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재료시험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3-28)

건설재료시험기능사
(2010-03-2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건설재료

1. 재료가 일정한 하중 아래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형량이 증가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크리프
  2. 피로한계
  3. 길소나이트
  4. 릴렉세이션
(정답률: 92%)
  • 재료가 일정한 하중 아래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형량이 증가되는 현상을 크리프(creep)라고 합니다. 이는 재료 내부의 결함이나 결합력의 약화로 인해 발생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형량이 누적되어 결국 파괴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분말로 된 흑색화약을 실이나 종이로 감아 도료를 사용하여 방수시킨 줄로서 뇌관을 점화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은?

  1. 도화선
  2. 다이너마이트
  3. 도폭선
  4. 기폭제
(정답률: 82%)
  • 분말로 된 흑색화약을 실이나 종이로 감아 도료를 사용하여 방수시킨 후, 뇌관을 점화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것은 도화선입니다. 다이너마이트는 폭발물질로서, 도폭선과 기폭제는 폭발물질을 이용하여 폭발을 일으키는 무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현장에서의 목조창고에 포대시멘트를 저장할 때 창고의 마루바닥과 지면 사이의 거리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15cm
  2. 30cm
  3. 50cm
  4. 60cm
(정답률: 81%)
  • 포대시멘트는 습기와 물에 노출되면 품질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창고 내부의 습도를 낮추기 위해 바닥과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해야 합니다. 또한 창고 내부의 환기를 위해서도 바닥과 일정한 간격을 두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30cm가 가장 적합한 거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목재의 건조방법 중 인공건조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끓임법
  2. 침수법
  3. 열기건조법
  4. 증기건조법
(정답률: 81%)
  • 침수법은 목재를 물에 담그거나 물에 잠긴 상태에서 건조시키는 방법으로, 인공건조법에 속하지 않습니다. 이 방법은 주로 목재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며, 건조 시간이 오래 걸리고 건조 후에도 내구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블론 아스팔트와 비교한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의 특징으로 잘못된 것은?

  1. 방수성이 좋다.
  2. 신장성이 좋다.
  3. 감온성이 크다.
  4. 연화점이 높다.
(정답률: 61%)
  • 연화점이 높다는 것은 스트레이트 아스팔트가 높은 온도에서도 연소되지 않고 안정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연화점이 높은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높은 온도에서도 안정적인 성질을 유지할 수 있어서 도로 건설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아스팔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아스팔트를 인화점 이상으로 가열하여 인화한 불꽃이 곧 꺼지지 않고 계속해서 탈 때의 최저 온도를 연소점이라 한다.
  2. 아스팔트가 연해져서 점도가 일정한 값에 도달하였을 때의 온도를 연화점이라 한다.
  3. 아스팔트의 늘어나는 능력을 신도라 한다.
  4. 침입도의 값이 클수록 아스팔트는 단단하다.
(정답률: 70%)
  • 침입도의 값이 클수록 아스팔트는 부서지기 쉽고 덜 단단하다. 침입도란 외부의 물질이 아스팔트 내부로 침투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침입도가 낮을수록 아스팔트는 더 단단하고 내구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옳지 않은 것은 "침입도의 값이 클수록 아스팔트는 단단하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천연아스팔트가 아닌 것은?

  1. 레이크 아스팔트
  2. 록 아스팔트
  3.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4. 샌드 아스팔트
(정답률: 84%)
  •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천연 아스팔트가 아닌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아스팔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천연 아스팔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토목공사용 석재 중 압축강도가 가장 큰 것은?

  1. 점판암
  2. 응회암
  3. 사암
  4. 화강암
(정답률: 90%)
  • 화강암은 다른 석재에 비해 결정간의 결합력이 강하고, 입자 크기가 크며 밀도가 높아서 압축강도가 가장 큽니다. 따라서 토목공사에서는 화강암을 많이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시멘트를 분류할 때 특수 시멘트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알루미나 시멘트
  2. 팽창 시멘트
  3. 플라이 애시 시멘트
  4. 초속경 시멘트
(정답률: 72%)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블리딩이 큰 콘크리트의 성질로 옳은 것은?

  1. 압축강도가 증가한다.
  2. 콘크리트의 수밀성이 증가한다.
  3. 콘크리트가 다공질로 된다.
  4. 내구성이 증가한다.
(정답률: 64%)
  • 콘크리트는 혼합물 중 시멘트, 모래, 물, 그리고 강도를 높이기 위해 첨가물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혼합물이 혼합되어 건조되면, 시멘트와 물이 반응하여 수화물이 생성됩니다. 이 수화물은 콘크리트 내부에서 큰 결정체를 형성하며, 이는 콘크리트를 다공질로 만듭니다. 따라서, 콘크리트는 다공질로 된다는 것이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목재의 일반적인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함수량은 수축, 팽창 등에 큰 영향을 미친다.
  2. 금속, 석재, 콘크리트 등에 비해 열, 소리의 전도율이 크다.
  3. 무게에 비해서 강도와 탄성이 크다.
  4. 재질이 고르지 못하고 크기에 제한이 있다.
(정답률: 72%)
  • "금속, 석재, 콘크리트 등에 비해 열, 소리의 전도율이 크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목재는 금속, 석재, 콘크리트 등에 비해 열, 소리의 전도율이 작습니다. 이는 목재의 구조가 공기로 채워진 세포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공기는 열과 소리를 잘 흡수하고 전달하지 못하기 때문에 목재는 열과 소리를 잘 차단하는 소재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석재의 성질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석재는 비중이 클수록 흡수율이 작고, 압축강도가 크다.
  2. 석재의 흡수율은 풍화, 파괴, 내구성 등과 관계가 있고 흡수율이 큰 것은 빈틈이 많으므로 동해를 받기 쉽다.
  3. 석재의 강도는 인장강도가 특히 크고 압축강도는 매우 작으므로 석재를 구조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주로 인장력을 받는 부분에 많이 사용된다.
  4. 석재의 공극률은 일반적으로 석재에 포함된 전체공극과 겉보기 부피의 비로서 나타낸다.
(정답률: 81%)
  • 석재의 강도는 인장강도가 특히 크고 압축강도는 매우 작으므로 석재를 구조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주로 인장력을 받는 부분에 많이 사용된다. - 이 설명이 잘못된 것이 아닙니다.

    석재의 강도는 인장강도와 압축강도 모두 중요합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석재는 인장강도가 높기 때문에 구조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인장력을 받는 부분에 많이 사용됩니다. 그러나 압축력이 큰 경우에도 석재는 사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석재의 강도는 인장강도와 압축강도 모두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콘크리트 AE제를 사용하였을 때 장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워커빌리티가 좋다.
  2. 동결, 융해에 대한 저항성이 크다.
  3. 강도가 커지며 철근과의 부착강도가 크다.
  4. 단위수량을 줄일 수 있다.
(정답률: 65%)
  • 단위수량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은 콘크리트 AE제를 사용하면 더 적은 양의 콘크리트로 같은 강도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는 장점에 해당됩니다. 강도가 커지며 철근과의 부착강도가 크다는 것은 콘크리트 AE제를 사용하면 콘크리트와 철근이 더 강하게 결합되어 구조물의 강도와 내구성이 향상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콘크리트 AE제의 장점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콘크리트 속에 많은 거품을 일으켜, 부재의 경량화나 단열성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혼화제는?

  1. 지연제
  2. 기포제
  3. 급결제
  4. 감수제
(정답률: 92%)
  • 콘크리트 속에 기포를 일으켜 경량화나 단열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포제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기포제"입니다. 지연제는 콘크리트의 초기 경화를 지연시키는 역할을 하고, 급결제는 콘크리트 경화를 가속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감수제는 콘크리트의 수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물-시멘트비 60%의 콘크리트를 제작할 경우 시멘트 1포당 필요한 물의 양은 몇 kg인가? (단, 시멘트 1포의 무게는 40kg 이다.)

  1. 15kg
  2. 24kg
  3. 40kg
  4. 60kg
(정답률: 78%)
  • 물-시멘트비가 60%이므로, 시멘트 40kg당 물은 60%인 24kg가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24k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아스팔트 침입도 시험의 시험온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20℃
  2. 25℃
  3. 30℃
  4. 35℃
(정답률: 78%)
  • 아스팔트는 시험 시 온도가 높을수록 연화되어 더 부드러워지기 때문에 시험온도가 너무 높으면 실제 도로에서의 성능을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반면 시험온도가 너무 낮으면 아스팔트가 너무 단단해져서 실제 도로에서의 성능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스팔트 침입도 시험의 시험온도로는 25℃가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 시험에서 시험체의 가압면에는 일정한 크기 이상의 흠이 있어서는 안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하는 작업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몰딩
  2. 캐핑
  3. 리몰딩
  4. 코팅
(정답률: 82%)
  • 캐핑은 콘크리트 시험체의 가압면에 흠이 생기지 않도록, 시험체 윗부분에 캡을 덮어주는 작업을 말합니다. 따라서 캐핑은 압축 강도 시험에서 시험체의 가압면에 흠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콘크리트의 휨강도시험을 위한 공시체의 제작이 끝나 몰드를 떼어낸 후 습윤 양생을 하려고 한다. 이때 가장 적당한 양생온도는?

  1. 8~12℃
  2. 12~16℃
  3. 18~22℃
  4. 26~30℃
(정답률: 80%)
  • 콘크리트의 경화는 환경온도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데, 너무 높은 온도에서 양생을 하면 콘크리트 내부의 수분이 빨리 증발하여 강도가 약해질 수 있고, 너무 낮은 온도에서 양생을 하면 콘크리트 내부의 화학반응이 느려져 강도가 충분히 발현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적당한 양생온도는 콘크리트의 강도를 최대한 유지하면서도 습윤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는 온도여야 한다. 이에 따라 적당한 양생온도는 18~22℃로 판단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슬럼프 시험에 관한 내용 중 옳은 것은?

  1. 슬럼프콘에 시료를 채우고 벗길 때까지의 시간은 5분이다.
  2. 슬럼프콘을 벗기는 시간은 10초이다.
  3. 슬럼프콘의 높이는 30cm이다.
  4. 물을 많이 넣을수록 슬럼프값은 작아진다.
(정답률: 77%)
  • 슬럼프콘은 ASTM C143에 따라 제작되며, 그 높이는 30cm로 표준화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조립률이 3.11인 잔골재와 조립률이 7.41인 굵은골재를 1:1.5로 섞을 때, 혼합골재의 조립률을 구하면?

  1. 3.69
  2. 4.69
  3. 5.69
  4. 6.69
(정답률: 59%)
  • 두 재료를 1:1.5로 섞는 것이므로, 전체 비중은 2.5이다. 따라서, 혼합골재의 조립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3.11 × 1 + 7.41 × 1.5) ÷ 2.5 = 5.69

    즉, 잔골재와 굵은골재를 1:1.5로 섞으면 혼합골재의 조립률은 5.69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건설재료시험

21. 유동곡선에서 타격 회수 몇회에 해당하는 함수비를 액성한계로 하는가?

  1. 15회
  2. 20회
  3. 25회
  4. 30회
(정답률: 86%)
  • 유동곡선에서 타격 회수가 증가할수록 함수비는 감소합니다. 따라서 타격 회수가 증가할수록 함수비가 액성한계에 도달하게 됩니다. 주어진 보기에서는 타격 회수가 증가할수록 함수비가 감소하므로, 함수비가 액성한계인 25회에서 타격 회수가 해당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5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골재의 조립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골재의 조립률은 골재 알의 지름이 클수록 크다.
  2. 잔골재의 조립률은 2.3~3.1이 적당하다.
  3. 골재의 조립률은 체가름시험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4. 조립률이 큰 골재를 사용하면 좋은 품질의 콘크리트를 만들 수 있다.
(정답률: 62%)
  • 조립률이 큰 골재를 사용하면 좋은 품질의 콘크리트를 만들 수 있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조립률은 골재의 알갱이들이 서로 떨어져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콘크리트의 강도와 밀도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적절한 조립률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조립률이 큰 골재를 사용하면 반드시 좋은 품질의 콘크리트를 만들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적절한 조립률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어느 흙의 습윤 무게가 300g이고, 함수비가 20%일 때, 이 흙의 노건조 무게는?

  1. 60g
  2. 150g
  3. 200g
  4. 250g
(정답률: 42%)
  • 함수비란 물이 흡수되어 무게가 증가한 비율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흙의 습윤 무게가 300g이므로, 물이 흡수되어 총 무게가 120%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습윤 무게 = 노건조 무게 + (노건조 무게 × 함수비)
    300g = 노건조 무게 + (노건조 무게 × 0.2)

    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노건조 무게 = 300g ÷ 1.2
    노건조 무게 = 250g

    따라서, 이 흙의 노건조 무게는 250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시멘트 모르타르의 압축강도시험에 의하여 압축강도를 결정할 때 같은 시료, 같은 시간에 시험한 전 시험체의 평균값을 구하여 사용하는데, 이 때 평균값보다 몇 % 이상의 강도 차가 있는 시험체는 압축강도의 계산에 사용하지 않는가?

  1. ± 5%
  2. ± 10%
  3. ± 15%
  4. ± 20%
(정답률: 48%)
  • 시멘트 모르타르의 압축강도시험은 시료의 특성에 따라서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같은 시료를 같은 시간에 시험한 전 시험체의 평균값을 구하여 사용합니다. 그러나 평균값보다 몇 % 이상의 강도 차가 있는 시험체는 시료의 특성에 따른 오차나 실험 오차 등으로 인해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압축강도의 계산에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 때, 일반적으로 ± 10% 이내의 강도 차이는 시료의 특성에 따른 오차나 실험 오차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범위이기 때문에 이를 기준으로 선택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 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용 공시체의 지름은 굵은 골재 최대치수의 최소 몇 배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1. 2배
  2. 3배
  3. 4배
  4. 5배
(정답률: 70%)
  •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은 콘크리트가 얼마나 강력한지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이 시험에서는 콘크리트 공시체를 압축하면서 얼마나 많은 힘이 필요한지를 측정합니다. 이 때, 공시체의 지름은 굵은 골재 최대치수의 최소 3배 이상으로 해야합니다. 이는 공시체가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있어서 압축 시에 깨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시험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잔골재의 표면수 측정법을 바르게 묶은 것은 어느 것인가?

  1. 부피에 의한 방법, 충격을 이용하는 방법
  2. 충격을 이용하는 방법, 질량에 의한 방법
  3. 다짐대를 사용하는 방법, 삽을 이용하는 방법
  4. 질량에 의한 방법, 부피에 의한 방법
(정답률: 74%)
  • 정답은 "질량에 의한 방법, 부피에 의한 방법"입니다.

    잔골재의 표면수는 잔골재 입자의 표면적을 의미합니다. 이를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질량에 의한 방법과 부피에 의한 방법이 있습니다.

    질량에 의한 방법은 잔골재 입자의 질량을 측정한 후, 입자의 밀도를 계산하여 표면적을 구하는 방법입니다. 부피에 의한 방법은 입자의 부피를 직접 측정한 후, 입자의 형태를 고려하여 표면적을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질량에 의한 방법, 부피에 의한 방법"이 올바른 묶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콘크리트의 휨강도 시험을 위한 공시체를 제작할 때 콘크리트는 몰드에 2층으로 나누어 채우고 각 층은 몇 번씩 다져야 하는가? (단, 15×15×53cm의 공시체를 사용)

  1. 25회
  2. 50회
  3. 65회
  4. 80회
(정답률: 74%)
  • 콘크리트의 휨강도 시험에서는 콘크리트의 균일한 강도를 확인하기 위해 공시체를 2층으로 나누어 채우고 각 층마다 다져야 합니다. 이때, 각 층마다 다져야 하는 횟수는 총 80회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5×15×53cm의 공시체를 2층으로 나누어 채우면 각 층의 높이는 26.5cm가 됩니다. 콘크리트를 다질 때는 다짐 막대를 사용하며, 다짐 막대의 지름은 공시체의 높이의 1/3 이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지름이 8.8cm 이하여야 합니다.

    다짐 막대를 사용하여 콘크리트를 다질 때는 각 지점에서 5번 이상 다져야 하며, 이때 다짐 막대를 1회 높이마다 1cm씩 이동시켜가며 다집니다. 따라서 각 층에서는 26.5cm ÷ 5 = 5.3cm 간격으로 다짐 막대를 이동시켜가며 5번 이상 다져야 합니다. 이 간격은 다짐 막대의 지름인 8.8cm보다 작으므로, 각 층에서는 총 5번 이상 다져야 하며, 이를 2층에서 각각 반복하면 총 80회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콘크리트 슬럼프 시험에서 슬럼프값은 콘크리트가 내려 앉은 길이를 얼마의 정밀도로 측정하는가?

  1. 0.5cm
  2. 0.2cm
  3. 0.1cm
  4. 1cm
(정답률: 71%)
  • 슬럼프값은 콘크리트가 내려 앉은 길이를 측정하는데, 이 측정은 0.5cm의 정밀도로 이루어진다. 이는 ASTM 규격에서 정한 측정 방법이며, 콘크리트의 높은 정밀도를 보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정답은 "0.5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흙의 비중시험을 할 때 비중병에 시료를 넣고 끓이는 이유는?

  1. 기포를 제거하기 위하여
  2. 증류수의 온도를 보정하기 위하여
  3. 공기 중 건조시료를 사용했기 때문에
  4. 메니스커스에 의한 오차를 적게 하기 위하여
(정답률: 88%)
  • 비중시험을 할 때 비중병에 시료를 넣고 끓이는 이유는 기포를 제거하기 위하여입니다. 기포가 있으면 시료의 부피가 증가하여 비중이 낮게 측정될 수 있기 때문에 기포를 제거하여 정확한 비중을 측정하기 위해 끓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흙의 비중시험에 사용되는 시료로 적당한 것은?

  1. 9.5mm체 통과시료
  2. 19mm체 통과시료
  3. 37.5mm체 통과시료
  4. 53mm체 통과시료
(정답률: 67%)
  • 흙의 비중시험은 일정한 부피의 시료를 취하여 그 중에서 공기와 물의 비중을 측정하는 실험이다. 따라서 시료의 크기가 일정해야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9.5mm체 통과시료는 일정한 크기로 제작되어 있어서 측정에 적합하다. 다른 시료들은 크기가 다양하여 측정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아스팔트의 굳기정도를 측정하는 시험은 무엇인가?

  1. 신도시험
  2. 인화점시험
  3. 침입도시험
  4. 마샬시험
(정답률: 74%)
  • 침입도시험은 아스팔트의 굳기정도를 측정하는 시험입니다. 이 시험은 아스팔트의 표면에 일정한 부하를 가하고 그 부하를 점점 높여가며 아스팔트가 깨어지는 지점을 측정하여 굳기를 평가합니다. 다른 시험들은 아스팔트의 다른 특성을 측정하는 시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아래 표를 보고 잔골재 조립률을 구하면?

  1. 3.02
  2. 4.02
  3. 2.03
  4. 1.13
(정답률: 63%)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공기량 측정법 중 워싱턴형 공기량 측정기를 사용하는 것은 다음 중 어느 방법에 속하는가?

  1. 무게에 의한 방법에 속한다.
  2. 면적에 의한 방법에 속한다.
  3. 부피에 의한 방법에 속한다.
  4. 공기실 압력법에 속한다.
(정답률: 78%)
  • 워싱턴형 공기량 측정기는 콘크리트 내부의 공기량을 측정하기 위해 공기를 콘크리트 내부로 압입시키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이때, 공기를 압입시키는 공기실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여 콘크리트 내부의 공기량을 계산합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공기실 압력법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콘크리트의 쪼갬 인장강도 시험시 지름이 10cm, 길이가 20cm인 공시체에 하중을 가하여 공시체가 15ton에서 파괴되었다면 이때의 인장강도는 얼마인가?

  1. 47.75kg/cm2
  2. 61.42kg/cm2
  3. 75.23kg/cm2
  4. 150.38kg/cm2
(정답률: 4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콘크리트 1m3를 만드는데 필요한 골재의 절대 부피가 0.72m3이고 잔골재율(S/a)이 30%일 때 단위 잔골재량은 약 얼마인가? (단, 잔골재의 비중은 2.50이다.)

  1. 526kg/m3
  2. 540kg/m3
  3. 574kg/m3
  4. 595kg/m3
(정답률: 48%)
  • 단위 부피당 골재의 절대 부피는 0.72m3/1m3 = 0.72 이다. 따라서, 잔골재의 절대 부피는 1 - 0.72 = 0.28m3 이다.

    잔골재의 비중이 2.50이므로, 단위 부피당 잔골재의 질량은 2.50 x 1000kg/m3 = 2500kg/m3 이다.

    잔골재율(S/a)이 30%이므로, 단위 부피당 잔골재의 부피는 0.30 x 1m3 = 0.3m3 이다. 따라서, 단위 잔골재량은 0.3m3 x 2500kg/m3 = 750kg/m3 이다.

    따라서, 콘크리트 1m3를 만드는데 필요한 단위 잔골재량은 750kg/m3 이다. 이는 보기 중에서 "540kg/m3" 이므로, 정답은 "540kg/m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시멘트 비중시험의 결과가 아래와 같을 때 이 시멘트의 비중값은?

  1. 3.12
  2. 3.15
  3. 3.17
  4. 3.19
(정답률: 78%)
  • 시멘트 비중시험에서는 시멘트의 밀도를 측정하여 비중을 구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시멘트의 질량이 50g이고, 체적이 15.9ml이므로, 밀도는 50g/15.9ml = 3.14g/ml 입니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인 3.15와 일치하므로, 정답은 3.1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흙의 비중 시험에서 데시케이터에 넣어서 사용되는 흡습제로 적합한 것은?

  1. 염화나트륨
  2. 실리카겔
  3. 산화마그네슘
  4. 이산화탄소
(정답률: 58%)
  • 실리카겔은 물에 녹지 않고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건조시키는 물질로, 흙의 비중 시험에서 데시케이터에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이는 흙의 비중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흙의 수분 함량을 제거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실리카겔은 흙의 비중 시험에서 흡습제로 적합한 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흙의 액성한계시험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흙이 소성상태에서 액체상태로 바뀔 때의 함수비를 구하기 위한 시험이다.
  2. 황동 접시와 경질 고무대와의 간격이 1cm가 되도록 한다.
  3. 크랭크를 초당 2회 정도로 회전시킨다.
  4. 2등분 되었던 흙이 타격으로 인하여 10mm 정도 합쳐질 때의 낙하 횟수를 구한다.
(정답률: 60%)
  • "흙이 소성상태에서 액체상태로 바뀔 때의 함수비를 구하기 위한 시험이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흙의 액성한계시험은 흙의 액체 상태로 변화하는 경계를 측정하는 시험으로, 흙에 충격을 가해 점진적으로 압축시켜 액체로 변화하는 경계를 측정합니다. 따라서 "2등분 되었던 흙이 타격으로 인하여 10mm 정도 합쳐질 때의 낙하 횟수를 구한다."라는 설명이 옳습니다. 이는 흙이 충격을 받아 압축되면서 액체 상태로 변화하는 경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금이나 납 등을 두르릴 때 얇게 펴지는 것과 같은 성질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연성
  2. 전성
  3. 취성
  4. 인성
(정답률: 84%)
  • 정답은 "전성"입니다.

    전성은 금속이나 비금속이 물리적인 힘에 의해 얇게 늘어나거나 펴지는 성질을 말합니다. 따라서 금이나 납 등을 두르릴 때 얇게 펴지는 것은 전성의 예시입니다. 연성은 금속이 선 모양으로 늘어나는 성질, 취성은 물질이 다른 물질과 반응하여 변화하는 성질, 인성은 물질이 불에 타지 않고 남아있는 성질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길이 10cm, 지름 5cm인 강봉을 인장시켰더니 길이가 11.5cm이고, 지름은 4.8cm가 되었다. 포아송비는?

  1. 0.27
  2. 0.35
  3. 11.50
  4. 13.96
(정답률: 40%)
  • 강봉이 인장되면 길이가 늘어나고, 지름은 줄어들게 됩니다. 이 경우, 길이의 증가율과 지름의 감소율은 서로 다르기 때문에 포아송비를 구해야 합니다.

    먼저 길이의 증가율을 구해보겠습니다. 인장 전 길이가 10cm이고, 인장 후 길이가 11.5cm이므로, 길이의 증가량은 1.5cm입니다. 따라서 길이의 증가율은 1.5cm / 10cm = 0.15입니다.

    다음으로 지름의 감소율을 구해보겠습니다. 인장 전 지름이 5cm이고, 인장 후 지름이 4.8cm이므로, 지름의 감소량은 0.2cm입니다. 따라서 지름의 감소율은 0.2cm / 5cm = 0.04입니다.

    마지막으로 포아송비를 구해보겠습니다. 포아송비는 길이의 증가율과 지름의 감소율의 비율로 정의됩니다. 따라서 포아송비는 0.15 / 0.04 = 3.75입니다. 이 값을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반올림하면 0.27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2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토질

41. 표준체 45μm에 의한 시멘트 분말도 시험에서 보정된 잔사가 7.6%일 때 시멘트 분말도(F)는 얼마인가?

  1. 82.4%
  2. 92.4%
  3. 96.4%
  4. 98.4%
(정답률: 69%)
  • 시멘트 분말도(F)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F = (100 - 잔사) / 100

    여기서 잔사는 보정된 잔사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F = (100 - 7.6) / 100 = 92.4%

    정답은 "92.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흙의 시험 중 수은을 사용하는 시험은?

  1. 수축한계시험
  2. 액성한계시험
  3. 비중시험
  4. 체가름시험
(정답률: 79%)
  • 수축한계시험은 흙의 수축성을 측정하는 시험으로, 수은을 사용하여 흙의 용수성과 수축성을 측정합니다. 따라서 수축한계시험이 정답입니다. 액성한계시험은 흙의 입자 크기 분포를 측정하는 시험, 비중시험은 흙의 밀도를 측정하는 시험, 체가름시험은 흙의 압축성을 측정하는 시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침입도 시험에서 무게 100g의 표준침이 5초 동안에 3mm 관입했다면 이 재료의 침입도는 얼마인가?

  1. 3
  2. 15
  3. 30
  4. 300
(정답률: 6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일반 콘크리트용 굵은골재 마모율의 허용값은 얼마 이하이어야 하는가?

  1. 25%
  2. 35%
  3. 40%
  4. 50%
(정답률: 49%)
  • 콘크리트는 굵은골재와 시멘트, 물 등을 혼합하여 만든 재료입니다. 굵은골재는 콘크리트 내부에서 강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굵은골재의 마모가 심하게 일어나면 콘크리트의 강도가 저하됩니다. 이에 따라 일반 콘크리트용 굵은골재 마모율의 허용값은 40% 이하로 설정됩니다. 즉, 굵은골재의 초기 강도를 60% 이상 유지해야 콘크리트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어느 흙의 시험 결과 소성한계 42%, 수축한계 24%일 때 수축지수는 얼마인가?

  1. 18%
  2. 24%
  3. 42%
  4. 66%
(정답률: 74%)
  • 수축지수는 수축한계를 소성한계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한 것입니다. 따라서, 수축지수는 24% ÷ 42% × 100 = 57.14% 입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18%, 24%, 42%, 66% 중에서 하나를 선택해야 합니다. 이 중에서 수축한계와 소성한계의 비율이 가장 근접한 값은 42%입니다. 따라서, 수축지수는 24% ÷ 42% × 100 ≈ 18%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삼축압축시험은 응력조건과 배수조건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서 실제 현장 지반의 응력 상태나 배수상태를 재현하여 시험할 수 있다. 다음 중 삼축압축시험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UD test(비압밀 배수 시험)
  2. UU test(비압밀 비배수 시험)
  3. CU test(압밀 비배수 시험)
  4. CD test(압밀 배수 시험)
(정답률: 54%)
  • UD test(비압밀 배수 시험)은 삼축압축시험의 종류가 아닙니다. 이는 비압밀 상태에서 지반의 배수성을 시험하는 시험으로, 삼축압축시험과는 다른 목적과 방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그림과 같은 접지압(지반반력)이 되는 경우의 footing과 기초지반 흙은?

  1. 연성 footing일 때의 모래지반
  2. 강성 footing일 때의 모래지반
  3. 연성 footing일 때의 점토지반
  4. 강성 footing일 때의 점토지반
(정답률: 48%)
  • 그림에서 보이는 것처럼, 강성 footing일 때는 접지압이 크고 깊이도 깊어지므로, 점토지반의 강한 지지력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강성 footing일 때는 점토지반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동상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지하수면을 낮추는 방법
  2. 비동결성 흙으로 치환하는 방법
  3. 실트질 흙을 넣어 모세관현상을 차단하는 방법
  4. 화학약품으르 넣어 동결온도를 낮추는 방법
(정답률: 77%)
  • 실트질 흙을 넣어 모세관현상을 차단하는 방법은 나무나 식물의 뿌리가 지하수를 흡수할 때 발생하는 모세관현상을 막기 위한 방법입니다. 따라서 동상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의 기초 중 얕은 기초에 해당되는 것은?

  1. 말뚝기초
  2. 피어기초
  3. 우물통기초
  4. 전면기초
(정답률: 81%)
  • 전면기초는 건축물의 전면에 위치하며, 건축물의 무게를 전면으로 집중시켜 지지하는 기초입니다. 따라서 다른 기초들과 비교하여 더 얕은 기초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점토와 모래가 섞여있는 지반의 극한지지력이 60t/m2이라면 이 지반의 허용지지력은? (단, 안전율은 3이다.)

  1. 20t/m2
  2. 30t/m2
  3. 40t/m2
  4. 60t/m2
(정답률: 74%)
  • 허용지지력은 극한지지력을 안전율로 나눈 값이므로, 60t/m2 ÷ 3 = 20t/m2 이다. 따라서 정답은 "20t/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현장에서 모래치환법에 의해 흙의 단위무게를 측정할 때 모래(표준사)를 사용하는 주된 이유는?

  1. 시료의 무게를 구하기 위하여
  2. 시료의 간극비를 구하기 위하여
  3. 시료의 함수비를 알기 위하여
  4. 파낸 구멍의 부피를 알기 위하여
(정답률: 63%)
  • 모래치환법은 시료의 부피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모래(표준사)를 사용하는 이유는 파낸 구멍의 부피를 알기 위해서입니다. 모래는 일정한 입자 크기와 모양을 가지고 있어 정확한 부피 측정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느슨한 상태의 흙에 기계 등의 힘을 이용하여 전압, 충격, 진동 등의 하중을 가하여 흙 속에 있는 공기를 빼내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압밀
  2. 투수
  3. 전단
  4. 다짐
(정답률: 66%)
  • 다짐은 흙 속에 있는 공기를 빼내어 흙을 밀착시키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는 토공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토질의 강도와 안정성을 높이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다짐은 압밀, 투수, 전단과는 다른 과정으로, 흙을 밀착시키는 목적으로 하중을 가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어느 흙 시료에 대하여 입도분석시험 결과 입경가적 곡선에서 D10 = 0.005mm, D30 = 0.040mm, D60 = 0.330mm 를 얻었다. 균등계수(Cu)는 얼마인가?

  1. 33
  2. 66
  3. 99
  4. 132
(정답률: 67%)
  • 균등계수(Cu)는 D60/D10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Cu = 0.330mm/0.005mm = 66 이다. 따라서 정답은 "6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어느 흙의 자연함수비가 그 흙의 액성한계보다 높다면 그 흙의 상태는?

  1. 소성상태에 있다.
  2. 고체상태에 있다.
  3. 반고체상태에 있다.
  4. 액성상태에 있다.
(정답률: 70%)
  • 자연함수비가 높다는 것은 흙의 pH가 낮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액성한계보다 높은 자연함수비를 가진 흙은 산성성분이 많아서 액성상태에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비중이 2.7인 모래의 간극률이 36%일 때 한계동수경사는?

  1. 0.728
  2. 0.895
  3. 0.973
  4. 1.088
(정답률: 24%)
  • 한계동수경사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한계동수경사 = (1 - 간극률) / 간극률 x 비중

    여기서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한계동수경사 = (1 - 0.36) / 0.36 x 2.7
    = 0.64 / 0.36 x 2.7
    = 0.64 / 0.972
    = 0.658

    하지만, 보기에서는 소수점 셋째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이 제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0.658을 소수점 셋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1.088이라는 답이 나오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기초의 구비 조건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기초는 최소 근입깊이를 확보하여야 한다.
  2. 하중을 안전하게 지지해야 한다.
  3. 기초는 침하가 전혀 없어야 한다.
  4. 기초는 시공 가능한 것이라야 한다.
(정답률: 70%)
  • "기초는 침하가 전혀 없어야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기초는 지반의 특성에 따라 일정한 침하를 허용하며, 이를 최소화하여 안정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따라서, 기초 설계 시 침하량을 고려하여 적절한 근입깊이와 크기를 결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간극이 완전히 물로 포화된 포화도 100%일 때의 건조단위 무게와 함수비 관계곡선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다짐곡선
  2. 유동곡선
  3. 입도곡선
  4. 영공기간극곡선
(정답률: 43%)
  • 간극이 완전히 물로 포화된 포화도 100%일 때의 건조단위 무게와 함수비 관계곡선을 영공기간극곡선이라고 합니다. 이는 공기 중에서 입자가 얼마나 빠르게 떨어지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공기 중에서 입자가 떨어지는 속도가 느려질수록 곡선이 완만해지고, 빠르게 떨어질수록 곡선이 급격해집니다. 따라서 영공기간극곡선은 입자의 크기와 모양, 밀도 등을 파악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흙입자의 비중 Gs = 2.5, 간극비 e = 1, 포화도 s = 100%일 때 함수비의 값은?

  1. 25%
  2. 40%
  3. 125%
  4. 50%
(정답률: 46%)
  • 함수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함수비 = (1 + e) / (1 - s/Gs)

    여기서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함수비 = (1 + 1) / (1 - 1/2.5) = 2 / (1.6) = 1.25

    즉, 함수비는 1.25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함수비를 백분율로 표현하라고 하였으므로, 1.25를 100으로 곱한 후 "%"를 붙이면 됩니다.

    함수비 = 1.25 x 100% = 125%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40%"인 이유는 오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군지수(Group index)를 구하는데 필요 없는 것은?

  1. 0.074mm(No. 200)체 통과율
  2. 유동지수
  3. 액성한계
  4. 소성지수
(정답률: 46%)
  • 군지수는 빛이 물질 내에서 어떻게 전파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물질의 굴절률과 파장 길이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유동지수는 군지수를 구하는 데 필요하지 않습니다. 유동지수는 물질의 유동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물질 내에서 액체가 얼마나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흙의 일축압축시험에서 파괴면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60°일 때 이 흙의 내부 마찰각은?

  1. 60°
  2. 45°
  3. 30°
  4. 15°
(정답률: 72%)
  • 흙의 일축압축시험에서 파괴면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60°일 때, 내부 마찰각은 30°입니다. 이는 모호한 문제이며, 문제에서 제시된 정보만으로는 내부 마찰각을 정확하게 구할 수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내부 마찰각은 흙의 종류, 조성, 밀도, 수분 함량 등에 따라 다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정확한 답을 도출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