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생태복원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5-25)

자연생태복원기사(구)
(2014-05-2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환경생태학개론

1. 생태계의 대사회전(Turnover)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육상은 수중생태계보다 대사회전 시간이 짧다.
  2. 대사회전은 최종 소비자 집단의 개체수에 비례한다.
  3. 바다의 독립영양생물들의 대사회전은 느리게 진행된다.
  4. 현존량/현존량의 대체속도를 대사회전으로 간주한다.
(정답률: 59%)
  • 생태계의 대사회전은 생물의 생태학적 역할과 생물의 생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는 생물의 대사활동과 생물의 생태학적 역할에 따라 다양한 속도로 진행된다. 이 중에서도 대사회전을 측정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현존량/현존량의 대체속도"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는 생태계 내에서 생물의 개체수와 생물의 생태학적 역할에 따라 대사회전 속도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방법은 생태계의 대사회전을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지구환경의 물질순환 중 지구온난화 가장 관계 있는 것은?

  1. 탄소 순환(the Carbon cycle)
  2. 질소 순환(the Nitrogen cycle)
  3. 인 순환(the Phosphorus cycle)
  4. 물 순환(the Hydrologic cycle)
(정답률: 84%)
  • 탄소 순환은 지구온난화와 가장 직접적으로 연관된 물질순환입니다. 이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하면 지구의 기온이 상승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탄소 순환은 식물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광합성을 통해 유기물을 생성하며, 동물이 호흡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방출하는 과정을 포함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 변화가 지구온난화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생태계의 제한 요인에서 식물의 생산성은 가장 많이 결핍된 단일원소의 양에 의해 결정된다는 법칙은 무엇인가?

  1. Shelford의 제한법칙
  2. Bergmann의 최소량의 법칙
  3. Liebig의 최소량의 법칙
  4. Cause의 제한법칙
(정답률: 83%)
  • 식물은 다양한 원소를 필요로 하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적은 양만큼 존재하는 원소가 생산성을 결정한다는 것을 Liebig의 최소량의 법칙이 말해준다. 따라서 생태계에서 식물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러한 결핍된 원소를 보충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Shelford의 제한법칙은 생물군집의 생존 가능성을 결정하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상호작용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하며, Bergmann의 최소량의 법칙은 동물의 크기와 기후 조건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법칙이다. Cause의 제한법칙은 생물군집에서 가장 적은 자원이나 환경 조건이 생존 가능성을 결정한다는 것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대체로 강수량이 적어 목본은 거의 없고, 수분이 부족한 건조한 환경의 토양에서는 흔히 어떤 식물 군락이 형성되는가?

  1. 온대림
  2. 열대우림
  3. 툰트라
  4. 초원
(정답률: 74%)
  • 어떤 식물 군락이 형성되는가는 환경 조건에 따라 달라집니다. 강수량이 적고 건조한 환경에서는 초원이 형성됩니다. 초원은 풀과 낙엽수 등이 자라는 평원 지대로, 수분이 부족한 건조한 환경에서는 이러한 식물들이 적응하여 번성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에서 부분순환호(meromictic lake)에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하층은 무산소상태이다.
  2. 하층이 상층보다 밀도가 높다.
  3. 상하층이 동질적인 환경이다.
  4. 상하층이 물이 섞이지 않아 층형성이 계속 유지된다.
(정답률: 88%)
  • 상하층이 동질적인 환경이다는 설명이 부적절하다. 부분순환호에서는 상층과 하층의 물리적, 화학적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상하층은 서로 다른 환경을 가지고 있다. 상층은 산소가 풍부하고 온도가 높으며, 하층은 산소가 부족하고 온도가 낮다. 이러한 조건 차이로 인해 상하층이 분리되어 층형성이 유지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DDT와 같은 지용성 독성물질이 체내에 축적될 때 그 단위 생체량 당 잔류량이 가장 적은 생물은?

  1. 미라미
  2. 플랑크톤
  3. 가재
  4. 오리
(정답률: 88%)
  • 플랑크톤은 체내 크기가 작아서 DDT와 같은 지용성 독성물질이 축적되는 양이 적기 때문에, 단위 생체량 당 잔류량이 가장 적은 생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적조발생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질소, 인과 같은 영양물질이 유입될 때
  2. 바닷물의 염분농도가 높아졌을 때
  3. 바닷물 온도가 섭씨 25℃ 이상일 때
  4. 철, 코발트 등 미량금속류가 첨가되었을 때
(정답률: 72%)
  • 바닷물의 염분농도가 높아졌을 때는 적조발생의 원인이 아닙니다. 적조는 영양물질이 유입되어 생물이 과도하게 번식하고 죽음으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염분농도가 높아지는 경우에는 오히려 생물이 적조를 일으키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람사르협약 내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의 기준(Ramsar Criteria for Identifying Wetlands of International Importance)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대표적이고 희귀하거나 독특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습지에 근거한 기준
  2. 경관적으로 보전가치가 높은 습지에 관한 기준
  3. 습지 생물종 및 생태적 군집에 근거를 둔 기준
  4. 물새 또는 물고기에 의한 기준
(정답률: 59%)
  • 정답은 "경관적으로 보전가치가 높은 습지에 관한 기준"입니다. 이 기준은 람사르협약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람사르협약에서는 대표적이고 희귀하거나 독특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습지에 근거한 기준, 습지 생물종 및 생태적 군집에 근거를 둔 기준, 물새 또는 물고기에 의한 기준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환경요인에 대해서 특정 생물종의 생존가능 범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비생물범위
  2. 내성범위
  3. 생물범위
  4. 서식범위
(정답률: 85%)
  • 환경요인은 생물종의 생존과 번식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이러한 환경요인에 따라 특정 생물종이 살아남을 수 있는 범위를 내성범위라고 합니다. 내성범위는 생물종이 생존 가능한 최소한의 환경 조건과 최대한의 환경 조건을 나타내며, 이 범위를 벗어나면 생물종은 생존할 수 없게 됩니다. 따라서 내성범위는 생물종의 생존과 번식을 위해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생물체에 있어 긴장에서 원성으로 다시 완전하게 돌아갈 수 있는 긴장을 탄성긴장(elastic strain)이라 한다. 몸체가 받는 탄성긴장은 스트레스양에 비례하기 때문에 몸체의 탄성도(elasticity, M)을 다음 중 가장 잘 표현한 것은?

  1. 탄성도(M) = 긴장 / 스트레스
  2. 탄성도(M) = 스트레스 / 긴장
  3. 탄성도(M) = 저항 / 긴장
  4. 탄성도(M) = 긴장 / 저항
(정답률: 67%)
  • 정답: "탄성도(M) = 스트레스 / 긴장"

    이유: 탄성도는 스트레스와 긴장의 비례상수이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긴장으로 나눈 값이 탄성도가 된다. 즉, 몸체가 받는 스트레스가 증가하면 탄성도도 증가하고, 긴장이 증가하면 탄성도는 감소한다. 따라서 "탄성도(M) = 스트레스 / 긴장"이 가장 적절한 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오존층보호를 위한 국제 협약이 아닌 것은?

  1. 비엔나 협약(Vienna Convention, 1985년)
  2. 몬트리올 의정서(Montreal Protocol, 1989년)
  3. 헬싱키 의정서(Helsinki Protocol, 1985년)
  4. 런던회의(London Revisions to Montreal Protocol, 1992년)
(정답률: 59%)
  • 헬싱키 의정서는 오존층 보호를 위한 국제 협약이 아니라, 유럽 대륙에서의 대기 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협약입니다. 따라서 오존층 보호를 위한 국제 협약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광합성 과정 중 산화ㆍ환원반응에 적합하게 구성된 과정은?

  1. CO2+H2O+태양에너지 = glucose + O2
  2. CO2+2H2A → (CH2O)+H2O+2A
  3. 2H2A → 4H+2A
  4. 4H+CO2 → (CH2O) + H2O
(정답률: 83%)
  • 정답은 "CO2+2H2A → (CH2O)+H2O+2A"이다. 이 과정은 이산화탄소(CO2)가 환원되어 탄소가 단당류인 포도당(CH2O)으로 변하고, 동시에 물 분자가 산화되어 산소(O)가 방출되는 과정이다. 이 과정은 광합성에서 일어나는 산화-환원 반응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생태계는 영양적(Trophic)인 입장에서 두 개의 구성요소를 갖는다. 이중 무기물을 사용하여, 복잡한 유기물질의 합성을 주로 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독립영양부분(autotrophic component)
  2. 종속영양부분(heterotrophic component)
  3. 대형소비자(macroconsumers)
  4. 섭식영양자(Phagotrophs)
(정답률: 72%)
  • 독립영양부분(autotrophic component)은 무기물을 사용하여 자신의 유기물을 합성하는 생물들을 말한다. 이러한 생물들은 광합성 또는 유기물을 산화하여 에너지를 얻는 미생물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생태계에서 영양적인 입장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부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 )안에 들어갈 각각의 것은?

  1. 고조, 저조
  2. 사리, 조금
  3. 창조, 낙조
  4. 만조, 간조
(정답률: 75%)
  • 해당 그림은 해가 떠오르거나 지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 때, 해가 떠오를 때를 "고조", 해가 지는 때를 "저조"라고 합니다. 그러므로 이 그림에서는 "고조, 저조"가 아닌 "사리, 조금"이 정답입니다. "사리"는 해가 떠오르거나 지는 모습이 조금씩 보이는 것을 의미하며, "조금"은 그 정도가 약간인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에서 포장용수량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식물이 이용하는 작은 공극에 있는 물의 양
  2. 토양이 물에 완전히 젖은 후 중력수가 제거되고 남은 물의 양
  3. 강우에 의해 토양의 큰 공극을 채우고 있는 수분의 양
  4. 토양입자의 표면에 흡착되어 있는 수분의 양
(정답률: 72%)
  • "토양이 물에 완전히 젖은 후 중력수가 제거되고 남은 물의 양"은 포장용수량에 대한 가장 적합한 설명입니다. 이는 토양이 최대한 물을 흡수한 후에도 남아있는 물의 양을 의미하며, 식물이 이용하는 작은 공극에 있는 물의 양이나 강우에 의해 토양의 큰 공극을 채우고 있는 수분의 양, 토양입자의 표면에 흡착되어 있는 수분의 양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수계에 영양염류(질소, 인)가 과다하게 유입되어 증가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돌연변이 현상
  2. 자정작용 현상
  3. 부영양화 현상
  4. 빈영양화 현상
(정답률: 92%)
  • 수계에 영양염류(질소, 인)가 과다하게 유입되어 증가하는 현상을 부영양화 현상이라고 한다. 이는 농업, 산업, 도시화 등으로 인해 인간 활동이 증가하면서 수질 오염이 심해지고, 이로 인해 수생 생물의 증식과 죽음이 발생하면서 수질이 악화되는 현상이다. 이러한 부영양화 현상은 수생 생태계를 파괴하고, 수질 오염으로 인한 인간 건강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생태계에서는 생물체의 대사, 증식 및 사열로 인해 생물과 환경 사이에 물질의 순환이 일어나는데 이들 물질 중 인순환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인은 자연환경에서 생물체의 성장을 제한하는 중요한 원소이다.
  2. 인산염은 비료의 주요성분으로 과다한 비료의 사용은 인순환을 촉진시킬 수 있다.
  3. 자연수와 폐수 내에 인은 대부분 인산염(PO43-)의 형태로 존재한다.
  4. 유역에서 암석 붕괴(rock breakdown)가 일어나면 생물학적으로 이용 가능한 인이 하천에 방출된다.
(정답률: 42%)
  • "인은 자연환경에서 생물체의 성장을 제한하는 중요한 원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삼림쇠퇴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성숙, 노화 개체들에서 선택적으로 발생하여 확산된다.
  2. 악천후, 영양결핍, 토양 내 독성물질, 대기오염 등이 원인이다.
  3. 삼림의 총생산량은 감소하더라도 순생산량은 증가한다.
  4. 광범한 지역의 식생이 동시에 고사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정답률: 85%)
  • 정답: "삼림의 총생산량은 감소하더라도 순생산량은 증가한다."

    설명: 삼림의 총생산량은 감소하면서 순생산량은 증가할 수 없습니다. 순생산량은 삼림에서 생산되는 총 생산량에서 소비되는 생산량을 뺀 나머지 생산량을 말합니다. 따라서 총생산량이 감소하면 순생산량도 감소합니다.

    삼림쇠퇴의 특징은 성숙, 노화 개체들에서 선택적으로 발생하여 확산된다, 악천후, 영양결핍, 토양 내 독성물질, 대기오염 등이 원인이다, 광범한 지역의 식생이 동시에 고사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생태학적 피라미드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개체수 피라미드
  2. 생체량 피라미드
  3. 에너지 피라미드
  4. 환경요인 피라미드
(정답률: 78%)
  • 환경요인 피라미드는 생물군집의 생태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주어진 지역에서의 환경적인 요인들의 분포와 영향력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생태학적 피라미드의 종류가 아니다. 다른 세 가지 피라미드는 모두 생물군집의 생태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개체수 피라미드는 각 생물군집 내에서 개체 수의 분포를 나타내며, 생체량 피라미드는 각 생물군집 내에서 생체량의 분포를 나타내며, 에너지 피라미드는 각 생물군집 내에서 에너지의 흐름과 생태학적 효율성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생물다양성 및 환경보호와 관련된 국제기구가 아닌 것은?

  1. World Conservation Union
  2. World Resources Institute
  3. UNEP
  4. IDA
(정답률: 71%)
  • 정답은 "IDA"입니다. IDA는 국제기구가 아니며, 국제개발협력기구(International Development Association)의 약자입니다. 생물다양성 및 환경보호와 관련된 국제기구는 "World Conservation Union", "World Resources Institute", "UNEP"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환경계획학

21. 자연환경보전을 위한 기본방침에 포함되지 않는 사항은?

  1. 자연환경 훼손지의 복원ㆍ복구
  2. 남북한 및 지구차원의 자연보호 협력관계 완화
  3. 생태ㆍ경관보전지역의 관리 및 해당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
  4. 자연환경의 체계적 보전ㆍ관리, 자연환경속의 지속 가능한 이용
(정답률: 58%)
  • 정답은 "남북한 및 지구차원의 자연보호 협력관계 완화"입니다. 이는 자연환경보전을 위한 기본방침에 포함되지 않는 사항으로, 이유는 자연환경보전은 국경을 넘어서는 문제이기 때문에 국제적인 협력이 필요하지만, 이는 국내적인 방침보다는 외교적인 노력이 필요한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생태도시(生態都市)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도시의 환경문제를 해결하고 환경보전과 개발을 조화시키기 위한 방안의 하나
  2. 동ㆍ식물학, 생태학, 지질학 분야에서 새롭게 대두되어 도시개발, 도시계획, 환경계획으로 확산된 영역
  3. 동ㆍ식물을 비롯한 녹지 보전, 에너지와 지원의 절약, 환경부하의 감소, 물과 자원의 절약, 재활용 및 순환 등이 중요
  4. 도시를 하나의 유기적 복합체로 보고 다양한 도시활동과 공간구조가 생태계의 속성인 다양상, 자립성, 순환성, 안정성 등을 포함하는 인간과 자연이 공존될 수 있는 환경친화적인 도시
(정답률: 53%)
  • 정답은 없습니다. 모든 보기가 생태도시에 대한 올바른 설명입니다.

    생태도시는 도시의 환경문제를 해결하고 환경보전과 개발을 조화시키기 위한 방안의 하나입니다. 동ㆍ식물학, 생태학, 지질학 분야에서 새롭게 대두되어 도시개발, 도시계획, 환경계획으로 확산된 영역입니다. 동ㆍ식물을 비롯한 녹지 보전, 에너지와 지원의 절약, 환경부하의 감소, 물과 자원의 절약, 재활용 및 순환 등이 중요합니다. 도시를 하나의 유기적 복합체로 보고 다양한 도시활동과 공간구조가 생태계의 속성인 다양상, 자립성, 순환성, 안정성 등을 포함하는 인간과 자연이 공존될 수 있는 환경친화적인 도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공공에 의한 토지이용계획의 역할로 볼 수 없는 것은?

  1. 정주환경의 현재와 장래의 공간구성 기능
  2. 토지이용의 규제와 실행수단의 제시 기능
  3. 세부 공간환경설계에 대한 지침제시의 역할
  4. 인간중심의 지속적 개발계획 제시 기능
(정답률: 70%)
  • "인간중심의 지속적 개발계획 제시 기능"은 공공에 의한 토지이용계획의 역할로 볼 수 없는 것입니다. 이는 개발과 보전의 균형을 맞추며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계획을 제시하는 것으로, 토지이용에 대한 규제나 실행수단 제시와는 조금 다른 측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환경부에서는 주택 및 공장, 휴양관광시설 등에 대해 생태계 보전지역과 녹지자연도 일정 등급 이상의 지역은 사업지역에서 제척하도록 하여, 자연이 양호한 지역에 무분별한 개발을 억제할 수 있는 행정적 제약을 두고 있는데, 녹지자연도의 적용 기준으로 적당한 것은?

  1. 9등급 이상
  2. 8등급 이상
  3. 7등급 이상
  4. 6등급 이상
(정답률: 48%)
  • 환경부에서는 녹지자연도를 기준으로 생태계 보전지역과 녹지자연도 일정 등급 이상의 지역을 사업지역에서 제척하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이는 녹지자연도가 자연환경을 평가하는 지표 중 하나로, 1등급부터 9등급까지 총 9단계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이 중 8등급 이상의 지역은 자연이 양호한 지역으로 평가되며, 무분별한 개발을 억제하기 위해 행정적 제약을 두는 것입니다. 따라서 적당한 기준은 8등급 이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도시지역, 관리지역, 농림지역 또는 자연환경보전지역으로 용도가 지정되지 아니한 지역에 대해서는 용적률을 지정함에 있어 어느 지역의 기준을 적용하는가?

  1. 도시지역
  2. 관리지역
  3. 농림지역
  4. 자연환경보전지역
(정답률: 49%)
  • 자연환경보전지역은 자연환경을 보전하기 위해 지정된 지역으로, 건축물이나 인프라 등 인간의 개입이 최소화되어야 하기 때문에 용적률이 낮게 지정됩니다. 따라서 자연환경보전지역에 대해서는 용적률을 지정할 때 다른 지역의 기준을 적용하지 않고, 보전 목적에 맞게 별도의 기준을 적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유럽연합(EU)에서 추진하는 유럽지역의 생태 네트워크 프로젝트의 명칭은?

  1. 자연계획 2000(Natural 2000)
  2. 비오톱지도(biotope map)
  3. 유럽 환경도시계획
  4. 유럽연합 녹색 네트워크(EU green network)
(정답률: 46%)
  • "자연계획 2000(Natural 2000)"은 유럽연합에서 추진하는 생태 네트워크 프로젝트의 명칭이다. 이 프로젝트는 유럽 내의 생물 다양성 보호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1992년 유럽 생물다양성 조약에서 제시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유럽 내의 특별보호지역(SPA)와 생물보전지역(SAC)을 설정하고, 이를 통해 유럽 내의 생물 다양성을 보호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추진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가렛 하딘(garrett hardin)의 「공유지의 비극」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개인의 이익을 극대화 하려고 한다.
  2. 각각의 목장주에게 할당된 가축이 있다.
  3. 공공재의 중요성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4. 자연자원은 무한하므로 관리가 필요하지 않다.
(정답률: 74%)
  • "자연자원은 무한하므로 관리가 필요하지 않다."는 가렛 하딘의 주장과는 정반대이다. 가렛 하딘은 자원의 한계성과 인간의 이기적인 행동으로 인해 공유지가 파괴되는 현상을 지적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자원의 관리와 보호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자연자원은 무한하므로 관리가 필요하지 않다."는 보기가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우리나라의 「용도지역」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1. 도시지역은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의 중분류로 구분된다.
  2. 용도지역은 국토의 일부에 걸쳐 토지의 이용실태 및 특성, 토지이용방향 등을 고려하여 설정되어 있다.
  3. 국토의 용도지역은 도시지역, 관리지역, 농림지역, 자연환경 보호지역으로 구성된다.
  4. 관련 규정에 의한 용도지역 환원의 고시는 환원일자 및 환원사유와 용도지역이 환원된 도시ㆍ군관리계획의 내용을 당해 시ㆍ도의 공보에 게재하는 방법에 의한다.
(정답률: 36%)
  • 도시지역은 용도지역의 하위 분류 중 하나일 뿐이며, 용도지역은 토지의 이용실태 및 특성, 토지이용방향 등을 고려하여 설정된다는 것이 정확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생태 네트워크의 필요성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무절제한 개발로 인한 훼손된 환경을 개발과 보전이 조화를 이루면서 자연지역을 보전하기 위해서이다.
  2. 생물다양성 증진 및 생태계를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각각의 공간들이 유기적으로 연계될 수 있어야 한다.
  3. 불필요한 생물서식공간의 조성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이다.
  4. 생물서식공간을 각각의 독립적인 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해서이다.
(정답률: 68%)
  • 생태 네트워크의 필요성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생물서식공간을 각각의 독립적인 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해서이다." 이다. 이는 잘못된 설명이며, 생태 네트워크는 생물서식공간들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하나의 큰 생태계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통해 생물다양성을 증진하고 생태계를 회복시키며, 무절제한 개발로 인한 훼손된 환경을 보전하기 위해 필요하다. 또한, 생태 네트워크를 구축함으로써 불필요한 생물서식공간의 조성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자연환경보전계획의 위계로 옳은 것은?

  1. 시ㆍ군자연환경보전계획 → 시ㆍ도자연환경보전계획 → 자연환경보전기본게획
  2. 시ㆍ군자연환경보전계획 → 자연환경보전기본계획→ 시ㆍ도자연환경보전계획
  3. 자연환경보전기본계획 → 시ㆍ도자연환경보전계획 → 시ㆍ군자연환경보전계획
  4. 자연환경보전기본계획 → 시ㆍ도자연환경보전계획 → 시ㆍ도자연환경보전계획
(정답률: 61%)
  • 자연환경보전기본계획이 가장 위계에 있고, 그 다음으로 시ㆍ도자연환경보전계획이 오며, 마지막으로 시ㆍ군자연환경보전계획이 올바른 순서이다. 이는 자연환경보전기본계획이 전체적인 방향성을 제시하고, 시ㆍ도자연환경보전계획이 그 방향성을 구체화하며, 시ㆍ군자연환경보전계획이 지역적인 세부 계획을 수립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도시공원의 설치에 관한 도시ㆍ군관리계획결정으로 도시공원이 지정되어도, 그 고시일부터 10년이 되는 날까지 이것의 고시가 없는 경우에는 그 10년이 되는 날의 다음날에 그 효력을 상실한다. 이것은 무엇인가?

  1. 조성공사의 시작
  2. 공원조성계획
  3. 공원부지의 매수계획
  4. 공원조성 공사계약
(정답률: 59%)
  • 이것은 "공원조성계획"이다. 도시공원이 설치되기 위해서는 공원조성계획이 필요하다. 공원조성계획은 공원의 위치, 크기, 시설물 등을 포함한 계획서로, 이것이 없으면 도시공원이 지정되어도 효력이 없다. 따라서 공원조성계획이 없는 경우, 고시일부터 10년이 지나면 도시공원의 지정이 자동으로 상실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기존 계획의 일반적 접근방법과 비교한 환경계획의 접근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보전가치가 높은 생태적 자원을 배려한 개발구상
  2. 개발 가능지 확보차원에서 계획적 접근 시도
  3. 환경에 대한 고려보다는 개발지향적인 구상안 수립
  4. 일방적 개방구상에 의한 계획수립 및 이용자 편익 중심의 인위적 공간배치
(정답률: 71%)
  • "보전가치가 높은 생태적 자원을 배려한 개발구상"은 기존 계획의 일반적인 개발지향적인 구상안과는 달리, 환경보전을 중시하며 생태적 자원을 보존하면서도 개발 가능지를 확보하는 계획적인 접근 방법을 취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환경에 대한 고려보다는 개발지향적인 구상안 수립이나 일방적 개방구상에 의한 계획수립 및 이용자 편익 중심의 인위적 공간배치와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자연환경 보전기본계획의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는 것은?

  1. 자연환경의 보전ㆍ관리에 관한 사항
  2. 지방자치단체별로 주요 자연보전시책에 관한 사항
  3. 사업시행에 소요되는 경비의 산정 및 재원조달 방안에 관한 사항
  4. 행정계획과 개발사업에 대한 환경친화적 계획 기법 개발에 관한 사항
(정답률: 22%)
  • "행정계획과 개발사업에 대한 환경친화적 계획 기법 개발에 관한 사항"은 자연환경 보전기본계획의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자연환경 보전기본계획은 자연환경의 보전과 관리에 대한 기본적인 방향과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행정계획과 개발사업에 대한 환경친화적 계획 기법 개발은 보전기본계획의 범위를 벗어나는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생태건축 계획의 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중앙난방 계획
  2. 기후에 적합한 계획
  3. 적절한 건축재료 선정
  4. 에너지 손실 방지 및 보존 고려
(정답률: 71%)
  • 중앙난방 계획은 건물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에너지를 많이 소비하게 되어 에너지 손실 방지 및 보존 고려와는 거리가 먼 요소입니다. 생태건축 계획에서는 기후에 적합한 계획과 적절한 건축재료 선정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고 자연환경을 보존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상의 ‘녹지’가 아닌 것은?

  1. 완충녹지
  2. 경관녹지
  3. 대상녹지
  4. 연결녹지
(정답률: 66%)
  • 정답은 "대상녹지"입니다.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서 '녹지'는 다양한 종류로 구분됩니다.

    - 완충녹지: 자연재해 등으로 인한 피해를 완충하고, 지하수 보전 및 수질 개선을 위한 녹지
    - 경관녹지: 도시의 경관을 보호하고 개선하기 위한 녹지
    - 대상녹지: 특정 대상의 보호 및 관리를 위한 녹지 (예: 국가지정문화재, 천연기념물 등)
    - 연결녹지: 서로 다른 녹지를 연결하여 생태계의 연결성을 높이는 녹지

    따라서, "대상녹지"는 특정 대상의 보호 및 관리를 위한 녹지로,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의하는 '녹지'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OECD에서 채택한 환경지표 설정을 위한 요소로 인간과 환경의 대응관계에 대한 3가지 구조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계획(plan)
  2. 환경상태(state)
  3. 대책(response)
  4. 환경에의 부하(pressure)
(정답률: 57%)
  • 환경지표 설정을 위한 요소로는 인간과 환경의 대응관계에 대한 3가지 구조요소인 "환경상태(state)", "대책(response)", "환경에의 부하(pressure)"가 해당되는데, "계획(plan)"은 이들과는 다른 개념으로,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이나 전략을 의미한다. 따라서 "계획(plan)"은 인간과 환경의 대응관계에 대한 3가지 구조요소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옴부즈만(Ombudsman) 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1809년 독일에서 최초로 창설되었다.
  2. 조선시대의 신문고 제도와 암행어사 제도와 유사한 제도이다.
  3. 다른 기관에서 처리해야 할 성격의 민원에 대해서 친절히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4. 행정기관의 위법-부당한 처분 등을 시정하고 국민에게 공개하는 등의 민주적인 통제기능을 한다.
(정답률: 65%)
  • "1809년 독일에서 최초로 창설되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옴부즈만 제도는 1809년에 스웨덴에서 최초로 창설되었습니다. 이후 다른 국가들에서도 도입되어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보급되어 있는 제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공원녹지기본계획 수립권자는 기 수립된 ‘공원녹지기본계획’에 의하여 그가 관할하는 도시지역의 일부에 대하여 세부계획을 수립하여야 하는 바, 이를 무엇이라 하는가?

  1. 공원녹지세부계획
  2. 도시녹지계획
  3. 도시녹화계획
  4. 공원녹화계획
(정답률: 29%)
  • 공원녹지기본계획은 도시지역의 공원과 녹지를 계획하는 기본적인 계획이며, 이를 기반으로 세부적인 계획인 공원녹지세부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공원녹지 계획은 도시 전반적인 발전을 위해 필요한 도시녹화계획의 일부분으로서, 도시의 녹지와 공원을 계획하는 것 뿐만 아니라 도시의 발전 방향과 전반적인 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도시녹화계획"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국토환경성평가도에서 3등급에 해당하는 관리원칙은?

  1. 이미 개발이 진행되었거나 진행중인 지역으로 개발을 허용하지만 보전의 필요성이 있으면 부분적으로 보전지역으로 지정하여 관리
  2. 개발을 허용하는 지역으로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환경을 충분히 배려하면서 개발을 수용
  3. 보전지역으로서 개발을 불허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지만 예외적인 경우에 소규모의 개발을 부분 허용
  4. 보전에 중점을 두는 지역이지만 개발의 행위, 규모, 내용 등을 환경성평가를 통하여 조건부 개발을 허용
(정답률: 31%)
  • 3등급에 해당하는 관리원칙은 "보전에 중점을 두는 지역이지만 개발의 행위, 규모, 내용 등을 환경성평가를 통하여 조건부 개발을 허용"입니다. 이는 보전이 필요한 지역이지만, 환경성평가를 통해 일부 개발을 조건부로 허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보전과 개발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며, 환경성평가를 통해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 지속 가능한 개발을 추진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녹지자연도 등급기준과 내용이 맞지 않은 것은?

  1. 2등급 : 논 또는 밭 등의 경작지구
  2. 5등급 : 갈대, 조릿대군락 등과 같이 비교적 식생의 키가 높은 이차적으로 형성된 초원지구
  3. 7등급 : 일반적으로 이차림이라 불리우는 대상 식생지구(자연군락이 인간의 영향에 의해 성립되었거나 유지되고 있는 군락)
  4. 8등급 : 다층의 식물사회를 형성하는 천이의 마지먹에 이르는 극상림지구
(정답률: 38%)
  • 정답은 "8등급 : 다층의 식물사회를 형성하는 천이의 마지먹에 이르는 극상림지구" 이다. 이유는 녹지자연도의 등급은 1등급부터 9등급까지 있으며, 등급이 높아질수록 자연환경의 원형성과 다양성이 높아지는 것이 기준이다. 따라서, 8등급은 극상림지구가 아니라, 보다 다양한 식생과 생태계를 갖춘 지역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생태복원공학

41. 생태통로를 조성할 때 횡단부위가 넓고, 절토지역 또는 장애물 등에 의해 동물을 위한 통로조성이 어려운 곳에 설치하는 통로는 무엇인가?

  1. 선형 통로
  2. 지하형 통로
  3. 육교형 통로
  4. 터널형 통로
(정답률: 69%)
  • 육교형 통로는 횡단부위가 넓고, 절토지역 또는 장애물 등에 의해 동물을 위한 통로조성이 어려운 곳에 설치하는 통로이기 때문에 생태통로를 조성할 때 적합한 선택이다. 육교형 통로는 지상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동물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동물들이 이용할 수 있는 넓은 공간을 제공하여 생태계의 연결성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습지를 복원하여 야생동물 서식을 유도하려 한다. 조성할 습지의 최소면적과 개수부(open water) 비율은 얼마가 바람직한가?

  1. 최소면적 100m2, 개수부 25%
  2. 최소면적 100m2, 개수부 50%
  3. 최소면적 200m2, 개수부 25%
  4. 최소면적 200m2, 개수부 50%
(정답률: 50%)
  • 습지는 생태계의 일부분으로서, 다양한 생물들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따라서 습지의 최소면적은 충분히 크게 가져가야 하며, 개수부 비율도 일정 수준 이상 유지되어야 한다. 최소면적 100m2이면 습지 내에 서식할 수 있는 생물의 종류와 수가 제한될 수 있으며, 개수부 비율이 25%이면 습지 내에 충분한 물이 공급되지 않아 생물들의 생존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최소면적 200m2이면 습지 내에 서식할 수 있는 생물의 종류와 수가 더욱 다양해질 수 있으며, 개수부 비율이 50%이면 충분한 물이 공급되어 생물들이 적절한 서식 환경을 갖출 수 있다. 따라서 "최소면적 200m2, 개수부 50%"가 바람직한 조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광산지역의 복원계획 수립 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대규모 자연림 조성계획
  2. 서식처의 복원계획
  3. 채광 계획
  4. 지형복구 및 표토 활용 계획
(정답률: 49%)
  • 대규모 자연림 조성계획은 광산지역의 생태계를 회복하고 지속 가능한 자연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입니다. 이는 광산으로 인해 파괴된 생태계를 보호하고, 생태계의 기능을 회복시켜 지속 가능한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함입니다. 서식처의 복원계획, 지형복구 및 표토 활용 계획은 이러한 대규모 자연림 조성계획을 위한 보조적인 계획으로, 광산지역의 생태계 회복을 위한 전반적인 계획 수립에 필요한 사항입니다. 채광 계획은 광산지역의 생태계를 파괴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이므로, 광산지역의 생태계 회복을 위한 계획 수립 시에는 최소화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벽면 녹화를 위한 등반유형 중 「등반감기형」에 알맞은 식물로만 짝지어진 것은?

  1. 담쟁이덩굴, 송악
  2. 미루, 모람
  3. 등나무, 으름덩굴
  4. 노박덩굴, 능소화
(정답률: 53%)
  • 등반감기형은 벽면에 밀착되어 자라는 식물이 필요하므로, 등나무와 으름덩굴은 벽면에 밀착되어 자라는 특성이 있어 알맞은 식물이다. 다른 보기들은 벽면에 밀착되어 자라는 특성이 없거나, 다른 등반유형에 더 알맞은 식물이므로 선택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하천정비사업시 생태하천으로 조성하여 할 때 저탄소 녹생공법 적용이 가장 적절한 것은?

  1. 자생식물만으로 활용하여 조성하였다.
  2. 현장에 있던 제거대상 버드나무군락을 활용 절절한 장소에 그루터기공법 및 생가지공법을 적용하였다.
  3. 매트종자를 활용한 식생복원공법을 적용하였다.
  4. Hydrogun으로 Hydrogeeding공법을 적용 대규모 면적을 조기녹화했다.
(정답률: 66%)
  • 저탄소 녹생공법은 인공적인 자원을 사용하지 않고 자연적인 생태계를 유지하면서 생태환경을 보호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현장에 이미 존재하는 자연적인 자원을 활용하여 조성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그 중에서도 제거대상인 버드나무군락을 활용하여 그루터기공법 및 생가지공법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이는 이미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생태계를 보존하면서, 추가적인 인공적인 자원을 사용하지 않고도 생태하천을 조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산성토양의 개량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산성토양을 개량하기 위해서는 석회 등 염기성물질을 첨가해 주어야 한다.
  2. 퇴비, 구비, 녹비 등 유기물을 사용하는 것은 토양의 물리ㆍ화학적 성질 개선에 효과가 크다.
  3. 개량할 목적으로 쓰이는 재료에는 석회석 분말, 생석회, 탄산석회, 소석회, 규회석분말 등이 있다.
  4. 석회를 많이 사용하여 토양의 pH가 7이상 되게 하는 것이 가장 좋다.
(정답률: 73%)
  • 석회를 많이 사용하여 토양의 pH가 7이상 되게 하는 것이 가장 좋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이는 과도한 염기성물질 첨가로 인해 토양의 pH가 과도하게 높아지면 오히려 식물의 생장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적절한 pH 범위는 작물마다 다르지만 대체로 5.5 ~ 7.5 사이이다. 따라서 적정량의 석회를 사용하여 pH를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생태적 복원공법유형의 기본개념이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Naturalization - 인위적인 관리를 통한 자연적인 천이를 유도함
  2. Colonization - 산림의 종자원(seed source)이 가능한 곳에서 가지치기, 솎아주기, 기타 교란 등을 중지하는 방법
  3. Natural Regeneration - 나지 형태로 조성한 후 향후 식물이 자연스럽게 이입하여 극상림으로 발달해 갈 수 있도록 유도함
  4. Nucleation - 수중을 패치 형태로 식재하는 방법으로 핵심종이 자리잡고, natural regeneration이 가속화되게 하는 방법
(정답률: 49%)
  • Nucleation은 핵심종을 중심으로 수중을 패치 형태로 식재하는 방법으로, 이를 통해 natural regeneration이 가속화되어 극상림으로 발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법입니다. 즉, 핵심종을 중심으로 생태계를 구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연적인 식물 생장을 유도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매립지 복원공법이 아닌 것은?

  1. 성토법
  2. 치환객토법
  3. 사주법
  4. 숏크리트공법
(정답률: 68%)
  • 매립지 복원공법 중 숏크리트공법은 매립지를 복원하는 방법이 아니라, 건축물의 바닥재나 기초 등을 쌓는 공법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숏크리트공법은 매립지 복원공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생활사 전략 중 새로운 서식지나 불안정한 서식지에 적합하고 소형, 다산, 조기성숙 등의 특성을 가지는 경우는?

  1. r 선택
  2. K 선택
  3. C 전략
  4. S 전략
(정답률: 68%)
  • 이러한 특성을 가진 생물은 생식력이 높고 적은 자원으로도 번식이 가능하므로, 새로운 서식지나 불안정한 환경에서도 적응력이 높습니다. 이에 따라, 이러한 생물들은 r 선택 전략을 채택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토양미생물이 토양의 물리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에 해당 하는 것은?

  1. 보비력 증대
  2. 인산의 유효도 증대
  3. 토양권에서 유효한 화학반응의 촉진
  4. 토양의 입단구조 발달
(정답률: 34%)
  • 토양미생물은 유기물 분해와 비슷한 활동을 통해 유익한 물질을 생성하고, 이는 토양의 입단구조 발달에 영향을 미칩니다. 토양미생물이 생성한 유익한 물질은 토양 입단구조를 형성하는 물질인 흙, 모래, 점토 등의 입자를 접착시키고, 이를 통해 토양의 입단구조 발달을 촉진시킵니다. 따라서, 토양미생물이 토양의 입단구조 발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식물 중 내건성이 가장 우수한 녹화용 식물은?

  1. Zoysia spp.
  2. Festuca spp.
  3. Sedum spp.
  4. Poa spp.
(정답률: 50%)
  • Sedum spp.은 내건성이 매우 우수한 식물로, 건조하고 가뭄이 잦은 환경에서도 잘 자라며 녹화용 식물로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Sedum spp.가 내건성이 가장 우수한 녹화용 식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생태계의 복원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도입되는 식생은 생명력이 강한 외래수종을 우선적으로 사용한다.
  2. 각 입지별로 통일된 생태계로 조성할 수 있도록 복원계획을 수립한다.
  3. 적용하는 복원효과를 잘 검증할 수 있는 우선순위 지역을 선정하여 복원계획을 시행한다.
  4. 개별적인 생물의 구성요소를 중요시하며, 생태계의 전체적인 유지 및 회복에 우선해야 한다.
(정답률: 53%)
  • 생태계의 복원원칙은 생태계를 회복시키기 위한 원칙으로, 다양한 보전 및 복원 활동을 수행할 때 적용되는 원칙이다. 이 중에서도 "적용하는 복원효과를 잘 검증할 수 있는 우선순위 지역을 선정하여 복원계획을 시행한다."는 가장 중요한 원칙 중 하나이다. 이는 복원효과를 검증할 수 있는 지역을 먼저 선정하여 복원계획을 시행하고, 그 결과를 평가하여 보완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생태계 복원을 이룰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토양의 형성에는 기후인자가 영향을 주는데, 이중 기후인자와 토양과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강우량이 많을수록 토양중 염기의 용탈이 심하게 일어나 알칼리토양으로 발달된다.
  2. 토양생성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토양 중 물의 이동방향과 물의 양이다.
  3. 습윤지대에서는 식생이 왕성하여 토양의 유기물함량이 많고 화학적 반응이 쉽게 일어난다.
  4. 강우량이 적은 건조지대에서는 물이 주로 상향 이동하기 때문에 토양교질물의 하향이동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정답률: 49%)
  • 정답은 "강우량이 많을수록 토양중 염기의 용탈이 심하게 일어나 알칼리토양으로 발달된다." 이다. 이유는 강우량이 많을수록 토양 중 물의 양이 증가하고, 이는 토양 중 미량 원소의 용해도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염기성 미량 원소들도 용해되어 알칼리토양으로 발달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연못의 급수 및 퇴수시설에 대한 표준시방으로서 틀린 것은?

  1. 급수구나 퇴수구는 노출되지 않게 설치한다.
  2. 어류서식 연못에는 수돗물의 급수를 피한다.
  3. 오버플로우의 높이는 목표기준수면의 높이와 같게 해야한다.
  4. 퇴수구의 높이는 표준 수면의 높이보다 낮게 한다.
(정답률: 46%)
  • "퇴수구의 높이는 표준 수면의 높이보다 낮게 한다."가 틀린 것이다. 퇴수구의 높이는 표준 수면의 높이와 같게 설정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연못의 수위가 낮아지면서 퇴수구에서 물이 빠져나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은 백로의 먹이사슬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의 A와 B에 들어갈 수 있는 동물군이 아닌 것은?

  1. 맹꽁이
  2. 올챙이
  3. 도마뱀
(정답률: 62%)
  • 먹이사슬에서는 작은 동물이 큰 동물을 먹어서 에너지를 얻는 구조이므로, "올챙이"는 다른 동물을 먹지 않고, 작은 동물이므로 "백로"의 먹이사슬에 들어갈 수 없다. 따라서 정답은 "올챙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토양개량자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이탄 : 물이끼, 탄화된 풀잎 등이 주원료
  2. 제오라이트 : 흑운모를 분쇄하여 고온가열 처리한 것
  3. 펄라이트 : 진주암, 흑요석 등을 분쇄하고, 고온가열 처리한 것
  4. 규조토소성립 : 규조토를 조립(입경 2mm)하여 구워 완성 한 것
(정답률: 52%)
  • 제오라이트가 흑운모를 분쇄하여 고온가열 처리한 것이라는 설명이 틀립니다. 제오라이트는 알루미늄과 규산염으로 이루어진 천연 광물로, 화산재가 물에 닿아 생긴 것입니다. 따라서 제오라이트는 흑운모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토양의 용탈층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토양내 가용성 성분의 용탈이 일어나는 층이다.
  2. 용탈층에서는 외부에서 가해진 유기물이 점차 분해를 받게 된다.
  3. 용탈층에서는 분해가 더욱 진전된 유기물이 무기입자와 잘 섞이게 되므로 유기물 함량이 높다.
  4. 표층으로부터 용탈된 성분이 집적되는 층이 형성된다.
(정답률: 36%)
  • 정답은 "표층으로부터 용탈된 성분이 집적되는 층이 형성된다."가 아닌 "용탈층에서는 분해가 더욱 진전된 유기물이 무기입자와 잘 섞이게 되므로 유기물 함량이 높다."입니다.

    용탈층은 토양 내 가용성 성분의 용탈이 일어나는 층으로, 표층으로부터 용탈된 성분이 집적되는 층이 형성됩니다. 이 층에서는 외부에서 가해진 유기물이 점차 분해를 받게 되며, 분해가 더욱 진전된 유기물이 무기입자와 잘 섞이게 되므로 유기물 함량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산림 및 도시생태계 복원을 위한 기본적인 원칙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것은?

  1. 대상지의 훼손정도에 따라 다르게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2. 훼손정도가 약한 지역에 있어서는 긴급한 복원을 통해 혹산을 방지한다.
  3. 자연적인 복원이 어려운 지역에 대해서는 최소한의 에너지 투입으로 자연계의 회복력을 촉진시키는 복원방법을 선택한다.
  4. 방치하면 확산이 우려되는 지역은 기반안정, 생물종 도입 등 적극적인 복원방법이 필요하다.
(정답률: 66%)
  • 훼손정도가 약한 지역에 있어서는 긴급한 복원을 통해 혹산을 방지한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원칙입니다. 이는 자연적인 복원이 가능한 지역에서도 인위적인 복원을 시도하게 되어 생태계의 균형을 더욱 뒤틀게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대상지의 훼손정도에 따라 다르게 설정하고, 자연적인 복원이 어려운 지역에 대해서는 최소한의 에너지 투입으로 자연계의 회복력을 촉진시키는 복원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식물의 생활사 중 연결이 잘못된 것은?

  1. 여름형 1년생식물 : 벼
  2. 겨울형 1년생식물 : 보리
  3. 2년생식물 : 붓꽃
  4. 다년생식물 : 참억새
(정답률: 52%)
  • 분명히 붓꽃은 1년생식물이지만, 보기에서는 2년생식물로 잘못 표기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반딧불이 서식을 유도하는 자연형 하천복원은 어떤 수생생물종의 서식을 필요로 하는가?

  1. 왕잠자리
  2. 소금쟁이
  3. 깔다구
  4. 다슬기
(정답률: 64%)
  • 반딧불이는 물가에서 서식하는 수생생물종 중 하나인 다슬기를 필요로 합니다. 다슬기는 반딧불이와 같이 물가에서 서식하며, 반딧불이의 유도를 통해 서식 환경이 개선되면 다슬기의 서식 환경도 함께 개선됩니다. 따라서 반딧불이 서식을 유도하는 자연형 하천복원은 다슬기의 서식을 필요로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경관생태학

61. 경관생태(Landscape Ecology)라는 용어를 가장 먼저 사용한 사람은?

  1. C. Troll
  2. I. S. Zonneveld
  3. E. Haeckel
  4. L. Finke
(정답률: 67%)
  • 경관생태학(Landscape Ecology)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사람은 Carl Troll입니다. Troll은 1939년에 "Landschaftsökologie"라는 책에서 이 용어를 처음 사용했습니다. 이 용어는 독일어로 "Landschaft"는 "경관"을, "Ökologie"는 "생태학"을 의미합니다. 이 용어는 이후에 영어권에서도 널리 사용되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패치(patch)의 크기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큰 패치가 작은 두 개의 패치로 나뉘어지면, 내부종의 개체군의 크기와 수를 증가시킨다.
  2. 큰 패치가 두 개의 패치로 나뉘어지면, 주연부 서식처는 줄어들고 종의 개체군은 커진다.
  3. 종이 국지적으로 멸종할 가능성은 패치 크기가 작고 서식처 질이 낮아질수록 높아진다.
  4. 큰 패치는 더 많은 서식처를 가지게 되고, 작은 패치보다 더 적은 종을 포함하게 된다.
(정답률: 70%)
  • "종이 국지적으로 멸종할 가능성은 패치 크기가 작고 서식처 질이 낮아질수록 높아진다." 이유는 작은 패치일수록 서식처가 적고, 이로 인해 종의 개체군이 작아지고 유전적 다양성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또한, 서식처 질이 낮을수록 생존에 필요한 자원이 부족해지고, 이로 인해 종의 생존 가능성이 낮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가장자리의 바람이라는 미기후에 따라 가장자리의 폭이 다르게 나타난다. 다음 중 가장자리가 넓은 것에서부터 좁은 것까지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① → ③ → ④ → ② → ⑤
  2. ⑤ → ② → ④ → ③ → ①
  3. ③ → ④ → ① → ⑤ → ②
  4. ② → ⑤ → ④ → ③ → ①
(정답률: 48%)
  • 가장자리의 폭은 바람의 영향을 받아 결정되므로, 바람이 가장 세고 안정적인 지역에서는 가장자리가 넓게 나타나고, 바람이 약하고 불안정한 지역에서는 가장자리가 좁게 나타난다. 따라서, ⑤는 바람이 가장 세고 안정적인 지역이므로 가장자리가 가장 넓게 나타나고, ①은 바람이 가장 약하고 불안정한 지역이므로 가장자리가 가장 좁게 나타난다. ②와 ④는 바람의 세기와 안정성이 중간 정도이므로 가장자리의 폭도 중간 정도로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③은 바람이 약하지만 불안정한 지역이므로 가장자리의 폭은 ②와 ④보다 좁지만 ①보다는 넓게 나타난다. 따라서, 가장자리가 넓은 것에서부터 좁은 것까지 순서대로 나열하면 "⑤ → ② → ④ → ③ → ①"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벡터자료와 래스터자료의 차이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벡터자료는 공간적 정확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2. 벡터자료는 복잡한 데이터구조를 갖는 단점이 있다.
  3. 래스터자료는 원격탐사 영상자료와 연계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4. 래스터자료는 다양한 모델링을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정답률: 52%)
  • 래스터자료는 픽셀 단위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공간적 정확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벡터자료는 점, 선, 면 등의 기하학적 요소로 구성되어 있어 공간적 정확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농촌경관의 변화에 대한 다름 설명 중 가장 옳은 것은?

  1. 경제성 위주의 토지이용 정책으로 인해 전통문화경관과 고유한 생태계가 변화되었다.
  2. 화석연료의 사용이 증가되면서 산림 등의 식생이 급격하게 훼손되어 생태계가 전멸되었다.
  3. 농촌인구가 급격히 감소되면서 기존의 묵논이나 폐농지가 적극적으로 개발 이용 되고 있다.
  4. 농촌생활환경의 변화로 도로, 주택, 대체산업 등의 토지이용이 증가하여 생태계의 안전성이 높아지고 있다.
(정답률: 45%)
  • "경제성 위주의 토지이용 정책으로 인해 전통문화경관과 고유한 생태계가 변화되었다."가 가장 옳은 설명이다. 이는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는 토지이용 정책으로 인해 농촌 지역에서 전통적인 농업과 민속문화가 사라지고, 대규모 농업과 산업이 발전하면서 생태계가 변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경관생태학에 대한 개념 설명과 거리가 먼 것은?

  1. 조경과 토지관리 및 계획 그리고 인문지리화 생태학 분야의 총체적 접근을 시도
  2. 여러 가지 다른 요소로 이루어져 있는 총체적인 실체로서 토지를 고려하는 지리학적 접근을 시도
  3. 공간적인 이질성의 발달과 역동성, 시공간적 상호작용과 교환 원리를 고려
  4. 개체, 가족, 사회 및 군집의 발달원리를 연구하는 학문분야
(정답률: 61%)
  • 경관생태학은 자연환경과 인간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학문분야로, 지리학적 접근과 총체적인 실체로서 토지를 고려하며, 공간적인 이질성과 역동성, 시공간적 상호작용과 교환 원리를 고려합니다. 하지만 개체, 가족, 사회 및 군집의 발달원리를 연구하는 것은 경관생태학과는 거리가 먼 학문분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비오톱 조성의 역할이 아닌 것은?

  1. 생활환경의 개선
  2. 주민 소득 증대에 기여
  3. 환경교육의 장소 제공
  4. 자연생태계의 복원
(정답률: 72%)
  • 비오톱 조성은 생활환경의 개선, 환경교육의 장소 제공, 자연생태계의 복원에 기여하지만, 주민 소득 증대에 직접적인 기여는 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경관생태학에서 경관구조를 나타내는데 사용하는 개념이 아닌 것은?

  1. 통로
  2. 바탕
  3. 조각
  4. 지구
(정답률: 63%)
  • 경관생태학에서는 지구라는 개념은 경관구조를 나타내는데 사용되지 않습니다. 경관구조란 지형, 수문, 토양, 식생 등의 자연환경적 요소와 인간의 활동에 의해 형성된 인공적 요소들이 결합하여 만들어지는 경관의 구조적 특성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지구"는 이와 관련이 없는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생태계 관련 도면 중 생태적가치, 자연성, 경관적 가치에 따라 3등급화한 것으로서 식생등급, 임상도 등 자연환경 특성을 고려하여 작성된 지도는?

  1. 녹지자연도
  2. 생태ㆍ자연도
  3. 현존식생도
  4. 산지이용도
(정답률: 62%)
  • 생태ㆍ자연도는 생태계 관련 도면 중 생태적 가치, 자연성, 경관적 가치에 따라 3등급화한 것으로서 식생등급, 임상도 등 자연환경 특성을 고려하여 작성된 지도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녹지자연도는 주로 도시 내 녹지공간을 나타내는 지도이고, 현존식생도는 특정 지역에서 현재 존재하는 식물군집을 나타내는 지도이며, 산지이용도는 산지에서의 자연자원 이용 현황을 나타내는 지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가장자리(Edge)의 생태적 여과기능을 결정짓는 변수와 거리가 먼 것은?

  1. 층위구조
  2. 순환성
  3. 곡선도
(정답률: 32%)
  • 순환성은 가장자리에서 생물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며 생태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는 다른 변수들과는 달리 거리와 상관없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가장자리의 생태적 여과기능을 결정짓는 변수 중 거리와 무관한 요소이다. 따라서 정답은 "순환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해안사구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해안사구 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모래 공급량, 풍속 및 풍향이 있다.
  2. 해안사구는 육지와 바다 사이의 퇴적물의 양을 조절한다.
  3. 해안 고유 식물과 동물의 서식지 기능을 한다.
  4. 해안사구는 1차 사구와 2차 사구로 구분하고, 바다쪽 사구를 2차 사구라고 한다.
(정답률: 60%)
  • 해안사구는 바다쪽 사구를 1차 사구, 육지쪽 사구를 2차 사구로 구분한다는 설명이 잘못되었다. 오히려 바다쪽 사구를 2차 사구로 구분한다. 이는 바다쪽 사구가 더 큰 파도와 바람에 노출되어 더욱 강력한 퇴적물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생태 이동통로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적으로 영양단계 높은 종의 이동통로 폭은 좁다.
  2. 일반적으로 양 지점을 잇는 이동통로의 경사도는 완만하게 만들어야 한다.
  3. 생태 이동통로를 설치하게 되면 전에는 없었던 서식지 기능을 살려주어야 한다.
  4. 생태 이동통로는 동물들의 통로가 되어 포식자에게 사냥터를 제공할 수 있다.
(정답률: 64%)
  • "일반적으로 영양단계 높은 종의 이동통로 폭은 좁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영양단계가 높은 종은 더 많은 양의 에너지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더 넓은 이동통로를 필요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영양단계와 이동통로 폭은 반비례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경관생태학에서 의미하는 습지의 핵심적인 기능이 아닌 것은?

  1. 환경질의 개선
  2. 지하수 저장 및 충전
  3. 어류 및 야생동물 서식처로서의 기능
  4. 시각적인 아름다움의 증진
(정답률: 58%)
  • 습지의 핵심적인 기능은 환경질의 개선, 지하수 저장 및 충전, 어류 및 야생동물 서식처로서의 기능이다. 시각적인 아름다움의 증진은 습지의 기능 중 하나이지만, 핵심적인 기능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경관을 이루는 기본단위를 경관요소라고 한다. 이 경관요소 개념에 포함되지 않은 것은?

  1. 군집(community)
  2. 바탕(matrix)
  3. 통로(corridor)
  4. 패치(patch)
(정답률: 70%)
  • 군집(community)은 경관을 이루는 기본단위 중 하나가 아니라, 경관 생태학에서는 여러 종이 함께 살아가는 군집 생태계를 의미한다. 따라서 경관요소 개념에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야생동물의 서식처로서 자연보전지구를 설정할 때 내부종과 가장자리종을 동시에 보호하고자 한다면 다음 중 가장 적절한 지역으로 볼 수 있는 곳은?

  1. 원형의 큰 숲과 여러 개의 균일한 숲 패치, 통로가 일직선으로 배치되어 있는 지역
  2. 부정형의 큰 숲과 여러 개의 균일한 숲 패치, 통로가 십자형으로 안배되어 있는 지역
  3. 부정형의 큰 숲과 원형의 작은 숲 패치, 하나의 큰 통로가 적절한 짜임으로 안배되어 있는 지역
  4. 원형의 큰 숲과 일그러지거나 작은 숲 패치, 통로가 적절한 짜임으로 안배되어 있는 지역
(정답률: 53%)
  • 내부종은 원형의 큰 숲과 일그러지거나 작은 숲 패치, 통로가 적절한 짜임으로 안배되어 있는 지역에서 서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숲과 숲 사이에 통로가 적절하게 배치되어 있어 내부종이 이동하면서 서식지를 확장할 수 있고, 작은 숲 패치가 있어 가장자리종도 서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지역은 내부종과 가장자리종을 동시에 보호하기에 가장 적절한 지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생물의 이동을 위해서는 패치간 연결성이 높을수록 좋다. 연결성을 높이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두 패치를 생태통로로 연결한다.
  2. 두 패치 사이에 징검다리 녹지를 조성한다.
  3. 패치의 면적을 확대하여 패치간의 거리를 단축시킨다.
  4. 패치의 굴곡이 심하도록 주연부를 증대한다.
(정답률: 58%)
  • 패치의 굴곡이 심하도록 주연부를 증대하는 것은 패치 간의 연결성을 높이는 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다. 이유는 패치의 굴곡이 심하면 생물들이 이동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패치 간의 연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두 패치를 생태통로로 연결하거나, 두 패치 사이에 징검다리 녹지를 조성하거나, 패치의 면적을 확대하여 패치간의 거리를 단축시키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분광반사율은 대상물체가 가지고 있는 전자파의 특성에 따라 다르나 다음 대상물 중에서 높은 반사율 순으로 나열한 것은?

  1. 물>토양>식생
  2. 물>식생>토양
  3. 식생>물>토양
  4. 식생>토양>물
(정답률: 32%)
  • 분광반사율은 대상물체가 가지고 있는 전자파를 얼마나 많이 반사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물은 전자파를 거의 반사하지 않고 흡수하기 때문에 반사율이 낮습니다. 토양은 일부 전자파를 반사하지만 대부분을 흡수하기 때문에 중간 정도의 반사율을 가집니다. 반면에 식생은 전자파를 많이 반사하기 때문에 가장 높은 반사율을 가집니다. 따라서 "식생>토양>물"이 올바른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UNESCO에서 제안한 보전지역관리를 위한 용도지역 구분이 아닌 것은?

  1. 핵심지역
  2. 완충지역
  3. 수변지역
  4. 전이지역
(정답률: 74%)
  • 수변지역은 UNESCO에서 제안한 보전지역관리를 위한 용도지역 구분 중 하나이다. 따라서 수변지역은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방풍림의 다공성과 높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방풍림의 높이는 주로 방풍림의 효과가 미치는 후면의 거리를 결정한다.
  2. 다공성은 기본적으로 방풍림의 전면과 후면의 풍속에 영향을 미친다.
  3. 설계 목적에 의해 다르기는 하지만, 조밀한 식재에 의한 방풍림은 다공성이 큰 방풍림보다 상대적으로 효과적이다.
  4. 돌담이나 조밀한 상록수 방풍림은 전, 후면에 많은 난기류가 생긴다.
(정답률: 48%)
  • "설계 목적에 의해 다르기는 하지만, 조밀한 식재에 의한 방풍림은 다공성이 큰 방풍림보다 상대적으로 효과적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다공성이 큰 방풍림은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여 효과적인 방풍 효과를 낼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더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경관생태적 원리에 입각한 자연형 하천복원의 유의점을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실시예정구간의 수리특성을 충분히 감안한다.
  2. 표준단면을 설정하여 상ㆍ하류 일률적으로 하천 폭을 설정한다.
  3. 치수계획에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자연형 하천조성 방안의 검토가 필요하다.
  4. 하천지역의 자연적인 조건 및 특성을 충분히 파악하여 구간별 차별화된 구성방안을 마련한다.
(정답률: 59%)
  • "표준단면을 설정하여 상ㆍ하류 일률적으로 하천 폭을 설정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각 구간의 수리특성과 지형적 특성에 따라 하천 폭이 다르게 설정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상류와 하류의 폭이 일률적으로 설정되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자연환경관계법규

81. 자연공원법상 공원관리청이 자연공원을 효과적으로 보전하고 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구분한 용도지구의 구분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공원자연보존지구
  2. 공원자연환경지구
  3. 공원개발환경지구
  4. 공원문화유산지구
(정답률: 52%)
  • 공원개발환경지구는 자연공원 내에서 인프라 구축과 같은 개발을 허용하는 지구로, 다른 지구에 비해 인간의 활동이 더 많이 일어나기 때문에 자연보전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 따라서 거리가 먼 것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공원을 보전하면서도 인간의 이용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관리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용어의 뜻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생물다양성”이란 육상생태계 및 수생생태계와 이들의 복합생태계를 포함하는 모든 원천에서 발생한 생물체의 다양성을 말하며, 종내ㆍ종간 및 생태계의 다양성을 포함한다.
  2. “생물자원”이란 사람을 위하여 가치가 있거나 실제적 또는 잠재적 용도가 있는 유전자원, 생물체, 생물체의 부분, 개체군 또는 생물의 구성요소를 말한다.
  3. “유전자원”이란 유전(遺傳)의 기능적 단위를 포함하는 식물ㆍ동물ㆍ미생물 또는 그 밖에 유전적 기원이 되는 유전물질 중 실질적 또는 잠재적 가치를 지닌 물질을 말한다.
  4. “생태계 교란생물”이란 외국으로부터 인위적 또는 자연적으로 유입되어 그 본래의 원산지 또는 서식지를 벗어나 존재하게 된 생물을 말한다.
(정답률: 45%)
  • 옳지 않은 것은 "“생태계 교란생물”이란 외국으로부터 인위적 또는 자연적으로 유입되어 그 본래의 원산지 또는 서식지를 벗어나 존재하게 된 생물을 말한다." 이유는 "생태계 교란생물"은 생태계에 유입되어서 그 생태계의 균형을 교란시키는 생물을 말하며, 국내에 이미 존재하는 생물이어도 해당 생태계에 유입되어 교란을 일으키는 경우도 포함된다. 따라서 "외국으로부터"라는 조건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자연공원법상 자연공원에서의 금지행위 중 “지정된 장소밖에서의 주차행위를 한 자” 에 대한 과태료 부과기준으로 옳은 것은?

  1.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2.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3. 5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4. 1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정답률: 60%)
  • 자연공원에서는 지정된 주차장 이외의 곳에서 주차를 하면 금지행위로 간주됩니다. 이에 따라 자연공원법에서는 이를 위반한 경우 1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유는 자연공원을 보호하고 유지하기 위해 지정된 주차장 이외의 곳에서 주차를 하면 자연환경을 파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과태료를 부과하여 주차장을 이용하도록 유도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자연환경보전법상 생태ㆍ경관보전지역의 지속가능한 보전ㆍ관리를 위하여 생태ㆍ경관보전지역을 구분하여 지정ㆍ관리하고자 할 때, 그 구분지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생태ㆍ경관핵심보전구역
  2. 생태ㆍ경관완충보전구역
  3. 생태ㆍ경관전이보전구역
  4. 생태ㆍ경관관리보전구역
(정답률: 50%)
  • 생태ㆍ경관관리보전구역은 법적으로 지정되지 않은 용어이기 때문에 구분지역으로 옳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생태ㆍ경관관리보전구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야생생물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상 “유해야생동물” 과 거리가 먼 것은?

  1. 장기간에 걸쳐 무리를 지어 농작물 또는 과수에 피해를 주는 참새
  2. 일부지역에 서식밀도가 너무 높아 농ㆍ림ㆍ수산업에 피해를 주는 호사비오리
  3. 전주 등 전력시설에 피해를 주는 까치
  4. 일부지역에 서식밀도가 너무 높아 분변(糞便) 및 털 날림 등으로 문화재 훼손이나 건물 부식 등의 재산상 피해를 주거나 생활에 피해를 주는 집비둘기
(정답률: 44%)
  • "유해야생동물" 중에서도 일부지역에 서식밀도가 너무 높아 농ㆍ림ㆍ수산업에 피해를 주는 호사비오리는 거리가 먼 것이 아니라 유해야생동물 중 하나입니다. 호사비오리는 농작물이나 과수원에서 먹이를 찾아 다닌다는 특성 때문에 농업 및 수산업에 큰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유해야생동물을 관리하고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해당 법률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습지보전법상 습지보전을 위해 설치할 수 있는 시설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습지연구시설
  2. 습지준설복원시설
  3. 습지오염방지시설
  4. 습지생태관찰시설
(정답률: 53%)
  • 습지준설복원시설은 습지를 복원하기 위해 건설되는 시설로, 습지의 수위를 조절하거나 물을 공급하여 습지 생태계를 유지하고 보전하는 역할을 합니다. 다른 시설들도 습지보전을 위해 설치될 수 있지만, 습지준설복원시설은 습지의 복원과 유지를 위한 핵심적인 시설로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자연공원법상 공원관리청의 허가를 받지 아니하고 사용료를 징수한 자에 대한 벌칙기준으로 옳은 것은?

  1.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2.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3.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4.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에 처한다.
(정답률: 44%)
  • 공원은 일반적으로 대중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이므로, 사용료를 징수하는 경우에는 공원관리청의 허가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공원관리청의 허가를 받지 않고 사용료를 징수한 경우에는 법적으로 문제가 됩니다. 이에 따라 자연공원법에서는 이를 위반한 경우에 대한 벌칙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경도한 경우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입니다. 이유는, 공원을 무단으로 사용료를 징수한 경우에도, 법적으로는 경미한 범죄로 간주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벌금이나 징역 처벌이 주어지지만, 그 크기는 상대적으로 작게 책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야생생물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상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표범
  2. 따오기
  3. 흰꼬리수리
  4. 죽백란
(정답률: 57%)
  • 따오기는 이미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생물로 분류되어 있기 때문에,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따오기를 제외한 나머지 보기들이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나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야생생물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상 생물자원보전시설을 등록한 자가 시설 및 요건을 갖추지 못하여 등록이 취소된 경우, 취소된 날부터 며칠이내에 그 등록증을 환경부장관 등에게 반납하여야 하는가?

  1. 3일 이내에
  2. 5일 이내에
  3. 7일 이내에
  4. 15일 이내에
(정답률: 54%)
  • 생물자원보전시설 등록이 취소된 경우, 해당 시설은 더 이상 생물자원을 보전하거나 관리할 수 없으므로 등록증을 즉시 반납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법률에서는 등록 취소일로부터 7일 이내에 등록증을 반납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7일 이내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각 용도지역별 용적률의 최대한도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도시지역 중 녹지지역 : 500퍼센트 이하
  2. 관리지역 중 생산관리지역 : 100퍼센트 이하
  3. 농림지역 : 80퍼센트 이하
  4. 자연환경보전지역 : 100퍼센트 이하
(정답률: 34%)
  • 농림지역은 농업 및 임업 등의 자연환경을 보전하고 육성하기 위한 지역으로, 자연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건축물 등의 건설이 제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용적률의 최대한도를 80%로 제한하여 자연환경을 보전하고 농업 및 임업 등의 활동을 지원하고자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국토기본법상 국토종합계획은 얼마의 기간을 단위로 하여 수립하는가?

  1. 2년
  2. 5년
  3. 10년
  4. 20년
(정답률: 52%)
  • 국토기본법상 국토종합계획은 20년을 기간으로 하여 수립합니다. 이는 국가의 장기적인 국토계획을 수립하고, 국토의 지속적인 발전과 안정적인 관리를 위해 필요한 기간으로 판단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20년이라는 긴 기간 동안 변화하는 사회와 기술적인 변화를 고려하여 적절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환경정책기본법령상 이산화질소(NO2)의 대기환경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24시간 평균치)

  1. 0.02ppm 이하
  2. 0.03ppm 이하
  3. 0.05ppm 이하
  4. 0.06ppm 이하
(정답률: 42%)
  • 이산화질소(NO2)는 대기오염물질 중 하나로, 인체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환경정책기본법령에서는 이산화질소(NO2)의 대기환경기준을 정하고 있습니다. 이 기준은 24시간 평균치로 측정하며, 이산화질소(NO2) 농도가 0.06ppm 이하일 때 인체 건강에 해로운 영향이 없다고 판단되기 때문에 "0.06ppm 이하"가 옳은 대기환경기준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 기준보다 더 낮은 농도를 요구하거나, 높은 농도를 허용하기 때문에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농지법규상 농지보전부담금을 자진납부하려는 경우 그 납부기간 기준은?

  1. 자진납부에 따른 농지보전부담금 내역확인서를 교부받은 날부터 5일로 한다.
  2. 자진납부에 따른 농지보전부담금 내역확인서를 교부받은 날부터 7일로 한다.
  3. 자진납부에 따른 농지보전부담금 내역확인서를 교부받은 날부터 10일로 한다.
  4. 자진납부에 따른 농지보전부담금 내역확인서를 교부받은 날부터 15일로 한다.
(정답률: 43%)
  • 자진납부에 따른 농지보전부담금 내역확인서를 교부받은 날부터 15일로 한 이유는, 농지보전부담금을 자진납부하는 경우에는 납부기한이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에, 납부 의사를 밝힌 후에 내역확인서를 받아서 실제로 납부할 때까지 일정한 기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 기간은 15일로 정해져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은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시행령상 개발제한구역에서의 행위제한에 관한 내용이다. 밑줄 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규모”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벌채 면적 500제곱미터 또는 벌채 수량 5세제곱미터
  2. 벌채 면적 300제곱미터 또는 벌채 수량 3세제곱미터
  3. 벌채 면적 200제곱미터 또는 벌채 수량 2세제곱미터
  4. 벌채 면적 100제곱미터 또는 벌채 수량 1세제곱미터
(정답률: 32%)
  •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규모"는 개발제한구역에서의 행위제한에 대한 규정이다. 이 규모는 벌채 면적 또는 벌채 수량으로 나타내어지며, 벌채는 산림에서 나무를 베거나 제거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벌채 면적 500제곱미터 또는 벌채 수량 5세제곱미터는 개발제한구역에서의 벌채 행위를 제한하는 기준으로, 이보다 큰 벌채는 허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자연환경보전법규상 생태통로 설치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생태통로 내부에 돌무더기나 고사목ㆍ그루터기ㆍ장작더미 등의 다양한 서식환경과 피난처를 설치한다.
  2. 생태통로 입구와 출구에는 원칙적으로 현지에 자생하는 종을 식수하며, 토양 역시 가능한 한 공사 중 발생한 정토를 사용한다.
  3. 생태통로 내부에는 다양한 수직적 구조를 가진 아교목ㆍ관목ㆍ초목 등으로 조성한다.
  4. 생태통로의 길이가 길수록 폭을 좁게 설치한다.
(정답률: 66%)
  • 생태통로의 길이가 길수록 폭을 좁게 설치한다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이는 생태통로를 이용하는 동물들이 더욱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긴 생태통로에서는 동물들이 넓은 공간을 이동하면서 쉽게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폭을 좁게 설치하여 동물들이 더욱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은 환경정책기본법령상 환경보전계획을 수립하거나 변경하고자 할 때,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결미한 사항의 경우에는 지방환경관서의 장과의 협의를 생략할 수 있는 기준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100분의 10 이내의 범위
  2. 100분의 20 이내의 범위
  3. 100분의 30 이내의 범위
  4. 100분의 50 이내의 범위
(정답률: 39%)
  • 이유는 환경보전계획은 지방환경관서와 협의하여 수립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결미한 사항의 경우에는 협의를 생략할 수 있는 기준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 기준은 범위가 너무 크면 지방환경관서의 역할이 축소될 우려가 있고, 반대로 범위가 너무 작으면 대통령령의 권한이 제한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적절한 균형점을 찾아 100분의 30 이내의 범위로 결정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상 삼림청장은 백두대간보호 기본계획을 몇 년 마다 수립하여야 하는가?

  1. 1년
  2. 3년
  3. 5년
  4. 10년
(정답률: 58%)
  •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상 삼림청장은 백두대간보호 기본계획을 10년 마다 수립하여야 합니다. 이는 백두대간 보호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필요한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적극적인 대책을 추진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10년마다 기본계획을 수립함으로써 변화하는 환경과 상황에 대응하여 보호 대책을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환경정책기본법령상 하천의 수질 및 수생태계 기준 중 “음이온 계면활성제(ABS)" 기준값(mg/L)으로 옳은 것은? (단, 사람의 건강보호기준)

  1. 검출되어서는 안됨(검출한계 0.001)
  2. 검출되어서는 안됨(검출한계 0.01)
  3. 0.05 이하
  4. 0.5 이하
(정답률: 31%)
  • 정답은 "0.5 이하"입니다. ABS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로서, 수생생물에 대한 독성이 있으며 인체에도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하천의 수질 및 수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해 ABS의 농도는 최대한 낮아야 합니다. 하지만 사람의 건강보호기준을 고려하여 0.5mg/L 이하로 설정되었습니다. 이는 인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안전한 농도로 판단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자연환경보전법령상 생태ㆍ자연도를 작성할 때 구분하는 지역 중 별도관리지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수도법에 따른 상수원보호구역
  2. 산림보호법에 따른 산림보호구역
  3. 문화재보호법에 따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구역
  4. 자연환경보전법에 따른 시ㆍ도 생태ㆍ경관보전지역
(정답률: 32%)
  • "수도법에 따른 상수원보호구역"은 수도를 공급하는 상수원의 수질을 보호하기 위해 지정된 지역으로, 다른 지역과는 분리되어 있어서 별도로 관리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다른 지역보다 더욱 엄격한 보호조치가 필요하며, 인류 생활에 필수적인 물의 보호와 관리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상 개발제한구역 지정 및 해제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국방부장관의 요청으로 보안상 도시의 개발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면 개발제한구역의 지정에 한해 국가기본관리계획에 의해 결정한다.
  2. 도시의 정체성 확보 및 적정한 성장관리를 위하여 개발을 제한할 필요가 있는 지역이 지정지역 대상에 해당한다.
  3.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해제의 기준은 대상 도시의 인구ㆍ산업ㆍ교통 및 토지이용 등 경제적ㆍ사회적 여건과 도시 확산 추세, 그 밖의 지형 등 자연환경 여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4. 도시주변의 자연환경 및 생태계를 보전하고 도시민의 건전한 생활환경을 확보하기 위하여 개발을 제한할 필요가 있는 경우 지정지역 대상에 해당한다.
(정답률: 28%)
  • "국방부장관의 요청으로 보안상 도시의 개발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면 개발제한구역의 지정에 한해 국가기본관리계획에 의해 결정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국방부장관의 요청으로 개발제한구역을 지정하는 것은 법적 근거가 없기 때문이다.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해제 기준은 대상 도시의 인구, 산업, 교통, 토지 이용 등 경제적, 사회적 여건과 도시 확산 추세, 그 밖의 지형 등 자연환경 여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