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자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1-25)

종자기능사
(2015-01-2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종자(임의구분)

1. 지하발아형 종자가 아닌 것은?

  1. 완두
  2. 보리
  3. 옥수수
(정답률: 70%)
  • 콩은 지하발아형 종자가 아닌 대표적인 씨앗이다. 즉, 콩은 발아과정에서 뿌리와 줄기가 동시에 발달하는 지상부 발아형 종자이다. 반면 완두, 보리, 옥수수는 지하발아형 종자로서 뿌리가 먼저 발달하고 그 후에 줄기가 발달하는 지하부 발아형 종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종자의 습윤저온층적(濕潤低溫層積) 저장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습한 자루에 3∼6 ℃에서 1∼2주 처리
  2. 습한 모래에 1∼10 ℃에서 3∼4주 처리
  3. 습한 진흙에 2∼9 ℃에서 2∼3주 처리
  4. 습한 짚 속에 6∼10 ℃에서 1∼2주 처리
(정답률: 87%)
  • 종자를 저장할 때는 습윤한 환경이 필요합니다. 습한 모래는 적당한 수분을 유지하면서도 공기가 잘 통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종자가 쉽게 부패하지 않습니다. 또한 1∼10 ℃의 저온에서 저장하면 종자의 신진대사가 둔화되어 종자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습니다. 3∼4주의 처리 기간은 종자의 종류와 저장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이정도의 기간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습한 모래에 1∼10 ℃에서 3∼4주 처리"가 종자의 습윤저온층적 저장에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옥수수 복교잡종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종자값이 저렴하다.
  2. 여러 환경조건에 대한 완충능력이 있다.
  3. 개화기간이 길어 다른 교잡종보다 수분기회가 많아 이삭이 충실해진다.
  4. 불량 환경조건일 때 종자의 균일도가 단교잡종이나 삼원교잡종 종자보다 낮다.
(정답률: 56%)
  • 단교잡종이나 삼원교잡종은 두 개 이상의 순종을 교배하여 만들어진 교잡종인데, 이들은 교잡종이 아닌 순종과 비교하여 균일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불량 환경조건에서도 균일성이 유지되는 옥수수 복교잡종은 이들과는 달리 균일성이 높은 특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완두 종자를 AㆍB 창고에 보관한 후 전기전도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A창고에 보관한 완 두 종자의 침출액이 더 많았다. 종자퇴화는 어느 것이 더 진전되었는가?

  1. A창고 완두 종자가 더 퇴화되었다.
  2. B창고 완두 종자가 더 퇴화되었다.
  3. A창고와 B창고 완두 종자의 퇴화는 똑같다.
  4. 비교할 수 없다.
(정답률: 84%)
  • 완두 종자의 침출액이 많다는 것은 완두 종자 내부의 물질이 더 많이 녹아나와 침출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완두 종자 내부의 물질이 더 많이 분해되어 있거나, 더 오래 보관되어 있어서 노후화가 진행되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A창고에 보관된 완두 종자가 더 퇴화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우량종자를 생산하는 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1. 격리재배를 통하여 이종의 혼입을 막는다.
  2. 무병지에서 채종한다.
  3. 감자의 바이러스 병을 막기 위해 평지에서 채종한다.
  4. 벼 종자는 평야지보다 분지에서 생산된 것이 임실이 좋아서 종자가치가 높다.
(정답률: 78%)
  • 감자의 바이러스 병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감자를 심으면 바이러스가 전파되어 수확량이 감소하거나 품질이 저하되기 때문에, 감자의 바이러스 병을 막기 위해서는 감염되지 않은 무병지에서 채종해야 합니다. 따라서 "감자의 바이러스 병을 막기 위해 평지에서 채종한다."는 잘못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종자의 유전적인 퇴화를 가장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은?

  1. 격리재배
  2. 생육기 조절
  3. 충실한 종자 선택
  4. 종자소독 철저
(정답률: 63%)
  • 격리재배는 외부 유전자의 침입을 막아 종자의 유전적인 퇴화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이는 종자가 자연환경에서 자유롭게 번식하는 것과 달리, 특정한 재배환경에서만 번식하도록 제한함으로써 가능합니다. 따라서 격리재배는 종자의 유전적인 품질을 유지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일반 식물 종자의 발아를 위한 최고온도 범위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15∼20 ℃
  2. 25∼30 ℃
  3. 30∼40 ℃
  4. 45∼50 ℃
(정답률: 48%)
  • 일반적으로 식물 종자의 발아에 가장 적합한 온도는 25~30℃이지만, 최고온도 범위를 묻는 문제이므로 30~40℃가 가장 적당하다. 이는 이 온도 범위에서는 적절한 수분과 산소 공급이 이루어지며, 식물 세포 내에서 발아에 필요한 화학 반응이 적절하게 일어나기 때문이다. 그러나 너무 높은 온도에서는 식물 세포가 손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45~50℃는 발아에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종자세검사법(種子勢檢査法)으로 갖추어야 할 요건과 거리가 먼 것은?

  1. 신속해야 한다.
  2. 객관성이 있어야 한다.
  3. 첨단장비를 갖추어야 한다.
  4. 경비가 적게 들어야 한다.
(정답률: 82%)
  • 종자세검사법은 정확하고 신속하게 검사를 수행해야 하며, 검사 결과는 객관적이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첨단장비를 사용하여 정확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첨단장비를 갖추어야 하는 것이 요건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광발아 종자의 발아를 촉진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빛의 파장은?

  1. 적색광
  2. 청색광
  3. 자외선
  4. 황색광
(정답률: 80%)
  • 광발아 종자는 적색광 파장대에서 가장 높은 발아율을 보입니다. 이는 광발아 종자가 적색광 파장대에서 가장 많은 빛을 흡수하고, 이를 통해 광합성에 필요한 에너지를 생산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적색광은 자연 조건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파장대 중 하나이기 때문에 광발아 종자의 생태학적 적응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종자 병해 검사 방법으로 부적합한 것은?

  1. 종자를 살균한 후 조사한다.
  2. 400립 이상의 종자를 취해 검사한다.
  3. 병원균이 자라도록 배양한 후에 조사한다.
  4. 파종 후 생육 중인 식물체를 검사한다.
(정답률: 70%)
  • "종자를 살균한 후 조사한다."가 부적합한 이유는, 종자를 살균하지 않으면 종자 내에 있는 병원균이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종자를 살균한 후에 검사를 진행해야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종자를 안전하게 저장 관리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이병개체의 선별 및 제거
  2. 해충의 구제
  3. 저장 온ㆍ습도의 큰 변화
  4. 쥐 피해의 방지
(정답률: 80%)
  • 저장 온ㆍ습도의 큰 변화는 종자의 발아율을 저하시키고, 균열이 발생하여 종자의 품질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안전한 저장 관리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피자식물의 배와 배유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배(2n)는 웅핵 + 난핵, 배유(2n)는 웅핵 + 극핵
  2. 배(2n)는 웅핵 + 난핵, 배유(3n)는 웅핵 + 극핵
  3. 배(3n)는 웅핵 + 난핵, 배유(2n)는 웅핵 + 극핵
  4. 배(3n)는 웅핵 + 난핵, 배유(3n)는 웅핵 + 극핵
(정답률: 83%)
  • 정답은 "배(2n)는 웅핵 + 난핵, 배유(3n)는 웅핵 + 극핵"입니다.

    배는 2n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웅핵(또는 중핵)과 난핵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즉, 배는 생식세포를 만들기 위한 세포로, 염색체가 절반씩 나뉘어져 있습니다.

    배유는 3n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웅핵(또는 중핵)과 극핵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즉, 배유는 배에서 생식세포를 만들기 위해 발생한 세포로, 염색체가 배의 염색체 2n과 정자의 염색체 1n이 합쳐져서 3n이 됩니다. 이 때, 정자의 염색체는 극핵에서 나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일반적으로 종실의 형태가 장립종(長粒種 )인 벼는?

  1. 일본형(Japonica type) 벼
  2. 유럽형(Euro type) 벼
  3. 자바형(Java type) 벼
  4. 인도형(Indica type) 벼
(정답률: 72%)
  • 장립종(長粒種)인 벼는 인도형(Indica type) 벼입니다. 이는 인도에서 육성되어 널리 재배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인도형 벼는 일반적으로 잎이 크고 길며, 벼의 길이가 길고 얇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인도형 벼는 높은 온도와 습도에 잘 적응하며, 수확량이 많고 수분에 대한 저항력이 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종자전염성 병 검정의 범위가 아닌 것은?

  1. 종자 생산과 관련된 검정
  2. 종자 소독의 필요에 대한 종자검정
  3. 작물의 품질 향상을 위한 종자검정
  4. 종자의 수입 및 수출을 위한 검역에 대한 종자검정
(정답률: 56%)
  • 종자전염성 병 검정은 종자가 전염성 질병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검정이며, 작물의 품질 향상을 위한 종자검정은 종자의 품질과 성장력 등을 평가하여 높은 수준의 작물 생산을 위해 필요한 검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작물의 품질 향상을 위한 종자검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화곡류의 성숙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젖익음(乳熟)은 종자의 내용물이 아직 젖(乳)모양인 과정이다.
  2. 풀익음(糊熟)은 종자의 내용물이 아직 된 풀((糊)모양인 과정이다.
  3. 누렇게 익음(黃熟)은 전 식물체가 황변하고 종자의 내용물이 경화된 상태이며 성숙했다고 한다.
  4. 고숙(枯熟)하면 식물체가 퇴색하고 내용물이 더욱 경화하고 탈립(脫粒)등이 발생되기 쉽다.
(정답률: 58%)
  • 정답은 "젖익음(乳熟)은 종자의 내용물이 아직 젖(乳)모양인 과정이다."입니다. 젖익음은 성숙의 초기 단계로, 종자 내부의 액체가 아직 고체로 변화하지 않은 상태를 말합니다. 따라서, 화곡류의 성숙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젖익음에 대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종자의 외피가 두꺼운 경실종자의 휴면을 타파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당하지 않는 것은?

  1. 질산염처리를 한다.
  2. 종피에 상처를 입힌다.
  3. 저온처리를 한다.
  4. 원액의 황산에 오랫동안 담가둔다.
(정답률: 75%)
  • 원액의 황산은 너무 강한 산성을 가지고 있어서 종자를 손상시키고 썩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경실종자의 휴면을 타파하는 방법으로는 적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종자에는 전분, 지방, 단백질의 세 가지 저장양분이 들어있다. 다음 중 전분종자(澱粉種子)인 것은?

  1. 땅콩
  2. 해바라기
  3. 참깨
(정답률: 74%)
  • 전분은 주로 탄수화물의 형태로 저장되는데, 벼는 탄수화물 중에서도 전분이 가장 많이 저장되어 있는 식물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벼는 전분종자입니다. 땅콩, 해바라기, 참깨는 지방과 단백질이 더 많이 저장되어 있는 식물이기 때문에 전분종자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단위생식(apomixis)으로 생긴 종자는?

  1. 단종
  2. 위잡종
  3. 1대잡종
  4. 종간잡종
(정답률: 71%)
  • 단위생식은 부화과정 없이 한 개체의 유전자만으로 새로운 개체를 생산하는 형태의 생식입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생긴 종자는 모두 부모 개체의 유전자를 똑같이 가지므로 유전적으로 동일한 개체를 생산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단위생식으로 생긴 종자는 자가수용성이 높아서 다른 개체와 교배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단위생식으로 생긴 종자는 위잡종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진균이 가장 많이 존재하고 있는 주요 부위는?

  1. 씨껍질
  2. 내피
  3. 떡잎
  4. 씨젖
(정답률: 74%)
  • 씨껍질은 식물의 외부 구조물 중 하나로, 진균이 살아남기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씨껍질은 습기가 많고 영양분이 풍부하여 진균이 생존하고 번식하기에 이상적인 장소입니다. 따라서 씨껍질은 진균이 가장 많이 존재하는 주요 부위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고온항온 건조기법에 의한 종자건조시 옥수수의 건조시간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단, 건조온도는 130∼133℃ 로 한다.)

  1. 1시간
  2. 2시간
  3. 4시간
  4. 8시간
(정답률: 73%)
  • 고온항온 건조기법은 고온과 고습도로 빠르게 건조하는 방법으로, 옥수수 종자의 경우 건조온도가 130∼133℃로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조건에서는 4시간이 가장 적절한 건조시간이다. 이유는 옥수수 종자의 크기와 수분 함량에 따라 건조시간이 달라지지만, 보통 4시간 정도면 충분히 건조할 수 있다. 또한, 8시간까지 건조하면 오히려 과건조가 될 수 있으므로 4시간이 적절한 시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작물육종(임의구분)

21. 꽃의 각 부위를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자방 - 꽃의 자성생식기관
  2. 배주 - 꽃의 웅성생식기관
  3. 약 - 수술에서 화분을 생산하는 부위
  4. 주두 - 화분을 받아들이는 부위
(정답률: 58%)
  • 배주는 꽃의 웅성생식기관이 아니라 꽃받침의 일부분으로, 꽃잎과 꽃받침 사이에 위치하며 꽃받침의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배주 - 꽃의 웅성생식기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설명의 ( )안에 적합한 용어로만 나열한 것은?

  1. ㉠ 난핵, ㉡ 극핵
  2. ㉠ 난핵, ㉡ 영양핵
  3. ㉠ 극핵, ㉡ 영양핵
  4. ㉠ 영향핵, ㉡ 정핵
(정답률: 90%)
  • 이 그림은 세포 분열 중 중간에 위치한 중심체인 세포분열막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중심체는 세포분열 중 역할이 매우 중요한데, 이 중심체를 구성하는 두 가지 중핵 중에서 ( )안에 들어갈 용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난핵: 중심체의 한쪽 끝에 위치하며, 세포분열 중 역할이 크지 않은 중핵입니다.
    ㉡ 극핵: 중심체의 다른 한쪽 끝에 위치하며, 세포분열 중 역할이 매우 중요한 중핵입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는 중심체를 구성하는 두 가지 중핵 중에서 ㉠ 난핵과 ㉡ 극핵이 적합한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양적형질의 선발효율을 예측하는 척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유전력(유전율)
  2. 잡종강세
  3. 자식약세
  4. 유전자빈도
(정답률: 58%)
  • 양적형질은 다양한 환경적 요인과 유전적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양적형질의 선발효율을 예측하는 척도로는 유전력(유전율)이 가장 적합합니다. 유전력은 양적형질의 유전적 변이에 대한 비율로, 양적형질의 변이 중 유전적인 영향이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유전력이 높을수록 양적형질의 선발효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면에 잡종강세나 자식약세는 유전적 다양성이 낮아져 양적형질의 선발효율을 예측하는 데 적합하지 않습니다. 유전자빈도는 유전적 다양성을 나타내는 척도이지만, 양적형질의 선발효율을 예측하는 데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1대 잡종교잡법 중 단교잡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잡종강세 현상이 크고 균일하다.
  2. 종자 생산량이 많다.
  3. 교잡 방법이 매우 복잡하다.
  4. 복교잡보다 균일성이 떨어진다.
(정답률: 65%)
  • 단교잡은 한 종의 순수한 개체와 다른 종의 순수한 개체를 교배하여 만든 잡종입니다. 이 때, 두 종의 유전자가 섞이기 때문에 새로운 특성이 나타나는데, 이러한 특성이 유전적 다양성을 증가시키고 생존력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잡종강세 현상이 크고 균일하다는 것은 단교잡을 통해 새로운 특성이 나타나고, 이로 인해 생존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다양한 환경에서 적응력이 뛰어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계통육종법에서 최초로 선발을 시작하는 시기는?

  1. F1
  2. F2
  3. F3
  4. F4
(정답률: 58%)
  • 계통육종법에서 최초로 선발을 시작하는 시기는 F1 세대입니다. 그 이유는 계통육종법에서는 부모 개체 중 가장 우수한 성상을 지닌 개체를 선택하여 교배시키는데, 이 때 나온 자손을 F1 세대라고 합니다. F1 세대는 부모 개체의 우수한 성상을 물려받아 우수한 성상을 지니기 때문에, 이후 F2 세대부터는 F1 세대에서 선발한 우수한 개체들끼리 교배하여 우수한 성상을 더욱 강화시키는 것이 목적입니다. 따라서 F2 세대부터 선발을 시작하는 것은 F1 세대에서 우수한 개체를 선발하고, 그 개체들끼리 교배하여 F2 세대를 얻은 후에야 우수한 성상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한 지방에서 예로부터 재배해 온 품종으로 오랜 기간에 걸쳐 도태가 가해져 형성된 것은?

  1. 일대잡종
  2. 육성종
  3. 재래종
  4. 시판종
(정답률: 84%)
  • 재래종은 한 지방에서 예로부터 재배해 온 품종으로 오랜 기간에 걸쳐 도태가 가해져 형성된 것입니다. 다른 세 가지 보기는 일대잡종은 여러 지방에서 섞여 생긴 품종, 육성종은 인위적으로 육성된 품종, 시판종은 상업적으로 재배되는 품종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품종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1대 잡종은 품종으로 취급하지 않는다.
  2. 유래로 보아 재래종과 육성종으로 나뉜다.
  3. 작물의 재배 또는 이용상 동일한 특성을 나타낸다.
  4. 자가수정 식물에서는 동일한 유전조성(homo)을 갖는다.
(정답률: 77%)
  • 1대 잡종은 품종으로 취급하지 않는 이유는 그 자체로 유전적으로 다양한 형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1대 잡종은 서로 다른 두 개의 종이 교배하여 생긴 혼합종으로, 이들은 다양한 유전자 조합을 가지고 있어서 일관된 특성을 나타내지 않습니다. 따라서 1대 잡종은 품종으로 취급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자식성 작물의 돌연변이 육종에서 처리 당대의 식물체를 M1세대라고 하면, 식물체 형질의 열성돌연변이체를 최초로 선발할 수 있는 세대는?

  1. M1세대
  2. M2세대
  3. M3세대
  4. M4세대
(정답률: 70%)
  • 자식성 작물의 돌연변이 육종에서는 M1세대에서는 열성돌연변이체가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고, 발생하더라도 그 수가 적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M1세대에서는 열성돌연변이체를 최초로 선발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M2세대에서는 M1세대에서 발생한 열성돌연변이체를 가진 개체들이 교배를 통해 상호작용하면서, 열성돌연변이체를 가진 개체들이 더욱 많아지고, 이 중에서 우수한 열성돌연변이체를 가진 개체를 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M2세대에서 열성돌연변이체를 최초로 선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종자의 수명을 가장 길게 하는 저장 조건은?

  1. 고온다습
  2. 고온건조
  3. 저온다습
  4. 저온건조
(정답률: 76%)
  • 저온건조는 수분을 제거하여 균질한 상태로 만들고, 저온에서 보관함으로써 종자 내부의 활성화된 대사 활동을 억제하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종자의 수명을 가장 길게 하는 저장 조건은 저온건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유전자의 다면적 발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한 형질을 지배하는 유전자가 여러 개인 것
  2. 한 유전자가 여러 가지 형질에 관여하는 것
  3. 동일 염색체 상에 여러 가지 유전자가 있는 것
  4. 염색체 교차로 유전자가 여러개로 나누어지는 것
(정답률: 58%)
  • 한 유전자가 여러 가지 형질에 관여하는 것은 하나의 유전자가 여러 가지 생물학적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유전자의 발현이 다양한 조건에 따라 변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인간의 눈색깔은 여러 유전자의 조합에 의해 결정되며, 하나의 유전자가 여러 가지 눈색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다면적 발현은 유전자의 복잡한 작용 방식을 보여주며, 생물의 다양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돌연변이 육종에서 돌연변이 유발원으로 이용되지 않는 것은?

  1. X선
  2. 자외선
  3. 중성자
  4. 감마선
(정답률: 68%)
  • 돌연변이 육종에서 돌연변이 유발원으로 이용되지 않는 것은 자외선입니다. 이는 자외선이 유전자 변이를 유발할 수 있지만, 이 변이는 종종 유용한 것이 아니라 유해한 것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돌연변이 육종에서는 보다 안전하고 예측 가능한 유발원들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품종의 특성 중 양적형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줄기의 길이
  2. 마디의 길이
  3. 수량
  4. 색깔의 변화
(정답률: 75%)
  • 색깔의 변화는 양적 형질이 아닌 질적 형질에 해당합니다. 즉, 양적으로 측정할 수 없는 특성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꽃의 색깔이 빨간색인지 파란색인지는 수량으로 측정할 수 없으며, 단지 색깔의 종류로만 구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는 양적 형질이 아닌 질적 형질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멘델리즘을 재발견한 사람이 아닌 것은?

  1. 뮬러(Muller)
  2. 코렌스(Correns)
  3. 체르마크(Tschermak)
  4. 드 브리스(De Vries)
(정답률: 66%)
  • 뮬러(Muller)는 멘델리즘을 재발견한 사람이 아닙니다. 뮬러는 유전자 변이에 대한 연구로 유명한 유전학자이지만, 멘델리즘을 재발견한 것은 그 이전에 살았던 코렌스, 체르마크, 드 브리스 등의 유전학자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일대잡종육법을 상용하고 있는 작물은?

  1. 감자
  2. 보리
(정답률: 51%)
  • 무는 일대잡종육법을 상용하고 있는 작물입니다. 이유는 무는 자가수분이 적어 다른 작물과 함께 재배하면 서로 보완하며 더 많은 수분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무는 뿌리가 얕아 다른 작물과 경쟁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일대잡종육법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생물분류의 기본 단위로서 실제로 교배가 행해지고 있거나 잠재적으로 교배 가능한 자연집단으로 다른 생물군과 생리적으로 격리된 것을 가리키는 것은?

(정답률: 80%)
  • 종은 생물 분류의 기본 단위로서, 서로 교배가 가능하고 그 자손도 생식이 가능한 자연 집단을 가리킵니다. 이는 다른 생물군과 생리적으로 격리되어 있으며, 유전적으로도 구분됩니다. 따라서 종은 다른 생물군과 구분되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이며, 생물 분류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육종의 긍정적 성과와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생산성 증대
  2. 품종의 단일화
  3. 재배의 안정성
  4. 품질의 고급화
(정답률: 73%)
  • 육종은 특정한 특성을 가진 동물이나 식물을 선택적으로 교배하여 새로운 품종을 만드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에서 품종의 단일화가 이루어지면서, 동일한 특성을 가진 개체들이 생산되어 생산성이 증대되고, 재배의 안정성이 높아지며, 품질의 고급화가 가능해집니다. 따라서 품종의 단일화는 육종의 긍정적 성과와 가장 관련이 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여교잡 육종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자식의 경우보다 잡종 후대에서 분리되는 유전자형의 종류수가 많다.
  2. 자식에 비해 양성해야 할 잡종 개체수가 많아 목표형질의 선발은 더 불리하다.
  3.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만족할 만한 반복친이 있어야 한다.
  4. 개량하려고 하는 형질은 많은 유전자가 관여할수록 효과적이다.
(정답률: 61%)
  • 여교잡 육종법은 서로 다른 종의 개체를 교배하여 새로운 형질을 가진 개체를 얻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자식의 경우보다 잡종 후대에서 분리되는 유전자형의 종류수가 많아서, 목표형질의 선발이 더 어렵습니다. 또한 양성해야 할 잡종 개체수가 많아서 목표형질의 선발이 더 어렵습니다. 따라서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만족할 만한 반복친이 있어야 합니다. 이는 반복적인 교배를 통해 목표형질을 가진 개체를 선택하고, 이를 다시 교배하여 목표형질을 고정시키는 과정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암술에 속하는 부분은?

  1. 꽃받침(화탁)
  2. 꽃밥(약)
  3. 꽃실(화사)
  4. 씨방(자방)
(정답률: 75%)
  • 암술은 식물의 생식기관 중 하나인 꽃의 일부분을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이 중에서 씨방(자방)은 꽃받침 안에 있는 꽃가루를 만드는 부분으로, 꽃의 생식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암술에 속하는 부분 중에서 씨방(자방)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신품종의 구비 조건이 아닌 것은?

  1. 구별성
  2. 균일성
  3. 불변성
  4. 안정성
(정답률: 69%)
  • 불변성은 새로운 데이터가 추가되거나 수정되더라도 기존의 데이터와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신품종의 구비 조건이 아니며, 다른 조건들은 새로운 데이터가 추가되거나 수정되더라도 일관성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신품종의 구비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작물의 야생형이 재배형으로 순화하면서 겪는 변화 중 옳지 않은 것은?

  1. 가시 등 식물의 방어적 구조가 퇴화되었다.
  2. 종자의 휴면성이 약해졌다.
  3. 탈립이 쉽도록 변하였다.
  4. 종자의 산포능력이 약해졌다.
(정답률: 53%)
  • 탈립이 쉽도록 변하였다는 것은 뿌리가 얕아지고 토양에 뿌리가 잘 박히지 않아서 쉽게 뽑히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재배형으로 인해 인간이 일부러 선택한 특성 중 하나로, 작물이 쉽게 수확되고 이동이 용이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는 옳은 변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작물(임의구분)

41. 맥류 재배시 성숙기에 수발아가 일어나는 환경 조건은?

  1. 고온 다습 상태
  2. 고온 장일 상태
  3. 저온 다습 상태
  4. 저온 장일 상태
(정답률: 49%)
  • 맥류는 성장과 발아에 저온 다습한 환경을 선호합니다. 따라서 맥류의 성숙기에 수발아가 일어나는 환경 조건은 저온 다습한 상태입니다.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는 맥류의 성장이 억제되고, 고온 장일한 환경에서는 수발아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저온 장일한 환경에서는 수발아가 일어나지만, 성장이 억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벼의 도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제현된 쌀을 정백이라 한다.
  2. 정백미는 현미 무게의 약 88%이다.
  3. 벼의 겉껍질을 벗겨 내는 것을 제현이라 한다.
  4. 제현율은 벼 무게의 64~74%이며 부피로는 45%이다.
(정답률: 62%)
  • 벼의 제현은 벼의 겉껍질을 벗겨내는 과정을 말한다. 따라서 "벼의 겉껍질을 벗겨 내는 것을 제현이라 한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초생 재배의 장점에 해당하는 것은?

  1. 양분 경합이 발생한다.
  2. 토양 침식을 방지한다.
  3. 병ㆍ해충의 서식지가 된다.
  4. 배수로의 물 흐름을 막거나 느리게 한다.
(정답률: 78%)
  • 초생 재배는 뿌리가 토양에 깊게 침투하여 토양을 고정시키고, 토양 표면을 덮어서 토양 침식을 방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우리나라 평야지 작물재배에서는 상대적으로 적게 발생하는 기상재해로, 단기간에 많은 눈이 내림으로서 발생하는 재해는?

  1. 수해
  2. 한해
  3. 동해
  4. 설해
(정답률: 83%)
  • 설해는 평야지 작물재배에서 발생하는 기상재해 중에서도 겨울철에 발생하는 눈으로 인한 재해입니다. 한국의 겨울철은 대기가 매우 건조하고 찬 기온이 유지되기 때문에 눈이 내리면 농작물에 큰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눈이 내리면 작물에 무게가 실려 식물의 줄기나 가지가 부러지거나 뿌리가 뽑히는 등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눈이 녹으면서 물이 많이 발생하면 수분 과다로 인한 병해충 발생 등의 문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설해는 평야지 작물재배에서 발생하는 중요한 기상재해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벼 재배 시 물을 가장 얕게 대 주어야 하는 시기는?

  1. 수임기
  2. 출수 개화기
  3. 황숙기 말기
  4. 모낸 직후부터 착근기까지
(정답률: 61%)
  • 벼는 황숙기 말기에 수분이 적어져서 뿌리가 더 깊게 자라기 때문에 물을 가장 얕게 대 주어야 합니다. 수임기와 출수 개화기는 벼가 물을 많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물을 깊게 대 주어야 하고, 모난 직후부터 착근기까지는 벼가 뿌리를 자라는 단계이기 때문에 물을 깊게 대 주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벼의 만생종은 출수 후 며칠 만에 수확하는 것이 가장 좋은가?

  1. 35~40일
  2. 40~45일
  3. 45~50일
  4. 50~55일
(정답률: 54%)
  • 벼는 출수 후 50~55일이 지나면 수확하기 가장 적합한 시기이기 때문입니다. 이 기간에 벼는 최대한 많은 영양분을 흡수하고, 적정한 수분과 온도 조건에서 성장하여 수확량과 품질이 좋아집니다. 따라서 이 기간을 놓치지 않고 수확하면 최상의 수확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감자 덩이줄기의 알맞은 수확 시기는?

  1. 꽃이 피기 직전
  2. 꽃이 진 직후
  3. 열매가 떨어지기 직전
  4. 잎과 줄기가 누렇게 변했을 때
(정답률: 72%)
  • 감자 덩이줄기의 알맞은 수확 시기는 "잎과 줄기가 누렇게 변했을 때" 입니다. 이는 감자 덩이줄기가 노란색으로 변하면서 수확 시기가 되었다는 신호이며, 이때 수확하면 감자의 맛과 품질이 좋아집니다. 또한, 이 시기에 수확하지 않으면 감자 덩이줄기가 부패하거나 썩을 수 있으므로 적절한 시기에 수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벼의 출수기를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한 포기 전체의 꽃이 팰 때
  2. 한 포기의 70%가 이삭이 팰 때
  3. 논 1 필지에서 40~50% 이삭이 팰 때
  4. 논 1 필지에서 80% 이상 이삭이 팰 때
(정답률: 63%)
  • 벼의 출수기는 이삭이 패는 시기를 말합니다. 이때 이삭이 패는 비율이 높을수록 벼의 수확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출수기를 잘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논 1 필지에서 40~50% 이삭이 팰 때"가 가장 잘 설명한 것입니다. 이유는 이삭이 패는 비율이 40~50%일 때 벼의 성장이 가장 좋아지기 때문입니다. 이삭이 패는 비율이 너무 적으면 벼의 성장이 덜 하고, 너무 많으면 벼의 성장이 멈추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벼 기계이양용 중묘의 육묘 과정으로 옳은 것은?

  1. 파종 → 출아 → 녹화 → 경화
  2. 파종 → 녹화 → 경화 → 출아
  3. 출아 → 파종 → 녹화 → 경화
  4. 녹화 → 경화 → 파종 → 출아
(정답률: 63%)
  • 벼 기계이양용 중묘의 육묘 과정은 파종 → 출아 → 녹화 → 경화 순서로 진행됩니다.

    먼저 파종 단계에서는 씨앗을 땅에 심어 발아를 유도합니다. 그 다음 출아 단계에서는 발아된 씨앗이 땅 위로 돋아나는 과정을 말합니다.

    녹화 단계에서는 식물이 녹조를 통해 영양분을 만들어내고 성장합니다. 마지막으로 경화 단계에서는 식물이 더 이상 성장하지 않고, 열매를 맺고 씨앗을 만들어내는 단계입니다.

    따라서, 파종 → 출아 → 녹화 → 경화 순서로 진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약용작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인삼
  2. 보리
(정답률: 89%)
  • 인삼은 한약재로서 체내 항염작용, 면역강화, 혈압조절 등 다양한 효능이 있어 약용작물로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맥주용 보리에서 좋은 맥아(麥芽)의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발아력이 강하고 균일한 것이 좋다.
  2. 종실이 굵은 것이 좋다.
  3. 단백질 함량이 많은 것이 좋다.
  4. 곡피가 얇은 것이 좋다.
(정답률: 56%)
  • 단백질은 맥아에서 발효과정에서 맥주의 맛과 향을 형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단백질 함량이 많은 맥아일수록 맥주의 풍미와 향이 좋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작물 재배에 적합한 모래참흙(사양토)의 점토함량(%)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단, 세토 중의 점토함량으로 한다.)

  1. 12.5 이하
  2. 12.5~25.0
  3. 25.0~37.5
  4. 37.5~50.0
(정답률: 70%)
  • 작물 재배에 적합한 모래참흙은 공기와 물의 이동이 원활하고, 뿌리가 자라기 쉬운 토양이어야 합니다. 점토함량이 너무 낮으면 물과 영양분이 토양을 빠져나가기 쉽고, 너무 높으면 공기와 물의 이동이 원활하지 않아 뿌리가 자라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작물 재배에 적합한 모래참흙의 점토함량은 12.5~25.0%가 적합합니다. 이 범위는 물과 공기의 이동이 원활하면서도 뿌리가 자라기 쉬운 적절한 토양 조건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비료의 4요소로 구성된 것은?

  1. 질소, 인산, 칼륨, 칼슘
  2. 질소, 인산, 칼륨, 마그네슘
  3. 질소, 인산, 칼륨, 철
  4. 질소, 인산, 칼륨, 부식
(정답률: 78%)
  • 비료의 4요소는 작물의 성장과 생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로, 질소는 식물의 생장과 엽록소 합성에 필요한 요소이고, 인산은 근간질 및 에너지 저장에 필요한 요소이며, 칼륨은 수분 균형 조절과 근간질 합성에 필요한 요소이며, 칼슘은 식물의 세포벽 구성에 필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비료는 이 4요소를 적절한 비율로 함유하여 작물의 생장과 생산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담수, 피복 및 소각 등을 이용하여 방제하는 방법은?

  1. 법적 방제
  2. 물리적 방제
  3. 재배적 방제
  4. 화학적 방제
(정답률: 80%)
  • 담수, 피복 및 소각 등은 모두 물리적인 방법으로 해충을 제거하거나 방제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방법들은 물리적 방제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산성 토양에서 생장이 저조한 맥류는?

  1. 보리
  2. 호밀
  3. 귀리
(정답률: 56%)
  • 보리는 산성 토양에서도 잘 자라는데 비해, 다른 맥류인 밀, 호밀, 귀리는 산성 토양에서 생장이 저조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대표적인 중일성 작물은?

  1. 고추
  2. 보리
  3. 고구마
(정답률: 58%)
  • 고추는 중국에서 유래한 작물로, 중국 요리에서 매운맛을 내는 대표적인 재료입니다. 또한, 고추는 영양가가 높고 다양한 요리에 사용되어 중국 요리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인기가 있습니다. 따라서, 고추는 중국의 대표적인 중일성 작물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멀칭재배의 효과로 틀린 것은?

  1. 지온을 상승시킨다.
  2. 수분 증발을 촉진시킨다.
  3. 잡초의 발생을 줄여 준다.
  4. 토양 입자의 유실을 막아 준다.
(정답률: 74%)
  • 멀칭재배는 지온을 상승시키고, 잡초의 발생을 줄이며, 토양 입자의 유실을 막아줍니다. 하지만 수분 증발을 촉진시키는 효과는 없습니다. 오히려 멀칭재배는 토양 표면을 덮어 수분 증발을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재배 면적을 차지하는 작물은?

  1. 맥류
  2. 두류
  3. 잡곡류
(정답률: 86%)
  • 벼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먹이기 위해 재배되는 주요 식량작물이며, 쌀, 찹쌀, 현미 등으로 가공되어 다양한 음식으로 이용됩니다. 따라서 벼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재배 면적을 차지하는 작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벼의 생육기간 중 물을 가장 많이 소모하는 시기는?

  1. 이앙기
  2. 수잉기
  3. 출수기
  4. 개화기
(정답률: 77%)
  • 수잉기는 벼가 가장 빠르게 자라는 시기로, 이때 벼가 뿌리를 깊게 박고 수분을 흡수하기 때문에 물을 가장 많이 소모합니다. 따라서 수잉기는 벼의 생육기간 중 물을 가장 많이 소모하는 시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딴 꽃가루받이(타가수분)를 하는 작물은?

  1. 보리
  2. 옥수수
(정답률: 68%)
  • 딴 꽃가루받이란, 한 작물에서 자신의 꽃에서 나온 꽃가루가 아닌 다른 작물의 꽃에서 나온 꽃가루를 받아들이는 것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교배가 이루어지며, 새로운 유전자 조합이 가능해집니다. 옥수수는 딴 꽃가루받이를 하는 작물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