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자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7-22)

종자기능사
(2012-07-2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종자(임의구분)

1. 치상 후 일수에 따라 발아립수를 조사한 결과 다음 [표]와 같았다. 평균 발아소요 일수는 며칠인가?

  1. 1일
  2. 2일
  3. 3일
  4. 4일
(정답률: 81%)
  • 본 해설은 신고처리되어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신고사유
    해설은 2일이라고 나타내고있으나, 정답은 3일 으로 체크됨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물속에서 발아가 되지 않는 종자는?

  1. 셀러리
  2. 알팔파
  3. 당근
  4. 페튜니아
(정답률: 67%)
  • 알팔파는 물속에서 발아가 되지 않는 종자입니다. 이는 알팔파가 건조한 환경에서 발아하기 위해 적응한 식물로, 물속에서는 발아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알팔파는 건조한 환경에서 발아하도록 설계된 식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장기 종자 저장에 가장 효과적인 용기는?

  1. 종이 용기
  2. 캔 용기
  3. 셀로판 용기
  4. 헝겊 용기
(정답률: 88%)
  • 캔 용기는 공기, 빛, 습기, 온도 등의 외부 요인으로부터 식물 종자를 보호할 수 있는 밀폐성이 뛰어난 용기입니다. 또한 내부에 직접 산소를 넣지 않고 진공 상태로 보관할 수 있어 종자의 삶을 연장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장기 종자 저장에 가장 효과적인 용기는 캔 용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삼투압이 높은 용액에서 발아할 수 있는 능력은 식물에 따라 다른데 다음 중 삼투압에 따른 종자의 발아 정도를 알기 위해 실험에 사용하는 물질은?

  1. mannitol
  2. kinetin
  3. amylose
  4. scopoletin
(정답률: 60%)
  • 정답인 "mannitol"은 삼투압을 낮춰주는 영향을 가지는 당류로, 삼투압이 높은 용액에서 발아하기 어려운 종자를 발아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즉, mannitol은 삼투압을 조절하여 종자의 발아를 돕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벼 또는 보리에 종자전염하는 병균이 아닌것은?

  1. 도열병균
  2. 모잘록병균
  3. 깨씨무늬병균
  4. 붉은곰팡이병균
(정답률: 71%)
  • 정답은 "모잘록병균"입니다.

    - 도열병균: 벼와 보리에 종자전염하는 병균 중 하나로, 잎이 노랗게 변하고 말라 죽는 증상을 유발합니다.
    - 깨씨무늬병균: 벼와 보리에 종자전염하는 병균 중 하나로, 잎이 노랗게 변하고 깨끗한 무늬가 생기는 증상을 유발합니다.
    - 붉은곰팡이병균: 벼와 보리에 종자전염하는 병균 중 하나로, 잎이 붉게 변하고 말라 죽는 증상을 유발합니다.

    반면, 모잘록병균은 벼나 보리에 종자전염하는 병균이 아닙니다. 모잘록병균은 옥수수와 같은 다른 작물에 감염되어 잎이 노랗게 변하고 말라 죽는 증상을 유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종자의 퇴화원인이 아닌 것은?

  1. 저장양분의 고갈
  2. 분열조직의 기아
  3. 발아유도기구의 분해
  4. 가수분해효소의 불활성화
(정답률: 74%)
  • 가수분해효소는 종자 내부의 저장된 탄수화물을 분해하여 발아에 필요한 에너지원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가수분해효소의 불활성화는 발아과정에서 필요한 에너지원을 제공하지 못하게 되어 발아력이 감소하게 됩니다. 이는 종자의 퇴화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고온항온 건조기법에 의한 종자건조시 옥수수의 건조시간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단, 건조온도는 130~133℃로 한다.)

  1. 1시간
  2. 2시간
  3. 4시간
  4. 8시간
(정답률: 80%)
  • 고온항온 건조기법은 고온과 고습환경에서 물기를 제거하여 빠르게 건조시키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옥수수와 같은 대용량의 종자 건조에 적합합니다. 건조온도가 130~133℃로 매우 높기 때문에 건조시간이 짧아집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장 적절한 건조시간은 4시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다른 화분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취해야 할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휴한
  2. 윤작
  3. 격리재배
  4. 종자소독
(정답률: 85%)
  • 다른 화분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격리재배가 가장 적절합니다. 격리재배는 작물을 다른 작물과 분리하여 재배하는 것으로, 작물 간의 질병 전파나 해충의 이동을 막아주어 작물의 안전한 재배를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다른 화분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격리재배를 실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수확 직후의 고구마를 온도 32 ~ 33℃, 습도 90 ~ 95%인 곳에 4일간 보관하였다가 방열시킴으로써 저장을 용이하게 하는 처리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예냉
  2. 선별
  3. 큐어링
  4. 통기
(정답률: 91%)
  • 고구마 수확 직후에는 아직 물이 많아서 부패하기 쉬우므로 보존 처리가 필요합니다. 이때 고구마를 온도와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보관하여 수분이 균일하게 배분되도록 하고, 고구마 내부의 물기를 조절하여 부패를 예방하는 것이 큐어링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큐어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종자생산을 위한 수확시기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수확 시기를 늦게 할수록 좋다.
  2. 실용적 발아력 생성기 이전에 수확한다.
  3. 일반적으로 종실종자는 수분함량이 많을수록 좋다.
  4. 안전한 저장을 할 수 있을 정도의 낮은 수분함량에 도달했을 때 수확한다.
(정답률: 80%)
  • 종자가 안전하게 저장될 수 있는 수분함량에 도달했을 때 수확해야 하는 이유는, 수분함량이 높으면 종자 내부에서 미생물이 번식하거나 산화작용이 일어나서 종자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안전한 저장을 위해서는 수분함량이 낮은 상태에서 수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종자발아에 관여하는 요인 중 종자의 내적 조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유전성의 차이
  2. 발아 최적온도
  3. 종자의 성숙도
  4. 육종에 의한 발아력 향상
(정답률: 82%)
  • 발아 최적온도는 종자의 내적 조건이 아니라 외적 조건에 해당됩니다. 즉, 종자의 내적 조건은 유전성의 차이, 종자의 성숙도, 육종에 의한 발아력 향상과 같은 것들이며, 발아 최적온도는 주변 환경의 온도와 같은 외적 요인입니다. 따라서 발아 최적온도는 종자의 내적 조건이 아니라 외적 조건에 해당되므로 정답은 "발아 최적온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일반적으로 배낭에는 8개의 반수체 핵을 형성하는 데 다음 중 세포(또는 핵)별로 숫자가 올바르게 짝지은 것은?

  1. 조세포 : 2개의 핵, 난 핵 : 1개의 핵
    극 핵 : 2개의 핵, 반족세포 : 3개의 핵
  2. 조세포 : 2개의 핵, 난 핵 : 2개의 핵
    극 핵 : 1개의 핵, 반족세포 : 3개의 핵
  3. 조세포 : 1개의 핵, 난 핵 : 2개의 핵
    극 핵 : 2개의 핵, 반족세포 : 3개의 핵
  4. 조세포 : 2개의 핵, 난 핵 : 1개의 핵
    극 핵 : 3개의 핵, 반족세포 : 2개의 핵
(정답률: 73%)
  • 배낭에 있는 8개의 반수체 핵은 모두 다른 종류의 세포(또는 핵)에서 나온 것입니다. 조세포는 2개의 핵을 가지고 있으며, 극 핵도 2개의 핵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둘 다 분열 과정에서 생성된 것입니다. 난 핵은 1개의 핵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생식 과정에서 생성된 것입니다. 반족세포는 3개의 핵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식물의 생식 과정에서 생성된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조세포 : 2개의 핵, 난 핵 : 1개의 핵, 극 핵 : 2개의 핵, 반족세포 : 3개의 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땅속줄기(地下莖)로만 나열한 것은?

  1. 생강, 연, 박하
  2. 박하, 나리, 마늘
  3. 나리, 사탕수수, 토란
  4. 연, 감자, 글라디올러스
(정답률: 56%)
  • 정답: "생강, 연, 박하"

    이유:
    - 생강: 생강은 뿌리와 더불어 땅속줄기(지하줄기)를 이용하여 번식한다.
    - 연: 연도 땅속줄기(지하줄기)를 이용하여 번식한다.
    - 박하: 박하도 뿌리와 더불어 땅속줄기(지하줄기)를 이용하여 번식한다.

    박하, 나리, 마늘은 모두 뿌리와 땅속줄기(지하줄기)를 이용하여 번식한다.
    나리, 사탕수수, 토란은 모두 뿌리를 이용하여 번식한다.
    연과 감자는 모두 땅속줄기(지하줄기)를 이용하여 번식한다. 글라디올러스는 뿌리를 이용하여 번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전분종자에 해당하는 것은?

  1. 유채
  2. 목화
  3. 뽕나무
  4. 옥수수
(정답률: 85%)
  • 옥수수는 전분종자에 해당합니다. 옥수수는 전체 중 70% 이상이 전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전분종자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옥수수가 전분종자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단교잡에 의한 1대잡종 배추 종자생산을 할 때 원종생산단계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는 채종 방법은?

  1. 뇌수분(雷受粉)
  2. 이주수분(異株受粉)
  3. 노화수분(老化受粉)
  4. 자연교잡(自然交雜)
(정답률: 83%)
  • 단교잡에 의한 1대잡종 배추 종자생산에서는 뇌수분(雷受粉) 방법이 가장 많이 이용됩니다. 이는 수종간의 교잡을 유도하기 위해 꽃배를 열어 수종간의 교배를 일으키는 방법으로, 수종간의 교잡률이 높아 다양한 유전적 특성을 가진 새로운 종자를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방법은 인공적으로 교배를 유도하는 이주수분(異株受粉) 방법과 달리 자연적인 방식으로 교배가 일어나기 때문에 더욱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종자의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외적조건으로만 나열한 것은?

  1. 휴면, 산소
  2. 상대습도, 온도
  3. 온도, 종자의 발아력
  4. 산소, 종자의 발아력
(정답률: 92%)
  • 종자의 수명은 외부 환경 조건에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상대습도가 높으면 종자 내부의 수분이 증가하여 미생물의 번식과 종자 내부의 화학 반응이 촉진되어 종자의 수명이 단축됩니다. 또한, 온도가 높으면 화학 반응이 촉진되어 종자 내부의 수분이 증발하여 수분이 부족해지고, 미생물의 번식이 증가하여 종자의 수명이 단축됩니다. 따라서, 상대습도와 온도는 종자의 수명에 큰 영향을 미치는 외적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감자 바이러스를 ELISA법으로 검정했을 경우 다음중 ELISA법이 속하는 검정법은?

  1. 한천배치 검정
  2. 여과지배양 검정
  3. 생물학적 검정
  4. 혈청학적 검정
(정답률: 81%)
  • ELISA법은 항체와 항원의 상호작용을 이용하여 검체 내에 특정한 항원이 존재하는지를 검출하는 혈청학적 검정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혈청학적 검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지하발아는 발아할 때 지엽 또는 자엽처럼 양분을 저장하고 있는 기관이 지하에 남게 되는 것을 말하는 데 다음 중 지하발아하는 것은?

  1. 완두
  2. 오이
  3. 소나무
(정답률: 65%)
  • 완두는 발아할 때 지하에 양분을 저장하는 지하발아를 형성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배휴면을 하는 종자 중 층적저장하면 휴면이 타파되는 종자가 있는데 다음 중 일반적으로 층적저장시 필요한 전처리를 위한 가장 적당한 온도의 범위는?

  1. -3 ~ -2℃
  2. -1 ~ 0℃
  3. 3 ~ 10℃
  4. 14 ~ 24℃
(정답률: 78%)
  • 층적저장은 종자의 휴면을 깨우기 위해 필요한 전처리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때 적절한 온도 범위는 종자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3 ~ 10℃ 사이의 온도가 적합합니다. 이유는 이 온도 범위에서는 종자 내부의 활동이 저하되어 휴면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너무 낮은 온도로 인한 냉동 손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층적저장을 위한 전처리를 할 때는 이 온도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종자의 수확을 적기보다 빨리 하였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증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건조과정에서 종실이 쭈글쭈글해진다.
  2. 정선과정에서 미숙립의 손실이 많다.
  3. 저장과정에서 조기 퇴화원인이 된다.
  4. 종자내 수분함량이 부족해 탈곡시 상처를 입기 쉽다.
(정답률: 66%)
  • 종자 내 수분함량이 부족하면 탈곡시에 상처를 입기 쉽기 때문에, 수확을 너무 빨리 하면 종자가 충분히 성장하지 못하고 수분이 부족한 상태로 수확되어 이러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정한 시기에 수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작물육종(임의구분)

21. 다음 중 세포주기(cell cycl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세포주기는 G1기 - S기 - G2기 - M기의 순으로 반복된다.
  2. DNA복제는 유사분열이 시작되기 전에 일어나며 이 기간을 S기라 한다.
  3. 세포주기가 완성되는데 요구되는 시간은 모든 생물에서 동일하다.
  4. G1기간은 DNA합성 전 간격 기간이고, G2기간은 DNA 합성 후 간격 기간이다.
(정답률: 77%)
  • "세포주기가 완성되는데 요구되는 시간은 모든 생물에서 동일하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다양한 생물의 세포주기는 종류에 따라 다르며, 세포주기의 길이도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간의 세포주기는 약 24시간이지만, 세균의 경우 몇 분에서 몇 시간 안에 세포주기를 완료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염색체가 자극을 받아 절단된 단면(fragment)이 염색체에 다시 부착하지 못했을 때에 생기는 현상은?

  1. 절단(fragment)
  2. 결실(deficiency)
  3. 전좌(translocation)
  4. 중복(duplication)
(정답률: 73%)
  • 염색체의 일부가 절단되어 다시 부착되지 않으면 해당 부위의 염색체에 결실(deficiency)이 생기게 됩니다. 이는 해당 부위의 염색체에 있는 유전자들이 누락되어 발현되지 않거나, 부족하게 발현되어 질병이나 이상현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참외 1대잡종 종자 생산을 할 때 화분용 포기의 평균 혼식 비율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10~15%
  2. 30~40%
  3. 50~60%
  4. 70~80%
(정답률: 43%)
  • 참외는 자가수분성이 강하고 물이 많이 필요한 작물이므로, 화분용 포기에서는 토양과 비율적으로 적은 양의 토양으로도 충분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혼식 비율을 낮추는 것이 적절합니다. 따라서 10~15%가 가장 적절한 혼식 비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종자 갱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종자 갱신은 우량 품종의 퇴화를 막기 위하여 필요하다.
  2. 우리나라는 벼, 보리, 밀 등의 작물은 농가에서 관리하고 있다.
  3. 벼는 2년을 1기로하고, 콩은 6년을 1기로 하고 있다.
  4. 종자갱신에 쓰이는 기본식물은 각 농가에서 관리한다.
(정답률: 71%)
  • 종자 갱신은 우량 품종의 퇴화를 막기 위하여 필요하다. 이는 우수한 품종의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고, 새로운 유전적 특성을 발견하여 더욱 우수한 품종을 개발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육종시 선발의 규모를 결정하는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선발 형질의 수
  2. 작물의 번식방법
  3. 선발 대상형질에 관여하는 유전자수의 다소
  4. 사용할 수 있는 포장면적, 비용, 노력
(정답률: 41%)
  • 작물의 번식방법은 육종시 선발의 규모를 결정하는 요인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작물의 번식방법이 직접적으로 선발의 규모와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선발 형질의 수, 선발 대상형질에 관여하는 유전자수의 다소, 사용할 수 있는 포장면적, 비용, 노력은 모두 선발의 규모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양적형질과 관련 없는 것은?

  1. 폴리진
  2. 불연속변이
  3. 누적효과
  4. 연속변이
(정답률: 60%)
  • 불연속변이는 양적 형질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양적 형질은 양이나 크기 등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형질을 말하며, 연속변이와 누적효과는 양적 형질과 관련이 있습니다. 하지만 불연속변이는 갑자기 변화하는 형질로, 양적 형질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예를 들어, 새로운 돌연변이로 인해 쥐의 귀가 더 작아지는 것은 불연속변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속씨(피자)식물에서 일어나는 중복수정을 설명한 것은?

  1. 난핵+제1웅핵 → 씨눈(2n), 극핵+제2웅핵 → 배젖(3n)
  2. 난핵+극핵 → 씨눈(3n), 반족세포+웅핵 → 배젖(4n)
  3. 난핵+제1웅핵 → 씨눈(2n), 조세포+제2웅핵 → 배젖(3n)
  4. 난핵+극핵 → 씨눈(n), 반족세포+웅핵 → 배젖(2n)
(정답률: 76%)
  • "난핵+제1웅핵 → 씨눈(2n), 극핵+제2웅핵 → 배젖(3n)"은 속씨(피자)식물에서 일어나는 중복수정을 설명한 것입니다. 이유는 속씨식물에서는 난핵이 제1웅핵과 결합하여 씨눈(2n)을 형성하고, 극핵이 제2웅핵과 결합하여 배젖(3n)을 형성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품종이 반드시 갖추어야 할 조건이 아닌것은?

  1. 우수성
  2. 균일성
  3. 영속성
  4. 다양성
(정답률: 75%)
  • 다양성은 품종이 갖추어야 할 필수적인 조건은 아닙니다. 다양성은 품종의 다양성을 유지하고 보존하기 위한 노력으로, 품종의 선택과 집약화를 통해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다양성이 없더라도 우수성, 균일성, 영속성은 품종이 반드시 갖추어야 할 필수적인 조건입니다. 우수성은 품종이 원하는 목적에 부합하고 높은 생산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하며, 균일성은 품종 내에서 개체들이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영속성은 품종이 오랜 기간 동안 유지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동형 접합체를 나타내는 것은?

  1. AA
  2. Aa
  3. AB
  4. BC
(정답률: 85%)
  • 동형 접합체란 유전자가 같은 형태로 나타나는 현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AA"는 두 개의 유전자가 모두 같은 형태로 나타나므로 동형 접합체입니다. "Aa"는 두 개의 유전자가 서로 다른 형태로 나타나므로 이형 접합체입니다. "AB"와 "BC"는 서로 다른 유전자가 결합된 형태이므로 동형 접합체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유전력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잡종집단에서 나타나는 표현형의 전체 분산에 대한 유전자 효과에 의한 분산 정도를 말한다.
  2. 유전력은 0 ~ 100%의 값을 가진다.
  3. 유전력이 낮은 형질의 선발 효과는 작다.
  4. 자식성작물의 잡종집단에서는 후기세대에서 동형개체가 증가할수록 유전력이 낮아진다.
(정답률: 62%)
  • 자식성작물의 잡종집단에서는 후기세대에서 동형개체가 증가할수록 유전력이 낮아진다. - 이유: 잡종집단에서는 다양한 유전자가 섞여 있기 때문에 유전력이 높아지지만, 후대에서 동형개체가 증가하면서 유전적 다양성이 감소하고, 이로 인해 유전력이 낮아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작물 육종에 의한 재배식물의 변화로 가장 적당하지 않는 것은?

  1. 종자가 잘 떨어지게 되었다.
  2. 종자가 균일하게 발아하도록 되었다.
  3. 야생에서의 생존성이 감소되었다.
  4. 식물체 이용부위의 양이 증대되었다.
(정답률: 59%)
  • "종자가 잘 떨어지게 되었다."는 작물 육종에 의한 재배식물의 변화로 가장 적당하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종자가 잘 떨어지게 되면, 씨앗이 흩어져 번식이 용이해지지만, 이는 생존성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야생에서의 생존성이 감소되었다는 것이 적당한 선택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교배시 양친 식물들이 갖추어야 할 가장 중요한 조건은?

  1. 개화시기의 일치
  2. 줄기 길이( 長)의 일치
  3. 일장반응의 일치
  4. 이삭의 형태적 동일성
(정답률: 70%)
  • 교배시 양친 식물들이 갖추어야 할 가장 중요한 조건은 개화시기의 일치입니다. 이는 꽃이 개화하는 시기가 같아야 교배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만약 꽃이 개화하는 시기가 다르다면 교배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개화시기의 일치는 교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신품종 육성의 후기 과정을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생산력검정예비시험 → 농가실증시험 → 생산력검정본시험 → 지역적응시험 → 종자증식ㆍ보급
  2. 생산력검정예비시험 → 생산력검정본시험 → 농가실증시험 → 지역적응시험 → 종자증식ㆍ보급
  3. 생산력검정예비시험 → 지역적응시험 → 생산력검정본시험 → 농가실증시험 → 종자증식ㆍ보급
  4. 생산력검정예비시험 → 생산력검정본시험 → 지역적응시험 → 농가실증시험 → 종자증식ㆍ보급
(정답률: 56%)
  • 정답은 "생산력검정예비시험 → 생산력검정본시험 → 지역적응시험 → 농가실증시험 → 종자증식ㆍ보급" 입니다.

    - 생산력검정예비시험: 새로운 품종의 육성을 위해 유전자원을 선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육성된 후보 품종들 중에서 생산성이 높은 것을 선발하는 시험입니다.
    - 생산력검정본시험: 예비시험에서 선발된 후보 품종들을 대상으로 생산성을 검증하는 시험입니다.
    - 지역적응시험: 검증된 품종들을 지역별로 시험하여 지역별 생산성 차이를 파악하고, 지역별로 적합한 품종을 선발하는 시험입니다.
    - 농가실증시험: 지역적응시험에서 선발된 품종들을 농가에서 실제로 재배하여 생산성과 경제성을 검증하는 시험입니다.
    - 종자증식ㆍ보급: 농가실증시험에서 검증된 품종들을 대량 생산하여 농가에 보급하는 단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일반적인 육종기술의 3단계가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

  1. 변이의 탐구와 창성 → 변이의 선택과 고정 → 신종의 증식과 보급
  2. 신종의 증식과 보급 → 변이의 탐구와 창성 → 변이의 선택과 고정
  3. 신종의 증식과 보급 → 변이의 선택과 고정 → 변이의 탐구와 창성
  4. 변이의 선택과 고정 → 변이의 탐구와 창성 → 신종의 증식과 보급
(정답률: 73%)
  • "변이의 탐구와 창성 → 변이의 선택과 고정 → 신종의 증식과 보급"이 올바른 답입니다. 이는 일반적인 육종기술의 과정을 나타내며, 먼저 변이를 찾고 창출하는 단계에서 시작하여, 그 중에서 유용한 변이를 선택하고 고정시키는 단계를 거쳐, 마지막으로 새로운 종을 증식하고 보급하는 단계로 이어집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원하는 특성을 가진 새로운 종을 만들어내는 것이 일반적인 육종기술의 목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자가수정을 촉진하는 식물학적 특성에 해당되는 것은?

  1. 이형예
  2. 자웅이숙
  3. 장벽수정
  4. 폐화수정
(정답률: 59%)
  • 정답: 폐화수정

    폐화수정은 꽃이 진후에 꽃받침과 꽃차례가 변형되어 꽃받침이 꽃잎처럼 보이게 되는 현상입니다. 이는 꽃이 진후에 씨앗을 만들기 위해 꽃받침이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폐화수정은 꽃이 진후에도 아름다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씨앗 생산에도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자가수정을 촉진하는 식물학적 특성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품종의 조만성과 관련 없는 것은?

  1. 기본영양생장성
  2. 감광성
  3. 감온성
  4. 내냉성
(정답률: 62%)
  • 내냉성은 품종의 조만성과 관련이 없는 것입니다. 기본영양생장성은 작물이 필요로 하는 영양소를 흡수하여 성장하는 능력을 말하며, 감광성은 빛에 대한 반응성을 말합니다. 감온성은 온도에 대한 반응성을 말하며, 내냉성은 온도가 낮을수록 작물의 성장이 좋아지는 성질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자가불화합성의 일시적 타파방법으로 꽃봉오리 때 수분해 주는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뇌수분
  2. 노화수분
  3. 개화수분
  4. 말기수분
(정답률: 87%)
  • 꽃봉오리 때 수분을 공급하는 것을 뇌수분이라고 합니다. 이는 꽃봉오리가 자가불화합성을 하면서 생기는 수분 부족을 일시적으로 해소하기 위해 수분을 공급하는 것입니다. 뇌수분은 꽃봉오리가 개화하기 전에 수분을 공급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벼의 유전자원 평가에서 1차적 특성 중 필수조사 특성이 아닌 것은?

  1. 출수기
  2. 수량
  3. 이삭수
  4. 현미의 모양
(정답률: 43%)
  • 수량은 벼의 유전자원 평가에서 필수적으로 조사해야 할 특성 중 하나가 아닙니다. 이는 벼의 생산성과는 관련이 있지만, 다른 특성들과는 별개로 평가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출수기, 이삭수, 현미의 모양과 같은 특성들은 벼의 유전자원 평가에서 필수적으로 조사해야 할 1차적 특성들이며, 수량은 보조적인 특성으로 평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유전상관(遺傳相關)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다면발현
  2. 연관
  3. 생리적 필연성
  4. 재배조건
(정답률: 68%)
  • 유전상관은 유전적인 요인들 간의 상호작용을 의미하며, 다면발현, 연관, 생리적 필연성은 모두 유전상관과 관련이 있습니다. 하지만 재배조건은 유전적인 요인과는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없으며, 작물의 성장과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인 요인들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재배조건은 유전상관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Mendel의 유전법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 유전자는 배우자를 통하여 양친에서 자손으로 전달된다.
  2. 유전자는 계속해서 변화하며 또한 다른 유전자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3. 개체가 배우자를 만들 때 한 쌍의 유전자는 서로 독립적으로 분리된다.
  4. 개체는 한 가지 유전형질에 대하여 한 쌍의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
(정답률: 56%)
  • "유전자는 계속해서 변화하며 또한 다른 유전자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유전자는 변이(mutations)라는 과정을 통해 변화할 수 있지만, 이는 매우 드물고 대부분의 경우는 안정적으로 유지됩니다. 또한, 유전자는 다른 유전자와 상호작용하면서 표현형을 결정하게 되지만, 이는 유전자의 변화와는 별개의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작물(임의구분)

41. 다음 중 메밀의 재배적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서늘한 기후 지역보다 따뜻한 평야 지대가 재배에 적합하다.
  2. 오랜 예전부터 우리의 주곡으로 이용되어 왔다.
  3. 가뭄에 강하고 생육기간이 짧아서 구황작물로 가치가 있다.
  4. 흡비력이 강하므로 많은 화학비료를 써서 재배한다.
(정답률: 71%)
  • 가뭄에 강하고 생육기간이 짧아서 구황작물로 가치가 있다. - 메밀은 가뭄에 강하고, 생육기간이 짧아서 빠르게 수확할 수 있어 구황작물로 많이 이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우리나라에서 재배하는 과수 중 인위적으로 도입되지 않고 예부터 자생하여 온 자생 과수로만 나열된 것은?

  1. 사과, 동양배, 복숭아, 포도
  2. 동양배, 밤, 자두, 무화과
  3. 매실, 감, 사과, 복숭아
  4. 대추, 밤, 감, 동양배
(정답률: 77%)
  • 정답인 대추, 밤, 감, 동양배는 모두 우리나라에서 예부터 자생하여 온 과수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중국이나 서양에서 유래한 과수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고대문명 발생지역과 재배식물 기원지와의 관계에서 벼 재배의 기원지는?

  1. 그리스ㆍ이집트 문명지역
  2. 메소포타미아 문명지역
  3. 인도 문명지역
  4. 잉카 문명지역
(정답률: 76%)
  • 인도는 벼의 원산지이며, 인도에서는 고대 시대부터 벼를 재배하였습니다. 따라서 인도 문명지역은 벼 재배의 기원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재배를 위한 작물의 선택시 고려해야 할 주요 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수익성
  2. 품질과 수량성
  3. 이병성
  4. 생력화
(정답률: 73%)
  • 정답은 "이병성"입니다. 이유는 "수익성", "품질과 수량성", "생력화"는 모두 작물의 생산성과 관련된 요소이지만, "이병성"은 작물의 선택과는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인물의 이름입니다. 따라서 "이병성"은 주요 요소와 거리가 가장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4 ~ 6km/h 이하의 바람이 작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증산작용이 억제된다.
  2. 광합성이 저해된다.
  3. 풍매화의 가루받이와 결실작용을 좋게 한다.
  4. 식물 생육과는 관련이 없다.
(정답률: 89%)
  • 4 ~ 6km/h 이하의 바람은 풍매화의 가루받이와 결실작용을 좋게 합니다. 이는 바람이 약하면 꽃가루가 덜 흩어지고, 결실작용도 원활해지기 때문입니다. 증산작용이 억제되고 광합성이 저해되는 것은 바람이 강할 때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풍매화의 가루받이와 결실작용을 좋게 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추위와 가뭄에 가장 강한 맥류는?

  1. 호밀
  2. 보리
  3. 귀리
(정답률: 63%)
  • 호밀은 추위와 가뭄에 모두 강한 맥류입니다. 이는 호밀이 겨울철에도 재배가 가능하며, 건조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기 때문입니다. 또한 호밀은 보리나 귀리에 비해 당분 함량이 높아서 맛이 좋고, 비교적 부드러운 식감을 가지고 있어서 다양한 요리에 사용하기에도 용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생력재배를 위한 개선 사항으로 옳은 것은?

  1. 농기계의 활용도를 낮춘다.
  2. 수확물을 개별 판매 처리한다.
  3. 생산, 저장시설 등을 자동화한다.
  4. 농기계 등을 개별 구입하여 이용한다.
(정답률: 76%)
  • 생산, 저장시설 등을 자동화한다는 것은 인력을 대체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일관성과 정확성을 보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자동화된 시설은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작업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생력재배를 위한 개선 사항으로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벼의 줄기 속을 갉아먹는 해충은?

  1. 벼멸구
  2. 이화명나방
  3. 혹명나방
  4. 벼물바구미
(정답률: 73%)
  • 벼의 줄기 속을 갉아먹는 해충은 이화명나방입니다. 이는 이화명나방의 애교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이화명나방이 벼의 줄기에 알을 낳고 그 알에서 부화한 애벌레가 줄기를 먹어서 발생하는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벼를 해충으로 공격하지만, 벼의 줄기를 갉아먹는 것은 이화명나방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파종 시기가 가장 빠른 것은?

  1. 완두
  2. 동부
  3. 강낭콩
(정답률: 71%)
  • 완두는 봄과 가을 모두 파종이 가능하지만, 다른 보기들은 대부분 봄에만 파종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완두가 파종 시기가 가장 빠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벼를 재배할 때 중간 낙수의 주요 효과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무효분얼을 억제시켜 준다.
  2. 뿌리의 활력을 촉진시켜 준다.
  3. 잡초의 발생을 억제시켜 준다.
  4. 양분의 흡수가 촉진된다.
(정답률: 61%)
  • 잡초의 발생을 억제시켜 준다는 것은 중간 낙수가 벼의 주변을 적당한 습도로 유지해주어 잡초가 자라지 못하게 하기 때문입니다. 벼와 같은 작물은 잡초와 경쟁하여 생장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중간 낙수는 작물의 생육을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발아에 미치는 온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종자의 발아에 적당한 온도의 범위는 일반적으로 10 ~ 20℃이다.
  2. 벼의 발아 최저 온도는 5℃ 정도이다.
  3. 가을에 파종하는 맥류 종자들의 발아 최저 온도는 2℃정도이다.
  4. 호박, 오이, 멜론 등의 여름작물의 발아 최저 온도는 10℃ 정도이다.
(정답률: 52%)
  • 종자의 발아에 적당한 온도의 범위는 일반적으로 10 ~ 20℃이다. 따라서, 발아에 적합한 온도 범위를 고려할 때, 가을에 파종하는 맥류 종자들의 발아 최저 온도는 2℃정도이다. 이는 일반적인 발아에 적합한 온도 범위보다 낮은 온도이지만, 맥류 종자들은 추운 환경에서도 발아가 가능하도록 적응되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산성 토양에 매우 약하여 석회 시용으로 산도를 교정하고 파종해야하는 작물로만 나열된 것은?

  1. 콩, 시금치
  2. 벼, 호밀
  3. 밀, 옥수수
  4. 감자, 호박
(정답률: 72%)
  • 콩과 시금치는 산성 토양에서 잘 자라지 않으며, 석회 시용으로 산도를 교정해야 합니다. 반면에 벼, 호밀, 밀, 옥수수, 감자, 호박은 산성 토양에서도 잘 자라는 작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종자 저장시 건조제로 쓰이는 것은?

  1. 염화칼슘
  2. NAA
  3. 지베렐린
  4. MH-30제
(정답률: 79%)
  • 염화칼슘은 습기를 제거하여 종자의 수분 함량을 낮추는 건조제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토양 경운작업의 효과로 볼 수 없는 것은?

  1. 물 빠짐과 공기 유통을 원활하게 한다.
  2. 토양미생물의 활동을 왕성하게 한다.
  3. 잡초의 발생을 많게 한다.
  4. 토양을 부드럽게 한다.
(정답률: 91%)
  • 잡초는 토양이 부드러워지고 공기와 물이 움직이기 쉬운 상태일 때 더욱 발생하기 때문에, 토양 경운작업은 잡초의 발생을 많게 한다고 볼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벼의 감수분열기에 저온의 피해를 입으면 어떠한 현상이 일어나는가?

  1. 분얼 수가 적어진다.
  2. 꽃피는 시기가 빨라진다.
  3. 수확시기가 늦어진다.
  4. 쭉정이가 발생한다.
(정답률: 61%)
  • 벼의 감수분열기에 저온의 피해를 입으면 분얼 수가 감소하게 되어 쭉정이가 발생합니다. 쭉정이는 벼의 생장을 방해하며 수확시기가 늦어지고 수량도 감소시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오이재배에서 하우스 내에 묘를 정식한 후 초기에는 터널을 설치하여 가온ㆍ보온 관리하고, 후기에는 무가온 또는 피복을 제거한 자연 상태로 재배하여 4월 중순부터 수확하는 재배법은?

  1. 촉성재배
  2. 반촉성재배
  3. 조숙재배
  4. 억제재배
(정답률: 65%)
  • 오이재배에서 하우스 내에 묘를 정식한 후 초기에는 터널을 설치하여 가온ㆍ보온 관리하고, 후기에는 무가온 또는 피복을 제거한 자연 상태로 재배하여 4월 중순부터 수확하는 재배법은 "반촉성재배"입니다. 이는 초기에는 촉성재배를 하여 빠른 성장을 유도하고, 후기에는 반대로 무가온 또는 피복을 제거하여 자연 상태로 재배하여 오이의 품질을 높이기 위한 재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벼를 싹틔울 때 가장 알맞은 싹의 크기는?

  1. 2mm
  2. 5mm
  3. 2cm
  4. 5cm
(정답률: 68%)
  • 벼를 싹틔울 때 가장 알맞은 싹의 크기는 "2mm"입니다. 이는 벼의 싹이 자라는 속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벼의 싹은 빠르게 자라기 때문에 너무 큰 싹을 심으면 뿌리가 충분히 발달하지 못하고 죽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2mm 정도의 작은 크기로 심어주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과실의 수확 후 예냉을 실시하는 가장 큰 목적은?

  1. 과실의 온도를 높이기 위하여
  2. 저장, 수송 중 부패를 방지하기 위하여
  3. 후숙을 유도하기 위하여
  4. 수확물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정답률: 84%)
  • 과일은 수확 후에도 호흡작용이 지속되어 온도가 높아지고, 이로 인해 부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예냉을 통해 과일의 온도를 낮추어 저장, 수송 중 부패를 방지하는 것이 가장 큰 목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1대잡종(F1) 채종시 자가불화합성을 이용하는 대표적인 작물로만 나열된 것은?

  1. 무, 배추
  2. 고추, 토마토
  3. 오이, 참외
  4. 상추, 시금치
(정답률: 75%)
  • 무와 배추는 모두 식물의 뿌리나 줄기에 담긴 영양분을 이용하여 자가불화합성을 수행하는 작물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잎이나 열매 등 다른 부위에서 자가불화합성을 수행하는 작물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병해충의 방제 방법에 있어 화학적 방제에 속하는 것은?

  1. 농약 살포
  2. 돌려짓기
  3. 파종기 조절
  4. 밭 토양이 일시 담수
(정답률: 92%)
  • 화학적 방제는 농약을 사용하여 병해충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농약 살포"가 화학적 방제에 속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