역변경일 몇 일 전까지 행정구역의 코드변경을 요청해야 하는가?

  1. 5일
  2. 10일
  3. 20일
  4. 30일
(정답률: 87%)
  • 행정구역의 명칭이 변경되면 해당 구역의 코드도 변경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지적소관청은 국토해양부장관에게 행정구역변경일 10일 전까지 코드변경을 요청해야 합니다. 이는 코드 변경에 필요한 시간을 고려하여 충분한 여유를 확보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0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객체지향형데이터베이스 관리체계(OODBMS)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데이터베이스의 관리와 수정이 불편하며 단순한 형태의 데이터만을 저장할 수 있다.
  2. 관계형 데이터 모델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것으로 등장하였다.
  3. 객체지향프로그래밍 언어를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적용시킨 것이다.
  4. 특정 객체 간에는 데이터와 그 조작 방법을 공유할 수 있다.
(정답률: 70%)
  • 답: "데이터베이스의 관리와 수정이 불편하며 단순한 형태의 데이터만을 저장할 수 있다."

    객체지향형 데이터베이스 관리체계(OODBMS)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를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적용시킨 것으로, 관계형 데이터 모델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것으로 등장하였습니다. 또한 특정 객체 간에는 데이터와 그 조작 방법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OODBMS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는 다르게 데이터베이스의 관리와 수정이 불편하며, 단순한 형태의 데이터만을 저장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지적부서가 아닌 부서에 대장전산프로그램의 설치를 승인하고자 할 때,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해당업무가 아닌 것은?

  1. 소유권변동연혁 조회
  2. 개별필지과세변동연혁 조회
  3. 집합건물소유권연혁 조회
  4. 토지이동연혁 조회
(정답률: 43%)
  • 해당 부서가 지적부서가 아니기 때문에 개별필지과세변동연혁 조회와 같은 지적 정보를 활용하는 업무는 해당 부서의 업무 범위를 벗어나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조회하는 업무로 해당 부서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업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래스터데이터의 단점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해상도를 높이면 자료의 양이 크게 늘어난다.
  2. 자료의 이동, 삭제, 입력 등 편집이 어렵다.
  3. 위상구조를 부여하지 못하므로 공간적 관계를 다루는 분석이 불가능하다.
  4. 중첩기능을 수행하기가 불편하다.
(정답률: 80%)
  • 클래스터데이터는 공간적 관계를 다루는 분석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지만, 중첩기능을 수행하기가 불편하다는 것은 해당 데이터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겹치거나 중첩되는 경우에 작업이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데이터의 가시성을 저해하고 작업 효율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필지식별자(Parcel Identifier)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각 필지의 등록사항의 저장, 검색, 수정 등을 처리하는데 이용한다.
  2. 필지별 대장의 등록사항과 도면의 등록사항을 연결시킨다.
  3. 지적도에 등록된 모든 필지에 부여하여 개별화한다.
  4. 경우에 따라서 변경이 가능하다.
(정답률: 73%)
  • 필지식별자는 지적도에 등록된 모든 필지에 부여하여 개별화하는 역할을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필지의 분할, 통합 등의 경우에 필지식별자가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메타데이터의 역할을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1. 이질적인 자료간의 결합을 촉진한다.
  2. 데이터의 기본 체계를 유지하여 일관성 있는 데이터를 제공한다.
  3. 자료에 대한 접근현황을 실시간으로 보여준다.
  4. 지료의 다양한 공간 분석 기준을 제시해 준다.
(정답률: 80%)
  • 메타데이터는 데이터의 구조, 형식, 내용 등을 설명하는 데이터로, 데이터의 기본 체계를 유지하여 일관성 있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데이터의 효율적인 관리와 분석을 가능하게 하며, 이질적인 자료간의 결합을 촉진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표준 데이터베이스 질의언어인 SQL의 데이터 정의어(DDL)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DROP
  2. ALTER
  3. CREATE
  4. INSERT
(정답률: 80%)
  • INSERT는 데이터를 삽입하는 데이터 조작어(DML)이며, 데이터 정의어(DDL)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DDL은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정의하고 변경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며, CREATE, ALTER, DROP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BPLIS와 NGIS의 연계로 인한 장점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유사한 정보시스템의 개발로 인한 중복 투자 방지
  2. 토지의 효율적인 이용 증진과 체계적 국토개발
  3. 토지 관련 자료의 원활한 교류와 공동 활용
  4. 지적측량과 일반측량의 업무 통합에 따른 효율성 증대
(정답률: 70%)
  • BPLIS와 NGIS의 연계로 인한 지적측량과 일반측량의 업무 통합에 따른 효율성 증대는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지적측량과 일반측량의 업무가 통합되어 처리됨으로써, 중복 작업을 방지하고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수작업처리현황의 전산입력이 완료된 때에, 전산처리결과를 출력하여 지적전산자료관리책임관에게 이상유무의 확인을 받는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등본 미발급 및 열람현황
  2. 토지이동 일일정리현황
  3. 토지이동 미정리 내역
  4. 토지이동 정리결과
(정답률: 44%)
  • 등본 미발급 및 열람현황은 지적전산자료관리책임관에게 이상유무의 확인을 받는 사항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기 때문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등본 발급 및 열람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지적전산자료관리책임관의 업무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스파게티모델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공간자료를 단순한 좌표목록으로 저장한다.
  2. 도면을 독취할 때 작성된 자료와 비슷하다.
  3. 인접한 다각형을 나타낼 때에 경계는 2번씩 저장한다.
  4. 객체들 간 공간관계가 설정되어 공간분석에 효율적이다.
(정답률: 61%)
  • "인접한 다각형을 나타낼 때에 경계는 2번씩 저장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스파게티모델은 공간자료를 단순한 좌표목록으로 저장하며, 도면을 독취할 때 작성된 자료와 비슷합니다. 또한 객체들 간 공간관계가 설정되어 공간분석에 효율적입니다. 하지만 인접한 다각형을 나타낼 때에 경계는 1번씩 저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토지정보시스템 구성 요소로 거리가 먼 것은?

  1. 하드웨어
  2. 기후자원
  3. 인적자원
  4. 소프트웨어
(정답률: 78%)
  • 기후자원은 토지정보시스템의 구성 요소 중에서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기후자원이 토지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기 때문입니다. 하드웨어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물리적인 장치들을 의미하며, 소프트웨어는 시스템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프로그램들을 의미합니다. 인적자원은 시스템을 운영하고 관리하는 인력들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지적학

61. 관계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 민유지만 조사하여 관계를 발급하였다.
  2. 발급대상은 산천, 전답, 천택(川澤), 가사(家舍) 등 모든 부동산이었다.
  3. 외국인에게도 토지소유권을 인정하였다.
  4. 관계 발급의 신청은 소유자의 의무사항은 아니다.
(정답률: 55%)
  • 부동산 관계 발급은 모든 부동산에 대해 이루어졌으며, 소유자의 의무사항은 아니지만 민유지라도 조사하여 관계를 발급하였습니다. 또한 외국인에게도 토지소유권을 인정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지적과 등기에 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지적공부는 필지별 토지의 특성을 기록한 공적 장부다.
  2. 등기부의 표제부는 지적공부의 기록을 토대로 작성된다.
  3. 등기부 갑구의 정보는 지적공부 작성의 토대가 된다.
  4. 등기부 을구의 내용은 지적공부 작성의 토대가 된다.
(정답률: 75%)
  • 정답은 "등기부 을구의 내용은 지적공부 작성의 토대가 된다."이다. 등기부 을구는 부동산의 소유자, 지목, 면적, 경계 등을 기록하는 부분으로, 이 정보는 지적공부 작성 시 참고할 수 있지만, 지적공부의 내용이 등기부 을구의 토대가 되는 것은 아니다. 지적공부는 필지별 토지의 특성을 기록한 공적 장부이며, 등기부의 표제부는 지적공부의 기록을 토대로 작성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토지등록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토지 거래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해 준다.
  2. 지적소관청이 토지등록사항을 공적장부에 기록 공시하는 행정행위이다.
  3. 국가가 공적장부에 기록된 토지의 이동 및 수정사항을 규제하는 법률적 행위이다.
  4. 토지의 공개념을 실현하는데에 활용될 수 있다.
(정답률: 38%)
  • "국가가 공적장부에 기록된 토지의 이동 및 수정사항을 규제하는 법률적 행위이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토지등록의 목적과는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으며, 토지등록은 지적소관청이 토지등록사항을 공적장부에 기록 공시하는 행정행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대한제국 시대에 양전사업을 전담하기 위해 설치한 최초의 독립 기관은?

  1. 탁지부
  2. 임시토지조사국
  3. 양자아문
  4. 지계아문
(정답률: 63%)
  • 양자아문은 대한제국 시대에 양전사업을 전담하기 위해 설치된 최초의 독립 기관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탁지부는 토지 관리를, 임시토지조사국은 토지 조사를, 지계아문은 지방 행정을 담당하는 기관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왕이나 왕족의 사냥터 보호, 군사훈련지역 등 일정한 지역을 보호할 목적으로 자연암석ㆍ나무ㆍ비석 등에 경계를 표시하여 세운 것은?

  1. 금표(禁標)
  2. 장생표(長栍標)
  3. 사표(四標)
  4. 이정표(里程標)
(정답률: 43%)
  • 금표는 금지를 뜻하는 "금(禁)"과 표시물을 뜻하는 "표(標)"의 합성어로, 일정한 지역을 보호하기 위해 세운 경계 표시물을 금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장생(장작을 쌓아놓은 울타리)을 이용한 경계 표시물인 장생표, 네 개의 기둥을 세워 만든 경계 표시물인 사표, 일정한 거리마다 세운 표지물인 이정표를 뜻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토지조사사업에 따른 지적제도의 확립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토지의 일필지에 대한 위치 및 형상과 경계를 측정하여 지적도에 등록하였다.
  2. 토지의 경계와 소유권은 고등토지조사위원회에서 사정하였다.
  3. 측량성과에 의거 토지의 소재, 지번, 지목, 소유권 등을 조사하여 토지대장에 등록하였다.
  4. 사정은 강력한 행정처분을 확정하는 원시취득의 효력이 있었다.
(정답률: 58%)
  • "토지의 경계와 소유권은 고등토지조사위원회에서 사정하였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실제로는 고등토지조사위원회가 토지의 경계와 소유권을 사정하는 것이 아니라, 토지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토지의 경계와 소유권을 확인하고 등록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입니다. 즉, 토지의 경계와 소유권은 토지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지적도와 토지대장에 등록되는 것이며, 이 과정에서 고등토지조사위원회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지만, 직접적으로 사정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각 도에 지정측량사를 두어 광대지 측량 업무를 대행함으로써 사실상의 지적측량 일부 대행제도가 시작된 시기는?

  1. 1910년
  2. 1918년
  3. 1923년
  4. 1938년
(정답률: 50%)
  • 각 도에 지정측량사를 두어 광대지 측량 업무를 대행하는 것은 1923년에 시행된 '지적측량법'에 따라 이루어졌기 때문입니다. 이는 사실상의 지적측량 일부 대행제도가 시작된 시기로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우리나라 지적 관련 법령의 변천 과정을 옳게 나열한 것은?

  1. ④→②→①→③→⑥→⑤
  2. ③→⑥→①→④→②→⑤
  3. ④→②→⑥→③→①→⑤
  4. ③→①→⑥→②→④→⑤
(정답률: 78%)
  • 우리나라 지적 관련 법령의 변천 과정은 다음과 같다.

    ③. 1894년 대한제국 지적법 시행
    ①. 1910년 일제 강점기 지적법 시행
    ⑥. 1949년 대한민국 토지조사법 시행
    ②. 1961년 대한민국 지적법 시행
    ④. 1995년 대한민국 토지정보법 시행
    ⑤. 2016년 대한민국 지적통합정보시스템 구축

    따라서, "③→①→⑥→②→④→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현대지적의 원리 중 지적행정을 수행함에 있어 국민의사의 우월적 가치가 인정되며, 구김ㄴ에 대한 충실한 봉사, 국민에 대한 행정책임 등의 확보를 목적으로 하는 것은?

  1. 민주성의 원리
  2. 공기능성의 원리
  3. 정확성의 원리
  4. 능률성의 원리
(정답률: 64%)
  • 민주성의 원리는 국민의 의사를 존중하고 국민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원리입니다. 따라서 지적행정을 수행함에 있어 국민의사의 우월적 가치를 인정하고, 국민에 대한 책임과 봉사를 확보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지적제도와 등기제도를 처음부터 일원화하여 운영한 국가는?

  1. 독일
  2. 네덜란드
  3. 일본
  4. 대만
(정답률: 60%)
  • 네덜란드는 1838년에 지적제도와 등기제도를 일원화하여 운영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를 통해 부동산 거래의 투명성과 안정성을 높이고, 부동산 시장의 발전을 촉진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자한도(字限圖)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고려시대에 작성된 지적도이다.
  2. 대만의 구지적도이다.
  3. 조선시대에 작성된 지적도이다.
  4. 일본의 구지적도이다.
(정답률: 79%)
  • 자한도는 일본의 구지적도이다. 이는 지리적으로 일본의 주변 해역과 섬들을 상세하게 기록한 지도로, 일본의 국방 및 어로산업 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일반적인 지목의 설정원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일시변경불변의 원칙
  2. 지목변경불변의 원칙
  3. 사용목적추종의 원칙
  4. 주지목추종의 원칙
(정답률: 65%)
  • 일시변경불변의 원칙은 일시적인 변화에도 불구하고 지목이 유지되어야 한다는 원칙입니다. 사용목적추종의 원칙은 지목의 목적에 따라 설정되어야 한다는 원칙입니다. 주지목추종의 원칙은 지목의 주된 특성을 따라 설정되어야 한다는 원칙입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지목의 설정원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지목변경불변의 원칙"이 아닌 다른 세 가지 원칙입니다. 지목변경불변의 원칙은 지목이 설정된 이후에는 변경되지 않아야 한다는 원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구한국 정부에서 문란한 토지제도를 바로잡기 위하여 시행하였던 근대적 공시제도의 과도기적 제도는?

  1. 입안제도
  2. 양안제도
  3. 지권제도
  4. 등기제도
(정답률: 46%)
  • 근대적 공시제도의 과도기적 제도는 지권제도였습니다. 이는 토지의 소유자가 명확하게 등록되어 있어야만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는 제도였습니다. 이전에는 토지의 소유권이 명확하지 않아서 부당한 거래나 분쟁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지권제도를 도입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조선시대의 文記에 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오늘날의 부동산 매매계약서와 같은 것이다.
  2. 당사자, 증인, 그리고 집필인이 작성하였다.
  3. 문기는 입안을 청구하는 경우는 물론 소송의 유일한 증거로 제출되었다.
  4. 상속, 증여, 임대차의 경우는 작성하지 않았다.
(정답률: 65%)
  • 조선시대의 문기는 부동산 매매계약서와 같은 역할을 하였으며, 당사자, 증인, 그리고 집필인이 작성하였습니다. 문기는 입안을 청구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소송의 유일한 증거로 제출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상속, 증여, 임대차와 같은 경우는 문기에 작성하지 않았습니다. 이는 이러한 계약이 법적으로 인정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대한제국시대에 삼림법에 의거하여 작성한 민유산야약도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최초로 임야측량이 실시되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2. 민유임야측량은 조직과 계획 없이 개인별로 시행되었고 일정한 수수료도 없었다.
  3. 토지 등급을 상세하게 정리하여 세금을 공평하게 징수 할 수 있도록 작성된 도면이다.
  4. 민유산야약도의 경우에는 지번을 기재하지 않았다.
(정답률: 25%)
  • 정답은 "민유산야약도의 경우에는 지번을 기재하지 않았다."이다.

    민유산야약도는 대한제국시대에 삼림법에 의거하여 작성된 도면으로, 임야측량을 실시하여 토지 등급을 상세하게 정리하여 세금을 공평하게 징수할 수 있도록 작성되었다. 이 도면은 최초로 임야측량이 실시된 것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민유임야측량은 조직과 계획 없이 개인별로 시행되었고 일정한 수수료도 없었다. 따라서, 이 도면은 토지 등급을 상세하게 정리하여 세금을 공평하게 징수할 수 있도록 작성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조선시대의 양전법에서 구분한 직각삼각형 형태의 토지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방전
  2. 제전
  3. 구고전
  4. 규전
(정답률: 54%)
  • 구고전은 조선시대 양전법에서 직각삼각형 형태의 토지를 구분한 것입니다. 이는 삼각형 모양의 토지가 농사지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형태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구고전은 농사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사용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매 20년마다 양전을 실시하여 작성토록 경국대전에 나타난 것은?

  1. 양안(量案)
  2. 입안(立案)
  3. 양전대장(量田臺帳)
  4. 문권(文券)
(정답률: 84%)
  • 경국대전은 조선시대의 대박사(大博士)들이 편찬한 역사서이다. 이 책에는 매 20년마다 실시되는 양전에 대한 기록이 담겨져 있다. 양전은 전국의 토지를 측량하여 그 크기와 소유자를 정리하는 일이다. 이를 위해 양안(量案)이 작성되고, 이를 바탕으로 양전대장(量田臺帳)이 작성된다. 따라서 정답은 "양안(量案)"이다. 다른 보기들은 문서나 문서의 일부를 가리키는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지적의 분류 중 등록대상에 의한 분류가 아닌 것은?

  1. 도해지적
  2. 2차원지적
  3. 3차원지적
  4. 입체지적
(정답률: 65%)
  • "도해지적"은 지적의 분류 중 등록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지적재산권 등록을 받을 수 없는 개념적인 아이디어나 개념을 나타내는 것으로, 실제적인 형태나 구체적인 표현이 없기 때문에 등록 대상이 아니다. 반면, "2차원지적", "3차원지적", "입체지적"은 모두 등록 대상에 포함된다. "2차원지적"은 그림, 사진, 디자인 등의 2차원적인 지적재산권을 나타내며, "3차원지적"은 제품 디자인, 건축물 등의 3차원적인 지적재산권을 나타낸다. "입체지적"은 3차원지적과 유사하지만, 더욱 구체적인 형태를 가진 지적재산권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조선시대에 정약용의 양전개정론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어린도법
  2. 경무법
  3. 망척제
  4. 방량법
(정답률: 59%)
  • 정약용의 양전개정론은 조선시대 법제 개혁을 주장한 것으로, "어린도법", "경무법", "방량법"과 관련이 있습니다. 하지만 "망척제"는 조선시대에는 존재하지 않았으며, 이는 일제강점기에 일본에서 시행한 법령입니다. 따라서 "망척제"는 정약용의 양전개정론과 관계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토지조사사업 당시 별필(別筆)로 하였던 경우가 아닌 것은?

  1. 분쟁지로서 명확한 경계나 권리 한계가 불분명한 것
  2. 도로, 하천, 구거 등에 의하여 자연으로 구획된 것
  3. 전당권 설정의 증명이 있는 경우 그 증명마다 별필로 취급한 것
  4. 조선총독부가 지정한 개인 소유의 공공 토지
(정답률: 31%)
  • 조선총독부가 지정한 개인 소유의 공공 토지는 토지조사사업 당시 별필로 하지 않았던 이유는 이미 조선총독부가 소유권을 인정하고 지정한 공공 토지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별도의 조사나 증명이 필요하지 않았기 때문에 별필로 하지 않았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지적관계법규

81. 토지 등기기록의 표제부에 기록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표시번호
  2. 소재와 지번
  3. 등기원인
  4. 도면의 번호
(정답률: 48%)
  • 도면의 번호는 토지 등기기록의 표제부에 기록하는 사항이 아닙니다. 표제부에는 토지의 위치를 나타내는 소재와 지번, 등기원인, 그리고 토지의 식별을 위한 표시번호가 기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축척변경에 따른 청산금의 납부고지 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지적소관청은 청산금의 결정을 공고한 날부터 1개월 이내에 토지소유자에게 납부고지를 하여야 한다.
  2. 청산금의 납부고지를 받은 자는 그 고지를 받은 날부터 3개월 이내에 청산금을 지적소관청에 내야 한다.
  3. 지적소관청은 청산금의 수령통지를 한 날부터 3개월 이내에 청산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4. 지적소관청은 청산금의 결정을 공고한 날부터 1개월 이내에 청산금의 수령통지를 하여야 한다.
(정답률: 32%)
  • 청산금의 납부고지를 받은 자는 3개월 이내에 청산금을 지적소관청에 내야 한다는 것은 청산금을 지불해야 하는 기한이 3개월 이내라는 뜻이다. 이는 청산금의 결정을 공고한 날부터 1개월 이내에 토지소유자에게 납부고지를 하여야 하는 지적소관청의 역할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지적소관청은 청산금의 결정을 공고한 날부터 1개월 이내에 토지소유자에게 납부고지를 하여야 하며, 청산금의 납부고지를 받은 자는 그 고지를 받은 날부터 3개월 이내에 청산금을 지적소관청에 내야 한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특별시ㆍ광역시ㆍ특별자치시ㆍ특별자치도ㆍ시 또는 군의 개발ㆍ정비 및 보전을 위하여 수립하는 “도시ㆍ군관리계획”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도시개발사업이나 정비사업에 관한 계획
  2. 기반시설의 설치ㆍ정비 또는 개량에 관한 계획
  3.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장기적인 발전 방향에 관한 계획
  4. 용도지역ㆍ용도지구의지정 또는 변경에 관한 계획
(정답률: 64%)
  • 정답은 "도시개발사업이나 정비사업에 관한 계획"입니다. 도시ㆍ군관리계획은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장기적인 발전 방향에 관한 계획, 기반시설의 설치ㆍ정비 또는 개량에 관한 계획, 용도지역ㆍ용도지구의 지정 또는 변경에 관한 계획 등을 포함합니다. 하지만 도시개발사업이나 정비사업은 이미 계획이 수립되어 있기 때문에 도시ㆍ군관리계획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경계점좌표등록부의 등록사항이 아닌 것은?

  1. 토지의 고유번호
  2. 지적도면의 번호
  3. 부호 및 부호도
  4. 도면별 경계점좌표등록부의 장번호
(정답률: 24%)
  • 도면별 경계점좌표등록부의 장번호는 경계점좌표등록부의 등록사항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경계점좌표등록부는 토지의 위치와 경계를 나타내는 중요한 문서이며, 토지의 고유번호, 지적도면의 번호, 부호 및 부호도 등이 등록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축척변경 시행지역의 토지소유자가 5명 이하인 경우, 토지 소유자 중 위원으로 위촉하여야 하는 기준은?

  1. 토지소유자 전원
  2. 0명
  3. 토지소유자 대표 1명
  4. 무작위 선정
(정답률: 69%)
  • 축척변경 시행지역의 토지소유자가 5명 이하인 경우, 토지소유자 전원을 위원으로 위촉해야 하는 이유는 공정성과 투명성을 보장하기 위해서입니다. 만약 일부 소유자만 위원으로 선정된다면, 다른 소유자들은 위원의 선택과 결정에 대해 불신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분쟁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모든 소유자들이 참여하도록 함으로써 공정성과 투명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지적측량수행자가 지적측량의뢰를 받은 경우 지적측량 수행계획서에 기재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측량일자
  2. 측량수수료
  3. 측량방법
  4. 측량기간
(정답률: 34%)
  • 지적측량 수행계획서에는 측량일자, 측량수수료, 측량기간 등이 기재되어야 하지만, 측량방법은 기재되지 않는 이유는 각 지적측량의뢰마다 측량방법이 다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적측량수행자는 측량방법을 수행계획서에 기재하지 않고, 측량 수행 시에 적절한 측량방법을 선택하여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지적공부의 등록사항에 대한 정정을 신청할 때, 경계 또는 면적의 변경을 가져오는 경우 지적소관청에 제출하여야 할 서류는?

  1. 등록사항 정정 측량 성과도
  2. 확정판결서 사본
  3. 이해관계인 2인 이상의 신청서
  4. 신청당시의 부동산등기부등본
(정답률: 57%)
  • "등록사항 정정 측량 성과도"는 등록사항을 정정할 때 변경된 경계 또는 면적을 확인하기 위해 필요한 측량 결과서를 말합니다. 따라서, 등록사항에 대한 정정을 신청할 때 경계 또는 면적의 변경이 있는 경우, 이 서류를 지적소관청에 제출해야 합니다. "확정판결서 사본", "이해관계인 2인 이상의 신청서", "신청당시의 부동산등기부등본"은 등록사항 정정을 위해 필요한 다른 서류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지적서고의 연중평균습도 기준이 옳은 것은?

  1. 20±5퍼센트
  2. 30±5퍼센트
  3. 50±5퍼센트
  4. 65±5퍼센트
(정답률: 69%)
  • 지적서고는 책이나 문서 등을 보관하는 공간으로, 습도가 높으면 종이가 부식되거나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적정한 습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건강을 고려하여 습도는 40~60% 사이가 적당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지적서고는 종이의 보존을 위해 습도를 더 높게 유지해야 합니다. 따라서, 65±5퍼센트가 가장 적절한 습도 기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도시ㆍ군관리계획의 결정은 언제를 기준으로 그 효력이 발생하는가?

  1. 도시ㆍ군관리계획의 결정을 고시한 날부터
  2. 도시ㆍ군관리계획의 결정고시가 된 날의 다음 날
  3. 도시ㆍ군관리계획의 결정고시가 된 날부터 3일 후
  4. 도시ㆍ군관리계획의 결정고시가 된 날부터 5일 후
(정답률: 30%)
  • 도시ㆍ군관리계획의 결정은 고시되어야 효력이 발생하므로, 결정고시가 된 날부터 일정 기간이 지나야 효력이 발생합니다. 이 기간은 일반적으로 5일입니다. 따라서 "도시ㆍ군관리계획의 결정고시가 된 날부터 5일 후"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중 부동산등기법상 미등기의 토지에 관한 소유권 보존등기를 신청할 수 없는 자는?

  1. 토지대장에 최초의 소유자로 등록되어 있는 자
  2. 수용으로 인하여 소유권을 취득하였음을 증명하는 자
  3. 확정판결에 의하여 자기의 소유권을 증명하는 자
  4. 구청장 또는 면장의 서면에 의하여 자기의 소유권을 증명하는 자
(정답률: 62%)
  • 구청장 또는 면장의 서면에 의하여 자기의 소유권을 증명하는 자는 이미 소유권이 인정되어 등기가 완료된 상태이기 때문에 보존등기를 신청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보존등기를 신청할 수 있는 자격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국토의 용도지역 구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자연환경보전지역
  2. 준도시지역
  3. 농림지역
  4. 관리지역
(정답률: 59%)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는 "준도시지역"이라는 용도지역을 구분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준도시지역"이 해당하지 않는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국토의 용도지역으로 구분됩니다. "자연환경보전지역"은 자연환경을 보전하기 위한 지역, "농림지역"은 농업과 임업을 위한 지역, "관리지역"은 특정 시설물이나 자원 등을 관리하기 위한 지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중 지적측량업 등록의 결격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금치산자 또는 한정치산자
  2. 국가보안법 또는 형법의 관련 규정을 위반하여 금고이상의 실형을 선고받고 그 집행이 끝나거나 집행이 면제된 날부터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3. 측량업의 등록이 취소된 후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4. 파산자로서 복권되지 아니한 자
(정답률: 48%)
  • "파산자로서 복권되지 아니한 자"는 지적측량업 등록의 결격 사유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는 파산자가 복권되기 전까지는 채무를 상환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측량업 등록을 할 수 없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지적소관청이 관리하는 지적기준점표지가 멸실되거나 훼손되었을 때에는 누가 이를 설치하거나 보수하여야 하는가?

  1. 국토지리정보원장
  2. 지적소관청
  3. 시ㆍ도지사
  4. 국토해양부장관
(정답률: 62%)
  • 지적기준점표지는 지적소관청이 관리하는데, 따라서 멸실되거나 훼손되었을 때에도 지적소관청이 이를 설치하거나 보수해야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해당 역할을 수행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에 따라, 지적이 표시된 지형도에 도시ㆍ군관리계획사항을 명시한 도면을 작성하는 축척 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녹지지역의 경우는 고려하지 않는다.)

  1. 1/500 내지 1/1500
  2. 1/1000 내지 1/5000
  3. 1/5000 내지 1/10000
  4. 1/25000 내지 1/50000
(정답률: 30%)
  • 도시ㆍ군관리계획사항은 도시ㆍ군의 발전 및 계획에 관한 중요한 정보이므로, 이를 표시한 도면은 축척이 작을수록 상세하게 표현할 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1/500 내지 1/1500의 축척 기준이 적합합니다. 1/500 내지 1/1500의 축척은 도시ㆍ군의 세부적인 계획사항을 표시하기에 적합하며, 도시ㆍ군의 크기와 밀도에 따라 적절한 축척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1/1000 내지 1/5000의 축척은 중간 정도의 상세도를 가지며, 1/5000 내지 1/10000의 축척은 대부분의 도시ㆍ군의 계획사항을 표시하기에 적합합니다. 1/25000 내지 1/50000의 축척은 광범위한 지역의 계획사항을 표시하기에 적합하며, 주로 지방정부나 국가기관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거짓으로 분할 신청을 한 경우 벌칙 기준이 옳은 것은?

  1.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2.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
  3.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벌금
  4.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57%)
  • 거짓으로 분할 신청을 한 경우, 이는 사기죄에 해당하며, 형법상 최대 처벌이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이지만, 이 경우에는 최소한의 처벌인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이 적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지적전산자료를 이용하거나 활용하려는 자로부터 심사신청을 받은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심사하여야 할 사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신청인의 지적전산자료 활용 능력
  2. 신청 내용의 타당성 적합성 및 공익성
  3. 개인의 사생활 침해 여부
  4. 자료의 목적 외 사용 방지 및 안전관리대책
(정답률: 60%)
  • "신청인의 지적전산자료 활용 능력"은 심사 대상이 아닙니다. 이는 신청인의 능력이므로, 관련된 사항은 심사 대상이 아니며, 심사 대상은 자료의 타당성, 공익성, 개인정보 보호, 자료의 안전관리 등과 같은 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지적소관청이 토지의 표시 변경에 관한 등기를 촉탁하는 사유가 아닌 것은?

  1. 축척변경
  2. 신규등록
  3. 등록사항의 정정
  4. 지번변경
(정답률: 84%)
  • 지적소관청은 토지의 표시 변경에 관한 등기를 촉탁하는 사유 중 "신규등록"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는 이미 등록된 토지에 대한 변경 등기를 촉구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즉, 신규로 등록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등록된 토지의 등기사항을 변경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국토해양부장관은 모든 토지에 대하여 필지별로 소재ㆍ지번ㆍ지목ㆍ면적ㆍ경계 또는 좌표 드응ㄹ 조사ㆍ측량하여 지적공부에 등록하여야 한다.
  2. 지적공부에 등록하는 지번ㆍ지목ㆍ면적ㆍ경계 또는 좌표는 토지의 이동이 있을 때 토지소유자(법인이 아닌 사단이나 재단의 경우에는 그 대표자나 관리인)의 신청을 받아 지적소관청이 결정한다.
  3. 토지의 소재와 지번은 토지대장과 임야대장에 공통적으로 등록되는 사항이다.
  4. 지적소관청은 지적공부에 등록된 지번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하면 국토해양부장관의 승인을 받아 지번부여지역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하여 지번을 새로 부여할 수 있다.
(정답률: 42%)
  • "토지의 소재와 지번은 토지대장과 임야대장에 공통적으로 등록되는 사항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토지의 소재와 지번은 토지대장에 등록되는 사항이며, 임야대장에는 등록되지 않습니다.

    지적소관청은 지적공부에 등록된 지번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하면, 국토해양부장관의 승인을 받아 지번부여지역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하여 지번을 새로 부여할 수 있습니다. 이는 토지의 소재와 지번을 정확히 파악하고 관리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지적공부에 등록되는 지번ㆍ지목ㆍ면적ㆍ경계 또는 좌표는 토지의 이동이 있을 때 토지소유자(법인이 아닌 사단이나 재단의 경우에는 그 대표자나 관리인)의 신청을 받아 지적소관청이 결정합니다. 이를 통해 토지의 소재와 지번을 정확히 파악하고 토지의 이동이나 분할 등에 대한 관리를 원활하게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지적측량업자의 업무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지적측량성과검사측량
  2.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지적재조사사업에 따라 실시하는 지적확정측량
  3. 도시개발사업 등이 띁남에 따라 하는 지적확정측량
  4. 경계점좌표등록부가 있는 지역에서의 지적측량
(정답률: 67%)
  • "지적측량성과검사측량"은 지적측량업자의 업무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지적측량업자가 수행하는 지적재조사, 지적확정측량, 경계점좌표등록부가 있는 지역에서의 지적측량과는 다른 업무로, 지적측량의 범위를 벗어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등록사항의 정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토지소유자에 관한 사항을 정정하는 경우에는 주민등록등본ㆍ초본 및 가족관계 기록사항에 관한 증명서에 따라 정정하여야 한다.
  2. 미등기 토지에 대하여 토지소유자의 성명 또는 명칭, 주민등록번호, 주소 등이 명백히 잘못된 겨우에는 가족관계기록사항에 관한 증명서에에 따라 정정하여야 한다.
  3. 토지소유자는 지적공부의 등록사항에 잘못이 있음을 발견하면 지적소관청에 그 정정을 신청할 수 있다.
  4. 지적공부의 등록사항 중 경계나 면적 등 측량을 수반하는 초지의 표시가 잘못된 경우에는 지적소관청은 그 정정이 완료될 때까지 지적측량을 정지시킬 수 있다.
(정답률: 31%)
  • "토지소유자에 관한 사항을 정정하는 경우에는 주민등록등본ㆍ초본 및 가족관계 기록사항에 관한 증명서에 따라 정정하여야 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이 아닙니다.

    토지소유자에 관한 사항을 정정하는 경우에는 주민등록등본ㆍ초본 및 가족관계 기록사항에 관한 증명서에 따라 정정하여야 합니다. 이는 토지소유자의 인적사항에 대한 정정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추가 설명:

    - 미등기 토지에 대하여 토지소유자의 성명 또는 명칭, 주민등록번호, 주소 등이 명백히 잘못된 겨우에는 가족관계기록사항에 관한 증명서에 따라 정정하여야 한다.
    - 토지소유자는 지적공부의 등록사항에 잘못이 있음을 발견하면 지적소관청에 그 정정을 신청할 수 있다.
    - 지적공부의 등록사항 중 경계나 면적 등 측량을 수반하는 초지의 표시가 잘못된 경우에는 지적소관청은 그 정정이 완료될 때까지 지적측량을 정지시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