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비파괴검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10-01)

방사선비파괴검사기능사
(2006-10-0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방사선투과시험법

1. 일반적인 X선 발생장치에서 관전압(kV)이 높고, 낮은 전류(mA)일때 나타나는 상태로 옳은 것은?

  1. X선의 강도는 낮고, 약한 선질의 X선
  2. X선의 강도는 높고, 약한 선질의 X선
  3. X선의 강도는 낮고, 강한 선질의 X선
  4. X선의 강도는 높고, 강한 선질의 X선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X선의 강도는 낮고, 강한 선질의 X선"입니다.

    이유는 관전압이 높을수록 X선의 에너지가 높아지기 때문에 강한 선질의 X선이 발생하게 됩니다. 하지만 전류가 낮을 경우에는 발생하는 X선의 양이 적어져서 X선의 강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관전압은 높지만 전류가 낮은 상태에서는 X선의 강도가 낮고, 강한 선질의 X선이 발생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X선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관전압은 음극과 양극사이의 전위차이다.
  2. 관전류는 텅스텐 필라멘트에 흐르는 전류이다.
  3. 실효초점의 크기는 실제초점의 크기보다 크다.
  4. X선관을 작동시키면 X선관 내에 열이 많이 발생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실효초점의 크기는 실제초점의 크기보다 크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이유는 X선관에서 X선을 발생시키기 위해 전자를 가속시키는 과정에서 전자들이 서로 밀집하여 상호작용하면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실제초점보다 더 큰 크기의 실효초점이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자분탐상 시험방법만으로 조합된 것은?

  1. 반사법과 공진법
  2. 투과법과 건식법
  3. 극간법과 프로드법
  4. 내삽법과 프로드법
(정답률: 알수없음)
  • 극간법과 프로드법은 모두 자분탐상 시험방법으로서, 샘플을 분석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극간법은 샘플을 전기적으로 활성화시켜 분석하는 방법이며, 프로드법은 샘플을 물질의 흡수선으로 측정하여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두 방법만으로 조합된 것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노출 조건이 20mA, 1분 일 때 양질의 투과사진 상을 얻었다. 다른 조건은 변함이 없고 관전류만 35mA로 하였을 때 노출 시간은 얼마로 하여야 동일한 사진의 상을 얻을 수 있는가?

  1. 25.1초
  2. 34.3초
  3. 42.5초
  4. 48.7초
(정답률: 알수없음)
  • 관전류가 20mA에서 35mA로 증가하면, 노출 시간은 역수로 비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노출 시간은 1분(60초)에서 60 x (20/35) = 34.3초가 된다. 이는 관전류가 20mA일 때와 동일한 양질의 투과사진 상을 얻기 위한 노출 시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방사선투과검사시 필름 현상처리 전에 나타난 인공결함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구겨짐 표시
  2. 눌림표시
  3. 언더컷 표시
  4. 정전기 표시
(정답률: 알수없음)
  • 인공결함은 방사선투과검사시 필름 현상처리 전에 발생하는 결함으로, 필름에 눌림, 구겨짐, 정전기 등의 영향으로 인해 나타납니다. 이 중에서 언더컷 표시는 필름의 가장자리 부분에 나타나는 결함으로, 필름을 자르거나 현상처리시 잘리는 부분을 표시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인공결함이 아니라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비파괴검사법 중 시험품을 검사할 때 침투탐상시험법과 같이 육안으로 직접 결함부 관찰이 가능한 시험법은?

  1. 누설검사법
  2. 방사선투과시험법
  3. 와전류탐상시험법
  4. 초음파탐상시험법
(정답률: 알수없음)
  • 누설검사법은 시험품 표면에 액체나 가스를 뿌리고, 결함부분에서 액체나 가스가 누설되어 나오는 것을 검출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육안으로 직접 결함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침투탐상시험법과 같이 육안으로 직접 결함부 관찰이 가능한 시험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방사선투과시험에서 증감효과가 가장 좋은 증감지(Screen)는?

  1. 납(lead)증감지
  2. 금(gold)증감지
  3. 동(copper)증감지
  4. 탄탈륨(tantalum)증감지
(정답률: 알수없음)
  • 방사선투과시험에서 증감지는 방사선을 투과시키는 물질로, 방사선이 증폭되어 검출되는 능력을 갖습니다. 이 중에서 탄탈륨 증감지는 높은 밀도와 고강도로 인해 방사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증폭시키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방사선투과시험에서 가장 좋은 증감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누설검사가 곤란한 것은?

  1. 용접부의 용접 내용검사
  2. 가스관 이음부의 불량검사
  3. 압력용기의 고온에 의한 터짐검사
  4. 검사체 내부의 텅스텐 혼입검사
(정답률: 알수없음)
  • 검사체 내부의 텅스텐 혼입검사는 누설검사가 아니라 불순물 검사이기 때문에 곤란하다. 누설검사는 검사 대상물질이 누설되는 것을 검출하는 것이지만, 텅스텐 혼입검사는 검사 대상물질 내부에 텅스텐이 혼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따라서 누설검사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강 용접부의 두께가 80mm일 때 사용되는 방사선투과촬영기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150kV X-선 발생장치
  2. 300kV X-선 발생장치
  3. Ir-192 γ-선 발생장치
  4. Co-60 γ-선 발생장치
(정답률: 알수없음)
  • 강 용접부의 두께가 80mm이므로, 두꺼운 물질을 투과할 수 있는 고에너지 방사선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가장 적절한 것은 Co-60 γ-선 발생장치입니다. Co-60은 고에너지 γ-선을 방출하며, 두꺼운 물질을 투과할 수 있습니다. 또한, Co-60은 방사성 동위원소로서 장기간 방사능을 유지할 수 있어, 장시간 사용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방사선투과시험시 필름 현상처리액 중 강알칼리성인 것은?

  1. 현상액
  2. 정지액
  3. 정착액
  4. 수세액
(정답률: 알수없음)
  • 방사선투과시험에서 필름을 현상하는 과정에서는 현상액이 사용됩니다. 현상액은 필름에 노출된 은화학물질을 화학적으로 확산시켜 검은색 이미지를 형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강알칼리성인 현상액은 pH가 높아서 은화학물질을 빠르게 확산시키는 특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방사선투과시험에서는 강알칼리성인 현상액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촬영할 시험편 주위의 불필요한 1차 방사선을 차폐 또는 흡수하여 산란 방사선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은?

  1. 후면에 스크린을 설치한다.
  2. 필터를 사용하여 방사선을 흡수한다.
  3. 납증감지를 사용하여 방사선을 제거한다.
  4. 시험편을 주위에 납판을 두른다.
(정답률: 알수없음)
  • 납은 고밀도의 금속으로, 방사선을 흡수하는 능력이 높습니다. 따라서 시험편 주위에 납판을 두면, 시험편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1차 방사선을 차폐하여 산란 방사선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방사선투과 촬영시 산란방사선을 방지하고 조사범위를 조절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이 아닌 것은?

  1. 콘(Cone)
  2. 콜리메타(Collimeter)
  3. 조리개(diaphragm)
  4. 연박스크린(lead screen)
(정답률: 알수없음)
  • 연박스크린은 방사선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지만, 조사범위를 조절하거나 산란방사선을 방지하는 역할은 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연박스크린은 이 문제의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방사선 투과사진의 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중에서 피사체의 명암도(contrast)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볼 수 없는 것은?

  1. 방사선 선질
  2. 필름의 종류
  3. 산란 방사선
  4. 시험체의 두께
(정답률: 알수없음)
  • 방사선 투과사진의 감도는 피사체의 명암도(contrast)에 영향을 받습니다. 즉, 피사체의 밝기와 어두움의 차이가 클수록 감도가 높아집니다. 반면에 필름의 종류는 감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필름의 종류는 주로 해상도나 노이즈 등의 품질적인 측면에 영향을 미치며, 감도는 방사선 선질, 산란 방사선, 시험체의 두께 등의 인자에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필름의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모세관 현상을 응용하여 균열을 검사하는 비파괴검사법은?

  1. 침투탐상시험
  2. 자분탐상시험
  3. 방사선탐상시험
  4. 초음파탐상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모세관 현상은 표면의 균열이나 결함에서 액체나 가스가 흡입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를 응용하여 침투탐상시험은 표면에 침투액을 뿌리고 그 위에 반응액을 뿌려 결함 부분에서 액체가 흡입되어 반응액이 침투액과 반응하여 결함을 검출하는 비파괴검사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침투탐상시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α, β, γ 방사선 중 이온화 작용이 큰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α, β, γ
  2. γ, β, α
  3. β, γ, α
  4. γ, α, β
(정답률: 알수없음)
  • 이온화 작용은 원자나 분자에서 전자를 제거하여 이온을 생성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 때, 이온화 작용이 큰 순서는 방사선의 에너지와 관련이 있습니다.

    α, β, γ 방사선은 각각 헬륨 핵, 전자, 전자기파를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중에서 α 방사선은 가장 높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으며, 이온화 작용 역시 가장 큽니다. 그 다음으로 β 방사선이 그 다음으로 큰 이온화 작용을 가지며, 마지막으로 γ 방사선은 가장 낮은 이온화 작용을 가집니다.

    따라서, 이온화 작용이 큰 순서대로 나열하면 "α, β, γ"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산란선을 제거하기 위해 X선관에 부착되어 있지 않는 것은?

  1. 여과판(Filter)
  2. 조리개(Diaphragm)
  3. 콘(Cone)
  4. 마스크(Mask)
(정답률: 알수없음)
  • 산란선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X선을 직접적으로 방출하는 부분을 막아야 합니다. 따라서 X선관에 부착되어 있는 여과판과 조리개, 콘은 X선을 방출하는 부분을 가리는 역할을 하지만 마스크는 그렇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마스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X선과 γ선의 차이를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X선과 γ선은 발생하는 원리가 다르다.
  2. X선은 조절이 어려우나 γ선의 에너지는 임의로 조절이 가능하다.
  3. X선은 전원이 필요하나 γ선은 필요치 않다.
  4. 사용하지 않을 때도 γ선원은 차폐를 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X선은 전자가 고속으로 충돌하여 발생하는 반면, γ선은 원자핵의 방사능으로 발생한다. 이에 따라 γ선은 원자핵의 구조에 따라 발생하는 에너지를 조절할 수 있으나, X선은 전자의 속도나 충돌 각도 등을 조절하기 어렵기 때문에 에너지를 조절하기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400GBq인 방사성 동위원소가 있다. 세 반감기가 지난후의 방사능은?

  1. 50GBq
  2. 67GBq
  3. 100GBq
  4. 133GBq
(정답률: 알수없음)
  • 반감기가 지난 후의 방사능은 원래 방사능의 1/8이 된다. 따라서, 400GBq의 방사능이 세 번의 반감기를 거치면 400/2/2/2 = 50GBq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50GBq"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방사선투과시험시 필름을 수동현상할 때 최대효과를 얻기 위한 용액의 온도 범위는?

  1. 12℃ ~ 15℃
  2. 18℃ ~ 22℃
  3. 24℃ ~ 28℃
  4. 30℃ ~ 40℃
(정답률: 알수없음)
  • 방사선투과시험에서 필름을 수동현상할 때, 온도가 너무 낮으면 용액의 활동성이 떨어져 현상이 더디게 일어나고, 온도가 너무 높으면 필름의 이미지 품질이 떨어지기 때문에 적절한 온도 범위를 유지해야 합니다. 이에 따라 방사선투과시험에서 필름을 수동현상할 때 최대효과를 얻기 위한 용액의 온도 범위는 18℃ ~ 2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초음파탐상시험에 사용되는 기계적, 전기적으로 안정하고 액체에 불용성이며 사용수명이 긴 진동자로 만든 탐촉자인 것은?

  1. 황산리튬
  2. 티탄산바륨
  3. 수정
  4. 로켈레(Rochelle)염
(정답률: 알수없음)
  • 초음파탐상시험에서 사용되는 탐촉자는 액체에 불용성이어야 하므로 황산리튬과 티탄산바륨은 제외됩니다. 또한, 로켈레(Rochelle)염은 사용수명이 짧기 때문에 정답은 "수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방사선안전관리 관련규격

21. 다음 중 와전류탐상시험과 관련한 인자가 아닌 것은?

  1. 표준침투깊이
  2. 시험주파수
  3. 전기전도도
  4. 인장허용응력
(정답률: 알수없음)
  • 와전류탐상시험은 금속 또는 합금의 표면 결함을 검출하는 비파괴 검사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시험에서 사용되는 인자들은 모두 시험 대상물의 전기적 특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하지만 "인장허용응력"은 시험 대상물의 기계적 특성 중 하나로, 와전류탐상시험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인장허용응력은 재료의 인장강도와 관련이 있으며, 시험 대상물의 내구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인장허용응력"은 와전류탐상시험과 관련이 없는 인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방사선투과사진의 명료도(또는 선명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가 아닌 것은?

  1. 필름의 종류
  2. 초점-필름간 거리
  3. 방사선 선질
  4. 침투시간 및 노출시간
(정답률: 알수없음)
  • 침투시간 및 노출시간은 방사선투과사진의 명료도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침투시간은 X선이 물질을 통과하는 시간을 의미하며, 노출시간은 X선을 발생시키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이 두 가지 요소는 방사선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지만, 명료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명료도는 필름의 종류, 초점-필름간 거리, 방사선 선질 등의 요소에 영향을 받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방사선투과검사시 필름건조기 내부의 온도는 얼마가 적정한가?

  1. 약 20℃
  2. 약 40℃
  3. 약 80℃
  4. 약 100℃
(정답률: 알수없음)
  • 방사선투과검사시 필름건조기 내부의 온도는 약 40℃가 적정하다. 이는 필름의 건조 속도와 필름의 품질을 동시에 고려한 결과이다. 너무 낮은 온도에서는 필름이 제대로 건조되지 않아 이미지 품질이 떨어지고, 너무 높은 온도에서는 필름이 변형되거나 손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약 40℃가 적정한 온도로 판단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노출도표는 특정 조건하에서 적용되는데 이 표에 고정되는 조건이 아닌 것은?

  1. 스크린의 종류
  2. 기준이 되는 사진농도
  3. 필름의 종류
  4. 노출시간
(정답률: 알수없음)
  • 노출도표는 스크린의 종류, 기준이 되는 사진농도, 필름의 종류에 따라서 적용되는데, 노출시간은 이러한 조건들에 따라서 결정되는 값이기 때문에 고정되는 조건이 아닙니다. 따라서 노출시간은 노출도표에 고정되는 조건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핵연료봉과 같은 높은 방사성 물질의 내부결함검사에 적합한 비파괴검사법은?

  1. 방사선투과검사
  2. 와전류탐상검사
  3. 자분탐상검사
  4. 중성자투과검사
(정답률: 알수없음)
  • 핵연료봉과 같은 높은 방사성 물질은 강한 방사선을 방출하므로, 방사선투과검사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와전류탐상검사와 자분탐상검사는 표면 결함 검사에 적합하며, 내부 결함 검사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하지만 중성자투과검사는 중성자를 이용하여 물질의 내부를 비파괴적으로 검사할 수 있으므로, 핵연료봉과 같은 높은 방사성 물질의 내부 결함 검사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중성자투과검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강 용접 이음부의 방사선투과 시험방법(KS B 0845)에서 규정하는 강판 맞대기 용접 이음부의 상질의 종류에 따른 투과 사진 농도 범위로 옳은 것은?

  1. 상질 A급: 2.0 이상 4.5 이하
  2. 상질 B급: 1.5 이상 4.5 이하
  3. 상질 A급: 1.3 이상 4.0 이하
  4. 상질 B급: 2.0 이상 4.0 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강판 맞대기 용접 이음부의 상질 A급은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와 인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용접 과정에서 발생하는 응력과 변형을 잘 견딜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런 상질 A급 이음부는 투과 사진에서 밝기가 높게 나타나며, 농도가 높아집니다. 이에 따라 KS B 0845에서는 상질 A급의 투과 사진 농도 범위를 1.3 이상 4.0 이하로 규정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의 방사선 측정기 중 여기작용에 의하여 발생되는 형광의 방출을 이용한 것은?

  1. GM 계수기(GM counter)
  2. 신틸레이션 계수기(Scintillation counter)
  3. 이온 전리함(Lonization chamber)
  4. 비례 계수기(Proportional counter)
(정답률: 알수없음)
  • 신틸레이션 계수기는 방사선과 상호작용하여 발생하는 광자를 감지하여 형광을 방출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이를 이용하여 방사선의 측정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여기작용에 의하여 발생되는 형광의 방출을 이용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0.1Sv 는 몇 mSv 인가?

  1. 1
  2. 10
  3. 100
  4. 1000
(정답률: 알수없음)
  • 0.1Sv는 100mSv입니다. 이는 밀리 (m)가 1/1000의 값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0.1Sv를 밀리시버트(mSv)로 변환하면 100mSv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강 용접 이음부의 방사선투과 시험방법(KS B 0845)에서 용접 이음부의 덧살을 제거하여 촬영해야 하는 투과사진 상질의 종류는?

  1. A급
  2. B급
  3. F급
  4. P1급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B급"입니다.

    KS B 0845에서는 강 용접 이음부의 방사선투과 시험방법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 때, 용접 이음부의 덧살을 제거하여 촬영해야 하는 투과사진 상질의 종류는 A급, B급, F급, P1급 중에서 선택됩니다.

    이 중 B급은 일반적으로 용접 이음부에서 발견되는 결함 중에서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분류됩니다. B급 결함은 용접 이음부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용접 부위의 내구성과 안전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B급 결함이 발견되면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강 용접 이음부의 방사선투과 시험방법에서는 용접 이음부의 덧살을 제거하여 촬영할 때, B급 결함을 발견할 수 있도록 상질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강 용접 이음부의 방사선투과 시험방법(KS B 0845)에서 규정한 제1종 결함에 해당하는 것은?

  1. 슬래그 혼입
  2. 둥근 블로홀
  3. 텅스텐 혼입
  4. 갈라짐
(정답률: 알수없음)
  • 강 용접 이음부의 방사선투과 시험방법(KS B 0845)에서 제1종 결함은 용접부에 허용되는 결함 중 가장 심각한 결함으로, 안전성과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결함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둥근 블로홀"은 용접부에서 발생하는 결함 중 하나로, 용접 과정에서 용접재료가 충분히 용융되지 않아 공기가 포집되어 구멍이 생기는 결함입니다. 이러한 결함은 용접부의 강도를 감소시키고, 누수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제1종 결함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Co-60 을 1m 거리에서 측정한 감사선량율이 100mR/h라면 2m 거리에서의 선량율은?

  1. 25mR/h
  2. 50mR/h
  3. 100mR/h
  4. 200mR/h
(정답률: 알수없음)
  • 감마선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감소합니다. 따라서 2m 거리에서의 감사선량율은 1m 거리에서의 감사선량율의 제곱의 역수인 1/4배가 됩니다. 따라서 100mR/h의 1/4배인 25mR/h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방사선 피폭에 의한 장해로 볼 수 없는 것은?

  1. 백혈병
  2. 탈모
  3. 위산과다
  4. 백내장
(정답률: 알수없음)
  • 위산과다는 방사선 피폭에 의한 장해가 아닙니다. 위산과다는 위 내 산도가 높아져 위산이 과다하게 분비되는 상태로, 대부분은 식습관이나 스트레스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일반인에 대한 연간 유효선량한도는 얼마로 규정하고 있는가?

  1. 1 밀리시버트
  2. 10밀리시버트
  3. 75밀리시버트
  4. 150밀리시버트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인에 대한 연간 유효선량한도는 1밀리시버트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인체에 노출되는 방사선의 양이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되어야 건강에 해가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한도를 초과하면 방사선에 노출된 경우 건강에 해를 끼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방사선 관련 작업을 수행하는 직업군이나 방사선 치료를 받는 환자 등은 이 한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수시출입자 및 운반 종사자의 손ㆍ발 및 피부에 대한 연간 등가선량한도는 얼마를 초과하여서는 아니 되는가?

  1. 1 시버트
  2. 5시버트
  3. 15밀리시버트
  4. 50밀리시버트
(정답률: 42%)
  • 수시출입자 및 운반 종사자는 방사선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은 직업군이므로, 그들의 안전을 위해 연간 등가선량한도가 정해져 있습니다. 이 한도는 손ㆍ발 및 피부에 대한 것으로, 50밀리시버트로 정해져 있습니다. 이는 손ㆍ발 및 피부가 방사선에 노출될 경우에도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50밀리시버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주강품의 방사선투과 시험방법(KS D 0227)에 따른 검사결과가 갈라짐으로 나타났다. 이 투과사진 흠의 영상분류는?

  1. 1류
  2. 2류
  3. 4류
  4. 6류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6류"입니다. 이유는 주어진 보기 중에서 이 투과사진은 검은색 영역이 많이 나타나며, 밝은 선이 거의 보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특징은 6류로 분류되는 것을 나타냅니다. 6류는 투과물질이 매우 밀도가 높아서 방사선이 거의 통과하지 못하는 경우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알루미늄 평판 접한 용접부의 방사선투과 시험방법(KS D 0242)으로 검사할 때 규정된 계조계의 종류에 해당되지않는 것은?

  1. B1형
  2. D2형
  3. E3형
  4. F0형
(정답률: 알수없음)
  • 알루미늄 평판 접한 용접부의 방사선투과 시험방법(KS D 0242)에서 규정된 계조계의 종류는 B1형, D2형, E3형, F0형이 있습니다. 이 중 B1형은 검사 대상물질의 두께가 10mm 이하인 경우에 사용하는 계조계입니다. 따라서 알루미늄 평판 접한 용접부의 경우 두께가 10mm 이상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B1형 계조계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알루미늄 주물의 방사선투과 시험방법 및 투과사진의 등급분류 방법(KS D 0241)에 따라 감도 및 식별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증감지의 두께는 얼마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좋은가?

  1. 0.02 ~ 0.25인치
  2. 0.02 ~ 0.25mm
  3. 1 ~ 2인치
  4. 1 ~ 2mm
(정답률: 알수없음)
  • 알루미늄 주물의 방사선투과 시험에서 증감지는 방사선을 통과하는 두께를 조절하여 감도와 식별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증감지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방사선을 통과하지 못하여 감도와 식별도가 낮아지고, 너무 두껍게 되면 방사선이 흡수되어 감도와 식별도가 떨어집니다. 따라서 적절한 두께를 유지하기 위해 KS D 0241에서는 증감지의 두께를 0.02 ~ 0.25mm 범위 내로 권장하고 있습니다. 이 범위 내에서 적절한 두께를 선택하면 감도와 식별도를 최대한 유지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 범위를 벗어나므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강 용접부의 방사선투과 시험방법(KS B 0845)에 따른 강판 맞대기 용접 이음부의 촬영방법 및 투과사진의 필요 조건에 관한 설명이다. 다음 중 틀린 것은?

  1. 투과사진의 상질은 A급 및 B급으로 한다.
  2. 투과사진은 원칙적으로 시험부를 투과하는 두께가 최소가 되는 방향에서 방사선을 조사하여 촬영한다.
  3. 투과도계와 필름간의 거리가 식별 최소 선지름의 10배 이상 떨어지면 투과도계를 필름 쪽에 둘 수 있다.
  4. 계조계는 모재의 두께가 100mm이상인 용접 이음부에 대해서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계조계는 모재의 두께가 100mm이상인 용접 이음부에 대해서 사용한다." 이유는, 이보다 얇은 모재에서는 계조계의 감도가 낮아서 적용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보다 얇은 모재에서는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정답: "투과도계와 필름간의 거리가 식별 최소 선지름의 10배 이상 떨어지면 투과도계를 필름 쪽에 둘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강 용접 이음부의 방사선투과 시험방법(KS B 0845)에 규정한 투과도계의 사용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일반적으로 시험부 선원측 표면에 유효길이 내의 양끝부근에 각 1개를 놓는다.
  2. 투과도계의 가는 선이 시험체의 안쪽에 놓이도록 조치하여 놓는다.
  3. 특별히 투과도계를 필름 쪽에 놓을 때는 투과도계 각각의 부분에 B의 기호를 붙인다.
  4. 시험부 유효길이가 투과도계 나비의 5배인 이상인 경우 중앙에 1개를 둘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으로 시험부 선원측 표면에 유효길이 내의 양끝부근에 각 1개를 놓는 이유는, 이 지점들이 용접이 가장 약한 부분이기 때문입니다. 이 지점들이 통과되면 나머지 부분도 통과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지점들을 중심으로 검사를 진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주강품의 방사선투과 시험방법(KS D 0227)에 따른 흠점수 산정시 호칭 두께가 15mm 일 때 시험시야의 크기로 맞는 것은? (단, 흠이 블로홀, 모래박힘 및 개재물의 경우)

  1. 10mm×10mm
  2. 10mm×20mm
  3. 지름 20mm
  4. 지름 30mm
(정답률: 알수없음)
  • 주강품의 방사선투과 시험방법(KS D 0227)에서는 호칭 두께가 15mm인 경우 시험시야의 크기로 지름 30mm을 사용합니다. 이는 KS D 0227에서 규정된 시험시야 크기 중 가장 큰 값이기 때문입니다. 흠이 블로홀, 모래박힘 및 개재물의 경우에도 충분한 시험시야를 확보하여 정확한 흠점수를 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지름 30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금속재료일반 및 용접 일반

41. 은행의 온라인 거래처럼 데이터의 발생과 동시에 통신회선을 통해 즉시 처리하는 시스템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일괄 처리 시스템
  2. 실시간 시스템
  3. 다중 처리 시스템
  4. 시분할 시스텀
(정답률: 알수없음)
  • 은행의 온라인 거래처럼 데이터의 발생과 동시에 즉시 처리해야 하므로, 실시간 시스템이 가장 적합합니다. 실시간 시스템은 데이터 처리에 있어서 실시간성이 중요하며, 데이터의 발생과 처리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은행의 온라인 거래처럼 실시간으로 처리해야 하는 경우에는 실시간 시스템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우리나라에서 인터넷 주소를 관장하는 곳은?

  1. http://www.apnic.net
  2. http://www.krnic.net
  3. http://www.ispnic.net
  4. http://www.internic.net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http://www.krnic.net"입니다. 이는 한국 인터넷 주소 정보센터(KRNIC)의 웹사이트 주소입니다. KRNIC는 한국에서 인터넷 주소를 관장하고 관리하는 기관으로, 한국의 도메인 이름(.kr) 등록 및 관리, IP 주소 할당 등을 담당합니다. 따라서 KRNIC는 한국 인터넷의 중요한 인프라 기관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인터넷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하이퍼텍스트 문서를 작성 할때 사용되는 언어는?

  1. WWW
  2. HTML
  3. HTTP
  4. FTP
(정답률: 알수없음)
  • 하이퍼텍스트 문서를 작성할 때 사용되는 언어는 HTML입니다. 이는 World Wide Web에서 문서를 작성하고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표준 마크업 언어이며, 웹 브라우저에서 이를 해석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줍니다. HTTP는 웹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 프로토콜, FTP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인터넷에서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내부 네트워크의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서 설치하는 시스템은?

  1. Firwall
  2. Router
  3. HUB
  4. Bridge
(정답률: 알수없음)
  • Firewall은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오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허용된 트래픽만 내부 네트워크로 허용하고 그 외의 트래픽은 차단하여 내부 네트워크의 정보를 보호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입니다. Router, HUB, Bridge는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장비이지만, 보안 기능은 제한적이거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운영체제(Operating Syster)가 하는 일이 아닌 것은?

  1. 데이터 관리
  2. 스케줄 관리
  3. 파일 관리
  4. 컴파일
(정답률: 알수없음)
  • 운영체제는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사용자와 하드웨어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합니다. 이 중에서 "컴파일"은 소스 코드를 기계어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운영체제의 역할이 아닙니다. 컴파일은 개발자가 수행하는 작업이며, 운영체제는 컴파일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컴파일"은 운영체제가 하는 일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시험체 표면에 딱딱한 물체를 낙하시켜 튀어 오르는 높이를 측정하여 사용하는 경도기는?

  1. 쇼어 경도기
  2. 비커즈 경도기
  3. 로크웰 경도기
  4. 브리넬 경도기
(정답률: 알수없음)
  • 쇼어 경도기는 시험체 표면에 딱딱한 물체를 낙하시켜 튀어 오르는 높이를 측정하여 사용하는 경도기입니다. 이는 시험체의 경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경도란 물체의 표면이나 내부의 단단함을 나타내는 물리적 특성입니다. 따라서 쇼어 경도기는 경도 측정에 특화된 기기로, 다른 보기들은 다른 방식으로 경도를 측정하는 기기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절삭성을 향상시킨 특수 황동은?

  1. 납 황동
  2. 철 황동
  3. 규소 황동
  4. 주석 황동
(정답률: 알수없음)
  • 납 황동은 다른 황동에 비해 납 함량이 높아서 절삭성이 뛰어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상온에서 비중이 약 1.74 인 금속은?

  1. Zn
  2. Hg
  3. Sn
  4. Mg
(정답률: 알수없음)
  • 상온에서 비중이 약 1.74인 금속은 Mg입니다. 이는 Mg의 원자량이 상대적으로 가벼워서 밀도가 낮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탄소강 중에 포함되어 있는 망간(Mn)의 영향으로 틀린 것은?

  1. 고온에서 결정립 성장을 억제시킨다.
  2. 주조성을 좋게 하고 황(S)의 해를 감소시킨다.
  3. 강의 담금질 효과를 저감시켜 경화능을 작게 한다.
  4. 강의 연신율은 거의 감소시키지 않고 강도, 경도, 인성을 증가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강의 담금질 효과를 저감시켜 경화능을 작게 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망간은 탄소강의 담금질 효과를 저감시켜 경화능을 작게 합니다. 이는 강의 인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온도의 변화에 따라 선팽창 계수나 탄성률 등의 변화가 없는 불변강이 아닌 것은?

  1. 인바
  2. 엘린바
  3. 수퍼인바
  4. 스테인리스강
(정답률: 알수없음)
  • 스테인리스강은 온도의 변화에 따라 선팽창 계수나 탄성률 등의 변화가 있기 때문에 불변강이 아닙니다. 이는 스테인리스강이 크롬, 니켈 등의 합금 원소를 함유하고 있어서, 이러한 합금 원소들이 온도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스테인리스강은 고온에서도 내식성과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지만, 온도 변화에 따른 물성 변화에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상온에서 면심입방격자로만 구성되어 있는 것은?

  1. Be, Fe, Cr
  2. Co, Zn, Mo
  3. Al, Cu, Ah
  4. Cd, Ta, Mg
(정답률: 알수없음)
  • 면심입방격자 구조는 FCC 구조를 가지며, FCC 구조를 가지는 원소는 주로 알루미늄, 구리, 금 등이 있습니다. 따라서, "Al, Cu, Ah"가 상온에서 면심입방격자로만 구성되어 있는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FCC 구조를 가지지 않거나, 다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베이나이트 조직은 강의 어떤 열처리를 함으로서 얻을 수 있는가?

  1. 풀림 처리
  2. 담금질 처리
  3. 뜨임 처리
  4. 항온 변태 처리
(정답률: 알수없음)
  • 베이나이트 조직은 항온 변태 처리를 함으로서 재료의 내구성과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항온 변태 처리는 고온에서 일정 시간 동안 재료를 처리하여 결정 구조를 안정화시키고 결함을 제거함으로써 재료의 물성을 개선시키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베이나이트 조직은 더욱 견고하고 내구성이 높은 제품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공정 반응에서 많이 나타나며 정출된 두 금속 A, B가 층상의 형태를 이루는 것을 어떤 구조라고 하는가?

  1. 라멜라(lamellar)구조
  2. 전위(dislocation)구조
  3. 핫티어(hottear)구조
  4. 라미네이션(lamination)구조
(정답률: 알수없음)
  • 라멜라 구조는 공정 반응에서 많이 나타나며, 정출된 두 금속 A, B가 층상의 형태를 이루는 구조를 말합니다. 이는 A와 B의 원자가 교대로 배열되어 있어서 발생하는데, 이러한 구조는 강도와 인성이 높아지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라멜라 구조는 공정 반응에서 많이 나타나며, 금속의 물성을 개선시키는 중요한 구조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수은을 제외한 금속재료의 일반적 성질을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1. 합금의 전기 전도율은 순수한 금속보다 좋다.
  2. 순수한 금속일수록 열전도율은 떨어진다.
  3. 금속은 상온에서 결정체이다.
  4. 이온화 경향이 작은 금속일수록 부식되기 쉽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금속은 상온에서 결정체이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금속의 결정구조가 일반적으로 금속 원자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된 결정체 구조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결정체 구조는 금속의 특성인 전기전도성, 열전도성 등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강 자성체가 아닌 것은?

  1. 철(Fe)
  2. 코발트(Co)
  3. 금(Au)
  4. 니켈(Ni)
(정답률: 알수없음)
  • 금(Au)은 강 자성체가 아닙니다. 이는 금의 원자 구조와 전자 구성 때문입니다. 금은 완전히 채워진 5d 궤도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자기 스핀 방향이 없어서 자기장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금은 자기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금속의 변태점을 측정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비열법
  2. 열 팽창법
  3. 자기 탐상법
  4. 전기 저항법
(정답률: 알수없음)
  • 자기 탐상법은 금속의 자기적 특성을 이용하여 변태점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금속의 변태점을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이며, 주어진 보기에서는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Au의 순도를 나타내는 단위는 K(carat)이다. 이 때 18K로 표시된 금의 순도는 몇 %인가?

  1. 55
  2. 65
  3. 75
  4. 85
(정답률: 알수없음)
  • 18K는 금의 순도를 나타내는 단위 중 하나인 카랏(Karat)으로 표시된 것입니다. 1K는 24분의 1의 순도를 의미하므로, 18K는 18/24 또는 3/4의 순도를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18K로 표시된 금의 순도는 7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일반적인 서브머지드 용접의 특징 설멸으로 틀린 것은?

  1. 용입이 깊다.
  2. 비드의 외관이 매우 아름답다.
  3. 곡선 용접이 능률적이다.
  4. 용융속도 및 용착속도가 빠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답: "곡선 용접이 능률적이다."가 틀린 것이다.

    일반적인 서브머지드 용접의 특징은 용입이 깊고 비드의 외관이 매우 아름답다는 것이 맞다. 또한 용융속도 및 용착속도가 빠르다는 것도 맞다. 하지만 곡선 용접이 능률적이라는 것은 틀린 설명이다. 곡선 용접은 직선 용접보다 용접선의 길이가 길어져 용접시간이 더 오래 걸리기 때문에 능률적이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용접 결함의 종류 중 구조상의 결함이 아닌 것은?

  1. 기공
  2. 슬래그혼입
  3. 균열
  4. 인장강도 부족
(정답률: 알수없음)
  • 인장강도 부족은 용접 부위의 인장강도가 요구되는 수준에 미달되는 결함을 의미합니다. 이는 용접 부위가 충분히 강하지 않아 부하에 대한 저항력이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구조상의 결함이 아닌 기술적 결함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점용접 조건의 3용소가 아닌 것은?

  1. 전류의 세기
  2. 통전시간
  3. 너겟
  4. 가압력
(정답률: 알수없음)
  • 점용접 조건에서는 전류의 세기, 통전시간, 가압력이 중요한 요소이며, 너겟은 점용접과는 관련이 없는 단위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