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자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7-20)

종자기능사
(2014-07-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종자(임의구분)

1. 안전저장을 위한 종자의 최대수분함량이 가장 적은 것은?

  1. 고추
  2. 옥수수
  3. 시금치
(정답률: 67%)
  • 고추는 수분함량이 적어서 장기간 보관해도 부패가 적고,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종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배주가 발달하여 종자가 된다.
  2. 벼, 보리, 옥수수 등은 무배젖 종자이다.
  3. 저장물질에 의해서 구분할 때 깨, 아주까리 등은 지방종자이다.
  4. 증식용ㆍ재배용 또는 양식용으로 쓰이는 씨앗ㆍ버섯ㆍ종균ㆍ영양체 또는 포자를 말한다.
(정답률: 76%)
  • "배주가 발달하여 종자가 된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종자는 배주가 발달한 식물의 생식세포에서 생산되며, 배주가 발달하는 것은 종자의 성장과정에서 일어나는 일입니다. 따라서, 종자는 배주가 발달한 후에 생산되는 것이 아니라, 배주가 발달한 생식세포에서 생산되는 것입니다.

    벼, 보리, 옥수수 등은 무배젖 종자입니다. 이는 종자 내부에 배주가 없고, 대신에 배주 대신에 전분이 축적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깨, 아주까리 등은 지방종자입니다. 이는 종자 내부에 지방이 축적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증식용ㆍ재배용 또는 양식용으로 쓰이는 씨앗ㆍ버섯ㆍ종균ㆍ영양체 또는 포자를 말한다는 것은 종자의 정의와 일치하지 않습니다. 종자는 식물의 생식세포에서 생산되는 것으로, 버섯, 종균, 영양체 등은 식물이 아닌 다른 생물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공기 조건이 종자 발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발아 중에는 종자의 호흡이 크게 증가한다.
  2. 대부분 식물의 종자는 발아에 있어서 산소는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3. 대부분 식물의 종자에서 질소가스는 종자 발아에 영향을 미친다.
  4. 대부분 식물의 종자에서 0.3% 이상의 이산화탄소는 발아에 유해하다.
(정답률: 58%)
  • "대부분 식물의 종자에서 질소가스는 종자 발아에 영향을 미친다."이 틀린 것입니다. 종자 발아에는 산소가 필요하지만, 대부분의 식물 종자에서는 질소가스가 발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작물의 수확 및 탈곡시 기계적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작물별 종자의 수분함량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옥수수 : 20~25%
  2. 벼 : 17~23%
  3. 콩 : 14%
  4. 밀 : 25~30%
(정답률: 59%)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종피 파상에 의한 휴면타파 방법이 아닌 것은?

  1. 기계적 파상
  2. 적색광 처리
  3. 화학물질의 처리
  4. 셀룰라제, 펙티나제 등의 효소처리
(정답률: 63%)
  • 적색광 처리는 종피 파상에 대한 휴면타파 방법이 아닙니다. 적색광 처리는 광학적인 방법으로, 적색광을 사용하여 종자의 발아를 촉진시키는 방법입니다. 이는 종자의 발아를 촉진시키는 방법이지만, 종피 파상에 대한 처리는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휴면 중인 배(胚)에 저온처리를 하여 휴면이 타파될 때 수반되는 생리적 변화로 틀린 것은?

  1. 삼투압이 증가한다.
  2. 효소의 활력이 떨어진다.
  3. 불용성 물질이 분해되어 가용성 물질로 변화된다.
  4. 아미노산ㆍ당류 등과 같은 간단한 유기물질이 집적된다.
(정답률: 68%)
  • 휴면 중인 배에 저온처리를 하면 삼투압이 증가하고, 불용성 물질이 분해되어 가용성 물질로 변화하며, 아미노산ㆍ당류 등과 같은 간단한 유기물질이 집적됩니다. 하지만 효소의 활력은 떨어지게 됩니다. 이는 저온처리로 인해 효소 분자의 운동 에너지가 감소하고, 활성 부위의 구조가 변형되어 활성도가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수정과 결질에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성숙한 화분이 암술머리에 붙는 현상을 수분이라고 하며, 웅핵과 난핵 그리고 웅핵과 극핵이 융합되는 현상을 수정이라고 한다.
  2. 피자식물에서는 2개의 웅핵중 1개가 난핵과 합쳐서 2n상태의 배유를 만들고, 다른 1개의 웅핵이 극핵과 합쳐서 3n상태의 배를 만든다.
  3. 2개의 웅핵이 한 배낭에 들어가 각각 난핵 및 극핵과 융합하는 현상을 중복수정이라고 한다.
  4. 배와 배유는 다음세대에 속하지만 종피나 과피는 모체의 일부이기 때문에 이들의 유선조성은 서로 다르다.
(정답률: 62%)
  • "피자식물에서는 2개의 웅핵중 1개가 난핵과 합쳐서 2n상태의 배유를 만들고, 다른 1개의 웅핵이 극핵과 합쳐서 3n상태의 배를 만든다."가 틀린 것이 아닙니다. 이 설명은 맞습니다.

    피자식물은 배양과정에서 수정과 결질이 일어나는 대표적인 식물 중 하나입니다. 수정은 웅핵과 난핵, 웅핵과 극핵이 융합하여 새로운 배를 만드는 과정을 말하며, 결질은 같은 배를 가진 유전자가 모여서 특정한 성질을 나타내는 것을 말합니다.

    피자식물에서는 2개의 웅핵 중 1개가 난핵과 합쳐서 2n상태의 배유를 만들고, 다른 1개의 웅핵이 극핵과 합쳐서 3n상태의 배를 만듭니다. 이는 중복수정이라고도 불리며, 이 과정을 통해 피자식물은 다양한 유전적 다양성을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종자를 정선한 후 실시하는 종자처리(種子處理)의 목적에 관한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것은?

  1. 종자전염병균이나 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종자소독
  2. 토양 또는 공기를 통하여 전염하는 병균이나 해충으로부터 유식물을 보호하기 위한 처리
  3. 적정한 온도처리를 통해 저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처리
  4. 종자의 발아속도 및 균일성 향상을 위한 특수 처리
(정답률: 49%)
  • 종자처리의 목적은 종자전염병균이나 해충을 방제하고, 유식물을 보호하며, 발아속도 및 균일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그 중에서도 "적정한 온도처리를 통해 저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처리"는 다른 목적과는 거리가 먼 것이다. 이 처리는 종자를 오랫동안 보관할 때 종자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적용되며, 종자의 내부 수분을 조절하여 저장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부패를 예방하고, 종자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발아율이 가장 낮은 것은?

  1. 당근
  2. 호박
  3. 배추
  4. 양배추
(정답률: 63%)
  • 당근은 발아율이 낮은 편이며, 다른 채소들에 비해 더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 이는 당근의 씨앗이 작고, 견고한 씨껍질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당근을 심을 때는 충분한 시간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종자를 소독하는 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약제소독 처리
  2. 자외선 처리
  3. 생물학적 처리
  4. 태양열 소독
(정답률: 60%)
  • 태양열 소독은 일정한 온도와 시간을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신뢰성이 낮고 효과가 미미합니다. 따라서 종자를 소독하는 방법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종자 휴면을 타파하는데 가장 많이 이용되는 생장조절 물질은?

  1. 요소
  2. 암모니아
  3. 다찌가렌
  4. 지벨렐린
(정답률: 88%)
  • 종자는 휴면 상태에서 발아하지 않기 때문에, 생장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휴면을 타파해야 합니다. 이때 가장 많이 이용되는 생장조절 물질은 지벨렐린입니다. 지벨렐린은 식물의 생장을 촉진시키는 호르몬으로, 씨앗의 발아를 촉진시키고, 줄기의 세포분열을 촉진시켜 생장을 촉진시킵니다. 따라서, 지벨렐린은 종자의 휴면을 타파하는데 가장 많이 이용되는 생장조절 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종자가 발아할 때의 수분흡수를 3단계로 나눌 때, 뿌리의 신장이 관찰되며, 수분과 양분을 흡수하는 기능을 가지게 되는 단계는 어느 단계인가?

  1. 1단계
  2. 2단계
  3. 3단계
  4. 1~2단계
(정답률: 62%)
  • 3단계에서 종자는 뿌리를 발달시켜 수분과 양분을 흡수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게 됩니다. 1단계에서는 종자가 흙 속에 묻혀 있을 뿐 아무런 활동이 없습니다. 2단계에서는 뿌리가 발달하지만 아직 수분과 양분을 흡수할 수 있는 기능은 갖추지 못합니다. 따라서 3단계에서 뿌리가 발달하고 수분과 양분을 흡수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게 되므로 정답은 3단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단명종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토마토
  2. 당근
(정답률: 66%)
  • 토마토는 다수의 씨앗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단명종자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단자엽 식물에 속하는 것은?

  1. 오이
  2. 보리
  3. 단풍나무
(정답률: 57%)
  • 단자엽 식물은 하나의 씨앗에서 하나의 잎을 가지는 식물을 말합니다. 즉, 보리는 씨앗에서 하나의 잎을 가지므로 단자엽 식물에 속합니다. 콩과 오이는 씨앗에서 두 개의 잎을 가지므로 이파엽 식물에 속하며, 단풍나무는 씨앗에서 여러 개의 잎을 가지므로 다파엽 식물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종자병 검정에 있어 항 혈청학적 검정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한천배지검정법
  2. 면역이중확산법
  3. 형광항체법
  4. 효소결합항체(ELISA)법
(정답률: 61%)
  • 한천배지검정법은 항 혈청학적 검정방법이 아니라,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병원체를 검출하는 미생물학적 검사 방법입니다. 따라서 종자병 검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기주식물과 종자 전염병의 연결로 틀린 것은?

  1. 보리 - 깜부기병
  2. 오이 - 오이모자이크병
  3. 벼 - 키다리병
  4. 토마토 - 배꼽썩음병
(정답률: 58%)
  • 토마토 - 배꼽썩음병은 기주식물과 종자 전염병이 아닌, 저장 및 운반 중 발생하는 질병이기 때문에 틀린 것입니다. 이 질병은 토마토의 수확 후 저장 및 운반 과정에서 상처가 생기면서 발생하며, 곰팡이와 세균 등이 번식하여 토마토가 부패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종자의 저장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곡류는 저온ㆍ건조할수록 저장에 유리하다.
  2. 식용감자는 3~4℃ 및 85~90%의 습도에 저장하는 것이 유리하다.
  3. 고구마는 2~5℃ 및 80~95%의 습도에 저장하는 것이 유리하다.
  4. 엽ㆍ근채류는 0~4℃ 및 90~95%의 습도가 저장에 유리하다.
(정답률: 73%)
  • "엽ㆍ근채류는 0~4℃ 및 90~95%의 습도가 저장에 유리하다."가 틀린 것입니다.

    고구마는 2~5℃ 및 80~95%의 습도에 저장하는 것이 유리한 이유는 고구마가 저온 다습한 환경에서 저장될 때 가장 신선하게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고구마의 수분이 유지되며, 또한 고구마의 품질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미세한 환경 조건을 제공합니다.

    식용감자도 3~4℃ 및 85~90%의 습도에 저장하는 것이 유리한 이유는 식용감자가 이러한 환경에서 가장 오래 신선하게 유지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곡류는 저온ㆍ건조한 환경에서 저장하는 것이 유리한 이유는 곡류가 이러한 환경에서 가장 오래 신선하게 유지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엽ㆍ근채류는 0~4℃ 및 90~95%의 습도가 저장에 유리하다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엽ㆍ근채류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각의 종류마다 적절한 저장 방법이 다릅니다. 예를 들어, 상추는 0~1℃ 및 95%의 습도가 저장에 유리하고, 미나리는 0~1℃ 및 90%의 습도가 저장에 유리합니다. 따라서 엽ㆍ근채류를 저장할 때는 해당 작물의 특성에 맞는 적절한 저장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경실종자의 발아촉진을 위한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모래에 저장한다.
  2. 종피에 상처를 준다.
  3.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밀봉한다.
  4. 일정기간 습기와의 접촉을 방지한다.
(정답률: 77%)
  • 종자가 발아하기 위해서는 종자 내부의 수분이 외부로 나오고, 공기와 접촉하여 호기성을 가지게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종피에 상처를 줌으로써 수분이 외부로 나오고, 공기와 접촉하여 발아를 촉진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종자의 퇴화 증상이 아닌 것은?

  1. 효소활성의 저하
  2. 호흡의 상승
  3. 종자 침출액의 증가
  4. 유리지방산의 증가
(정답률: 70%)
  • 종자의 퇴화 증상은 대개 효소활성의 저하, 종자 침출액의 증가, 유리지방산의 증가와 같은 것들을 포함합니다. 그러나 호흡의 상승은 종자의 퇴화 증상이 아닙니다. 오히려 호흡의 상승은 종자가 활발하게 성장하고 발아하기 위해 필요한 것입니다. 호흡은 산소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성하는 과정으로, 종자가 활발하게 호흡을 하면 더 많은 에너지를 생성하여 성장과 발아에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호흡의 상승은 종자의 건강한 발아와 성장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무씨 400립으로 발아시험을 실시하였더니 정상묘 360개, 비정상묘 16개, 불발아 종자 24개였다. 이때의 발아율은 얼마인가? (단, 표준발아검사에 준하여 실시한다.)

  1. 67%
  2. 90%
  3. 94%
  4. 96%
(정답률: 70%)
  • 발아율 = (정상묘 수 / 시험한 총 종자 수) × 100

    시험한 총 종자 수 = 정상묘 수 + 비정상묘 수 + 불발아 종자 수 = 360 + 16 + 24 = 400

    발아율 = (360 / 400) × 100 = 90%

    따라서, 정답은 "9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작물육종(임의구분)

21. 작물의 1대 잡종( F1)에서 수확한 종자( F2)를 재배하여 수확한 종자의 특성이 아닌것은?

  1. 유전적으로 순수하다.
  2. 품질이 떨어진다.
  3. 균일성이 떨어진다.
  4. 변이가 심하게 일어난다.
(정답률: 69%)
  • 정답: 품질이 떨어진다.

    설명: 1대 잡종에서는 서로 다른 두 부모의 유전자가 섞여있기 때문에 F1의 특성은 균일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F2에서는 유전자가 더욱 섞이기 때문에 F1보다는 더욱 다양한 특성을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F2에서도 어떤 특정한 특성이 나타날 확률은 F1보다는 낮아지며, 이는 F2에서는 유전적으로 순수한 개체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자가불화합성의 기구(機構)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개화 전의 꽃망울 또는 개화 후 3~4일 지난 늙은 꽃의 임성을 방해하는 경우
  2. 꽃가루의 발아는 정상적이지만 꽃가루관의 신장이 저해되는 경우
  3. 꽃가루의 발아에서 수정까지는 되지만 그 후에 발육이 저해되는 경우
  4. 암술머리 위에서 꽃가루의 발아가 저해되는 경우
(정답률: 54%)
  • 개화 전의 꽃망울 또는 개화 후 3~4일 지난 늙은 꽃의 임성을 방해하는 경우는 자가불화합성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자가불화합성은 꽃의 생식기관에서 일어나는 과정으로, 꽃가루의 발아, 꽃가루관의 성장, 꽃받침의 발육 등이 포함됩니다. 따라서, 자가불화합성의 기구에 속하지 않는 것은 "개화 전의 꽃망울 또는 개화 후 3~4일 지난 늙은 꽃의 임성을 방해하는 경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자식성 식물의 화기구조 특성으로 틀린 것은?

  1. 암술과 수술이 한 개체에 있으나 다른 부위에 위치한다.
  2. 화기가 잘 열리지 않는다.
  3. 꽃이 피기 직전 또는 직후에 화분립이 비산한다.
  4. 암술머리나 꽃밥이 꽃잎에 의하여 감추어져 있다.
(정답률: 53%)
  • 암술과 수술은 한 개체에 있지만 서로 다른 부위에 위치하는 것은 자식성 식물의 일반적인 특성입니다. 이는 자식성 식물이 자가수분수송이 가능하며, 화분립을 촉진하기 위해 자가수분을 이용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암술과 수술이 서로 다른 부위에 위치하는 것은 자식성 식물의 정상적인 생리적 특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신품종의 품종보호 등록에 필요한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1. 구별성
  2. 균일성
  3. 안정성
  4. 유용성
(정답률: 69%)
  • 유용성은 품종보호 등록에 필요한 구비조건이 아닙니다. 구별성, 균일성, 안정성은 품종을 식별하고 구별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유용성은 해당 품종이 시장에서 수요가 있고 경제적 가치가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채소의 1대 잡종 채종시 보통 인공교배에 의하지 않는 것은?

  1. 수박
  2. 양파
  3. 오이
  4. 가지
(정답률: 65%)
  • 양파는 씨앗으로 번식하는 채소이기 때문에 인공교배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다른 채소들은 꽃을 통해 교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인공교배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질적형질과 양적형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양적형질은 환경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
  2. 질적형질은 적은 수(數)의 유전자가 관여하므로 유전현상이 비교적 단순하다.
  3. 질적형질은 연속변이를 나타낸다.
  4. 양적형질의 대표적인 예로서 꽃색을 들 수 있다.
(정답률: 57%)
  • 질적형질은 적은 수의 유전자가 관여하므로 유전현상이 비교적 단순하다는 것은, 해당 형질이 한 두 개의 유전자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유전현상이 예측 가능하고 간단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색소침착 유전자가 있는 경우, 해당 유전자가 존재하면 항상 색소가 침착되고, 존재하지 않으면 항상 침착되지 않는 등 간단한 패턴을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BC3F1을 자식하여 BC3F2를 얻었다. 교배회수로 볼 때 BC3F2는 자식 몇 세대에 해당되는가?

  1. 1세대(F1)
  2. 3세대(F3)
  3. 5세대(F5)
  4. 7세대(F7)
(정답률: 64%)
  • BC3F1은 BC2F1의 자손이다. BC2F1은 BC1F1의 자손이다. BC1F1은 원래 부모의 자손이므로 1세대(F1)에 해당한다. 따라서 BC3F1은 3세대(F3)에 해당한다. BC3F2는 BC3F1의 자손이므로 1세대(F1)를 더한 4세대(F4)에 해당한다. 하지만 BC3F2는 자신도 다시 교배를 통해 자손을 낳을 수 있으므로, 자손을 낳은 후 자식 세대를 더해줘야 한다. 따라서 BC3F2는 1세대(F1)를 더한 4세대(F4)에 자손을 낳아 1세대(F1)를 더한 5세대(F5)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동질배수체 육종을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염색체 수가 적은 식물에서 더 효과적이다.
  2. 배수체가 되면 임성이 높아지고 착과성이 좋아진다.
  3. 자식성 식물에서보다는 타식성 식물에서 더 효과적이다.
  4. 잎과줄기 등 영양기관을 이용하는 식물에서 더 효과적이다.
(정답률: 34%)
  • 정답: "잎과줄기 등 영양기관을 이용하는 식물에서 더 효과적이다."

    배수체는 염색체 수가 높아지고, 유전적 다양성이 감소하면서 유전적 안정성이 높아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동질배수체 육종을 이용하면 특정한 성질을 가진 개체를 대량 생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임성이 높아지고 착과성이 좋아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피자식물의 배유 세포의 핵은 몇 배체인가?

  1. 1배체
  2. 2배체
  3. 3배체
  4. 4배체
(정답률: 66%)
  • 피자식물의 배유 세포는 3배체 핵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피자식물의 배유 세포가 3세대로 번식하면서 염색체가 복제되어 3개의 동일한 염색체 세트가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형태를 3배체로 표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육종의 대상 형질을 세분화 할 때 질적 특성에 해당하는 것은?

  1. 초장
  2. 화색
  3. 분얼수
  4. 성분 함량
(정답률: 68%)
  • 질적 특성은 양적으로 측정할 수 없는 특성으로, 예를 들어 색상, 형태, 향기 등이 해당됩니다. 따라서 "화색"은 질적 특성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두 품종을 교잡하여 그 후대에 좋은 형질을 가진 개체를 분리 선발하여 고정 시키는 육종 방법은?

  1. 분리육종법
  2. 선발육종법
  3. 계통육종법
  4. 교잡육종법
(정답률: 49%)
  • 교잡육종법은 두 품종을 교잡하여 그 후대에서 좋은 형질을 가진 개체를 분리 선발하여 고정시키는 육종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두 개체의 유전적 다양성을 결합하여 새로운 형질을 발현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이후 분리 선발과 고정을 통해 원하는 형질을 고정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변이의 크기는 육종에 매우 중요하다. 변이를 크게 하는 방법으로 가장 많이 이용된 것은?

  1. 배수체 유기
  2. 교잡
  3. 방사선 돌연변이 유기
  4. 유전공학적 기법
(정답률: 68%)
  • 교잡은 서로 다른 두 종의 유전자를 섞어 새로운 유전자를 만들어내는 방법으로, 다양한 유전적 다양성을 만들어내어 변이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많이 이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형질의 변이와 선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형질의 표현은 유전자와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나타난다.
  2. 유전력은 양적형질의 변이를 효과적으로 추정하기 위한 하나의 표본 통계치이다.
  3. 연속변이를 보이는 형질 중 폴리진의 영향을 받는 경우 개별 유전자가 작용하는 값이 환경변이보다 크다.
  4. 딴꽃가루받이성(타식성) 작물에서 원치않는 우성유전자를 도태시키는 것보다 원치 않는 열성유전자를 도태시키는 것이 더 어렵다.
(정답률: 60%)
  • "연속변이를 보이는 형질 중 폴리진의 영향을 받는 경우 개별 유전자가 작용하는 값이 환경변이보다 크다."이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해당 문장은 오히려 개별 유전자가 작용하는 값이 환경변이보다 작다는 것이 맞습니다. 이는 폴리진 형질이 연속변이를 보이는 형질이기 때문에, 개별 유전자가 작용하는 값이 작아지고 대신 환경변이의 영향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농작물 품종의 변천 요인과 관계가 가장 적은 것은?

  1. 사람의 기호
  2. 품종의 분류
  3. 경제적인 상황
  4. 농업기계의 발달
(정답률: 43%)
  • 품종의 분류는 농작물의 유전적 특성에 따라 분류되기 때문에 사람의 기호나 경제적인 상황, 농업기계의 발달과는 관계가 적습니다. 즉, 품종의 분류는 농작물의 유전적 특성에 기반하고 있으며, 이는 사람의 기호나 경제적인 상황, 농업기계의 발달과는 무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작물육종의 전망으로 틀린 것은?

  1. 유전자원의 필요성이 증가될 것이다.
  2. 육종목표가 다양화될 것이다.
  3. 형질전환기술의 이용이 적어질 것이다.
  4. 신품종 개발에 관한 지적재산권이 보호될 것이다.
(정답률: 80%)
  • 형질전환기술은 작물육종에서 매우 중요한 기술 중 하나이며, 이를 이용하여 새로운 품종을 개발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등의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형질전환기술의 이용이 적어질 가능성은 매우 낮으며, 오히려 더욱 발전하여 더 많은 작물육종 분야에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형질전환기술의 이용이 적어질 것이다."는 틀린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장려품종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유전적 특성이 우수한 품종
  2. 고유한 유전적 특성을 갖는 품종
  3. 농업 생산자의 선호도가 높은 품종
  4. 우량 품종 중에서 재배가 권장되는 품종
(정답률: 62%)
  • 우량 품종 중에서 재배가 권장되는 품종은 농업 생산성이 높고, 병해충에 대한 내성이 강하며, 수확량이 많은 등 농업 생산에 있어서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품종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농업 생산자들이 이를 선호하며, 농업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권장되는 품종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순계분리법을 적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작물은?

  1. 타식성 작물
  2. 자식성 작물
  3. 영년생 작물
  4. 영양번식 작물
(정답률: 64%)
  • 순계분리법은 자식성 작물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적용됩니다. 이는 자식성 작물이 번식 시 자신의 유전자를 완벽하게 유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자식성 작물에서는 순계분리법을 통해 원하는 유전자를 선택적으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타식성 작물이나 영년생 작물, 영양번식 작물에서는 유전자의 혼합이 일어나기 때문에 순계분리법이 적용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채소 채종포로 적당하지 않은 곳은?

  1. 병해충 발생이 적은 곳
  2. 개화기와 성숙기에 비가 적은 곳
  3. 노지에서 월동이 용이한 곳
  4. 자연교잡이 잘 일어나는 곳
(정답률: 69%)
  • 채소 채종포는 환경에 민감하므로, 자연적인 방식으로 해충과 질병을 예방하고 균형있는 생태계를 유지하는 자연교잡이 잘 일어나는 곳이 가장 적합합니다. 따라서 "자연교잡이 잘 일어나는 곳"이 채소 채종포로 적당하지 않은 곳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한 개의 생식핵으로부터 몇 개의 웅핵이 생성되는가?

  1. 1개
  2. 2개
  3. 4개
  4. 8개
(정답률: 64%)
  • 한 개의 생식핵은 유전자를 가지고 있으며, 이 유전자가 복제되어 두 개의 염색체를 형성합니다. 이 두 개의 염색체는 각각 웅핵으로 발달하여 총 2개의 웅핵이 생성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개화기 조절방법이 아닌 것은?

  1. 파종기에 의한 조절
  2. 비배법
  3. 온실법
  4. 제웅법
(정답률: 53%)
  • "제웅법"은 개화기 조절방법이 아닙니다. 제웅법은 중국의 전통 의학으로, 인체의 기운을 조절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작물(임의구분)

41. 잡초의 방제방법이 잘못 연결된 것은?

  1. 기계적 방제 - 제초용 농기구 이용
  2. 생태적 방제 - 재배의 시기 조절
  3. 물리적 방제 - 밀식재배
  4. 화학적 방제 - 제초제 사용
(정답률: 73%)
  • 잡초의 방제방법 중 "물리적 방제 - 밀식재배"는 잘못 연결된 것입니다. 이는 밀식재배가 잡초를 방제하는 방법이 아니라, 잡초가 자라지 못하도록 밀을 빽빽하게 심어 잡초의 성장을 억제하는 재배 방법입니다. 따라서 "물리적 방제 - 밀식재배"는 잡초 방제 방법이 아니라 재배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일반적으로 생산물의 용도에 따라 공예작물을 분류할 때 약료작물에 해당되는 것은?

  1. 수수
  2. 땅콩
  3. 고구마
  4. 인삼
(정답률: 88%)
  • 약재로 사용되는 식물 중에서 인삼은 대표적인 약재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인삼은 체내의 면역력을 강화시켜주고, 피로회복에 효과적이며, 혈압을 조절하는 등 다양한 건강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인삼은 약재로 사용되는 공예작물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생력재배의 효과와 거리가 먼 것은?

  1. 생산비의 절감
  2. 농업경영의 개선
  3. 작업효율의 감소
  4. 단위수량의 증대
(정답률: 70%)
  • 생력재배는 인력을 대신하여 작물을 자동으로 수확하고 심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생산비를 절감하고 농업경영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생력재배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기술적인 지식과 노하우가 필요하며, 이를 습득하는 데 시간과 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에 초기 투자비용이 큽니다. 또한, 생력재배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유지보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작업효율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생력재배의 효과와 거리가 먼 것은 작업효율의 감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산성 토양에서 나타나는 무기성분의 반응으로 옳은 것은?

  1. 인산 불용화
  2. 칼슘, 마그네슘 이용도 증가
  3. 염류축적 감소
  4. 아연, 망간 용해도 감소
(정답률: 58%)
  • 산성 토양에서는 pH가 낮아지면서 인산의 불용성이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인산이 토양에 흡수되지 못하고 물에 용해되어 유실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를 인산 불용화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우리 나라에서 벼농사를 짓기에 알맞은 이유가 아닌 것은?

  1. 토질과 산도가 알맞다.
  2. 온도가 높고 강수량이 많다.
  3. 일조 시간과 일사량이 풍부하다.
  4. 자연재해가 거의 없다.
(정답률: 73%)
  • 자연재해가 거의 없다는 것은 벼농사를 짓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벼농사를 짓기에 알맞은 이유는 토질과 산도가 알맞고, 온도가 높고 강수량이 많으며, 일조 시간과 일사량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큐어링 처리가 가장 효과적인 작물은?

  1. 사과
  2. 고구마
  3. 단감
(정답률: 82%)
  • 고구마는 다른 작물에 비해 큐어링 처리에 더 효과적입니다. 이는 고구마가 수분 함량이 높아서 수분이 증발하는 큐어링 과정에서도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고구마는 큐어링 처리 후에도 맛과 품질이 유지되는 특성이 있어서 더욱 좋은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1m2당 이삭수가 300개, 1이삭당 평균 영화수가 100개, 등숙률 80%, 1,000알의 무게가 20g일 경우 1m2당 벼의 수량은?

  1. 240g
  2. 300g
  3. 480g
  4. 600g
(정답률: 64%)
  • 1m2당 이삭수가 300개이므로, 1m2당 이삭의 무게는 다음과 같습니다.

    1m2당 이삭의 무게 = 300개 × 100개/이삭 × 80% × 1,000알의 무게/20g
    = 120,000알/이삭 × 1/5g/알
    = 24,000g/이삭

    1m2당 벼의 수량은 이삭의 수량과 같으므로, 1m2당 벼의 무게는 다음과 같습니다.

    1m2당 벼의 무게 = 24,000g/이삭 × 이삭의 수
    = 24,000g/이삭 × 20개/1m2
    = 480,000g/m2
    = 480g/1m2

    따라서, 정답은 "480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관행적인 방법으로 콩 재배를 하던 농업인이 노동력이 많이 들어 경운줄뿌림 재배법으로 재배방법을 전환하였다. 그 이유는 어느 작업단계에서 노력을 절감하기 위한 것인가?

  1. 종자 준비 작업
  2. 경운 정지 작업
  3. 비료 살포 작업
  4. 파종 작업
(정답률: 79%)
  • 콩 재배에서 파종 작업은 씨앗을 땅에 심는 작업으로, 이 작업을 경운줄뿌림 재배법으로 전환하면 씨앗을 땅에 심는 작업이 자동화되어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생력기계화 재배의 전제 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농경지의 경지정리와 농로의 정비
  2. 동일 작물을 동일한 집단 재배방식으로 관리
  3. 제초제를 이용한 재배
  4. 이식 재배를 통한 재배 체계 확립
(정답률: 36%)
  • 생력기계화 재배는 일정한 간격으로 식물을 심고, 일정한 간격으로 수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를 위해서는 작물의 성장과 수확 시기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일정한 생육환경을 유지하고, 작물의 성장을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합니다. 이식 재배는 작물의 성장을 조절하고, 일정한 생육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기술 중 하나로, 생력기계화 재배의 전제 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농약살포시 일반적인 주의사항으로 가장 부적당한 것은?

  1. 약을 뿌릴 때에는 마스크, 보안경, 고무장갑 및 방제복 등을 착용하고 바람을 등지고 뿌린다.
  2. 살포전ㆍ후 살포기를 반드시 씻는다.
  3. 사용 후 남은 농약은 눈에 잘 띄도록 햇빛이 잘 드는 곳에 보관한다.
  4. 안전사용기준과 취급제한기준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
(정답률: 88%)
  • 사용 후 남은 농약은 눈에 잘 띄도록 햇빛이 잘 드는 곳에 보관하는 것은 부적절한 주의사항입니다. 농약은 빛, 열, 습기 등에 노출되면 분해되거나 효능이 감소할 수 있기 때문에 어둡고 서늘한 곳에 보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산성토양에서도 잘 생육하는 화훼류는?

  1. 과꽃, 백일홍
  2. 철쭉, 치자
  3. 국화, 카네이션
  4. 제라늄, 시네라리아
(정답률: 62%)
  • 산성토양은 pH가 낮은 토양으로, 철쭉과 치자는 산성토양에서도 잘 자라는 화훼류입니다. 이는 철쭉과 치자가 산성토양을 선호하는 식물이기 때문입니다. 반면, 과꽃과 백일홍은 약산성부터 중성까지의 토양을 선호하며, 국화와 카네이션은 중성부터 약알칼리성까지의 토양을 선호합니다. 제라늄과 시네라리아는 약알칼리성부터 중성까지의 토양을 선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밀의 용도와 품질적 특성에서 고급 빵이나 마카로니를 만드는데 가장 적합한 밀가루는?

  1. 강력 밀가루
  2. 준강력 밀가루
  3. 중력 밀가루
  4. 박력 밀가루
(정답률: 58%)
  • 고급 빵이나 마카로니를 만들 때는 반드시 밀가루의 단백질 함량이 높아야 합니다. 강력 밀가루는 단백질 함량이 가장 높아서, 고급 빵이나 마카로니를 만드는 데 가장 적합합니다. 또한, 강력 밀가루는 밀가루 중에서 가장 긴 발효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더욱 고급스러운 맛과 질감을 만들어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벼를 담수 직파 재배할 때 가급적 중생종이나 중ㆍ만생종을 선택하는데 이와 가장 관계 깊은 벼의 특성은?

  1. 내랭성
  2. 내병성
  3. 내충성
  4. 내도복성
(정답률: 71%)
  • 중생종이나 중ㆍ만생종은 건조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는 내도복성이 뛰어난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내도복성은 벼가 건조한 환경에서도 생존하고 성장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따라서, 담수 직파 재배 시에는 내도복성이 뛰어난 중생종이나 중ㆍ만생종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아직 덜 익은 과실을 수확하여 일정 기간 놓아두면 익는데, 이러한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후숙
  2. 예냉
  3. 도정
  4. 큐어링
(정답률: 80%)
  • 아직 덜 익은 과일을 수확한 후에 일정 기간 동안 놓아두면 과일 내부에서 생리학적인 변화가 일어나면서 성숙도가 높아지는 현상을 후숙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후숙"이 정답입니다. 예를 들어, 노란색으로 익은 바나나를 수확한 후에 일정 기간 동안 놓아두면 바나나 내부에서 설탕이 더 많이 생성되면서 달콤해지고 부드러워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산간 지방에서 벼를 재배할 때 가장 피해 받기 쉬운 기상 재해는?

  1. 안개해
  2. 동해
  3. 풍해
  4. 냉해
(정답률: 69%)
  • 산간 지방에서는 기온이 낮아 농작물이 더욱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특히 냉해는 기온이 0도 이하로 내려가면서 발생하는 기상 재해로, 벼의 생육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냉해로 인해 벼의 잎과 줄기가 얼어붙어 죽을 수 있으며, 수확량 감소와 농작물 품질 하락 등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작물 종자의 발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콩과 작물은 대부분 지하발아를 한다.
  2. 종자의 발아에는 적절한 수분, 산소, 온도가 필요하다.
  3. 광선이 발아를 촉진하는 종자에는 토마토, 호박 등이 있다.
  4. 발아 할 때는 종자의 호흡이 감소하면서 이산화탄소의 소모가 증가한다.
(정답률: 76%)
  • 작물 종자가 발아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수분, 산소, 온도가 필요합니다. 이는 발아 과정에서 생명 활동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들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요소들이 충분히 제공되어야만 작물 종자가 발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벼의 생육 최저 온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0 ~ 4℃
  2. 5 ~ 8℃
  3. 9 ~ 14℃
  4. 20 ~ 25℃
(정답률: 61%)
  • 벼는 온도가 낮을수록 생육이 느려지지만, 일정한 온도 이하에서는 생장이 멈추게 되므로 최저 온도가 중요합니다. 0 ~ 4℃와 5 ~ 8℃는 너무 낮아서 벼의 생장이 멈추게 되고, 20 ~ 25℃는 너무 높아서 벼가 열에 취약해지기 때문에 9 ~ 14℃가 가장 적합합니다. 이 범위에서는 벼의 생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수확량도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고온성 채소는 어느 것인가?

  1. 배추
  2. 딸기
  3. 시금치
  4. 토마토
(정답률: 64%)
  • 토마토는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잘 자라는 열대성 작물이기 때문에 고온성 채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 재배방식은?

  1. 흩짓기
  2. 사이짓기
  3. 섞어짓기
  4. 번갈아심기
(정답률: 61%)
  • 이 재배방식은 흙을 흩짓기 때문에 흩짓기가 정답입니다. 흩짓기는 흙을 균일하게 분포시키고 공기와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작물의 성장을 돕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흩짓기를 통해 흙의 밀도를 낮추어 작물의 뿌리가 자유롭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우리나라의 연간 일조시간 범위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1000 ~ 1500 시간
  2. 2000 ~ 2500 시간
  3. 3000 ~ 3500 시간
  4. 4000 ~ 4500 시간
(정답률: 59%)
  • 우리나라는 지리적으로 중위도에 위치하고 있어서 일조시간이 많은 해와 적은 해가 균형적으로 분포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연간 일조시간이 2000 ~ 2500 시간인 것이 가장 적당합니다. 1000 ~ 1500 시간은 너무 적고, 3000 ~ 3500 시간은 너무 많기 때문입니다. 4000 ~ 4500 시간은 열대지방에서나 나타나는 일조시간으로, 우리나라의 일조시간 범위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