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생태복원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3-02)

자연생태복원기사(구)
(2014-03-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환경생태학개론

1. 생태적 피라미드(ecologlcar pyramid)중 군집에 기능적 성질의 가장 좋은 전체도(全體圖)를 나타내며, 피라미드가 항상 정점이 위를 향한 똑바른 형태의 피라미드로서 생태학적으로 가장 큰 의의를 가진 것은?

  1. 개채수 피라미드
  2. 에너지 피라미드
  3. 개체군 피라미드
  4. 생체량 피라미드
(정답률: 61%)
  • 에너지 피라미드는 생태계에서 에너지의 흐름을 보여주는 피라미드로, 생산자에서 소비자, 이를 먹는 상위 포식자까지 에너지가 전달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이는 생태계의 안정성과 생태적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또한, 에너지 피라미드는 생태계에서 가장 많은 에너지가 생산자에서 소비자로 전달되는 것을 보여주기 때문에 생태학적으로 가장 큰 의의를 가진 피라미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발전소 등의 냉각수에 의한 열오염(thermal pollution)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온상승으로 물속의 용존산소가 감소한다.
  2. 생물체의 생식주기, 소화율 등에 영향을 미친다.
  3. 상승된 온도조건의 수계에서 생물체의 성장률은 감소된다.
  4. 해양에서 비정상적인 조류의 출현으로 적조가 야기될 수 있다.
(정답률: 53%)
  • 해양에서 비정상적인 조류의 출현으로 적조가 야기될 수 있다. - 열오염은 냉각수로 인해 수온이 상승하면서 생물체의 생식주기, 소화율 등에 영향을 미치고, 물속의 용존산소가 감소하여 생물체의 성장률이 감소하는 등 수질 환경을 악화시키는 문제를 일으키지만, 비정상적인 조류 출현과 적조는 다른 문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개체군 생태학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 사망률(mortality)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단위 공간당 개체군의 크기를 말한다.
  2. 단위 시간당 죽음에 의해서 개체들이 사라지는 숫자를 말한다.
  3. 단위 시간당 생식 활동에 의해서 새로운 개체들이 더해지는 숫자를 말한다.
  4. 개체들이 공간에 분포되는 방법으로서 임의분포, 균일분포, 집중분포 등으로 구분한다.
(정답률: 91%)
  • 사망률(mortality)은 "단위 시간당 죽음에 의해서 개체들이 사라지는 숫자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생태적 천이에 따른 항상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천이 초기단계에서는 군락이 빨리 치환되므로 불안정하다.
  2. 군집이 성숙할수록 영양물 보존이 충분하다.
  3. 천이 초기단계에서는 내적공생이 발달한다.
  4. 성숙군집일수록 파괴에 대한 방어력이 커져 항상성이 증가한다.
(정답률: 76%)
  • "천이 초기단계에서는 내적공생이 발달한다."가 틀린 것이다. 천이 초기단계에서는 외부 환경의 변화에 민감하고 군락이 빨리 치환되므로 불안정하다. 내적공생은 군집이 성숙할수록 발달하며, 성숙군집일수록 파괴에 대한 방어력이 커져 항상성이 증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포유류 조사 중 족적, 배설물, 식혼 등에 의한 종 확인 방법에 해당 되는 것은?

  1. Field sigh
  2. Sand track
  3. Snap trap
  4. Point census
(정답률: 77%)
  • "Field sign"은 포유류가 남긴 족적, 배설물, 식혼 등의 자연적인 흔적을 통해 종을 확인하는 방법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Field sign"이 정답인 것입니다. "Sand track"은 모래 위에 남겨진 발자국을 통해 종을 확인하는 방법이며, "Snap trap"은 덫을 사용하여 포유류를 캡처하여 종을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Point census"는 특정 지역에서 포유류를 직접 관찰하여 종을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1. 툰드라
  2. 열대우림
  3. 온대낙엽수림
  4. 북방침엽수림
(정답률: 91%)
  • 이 그림은 지구의 기후대별로 나뉘어진 식물 지리적 분포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위쪽에 위치한 빨간색 영역은 열대우림 지역을 나타내며, 이 지역은 일년 내내 높은 기온과 습도가 유지되어 다양한 종류의 식물이 서식하는 지역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열대우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해수와 담수의 염분 기울기(salinity geadient)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강우로 인한 담수 유입이 많은 곳의 경우, 염분기울기는 완전한 외양수 농도에서 완전한 담수 농도까지 나타나기도 하며, 실제 이러한 경우를 하구역에서 종종 볼수가 있다.
  2. 하구역에서는 담수와 해수가 섞이기 때문에 종다양도가 매우 높으며, 몇몇 종의 생체량과 밀도가 매우 낮다.
  3. 대부분의 조간대에서 염분의 변화는 조석에 의해서 일어나기 때문에 변화 그 자체는 주기적이며 상당 부분 예견이 가능하다.
  4. 갯벌지역의 경우, 고인 물의 형태가 곳곳에 산재하고 있으며, 이들은 강우로 인해 희석되기도 하고, 밀물 시 증발로 인해 염분이 높아지기도 하는 등의 염분변화가 심하다.
(정답률: 73%)
  • "하구역에서는 담수와 해수가 섞이기 때문에 종다양도가 매우 높으며, 몇몇 종의 생체량과 밀도가 매우 낮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하구역에서는 염분 기울기가 높아지기 때문에 종다양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생체량과 밀도가 낮은 종이 많은 것은 오히려 염분 기울기가 낮은 해역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UNESCO의 MAB(Man and Biosphere Reserve)의 평가기준에서 “희귀종, 고유종, 멸종위기종이 많은 곳” 으로 구분한 이 지역은?

  1. 완충지역(Buffer Area)
  2. 전이지역(Transition Area)
  3. 가치지역(Value Area)
  4. 핵심지역(Core Area)
(정답률: 73%)
  • 정답: 아마존 우림

    설명: 아마존 우림은 희귀종, 고유종, 멸종위기종이 많은 지역으로 UNESCO의 MAB 평가기준에서 핵심지역(Core Area)으로 분류됩니다. 이 지역은 생태계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지역으로, 생태계의 안정성과 지속가능성을 유지하기 위해 보호되고 있습니다. 핵심지역은 생태계의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지역으로, 보호와 관리가 가장 엄격하게 이루어지는 지역입니다. 완충지역은 핵심지역과 인접한 지역으로, 생태계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보호와 관리가 이루어지는 지역입니다. 전이지역은 완충지역과 가치지역 사이의 지역으로, 생태계의 변화에 대한 대처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조치가 이루어지는 지역입니다. 가치지역은 생태계의 가치를 인식하고 보호하기 위한 지역으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조치가 이루어지는 지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황산암모늄, 황산칼륨, 염화칼륨 등의 비료성분이 가져올 수 있는 토양환경의 변화는?

  1. 토양 부영양화
  2. 토양 산성화
  3. 토양 건조화
  4. 토양 사막화
(정답률: 88%)
  • 황산암모늄, 황산칼륨, 염화칼륨 등의 비료성분은 토양의 pH를 낮추는 산성성분이기 때문에, 이러한 비료를 사용하면 토양의 pH가 낮아져서 토양 산성화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는 식물의 생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토양의 미생물 군집도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양의 비료를 사용하고, pH 조절을 위한 추가적인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어떤 환경에서 생물체가 여러 해 동안 점근선 밀도(K) 가까이에 존재하며, 이러한 생물체는 K 선택을 받는다. 다음 중 K-선택생물의 특징이 맞는 것은?

  1. 짧은 생활사를 갖는다.
  2. 부모로부터 자원의 분배가 적다.
  3. 몸집이 큰 소수의 자손을 생산한다.
  4. 일찍 성숙하여 생식률을 높인다.
(정답률: 66%)
  • K-선택생물은 자원이 제한적인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 몸집이 큰 자손을 생산한다. 이는 몸집이 큰 자손이 더 많은 자원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고, 생존과 번식에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K-선택생물은 자원이 제한적인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전략을 취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한 종이 점유지역이 아닌 곳으로 분포범위를 넓히는 영역 확장(range expansion)의 경우가 아닌 것은?

  1. 그 종의 산포를 저해하던 요인이 제거된 경우
  2. 종이 진화되어 부적당지역이 적당지역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 경우
  3. 그 종이 양육과 훈련행동을 하는 경우
  4. 이전에는 부적당하던 지역이 적당한 지역으로 변화된 경우
(정답률: 86%)
  • "그 종이 양육과 훈련행동을 하는 경우"는 개체들이 인위적으로 관리되고 있기 때문에 자연적인 분포 확장이 아니라 인위적인 이동이기 때문에 영역 확장(range expansion)의 경우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수질의 부영양화 현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용존산소의 고갈
  2. 적조현상
  3. N, P의 과량 유입
  4. 생물농축
(정답률: 84%)
  • 생물농축은 수질의 부영양화 현상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부영양화는 N, P 등의 영양염이 과도하게 유입되어 식물성 생물이 과도하게 번식하고 죽음으로써 수질이 악화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반면, 생물농축은 상위 생물이 하위 생물을 먹어서 생물체 내부에 존재하는 독성 물질이 상위 생물에 농축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생물농축은 부영양화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대규모의 산림도로정비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중 옳지 않은 것은?

  1. 도로 부설로 인해 산림생태계의 일부가 없어져 버린다.
  2. 절토, 성토를 통해 인공적인 경사면이 형성되며 통과차량에 의해 식생의 변화가 생긴다.
  3. 기초시설의 매설로 인해 지하 수맥이 변화하고 습지 환경의 소멸이 일어나기도 한다.
  4. 대규모 지형변화가 있을 경우 지하터널보다는 절토를 하여 시공하도록 한다.
(정답률: 88%)
  • 정답: 대규모 지형변화가 있을 경우 지하터널보다는 절토를 하여 시공하도록 한다.

    설명: 대규모 지형변화가 있을 경우 지하터널보다는 절토를 하여 시공하도록 하는 것은 올바른 방법이다. 이유는 지하터널은 지하수층을 파괴하고 지하수 환경을 변화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절토를 사용하여 지형을 조정하면서도 지하수 환경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다. 다른 보기들은 대규모 산림도로정비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은 내용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1차 천이의 개척자 생물군은 무엇인가?

  1. 지의류
  2. 잡초
  3. 관목
  4. 교목
(정답률: 87%)
  • 1차 천이는 지구의 지각적 변화로 인해 생겨난 것으로, 이때 지구의 대부분의 지표는 바위와 물로 이루어져 있었다. 그러나 이후에 식물이 생겨나면서 생물군이 형성되었는데, 이때 가장 먼저 생겨난 생물군이 지의류이다. 지의류는 바위나 흙 위에 생긴 이끼나 이끼류로, 물과 영양분을 흡수하여 생존한다. 따라서 1차 천이의 개척자 생물군으로 지의류가 선택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해양오염 물질에 대한 각 분류군별 독성의 정도는 다르다. 다음 생물 중 오염물질에 대한 독성의 정도가 가장 높은 분류군은?

  1. 플랑크톤
  2. 저서무척추동물
  3. 연체동물
  4. 어류
(정답률: 75%)
  • 어류는 다른 분류군에 비해 더 큰 크기와 긴 수명을 가지고 있으며, 높은 지배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오염물질에 대한 노출이 더 많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어류는 먹이 사슬의 상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하위 생물들이 노출한 오염물질을 먹이로 섭취하여 농축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어류는 다른 생물에 비해 오염물질에 대한 독성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물질 중 중금속에 의한 오염의 원인물질로 최초 과정에 해당되는 것은?

  1. 카드뮴
  2. 수은
  3. 오존
(정답률: 59%)
  • 오존은 자외선과 대기 중의 산화물질이 반응하여 생성되는 대기 오염물질로, 대기 중의 중금속 오염물질을 생성하는 최초 과정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중금속 오염물질 중에서도 오존은 최초 원인물질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에너지가 무기 환경에서 생물계로 들어오는 최초 과정에 해당되는 것은?

  1. 분해자에 의한 생물 사체의 분해
  2. 생산자의 1차 소비자에 의한 소비
  3. 생산자의 광합성
  4. 1차 소비자의 2차 소비자에 의한 소비
(정답률: 81%)
  • 생산자의 광합성은 태양에서 나오는 에너지를 식물이나 조류와 같은 생산자들이 흡수하여 이를 이용해 이산화탄소와 물을 이용하여 유기물을 합성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에서 생산자들은 에너지를 생물계로 가져오는 최초의 과정을 수행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는 에너지가 무기 환경에서 생물계로 들어오는 최초의 과정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은 무엇을 설명한 것인가?

  1. DO
  2. BOD
  3. COD
  4. SS
(정답률: 72%)
  • 이 그림은 폐수 처리 과정에서 측정하는 수질 지표 중 하나인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을 나타내고 있다. COD는 폐수 내에 존재하는 유기물의 양을 측정하여 수질 오염 정도를 파악하는 지표이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 정답은 "CO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육상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비교하였을 때 산림생태계가 가지는 특징을 정확하게 설명한 것은?

  1. 생산자인 수목류는 수명이 수십에서 수백년으로 길고 크게 성장하기 때문에 거대한 현존량을 가진다.
  2. 수목류와 초본류로 단순하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다른 육상생태계에 비해 생산력이 낮다.
  3. 수관, 하층의 수목군, 임상 등의 산림계층구조로 구성되어 생태ㆍ생리적인 특성이 동일한 식물종이 수직적으로 분포한다.
  4. 수목류는 태양에너지의 흡열층이 되고 지표에서는 방사열을 억제하기 때문에 일교차가 큰 온도 환경을 만들어 낸다.
(정답률: 74%)
  • "생산자인 수목류는 수명이 수십에서 수백년으로 길고 크게 성장하기 때문에 거대한 현존량을 가진다." 이유는 수목류가 오랜 기간 동안 자라며 큰 크기를 가지기 때문에, 많은 양의 생산물을 만들어내고 이를 다른 생물들이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수목류는 오랜 기간 동안 살아남아서 현재까지도 많은 양의 수목류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거대한 현존량을 가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년생 식물이 아닌 것은?

  1. 참억새
  2. 코스모스
  3. 붓꽃
  4. 달맞이꽃
(정답률: 77%)
  • 코스모스는 일년생 식물이기 때문에 다년생 식물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환경계획학

21. 계획은 사회의 보편적 가치를 토대로 한 집합적 의사결정 시스템으로 존재하는 동시에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적 해결책으로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에 기초해 논의되는 초지이용계획의 역할로 틀린 것은?

  1. 난개발의 방지
  2.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토지의 보전 기능
  3. 세부 공간환경설계에 대한 지침 제시
  4. 토지이용현황의 적합성 판단과 규제 수단 제시
(정답률: 62%)
  • "토지이용현황의 적합성 판단과 규제 수단 제시"는 초지이용계획의 주요 역할 중 하나이다. 이는 계획적인 토지이용을 위해 현재 토지의 상황을 분석하고, 적합하지 않은 토지의 이용을 제한하거나 규제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난개발을 방지하고,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토지의 보전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세부 공간환경설계에 대한 지침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토지이용을 추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국토 교통부장관, 시ㆍ도지사 또는 대도시 시장은 관련 규정에 따라 도시ㆍ군관리계획결정으로 「경관지구」를 세분화할 수 있는데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수변경관지구
  2. 자연경관지구
  3. 역사문화경관지구
  4. 시가지경관지구
(정답률: 48%)
  • "역사문화경관지구"는 도시나 지역의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높은 지역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따라서, 다른 세 가지 보기인 "수변경관지구", "자연경관지구", "시가지경관지구"는 경관적인 측면에서 구분되는 지역이지만, "역사문화경관지구"는 역사와 문화적인 측면에서 구분되는 지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지속가능한 개발과 경제성장곡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현 상황하의 성장인 경우에는 급격한 경제성장 시점이 있다.
  2. 현 상황하의 성장인 경우에는 경제성장이 하강하는 부분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3. 지속가능한 성장을 할 경우에는 경제성장속도가 완만한 곡선의 형태를 나타낸다.
  4. 지속가능한 성장을 할 경우에는 하강하는 부분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정답률: 57%)
  • 정답은 "현 상황하의 성장인 경우에는 경제성장이 하강하는 부분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이다. 이유는 모든 경제성장은 일정한 시기에는 하강하는 부분이 나타나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하강은 경제주기의 일부분으로, 경제성장이 지속되는 한 반드시 일어날 것이다. 따라서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이러한 경제주기를 예측하고 대처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생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핵심지역
  2. 개발지역
  3. 완충지역
  4. 생태적 코리더
(정답률: 80%)
  • 생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요소는 핵심지역, 완충지역, 생태적 코리더이다. 개발지역은 생태 네트워크를 파괴하거나 변형시킬 수 있는 위험이 있기 때문에 생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요소가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개발지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설명은 어느 국제협력기구의 설명인가?

  1. 유엔개발계획(UNDP)
  2. 지구위원회(Earth Council)
  3. 유엔환경계획(UNEP)
  4. 지속발전위원회(the Commission Sustainable Development)
(정답률: 79%)
  • 그림에서 보이는 로고가 유엔환경계획(UNEP)의 로고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한 광역도시계획 및 시ㆍ군 기본계획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국토해양부장관은 광역도시계획을 변경하려면 관계 시ㆍ도지사에게 광역도시계획안을 송부하여야 하며, 관계 시 ㆍ도지사는 그 광역도시계획안에 대하여 그 시ㆍ도의 의회와 관계 시장 또는 군수의 의견을 들은 후 그 결과를 국토해양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2. 국가계획과 관련된 광역도시계획의 수립이 필요한 경우나 광역계획권을 지정한 날부터 3년이 지날 때까지 관할 시ㆍ도지사로부터 관련 규정에 따른 광역 도시 계획의 승인이 없는 경우 국토해양부장관이 수립한다.
  3. 특별시장ㆍ광역시장ㆍ특별자치시장ㆍ특별자치도지사ㆍ시장 또는 군수는 5년마다 관할 구역의 도시ㆍ군기본계획에 대하여 그 타당성을 전반적으로 재검토하여 정비하여야 한다.
  4. 시장 또는 군수는 도시ㆍ군기본계획을 수립하거나 변경하려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토해양부 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정답률: 37%)
  • 시장 또는 군수는 도시ㆍ군기본계획을 수립하거나 변경하려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토해양부 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정답) 광역도시계획의 경우에는 시ㆍ도지사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광역계획권을 지정한 경우나 광역도시계획의 수립이 필요한 경우에는 국토해양부장관이 승인할 수 있다. 또한, 도시ㆍ군기본계획의 경우에는 5년마다 타당성을 재검토하여 정비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주거ㆍ상업 또는 공업지역에서의 개발행위로 인하여 기반시설(도시ㆍ군계획시설을 포함)의 처리ㆍ공급 또는 수용능력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 중 기반시설의 설치가 곤란한 지역에 대해 지정할 수 있는 구역은?

  1. 개발밀도관리구역
  2. 개발제한구역
  3. 시설용도제한구역
  4. 기반시설부담구역
(정답률: 38%)
  • "개발밀도관리구역"은 주거, 상업 또는 공업지역에서의 개발로 인해 기반시설의 처리, 공급 또는 수용능력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 중 기반시설의 설치가 곤란한 지역에 대해 지정하는 구역입니다. 이 구역은 개발 밀도를 제한하여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필요한 구역입니다. 따라서, "개발밀도관리구역"이 정답입니다. "개발제한구역"은 자연환경 보전을 위해 개발이 제한되는 구역, "시설용도제한구역"은 특정 시설의 설치가 제한되는 구역, "기반시설부담구역"은 개발자가 기반시설을 건설하거나 개선하는데 필요한 부담금을 부과받는 구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환경친화적 택지개발계획 수립을 위한 기본원칙으로서 자연자원보전 및 복원부문의 내용에 맞지 않는 것은?

  1. 물순환을 고려하여 보도 등은 불투수성 재료로 포장하여 우수담수를 위한 오픈공간을 조성한다.
  2. 건물옥상 및 인공지반을 이용하여 옥상녹화, 인공지반녹화, 벽면녹화 등을 통하여 녹지면적을 최대한 확대한다.
  3. 보전가치가 있는 지형ㆍ지질의 존재 유무와 보전대책 및 임상이 양호한 임야지역의 보전대책을 마련한다.
  4. 단지 내 단위 거점소생물권의 연못, 채원, 자연학습원, 약초원, 유실수원 등을 균등하게 배치하고 이들의 그린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정답률: 66%)
  • 정답은 없습니다. 모든 내용이 환경친화적 택지개발계획 수립을 위한 기본원칙으로서 자연자원보전 및 복원부문의 내용에 맞습니다.

    "물순환을 고려하여 보도 등은 불투수성 재료로 포장하여 우수담수를 위한 오픈공간을 조성한다."는 물순환을 고려하여 우수담수를 보존하고 활용하기 위한 내용으로 자연자원보전 및 복원부문의 내용에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용어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공동구 : 지하매설물을 공동 수용함으로써 미관의 개선, 도로구조의 보전 및 교통의 원활한 소통을 위하여 지하에 설치하는 시설물
  2. 용도지구 : 토지의 이용 및 건축물의 용도ㆍ건폐율ㆍ용적율ㆍ높이 등에 대한 용도지역의 제한을 강화 또는 완화하여 적용함으로써 용도지역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미관ㆍ경관ㆍ안전 등을 도모하기 위하여 도시ㆍ군관리 계획으로 결정하는 지역
  3. 개발밀도관리구역 : 개발로 인하여 기반시설의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나 기반시설의 설치가 곤란한 지역을 대상으로 건폐율 또는 용적율ㆍ높이ㆍ녹지율을 강화하여 적용하기 위하여 지정하는 구역
  4. 기반시설부담구역 : 개발밀도관리구역 외의 지역으로서 개발로 인하여 기반시설의 설치가 필요한 지역을 대상으로 기반시설을 설치하거나 그에 필요한 용지를 확보하게 하기 위하여 관련 규정에 의해 지정ㆍ고시하는 구역
(정답률: 52%)
  • 용도지구는 토지의 이용 및 건축물의 용도ㆍ건폐율ㆍ용적율ㆍ높이 등에 대한 용도지역의 제한을 강화 또는 완화하여 적용함으로써 용도지역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미관ㆍ경관ㆍ안전 등을 도모하기 위하여 도시ㆍ군관리 계획으로 결정하는 지역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오늘날 야기되는 대표적인 환경문제가 아닌 것은?

  1. 이산화탄소 감소
  2. 대기오염
  3. 지구온난화
  4. 자원고갈
(정답률: 74%)
  • 이산화탄소 감소는 환경문제가 아니라 대처해야 할 문제입니다. 이산화탄소는 지구온난화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며, 이를 줄이기 위한 대책으로 이산화탄소 감소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이산화탄소 감소는 환경문제가 아니라 대처해야 할 문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산림청장은 환경부장관과 협의하여 보호지역의 지정을 해제하거나 변경 할 수 있는데, 이 백두대간 보호지역의 지정해제 요건이 아닌 것은?

  1. 보호지역의 지정목적 상시
  2. 핵심구역과 완충구역 간 구역변경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3. 보호지역 지정 10년경과 후 사유자의 매입으로 인해 사유지가 된 경우
  4. 자연적ㆍ사회적ㆍ경제적ㆍ지역적 여건 변화 등으로 인해 보호지역으로 계속 지정 관리 할 필요가 없는 경우
(정답률: 64%)
  • 산림청장은 보호지역의 지정을 해제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데, 이 백두대간 보호지역의 지정해제 요건이 아닌 것은 "보호지역 지정 10년경과 후 사유자의 매입으로 인해 사유지가 된 경우"입니다. 이는 보호지역 지정 목적이 상시적이지 않고, 자연적ㆍ사회적ㆍ경제적ㆍ지역적 여건 변화 등으로 인해 보호지역으로 계속 지정 관리 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보호지역 지정 10년경과 후 사유자의 매입으로 인해 사유지가 된 경우는 보호지역의 지정해제 요건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환경계획을 위해 요구되는 생태학적 지식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자연계를 설명하는 이론으로서 순수생태학적 지식
  2. 훼손된 환경의 복원과 새로운 환경건설에 관련된 지식
  3. 인간의 환경의 복원과 새로운 환경건설에 관련된 지식
  4. 토지이용계획 수립에 필요한 지역의 개발계획에 관련된 정보
(정답률: 61%)
  • 토지이용계획 수립에 필요한 지역의 개발계획에 관련된 정보는 생태학적인 지식이 아니라, 지리학적, 경제학적, 사회학적인 지식이 필요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생태학적 지식은 자연계를 설명하는 이론, 훼손된 환경의 복원과 새로운 환경건설에 관련된 지식, 인간의 환경의 복원과 새로운 환경건설에 관련된 지식 등과 같은 것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환경문제의 특성에 해당되지 않는 사항은?

  1. 엔트로피 감소
  2. 상호관련성
  3. 광역성
  4. 시차성
(정답률: 71%)
  • 정답: "엔트로피 감소"

    설명: 엔트로피 감소는 환경문제의 특성에 해당되지 않는다. 엔트로피란 시스템의 무질서도를 나타내는 물리학적 개념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엔트로피 감소는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환경문제의 특성은 상호관련성, 광역성, 시차성 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현대 산업사회의 환경문제에 대한 시각에 해당하지 않는 흐름은?

  1. 기술중시주의
  2. 인간중시주의
  3. 생태중시주의
  4. 개발중시주의
(정답률: 53%)
  • 정답: "인간중시주의"

    설명: 현대 산업사회에서는 환경문제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시각으로는 기술중시주의, 생태중시주의, 그리고 개발중시주의가 있다. 기술중시주의는 기술 발전을 중시하며, 생태중시주의는 환경 보호를 중시하며, 개발중시주의는 경제 발전과 성장을 중시한다. 반면에 인간중시주의는 인간의 편의와 행복을 중시하는 시각으로, 환경문제와는 거리가 멀다. 따라서, 인간중시주의는 현대 산업사회의 환경문제에 대한 시각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환경정책의 추진 원칙이 될 수 없는 것은?

  1. 오염원인자 책임원칙
  2. 사전예방의 원칙
  3. 공동부담의 원칙
  4. 오염배출원 증가의 원칙
(정답률: 68%)
  • 환경정책의 추진 원칙은 환경을 보호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다. 따라서 "오염배출원 증가의 원칙"은 환경보호와는 전혀 관련이 없으며, 오히려 환경을 파괴하고 오염을 증가시키는 것이므로 환경정책의 추진 원칙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환경부장관은 자연환경보전기본계획의 시행성과를 몇 년마다 정기적으로 분석ㆍ평가하고 그 결과를 자연환경보전정책에 반영하여야 하는가?

  1. 2년
  2. 3년
  3. 5년
  4. 10년
(정답률: 37%)
  • 환경부장관은 자연환경보전기본계획의 시행성과를 정기적으로 분석ㆍ평가하여 그 결과를 자연환경보전정책에 반영해야 합니다. 이때, 분석ㆍ평가를 얼마나 자주 해야 하는지는 보통 계획 수립 시 결정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2년"이 정답인데, 이는 자연환경보전기본계획에서 분석ㆍ평가를 2년마다 실시하도록 결정되었기 때문입니다. 즉, 2년마다 분석ㆍ평가를 실시하여 정책에 반영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자연공원을 효율적으로 보전하고 이용하기 위하여 결정하는 용도지구가 아닌 것은?

  1. 공원자연보존지구
  2. 공원자연환경지구
  3. 공원문화유산지구
  4. 공원집단시설지구
(정답률: 55%)
  • 공원집단시설지구는 자연공원을 보전하고 이용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공원 내에 있는 시설물과 인프라를 관리하고 개발하는 것이 목적인 지구이기 때문에 자연보전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자연공원을 효율적으로 보전하고 이용하기 위한 결정용도지구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전체 1km2 개발대상지를 조사한 결과 논이 0.5km2, 20년 이상된 2차 림이 0.1km2, 과수원이 0.2km2, 잣나무 조림지가 0.2km2로 조사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녹지자연도를 작성하였을 때 5등급 이상에 해당하는 면적의 비율은?

  1. 10%
  2. 20%
  3. 30%
  4. 40%
(정답률: 7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환경지표는 정보전달의 제1종 지표와 가치평가의 제2종 지표의 제계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다음 중 제 2종 지표로만 묶여진 것은?

  1. 물가지수, 대기질 종합지표
  2. 오염피해 지표, 대기질 종합지표
  3. 도시쾌적성ㆍ만족도지표, 오염피해 지표
  4. 오염피해 지표, 수질종합지표
(정답률: 63%)
  • 정답은 "도시쾌적성ㆍ만족도지표, 오염피해 지표"입니다.

    환경지표는 정보전달과 가치평가의 두 가지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정보전달의 제1종 지표는 대기질 종합지표, 수질종합지표 등과 같이 환경상태를 측정하고 보고하는 지표입니다. 반면에 가치평가의 제2종 지표는 도시쾌적성ㆍ만족도지표, 오염피해 지표 등과 같이 환경의 가치를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도시쾌적성ㆍ만족도지표, 오염피해 지표"는 가치평가의 제2종 지표로만 분류됩니다. 도시쾌적성ㆍ만족도지표는 환경의 가치를 평가하는 지표이며, 오염피해 지표는 환경의 가치를 평가하면서도 동시에 정보전달의 역할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지리정보체계(GIS)의 기능적 요소가 아닌 것은?

  1. 자료의 전처리
  2. 레이어
  3. 자료의 관리
  4. 조정과 분석
(정답률: 66%)
  • 레이어는 GIS에서 지도상에 표현되는 객체들의 집합을 말하며, 기능적 요소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레이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생태복원공학

41. 야생동물 이동통로 조성시 야생동물의 유인 및 이동을 촉진시키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곤충의 유인 및 이동을 위해 먹이식물이나 일원식물을 적극 도입한다.
  2. 양서류의 이동을 위해 측구 등에 의한 이동용 보조통로를 설치한다.
  3. 조류의 유인을 위해 식이식물을 식재한다.
  4. 표유류의 이동을 위해 단층구조의 수림대를 조성한다.
(정답률: 77%)
  • 표유류는 단층구조의 수림대를 통해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이 방법은 표유류의 유인 및 이동을 촉진시키는 방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용도별 자생식물 구분 중 “암석원”에 식재하기 가장 적합한 식물은?

  1. 둥근잎꿩의비름
  2. 벌개미취
  3. 순비기나무
  4. 미나리
(정답률: 48%)
  • 암석원은 바위 위나 틈새에 자생하는 식물이 적합합니다. 이 중에서도 둥근잎꿩의비름은 바위 위에 뿌리를 내리며 바위를 덮는 능력이 있어서 암석원에 식재하기 가장 적합합니다. 벌개미취는 습지나 늪 지대에 적합하고, 순비기나무는 산림지나 수변지대에 적합하며, 미나리는 물가나 습지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대규모 건설사업이 생태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생물 서식지의 훼손 및 손실
  2. 생물 서실지의 단절 및 분절
  3. 생물종 다양성의 지속적 유지
  4. 생태계 기능의 변화
(정답률: 81%)
  • 생물종 다양성의 지속적 유지는 대규모 건설사업이 생태환경에 미치는 영향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생물종 다양성이 생태계의 안정성과 기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생물종 다양성이 유지되면서 서로 다른 생물종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며 생태계를 유지하고, 이를 통해 인간의 생활에 필요한 자원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대규모 건설사업을 계획할 때는 생물종 다양성을 고려하여 생태환경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식물군집이 성립하는 조건은 식물의 종이 군집적 질서를 지니는 조건이다. 어떤 식물종이 군집을 구성하기 위해 충족해야 할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종(種)이 플로라(flora)의 분포영역 외부에 있어야 한다.
  2. 군집의 환경적 질서규제를 받아야 한다.
  3. 군집의 사회적 질서규제를 받아야 한다.
  4. 환경적 질서규제는 군집의 외적인 요소이고, 사회적 질서 규제는 내적 요인이다.
(정답률: 66%)
  • "종(種)이 플로라(flora)의 분포영역 외부에 있어야 한다."가 틀린 이유는 군집을 구성하는 종들이 특정 지역에서 함께 자라는 것이기 때문에, 그 지역 내에서 분포하는 종들이 군집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군집을 구성하는 종들은 플로라의 분포영역 내에 있어야 한다. 환경적 질서규제는 군집의 외적인 요소이고, 사회적 질서 규제는 내적 요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절리가 있는 연암 및 경암의 정토 비탈면을 구하기 위한 녹화공법으로써 가장 적합한 것은?

  1. 종자뿜어붙이기
  2. 식생매트공법
  3. 식색구멍심기
  4. 식생기반재 뿜어붙이기
(정답률: 58%)
  • 절리가 있는 연암 및 경암의 정토 비탈면을 구하기 위해서는 식생기반재 뿜어붙이기가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식물의 씨앗과 함께 흙을 뿌리는 방식으로, 식물이 자라는 과정에서 흙이 고정되어 비탈면의 안정성을 높여주기 때문입니다. 또한 식물의 뿌리가 토양을 고정시켜주기 때문에 토양유실을 방지하고, 식물이 자라는 과정에서 생기는 산소와 이산화탄소 교환으로 인해 토양의 건강도 유지됩니다. 따라서 절리가 있는 연암 및 경암의 정토 비탈면을 구하기 위해서는 식생기반재 뿜어붙이기가 가장 적합한 녹화공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일반적으로 식물의 생육에 적합한 토양의 상태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질소, 인산, 칼륨 등의 필요 성분을 되도록 포함할 것
  2. 투수성, 통기성, 배수성이 좋을 것
  3. 부식질이 많고 부드러운 입자로 구성될 것
  4. 토양 PH가 가능한 한 약알칼리성에 가까울 것
(정답률: 73%)
  • "토양 PH가 가능한 한 약알칼리성에 가까울 것"이 틀린 이유는 대부분의 식물들이 약산성 토양에서 잘 자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식물의 생육에 적합한 토양의 상태 조건은 "토양 PH가 가능한 한 약산성에 가까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돌쌓기공사의 시공방법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찰쌓기공법은 메쌓기공법보다 석축 뒤에 물빼기에 특별히 유의하지 않아도 된다.
  2. 돌쌓기벽의 기울기는 일반적으로 찰쌓기공법에서 1:0:3, 메쌓기공법에서 1:0:2를 표준으로 한다.
  3. 돌과 돌 사이는 채움돌과 자갈 등으로 채우고, 위로 부터의 압력이 균등하게 전달되도록 시공한다.
  4. 넷붙임과 넷에움은 돌의 사용개수가 같다.
(정답률: 60%)
  • 돌쌓기공사에서 돌과 돌 사이는 채움돌과 자갈 등으로 채우고, 위로 부터의 압력이 균등하게 전달되도록 시공하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이는 돌쌓기벽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돌과 돌 사이에 공간이 있으면 벽이 불안정해지고 무너질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채움돌과 자갈 등으로 공간을 채워서 벽의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다른 보기들은 돌쌓기공사와 관련이 없거나 부분적으로 옳은 내용을 담고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파종중량(W)의 산출식으로 옳은 것은? (단, G : 발생기대본수(본/m2), S : 평균입수(일/g), P : 순량률(%), B : 발아율(%))

(정답률: 69%)
  • 정답은 ""이다.

    파종중량(W) = G / (S * P * B)

    이 식에서 G는 발생기대본수(본/m^2), S는 평균입수(일/g), P는 순량률(%), B는 발아율(%)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 옳은 산출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유효수분량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유효수분량은 식물이 이용할 수 있는 토양속의 수분량을 가리키는 것이다.
  2. 일반적으로 pF1.8(포장용수량)과 pF5.0(영구위조점)의 수분량의 차를 이효성(易效性) 유효수분이라고 한다.
  3. 일반적으로 이효성유효수분량의 수치를 L/m3 단위로 표시하여 토양의 보수력을 평가한다.
  4. 유효수분량은 일반적으로 80L/m3 이상이 바람직하다.
(정답률: 66%)
  • "일반적으로 이효성유효수분량의 수치를 L/m3 단위로 표시하여 토양의 보수력을 평가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유효수분량은 일반적으로 %로 표시되며, 토양의 보수력을 평가하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조(鳥)류 서식지의 복원시 종별 선호하는 서식처를 잘못 연결한 것은?

  1. 꼬마물떼새, 노랑할미새 - 돌틈, 바위
  2. 쇠제비갈매기, 흰물떼새 - 모래, 자갈땅
  3. 덤불해오라기, 황로 - 수심이 깊은 곳
  4. 개개비, 물닭 - 갈대
(정답률: 64%)
  • 정답은 "덤불해오라기, 황로 - 수심이 깊은 곳"입니다. 이는 덤불해오라기와 황로가 주로 수심이 얕은 물가나 습지에서 서식하는데, 보기에서는 수심이 깊은 곳으로 잘못 연결되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환경 포텐셜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입지포텐셜은 기후, 지형, 토양 등의 토지적인 조건이 어떤 생태계의 성립에 적당한가를 나타내는 것이다.
  2. 종의 공급포텐셜은 먹고 먹히는 포식의 관계나 자원을 둘러싼 경쟁관계 등 생물간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포텐셜이다.
  3. 천이의 포텐셜은 생태계에서 종자나 개체가 다른 곳으로부터 공급의 가능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4. 종간관계의 포텐셜은 시간의 변화가 어떤 과정과 어떤 속도로 진행되며 최종적으로 어떤 모습을 나타내는 가를 보여주는 가능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정답률: 74%)
  • 입지포텐셜은 토지적인 조건이 어떤 생태계의 성립에 적당한가를 나타내는 것이 맞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종의 공급포텐셜, 천이의 포텐셜, 종간관계의 포텐셜에 대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생물 서식처로서 식재기반이 갖추어야 할 요건은 공간적 요건과 물리적 요건으로 구분되는게 다음 중 공간적 요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물리적 연결성
  2. 생태적 연결성
  3. 배수성
  4. 접근성
(정답률: 64%)
  • 정답: 배수성

    설명:

    - 물리적 연결성: 서식지 내부에서 서로 다른 지역이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함
    - 생태적 연결성: 서식지 내부와 외부에서 서로 다른 지역이 생태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함
    - 접근성: 서식지 내부에서 모든 지역에 쉽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함
    - 배수성: 이는 서식지의 물 관리와 관련된 요건으로, 서식지 내부에서 물이 잘 흐르고 배수되어야 함.

    따라서, 배수성은 공간적 요건이 아닌 물리적 요건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물에 의한 토양침식의 형태 및 유형 중 빗물침식과 관계가 가장 먼 것은?

  1. 복류수침식
  2. 빗방울침식
  3. 면상침식
  4. 누구침식
(정답률: 67%)
  • 복류수침식은 강우가 지속되어 녹은 빙하나 눈이 녹아 물이 모이고, 이 물이 토양 내부로 스며들면서 발생하는 침식 현상입니다. 따라서 빗물침식과 관계가 가장 먼 것입니다. 빗물침식은 비가 내리면서 발생하는 침식 현상이며, 면상침식은 지표면의 물이 토양 내부로 스며들면서 발생하는 침식 현상입니다. 누구침식은 강물이나 바다 등의 수면이 토양을 침식시키는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광선을 복원하기 위해 산림 표층토를 이용하려고 한다. 산림 표층토의 특징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산림표토를 이용하면 포토안의 매토종자의 종조성, 밀도, 성립하는 군락상 등의 예측이 곤란하다.
  2. 산림표토를 이용하면 시공장소에 현존하는 식물을 사용한 녹화가 가능하다.
  3. 산림표토를 이용하면 빠른 시간에 군락형성이 가능하다.
  4. 산림표토를 이용하면 지역고유의 유전자를 갖고 있는 목본군락의 형성이 기대된다.
(정답률: 42%)
  • "산림표토를 이용하면 포토안의 매토종자의 종조성, 밀도, 성립하는 군락상 등의 예측이 곤란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산림표토는 지역의 토양과 식물의 씨앗, 뿌리, 줄기 등이 혼합된 것으로, 지역의 생태계와 유사한 환경을 제공하여 빠른 시간에 군락형성이 가능합니다. 이는 씨앗의 발아와 생육에 필요한 영양분과 미생물, 물 등이 적절하게 혼합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산림표토를 이용하면 빠른 시간에 군락형성이 가능하다."가 맞는 설명입니다.

    또한, 산림표토를 이용하면 시공장소에 현존하는 식물을 사용한 녹화가 가능하며, 지역고유의 유전자를 갖고 있는 목본군락의 형성이 기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광선지역의 생태적 복원공법 중 식생이 정착할 수 있는 환경만을 제공하는 공법은?

  1. Managed Succession
  2. Colonization
  3. Naturalization
  4. Nucleation
(정답률: 39%)
  • Colonization은 광선지역의 생태적 복원공법 중 식생이 정착할 수 있는 환경만을 제공하는 공법입니다. 이는 적극적인 식물의 이식이나 씨앗의 삽입 등을 통해 식물이 자연스럽게 번식하고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인위적인 개입이 필요하며, 자연적인 과정보다는 인간의 노력이 더 많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생태분류군과 식물종 관계의 나열 중 틀린 것은?

  1. 정수식물 - 갈대
  2. 부엽식물 - 줄
  3. 침수식물 - 검정말
  4. 부유식물 - 생이가래
(정답률: 77%)
  • 부엽식물과 줄은 관계가 없습니다. 줄은 식물의 종류가 아니라 식물의 일부분인 줄기를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부엽식물 - 줄"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단면도는 산흙 식재기반 조성의 하부층이 사질토인 경우이다. 공법명칭과 설명이 맞는 것은?

  1. 전면객토법 : 치환객토법의 하나로 식재지 전체를 산흙으로 객토
  2. 성토법 : 외부에서 반입한 산흙을 성토해주는 공법
  3. 대상객토법 : 산흙을 절약하는 공법
  4. 단목객토법 : 가로수나 독립수를 식재할 때 활용하는 공법
(정답률: 51%)
  • 정답은 "전면객토법 : 치환객토법의 하나로 식재지 전체를 산흙으로 객토"이다. 전면객토법은 식재지 전체를 산흙으로 객토하는 공법으로, 기존의 흙을 제거하고 새로운 산토를 적층하여 지반을 안정시키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지반 안정성을 높이고, 수분 보존 및 토양 개량 효과가 있어서 토지 복원 및 조성에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생태 네트워크의 시행방안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녹지체계는 생태통로, 녹도, 보행자 전용도로 등 선형의 생물이동통로를 조성하여 그린네트워크를 형성한다.
  2. 공원 및 옥외공간의 녹화는 경관향상을 위한 녹화를 하며 평면구조의 생태적인 기법으로 녹화한다.
  3. 생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중앙의 핵심녹지를 중심으로 거점녹지(면녹지), 점녹지를 체계적으로 연결한다.
  4. 기존 수자원, 즉 호소, 하천, 실개천 등을 적극적으로 보전하고 최대한 계획에 활용한다.
(정답률: 69%)
  • 공원 및 옥외공간의 녹화는 경관향상을 위한 녹화를 하며 평면구조의 생태적인 기법으로 녹화한다. - 생태적인 기법이 아닌 경관적인 기법으로 녹화한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고체상태 또는 액체상태의 대기오염물질이 식물체의 표면에 부착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흡수
  2. 확산
  3. 희석
  4. 흡착
(정답률: 78%)
  • 식물체의 표면에 부착되는 대기오염물질은 화학적으로 흡착되는 현상입니다. 이는 대기오염물질과 식물체의 표면 사이에 발생하는 분자 간 상호작용으로 인해 일어나며, 이러한 흡착은 대기오염물질의 종류와 농도, 식물체의 표면 특성 등에 따라 다양한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대기오염물질의 흡착은 식물체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비탈다듬기공사에서 단면적 A1, A2는 각각 2.1m2, 0.7m2이며 A1과 A2의 거리가 6m인 경우, 평균단면적법을 이용하여 계산한 토사량은?

  1. 16.8m3
  2. 8.8m3
  3. 8.4m3
  4. 2.4m3
(정답률: 63%)
  • 평균단면적법을 이용하여 계산한 토사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토사량 = 평균단면적 × 거리

    평균단면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평균단면적 = (A1 + A2) / 2

    따라서, 평균단면적은 (2.1m2 + 0.7m2) / 2 = 1.4m2입니다.

    그리고 거리는 6m이므로, 토사량은 1.4m2 × 6m = 8.4m3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8.4m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경관생태학

61. 도시생태계 평가에 사용될 수 있는 방안 중 틀린 것은?

  1. 환경영향평가제도
  2. 사전환경성검토
  3. 산지특성평가
  4. 비오톱 평가
(정답률: 66%)
  • 산지특성평가는 도시생태계 평가와는 관련이 없는 개념이기 때문에 틀린 것이다. 산지특성평가는 산림자원의 보전과 관리를 위해 산지의 특성을 평가하는 것으로, 도시생태계 평가와는 다른 목적과 방법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지역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나 종의 이동이 일어나 교류가 일어나고 있으며 같은 계층구조를 갖는 개체군 중 최상위의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국소개체군
  2. 메타개체군
  3. 최소존속개체군
  4. 지역개체군
(정답률: 77%)
  • 메타개체군은 지역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나 종의 이동이 일어나 교류가 일어나고 있으며 같은 계층구조를 갖는 개체군 중 최상위의 것을 말한다. 즉, 여러 지역개체군이 교류를 통해 하나의 메타개체군을 형성하게 된다. 다른 보기들은 개체군의 다른 분류 기준들을 나타내고 있으며, 메타개체군은 이러한 개체군들의 상위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인공구조물에 의해 연안경관의 변화를 창출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돌제
  2. 인공식재
  3. 이안제(離岸堤)
  4. 부유식 방파제
(정답률: 55%)
  • 인공식재는 연안경관의 변화를 창출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인공식재는 해안침식을 방지하고 해안보호를 위해 만들어진 인공물로, 연안경관을 변화시키는 것이 목적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인공식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콘크리트로 조성된 하안 및 제방은 경관생태학적으로 생물들의 서식 공간 및 이동통로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복원방법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것은?

  1. 수변구역에 가축이나 사람들에 의한 교란을 방지하고 기존의 식생이 자연적으로 회복할 수 있도록 한다.
  2. 버드나무 가지를 정돈하여 묶음을 만들어 하안에 말뚝을 박고 말뚝과 말뚝상에 버드나무 가지묶음을 넣어 식생이 발달되도록 한다.
  3. 보전하는 것보다 새롭게 형성하는 것이 좋으므로 둑의 끝부분을 복원하도록 하며, 둑 경사가 최대 60°가 되도록 조성한다.
  4. 버드나무 말뚝을 활용해 갑작스러운 홍수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정답률: 64%)
  • "보전하는 것보다 새롭게 형성하는 것이 좋으므로 둑의 끝부분을 복원하도록 하며, 둑 경사가 최대 60°가 되도록 조성한다."가 바람직하지 않은 복원방법이다. 이유는 기존의 구조물을 파괴하고 새로운 구조물을 형성하는 것은 생태계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대신에 기존의 구조물을 최대한 보전하면서, 생태계의 회복을 돕는 방법이 더 바람직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광산ㆍ채석장의 유형 구분 및 계획시 고려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복구목표
  2. 채광ㆍ채석 종료시 형상
  3. 훼손지의 규모
  4. 서시거의 파편화
(정답률: 64%)
  • 서시거의 파편화는 광산ㆍ채석장의 유형 구분 및 계획시 고려할 사항 중 하나가 아닙니다. 서시거의 파편화란 지하에서 발생하는 지진 등의 자연재해로 인해 지하공간이 파편화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계획시 고려할 수 없는 요소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서시거의 파편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미국의 Forman교수가 제시한 경관생태학에서 다루는 구조, 기능변화의 측면을 설명한 것 중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모자이크의 시간적 치환
  2. 생태계내의 에너지, 물질, 종의 이동
  3. 생태계의 분포나 생태계 사이의 공간적 관계
  4. 식물체의 광합성과 성장 관계
(정답률: 54%)
  • 식물체의 광합성과 성장 관계는 경관생태학에서 다루는 구조, 기능변화의 측면 중 해당되지 않는다. 경관생태학에서는 모자이크의 시간적 치환, 생태계내의 에너지, 물질, 종의 이동, 생태계의 분포나 생태계 사이의 공간적 관계 등을 다룬다. 경관생태학은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고 보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해안 연안에 무절석회조류의 이상증식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어류자원 및 해조자원에 심각한 피해가 발생한다. 우리나라는 주로 동해안에 많이 발생하여 연안자원에 피해를 입히고 있는데 이 현상은?

  1. 적조현상
  2. 녹조현상
  3. 백화현상
  4. 청수현상
(정답률: 66%)
  • 해안 연안에 무절석회조류가 이상증식하면, 물에 산소가 부족해지고 무절석회조류가 죽으면서 대량의 유기물이 분해된다. 이로 인해 물의 색깔이 흐리고, 냄새가 나며 백색의 거품이 생기는데 이를 백화현상이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에코튼(Ecoton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필요한 완충대의 범위와 규모는 지형이나 지하수류와 같이 비오톱타입 및 주변의 영향으로부터 지켜야 할 종과 같은 다수의 조건에 따라 다르다.
  2. 비오톱에 대한 주위에서의 악영향(화학 비료와 화학 살충제의 피해, 가축의 답압 등)을 가능한 작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넓이의 완충대를 확보해야 한다.
  3. 질소피해로 인하여 빈영양화된 호수는 부영양인 하반림보다도 더 폭넓은 완충대를 필요로 한다.
  4. 완충대의 넓이는 비오톱의 특성과 무관하게 결정해도 좋다.
(정답률: 75%)
  • "완충대의 넓이는 비오톱의 특성과 무관하게 결정해도 좋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완충대의 넓이는 비오톱의 특성에 따라 다르며, 필요한 범위와 규모는 다양한 조건에 따라 결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해류의 종류 중 하나로 압력경도력(perssure gradient)과 전향력(coriolis force)의 두 힘이 평형을 이루면서 일어나는 해수의 운동은?

  1. 취송류
  2. 지형류
  3. 경사류
  4. 밀도류
(정답률: 69%)
  • 압력경도력과 전향력이 평형을 이루면서 일어나는 해수의 운동은 지형류입니다. 이는 지형의 형태와 깊이에 따라서 발생하는 해류로, 지형류는 해양에서 가장 중요한 해류 중 하나입니다. 지형류는 지형의 형태와 깊이에 따라서 발생하는데, 지형이 복잡하고 깊이가 큰 지역에서는 강한 지형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지형류는 해양 생태계와 기후 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도시 비오톱 제도의 활용 가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경관녹지계획 수립의 핵심적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2. 자연보호지역, 경관보호지역 및 주요 생물서식공간 조성의 토대를 제공한다.
  3. 생태 도시건설을 위한 기초 자료로는 큰 의미가 없다.
  4. 토양 및 자연체험공간 조성의 타당성 검토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정답률: 74%)
  • "생태 도시건설을 위한 기초 자료로는 큰 의미가 없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도시 비오톱 제도는 도시 내 생태계를 보호하고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생태 도시건설을 위한 기초 자료로 큰 의미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Landsat TM 위성자료의 활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밴드 1은 엽록소 흡수 및 식물의 종분화 등을 알 수 있다.
  2. 밴드 6은 육영과 수역의 분리에 용이하다
  3. 밴드 7은 식생의 구분에 적합하다.
  4. 밴드 3는 활력도 및 생물량 추정에 용이하다.
(정답률: 55%)
  • 밴드 3은 식물의 엽록소 흡수 최대 파장과 일치하여 식물의 생물량과 활력도를 추정하는 데에 용이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GIS은 구성요소 중 데이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백터데이터의 위상구조는 점, 선, 면들의 공간형상들의 공간관계를 말한다.
  2. GIS 데이터는 중 벡터 데이터와 래스터 데이터는 속성 데이터에 속한다.
  3. 메타데이터는 데이터의 좌표체계 정보, 데이터 제작 및 프로세스 정보 등 자료의 유용한 정보를 목록화한 것이다.
  4. 래스터 데이터의 유형으로는 인공위성에 의한 이미지, 항공사진 이미지 등이 있다.
(정답률: 45%)
  • "GIS 데이터는 중 벡터 데이터와 래스터 데이터는 속성 데이터에 속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벡터 데이터와 래스터 데이터는 공간 데이터에 속하며, 속성 데이터는 공간 데이터에 대한 추가 정보를 담고 있는 데이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서울시에서 분류한 비오톱(biotope)유형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주거지 비오톱
  2. 불투수성 토양 비오톱
  3. 조경녹지 비오톱
  4. 산림지 비오톱
(정답률: 64%)
  • 불투수성 토양 비오톱은 비오톱의 핵심 개념인 생태계를 형성하는 생물군집이 발달하지 않은 지역으로, 비오톱 유형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비오톱은 생태계를 보전하고 유지하는 것이 목적인데, 불투수성 토양은 생물이 서식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염분농도가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분포하는 해안 염생식물의 나열이 옳게 된 것은?

  1. 부들 → 갈대 → 해홍나물
  2. 해홍나물 → 갈대 → 부들
  3. 갈대 → 해홍나물 → 부들
  4. 해홍나물 → 부들 → 갈대
(정답률: 64%)
  • 해안 염생식물은 염분농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분포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염분농도가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분포하는 해안 염생식물의 나열은 옳지 않습니다.

    "부들 → 갈대 → 해홍나물"이 옳은 이유는 부들은 염분농도가 낮은 해안에서 자라며, 갈대는 중간 염분농도의 해안에서 자라고, 해홍나물은 염분농도가 높은 해안에서 자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부들 → 갈대 → 해홍나물이 옳은 나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섬 생물지리학 이론 중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큰 섬에는 작은 섬보다 더 많은 종이 분포한다.
  2. 종 소멸은 작은 섬보다 큰 섬에서 더 잘 일어난다.
  3. 육지에 가까운 섬의 정잦(=이입)율은 멀리 떨어진 섬보다 높다.
  4. 대륙에서 가까운 섬에는 멀리 떨어진 섬보다 더 많은 종이 분포한다.
(정답률: 75%)
  • "종 소멸은 작은 섬보다 큰 섬에서 더 잘 일어난다." 이론이 올바르지 않습니다. 이는 오히려 반대로 작은 섬에서 종 소멸이 더 잘 일어난다는 것이 증명되어 있습니다. 이는 작은 섬에서는 자원이 제한되어 있어 경쟁이 치열하고, 이로 인해 종이 더 쉽게 소멸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의 위성명상 중 해상도가 가장 높은 영상으로서 정일 수치지형모뎅(DTM)추출, 수치지도 제작에 사용되는 영상은?

  1. Landsat ETM+
  2. Landsat TM
  3. NOAA
  4. IKONOS
(정답률: 59%)
  • IKONOS 위성은 0.82m의 고해상도를 가지고 있어, 다른 위성들보다 해상도가 가장 높습니다. 따라서, 정밀한 지형 정보를 추출하고 수치지도를 제작하는 데에 가장 적합한 위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경관의 개념과 연관성이 가장 적은 것은?

  1. 지역의 전체 특성
  2. 시각적으로 아름다운 매스
  3. 항공사진이나 높은 곳에서 내려다 본 면적
  4. 시각적으로 동질인 생태계의 집합체가 비슷한 형태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토지
(정답률: 43%)
  • 시각적으로 아름다운 매스는 경관의 개념과 연관성이 가장 적은 것이다. 경관은 지역의 전체 특성, 항공사진이나 높은 곳에서 내려다 본 면적, 시각적으로 동질인 생태계의 집합체가 비슷한 형태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토지 등과 관련이 있지만, 시각적으로 아름다운 매스는 경관의 개념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이는 주관적인 평가이며, 경관의 개념은 보다 객관적인 지리학적 특성을 다루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생태축의 역할과 기능 중 생태적인 기능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생물다양성의 유지 및 증대
  2. 녹시율의 증대
  3. 생태계간 에너지와 동물의 이동 증진
  4. 자연생태게와 인접한 도시생태계의 균형유지
(정답률: 64%)
  • 정답은 "녹시율의 증대"입니다. 생태축은 생물다양성의 유지 및 증대, 생태계간 에너지와 동물의 이동 증진, 자연생태계와 인접한 도시생태계의 균형유지 등의 생태적인 기능을 수행합니다. 하지만 녹시율의 증대는 생태적인 기능이 아닌, 환경개선을 위한 기술적인 개념입니다. 녹시율은 도시 내에서 식물이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하며, 녹지공간을 늘리는 등의 방법으로 증대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도로의 정비시 환경을 배려라기 위한 방법으로써 독일에서는 환경적 적응성을 검토하여 도로 계획을 수립한다. 환경적응성 검토를 위한 조치준서로 적합한 것은?

  1. 노선의 선정 → 공간민감성 분석 → 영향의 예측과 평가 → 환경보전 조치
  2. 공간민감성 분석 → 영향의 예측과 평과 → 환경보전 조치 → 노선의 선정
  3. 노선의 선정 → 영향의 예측과 평가 → 환경보전 조치 → 공간민감성 분석
  4. 공간민감성 분석 → 노선의 선정 → 영향의 예측과 평가 → 환경보전 조치
(정답률: 39%)
  • 정답은 "공간민감성 분석 → 노선의 선정 → 영향의 예측과 평가 → 환경보전 조치"입니다.

    도로의 정비시 환경을 고려하기 위해서는 먼저 공간민감성 분석을 통해 도로가 건설될 지역의 환경적 특성을 파악해야 합니다. 이후에는 노선의 선정을 통해 최대한 환경에 부담을 주지 않는 경로를 선택하고, 영향의 예측과 평가를 통해 건설이나 운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환경적 영향을 사전에 파악합니다. 마지막으로는 환경보전 조치를 통해 이러한 영향을 최소화하고, 환경을 보호하는 방안을 마련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환경영향평가의 영향예측과 관련하여 경관생태학적 관점에서 보다 구체화되어야 할 사항과 관련이 가장 적은 것은?

  1. 생태통로(또는 생태축)의 단절여부
  2. 생물서식공간에 미치는 영향
  3. 생태계의 유형별 영향예측
  4. 지역 고유종의 우점도
(정답률: 58%)
  • 환경영향평가에서 경관생태학적 관점은 생태계의 유형별 영향예측, 생물서식공간에 미치는 영향, 생태통로(또는 생태축)의 단절여부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 중에서 "지역 고유종의 우점도"는 다른 요소들과는 관련이 적습니다. 지역 고유종의 우점도는 특정 지역에서 특정 종이 지배적인 역할을 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환경영향평가에서는 다른 요소들보다는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자연환경관계법규

81.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 보전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상 환경부장관이 조사원으로 하여금 무인도서 등의 자연생태계 등에 대한 원활한 조사를 하도록 하기 위해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 및 시ㆍ도지사에게 협조를 요청할 수 있는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관할 출입제한구역안의 출입
  2. 도서조사원중의 발급 및 조사권 부여
  3. 조사에 필요한 선박 등 장비 및 인력의 지원
  4. 조사관련자료의 열람 또는 대출
(정답률: 60%)
  • "도서조사원중의 발급 및 조사권 부여"는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 보전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상 환경부장관이 조사원으로 하여금 무인도서 등의 자연생태계 등에 대한 원활한 조사를 하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입니다. 이를 위해 도서조사원에게 발급 및 조사권 부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 및 시ㆍ도지사에게 협조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도서조사원중의 발급 및 조사권 부여"가 가장 거리가 먼 사항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환경정책기본법상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상시해야 하는 환경상태의 조사ㆍ평가 항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환경의 질의 변화
  2. 환경오염 및 환경훼손실태
  3. 글로벌환경친화 전문이력 양성현황
  4. 환경오염원 및 환경훼손요인
(정답률: 67%)
  • "글로벌환경친화 전문이력 양성현황"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상시해야 하는 환경상태의 조사ㆍ평가 항목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환경전문가들의 교육 및 인력양성 현황을 파악하는 것으로, 환경상태의 직접적인 변화나 오염원 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농지법규상 실습지 등으로 농지를 소유할 수 있는 공공단체 등의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정신보건법」에 따른 정신의료기관(의료법인에 한정)
  2.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 연구기관 등의 설립ㆍ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에 따른 한국식품연구원 및 한국원자력연구원
  3. 「자영농업육성관리법」에 종묘보호시설
  4. 「문화재보호법」에 따라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된 농요의 보존을 위한 비영리단체
(정답률: 44%)
  • 자영농업육성관리법은 농업인의 경제적 안정과 발전을 위해 자영농을 육성하고 지원하는 법이다. 따라서 종묘보호시설은 농업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해당 법에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습지보전법상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ㆍ고시된 습지를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른 면허없이 매립한 자에 대한 벌칙기준으로 옳은 것은?

  1.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2.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3.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4.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정답률: 60%)
  • 습지보전법상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ㆍ고시된 습지는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른 면허없이 매립할 수 없습니다. 만약 면허없이 매립한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게 됩니다. 이는 해당 습지의 보전과 보호를 위해 엄격한 처벌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농지법령상 이농당시의 소유농지를 계속하여 소유할 수 있는 자의 농업경영기간으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간”에 해당하는 기준은?

  1. 1년
  2. 3년
  3. 5년
  4. 8년
(정답률: 58%)
  • 농지법 제9조에 따르면, 이농당시의 소유농지를 계속하여 소유할 수 있는 자는 농업경영기간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간" 이내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가능합니다. 이에 따라 대통령령으로 정해진 농업경영기간이 8년이기 때문에 정답은 "8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토지의 이용실태 및 특성, 장래의 토지이용 방향, 지역간 균형발전 등을 고려하여 구분한 4가지 국토의 용도지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도시지역
  2. 공업지역
  3. 관리지역
  4. 자연환경보전지역
(정답률: 61%)
  • 공업지역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토지의 이용실태 및 특성, 장래의 토지이용 방향, 지역간 균형발전 등을 고려하여 구분한 4가지 국토의 용도지역 중 하나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공업지역은 이 문제에서 제외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국토기본법상 중앙행정기관의 장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수립할 수 있는 지역계획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단, 그 밖에 다른 법률에 따라 수립하는 지역계획 등은 고려하지 않는다.)

  1. 특정지역개발계획
  2. 광역권개발계획
  3. 공유수면매립계획
  4. 수도권발전계획
(정답률: 43%)
  • 공유수면매립계획은 해양환경보전법에 따라 수립되는 계획으로, 해양환경을 보전하고 해양오염을 예방하기 위해 필요한 계획이다. 다른 지역계획들은 지역개발, 광역권 개발, 수도권 발전 등 경제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계획이지만, 공유수면매립계획은 환경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계획이다. 따라서, 가장 거리가 먼 지역계획으로 선택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상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은 박제업자에게 야생동물의 보호ㆍ번식을 위하여 박제품의 신고 등 필요한 명령을 할 수 있는 데 박제업자가 이에 따른 신고 등 명령을 위반한 경우, 각 위반차수별(개별) 행정처분기준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1차 : 경고, 2차 : 경고, 3차 : 영업정지 3월, 4차 : 등록취소
  2. 1차 : 영업정지 1월, 2차 : 영업정지 3월, 3차 : 영업정지 6월, 4차 : 사업장 이전
  3. 1차 : 경고, 2차 : 영업정지 1월, 3차 : 영업정지 3월, 4차 : 등록취소
  4. 1차 : 영업정지 1월, 2차 : 영업정지 3월 : 영업정지 6월, 4차 : 등록취소
(정답률: 49%)
  •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이 박제업자에게 명령을 내려서 이를 위반한 경우, 처벌은 위반차수별(개별) 행정처분기준에 따라 결정된다. 이 경우, 처음에는 경고를 받고, 그 다음에는 영업정지 1월을 받으며, 그 다음에는 영업정지 3월을 받게 된다. 마지막으로는 등록취소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차 : 경고, 2차 : 영업정지 1월, 3차 : 영업정지 3월, 4차 : 등록취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기반시설의 분류 중 “보건위생시설”에 해당하는 것은?

  1. 폐차장
  2. 도축장
  3. 공공공지
  4. 수질오염방지시설
(정답률: 62%)
  • 도축장은 동물의 도살 및 가공을 위한 시설로서 보건위생시설에 해당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폐차장은 환경보전시설, 공공공지는 토지이용시설, 수질오염방지시설은 환경보전시설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에 관한 사항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개발단위계획
  2. 개발실시계획
  3. 지구단위계획
  4. 도시기반계획
(정답률: 62%)
  • 지구단위계획은 광역적인 지역 단위에서의 국토 이용 계획으로, 도시 및 지방자치단체의 개발단위계획과 개발실시계획을 종합하여 수립하는 계획입니다. 따라서 지구적인 관점에서 국토 이용을 계획하고 조정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산지관리법상 보전산지 중 “공익용산지” 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국유림의 경영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요존국유림의 산지
  2. 수도법에 따른 상수원보호구역의 산지
  3. 습지보전법에 따른 습지보호지역의 산지
  4. 사찰림의 산지
(정답률: 48%)
  • 정답은 "국유림의 경영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요존국유림의 산지"입니다. 이유는 공익용산지는 국민의 생활 및 복지에 필요한 자연환경을 보전하고 이를 이용하는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지정되는 것이며, 국유림의 경영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요존국유림의 산지는 국가의 경제적 이익을 위해 관리되는 산지로서 공익용산지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산지관리법에 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산림청장은 보전산지를 지정하려면 그 산지가 표시된 산지구분도를 작성하여 관계 행정기관의 장과 혐의한 후 중앙산지관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2. 산지전용ㆍ일시사용제한지역에서 사방시설의 설치로 산지를 일시 사용하는 행위는 허용된다.
  3. 산림청장은 산사태 등 재해발생이 특히 우려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산지로서 공공의 이익증진을 위하여 보전이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산지를 산지전용ㆍ일시사용제한지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
  4. 지방자치단체가 산지전용ㆍ일시사용제한지역의 지정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산지소유자와 협의하여 산지전용제한지역안의 산지를 산림청장이 정한 감정평가가격 기준으로 매수한다.
(정답률: 52%)
  • "산지전용ㆍ일시사용제한지역에서 사방시설의 설치로 산지를 일시 사용하는 행위는 허용된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산지전용ㆍ일시사용제한지역에서는 일시적인 사용도 제한되며, 사방시설의 설치로 인해 산림자원이 파괴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제한이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상 수렵면허 시험에 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렵에 관한 법령 및 수렵의 절차”는 수렵면허 시험대상이 되는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사항에 포함된다.
  2. “안전사고의 예방 및 응급조치에 관한 사항”은 수렵면허 시험대상이되는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사항에 포함된다.
  3. 시ㆍ도지사는 매년 1회 이상 수렵면허시험을 실시하여야 한다.
  4. 시ㆍ도지사는 수렵면허의 필기시험일 30일 전에 수렵면허시험 실시공고서에 따라 수렵면허시험의 공고를 하여야 한다.
(정답률: 67%)
  • "시ㆍ도지사는 매년 1회 이상 수렵면허시험을 실시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실제로는 시ㆍ도지사가 수렵면허시험을 실시하는 빈도는 법령에서 규정되어 있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상 보호지역 중 완충구역에서 허용되지 아니하는 행위를 한 자에 대한 벌칙기준으로 옳은 것은?

  1.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2.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3.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4.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정답률: 69%)
  •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에서는 보호지역 중 완충구역에서 허용되지 아니하는 행위를 한 자에 대해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이는 백두대간 보호를 위해 중요한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로, 완충구역에서의 행위는 보호지역 내에서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를 위반한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벌칙이 부과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자연환경보전법규상 시ㆍ도지사 또는 지방환경관서의 장이 환경부장관에게 보고해야 할 위임업부 보고사항 중 “생태ㆍ경관보전지역 등의 토지매수실적” 의 보고기일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사유발생시
  2. 매분기 종료 후 15일 이내
  3. 매반기 종료 후 15일 이내
  4. 매년 종료 후 15일 이내
(정답률: 46%)
  • 정답은 "매년 종료 후 15일 이내"입니다.

    이유는 생태ㆍ경관보전지역 등의 토지매수실적은 매년 기준으로 보고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고기일은 매년 종료 후 15일 이내로 정해져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사유 발생 시나 매분기, 매반기 종료 후 15일 이내로 보고해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지만, 이 경우는 해당 법규에서 명시되어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환경정책기본법령상 오존(O3)의 대기환경기준으로 옳은 것은?(단, 8시간 평균치)

  1. 0.02ppm 이하
  2. 0.05ppm 이하
  3. 0.06ppm 이하
  4. 0.10ppm 이하
(정답률: 61%)
  • 환경정책기본법령상 오존(O3)의 대기환경기준은 8시간 평균치로 측정하며, 이 기준은 인체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농도를 기준으로 한다. 오존은 농도가 높아질수록 호흡기계 질환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대기환경기준은 농도를 낮추어야 한다. 따라서, "0.06ppm 이하"가 옳은 대기환경기준이다. "0.02ppm 이하"나 "0.05ppm 이하"는 더욱 낮은 농도를 기준으로 하지만, 이는 현재 대기오염 상황에서는 너무 엄격한 기준이다. "0.10ppm 이하"는 너무 높은 농도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인체 건강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자연환경보전법상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연생태” 라 함은 자연환경적 측면에서 시각적ㆍ심미적인 가치를 가지는 지역ㆍ지형 및 이에 부속된 자연요소 또는 사물이 복합적으로 어우러진 자연의 경치를 말한다.
  2. “생물다양성” 이라 함은 육상생태계 및 수생생태계(해양생태계를 제외한다)와 이들의 복합생태게를 포함하는 모든 원천에서 발생한 생물체의 다양성을 말하며 종내(種內)ㆍ종간(種間) 및 생태계의 다양성을 포함한다.
  3. “생태축”이라 함은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키고 생태계 기능의 연속성을 위하여 생태적으로 중요한 지역 또는 생태적 기능의 유지가 필요한 지역을 연결하는 생태적서식공간을 말한다.
  4. “대체자연”이라 함은 기존의 자연환경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거나 보완적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조성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률: 62%)
  • 옳지 않은 정의는 "“대체자연”이라 함은 기존의 자연환경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거나 보완적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조성하는 것을 말한다." 이다. 대체자연은 인공적으로 조성된 환경으로, 기존의 자연환경과는 구분되며, 인간의 생활환경에서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조성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국토기본법에 명시된 국토종합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국토교통부장관은 국토종합계획안을 작성하였을 때에는 공청회를 열어 일반 국민과 관계 전문가 등으로부터 의견을 들어야 하며, 공청회를 개최하고자 하는 때에는 공청회 개최 7일전까지 개최에 필요한 사항을 일간신물에 공고하여야 한다.
  2. 국토교통부장관은 국토종합계획을 수립하거나 확정된 계획을 변경 하고자 할 때에는 국토정책위원회와 국무회의의 심의를 거친 후 대통령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3. 국토교통부장관은 국토종합계획의 성과를 정기적으로 평가하고 사회적, 경제적 여건변화를 고려하여 5년마다 국토종합계획을 전반적으로 재검토하고 필요하면 정비하여야 한다.
  4. 심의안을 받은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 및 시ㆍ도자사는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심의안을 받은 날부터 30일 이내에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의견을 제시하여야 한다.
(정답률: 58%)
  • 국토기본법에 명시된 국토종합계획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없다. 모든 보기가 국토기본법에서 규정된 내용을 정확하게 설명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자연환경보전법상 토지이용 및 개발계획의 수립이나 사양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자연환경 조사결과 등을 기초로 하여 전국의 자연환경을 1등급, 2등급, 3등급 권역 및 별도관리지역으로 구분하여 작성한 것은?

  1. 생태ㆍ보전도
  2. 환경ㆍ생태도
  3. 자연ㆍ생태도
  4. 생태ㆍ자연도
(정답률: 72%)
  • 정답은 "생태ㆍ자연도"입니다. 이는 자연환경보전법에 따라 전국의 자연환경을 등급별로 구분하여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준으로 활용하기 위해 작성된 것입니다. 이 중에서도 "생태"와 "자연"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는데, 이는 자연환경을 보전하고 유지하기 위해 생태계와 자연환경의 상태를 고려한 것이라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생태ㆍ자연도"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은 농지법규성 포상금 지급기준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15일 이내
  2. 1월 이내
  3. 45일 이내
  4. 2월 이내
(정답률: 47%)
  • 농지법규성 포상금은 법령상 지정된 일정 기간 이내에 지급되어야 하며, 해당 보기에서는 "2월 이내"로 지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