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비파괴검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10-02)

방사선비파괴검사기능사
(2005-10-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방사선투과시험법

1. 압연한 판재의 라미네이션(lamination)을 찾아낼 수 있는 가장 좋은 비파괴검사법은?

  1. 방사선투과시험
  2. 초음파탐상시험
  3. 침투탐상시험
  4. 자분탐상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압연한 판재의 라미네이션을 찾아내는 가장 좋은 비파괴검사법은 초음파탐상시험입니다. 이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판재 내부의 결함을 탐지하는 방법으로, 라미네이션과 같은 결함을 정확하게 탐지할 수 있습니다. 반면, 방사선투과시험은 두께나 밀도 등을 측정하는 데에 적합하며, 침투탐상시험은 표면 결함을 탐지하는 데에 적합합니다. 자분탐상시험은 금속 내부의 불순물을 탐지하는 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방사선투과시험시 암실에 비치하여야 할 최소한의 기기들만으로 구성된 것은?

  1. 현상탱크, 세척탱크, 암등, 싱크대
  2. 현상탱크, 필름보관함, lr-192저장함, 암등
  3. 압력탱크, 싱크대, 암등, 필름보관함
  4. 세척탱크, 싱크대, 암등, lr-192저장함
(정답률: 알수없음)
  • 방사선투과시험은 방사선을 사용하는 검사이므로 안전을 위해 암실에서 진행됩니다. 따라서 암실 내부에서 필요한 기기들로는 현상탱크와 세척탱크는 필름을 현상하고 세척하는데 필요하며, 암등은 작업 공간을 확보하고 검사 대상물을 조명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싱크대는 세척탱크에서 사용한 물을 배수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따라서 "현상탱크, 세척탱크, 암등, 싱크대"가 최소한의 기기들로 구성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특수방사선투과검사법 중에서 검사시간이 가장 짧게 걸리는 것은?

  1. 형광투시검사
  2. 미시방사선투과검사
  3. 전자방사선투과검사
  4. 제로래디오그래픽
(정답률: 알수없음)
  • 형광투시검사는 X선을 사용하지 않고 형광물질을 이용하여 검사하는 방법으로, 검사 시간이 가장 짧습니다. 또한, 검사 과정에서 환자에게 방사선 노출이 거의 없어 안전성이 높은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비파괴검사의 목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2. 생산공정에서 제조 기술을 향상, 개량시킨다.
  3. 제조원가를 절감하는데 일조한다.
  4. 생산할 제품의 공정시간을 단축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비파괴검사는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생산공정에서 제조 기술을 향상 및 개량시키며, 제조원가를 절감하는데 일조합니다. 그러나 생산할 제품의 공정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은 비파괴검사의 목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초음파탐상시험에서 표준이 되는 장치나 기기를 조정하는 과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경사감탐상
  2. 보정
  3. 감쇠
  4. 상관관계
(정답률: 알수없음)
  • 초음파탐상시험에서는 정확한 측정을 위해 표준이 되는 장치나 기기를 사용합니다. 이때 이러한 장치나 기기를 조정하는 과정을 보정이라고 합니다. 이는 장치나 기기의 정확도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으로, 측정값의 오차를 최소화하고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따라서 보정은 초음파탐상시험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연 X-선의 특성은?

  1. 투과력이 약하고 파장이 길고 반가층이 얇다.
  2. 투과력이 크고 파장이 길고 반가층은 크다.
  3. 투과력이 약하고 파장이 짧고 반가층은 얇다.
  4. 투과력이 크고 파장이 짧고 반가층은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연 X-선은 파장이 길어서 물질을 통과하기 어렵고, 특히 반가층이 얇기 때문에 물질을 통과하는 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따라서 투과력이 약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양극이 텅스텐(원자번호74)으로 된 X선관에 400kV의 전압을 걸어 주었을 때의 X선 전환능률은?

  1. 2.96%
  2. 1.48%
  3. 0.75%
  4. 0.14%
(정답률: 알수없음)
  • X선 전환능률은 전압, 양극의 재질, 그리고 X선 파장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전압과 양극의 재질이 주어졌으므로, X선 파장에 따른 전환능률을 찾아야 합니다.

    텅스텐은 고준위 원소이므로, 고에너지 X선을 발생시키는 데 적합한 재질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X선 파장이 짧을수록 전환능률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X선 파장이 0.1 nm일 때의 전환능률은 약 2.96%입니다. 이는 다른 보기들보다 크므로, 정답은 "2.9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X선관의 구조물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양극 후드의 극의 수명을 연장해 준다.
  2. 집속통은 음전자의 확산을 방지하여 준다.
  3. 창은 X선의 흡수가 적은 물질로 되어 있다.
  4. 실효 초점의 크기는 핀홀 사진으로 측정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실효 초점의 크기는 핀홀 사진으로 측정할 수 없다. 이유는 핀홀 사진은 X선의 집속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지, 초점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양극 후드는 X선 발생기에서 나온 전자를 가속시켜 X선을 발생시키는데, 이 때 전자와 양극 후드 사이에 고전압이 걸려 있어 전자가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열과 이온화로 인해 양극 후드가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양극 후드의 극을 보호하여 수명을 연장해 주는 역할을 한다.

    집속통은 X선이 집중되어 나가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X선의 집속도가 높아지므로 더 선명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창은 X선의 흡수가 적은 물질로 만들어져 있어 X선이 창을 통과하여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정답은 "실효 초점의 크기는 핀홀 사진으로 측정할 수 있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방사선투과시험에서 노출선도에 의한 투과촬영시 다음 중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피사체의 재질
  2. 관전압 및 관전류
  3. 결함의 종류
  4. 필름 및 증가지의 종류
(정답률: 알수없음)
  • 방사선투과시험에서 노출선도에 의한 투과촬영시 고려해야 하는 것은 결함의 종류입니다. 이는 결함의 크기, 위치, 형태, 수량 등을 파악하여 결함의 종류를 판단하고, 이를 기반으로 적절한 조치를 취하기 위함입니다. 피사체의 재질, 관전압 및 관전류, 필름 및 증가지의 종류는 모두 방사선투과시험에서 고려해야 하는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저감도 금속박 증감지용 필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형광증감지를 사용했을 때보다 노출시간이 짧아진다.
  2. 입상성이 초 미립자이다.
  3. 높은 콘트라스트를 얻을 수 있다.
  4. 정밀 검사에 적합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형광증감지를 사용했을 때보다 노출시간이 짧아진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형광증감지를 사용하는 것보다 노출시간이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이는 형광증감지가 필요 없기 때문에 더 많은 빛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X선관의 내부를 고진공으로 유지하는 이유가 아닌 것은?

  1. 전극간의 전기적 절연 유지
  2. 필라멘트의 산화 및 연소 방지
  3. 고속도 전자의 에너지 손실 방지
  4. 양극의 과열 방지
(정답률: 알수없음)
  • X선관 내부를 고진공으로 유지하는 이유는 전극간의 전기적 절연을 유지하고, 필라멘트의 산화 및 연소를 방지하며, 고속도 전자의 에너지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 그러나 양극의 과열 방지는 X선관 내부 고진공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X선발생장치를 핀홀판으로 초점상을 촬영하는 주 이유는?

  1. 초점의 위치결정
  2. 초점의 크기 결정
  3. 조사면의 선량분포
  4. X선의 에너지 분포
(정답률: 알수없음)
  • 핀홀판은 작은 구멍이 있는 판으로, 이를 통해 X선을 투과시켜 초점상을 촬영합니다. 이때 핀홀판의 구멍 크기가 초점의 크기를 결정하게 됩니다. 따라서 핀홀판을 사용하여 초점상을 촬영하는 주 이유는 초점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주조물의 방사선투과검사에서 나타나지 않는 결함은?

  1. 핫티어(hot tear)
  2. 콜드셧(cold shut)
  3. 편석(segregation)
  4. 언더컷(undercut)
(정답률: 알수없음)
  • 주조물의 방사선투과검사는 결함의 유형 중에서 내부 결함을 검출하는데 효과적입니다. 하지만 언더컷(undercut)은 주조물의 표면에 발생하는 결함으로, 방사선투과검사에서는 검출되지 않습니다. 언더컷은 주로 주조 과정에서 발생하는데, 용융 금속이 주조형의 모서리나 각도 부분에서 충분히 채워지지 않아 생기는 결함입니다. 이러한 결함은 시각적 검사나 기계적인 측정 등 다른 방법으로 검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X선 발생장치의 주요 구성 3요소로 올바른 것은?

  1. X선관, 고전압발생기, 제어기
  2. X선관, 필라멘트, 정류기
  3. 표적(타게트), 제어기, 라디에이터
  4. 표적(타게트), 전류제어기, 조리개
(정답률: 알수없음)
  • X선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X선관이 필요하며, 이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고전압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고전압발생기가 필요합니다. 마지막으로 X선의 발생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제어기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X선 발생장치의 주요 구성 3요소는 "X선관, 고전압발생기, 제어기"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방사선 투과사진에서 작은 결함을 검출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용어는?

  1. 투과사진의 농도
  2. 투과사진의 분해능
  3. 투과사진의 감도
  4. 투과사진의 대조도
(정답률: 알수없음)
  • 투과사진의 감도는 방사선 투과사진에서 작은 결함을 검출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이는 투과사진에서 검출 가능한 최소한의 결함 크기를 의미하며, 감도가 높을수록 더 작은 결함도 검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투과사진의 감도가 높을수록 결함 검출 능력이 뛰어나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자분탐상시험시 시험체 표면의 오염물 중 증기 세척법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 중 대표적인 것은?

  1. 오일이나 그리스 등 유기물 불순물
  2. 진공 증착된 부분을 벗겨낼 때
  3. 기계 가공된 원형 자국
(정답률: 알수없음)
  • 증기 세척법은 물리적인 방법으로, 오염물을 증기로 변화시켜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유기물 불순물인 오일이나 그리스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이는 증기 세척법이 유기물을 증기로 변화시켜 제거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오일이나 그리스 등 유기물 불순물"이 증기 세척법으로 제거할 수 있는 대표적인 오염물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투과사진의 명암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산란선은?

  1. 후방산란선
  2. 내면산란선
  3. 측면산란선
  4. 전방산란선
(정답률: 알수없음)
  • 투과사진의 명암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산란선은 후방산란선입니다. 후방산란선은 물체를 투과할 때 물체의 뒷쪽에서 산란되어 나오는 선으로, 이 선이 많이 산란되면 뒷배경이 밝아져서 명암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후방산란선은 투과사진의 명암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그래프에서 300mAㆍsec의 노출조건으로 A타입 필름의 농도가 1.0이 되었다. B타입의 필름으로 사진농도가 1.0이 되려면 노출조건은?

  1. 1mAㆍsec
  2. 10mAㆍsec
  3. 100mAㆍsec
  4. 1000mAㆍsec
(정답률: 알수없음)
  • A타입 필름과 B타입 필름은 노출에 대한 민감도가 다르기 때문에 노출조건이 다르게 설정되어야 합니다. A타입 필름에서 300mAㆍsec의 노출조건으로 농도가 1.0이 되었으므로, B타입 필름에서는 농도가 1.0이 되기 위해서는 A타입 필름보다 10배 더 많은 노출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B타입 필름의 노출조건은 300mAㆍsec × 10 = 1000mAㆍsec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형광증감지의 특징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연박 증감지보다 증감율이 낮다.
  2. 연박 증감지보다 노출시간이 짧아진다.
  3. 연박 증감지보다 산란선 저감효과가 나쁘다.
  4. 연박 증감지보다 콘크라스트가 높다.
(정답률: 알수없음)
  • 형광증감지는 연속적인 이미지를 처리하는 연박 증감지와 달리, 하나의 이미지만을 처리하기 때문에 노출시간이 짧아진다. 이는 화면이 깜빡이거나 깨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더욱 선명하고 안정적인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방사선투과시험에 사용되고 있는 lr-192 동위원소의 양성자 수는?

  1. 76
  2. 77
  3. 86
  4. 87
(정답률: 알수없음)
  • lr-192 동위원소의 원자핵은 103개의 전자와 192개의 중성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중에서 양성자 수는 전자 수와 같은 103개가 아니라, 전자 수보다 1개 더 많은 104개입니다. 따라서 lr-192 동위원소의 양성자 수는 77개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방사선안전관리 관련규격

21. 두께차가 심한 시험체일 때 만족할 만한 방사선 투과사진을 얻기 위한 방법으로 적당한 것은?

  1. 두께가 다른 앞, 뒤 스크린사이에 필름을 넣어 노출한다.
  2. 노출속도가 다른 2매의 필름을 넣고 동시에 노출한다.
  3. 동일한 2매의 필름 사이에 스크린에 겹쳐서 동시에 노출한다.
  4. 다른 종류의 2매의 필름사이에 스크린을 겹쳐서 동시에 노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노출속도가 다른 2매의 필름을 넣고 동시에 노출하는 것은 두께차가 심한 시험체일 때 만족할 만한 방사선 투과사진을 얻기 위한 적절한 방법입니다. 이는 노출속도가 느린 필름은 두께가 큰 부분에서 더 많은 방사선을 받아 더 어두운 이미지를 생성하고, 노출속도가 빠른 필름은 두께가 작은 부분에서 더 많은 방사선을 받아 더 밝은 이미지를 생성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두 개의 필름을 동시에 노출함으로써 두께차가 심한 시험체의 모든 부분에서 적절한 밝기와 대비를 가진 이미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비금속 물질의 표면을 비파괴검사할 때 가장 적합한 탐상법은?

  1. 침투탐상시험법
  2. 초음파탐상시험법
  3. 자분탐상시험법
  4. 와전류탐상시험법
(정답률: 알수없음)
  • 비금속 물질의 표면을 비파괴검사할 때 가장 적합한 탐상법은 "침투탐상시험법"입니다. 이는 비파괴검사 중 하나로, 표면에 침투시킨 액체의 흡수 정도를 측정하여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비교적 간단하고 저렴하며, 다양한 형태의 결함을 검출할 수 있어 비금속 물질의 표면 검사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방사선 투과사진의 선명도(Definition)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닌 것은?

  1. 초점의 크기
  2. 계조계의 크기
  3. 스크린 재질
  4. 방사선질
(정답률: 알수없음)
  • 방사선 투과사진의 선명도는 초점의 크기, 스크린 재질, 방사선질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영향을 받지만, 계조계의 크기는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계조계는 방사선을 감지하고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계조계의 크기가 작아도 충분한 신호를 감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계조계의 크기는 방사선 투과사진의 선명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두께가 14mm인 시험체를 선원ㆍ필름간 거리 60cm, 관전압 200kVp, 노출량 4mAㆍmin로 촬영하여 사진농도 2.5의 좋은 사진을 얻었다. 다른 조건은 변하지 않고 선원ㆍ필름간 거리만 90cm로 눌렀을 때, 같은 농도의 사진을 얻으려면 노출량은 얼마로 조정해야 하는가?

  1. 2.7mAㆍmin
  2. 6.0mAㆍmin
  3. 9.0mAㆍmin
  4. 12.0mAㆍmin
(정답률: 알수없음)
  • 선원ㆍ필름간 거리가 60cm일 때와 90cm일 때의 비율은 (60/90)^2 = 4/9 이다. 이는 선원ㆍ필름간 거리가 90cm일 때, 60cm일 때의 노출량 비율과 같다. 따라서, 노출량은 4mAㆍmin × (4/9) = 1.8mAㆍmin 이 되어야 한다.

    하지만, 사진농도가 2.5로 유지되어야 하므로, 노출량은 비례식에 따라 2.5/1.8 = 1.39배 증가해야 한다. 따라서, 4mAㆍmin × 1.39 = 5.56mAㆍmin 이 되어야 하지만,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9.0mAㆍmin 이므로 정답은 "9.0mAㆍmin"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맞대기 용접부의 내면 기공을 비파괴검사로 검출하는데 가장 적합한 시험 방법은?

  1. 침투탐상시험(PT)
  2. 와전류탐상시험(ET)
  3. 누설검사(LT)
  4. 방사선투과시험(RT)
(정답률: 알수없음)
  • 맞대기 용접부의 내면 기공을 비파괴검사로 검출하는데 가장 적합한 시험 방법은 방사선투과시험(RT)입니다. 이는 X선이나 감마선을 이용하여 물체 내부의 결함이나 기공을 검출하는 방법으로, 맞대기 용접부의 내면 기공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습니다. 침투탐상시험(PT)은 표면 결함 검출에 적합하며, 와전류탐상시험(ET)은 전기적인 결함 검출에 적합합니다. 누설검사(LT)는 액체나 가스의 누설을 검출하는 방법이며, 맞대기 용접부의 내면 기공 검출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방사선과 관계 있는 양과 단위를 표시하였다. 짝지음이 틀린 것은?

  1. 선량당량 - Rhm
  2. 조사선량 - R
  3. 방사능 - Ci
  4. 흡수선량 - Gy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방사능 - Ci

    선량당량은 방사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단위로, 그 단위는 그레이(Gy)이다. 하지만 인체에 따라 방사선의 영향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인체에 노출된 방사선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인 레만(R)과 결합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이를 선량당량밀도(Rhm)라고 한다.

    따라서 "선량당량 - Rhm"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KS D 0277에서 주강품의 복합 필름을 2장 포개서 관찰하는 경우 각각의 최저농도와 포갠 경우 최고 농도는?

  1. 최저는 0.3, 최고는 3.5
  2. 최저는 0.5, 최고는 3.5
  3. 최저는 0.8, 최고는 4.0
  4. 최저는 1.0, 최고는 4.0
(정답률: 알수없음)
  • KS D 0277은 주강품의 복합 필름에 대한 시험 방법을 규정하는 표준입니다. 이 시험 방법에서는 복합 필름을 2장 포개서 관찰하고, 각각의 최저농도와 포갠 경우 최고 농도를 측정합니다.

    최저농도는 복합 필름에서 검출 가능한 최소 농도를 의미합니다. 이 값은 시험 방법에 따라 다르며, KS D 0277에서는 0.8 mg/m² 이상의 농도를 검출할 수 있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반면, 포갠 경우 최고 농도는 복합 필름에서 검출 가능한 최대 농도를 의미합니다. 이 값은 시험 방법에 따라 다르며, KS D 0277에서는 4.0 mg/m² 이하의 농도를 검출할 수 있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최저는 0.8, 최고는 4.0" 인 것이 정답입니다. 이유는 KS D 0277에서 이러한 값이 규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KS B 0845에 의한 계조계의 종류, 구조, 치수 및 재질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계조계의 종류로는 15형, 25형, 35형이 있다.
  2. 계조계의 두께에 대한 치수 허용차는 ±5%이다.
  3. 계조계의 한 변의 길이에 대한 치수 허용차는 ±5mm이다.
  4. 계조계의 재질은 KS D 3503에 규정하는 강재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계조계의 종류로는 15형, 25형, 35형이 있다."입니다. KS B 0845은 계조계의 종류, 구조, 치수 및 재질에 대한 규정을 다루는 표준이지만, 실제로는 15형, 25형, 35형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계조계가 존재합니다. 따라서 이 문장은 잘못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기기 중 설명이 잘못된 것은?

  1. TLD(티엘디)는 개인 피폭선량 측정용이다.
  2. 서베이메터는 교정하지 않아도 된다.
  3. 동위원소 회수시 서베이메터로 관찰해야 한다.
  4. 포켓도시메터로 선량율을 측정해서는 안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서베이메터는 교정하지 않아도 된다.

    서베이메터는 측정된 값을 직접 표시하는 기기이기 때문에 교정이 필요하지 않다. 하지만, 서베이메터를 사용하기 전에는 반드시 배경선량을 측정하여 미세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서베이메터를 사용하기 전에는 교정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어떤 방사성 동위원소로부터 5m 떨어진 곳의 선량율이 100mR/h 이었다면 10m 떨어진 곳의 선량율은?

  1. 50mR/h
  2. 0.5R/h
  3. 25mR/h
  4. 0.25R/h
(정답률: 알수없음)
  • 방사성 동위원소의 방사능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역사각 법칙에 따라, 거리가 2배 멀어지면 선량율은 4배 감소한다. 따라서 10m 떨어진 곳의 선량율은 5m 떨어진 곳의 선량율의 4분의 1인 25mR/h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5mR/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10밀리램(10mrem)은 몇 램(rem)인가?

  1. 0.001램
  2. 0.01램
  3. 0.1램
  4. 1램
(정답률: 알수없음)
  • 1램은 1000밀리램이므로, 10밀리램은 0.01램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원자력법에서 규정한 “선량한도”의 설명으로 바른 것은?

  1. 외부에 피폭하는 방사선량에서 내부에 피폭하는 방사선량을 뺀 피폭방사선량의 상한 값을 말한다.
  2. 외부에 피폭하는 방사선량과 내부에 피폭하는 방사선량을 합한 피폭방사선량의 상한 값을 말한다.
  3. 내부에 피폭하는 방사선량에서 외부에 피폭하는 방사선량을 뺀 피폭방사선량의 하한 값을 말한다.
  4. 외부에 피폭하는 방사선량과 내부에 피폭하는 방사선량을 합한 피폭방사선량의 하한 값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원자력법에서 규정한 "선량한도"는 외부에 피폭하는 방사선량과 내부에 피폭하는 방사선량을 합한 피폭방사선량의 상한 값을 말합니다. 이는 인체가 일정 기간 동안 받을 수 있는 최대 방사선량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이 값을 초과하면 인체에게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원자력 발전소나 방사선 관련 시설에서는 이 값을 준수하기 위한 방사선 관리가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KS B 0845에 의거 흠 상의 분류방법에서 시험시야는 어떻게 나누는가?

  1. 10 × 10, 10 × 20, 10 × 30
  2. 10 × 10, 10 × 20, 10 × 30, 10 × 50
  3. 10 × 10, 10 × 20, 10 × 50
  4. 10 × 10, 10 × 30, 10 × 50
(정답률: 알수없음)
  • KS B 0845에 의거하여 흠 상의 분류방법에서 시험시야는 크기에 따라 나누어지며, 크기는 시험대의 가로와 세로 길이로 결정된다. 따라서 "10 × 10, 10 × 20, 10 × 30"은 시험대의 가로와 세로 길이가 각각 10, 20, 30인 경우이므로 올바른 답이다. 나머지 보기들은 시험대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올바른 답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KS B 0845에 의해 강판 맞대기용접부의 모재두께가 22mm인 용접부를 촬영하고자할 때 필요한 계조계의 종류는?

  1. 10형
  2. 15형
  3. 20형
  4. 25형
(정답률: 알수없음)
  • KS B 0845은 강판 맞대기용접부의 모재두께에 대한 규정이다. 이 규정에 따르면 모재두께가 22mm인 용접부를 촬영할 때 필요한 계조계의 종류는 20형이다. 이는 모재두께가 20mm에서 25mm 범위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20형 계조계를 사용하여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KS B 0845에 의한 투과사진의 흠의 상 분류방법을 설명한 것이다. 틀린 것은?

  1. 가늘고 긴 슬러그 말아 넣음은 길이를 구하였다.
  2. 둥근 블로홀은 흠 점수를 구하였다.
  3. 갈라짐은 항상 3류로 분류하였다.
  4. 텅스텐 말아 넣음은 흠 점수를 구하였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갈라짐은 항상 3류로 분류하였다."가 틀린 것입니다. 갈라짐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1류, 2류, 3류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KS D 0242의 알루미늄용접부에 대한 투과사진의 흠집모양의 분류시 3종류의 흠집수가 연속하여 시험시야의 몇 배를 넘어서 존재하는 경우 4종류로 하는가?

  1. 2배
  2. 3배
  3. 4배
  4. 5배
(정답률: 알수없음)
  • 알루미늄용접부에 대한 투과사진의 흠집모양의 분류는 ISO 5817 표준에 따라 이루어진다. 이 표준에서는 흠집의 크기에 따라 3종류로 분류하고 있으며, 이 중 가장 큰 흠집의 크기가 시험시야의 3배를 넘어서면 4종류로 분류한다. 따라서 정답은 "3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KS B 0845에 의한 강관의 원둘레 용접이음부를 방사선투과 시험할 때 촬영방법에 따른 투과사진의 상질의 종류를 바르게 연결한 것은?

  1. 내부선원 촬영방법 : A급, P1급, P2급
  2. 내부필름 촬영방법 : A급, B급, P2급
  3. 2중벽 편면 촬영방법 : B급, P1급, P2급
  4. 2중벽 양면 촬영방법 : P1급, P2급
(정답률: 알수없음)
  • KS B 0845에 따른 강관의 원둘레 용접이음부를 방사선투과 시험할 때, 2중벽 양면 촬영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 방법은 용접이음부의 양쪽 면을 동시에 촬영하여 두 면의 정보를 동시에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방법은 P1급과 P2급의 상질을 얻을 수 있으며, 이는 용접이음부의 결함을 식별하기에 충분한 상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γ선 조사기에 사용하는 차폐 재료로 가장 좋은 것은?

  1. 우라늄
  2. 콘크리트
(정답률: 알수없음)
  • 우라늄은 고밀도이며, 높은 원자번호를 가지고 있어서 γ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γ선 조사기에 사용하는 차폐 재료로 가장 좋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KS D 0242 알루미늄 평판 접합 용접부의 방사선투과시험시 선원과 투과도계 사이의 거리는 시험부의 유효길이의 몇배 인상인가? (단, 상질은 A급이다.)

  1. 2배
  2. 3배
  3. 5배
  4. 7배
(정답률: 알수없음)
  • 알루미늄은 상질이 A급이므로, 방사선투과시험에서 선원과 투과도계 사이의 거리는 시험부의 유효길이의 2배여야 합니다. 이는 상질이 A급인 재료의 경우, 방사선투과시험에서 선원과 투과도계 사이의 거리가 시험부의 유효길이의 2배여야 한다는 규정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주강품의 방사선투과시험방법(KS-D-0227, 1996년)에 따른 촬영배치에 대해 서술하였다. 틀린 것은?

  1. 투과도계는 시험부의 두께변화가 적은 경우는 그 두께를 대표하는 곳에 1개를 놓는다.
  2. 관모양의 시험체는 원칙적으로 시험부의 선원쪽 면 위에 투과도계를 놓는다.
  3. 투과도계의 개수는 원칙적으로 투과사진마다 1개 이상으로 한다.
  4. 계조계는 원칙적으로 투과사진마다 1개 이상으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계조계는 원칙적으로 투과사진마다 1개 이상으로 한다."이 맞는 것이며, 이유는 계조계는 촬영시간, 방사선량 등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시험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투과사진마다 최소 1개 이상의 계조계를 사용하여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금속재료일반 및 용접 일반

41. 인터넷 상에서 전화를 걸 수 있는 기술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VolP
  2. VOD
  3. AOD
  4. ADSL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VolP"입니다. VolP는 Voice over Internet Protocol의 약자로, 인터넷을 통해 음성 통화를 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즉, 인터넷 상에서 전화를 걸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합니다. VOD는 Video on Demand, AOD는 Audio on Demand, ADSL은 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의 약자로, 모두 인터넷과 관련된 기술이지만, 전화를 걸 수 있는 기술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Windows에서 파일 삭제 시 휴지통에 버리지 않고 바로 삭제하려면?

  1. Delete 키를 누른다.
  2. Alt 키를 누른 상태에서 Del 키를 누른다.
  3. Ctrl 키를 누른 상태에서 Del 키를 누른다.
  4. Shift 키를 누른 상태에서 Del 키를 누른다.
(정답률: 알수없음)
  • Shift 키를 누른 상태에서 Del 키를 누르면 파일이 휴지통으로 이동하지 않고 바로 삭제되기 때문입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영구 삭제" 또는 "휴지통 우회 삭제"라고도 불립니다. 다른 키를 누른 상태에서 Del 키를 누르면 파일이 휴지통으로 이동하거나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컴퓨터를 사용할 때 일반적으로 올바른 작업 자세가 아닌 것은?

  1. 손등은 팔과 수평이 되도록 유지한다.
  2. 무릎의 각도는 90도 이상을 유지하도록 한다.
  3. 키보드의 위치는 심장보다 높게 위치해야 한다.
  4. 화면보다 눈높이가 조금 높아 화면을 약간 아래로 보는 것이 좋다.
(정답률: 알수없음)
  • 키보드의 위치가 심장보다 높으면 팔과 어깨가 지나치게 들어올라가게 되어 근육과 뼈에 부담이 가게 되고, 장시간 사용할 경우 피로와 통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키보드의 위치는 심장보다 낮게 위치해야 올바른 작업 자세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컴퓨터가 부팅(booting)된 후에 할 수 있는 작업에 대한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1. 명령 프롬프트(command prompt)에 시스템 명령을 입력 할수 있다.
  2.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문서를 인쇄할 수 있다.
  3. 컴퓨터를 꺼도 다시 부팅할 필요가 없다.
  4.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컴퓨터를 꺼도 다시 부팅할 필요가 없다."는 맞지 않는 설명입니다. 컴퓨터를 꺼서 다시 켤 때마다 부팅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부팅은 컴퓨터가 켜질 때 운영체제를 로드하고 시스템을 초기화하는 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인터넷 도메인 이름의 부여 원칙 중 기관분류 구분이 서로 틀리게 짝지어진 것은?

  1. go - gov
  2. co - com
  3. ac - edu
  4. re - net
(정답률: 알수없음)
  • "re - net"이 정답인 이유는, "re"은 기관분류로서 "조직 재편, 재정리"를 의미하고, "net"은 기관분류로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를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기관분류와 도메인 이름의 용도가 일치하게 짝지어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정육각기둥의 꼭지점과 위, 아래 면의 중심 그리고 정육각기둥의 형상을 하고 있는 6개의 정삼각기둥 중 1개 또는 삼각기둥의 중심에 1개씩의 원자가 있는 것은?

  1. 체심입장격자
  2. 면심입장격자
  3. 조밀육방격자
  4. 저심면방격자
(정답률: 알수없음)
  • 정육각기둥의 꼭지점과 위, 아래 면의 중심 그리고 정육각기둥의 형상을 하고 있는 6개의 정삼각기둥 중 1개 또는 삼각기둥의 중심에 1개씩의 원자가 있는 것은 "조밀육방격자" 입니다. 이유는 조밀육방격자는 각 원자가 8개의 이웃 원자와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며, 이웃 원자와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조밀육방격자는 결정 구조가 가장 안정적이며, 고체 물질의 대부분은 이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금속재료의 화학적 성질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수소보다 이온화 경향이 적은 금속은 산에 작용하기 힘들다.
  2. 금속은 산과 작용해서 염을 만들고 염은 수용액중에서 전리하여 양이온이 된다.
  3. 이온화 경향이 큰 것은 화합물이 생기기 어렵고 화합물은 안정하다.
  4. 금속의 산화는 온도가 높을수록, 산소가 금속 내부로 확산 하는 속도가 클수록 빨리 진행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온화 경향이 큰 것은 화합물이 생기기 어렵고 화합물은 안정하다."가 틀린 것입니다.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은 화합물을 쉽게 형성하며, 이온화 경향이 작은 금속은 화합물을 형성하기 어렵습니다. 이는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은 자신의 전자를 잃어버리기 쉽기 때문에 다른 원자와 결합하여 안정성을 확보하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은 화합물을 형성하기 쉽고, 안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강도와 경도가 큰 순서로 맞게 짝지어진 것은?

  1. 마텐자이트>트루스타이트>소르바이트>펄라이트>오스테나이트
  2. 마텐자이트>소르바이트>트루스타이트>오스테나이트>펄라이트
  3. 마텐자이트>트루스타이트>오스테나이트>펄라이트>소르바이트
  4. 마텐자이트>소르바이트>펄라이트>트루스타이트>오스테나이트
(정답률: 알수없음)
  • 강도와 경도는 금속의 물리적 특성을 나타내는데, 이 중에서도 마텐자이트는 가장 높은 강도와 경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마텐자이트가 가장 강하고 경직성이 높은 금속이며, 그 다음으로는 트루스타이트, 소르바이트, 펄라이트, 오스테나이트 순으로 강도와 경도가 낮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6.67%의 C(탄소)를 포함되었을 때 C와 Fe의 화합물은?

  1. 시멘타이트
  2. 페라이트
  3. 오스테나이트
  4. 마텐자이트
(정답률: 알수없음)
  • C(탄소)와 Fe(철)의 화합물은 철탄소계열의 화합물로, 탄소의 함량에 따라 다양한 상이 존재합니다. 이 중에서도 6.67%의 탄소를 포함하는 화합물은 시멘타이트입니다. 시멘타이트는 철과 탄소가 균일하게 혼합된 상태로 존재하며, 강철 제조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공석강의 탄소함유량은 약 얼마인가?

  1. 0.15%
  2. 0.8%
  3. 2.0%
  4. 4.3%
(정답률: 알수없음)
  • 공석강의 탄소함유량은 0.8%입니다. 이는 공석강이 탄소강에 비해 탄소 함유량이 적지만, 일반적인 구조용강에 비해서는 높은 편에 속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우라늄과 토륨은 무엇으로 사용하는가?

  1. 강의 탈산제
  2. 구리 합금
  3. 도장 재료
  4. 원자로용 1차 금속
(정답률: 알수없음)
  • 우라늄과 토륨은 핵분열 반응에서 중요한 연료로 사용됩니다. 이러한 연료는 원자로에서 사용되며, 이를 위해 원자로 내부에서는 높은 온도와 압력이 발생합니다. 이에 따라 원자로 내부에서는 매우 강한 내식성과 내열성을 가진 금속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금속 중 하나가 바로 "원자로용 1차 금속"입니다. 따라서 우라늄과 토륨은 원자로용 1차 금속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그림의 상태도에서 E점에서의 반응점은?

  1. 공정점
  2. 포석점
  3. 편정점
  4. 편석점
(정답률: 알수없음)
  • 그림에서 E점은 노란색 물질이 추가되어 반응이 일어나는 지점입니다. 이때 노란색 물질은 석탄과 공기가 혼합된 가스인 화석 연료입니다. 따라서 이 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인 편정점이 E점에서 위치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샤르피 충격시험으로부터 알 수 있는 연성-취성, 천이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체심입방정(BCC) 금속에서 잘 나타나지 않고, 면심입방정(FCC) 금속에서 잘 나타난다.
  2. 흡수에너지나 파면을 관찰하여 알 수 있다.
  3. 천이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연성파괴가 일어난다.
  4. 결정립이 미세할수록 천이온도가 높아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흡수에너지나 파면을 관찰하여 알 수 있다."입니다.

    샤르피 충격시험은 금속의 연성과 취성, 천이현상 등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입니다. 이 실험에서는 특정한 모양의 샘플을 만들고, 그 샘플에 일정한 에너지를 가해서 파면을 만들어냅니다. 이때 파면의 형태와 크기, 그리고 파면을 만들기까지 필요한 에너지를 측정하여 연성과 취성, 천이현상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흡수에너지나 파면을 관찰하여 알 수 있다."는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모넬메탈, 양백 등의 납땜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1. 금납
  2. 은납
  3. 황동납
  4. 철납
(정답률: 알수없음)
  • 은납은 납과 은을 혼합한 합금으로, 높은 인장강도와 우수한 전기전도성을 가지고 있어서 모넬메탈, 양백 등의 납땜에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은의 높은 열전도성으로 인해 땜합이 빠르고 깨끗하게 이루어지며, 납의 높은 용융점으로 인해 땜합이 튼튼하게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은납은 납땜에 가장 적합한 재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단면적이 2cm2의 철구조물이 5,000kgf의 하중에서 균열이 발생될 때의 압축응력(kgf/cm2)은?

  1. 1,000 kgf/cm2
  2. 2,500 kgf/cm2
  3. 3,500 kgf/cm2
  4. 4,000 kgf/cm2
(정답률: 알수없음)
  • 압축응력은 하중을 단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압축응력 = 하중/단면적 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에서는 하중이 5,000kgf이고 단면적이 2cm2이므로, 압축응력은 5,000kgf/2cm2 = 2,500 kgf/cm2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500 kgf/cm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담금질의 주 목적을 설명한 것은?

  1. 강을 Ac3-Ac1점 이하의 저온에서 서냉시키고 A1변태를 중지시켜 인성을 저하시킨다.
  2. 강을 Ac3-Ac1점 이상의 고온에서 서냉시키고 A1변태를 중지시켜 경도를 저하시킨다.
  3. 강을 Ac3-Ac1점 이하의 저온에서 급냉시키고 A1 중지시켜 인성을 증가시킨다.
  4. 강을 Ac3-Ac1점 이상의 고온에서 급냉시키고 A1 중지시켜 경도를 증가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강을 Ac3-Ac1점 이상의 고온에서 급냉시키고 A1 중지시켜 경도를 증가시킨다. 이유는 이러한 조건에서 강의 조직이 미세하게 변화하면서 경도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A1 변태를 중지시키면 강의 조직이 더욱 미세해지고, 이는 경도를 높이는데 기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철강에서 철 이외의 5대 원소는?

  1. 질소, 황, 인, 망간, 크롬
  2. 수소, 황, 인, 구리, 규소
  3. 탄소, 규소, 망간, 인, 황
  4. 수은, 규소, 니켈, 황, 인
(정답률: 알수없음)
  • 철강은 주로 철과 탄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러나 탄소 외에도 다른 원소들이 철강의 물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 탄소: 철강의 주요 구성 성분 중 하나로, 강도와 경도를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 규소: 철강의 내식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 망간: 철강의 강도와 경도를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 인: 철강의 가공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 황: 철강의 가공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철강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원소들이 함께 작용하여 원하는 물성을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일반적인 가스용접 작업에 가장 적합한 범위인 차광유리(Filter Glass)의 차광도 규격번호인 것은?

  1. 2 ~ 3
  2. 4 ~ 7
  3. 7 ~ 9
  4. 9 ~ 12
(정답률: 알수없음)
  • 가스용접 작업은 높은 열과 밝은 빛이 발생하므로 눈을 보호하기 위해 차광유리를 사용합니다. 이때, 너무 어두운 차광유리를 사용하면 작업물을 제대로 볼 수 없고, 너무 밝은 차광유리를 사용하면 눈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가스용접 작업에 가장 적합한 범위는 4 ~ 7입니다. 이 범위는 작업물을 제대로 볼 수 있으면서도 눈을 보호할 수 있는 적절한 차광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비금속 개재물이 원인이며 모서리, T이음 등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 강의 내부에 모재 표면과 평행하게 층상으로 발생하는 균열은?

  1. 라미네이션
  2. 델라이네이션
  3. 라멜라테어
  4. 재열균열
(정답률: 알수없음)
  • 강의 내부에 모재 표면과 평행하게 층상으로 발생하는 균열은 라멜라테어입니다. 라멜라테어는 비금속 개재물이 원인으로, 모서리나 T이음 등에서 발생하는 층상 균열을 말합니다. 이는 모재 내부에서의 응력 차이로 인해 발생하며, 라미네이션과 델라이네이션은 모재의 표면에서 발생하는 균열 현상이며, 재열균열은 열에 의해 발생하는 균열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저수소계 용접봉의 건조온도 및 시간으로 다음 중 가장 적당한 것은?

  1. 70 ~ 100[℃]로 1시간 정도
  2. 70 ~ 100[℃]로 2시간 정도
  3. 300 ~ 350[℃]로 1시간 정도
  4. 300 ~ 350[℃]로 2시간 정도
(정답률: 알수없음)
  • 저수소계 용접봉은 고온 및 고습환경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건조 시에는 높은 온도와 긴 시간이 필요합니다. 70 ~ 100℃로 1시간 정도 건조하면 충분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고, 70 ~ 100℃로 2시간 정도 건조하면 시간은 충분하지만 온도가 낮아서 건조 효과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300 ~ 350℃로 2시간 정도 건조하는 것이 가장 적당합니다. 이는 높은 온도와 긴 시간으로 인해 저수소계 용접봉 내부의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고, 내구성을 높여주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