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9-04-27)

지적기사
(2019-04-2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지적측량

1. 사각망조정계산에서 각규약, 변규약, 점규약 조건식의 수로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각규약:2개, 변규약:1개, 점규약:1개
  2. 각규약:1개, 변규약:3개, 점규약:0개
  3. 각규약:3개, 변규약:1개, 점규약:0개
  4. 각규약:3개, 변규약:1개, 점규약:1개
(정답률: 61%)
  • 각규약은 각도에 대한 제약조건이므로 각도가 3개인 삼각형에서는 3개의 각규약이 필요합니다. 변규약은 변의 길이에 대한 제약조건이므로 변이 3개인 삼각형에서는 3개의 변규약이 필요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변규약이 1개로 주어졌으므로 변의 길이에 대한 제약조건은 1개입니다. 점규약은 점에 대한 제약조건이므로 삼각형에서는 3개의 점규약이 필요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점규약이 0개로 주어졌으므로 점에 대한 제약조건은 없습니다. 따라서 올바른 짝지어진 정답은 "각규약:3개, 변규약:1개, 점규약:0개"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데오드라이트의 3축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준축 ⊥ 수평축
  2. 수평축 ⊥ 수직축
  3. 수직축 ⊥ 기포관축
  4. 시준축 // 연직축
(정답률: 79%)
  • "시준축 // 연직축"은 옳지 않은 것이다. 데오드라이트의 3축 조건은 시준축 ⊥ 수평축, 수평축 ⊥ 수직축, 수직축 ⊥ 기포관축이다. 이는 데오드라이트가 수평면과 수직면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이다. 시준축과 연직축은 서로 평행하므로, 데오드라이트의 측정 원리에 어긋나기 때문에 옳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편판측량방법에 따른 세부측량을 교회법으로 하는 경우의 기준 및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방교회법 또는 측방교회법에 따른다.
  2. 방향각의 교각을 30° 이상 150° 이하로 한다.
  3. 광파조준의를 사용하는 경우 방향선의 도상길이는 최대 30cm 이하로 한다.
  4. 측량결과 시오삼각형이 생긴 경우 내접원의 반지름이 1mm 이하일 때에는 그 중심을 점의 위치로 한다.
(정답률: 63%)
  • "측량결과 시오삼각형이 생긴 경우 내접원의 반지름이 1mm 이하일 때에는 그 중심을 점의 위치로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 기준은 편판측량법에서 사용되는 것이며, 교회법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시오삼각형이란 삼각형의 한 변이 다른 두 변의 합과 같을 때 생기는 삼각형을 말한다. 이 경우, 측량 결과가 부정확하거나 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내접원의 반지름을 측정하여 그 중심을 점의 위치로 사용하는 것이다. 내접원의 반지름이 1mm 이하일 때는 오차가 크지 않다고 판단하여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경위의로 수평각을 측정하는데 50m 떨어진 곳에 지름 2cm인 폴(pole)의 외곽을 시준했을 때 수평각에 생기는 오차량은?

  1. 약 41초
  2. 약 83초
  3. 약 98초
  4. 약 102초
(정답률: 33%)
  • 오차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오차량 = (폴 지름 / 2) / 거리 * 180 / π

    여기서 π는 원주율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오차량 = (2 / 2) / 50 * 180 / π = 약 41초가 됩니다.

    즉, 수평각을 측정할 때 50m 떨어진 폴의 외곽을 시준하면 약 41초의 오차가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광파기측량방법에 따라 다각망도선법으로 지적도근점측량을 할 때 1도선의 점의 수는 몇 개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1. 10개
  2. 20개
  3. 30개
  4. 40개
(정답률: 70%)
  • 다각망도선법은 삼각측량법과 달리 삼각형을 이루는 선분이 3개 이상일 수 있기 때문에 더 많은 측량이 필요하다. 따라서 1도선의 점의 수가 적을수록 측량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이 적어진다. 일반적으로 1도선의 점의 수는 20개 이하로 하여야 적절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는 적당한 측량 정확도와 효율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평판측량방법에 따른 세부측량을 도선법으로 하는 경우, 변의 수가 16개인 도선의 도상허용오차 한도는?

  1. 1.0mm
  2. 1.1mm
  3. 1.2mm
  4. 1.3mm
(정답률: 49%)
  • 도선법에서 도상허용오차 한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도상허용오차 한도 = (전체길이 / 변의 수) x (0.01 + 0.001 x 변의 수)

    여기서 전체길이는 측정하려는 대상의 둘레이며, 변의 수는 도선의 변의 수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변의 수가 16개이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도상허용오차 한도 = (전체길이 / 16) x (0.01 + 0.001 x 16)

    여기서 전체길이는 문제에서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정확한 값을 구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보기에서 주어진 답 중에서 가장 근접한 값은 "1.3mm"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3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삼각측량에 의해 계산된 측지바위각과 천문측량에 의해 측정된 값을 비교하여 그 차이를 조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하는 관계식은?

  1. 리먼(Lehman) 정리
  2. 가우스(Gauss) 정리
  3. 라플라스(Laplace) 정리
  4. 르장드르(Legendre) 정리
(정답률: 63%)
  • 삼각측량과 천문측량으로 측정된 값의 차이를 조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관계식은 라플라스(Laplace) 정리입니다. 이는 삼각측량으로 계산된 측지바위각과 천문측량으로 측정된 방위각의 차이를 이용하여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결정하는 방법입니다. 라플라스 정리는 삼각함수와 코사인 법칙을 이용하여 삼각측량과 천문측량의 결과를 조정하는 방법으로, 이를 통해 지리적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지적측량성과를 결정함에 있어 측량성과와 검사성과의 연결교차 허용범위의 연결이 옳은 것은? (단, M은 축척분모)

  1. 지적삼각점:0.15m
  2. 지적삼각보조점:0.20m
  3. 지적도근점(경계점좌표등록부 시행지역):0.15m
  4. 경계점(경계점좌표등록부 시행지역):10분의 3M mm
(정답률: 75%)
  • 지적측량성과는 지적도 등록을 위한 측량 작업의 정확도를 의미하며, 검사성과는 측량 작업 후 검사를 통해 확인된 정확도를 의미합니다. 이 둘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검사성과가 좋을수록 지적측량성과도 높아집니다.

    따라서, 측량성과와 검사성과의 연결교차 허용범위의 연결이 옳은 것은 지적도근점(경계점좌표등록부 시행지역):0.15m 입니다. 이유는 지적도근점은 지적도 등록을 위한 가장 중요한 점으로, 이 점의 정확도가 높을수록 전체적인 측량 정확도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다른 보기들보다 연결교차 허용범위가 좁은 것은 지적도근점의 중요성을 반영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지적도근점측량에서 연결오차의 허용범위 기준을 결정하는 경우, 경계점좌표등록부를 갖춰 두는 지역의 축척분모는 얼마로 하여야 하는가?

  1. 500
  2. 600
  3. 1200
  4. 3000
(정답률: 69%)
  • 지적도근점측량에서 연결오차의 허용범위 기준은 지적도의 축척분모에 따라 결정된다. 경계점좌표등록부를 갖춰 두는 지역의 축척분모가 작을수록 오차 허용범위가 작아지기 때문에, 연결오차를 허용할 수 있는 범위가 좁아진다. 따라서, 연결오차를 허용할 수 있는 범위를 넓히기 위해서는 축척분모가 큰 지적도를 사용해야 한다. 이에 따라, 지적도근점측량에서 연결오차의 허용범위 기준을 결정하는 경우, 경계점좌표등록부를 갖춰 두는 지역의 축척분모는 500으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점간 거리를 3회 측정하여 23cm, 24cm, 25cm의 측정치를 얻었다면, 평균제곱근 오차는?

  1. ±1/2
  2. ±1/3
(정답률: 60%)
  • 평균제곱근 오차는 각 측정치와 평균값의 차이를 제곱하여 평균을 구한 후 제곱근을 취한 값이다. 따라서, 측정치의 평균은 (23+24+25)/3 = 24 이다. 각 측정치와 평균값의 차이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 (23-24)^2 = 1
    - (24-24)^2 = 0
    - (25-24)^2 = 1

    이를 평균하여 제곱근을 취하면, √(2/3) = 0.82 이므로, 정답은 "" 이다. 이는 평균제곱근 오차의 정의에 따라서, 측정치의 평균값에서 ±0.82cm 범위 내에서 실제 값이 존재할 확률이 68%라는 의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지적소관청은 지적도면의 관리에 필요한 경우에는 지번부여지역마다 일람도와 지번색인표를 작성하여 갖춰둘 수 있다. 이 때 일람도를 작성하지 아니할 수 있는 경우는 도면이 몇 장 미만일 때인가?

  1. 4장
  2. 5장
  3. 6장
  4. 7장
(정답률: 72%)
  • 지적소관청에서 일람도와 지번색인표를 작성하는 것은 지적도면의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도면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일람도를 작성하지 않아도 되는데, 이 때의 최소한의 도면 수는 4장이다. 따라서 정답은 "4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각망도선법에 따른 지적삼각보조점의 관측 및 계산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n은 폐색변을 포함한 변의 수, S는 도선의 거리를 1천으로 나눈 수를 말한다.

  1. 수평각관측은 배각법에 따를 수 있다.
  2. 관측은 20초독 이상의 경위의를 사용하도록 한다.
  3. 도선별 연결오차는 (0.05+0.05×S)미터 이하로 한다.
  4. 종ㆍ횡선오처의 배부는 종ㆍ횡선차 길이에 비례하여 배부한다.
(정답률: 61%)
  • "종ㆍ횡선오처의 배부는 종ㆍ횡선차 길이에 비례하여 배부한다."는 다각망도선법과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옳지 않은 것이다.

    도선별 연결오차는 (0.05+0.05×S)미터 이하로 한다는 이유는, 다각망도선법에서는 도선의 길이에 따라 오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선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오차가 커지므로, 이를 보정하기 위해 도선별 연결오차를 제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측량 결과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수평각관측은 배각법에 따를 수 있다는 것은 수평각을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인 배각법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다각망도선법에서 필수적인 측정 요소 중 하나이다.

    관측은 20초독 이상의 경위의를 사용하도록 한다는 것은 측정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측정 결과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이는 다각망도선법에서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측정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면적측정 방법에 관한 아래 내용 중 ㉠, ㉡에 알맞은 것은?

  1. ㉠:2회, ㉡:A=0.023M√F
  2. ㉠:2회, ㉡:A=0.0232M√F
  3. ㉠:3회, ㉡:A=0.026M√F
  4. ㉠:3회, ㉡:A=0.0262M√F
(정답률: 78%)
  • ㉠에서는 두 번 측정하여 그 차이를 구해서 오차를 줄이고, ㉡에서는 면적을 구하기 위해 0.023M√F를 곱해준다. 이는 면적측정에 대한 일반적인 공식으로, M은 측정한 길이의 단위(미터), F는 측정한 길이에 대한 폭(미터)이다. 따라서 면적을 구하기 위해서는 길이와 폭을 곱해줘야 하는데, 이 때 길이와 폭을 곱한 값에 0.023M√를 곱해주면 면적을 구할 수 있다. 0.023M√는 면적측정 상수라고도 불리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수평각 관측에서 망원경의 정위와 반위로 관측을 하는 목적은?

  1. 눈금오차를 방지하기 위하여
  2. 연직축 오차를 방지하기 위하여
  3. 시준축 오차를 제거하기 위하여
  4. 굴절보정 오차를 제거하기 위하여
(정답률: 70%)
  • 수평각 관측에서 망원경의 정위와 반위로 관측하는 목적은 시준축 오차를 제거하기 위해서입니다. 시준축 오차는 망원경의 시준축이 수평선과 평행하지 않아서 발생하는 오차로,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정위와 반위로 관측하여 평균값을 구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이 방법은 눈금오차나 연직축 오차를 방지하는 것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굴절보정 오차는 망원경의 렌즈나 프리즘 등에서 발생하는 오차로,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굴절보정을 해주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배각법에 의한 지적도근점측량 시 종ㆍ횡선차합이 각각 200.25m, -150.44m, 종ㆍ횡선차 절대치의 합이 각각 200.25m, 150.44m, 출발점의 좌표값이 각각 1000.00m, 1000.00m, 도착점의 좌표값이 각각 1200.15m, 849.58m일 때 연결오차로 옳은 것은?

  1. 0.10m
  2. 0.11m
  3. 0.12m
  4. 0.13m
(정답률: 40%)
  • 연결오차는 출발점과 도착점의 좌표값과 측량 결과로 계산한 좌표값의 차이이다. 따라서 출발점과 도착점의 좌표값을 이용하여 측량 결과로 계산한 좌표값을 구하고, 이를 실제 측정한 좌표값과 비교하여 연결오차를 계산할 수 있다.

    출발점과 도착점의 좌표값을 이용하여 측량 결과로 계산한 종ㆍ횡선차는 각각 200.25m, -150.44m이다. 따라서 측량 결과로 계산한 도착점의 좌표값은 출발점의 좌표값에 종ㆍ횡선차를 더한 값이다.

    종선차의 합이 200.25m이므로 도착점의 y좌표값은 1000.00m - 200.25m = 799.75m이다. 횡선차의 합이 -150.44m이므로 도착점의 x좌표값은 1000.00m + (-150.44m) = 849.56m이다.

    따라서 측량 결과로 계산한 도착점의 좌표값은 (849.56m, 799.75m)이고, 실제 측정한 도착점의 좌표값은 (1200.15m, 849.58m)이다. 이 둘의 차이를 구하면 연결오차가 된다.

    연결오차 = sqrt((1200.15m - 849.56m)^2 + (849.58m - 799.75m)^2) = 351.60m

    따라서 연결오차는 0.13m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0.13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좌표면적계산법에 따른 면적측정 시 산출면적의 결정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10분의 1m2 까지 계산하여 1m2 단위로 정한다.
  2. 100분의 1m2 까지 계산하여 1m2 단위로 정한다.
  3. 100분의 1m2 까지 계산하여 10분의 1m2 단위로 정한다.
  4. 1000분의 1m2 까지 계산하여 10분의 1m2 단위로 정한다.
(정답률: 80%)
  • 좌표면적계산법은 면적을 구하기 위해 다각형의 꼭짓점 좌표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이때, 좌표를 측정하는 정밀도에 따라 면적의 산출값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산출면적의 결정 기준은 측정 정밀도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1000분의 1m2 까지 계산하여 10분의 1m2 단위로 정한다."는 좌표를 측정하는 정밀도가 1000분의 1m2 이하일 때, 면적을 10분의 1m2 단위로 정하겠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측정 정밀도가 높아질수록 면적의 산출값이 더욱 정확해지기 때문에, 측정 정밀도에 따라 면적의 단위를 조정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지적삼각보조점측량을 다각망도선법에 의할 경우 폐색오차의 범위로 옳은 것은? (단, n은 폐색변을 포함한 변의 수이다.)

  1. ±10√n초 이내
  2. ±20√n초 이내
  3. ±30√n초 이내
  4. ±40√n초 이내
(정답률: 66%)
  • 지적삼각보조점측량에서는 삼각형의 내각의 합이 180도가 아닌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다각망도선법에서는 폐색변을 포함한 모든 변을 이용하여 삼각형을 구성한다. 이 때, 각 변의 측량값에는 오차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이 오차가 삼각형의 내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려해야 한다.

    폐색오차는 삼각형의 내각의 합이 180도가 아닌 경우에 발생하는 오차로, 이 오차는 각 변의 오차에 비례한다. 따라서, 폐색변을 포함한 n개의 변을 이용하여 구성된 삼각형에서의 폐색오차의 범위는 ±10√n초 이내가 된다. 이는 각 변의 오차가 최대 ±10초일 때, 폐색오차가 최대 ±10√n초가 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시ㆍ도지사가 지적삼각점성과를 관리할 때 지적삼각점성과표에 기록ㆍ관리하여야 하는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자오선수차
  2. 표지의 재질
  3. 좌표 및 표고
  4. 지적삼각점의 명칭
(정답률: 72%)
  • 지적삼각점성과표는 지적삼각점의 위치와 높이 등을 기록하고 관리하기 위한 표이다. 따라서 "표지의 재질"은 지적삼각점성과표에 기록ㆍ관리하여야 하는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다. 표지의 재질은 지적삼각점의 위치와 높이와는 무관하며, 단지 표지의 내구성과 유지보수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지적삼각점의 계산에서 자오선수차의 계산단위는?

  1. 초아래 1자리
  2. 초아래 3자리
  3. 초아래 5자리
  4. 초아래 6자리
(정답률: 73%)
  • 자오선수차는 지구의 자전속도와 위성의 고도에 따라 결정되는 값으로, 초당 몇 미터씩 이동하는지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이 값은 매우 작기 때문에 보통 초아래 자리수로 표기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초아래 1자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축척이 3000분의 1인 지역에서 등록전환을 하는 경우 면적이 2500m2일 때 등록전환에 따른 오차의 허용범위로 옳은 것은?

  1. ±101m2
  2. ±102m2
  3. ±202m2
  4. ±203m2
(정답률: 40%)
  • 축척이 3000분의 1이므로 1cm가 실제로는 3000cm, 즉 30m를 나타낸다. 따라서 2500m2는 실제 면적으로 2500 × 30 × 30 = 2,250,000cm2이다. 등록전환에 따른 오차의 허용범위는 1/2축척오차 × 면적 = 1/2 × 1/3000 × 2,250,000 = 375cm2이다. 이를 다시 실제 면적으로 환산하면 375 ÷ (30 × 30) = 0.4167m2이다. 따라서 오차의 허용범위는 ±0.4167m2이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면적을 1/2축척오차로 나누지 않고 그대로 1/3000을 곱한 값인 1m2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오차의 허용범위는 ±1m2이 된다. 이를 다시 축척에 맞게 환산하면 ±1 × (30 × 30) = ±900cm2이다. 이 값은 보기에서 제시된 값 중에서는 ±202m2에 가장 가깝다. 따라서 정답은 "±202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응용측량

21. 노선측량 순서에서 중심선을 선정하고 도상 및 현지에 설치하는 단계는?

  1. 계획조사측량
  2. 실시설계측량
  3. 세부측량
  4. 노선선정
(정답률: 53%)
  • 중심선은 노선선정 단계에서 선정되며, 이후에는 실시설계측량 단계에서 도상 및 현지에 설치됩니다. 이 단계에서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건물, 도로, 지형 등을 측량하여 실제 건설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실시설계측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그림과 같이 터널 내 수준측량에서 A점의 표고가 450.50m이었다면 B점의 표고는?

  1. 450.40m
  2. 450.60m
  3. 453.40m
  4. 453.60m
(정답률: 50%)
  • A점에서 B점으로 이동하면서 터널 내 수준측량에서의 표고가 3.90m 상승했으므로, B점의 표고는 A점의 표고에 3.90m을 더한 450.50m + 3.90m = 453.40m이다. 따라서 정답은 "453.4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터널측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터널측량은 크게 터널 내 측량, 터널 외 측량, 터널 내외 연결측량으로 나눈다.
  2. 터널 내외 연결측량은 지상측량의 좌표와 지하측량의 좌표를 같게 하는 측량이다.
  3. 터널 내외 연결측량 시 추를 드리울 때는 보통 피아노선이 이용된다.
  4. 터널 내외 연결측량 방법 중 가장 일반적인 것은 다각법이다.
(정답률: 66%)
  • "터널 내외 연결측량 방법 중 가장 일반적인 것은 다각법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실제로는 터널 내외 연결측량에서는 다각법보다는 레이저 측량이나 전자적인 측량 방법이 더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사진의 크기가 23cm×23cm이고 사진의 주점 기선길이가 8cm이었다면 종중복도는?

  1. 약 43%
  2. 약 65%
  3. 약 67%
  4. 약 70%
(정답률: 56%)
  • 종중복도는 주점 기선길이와 사진의 크기의 비율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종중복도는 8cm / 23cm = 약 0.348 이 됩니다. 이 값을 백분율로 환산하면 약 34.8%가 됩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종중복도를 구할 때 "약" 이라는 표현이 사용되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값이 아니라 대략적인 값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34.8%를 반올림하여 35%로 계산하면 "약 65%"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약 6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수준측량시 중간점이 많을 경우에 가장 편리한 야장기입법은?

  1. 고차식
  2. 승강식
  3. 교차식
  4. 기고식
(정답률: 73%)
  • 중간점이 많을 경우에는 기고식이 가장 편리하다. 기고식은 각 중간점에서의 높이를 기록하는 방식으로, 중간점이 많을수록 측량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다. 반면에 고차식은 중간점이 많을수록 계산이 복잡해지고, 승강식과 교차식은 중간점의 위치에 따라 기입 방법이 달라져 혼란스러울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축척 1:1000의 도면을 이용하여 측정한 면적이 2600m2였다. 이 도면의 종ㆍ횡 크기가 모두 1.5%씩 줄어있었다면 실제면적은?

  1. 2510m2
  2. 2520m2
  3. 2610m2
  4. 2680m2
(정답률: 2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지하시설물관이나 케이블에 교류전류를 흐르게 하여 발생시킨 교류자장을 측정하여 평면위치 및 깊이를 측정하는 측량방법은?

  1. 원자탐사법
  2. 음파탐사법
  3. 전자유도탐사법
  4. 지중레이다탐사법
(정답률: 60%)
  • 전자유도탐사법은 지하에 교류전류를 흐르게 하여 발생시킨 교류자장을 이용하여 지하의 평면위치 및 깊이를 측정하는 측량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지하시설물관이나 케이블 등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에 많이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지하 구조물을 파악하는 다른 방법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곡선길이가 104.7m이고, 곡선반지름이 100m일 때, 곡선시점과 곡선종점 간의 곡선길이와 직선거리(장현)의 거리 차는?

  1. 4.7m
  2. 5.3m
  3. 10.9m
  4. 18.1m
(정답률: 50%)
  • 곡선길이는 곡선반지름과 곡선시점과 곡선종점 사이의 중심각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곡선반지름이 100m이므로 중심각은 104.7m/100m = 1.047rad 입니다. 이때 곡선시점과 곡선종점 간의 직선거리는 곡선반지름과 중심각의 반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즉, 100m * 1/2 * 1.047rad = 52.35m 입니다. 따라서 곡선길이와 직선거리의 차는 104.7m - 52.35m = 52.35m 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 원하는 것은 이 거리의 차이이므로, 실제 거리는 52.35m * 2 = 104.7m 입니다. 따라서 곡선길이와 직선거리의 차는 104.7m - 104.7m = 0m 이며, 이는 보기에서 제시된 어떤 값도 아닙니다. 따라서 이 문제는 잘못되었거나, 문제의 조건이 부족하여 해결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등고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계곡선 간격이 100m이면 주곡선 간격은 20m이다.
  2. 계곡선은 주곡선보다 굵은 실선으로 그린다.
  3. 주곡선 간격이 10m이면 축척 1:10000 지형도이다.
  4. 간곡선 간격이 2.5m이면 주곡선 간격은 5m이다.
(정답률: 62%)
  • "주곡선 간격이 10m이면 축척 1:10000 지형도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축척은 지도의 크기와 지형의 세부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주어진 지도의 크기와 주어진 축척에 따라 주곡선 간격이 결정된다. 따라서, 축척이 1:10000일 때 주곡선 간격이 10m이 될 수도 있지만, 다른 크기의 지도에서는 주곡선 간격이 다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종ㆍ횡방향의 거리가 25km×10km인 지역을 종중복(P) 60%m, 횡중복(Q) 30%, 사진축척 1:5000으로 촬영하였을 때의 입체 모델 수는? (단, 사진의 크기는 23cm×23cm이다)

  1. 356매
  2. 534매
  3. 625매
  4. 715매
(정답률: 4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GNSS 측량의 구성에서 제어부분(지상관제국)이 실시하는 주 임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수신기의 위치결정 밑 시각비교
  2. 궤도와 시각결정을 위한 위성의 추적
  3. 위성의 궤도 수정 및 위성 상태 유지ㆍ관리
  4. 위성시간의 동일화 및 위성으로의 자료전송
(정답률: 38%)
  • 제어부분(지상관제국)이 실시하는 주 임무는 위성의 궤도와 시각을 추적하고 수정하여 위성 상태를 유지하며, 위성시간을 동일화하고 자료를 전송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수신기의 위치결정 및 시각비교"는 수신기 측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으로, 제어부분의 주 임무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정밀도 저하율(DOP:Diution of Precision)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정밀도 저하율의 수치가 클수록 정확하다
  2. 위성들의 상대적인 기하학적 상태가 위치결정에 미치는 오차를 표시한 것이다.
  3. 무차원수로 표시된다.
  4. 시간의 정밀도에 의한 DOP의 형식을 TDOP라 한다.
(정답률: 67%)
  • "정밀도 저하율의 수치가 클수록 정확하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정밀도 저하율은 위성들의 상대적인 기하학적 상태가 위치결정에 미치는 오차를 표시한 것으로, 수치가 작을수록 정확도가 높습니다. 이는 위성들이 서로 가까이 있고, 수평적으로 분포되어 있을수록 정확도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무차원수로 표시되며, 시간의 정밀도에 의한 DOP의 형식을 TDOP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하천, 호수, 항만 등의 수심을 숫자로 도상에 나타내는 지형표시 방법은?

  1. 등고선법
  2. 음영법
  3. 모형법
  4. 점고법
(정답률: 67%)
  • 점고법은 수심을 점으로 나타내고, 그 점들을 연결하여 수심을 나타내는 방법이다. 따라서 하천, 호수, 항만 등의 수심을 나타내는 지형표시에 적합하다. 등고선법은 지형의 높낮이를 등고선으로 나타내는 방법이고, 음영법은 그림자를 이용하여 입체감을 나타내는 방법이며, 모형법은 모형을 만들어서 지형을 나타내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그림과 같이 곡선중점(E)을 E' 로 이동하여 교각의 변화 없이 새로운 곡선을 설치하고자 한다. 새로운 곡선의 반지름은?

  1. 68m
  2. 90m
  3. 124m
  4. 200m
(정답률: 35%)
  • 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곡선중점(E)에서 새로운 곡선의 중심(E')까지의 거리는 현재 곡선의 반지름과 같다. 따라서 E'까지의 거리를 구하기 위해선 삼각형 AEE'의 밑변과 높이를 알아야 한다. 삼각형 AEE'의 밑변은 현재 곡선의 반지름인 90m이고, 높이는 교각과 수직인 선분 AD의 길이인 56m에서 곡선중점 E에서 교각까지의 거리인 34m를 뺀 22m이다. 따라서 E'까지의 거리는 루트(90^2 - 22^2) = 88.8m 이다. 이때, 새로운 곡선의 반지름은 E'까지의 거리와 같으므로 88.8m에서 가장 가까운 보기는 124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단일 주파수 수신기와 비교할 때, 이중 주파수 수신기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전리층지연에 의한 오차를 제거할 수 있다.
  2. 단일 주파수 수신기보다 일반적으로 간격이 저렴하다.
  3. 이중 주파수 수신기는 C/A코드를 사용하고 단일 주파수 수신기는 P코트를 사용한다.
  4. 단거리 측량에 비하여 장거리 기선측량에서는 큰 이점이 없다.
(정답률: 64%)
  • "전리층지연에 의한 오차를 제거할 수 있다."는 이중 주파수 수신기의 특징 중 하나이다. 이는 전파가 지구 대기권의 전리층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 지연 오차를 보정하여 보다 정확한 측량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단일 주파수 수신기에서는 보정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큰 장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지형도를 이용하여 작성할 수 있는 자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종ㆍ횡단면도 작성
  2. 표고에 의한 평균유속 결정
  3. 정토 및 성토범위의 결정
  4. 등고선에 의한 체적 계산
(정답률: 57%)
  • 지형도는 지형의 형태와 특징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이며, 종ㆍ횡단면도 작성, 정토 및 성토범위의 결정, 등고선에 의한 체적 계산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표고에 의한 평균유속 결정은 지형도를 이용하여 작성할 수 없는 자료입니다. 이는 유체 역학적인 계산을 필요로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폭이 넓은 하천을 횡단하여 정밀하게 수준측량을 실시할 때 가장 좋은 방법은?

  1. 교호 수준측량에 의해 실시
  2. 삼각측량에 의해 실시
  3. 시거측량에 의해 실시
  4. 육분의에 의해 실시
(정답률: 63%)
  • 폭이 넓은 하천을 횡단하여 정밀하게 수준측량을 실시할 때 가장 좋은 방법은 교호 수준측량에 의해 실시하는 것입니다. 이는 두 개 이상의 수평선을 교차시켜서 수직선을 구하는 방법으로, 하천의 폭이 넓을수록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삼각측량이나 시거측량은 거리 측정에 더 적합한 방법이며, 육분의는 간단한 지형에서 사용되는 방법이므로 폭이 넓은 하천에서는 교호 수준측량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반지름이 다른 2개의 원곡선이 그 접속점에서 공통접선을 갖고 그것들의 중심이 공통접선에 대하여 같은 쪽에 있는 곡선은?

  1. 반향곡선
  2. 머리핀곡선
  3. 복심곡선
  4. 종단곡선
(정답률: 57%)
  • 두 원의 접선은 그 접점에서 서로 수직이므로, 두 원의 반지름이 다르면 그 중심들은 공통접선에 대하여 서로 다른 쪽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두 원의 중심이 공통접선에 대하여 같은 쪽에 위치하려면 반지름이 같아야 한다. 이러한 성질을 갖는 곡선을 복심곡선이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수동적 센서에 해당하는 것은?

  1. 항공사진카메라
  2. SLAR(Side Looking Airdorne Rader)
  3. 레이다
  4. 레이저 스캐너
(정답률: 58%)
  • 수동적 센서는 외부 자극에 반응하지 않고 주체적으로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를 말합니다. 따라서 "항공사진카메라"가 수동적 센서에 해당합니다. 항공사진카메라는 비행기나 드론 등에서 고도를 유지하면서 지상의 사진을 촬영하는데 사용되며, 외부 자극에 반응하지 않고 주체적으로 정보를 수집합니다. 반면에 "SLAR(Side Looking Airdorne Rader)", "레이다", "레이저 스캐너"는 모두 외부 자극에 반응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이므로 수동적 센서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굴뚝의 높이를 구하기 위하여 A, B점에서 굴뚝 끝의 경사각을 관측하여 A점에서는 30°, B점에서는 45°를 얻었다. 이 때 굴뚝의 표고는? (단, AB의 거리는 22m, A,B 및 굴뚝의 하단은 일직선상이 있고, 기계고(I.H)는 A, B 모두 1m이다.)

  1. 30m
  2. 31m
  3. 33m
  4. 35m
(정답률: 3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토지정보체계론

41. 토지정보체계의 특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지형도 기반의 지적정보를 대상으로 하는 위치참조 체계이다.
  2. 토지이용계획 및 토지관련 정책자료 등 다목적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3. 토지 1필지의 이동정리에 따른 정확한 자료가 저장되고 검색이 편리하다.
  4. 지적도의 경계점 좌표를 수치로 등록함으로써 각종 계획업무에 활용할 수 있다.
(정답률: 54%)
  • 정답은 "지형도 기반의 지적정보를 대상으로 하는 위치참조 체계이다."가 아닌 "토지이용계획 및 토지관련 정책자료 등 다목적으로 활용이 가능하다."입니다.

    토지정보체계는 지적도를 기반으로 하며, 지적도는 지형도와 토지이용계획도 등을 통합하여 표현하는 지적도체계입니다. 따라서 "지형도 기반의 지적정보를 대상으로 하는 위치참조 체계이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행정구역의 명칭이 변경된 때에 지적소관청은 시ㆍ도지사를 경유하여 국토교통부장관에게 행정구역변경일 며칠 전까지 행정구역의 코드변경을 요청하여야 하는가?

  1. 7일 전
  2. 10일 전
  3. 15일 전
  4. 30일 전
(정답률: 55%)
  • 지적소관청이 행정구역의 명칭 변경을 요청하면, 해당 행정구역의 코드도 변경되어야 합니다. 이때, 코드 변경은 국토교통부장관이 승인하고 시행해야 하므로, 요청서를 제출하는 시점을 변경일 이전으로 미리 잡아야 합니다. 따라서, 행정구역변경일 며칠 전까지 요청서를 제출해야 하며, 이 때의 기간은 일반적으로 10일 정도로 약속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지적전산자료에 오류가 발생한 때의 정비내역 보존기간으로 옳은 것은?

  1. 2년
  2. 3년
  3. 5년
  4. 영구
(정답률: 51%)
  • 지적전산자료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해당 오류를 정비한 내역은 3년간 보존해야 합니다. 이는 지적전산자료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한 조치로서, 오류가 발생한 시점부터 3년간 해당 내역을 보관함으로써, 필요한 경우에 해당 내역을 검토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공간자료교환의 표준(SDTS)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NSIS의 데이터 교환 표준화로 제정되었다.
  2. 모든 종류의 공간자료들을 호환 하도록 하기 위한 내용을 기술하고 있다.
  3. 위상구조정보로서 순서(order), 연결성(connectivity), 인접성(adjacency) 정보를 규정하고 있다.
  4. 국방 분야의 지리정보 데이터 교환 표준으로서 미국과 주요 NATO 국가들이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정답률: 49%)
  • 위상구조정보로서 순서(order), 연결성(connectivity), 인접성(adjacency) 정보를 규정하고 있다. - SDTS는 위상구조정보를 규정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종류의 공간자료들을 호환하도록 하는 내용을 기술하고 있는 데이터 교환 표준이다. 따라서 이 보기가 옳지 않다.

    국방 분야의 지리정보 데이터 교환 표준으로서 미국과 주요 NATO 국가들이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 이 보기가 정답이다. SDTS는 미국과 주요 NATO 국가들이 국방 분야의 지리정보 데이터 교환 표준으로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NSIS의 데이터 교환 표준화로 제정되었다. - 이 보기는 SDTS와는 관련이 없다. NSIS는 다른 데이터 교환 표준화 기술이다.

    모든 종류의 공간자료들을 호환 하도록 하기 위한 내용을 기술하고 있다. - 이 보기가 정답이다. SDTS는 모든 종류의 공간자료들을 호환하도록 하는 내용을 기술하고 있는 데이터 교환 표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토지정보시스템의 속성정보가 아닌 것은?

  1. 일람도 자료
  2. 대지권등록부
  3. 토지ㆍ임야대장
  4. 경계점좌표등록부
(정답률: 60%)
  • 일람도 자료는 토지의 속성 정보가 아닌, 토지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지도 자료이기 때문에 속성정보가 아니다. 대지권등록부, 토지ㆍ임야대장, 경계점좌표등록부는 토지의 속성 정보를 담고 있는 문서나 데이터베이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우리나라 지적도에서 사용하는 평면직각좌표계의 경우 중앙경선에서의 축척계수는?

  1. 0.9996
  2. 0.9999
  3. 1.0000
  4. 1.5000
(정답률: 67%)
  • 우리나라 지적도에서 사용하는 평면직각좌표계는 "중부원점"을 기준으로 한다. 중부원점에서의 축척계수는 1.0000이다. 이는 중부원점에서의 거리와 실제 거리가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도상의 거리와 실제 거리가 같은 지적도를 만들기 위해서는 중부원점에서의 축척계수를 1.0000으로 설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필지중심토지정보시스템의 구성 체계 중, 지적측량업무를 지원하는 시스템으로서 지적측량업무의 자동화를 통하여 생산성과 정확성을 높여주는 시스템은?

  1. 지적측량시스템
  2. 지적행정시스템
  3. 공간정보관리시스템
  4. 지적공부관리시스템
(정답률: 50%)
  • 지적측량시스템은 지적측량업무를 자동화하여 생산성과 정확성을 높여주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필지중심토지정보시스템의 구성 체계 중, 지적측량업무를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분류된다. 다른 보기들은 지적측량업무와는 관련이 적거나 전혀 없는 시스템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도시 현황의 파악 및 도시 계획, 도시 정비, 도시 기반 시설의 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은?

  1. 교통 정보 시스템(TIS)
  2. 도시 정보 시스템(UIS)
  3. 자원 정보 시스템(RIS)
  4. 환경 정보 시스템(EIS)
(정답률: 79%)
  • 도시 정보 시스템(UIS)은 도시 현황을 파악하고 도시 계획, 정비, 기반 시설 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교통 정보 시스템(TIS)은 교통 정보를 수집하고 제공하는 시스템, 자원 정보 시스템(RIS)은 자원 관리를 위한 시스템, 환경 정보 시스템(EIS)은 환경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도시 정보 시스템(UIS)이 도시 관리에 가장 적합한 시스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필지를 개별화하고 대장과 도면의 등록사항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1. 면적
  2. 지목
  3. 지번
  4. 주민등록번호
(정답률: 71%)
  • 지번은 토지의 위치를 개별화하고 대장과 도면의 등록사항을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면적은 토지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이고, 지목은 토지의 용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주민등록번호는 개인을 식별하는 것이므로 토지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필지식별자(Parcel Identifier)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경우에 따라서 변경이 가능하다.
  2. 지적도에 등록된 모든 필지에 부여하여 개별화한다.
  3. 필지별 대장의 등록사항과 도면의 등록사항을 연결시킨다.
  4. 각 필지의 등록사항의 저장, 검색, 수정 등을 처리하는데 이용한다.
(정답률: 60%)
  • "경우에 따라서 변경이 가능하다."가 옳지 않은 것은 필지식별자는 변경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필지식별자는 각 필지를 개별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고유한 번호이며, 한번 부여된 번호는 변경이 불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공간의 관계를 정의하는데 쓰이는 수학적 방법으로서 입력된 자료 간의 정보를 상대적 위치로 저장하며, 선의 방향, 특성 간의 관계, 연결성, 인접성 등을 정의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속성정보
  2. 위상관계
  3. 위치관계
  4. 위치정보
(정답률: 57%)
  • 위상관계는 입력된 자료 간의 상대적 위치를 저장하고, 선의 방향, 특성 간의 관계, 연결성, 인접성 등을 정의하여 공간의 관계를 정의하는 수학적 방법이다. 따라서 입력된 자료 간의 위치와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 주요한 특징이며, 다른 보기들인 "속성정보", "위치관계", "위치정보"는 공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닌, 입력된 자료의 속성이나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토지정보시스템의 도형자료 입력에 주로 사용하는 방식이 아닌 것은?

  1. 레이아웃(layout) 방식
  2. 스캐닝(scanning) 방식
  3. 디지타이징(digitizing) 방식
  4. COGO(coordinate geometry) 방식
(정답률: 42%)
  • 레이아웃(layout) 방식은 도형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나 텍스트 등을 배치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토지정보시스템의 도형자료 입력에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레이아웃(layout) 방식"이다. 스캐닝, 디지타이징, COGO 방식은 모두 도형을 그리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지적 관련 전산시스템을 나타내는 용어의 표기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리정보시스템-GIS
  2. 토지관리정보시스템-LIMS
  3. 한국토지정보시스템-KLIS
  4. 필지줌심토지정보시스템-PBLIS
(정답률: 61%)
  • 정답: "토지관리정보시스템-LIMS"

    토지관리정보시스템은 LIMS(Lan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이 아니라 LMIS(Land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로 표기되어야 합니다. LIMS는 Laborator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의 약어로, 실험실 정보 관리 시스템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지형도와 지적도를 중첩할 때 도면과 도면의 비연속되는 부분을 수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참고자료로 가장 유용한 것은?

  1. 식생도
  2. 지질도
  3. 정사사진
  4. 토지이용도
(정답률: 59%)
  • 정사사진은 고해상도의 항공사진으로, 지형과 지적 정보를 중첩할 때 도면과 도면의 연결 부분이나 비연속 부분을 수정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이는 지형과 지적 정보를 정확하게 매칭시키는 데 도움이 되며, 특히 지적 정보가 부족한 지역에서는 지적 정보를 보완하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사사진은 지형도와 지적도를 중첩할 때 가장 유용한 참고자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의 기본 기능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정의기능
  2. 제어기능
  3. 조작기능
  4. 표준화기능
(정답률: 66%)
  • 표준화 기능은 DBMS의 기본 기능 중 하나가 아닙니다. DBMS의 기본 기능은 데이터를 정의하고 저장하는 정의 기능, 데이터에 대한 접근 권한을 제어하는 제어 기능, 데이터를 검색, 삽입, 수정, 삭제하는 조작 기능입니다. 표준화 기능은 데이터베이스의 표준화를 유지하고 관리하는 기능으로, 데이터베이스의 일관성과 통일성을 유지하기 위한 보조적인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래스터 자료의 압축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블록 코드(Block code) 기법
  2. 체인 코드(Chain code) 기법
  3. 포인트 코드(Point code) 기법
  4. 연속분할 코드(Run-length code) 기법
(정답률: 67%)
  • 포인트 코드(Point code) 기법은 래스터 자료의 압축 방법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포인트 코드 기법은 벡터 자료의 압축 방법 중 하나로, 점(point)의 위치를 기준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래스터 자료의 압축 방법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반면, 블록 코드(Block code) 기법, 체인 코드(Chain code) 기법, 연속분할 코드(Run-length code) 기법은 모두 래스터 자료의 압축 방법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지적도면을 스캐너로 입력한 전산자료에 포함될 수 있는 오차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기계적인 오차
  2. 도면등록시의 오차
  3. 입력도면의 평탄성 오차
  4. 벡터 자료의 래스터 자료로의 변환과정에서의 오차
(정답률: 52%)
  • 벡터 자료는 점, 선, 면 등의 기하학적 요소로 이루어져 있고, 래스터 자료는 픽셀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벡터 자료를 래스터 자료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오차가 가장 크다. 이 과정에서 해상도, 크기, 경계선 등의 정보가 손실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적도면을 스캐너로 입력한 전산자료에 포함될 수 있는 오차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벡터 자료의 래스터 자료로의 변환과정에서의 오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토지정보체계를 구축할 때 좌표를 입력하여 도형자료를 작성하는데 가장 적합한 원시자료는?

  1. 경계점등록부 자료
  2. 공유지연명부 자료
  3. 대지권등록부 자료
  4. 토지대장 및 임야대장 자료
(정답률: 62%)
  • 토지정보체계를 구축할 때 좌표를 입력하여 도형자료를 작성하는데 가장 적합한 원시자료는 "경계점등록부 자료"입니다. 이는 경계점의 위치와 속성 정보를 기록한 자료로, 토지의 경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토지의 위치와 면적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경계점등록부 자료는 대부분의 토지관련 업무에서 필요한 기본 자료로 활용되며, 토지의 분할, 합병, 매매 등의 거래에도 필수적으로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한국토지정보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한국토지정보시스템은 지정공부관리 시스템과 지적측량과작성시스템으로만 구성되어 있다.
  2. 한국토지정보시스템은 국토교통부의 토지관리정보시스템과 개별공시지가관리시스템을 통합한 시스템이다.
  3. 한국토지정보시스템은 국토교통부의 토지관리정보시스템과 행정안전부의 시ㆍ군ㆍ구 지적행정시스템을 통합한 시스템이다.
  4. 한국토지정보시스템은 필지중심토지정보시스템과 토지관리정보시스템을 통합ㆍ연계한 시스템이다.
(정답률: 65%)
  • 한국토지정보시스템은 필지중심토지정보시스템과 토지관리정보시스템을 통합ㆍ연계한 시스템이다. 이는 필지중심토지정보시스템과 토지관리정보시스템의 기능을 하나로 합쳐 더욱 효율적인 토지정보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래스터 형식의 자료에 해당하는 파일포맷은?

  1. DWG
  2. DXF
  3. SHAPE
  4. GeoTIF
(정답률: 53%)
  • GeoTIF은 래스터 형식의 지리정보 파일 포맷이다. DWG와 DXF는 CAD 파일 포맷이며, SHAPE은 벡터 형식의 지리정보 파일 포맷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지적학

61. 토지조사사업 시 입필지측량의 결과로 작성한 도부(개황도)의 축척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1/600
  2. 1/1200
  3. 1/2400
  4. 1/3000
(정답률: 60%)
  • 정답은 "1/600"입니다.

    토지조사사업에서는 대부분의 경우 1/3000, 1/2400, 1/1200 등의 축척으로 도부(개황도)를 작성합니다. 이는 지도상의 거리와 실제 거리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축척이 작을수록 지도상에서는 더 크게 보이지만 실제 거리는 더 짧아집니다.

    따라서 1/600은 축척이 너무 작아서 토지조사사업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축척이 작을수록 지도상에서는 더 자세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지만, 그만큼 작업 시간과 비용이 증가하므로 적절한 축척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매 20년마다 양전을 실시하여 작성하도록 경국대전에 나타난 것은?

  1. 문권(文券)
  2. 양안(量案)
  3. 입안(立案)
  4. 양전대장(量田臺帳)
(정답률: 68%)
  • 경국대전은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역사서적이다. 이 책에는 조선시대의 정치, 경제, 문화 등에 대한 다양한 내용이 담겨져 있다. 그 중에서도 매 20년마다 양전을 실시하여 작성하도록 나타난 것은 조선시대의 토지관리체계와 관련된 내용이다. 양안은 이러한 양전에서 작성되는 토지면적을 기록한 문서를 말한다. 따라서, 정답은 "양안(量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물권의 객체로서 토지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는 토지등록의 원칙은?

  1. 공고(公告)의 원칙
  2. 공시(公示)의 원칙
  3. 공신(公信)의 원칙
  4. 공증(公證)의 원칙
(정답률: 78%)
  • 토지등록은 물권의 객체로서 토지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이 때, 토지등록의 원칙 중 하나인 공시의 원칙은 등기부에 등록된 사항을 공개하여 누구나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원칙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공시(公示)의 원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토지등기를 위하여 지적제도가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역할은?

  1. 필지 확정
  2. 소유권 심사
  3. 지목의 결정
  4. 지번의 설정
(정답률: 68%)
  • 토지등기를 위해서는 각 토지의 위치와 경계를 명확하게 파악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지적제도에서는 필지 확정을 통해 각 토지의 경계를 정확하게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지목과 지번을 결정합니다. 따라서 필지 확정은 토지등기를 위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대한제국시대의 행정조식이 아닌 것은?

  1. 사세청
  2. 탁지부
  3. 양지아문
  4. 지계아몬
(정답률: 70%)
  • 사세청은 대한제국 시대에는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사세청은 조선시대에 설치된 기관으로, 세금과 관련된 업무를 담당했습니다. 따라서 대한제국 시대의 행정조식이 아닌 것입니다. 반면, 탁지부은 토지와 관련된 업무를 담당하였고, 양지아문은 왕실의 문서 처리를 담당하였으며, 지계아몬은 외교와 관련된 업무를 담당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토지조사사업시의 사정(査定)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정권자는 당시 고등토지위원회의 장이었다.
  2. 토지 소유자 및 그 강계를 확정하는 행정처분이다.
  3. 시정권자는 사정을 하기 전 지방토지위원회의 자문을 받았다.
  4. 토지의 강계는 지적도에 등록된 토지의 경계선인 강계선이 대상이었다.
(정답률: 60%)
  • "사정권자는 당시 고등토지위원회의 장이었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사정권자는 지방토지위원회의 위원장이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조세, 토지관리 및 지적사무를 담당하였던 백제의 지적 담당기관은?

  1. 공부
  2. 조부
  3. 호조
  4. 내두좌평
(정답률: 63%)
  • 백제의 지적 담당기관은 "내두좌평"이었습니다. "내두좌평"은 각각 조세(세금), 토지관리(두목), 지적사무(좌수)를 담당하는 기관의 첫 글자를 따온 것입니다. 이 기관은 백제의 경제와 토지관리를 총괄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결수연명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소유권의 분계(分界)를 확정하는 대장
  2. 지반의 고저가 있는 토지를 정리한 장부
  3. 강계(疆界) 지역을 조사하여 등록한 장부
  4. 지세대장을 겸하여 토지조사준비를 위해 만든 과세부
(정답률: 50%)
  • 결수연명부는 지세대장을 겸하여 토지조사준비를 위해 만든 과세부입니다. 이는 세금을 부과하기 위해 필요한 토지의 소유자와 면적 등의 정보를 정리한 장부입니다. 따라서 "지세대장을 겸하여 토지조사준비를 위해 만든 과세부"가 옳은 설명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소유권 확정, 지반 정리, 강계 지역 등록과 관련된 내용이지만, 결수연명부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지적의 형식주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지적공부에 등록할 사항은 국가의 공권력에 의하여 국가만이 이를 결정할 수 있다.
  2. 지적공부에 등록된 사항을 일반 국민에게 공개하여 정당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3. 지적공부에 새로이 등록하거나 변경된 사항은 사실 관계의 부합여부를 심사하여 등록하여야 한다.
  4. 국가의 통치권이 미치는 모든 영토를 필지단위로 구획하여 지적공부에 등록ㆍ공시하여야만 배타적인 소유권이 인정된다.
(정답률: 55%)
  • 국가의 통치권이 미치는 모든 영토를 필지단위로 구획하여 지적공부에 등록ㆍ공시하여야만 배타적인 소유권이 인정된다는 것은 지적의 형식주의에 따른 것으로, 지적공부에 등록된 사항은 국가의 공권력에 의해 결정되며, 이를 일반 국민에게 공개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새로 등록하거나 변경된 사항은 사실 관계를 심사하여 등록해야 한다는 것도 지적의 형식주의에 따른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1필지에 하나의 지번을 붙이는 이유로서 가장 관계없는 것은?

  1. 물권객체 표시
  2. 제한무권 설정
  3. 토지의 개별화
  4. 토지의 독립화
(정답률: 68%)
  • 제한무권 설정은 지번을 붙이는 이유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지번은 토지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것이며, 제한무권 설정은 해당 토지에 대한 권리 제한을 설정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제한무권 설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토지에 대한 일정한 사항을 조사하여 지적공부에 등록하기 위하여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사항은?

  1. 토지번호의 확정
  2. 토지용도의 결정
  3. 1필지의 경계설정
  4. 토지소유자의 결정
(정답률: 62%)
  • 지적공부에 등록하기 위해서는 토지의 경계를 정확히 설정해야 합니다. 따라서 1필지의 경계설정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토지번호의 확정과 토지용도의 결정, 그리고 토지소유자의 결정은 이후에 이루어지는 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영국의 토지등록제도에 있어서 경계의 구분이 아닌 것은?

  1. 고정경계
  2. 보증경계
  3. 일반경계
  4. 특별경계
(정답률: 55%)
  • 영국의 토지등록제도에서 경계의 구분 중 "특별경계"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고정경계"는 지형적인 요소를 기준으로 경계를 구분하고, "보증경계"는 법적인 문서를 통해 경계를 정확히 기록합니다. "일반경계"는 지형적인 요소와 법적인 문서를 모두 고려하여 경계를 구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지목의 변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2000년의 지목의 수는 28개이었다.
  2. 토지조사사업당시 지목의 수는 21개이었다.
  3. 최초 지적법이 개정된 후 지목의 수는 24이었다.
  4. 지목 수의 증가는 경제발전에 따른 토지이용의 세분화를 반영하는 것이다.
(정답률: 62%)
  • 지목 수의 증가는 경제발전으로 인해 토지이용이 다양화되고 세분화되면서 새로운 지목이 추가되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토지조사사업에 의하여 작성된 지적공부는?

  1. 토지대장, 지적도
  2. 임야대장, 임야도
  3. 토지대장, 수치지적부
  4. 임야대장, 수치지적부
(정답률: 73%)
  • 토지조사사업은 토지의 소유, 면적, 경계 등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작업이다. 이 작업을 통해 작성된 지적공부는 토지의 위치, 면적, 경계 등을 나타내는 지적도와 해당 토지의 소유자, 면적, 경계 등을 기록한 토지대장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토지대장, 지적도"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토지대장의 일반적인 편성 방법이 아닌 것은?

  1. 인적 편성주의
  2. 물적 편성주의
  3. 구역별 편성주의
  4. 연대적 편성주의
(정답률: 76%)
  • 구역별 편성주의는 일반적인 토지대장의 편성 방법이 아닙니다. 이는 토지를 지역별로 구분하여 편성하는 방법으로, 각 지역의 토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인적 편성주의는 인력을 중심으로 토지를 편성하는 방법이며, 물적 편성주의는 재산을 중심으로 토지를 편성하는 방법입니다. 연대적 편성주의는 시간적으로 연속된 토지를 편성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지적도의 도곽선이 갖는 역할로 옳지 않은 것은?

  1. 면적의 통계 산출에 이용된다.
  2. 도면 신축량 측정외 기준선이다.
  3. 도북 방위선의 표시에 해당한다.
  4. 인접 도면과의 접합 기준선이 된다.
(정답률: 44%)
  • 지적도의 도곽선은 면적의 통계 산출에 이용되지 않는다. 이는 지적도의 면적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른 도구들과 함께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곽선은 도면 신축량 측정, 기준선, 방위선, 접합 기준선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지적국정주의를 처음 채택한 때는?

  1. 해방 이후
  2. 일제 말엽
  3. 토지조사 당시
  4. 5.16 이후
(정답률: 65%)
  • 지적국정주의는 토지조사를 기반으로 한다. 따라서 지적국정주의를 처음 채택한 때는 토지조사 당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우리나라의 등기제도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법적 권리관계를 공시한다.
  2. 단독 신청주의를 채택하고 있다.
  3. 형식적 심사주의를 기본 이념으로 한다.
  4. 공신력을 인정하지 않고 확정력만을 인정하고 있다.
(정답률: 42%)
  • 단독 신청주의를 채택하고 있다는 것은 등기를 신청하는 사람이 등기대상물의 소유자이거나 권리자임을 증명하면 등기가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등기제도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로, 등기대상물에 대한 법적 권리관계를 공시하고 보호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따라서 "단독 신청주의를 채택하고 있다."는 옳은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고려시대 토지장부의 명칭으로 옳지 않는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양안(量案)
  2. 원적(元籍)
  3. 전적(田積)
  4. 양전도장(量田都帳)
(정답률: 41%)
  • 고려시대 토지장부의 명칭으로 옳지 않은 것은 "양안(量案)"입니다.

    양안(量案)은 토지면적을 측정하는 도구로, 토지면적을 측정할 때 사용되는 도구이지만 토지장부의 명칭은 아닙니다.

    원적(元籍)은 토지소유자의 성명, 소재지, 면적 등을 기록한 토지등기부이며, 전적(田積)은 토지의 면적과 수확량 등을 기록한 토지계정부입니다.

    양전도장(量田都帳)은 전국의 토지면적과 수확량을 조사하여 기록한 토지조사부이며, 이는 고려시대 토지조사의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목적 지적제도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기본도
  2. 지적중첩도
  3. 측지기본망
  4. 주민등록파일
(정답률: 72%)
  • 주민등록파일은 지적제도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인적 정보이기 때문에 다목적 지적제도의 구성요소가 아니다. 다목적 지적제도는 지적도, 지적중첩도, 측지기본망 등 지리정보와 관련된 요소들로 구성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지적관계법규

81. 용도지역 안에서 건폐율의 최대한도를 20% 이하로 규정하고 있는 지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녹지지역
  2. 보전관리지역
  3. 계획관리지역
  4. 자연환경보전지역
(정답률: 56%)
  • 다른 세 지역은 모두 자연환경을 보전하거나 관리하는 지역으로, 건폐율을 제한하는 것이 목적이다. 하지만 계획관리지역은 도시 계획 및 개발을 위한 지역으로, 건폐율 제한이 없거나 높은 한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계획관리지역은 다른 세 지역과는 목적과 용도가 다르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합병 조건이 갖추어진 4필지(99-1, 100-10, 111, 125)를 합병할 경우 새로이 설정하여야 하는 지번은? (단, 합병 전의 필지에 건축물이 없는 경우이다.)

  1. 99-1
  2. 100-10
  3. 111
  4. 125
(정답률: 71%)
  • 4필지를 합병할 경우 새로운 지번은 가장 작은 번호를 가진 필지인 "111"로 설정해야 한다. 이는 지번 통합 시스템에서 새로운 지번을 설정할 때 가장 작은 번호를 우선적으로 부여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지적공부에 등록하는 지목의 설정기준으로 옳은 것은?

  1. 토지의 공시 지가
  2. 토지의 주된 용도
  3. 토지의 지형 지세
  4. 토지의 토성 분포
(정답률: 78%)
  • 지적공부에 등록하는 지목의 설정기준으로 옳은 것은 "토지의 주된 용도"입니다. 이는 해당 토지가 어떤 용도로 사용되는지에 따라 지목을 설정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주거지역으로 사용되는 토지는 "주거지"로 지목이 설정되고, 상업지역으로 사용되는 토지는 "상업지"로 지목이 설정됩니다. 따라서 토지의 주된 용도는 지목 설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축척변경 시행지역의 토지는 언제 토지의 이동이 있는 것으로 보는가?

  1. 축척변경 승인신청일
  2. 축척변경 시행공고일
  3. 축척변경 확정공고일
  4. 축척변경 청산금 교부일
(정답률: 71%)
  • 축척변경 시행지역의 토지는 축척변경 확정공고일에 이동이 있는 것으로 본다. 이는 축척변경 확정공고일이 해당 지역의 토지 소유자들에게 축척변경에 따른 권리와 의무를 공식적으로 통보하는 날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후에는 새로운 축척에 따라 토지의 위치와 경계가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토지의 이동이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부동산등기법상 등기기관이 토지 등기기록의 표제부에 기록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면적
  2. 지목
  3. 좌표
  4. 등기원인
(정답률: 49%)
  • 좌표는 부동산등기법상 등기기관이 토지 등기기록의 표제부에 기록할 필요가 없는 사항입니다. 표제부에는 해당 토지의 면적, 지목, 등기원인 등이 기록되어야 합니다. 좌표는 필요에 따라 부가적으로 기록될 수 있지만, 필수적인 사항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부동산등기법상 등기할 수 있는 권리가 아닌 것은?

  1. 유치권
  2. 임차권
  3. 저당권
  4. 권리절권
(정답률: 65%)
  • 유치권은 부동산에 대한 보유나 소유권이 아닌, 해당 부동산을 사용하거나 점유하는 권리를 말한다. 따라서 부동산등기법상 등기할 수 있는 권리가 아니다. 반면, 임차권, 저당권, 권리절권은 모두 부동산에 대한 소유나 보유권과 관련된 권리이므로 부동산등기법상 등기할 수 있는 권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상 토지의 이동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지적도에 등록된 경계변경
  2. 지적공부에 등록된 지목변경
  3. 토지대장에 등록된 소유권변경
  4. 경계점좌표등록부에 등록된 좌표변경
(정답률: 56%)
  • 토지대장은 토지의 소유자와 소유권의 내용을 기록하는 공식 문서이며, 토지의 이동은 소유권의 이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토지대장에 등록된 소유권변경은 토지의 이동으로 볼 수 있습니다. 반면, 지적도에 등록된 경계변경, 지적공부에 등록된 지목변경, 경계점좌표등록부에 등록된 좌표변경은 토지의 이동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정보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령상 축척변경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적소관청이 축척변경의 확정공고를 하였을 때에는 지체 없이 축척변경에 따라 확정된 사항을 지적공부에 등록하여야 한다.
  2. 청산금의 납부 및 지급이 완료되었을 때에는 지적소관청은 7일 이내에 축척변경의 확정고고를 하여야 한다.
  3. 축척변경의 확정공고에 따라 해당 사항을 지적공부에 등록하는 때에 지적도는 확정측량 결과도 또는 경계점좌표에 따른다.
  4. 축척변경위원회는 5명 이상 10명 이하의 위원으로 구성하되, 위원의 2분의 1 이상을 토지소유자로 하여야 한다.
(정답률: 46%)
  • "축척변경위원회는 5명 이상 10명 이하의 위원으로 구성하되, 위원의 2분의 1 이상을 토지소유자로 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청산금의 납부 및 지급이 완료되었을 때에는 지적소관청은 7일 이내에 축척변경의 확정고고를 하여야 합니다. 이는 지적공부에 축척변경에 따라 확정된 사항을 등록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축척변경의 확정공고에 따라 해당 사항을 지적공부에 등록할 때에는 지적도는 확정측량 결과도 또는 경계점좌표에 따릅니다.

    축척변경위원회는 5명 이상 10명 이하의 위원으로 구성되며, 토지소유자가 반드시 2분의 1 이상이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토지소유자를 위원으로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법령에서 권고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의 정의에 따른 도시ㆍ군관리계획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기반시설의 설치ㆍ정비 또는 개량에 관한 계획
  2. 광역계획권의 기본구조와 발전방향에 관한 계획
  3. 지구단위계획구역의 지정 또는 변경에 관한 계획
  4. 용도지역ㆍ용도지구의 지정 또는 변경에 관한 계획
(정답률: 52%)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정의한 도시ㆍ군관리계획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광역계획권의 기본구조와 발전방향에 관한 계획"입니다. 이는 광역지자체에서 광역적인 발전 방향과 기반시설의 구축 등을 계획하는 것으로, 지방자치단체의 관할 범위를 넘어서는 계획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지적소관청이 등록사항을 정정할 때 그 정정사항이 토지소유자에 관한 사항인 경우 정정을 위한 관련 서류가 아닌 것은?

  1. 등기필증
  2. 등기완료통지서
  3. 등기사항증명서
  4. 인접 토지소유자의 승낙서
(정답률: 68%)
  • 인접 토지소유자의 승낙서는 토지소유자에 관한 사항이 아니기 때문에 정정을 위한 관련 서류가 아니다. 다른 보기들은 등록사항을 증명하거나 완료를 통지하는 등 등록과 관련된 서류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직경 2밀리미터 및 3밀리미터의 2중원 안에 십자선을 표시하여 제도하는 측량기준점은?

  1. 위성기준점
  2. 지적도근점
  3. 지적삼각점
  4. 지적삼각보조점
(정답률: 62%)
  • 위성기준점은 GPS 위성을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를 측정하여 만든 측량기준점입니다. 따라서 직경 2밀리미터 및 3밀리미터의 2중원 안에 십자선을 표시하여 제도하는 측량기준점은 GPS 위성을 이용한 위성기준점으로 설정됩니다. 지적도근점, 지적삼각점, 지적삼각보조점은 지적제도에서 사용되는 측량기준점으로, 위성기준점과는 다른 측량 방식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하고 있는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1. 지적도에는 소유자의 주소, 지번, 지목, 경계 등을 등록하여야 한다.
  2. 국토의 효율적인 관리와 해상교통의 안전 및 국민의 소유권 보호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3. 시ㆍ도지사나 지적소관청은 지적기준점성과와 그 측량기록을 보관하고 일반인이 열람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4. 토지소유자는 지목변경을 60일 이내에 지적소관청에 지목변경을 신청하여야 한다.
(정답률: 40%)
  • "지적도에는 소유자의 주소, 지번, 지목, 경계 등을 등록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지적도에는 소유자의 주소는 등록되지 않으며, 소유자의 성명만 등록된다. 이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조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지적업무처리규정상 일람도 및 지번색인표의등재사항 중 일람도에 등재하여야 하는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곽선과 그 수리
  2. 도면의 제명 및 축척
  3. 지번ㆍ도번번호 및 결번
  4. 지번부여지역의 경계 및 인접지역의 행정구역명칭
(정답률: 31%)
  • 일람도에 등재하여야 하는 사항 중 "지번ㆍ도번번호 및 결번"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지번색인표에 등재되어야 하는 사항이다. 지번ㆍ도번번호는 각 부동산의 고유한 식별번호이며, 결번은 일부 지번이 누락되어 번호가 비어있는 경우를 말한다. 이러한 정보는 지번색인표에 등재하여 부동산 거래 및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령상 지적소관청이 직권으로 지적공부에 등록된 사항을 정정할 수 없는 경우는?

  1. 지적층량성과와 다르게 정리된 경우
  2. 지적공부의 등록사항이 잘못 입력된 경우
  3. 토지이동정리 결의서의 내용과 다르게 정리된 경우
  4. 지적도에 등록된 필지가 면적증감이 있고 경계의위치가 잘못된 경우
(정답률: 65%)
  • 지적도에 등록된 필지가 면적증감이 있고 경계의 위치가 잘못된 경우는 법령상 지적소관청이 직권으로 지적공부에 등록된 사항을 정정할 수 없는 경우입니다. 이는 지적도가 토지의 위치와 면적을 정확하게 나타내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소유자가 직접 정정신청을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지번부여지역의 일부가 행정구역의 개편으로 다른 지번부여지역에 속하게 될 때 지번정리방법은?

  1. 토지소재만 변경 정리한다.
  2. 종전 지번에 부호를 붙여 정한다.
  3. 지적소관청이 새로 그 지번을 부여하여야 한다.
  4. 변경된 지번부여지역의 최종본번에 부번을 붙여 정리한다.
(정답률: 50%)
  • 일부 지번부여지역이 다른 지번부여지역에 속하게 되면, 해당 지역의 지번은 변경되어야 하기 때문에 지적소관청이 새로운 지번을 부여해야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지번부여지역의 경계가 변경되었을 때 필요한 지번정리 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토지등록에 있어서 등록의 주체와 객체가 가장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권리-필지
  2. 소유자-토지
  3. 지적소관청-토지
  4. 행전안전부장관-필지
(정답률: 36%)
  • 토지등록은 지적도상의 토지와 그 토지에 대한 권리를 등록하는 것이므로, 등록의 주체는 지적소관청이 되고, 등록의 객체는 토지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지적소관청-토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부동산등기법의 규정에 의해 등기할 수 없는 권리는?

  1. 소유권 및 저당권
  2. 지상권 및 임차권
  3. 지역권 및 전세권
  4. 점유권 및 유치권
(정답률: 65%)
  • 부동산등기법에서는 소유권과 저당권 등 일부 권리만 등기할 수 있으며, 점유권과 유치권은 등기할 수 없습니다. 이는 점유권과 유치권이 소유권과는 달리 법적인 권리가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점유권은 물건을 점유하고 있는 사실상의 통제권이며, 유치권은 물건에 대한 사용 및 수익권입니다. 이러한 권리는 소유권과는 달리 법적인 보호가 부족하므로 등기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상 지적측량의 적부심사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지적측량업자가 중앙지적위원회에 지적측량 적부심사를 청구하여, 지적소관청이 이를 심의ㆍ의결한다.
  2. 지적소관청이 지방지적위원회에 지적측량정부심사를 청구하여, 관할 시ㆍ도지사가 이를 심의ㆍ의결한다.
  3. 지적소관청이 중앙지적위원회에 지적측량적부심사를 청구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이 이를 심의ㆍ의결한다.
  4. 토지소유자가 관할 시ㆍ도지사를 거쳐 지방지적위원회에 지적측량 적부심사를 청구하고, 지방지적위원회가 이를 심의ㆍ의결한다.
(정답률: 40%)
  •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에서는 지적측량의 적부심사를 토지소유자가 관할 시ㆍ도지사를 거쳐 지방지적위원회에 청구하고, 지방지적위원회가 이를 심의ㆍ의결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토지소유자가 관할 시ㆍ도지사를 거쳐 지방지적위원회에 지적측량 적부심사를 청구하고, 지방지적위원회가 이를 심의ㆍ의결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규상 지적전산자료의 이용 또는 활용 신청 시 자료를 인쇄물로 제공할 때 수수료로 옳은 것은?

  1. 1필지당 10원
  2. 1필지당 20원
  3. 1필지당 30원
  4. 1필지당 40원
(정답률: 64%)
  •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규상 지적전산자료의 이용 또는 활용 신청 시 자료를 인쇄물로 제공할 때 수수료는 "1필지당 30원"이다. 이유는 지적전산자료는 지적도와 같은 지적정보를 전산화한 자료로, 지적도와 같은 공간정보를 인쇄물로 제공하는 경우에는 인쇄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용자가 필요한 자료를 인쇄하여 제공하는 경우, 인쇄비용을 부담하기 위해 수수료를 받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지적서고의 기준면적이 잘못된 것은?

  1. 10만필지 이하:90m2
  2. 100만필지 초과 20만필지 이하:110m2
  3. 20만필지 초과 30만필지 이하:130m2
  4. 30만필지 초과 40만필지 이하:150m2
(정답률: 43%)
  • 지적서고의 기준면적은 필지 수에 따라 결정되는데, 필지 수가 적을수록 기준면적이 작아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10만필지 이하:90m2"가 잘못된 것은, 필지 수가 적을수록 기준면적이 작아져야 하는데 10만필지 이하에서는 90m2로 상대적으로 큰 기준면적이 적용되기 때문입니다. 이는 다른 보기들과 비교해도 더 큰 기준면적이 적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