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투비파괴검사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9-07)

침투비파괴검사기사(구)
(2008-09-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침투탐상시험원리

1. 다음 중 유화제의 특성을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불연속 부위에 침투액이 빨리 흡수되게 한다.
  2. 침투액의 독성을 완화시켜 중성으로 만들어준다.
  3. 침투액과 서로 용해되어 물세척이 가능하게 한다.
  4. 침투액에 함유된 형광염료의 가시성을 촉진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유화제는 침투액과 서로 용해되어 물세척이 가능하게 합니다. 이는 유화제가 침투액과 물 모두와 잘 혼합되어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침투탐상용 재료가 갖추어야 할 특성으로 틀린 것은?

  1. 침투제는 온도안정성이 있어야 한다.
  2. 세척제는 산성이고, 부식성이 좋아야 한다.
  3. 유화제는 후유화성 침투액과 서로 잘 녹아야 한다.
  4. 현상제는 침투액을 분산시키는 능력이 좋아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세척제는 산성이고, 부식성이 좋아야 하는 이유는 침투탐상 시 적층된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입니다. 산성 성분은 오염물질을 용해시키고, 부식성 성분은 오염물질을 분해하여 제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어두운 장소에서 대량 생산부품의 작은 나사나 열쇠구멍, 각이 날카로운 부품 등의 탐상에 가장 적합한 침투탐상 시험방법은?

  1. 후유화성 형광침투탐상시험법
  2. 수세성 형광침투탐상시험법
  3. 용제제거성 형광침투탐상시험법
  4. 용제제거성 염색침투탐상시험법
(정답률: 알수없음)
  • 어두운 장소에서 대량 생산부품의 작은 나사나 열쇠구멍, 각이 날카로운 부품 등을 탐상할 때는 수세성 형광침투탐상시험법이 가장 적합하다. 이는 부품 표면에 남아있는 불순물이나 결함을 물에 의한 표면장력 차이를 이용하여 침투시키고, 형광물질을 이용하여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이 방법은 빛을 이용하여 검출하기 때문에 어두운 장소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작은 결함도 놓치지 않고 검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액체의 유동속도(v)를 나타내는 식이 일 때 ŋ 가 의미하는 것은?(단, r 은 모세관의 반지름, p 는 액체의 밀도, g 는 중력가속도이다.)

  1. 액체의 높이
  2. 액체의 무게
  3. 액체의 접촉각
  4. 액체의 점도
(정답률: 알수없음)
  • ŋ는 액체의 점도를 나타낸다. 이는 액체 내부에서 분자 간의 마찰력을 나타내는 값으로, 액체의 점성도라고도 불린다. 따라서 액체의 유동속도를 나타내는 식에서 ŋ는 액체의 점도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침적법에 의한 침투처리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소형 다량 제품에 적용이 적합하고, 수세법에 효과적이다.
  2. 침투액 처리 후 배액 처리를 해야 하며 배액된 침투액은 재사용이 가능하다.
  3. 결함속으로 침투액이 충분히 스며들 수 있도록 요구되는 침투시간 이상으로 침적한다.
  4. 침투액조에 먼지, 수분 등 이물질이 유입되어 성능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점검이 필요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소형 다량 제품에 적용이 적합하고, 수세법에 효과적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침적법은 대형 제품에는 적용이 어렵지만, 소형 제품에는 적용이 가능하며, 수세법보다는 침적법이 더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침투탐상시험에서 현상제를 적용한 후 최종적으로 관찰을 개시할 때까지의 시간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유화시간
  2. 현상시간
  3. 침투시간
  4. 처리시간
(정답률: 알수없음)
  • 현상제를 적용한 후 필름이나 종이 등에 이미지가 나타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현상시간이라고 한다. 따라서 정답은 "현상시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초음파탐상시험에서 깊이 방향으로 인접한 두 불연속의 분해능을 증가시키기 위해 가장 좋은 방법은?

  1. 파장을 길게 한다.
  2. 주파수를 감소시킨다.
  3. 펄스 지속시간을 짧게 한다.
  4. 송신펄스의 강도를 증가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펄스 지속시간을 짧게 함으로써 초음파 파장의 대역폭이 증가하게 되어 분해능이 향상됩니다. 이는 짧은 펄스를 사용함으로써 더 많은 주파수 성분이 포함되어 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파장을 길게 하거나 주파수를 감소시키는 것은 대역폭을 줄여서 분해능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송신펄스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것은 분해능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자성체인 시험체에 침투탐상시험보다 자분 탐상시험의 신뢰성이 우수한 경우로 옳은 것은?

  1. 단면 급변부의 탐상
  2. 이종 재질의 경계면의 탐상
  3. 알루미늄 용접부의 표면 기공의 탐상
  4. 운전 중 발생한 미세한 표면균열의 탐상
(정답률: 알수없음)
  • 운전 중 발생한 미세한 표면균열의 탐상이 자성체인 시험체에 침투탐상시험보다 자분 탐상시험의 신뢰성이 우수한 이유는, 자성체인 시험체에 침투탐상시험은 표면에 발생한 큰 균열만을 탐지할 수 있고, 자분 탐상시험은 미세한 균열까지 탐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운전 중 발생한 미세한 표면균열의 탐상은 자성체인 시험체에 침투탐상시험보다 자분 탐상시험의 신뢰성이 우수한 경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른 비파괴검사법과 비교했을 때 와전류탐상시험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고온의 조건하에서 검사가 불가능하다.
  2. 관, 환봉 등에 대한 On-line 생산품의 검사가 불가능하다.
  3. 전기적 신호가 복잡하여 결과기록의 보존이 불가능하다.
  4. 표면 아래 깊은 곳에 있는 결함의 검출이 불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와전류탐상시험은 전기적인 신호를 이용하여 불량 부위를 검출하는 비파괴검사법 중 하나이다. 하지만 이 방법은 전류가 표면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 아래 깊은 곳에 있는 결함은 검출이 어렵다. 따라서 이 방법은 주로 표면 결함 검출에 사용되며, 깊은 결함 검출에는 다른 비파괴검사법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열처리 공정이 끝난 항공우주용 비자성 재료의 표면균열검출을 위해 검사 속도가 빠르고 비용이 저렴하여 널리 활용되고 있는 비파괴검사법은?

  1. 자분탐상시험
  2. 초음파탐상시험
  3. 침투탐상시험
  4. 방사선투과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침투탐상시험은 표면에 침투시킨 액체를 흡수하여 표면균열을 검출하는 비파괴검사법으로, 검사 속도가 빠르고 비용이 저렴하여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열처리 공정이 끝난 항공우주용 비자성 재료의 표면균열검출에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단조품의 내부결함을 검출하는데 가장 적합한 비파괴검사법은?

  1. 자분탐상시험법
  2. 초음파탐상시험법
  3. 침투탐상시험법
  4. 와전류탐상시험법
(정답률: 알수없음)
  • 단조품의 내부결함을 검출하는데 가장 적합한 비파괴검사법은 초음파탐상시험법입니다. 이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물체 내부의 결함, 불균일성, 두께 등을 검사하는 방법으로, 단조품의 내부 결함을 검출하는 데 가장 효과적입니다. 자분탐상시험법은 물질의 자성을 이용하여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이며, 침투탐상시험법은 물질 표면에 인장력을 가해 액체나 가스를 침투시켜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입니다. 와전류탐상시험법은 전기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시험체의 표면에 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얻기 위해 행하는 비파괴검사법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육안검사
  2. 자분탐상시험
  3. 와전류탐상시험
  4. 방사선투과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방사선투과시험은 시험체 내부의 결함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비파괴검사법이지만, 시험체의 표면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볼 수 없는 것으로 분류된다. 육안검사, 자분탐상시험, 와전류탐상시험은 모두 시험체의 표면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한 비파괴검사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어금니로 쓰기 위해 만든 세라믹 인공 치아의 갈라짐 검사에 가장 적합한 비파괴검사법은?

  1. 방사선투과시험
  2. 초음파탐상시험
  3. 자분탐상시험
  4. 침투탐상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세라믹 인공 치아는 매우 단단하고 내구성이 높은 재질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갈라짐이 발생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갈라짐 검사에는 비파괴검사법 중에서도 가장 민감한 침투탐상시험이 가장 적합합니다. 침투탐상시험은 치아의 표면에 액체나 가스를 뿌리고 그것이 치아 내부로 침투하는 정도를 측정하여 갈라짐이나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치아의 내부 결함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인공 치아의 갈라짐 검사에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용접부의 결함이 아닌 것은?

  1. 균열
  2. 콜드셧
  3. 용입불량
  4. 슬래그 개입
(정답률: 알수없음)
  • 콜드셧은 용접 시에 용접봉과 기본재 간의 접합이 완전하지 않아 생기는 결함이 아니라, 용접 전에 봉의 끝 부분이 녹아서 생긴 결함이기 때문에 용접부의 결함이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콜드셧"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관의 내경이 2.5cm 이고 내삽형 프로브의 코일 외경이 2.0cm 이면 와전류탐상시험의 충전율은 몇 % 인가?

  1. 64%
  2. 80%
  3. 125%
  4. 156%
(정답률: 알수없음)
  • 충전율은 내삽형 프로브의 코일 외경과 관의 내경의 비율로 계산된다. 따라서, 충전율은 (2.0/2.5)^2 x 100% = 64%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른 누설검사법과 비교하여 기포누설시험의 장점으로 옳은 것은?

  1. 대체로 시험방법이 단순하다.
  2. 총 누설률을 검출할 수 있다.
  3. 시험 결과들이 대부분 정량적이다.
  4. 아주 높은 감도의 시험을 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포누설시험은 다른 누설검사법에 비해 시험 방법이 상대적으로 단순하다. 이는 시험 장비와 시험 대상에 대한 요구사항이 적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유체나 가스를 사용하는 다른 누설검사법은 시험 대상에 대한 특수한 처리가 필요하고, 복잡한 장비를 사용해야 한다. 하지만 기포누설시험은 시험 대상에 대한 특수한 처리가 필요하지 않으며, 단순한 장비를 사용하여 시험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기포누설시험은 비교적 쉽게 시행할 수 있으며, 시험 결과를 빠르게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기포누설시험에 사용되는 발포액의 구비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점도가 높을 것
  2. 젖음성이 좋을 것
  3. 온도에 의한 열화가 없을 것
  4. 진공하에서 증발하기 어려울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점도가 높을 것"이 틀린 것이다. 기포누설시험에 사용되는 발포액은 점도가 낮아야 하며, 젖음성이 좋고 온도에 의한 열화가 없으며 진공하에서 증발하기 어려워야 한다. 이는 발포액이 적절한 기포를 형성하고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이다. 점도가 높으면 발포액이 기포를 형성하기 어렵고, 유지하기도 어렵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60kV 의 에너지를 내는 X선발생장치에서 방출하는 X선의 최소 파장은 약 몇 Å 인가?

  1. 0.1
  2. 0.2
  3. 0.3
  4. 0.4
(정답률: 알수없음)
  • X선의 파장은 전자의 운동에너지와 관련이 있으며, 파장이 짧을수록 높은 에너지를 가진다. 따라서, 60kV의 에너지를 내는 X선발생장치에서 방출하는 X선의 최소 파장은 0.2 Å이다. 이는 X선의 파장과 에너지 사이의 역관계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파장(Å) = 12.3986 / 에너지(keV) 이므로, 파장(Å) = 12.3986 / 60 = 0.2066 Å 이다. 따라서, 최소 파장은 0.2 Å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강제 대형 압력용기에 부착된 노즐의 표면 결함을 검출하기에 가장 적합한 비파괴검사법은?

  1. 누설검사
  2. 자분탐상시험
  3. 방사선투과시험
  4. 초음파탐상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강제 대형 압력용기에 부착된 노즐은 높은 압력과 온도에 노출되기 때문에 표면 결함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결함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노즐의 내부를 살펴볼 수 없기 때문에 비파괴검사법이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자분탐상시험은 미세한 결함까지 검출할 수 있어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자분탐상시험은 자석을 이용하여 물체의 표면에 자석 분말을 뿌리고 자석을 인가하여 결함 부분에서는 자석 분말이 모이게 됩니다. 이렇게 모인 자석 분말을 검사하여 결함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강제 대형 압력용기에 부착된 노즐의 표면 결함을 검출하기에 자분탐상시험이 가장 적합한 비파괴검사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각종 비파괴검사법에서 시험체 내의 결함정보를 얻을 때 의사지시를 만들거나 또는 결함검출 능력을 저하시키는 요인과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1. 방사선투과시험 : 산란선
  2. 초음파탐상시험 : 표면 거칠기
  3. 자분탐상시험 : 전극 지시
  4. 와전류탐상시험 : 적산효과
(정답률: 알수없음)
  • 와전류탐상시험에서는 전류가 시험체를 통과할 때 결함 부근에서 전류의 밀도가 증가하게 되어 결함을 검출할 수 있습니다. 이때 적산효과란, 결함 부근에서 전류의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압이 증가하게 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적산효과를 이용하여 결함을 검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침투탐상검사

21. 개방형 침투액조만 있어서 비교적 단시간내에 침투되어 침투액 증발이 적은 침투탐상검사를 하려고 한다. 다음 중에서 어떤 방법이 가장 적합한가?

  1. 수세성 형광침투탐상검사
  2. 수세성 염색침투탐상검사
  3. 후유화성 형광침투탐상검사
  4. 용제제거성 염색침투탐상검사
(정답률: 알수없음)
  • 가장 적합한 방법은 "후유화성 형광침투탐상검사"입니다. 이는 개방형 침투액조에서 침투액이 증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침투액에 후유화제를 첨가하여 침투액이 빠르게 증발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또한 형광침투제를 사용하여 검사 결과를 빠르고 정확하게 얻을 수 있습니다. 다른 방법들은 침투액 증발을 방지하는 방법이 없거나, 침투액 증발을 방지하는 방법이 있더라도 검사 결과를 얻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후유화성 침투탐상검사의 유화처리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유화처리는 붓칠로 한다.
  2. 침투액과 유화제를 잘 혼합하여 사용한다.
  3. 가능한 한 유화제 도막을 균일하게 처리한다.
  4. 침투시간이 경과한 후 건조처리를 하고 유화제를 적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유화처리는 검사 대상 부위에 유화제를 도포하여 침투시키는 과정입니다. 이때 가능한 한 유화제 도막을 균일하게 처리하는 것은 검사 결과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입니다. 만약 유화제 도막이 불균일하게 처리되면, 검사 대상 부위에서 침투가 덜 일어나거나 침투가 과도하게 일어날 수 있어 검사 결과가 왜곡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가능한 한 유화제 도막을 균일하게 처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침투상검사에서 일반적으로 맨 마지막으로 수행해야하는 절차는?

  1. 판독
  2. 평가
  3. 후처리
  4. 제거처리
(정답률: 알수없음)
  • 침투상검사에서 후처리는 일반적으로 맨 마지막에 수행해야하는 절차입니다. 이는 검사 후에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검사 결과를 정확하게 해석하기 위해서입니다. 후처리는 검사 부위를 청결하게 유지하고, 검사 도구를 소독하여 교차 감염을 방지하며, 검사 결과를 기록하고 보관하는 등의 작업을 포함합니다. 이를 통해 침투상검사의 정확성과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침투탐상검사에 사용되는 건조장치로서 가장 바람직한 것은?

  1. 전열식 건조기
  2. 열풍식 건조기
  3. 백열등식 건조기
  4. 적외선식 건조기
(정답률: 알수없음)
  • 침투탐상검사에서는 검사 대상물의 표면이 완전히 건조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건조장치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열풍식 건조기가 가장 바람직한 이유는, 열풍식 건조기는 공기를 가열하여 대상물의 표면을 건조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이 방식은 다른 건조기에 비해 빠르고 효율적이며, 대상물의 표면에 물방울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 정확한 검사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열풍식 건조기는 비교적 저렴하고 간단한 구조로 제작할 수 있어서, 침투탐상검사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특수목적의 침투탐상검사법과 매커니즘의 조합이 틀린 것은?

  1. 기체 방사성동위원소법 : Kr-85 이용
  2. 하전입자법 : 탄산칼슘 분말입자 이용
  3. 휘발성 액체법 : 휘발성 알코올 이용
  4. 여과입자법 : 누설전류 이용
(정답률: 알수없음)
  • 여과입자법은 입자 크기에 따라 여과막을 통과하는 입자를 분리하는 방법으로, 누설전류를 이용하는 것은 아니며 잘못된 조합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여과입자법 : 누설전류 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침투제에 대한 균열 검출 능력을 비교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접촉각을 측정하여 비교한다.
  2. 비중계를 사용하여 비중을 측정하여 비교한다.
  3. 점도계를 사용하여 점성을 측정하여 비교한다.
  4. 균열이 있는 침투탐상용 대비시험편으로 시험하여 비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침투제에 대한 균열 검출 능력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조건에서 비교해야 합니다. 따라서 균열이 있는 침투탐상용 대비시험편으로 시험하여 비교하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다른 방법들은 침투제의 물성이나 특성을 비교하는 것으로, 균열 검출 능력을 비교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형광침투탐상검사에는 자외선조사장치를 사용한다. 자외선 조사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사용되는 자외선의 파장은 320~420Å 범위 내의 것이 사용된다.
  2. 주로 많이 사용되는 자외선조사등으로는 수은증기램프가 있다.
  3. 자외선조사등의 강도는 μV/cm2 의 단위를 사용한다.
  4. 전원의 점등 회수는 전등 사용수명과는 무관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로 많이 사용되는 자외선조사등으로는 수은증기램프가 사용되는 이유는 수은증기램프가 자외선 파장 범위 내에서 강한 자외선을 방출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습식형상법에 의한 후유화성 형광침투탐상검사의 순서가 다음과 같을 때 ( ) 안에 적합한 공정은?

  1. A : 유화 B : 현상 C : 후
  2. A : 현상 B : 후 C : 유화
  3. A : 후 B : 유화 C : 현상
  4. A : 현상 B : 유화 C : 후
(정답률: 알수없음)
  • 습식형상법에 의한 후유화성 형광침투탐상검사의 순서는 "A : 유화 B : 현상 C : 후" 이다.

    이유는 먼저 샘플에 유화액을 떨어뜨려서 샘플 내부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그 다음 형광액을 떨어뜨려서 샘플 내부의 결함을 감지한다. 마지막으로 후처리 과정에서 샘플을 세척하여 남아있는 형광액을 제거한다. 따라서 "A : 유화 B : 현상 C : 후"가 올바른 순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침투액의 침투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조건으로 옳은 것은?

  1. 온도가 낮을수록 좋다.
  2. 접촉각이 클수록 좋다.
  3. 표면장력이 작을수록 좋다.
  4. 점성계수가 작을수록 좋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점성계수가 작을수록 침투액 분자들 간의 마찰이 적어져 침투속도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주조품을 검사할 때 주로 단면이 변화하는 부위에 폭이 매우 좁은 선형지시가 나타났다. 검출된 지시의 예상되는 불연속 종류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기공(Porosity)
  2. 콜드셧(Cold shut)
  3. 수축관(Shrinkage)
  4. 개재물(Inclusion)
(정답률: 알수없음)
  • 단면이 좁은 선형지시는 주조 과정에서 두 개 이상의 금속 융합 부위가 충분히 융합되지 않아 발생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콜드셧(Cold shut)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콜드셧은 주로 주조 과정에서 금속이 빠르게 얼어서 융합이 충분하지 않은 부분에서 발생합니다. 이는 주로 주조 과정에서 금속이 충분히 융합되지 않은 부분에서 발생하며, 이는 주로 금속이 빠르게 얼어서 융합이 충분하지 않은 부분에서 발생합니다. 따라서 이 경우 콜드셧이 가장 적절한 불연속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침투액 용기에서 가장 흔히 발견할 수 있고 또한 탐상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오염 물질은?

  1. 기름
  2. 청정제
  3. 금속 찌꺼기
(정답률: 알수없음)
  • 침투액 용기에서 가장 흔히 발견할 수 있는 것은 물입니다. 이는 우리 주변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용매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물은 침투액 용기 내부에서 다른 오염 물질과 반응하여 pH 값을 변화시키고,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며, 미생물의 번식을 촉진시키는 등 탐상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오염 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단조품의 결함은 주괴의 결함, 단조 , 열처리 및 기계가공 과정에서 발생한다. 다음 중 단조품의 결함이 아닌 것은?

  1. 백정(Flake)
  2. 겹침(Lap)
  3. 탕계(Cold Shut)
  4. 터짐(Burst)
(정답률: 알수없음)
  • 탕계(Cold Shut)는 금속이 녹기 전에 결합하지 못한 부분이 생겨서 생기는 결함으로, 단조품의 결함이 아니라 주로 주조 과정에서 발생한다. 이는 금속이 충분히 유동성을 가지지 못하거나 주조형의 디자인이 잘못되어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니켈 및 티타늄 재료를 침투탐상검사하는 경우 탐상제에 함유된 물질 중 규정치 이하로 규제되어야 하는 원소로만 나열된 것은?

  1. Cu, S
  2. S, Cl
  3. F, C
  4. S, C
(정답률: 알수없음)
  • 니켈과 티타늄은 금속으로서 침투탐상검사를 할 때 탐상제에 의해 부식될 수 있기 때문에, 탐상제에 함유된 물질 중 규제되어야 하는 원소로만 나열된 것을 선택해야 한다. Sulfur (S)와 Chlorine (Cl)은 규제되어야 하는 원소로서, 따라서 "S, Cl"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알루미늄재질로 생산한 제품을 침투탐상검사할 때 다음 결함 중 침투시간을 가장 길게 하여야 하는 것은?

  1. 용정부의 갈라짐
  2. 단조품의 갈라짐
  3. 용접부의 융합불량
  4. 주조품의 쇳물경계
(정답률: 알수없음)
  • 알루미늄재질은 침투탐상검사 시간이 짧아서 결함을 잘 찾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침투시간을 가장 길게 해야 합니다. 이 중에서도 단조품의 갈라짐은 침투시간이 길어야 찾을 수 있는 결함 중 하나입니다. 단조품은 금속을 압력으로 가공하여 만든 제품으로, 갈라짐은 단조품 내부에서 생긴 균열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침투시간을 길게 하여 단조품의 갈라짐을 찾아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침투탐상검사에서 대비시험편을 사용하는 주목적은?

  1. 점성 측정
  2. 수분함량 확인
  3. 오염도 측정
  4. 탐상성능 확인
(정답률: 알수없음)
  • 대비시험편은 침투탐상검사에서 사용되어 탐상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는 검사 시스템의 정확성과 민감도를 확인하고, 검사 결과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대비시험편은 침투탐상검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침투액의 인화점이 낮은 경우 탐상검사에서 1차적으로 고려하여야 하는 것은?

  1. 화재의 위험성
  2. 표면장력의 정도
  3. 모세관현상의 정도
  4. 검사자의 마취성
(정답률: 알수없음)
  • 침투액의 인화점이 낮은 경우, 그 침투액은 높은 화재 위험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탐상검사에서 1차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이는 침투액이 사용되는 환경에서 불이나 열에 노출될 경우 화재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침투액의 인화점은 탐상검사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시험체를 열풍으로 가열하여 결함 내부의 침투액이 결함 밖으로 나오게 하여 관찰하는 방법으로 부식되기 쉬운 시험체 등에 고감도 형광침투액과 함께 사용되는 현상법은?

  1. 무현상법
  2. 건식현상법
  3. 습식현상법
  4. 속건식현상법
(정답률: 알수없음)
  • 무현상법은 시험체 표면에 형광침투액을 바르고, 침투액이 결함 내부로 침투한 후, 침투액을 제거하고 UV 램프를 이용하여 형광을 발생시켜 결함을 관찰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부식되기 쉬운 시험체 등에 고감도 형광침투액과 함께 사용되며, 결함 내부의 침투액이 결함 밖으로 나오게 하여 관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환기가 되지 않는 장소에서 판재에 국부적인 검사를 해야 할 때 침투액의 적용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침지법(Dipping)
  2. 분무법(Spraying)
  3. 흘림법(Flow on)
  4. 붓칠법(Brushing)
(정답률: 알수없음)
  • 환기가 되지 않는 장소에서 판재에 국부적인 검사를 할 때는 붓칠법이 가장 적절합니다. 이는 침지법이나 분무법과 달리 침투액을 직접 판재에 바르는 방법으로, 침투액의 양과 균일한 분포를 조절할 수 있어 검사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붓칠법은 침투액의 증발을 방지할 수 있어 검사 시간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무관련지시가 아닌 것은?

  1. 압력고정쇠에서 흡입되어 나타난 지시
  2. 사용 중 검사시 주조품에서 나타난 기공 지시
  3. 세척이 불충분한 검사체에 나타난 줄무늬와 배경
  4. 작은 블라인드(blind)의 구멍에서 흡입되어 나타난 줄무늬
(정답률: 알수없음)
  • "사용 중 검사시 주조품에서 나타난 기공 지시"는 다른 항목들과 달리 검사 대상인 주조품에서 나타나는 지시이기 때문에 무관련지시가 아니다. 이 지시는 주조품의 결함을 나타내는 것으로, 제품의 품질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염색침투탐상검사시 시험면의 조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20Lx
  2. 100Lx
  3. 300Lx
  4. 500Lx
(정답률: 알수없음)
  • 염색침투탐상검사는 시료의 미세구조를 관찰하는데 사용되는 검사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검사에서는 시료를 염료 용액에 담그고, 염료가 침투한 후에 조직을 잘라서 현미경으로 관찰합니다. 이때 시험면의 조도가 높을수록 시료의 미세구조를 더 잘 관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염색침투탐상검사시 시험면의 조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500Lx"입니다. 500Lx는 다른 보기들보다 높은 조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시료의 미세구조를 더 선명하게 관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침투탐상관련규격

41. 항공 우주용 기기의 침투탐상 검사방법(KS W 0914)에서 침투액의 체류시간은 최소 10분동안으로 한다. 그러나 체류시간이 얼마나 초과하면 건조되지 않도록 침투액을 재적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는가?

  1. 30분
  2. 60분
  3. 90분
  4. 120분
(정답률: 알수없음)
  • KS W 0914에서는 침투액의 체류시간을 최소 10분으로 규정하고 있지만, 침투액이 건조되지 않도록 재적용해야 하는 시간에 대해서는 명확한 규정이 없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해당 규정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답을 유추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침투액이 건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체류시간이 2시간 이상이 필요하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답이 "120분"인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침투탐상 시험방법 및 침투지시모양의 분류(KS B 0816)에서 시험 방법의 분류 기호가 다음과 같을 때 “N” 의 의미는?

  1. 건식현상제를 사용한는 방법
  2. 습식현상제를 사용하는 방법
  3. 속건식현상제를 사용하는 방법
  4. 현상제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
(정답률: 알수없음)
  • "N"은 "현상제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을 의미한다. 이는 시험 대상물에 직접 현상제를 사용하지 않고, 다른 방법으로 침투탐상 시험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방법은 현상제를 사용하는 방법에 비해 비용이 적게 들고, 환경오염의 위험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침투탐상검사(ASME Sec.V, Art.6)에서 자외선등을 사용하여 관찰할 경우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탐상은 어두운 곳에서 행하여햐 한다.
  2. 감광성 렌즈를 관찰에 사용하면 감도가 좋아진다.
  3. 자외선의 강도는 적어도 8시간마다 1회 측정하여야 한다.
  4. 자외선등은 강도 측정 전에 적어도 5분 동안 예열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감광성 렌즈를 관찰에 사용하면 감도가 좋아진다."라는 설명이 틀립니다. 감광성 렌즈는 빛을 감지하여 렌즈가 어두운 곳에서도 밝게 보이도록 하는 렌즈입니다. 하지만 침투탐상검사에서는 어두운 곳에서 검사를 해야 하므로 감광성 렌즈를 사용하면 오히려 검사가 어려워집니다. 따라서 감광성 렌즈 대신에 검사용 안경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침투탐상 시험방법 및 침투지시모양의 분류(KS B 0816)의 현상처리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 습식현상제인 경우 현상제 적용 후 잉여 현상액은 세척액으로 닦아내어야 한다.
  2. 속건식현상제의 적용은 침지법이 일반적이다.
  3. 건식현상제의 적용은 세척처리 후 즉시 실시한다.
  4. 속건식현상제를 적용 후에는 시험면을 자연건조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속건식현상제를 적용 후에는 시험면을 자연건조시킨다."이다.

    이유는 속건식현상제는 시험면에 현상액을 직접 뿌리는 방법이기 때문에 시험면이 젖은 상태로 현상제를 적용하게 된다. 따라서 현상제가 충분히 작용한 후에는 시험면을 자연건조시켜야 한다. 이는 시험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에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침투탐상 시험방법 및 침투지시모양의 분류(KS B 0816)에 규정된 탐상제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침투액
  2. 세척액
  3. 현상제
  4. 건조제
(정답률: 알수없음)
  • 침투탐상 시험에서는 침투액, 세척액, 현상제 등의 탐상제를 사용하여 침투지시모양을 확인한다. 그러나 건조제는 침투탐상 시험에서 사용되지 않는다. 이유는 건조제는 침투탐상 시험에서 침투액과 반응하여 침투지시모양을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건조제는 침투탐상 시험에서 탐상제로 사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침투탐상 시험방법 및 침투지시모양의 분류(KS B 0816)에서 전수 검사의 경우 합격한 시험체에 표시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 표시하는 방법에 대하여 틀린 것은?

  1. 황색으로 시험체에 P 의 기호을 표시한다.
  2. 각인으로 시험체에 P 의 기호를 표시한다.
  3. 부식으로 시험체에 P 의 기호를 표시한다.
  4. P 의 표시가 곤란한 경우 적갈색으로 착색하여 표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황색으로 시험체에 P 의 기호을 표시한다."이 틀린 것은 아니다.

    전수 검사에서 합격한 시험체에는 P의 기호를 표시해야 한다. 이 기호는 시험체의 어느 부분에서 침투가 발생했는지를 나타내며, 이를 통해 시험체의 결함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이 기호는 황색으로 표시하거나, 각인 또는 부식 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다. P의 표시가 곤란한 경우에는 적갈색으로 착색하여 표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침투탐상 시험방법 및 침투지시모양의 분류(KS B 0816)에서 탐상 후 관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침투지시모양의 관찰은 현상제를 적용 후 7~60분 사이에 한다.
  2. 형광침투액을 사용한 경우 관찰하기 전에 1분 이상 어두운 곳에서 눈을 적응시킨다.
  3. 염색침투액을 사용한 경우 관찰을 위한 시험면의 조도는 200룩스 이상의 자연광 또는 백색광이어야 한다.
  4. 형광침투액을 사용한 경우 시험체 표면에 800μW/cm2이상의 자외선을 비추면서 관찰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염색침투액을 사용한 경우 관찰을 위한 시험면의 조도는 200룩스 이상의 자연광 또는 백색광이어야 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설명이다. 염색침투액을 사용한 경우 조도가 낮으면 침투지시모양을 정확하게 관찰할 수 없기 때문에 200룩스 이상의 조도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침투탐상검사(ASME Sec, V , Art.6 App.Ⅲ)의 비교시험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재료는 니켈-크롬 합금이다.
  2. 비교시험편의 두께는 20mm이다.
  3. 시험편의 치수는 3인치 X 4인치이다.
  4. 시험편의 제조시 각 표면에 망상의 미세 균열이 발생하도록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침투탐상검사(ASME Sec, V , Art.6 App.Ⅲ)의 비교시험편은 실제 보일러나 압력용기와 유사한 조건을 만들기 위해 제조된 시험편이다. 이 시험편은 실제 보일러나 압력용기와 같은 니켈-크롬 합금으로 만들어지며, 두께는 20mm이며, 치수는 3인치 X 4인치이다. 시험편의 제조시 각 표면에 망상의 미세 균열이 발생하도록 한 이유는 실제 보일러나 압력용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균열을 모사하기 위해서이다. 이렇게 제조된 비교시험편을 이용하여 침투탐상검사를 수행하면, 실제 보일러나 압력용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균열을 더욱 정확하게 탐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침투탐상검사(ASME Sec, V , Art.6 App.Ⅲ)에서 용제제거성 잉여 침투액의 제거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침투제가 제거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용제를 다량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2. 침투액 적용 후 현상처리 전에 용제를 시험면에 붓는다.
  3. 침투액의 흔적이 거의 없어질 때까지 걸레 등으로 제거한다.
  4. 규정된 침투시간이 경과한 후 표면에 잔류한 침투액을 제거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침투액 적용 후 현상처리 전에 용제를 시험면에 붓는다."

    이유: 침투액 적용 후 현상처리 전에 용제를 시험면에 붓는 것은 침투액이 표면에 남아있는 경우 용제가 침투액과 반응하여 침투액이 제거되지 않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침투액의 흔적을 최소화하면서도 용제제거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침투액 제거를 위해 다양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지만, 이들 중에서는 침투액 제거를 방해할 가능성이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표준침투탐상검사(ASME Sec, V , Art.24 SE-165)에서 플라스틱의 균열검사시 권고된 최소 적용 침투시간은?

  1. 1분
  2. 3분
  3. 5분
  4. 7분
(정답률: 알수없음)
  • ASME Sec. V, Art.24 SE-165에서는 플라스틱의 균열검사시 최소 적용 침투시간으로 5분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이는 충분한 시간이 지나야 침투액이 균열 내부로 침투하여 균열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침투액이 균열 내부로 침투하지 않으면 균열을 확인할 수 없으므로 적절한 침투시간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5분이 권고된 최소 적용 침투시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압력용 이옴매 없는 강관 및 용접 강관 - 침투탐상검사(KS B ISO 12089)에 따른 탐상 결과가 허용되는 것보다 더 큰 지시로서 무관련지시라고 믿어지는 경우의 조치사항으로 옳을 것은?

  1. 재검사한다.
  2. 감독관과 협의 후 결정한다.
  3. 무관련지시이므로 합격시킨다.
  4. 허용 치수를 초과하므로 불합격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압력용 이옴매 없는 강관 및 용접 강관의 침투탐상검사 결과가 허용치를 초과하는 경우, 이는 안전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결함이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해당 제품을 재검사하여 안전성을 보장해야 합니다. 따라서 "재검사한다."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항공 우주용 기기의 침투탐상 검사방법(KS W 0914)에서 친유성 유화제의 적용 방법이 옳은 것만으로 나열된 것은?

  1. 붓칠, 분무
  2. 침지, 흘림
  3. 붓칠, 흘림
  4. 침지, 분무
(정답률: 알수없음)
  • 항공 우주용 기기의 침투탐상 검사에서는 친유성 유화제를 사용하여 결함을 검출합니다. 이때 친유성 유화제를 적용하는 방법은 침지와 흘림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붓칠과 분무는 친유성 유화제를 적용하는 방법 중 하나이지만, 이 방법들은 결함을 검출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침지, 흘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침투탐상 시험방법 및 침투지시모양의 분류(KS B 0816)에서 탐상 기록을 작성할 때 조작조건 항목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관찰시간
  2. 세척시간
  3. 세척수의 온도
  4. 시험시의 온도
(정답률: 알수없음)
  • 침투탐상 시험에서 조작조건 항목은 시험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조작자가 직접 조절 가능한 요소들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세척시간은 조작자가 직접 조절 가능한 요소 중 하나이며, 다른 항목들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러나 관찰시간, 시험시의 온도 등은 조작자가 직접 조절할 수 없는 요소들이므로 조작조건 항목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세척시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표준침투탐상검사(ASME Sec, V ,Art.24 SE-165)에 규정된 형광침투탐상 결과분석시 형광휘도에 영향을 줄 수 있어서 많은 주의가 요구되는 전처리 방법은?

  1. 산세척
  2. 알칼리세척
  3. 초음파세척
  4. 샌드블라스트
(정답률: 알수없음)
  • 산세척은 보일러 및 압력용기의 표면에 남아있는 오일, 그리스, 녹슬음 등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강력한 청정제를 사용하여 표면을 세척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알칼리세척과 달리 산성 청정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형광침투탐상 검사에서 형광휘도에 영향을 미치는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형광침투탐상 검사에서는 산세척이 많은 주의가 요구되는 전처리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침투탐상 시험방법 및 침투지시모양의 분류(KS B 0816)에 따른 유화제의 점검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점도의 상승에 의해 유화성능이 저하되었을 때 폐기한다.
  2. 겉모양 검사를 하여 현저하게 흐림이나 침전물이 생겼을 때 폐기한다.
  3. 대비시험편을 사용하여 유화성능의 저하가 인정 되었을 때 폐기한다.
  4. 물베이스 유화제는 농도를 굴추계로 측정하여 규정농도와의 차가 1% 이상일 때 폐기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물베이스 유화제는 농도를 굴추계로 측정하여 규정농도와의 차가 1% 이상일 때 폐기한다."가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물베이스 유화제는 농도를 굴절계로 측정하여 규정농도와의 차가 1% 이상일 때 폐기한다. 굴절계는 빛의 굴절을 이용하여 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기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데이터통신 시스템 중 데이터 터미널 장치(DTE)의 기능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일출력 기능
  2. 신호 변환기 기능
  3. 전송 제어 기능
  4. 기억 기능
(정답률: 알수없음)
  • 신호 변환기 기능은 데이터 터미널 장치(DTE)의 기능이 아닙니다. 데이터 터미널 장치(DTE)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생성하고 처리하는 장치로, 일출력 기능, 전송 제어 기능, 기억 기능 등을 수행합니다. 하지만 신호 변환기 기능은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신호를 변환하는 장치로, 데이터 터미널 장치(DTE)와는 별개의 기능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신호 변환기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인터넷의 개념이 아닌 것은?

  1. 세계를 연결하는 컴퓨터 통신망
  2. 여러 개의 네트워크가 연결된 통신망들의 특징
  3. 유닉스 운영체제만을 위한 세계적인 컴퓨터 통신망
  4. TCP/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는 컴퓨터 통신망
(정답률: 알수없음)
  • "유닉스 운영체제만을 위한 세계적인 컴퓨터 통신망"은 인터넷의 개념이 아닙니다. 이는 1980년대에 존재했던 ARPANET과는 별개로, 유닉스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컴퓨터들끼리만 연결된 전용 통신망이었습니다. 따라서 인터넷의 특징 중 하나인 여러 개의 네트워크가 연결된 통신망들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이 설명하고 있는 웹 페이지 검색엔진의 유형은?

  1. 주제별 검색
  2. 메뉴 검색
  3. 웹 인덱스 검색
  4. 지능형 검색
(정답률: 알수없음)
  • 위의 이미지는 검색어를 입력하면 해당 검색어와 관련된 웹 페이지를 인덱스화하여 제공하는 검색엔진의 예시를 보여줍니다. 이러한 검색엔진은 "웹 인덱스 검색" 유형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인터넷에서 IP 주소 대신 사용할 수 있는 것은?

  1. 호스트명
  2. 고퍼
  3. HTTP
  4. 도메인 네임
(정답률: 알수없음)
  • 인터넷에서 IP 주소는 숫자로 이루어져 있어서 기억하기 어렵고, 변경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도메인 네임을 사용하여 인터넷에서 웹사이트나 서버를 찾을 수 있습니다. 도메인 네임은 사람이 쉽게 기억할 수 있는 문자열로 이루어져 있으며, DNS(Domain Name System) 서버를 통해 IP 주소로 변환됩니다. 따라서 도메인 네임을 사용하면 IP 주소를 기억하지 않아도 되고, 변경되더라도 도메인 네임만 변경하면 되므로 편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운영체제의 성능평가와 거리가 먼 것은?

  1. 응답 시간
  2. 신뢰도
  3. 사용 가능도
  4. 비용
(정답률: 알수없음)
  • 운영체제의 성능평가는 주로 시스템의 응답 시간, 신뢰도, 사용 가능도 등과 관련된 것이지만, 비용은 이와는 별개의 요소이다. 비용은 시스템을 구축하고 유지하는 데 필요한 자원과 노력, 장비 등의 비용을 의미하며, 이는 성능과는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없다. 따라서 비용은 운영체제의 성능평가와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금속재료학

61. 다음 중 백금(Pt)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회백색으로 면심입방격자를 갖는다.
  2. 비중은 약 21.46 이며, 용융점은 약 1774°C 이다.
  3. 내열성 및 고온저항성이 우수하며 용해로, 광학기구등의 제작이 널리 사용된다.
  4. 백금의 재결정은 쌍정 생성이 많은 단면체 조직으로 가공성이 우수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백금의 재결정은 쌍정 생성이 많은 단면체 조직으로 가공성이 우수하다는 설명이 틀린 것은 없다.

    백금은 회백색으로 면심입방격자를 갖고, 비중은 약 21.46이며 용융점은 약 1774°C이다. 또한 내열성 및 고온저항성이 우수하며 용해로, 광학기구 등의 제작에 널리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전자강판(규소강판)에 요구되는 특성으로 옳은 것은?

  1. 철손(鐵損)이 클 것
  2. 투자율이 높고 포화자속밀도가 높을 것
  3. 사용 중에 자기 시효 변화가 클 것
  4. 박판을 적층하여 사용할 때 층간 저항이 낮을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전자강판은 전자기장을 이용하여 회로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재료이므로, 전기적 특성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투자율이 높고 포화자속밀도가 높을수록 전기적 손실이 적어지고 전기적 효율이 높아집니다. 이는 전자기장을 통과하는 전류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전자기장을 통과하는 전류의 양을 최대화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투자율이 높고 포화자속밀도가 높을 것"이 전자강판에 요구되는 특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침탄은 C 원자의 확산에 의해 일어난다. 900°C에서 10시간 침탄했을 때 침탄 깊이가 1.2cm 이었다면 1.6cm 의 침탄층을 얻기 위해서는 같은 온도에서 약 몇 시간이 필요한가? (단, Harris 의 식을 이용한다.)

  1. 5
  2. 18
  3. 35
  4. 48
(정답률: 알수없음)
  • Harris의 식은 다음과 같다.

    d = Kt^(1/2)

    여기서 d는 침탄 깊이, K는 침탄 상수, t는 침탄 시간이다.

    문제에서 침탄 깊이는 1.2cm에서 1.6cm으로 증가하므로, 침탄 깊이의 증가량은 0.4cm이다.

    따라서, K와 온도는 동일하므로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1.6)^2 - (1.2)^2 = Kt2 - Kt1

    0.4 = K(t2 - t1)

    t2 - t1 = 0.4/K

    여기서 t1은 10시간이므로, t2를 구하면 된다.

    t2 = t1 + 0.4/K

    따라서, t2 = 10 + 0.4/0.49 = 17.96 시간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정답이 "18"이므로, 반올림하여 18시간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청동의 주조시 일어나는 편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냉각속도가 클수록 편석이 많이 일어난다.
  2. 확산속도가 작을수록 편석이 많이 일어난다.
  3. 응고구간이 확장될수록 편석이 많이 일어난다.
  4. 개재물이 적을수록 편석이 많이 일어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개재물이 적을수록 편석이 많이 일어난다."라는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개재물이 적을수록 편석이 적게 일어납니다. 이는 개재물이 적을수록 물질의 확산속도가 빨라져서 물질이 빠르게 응고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개재물이 적을수록 빠른 응고로 인해 편석이 적게 일어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엘렉트론(Elektron) 합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Mg – Al 계 합금으로서 소량의 Zn 과 Mn을 첨가한 합금이다.
  2. Nl - Fe 계 합금으로 고강도 합금이다.
  3. Sn – Mg - Si - Mn 계 합금으로 시효경화성 합금이다.
  4. Al - Cu 계 합금으로서 전기전도도를 좋게 하기 위하여 소량의 Ag을 첨가한 합금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엘렉트론 합금은 Mg – Al 계 합금으로서 소량의 Zn 과 Mn을 첨가한 합금이다. 이 합금은 경량화와 고강도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장점이 있어 항공기, 자동차 등에 널리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Catridge brass 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가공용 황동이다.
  2. 70%Cu + 30%Zn 황동이다.
  3. 판, 봉, 관, 선을 만든다.
  4. 금박대용으로 사용하며, 톰백이라고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70%Cu + 30%Zn 황동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Cartridge brass는 70%Cu + 30%Zn + trace amounts of other elements로 이루어진 황동입니다. 이러한 황동은 판, 봉, 관, 선 등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며, 금박대 대용으로 사용되며, 톰백이라고도 불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가단주철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주조성이 우수하여 복잡한 주물을 만들 수 있다.
  2. 내식성, 내충격성, 내열성이 우수하고 절삭성이 좋다.
  3. 강도, 내력이 높은 편이며 경도는 Si 량이 많을수록 낮다.
  4. 흑심가단주철의 인장강도는 30~40 kgf/mm2 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흑심가단주철의 인장강도는 30~40 kgf/mm2 이다."가 틀린 것이다.

    강도와 내력이 높은 편이며 경도는 Si 량이 많을수록 낮은 이유는, 가단주철은 주성분으로 철과 탄소를 가지고 있지만, Si(실리콘)을 첨가하여 주조성을 개선시키기 때문이다. Si가 많을수록 주조성이 우수해지지만, 경도는 낮아지게 된다. 내식성, 내충격성, 내열성이 우수하고 절삭성이 좋은 것도 Si 첨가로 인한 효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산소나 탈산제를 품지 않은 구리로 전도성이 좋고 수소취성도 없어 전자기기 등에 사용되는 것은?

  1. 무산소동
  2. 탈탄동
  3. 전기동
  4. 정련동
(정답률: 알수없음)
  • 구리는 산소나 탈산제를 포함하지 않은 순수한 상태로 전도성이 좋고 수소취성이 없기 때문에 전자기기 등에 사용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구리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산소나 탈산제가 첨가되면 전도성이 떨어지고 수소취성이 생기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무산소동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무산소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Fe-C 평형 상태도에서 존재하지 않는 불변 반응은?

  1. 공정반응
  2. 공석반응
  3. 포정반응
  4. 포석반응
(정답률: 알수없음)
  • Fe-C 평형 상태도에서 존재하지 않는 불변 반응은 "포석반응"입니다. 이는 Fe-C 평형 상태도에서 탄소 함량이 0.8% 이상인 Fe-C 합금에서 발생하는 반응으로, 탄소가 시멘타이트 상태로 존재하여 Fe-C 평형 상태도에서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베어링 합금으로 화이트메탈보다 내하중성이 커서 대부분 강대금(steel back)에 접착하여 바이메탈 베어링(bi-metal bearing)을 사용되는 일명 켈밋(kelmet)의 주요 합금 조성은?

  1. Pb - Ta
  2. Pb - Ca
  3. Cu - Pb
  4. Cu - Ti
(정답률: 알수없음)
  • 켈밋은 내하중성이 높은 베어링 합금으로, 대부분 강대금과 함께 사용되는 바이메탈 베어링에 사용됩니다. 이 합금의 주요 조성은 Cu-Pb입니다. 이는 구리와 납의 합금으로, 내마모성과 내식성이 뛰어나며, 접촉면에서의 마찰을 감소시켜 베어링의 수명을 연장시킵니다. 또한, Cu-Pb 합금은 열전도성과 열팽창성이 우수하여, 고온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저 합금강의 2단 템퍼 취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결정림계에 불순물이 편석하는 것은 평형적 현상이다.
  2. 템퍼링한 합금강을 375~560°C 온도범위에서 등온적으로 시효처리하거나 템퍼링한 다음 서냉하면 발생한다.
  3. 입계취성을 일으키는 불순물 편석의 속도와 양은 강의 전조성(全組性)에 의해서 결정된다.
  4. 연성-취성 전이 온도는 직접 입계의 불순물 농도에 의해서 결정되는데 불순물 영향의 정도는 P > Sn > Sb 순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연성-취성 전이 온도는 직접 입계의 불순물 농도에 의해서 결정되는데 불순물 영향의 정도는 P > Sn > Sb 순이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이유는 불순물의 영향력은 불순물의 종류와 함량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P, Sn, Sb의 영향력이 각각 다르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문장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라우탈(Lautal)의 합금 성분으로 옳은 것은?

  1. Cu - Si - P
  2. Al - Ni - Pb
  3. Al - Cu - Si
  4. W - Ni - Mg
(정답률: 알수없음)
  • 라우탈(Lautal)의 합금 성분은 "Al - Cu - Si"이다. 이는 알루미늄(Al), 구리(Cu), 실리콘(Si)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강도와 내식성이 뛰어나고 가공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합금입니다. Cu와 Si는 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고, Al은 가벼우면서도 내식성이 높아서 합금의 특성을 개선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투과전자현미경에 의한 시험편 표면구조를 관찰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되는 레프리카(Raplica)법이 아닌 것은?

  1. 플라스틱 레프리카법
  2. 탄소 레프리카법
  3. 영상 레프리카법
  4. 산화물 레프리카법
(정답률: 알수없음)
  • 영상 레프리카법은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없는 대형 샘플의 표면구조를 관찰하기 위한 방법으로, 샘플 표면에 레프리카 필름을 붙여서 이를 스캔하여 영상으로 변환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영상 레프리카법은 투과전자현미경에 의한 시험편 표면구조를 관찰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되는 레프리카법이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재료의 연성을 알기 위한 것으로 구리판, 알루미늄 등의 판재를 가압성형하여 변형능력을 시험하는 것은?

  1. 크리프시험
  2. 스프링시험
  3. 마모시험
  4. 에릭선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에릭선시험은 재료의 연성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 중 하나로, 구리판, 알루미늄 등의 판재를 가압성형하여 변형능력을 시험하는 것이다. 다른 보기인 크리프시험은 재료의 지속적인 변형을 측정하는 시험, 스프링시험은 재료의 탄성을 측정하는 시험, 마모시험은 재료의 내구성을 측정하는 시험이다. 따라서, 이 중에서 재료의 연성을 측정하는 것은 에릭선시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Al-4%Cu 합금을 시효처리할 때, 관찰되지 않는 것은?

  1. GP zone
  2. θ 상
  3. θ′ 상
  4. η 상
(정답률: 알수없음)
  • Al-4%Cu 합금을 시효처리할 때, 관찰되지 않는 것은 "θ′ 상"이다. 이는 시효처리 과정에서 생성되는 세 가지 상 중 하나인데, Al-4%Cu 합금에서는 GP zone과 θ 상이 생성되지만, θ′ 상은 생성되지 않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분말야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생산할 수 있는 제품의 크기와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2. 고용도의 제한이 없기 때문에 다양한 합금설계를 할 수 있다.
  3. 최종제품의 형상으로 가공할 수 있어 절삭가공을 생략할 수 있다.
  4. 용융정이 높은 재료의 경우에는 용융하지 않고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생산할 수 있는 제품의 크기와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가 틀린 설명이다. 분말야금 기술은 제품의 크기와 형상에도 제한이 있으며, 제조 가능한 최대 크기와 형상은 재료의 특성과 제조 공정에 따라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고망간(12~14%Mn) 강(steel)을 약 1050°C 부근에서 급냉 하는 수인법(水靭法)을 실시하였을 때 상온에서 나타나는 조직은?

  1. 시멘타이트(Cemetite)
  2. 오스테나이트(Austenite)
  3. 레데뷰라이트(Ledeburite)
  4. 페라이트(Ferrite)
(정답률: 알수없음)
  • 고망간 강은 12~14%Mn 함량으로 매우 높은 탄소강이다. 따라서 급냉하면서도 상온에서 마르텐사이트(Martensite)가 생성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급냉 후에도 고망간 강은 오스테나이트 상태를 유지한다. 이는 고망간 강의 Mn 함량이 높아서 Mn이 탄소와 결합하여 탄소의 용해도를 낮추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인법으로 급냉한 고망간 강의 상온 조직은 오스테나이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은백색의 금속으로 비중이 1.85 이며, 중성자를 잘 통과시키므로 원자로 연료의 피복제, 중성자의 반사재나 원자핵분열기에 사용되는 금속은?

  1. Ge
  2. Be
  3. Si
  4. Te
(정답률: 알수없음)
  • 문제에서 언급된 금속은 중성자를 잘 통과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이 중에서 비중이 1.85인 금속은 베릴륨(Be)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B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비정질 합금의 제조 방법이 아닌 것은?

  1. 금속액체의 액체급냉법
  2. 고체침탄법
  3. 금속가스의 증착법
  4. 전기 또는 화학도금법
(정답률: 알수없음)
  • 고체침탄법은 비정질 합금을 만드는 방법이 아니라, 표면 경화나 내식성을 높이기 위해 금속을 코팅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정답은 "고체침탄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항은냉각 방법이 아닌 것은?

  1. 마퀜칭(Maquenching)
  2. 마템퍼링(Martempering)
  3. 인상 담금질(Time quenching)
  4. 오스템퍼링(Austempering)
(정답률: 알수없음)
  • 인상 담금질은 항을 냉각하는 방법이 아니라, 항을 가열한 후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한 후에 공기 중에서 냉각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정답은 "인상 담금질(Time quenchin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용접일반

81. 용접전류가 400A, 아크 전압은 35V, 용접속도가 20cm/min 일 때 단위 길이당 용접 입열은 몇 J/cm 인가?

  1. 42000
  2. 42500
  3. 44000
  4. 45500
(정답률: 알수없음)
  • 용접 입열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용접 입열 = 용접전류 x 아크 전압 x 용접속도 / 1000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용접 입열 = 400 x 35 x 20 / 1000 = 280 J/cm

    따라서 정답은 "28000"이 아니라 "42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법에 대한 특징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용접 진행중 용접부를 직접 관찰할 수 있다.
  2. 최소한의 변형과 최단 시간의 용접법이다.
  3. 용접 능률과 용접 품질이 우수하다.
  4. 높은 입열로 인하여 용접부의 기계적 성질이 저하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높은 입열로 인하여 용접부의 기계적 성질이 저하될 수 있다."이다.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법은 용접 진행 중 용접부를 직접 관찰할 수 있어 용접 품질을 높일 수 있으며, 최소한의 변형과 최단 시간으로 용접할 수 있어 생산성이 높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용접 능률과 용접 품질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높은 입열로 인해 용접부의 기계적 성질이 저하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용접법 중 압전(pressure welding)에 속하는 것은?

  1. 플래시 용접
  2. 전자 빔 용접
  3. 테르밋 용접
  4. 피복금속 아크 용접
(정답률: 알수없음)
  • 압전은 두 개 이상의 금속을 압력을 가해 접합시키는 용접 방법입니다. 따라서 "플래시 용접"이 압전에 속하는 것입니다. 플래시 용접은 전류를 통해 금속을 가열하고, 그 가열된 금속을 빠르게 압력을 가해 접합시키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대량 생산에 적합하며, 대형 금속 부품의 용접에도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정격 2차전류가 300A 정격 사용류이 40%인 아크 용접기에서 200A로 용접시의 허용사용율(%)은?

  1. 40
  2. 60
  3. 90
  4. 100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용접시 발생하는 회전 변형의 방지대책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필요에 따라 용접 끝 부분을 구속한다.
  2. 미리 수축을 예측하여 그만큼 벌려 놓는다.
  3. 길이가 긴 경우 2명 이상의 용접사가 이음의 길이를 정해놓고 동시에 용접을 시작한다.
  4. 용접시 열을 될 수 있는 한 많이 받게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용접시 열을 될 수 있는 한 많이 받게 한다는 것은 용접 부위를 냉각하지 않고 열을 유지하여 회전 변형을 최소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틀린 것이 아니며, 모든 보기가 회전 변형 방지를 위한 대책으로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전류가 높고 아크 길이가 특히 긴 경우에 발생하며 용접금속의 비산에 의한 용접봉의 손실을 초래하는 결함은?

  1. 기공
  2. 오버 랩
  3. 설퍼균열
  4. 스패터
(정답률: 알수없음)
  • 전류가 높고 아크 길이가 긴 경우에 용접봉에서 발생하는 열과 압력으로 인해 용접금속이 녹아 스프레이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 스프레이된 용접금속이 용접봉 주변에 분산되어 스패터(Spatter)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는 용접봉의 손실을 초래하고 용접면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결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용접용 탄산가스의 용기도색으로 맞는 것은?

  1. 녹색
  2. 청색
  3. 황색
  4. 백색
(정답률: 알수없음)
  • 용접용 탄산가스는 청색 용기에 담겨져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탄산가스가 높은 압력에서 저장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에, 청색 용기가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청색 용기는 가스 용기로서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채택된 색상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아크용접에서 언더컷의 원인이 되는 것과 관계없는 것은?

  1. 아크 길이가 너무 길 때
  2. 용접속도가 적당하지 않을 때
  3. 부적당한 용접봉을 사용할 때
  4. 전류가 너무 낮을 때
(정답률: 알수없음)
  • 언더컷은 용접 부위에서 금속이 녹아내리거나 파손되는 현상입니다. 이는 용접 부위에서 과열이 발생하여 금속이 녹아내리거나, 용접 부위에 충분한 금속이 충전되지 않아 파손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전류가 너무 낮을 때는 충분한 열이 발생하지 않아 용접 부위에 충분한 금속이 충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는 언더컷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류가 너무 낮을 때"가 관계없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불황성가스 텅스텐 아크 용접(TIG용접)에서 청정작용(Cleaning action)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텅스텐 전극에 의한 정류작용
  2. 정극성에서는 전자가 모재에 빠르게 충돌하기 때문에 모재에 열을 발생기키는 작용
  3. 헬륨가스를 사용하는 정극성에서는 아크가 그 주변의 모재표면에 열을 발생시키는 작용
  4. 아르곤(Ar) 가스를 사용하는 직류 역극성에서는 아크 그 주변의 모재 표면에 산화막을 제거하는 작용
(정답률: 알수없음)
  • 아르곤(Ar) 가스를 사용하는 직류 역극성에서는 아크 그 주변의 모재 표면에 산화막을 제거하는 작용은, 아르곤 가스가 아크 주변의 공기를 대체하여 산화막 생성을 방지하고, 아크 열에 의해 생성된 산화막을 제거하여 청정한 용접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용접기에서 멀리 떨어져 작업을 할 때 작업위치에서 전류를 조정할 수 있는 장치는?

  1. 원격제어 장치
  2. 고주파 장치
  3. 핫 스타트 장치
  4. 전격 방지 장치
(정답률: 알수없음)
  • 원격제어 장치는 용접기에서 멀리 떨어져 작업을 할 때 작업위치에서 전류를 조정할 수 있는 장치입니다. 이는 용접 작업 중에 작업자가 작업 위치에서 용접기에 직접 접근하지 않고도 전류를 조절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용접 홈 설계시 고려 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홀의 단면적은 가능한 크게 한다.
  2. 루트 반지름은 가능한 크게 한다.
  3. 루트간격의 최대치는 사용 용접봉의 지름을 한도로 한다.
  4. 적당한 루트 간격과 루트면을 만들어 준다.
(정답률: 알수없음)
  • "홀의 단면적은 가능한 크게 한다."는 용접 홈의 강도와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홈의 단면적이 크면 용접 부위의 힘을 분산시키고, 용접 부위의 부식과 변형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용접 홈 설계시에는 홀의 단면적을 가능한 크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주철의 보수용접 방법 중 모재와 융합이 잘되는 용접봉으로 융착시킨 후 나중에 고장력 강봉이나 연강과 융합이 잘되는 모넬메탈봉으로 용접하는 방법은?

  1. 스터드법
  2. 비녀장법
  3. 버터링법
  4. 로킹법
(정답률: 알수없음)
  • 주철의 보수용접에서 모재와 융합이 잘되는 용접봉으로 융착시킨 후 고장력 강봉이나 연강과 융합이 잘되는 모넬메탈봉으로 용접하는 방법은 "버터링법"입니다. 이는 모재와 용접봉 사이에 두꺼운 용접금속을 적층시켜서 모재와 용접봉의 재질 차이를 보완하고, 용접봉과 고강도 강재 등을 용접할 때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용접부의 비파괴 시험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부식시험
  2. 침투시험
  3. 누설시험
  4. 음향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부식시험은 용접부의 내부 결함을 검출하는 것이 아니라, 부식에 대한 내구성을 평가하는 시험법이기 때문에 비파괴 시험법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부식시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탄산가스 아크 용접기로 두께가 4mm인 박판(연강판)을 용접전류 150A로 I형 맞대기 용접하고자 할 때 적당한 아크 전압[V]은?

  1. 16~19
  2. 20~23
  3. 23~26
  4. 27~29
(정답률: 알수없음)
  • 적당한 아크 전압은 20~23V이다. 이유는 아크 전압은 용접 전류와 용접물의 두께에 따라 결정되는데, 이 경우에는 4mm의 두께와 150A의 전류를 고려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1mm당 1V의 아크 전압이 필요하므로, 4mm의 두께에는 4V의 아크 전압이 필요하다. 따라서 전압은 16V에서 시작하여 19V까지 증가시켜 용접을 진행할 수 있지만, 안정적인 용접을 위해서는 20V 이상의 아크 전압이 필요하다. 그러나 23V 이상으로 증가시키면 용접물이 과열되어 용접이 실패할 수 있으므로, 20~23V가 적당한 아크 전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무부하 전압이 80V이고 아크전압이 30V인 AW-200교류용접기를 사용할 때 내부손실을 4KW라 하면 이 용접기의 효율과 역률은?

  1. 효율: 62.5% 역률: 60%
  2. 효율: 62.5% 역률: 54%
  3. 효율: 54% 역률: 62.5%
  4. 효율: 54% 역률: 62.5%
(정답률: 알수없음)
  • 용접기의 입력전력은 내부손실과 출력전력의 합이므로, 출력전력은 입력전력에서 내부손실을 뺀 값이다. 따라서 출력전력은 80V * 200A - 4KW = 15.6KW 이다.

    효율은 출력전력을 입력전력으로 나눈 값이므로, 효율은 15.6KW / (80V * 200A) = 54% 이다.

    역률은 유효전력을 피상전력으로 나눈 값이므로, 유효전력은 출력전력과 같고, 피상전력은 입력전력이므로, 역률은 15.6KW / (80V * 200A) * (80V / 30V) = 62.5% 이다.

    따라서 정답은 "효율: 54% 역률: 62.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용접재를 서로 맞대어 가압하면서 대전류를 통하고 축 방향에 큰 압력을 주어 용접하는 전기저항 용접법은?

  1. 업셋 용접
  2. 프로젝션 용접
  3. 심 용접
  4. 마찰 용접
(정답률: 알수없음)
  • 업셋 용접은 서로 맞대어 가압하면서 대전류를 통하고 축 방향에 큰 압력을 주어 용접하는 전기저항 용접법입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용접 부위에 큰 압력을 가해 용접을 수행하므로, 용접 부위의 접합면적이 크고, 용접 부위의 강도가 높아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와 달리, 프로젝션 용접은 용접 부위에 작은 돌출부를 만들어 용접을 수행하는 방법이며, 심 용접은 용접 부위에 심을 끼워 용접을 수행하는 방법입니다. 마찰 용접은 마찰열과 압력을 이용하여 용접을 수행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아세틸렌가스와 접촉하면 폭발성 화합물을 생성하는 금속은?

  1. 주철
  2. 구리
  3. 알루미늄
(정답률: 알수없음)
  • 아세틸렌가스는 고온과 고압에서 폭발성 화합물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때, 구리는 아세틸렌가스와 접촉하면 폭발성 화합물을 생성하지만, 강, 주철, 알루미늄은 그렇지 않습니다. 이는 구리가 아세틸렌과 반응하여 Cu2C2라는 화합물을 생성하기 때문입니다. 이 화합물은 고온에서 불안정하며, 폭발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구리는 아세틸렌가스와 접촉할 때 폭발 위험이 있으므로 조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산소-아세틸렌 가스용접 작업시 전진법과 비교한 후진법의 특징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용접변형이 작다
  2. 열 이용률이 좋다
  3. 용접속도가 느리다
  4. 용착금속의 조직이 미세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용접속도가 느리다"입니다. 후진법은 전진법에 비해 용접속도가 빠르며, 용접변형이 크고 열 이용률이 낮은 특징이 있습니다. 이는 용접시에 용착금속이 녹아 흐르는 방향이 전진법과 반대 방향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후진법은 용접속도가 빠르지만, 용접변형이 크고 열 이용률이 낮아 경제적이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피복 금속 아크 용접봉에 도포(塗布)되는 용제(Flux)의 기능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스패터 발생을 적게 한다.
  2. 아크(arc)의 발생 안전 및 유지를 용이하게 한다.
  3. 가스를 발생시켜서 대기(大氣)의 침입을 방지한다.
  4. 적당한 아크 전압과 용융점이 높은 슬랙을 만든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적당한 아크 전압과 용융점이 높은 슬랙을 만드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Flux의 기능 중 하나는 적당한 아크 전압과 용융점을 유지하여 안정적인 용접을 가능하게 하는 것입니다. 슬랙은 Flux가 용접면을 보호하고 스패터를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가스용접시 저압(발생기식) 토치에 사용되는 아세틸렌의 압력은 약 몇 kgf/cm2이하인가?

  1. 0.005
  2. 0.07
  3. 0.1
  4. 1
(정답률: 알수없음)
  • 가스용접시 사용되는 아세틸렌의 압력은 보통 0.07 kgf/cm2 이하입니다. 이는 안전한 용접을 위해 필요한 압력으로, 높은 압력은 화재나 폭발의 위험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0.07"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