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생태복원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8-17)

자연생태복원기사(구)
(2014-08-1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환경생태학개론

1. 수온의 계절적 변동에 따라 구분한 호소의 수직적 층 중 여름이 되면 상층부는 수온이 높고 깊은 곳에서는 낮으며 중간에서 수온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층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표수층(epilimnion)
  2. 수온약층(thermocline)
  3. 심수층(hypolimnion)
  4. 온도성층(thermal stratification)
(정답률: 79%)
  • 수온약층(thermocline)은 수온의 계절적 변동에 따라 구분한 호소의 수직적 층 중 여름이 되면 상층부는 수온이 높고 깊은 곳에서는 낮으며 중간에서 수온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층을 말합니다. 이는 해수나 호수 등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상층부에서는 태양열로 인해 수온이 높아지고, 깊은 곳에서는 수온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수온의 변화가 급격하게 일어나는 층을 수온약층이라고 부르며, 이 층은 물의 밀도가 크게 변화하기 때문에 물의 수직적 혼합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수온약층은 물의 산소와 영양분 등의 생태적 요소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암반, 자갈밭, 건조한 사구 등과 같은 곳에서 진행되는 천이는?

  1. 담수천이
  2. 호소천이
  3. 건생천이
  4. 습생천이
(정답률: 87%)
  • 건생천이는 지하수가 암반 등의 건조한 지반을 통과하여 흐르는 현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암반, 자갈밭, 건조한 사구 등에서 진행되는 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담수천이는 지하수가 지표면 아래에서 흐르는 현상, 호소천이는 지하수가 산악 지대에서 흐르는 현상, 습생천이는 지하수가 습지에서 흐르는 현상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생물다양성 유지를 위한 보호지구 설정을 위해 흔히 이용하는 도서생물지리 모형(island biogeographical model)의 내용과 거리가 먼 것은?

  1. 보호지구는 여러 개로 분산시킨다.
  2. 보호지구는 넓게 조성한다.
  3. 보호지구는 최대한 서로 가깝게 붙도록 조성한다.
  4. 보호지구의 형태는 원형이 유리하며, 지구간에 생태통로를 조성한다.
(정답률: 83%)
  • 보호지구는 여러 개로 분산시키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하나의 대규모 보호지구보다는 작은 보호지구들이 분산되어 있을 때 생물들이 이동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보호지구를 분산시키면 생물들이 서로 다른 보호지구들 간에 이동하면서 생물다양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보호지구를 넓게 조성하거나 서로 가깝게 붙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것만으로는 생물다양성을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보호지구의 분산이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은 무엇을 설명한 것인가?

  1. 적응
  2. 공진화
  3. 생태적지위
  4. 제한요인
(정답률: 80%)
  • 위 그림은 생태계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생물종의 개체수와 생산성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곡선이다. 이 곡선에서 개체수가 가장 많은 지점을 공진점이라고 하며, 이 지점에서는 생산성이 최대치를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공진화라고 한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는 공진화를 설명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생물이 필요로 하는 원소가 생물권 내에서 환경 → 생물 또는 생물 → 환경으로 일정한 경로를 거쳐 순환되는 과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먹이연쇄(food chain)
  2. 생물지구화학적 순환(biogeochemical cycle)
  3. 천이(ecological successino)
  4. 온실효과(greenhouse effect)
(정답률: 83%)
  • 생물이 필요로 하는 원소들은 환경에서 생물체에 흡수되어 사용되고, 생물체에서 배출되어 다시 환경으로 돌아가는 과정을 생물지구화학적 순환(biogeochemical cycle)이라고 합니다. 이 과정은 지구 생태계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해양식물 군락은?

  1. 퉁퉁마디 군락
  2. 갈대 군락
  3. 칠면초 군락
  4. 거머리말 군락
(정답률: 55%)
  • 해안가에서 자라는 해초 중에서도 특히 조류가 많이 발생하는 지역에 자리 잡은 해초 군락이다. 거머리말은 조류가 많이 발생하는 지역에서 자라는 해초로, 조류가 많은 이유는 거머리말이 뿌리를 내리는 바닥에 있는 미세한 입자들을 통해 영양분을 흡수하기 때문이다. 또한, 거머리말은 바닥에 뿌리를 내리지 않고 바다 위로 떠오르는 특징이 있어, 바다 위로 떠오르는 해초들 중에서도 가장 높이 자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바다와 호수에 분포하는 수초의 경우 광은 광합성에 영향을 주고 있다. 이러한 수중의 광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물이 맑은 먼 바다의 보상심도는 100~120m가 된다.
  2. 식물플랑크톤의 광합성 속도는 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빨라진다.
  3. 식물플랑크톤의 보상심도는 상대조도 10%가 되는 수심과 일치한다.
  4. 보상심도보다 위에 있는 층을 무광층, 아래쪽의 층을 유광층이라 한다.
(정답률: 45%)
  • 정답은 "식물플랑크톤의 광합성 속도는 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빨라진다."이다.

    먼 바다의 보상심도가 100~120m가 된다는 이유는 먼 바다에서는 물이 맑아서 빛이 깊은 곳까지 도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깊은 곳에서도 광합성이 가능하다.

    식물플랑크톤의 광합성 속도는 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빨라진다. 이는 깊은 곳에서 빛이 부족하기 때문에 광합성을 더 빠르게 하기 위해 식물플랑크톤이 더 노력하기 때문이다.

    식물플랑크톤의 보상심도는 상대조도 10%가 되는 수심과 일치한다. 이는 광합성을 할 수 있는 최소한의 빛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보상심도보다 위에 있는 층을 무광층, 아래쪽의 층을 유광층이라 한다. 이는 빛의 강도가 갑자기 줄어들기 때문에 광합성이 어려워지는 지점을 나타내기 위한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유해물질의 해상운송은 국제해사기구(IMO)의 국제해상 위험물질코드(IMDG Code : International Maritime Dangrous Goods Code)에 따라 규제를 받는다. 이에 대한 연결이 바르게 된 것은?

  1. 유황, 비료 - 액체수송 탱커(liquid-bulk tanker)
  2. 석유화학물질, 수산화나트륨, 황상-액체수송 탱커(liquid-bulk tanker)
  3. 농약, 살충제 - 건화물 운반선(dry-bulk carrier)
  4. 테트라에틸렌, 수산화나트륨, 유황 - 건화물 운반선
(정답률: 65%)
  • IMDG Code는 국제해상 위험물질을 규제하는 국제규정이다. 이에 따라 유해물질의 해상운송은 해당 코드에 따라 규제를 받게 된다. 따라서, 석유화학물질, 수산화나트륨, 황상-액체수송 탱커(liquid-bulk tanker)는 IMDG Code에 따라 규제를 받는 유해물질과 운송수단의 예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발전(ESSD)이 범지구적으로 보편화된 계기는?

  1. 1992년 “리우지구정산회담”을 기점으로 친환경적 개발을 통한 “지속가능한 사회”로 전환하는 계기가 되었다.
  2. 1973년 스톡홀롬에서 유엔 산하의 유엔환경계획(UNEP)기구에서 발표하였다.
  3. 1983년 환경과 개발에 관한 세계 위원회(WCED)에서 발표하였다.
  4. 1996년 9월 국제표준화기구에 의하여 발효된 ISO 14001 내용에 포함되어 있다.
(정답률: 76%)
  • 1992년 리우지구정산회담에서 친환경적 개발을 통한 지속가능한 사회로의 전환을 목표로 한 선언이 발표되어, 이를 계기로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이 범지구적으로 보편화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해양에서 오염의 정도를 지시해주는 오염지표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오염이 극심해지는 최후까지 견딜 수 있다.
  2. 환경이 회복됨에 따라 점차로 서식밀도가 감소한다.
  3. 대부분 생활사가 길고, 몸이 크며, 연중산란이 가능한 기회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4. 오염의 진행에 따라 다른 종들은 개체수가 감소하고, 지표종은 더 많은 개체수를 보인다.
(정답률: 57%)
  • "대부분 생활사가 길고, 몸이 크며, 연중산란이 가능한 기회종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지표종은 환경오염의 정도를 나타내는데, 이러한 특성은 지표종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다. 따라서, 모든 지표종이 "생활사가 길고, 몸이 크며, 연중산란이 가능한 기회종"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열대우림지역의 경계에 존재하는 독특한 유형의 초원으로 다른 열대삼림과는 달리 건조기가 긴 육상생태계는?

  1. 사막
  2. 타이가
  3. 열대사바나
  4. 온대낙엽수림
(정답률: 81%)
  • 열대사바나는 건조기가 긴 열대지방에서 발견되는 초원으로, 열대삼림과는 달리 나무가 드물고 대부분의 식물이 풀이다. 또한, 열대사바나는 사막과는 달리 일정량의 강수가 있어서 풀이 자라며 동물들이 서식하기에 적합한 환경이다. 따라서, "사막"과 "타이가"는 건조한 환경에서 발견되는 생태계이고, "온대낙엽수림"은 열대지방이 아닌 온대지방에서 발견되는 생태계이므로 정답은 "열대사바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생태계 유형에 따른 현존식생도의 범례 중 “자연식생”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산지산림식생
  2. 자연초원식생
  3. 해안염습지식생
  4. 농경작지식생
(정답률: 82%)
  • 농경작지식생은 인간의 개입으로 인해 인위적으로 조성된 생태계이기 때문에 자연식생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다른 세 가지 생태계 유형은 모두 인간의 개입 없이 자연적으로 형성된 생태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하천은 발원지 상류에서부터 하류인 하구에 이르기까지 생물상이 단계적으로 변하는데, 이 때 종의 수평구조가 나타난다. 또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서식지나 생물상이 변하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은?

  1. 천이계열
  2. 지리적 천이
  3. 지사적 천이
  4. 타발 천이
(정답률: 75%)
  • 하천에서 발원지 상류에서부터 하류인 하구에 이르기까지 생물상이 단계적으로 변하는 것은 지리적 천이의 예시입니다. 지리적 천이는 지리적인 요인에 의해 서식지나 생물상이 변화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경우에는 하천의 상류에서 하류로 내려갈수록 수온, 수질, 토양 등의 환경적인 요인이 변화하면서 생물들이 적응하고 변화하게 되는 것입니다. 또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생물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종의 수평구조가 나타나는 것도 지리적 천이의 일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의 그래프는 군집의 상호작용 중 무엇을 설명할 수 있는 그래프인가?

  1. 중립(Neutralism)
  2. 편리(Commensalism)
  3. 포식(Predation)
  4. 상리(Mutualism)
(정답률: 73%)
  • 이 그래프는 포식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그래프이다. 왼쪽 상단에 위치한 Prey(먹이)의 개체 수가 증가하면, 오른쪽 하단에 위치한 Predator(포식자)의 개체 수도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포식자가 먹이를 먹어 생존하고 번식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상호작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부영양화의 피해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어패류 폐사
  2. 악취 발생
  3. 수중생태계 파괴
  4. 조류의 이상번식에 의한 투명도 증가
(정답률: 81%)
  • 조류의 이상번식에 의한 투명도 증가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부영양화로 인해 물 속에 존재하는 질소와 인이 조류의 과도한 번식을 유발하게 되어 물의 투명도를 저하시키는 현상이다. 이는 다른 피해와 달리 시각적인 영향이 크지 않아 거리가 먼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지구의 기후변화와 열섬효과 등 인류생존에 큰 영향을 주고 있는 오존층을 보호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다음 중 오존층은 대기의 어디에 위치하는가?

  1. 대류권
  2. 성층권
  3. 전리권
  4. 외기권
(정답률: 84%)
  • 오존층은 대기의 성층권에 위치한다. 이는 대기의 상대적으로 높은 고도인 10~50km 지점에 존재하며, 자외선을 차단하여 지구상의 생명체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온대지역의 삼림을 벌채한 후, 불을 놓아 참억새로 초원화가 성립된 초지에 소나 말과 같은 초식동물을 방목했을 경우 천이의 진행 방향은?

  1. 참억새가 감소되고 새의 군락을 거쳐 잔디 초원으로 변한다.
  2. 개망초 등의 잡초군락을 거쳐 관목군락에 이어 상수리 나무림과 같은 삼림으로 재차 이행한다.
  3. 참억새는 점차 감소하고 참싸리와 큰까치수염, 양지사초등이 크게 증가한다.
  4. 참억새군락에 이어 재생력과 답압에 강한 잔디초원을 거쳐 참싸리, 고사리, 그늘사초 등의 고경성 초원이 성립한다.
(정답률: 40%)
  • 참억새는 초원에서 주요한 식물 중 하나이며, 이 식물이 감소하면 초원의 생태계가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초원에서 방목된 소나 말과 같은 초식동물이 참억새를 먹게 되면, 이 식물의 양이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초원의 생태계는 변화하게 되며, 이 변화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먼저 참억새가 감소하고, 이에 따라 새의 군락이 거쳐져 잔디 초원으로 변한다. 이후에는 개망초 등의 잡초군락을 거쳐 관목군락에 이어 상수리 나무림과 같은 삼림으로 재차 이행한다. 따라서 정답은 "참억새가 감소되고 새의 군락을 거쳐 잔디 초원으로 변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하천생태계의 조사방법 중 틀린 것은?

  1. 하천내로 들어가 발에 느껴지는 감촉을 확인하여 하상의 경도, 유기성의 저질의 퇴적상태 등을 확인한다.
  2. 하천 바닥의 돌을 집어보아 돌 바닥의 색깔을 관찰하여 혐기적으로 유기물의 유하량이 많은 지를 조사한다.
  3. 비가 내리지 않았을 경우 물속에 수초가 살고 있는지를 조사하여 유량의 변동이 많고 적음을 확인한다.
  4. 수생곤충은 이동성이 많아 수질의 판정에 불합리하기 때문에 지표종으로 이용하기가 어렵다.
(정답률: 79%)
  • "수생곤충은 이동성이 많아 수질의 판정에 불합리하기 때문에 지표종으로 이용하기가 어렵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수생곤충은 수질의 질을 판단하는 지표종으로 이용되며, 이동성이 많아서 다양한 수질환경에서 서식할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호소의 산성화와 어류의 개체수 감소를 초래하는 것은?

  1. 산성비
  2. 지구온난화
  3. 온실효과
  4. 방사능 동위원소
(정답률: 75%)
  • 정답: 산성비

    산성비는 대기 중 이산화황(SO2)과 질소산화물(NOx) 등의 화학물질이 물과 반응하여 생성되는 화학 반응의 결과물로, 대기 중의 pH를 낮추어 산성화시키는 것입니다. 이로 인해 물 속의 pH도 낮아지며, 어류의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또한 산성비는 식물의 성장을 방해하고, 토양의 산성화를 초래하여 농작물 생산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식물체의 생산성이 가장 적은 양으로 존재하는 영양물질의 양에 의하여 결정된다는 법칙은?

  1. 보일의 법칙
  2. 샤를의 법칙
  3. Liebig의 최소량 법칙
  4. Shelford의 내성 법칙
(정답률: 85%)
  • 식물체가 필요로 하는 영양물질 중 가장 적게 있는 것이 생산성을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Liebig의 최소량 법칙이 말해줍니다. 즉, 어떤 영양물질이 부족하면 그것이 생산성을 제한하는 요인이 되며, 이를 보완해줘야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환경계획학

21. 지속가능성의 단계를 「아주 약한 지속가능성」, 「약한 지속가능성」, 「강한 지속가능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정책, 경제, 사회분야의 설명이 모두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1. 약한 지속가능성 : 공식적 정책통합과 적절한 목표 설정 - 경제적 수단과 미미한 연계 - 지역발전을 위한 지방정부의 주도적 역할
  2. 약한 지속가능성 : 확고한 정책통합과 강력한 국제협약 - 완벽한 경제적 가치 - 미래 비전에 입각한 공공 환경 교육 도입
  3. 아주 약한 지속가능성 : 공식적 정책통합과 적절한 목표 설정 - 미시경제적 인센티브의 근본적 재편 - 지역발전을 위한 지방정부의 주도적 역할
  4. 강한 지속가능성 : 확고한 정책통합과 강력한 국제협약 - 산업 및 국가적 차원의 녹색계정 확립 - 환경교육 프로그램 체계화
(정답률: 64%)
  • 강한 지속가능성은 확고한 정책통합과 강력한 국제협약, 산업 및 국가적 차원의 녹색계정 확립, 환경교육 프로그램 체계화가 모두 올바르게 연결된 것이다. 이는 정책적, 경제적, 사회적 측면에서 모두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며, 국제적 협력과 산업 및 국가 차원에서의 녹색 성장을 추진하고, 환경교육을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인식과 행동을 촉진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우리나라 습지보전법과 시행령에서 제시된 습지보전ㆍ이용 시설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습지를 연구하기 위한 연구시설
  2. 습지생태를 관찰하기 위한 시설
  3. 습지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시설
  4. 습지를 복원하기 위한 시설
(정답률: 50%)
  • 정답: "습지를 복원하기 위한 시설"

    습지를 복원하기 위한 시설은 습지를 보전하고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시설로, 습지를 복원하고 생태계를 회복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습지보전법과 시행령에서 제시된 습지보전ㆍ이용 시설에 해당됩니다. 다른 보기들도 모두 습지보전과 관련된 시설이지만, "습지를 복원하기 위한 시설"은 습지를 처음부터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라 이미 파괴된 습지를 회복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지속가능성의 달성을 위해 국토 및 지역차원에서의 환경계획 수립시 고려될 수 있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인간의 활동은 환경적 고려사항에 의해서 최대한 제한한다.
  2. 환경에 대한 우리의 부주의의 대가를 차세대가 치르도록 해서는 안된다.
  3. 재생이나 순환가능한 물질을 사용하고 폐기물을 최소화 함으로써 자원을 보전한다.
  4. 프로그램 및 정책에 대한 이행 및 관리책임을 가장 낮은 수준의 민간에서 맡도록 해야 한다.
(정답률: 68%)
  • 정답인 "프로그램 및 정책에 대한 이행 및 관리책임을 가장 낮은 수준의 민간에서 맡도록 해야 한다."은 지속가능성을 달성하기 위해 고려되어서는 안 되는 사항입니다. 이유는 지속가능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모든 이해관계자들이 책임을 다해야 하며, 특히 프로그램 및 정책의 이행과 관리는 정부와 민간 모두가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협력과 책임 분담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환경정책기본법 안에서 국가환경종합계획의 수립시 포함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환경의 현황 및 전망
  2. 국토종합 계획상의 개발방향에 따른 환경오염과 환경훼손의 정도에 관한 사항
  3. 인구ㆍ산업ㆍ경제ㆍ토지 및 해양의 이용 등 환경변화 여건에 관한 사항
  4. 환경오염원ㆍ환경오염도 및 오염물질 배출량의 예측과 환경오염 및 환경훼손으로 인한 환경의 질 변화 전망
(정답률: 37%)
  • 국토종합 계획상의 개발방향에 따른 환경오염과 환경훼손의 정도에 관한 사항은 국토와 환경의 관계를 파악하고, 개발과 환경보호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국가환경종합계획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사항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이 아닌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조시기본계획의 수립권자와 대상지역에 관한 설명 중 ( )안에 들어갈 내용이 아닌 것은?

  1. 시 또는 군의 위치
  2. 인구의 규모
  3. 보전지역의 면적
  4. 인구감소율
(정답률: 28%)
  • 조시기본계획의 수립권자와 대상지역에 관한 설명 중 "인구감소율"은 ( ) 안에 들어갈 내용이 아닙니다.

    보전지역의 면적은 조시기본계획의 수립권자와 대상지역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보전지역은 자연환경을 보전하고 지역사회의 생활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지정된 지역으로, 이 지역의 면적이 크다면 해당 지역의 자연환경을 보전하고 지역사회의 생활환경을 개선하는 데 더 많은 기회가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보전지역의 면적은 조시기본계획의 수립권자가 대상지역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시민참여형 환경계획의 하나인 옴부즈만 제도로 기대할 수 있는 기능이 아닌 것은?

  1. 국민의 권리구제
  2. 민주적 행정통제와 개혁
  3. 산-관-학-민의 긴밀한 연계를 통한 환경보전기술의 개발
  4. 사회적 이슈의 제기 및 행정정보 공개
(정답률: 49%)
  • 옴부즈만 제도는 시민들이 환경계획에 참여하여 권리구제와 행정통제, 사회적 이슈 제기 및 행정정보 공개 등을 통해 민주적인 환경보전을 추진하는 제도이다. 따라서, "산-관-학-민의 긴밀한 연계를 통한 환경보전기술의 개발"은 옴부즈만 제도의 기능 중 하나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바젤협약(Basel Convention)과 관련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

  1. 우리나라도 1994년 가입하였다.
  2. 리우환경회담에서 결정하였다.
  3. 유해 폐기물의 국가간 이동금지에 대한 협약이다.
  4. 유해페기물의 국가간 이동뿐만 아니라 자국내의 폐기물 발생을 최소화 한다.
(정답률: 62%)
  • "리우환경회담에서 결정하였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바젤협약은 1989년 바젤에서 체결되었다. 리우환경회담은 1992년에 열렸지만, 바젤협약과는 별개의 환경협약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생태건축계획에서 수동적 에너지 손실 방지 및 보존을 고려하기 위한 내용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지형을 고려한 입지 선정
  2. 건물의 형태화 연결성
  3. 건물의 방향
  4. 건물 사용자
(정답률: 68%)
  • 건물 사용자는 건물의 설계나 구조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수동적 에너지 손실 방지 및 보존을 고려하는 생태건축계획에서는 거리가 먼 요소이다. 다른 보기들은 건물의 설계나 구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어서, 수동적 에너지 손실 방지 및 보존을 고려할 때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토지적성평가에 대한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1. 평가체계 Ⅰ에서는 초지적성등급을 5개 등급으로 분류한다.
  2. 평가체계 Ⅱ에서는 초지적성등급을 3개 등급으로 분류한다.
  3. 평가체계 Ⅰ은 도시개발사업 및 지구단위계획을 입안하는 경우에 실시한다.
  4. 평가체계 Ⅱ는 용도지역, 용도지구를 지정하거나 변경학 위한 계획을 입안하는 경우에 실시한다.
(정답률: 38%)
  • "평가체계 Ⅱ에서는 초지적성등급을 3개 등급으로 분류한다."가 맞지 않는 설명입니다.

    평가체계 Ⅰ은 도시개발사업 및 지구단위계획을 입안하는 경우에 실시하며, 초지적성등급을 5개 등급으로 분류합니다. 반면에, 평가체계 Ⅱ는 용도지역, 용도지구를 지정하거나 변경학 위한 계획을 입안하는 경우에 실시하며, 초지적성등급을 3개 등급으로 분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참여형 환경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시민참여는 시대ㆍ국가는 달라도 참여형태는 동일하다.
  2. 시민참여는 1960년 이전부터 참여형 민주주의 발전과 시민의식의 성숙과 더불어 보급된 개념이다.
  3. 시민참여는 계획에 직ㆍ간접으로 이해관계가 있는 시민들만이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방법이다.
  4. 환경정책 수립이나 계획과정이 정부주도의 하향식, 밀실구조에서 탈피하여 이해 당사자가 공동이익을 추구함으로서 환경의 질을 높이기 위한 과정이다.
(정답률: 56%)
  • 환경정책 수립이나 계획과정이 정부주도의 하향식, 밀실구조에서 탈피하여 이해 당사자가 공동이익을 추구함으로서 환경의 질을 높이기 위한 과정이다. 이는 시민들이 직접적으로 참여하여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과 이해를 높이고, 정책 수립과 실행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고 참여함으로써 보다 투명하고 민주적인 환경정책 수립과 실행을 이루어내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환경정책 수립이나 계획과정이 정부주도의 하향식, 밀실구조에서 탈피하여 이해 당사자가 공동이익을 추구함으로서 환경의 질을 높이기 위한 과정이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환경과 인간활동의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공간이나 시간적으로 경계를 설정하고 비용 또는 노력을 먼 곳이나 장래로 미루지 않는 자세로 도시나 사회, 경제구조를 유지해가고자 하는 것은 무엇과 관련된 내용인가?

  1. 무한성의 인식
  2. 환경용량이론
  3. 환경윤리와 도덕
  4. 생태적 수용능력
(정답률: 37%)
  • 이 내용은 "환경용량이론"과 관련된 내용입니다. 환경용량이론은 자원의 한계와 인구증가 등으로 인해 환경이 지속가능한 수준을 넘어설 경우 생태계의 파괴와 자원의 고갈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이론입니다. 따라서 인간은 환경의 수용능력을 고려하여 자원을 사용하고 환경을 보호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이를 위해 경계를 설정하고 비용이나 노력을 들여서도 환경을 보호하고 유지해 나가는 것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생태계의 생물다양성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유전적 다양성
  2. 종 다양성
  3. 생태계 다양성
  4. 작물의 다양성
(정답률: 62%)
  • 작물의 다양성은 생태계의 생물다양성과 관련이 없는 것이다. 작물은 일반적으로 인위적으로 조작되어 생태계의 다른 생물들과의 상호작용이 제한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작물의 다양성은 생태계의 생물다양성과는 별개로 고려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사회기반형성 차원에서의 환경계획 내용과 거리가 먼 것은?

  1. 토지이용계획
  2. 에너지계획
  3. 시민참여의 제도적 장치
  4. 계획부서와 환경부서간의 통합 조정가능
(정답률: 42%)
  • "에너지계획"은 환경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지만, 사회기반형성 차원에서는 다른 보기들과 비교하여 거리가 먼 내용이다.

    "계획부서와 환경부서간의 통합 조정가능"은 사회기반형성 차원에서 중요한 내용이다. 이는 계획 수립 시 환경적 측면을 고려하며, 환경부서와의 협력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계획 수립과 실행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생태관광의 기본원칙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자연환경의 보전
  2. 관광객 편의성의 증진
  3. 관광객의 환경인식 제고
  4. 지역주민의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편익의 보장 및 증대
(정답률: 65%)
  • 생태관광의 기본원칙 중에서 "관광객 편의성의 증진"은 다른 원칙들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관광객의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것이 생태계와 자연환경의 보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관광객의 편의를 위해 자연환경을 파괴하거나 오염시키는 것은 생태계의 균형을 깨뜨리고, 장기적으로는 관광산업 자체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생태관광에서는 관광객의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것보다는 자연환경의 보전과 관광산업의 지속가능성을 중시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의 내용이 설명하는 환경의 특성은?

  1. 시차성
  2. 광역성
  3. 탄력성과 비가역성
  4. 상호관련성
(정답률: 63%)
  • 이 환경은 탄력성과 비가역성이 강조되는 환경이다. 이는 물체가 변형되었을 때 원래의 모양으로 돌아오지 않고 영구적인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 환경은 시간이 지나면서 변화하는 시차성과 광범위한 영향력을 가진 광역성, 그리고 상호관련성이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도시관리계획의 취락지구를 용도에 따라 세분한 것으로 개발제한구역안의 취락을 정비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구는?

  1. 자연취락지구
  2. 집단취락지구
  3. 시설취락지구
  4. 농촌취락지구
(정답률: 50%)
  • 개발제한구역안의 취락을 정비하기 위해서는 취락지구를 용도에 따라 세분화하여 관리해야 합니다. 이 중에서도 집단취락지구는 인구 밀집 지역에서 발생하는 취락으로 인해 주거환경이 악화되는 지역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 지역을 선정하여 적절한 대책을 마련하고 관리함으로써 주거환경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환경부장관이 정하는 생태마을의 지정조건에 적합한 마을은?

  1. 생태ㆍ경관보전지역 안에 있는 마을
  2. 주민들이 생태적인 삶을 추구하는 마을
  3. 산림기본법에서 산촌진흥지역으로 지정된 마을
  4. 마을 경계가 유기농을 중심으로 운영되는 마을
(정답률: 54%)
  • 환경부장관이 정하는 생태마을의 지정조건 중 하나인 "생태ㆍ경관보전지역 안에 있는 마을"은 자연환경을 보전하고 유지하기 위해 지정된 지역이기 때문에, 이 지역 안에 있는 마을은 환경보전에 더욱 신경을 쓰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마을은 생태적인 삶을 추구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아, 환경부장관이 원하는 생태마을의 지정조건에 적합한 마을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의 토지관련 주제도 중 전 국토를 대상지역으로 하지 아니하고 주로 도시화지역을 대상으로 구축하는 주제도는?

  1. 토지특성도
  2. 토지이용현황도
  3. 생태자연도
  4. 토지피복지도
(정답률: 38%)
  • 정답은 "토지특성도"입니다. 이는 도시화된 지역에서 토지의 특성을 파악하여 적절한 개발 및 이용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지도입니다. 토지의 지형, 지반, 수질, 지하수 등의 특성을 나타내며, 도시 계획 및 건축물 설계 등에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국가환경종합계획과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국가환경종합계획에는 자연환경의 현황 및 전망에 관한 사항이 포함된다.
  2. 수립된 국가환경종합계획은 국무회의의 심의를 거쳐 확정된다.
  3. 환경부장관은 관련 규정에 의하여 확정된 국가환경종합계획의 종합적ㆍ체계적 추진을 위하여 3년마다 환경보전중기종합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4. 환경부장관은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국가차원의 환경보전을 위한 종합계획을 10년 마다 수립하여야 한다.
(정답률: 49%)
  • "환경부장관은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국가차원의 환경보전을 위한 종합계획을 10년 마다 수립하여야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국가환경종합계획은 5년마다 수립되며, 환경부장관은 3년마다 환경보전중기종합계획을 수립하여 국가환경종합계획을 체계적으로 추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어떤 일정한 생명집단 및 사회 속에서 3차원적이고 지역적으로 다른 것들과 구분되는 생명공간 단위에 해당하는 것은?

  1. 비오톱(biotope)
  2. 식생(vegetation)
  3. 종(species)
  4. 개체군(population)
(정답률: 68%)
  • 비오톱은 일정한 생명집단이나 사회 속에서 3차원적이고 지역적으로 다른 생명공간 단위를 의미합니다. 즉, 특정 지역에서 서식하는 동물과 식물 등의 생물군집이 함께 존재하는 공간을 말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식생, 종, 개체군은 비오톱을 구성하는 요소 중 하나일 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생태복원공학

41. 식물종자에 의한 유전자 이동의 방법 중 동물에 의한 산포(散布)방법이 아닌 것은?

  1. 기계형산포
  2. 부착형산포
  3. 피식형산포
  4. 저식형산포
(정답률: 72%)
  • 기계형산포는 기계적인 도구를 사용하여 식물종자를 산포시키는 방법으로, 인간이나 기계가 직접 식물종자를 흩뿌리는 방법이다. 따라서 동물에 의한 산포 방법이 아닌 것이다. 부착형산포는 식물종자가 동물의 털이나 깃털에 부착되어 전파되는 방법, 피식형산포는 동물이 식물종자를 먹고 배설물로 전파되는 방법, 저식형산포는 물에 떠서 전파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습지를 복원하고자 할 때 고려사항으로 맞는 것은?

  1. 습지의 형태는 단순할수록 좋다.
  2. 호안의 경사는 급할수록 식물 성장에 좋다.
  3. 수심과 수위변동은 습지식물 분포와 무관하다.
  4. 습지의 규모는 목표종의 생태적 특성과 개체수를 고려하여 접근한다.
(정답률: 74%)
  • 습지의 규모는 목표종의 생태적 특성과 개체수를 고려하여 접근해야 하는 이유는, 각 종마다 서식하는 환경과 공간의 요구가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목표종의 생태적 특성과 개체수를 고려하여 적절한 습지 규모를 설정해야 해당 종이 적절한 서식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고, 생태계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도시생태계 내 도시림의 식생복원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자연식생녹지는 자생수종의 생태적 특성을 토대로 훼손지 복구 및 복원을 중점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2. 자연식생은 외래종 식재나 인위적인 녹지관리를 지양하고, 천이가 진행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3. 인공림에서 자연식생으로 천이가 진행되는 녹지는 외해종을 제거하고, 자생종만을 남긴다.
  4. 인공조림녹지는 도시섬화하여 자생종의 종자전파가 어려우므로 천이계열상 발전기에 속하는 종을 도입한다.
(정답률: 49%)
  • 정답은 "인공림에서 자연식생으로 천이가 진행되는 녹지는 외해종을 제거하고, 자생종만을 남긴다." 이다. 이유는 자연식생녹지는 자생종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하여 복원하고, 외래종 식재나 인위적인 녹지관리를 지양하며 천이가 진행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반면, 인공림에서 자연식생으로 천이가 진행되는 녹지는 외해종을 제거하고, 자생종만을 남기는 것은 자연식생녹지의 원칙과는 맞지 않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하천 둑을 밑폭 5m, 위폭 2m, 높이 2m의 50m 연장 둑을 조성하였을 때 취토 토사량은?

  1. 250m3
  2. 300m3
  3. 350m3
  4. 400m3
(정답률: 47%)
  • 하천 둑의 단면적은 (밑변+윗변)×높이÷2 이므로, 이 문제에서 하천 둑의 단면적은 (5m+2m)×2m÷2 = 7m² 이다. 이 단면적을 50m의 연장으로 곱하면 취토 토사량을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취토 토사량은 7m²×50m = 350m³ 이다. 따라서 정답은 "350m³"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질소 고정작용을 하는 식물에서 고정량이 가장 큰 것은?

  1. 땅콩
  2. 오리나무
  3. 알파파
(정답률: 39%)
  • 알파파는 뿌리에 균주인 뿌리결합균이 고정되어 있어 질소 고정량이 매우 큽니다. 따라서 알파파가 다른 보기들보다 질소 고정량이 가장 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생태복원 지역의 안내시설물 설치기준으로 잘못된 것은?

  1. 안내시설물은 복원지역의 입구에 설치하여 많은 탐방객이 보기 쉽게 한다.
  2. 안내시설물의 형태는 주변 경관과 조화되도록 한다.
  3. 안내시설물의 재료는 국내에서 생산되는 목재를 사용한다.
  4. 안내시설물의 색채는 적색 및 흰색 계통을 많이 사용한다.
(정답률: 56%)
  • 정답은 "안내시설물의 색채는 적색 및 흰색 계통을 많이 사용한다." 이다. 생태복원 지역의 안내시설물 설치기준에서는 적색 및 흰색 계통을 사용하지 않는다. 이유는 이러한 색상은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대신 자연스러운 색상을 사용하여 주변 경관과 조화되도록 설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폐광에서 생겨나는 훼손의 유형이 아닌 것은?

  1. 노출된 지형
  2. 광미(tailing, 鑛尾)
  3. 지반침하
  4. 여울(riffle)
(정답률: 68%)
  • 여울(riffle)은 강이나 하천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폐광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여울(riffle)이 폐광에서 생겨나는 훼손의 유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야생화 초지의 복원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야생화 초지의 설계 요소로는 색깔, 질감, 식물의 형태, 층위 등이 있다.
  2. 야생화 초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는 토양, 광량, 천이 등이 있다.
  3. 파종은 춘파는 10~11월에 파종하고, 추파는 3~4월이 적합하다.
  4. 야생초화류 식재시공 시 이용할 식물재료는 규격묘를 사용해야 한다.
(정답률: 25%)
  • "야생화 초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는 토양, 광량, 천이 등이 있다."는 야생화 초지의 복원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다. 이유는 이 문장은 야생화 초지의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한 설명이지, 복원기법에 대한 설명이 아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강우에 의한 훼손지의 침식현상 중 비탈면 상하방향의 물길, 또는 자연적인 비탈면 요부에 표면유거수가 집수되어 유하세력이 점차 증대됨에 따라 하나의 분명한 작은 물길이 형성되는 침식은 무엇인가?

  1. 누구침식(rill erosion)
  2. 구곡침식(gully erosion)
  3. 면상침식(surface erosion)
  4. 야계침식(torrent erosion)
(정답률: 50%)
  • 누구침식은 강우에 의해 비탈면 상하방향으로 흐르는 물길이 점차 깊어지면서 발생하는 침식 현상입니다. 이는 표면유거수가 집수되어 유하세력이 증대되면서 발생하며, 구곡침식보다는 작은 규모의 침식입니다. 면상침식은 전체적인 토양층의 침식을 의미하고, 야계침식은 대규모의 산성우나 홍수 등에 의해 발생하는 침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녹화식물의 근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이끼류는 근계가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다.
  2. 근계는 암반의 균열을 크게 하거나 주위를 산화시키며, 미생물상이나 동물상에 영향을 미친다.
  3. 식물의 근계는 지상부를 지지하고 토양으로부터 수분과 영양염류를 식물체 내로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4. 근계는 토양경도가 야마나까(山中)식에서는 26~27mm를 초과하면 근계신장을 기대하기 어렵다.
(정답률: 44%)
  • "근계는 토양경도가 야마나까(山中)식에서는 26~27mm를 초과하면 근계신장을 기대하기 어렵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이유는 야마나까식은 토양이 얇고 경도가 높은 환경에서 자라는 식물로, 이러한 환경에서는 근계가 짧고 더 넓은 면적으로 토양을 덮어 흡수를 높이는 전략을 취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토양경도가 높은 환경에서는 근계신장이 낮을 수밖에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토양 비옥도 증진을 위한 시비 방안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질소질 비료를 시비할 때는 석회를 사용하고, 보름 쯤 지난 후 시비하는 것이 좋다.
  2. 용성인비를 시비할 때는 뿌리 근처에 골을 판 후 시비하는 것이 좋다.
  3. 비료는 한꺼번에 많이 주지 말고, 여러 번 나누어 주며 특히 비료를 많이 저장할 수 있는 유기물을 흙속에 투입한다.
  4. 토양의 물리성이나 배수성을 좋게 하기 위해 심토를 갈아주는데 초봄에 심토를 간 후 유기물을 많이 주고 경운해 준다.
(정답률: 46%)
  • 옳지 않은 것은 "토양의 물리성이나 배수성을 좋게 하기 위해 심토를 갈아주는데 초봄에 심토를 간 후 유기물을 많이 주고 경운해 준다." 이다. 이유는 초봄에 심토를 갈아주면 땅이 너무 많이 흔들리고 건조해져서 토양 생태계가 깨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을에 심토를 갈아주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토양개량에 쓰이는 자재 중 피트모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토양에 사용하면 대공극의 형성에 의한 팽창, 통기성의 확보, 보수기능의 향상이라는 물리적인 개선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2. 양이온교환용량(CEC)이 퇴비에 비해 높다.
  3. 유기질자재이므로 쉽게 분해되기 어려운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지속성이 있다.
  4. 일반적으로 pH7 이상의 알카리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중화처리를 하지 않아도 된다.
(정답률: 56%)
  • 일반적으로 pH7 이상의 알카리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중화처리를 하지 않아도 된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피트모스는 pH가 4.5 ~ 5.5로 산성이기 때문에 중화처리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습생초원의 서식중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물억새
  2. 원추리
  3. 부처꽃
  4. 노루오줌
(정답률: 61%)
  • 원추리는 습생초원의 서식이 아니라, 산림지나 건조한 초원 등에서 자라는 식물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원추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압축공기로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를 시공면에 뿜어붙이는 공법은?

  1. 숏크리트
  2.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3. 경량골재 콘크리트
  4. 섬유보강 콘크리트
(정답률: 59%)
  • 압축공기로 콘크리트나 모르타르를 시공면에 뿜어붙이는 공법을 "스프레이 콘크리트" 라고도 부르는데, 이 중에서도 입자 크기가 작은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것을 "숏크리트" 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숏크리트"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자연형 하천복원에 활용하는 야자섬유 재료의 규격 및 설치기준으로서 틀린 것은?

  1. 야자섬유 두루마리의 규격은 길이 4m×지름 0.3m 크기의 실린더형을 표준으로 한다.
  2. 야자섬유망의 규격은 폭 1m×길이 10m를 표준으로 한다.
  3. 야자섬유로프는 100% 야자섬유의 분순물을 제거한 후 두께 5~6mm로 꼬아 만든다.
  4. 야자섬유망은 사면에 철근 착지핀을 1개/m2 이상 박아 견고히 설치한다.
(정답률: 48%)
  • 정답은 "야자섬유망의 규격은 폭 1m×길이 10m를 표준으로 한다."이다. 이유는 야자섬유망의 규격은 폭 2m×길이 10m를 표준으로 한다. 야자섬유망은 하천 복원 시 하천의 둑을 보호하고, 물속에서의 토사 유출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야자섬유망의 규격은 적절하게 선택되어야 하며, 설치 시 사면에 철근 착지핀을 1개/m2 이상 박아 견고히 설치해야 한다. 야자섬유로프는 100% 야자섬유의 분순물을 제거한 후 두께 5~6mm로 꼬아 만들어야 한다. 야자섬유 두루마리의 규격은 길이 4m×지름 0.3m 크기의 실린더형을 표준으로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해안의 유형의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모래갯벌은 바닥이 주로 모래질로 되어 있으며 입자의 평균크기가 0.2~0.7cm 정도이고, 유기물 함량이 1~2%정도로 적으며, 바지락, 동죽, 백합 등을 볼 수 있다.
  2. 펄 갯벌은 펄 함량이 70%이상을 차지하는 정도 이고, 입자가 치밀하고 단단하여 조사시 잘 빠지지 않으며, 고막, 가리막 등의 조개 등이 서식한다.
  3. 자갈해안은 암편이나 다양한 크기의 퇴적물의 파편으로 이루어져 있고, 자갈의 직경은 2mm 이상의 것으로 구성되며, 서식하는 종들은 낮은 서식밀도를 나타난다.
  4. 암반해안은 파도에 의한 침식으로 암반이 노출된 해안으로, 남해안은 조간대현상이 뚜렷하고 생물상도 풍부하지만 서해안은 조수간만의 차이가 크고 물이 탁하여 생물상도 빈약하다.
(정답률: 39%)
  • 펄 갯벌은 펄 함량이 70%이상을 차지하는 정도 이고, 입자가 치밀하고 단단하여 조사시 잘 빠지지 않으며, 고막, 가리막 등의 조개 등이 서식한다. (잘못된 설명이 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도시생태계 복원대책으로 틀린 것은?

  1. 물순환 환경의 개선
  2. 물질순환의 개선
  3. 열섬현상 증가
  4. 에너지 사용억제
(정답률: 74%)
  • 정답은 "열섬현상 증가"입니다. 도시생태계 복원대책으로는 물순환 환경의 개선, 물질순환의 개선, 에너지 사용억제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도시에서는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지역적으로 기온이 상승하여 열섬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도시생태계 복원대책으로는 열섬현상을 줄이기 위한 노력도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채석장에서 돌을 뜰 때 앞면, 길이(뒷길이), 뒷면, 접촉면, 허리치기의 치수를 특별한 규격에 맞도록 지정하여 만든 쌓기용 석재는?

  1. 각석 및 판석
  2. 마름돌
  3. 견치돌
  4. 사고석
(정답률: 63%)
  • 견치돌은 쌓기용 석재 중에서도 특별한 규격에 맞게 제작되어 앞면, 길이(뒷길이), 뒷면, 접촉면, 허리치기의 치수가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이는 건축물의 안정성과 아름다움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각석 및 판석, 마름돌, 사고석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지각을 구성하고 있는 8대 주요원소가 아닌 것은?

  1. 산소
  2. 규소
  3. 알루미늄
(정답률: 39%)
  • 지각을 구성하는 8대 주요원소는 산소, 규소, 알루미늄, 철, 칼슘,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입니다. 따라서 황은 지각을 구성하는 8대 주요원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인간에 의한 생태계 단편화의 영향에 대해 설명한 것으로 올바른 것은?

  1. 서식처의 가장자리 면적을 급격히 증가시켜 종수의 변화가 없다.
  2. 새로운 생태적 변화에 노출되어 식물과 동물의 개채군 크기는 늘어난다.
  3. 개체군의 크기는 감소하고 사멸될 확률은 증가한다.
  4. 내부의 서식처는 늘어나고 가장자리 서식처는 줄어들고 안정된 생태계에 서식하는 종이 증가한다.
(정답률: 67%)
  • 답은 "개체군의 크기는 감소하고 사멸될 확률은 증가한다." 이다. 인간에 의한 생태계 단편화는 서식지의 분리, 감소, 파편화 등으로 인해 생태계의 안정성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종의 개체군 크기가 감소하고 사멸될 확률이 증가한다. 이는 식량 공급, 번식, 유전적 다양성 등에 영향을 미치며, 생태계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경관생태학

61. 다음 중 비오톱의 보호 및 조성에 있어서의 원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비오톱 조성시 동일한 기본면적단위를 우선적으로 적용한다.
  2. 조성 대상지 본래의 자연환경을 복원하고 보전한다.
  3. 비오톱 조성의 설계시 이용소재는 그 지역 본래의 것으로 한다.
  4. 회복, 보전할 생물의 계속적 생존을 위하여 이에 상응하는 수질의 용수를 확보하도록 한다.
(정답률: 66%)
  • 정답: "비오톱 조성의 설계시 이용소재는 그 지역 본래의 것으로 한다."

    해설: 비오톱 조성시 동일한 기본면적단위를 우선적으로 적용하는 이유는 조성된 지역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생태계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함입니다. 이와 같은 원칙을 지키면서 조성 대상지 본래의 자연환경을 복원하고 보전하며, 회복, 보전할 생물의 계속적 생존을 위하여 이에 상응하는 수질의 용수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이용소재는 그 지역 본래의 것으로 한다는 원칙은 비오톱 조성의 목적과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할 필요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지역적 특성에 따라 적절한 소재를 선택하여 조성하는 것이 더 적합한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경관의 이질성(heterogeneity)에 대한 정의가 맞는 것은?

  1. 경관요소의 다양한 구성 정도
  2. 경관의 간섭에 대해 적응성이 높은 성질
  3. 경관의 간섭에 대해 저항하는 정도
  4. 커다란 서식처가 2개 이상의 작은 서식처로 나누어지는 현상
(정답률: 39%)
  • 경관의 이질성(heterogeneity)은 경관을 구성하는 요소들이 서로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음을 의미합니다. 즉, 경관요소의 다양한 구성 정도가 높을수록 이질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이러한 이질성은 경관의 간섭에 대해 적응성이 높은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반면에 경관의 간섭에 대해 저항하는 정도는 낮아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경관의 이질성은 생태계의 다양성과 유사한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댐 건설로 인한 경관적 영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유속 증가
  2. 식생 유실
  3. 시각적 질의 변화
  4. 대규모 질성토 비탈면 형성
(정답률: 62%)
  • "유속 증가"는 댐 건설로 인해 물이 억제되어 상류쪽에서는 물이 쌓이고 하류쪽에서는 물이 부족해지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하류쪽에서는 유속이 증가하게 되어 강력한 물의 흐름이 발생하고, 이는 주변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따라서 "유속 증가"는 댐 건설로 인한 경관적 영향 중에서도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환경보전지역(서식처)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기준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1. 희귀성
  2. 다양성
  3. 면적
  4. 경제성
(정답률: 57%)
  • 환경보전지역(서식처)을 설정하는 기준 중에서 가장 부적합한 것은 "경제성"입니다. 이는 환경보전지역(서식처)의 주요 목적이 자연환경을 보전하고 생태계를 유지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경제성을 우선시하는 것은 이 목적과는 상반되며, 환경보전지역(서식처)의 설정에 있어서는 중요한 기준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지리정보체계(GIS)의 기능적 요소가 아닌 것은?

  1. 자료의 전처리
  2. 자료관리
  3. 조정 및 분석
  4. 플로트
(정답률: 58%)
  • 플로트는 GIS에서 사용되는 기능적 요소가 아닙니다. 플로트는 데이터 시각화를 위한 그래프나 차트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하지만 자료의 전처리, 자료관리, 조정 및 분석은 GIS에서 가장 중요한 기능적 요소들입니다. 자료의 전처리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정제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자료관리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조정 및 분석은 데이터를 분석하고 시각화하여 지리적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굴곡에 의한 생태적 효과 중 조각을 관통 할 때 좁고 우묵 들어간 곳으로 집중되는 효과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반도 효과(peninsula effect)
  2. 깔때기 효과(funnel effect)
  3. 벤투리 효과(venturi effect)
  4. 울타리 효과(drift-fence effect)
(정답률: 36%)
  • 벤투리 효과는 유체가 흐르는 관로나 통로에서 유속이 빠르고 좁은 부분으로 향할 때 압력이 낮아지는 현상을 말한다. 이 때, 유체는 좁은 부분으로 향해 속도가 증가하면서 압력이 낮아지고, 넓은 부분으로 향해 속도가 감소하면서 압력이 높아진다. 이러한 벤투리 효과는 생태학에서는 조각이나 구멍 같은 작은 공간에서 유체가 흐를 때, 좁은 부분으로 유체가 집중되어 생태적인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한반도 해안 경관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동해안은 융기해안으로서 해안선이 단조롭다.
  2. 동해안은 주로 조석(tide)이 모래를 옮겨와 사빈해안을 만들었다.
  3. 서해안은 갯벌이 매우 잘 발달되어 있다.
  4. 서해안에 발달한 사구는 강한 서풍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정답률: 57%)
  • "동해안은 주로 조석(tide)이 모래를 옮겨와 사빈해안을 만들었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사빈해안은 서해안에 위치하며, 조석이 모래를 옮겨와 형성된 것이다. 동해안은 융기해안으로서 해안선이 단조롭다는 것이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경관생태학에서 주로 다루지 않은 것은?

  1. 시간에 따라 바뀌는 경관 모자이크 생태 기능
  2. 공간요소 사이의 에너지, 영양염류, 생물종의 흐름
  3. 생태계 사이의 공간적 상호관계
  4. 독성물질의 이동 경로
(정답률: 70%)
  • 경관생태학은 지리적, 생물학적, 환경학적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자연환경의 생태계를 이해하고 보전하는 학문이다. 따라서 "독성물질의 이동 경로"는 경관생태학에서 다루지 않는 주제이다. 이는 환경학이나 환경공학 등 다른 학문에서 다루는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경관생태학은 경관의 구조, 기능 변화에 중점을 둔 연구영역이다. 다음 중 경관생태학적 관점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로 맞는 것은?

  1. 경관모자이크(Landscape Mosaic)는 동질적(homogeneous)인 공간의 집합이며 종, 에너지, 물질의 여러 가지 분포가 경관의 구조를 결정한다.
  2. 경관의 코리더(corridor), 매트릭스(matrix), 패치(patch)를 통한 동ㆍ식물의 이동과 교환은 경관의 동질성을 보다 높여준다.
  3. 경관모자이크가 안정된 것은 생체량(biomass)이 존재하여 물리적으로 시스템이 불안정되어 있는 경우, 혹은 생체량이 작은 경우로 교환으로부터의 회복이 늦은 경우, 반대로 생체량이 커서 교환에 대한 저항성이 매우 낮은 경우의 세 가지이다.
  4. 경관모자이크(Landscape Mosaic)의 구조는 중간정도의 교란(攪亂 : disturbanae)을 받으면 이질성을 높여준다.
(정답률: 33%)
  • 경관생태학적 관점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는 경관모자이크의 구조와 종, 에너지, 물질의 분포, 경관의 코리더, 매트릭스, 패치를 통한 동식물의 이동과 교환, 생체량의 크기와 교환에 대한 저항성 등이다. 경관모자이크의 구조는 중간정도의 교란을 받으면 이질성을 높여준다는 이유는 교란이 경관의 구조를 더욱 다양하고 복잡하게 만들어서 다양한 종들이 서로 다른 환경에서 서식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이는 생태계의 다양성과 안정성을 높여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산림의 자연성을 파악하는 도면으로 자연생태 및 환경적 가치를 판단할 수 있는 지표로서 식생과 토지이용현황에 따라 산림공간의 상태를 등급화한 도면은 무엇인가?

  1. 녹지자연도
  2. 임상도
  3. 현존식생도
  4. 산지이용구분도
(정답률: 46%)
  • 녹지자연도는 산림의 자연성을 파악하는 도면으로, 식생과 토지이용현황에 따라 산림공간의 상태를 등급화하여 자연생태 및 환경적 가치를 판단할 수 있는 지표이다. 따라서 정답은 "녹지자연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설명에 해당되는 천이의 유형은?

  1. 진행적 천이
  2. 퇴행적 천이
  3. 순환적 천이
  4. 자발적 천이
(정답률: 50%)
  • 이 유형은 순환적 천이에 해당한다. 이유는 천이 과정에서 A와 B가 번갈아 나타나며, 이 과정이 무한히 반복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유형은 순환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최소존속개체군(minimum viable population : MVP)의 정의로 맞지 않는 것은?

  1. 개체수, 환경, 유전자 변화에 의해 결정된다.
  2. 존속 개체군 이하에 이르면 장기적으로 멸종에 이르게 된다.
  3. 장기간에 걸쳐 한 개체군을 유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최소 개체수이다.
  4. 큰 규모의 개체군 보다 소규모의 개체군이 유리하다.
(정답률: 66%)
  • 정답: "큰 규모의 개체군 보다 소규모의 개체군이 유리하다."

    이유: 최소존속개체군(MVP)은 장기간에 걸쳐 한 개체군을 유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최소 개체수를 의미한다. 개체수, 환경, 유전자 변화에 따라 결정되며, 존속 개체군 이하에 이르면 장기적으로 멸종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큰 규모의 개체군이 유리하다는 주장은 옳지 않다. 오히려 소규모의 개체군이 유리한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환경에서는 작은 개체군이 더 적응력이 높아서 생존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비오톱의 보호를 위해서는 개념 설정이 필요한데 이 개념 설정 항목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보호를 할 경우 어떤 비오톱이 특히 중요하고, 어느 것이 중요하지 않은가? 인간활동이 우점하는 지역의 확대에 따라 어떤 비오톱의 어느 부분이 종이나 동물군집의 생존에 있어서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가?
  2. 하나의 비오톱 타입 중에는 여러 가지 형태의 비오톱이 포함되지만, 어떤 형태의 비오톱이 다른 것과 비교하여 보호할 필요가 큰 것인가?
  3. 어떤 형태의 어떠한 특징이 보호할 때에 어떻게 도움이 되며 또한 어떠한 요인을 통하여 이들 특징이 다시 제한되는 것인가? 그것들의 특징은 서로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인가?
  4. 보호의 목적을 위해서는 어떤 정책이나 제한을 일괄적으로 통합하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한가?
(정답률: 44%)
  • "보호의 목적을 위해서는 어떤 정책이나 제한을 일괄적으로 통합하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한가?"가 적합하지 않은 개념 설정 항목입니다. 이유는 보호를 위해서는 각 비오톱의 특성과 상황에 맞게 다양한 정책과 제한을 적용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일괄적인 적용은 각 비오톱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으며, 보호의 효과를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토지피복분류에 주로 사용하는 Landsat TM/ETM+ 영상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30m 공간해상도를 갖는 7개의 band로 이루어져 있다.
  2. Landsat영상을 이용하여 나무의 수종까지 구분이 가능하다.
  3. 열적외선 band를 이용하여 온도분포를 측정할 수 있다.
  4. Landst ETM+의 경우 15m 공간해상도의 칼라영상을 포함하고 있다.
(정답률: 38%)
  • Landsat TM/ETM+ 영상은 30m 공간해상도를 갖는 7개의 band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중 열적외선 band를 이용하여 온도분포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토지피복분류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경관생태학 연구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단일생태계를 조사 대상으로 한다.
  2. 생태단위조각(patch)을 이용하여 정량적인 방법으로 표현한다.
  3. 인간의 역사 혹은 동물의 생활사 등을 생태학적으로 연구한다.
  4. 지역 경관의 이론 또는 방법론의 실제적 적용 가능성을 강조한다.
(정답률: 67%)
  • 단일생태계를 조사 대상으로 한다는 것은 경관생태학 연구에서의 특징이 아닙니다. 경관생태학은 여러 개의 생태단위조각(patch)을 이용하여 지역 경관의 생태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정량적인 방법으로 표현합니다. 또한 인간의 역사나 동물의 생활사 등을 생태학적으로 연구하며, 지역 경관의 이론과 방법론을 실제적으로 적용 가능하도록 강조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보전 공간설정을 위한 비오톱 평가 지표들을 가장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접근성, 포장율, 층위구조
  2. 복원능력, 종다양도, 멸종위기종의 출현
  3. 주거지와의 거리, 멸종위기종의 출현, 복원능력
  4. 층위구조, 종다양도, 이용빈도
(정답률: 64%)
  • 보전 공간설정을 위한 가장 적절한 비오톱 평가 지표는 생태계의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복원능력, 생물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한 종다양도, 그리고 멸종위기종의 출현을 예방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는 생태계의 건강한 유지와 지속 가능한 보전을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들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복원능력, 종다양도, 멸종위기종의 출현"이 가장 바르게 나열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경관을 이루는 기본적인 단위는 경관요소이며,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이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공간(space)
  2. 조각(patch)
  3. 바탕(matrix)
  4. 통로(corridor)
(정답률: 57%)
  • 공간은 경관을 이루는 기본적인 단위가 아니기 때문이다. 경관요소는 경관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을 의미하며, 조각, 바탕, 통로 등이 이에 해당된다. 공간은 경관을 구성하는 물체들이 위치하는 빈 공간을 의미하며, 경관을 이루는 기본적인 단위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문화와 경관생태의 관계를 가장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인간의 경험은 문화적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경관생태에 다시 영향을 미친다.
  2. 인간의 문화는 궁극적으로 자연경관을 훼손하는 부정적인 관계로 요약된다.
  3. 인문환경의 문화와 경관생태의 자연환경 요소간에서 실제적인 연관성을 찾기 어렵다.
  4. 경관생태와 문화 모두 비용의 지불로 온전히 보전될 수 있으나 그 비용의 규모는 크지 않다.
(정답률: 66%)
  • 인간의 경험은 문화적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경관생태에 다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인간의 문화와 경관생태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간이 경험하는 문화적인 가치관과 행동양식은 자연환경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경관생태의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문화적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문화와 경관생태의 조화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토지변형을 가져오는 요인 중 서식지 내에 구멍이 생기는 현상은?

  1. 단편화
  2. 천공화
  3. 축소
  4. 마멸
(정답률: 74%)
  • 서식지 내에서 천공화 현상은 인간의 개입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인간이 건물, 도로, 인프라 등을 건설하면서 자연환경을 파괴하고 서식지를 단편화시키는데, 이로 인해 서식지 내에 구멍이 생기게 됩니다. 이 구멍은 생물들의 이동과 서식지 내 생태계의 안정성을 위협하게 됩니다. 따라서 인간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서식지를 보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서식처의 파편화에 의해 국지적으로 멸종 가능성이 높은 종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개체군의 크기가 큰 종
  2. 개체군의 밀도가 낮은 종
  3. 지리적 분포범위가 좁은 종
  4. 특이한 생태적 지위를 요구하는 종
(정답률: 64%)
  • 개체군의 크기가 큰 종은 개체 수가 많기 때문에 서식처 파편화에도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지역에서도 존재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국지적으로 멸종 가능성이 낮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자연환경관계법규

81. 자연환경보전법상 용어의 정의로 거리가 먼 것은?

  1. “소(小)생태계”라 함은 생물다양성을 높이고 야생동ㆍ식물의 서식지간의 이동가능성 등 생태계의 연속성을 높이거나 특정한 생물종의 서식조건을 개선하기 위하여 조성하는 생물서식공간을 말한다.
  2. “생물다양성”이라 함은 육상생태계 및 수생태계(해양생태계를 제외한다.)와 이들의 복합생태계를 포함하는 모든 원천에서 발생한 생물체의 다양성을 말하며, 종내(種內)ㆍ종간(種間) 및 생태계의 다양성을 포함한다.
  3. “생태통로”라 함은 오염시설로 인하여 야생동ㆍ식물의 서식지가 연계되는 것을 방지하고 야생동ㆍ식물의 이동등 생태계의 연속성 유지를 위하여 설치하는 자연 구조물의 생태적 공간을 말한다.
  4. “생태축”이라 함은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키고 생태계 기능의 연속성을 위하여 생태적으로 중요한 지역 또는 생태적 기능의 유지가 필요한 지역을 연결하는 생태적서식공간을 말한다.
(정답률: 45%)
  • "생태통로"는 오염시설로 인해 야생동물과 식물의 서식지가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고 생태계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구조물의 생태적 공간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광역도시계획수립을 위해 그 밖에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초조사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국제적 협력강화를 위한 부대시설의 설치
  2. 기반시설 및 주거수준의 현황과 전망
  3. 기후ㆍ지형ㆍ자원 및 생태 등 자연적 여건
  4. 풍수해ㆍ지진 그 밖의 재해의 발생현황 및 추이
(정답률: 54%)
  • "국제적 협력강화를 위한 부대시설의 설치"는 광역도시계획수립을 위한 기초조사 사항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광역도시가 국제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국제적인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필요한 시설들을 설치하고 관리하기 위한 조치로서 고려되는 것입니다. 이는 광역도시의 경제적, 정치적, 문화적 역할을 강화하고 국제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자연환경보전법규상 생태통로의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생태통로의 길이가 길수록 폭을 좁게 설치한다.
  2. 주변의 소음ㆍ불빛ㆍ오염물질 등 인위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생태통로 양쪽에 차단벽을 설치하되, 목재와 같이 불빛의 반사가 적고 주변환경에 친화적인 소재를 사용한다.
  3. 배수구 일부 지점에 경사가 완만한 탈출구를 설치하여 작은 동물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고, 미끄럽지 아니한 재질을 사용한다.
  4. 생태통로 입구와 출구에는 원칙적으로 현지에 자생하는 종을 식수하며, 토양 역시 가능한 한 공사 중 발생한 절토를 사용한다.
(정답률: 72%)
  • 생태통로의 길이가 길수록 폭을 좁게 설치하는 것은 옳은 기준이다. 이유는 생태통로가 길어질수록 동물들이 이동하는 거리가 늘어나기 때문에, 폭을 좁게 설치하여 동물들이 이동하는 거리를 최소화하고, 생태통로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자연환경보전법규상 위임업무 보고사항 중 “생태ㆍ경관보전지역 안에서의 행위중지ㆍ원상회복 또는 대체자연의 조성 등의 명령실적”의 보고 횟수 기준은?

  1. 수시
  2. 연 1회
  3. 연 2회
  4. 연 4회
(정답률: 48%)
  • 생태ㆍ경관보전지역 안에서의 행위중지ㆍ원상회복 또는 대체자연의 조성 등의 명령실적은 상황에 따라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보고 횟수 기준을 정해놓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수시"로 보고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은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상 용어의 뜻이다.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① 지리산, ② 환경부장관
  2. ① 지리산, ② 산림청장
  3. ① 한라산 ② 환경부장관
  4. ① 한라산, ② 산림청장
(정답률: 60%)
  • 이미지에서 보이는 법률상 용어는 "백두대간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다. 이 법률에서 "백두대간"은 대한민국의 산맥 중 하나로, "지리산"과 "한라산"을 포함한다. 따라서, "① 지리산"은 백두대간의 일부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이 법률에서 "산림청장"은 해당 법률을 관리하는 기관인 "산림청"의 최고 책임자를 의미한다. 따라서, "② 산림청장"은 이 법률을 관리하는 산림청의 책임자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① 지리산, ② 산림청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산지관리법에 따르면 다른 법률에 따라 산지를 특정용도로 이용하기 위하여 지역ㆍ지구 및 구역 등으로 지정 또는 결정하고자 하는 때에는 산림청장 등과 미리 협의하여야 한다. 이를 “보전목적”과 “개발목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지역 등으로 구분할 때 다음 중 “개발목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협의 대상지역 등에 해당하는 것은?

  1. 수도법에 따른 상수원보호구역
  2. 토양환경보전법에 따른 토양보전대책지역
  3. 농어촌정비법에 따른 한계농지등 정비지구
  4. 소하천정비법에 따른 소하천구역 및 소하천예정지
(정답률: 44%)
  • 산지관리법에서 언급하는 “개발목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협의 대상지역 등은 농어촌정비법에 따른 한계농지등 정비지구이다. 이는 농지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 지정된 지역으로, 농지의 개발과 보전을 동시에 추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산림청장 등과의 협의를 거쳐 이용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규상 개발제한구역의 경계선을 표시하기 위한 경계표석의 규격 및 설치기준으로 틀린 것은?

  1. 표석재료는 강화플라스틱(FRP), 표석의 색은 녹색으로 한다.
  2. 개발제한구역 글씨는 음각 후 압출마감(흑색)하고, 번호(백색)는 도색마감으로 부착한다.
  3. 강화플라스틱과 콘크리트로 된 기초가 일체가 되도록 설치한다.
  4. 글자체 : 고딕체, 글자색 : 녹색(pantone 370C), 흰색(White 100%), 검은색(Black 100%)으로 한다.
(정답률: 39%)
  • "표석재료는 강화플라스틱(FRP), 표석의 색은 녹색으로 한다."에서 틀린 것이다. 개발제한구역 표시에 사용되는 경계표석의 색은 녹색이 아니라 노란색이다.

    개발제한구역 글씨는 음각 후 압출마감(흑색)하고, 번호(백색)는 도색마감으로 부착하는 이유는 글자가 더욱 선명하게 보이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음각 후 압출마감을 하면 글자의 윤곽이 뚜렷해지고, 도색마감을 하면 번호가 더욱 선명하게 보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은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토지등의 매수청구 절차에 관한 사항이다.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① 15일 이내에, ② 30일 이내에
  2. ① 30일 이내에, ② 1년 이내에
  3. ① 60일 이내에, ② 1년 이내에
  4. ① 60일 이내에, ② 3년 이내에
(정답률: 44%)
  •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토지등의 매수청구 절차에서는 매수청구를 받은 행정기관이 60일 이내에 매수청구에 대한 승인 또는 거절을 결정하고, 승인한 경우에는 3년 이내에 매수를 완료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① 60일 이내에, ② 3년 이내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국외반출승인을 받아야 하는 대상 생물자원이지만 승인을 받지 아니하고 반출승인대상 생물자원을 국외로 반출한 자에 대한 벌칙기준은?

  1.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2.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3.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4. 5백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정답률: 40%)
  • 법률상 국외반출승인을 받아야 하는 대상 생물자원을 반출승인 없이 국외로 반출하는 것은 불법행위이며, 이는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한 죄목 중 하나인 "국외반출승인을 받지 아니하고 국외로 반출한 경우"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해당 죄목을 범한 자는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각 용도지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한도지구 : 쾌적한 환경조성 및 토지의 고도이용과 그 증진을 위하여 건축물의 높이의 최저한도 또는 최고한도를 규제할 필요가 있는 지구
  2. 보존지구 : 문화재, 중요 시설물 및 문화적ㆍ생태적으로 보존가치가 큰 지역의 보호와 보존을 위하여 필요한 지구
  3. 방재지구 : 풍수해, 산사태, 지반의 붕괴, 그 밖의 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구
  4. 개발진흥지구 : 주거기능ㆍ상업기능ㆍ공업기능ㆍ유통물류기능ㆍ관광기능ㆍ휴양기능 등을 집중적으로 개발ㆍ정비할 필요가 있는 지구
(정답률: 53%)
  • 옳지 않은 것은 "한도지구 : 쾌적한 환경조성 및 토지의 고도이용과 그 증진을 위하여 건축물의 높이의 최저한도 또는 최고한도를 규제할 필요가 있는 지구"이다. 한도지구는 건축물의 높이를 규제하는 것이 아니라, 건축물의 높이와 밀집도 등을 제한하여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고 토지의 고도이용을 촉진하는 지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습지보전법상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ㆍ고시된 습지를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른 면허없이 매립한 자에 대한 벌칙기준으로 옳은 것은?

  1.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2.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3.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4.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5백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정답률: 52%)
  • 습지보전법상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ㆍ고시된 습지는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른 면허없이 매립할 수 없습니다. 만약 면허없이 매립한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게 됩니다. 이는 해당 법률에서 정한 벌칙기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 보전에 관한 특별법상 용어의 뜻이다. ( )안에 알맞은 용어는?

  1. 무인도서
  2. 우수도서
  3. 지정도서
  4. 특정도서
(정답률: 48%)
  •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 보전에 관한 특별법에서는 특정도서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이는 해당 지역에서 특별히 보호되어야 하는 도서지역을 의미한다. 따라서, "특정도서"가 정답이다. 다른 보기들은 해당 법에서 사용되는 용어가 아니므로 오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농지법령상 신고 또는 고발사항에 대한 포상금 지급기준(건당)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속임수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농지취득자격증명을 발급받은 자는 10만원이다.
  2. 용도변경의 승인을 받지 아니하고 전용된 토지를 다른목적으로 사용한 자는 60만원이다.
  3. 허가를 받지 아니하고 농지를 전용하거나 속임수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농지전용허가를 받은 자는 50만원이다.
  4. 농업진흥구역 및 농업보호구역에서의 행위제한을 위반한 자는 30만원이다.
(정답률: 30%)
  • "용도변경의 승인을 받지 아니하고 전용된 토지를 다른목적으로 사용한 자는 60만원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농지법령상 신고 또는 고발사항에 대한 포상금 지급기준은 다음과 같다.

    - 속임수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농지취득자격증명을 발급받은 자는 10만원이다.
    - 허가를 받지 아니하고 농지를 전용하거나 속임수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농지전용허가를 받은 자는 50만원이다.
    - 농업진흥구역 및 농업보호구역에서의 행위제한을 위반한 자는 30만원이다.

    따라서 "용도변경의 승인을 받지 아니하고 전용된 토지를 다른목적으로 사용한 자는 60만원이다."는 옳지 않은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산지관리법상 산지전용ㆍ일시사용제한지역으로 지정할 수 있는 산지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주요 산줄기의 능선부로서 자연경관 및 산림생태계의 보전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산지
  2. 송이버섯과 같은 중요한 임산물 생산을 위해 보전이 필요한 산지로서 산림청장이 정하는 산지
  3. 산사태 등 재해발생이 특히 우려되는 산지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산지
  4. 명승지, 유적지, 그 밖에 역사적ㆍ문화적으로 보전할 가치가 있다고 인정되는 산지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산지
(정답률: 58%)
  • 정답은 "명승지, 유적지, 그 밖에 역사적ㆍ문화적으로 보전할 가치가 있다고 인정되는 산지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산지"입니다.

    이유는 이러한 산지는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높아서 보존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산지는 대중적으로 관심이 많고, 관광객들이 많이 찾기 때문에 보전이 필요합니다. 또한, 이러한 산지는 자연경관도 아름답고, 산림생태계도 풍부하기 때문에 보존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대통령령으로 정하여 보전을 강화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은 자연환경보전법상 생태ㆍ자연도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① 5만분의 1 이상, ② 7일 이상
  2. ① 5만분의 1 이상, ② 14일 이상
  3. ① 2만 5천분의 1 이상, ② 7일 이상
  4. ① 2만 5천분의 1 이상, ② 14일 이상
(정답률: 58%)
  • 생태ㆍ자연도는 자연환경보전법상 보호대상지역으로 지정될 수 있는데, 이때 보호대상지역으로 지정되기 위해서는 해당 지역의 면적이 2만 5천분의 1 이상이어야 하며, 관리ㆍ보호계획을 수립하여 이를 시행할 수 있도록 14일 이상의 기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① 2만 5천분의 1 이상, ② 14일 이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생물자원의 분류ㆍ보전 등에 관한 관련 전문가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생물자원 관련 분야의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로서 해당 분야에서 3년 이상 종사한 사람
  2. 생물자원 관련 분야의 석사학위 이상 소지자로서 해당 분야에서 1년 이상 종사한 사람
  3.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자연환경기사
  4.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생물분류기사
(정답률: 70%)
  •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자연환경기사가 가장 거리가 먼 전문가이다. 이는 생물자원 관련 분야의 기술자격증 중 생물자원 분야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은 자격증이기 때문이다. 자연환경기사는 환경보전, 환경개선, 환경관리 등의 분야에서 활동하는 기술자로서, 생물자원의 분류 및 보전과는 관련이 있지만 직접적인 전문가는 아니다. 따라서 생물자원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생물자원의 분류ㆍ보전 등에 관한 관련 전문가와는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환경정책기본법령상 오존(O3)의 대기환경기준(ppm)으로 옳은 것은? (단, 8시간 평균치)

  1. 0.02 이하
  2. 0.03 이하
  3. 0.05 이하
  4. 0.06 이하
(정답률: 60%)
  • 환경정책기본법령상 오존(O3)의 대기환경기준(ppm)은 "0.06 이하"이다. 이는 인체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농도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준으로, 8시간 동안 평균 농도가 0.06ppm 이하로 유지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오존은 높은 농도에서 호흡기계 질환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 기준을 준수하여 대기오염을 최소화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농지법상 상속으로 농지를 취득한 자로서 농업경영을 하지 아니하는 자는 그 상속 농지 중에서 얼마까지만 소유할 수 있는가?

  1. 총 1천 제곱미터까지
  2. 총 5천 제곱미터까지
  3. 총 1만 제곱미터까지
  4. 총 5만 제곱미터까지
(정답률: 50%)
  • 농지법상 상속으로 농지를 취득한 자는 농업경영을 하지 않는 경우, 그 상속 농지 중에서 총 1만 제곱미터까지만 소유할 수 있습니다. 이는 농지를 농업경영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농지법의 취지와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농지를 농업경영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 일정한 범위 내에서만 소유할 수 있도록 제한을 두고 있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환경정책기본법령상 해역의 생태기반 해수수질 기준에서 Ⅱ등급(좋음)의 수질평가 지수값(Water Quality Index)은?

  1. 10~13
  2. 15~23
  3. 24~33
  4. 34~46
(정답률: 39%)
  • 해역의 생태기반 해수수질 기준에서 Ⅱ등급(좋음)의 수질평가 지수값은 24~33이다. 이는 수질평가 지수값이 해당 범위에 속할 경우, 수질이 좋은 상태라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Ⅰ등급(매우 우수), Ⅲ등급(보통), Ⅳ등급(나쁨)에 해당하는 수질평가 지수값 범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환경정책기본법상 환경기준의 설정에 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국가는 환경기준을 설정하여야 하며, 환경 여건의 변화에 따라 그 적정성이 유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2. 환경기준은 환경부령으로 정한다.
  3. 시ㆍ도지사는 지역환경기준을 설정하거나 변경한 경우에는 이를 지체 없이 환경부장관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4. 시ㆍ도는 해당 지역의 환경적 특수성을 고려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해당 시ㆍ도의 조례로 환경기준보다 확대ㆍ강화된 별도의 지역환경기준을 설정 또는 변경할 수 있다.
(정답률: 44%)
  • "환경기준은 환경부령으로 정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환경기준은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특정 분야에서는 법령이나 규정 등 다른 법적 근거에 따라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대기환경기준은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라 대기환경기준령으로 정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