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종자(임의구분)
1. 안전저장을 위한 종자의 최대수분함량이 가장 적은 것은?
2. 종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 공기 조건이 종자 발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 작물의 수확 및 탈곡시 기계적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작물별 종자의 수분함량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5. 종피 파상에 의한 휴면타파 방법이 아닌 것은?
6. 휴면 중인 배(胚)에 저온처리를 하여 휴면이 타파될 때 수반되는 생리적 변화로 틀린 것은?
7. 수정과 결질에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8. 종자를 정선한 후 실시하는 종자처리(種子處理)의 목적에 관한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것은?
9. 다음 중 발아율이 가장 낮은 것은?
10. 종자를 소독하는 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1. 종자 휴면을 타파하는데 가장 많이 이용되는 생장조절 물질은?
12. 종자가 발아할 때의 수분흡수를 3단계로 나눌 때, 뿌리의 신장이 관찰되며, 수분과 양분을 흡수하는 기능을 가지게 되는 단계는 어느 단계인가?
13. 단명종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4. 단자엽 식물에 속하는 것은?
15. 종자병 검정에 있어 항 혈청학적 검정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6. 기주식물과 종자 전염병의 연결로 틀린 것은?
17. 종자의 저장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8. 경실종자의 발아촉진을 위한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9. 종자의 퇴화 증상이 아닌 것은?
20. 무씨 400립으로 발아시험을 실시하였더니 정상묘 360개, 비정상묘 16개, 불발아 종자 24개였다. 이때의 발아율은 얼마인가? (단, 표준발아검사에 준하여 실시한다.)
2과목: 작물육종(임의구분)
21. 작물의 1대 잡종( F1)에서 수확한 종자( F2)를 재배하여 수확한 종자의 특성이 아닌것은?
22. 자가불화합성의 기구(機構)에 속하지 않는 것은?
23. 자식성 식물의 화기구조 특성으로 틀린 것은?
24. 신품종의 품종보호 등록에 필요한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25. 채소의 1대 잡종 채종시 보통 인공교배에 의하지 않는 것은?
26. 질적형질과 양적형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7. BC3F1을 자식하여 BC3F2를 얻었다. 교배회수로 볼 때 BC3F2는 자식 몇 세대에 해당되는가?
28. 동질배수체 육종을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29. 피자식물의 배유 세포의 핵은 몇 배체인가?
30. 육종의 대상 형질을 세분화 할 때 질적 특성에 해당하는 것은?
31. 두 품종을 교잡하여 그 후대에 좋은 형질을 가진 개체를 분리 선발하여 고정 시키는 육종 방법은?
32. 변이의 크기는 육종에 매우 중요하다. 변이를 크게 하는 방법으로 가장 많이 이용된 것은?
33. 형질의 변이와 선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4. 농작물 품종의 변천 요인과 관계가 가장 적은 것은?
35. 작물육종의 전망으로 틀린 것은?
36. 장려품종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37. 순계분리법을 적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작물은?
38. 채소 채종포로 적당하지 않은 곳은?
39. 한 개의 생식핵으로부터 몇 개의 웅핵이 생성되는가?
40. 개화기 조절방법이 아닌 것은?
3과목: 작물(임의구분)
41. 잡초의 방제방법이 잘못 연결된 것은?
42. 일반적으로 생산물의 용도에 따라 공예작물을 분류할 때 약료작물에 해당되는 것은?
43. 생력재배의 효과와 거리가 먼 것은?
44. 산성 토양에서 나타나는 무기성분의 반응으로 옳은 것은?
45. 우리 나라에서 벼농사를 짓기에 알맞은 이유가 아닌 것은?
46. 큐어링 처리가 가장 효과적인 작물은?
47. 1m2당 이삭수가 300개, 1이삭당 평균 영화수가 100개, 등숙률 80%, 1,000알의 무게가 20g일 경우 1m2당 벼의 수량은?
48. 관행적인 방법으로 콩 재배를 하던 농업인이 노동력이 많이 들어 경운줄뿌림 재배법으로 재배방법을 전환하였다. 그 이유는 어느 작업단계에서 노력을 절감하기 위한 것인가?
49. 생력기계화 재배의 전제 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50. 농약살포시 일반적인 주의사항으로 가장 부적당한 것은?
51. 산성토양에서도 잘 생육하는 화훼류는?
52. 밀의 용도와 품질적 특성에서 고급 빵이나 마카로니를 만드는데 가장 적합한 밀가루는?
53. 벼를 담수 직파 재배할 때 가급적 중생종이나 중ㆍ만생종을 선택하는데 이와 가장 관계 깊은 벼의 특성은?
54. 아직 덜 익은 과실을 수확하여 일정 기간 놓아두면 익는데, 이러한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55. 산간 지방에서 벼를 재배할 때 가장 피해 받기 쉬운 기상 재해는?
56. 작물 종자의 발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57. 벼의 생육 최저 온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58. 고온성 채소는 어느 것인가?
59.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 재배방식은?
60. 우리나라의 연간 일조시간 범위로 가장 적당한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