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환경생태학개론
1. 생태계의 대사회전(Turnover)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2. 지구환경의 물질순환 중 지구온난화 가장 관계 있는 것은?
3. 생태계의 제한 요인에서 식물의 생산성은 가장 많이 결핍된 단일원소의 양에 의해 결정된다는 법칙은 무엇인가?
4. 대체로 강수량이 적어 목본은 거의 없고, 수분이 부족한 건조한 환경의 토양에서는 흔히 어떤 식물 군락이 형성되는가?
5. 다음에서 부분순환호(meromictic lake)에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6. DDT와 같은 지용성 독성물질이 체내에 축적될 때 그 단위 생체량 당 잔류량이 가장 적은 생물은?
7. 적조발생의 원인이 아닌 것은?
8. 람사르협약 내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의 기준(Ramsar Criteria for Identifying Wetlands of International Importance)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9. 환경요인에 대해서 특정 생물종의 생존가능 범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0. 생물체에 있어 긴장에서 원성으로 다시 완전하게 돌아갈 수 있는 긴장을 탄성긴장(elastic strain)이라 한다. 몸체가 받는 탄성긴장은 스트레스양에 비례하기 때문에 몸체의 탄성도(elasticity, M)을 다음 중 가장 잘 표현한 것은?
11. 오존층보호를 위한 국제 협약이 아닌 것은?
12. 다음 광합성 과정 중 산화ㆍ환원반응에 적합하게 구성된 과정은?
13. 생태계는 영양적(Trophic)인 입장에서 두 개의 구성요소를 갖는다. 이중 무기물을 사용하여, 복잡한 유기물질의 합성을 주로 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4. 다음 중 ( )안에 들어갈 각각의 것은?
15. 다음에서 포장용수량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6. 다음 중 수계에 영양염류(질소, 인)가 과다하게 유입되어 증가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7. 생태계에서는 생물체의 대사, 증식 및 사열로 인해 생물과 환경 사이에 물질의 순환이 일어나는데 이들 물질 중 인순환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8. 삼림쇠퇴의 특징이 아닌 것은?
19. 생태학적 피라미드의 종류가 아닌 것은?
20. 다음 중 생물다양성 및 환경보호와 관련된 국제기구가 아닌 것은?
2과목: 환경계획학
21. 자연환경보전을 위한 기본방침에 포함되지 않는 사항은?
22. 다음 중 생태도시(生態都市)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3. 다음 중 공공에 의한 토지이용계획의 역할로 볼 수 없는 것은?
24. 환경부에서는 주택 및 공장, 휴양관광시설 등에 대해 생태계 보전지역과 녹지자연도 일정 등급 이상의 지역은 사업지역에서 제척하도록 하여, 자연이 양호한 지역에 무분별한 개발을 억제할 수 있는 행정적 제약을 두고 있는데, 녹지자연도의 적용 기준으로 적당한 것은?
25. 도시지역, 관리지역, 농림지역 또는 자연환경보전지역으로 용도가 지정되지 아니한 지역에 대해서는 용적률을 지정함에 있어 어느 지역의 기준을 적용하는가?
26. 유럽연합(EU)에서 추진하는 유럽지역의 생태 네트워크 프로젝트의 명칭은?
27. 가렛 하딘(garrett hardin)의 「공유지의 비극」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28. 우리나라의 「용도지역」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29. 생태 네트워크의 필요성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30. 다음 중 자연환경보전계획의 위계로 옳은 것은?
31. 도시공원의 설치에 관한 도시ㆍ군관리계획결정으로 도시공원이 지정되어도, 그 고시일부터 10년이 되는 날까지 이것의 고시가 없는 경우에는 그 10년이 되는 날의 다음날에 그 효력을 상실한다. 이것은 무엇인가?
32. 다음 중 기존 계획의 일반적 접근방법과 비교한 환경계획의 접근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33. 다음 중 자연환경 보전기본계획의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는 것은?
34. 생태건축 계획의 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35. 다음 중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상의 ‘녹지’가 아닌 것은?
36. OECD에서 채택한 환경지표 설정을 위한 요소로 인간과 환경의 대응관계에 대한 3가지 구조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37. 다음 중 옴부즈만(Ombudsman) 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8. 공원녹지기본계획 수립권자는 기 수립된 ‘공원녹지기본계획’에 의하여 그가 관할하는 도시지역의 일부에 대하여 세부계획을 수립하여야 하는 바, 이를 무엇이라 하는가?
39. 국토환경성평가도에서 3등급에 해당하는 관리원칙은?
40. 다음 중 녹지자연도 등급기준과 내용이 맞지 않은 것은?
3과목: 생태복원공학
41. 생태통로를 조성할 때 횡단부위가 넓고, 절토지역 또는 장애물 등에 의해 동물을 위한 통로조성이 어려운 곳에 설치하는 통로는 무엇인가?
42. 습지를 복원하여 야생동물 서식을 유도하려 한다. 조성할 습지의 최소면적과 개수부(open water) 비율은 얼마가 바람직한가?
43. 광산지역의 복원계획 수립 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44. 벽면 녹화를 위한 등반유형 중 「등반감기형」에 알맞은 식물로만 짝지어진 것은?
45. 하천정비사업시 생태하천으로 조성하여 할 때 저탄소 녹생공법 적용이 가장 적절한 것은?
46. 산성토양의 개량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7. 생태적 복원공법유형의 기본개념이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48. 다음 중 매립지 복원공법이 아닌 것은?
49. 생활사 전략 중 새로운 서식지나 불안정한 서식지에 적합하고 소형, 다산, 조기성숙 등의 특성을 가지는 경우는?
50. 토양미생물이 토양의 물리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에 해당 하는 것은?
51. 다음 식물 중 내건성이 가장 우수한 녹화용 식물은?
52. 생태계의 복원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53. 토양의 형성에는 기후인자가 영향을 주는데, 이중 기후인자와 토양과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54. 연못의 급수 및 퇴수시설에 대한 표준시방으로서 틀린 것은?
55. 다음은 백로의 먹이사슬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의 A와 B에 들어갈 수 있는 동물군이 아닌 것은?
56. 다음 토양개량자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57. 토양의 용탈층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58. 산림 및 도시생태계 복원을 위한 기본적인 원칙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것은?
59. 식물의 생활사 중 연결이 잘못된 것은?
60. 반딧불이 서식을 유도하는 자연형 하천복원은 어떤 수생생물종의 서식을 필요로 하는가?
4과목: 경관생태학
61. 경관생태(Landscape Ecology)라는 용어를 가장 먼저 사용한 사람은?
62. 다음 패치(patch)의 크기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63. 가장자리의 바람이라는 미기후에 따라 가장자리의 폭이 다르게 나타난다. 다음 중 가장자리가 넓은 것에서부터 좁은 것까지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64. 벡터자료와 래스터자료의 차이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65. 농촌경관의 변화에 대한 다름 설명 중 가장 옳은 것은?
66. 경관생태학에 대한 개념 설명과 거리가 먼 것은?
67. 비오톱 조성의 역할이 아닌 것은?
68. 경관생태학에서 경관구조를 나타내는데 사용하는 개념이 아닌 것은?
69. 생태계 관련 도면 중 생태적가치, 자연성, 경관적 가치에 따라 3등급화한 것으로서 식생등급, 임상도 등 자연환경 특성을 고려하여 작성된 지도는?
70. 가장자리(Edge)의 생태적 여과기능을 결정짓는 변수와 거리가 먼 것은?
71. 해안사구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72. 생태 이동통로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73. 경관생태학에서 의미하는 습지의 핵심적인 기능이 아닌 것은?
74. 다음 중 경관을 이루는 기본단위를 경관요소라고 한다. 이 경관요소 개념에 포함되지 않은 것은?
75. 야생동물의 서식처로서 자연보전지구를 설정할 때 내부종과 가장자리종을 동시에 보호하고자 한다면 다음 중 가장 적절한 지역으로 볼 수 있는 곳은?
76. 생물의 이동을 위해서는 패치간 연결성이 높을수록 좋다. 연결성을 높이는 방법이 아닌 것은?
77. 분광반사율은 대상물체가 가지고 있는 전자파의 특성에 따라 다르나 다음 대상물 중에서 높은 반사율 순으로 나열한 것은?
78. UNESCO에서 제안한 보전지역관리를 위한 용도지역 구분이 아닌 것은?
79. 방풍림의 다공성과 높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80. 다음 경관생태적 원리에 입각한 자연형 하천복원의 유의점을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5과목: 자연환경관계법규
81. 자연공원법상 공원관리청이 자연공원을 효과적으로 보전하고 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구분한 용도지구의 구분으로 거리가 먼 것은?
82.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용어의 뜻으로 옳지 않은 것은?
83. 자연공원법상 자연공원에서의 금지행위 중 “지정된 장소밖에서의 주차행위를 한 자” 에 대한 과태료 부과기준으로 옳은 것은?
84. 자연환경보전법상 생태ㆍ경관보전지역의 지속가능한 보전ㆍ관리를 위하여 생태ㆍ경관보전지역을 구분하여 지정ㆍ관리하고자 할 때, 그 구분지역으로 옳지 않은 것은?
85. 야생생물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상 “유해야생동물” 과 거리가 먼 것은?
86. 습지보전법상 습지보전을 위해 설치할 수 있는 시설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87. 자연공원법상 공원관리청의 허가를 받지 아니하고 사용료를 징수한 자에 대한 벌칙기준으로 옳은 것은?
88. 야생생물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상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89. 야생생물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상 생물자원보전시설을 등록한 자가 시설 및 요건을 갖추지 못하여 등록이 취소된 경우, 취소된 날부터 며칠이내에 그 등록증을 환경부장관 등에게 반납하여야 하는가?
90.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각 용도지역별 용적률의 최대한도 기준으로 옳은 것은?
91. 국토기본법상 국토종합계획은 얼마의 기간을 단위로 하여 수립하는가?
92. 환경정책기본법령상 이산화질소(NO2)의 대기환경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24시간 평균치)
93. 농지법규상 농지보전부담금을 자진납부하려는 경우 그 납부기간 기준은?
94. 다음은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시행령상 개발제한구역에서의 행위제한에 관한 내용이다. 밑줄 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규모”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95. 자연환경보전법규상 생태통로 설치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96. 다음은 환경정책기본법령상 환경보전계획을 수립하거나 변경하고자 할 때,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결미한 사항의 경우에는 지방환경관서의 장과의 협의를 생략할 수 있는 기준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97.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상 삼림청장은 백두대간보호 기본계획을 몇 년 마다 수립하여야 하는가?
98. 환경정책기본법령상 하천의 수질 및 수생태계 기준 중 “음이온 계면활성제(ABS)" 기준값(mg/L)으로 옳은 것은? (단, 사람의 건강보호기준)
99. 자연환경보전법령상 생태ㆍ자연도를 작성할 때 구분하는 지역 중 별도관리지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00.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상 개발제한구역 지정 및 해제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