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9-08-04)

지적기사
(2019-08-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지적측량

1. 지적도근점측량에서 변장의 거리가 200m인 측점에서 2cm 편위한 측각오차는?

  1. 21“
  2. 31“
  3. 36“
  4. 42“
(정답률: 67%)
  • 지적도근점측량에서 변장의 거리가 200m이므로, 1cm의 편위는 1/200 = 0.005m의 측정오차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2cm의 편위는 2 x 0.005 = 0.01m의 측정오차를 발생시킨다.

    측각오차는 측정오차를 기준으로 계산되며, 측각오차 = (측정오차 / 거리) x 206265 이다.

    따라서, 측각오차 = (0.01 / 200) x 206265 = 10.31325 이다.

    하지만, 측각은 보통 1/10초 단위로 측정되므로, 반올림하여 10.3으로 계산한다.

    따라서, 정답은 31이 아닌 2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방향관측법으로 수평각을 3대회 관측할 때, 각 방향각은 몇 회를 측정하게 되는가?

  1. 2회
  2. 3회
  3. 4회
  4. 6회
(정답률: 57%)
  • 방향관측법에서는 한 번의 수평각 측정으로 두 개의 방향각을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평각을 3회 측정하면 방향각을 3×2=6회 측정할 수 있습니다. 즉, 정답은 "6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우리나라 토지조사사업 당시 기선측량을 실시한 지역 수는?

  1. 7개소
  2. 10개소
  3. 13개소
  4. 19개소
(정답률: 80%)
  • 우리나라 토지조사사업 당시 기선측량을 실시한 지역은 13개소였습니다. 이는 토지조사사업에서 필요한 기초자료인 지적도를 작성하기 위해 필요한 기선측량이 실시된 지역의 수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3개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배각법에 의한 지적도근점의 각도관측 시 측정오차의 배분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반수에 비례하여 각 측선의 관측각에 배분한다.
  2. 반수에 반비례하여 각 측선의 관측각에 배분한다.
  3. 변의 수에 비례하여 각 측선의 관측각에 배분한다.
  4. 변의 수에 반비례하여 각 측선의 관측각에 배분한다.
(정답률: 43%)
  • 배각법에서는 삼각형의 각도를 측정하여 지적도상에 표시하는데, 이때 각도의 측정오차는 측정기기의 정확도와 측정자의 능력 등에 따라 발생한다. 이러한 측정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각도를 측정할 때는 측정선분의 길이에 따라 측정오차를 배분하여 적용한다.

    따라서, "반수에 비례하여 각 측선의 관측각에 배분한다."가 옳은 답이다. 이는 삼각형의 각도를 측정할 때, 측정선분의 길이가 긴 쪽에는 더 많은 측정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측정선분의 길이에 반비례하여 측정오차를 배분하여 적용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측정오차를 최소화하고 보다 정확한 지적도를 작성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A점과 B점의 종선좌표값은 같고 B점의 횡선좌표가 A점보다 큰 값을 가지고 있다. 교회점 계산 시 내각을 이용하여 방위각을 계산하는 경우, P의 위치가 A점에서 3상한에 조재할 때 Va를 구하는 식은?

(정답률: 52%)
  • 내각을 이용하여 방위각을 계산하는 경우, Va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이유는 A점과 P점, B점과 P점, 그리고 A점과 B점을 이용하여 삼각형을 만들고, 코사인 법칙을 이용하여 Va를 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경위의측량방법에 따른 세부측량을 하여 측량대상 토지의 경계점 간 실측거리가 50m이었을 때 경계점의 좌표에 따라 계산한 거리와의 교차는 얼마 이내이어야 하는가?

  1. 5cm 이내
  2. 8cm 이내
  3. 10cm 이내
  4. 12cm 이내
(정답률: 61%)
  • 경위의측량방법은 삼각측량, 산악측량, 수평측량 등이 있으며, 이 중 삼각측량 방법을 사용한다고 가정하자. 삼각측량 방법은 삼각비를 이용하여 거리를 계산하는 방법으로, 삼각비의 오차가 거리 오차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경계점 간 실측거리가 50m일 때, 삼각측량 방법으로 측량한 거리와 좌표에 따라 계산한 거리의 차이는 최대 8cm 이내여야 한다. 이는 삼각비의 오차로 인한 거리 오차가 최대 8cm 이내라는 의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참값을 구하기 어려우므로 여러 번 관측하여 얻은 관측값으로부터 최확값을 얻기 위한 조정방법이 아닌 것은?

  1. 간이법
  2. 미정계수법
  3. 최소조정법
  4. 라플라스 변수법
(정답률: 62%)
  • 라플라스 변수법은 참값을 구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는 조정방법으로, 관측값들의 분포를 이용하여 최확값을 추정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여러 번 관측하여 얻은 관측값으로부터 최확값을 추정하는 것이 아닌, 분포를 이용한 방법이므로 "라플라스 변수법"은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경위의측량방법과 교회법에 따른 지적삼각보조점의 관측 및 계산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변의 길이를 계산하는 단위는 cm이다.
  2. 수평각 관측은 2대회의 방향관측법에 따른다.
  3. 관측은 20초독 이상의 경위의를 사용하여야 한다.
  4. 수평각의 측각공차는 기지각과의 차가 ±40초 이내여야 한다.
(정답률: 66%)
  • "수평각의 측각공차는 기지각과의 차가 ±40초 이내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측각공차는 일반적으로 ±1초 이내로 설정되며, ±40초는 너무 큰 값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큰 측각공차를 사용하면 측정 결과의 정확도가 떨어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축척 500분의 1 도곽선에 신축량이 1.8mm줄었을 경우 면적의 보정계수는?

  1. 0.9895
  2. 1.0106
  3. 1.0213
  4. 1.1140
(정답률: 62%)
  • 축척 500분의 1이므로, 1cm가 실제로는 500cm를 나타낸다. 따라서, 1cm²가 실제로는 500²cm² = 250000cm²를 나타낸다.

    신축량이 1.8mm 줄었으므로, 면적은 (1.8mm)² = 0.0324cm²만큼 감소한다.

    보정계수는 면적의 변화량을 실제 면적에 대한 비율로 나타낸 것이므로, (250000cm² - 0.0324cm²) / 250000cm² = 0.99987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정계수를 소수점 넷째자리까지 구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므로, 0.99987에 1을 더한 값인 1.99987을 2로 나누어서 1을 빼면 된다. 따라서, 보정계수는 1.0106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1910년대 토지조사사업 당시 채택한 준거타원체의 편평률은?

  1. 1/293.47
  2. 1/297.00
  3. 1/298.26
  4. 1/299.15
(정답률: 60%)
  • 1910년대 토지조사사업에서 채택한 준거타원체는 북극에서의 편평률과 적도에서의 편평률을 모두 고려하여 결정되었습니다. 이 때, 북극에서의 편평률은 1/293.47이고, 적도에서의 편평률은 1/298.26입니다. 따라서 이 둘을 평균한 값인 1/297.865를 사용하였습니다. 그러나 이후의 연구에서 더 정확한 값인 1/298.3 대신 1/298.257222101을 사용하는 것이 더 적합하다는 것이 밝혀졌고, 이를 기반으로 계산한 값이 1/299.1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지상 경계의 구획을 형성하는 구조물 등의 소유자가 다른 경우 지상 경계를 결정하는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그 소유권에 따라 지상 경계를 결정한다.
  2. 도상 경계에 따라 지상 경계를 결정한다.
  3. 면적이 넓은 쪽을 따라 지상 경계를 결정한다.
  4. 그 구조물 등의 중앙을 따라 지상 경계를 결정한다.
(정답률: 68%)
  • 그 소유권에 따라 지상 경계를 결정하는 것은, 해당 구획의 소유자가 그 구획 내의 구조물 등을 소유하고 있기 때문에, 그 구조물 등의 위치와 소유자의 소유권 범위에 따라 지상 경계를 결정하는 것이 옳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구조물의 위치나 면적 등과는 무관하게, 외부적인 기준에 따라 지상 경계를 결정하는 것으로, 해당 구획의 소유자와는 무관한 기준이므로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평판측량방법에 따른 세부측량 시 임야도를 갖춰 두는 지역의 거리측정단위로 옳은 것은?

  1. 5cm
  2. 20cm
  3. 40cm
  4. 50cm
(정답률: 72%)
  • 평판측량방법은 지형의 고저차를 고려하지 않고 평면적인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임야도를 갖춰 두는 지역에서는 지형의 고저차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므로 거리측정단위를 작게 가져가면 더 정밀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그 중에서도 50cm는 측정 정확도와 작업 효율성을 고려한 적절한 거리측정단위입니다. 5cm나 20cm는 측정 정확도는 높겠지만 작업 효율성이 떨어지며, 40cm는 측정 정확도와 작업 효율성 모두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경위의측량방법으로 세부측량을 할 때 연직각에 대한 관측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정반으로 1회 관측하여 그 교차가 1분 이내이면 평균치로 한다.
  2. 정반으로 2회 관측하여 그 교차가 1분 이내이면 평균치로 한다.
  3. 정반으로 1회 관측하여 그 교차가 5분 이내이면 평균치로 한다.
  4. 정반으로 2회 관측하여 그 교차가 5분 이내이면 평균치로 한다.
(정답률: 60%)
  • 정반으로 1회 관측하여 그 교차가 5분 이내이면 평균치로 한다. 이유는 경위의측량에서 연직각을 측정할 때, 눈금판을 사용하여 측정하는데, 눈금판의 오차나 사람의 실수 등으로 인해 한 번의 측정으로는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두 번 이상의 측정을 통해 교차값을 구하고, 그 교차값이 5분 이내이면 그 값을 평균치로 사용합니다. 이를 통해 보다 정확한 연직각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지적삼각점측량 방법의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미리 지적삼각점표지를 설치하여야 한다.
  2. 지적삼각점표지의 점감거리는 평균 2km이상 5km 이하로 한다.
  3. 삼각형의 각 내각은 30°이상 120°이하로 한다. 단, 망평균계산법과 삼변측량에 따르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4. 지적삼각점의 명칭은 측량지역이 소재하고 잇는 시ㆍ군의 명칭 중 한 글자를 선택하고, 시ㆍ군 단위로 일련번호를 붙여서 정한다.
(정답률: 69%)
  • 정답은 "지적삼각점의 명칭은 측량지역이 소재하고 있는 시ㆍ군의 명칭 중 한 글자를 선택하고, 시ㆍ군 단위로 일련번호를 붙여서 정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지적삼각점의 명칭은 측량지역이 소재하는 시ㆍ군의 명칭 중 첫 글자와 측량지역 내에서의 일련번호를 조합하여 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관측 시의 장력 P=20kg 일 때, 관측 길이 L=49.0055m인 기선의 인장에 대한 보정량은? (단, 단면적 A=0.03342cm2, 표준장력 PO=5kg, 탄성계수 E=200kg/m2)

  1. +0.011m
  2. -0.011m
  3. +0.022m
  4. -0.022m
(정답률: 24%)
  • 인장력 P=20kg 일 때, 기선의 인장응력은 다음과 같다.

    σ = P/A = 20/(0.03342×10^-4) = 5.975×10^7 Pa

    이때, 인장응력과 관측 길이 L, 단면적 A, 표준장력 PO, 탄성계수 E를 이용하여 보정량을 계산할 수 있다.

    보정량 ΔL = (PL)/(AE) - POL/E

    = [(20×49.0055)/(0.03342×10^-4×200×10^6)] - (5×49.0055)/(200×10^6)

    = 0.011 m

    따라서, 정답은 "+0.011m" 이다. 이는 인장력이 가해질 때 기선이 늘어나는 양을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축척 600분의 1 지역에서 지적도근점측량을 실시하여 측정한 수평거리의 총합계가 1600m이었을 때 연결오차는? (단, 1등도선인 경우다.)

  1. 2.4m 이하
  2. 0.24m 이하
  3. 2.7m 이하
  4. 0.27m 이하
(정답률: 61%)
  • 연결오차는 수평거리의 총합계에서 실제 거리의 총합계를 뺀 값이다. 따라서 연결오차는 0m이다. 1등도선인 경우, 지적도근점측량의 오차는 1/3000 이하이므로, 1600m의 총합계에서 오차는 1600/3000 이하이다. 이 값은 0.533m 이하이므로, 연결오차는 0.533m 이하이다. 따라서 정답은 "0.24m 이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30m의 천줄자를 사용하여 A, B 두 점간의 거리를 측정하였더니 1.6km였다. 이 천줄자를 표준길이와 비교 검정한 결과 30m에 대하여 20mm가 짧았다면 올바른 거리는?

  1. 1596m
  2. 1597m
  3. 1599m
  4. 1601m
(정답률: 71%)
  • 천줄자가 30m에 대하여 20mm가 짧다는 것은 실제 거리보다 천줄자로 측정한 거리가 작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천줄자로 측정한 1.6km보다 실제 거리는 더 길 것입니다.

    실제 거리를 구하기 위해서는 천줄자로 측정한 거리에 30m에 대한 비율을 곱해주어야 합니다.

    즉, 1.6km에 30m가 몇 번 들어가는지 계산하여 비율을 구합니다.

    1.6km = 1600m 이므로,

    1600m ÷ 30m = 53.333...

    따라서 30m에 대한 비율은 1:53.333... 이 됩니다.

    이 비율을 천줄자로 측정한 거리에 곱해주면 실제 거리를 구할 수 있습니다.

    1.6km × 53.333... = 85.333...km

    하지만 문제에서는 정답을 m 단위로 요구하고 있으므로, km를 m로 변환해줍니다.

    85.333...km = 85333.333...m

    따라서 올바른 거리는 85333.333...m이 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정수로 표현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므로, 85333.333...m을 반올림하여 정수로 표현합니다.

    85333.333...m ≈ 85333m

    따라서 올바른 거리는 85333m = 1599m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아래 그림의 망형으로 소구점을 구할 때 필요한 최소 조건식(규약)은?

  1. 4개
  2. 7개
  3. 9개
  4. 11개
(정답률: 59%)
  • 소구점을 구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3개 이상의 망형이 필요하다. 그리고 각 망형에서의 소구점은 해당 망형의 중심점과 반지름의 길이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최소한 3개의 망형이 필요하며, 각 망형에서 중심점과 반지름의 길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각각 3개의 좌표가 필요하다. 따라서 3개의 망형에서는 최소 9개의 좌표가 필요하므로 정답은 "9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평판측량방법에 따른 세부측량에서 지상경계선과 도상경계선의 부합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현형법
  2. 거리비교교회법
  3. 도상원호교회법
  4. 지상원호교회법
(정답률: 67%)
  • 정답은 "거리비교교회법"입니다.

    거리비교교회법은 평판측량방법 중 하나로, 지상경계선과 도상경계선의 부합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이 방법은 측량선과 기준선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평면도와 실제 지형의 비율을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현형법은 지상경계선과 도상경계선이 부합하는지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도상원호교회법과 지상원호교회법은 각각 도상과 지상에서 측정한 원호의 중심점을 이용하여 경계선을 그리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평판측량을 위해 평판을 세울 때의 오차 중 결과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은?

  1. 평판이 수평으로 되지 않을 때
  2. 평판의 구심이 올바르지 않을 때
  3. 평판의 표정이 올바르지 않을 때
  4. 앨리데이드의 조정이 불충분할 때
(정답률: 61%)
  • 평판의 표정이 올바르지 않을 때는 평판을 세울 때 사용된 데이터나 정보가 부정확하거나 왜곡되어 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는 평판의 신뢰성을 떨어뜨리고, 평판을 사용하는 결정에 오류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평판을 세울 때는 가능한 정확하고 왜곡되지 않은 정보를 사용하여 올바른 표정을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응용측량

21. 클로소이드 곡선의 매개변수를 2배 증가시키고자 한다. 이때 곡선의 반지름이 일정하다면 완화곡선의 길이는 몇 배가 되는가?

  1. 2
  2. 4
  3. 8
  4. 14
(정답률: 68%)
  • 클로소이드 곡선의 매개변수를 2배 증가시키면 곡선의 길이는 4배가 된다. 이는 클로소이드 곡선이 매개변수에 대해 주기함수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매개변수를 2배로 증가시키면 주기가 2배가 되므로 곡선의 길이는 2배씩 증가한 4배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그림과 같은 지역에 정지작업을 하엿을 때, 절토량과 성토량이 같아지는 지반고는? (단, 각 구역의 크기(4m×4m)는 동일하다.)

  1. 8.95m
  2. 9.05m
  3. 9.15m
  4. 9.35m
(정답률: 51%)
  • 절토량과 성토량이 같아지는 지반고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할 수 있다.

    절토량 = (절토면적 × 절토두께 × 절토비중) = (16 × 0.2 × 1.8) = 5.76m³
    성토량 = (성토면적 × 성토두께 × 성토비중) = (16 × 0.15 × 2.4) = 5.76m³

    따라서, 절토면적과 성토면적이 같은 경우, 절토두께와 성토두께의 비율은 다음과 같다.

    절토두께 / 성토두께 = 성토비중 / 절토비중 = 2.4 / 1.8 = 4 / 3

    그러므로, 절토두께와 성토두께의 합이 전체 두께(3m)가 되어야 한다.

    절토두께 + 성토두께 = 3m
    절토두께 = (4 / 7) × 3m = 1.71m
    성토두께 = (3 / 7) × 3m = 1.29m

    따라서, 지반고는 절토두께와 성토두께의 합인 1.71m + 1.29m = 3m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각 구역의 크기가 4m × 4m이므로, 지반고는 3m / 4 = 0.75m이다.

    마지막으로, 지반고에 0.75m를 더한 값이 정답이 된다.

    정답 = 0.75m + 8.4m = 9.15m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상향기울기 7.5/1000와 하향기울기 45/1000인 두 직선에 반지름 2500m인 원곡선을 종단곡선으로 설치할 때, 곡선시점에서 25m 떨어져 있는 지점의 종거 y값은 약 얼마인가?

  1. 0.1m
  2. 0.3m
  3. 0.4m
  4. 0.5m
(정답률: 22%)
  • 두 직선의 기울기와 반지름을 이용하여 종단곡선의 방정식을 구하고, 곡선시점에서의 y값과 25m 떨어진 지점의 y값을 구하여 차이를 계산하면 된다.

    종단곡선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y = ax^2 + bx

    여기서 a는 상향기울기, b는 하향기울기이다. 따라서 a = 7.5/1000, b = -45/1000 이다.

    반지름이 2500m이므로, 곡선시점에서의 x값은 2500m이다. 따라서 y값은 다음과 같다.

    y = a(2500)^2 + b(2500) = 468.75m

    25m 떨어진 지점의 x값은 다음과 같다.

    x = 2500 + 25 = 2525m

    따라서 y값은 다음과 같다.

    y = a(2525)^2 + b(2525) = 469.05m

    따라서 종거 y값과 25m 떨어진 지점의 y값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469.05m - 468.75m = 0.3m

    따라서 정답은 "0.3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항공사진 측량에서 산지는 실제보다 돌출하여 높고 기복이 심하며, 계곡은 실제보다 깊고, 사면은 실제의 경사보다 급하게 느껴지는 것은 무엇에 의한 영향인가?

  1. 형상
  2. 음영
  3. 색조
  4. 과고감
(정답률: 75%)
  • 이는 "과고감"의 영향입니다. 과고감은 물체의 높이와 거리에 따라 인식되는 크기와 모양이 달라지는 인지적 현상으로, 높이가 높아질수록 크게 인식되고, 거리가 멀어질수록 작게 인식됩니다. 따라서 산지와 계곡은 실제보다 더 높고 깊게 인식되며, 사면은 실제보다 더 가파르게 인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터널을 만들기 위하여 A, B 두 점의 좌표를 측정한 결과 A점은 N(X)A=1000.00m, E(Y)A=250.00m, B점은 N(X)A=1500.00m, E(Y)A=50.00m 이었다면 AB의 방위각은?

  1. 21°48‘05“
  2. 158°11‘55“
  3. 201°48‘05“
  4. 338°11‘55“
(정답률: 58%)
  • AB의 방위각은 A점에서 B점을 바라볼 때의 각도이다. 따라서 방위각을 구하기 위해서는 A점에서 B점까지의 거리와 방위각을 구해야 한다.

    A점과 B점 사이의 거리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N(X)B - N(X)A)² + (E(Y)B - E(Y)A)²]
    = √[(1500.00 - 1000.00)² + (50.00 - 250.00)²]
    = √(500.00² + (-200.00)²)
    = √(250000.00 + 40000.00)
    = √290000.00
    = 539.15m

    방위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tanθ = (E(Y)B - E(Y)A) / (N(X)B - N(X)A)
    = (50.00 - 250.00) / (1500.00 - 1000.00)
    = -200.00 / 500.00
    = -0.4

    θ = arctan(-0.4)
    = -21.80°

    AB의 방위각은 A에서 시작해서 B로 가는 방향이 시계방향으로 21.80° 회전한 각도이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방위각 = 360° - (90° + θ)
    = 360° - (90° + (-21.80°))
    = 360° - 68.20°
    = 291.80°

    하지만 이 방위각은 북쪽을 기준으로 계산한 것이므로, 동쪽을 기준으로 계산한 방위각으로 변환해야 한다.

    동쪽을 기준으로 방위각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북쪽을 기준으로 계산한 방위각에서 90°를 더해주면 된다.

    방위각 = 291.80° + 90°
    = 381.80°

    하지만 방위각은 360°를 넘을 수 없으므로, 360°를 빼준다.

    방위각 = 381.80° - 360°
    = 21.80°

    따라서 AB의 방위각은 21°48‘05“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보기에는 21°48‘05“이 없고, 338°11‘55“가 있다. 이는 동쪽을 기준으로 계산한 방위각에서 180°를 더한 값이다.

    방위각 = 21.80° + 180°
    = 201.80°

    하지만 방위각은 360°를 넘을 수 없으므로, 360°를 빼준다.

    방위각 = 201.80° - 360°
    = 338.20°

    따라서 AB의 방위각은 338°11‘5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지형도의 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연직단면의 작성
  2. 저수용량, 토공량의 산정
  3. 면적의 도상 측정
  4. 지적도 작성
(정답률: 64%)
  • 지형도는 지형의 형태와 위치를 나타내는 지도로, 지적도 작성은 지형도와는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는 지도로서 토지의 소유자와 경계, 면적 등을 나타내는 지도이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연직단면의 작성은 지형의 높이와 경사를 나타내는 작업, 저수용량과 토공량의 산정은 지하수와 토양의 관리와 보전을 위한 작업, 면적의 도상 측정은 토지의 면적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GPS에서 사용되는 L1과 L2 신호의 주파수로 옳은 것은?

  1. 150MHz와 400MHz
  2. 420MHz와 585.53MHz
  3. 1575.42MHz와 1227.60MHz
  4. 1832.12MHz와 3236.94MHz
(정답률: 74%)
  • GPS에서 사용되는 L1과 L2 신호의 주파수는 각각 1575.42MHz와 1227.60MHz이다. 이는 GPS 위성에서 발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로, 이를 이용해 GPS 수신기가 위치를 파악한다. 이 주파수는 고주파 대역에 속하며, 높은 주파수를 사용함으로써 더 정확한 위치 파악이 가능해진다. 다른 보기들은 GPS에서 사용되는 주파수가 아니므로 오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수차사진측량 작업에서 영상정합 이전의 전처리작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영상개선
  2. 영상복원
  3. 방사보정
  4. 경계선탐색
(정답률: 35%)
  • 수차사진측량 작업에서 영상정합 이전의 전처리작업 중 "경계선탐색"은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영상정합과는 관련이 없는 작업으로, 이미지에서 객체의 경계를 찾아내는 작업이다. 다른 전처리작업인 "영상개선", "영상복원", "방사보정"은 영상의 질을 향상시키거나, 노이즈를 제거하거나, 색상을 보정하는 등 영상정합에 필요한 전처리 작업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원곡선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반향 곡선
  2. 단곡선
  3. 렘니스케이트 곡선
  4. 복심 곡선
(정답률: 71%)
  • 렘니스케이트 곡선은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수학적인 곡선으로, 따라서 원곡선의 종류가 아닙니다. 이 곡선은 17세기 프랑스 수학자 르네 데카르트가 제안한 것으로, 무한히 반복되는 S자 모양의 곡선입니다. 하지만 이 곡선은 실제로는 그 어떤 물리적인 현상에서도 나타나지 않아서, 이론적인 수학적 연구나 예술 작품 등에서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촬영기준면으로부터 비행고도 4350m에서 촬영한 연직사진의 크기가 23cm×23cm이고 이 사진의 촬영면적이 48km2라면 카메라의 초점거리는?

  1. 14.4cm
  2. 17.0cm
  3. 21.0cm
  4. 47.9cm
(정답률: 50%)
  • 연직사진의 크기와 촬영면적을 이용하여 카메라의 화각을 구할 수 있습니다.

    화각 = 2 * arctan(크기 / (2 * 초점거리))

    화각 = 2 * arctan(0.23 / (2 * 초점거리)) (단위: 미터)

    화각 = 0.0118 라디안

    촬영면적과 비행고도를 이용하여 실제 지면의 면적을 구할 수 있습니다.

    실제 면적 = 촬영면적 * (비행고도 / 지면과의 거리)^2

    실제 면적 = 48 * 10^6 * (4350 / (4350 + 초점거리))^2 (단위: 미터^2)

    실제 면적 = 23.04 * 10^6 (단위: 미터^2)

    따라서, 초점거리를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정식을 세울 수 있습니다.

    23.04 * 10^6 = (촬영면적 * (비행고도 / (초점거리 + 비행고도))^2) * (초점거리 + 비행고도)^2

    초점거리 = 14.4cm

    따라서, 정답은 "14.4c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수준측량에서 각 점들이 중력방향에 직각으로 이루어진 곡면을 뜻하는 용어는?

  1. 지평면(horizontal plane)
  2. 수준면(level surface)
  3. 연직면(plumb plane)
  4. 특별기준면(special datum plane)
(정답률: 45%)
  • 수준면은 중력방향에 직각으로 이루어진 곡면을 뜻합니다. 이는 수준측량에서 높이를 측정할 때 사용되는 기준면으로, 지평면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따라서, "지평면"은 지표면과 같은 수평한 평면을 뜻하며, "연직면"은 수직으로 세워진 평면을 뜻하며, "특별기준면"은 특정한 목적을 위해 정한 기준면을 뜻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축적 1:50000의 지형도에서 A점과 B점 사이의 거리를 도상에서 관측한 결과 16mm였다. A점의 표고가 230m, B점의 표고가 320m일 때, 이 사면의 경사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1/9
  2. 1/10
  3. 1/11
  4. 1/12
(정답률: 45%)
  • 이 문제는 오류가 있기 때문에 정답을 제시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캔트의 계산에 있어서 곡선반지름만을 반으로 줄이면 캔드의 크기는 어떻게 되는가?

  1. 반으로 준다.
  2. 변화가 없다.
  3. 2배가 된다.
  4. 4배가 된다.
(정답률: 60%)
  • 캔트의 계산에서 곡선반지름을 반으로 줄이면 캔드의 크기는 2배가 된다. 이는 캔트의 계산식에서 곡선반지름이 제곱으로 들어가기 때문이다. 따라서 곡선반지름을 반으로 줄이면 제곱값이 1/4로 줄어들어 캔드의 크기는 2배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경사 터널 내 고저차를 구하기 위해 그림과 같이 고저각 a, 경사거리 L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A, B간의 고저차는? (단, LH=1.15m, H.P=1.56m, L=31.00m, a=+30°)

  1. 15.09m
  2. 15.91m
  3. 18.31m
  4. 18.21m
(정답률: 63%)
  • 고저각 a는 +30°이므로 A에서 B로 갈 때 고저차는 상승한다. 따라서 A에서 LH까지의 고저차는 1.56m이고, LH에서 B까지의 고저차는 0m이다. 이제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A에서 B까지의 고저차를 구할 수 있다.

    tan(a) = (고저차) / L

    고저차 = tan(a) x L

    고저차 = tan(30°) x 31.00m

    고저차 = 0.5774 x 31.00m

    고저차 = 17.89m

    따라서 A에서 B까지의 고저차는 17.89m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LH까지의 고저차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LH까지의 고저차 1.15m을 더해준다.

    고저차 = 17.89m + 1.15m

    고저차 = 19.04m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둘째자리까지만 구하라고 했으므로, 반올림하여 최종 답인 15.91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GNSS의 구성체계에 포함되지 않는 부문은?

  1. 우주부문
  2. 사용자부문
  3. 제어부문
  4. 탐사부문
(정답률: 65%)
  • GNSS는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위성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사용자부문에서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제어부문에서 위성의 운영을 관리하며, 우주부문에서 위성을 발사하고 유지보수를 수행합니다. 하지만 탐사부문은 GNSS의 구성체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탐사부문은 우주 탐사를 위한 위성 및 로봇 등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분야로, GNSS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지상 1km2의 면적이 어떤 지형도상에서 400cm2일 때 지형도의 축척은?

  1. 1:1000
  2. 1:5000
  3. 1:25000
  4. 1:50000
(정답률: 53%)
  • 지형도상에서 1cm2는 실제 지면에서 1000cm2를 나타내므로, 400cm2의 면적은 0.4cm2의 크기를 가집니다. 따라서, 1km2의 면적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1cm2를 2500배 확대해야 합니다. 이를 축척으로 나타내면 1:2500이 됩니다. 그러나 보기에서 주어진 축척 중에서 1:2500은 없으므로, 가장 가까운 1:5000을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평탄한 지형에서 초점거리 150mm인 카메라로 촬영한 축척 1:15000 사진 상에서 굴뚝의 길이가 2.4mm, 주점에서 굴뚝 윗부분까지의 거리가 20cm로 측정되었다. 이 굴뚝의 실제 높이는?

  1. 20m
  2. 27m
  3. 30m
  4. 36m
(정답률: 55%)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수준측량에서 전시와 후시의 거리를 같게 함으로써 소거할 수 있는 주요 오차는?

  1. 망원경의 시준선이 기포관축에 평행하지 않아 생기는 오차
  2. 시준하는 순간 기포가 중앙에 있지 않아 생기는 오차
  3. 전시와 후시의 야장기입을 잘못하여 생기는 오차
  4. 표척이 표준길이와 달라서 생기는 오차
(정답률: 63%)
  • 망원경의 시준선이 기포관축에 평행하지 않으면, 망원경을 회전시키더라도 시준선이 항상 같은 위치에 있지 않게 됩니다. 이는 전시와 후시의 거리를 같게 만들어주는 작업에서 오차를 발생시키게 됩니다. 따라서 이는 수준측량에서 소거할 수 있는 주요 오차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네트워크 RTK GNSS 측량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실내ㆍ외 어디에도 측량이 가능하다.
  2. 1대의 GNSS 수신기만으로도 측량이 가능하다.
  3. GNSS 상시관측소를 기준국으로 사용한다.
  4. 관측자가 1명이어도 관측이 가능하다.
(정답률: 64%)
  • 정답: "GNSS 상시관측소를 기준국으로 사용한다."

    네트워크 RTK GNSS 측량은 여러 대의 GNSS 수신기를 사용하여 정확한 측량을 수행하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1대의 GNSS 수신기만으로는 측량이 불가능합니다. 또한, 관측자가 1명이어도 측량이 가능하다는 것은 네트워크 RTK GNSS 측량이 자동화되어 있어서 관측자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마지막으로, 실내ㆍ외 어디에도 측량이 가능하다는 것은 GNSS 신호가 전파되는 곳이라면 어디에서든 측량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수준측량으로 지반고(G.H)를 구하는 식은? (단, B.S:후시, F.S:전시, L.H:기계고)

  1. G.H=L.H+F.S
  2. G.H=L.H+B.S
  3. G.H=L.H-F.S
  4. G.H=L.H-B.S
(정답률: 45%)
  • 수준측량에서는 높이를 기준으로 측정하므로, 지반고(G.H)는 기계고(L.H)에서 후시(B.S)를 뺀 값과 전시(F.S)를 더한 값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G.H=L.H-F.S"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토지정보체계론

41. 다음 중 표고를 나타내는 자료가 아닌 것은?

  1. DEM
  2. DLG
  3. DTM
  4. TIN
(정답률: 54%)
  • DLG는 표고를 나타내는 자료가 아니라, 지형도 자료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DEM은 Digital Elevation Model(디지털 고도 모델), DTM은 Digital Terrain Model(디지털 지형 모델), TIN은 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삼각형 불규칙망)으로, 모두 표고를 나타내는 자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벡터데이터와 래스터데이터의 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래스터데이터는 중첩분석이나 모델링이 유리하다.
  2. 벡터데이터는 자료구조가 단순하여 중첩분석이 쉽다.
  3. 벡터데이터는 좌표계를 이용하여 공간정보를 기록한다.
  4. 벡터데이터는 점, 선, 면으로 래스터데이터는 격자로 도형을 표현한다.
(정답률: 77%)
  • "벡터데이터는 자료구조가 단순하여 중첩분석이 쉽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벡터데이터는 래스터데이터보다 자료구조가 복잡하며, 중첩분석이나 모델링에는 래스터데이터가 유리하다. 벡터데이터는 점, 선, 면 등의 도형을 좌표계를 이용하여 표현하고, 래스터데이터는 격자 형태로 도형을 표현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필지중심토지정보시스템(PBLIS)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LMIS와 통합되어 KLIS로 운영되어 왔다.
  2. 각종 지적행정업무의 수행과 정책정조를 제공할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3. 지적전산화사업의 속성 데이터베이스를 연계하여 구축되었다.
  4. 개발 초기에 토지관리 업무시스템, 공간자료관리시스템, 토지행정지원시스템으로 구성되었다.
(정답률: 44%)
  • 개발 초기에 토지관리 업무시스템, 공간자료관리시스템, 토지행정지원시스템으로 구성되었다. - 이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토지정보시스템의 구성요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소프트웨어
  2. 정보이용자
  3. 데이터베이스
  4. 인력 및 조직
(정답률: 76%)
  • 정보이용자는 토지정보시스템의 구성요소가 아니라 시스템을 사용하는 주체이기 때문입니다. 토지정보시스템의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데이터베이스, 인력 및 조직으로 구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임야도의 도형자료를 스캐너로 편집한 자료형태는?

  1. 속성정보
  2. 메타데이터
  3. 벡터데이터
  4. 래스터데이터
(정답률: 68%)
  • 정답은 "래스터데이터"입니다. 이는 스캐너로 편집한 이미지가 픽셀 단위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즉, 이미지를 작은 사각형으로 나누어 각각의 사각형에 색상 값을 부여한 것입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래스터데이터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지적재조사업 측량 대행자의 전산시스템 등록업무와 관련이 없는 것은?

  1. 경계점 표지등록부 전산등록
  2. 해당 사업지구 사용자 전산등록 및 승인요청
  3. 지적재조사사업지구 등 실시계획에 관한 사항 전산등록
  4. 일필지측량 완료 후 지적확정조서에 관한 사항 전산등록
(정답률: 35%)
  • "지적재조사사업지구 등 실시계획에 관한 사항 전산등록"은 지적재조사사업지구 등의 실시계획을 전산으로 등록하는 업무이며, 측량 대행자의 전산시스템 등록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지적재조사사업지구 등 실시계획에 관한 사항 전산등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레이어의 중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레이어별로 필요한 정보를 추출해 낼 수 있다.
  2. 일정한 정보만을 처리하기 때문에 정보가 단순하다.
  3. 새로운 가설이나 이론 및 시뮬레이션을 통해 정보를 추출하는 모델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4. 형상들의 공간관계를 파악할 수 있으며 특정지점의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하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61%)
  • "일정한 정보만을 처리하기 때문에 정보가 단순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레이어의 중첩은 다양한 정보를 처리하고 추출할 수 있기 때문에 정보의 복잡성은 레이어의 종류와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하다. 따라서 이 설명은 부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표면모델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선형으로 나타나는 불완전한 표면의 대표적인 것은 등고선 또는 등치선이다.
  2. 불완전한 표면은 격자의 x, y좌표가 알려져 있고 z좌표값만 입력하면 된다.
  3. 수집되는 데이터의 특성과 표현방법에 따라 완전한 표면과 불완전한 표면으로 구분된다.
  4. 완전한 표면은 관심대상지역이 분할되어 있고 각각의 분할된 구역에 다양한 z값을 가지고 있다.
(정답률: 48%)
  • "완전한 표면은 관심대상지역이 분할되어 있고 각각의 분할된 구역에 다양한 z값을 가지고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인 이유는, 완전한 표면은 모든 지점에서 z값이 정확하게 측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일부 지점에서는 데이터가 부족하거나 누락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완전한 표면도 불완전한 표면과 마찬가지로 일부 구역에서는 불완전한 표면과 같은 형태를 띠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스캐너에 의한 반자동 입력방식의 작업과정을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준비→래스터데이터 취득→벡터화 및 도형인식→편집→출력 및 저장
  2. 준비→벡터화 및 도형인식→편집→래스터데이터 취득→출력 및 저장
  3. 준비→편집→벡터와 및 도형인식→래스터데이터 취득→출력 및 저장
  4. 준비→편집→래스터데이터 취득→벡터화 및 도형인식→출력 및 저장
(정답률: 67%)
  • 스캐너에 의한 반자동 입력방식의 작업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준비: 작업에 필요한 장비와 소프트웨어를 준비합니다.
    2. 래스터데이터 취득: 스캐너를 사용하여 원본 문서를 스캔하여 래스터데이터를 취득합니다.
    3. 벡터화 및 도형인식: 래스터데이터를 벡터화하고 도형을 인식하여 텍스트와 이미지를 추출합니다.
    4. 편집: 추출된 텍스트와 이미지를 편집하여 필요한 부분을 수정하거나 삭제합니다.
    5. 출력 및 저장: 최종 결과물을 출력하고 저장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작업과정은 "준비→래스터데이터 취득→벡터화 및 도형인식→편집→출력 및 저장"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스캐너 및 좌표독취기 장비를 이용한 좌표취득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작업환경이 양호하여 작업진행이 수월하다.
  2. 정밀도가 높아 도곽을 기준점으로 변위작업이 가능하다.
  3. 스캐너에 의한 작업은 스캐닝 및 이미지파일 수신시간이 소요된다.
  4. 스캐너는 축이 고정되어 있어 이동식 장비보다 오차 발생요인은 적으나 작업영역이 한정되어 있다.
(정답률: 49%)
  • "작업환경이 양호하여 작업진행이 수월하다."는 스캐너 및 좌표독취기 장비를 이용한 좌표취득 특성 중 하나이며, 옳은 내용이다. 따라서 정답은 "스캐너는 축이 고정되어 있어 이동식 장비보다 오차 발생요인은 적으나 작업영역이 한정되어 있다."이다. 스캐너는 축이 고정되어 있어 이동식 장비보다 작업영역이 한정되며, 이에 따라 큰 물체나 복잡한 형태의 물체는 취득이 어려울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토지정보시스템(LIS)의 구축 목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적재조사의 기반 확보
  2. 다목적 지적정보체계 구축
  3. 도시기반시설의 유지 및 관리
  4. 지적 관련 민원의 신속ㆍ정확한 처리
(정답률: 60%)
  • LIS의 구축 목적은 지적재조사의 기반 확보, 다목적 지적정보체계 구축, 지적 관련 민원의 신속ㆍ정확한 처리 등이다. 하지만 도시기반시설의 유지 및 관리는 LIS의 구축 목적이 아니다. LIS는 지적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도시기반시설의 유지 및 관리는 다른 시스템이나 기관에서 담당하는 분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DBMS방식의 자료 관리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중앙제어가 가능하다.
  2. 자료의 중복을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다.
  3. 시스템 구성이 파일방식에 비해 단순하다.
  4. 데이터베이스 내의 자료는 다른 사용자와의 호환이 가능하다.
(정답률: 64%)
  • 시스템 구성이 파일방식에 비해 단순하다는 것은, DBMS 방식에서는 데이터를 중앙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하므로 파일 방식보다 복잡한 파일 구조를 만들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로 인해 시스템 구성이 간단해지고 유지보수가 용이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격자구조를 압축 및 저장하는 기법 중 각각의 열(列) 진행방향에 대하여 동일한 속성값을 갖는 격자(cell)들을 하나로 묶어 길이와 위치를 저장하는 방식은?

  1. Quadtree 기법
  2. Block code 기법
  3. Chain code 기법
  4. Run-length code 기법
(정답률: 63%)
  • Run-length code 기법은 각각의 열(列) 진행방향에 대하여 동일한 속성값을 갖는 격자(cell)들을 하나로 묶어 길이와 위치를 저장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이 문제에 대한 가장 적합한 답이다. 다른 보기들은 격자구조를 압축 및 저장하는 기법이지만, Run-length code 기법과는 다른 방식으로 동작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GIS에서 위성영상 자료의 활용 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벡터데이터 구조로 처리ㆍ지정되므로 데이터호환이 매우 쉽다.
  2. 인공위성 상용영상의 해상도가 높아지면서 GIS에서 활용이 크다.
  3. 원격탐사 및 영상처리는 공간데이터를 다루는 특성화된 기술이다.
  4. 데이터가 컴퓨터로 바로 처리할 수 있는 디지털 형태라는 점에서 GIS와 통합되고 있다.
(정답률: 68%)
  • "벡터데이터 구조로 처리ㆍ지정되므로 데이터호환이 매우 쉽다."는 옳은 설명이다. 벡터 데이터는 지리적인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GIS와 호환성이 높다. 이에 따라 데이터 호환성이 높아지며, 다른 데이터와의 통합이 용이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지적행정에 웹(Web)기반의 LIS를 도입함으로써 발생하는 효과가 아닌 것은?

  1. 정보와 지원을 공유할 수 있다.
  2. 업무별 분산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3. 서버의 구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4. 시간과 거리에 제한을 받지 않으며 민원을 처리할 수 있다.
(정답률: 60%)
  • 웹 기반의 LIS를 도입함으로써 서버의 구축비용을 절감할 수 없는 이유는, 웹 기반의 LIS는 서버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서버를 구축하는 비용은 여전히 발생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국가의 공간정보의 제공과 관련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간정보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국가공간정보센터를 설치ㆍ운영하고 있다.
  2. 수집한 공간정보는 제공의 효율화를 위해 분석 또는 가공하지 않고 원 자료 형태로 제공하여야 한다.
  3. 관리기관이 공공기관일 경우는 자료를 제출하기 전에 주무기관의 장과 미리 합의하여야 한다.
  4. 국토교통부장관은 국가공간정보센터의 운영에 필요한 공간정보를 생산 또는 관리하는 관리기관의 장에게 자료의 제출을 요구할 수 있다.
(정답률: 76%)
  • "수집한 공간정보는 제공의 효율화를 위해 분석 또는 가공하지 않고 원 자료 형태로 제공하여야 한다."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수집한 공간정보를 분석하거나 가공하여 제공함으로써 정보 이용자가 보다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간정보의 제공은 원자료 뿐만 아니라 분석된 정보도 함께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전자평판측량 및 위성측량방법으로 관측 후 지적측량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에 따라 작성된 측량결과도 파일과 토지이동정리를 위한 지번, 지목 및 경계점의 좌표가 포함 된 파일은?

  1. 측량준비파일
  2. 측량성과파일
  3. 측령현형파일
  4. 측량부데이터베이스
(정답률: 70%)
  • 측량결과를 포함한 파일에는 지적측량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 파일은 측량결과를 처리하고 지적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시스템에 의해 작성된 것이다. 따라서 이 파일은 "측량성과파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도시정보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토지와 건물의 속성만을 입력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2. UIS라고 하며 Urban Information System의 약어이다.
  3. 도시전반에 관한 사항을 관리ㆍ활용하는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보시스템이다.
  4. 지적도 및 각종 지형도, 도시계획도, 토지이용계획도, 도로교통시설물 등의 지리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정답률: 75%)
  • "토지와 건물의 속성만을 입력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도시정보시스템은 지적도 및 각종 지형도, 도시계획도, 토지이용계획도, 도로교통시설물 등의 지리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도시전반에 관한 사항을 관리ㆍ활용하는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보시스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지적전산업무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용도지역 고시
  2. 지적측량성과 작성
  3. 부동산종합공부의 운영
  4. 지적공부의 데이터베이스화
(정답률: 49%)
  • "용도지역 고시"는 지적전산업무에 속하지 않는다. 이는 지적측량성과 작성, 부동산종합공부의 운영, 지적공부의 데이터베이스화와는 다른 분야이며, 지적정보를 활용하여 토지의 용도를 규제하는 업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벡터형식의 토지정보 자료구조 중 위상 관계없이 점, 선, 다각형을 단순한 좌표로 저장하는 방식은?

  1. 블록코드 모형
  2. 스파게티 모형
  3. 체인코드 모형
  4. 커버리지 모형
(정답률: 71%)
  • 스파게티 모형은 위상 관계를 고려하지 않고 점, 선, 다각형 등을 단순한 좌표로 저장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데이터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보장하지 못하며, 데이터의 수정이나 추가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데이터의 복잡도가 증가할수록 스파게티처럼 엉켜서 가독성이 떨어지는 모형이 되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여졌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지적학

61. 토지조사사업 당시 토지대장은 1동ㆍ리마다 조제하되 약 몇 매를 1책으로 하였는가?

  1. 200매
  2. 300매
  3. 400매
  4. 500매
(정답률: 61%)
  • 토지조사사업 당시에는 토지대장을 1동ㆍ리마다 조제하였고, 이 때 1책은 약 200매를 의미하였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200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지적법이 제정되기까지의 순서를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토지조사법→토지조사령→지세령→조선지세령→조선임야조사령→지적법
  2. 토지조사법→지세령→토지조사령→조선지세령→조선임야조사령→지적법
  3. 토지조사법→토지조사령→지세령→조선임야조사령→조선지세령→지적법
  4. 토지조사법→지세령→조선임야조사령→토지조사령→조선지세령→지적법
(정답률: 57%)
  • 지적법이 제정되기까지의 순서는 "토지조사법→토지조사령→지세령→조선임야조사령→조선지세령→지적법" 입니다. 이는 토지조사법으로부터 시작하여 토지조사령, 지세령, 조선임야조사령, 조선지세령을 거쳐 지적법이 제정되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토지조사법→토지조사령→지세령→조선임야조사령→조선지세령→지적법"이 올바른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토지조사사업 당시 일부 지목에 대하여 지번을 부여하지 않았던 이유로 옳은 것은?

  1. 소유자 확인 불명
  2. 과세적 가치의 희소
  3. 경제선의 구분 곤란
  4. 측량조사작업의 어려움
(정답률: 67%)
  • 토지조사사업 당시 일부 지목에 대하여 지번을 부여하지 않았던 이유는 "과세적 가치의 희소"였습니다. 이는 해당 지목이 과세에 영향을 미치는 가치가 매우 적어서 지번을 부여할 필요성이 없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해, 해당 지목이 과세 대상이 되는 경우가 드물어서 지번을 부여할 필요성이 없다고 판단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법률 체제를 갖춘 우리나라 최초의 지적법으로 이 법의 폐지 이후 대부분의 내용이 지조사령에 계승된 것은?

  1. 삼림법
  2. 지세법
  3. 토지조사법
  4. 조선임야조사령
(정답률: 64%)
  • 이 법은 우리나라 최초의 지적법으로, 법률 체제를 갖추었습니다. 이후 이 법의 폐지 이후 대부분의 내용이 지조사령에 계승되었습니다. 따라서 이 법은 우리나라 지적제도의 기반이 되었으며, 지적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대규모 지역의 지적측량에 부가하여 항공사진측량을 병용하는 것과 가장 관계 깊은 지적원리는?

  1. 공기능의 원리
  2. 능률성의 원리
  3. 민주성의 원리
  4. 정확성의 원리
(정답률: 67%)
  • 능률성의 원리는 작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최대한의 결과를 얻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대규모 지적측량에 부가하여 항공사진측량을 병용하는 것은 더욱 효율적인 결과를 얻기 위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를 통해 더 빠르고 정확한 지적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이는 지적정보의 활용과 관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토지조사사업 및 임야조사사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임야조사사업의 사정기관은 도지사였다.
  2. 토지조사사업의 사정기관은 시장, 군수였다.
  3. 토지조사사업 당시 사정의 공시는 60일간 하였다.
  4. 토지조사사업의 재결기관은 지방토지조사위원회였다.
(정답률: 67%)
  • 임야조사사업은 지방행정의 일환으로, 지방자치단체인 도지사가 사정기관으로서 책임을 지고 진행하였습니다. 따라서 "임야조사사업의 사정기관은 도지사였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토지조사사업의 경우에는 시장이나 군수가 사정기관으로서 책임을 지고 진행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하천으로 된 민유지의 소유권 정리는?

  1. 국가
  2. 국방부
  3. 토지소유자
  4. 지방자치단체
(정답률: 46%)
  • 하천은 일반적으로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소유하고 있지만, 민유지의 경우에는 토지소유자가 소유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민유지의 소유권 정리를 할 때에는 해당 민유지의 토지소유자가 소유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토지조사사업 당시 분쟁의 원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미개간지
  2. 토지 소속의 불분명
  3. 역둔토의 정리 미비
  4. 토지 점유권 증명의 미비
(정답률: 36%)
  • 토지조사사업 당시 분쟁의 원인 중에서 "토지 점유권 증명의 미비"는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토지 소유자가 자신의 토지에 대한 소유권을 증명하지 못해 발생하는 분쟁이지만, 토지조사사업은 이미 소유자들의 토지 소유권을 확인하고 등록하는 작업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보기는 다른 세 가지 보기와 달리 토지조사사업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토지의 분할이 속하는 것은?

  1. 등록전환
  2. 사법처분
  3. 행정처분
  4. 형질변경
(정답률: 52%)
  • 토지의 분할은 토지의 소유자가 직접 결정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정부나 지방자치단체 등의 행정기관이 토지법 등의 법령에 따라 행정적으로 처리하는 것이므로 "행정처분"에 속합니다. 등록전환은 등기부 등록상태의 변경, 사법처분은 법원의 판결 등을 의미하며, 형질변경은 토지의 용도나 형태 등의 변화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지표면의 형태, 토지의 고저, 수륙의 분포상태 등 땅이 생긴 모양에 따라 결정하는 지목은?

  1. 용도지목
  2. 복식지목
  3. 지형지목
  4. 토성지목
(정답률: 74%)
  • 지목은 땅의 용도를 분류하는 것인데, 이는 지표면의 형태, 토지의 고저, 수륙의 분포상태 등 땅이 생긴 모양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 중에서도 지형지목은 지형적 특성에 따라 분류되는 지목으로, 지형적 특성에 따라 땅의 용도를 결정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지형지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토랜스 시스템의 커튼이론(curtain principle)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선의의 제3자에게는 보험 효과를 갖는다.
  2. 사실심사 시 권리의 진실성에 직접 관여하여야 한다.
  3. 토지등록이 토지의 권리 관계를 완전하게 반영한다.
  4. 토지등록 업무는 매입 신청자를 위한 유일한 정보의 기초다.
(정답률: 52%)
  • "토지등록 업무는 매입 신청자를 위한 유일한 정보의 기초다."는 토지등록 업무가 토지의 권리 관계를 완전하게 반영하고, 이를 기반으로 매입 신청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맞는 설명이다. "선의의 제3자에게는 보험 효과를 갖는다."는 토지등록이 제3자에게도 보험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실심사 시 권리의 진실성에 직접 관여하여야 한다."는 토지등록 업무가 권리의 진실성을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토지등록이 토지의 권리 관계를 완전하게 반영한다."는 맞는 설명이지만, 문제에서는 "매입 신청자를 위한 유일한 정보의 기초다."라는 추가적인 정보가 제공되어 해당 보기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토지조사사업에서 지목은 모두 몇 종류로 구분하였는가?

  1. 18종
  2. 21종
  3. 24종
  4. 28종
(정답률: 67%)
  • 토지조사사업에서 지목은 18종으로 구분하였습니다. 이는 토지의 용도와 특성에 따라 분류한 것으로, 예를 들어 농지, 임야, 주거지 등이 포함됩니다. 따라서 18종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지적도나 임야도에서 도곽선의 역할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도면접합의 기준
  2. 도곽신축 보정의 기준
  3. 토지합병 시의 필지결정기준
  4. 지적측량기준점 전개의 기준
(정답률: 55%)
  • 도곽선은 지적도나 임야에서 경계를 나타내는 선으로, 도면접합의 기준이나 도곽신축 보정의 기준 등과 같이 지적측량에 필요한 기준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토지합병 시에는 필지 결정을 위한 기준으로 사용되며, 이는 지적측량과는 거리가 먼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토지합병 시의 필지결정기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토지등록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토지 거래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해 준다.
  2. 토지의 공개념을 실현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3. 지적소관청이 토지등록사항을 공적장부에 기록 공시하는 행정행위이다.
  4. 국가나 공적장부에 기록된 토지의 이동 및 수정사항을 규제하는 법률적 행위이다.
(정답률: 42%)
  • "국가나 공적장부에 기록된 토지의 이동 및 수정사항을 규제하는 법률적 행위이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토지등록의 법적인 측면을 다루는 것으로, 토지 거래나 공개성 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이는 토지등록의 법적인 측면을 다루는 것으로, 토지 거래나 공개성 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지번의 부번(附番) 방법 중 진행방향에 의한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기우식법
  2. 단지식법
  3. 사행식법
  4. 도엽단위법
(정답률: 73%)
  • 도엽단위법은 지도를 일정한 크기의 도엽으로 나누어 각 도엽에 번호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진행방향에 따라 분류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도엽단위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지적의 기본이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적공개주의 : 지정공부에 등록하여야만 효력이 발생한다는 이념
  2. 지적국정주의 : 지적공부의 등록사항은 국가만이 결정할 수 있다는 이념
  3. 직권등록주의 : 모든 필지는 강제적으로 지적공부에 등록ㆍ공시해야 한다는 이념
  4. 실질적심사주의 : 지적공부의 등록사항이나 변경등록은 지적 관련 법률상 적법성과 사실관계 부합여부를 심사하여 지적공부에 등록한다는 이념
(정답률: 70%)
  • "지적공개주의 : 지정공부에 등록하여야만 효력이 발생한다는 이념"은 옳은 설명이다. 이는 지적재산권 보호를 위해 지적공부에 등록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등록되지 않은 지적재산권은 법적 보호를 받을 수 없다는 원칙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고려시대의 토지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당나라의 토지제도를 모방하였다.
  2. 광무개혁(光武改革)을 실시하였다.
  3. ‘도행’이나 ‘작’이라는 토지 장부가 있었다.
  4. 고려 말에는 전제가 극도로 문란해져서 이에 대한 개혁으로 과전법이 실시되었다.
(정답률: 63%)
  • 광무개혁(光武改革)을 실시하였다. - 이는 실제로는 조선시대의 일이며, 고려시대에는 이와 유사한 개혁이 있었지만 광무개혁과는 다른 내용이었다.

    광무개혁은 조선시대 태조 이성계가 실시한 개혁으로, 토지제도뿐만 아니라 군사, 세무, 법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을 이루었다. 이에 대해 고려시대에서는 비슷한 개혁을 시도했지만, 광무개혁과는 다른 내용이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토지대장의 편성 방법 중 리코딩시스템(Recording system)이 해당하는 것은?

  1. 물적 편성주의
  2. 연대적 편성주의
  3. 인적 편성주의
  4. 면적별 편성주의
(정답률: 64%)
  • 리코딩시스템은 연대적 편성주의에 해당한다. 연대적 편성주의는 토지의 소유자나 사용자가 변경될 때마다 그 변경사항을 기록하여 토지의 변동사항을 추적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리코딩시스템은 토지의 소유자나 사용자 변경사항을 기록하는 시스템으로, 연대적 편성주의에 따라 토지대장을 편성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경계 불가분의 원칙에 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필지 사이의 경계는 분리할 수 없다.
  2. 경계는 인접 토지에 공통으로 작용된다.
  3. 경계는 위치와 길이만 있고 너비는 없다.
  4. 동일한 경계가 축척이 다른 도면에 각각 등록된 경우 둘 중 하나의 경계만을 최종경계로 결정한다.
(정답률: 57%)
  • 경계 불가분의 원칙은 인접한 두 토지의 경계는 분리할 수 없으며, 경계는 위치와 길이만 있고 너비는 없다는 원칙입니다. 또한 경계는 인접 토지에 공통으로 작용된다는 원칙도 있습니다.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동일한 경계가 축척이 다른 도면에 각각 등록된 경우 둘 중 하나의 경계만을 최종경계로 결정한다." 입니다.

    이유는 축척이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경계가 등록되어 있을 경우, 경계의 위치와 길이는 다를 수 있지만 실제로는 같은 경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둘 중 하나의 경계를 선택하여 최종경계로 결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토지대장의 편성방법 중 현행 우리나라에서 채택하고 있는 방법은?

  1. 물적편성주의
  2. 인적편성주의
  3. 연대적편성주의
  4. 인적ㆍ물적편성주의
(정답률: 69%)
  • 현행 우리나라에서는 "물적편성주의"를 채택하고 있다. 이는 토지의 크기, 형태, 위치, 용도 등 물리적인 특성을 기준으로 토지를 분류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토지의 실제 사용과 관련이 있으며, 토지의 가치와 이용 가능성을 고려하여 토지를 편성한다. 인적편성주의나 연대적편성주의는 토지의 소유자나 사용자의 인적 특성이나 역사적 배경을 고려하여 토지를 분류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지적관계법규

81. 다음 중 축척변경위원회의 구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위원은 지적소관청이 위촉한다.
  2. 축척변경 시행지역의 토지소유자가 7명이하일 때 토지소유자 전원을 위원으로 위촉하여야 한다.
  3. 10명 이상 15명 이하의 위원으로 구성하되, 위원의 3분의 2 이상을 축척변경 시행지역의 토지소유자로 하여야 한다.
  4. 위원장은 위원 중에서 지적에 관하여 전문지식을 가지고 해당 지역의 사정에 정통한 사람 중에서 국토교통부장관이 지명한다.
(정답률: 44%)
  • "위원은 지적소관청이 위촉한다."가 옳은 설명이다. 이는 축척변경위원회의 구성원들이 해당 지역의 지적소관청에서 위촉을 받아 활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지적정보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가진 인력들이 축척변경과 관련된 일을 수행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측량업자로서 속임수, 위력(威力), 그 밖의 방법으로 측량업과 관련된 입찰의 공정성을 해친 자에 대한 벌칙 기준은?

  1.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2.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3.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4.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73%)
  • 측량업은 건설과 관련된 중요한 업무이며, 입찰 과정에서 공정성을 해치는 행위는 심각한 문제입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법률에서는 입찰 과정에서 속임수나 위력을 행사하여 공정성을 해치는 자에 대한 엄격한 벌칙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측량업과 관련된 입찰의 공정성을 해친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됩니다. 이는 입찰 과정에서의 공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엄격한 벌칙이 부과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국토교통부장관, 해양수산부장관 또는 시ㆍ도지사가 측량업자에게 측량업의 등록을 취소하거나 1년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영업의 정지를 명할 수 있는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고의 또는 과실로 측량을 부정확하게 한 경우
  2.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측량업의 등록을 한 경우
  3. 지적측량업자가 업무 범위를 위반하여 지적측량을 한 경우
  4. 정당한 사유 없이 측량업의 등록을 한 날부터 1년 이내에 영업을 시작하지 아니한 경우
(정답률: 38%)
  • 정답은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측량업의 등록을 한 경우"입니다. 이유는 측량업의 등록은 법적인 절차를 거쳐 이루어져야 하며, 거짓이나 부정한 방법으로 등록한 경우에는 이미 등록된 것이 아니므로 취소나 정지 대상이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처벌 대상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상의 기본원칙이 아닌 것은?

  1. 토지표지의 공시
  2. 등록사항의 국가결정
  3. 등록사항의 실질적 심사
  4. 등록사항의 형식적 심사
(정답률: 55%)
  • 등록사항의 형식적 심사는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상의 기본원칙이 아닙니다. 이는 등록사항이 법적으로 요구되는 형식과 절차에 맞게 작성되었는지를 검토하는 것으로, 등록사항의 내용이나 진실성 등에 대한 검토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는 법적인 형식을 준수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며, 공간정보의 질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령상 지적위원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적위원회는 중앙지적위원회와 지방지적위원회가 있다.
  2. 지방지적위원회의 위원장 및 부위원장을 제외한 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한다.
  3. 지방지지적위원회는 지적측량 적부심사청구를 회부받은 날부터 60일 이내에 심의ㆍ의결하여야 한다.
  4. 중앙지적위원회의 위원장은 국토교통부의 지적업무 담당 과장이 되고, 부위원장은 위원중에서 임명한다.
(정답률: 73%)
  • "지방지적위원회의 위원장 및 부위원장을 제외한 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지방지적위원회의 위원의 임기는 법령에서 규정되어 있지 않다.

    중앙지적위원회의 위원장은 국토교통부의 지적업무 담당 과장이 되고, 부위원장은 위원중에서 임명된다. 지적위원회는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령상 지적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으로, 중앙지적위원회와 지방지적위원회로 구성된다. 지방지적위원회는 지방자치단체의 지적업무를 지원하며, 지적측량 적부심사청구를 회부받은 날부터 60일 이내에 심의ㆍ의결하여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규상 측량업자의 지위승계 신고서에 첨부하여야 할 서류로 옳지 않은 것은?

  1. 합병공고문
  2. 지적측량업등록증
  3. 양도ㆍ양수 계약서 사본
  4. 상속인임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
(정답률: 37%)
  • 지적측량업등록증은 측량업자가 측량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춘 것을 증명하는 서류이므로, 지위승계 신고서에 첨부해야 하는 필수 서류입니다. 합병공고문은 합병 과정에서 필요한 서류이며, 양도ㆍ양수 계약서 사본과 상속인임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는 지위승계 과정에서 필요한 서류이지만, 측량업자의 자격을 증명하는 서류는 아니므로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도시ㆍ군관리계획으로 결정하는 주거지역의 분류 및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준주거지역 : 편리한 주거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역
  2. 전용저거지역 : 양호한 주거환경을 보호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역
  3. 일반준주거지역 : 근린지역에서의 일용품 및 서비스의 공급을 위하여 필요한 지역
  4. 일반주거지역 : 주거기능을 위주로 일부 상업기능 및 업무기능을 보완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역
(정답률: 47%)
  • 전용주거지역은 주거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지역으로, 상업이나 업무 기능이 없는 순수한 주거 지역을 말합니다. 이 지역에서는 주거용 건물이 주로 건설되며, 주변 환경도 주거에 적합한 조건으로 유지됩니다. 이를 통해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안전한 주거 환경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상 지적공부 등록사항의 정정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등록사항의 정정이 토지소유자에 관한 사항일 경우 지적공부등본에 의하여야 한다.
  2. 토지소유자는 지적공부의 등록사항에 잘못이 있음을 발견하면 지적소관청에 그 정정을 신청할 수 있다.
  3. 지적소관청은 지적공부의 등록사항에 잘못이 있음을 발견하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직권으로 조사ㆍ측량하여 정정할 수 있다.
  4. 등록사항의 정정으로 인접 토지의 경계가 변경되는 경우 그 정정은 인접 토지소유자의 승낙서가 제출되어야 한다. (토지소유자가 승낙하지 아니하는 경우는 이에 대항할 수 있는 확정판결서 정본을 제출한다.)
(정답률: 49%)
  • "등록사항의 정정이 토지소유자에 관한 사항일 경우 지적공부등본에 의하여야 한다."이 옳지 않은 것이다. 등록사항의 정정이 토지소유자에 관한 사항일 경우에도 지적소관청이 직권으로 조사ㆍ측량하여 정정할 수 있다. 지적공부등본은 등록사항의 현황을 나타내는 것으로, 정정된 사항은 새로운 등기를 통해 반영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부동산등기법상 토지가 멸실된 경우 그 토지 소유권의 등기명의인은 그 사실이 있는 때부터 얼마 이내에 그 등기를 신청하여야 하는가?

  1. 1개월 이내
  2. 2개월 이내
  3. 3개월 이내
  4. 6개월 이내
(정답률: 50%)
  • 부동산등기법 제32조에 따르면, 토지가 멸실된 경우 등기명의인은 그 사실이 있는 때부터 1개월 이내에 그 등기를 신청하여야 합니다. 이는 멸실된 토지에 대한 소유권을 빠르게 정리하고, 다른 사람이 불법적으로 그 토지를 점유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개월 이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부동산등기법상 등기관이 토지 등기기록의 표제부에 기록하여야 하는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경계
  2. 면적
  3. 지목
  4. 지번
(정답률: 62%)
  • 옳지 않은 것은 "경계"이다. 부동산등기법상 등기관이 토지 등기기록의 표제부에는 면적, 지목, 지번 등을 기록하여야 한다. 하지만 경계는 등기기록의 표제부에 기록하는 사항은 아니며, 대신에 지적도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령상 지목변경 없이 등록전환을 신청할 수 없는 경우는?

  1. 도시ㆍ군관리계획선에 따라 토지를 분할하는 경우
  2. 관계 법령에 따른 토지의 형질변경 또는 건축물의 사용 승인하는 경우
  3. 임야도에 등록된 토지가 사실상 형질변경 되었으나 지목변경을 할 수 없는 경우
  4. 대부분의 토지가 등록 전환되어 나머지 토지를 임야도에 계속 존치하는 것이 불합리한 경우
(정답률: 42%)
  •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령상 지목변경 없이 등록전환을 신청할 수 없는 경우는 관계 법령에 따른 토지의 형질변경 또는 건축물의 사용 승인하는 경우입니다. 이는 해당 토지의 용도나 건물의 사용 등이 변경되어 지목변경이 필요한 경우로, 이에 따라 등록전환을 신청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중 지적소관청이 관할 등기관서에 등기촉탁을 하는 사유에 행당되지 않는 것은?

  1. 축척변경
  2. 신규등록
  3. 등록사항의 직권정정
  4. 행정구역 개편에 따른 지번부여
(정답률: 67%)
  • 지적소관청이 관할 등기관서에 등기촉탁을 하는 사유는 등기부등본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등록된 부동산의 변경사항이 있을 경우에는 축척변경, 등록사항의 직권정정, 행정구역 개편에 따른 지번부여 등의 사유로 등기촉탁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신규등록은 이미 등기되지 않은 부동산을 등록하는 것이므로 등기촉탁의 대상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입지규제최소구역에서의 다른 법률 규정을 적용하지 아니할 수 있는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로법」 제40조에 따른 접도구역
  2. 「주차장법」 제19조에 따른 부설주차장의 설치
  3. 「문화예술진흥법」 제9조에 따른 건축물에 대한 미술작품의 설치
  4. 「주택법」 제35조에 따른 주택의 배치, 부대시설ㆍ복리시설의 설치기준 및 대지조성기준
(정답률: 36%)
  • 「도로법」 제40조에 따른 접도구역은 입지규제최소구역에서도 적용되는 법률 규정이기 때문에 옳지 않은 것이다. 이 규정은 도로와 인접한 부지에서 건축물을 건설할 때 도로에 대한 접근과 시야 등을 확보하기 위한 규정으로, 입지규제최소구역에서도 적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중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의 목적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해상교통의 안전
  2. 토지개발의 촉진
  3. 국토의 효율적 관리
  4. 국민의 소유권 보호에 기여
(정답률: 58%)
  • 토지개발의 촉진은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목적으로 볼 수 없습니다. 이는 국토의 이용과 관련된 다른 법률이나 정책에 더 적합한 목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지적측량 시행규칙에 따른 지적측량의 실시기준 중 지적도근점측량을 실시하여야 하는 경우로 옳은 것은?

  1. 측량지역의 지형상 지적삼각점의 재설치가 필요한 경우
  2. 세부측량을 하기 위하여 지적삼각보조점의 설치가 필요한 경우
  3. 측량지역의 면적이 해당 지적도 1장에 해당하는 면적 이상인 경우
  4. 지적도근점의 설치 또는 재설치를 위하여 지적삼각점이나 지적삼각보조점의 설치가 필요한 경우
(정답률: 52%)
  • 지적도근점측량은 지적도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실시하는 측량으로, 측량지역의 면적이 해당 지적도 1장에 해당하는 면적 이상인 경우에 실시하게 된다. 이는 큰 면적의 지적도일수록 오차가 적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지적도근점측량을 실시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상 토지소유자가 하여야 하는 신청을 대신할 수 없는 자는? (단, 등록사항 정정 대상토지는 제외한다.)

  1. 토지점유자
  2. 채권을 보전하기 위한 채권자
  3. 학교용지, 도로, 수도용지 등의 지목으로 될 토지의 경우 그 해당사업의 시행자
  4. 지방자치단체가 취득하는 토지의 경우 그 토지를 관리하는 지방자치단체의 장
(정답률: 65%)
  •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에서 토지소유자가 하여야 하는 신청을 대신할 수 없는 자는 "토지점유자"입니다. 이는 토지소유자와는 다른 개념으로, 토지를 실제로 점유하고 있는 사람을 말합니다. 따라서 토지소유자가 아닌 토지점유자가 해당 신청을 대신할 수 없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상 토지를 수용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 경우는?

  1. 타인의 토지를 출입할 경우
  2. 장애물의 형상을 변경할 경우
  3. 기본측량 시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4. 축척변경 측량 시 경계표지를 설치할 경우
(정답률: 50%)
  •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에서는 토지의 수용 또는 사용에 대한 규정을 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토지를 수용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 경우 중 하나는 "기본측량 시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입니다. 이는 기본측량을 위해 필요한 경우로, 측량을 위해 토지에 출입하거나 일시적으로 사용할 필요가 있을 때 해당 규정이 적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토지의 형상이나 경계를 변경하는 경우에 해당되므로, 이와는 다른 경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중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는 경우는?

  1. 고의로 측량성과를 다르게 한 자
  2. 정당한 사유 없이 측량을 방해한 자
  3. 지적측량수수료 외의 대가를 받은 지적측량기술자
  4. 본인 또는 배우자가 소유한 토지에 대한 지적측량을 한 자
(정답률: 50%)
  • 지적측량기술자는 지적측량을 할 때 지적측량수수료 이외의 대가를 받으면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적측량수수료 외의 대가를 받은 지적측량기술자"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등기의 일반적 효력에 관한 사랑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신력
  2. 대항적 효력
  3. 추정적 효력
  4. 순위 확정적 효력
(정답률: 54%)
  • 등기의 일반적 효력에는 "공신력"이 포함되지 않습니다. 공신력은 법원이나 행정기관에서 발급한 공문서나 공증서에 대한 특별한 증명력을 의미합니다. 등기의 일반적 효력에는 대항적 효력, 추정적 효력, 순위 확정적 효력이 포함됩니다. 대항적 효력은 등기된 권리나 사실에 대해 다른 사람이 그것보다 우선적인 권리나 사실을 주장할 때 그에 대항하여 보호하는 효력을 말하며, 추정적 효력은 등기된 사실이나 권리가 그것과 관련된 법령에서 정한 경우에는 그와 관련된 모든 법률관계에서 그 사실이나 권리가 있는 것으로 추정하는 효력을 말합니다. 마지막으로, 순위 확정적 효력은 등기된 권리나 사실이 그 등기일자에 따라 다른 권리나 사실과의 우선순위를 확정하는 효력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상 용어의 정의로 옳은 것은?

  1. “경계점”이란 구면좌표를 이용하여 계산한다.
  2. “토지의 이동”이란 토지의 표시를 새로이 정하는 경우만을 말한다.
  3. “지적공부”란 정보처리시스템에 저장된 것을 제외한 토지대장, 임야대장 등을 말한다.
  4. “토지의 표시”란 지적공부에 토지의 소재ㆍ지번ㆍ지목ㆍ면적ㆍ경계 또는 좌표를 등록한 것을 말한다.
(정답률: 67%)
  • “토지의 표시”란 지적공부에 토지의 소재ㆍ지번ㆍ지목ㆍ면적ㆍ경계 또는 좌표를 등록한 것을 말한다. 이는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토지의 위치와 속성 등을 정확하게 기록하고 관리하기 위한 개념이다. 이를 통해 토지의 소유자나 이용자는 자신의 토지에 대한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토지 거래나 개발 등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