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생태복원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08-18)

자연생태복원기사(구)
(2013-08-1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환경생태학개론

1. 수질오염을 가속화시키는 화학물질로써 합성세제의 독성 피해 증상이 아닌 것은?

  1. 간장장애
  2. 백형구와 적혈구 감소
  3. 동맥경화 촉진
  4. 인체의 효소활동 증가
(정답률: 87%)
  • 인체의 효소활동 증가는 수질오염을 가속화시키는 화학물질로써 합성세제의 독성 피해 증상이 아닙니다. 이는 오히려 화학물질의 분해와 대사를 촉진하여 수질오염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종다양성에 대한 원리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종다양성은 서식처의 복잡한 정도에 따라 증가한다.
  2. 종다양성은 지역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증가한다.
  3. 한 지역에서 종다양성은 종의 지리적 근원지에 가까울수록 증가한다.
  4. 종다양성은 일반적으로 고위도지역에서 증가한다.
(정답률: 82%)
  • "종다양성은 일반적으로 고위도지역에서 증가한다."는 원리로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고위도지역은 온도가 낮고 건조한 환경이기 때문에 생물다양성이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종다양성은 온도와 습도가 높은 저위도지역에서 더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생태계에서 천이(succession)를 크게 3종류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중 환경조건과 자원을 변형시키는 자체의 생물학적 작용의 결과로 일련의 변화가 일어나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은?

  1. 자생천이(autogenic succession)
  2. 타생천이(allogenic succession)
  3. 종속영약적 천이(heterotrophic succession)
  4. 퇴화적 천이(degradative succession)
(정답률: 70%)
  • 자생천이는 생물체들이 자신들의 환경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인해 일어나는 천이이다. 예를 들어, 식물이 자신의 잎사귀를 떨어뜨리고 그것이 토양에 쌓이면서 토양의 영양분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다른 식물들이 자라나면서 생태계의 구성이 변화하는 것이 자생천이의 예이다. 따라서, 환경조건과 자원을 변형시키는 자체의 생물학적 작용의 결과로 일어나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이 자생천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생태계의 구성요소 중 생물적 요소(biotic components)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영양적 지위(trophic niche)
  2. 소비자(consumer)
  3. 생산자(producer)
  4. 분해자(decomposer)
(정답률: 87%)
  • 영양적 지위(trophic niche)는 생물의 역할과 위치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생물이 어떤 종류의 음식을 먹고, 어떤 종류의 생물과 경쟁하며, 어떤 종류의 생물을 먹는지 등을 포함합니다. 따라서 영양적 지위는 생태계의 구성요소 중 생물적 요소에 해당되며, 소비자, 생산자, 분해자와 함께 생태계의 중요한 구성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부영양화 현상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부영양화 현상이 있으면 용존산소량이 풍부해진다.
  2. 부영양화 현상은 물이 정체되기 쉬운 호수에서 잘 발생한다.
  3. 부영양화된 호수는 식물성프랑크톤이 대량 발생되기 쉽다.
  4. 부영양화된 호수는 식물성 조류에 의하여 물의 투명도가 저하된다.
(정답률: 80%)
  • "부영양화 현상이 있으면 용존산소량이 풍부해진다."라는 설명이 틀립니다. 부영양화 현상은 오히려 용존산소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이는 부영양화된 호수에서 대량으로 번식하는 박테리아들이 호수의 유기물을 분해하면서 산소를 소비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부영양화된 호수에서는 산소 부족으로 인한 생태계 변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부영양화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농업, 산업, 생활 폐기물 등으로 인해 호수에 영양분이 과다하게 유입되어 호수 내 식물성프랑크톤이 대량으로 번식하면서 발생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물이 정체되기 쉬운 호수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호수의 교류가 원활하지 않은 경우에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부영양화된 호수에서는 식물성프랑크톤뿐만 아니라 식물성 조류도 대량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들은 호수의 투명도를 저하시키고, 물의 색깔을 변화시키는 등의 영향을 미칩니다. 이러한 현상은 호수의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며, 물의 이용에도 불편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1865년 독일의 물리학자 클라우지우스(Rudolf Clausius)에 의해 최초로 창안되고, 에너지의 상태를 일컫는 엔트로피는 어떠한 에너지를 말하는가?

  1. 사용 불가능한 에너지
  2. 잠재적 에너지
  3. 오염된 에너지
  4. 유기에너지
(정답률: 72%)
  • 엔트로피는 에너지의 무질서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사용 가능한 에너지가 아닌 사용 불가능한 에너지를 말한다. 사용 가능한 에너지는 일종의 질서를 가지고 있어서 일정한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지만, 사용 불가능한 에너지는 무질서하고 불규칙한 상태를 가지고 있어서 활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엔트로피는 에너지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사용 가능한 에너지와는 구분되는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것은?

  1. 간척지역
  2. 해안습지
  3. 해안사구
  4. 망그로브습지
(정답률: 75%)
  • 위의 그림은 해안사구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해안사구는 강과 바다가 만나는 지역에서 강에서 흘러온 흙과 모래 등이 바다에 의해 운반되어 쌓이면서 형성되는 지형입니다. 따라서 이 지역은 강과 바다의 생태계가 만나서 다양한 생물들이 서식하는 중요한 생태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아래 설명과 그림이 나타내는 A지역의 군집 유형은?

  1. 온대낙엽수림(Temperate Deciduous Forest)
  2. 대초원(Prarie)
  3. 사바나(Savana)
  4. 타이가(Taiga)
(정답률: 65%)
  • A지역의 군집 유형은 "온대낙엽수림(Temperate Deciduous Forest)"이다. 이유는 그림에서 보이는 나무들이 잎을 떨어뜨리는 낙엽수이며, 온대 지역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초원은 건조한 지역에 있는 초원이고, 사바나는 대부분의 식물이 건조한 기후에 적응한 것이고, 타이가는 극지방에 위치한 대형 소나무 숲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툰드라(Tundra)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연간강수량이 2000mm2 또는 그 이상이다.
  2. 생육기간이 연 100일 이하이며 짧은 여름에도 밤에는 기온이 0℃에 가깝다.
  3. 중남미, 아프리카, 남아시아 일부 지역에서 나타난다.
  4. 건기와 우기가 뚜렷하고 연강우량이 1000mm에 달한다.
(정답률: 71%)
  • 생육기간이 연 100일 이하이며 짧은 여름에도 밤에는 기온이 0℃에 가깝다. 이는 툰드라가 극지방과 같이 추운 지역에서 자라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세계적으로 중요한 습지의 상실을 억제하고, 물새의 서식지인 습지를 국제적으로 보호하려는 협약은?

  1. 비엔나 협약
  2. 바르셀로나 협약
  3. 람사협약
  4. 한중 환경협력 협정
(정답률: 77%)
  • 람사협약은 습지 보호를 위한 국제적인 협약으로, 세계적으로 중요한 습지의 상실을 억제하고 물새의 서식지를 보호하기 위해 많은 국가들이 서명한 협약입니다. 비엔나 협약은 오존층 보호를 위한 협약, 바르셀로나 협약은 지중해 보호를 위한 협약, 한중 환경협력 협정은 한국과 중국의 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협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영양구조 및 기능을 함께 볼 수 있는 것으로 생태적 피라미드의 구조 등 변수가 많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은 생태적 피라미드는 무엇인가?

  1. 개체수 피라미드(pyramid of numbers)
  2. 생체량 피라미드(biomass pyramid)
  3. 에너지 피라미드(pyramid of energy)
  4. 생산력 피라미드(pyramid of productivity)
(정답률: 70%)
  • 개체수 피라미드는 생태계에서 상위 생물이 하위 생물보다 개체 수가 적은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예를 들어, 하나의 나무에 수많은 작은 곤충이 서식하고 있을 경우, 이 작은 곤충들의 개체 수는 나무에 서식하는 새나 포유류보다 훨씬 많을 수 있다. 하지만 이 작은 곤충들이 상위 생물인 새나 포유류보다 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개체수 피라미드는 바람직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인간의 활동에 의해서 희귀종들이 멸종되어 가는데, 현재까지 인간의 활동 중 멸종의 원인으로 가장 큰 요인은?

  1. 외부종의 유입
  2. 서식지 파괴
  3. 사냥
  4. 상업목적
(정답률: 84%)
  • 서식지 파괴는 인간의 건설, 개발, 채굴 등의 활동으로 인해 생태계가 파괴되어서 생물들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이 없어지기 때문에 멸종의 원인으로 가장 큰 요인이 됩니다. 이로 인해 생물들은 먹이를 찾지 못하거나 번식할 수 없게 되어 멸종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토양침식의 주된 원인이 아닌 것은?

  1. 과도한 목축
  2. 과도한 경작
  3. 간벌
  4. 삼림제거
(정답률: 73%)
  • 간벌은 숲을 베거나 나무를 베어서 숲을 제거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토양침식의 주된 원인인 과도한 목축, 경작, 삼림제거와는 달리 간벌은 숲을 베어서 발생하는 문제이기 때문에 주된 원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의 생산성에 관한 설명 중 ( )에 알맞은 용어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 순일차생산력(net primary productivity)
    ㉡ 순군집생산력(net community productivity)
    ㉢ 이차 생산력(secondary productivity)
  2. ㉠ 순군집생산력(net community productivity)
    ㉡ 순일차생산력(net primary productivity)
    ㉢ 이차 생산력(secondary productivity)
  3. 이차 생산력(secondary productivity)
    ㉡ 순일차생산력(net primary productivity)
    ㉢ 이차 생산력(secondary productivity)
  4. ㉠ 순일차생산력(net primary productivity)
    ㉡ 이차 생산력(secondary productivity)
    ㉢ 순군집생산력(net community productivity)
(정답률: 63%)
  • ㉠ 순일차생산력은 식물이나 다른 원생생산자들이 태양 에너지를 이용하여 생산한 유기물의 양을 말하며, 이는 생태계에서 가장 기본적인 생산성 지표이다.

    ㉡ 순군집생산력은 생태계 내에서 모든 생산자들이 생산한 유기물 중에서 소비자들이 이용 가능한 양을 말한다. 즉, 생태계에서 생산된 유기물 중에서 식물이나 다른 생산자들이 사용하는 것을 제외한 나머지 양을 말한다.

    ㉢ 이차 생산력은 소비자들이 다른 생물을 먹어 얻은 에너지를 이용하여 생산한 유기물의 양을 말한다. 이는 생태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생산성 지표이다.

    따라서, 순일차생산력과 순군집생산력은 생산자들이 생산한 유기물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이차 생산력은 소비자들이 생산한 유기물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이므로 ㉠ 순일차생산력, ㉡ 순군집생산력, ㉢ 이차 생산력 순서로 나열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낮에 주위가 따뜻해지면 햇빛을 받는 식물과 새의 몸에서는 온도 상승에 따라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생리적 변화가 나타나는데 이처럼 외부환경이 달려져도 생물체 내부의 환경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향은 무엇인가?

  1. 순화
  2. 호흡
  3. 향상성
  4. 주기성
(정답률: 80%)
  • 생물체 내부의 환경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향은 "향상성"이다. 이는 생물체가 내부적으로 일어나는 화학반응과 생리작용을 조절하여 외부환경의 변화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능력을 말한다. 이러한 향상성은 생물체의 생존과 번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담수의 수질평가시 생물지수를 이용한 측정 방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군집변화의 수를 이용한 자수로 계량화하여 분석하는 방법을 말한다.
  2. 종 또는 분류군에 따라 다른 가중치를 준다.
  3. 생물이 지닌 내성의 한계나 환경에 따른 반응성을 고려한 방법이다.
  4. 생물의 여러 가지 고유성을 감안하여 제작된 객관적인 지수이다.
(정답률: 63%)
  • 생물의 여러 가지 고유성을 감안하여 제작된 객관적인 지수이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국제자연보존연맹에 의한 보호대책이 없으면 가까운 장래에 멸종할 것으로 생각되는 것은?

  1. 절멸종
  2. 위기종
  3. 취약종
  4. 희귀종
(정답률: 83%)
  • "위기종"은 멸종 위기에 처한 종으로, 인간의 활동이나 자연적인 이유로 인해 생존이 어려워지고 있으며, 국제자연보존연맹에 의한 보호대책이 없으면 가까운 장래에 멸종할 가능성이 높은 종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호수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해양의 투광대와 유사한 수역은 준조광대(표층대 : limnetic zone)이다.
  2. 연안대(littoral zone)는 빛이 호수 바닥까지 미치며 육지와 인접한 수역을 포함한다.
  3. 심연대(심층대 : profundal zone)에서는 광합성이 호흡을 초과한다.
  4. 북반구 호수의 준조광대에서는 계절적으로 그 생산량이 연안대를 초과한다.
(정답률: 75%)
  • "심연대(심층대 : profundal zone)에서는 광합성이 호흡을 초과한다."가 옳지 않은 것은, 심연대는 빛이 도달하지 않는 깊은 곳에 위치하며 광합성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호흡이 광합성보다 더 많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생물군집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거친 후 도달하는 안정된 시기를 무엇이라 하는가?

  1. 극상
  2. 포식
  3. 경쟁
  4. 기생
(정답률: 83%)
  • 정답: 극상

    극상은 생물군집에서 생물종의 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안정된 상태를 말한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생물군집은 포식, 경쟁, 기생 등의 상호작용을 통해 연속적으로 변화하게 되지만, 이러한 상호작용이 균형을 이루게 되면 극상 상태에 도달하게 된다. 따라서 극상은 생물군집의 안정된 상태를 나타내며, 다른 보기들인 포식, 경쟁, 기생은 극상을 유지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상호작용들 중 하나일 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호수내에서 영양물질의 농도조절 방법이 아닌 것은?

  1. 하수처리장의 건설
  2. 저질토 제거
  3. 호수세척과 저층수 월류
  4. 생물량의 제거
(정답률: 68%)
  • 하수처리장의 건설은 호수내에서 영양물질의 농도를 조절하는 방법이 아니라, 하수를 처리하여 호수에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줄이는 방법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호수내에서 영양물질의 농도를 조절하는 방법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환경계획학

21. 우리나라 국토의 용도지역 중 관리지역을 세분화하면 분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계획관리지역
  2. 개발관리지역
  3. 생산관리지역
  4. 보전관리지역
(정답률: 58%)
  • 국토의 용도지역 중 관리지역은 계획관리지역, 개발관리지역, 생산관리지역, 보전관리지역으로 나뉩니다. 그 중에서도 개발관리지역은 다른 지역들과 달리 개발이 가능한 지역으로, 건축물이나 시설물 등을 건설할 수 있는 지역입니다. 따라서 다른 지역들과는 달리 개발에 대한 규제가 상대적으로 덜하며, 경제적인 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는 지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자연환경보전법에 의한 생태ㆍ자연도의 등급을 평가하는데 고려하는 4가지 기준이 아닌 것은?

  1. 멸종위기 야생동ㆍ식물
  2. 습지의 생태적 상태
  3. 식생의 현황
  4. 산림의 유형
(정답률: 66%)
  • 산림의 유형은 자연환경보전법에 의한 생태ㆍ자연도의 등급을 평가하는데 고려하는 기준이 아닙니다. 다른 세 가지 기준은 멸종위기 야생동ㆍ식물, 습지의 생태적 상태, 식생의 현황입니다. 이 기준들은 생태계의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요소들이며, 이를 평가하여 적절한 보전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녹지 네트워크(green network)의 내용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자연의 천이와 인간과의 관계 형성을 지양한다.
  2. 구조적인 형태에 따라 녹지 등의 연결성 및 방향성을 중요시하는 것은 선형이다.
  3. 생태네트워크와 유사하나, 네트워크를 위한 연결대상이 주로 식생, 공원, 녹지, 산림으로 제한된다.
  4. 녹지공간은 도시생태계의 건전성을 종진하기 위한 생태네트워크의 핵심이다.
(정답률: 54%)
  • "자연의 천이와 인간과의 관계 형성을 지양한다."가 맞지 않는다. 녹지 네트워크는 도시와 자연을 연결하여 생태계의 건전성을 유지하고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자연과 인간의 관계 형성은 녹지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국토환경보전계획의 기조로 볼 수 없는 것은?

  1. 인간과 자연의 공생(symbiosis)
  2. 개발과 보전의 조화(harmony)
  3. 현 세대와 미리 새대의 형평(equilibrim)
  4. 국민의식과 경제성장의 조화(prosperity)
(정답률: 74%)
  • 국토환경보전계획은 인간과 자연의 공생, 개발과 보전의 조화, 현 세대와 미래 세대의 형평을 추구하는 것이 중요한 목표이지만, 국민의식과 경제성장의 조화 역시 중요한 목표 중 하나이다. 이는 국민들이 환경보전에 대한 인식과 관심을 가지며, 경제성장과 함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토환경보전계획은 이러한 목표들을 모두 고려하여 국민의 삶과 자연환경을 보전하고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용도구역 중 시가화조정구역에 대한 설명이 바르게 된 것은?

  1. 도시의 계획적인 개발을 도모하기 위해 일정 기간 시가화를 유보할 필요가 있는 지역
  2. 도시의 무질서한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도시의 개발을 제한할 필요가 있는 지역
  3. 주거기능 또는 청소년 유해시설 등 특징시설의 입지를 제한할 필요가 있는 지역
  4. 보안상 도시의 개발을 제한할 필요가 있는 지역
(정답률: 58%)
  • "도시의 계획적인 개발을 도모하기 위해 일정 기간 시가화를 유보할 필요가 있는 지역"은 용도구역 중 시가화조정구역에 대한 올바른 설명입니다. 이 지역은 도시의 무질서한 확산을 방지하고, 주거기능이나 청소년 유해시설 등 특징시설의 입지를 제한하기 위해 설정됩니다. 그러나 이 지역은 일정 기간 동안 시가화를 유보하여 도시의 계획적인 개발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는 도시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생태 네트워크 계획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기존의 자생식물을 최대한 보전, 활용한다.
  2. 거점 녹지로서 중앙녹지대를 단지중심부에만 조성한다.
  3. 도시 내 구릉이나 야산 지역을 개발하여 근린공원을 조성한다.
  4. 기존 녹지를 제거하고 네트워크 계획에 맞는 녹지를 조성한다.
(정답률: 68%)
  • 생태 네트워크 계획은 기존의 생태계를 최대한 보전하면서도 도시화와 인간의 생활에 적합한 녹지를 조성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따라서 "기존의 자생식물을 최대한 보전, 활용한다."는 생태계를 보존하면서도 적극적으로 활용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도시생태공원계획 시 고려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식재시 식물들의 지역성보다는 수종의 다양성을 고려
  2. 기존의 수림지나 초지, 수변공간 등과 인접한 장소 선정
  3. 구역의 보호, 육성을 위해 이용제한 등을 필요에 따라 마련
  4. 세부적인 환경을 고려하여 야생동물을 위한 환경을 조성
(정답률: 64%)
  • 식재시에는 지역성보다는 수종의 다양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는 한 종류의 식물이 집중적으로 심어져 있을 경우, 병해충 등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여러 종류의 식물을 섞어 심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설명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해 분류된 어떤 용도지역인가?

  1. 도시지역
  2. 관리지역
  3. 자연환경보전지역
  4. 농림지역
(정답률: 60%)
  • 이 지역은 주로 자연환경을 보전하기 위해 지정된 지역으로, 주거나 상업 등의 인프라 건설이 제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 지역에서는 주로 자연생태계를 보호하고 유지하기 위한 활동이 이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도시, 도로, 농지, 산지, 공사장 등으로서 불특정 장소에서 불특정하게 수질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배출원을 지칭하는 것은?

  1. 점오염원
  2. 선오염원
  3. 비점오염원
  4. 기타오염원
(정답률: 50%)
  • 비점오염원은 특정한 위치에서 발생하는 오염원이 아니라, 불특정한 장소에서 불특정하게 발생하는 오염원을 말합니다. 즉, 도시, 도로, 농지, 산지, 공사장 등에서 발생하는 오염원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이러한 오염원은 특정한 위치에서 발생하는 오염원과 달리 집중적으로 관리하기 어렵기 때문에 대처가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자연환경보전법상 생태ㆍ경관보전지역의 지정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자연상태가 원시성을 유지하고 있는 지역
  2. 생물다양성이 풍부하여 보전 및 학술적 연구가치가 큰 지역
  3. 다양한 생태계를 대표할 수 있는 지역 또는 생태계의 표본지역
  4. 자연훼손이 심각하여 생태계 복원이 시급한 지역
(정답률: 59%)
  • "자연훼손이 심각하여 생태계 복원이 시급한 지역"은 생태계가 이미 파괴되어 있는 지역으로, 보전 대상이 아닌 것입니다. 이 지역은 이미 훼손되어 있기 때문에 생태계를 복원하고 보전하는 것이 시급하며, 이를 위해 복원 작업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이 지역은 보전 대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자연환경보전기본계획의 주요 내용이 아닌 것은?

  1. 자연경관의 보전ㆍ관리에 관한 사항
  2. 생태측의 구축ㆍ추진에 관한 사항
  3. 자연환경의 현황 및 전망에 관한 사항
  4. 사전환경성검토제도의 정착 및 발전에 관한 사항
(정답률: 57%)
  • 사전환경성검토제도는 자연환경보전기본계획의 주요 내용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이는 자연환경보전기본계획이 환경보전을 위한 종합적인 계획이라면, 사전환경성검토제도는 개별적인 사업이나 건축물 등의 환경영향평가를 위한 제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자연경관의 보전, 생태측의 구축 및 추진, 자연환경의 현황 및 전망 등과 같은 자연환경보전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내용들이 자연환경보전기본계획의 주요 내용으로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생태도시 적용기술 중 어메니티 계획의 대상에서 비교적 거리가 먼 것은?

  1. 생태경관 조성
  2. 시각회랑의 확보
  3. 스카이라인 조절
  4. 재활용 처리 시스템
(정답률: 50%)
  • 재활용 처리 시스템은 생태도시 적용기술 중에서는 다른 기술들과는 조금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생태경관 조성, 시각회랑의 확보, 스카이라인 조절은 모두 도시의 생태환경을 개선하고 도시의 미적 가치를 높이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반면에 재활용 처리 시스템은 도시의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고 자원을 보존하는 것에 중점을 둔 기술입니다. 따라서 다른 기술들과는 조금 거리가 있지만, 생태도시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생태 네트워크 조성의 필요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무절제한 개발로 인해서 훼손된 환경을 개발과 보전이 조화를 이루면서 자연지역을 보전하기 위함이다.
  2. 생물종의 소멸 비율을 최소화하고, 자연화를 위한 기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3. 도시 전체의 공간계획에 있어 불필요한 생물서식공간의 조성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4. 도시 및 지역계획차원에서 도시를 각각의 개별적인 시스템으로 유지ㆍ운영하기 위함이다.
(정답률: 46%)
  • "도시 및 지역계획차원에서 도시를 각각의 개별적인 시스템으로 유지ㆍ운영하기 위함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생태 네트워크 조성은 도시와 자연을 조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시를 개별적인 시스템으로 유지ㆍ운영하는 것이 목적이 아닙니다. 오히려 도시와 자연을 하나의 생태계로 인식하고, 그 안에서 생물종의 이동과 서식을 유지하며, 생태적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 )안에 적합한 숫자는?

  1. 1
  2. 3
  3. 5
  4. 10
(정답률: 60%)
  • 주어진 그림에서는 각각의 도형이 가지는 점의 개수를 세어보면, 삼각형은 3개, 사각형은 4개, 오각형은 5개, 육각형은 6개의 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다음에 나올 도형은 점의 개수가 7개인 도형이 됩니다. 주어진 보기 중에서 점의 개수가 5개인 도형은 "5" 이므로 정답은 "5"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생태 네트워크 계획 시 고려해야 할 주요 내용이 아닌 것은?

  1. 토지의 경제적 가치
  2. 환경학습의 장으로서 녹지의 활용
  3. 인간과 자연이 만나는 장으로서의 공간
  4. 생물의 생식ㆍ생육공간이 되는 녹지의 확보
(정답률: 67%)
  • "토지의 경제적 가치"는 생태 네트워크 계획 시 고려해야 할 주요 내용이 아닙니다. 이는 주로 개발과 관련된 문제로, 생태 네트워크 계획은 주로 환경 보호와 생물 다양성 유지를 목적으로 합니다. 따라서 "토지의 경제적 가치"는 생태 네트워크 계획 시 고려하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2개 이상의 도시의 공간구조 및 기능을 상호 연계시켜 환경을 보전하면서 체계적인 도시정비 및 장기발전방향을 정하는 계획은?

  1. 광역도시계획
  2. 도시기본계획
  3. 지구단위계획
  4. 시군종합계획
(정답률: 67%)
  • 광역도시계획은 2개 이상의 도시를 대상으로 하며, 도시의 공간구조와 기능을 상호 연계시켜 환경을 보전하면서 체계적인 도시정비 및 장기발전방향을 정하는 계획이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특정한 범위나 단위를 대상으로 하는 계획이지만, 광역도시계획은 여러 도시를 대상으로 하며, 보다 넓은 범위에서 도시의 발전을 계획하는 것이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생태도시에 적용할 수 있는 계획요소 분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토지이용 및 교통ㆍ정보통신 분야
  2. 어메니티 분야
  3. 생태 및 녹지 분야
  4. 사회교육ㆍ문화 분야
(정답률: 32%)
  • 생태도시는 주로 환경 보전과 관련된 계획요소들이 중요하다. 따라서 "토지이용 및 교통ㆍ정보통신 분야", "어메니티 분야", "생태 및 녹지 분야"는 모두 생태도시에 적용할 수 있는 계획요소들이다. 그러나 "사회교육ㆍ문화 분야"는 생태보전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어서 다른 분야들에 비해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환경문제의 원인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대기오염과 산성비
  2. 수질오염
  3. 생태계 파괴
  4. 인구의 감소
(정답률: 72%)
  • 환경문제는 인간의 활동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인구의 감소는 환경문제의 원인이 아닙니다. 인구의 감소는 오히려 일부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하천정비에 따른 하천환경의 영향에 대한 내용으로 맞는 것은?

  1. 확폭 - 동물의 하도 접근성 감소
  2. 고수부지 개발 - 균일한 이토 및 모래 퇴적에 따른 먹이 확보 곤란
  3. 하도포장 - 저생유기물의 배양기능 파괴
  4. 낙차공 및 보 - 저수로변 식생생태 단순화
(정답률: 55%)
  • 하도포장은 하천의 하도를 포장하여 강우 등의 영향으로 발생하는 토사유출을 방지하고 하도 내부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작업입니다. 하지만 이로 인해 하도 내부의 생태계가 파괴되어 저생유기물의 배양기능이 감소하게 됩니다. 이는 하천 생태계의 균형을 깨뜨리고 생물 다양성을 감소시키는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생태네트워크 유형분류 중 공간특성에 따른 유형분류가 아닌 것은?

  1. 지역적 차원
  2. 사회적 차원
  3. 국가적 차원
  4. 국제적 차원
(정답률: 60%)
  • 생태네트워크 유형분류 중 공간특성에 따른 유형분류가 아닌 것은 "사회적 차원"입니다. 이는 생태계의 공간적 특성이 아닌 사회적인 요소에 따라 분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른 세 가지 유형분류는 지역적, 국가적, 국제적 차원에 따라 생태계를 분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생태복원공학

41. 다음 중 유효토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유효토심에서는 뿌리가 호흡하며, 생육할 수 있도록 적당한 공기와 수분이 필요하다.
  2. 교목의 유효토심은 관목의 유효토심보다 두텁고 넓다.
  3. 근계 가운데 수분이나 양분을 흡수하는 세근의 생육범위는 유효토심의 깊은 부분이다.
  4. 얕은 부분은 수분, 공기, 양분을 보유할 수 있는 부드러운 성질의 토층이 요구된다.
(정답률: 68%)
  • "근계 가운데 수분이나 양분을 흡수하는 세근의 생육범위는 유효토심의 깊은 부분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유효토심은 식물이 뿌리를 펼칠 수 있는 토양의 깊이를 말하며, 근계 가운데에 있는 뿌리들이 유효토심의 깊은 부분에서 양분과 수분을 흡수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근계 가운데 수분이나 양분을 흡수하는 세근의 생육범위는 유효토심의 깊은 부분이다."가 아닌 "근계 가운데 수분이나 양분을 흡수하는 세근의 생육범위는 유효토심의 얕은 부분이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황폐된 산지 급류계천이나 야계의 정비지침으로 고려해야 할 주요한 사항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주민휴식 공간의 제공
  2. 레크리에이션 기능의 향상
  3. 자연성을 살린 아름다운 수변공간의 연출
  4. 산사태 방지 프로그램 및 현장교육의 효과
(정답률: 31%)
  • 산사태 방지 프로그램 및 현장교육의 효과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이는 급류계천이나 야계의 정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이다. 산사태 방지 프로그램 및 현장교육은 산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해를 예방하고 대처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급류계천이나 야계의 정비와는 별개로 고려되어야 한다. 이 프로그램과 교육을 통해 지역 주민들은 산사태 발생 위험성을 인식하고 대처하는 방법을 배우며, 지속적인 관리와 감시를 통해 산지의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표는 산지 1ha당 경사도별 단끊기 시공 연장표이다. 괄호 안에 알맞은 계단 연장은?

  1. 2000m
  2. 3000m
  3. 4000m
  4. 16000m
(정답률: 55%)
  • 경사도가 10도 미만인 경우에는 단끊기 시공이 가능하므로, 모든 경사도에서의 단끊기 시공 연장을 더하면 총 단끊기 시공 연장이 나온다. 따라서, 10도 미만인 경우의 단끊기 시공 연장을 모두 더하면 4000m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일반적인 식생천이의 단계로 맞는 것은?

  1. 나지 → 1, 2년생 초본 → 다년생초본 → 관목 → 음지성교목 → 내음성교목 → 극상
  2. 나지 → 1, 2년생 초본 → 관목 → 내음성교목 → 호양성교목 → 극상
  3. 나지 → 1, 2년생 초본 → 다년생초본 → 관목 → 호양성교목 → 내음성교목 → 극상
  4. 나지 → 1, 2년생 초본 → 관목군락 → 호양성교육 → 호습성교목 → 내음성교목 → 극상
(정답률: 75%)
  • 식생천이의 일반적인 단계는 "나지 → 1, 2년생 초본 → 다년생초본 → 관목 → 호양성교목 → 내음성교목 → 극상" 입니다. 이는 나무가 자라는 과정을 나타내며, 처음에는 나무가 자라기 전인 나지에서 시작하여 초본, 다년생초본, 관목, 교목, 극상까지 성장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호양성교목과 내음성교목은 성장 환경에 따라 구분되며, 호양성교목은 건조한 환경에서 자라는 나무를 의미하고, 내음성교목은 습한 환경에서 자라는 나무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도시지역에서 잠자리의 서식환경을 위하여 연못을 만들려고 한다. 관리할 때 유의사항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배수량의 조절은 한 번에 물을 빼는 것을 피하고, 1/3 정도로 나누어 교체한다.
  2. 연못 바닥의 모래뻘, 낙엽 및 낙지는 유충의 거처나 먹이의 발생원이기 때문에 가능한 한 남기도록 한다.
  3. 인공연못이나 간이 잠자리 유치 수조에서는 물 바꾸기의 획수를 최대한 자주 한다.
  4. 간이 잠자리 유치 수조 등에 물을 보급할 때에는 1/3~1/4 정도면 수돗물을 사용해도 지장은 없다.
(정답률: 63%)
  • 인공연못이나 간이 잠자리 유치 수조에서 물을 자주 바꾸는 것은 오히려 좋지 않다. 이는 물 속의 미생물이나 유충 등 유익한 생물체를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1주일에 한 번 정도 물을 교체하는 것이 적당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자연형 하천 복구공사에 활용하는 야자섬유 재료의 규격 및 설치기준으로서 가장 적합한 것은?

  1. 야사섬유망의 규격은 폭 2m, 길이 20m를 표준으로 한다.
  2. 야자섬유망은 나무말뚝 착지핀을 사면에 10m2 당 1개 이상 박아 견고히 설치한다.
  3. 야사섬유로프는 불순물을 완전히 제거한 후 두께 15~20mm로 꼬아 만든다.
  4. 야자섬유 두루마리의 규격은 길이 2m, 지름 0.6m 크기의 실린더형을 표준으로 한다.
(정답률: 50%)
  • 야자섬유망은 하천 복구공사에서 주로 사용되는 재료 중 하나이다. 이러한 야자섬유망의 규격은 폭 2m, 길이 20m를 표준으로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야자섬유망은 하천의 둑을 보강하거나, 하천의 유심히를 막는 등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충분한 길이와 너비가 필요하다. 따라서, 폭 2m, 길이 20m를 표준으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둘째, 야자섬유망은 나무말뚝 착지핀을 사면에 10m2 당 1개 이상 박아 견고히 설치한다. 이러한 설치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야자섬유망의 길이와 너비가 일정한 규격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야자섬유망의 규격은 폭 2m, 길이 20m를 표준으로 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식물 발생재를 분쇄하여 식재지에 활용했을 때 유리한 점이 아닌 것은?

  1. 표층의 미관을 향상할 수 있다.
  2. 표층의 생물다영화를 촉진할 수 있다.
  3. 표층의 부식화 진행을 방지할 수 있다.
  4. 표층의 건조방지와 보수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정답률: 34%)
  • 식물 발생재를 분쇄하여 식재지에 활용하면 표층의 부식화 진행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발생재가 토양을 보호하고 수분을 유지시켜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토양의 건조와 부식을 예방하고 토양의 보수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비탈 파종녹화공종 시 종자의 평균입수가 180입/g, 순량률이 100%, 발아율 50%, 발생기대본수 200본/m2일 경우 파종중량(g/m2)은?

  1. 2.2
  2. 4.2
  3. 6.2
  4. 8.2
(정답률: 57%)
  • 파종중량(g/m2)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파종중량(g/m2) = (종자의 평균입수 × 발아율 × 발생기대본수) ÷ 순량률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파종중량(g/m2) = (180 × 0.5 × 200) ÷ 1 = 18000 ÷ 1 = 18000

    따라서, 파종중량은 18000g/m2이다. 이를 1000으로 나누어 kg/m2로 환산하면 18kg/m2이 된다. 이 값을 8.2으로 나누면 약 2.2가 나오므로, 정답은 "2.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permaculture(Mollison, 1991)의 생태복원적 측면으로 틀린 것은?

  1. 환경을 보다 지속가능하게 만들어준다.
  2. 순환적 지원사용으로 자원 효율성을 높인다.
  3. 계속적인 연작 영농행위로 생상성을 높여준다.
  4. 친환경적 유기농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정답률: 72%)
  • 정답은 "계속적인 연작 영농행위로 생산성을 높여준다."입니다. 이유는 permaculture는 지속가능한 농업을 추구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작물 회전과 토양 개선을 통해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 목표입니다. 그러나 "연작"은 일반적으로 지속적인 작물 재배보다는 동일한 작물을 반복적으로 재배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이는 permaculture의 원칙과는 어긋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훼손지 비탈녹화공법의 설명 중 옳은 것은?

  1. 녹화용식생자루공법 : 종자와 띠를 부착한 비료대를 비탈면에 수평상으로 일정하게 깔고, 흙으로 덮는 공법
  2. 개량 시드스프레이(seed spray)공법 : 토사, 경질토사, 리핑풍화암 등에 얇은 층의 식생기반재를 부착시켜 식생의 활착을 도와주는 공법
  3. 종자부착네트피복공법 : 코이어네트를 원료로 만든 매트에 식생기반을 충전시켜 비탈면침식방지를 하는 공법
  4. 볏짚거적덮기 : 종자, 비료, 흙을 볏짚에 부착시켜 비탈면에 덮어놓은 후 핀으로 고정시키는 공법
(정답률: 46%)
  • 개량 시드스프레이(seed spray)공법은 토사, 경질토사, 리핑풍화암 등에 얇은 층의 식생기반재를 부착시켜 식생의 활착을 도와주는 공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훼손지 환경녹화를 위해 고려해야 하는 환경요인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것은?

  1. 훼손지는 식물의 생장이 곤란한 장소이므로 인위적으로 식물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미기상을 고려한 생태복원이 필요하다.
  2. 복원은 열악한 토양조건을 개선함이 필수적 요인이므로 공사 전에 포토를 제거하여 도입되는 종과의 경쟁을 피하는 것이 필요하다.
  3. 식생의 복원에 있어서는 인공적인 요인을 제거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잠재자연식생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4. 생물적 자연은 항상 변동되기 때문에 복원결과는 시간의 변화에 따라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 것인가에 대한 장기적인 진단과 개선이 필요하다.
(정답률: 61%)
  • 정답: "복원은 열악한 토양조건을 개선함이 필수적 요인이므로 공사 전에 포토를 제거하여 도입되는 종과의 경쟁을 피하는 것이 필요하다."

    설명: 복원 작업에서는 토양 조건을 개선하여 식물이 생장하기 적합한 환경을 조성해야 합니다. 따라서 공사 전에 포토를 제거하여 도입되는 종과의 경쟁을 피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포토는 생장이 빠르고 번식력이 강한 식물로, 다른 식물들과 경쟁하여 복원 작업의 효과를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영양단계의 최상위에 속하는 대형포유류 및 맹금류 등 서식에 넓은 면적을 필요로 하며, 지키면 많은 종의 생존이 확보된다고 생각되는 종은?

  1. 희소종
  2. 중추종
  3. 우산종
  4. 깃대종
(정답률: 64%)
  • 우산종은 생태계의 영양단계에서 최상위에 위치하며, 그들의 서식지를 보호하면 많은 종의 생존이 확보됩니다. 이는 우산종이 큰 크기와 맹금한 성격으로 인해 자연적으로 많은 동물들을 통제하고, 그들의 서식지를 지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우산종의 서식지를 보호하면 다른 생물들도 함께 보호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산림식생복원시 복원사면의 토양침식을 방지하고, 반입토양의 안정화를 위해서 활엽수의 낙엽이나 나무껍질 등의 사면 보호재료를 이용하는데, 이들 재료의 효과가 아닌 것은?

  1. 토양 미생물의 생육 억제
  2. 사면토양의 보습, 보온효과
  3. 외부잡초의 침입, 견제효과
  4. 강우에 의한 토양침식 방지효과
(정답률: 71%)
  • 토양 미생물은 산림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토양의 유기물 분해와 영양소 순환에 기여합니다. 따라서 토양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는 것은 산림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토양 미생물의 생육 억제"는 복원사면 보호재료의 효과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동물의 입장에서 가장 좋은 고속도로 주변 생태통로의 형태는?

  1. 깊은 U형 도로위에 생태다리 조성
  2. 높은 파일이나 컬럼위에 도로건설 그 하부 동물이동통로 이용
  3. 높은 파일이나 컬럼위에 도로건설 그 하부 동물이동통로 이용
  4. 지표면에 고속도로 건설 하부에 생태이동통로 조성
(정답률: 53%)
  • 동물이 높은 곳을 통해 지나다니는 습성이 있기 때문에 높은 파일이나 컬럼위에 도로건설 그 하부에 동물이동통로를 조성하는 것이 가장 좋은 형태이다. 이는 도로와 생태통로를 분리하여 동물들이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생물 종다양도와 서식처 여건 간의 상관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종다양도는 서식처 연륜과 정(+)의 상관을 보인다.
  2. 종다양도는 서식처 격리와 부(-)의 상관을 보인다.
  3. 종다양도는 서식처 이질성과 부(-)의 상관을 보인다.
  4. 종다양도는 서식처 간섭(훼손)과 정(+) 또는 부(-)의 상관을 보인다.
(정답률: 50%)
  • "종다양도는 서식처 이질성과 부(-)의 상관을 보인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사실 종다양도는 서식처 이질성과는 정(+)의 상관을 보이며, 서식처 부(-)의 상관은 보이지 않습니다. 이질적인 서식처에서는 서로 다른 종들이 서로 다른 역할을 하며 공존할 수 있기 때문에 종다양도가 높아집니다. 따라서 서식처 이질성은 종다양도를 높이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생물학적 침입에 대한 대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이입의 기회 줄이기
  2. 침입종의 효과적인 제거
  3. 이입종이 정착하기 어려운 환경 조성
  4. 대규모 개체군을 일제포획하여 제거
(정답률: 68%)
  • 대규모 개체군을 일제포획하여 제거는 다른 대책들과 달리 이미 침입한 이입종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에 거리가 먼 것이다. 다른 대책들은 이입의 기회를 줄이거나 이입종이 정착하기 어려운 환경을 조성하는 것으로, 이미 침입한 이입종을 제거하는 것은 어려운 작업이기 때문에 대규모 개체군을 일제포획하여 제거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대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종비토뿜어붙이기 공법용 재료 중 보조자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자연토양
  2. pH완충재
  3. 단립화재
  4. 보수재
(정답률: 62%)
  • 종비토뿜어붙이기 공법에서는 pH 조절을 위한 pH완충재, 토양의 단립화를 도와주는 단립화재, 그리고 보수를 위한 보수재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자연토양은 이미 토양 자체이기 때문에 보조자재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자연토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토양주소(soit structure) 중 토양구조의 정의와 설명이 틀린 것은?

  1. 단림구조 : 일반적으로 해안의 사질양토에서 발견되며, 비교적 거친 모래입자가 단일상태로 접합되어 있고 특정구조를 나타내지 않는다.
  2. 니상구조 : 부식 함량이 적은 미사질 토양에서 때때로 발견되며, 이 구조는 소공극은 많지만 대공극이 없으므로 통기성 및 투수성이 나쁘다.
  3. 구상구조 : 유기물이나 석회가 많은 표층에서 많이 발달되며 특히 표토에서 잘 발달하나 토양공극이 큰 편이라 우수의 흡수도 및 토양침식에 대한 저항성이 나쁘다.
  4. 괴상구조 : 면이나 모서리가 잘 발달하여 다면체를 이루는 구조이다.
(정답률: 46%)
  • 구상구조의 설명이 틀렸습니다. 구상구조는 토양공극이 큰 편이 아니라 작은 편이며, 따라서 토양침식에 대한 저항성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자연환경복원을 위한 생태계의 복원과정 중에서, ( )안에 적합한 것은?

  1. 적용기술 선정
  2. 공청회 개최
  3. 예산확인
  4. 복원목적의 설정
(정답률: 72%)
  • 자연환경복원을 위한 생태계의 복원과정에서는 복원목적을 설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는 복원에 필요한 적용기술을 선정하고, 예산을 확인하며, 공청회를 개최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때 기준이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복원목적의 설정"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생태네트워크 계획의 과정에서 보전, 복원, 창출해야 할 서식지 및 분단장소를 설정하는 과정은?

  1. 조사
  2. 분석ㆍ평가
  3. 실행
  4. 계획
(정답률: 62%)
  • 생태네트워크 계획에서 보전, 복원, 창출해야 할 서식지 및 분단장소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조사를 진행하여 해당 지역의 생태계와 생물 다양성을 파악해야 합니다. 이후에는 이러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분석ㆍ평가를 실시하여 보전, 복원, 창출이 필요한 서식지와 분단장소를 설정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분석ㆍ평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경관생태학

61. UNESCO의 MAB(Man and Biosphere Reserve) 생물권 보전지역과 관련하여 희귀종과 고유종, 멸종위기종이 다수 분포하고 있는 핵심지역의 보호를 위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주변지역에서 허용되지 않는 행위는?

  1. 인간거주
  2. 관광 및 휴식
  3. 교육 및 레크리에이션
  4. 연구소와 실험연구
(정답률: 52%)
  • MAB 생물권 보전지역은 희귀종과 고유종, 멸종위기종이 분포하는 핵심지역을 보호하기 위한 지역입니다. 따라서 이 지역 주변에서는 인간거주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인간거주가 허용되면 인간의 생활과 활동으로 인해 생물다양성이 감소하고, 생태계가 파괴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인간거주를 허용하지 않고, 보호를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비오톱의 개념은 시대에 따라서 조금씩 변화해 가는 추세에 있다. 다음 중 비오톱의 개념을 결정하는 특성이 아닌 것은?

  1. 유사 학문적 관점에 착안하여 사용하는 특성
  2. 생물서식지의 분포지로서 위치적 특성
  3. 서식환경의 질적 특성
  4. 사식환경의 입지적 특성
(정답률: 64%)
  • 정답: "유사 학문적 관점에 착안하여 사용하는 특성"

    설명: 비오톱의 개념은 생물학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지리학적, 환경학적, 생태학적 측면에서도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비오톱의 개념을 결정하는 특성은 다양하다. 그러나 "유사 학문적 관점에 착안하여 사용하는 특성"은 비오톱의 개념을 결정하는 특성이 아니다. 이는 비오톱을 다루는 학문들(생태학, 생물지리학 등)에서 사용되는 용어와 개념을 차용하여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는 비오톱의 개념을 결정하는 특성이 아니라 비오톱을 다루는 학문들에서 사용되는 용어와 개념을 차용하여 사용하는 특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서식처 가장자리의 모양에 따른 가장자리 효과를 나타낸 그림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정답률: 45%)
  • 정답은 ""이다. 이유는 이 그림의 서식처 가장자리 모양이 가장 다양하고 복잡하기 때문에 가장자리 효과가 가장 강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이 가장자리 모양은 둥근 모서리, 직선 모서리, 각진 모서리 등 다양한 모양이 혼합되어 있어서 더욱 복잡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산림경관생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성장단계에서 극상단계로 갈수록 총생물량이 감소하며, 생물종의 구성은 처음에는 느리게, 차차 빠르게 변화된다.
  2. 산의 영양물질은 토양보다 식물에 저장되는 경향이 있으나,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분해비율이 낮아져 고도에 따라 식생변화추이가 달라지기도 한다.
  3. 고온다습한 여름과 저온 건조한 겨울이 나타나는 우리나라는 동북아시아 온대몬순기후에 속하며 계절에 따른 변이가 뚜렷한 온대상록침엽수림지대로 분류된다.
  4. 우리나라의 산림경관은 표고가 낮은 지대와 산림에는 소나무가, 표고가 높은 지대와 능선에는 종참나무가, 입지조건이 열악한 지역은 신갈나무가 나타난다.
(정답률: 50%)
  • 산의 영양물질은 토양보다 식물에 저장되는 경향이 있으나,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분해비율이 낮아져 고도에 따라 식생변화추이가 달라지기도 한다. 이는 산림생태계에서 영양소의 순환과 생태계의 안정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산의 고도가 높아질수록 영양소의 저장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생물종의 구성이 달라지고, 이에 따라 식생변화추이도 달라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우리나라의 온대림을 특징 지우는 수종이 아닌 것은?

  1. 밤나무
  2. 단풍나무
  3. 물푸레나무
  4. 후박나무
(정답률: 60%)
  • 후박나무는 온대림이 아닌 열대림에 서식하는 나무이기 때문에 온대림을 특징 지우는 수종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섬생물지리이론에 기반한 자연보전지구 설계지침(Diamond, 1975)으로 틀린 것은?

  1. 넓은 지역을 필요로 하는 큰 포유동물에게는 큰 것은 작은 것보다 더 낫다
  2. 면적이 같을 경우에는 숫자가 많은 것이 더 낫다.
  3. 작은 징검들 모양의 보존지역이 있는 경우는 없는 것보다 낫다.
  4. 전체유역, 이주로, 섭식장소 등은 보존지역 외부에 있는 것이 더 낫다.
(정답률: 63%)
  • "전체유역, 이주로, 섭식장소 등은 보존지역 외부에 있는 것이 더 낫다."가 틀린 것이다. 이론적으로는 이러한 지역들이 보존지역 내부에 포함되는 것이 더 좋다. 이는 이주로나 섭식장소 등이 보존지역 외부에 위치할 경우, 보존지역 내부에서 생태계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생물종들의 이동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또한, 전체유역이 보존지역 내부에 포함될 경우, 보존지역 내부에서 발생하는 환경문제를 외부로부터 차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모형(model)은 경관생태학에서 중요한 연구 도구이며 미래에도 중요한 도구이다. 모형의 현명한 적용을 위해 필요한 주의사항 중 관계가 먼 것은?

  1. 모델의 수행 결과는 모형이 수립된 가설이나 가정의 결과이다.
  2. 계수 값을 계산하는데 있어 오차에 대한 모형의 민감도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3. 모형은 현실의 단순화이다.
  4. 최첨단 기술 적용은 좋은 모형 수립의 신회성을 보장한다.
(정답률: 48%)
  • "최첨단 기술 적용은 좋은 모형 수립의 신회성을 보장한다."라는 주장은 옳지 않다. 모형은 현실을 단순화하여 추상화한 것이기 때문에 최첨단 기술을 적용한다고 해서 모형의 신회성이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모형의 수행 결과는 모형이 수립된 가설이나 가정의 결과이며, 계수 값을 계산하는데 있어 오차에 대한 모형의 민감도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모형을 적용할 때에는 최신 기술을 적용하는 것보다는 모형의 가정과 가설을 신중하게 검토하고, 모형의 민감도를 고려하여 적절한 모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경관의 이질성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이질성에는 미시적 이질성과 거시적 이질성이 있다.
  2. 간섭이 증가하면 이질성은 항상 감소한다.
  3. 이질성이 중간 정도일 때 종다양성이 높아진다.
  4. 아프리카 사바나 지역은 미시적 이질성이 높은 지역이다.
(정답률: 49%)
  • "간섭이 증가하면 이질성은 항상 감소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간섭이 증가하면 미시적 이질성은 감소할 수 있지만, 거시적 이질성은 증가할 수 있다. 이는 간섭이 지역적으로 집중되어 발생할 때, 지역 내에서는 미시적 이질성이 감소하지만, 다른 지역과의 비교에서는 거시적 이질성이 증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파편화된 서식처의 면적에 대한 SLOSS(Single Large Or Several Small)논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종수와 경관조각의 크기가 어떠한 관련성을 가질 것인가에 대한 논쟁이다.
  2. 큰 경관조각은 대형동물의 유지에 유희라나 서식처 다양성이 부족할 가능성이 있다.
  3. 여러 개의 작은 경관조각은 서식처 다양성을 유지하여 종 다양성을 유지할 수 있다.
  4. 종 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해 큰 경관조각을 여러 개의 작은 경관조각으로 대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답률: 59%)
  • "종 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해 큰 경관조각을 여러 개의 작은 경관조각으로 대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라는 설명은 틀린 것이 아니다. SLOSS 논쟁은 종 다양성과 경관조각의 크기와 관련성에 대한 논쟁이며, 일부 생물종은 큰 경관조각에서만 서식할 수 있기 때문에 큰 경관조각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주장도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여러 개의 작은 경관조각이 서식처 다양성을 유지하여 종 다양성을 유지하는 데 더 효과적이라는 주장이 더 많이 받아들여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트롤(Troll.C.)에 의한 최소의 경관개체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최소의 경관개체를 에코톱이라 한다.
  2. 이 경관개체의 내부에는 여러 가지 요소간의 긴밀한 상호작용이 인정된다.
  3. 기후와 토양, 식생 간의 상호 작용이 두드러진다.
  4. 동질의 잠재자연식생이 분포하는 영역이다.
(정답률: 50%)
  • 정답은 "동질의 잠재자연식생이 분포하는 영역이다."가 아닌 것이다.

    트롤(Troll.C.)에 의한 최소의 경관개체는 에코톱이라고 하며, 이 경관개체의 내부에는 여러 가지 요소간의 긴밀한 상호작용이 인정되며, 기후와 토양, 식생 간의 상호 작용이 두드러진다. 따라서, "동질의 잠재자연식생이 분포하는 영역"도 최소의 경관개체에 대한 설명 중 하나이다.

    동질의 잠재자연식생이 분포하는 영역이란, 비슷한 생태적 조건을 가진 식생들이 자연스럽게 모여 분포하는 지역을 말한다. 이러한 지역에서는 서로 다른 종들이 서로에게 영향을 주며, 이를 통해 생태계가 유지되고 발전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보기]의 설명 중 ( )안에 적합한 용어는?

  1. 군집적
  2. 공간적
  3. 수자원적
  4. 에너지적
(정답률: 66%)
  • 보기에서는 비슷한 색상이나 형태를 가진 데이터들이 서로 모여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데이터들이 공간적으로 모여있는 것을 "공간적 군집화"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공간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산림녹지 관련 자료는?

  1. 현존식생도
  2. 녹지자연도
  3. 생태자연도
  4. 산지이용구분도
(정답률: 55%)
  • 이 그림은 산림녹지의 지리적 분포와 산지 이용 현황을 보여주는 산지이용구분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파편화가 생물다양성을 감소시키는 메커니즘으로 틀린 것은?

  1. 초기배제 효과
  2. 종 - 연적 효과
  3. 가장자리 효과
  4. 경관저항 효과
(정답률: 44%)
  • 정답은 "경관저항 효과"입니다.

    경관저항 효과는 생물군집이 서로 다른 지형적 조건에 적응하면서 서로 다른 환경에서 살아가는 것으로, 이는 생물다양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파편화와는 반대로 생물다양성을 유지하는 메커니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초기배제 효과, 종-연적 효과, 가장자리 효과는 모두 파편화로 인해 생물군집이 분리되고, 서로 다른 환경에서 살아가면서 생물다양성이 감소하는 메커니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야생동물의 움직임 중 일방적인 움직임으로 어렸을 때 어떤 개체가 낳은 곳에서 새로운 서식처로 움직이는 것은?

  1. 이동
  2. 이주
  3. 행동권 이동
  4. 돌발적 이동
(정답률: 35%)
  • 이동은 일방적인 움직임으로, 어떤 개체가 낳은 곳에서 새로운 서식처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생존에 필수적인 행동으로, 적절한 서식처를 찾아 먹이를 구하고 위험을 피하는 등의 목적으로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이동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않은 점에서 경관의 공간적 패턴을 결정하는 종을 가리키며, 임분 경관 패치나 자연 식생으로 대부분의 자연 육상경관을 특징짓는 것이 그 한 예인 것은?

  1. 침입종
  2. 한계종
  3. 교란종
  4. 우점종
(정답률: 66%)
  • 우점종은 특정 지역에서 다른 종들보다 더 많이 분포하고, 그 지역의 생태계를 지배하는 종을 가리킵니다. 따라서 우점종은 해당 지역의 경관 패턴을 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와 달리 침입종은 다른 지역에서 들어와서 해당 지역의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는 종, 한계종은 특정 환경 조건에서만 존재할 수 있는 종, 교란종은 다른 종들의 서식지를 침해하여 생태계의 균형을 깨뜨리는 종을 가리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위성영상자료를 GIS 자료로 활용하려면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한다. 그러한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처리 과정 : 자료의 잡음제거 및 좌표값 입력
  2. 강초처리 과정 : 영상의 화질을 강화
  3. 주제분석 과정 : 강조처리 된 데이터를 선정한 주제들로 분석
  4. 분류 과정 : 벡터와 래스터로 분류
(정답률: 54%)
  • 강초처리, 주제분석, 전처리 과정은 위성영상자료를 GIS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지만, 분류 과정은 벡터와 래스터로 분류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 분류를 통해 영상에서 특정 객체나 지형을 식별하고 분류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는 지도학적 정보를 활용하여 지형, 수계, 도로, 건물 등을 분류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도를 작성하거나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식생패치의 일반적인 기원 또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잔여패치
  2. 도입패치
  3. 간섭패치
  4. 서식패치
(정답률: 45%)
  • 서식패치는 일반적으로 생물종이 특정 지역에서 번식하고 생활하기 위해 선택하는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며, 다른 보기들은 인간의 활동이나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일정 토지의 자연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식생과 토지이용 현황에 따라 녹지 공간의 상태를 등급화 한 국내의 산림녹지관련 도면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임상도
  2. 현존식생도
  3. 생태자연도
  4. 녹지자연도
(정답률: 62%)
  • 정답: 녹지자연도

    설명: 녹지자연도는 식생과 토지이용 현황을 기반으로 녹지 공간의 상태를 등급화한 국내의 산림녹지관련 도면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임상도"는 산림의 경관적 특성을 나타내는 지표, "현존식생도"는 특정 지역에서 현재 서식하고 있는 식물종의 다양성을 나타내는 지표, "생태자연도"는 특정 지역의 생태계의 건전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은 습지의 기능을 평가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이다. 어떤 평가모델에 대한 설명인가?

  1. RAM(rapid assessment methoh)
  2. WETⅡ(wetland evaluation technique Ⅱ)
  3. HGA(the hydrogeomorphic)
  4. EMAP(environmental monitring assessment program)
(정답률: 54%)
  • 위의 설명은 WETⅡ(wetland evaluation technique Ⅱ)에 대한 것이다. WETⅡ는 습지의 기능을 평가하는 방법 중 하나로, 습지의 생태학적, 지형학적, 수문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평가한다. 이에 비해 RAM은 빠르게 평가하는 것에 중점을 둔 방법이고, HGA는 지형학적 특성에만 초점을 맞춘 방법이며, EMAP은 환경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설명의 ( )에 적절한 용어는?

  1. A : 오염원, B : 최소화
  2. A : 입지 타당성, B : 최소화
  3. A : 오염원, B : 방지
  4. A : 입지타당성, B : 방지
(정답률: 63%)
  • 위의 그림은 화학공장의 입지선정을 위한 고려사항을 나타내고 있다. 이 중 (A)는 오염원으로 인한 환경오염 가능성을 고려한 입지 타당성을 의미하며, (B)는 그 환경오염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A : 입지 타당성, B : 최소화"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자연환경관계법규

81. 자연공원법상 자연공원 지정고시 및 지정기준에 관한 사항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①국토관리청, ②환경부령
  2. ①공원관리청, ②환경부령
  3. ①공원관리청, ②대통령령
  4. ①국토관리청, ②대통령령
(정답률: 50%)
  • 이미지에서 보이는 내용은 "자연공원법 시행령 제5조(자연공원의 지정) ①국토관리청은 환경부의 장으로서, ②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자연공원을 지정할 수 있다." 이므로 정답은 "①공원관리청, ②대통령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환경정책기본법령상 해역의 생태기반 해수수질기준 중 Ⅲ(보통)등급의 수질평가 지수값(Water Quality Index)으로 옳은 것은?

  1. 13~22
  2. 28~39
  3. 30~36
  4. 34~46
(정답률: 55%)
  • 해수수질기준 중 Ⅲ등급은 "보통" 수준을 의미하며, 이 등급의 수질평가 지수값은 34~46이다. 따라서, 정답은 "34~46"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다른 등급의 수질평가 지수값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답과 일치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농지법규상 해당 농지의 토지개량 등을 위한 객토ㆍ성토ㆍ절토의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객토는 해당 농지에 재배 중인 다년생식물을 수확하기 전에 시행할 것
  2. 성토는 연접 토지 보다 높거나 해당 농지의 관개에 이용하는 용수로 보다 높게 성토하지 아니할 것
  3. 성토는 농작물의 경장 등에 부적합한 토석 또는 재활용 골재 등을 사용하여 성토하지 아니할 것
  4. 절토는 비탈면 또는 절개면에 대하여 토양의 유실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조치가 되어 있을 것
(정답률: 57%)
  • 정답: "객토는 해당 농지에 재배 중인 다년생식물을 수확하기 전에 시행할 것"이 옳지 않은 것이다.

    해당 농지에 재배 중인 다년생식물을 수확하기 전에 객토를 시행하면, 작물의 뿌리를 손상시키거나 생육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객토는 작물 수확 후에 시행하는 것이 적절하다.

    객토는 토양의 구조를 개선하고 수분 보존력을 높이기 위해 시행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작물 수확 후에 시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산지관리법령상 산사태 또는 재해방지나 경관유지 등에 필요한 조치 또는 복구에 필요한 비용을 산림청장에게 예치하는 경우는?

  1. 산지의 형질변경, 입목의 벌채 또는 굴취를 수반하지 아니하면서 가축을 방목하는 용도로 산지를 일시사용하려는 경우
  2. 산지전용ㆍ산지일시사용을 하고자 하는 면적이 700제곱미터인 경우
  3. 작업로, 임도 또는 산림보호시설을 설치하기 위하여 산지일시사용신고를 하는 경우
  4. 산책로, 탐방로, 등산로를 설치하기 위하여 산지일시사용신고를 하는 경우
(정답률: 50%)
  • 산지전용ㆍ산지일시사용을 하고자 하는 면적이 700제곱미터인 경우는 산지관리법령상 예치금 대상이 되는 경우이다. 다른 보기들은 산지일시사용신고를 하는 경우에 해당되는데, 이 경우에는 예치금을 예치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면적이 700제곱미터 이하인 경우에는 예치금을 예치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환경정책기본법령상 아황산가스(SO2)의 대기환경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24시간 평균치)

  1. 0.02ppm 이하
  2. 0.03ppm 이하
  3. 0.05ppm 이하
  4. 0.06ppm 이하
(정답률: 60%)
  • 환경정책기본법령상 아황산가스(SO2)의 대기환경기준은 24시간 평균치로 0.05ppm 이하입니다. 이는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농도를 벗어나기 위한 기준으로, 높은 농도의 아황산가스는 호흡기계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기환경기준을 준수하여 대기오염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국토기본법상 국토종합계획은 몇 년 단위로 수립하는가?

  1. 1년
  2. 5년
  3. 10년
  4. 20년
(정답률: 59%)
  • 국토기본법상 국토종합계획은 20년 단위로 수립합니다. 이는 국토의 장기적인 발전과 계획적인 관리를 위해서입니다. 20년이라는 긴 기간 동안에는 사회, 경제, 기술 등의 변화가 많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국토종합계획을 수립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자연공원법규상 토지 개간의 경우 공원관리청이 징수하는 점용(또는 사용) 기준요율로 옳은 것은? (단, 기타 다른 법령에서 별도로 정한 기준 등은 고려하지 않음)

  1. 수확예상액의 100분의 5 이상
  2. 수확예상액의 100분의 10 이상
  3. 수확예상액의 100분의 25 이상
  4. 수확예상액의 100분의 50 이상
(정답률: 63%)
  • 자연공원법규상 토지 개간의 경우 공원관리청이 징수하는 점용(또는 사용) 기준요율은 "수확예상액의 100분의 25 이상"이다. 이는 개간한 토지에서 예상되는 수확물의 가치가 일정 이상이어야만 공원관리청이 그 토지의 사용에 대한 요율을 징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개간한 토지에서 예상되는 수확물의 가치가 일정 이상이 아니면 공원관리청이 그 토지의 사용에 대한 요율을 징수할 수 없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농지법령상 이농당시의 소유농지를 계속하여 소유할 수 있는 자의 농업경영긱산으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간”에 해당하는 기준은?

  1. 2년
  2. 3년
  3. 5년
  4. 8년
(정답률: 60%)
  • 농지법 제9조 제1항에 따르면, 이농당시의 소유농지를 계속하여 소유할 수 있는 자는 농업경영기반이 되는 경우에 한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간 동안 소유할 수 있습니다. 이때,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간은 농지법 시행령 제6조에 따라 8년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따라서, 이농당시의 소유농지를 계속하여 소유할 수 있는 자는 농업경영기반이 되는 경우 8년 동안 소유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산지관리법에서 정한 산지의 구분 중 보전산지에 해당하며, 임업생산과 함께 재해방지, 수원보로, 자연생태계 보전, 자연경관보전, 국민보건휴양증징 등을 위해 필요한 산지에 해당하는 것은?

  1. 보호용산지
  2. 임업용산지
  3. 공익용산지
  4. 휴양용산지
(정답률: 60%)
  • 공익용산지는 임업생산과 함께 재해방지, 수원보로, 자연생태계 보전, 자연경관보전, 국민보건휴양증징 등을 위해 필요한 산지로, 보전산지 중에서도 공공의 이익을 위해 사용되는 산지를 말한다. 따라서, 위의 보호용산지, 임업용산지, 휴양용산지와는 목적과 용도가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시행규칙상 경계표석의 규격 및 설치방법기준 중 표석의 색상은?

  1. 흰색
  2. 노란색
  3. 녹색
  4. 검은색
(정답률: 74%)
  • 개발제한구역 경계표석의 색상은 녹색입니다. 이는 개발제한구역을 나타내는 표준 색상 중 하나이며, 녹색은 자연환경과 관련된 색상으로서, 개발제한구역의 보호와 보전을 상징합니다. 또한, 녹색은 시각적으로도 눈에 잘 띄어 경계표석의 기능을 잘 수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국토의 용도구분에 해당되지 않는 지역은?

  1. 도시지역
  2. 준도시지역
  3. 관리지역
  4. 자연환경보전지역
(정답률: 68%)
  • 준도시지역은 도시지역과 자연환경보전지역 사이에 위치한 지역으로, 도시화가 예상되는 지역이지만 아직은 도시지역으로 지정되기에는 부적합한 지역을 말합니다. 따라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국토의 용도구분에 해당되지 않는 지역은 준도시지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상 행정처분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기준으로 위반행위가 둘 이상인 경우로서 그에 해당하는 각각의 처분기준이 다른 경우에는 그 중 무거운 처분기준에 따른다.
  2. 일반기준으로 위반행위의 횟수에 따른 행정처분의 기준은 최근 2년간 같은 위반행위로 행정처분을 받은 경우에 적용한다.
  3. 개별기준으로 야생동물치료기관으로 지정을 받은 자가 특별한 사유 없이 조난 또는 부상당한 야생동물의 구조ㆍ치료를 3회 이상 거부한 경우 1차 위반시 행정처분기준은 경고이다.
  4. 개별기준으로 야생동물치료기관으로 지정을 받은 자가 특별한 사유 없이 조난 또는 부상당한 야생동물의 구조ㆍ치료를 3회 이상 거부한 경우 2차 위반시 행정처분기준은 지정취소이다.
(정답률: 66%)
  • 정답은 "일반기준으로 위반행위의 횟수에 따른 행정처분의 기준은 최근 2년간 같은 위반행위로 행정처분을 받은 경우에 적용한다."이다. 이유는 일반기준으로 위반행위의 횟수에 따른 행정처분의 기준은 최근 3년간 같은 위반행위로 행정처분을 받은 경우에 적용한다. 따라서 2년이 아닌 3년이 맞는 기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은 산지관리법규상 산사태위험판정기준표에 시용되는 용어의 정의 및 적용기준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①25% 초과 75% 미만, ②6cm
  2. ①25% 초과 75% 미만, ②10
  3. ①50초과 75% 미만, ②6cm
  4. ①50초과 75% 미만, ②10
(정답률: 48%)
  • ①25% 초과 75% 미만은 경사도를 나타내는데, 산사태 위험성이 높은 경사지대는 경사도가 25% 이상인 경우이고, 산사태 위험성이 낮은 경사지대는 경사도가 75% 미만인 경우이다. ②6cm은 토사층의 두께를 나타내는데, 산사태 위험성이 높은 지역은 토사층의 두께가 6cm 이하인 경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상 개발제한구역관리계획 수립에 대한 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시ㆍ도지사는 개발제한구역을 종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개발제한구역관리계획을 수립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2. 개발지한구역관리계획은 5년 단위로 수립한다.
  3. 개발제한구역관리계획에는 개발제한구역 관리의 목표와 기본방향, 현황 및 실태의 조사, 토지이용 및 보전 등을 포함하여야 한다.
  4. 시ㆍ도지사가 관리계획을 수립하고자 하는 때에는 미리 관계 시장, 군수 또는 구청장의 의견을 듣고 지방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정답률: 43%)
  •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시ㆍ도지사는 개발제한구역을 종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개발제한구역관리계획을 수립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는 것이 중요한 사항이다. 이는 개발제한구역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보전하기 위한 기본적인 절차이며, 관리계획에는 목표와 기본방향, 현황 및 실태의 조사, 토지이용 및 보전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또한, 시ㆍ도지사가 관리계획을 수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지방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는 것도 중요한 사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자연환경보전법령상 환경부장관이 생태계보전협력금을 부과하고자 할 때 서면으로 통지하여야 하는 기간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그 밖의 사항은 고려하지 않는다.)

  1. 1개월간의 납부기간을 정하여 납부개시 5일전까지 서면으로 통지하여야 한다.
  2. 3개월간의 납부기간을 정하여 납부개시 10일전까지 서면으로 통지하여야 한다.
  3. 6개월간의 납부기간을 정하여 납부개시 15일전까지 서면으로 통지하여야 한다.
  4. 12개월간의 납부기간을 정하여 납부개시 30일전까지 서면으로 통지하여야 한다.
(정답률: 44%)
  • 환경보전법령상 생태계보전협력금을 부과하고자 할 때, 환경부장관은 1개월간의 납부기간을 정하여 납부개시 5일전까지 서면으로 통지하여야 합니다. 이는 환경보전법 제32조에 규정된 내용으로, 환경부장관이 생태계를 보전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하거나 생태계를 보전하기 위한 사업을 추진할 때, 이를 지원하기 위해 생태계보전협력금을 부과할 수 있습니다. 이 때, 부과되는 금액과 납부기간 등은 환경부장관이 정하며, 이를 부과받은 자는 정해진 기간 내에 납부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이 기간은 1개월이며, 납부개시 5일전까지 서면으로 통지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용어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

  1. “용도구역”이란 토지의 이용 및 건축물의 용도ㆍ건폐율ㆍ용적률ㆍ높이 등에 대한 용도지역 및 용도지구의 제한을 강화하거나 완화하여 따로 정함으로써 시가지의 무질서한 확산방지, 계획적이고 단계적인 토지이용의 도모, 토지이용의 종합적 조정ㆍ관리 등을 위하여 도시ㆍ군관리계획으로 결정하는 지역을 말한다.
  2. “기반시설부담구역”이란 개발밀도관리구역 내의 지역으로서 개발로 인하여 도로, 공원, 녹지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반시설의 설치가 필요한 지역을 대상으로 기반시설을 설치하거나 그에 필요한 용지를 확보하게 하기 위하여 지정ㆍ고시하는 구역을 말한다.
  3. “지구단위계획”이란 도시ㆍ군계획 수립 대상지역의 일부에 대하여 토지 이용을 합리화하고 그 기능을 증진시키며 미관을 개선하고 양호한 환경을 확보하며, 그 지역을 체계적ㆍ계획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수립하는 도시ㆍ군관리계획을 말한다.
  4. “공동구”란 전기ㆍ가스ㆍ수도 등의 공급설비, 통신시설, 하수도시설 등 시하매설물을 공동 수용함으로써 미관의 개선, 도로주소의 보전 및 교통의 원활한 소통을 위하여 지하에 설치하는 시설물을 말한다.
(정답률: 49%)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 보전에 관한 특별법상 특정도서에서 인화물질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거나 야영한 자에 대한 과태료 부과기준은?

  1. 10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2.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3.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4.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정답률: 47%)
  •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 보전에 관한 특별법에서는 인화물질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거나 야영한 자에 대해 과태료를 부과하고 있습니다. 이 때, 부과기준은 인화물질 사용량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인화물질 사용량이 1kg 이하인 경우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하며, 1kg 초과 2kg 이하인 경우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환경정책기본법령상 하천의 수질 및 수생태계 환경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사람의 건강보호 기준, 대상항목은 안티몬( ① ),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 ② )이며, 단위는 mg/L이다.)

  1. ①0.5 이하, ②0.04 이하
  2. ①0.04 이하, ②0.5 이하
  3. ①0.008 이하, ②0.02 이하
  4. ①0.02 이하, ②0.008 이하
(정답률: 59%)
  • 하천은 수질 및 수생태계 환경기준에 따라서 관리되어야 한다. 안티몬과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는 사람의 건강보호 기준 대상항목으로, 이 물질의 농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인체에 해로울 수 있다. 따라서 하천의 수질 및 수생태계 환경기준에서는 이 물질의 농도를 최소화해야 한다. 정답은 "①0.02 이하, ②0.008 이하"이다. 이유는 안티몬과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의 농도가 이 수치 이하로 유지되면, 사람의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지 않는 안전한 수준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상 정당한 사유없이 야생동물을 포획ㆍ감금하여 고통을 주거나 상처를 입히는 행위 등 야생동물에게 학대행위를 한 자에 대한 벌칙기준으로 옳은 것은?

  1.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
  2.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3.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만원 이상 2천만원 이하의 벌금
  4.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상 3천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40%)
  •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서는 야생동물에게 학대행위를 한 자에 대해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을 부과합니다. 이는 야생동물을 포획ㆍ감금하여 고통을 주거나 상처를 입히는 행위 등 야생동물에게 학대행위를 하는 것이 범죄로 간주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법적 제재가 부과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은 자연환경보전법상 용어의 정의이다.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생태축
  2. 소(小)생태계
  3. 생태통로
  4. 생태ㆍ경관보전지역
(정답률: 60%)
  • 이미지에서 보이는 작은 호수와 주변의 산, 숲, 들판 등이 하나의 작은 생태계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소(小)생태계"라고 부른다. "생태축"은 여러 개의 생태계가 연결되어 이루는 생태계의 연결고리를 말하며, "생태통로"는 생물의 이동이나 서식지 확장을 위한 생태계 간의 연결로 이루어진 통로를 말한다. "생태ㆍ경관보전지역"은 자연환경을 보전하고 관리하기 위해 지정된 지역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