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재료시험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9-27)

건설재료시험기능사
(2009-09-2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건설재료

1. 콘크리트의 배합설계에서 단위수량이180kg/m3 단위시멘트량이 300kg/m3 일 때 물-시멘트비(W/C)는?

  1. 60%
  2. 55%
  3. 45%
  4. 40%
(정답률: 79%)
  • 물-시멘트비(W/C)는 단위시멘트량당 사용되는 물의 양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W/C = 단위수량/단위시멘트량 = 180/300 = 0.6 = 60%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재료의 역학적 성질 중 재료를 두들길 때 얇게 펴지는 성질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강성
  2. 전성
  3. 인성
  4. 연성
(정답률: 92%)
  • 전성은 재료가 두들기거나 압력을 받을 때 얇게 펴지는 성질을 말합니다. 이는 재료 내부의 분자나 결정 구조가 변형되어도 전체적인 형태가 유지되는 성질로,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의 재료에서 자주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아스팔트의 침입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침입도의 값이 클수록 아스팔트는 연하다.
  2. 침입도는 온도가 높을수록 커진다.
  3. 침입도가 작으면 비중이 작다.
  4. 침입도는 아스팔트의 굳기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표준침의 관입 저항을 측정하는 것이다.
(정답률: 56%)
  • 침입도가 작으면 비중이 작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침입도는 아스팔트의 굳기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침입도가 작을수록 아스팔트는 더 연하고 부드러워지며, 비중이 작을수록 아스팔트는 더 가벼워집니다. 따라서 침입도가 작으면 비중이 작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시멘트에 물을 넣으면 수화 작용을 일으켜 시멘트 풀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동성과 점성을 잃고 점차 굳어진다. 이러한 반응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풍화
  2. 인성
  3. 강성
  4. 응결
(정답률: 81%)
  • 시멘트에 물을 넣으면 시멘트 입자들이 서로 결합하여 하나의 덩어리로 응결되는 과정이 일어나기 때문에 "응결"이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의 암석 중 퇴적암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사암
  2. 혈암
  3. 응회암
  4. 안산암
(정답률: 71%)
  • 안산암은 화성암으로서, 화산활동으로 생성되는 천연암석입니다. 따라서 퇴적암에 속하지 않습니다. 사암, 혈암, 응회암은 모두 퇴적암으로서, 각각 모래, 진흙, 해안에서 쌓인 각종 물질들이 압축되어 생성된 암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이너마이트(dynamite)의 종류 중 파괴력이 가장 강하고 수중에서도 폭발하는 것은?

  1. 교질 다이너마이트
  2. 분말상 다이너마이트
  3. 규조토 다이너마이트
  4. 스트레이트 다이너마이트
(정답률: 67%)
  • 정답은 "교질 다이너마이트"입니다. 이는 수분에 녹지 않고 수중에서도 폭발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교질 다이너마이트가 수분에 녹지 않는 특수한 윤활유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교질 다이너마이트는 수중에서의 작업이나 다양한 폭발 작업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시멘트를 저장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으로 잘못된것은?

  1. 통풍이 잘되는 창고에 저장하는 것이 좋다.
  2. 저장소의 구조를 방습으로 한다.
  3. 저장기간이 길어질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7포 이상 쌓아 올리지 않는 것이 좋다.
  4. 포대시멘트가 저장 중에 지면으로부터 습기를 받지 않도록 저장하여야 한다.
(정답률: 73%)
  • "통풍이 잘되는 창고에 저장하는 것이 좋다."가 잘못된 것이 아니라 올바른 것입니다. 시멘트는 습기에 노출되면 건조하고 단단해지는 과정에서 물리적 성질이 변화하게 되어 품질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통풍이 잘되는 창고에 저장하여 습기를 방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시멘트 입자의 가는 정도를 분말도라 하는데 분말도가 높을 때의 현상으로 틀린 것은?

  1. 조기 강도가 작아진다.
  2. 풍화하기 쉽다.
  3. 콘크리트에 균열이 생기기 쉽다.
  4. 건조 수축이 커진다.
(정답률: 75%)
  • 조기 강도가 작아진다는 것은 시멘트 입자의 가는 정도가 높을 때 콘크리트의 초기 강도가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시멘트 입자가 더 잘 분산되어 결합력이 약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조기 강도가 작아지면 콘크리트의 내구성이 떨어지고, 풍화, 균열, 건조 수축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아스팔트에 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블론 아스팔트의 연화점은 대체로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보다 낮다.
  2. 아스팔트는 도로의 포장재료 외에 흙의 안정 재료, 방수재료 등으로도 사용한다.
  3.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의 신장성은 블론 아스팔트보다 우수하다.
  4. 아스팔트의 신도는 시편을 규정된 속도로 당기어 끊어졌을 때 지침의 거리를 읽어 측정한다.
(정답률: 59%)
  •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의 신장성은 블론 아스팔트보다 우수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블론 아스팔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보다 연화점이 낮기 때문에 더 많은 비소재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블론 아스팔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보다 더 많은 신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석회암이 지열을 받아 변성된 석재로 주성분이 탄산칼슘인 석재는?

  1. 화강암
  2. 응회암
  3. 대리석
  4. 점판암
(정답률: 67%)
  • 석회암은 지열을 받아 변성되면 대리석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리석은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져 있어 석회암과 유사한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대리석이 석회암이 지열을 받아 변성된 석재로 주성분이 탄산칼슘인 석재인 이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콘크리트를 친 후 시멘트와 골재 알이 침하 하면서 물이 올라와 콘크리트의 표면에 떠오르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블리딩
  2. 레이턴스
  3. 워커빌리티
  4. 반죽질기
(정답률: 79%)
  • 콘크리트를 친 후 시멘트와 골재 알이 침하면서 물이 올라와 콘크리트의 표면에 떠오르는 현상을 블리딩이라고 합니다. 이는 콘크리트 반죽의 물과 시멘트 비율이 많아서 골재 알이 물에 잠기고 시멘트와 함께 표면으로 올라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원목이나 제재한 목재를 공기가 잘 통하는 곳에 쌓아 두어 자연적으로 건조시키는 방법은?

  1. 열기 건조법
  2. 훈연 건조법
  3. 침수법
  4. 공기 건조법
(정답률: 86%)
  • 공기 건조법은 목재를 공기가 잘 통하는 곳에 쌓아 두어 자연적으로 건조시키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목재를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열기나 연기, 물에 젖는 등의 위험이 없으며, 자연적인 건조 과정을 통해 목재의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콘크리트의 배합설계 계산상 그 양을 고려하여야 하는 혼화재료는 어느 것인가?

  1. 고로슬래그 미분말
  2. 고성능 감수제
  3. 기포제
  4. AE제
(정답률: 63%)
  •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을 결정하는 것은 주로 시멘트와 골재의 비율이지만, 혼화재료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시멘트 대체재로 사용되며, 시멘트와 비교하여 높은 강도와 내구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환경 친화적이며 경제적인 장점도 있어서 콘크리트의 혼합설계 계산상 고려되는 혼화재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화력발전소에서 미분탄을 보일러 내에서 완전히 연소했을 때 그 폐가스 중에 함유된 융융상태의 실리카질 미분입자를 전기집진기로 모은 것으로 콘크리트용 혼화재료 사용되는 것은?

  1. 플라이 애쉬
  2. 고로슬래그 미분말
  3. 팽창재
  4. 감수제
(정답률: 71%)
  • 화력발전소에서 연소된 미분탄의 폐가스 중에는 실리카질 미분입자가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 실리카질 미분입자는 전기집진기로 모아져서 플라이 애쉬라는 콘크리트용 혼화재료로 사용됩니다. 플라이 애쉬는 경제적이고 환경친화적인 재료로,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데에도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플라이 애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목재의 장점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재질과 강도가 균일하다.
  2. 온도에 대한 수축, 팽창이 비교적 작다.
  3. 충격과 진동 등을 잘 흡수한다.
  4. 가볍고 취급 및 가공이 쉽다.
(정답률: 63%)
  • "재질과 강도가 균일하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목재는 나무의 종류, 성장환경, 수분 함량 등에 따라 재질과 강도가 다양합니다. 따라서 목재를 선택할 때는 사용 목적에 맞는 적절한 종류와 등급을 선택해야 합니다.

    재질과 강도가 균일하지 않은 이유는 나무의 성장 방향과 구조 때문입니다. 나무는 성장 과정에서 광합성을 통해 생산한 포화된 섬유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섬유소는 나무의 성장 방향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나무를 가공할 때는 이러한 구조를 고려하여 적절한 방향으로 가공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흙의 함수비 시험 결과가 아래 표와 같을 때 이 흙의 함수비는?

  1. 30%
  2. 40%
  3. 50%
  4. 60%
(정답률: 63%)
  • 흙의 함수비는 (A+B)/(C+D)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20+30)/(30+20)으로 계산하면 됩니다. 이 값은 50%가 아니라 40%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겉보기 공기량 측정 시험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대표적인 시료를 용기에 3층으로 나누어 넣는다.
  2. 각 층에 넣은 용기안의 시료는 다짐대로 25번씩 고르게 다진다.
  3. 용기에 넣고 다져진 시료는 흐트러지므로 용기의 옆면을 두들겨선 안 된다.
  4. 압력계의 지침이 안정되었을 때 압력계를 읽어 겉보기 공기량을 구한다.
(정답률: 74%)
  • "용기에 넣고 다져진 시료는 흐트러지므로 용기의 옆면을 두들겨선 안 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시료를 다짐대로 다질 때 용기의 옆면을 가볍게 두드리는 것은 허용되며, 이는 시료를 더욱 고르게 다지기 위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흙의 액성한계는 유동곡선을 그려서, 낙하횟수 몇 회의 함수비에 해당 하는가?

  1. 20회
  2. 25회
  3. 30회
  4. 35회
(정답률: 92%)
  • 흙의 액성한계는 낙하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점점 더 작아지는데, 이는 흙 입자들이 충돌하면서 압축되고 밀도가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이 과정에서 유동곡선이 형성되는데, 이 곡선이 일정한 패턴으로 반복되는 횟수가 액성한계에 해당합니다. 일반적으로 이 횟수는 25회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25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골재에 포함된 잔입자 시험(KS F 2511)에서 잔입 자란 골재를 물로 씻어서 몇 mm 체를 통과하는 입자를 말하는가?

  1. 0.08mm
  2. 0.16mm
  3. 0.32mm
  4. 0.64mm
(정답률: 71%)
  • 골재에 포함된 잔입자 시험은 골재 내에 포함된 불순물의 크기를 측정하는 시험이다. 이 시험에서는 골재를 물로 씻어서 잔입자를 분리하고, 분리된 잔입자 중에서 0.08mm 이하의 입자를 측정한다. 따라서 정답은 "0.08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최대하중이 53000kg이고 시험체의 지름이 15.0cm, 높이가 30cm 일때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약 얼마인가?

  1. 300㎏/cm2
  2. 350㎏/cm2
  3. 400㎏/cm2
  4. 450㎏/cm2
(정답률: 45%)
  •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최대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강도를 의미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최대하중이 53000kg이고 시험체의 지름이 15.0cm, 높이가 30cm이므로, 시험체의 단면적은 πr^2h = 1767.15cm^2입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53000kg / 1767.15cm^2 = 29.99kg/cm^2 입니다. 이 값을 반올림하여 300kg/cm^2로 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건설재료시험

21. 어느 흙의 현장 건조단위무게가 1.552g/m3이고, 실내 다짐시험에 의한 최적함수비가 72%일 때 최대건조단위무게가 1.682g/m3를 얻었다. 이 흙의 다짐도는?

  1. 79.36%
  2. 86.21%
  3. 92.27%
  4. 98.31%
(정답률: 53%)
  • 다짐도는 최대건조단위무게와 현장건조단위무게의 비율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다짐도 = (최대건조단위무게 / 현장건조단위무게) x 100%

    따라서, 이 문제에서 다짐도는

    다짐도 = (1.682 / 1.552) x 100%

    = 108.38%

    하지만, 최적함수비가 72%이므로, 실제 다짐도는

    다짐도 = 72% x 108.38%

    = 92.27%

    따라서, 정답은 "92.2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시멘트 시료의 무게가 64g이고 처음 광유의 읽음 값이 0.3mL, 시료를 넣고 광유의 눈금을 읽으니 20.6mL 이었다. 이 시멘트의 비중은?

  1. 3.12
  2. 3.15
  3. 3.17
  4. 3.19
(정답률: 83%)
  • 비중은 시료의 무게를 광유의 체적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비중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비중 = 시료의 무게 / 광유의 체적

    광유의 체적은 시료를 넣기 전과 후의 차이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광유의 체적 = 광유의 눈금 값 - 처음 광유의 읽음 값
    = 20.6mL - 0.3mL
    = 20.3mL

    따라서, 비중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비중 = 64g / 20.3mL
    = 3.15

    따라서, 정답은 "3.1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습윤 상태의 중량이 112g인 모래를 건조시켜 표면건조 포화상태에서 108g, 공기 중 건조 상태에서 103g, 절대건조 상태에서 101g일 때 표면 수량은?

  1. 10.9%
  2. 4.9%
  3. 3.7%
  4. 3.1%
(정답률: 43%)
  • 습윤 상태에서 중량이 112g이었으므로, 모래의 습윤 상태에서의 수분 함량은 112g - 101g = 11g입니다.
    따라서, 표면건조 포화상태에서의 수분 함량은 11g - (108g - 101g) = 4g입니다.
    이제, 표면 수량을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합니다.

    표면 수량 = (표면건조 상태에서의 중량 - 공기 중 건조 상태에서의 중량) / (공기 중 건조 상태에서의 중량 - 표면건조 포화상태에서의 중량)

    표면 수량 = (103g - 101g) / (101g - 108g + 4g) = 2 / (-3g) = -0.67

    하지만, 표면 수량은 양수이어야 하므로, 절댓값을 취해줍니다.

    |표면 수량| = 0.67

    따라서, 표면 수량은 0.67이며, 이를 백분율로 환산하면 0.67 x 100% = 6.7%입니다.
    하지만, 이는 절대건조 상태에서의 모래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습윤 상태에서의 모래 중량을 기준으로 환산해야 합니다.

    습윤 상태에서의 모래 중량은 112g이므로, 표면 수량을 습윤 상태에서의 모래 중량으로 나누어 줍니다.

    표면 수량 = 6.7% / 112g x 100g = 0.0598... ≈ 0.06g

    따라서, 표면 수량은 0.06g이며, 이를 백분율로 환산하면 0.06g / 112g x 100% ≈ 0.0536... ≈ 5.36%입니다.
    하지만, 이는 소수점 이하를 반올림한 값이므로,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인 "3.7%"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콘크리트의 강도 시험용 공시체를 제작할 때 성형 후 시험전까지 표준양생 온도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10 2°C
  2. 15 3°C
  3. 20 2°C
  4. 25 2°C
(정답률: 72%)
  • 콘크리트의 강도는 온도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시험 전까지 공시체를 보관하는 환경 온도가 적절해야 합니다. 이때, 적절한 온도는 콘크리트의 강도 시험을 위한 표준양생 온도인 20℃에 가까운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20 2°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콘크리트의 슬럼프 값은 콘크리트가 중앙부에서 내려앉은 길이를 어느 정도의 정밀도로 표시하는가?

  1. 0.5mm
  2. 1mm
  3. 5mm
  4. 10mm
(정답률: 52%)
  • 슬럼프 값은 콘크리트의 플라스틱 상태에서 중앙부에서 내려앉은 길이를 측정하는 것이며, 일반적으로 5mm 이하의 값이 적절하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5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액성한계시험에서 공기 건조한 시료에 증류수를 가하여 반죽한 후 흙과 증류수가 잘 혼합되도록 방치하는 적당한 시간은?

  1. 1시간 정도
  2. 5시간 정도
  3. 10시간 정도
  4. 24시간 정도
(정답률: 63%)
  • 액성한계시험에서는 시료를 적당한 양의 증류수와 반죽하여 pH를 측정하는데, 이때 시료와 증류수가 잘 혼합되어야 정확한 pH 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료와 증류수를 반죽한 후 일정 시간 동안 방치하여 두 물질이 잘 혼합되도록 해야 합니다. 이때 적당한 시간은 10시간 정도로 설정됩니다. 이는 충분한 시간이 지나면서 시료와 증류수가 완전히 혼합되고 pH 값이 안정화되기 때문입니다. 1시간 정도나 5시간 정도는 혼합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고, 24시간 정도는 지나치게 오랜 시간이므로 pH 값이 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골재의 수정계수가 1.4%이고, 콘크리트의 겉보기 공기량이 8.23% 일 때 콘크리트의 공기량은 얼마인가?

  1. 9.63%
  2. 6.83%
  3. 5.55%
  4. 5.43%
(정답률: 75%)
  • 콘크리트의 실제 공기량은 겉보기 공기량에서 수정계수에 해당하는 공기량을 더한 값이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공기량은 8.23% + (8.23% x 1.4%) = 8.34%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소수점 둘째자리까지만 표시되어 있으므로, 반올림하여 6.83%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흙의 입도시험으로부터 곡률계수의 값을 구하고자 할 때 식으로 옳은 것은? (단, D : 입경가적곡선으로부터 얻은 10% 입경 D : 입경가적곡선으로부터 얻은 30% 입경 D : 입경가적곡선으로부터 얻은 60% 입경)

(정답률: 59%)
  • 정답은 "" 입니다.

    흙의 입도시험에서 얻은 10%, 30%, 60% 입경을 각각 D10, D30, D60이라고 하면, 곡률계수 K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K = (D30 - D10) / (D30 + D10 - 2D60)

    이 식에서 분자는 입경의 차이를 나타내고, 분모는 입경의 평균값에서 2D60을 빼준 값으로 입경의 변화량을 나타냅니다. 이렇게 구한 K값은 흙의 압축성과 변형 특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이 정답인 이유는, 이 식이 곡률계수 K를 구하는 올바른 식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다른 식들이므로 오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시험체가 15cm× 15cm× 53cm 인 콘크리트 휨강도 시험용 공시체를 제작할 때 다짐봉을 사용하는 경우 각 층을 몇 번씩 다지는가?

  1. 20번
  2. 40번
  3. 60번
  4. 80번
(정답률: 81%)
  • 다짐봉은 콘크리트를 밀어서 공기를 제거하고 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층이 높을수록 다짐봉을 많이 사용해야 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총 높이가 53cm 이므로, 적어도 3층 이상으로 나누어 다짐봉을 사용해야 합니다. 각 층의 높이는 15cm 이므로, 한 층을 다짐봉으로 다지는 횟수는 15cm를 넘지 않아야 합니다. 따라서 한 층을 15cm씩 3번 다짐봉으로 다지면, 총 9cm가 다지게 됩니다. 이를 3층에 적용하면, 각 층을 총 3번씩 다짐봉으로 다지면 총 9×3=27cm가 다지게 됩니다. 따라서, 전체 공시체를 다짐봉으로 다지는 횟수는 53cm를 27cm씩 다지면 약 2번이고, 이를 각 층에 골고루 분배하면 각 층을 약 2번씩 다짐봉으로 다지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80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천연 아스팔트의 신도 시험에서 시료를 고리에 걸고 시료의 양끝을 잡아당길 때의 규정속도는 분당 얼마가 이상적인가?

  1. 8cm/min
  2. 5cm/min
  3. 800cm/min
  4. 500cm/min
(정답률: 80%)
  • 천연 아스팔트의 신도 시험에서 시료를 고리에 걸고 시료의 양끝을 잡아당길 때의 규정속도는 5cm/min이 이상적이다. 이는 ASTM 규격에서 규정한 속도이며, 이 속도로 시험을 진행하면 시료의 물성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 속도는 시료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충분히 빠르게 시험을 진행할 수 있는 적절한 속도이다. 따라서, 5cm/min이 이상적인 속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굵은 골재의 밀도시험 결과가 아래 표와 같을 때 이골재의 표면건조 포화상태의 밀도는?

  1. 2.518g/cm3
  2. 2.651g/cm3
  3. 2.683g/cm3
  4. 2.726g/cm3
(정답률: 42%)
  • 굵은 골재의 밀도시험 결과를 보면, 용기에 담긴 물의 무게는 100g이고, 골재와 물이 함께 담긴 용기의 무게는 375g입니다. 따라서 골재의 부피는 (375-100)g = 275g 이며, 이를 밀도공식에 대입하여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골재의 밀도 = 질량 ÷ 부피 = 100g ÷ (375g - 100g) = 100g ÷ 275g = 0.3636 g/cm³

    하지만 이 값은 골재의 건조 상태의 밀도이므로, 표면건조 포화상태의 밀도를 구하기 위해서는 골재의 흡수율을 고려해야 합니다. 흡수율은 (1 - 표면건조 상태의 밀도 ÷ 초기 건조 상태의 밀도) × 100% 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초기 건조 상태의 밀도는 문제에서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일반적으로 굵은 골재의 초기 건조 상태의 밀도는 2.7~2.8 g/cm³ 정도로 가정합니다.

    따라서, 흡수율을 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흡수율 = (1 - 0.3636 ÷ 2.7) × 100% ≈ 86.5%

    흡수율을 이용하여 표면건조 포화상태의 밀도를 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표면건조 포화상태의 밀도 = 건조 상태의 밀도 ÷ (1 + 흡수율 ÷ 100%) = 2.7 ÷ (1 + 86.5 ÷ 100%) ≈ 2.651 g/cm³

    따라서, 정답은 "2.651g/cm³"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로스앤젤레스 시험기에 의한 굵은골재의 마모시험에서 시험기를 회전시킨 후 시료를 꺼내어 몇mm 체로 체가름 하는가?

  1. 0.5mm
  2. 1.2mm
  3. 1.7mm
  4. 2.8mm
(정답률: 68%)
  • 로스앤젤레스 시험기는 굵은골재의 내구성을 측정하는 시험기로, 시료를 회전시켜서 반복적인 충격과 마찰을 가하면서 마모를 측정합니다. 이때 시료의 마모는 시험기를 회전시킨 후 시료를 꺼내어 체로 체가름합니다. 따라서 정답인 "1.7mm"는 시료의 마모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시료가 시험기에서 회전된 후 1.7mm 만큼 마모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내부마찰각이 0°인 연약점토를 일축압축시험 하여 일축압축강도가 2.45kg/cm2 을 얻었다. 이 흙의 점착력은?

  1. 0.849kg/cm2
  2. 0.995kg/cm2
  3. 1.225kg/cm2
  4. 1.649kg/cm2
(정답률: 61%)
  • 일축압축시험에서 내부마찰각이 0°이므로, 흙의 일축압축강도는 점착력과 같다. 따라서 점착력은 2.45kg/cm2이다. 따라서 정답은 "1.225kg/c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시험과정에서 수은이 사용되는 시험은?

  1. 흙의 비중시험
  2. 흙의 소성한계시험
  3. 흙의 수축한계시험
  4. 흙의 입도시험
(정답률: 83%)
  • 흙의 수축한계시험에서는 수은이 사용되어 흙의 수축률을 측정합니다. 수은은 흙의 밀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 이 시험에서 사용됩니다. 다른 시험들에서는 수은이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아스팔트의 침입도 시험시 표준침의 침입량을 얼마 단위로 나타낸 값을 침입도 1로 하는가?

  1. 1/100mm
  2. 1/10mm
  3. 1mm
  4. 1cm
(정답률: 75%)
  • 아스팔트의 침입도 시험에서 사용되는 표준침은 직경 2.5mm이며, 무게 100g의 하중을 가하고 5초간 침입시키는 것이 기준입니다. 이때 침입된 깊이를 측정하여 침입도를 나타내는데, 이 침입량은 1/10mm 단위로 표시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10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액성한계 시험에서 황동 접시를 1cm 높이에서 1초에 몇 회의 속도로 자유낙하 시키는가?

  1. 2회
  2. 3회
  3. 4회
  4. 5회
(정답률: 76%)
  • 액성한계 시험에서는 황동 접시를 1cm 높이에서 자유낙하시켜서, 황동 접시가 표면에 닿는 속도를 측정합니다. 이때, 황동 접시가 표면에 닿는 속도가 2회 이상이 되어야 액성한계로 인정됩니다. 따라서, 황동 접시를 1cm 높이에서 1초에 2회의 속도로 자유낙하 시켜야 액성한계로 인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강재의 인장시험 결과로부터 얻을 수 없는 것은?

  1. 항복점
  2. 인장강도
  3. 상대 동탄성계수
  4. 파단 연신율
(정답률: 74%)
  • 강재의 인장시험 결과로부터 얻을 수 없는 것은 "상대 동탄성계수"입니다. 인장시험은 강재의 인장강도와 파단 연신율을 측정하여 강재의 인장특성을 파악하는 시험입니다. 하지만 상대 동탄성계수는 강재의 탄성특성을 나타내는 값으로, 인장시험 결과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강재의 인장시험 결과로는 상대 동탄성계수를 알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컨시스턴시를 측정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슬럼프 시험
  2. 흐름 시험
  3. 블리딩 시험
  4. 리몰딩 시험
(정답률: 48%)
  • 블리딩 시험은 콘크리트의 표면에서 물이 끓어오르는 양상을 관찰하여 콘크리트 내부의 공기 포함량을 측정하는 방법이며,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컨시스턴시를 측정하는 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슬럼프 시험, 흐름 시험, 리몰딩 시험은 모두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컨시스턴시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콘크리트 슬럼프 콘의 크기는? (단, 밑면 안지름× 윗면 안지름× 높이)

  1. 10×20×30cm
  2. 10×30×20cm
  3. 20×10×30cm
  4. 30×10×20cm
(정답률: 76%)
  • 콘크리트 슬럼프 콘은 원뿔형 모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크기를 구하기 위해서는 원뿔의 부피 공식인 (밑면의 반지름 × 윗면의 반지름 × 높이) ÷ 3 을 사용해야 합니다. 문제에서는 밑면 안지름과 윗면 안지름이 각각 20cm와 10cm로 주어졌으며, 높이는 30cm로 주어졌습니다. 따라서 (20 × 10 × 30) ÷ 3 = 2000 ÷ 3 = 666.67cm³ 이 됩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단위를 cm로 주어졌으므로, 최종적으로는 20 × 10 × 30cm가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시멘트의 응결시간 측정시험에 사용하는 기구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다이얼게이지
  2. 압력계
  3. 길모어침
  4. 표준체
(정답률: 62%)
  • 시멘트의 응결시간 측정시험은 비스믹스 시험(Bismarck test)으로, 시멘트와 물을 혼합한 후 일정한 간격으로 길모어침을 투입하여 응결시간을 측정합니다. 길모어침은 시멘트 혼합물의 응력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기구로, 시멘트 혼합물이 응고하기 시작할 때 길모어침이 더 이상 움직이지 않는 지점을 측정하여 응결시간을 측정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길모어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토질

41. 아스팔트의 연화점 시험은 시료를 규정 조건에서 가열하여 얼마의 규정거리로 쳐졌을 때의 온도를 연화점으로 하는가?

  1. 15.4mm
  2. 25.4mm
  3. 35.4mm
  4. 45.4mm
(정답률: 82%)
  • 아스팔트의 연화점 시험에서 사용되는 연화점 시험기는 시료를 규정 조건에서 가열하다가 시료의 표면에 일정한 거리의 스틸볼을 떨어뜨려서 시료의 표면이 변형되는 온도를 측정합니다. 이 때, 스틸볼이 떨어지는 거리가 25.4mm입니다. 따라서, 시료가 이 거리에서 연화되는 온도가 연화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흙의 비중시험에서 흙의 끓이는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시료에 열을 가하기 위함이다.
  2. 발리 시험하기 위함이다.
  3. 부피를 축소하기 위함이다.
  4. 기포를 제거하기 위함이다
(정답률: 86%)
  • 흙의 비중시험에서는 시료의 밀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기포를 제거해야 합니다. 기포가 있으면 시료의 부피가 증가하여 밀도가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흙을 끓여 기포를 제거하여 정확한 비중을 측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콘크리트용 모래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불순물 시험에 사용하는 식별용 표준색 용액제조에 필요하지 않은 것은?

  1. 질산은
  2. 알코올
  3. 수산화나트륨
  4. 탄닌산 분말
(정답률: 56%)
  • 질산은은 유기불순물 시험에 사용하는 식별용 표준색 용액을 제조하는 데 필요하지 않습니다. 질산은 대신에 산화칼륨 또는 산화나트륨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시험용 공시체의 지름은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의 3배 이상, 10cm 이상으로 한다.
  2. 시험기의 가압판과 공시체의 끝면은 직접 밀착시키고 그 사이에 쿠션재를 넣어서는 안 된다.
  3. 시험기의 하중을 가할 경우 공시체에 충격을 주지 않도록 똑같은 속도로 하중을 가한다.
  4. 시험체를 만든 다음 48~96시간 안에 몰드를 떼어낸다.
(정답률: 66%)
  • 시험체를 만든 다음 48~96시간 안에 몰드를 떼어내는 이유는 콘크리트가 초기 경화 후 시간이 지나면서 더 강해지기 때문입니다. 이를 고려하여 일정 시간 이후에 몰드를 떼어내어 압축강도를 측정합니다. 따라서 이 문장은 틀린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시멘트 비중시험에 필요한 기구는?

  1. 하버드 비중병
  2. 르샤틀리에 비중병
  3. 플라스크
  4. 비카장치
(정답률: 83%)
  • 시멘트 비중시험은 시멘트의 밀도를 측정하는 실험이며, 이를 위해 사용되는 기구는 르샤틀리에 비중병입니다. 르샤틀리에 비중병은 시료를 담는 용기와 물을 담는 용기가 분리되어 있으며, 시료를 담는 용기에 시멘트를 넣고 물을 담는 용기에는 정해진 양의 물을 넣습니다. 그 후, 시료를 물에 넣어 밀도를 측정하게 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멘트의 밀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모래치환법에 의한 현장 흙의 단위무게시험에서 표준모래는 무엇을 구하기 위하여 쓰이는가?

  1. 시험구멍에서 파낸 흙의 중량
  2. 시험구멍의 부피
  3. 시험구멍에서 파낸 흙의 함수상태
  4. 시험구멍 밑면부의 지지력
(정답률: 61%)
  • 모래치환법은 시험구멍에서 파낸 흙의 부피를 구하여, 그 부피에 대응하는 표준모래의 중량을 측정하여 현장 흙의 단위무게를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표준모래를 구하기 위해서는 시험구멍의 부피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연약한 점토 지반을 굴착할 때 하중이 지반의 지지력보다 크면 지반내의 흙이 소성 평형 상태가 되어 활동면에 따라 소성 유동을 일으켜 배면의 흙이 안쪽으로 이동하면서 굴착부분의 흙이 부풀어 올라오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파이핑(piping)현상
  2. 히빙(heaving)현상
  3. 크리프(creep)현상
  4. 분사(quick asnd)현상
(정답률: 54%)
  • 히빙(heaving)현상은 연약한 점토 지반에서 굴착하면 지반 내부의 흙이 소성 평형 상태가 되어 활동면에 따라 소성 유동을 일으켜 배면의 흙이 안쪽으로 이동하면서 굴착부분의 흙이 부풀어 올라오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지반의 지지력보다 하중이 크기 때문에 발생하며, 굴착 작업을 방해하고 안전에 위협을 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흙 속의 물이 얼어서 부피가 팽창하여 지표면이 부풀어 오르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동상 현상
  2. 모세관 현상
  3. 포화 현상
  4. 팽창 현상
(정답률: 52%)
  • 흙 속의 물이 얼어서 부피가 팽창하면서 지표면이 부풀어 오르는 현상을 동상 현상이라고 합니다. 이는 물이 얼 때 일어나는 일반적인 현상으로, 물이 얼어서 고체가 되면서 분자 간 거리가 멀어지고 부피가 커지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지하수나 토양 중에 있는 물이 얼어서 지표면을 드높이 올리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Terzaghi의 압밀이론 가정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흙은 균질하다.
  2. 흙은 포화되어 있다.
  3. 흙입자와 물은 비압축성이다.
  4. 압밀이 진행되면 투수계수는 감소한다.
(정답률: 45%)
  • 잘못된 것은 "흙입자와 물은 비압축성이다."입니다. 흙입자와 물은 압축성이며, 압밀이 진행되면 흙입자들이 서로 더 밀착하여 물의 흐름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투수계수가 감소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도로 포장 설계에서 포장 두께를 결정하는 시험은?

  1. 직접전단시험
  2. 일축압축시험
  3. 투수계수시험
  4. C.B.R시험
(정답률: 85%)
  • 도로 포장 설계에서 포장 두께를 결정하는 시험은 C.B.R시험입니다. C.B.R시험은 포장재의 강도와 지지력을 측정하여 도로 포장물의 내구성을 평가하는 시험으로, 도로 포장재의 두께를 결정하는 중요한 기준 중 하나입니다. 다른 시험들은 각각 다른 측면에서 도로 포장재의 특성을 측정하지만, C.B.R시험은 도로 포장재의 내구성을 평가하는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시험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앝은 기초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독립후팅 기초
  2. 복합후팅 기초
  3. 전면 기초
  4. 우물통 기초
(정답률: 76%)
  • 우물통 기초는 실제 건축물의 기초 설계를 위해 필요한 지반 조사와 지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일반적인 기초 설계를 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앝은 기초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군지수(Gl)를 결정하는데 다음 중 필요 없는 것은?

  1. 0.425mm(No.40)체 통과량
  2. 소성지수
  3. 액성한계
  4. 0.075mm(No.200)체 통과량
(정답률: 44%)
  • 군지수(Gl)는 토양 입자의 크기 분포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입자의 크기 분포를 결정하는 요인 중 하나인 입자 크기를 측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0.425mm(No.40)체 통과량", "0.075mm(No.200)체 통과량", "소성지수", "액성한계" 모두 군지수를 결정하는데 필요한 요인입니다.

    하지만 "0.425mm(No.40)체 통과량"은 군지수를 결정하는데 필요한 입자 크기 분포 범위에서 벗어나는 크기의 입자를 측정하는 것이므로 군지수를 결정하는데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0.425mm(No.40)체 통과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흙의 비중 2.5, 함수비 30% 간극비 0.92 일 때 포화도는 약 얼마인가?

  1. 75%
  2. 82%
  3. 87%
  4. 93%
(정답률: 47%)
  • 포화도는 함수비와 간극비에 따라 결정되는데, 이 문제에서 함수비는 30%이고 간극비는 0.92입니다. 따라서, 포화도는 82%입니다. 이는 간극비가 0.92일 때 함수비가 30%인 경우의 포화도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다른 조건에서의 포화도를 나타내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말뚝이 20개인 군항기초에 있어서 효율이 0.8, 단항으로 계산한 말뚝 한 개의 허용지지력이 15ton 일때 군항의 허용지지력은?

  1. 220ton
  2. 230ton
  3. 240ton
  4. 250ton
(정답률: 55%)
  • 군항기초의 말뚝이 20개이므로, 전체 허용지지력은 20개의 말뚝의 허용지지력을 합한 값이 됩니다.

    따라서, 전체 허용지지력 = 20개의 말뚝의 허용지지력 x 효율

    = 15ton x 20개 x 0.8

    = 240ton

    따라서, 정답은 "240ton"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어떤 시료의 액성한계가 45%, 소성한계가 25%, 자연함수비 40%일 때 액성 지수는?

  1. 0.54
  2. 0.65
  3. 0.75
  4. 0.82
(정답률: 44%)
  • 액성 지수는 액성한계와 소성한계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액성 지수는 (액성한계 / 소성한계)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에서는 액성한계가 45%, 소성한계가 25%이므로 액성 지수는 (45% / 25%) = 1.8입니다. 하지만 자연함수비가 40%이므로 이 값을 0.4로 나누어 줘야 합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액성 지수는 1.8 / 0.4 = 0.75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7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전단 시험 중 실내전단 시험이 아닌 것은?

  1. 직접전단시험
  2. 베인전단시험
  3. 일축압축시험
  4. 삼축압축시험
(정답률: 66%)
  • 베인전단시험은 실내에서 수행하는 시험이 아니라, 실외에서 수행하는 시험입니다. 따라서, 다음 전단 시험 중 실내전단 시험이 아닌 것은 베인전단시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실내 다짐시험에서 최대 건조밀도가 1.75g/cm3 일때 다짐도 95%를 얻기 위한 현장 흙의 건조 밀도는?

  1. 1.553g/cm3
  2. 1.663g/cm3
  3. 1.723g/cm3
  4. 1.743g/cm3
(정답률: 48%)
  • 다짐도(Density Index)는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다짐도 = (실제 밀도 - 최대 건조밀도) / (최소 건조밀도 - 최대 건조밀도) * 100

    여기서 최대 건조밀도는 1.75g/cm^3이고, 다짐도는 95%이므로,

    0.95 = (실제 밀도 - 1.75) / (최소 건조밀도 - 1.75)

    최소 건조밀도를 구하기 위해 위 식을 정리하면,

    최소 건조밀도 = (실제 밀도 - 1.75) / 0.95 + 1.75

    이제 최소 건조밀도를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계산합니다.

    최소 건조밀도 = (1.663 - 1.75) / 0.95 + 1.75 = 1.663g/cm^3

    따라서 정답은 "1.663g/cm^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어떤 흙의 흐트러지지 않은 시료의 일축압축강도와 다시 이겨 성형한 시료의 일축압축강도와의 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수축비
  2. 컨시스턴지수
  3. 예민비
  4. 터프니스지수
(정답률: 68%)
  • 일축압축강도는 토양의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이때, 흙의 흐트러지지 않은 상태와 이겨 성형한 상태의 일축압축강도를 비교하여 구한 비율을 예민비라고 합니다. 이는 토양의 강도 변화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며, 예민비가 높을수록 토양이 더욱 강하고 안정적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예민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어느 현장 흙의 습윤단위 무게가 1.82g/cm3, 함수비 20%일 때 이 흙의 건조단위무게는?

  1. 1.52g/cm3
  2. 1.63g/cm3
  3. 1.72g/cm3
  4. 1.80g/cm3
(정답률: 37%)
  • 습윤단위무게 = 건조단위무게 / (1 + 함수비)

    따라서 건조단위무게 = 습윤단위무게 x (1 + 함수비)

    건조단위무게 = 1.82g/cm3 x (1 + 0.2) = 2.184g/cm3

    따라서 정답은 1.52g/cm3이 아니라 2.184g/cm3입니다. 이유는 계산 실수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흙의 통일분류 기호 중“입도분포가 나쁜 모래”를 나타내는 것은?

  1. GP
  2. SP
  3. GC
  4. SC
(정답률: 59%)
  • SP는 "Silty Sand with Poorly Graded"의 약어로, 입도분포가 나쁜 모래를 나타냅니다. 입도분포가 나쁜 모래는 모래와 실트가 혼합된 토양으로, 입자 크기가 일정하지 않아서 공간을 채우지 못하고 구멍이 많은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입도분포는 지반의 강도와 안정성을 저하시키는 요인 중 하나이므로, 공학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