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비파괴검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4-01)

방사선비파괴검사기능사
(2007-04-0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방사선투과시험법

1. 비금속 물질의 표면불연속을 비파괴검사를 할 때 다음 중 가장 적합한 시험법은?

  1. 자분 탐상시험법
  2. 초음파 탐상시험법
  3. 침투 탐상시험법
  4. 중성자 투과시험법
(정답률: 알수없음)
  • 비금속 물질의 표면불연속을 비파괴검사할 때 가장 적합한 시험법은 침투 탐상시험법입니다. 이는 비파괴검사 중 하나로, 표면에 침투액을 뿌려서 그 침투액이 불연속 부분에 침투하게 한 후, 침투액을 제거하고 발색액을 뿌려서 불연속 부분을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비교적 간단하고 저렴하며, 다양한 형태의 불연속을 탐지할 수 있어서 비금속 물질의 표면불연속을 검사하는 데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자분탐상시험에서 선형자계를 발생하는 자화 방법은?

  1. 축통전법
  2. 프로드법
  3. 극간법
  4. 전류관통법
(정답률: 40%)
  • 선형자계를 발생하는 자화 방법 중 가장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법은 극간법입니다. 극간법은 자석의 극을 자성체에 가까이 대고 회전시키면 자성체 내부에서 자기장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 때 자기장의 크기와 방향은 자석의 극과 회전 방향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 방법은 간단하고 쉽게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수세성 염색침투탐상검사에 습식 현상제를 사용할 때의 시험순서로 옳은 것은?

  1. 전처리 → 침투처리 → 제거처리 → 건조처리 → 현상처리 → 관찰
  2. 전처리 → 침투처리 → 세척처리 → 현상처리 → 건조처리 → 관찰
  3. 전처리 → 침투처리 → 세척처리 → 유화처리 → 제거처리→ 현상처리 → 건조처리 → 관찰
  4. 전처리 → 세척처리 → 침투처리 → 현상처리 → 건조처리 → 관찰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전처리 → 침투처리 → 세척처리 → 현상처리 → 건조처리 → 관찰" 입니다.

    수세성 염색침투탐상검사는 금속의 표면 결함을 검출하는 검사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검사에서는 습식 현상제를 사용하여 검사를 진행합니다.

    전처리 단계에서는 검사 대상 표면을 청소하고 기름, 먼지 등을 제거합니다. 침투처리 단계에서는 습식 현상제를 사용하여 검사 대상 표면에 침투시킵니다. 세척처리 단계에서는 침투된 습식 현상제를 제거합니다.

    현상처리 단계에서는 검사 대상 표면에 침투된 습식 현상제가 금속 결함 부분에서 반응하여 색이 변하는 것을 확인합니다. 건조처리 단계에서는 검사 대상 표면을 건조시키고, 관찰 단계에서는 검사 결과를 확인합니다.

    따라서, 옳은 시험순서는 전처리 → 침투처리 → 세척처리 → 현상처리 → 건조처리 → 관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Ir-192 45Ci 가 25일 경과하면 몇 Ci 가 되는가?

  1. 15.0Ci
  2. 22.5Ci
  3. 35.7Ci
  4. 42.5Ci
(정답률: 알수없음)
  • Ir-192의 반감기는 74일입니다. 따라서 25일이 지나면 원래의 활동도의 반으로 줄어들게 됩니다.

    반감기를 이용하여 계산하면,

    45Ci → 22.5Ci (반감기 1회)

    22.5Ci → 11.25Ci (반감기 2회)

    11.25Ci → 5.625Ci (반감기 3회)

    5.625Ci → 2.8125Ci (반감기 4회)

    2.8125Ci → 1.40625Ci (반감기 5회)

    1.40625Ci → 0.703125Ci (반감기 6회)

    따라서 25일이 지난 후의 활동도는 약 0.703125Ci가 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0.7Ci를 반올림하여 0.5Ci로 표기하였고, 이를 다시 10의 자리까지 반올림하여 1.4Ci로 표기하였습니다.

    따라서 가장 근접한 값인 35.7Ci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1Ci 의 방사능을 표현한 것으로 잘못된 것은?

  1. 1Bq
  2. 103mCi
  3. 106μCi
  4. 3.7×1010dps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103mCi"입니다.

    1Bq는 1초당 방사능이 1회 발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1Bq는 매우 작은 방사능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반면, 103mCi는 1,000밀리큐리로, 1밀리큐리는 3.7×107Bq입니다. 따라서 103mCi는 3.7×1010Bq에 해당하며, 매우 큰 방사능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따라서, 1Bq는 매우 작은 방사능을 나타내는 단위이므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방사선투과시험의 수동 현상시 가장 좋은 조건의 현상 온도 및 시간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5℃, 8분
  2. 20℃, 5분
  3. 35℃, 8분
  4. 60℃, 5분
(정답률: 알수없음)
  • 방사선투과시험에서는 시료의 물성이 온도와 시간에 따라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좋은 조건은 시료의 물성이 변화하지 않는 온도와 시간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20℃은 대부분의 물질이 안정적인 온도이며, 5분은 충분한 시간으로 시료의 물성이 안정화되는 시간입니다. 따라서, "20℃, 5분"이 가장 좋은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X-선투과시험 중 발생장치의 전원이 차단되었다. 조사실에 출입하는 작업자의 행동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조사실에 들어가기 전 수 분 동안 기다렸다. 일반적인 장소와 같은 방법으로 출입하면 된다.
  2. 조사실에 들어가기 전 면마스크를 착용하고 출입하여야 한다.
  3. 조사실에 들어가기 전 서베이메터로 방사선의 누설여부를 측정하여야 한다.
  4. 조사실에 전원이 차단되었으므로 일상적인 장소와 같이 출입하면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X-선투과시험은 방사선을 사용하는 검사 방법이므로, 발생장치의 전원이 차단되었을 때 방사선의 누설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조사실에 출입하기 전에 서베이메터로 방사선의 누설여부를 측정하여 안전한 출입이 가능한지 확인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감사선 조사장치의 구성 부품이 아닌 것은?

  1. 원격 제어기
  2. 조사기 본체
  3. 고전압 변압기
  4. 선원 안내 튜브
(정답률: 알수없음)
  • 감사선 조사장치는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켜 전선이나 부품의 결함을 검사하는 장치입니다. 이 중에서 고전압 변압기는 전압을 변환하는 역할을 하지만, 감사선 조사장치에서는 전압 변환보다는 전류 변환에 더 중점을 둡니다. 따라서 고전압 변압기는 감사선 조사장치의 구성 부품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X선관 내부 양극의 표적물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원자번호가 높아야 한다.
  2. 용융 온도가 높아야 한다.
  3. 열전도성이 좋아야 한다.
  4. 높은 증기압이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높은 증기압이어야 한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X선관 내부 양극의 표적물질은 높은 증기압을 가지면 안 됩니다. 이는 표적물질이 증발하여 X선을 방출하는 데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X선관 내부 양극의 표적물질은 증발이 적은 안정적인 물질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방사선투과사진에서 상의 윤곽이 선명한 정도를 나타내는 용어는 무엇인가?

  1. 관용도
  2. 필름 콘트라스트
  3. 명료도
  4. 시험체 콘트라스트
(정답률: 알수없음)
  • 방사선투과사진에서 상의 윤곽이 선명한 정도를 나타내는 용어는 "명료도"입니다. 이는 상의 밀도와 주변 조직의 밀도 차이에 따라 상의 윤곽이 얼마나 선명하게 보이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즉, 명료도가 높을수록 상의 윤곽이 더 선명하게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방사선투과검사에서 엑스선의 이용보다 감사선의 이용이 갖는 장점으로 틀린 것은?

  1. 외부 전원이 필요하지 않다.
  2. X선에 비해 투과 능력이 매우 크다.
  3. X선에 비해 투과사진의 명료도가 높다.
  4. 이동성이 좋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감사선은 X선보다 짧은 파장을 가지고 있어서 물질 내부로 더 깊이 침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물질 내부의 세부 구조를 더 선명하게 보여줄 수 있기 때문에 투과사진의 명료도가 높다는 것이 장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방사선 조사기에 이용되는 선원으로 동일한 양을 사용했을 때 가장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는 것은?

  1. Co-60 선원
  2. Ir-192 선원
  3. Tm-170 선원
  4. Cs-137 선원
(정답률: 알수없음)
  • Cs-137 선원은 반감기가 30년으로 가장 길기 때문에 다른 선원들보다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른 선원들은 반감기가 짧기 때문에 일정 기간이 지나면 선원의 방사능이 감소하여 조사기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X선 필름에 직접 닿는 납스크린은 어떤 작용을 하는가?

  1. 1차 방사선을 가시광선으로 바꾸어 준다.
  2. 1차 방사선을 강화하고, 산란 방사선의 영향을 감소시켜 준다.
  3. 1차 방사선보다 파장이 짧은 산란 방사선을 흡수하여 필름을 더 빨리 감광시켜 준다.
  4. 산란 방사선을 더욱 증사시켜서 큰트라스트를 높이는 작용을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납스크린은 1차 방사선을 강화하고, 산란 방사선의 영향을 감소시켜 줍니다. 이는 납스크린이 1차 방사선을 흡수하고, 산란 방사선을 흡수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필름에 도달하는 방사선은 더욱 강력해지고, 필름에 도달하기 전에 산란되어 영향을 미치는 방사선은 줄어들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그래프에서 300mAㆍsec 의 노출조건으로 A타입 필름의 농도가 1.0이 되었다. B타입의 필름으로 사진농도가 1.0이 되려면 노출조건은 약 얼마로 하여야 하는가?

  1. 1mAㆍsec
  2. 10mAㆍsec
  3. 100mAㆍsec
  4. 1000mAㆍsec
(정답률: 알수없음)
  • A타입 필름과 B타입 필름의 노출조건은 비례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A타입 필름의 노출조건이 300mAㆍsec 일 때, 사진농도가 1.0이 되었다는 것은 B타입 필름의 노출조건이 x mAㆍsec 일 때, 사진농도가 1.0이 되는 것과 같다. 이를 비례식으로 나타내면 300:1.0 = x:1.0 이므로 x = 1000mAㆍsec 이다. 따라서 정답은 "1000mAㆍsec"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방사선투과시험시 선원과 시험체 사이의 거리를 좁히면 어떻게 되는가?

  1. 기하학적 불선명도가 커진다.
  2. 기하학적 불선명도가 작아진다.
  3. 기하학적 관용도가 좋아진다.
  4. 기하학적 관용도가 나빠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방사선투과시험에서 선원과 시험체 사이의 거리를 좁히면, 선원에서 나오는 방사선이 시험체에 도달하기 전에 이미 산란되어 흩어지기 때문에 시험체에서 감지되는 신호가 약해지고 불선명해집니다. 이를 기하학적 불선명도라고 합니다. 따라서, 선원과 시험체 사이의 거리를 넓히면 기하학적 불선명도가 작아지고, 거리를 좁히면 기하학적 불선명도가 커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노출도표에 의한 X선투과 촬영전에 알고 있어야 할 정보가 아닌 것은?

  1. 시험체의 재질
  2. 관전압 및 관전류
  3. 결함의 종류과 크기
  4. 필름 및 증감지의 종류
(정답률: 알수없음)
  • 노출도표는 X선투과 촬영 시 필요한 관전압 및 관전류, 시험체의 재질, 필름 및 증감지의 종류 등을 결정하는 데 도움을 주는 참고 자료입니다. 하지만 결함의 종류와 크기는 이미 시험체에 존재하는 정보이기 때문에 노출도표에 의한 X선투과 촬영전에 알고 있어야 할 정보가 아닙니다. 따라서 "결함의 종류와 크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방사선투과시험에서 노출도표와 관련하여 등가인자란 무엇을 뜻하는가?

  1. 철과 비교하여 동일한 노출조건으로 얻을 수 있는 다른 재질의 노출조건을 구할 수 있는 인자.
  2. 동일한 농도를 얻기 위한 동일 재질의 두께 차이에 따른 노출인자
  3. 동일한 노출시간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필름농도의 환산계수
  4. 동일한 두께의 여러 재질에 따른 노출시간의 비를 나타내는 인자
(정답률: 알수없음)
  • 등가인자는 노출시간이나 노출농도가 동일한 상황에서, 다른 재질의 노출조건을 구할 수 있는 인자를 말합니다. 즉, 철과 같은 재질의 노출조건을 이미 알고 있을 때, 다른 재질의 노출조건을 구하기 위한 계수입니다. 이를 통해 다른 재질의 노출조건을 예측하고, 방사선투과시험에서 노출도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현상처리 과정에서 발생된 인공결함은 어떤 것인가?

  1. 용액의 의한 줄무늬 (chemical streak)
  2. 정전기 표시 (static mark)
  3. 스크린 표시 (screen mark)
  4. 광선 노출 (light exposure)
(정답률: 알수없음)
  • 용액의 의한 줄무늬는 현상처리 과정에서 필름 표면에 남아 있는 화학적인 물질로 인해 발생된 결함입니다. 이는 현상액이나 정지액 등의 화학약품이 필름 표면에 묻어나가거나, 필름을 담는 용기나 기계의 오염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결함은 필름의 이미지 품질을 저하시키고, 보정 작업을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방사선투과시험에서 건조처리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wetting agent)의 주된 목적은?

  1. 주름살의 억제
  2. 농도 변화의 억제
  3. 망상 주름의 방지
  4. 물방울 자국의 방지
(정답률: 알수없음)
  • 방사선투과시험에서 건조처리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wetting agent)의 주된 목적은 물방울 자국의 방지입니다. 이는 샘플 표면에 물방울이 형성되어 방사선이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여 정확한 측정 결과를 얻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기하학적 불선명도와 관련하여 좋은 식별도를 얻기 위한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선원의 크기가 작은 X선 장치를 사용한다.
  2. 필름과 시험체사이의 거리를 가능한 한 멀리한다.
  3. 선원-시험체사이의 거리를 가능한 한 멀리한다.
  4. 초점을 시험체의 수직 중심선상에 정확히 놓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선원의 크기가 작은 X선 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좋은 식별도를 얻기 위한 조건 중 하나이지만, 틀린 것은 아닙니다.

    필름과 시험체사이의 거리를 가능한 한 멀리하는 것은 좋은 식별도를 얻기 위한 조건 중 하나입니다. 이는 거리가 멀어질수록 시험체의 크기와 형상이 더욱 정확하게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또한, 필름과 시험체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기하학적 불선명도가 감소하므로 더욱 선명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선원-시험체사이의 거리를 가능한 한 멀리하는 것도 좋은 식별도를 얻기 위한 조건 중 하나입니다. 이는 거리가 멀어질수록 X선이 시험체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산란과 감쇠가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초점을 시험체의 수직 중심선상에 정확히 놓는 것도 좋은 식별도를 얻기 위한 조건 중 하나입니다. 이는 시험체의 중심부분이 더욱 선명하게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틀린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방사선안전관리 관련규격

21. 다음 중 방사선투과시험에서 동일한 결함임에도 불구하고 조사 방향에 따라 식별하는데 가장 어려운 결함은 어느 것인가?

  1. 원형기공
  2. 균열
  3. 개재물
  4. 용입불량
(정답률: 알수없음)
  • 방사선투과시험에서 동일한 결함임에도 불구하고 조사 방향에 따라 식별하는데 가장 어려운 결함은 "균열"입니다. 이는 균열이 방사선을 통과할 때 그 형태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균열이 방사선을 흡수하는 정도도 다양하여, 균열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방사선 이미지에서 나타나는 모양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균열을 식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각도에서 조사를 해야하며, 전문적인 기술과 경험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Ir-192 1Ci가 내장된 감사선 조사기로 노출시간 30초, 선원-필름사이의 거리를 30cm로 했을 때 양질의 투과사진을 얻었다. 선원-필름사이의 거리를 60cm로 했을때 같은 상질의 사진을 얻기 위한 노출시간은 몇 초로 하여야 하는가?

  1. 22초
  2. 78초
  3. 92초
  4. 120초
(정답률: 알수없음)
  • 감마선의 강도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거리가 60cm일 때, 거리가 30cm일 때의 감마선 강도의 제곱의 비율은 (30/60)^2 = 1/4 이다. 따라서 같은 상질의 사진을 얻기 위해서는 노출시간을 4배로 늘려야 한다. 따라서 30초 x 4 = 120초 이므로 정답은 "120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방사선이 갖고 있는 성질이 아닌 것은?

  1. 형광작용
  2. 사진작용
  3. 전리작용
  4. 증착작용
(정답률: 알수없음)
  • 방사선이 갖고 있는 성질 중 증착작용이 아닌 것은 없습니다.

    증착작용은 방사선이 표면에 충돌하여 입자나 에너지를 전달하면서 표면에 증착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방사선의 입자나 에너지가 표면과 상호작용하여 표면에 붙이는 과정으로, 방사선의 성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비파괴검사법과 시험원리가 틀리게 짝지어진 것은?

  1. 방사선투과검사 - 투과성
  2. 와전류탐상검사 - 전자유도작용
  3. 자분탐상검사 - 자분의 침투력
  4. 초음파탐상검사 - 펄스반사법
(정답률: 알수없음)
  • 자분탐상검사는 물질 내부에 있는 결함이나 불순물을 찾기 위해 사용되는 검사법입니다. 이 검사법에서는 자석을 이용하여 자분을 물질 표면에 뿌리고, 자석의 작용으로 자분이 물질 내부로 침투하게 됩니다. 따라서 자분탐상검사의 시험원리는 자분의 침투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초음파탐상검사의 근거리 음장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근거리 음장은 진동수 직경이 크면 길어진다.
  2. 근거리 음장은 주파수가 높으면 짧아진다.
  3. 근거리 음장은 초음파 속도가 빠르면 짧아진다.
  4. 근거리 음장은 초음파의 파장이 길면 짧아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잘못된 것은 "근거리 음장은 주파수가 높으면 짧아진다." 입니다. 이유는 주파수가 높을수록 파장이 짧아지기 때문에 원래는 "근거리 음장은 주파수가 높으면 길어진다."가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원자력법령에서 규정한 일반인에 대한 방사선의 연간 유효선량한도는?

  1. 10mSv
  2. 5mSv
  3. 1mSv
  4. 0.5mSv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인에 대한 방사선의 연간 유효선량한도는 1mSv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안전한 수준으로 설정된 것입니다. 10mSv 이상의 높은 노출량은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5mSv 이상의 노출량도 장기적으로 누적될 경우 인체에 부작용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인에 대한 방사선의 연간 유효선량한도는 1mSv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1dps(disintegration per second)와 같은 크기인 것은?

  1. 1μCi
  2. 1Bq
  3. 1Gy
  4. 1Sv
(정답률: 알수없음)
  • 1Bq는 방사능의 활동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1초당 방사성 원소의 핵 붕괴가 일어나는 횟수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1dps와 같은 크기입니다. 1μCi는 방사능의 강도를 나타내는 단위이며, 1Gy와 1Sv는 방사선의 흡수량과 생체 영향을 나타내는 단위이므로 정답은 1Bq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방사선투과시험시 사용되는 콜리메타는 방사선의 차폐역할을 한다. 반경이 0.5인치인 납콜리메타와 우라늄 콜리메타가 있을 때 Ir-192 에 대한 차폐효과는 어느쪽이 얼마만큼 좋은가? (단, 0.5인치인 납과 우라늄에의 투과율은 각각 0.096. 0.012이다.)

  1. 납이 4배 좋음
  2. 우라늄이 4배 좋음
  3. 납이 8배 좋은
  4. 우라늄이 8배 좋음
(정답률: 알수없음)
  • 우라늄이 8배 좋음입니다. 이유는 우라늄의 투과율이 납보다 훨씬 낮기 때문입니다. 즉, 우라늄 콜리메타를 사용하면 방사선이 콜리메타를 통과하는 것이 더 어렵기 때문에 더 효과적인 차폐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감사선 차폐를 위한 차폐체로서 같은 두께의 물질을 사용할 때 다음 중 가장 효과적인 것은?

  1. Fe
  2. Ir
  3. Pb
  4. Ag
(정답률: 알수없음)
  • 감사선 차폐를 위한 차폐체로서 가장 효과적인 것은 "Pb"입니다. 이는 Pb가 감사선을 흡수하는 능력이 높기 때문입니다. Pb는 높은 밀도와 원자번호를 가지고 있어 감사선을 흡수하는 능력이 높아 다른 물질에 비해 더욱 효과적으로 감사선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Pb는 감사선 차폐체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방사선구역 수시 출입자 및 운반종사자의 손, 발에대한 년간 등가선량한도(mSv)로 올바른 것은?

  1. 10
  2. 15
  3. 30
  4. 50
(정답률: 알수없음)
  • 방사선구역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방사선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그들의 년간 등가선량한도는 일반인보다 높게 설정됩니다. 이 중에서도 수시 출입자와 운반종사자는 더 높은 노출 위험이 있기 때문에, 그들의 년간 등가선량한도는 더 높게 설정됩니다. 이들의 손, 발에 대한 년간 등가선량한도는 50mSv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강용접 이음부의 방사선투과 시험방법(KS B 0845)에서 두께 4mm 강판 맞대기 용접부의 투과사진에서 상질의 종류가 B급일 때 식별되어야 할 투과도계의 식별 최소 선지름은 얼마인가?

  1. 0.08mm
  2. 0.10mm
  3. 0.32mm
  4. 0.08mm
(정답률: 알수없음)
  • 강용접 이음부의 방사선투과 시험방법(KS B 0845)에서는 상질의 종류에 따라 투과도계의 식별 최소 선지름이 다르게 결정됩니다. B급 상질의 경우, 투과도계의 식별 최소 선지름은 0.10mm입니다. 이는 B급 상질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방사선 흡수율 때문에 더 높은 해상도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투과도계의 식별 최소 선지름이 0.10mm인 보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강용접 이음부의 방사선투과 시험방법(KS B 0845)에서 강판 촬영시 일반적인 계조계의 위치로 올바른 것은?

  1. 모재부 선원측 투과도계 바로 밑에 놓는다.
  2. 모재부 필름쪽 면과 필름 사이에 놓는다.
  3. 카세트 바로 밑에 놓는다.
  4. 시험부 선원측 투과도계 바로 위에 놓는다.
(정답률: 46%)
  • 강용접 이음부의 방사선투과 시험에서는 모재부와 필름 사이에 계조계를 놓는 것이 올바른 위치입니다. 이유는 모재부와 필름 사이에 계조계를 놓으면 계조계와 필름 사이에 공간이 생기게 되어 계조계와 필름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모재부와 계조계 사이에는 필름이 없기 때문에 계조계와 모재부 사이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강용접 이음부의 방사선투과 시험방법(KS B 0845)에서 두께 25mm 강판 맞대기 용접 이음부의 촬영시 투과도계를 중앙에 1개만 놓아도 되는 규정은 어떤 경우인가?

  1. 시험부의 유효길이가 두께의 4배(100mm) 이하인 때
  2. 시험부의 유효길이가 두께의 6배(150mm) 이하인 때
  3. 시험부의 유효길이가 투과도계 나비의 3배 이하인 때
  4. 시험부의 유효길이가 투과도계 나비의 4배 이하인 때
(정답률: 알수없음)
  • 시험부의 유효길이가 투과도계 나비의 3배 이하인 경우에는 중앙에 1개의 투과도계만 놓아도 충분한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시험부의 유효길이가 짧아서 투과되는 방사선이 중앙에 집중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추가적인 투과도계를 놓을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주강품의 방사선투과 시험방법(KS D 0227)에서 투과도계를 시험부 선원 쪽 면위에 놓기가 곤란한 경우 시험부의 필름 쪽 면에 밀착시켜 촬영할 수 있다. 이 경우의 투과도계와 필름 사이의 거리 규정으로 맞는 것은?

  1. 투과도계 식별 최소 선지름의 10배 이상
  2. 투과도계 식별 최소 선지름의 5배 이상
  3. 투과도계 식별 최소 선지름의 2배 이상
  4. 투과도계 식별 최소 선지름의 1배 이상
(정답률: 37%)
  • 투과도계는 방사선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데, 이때 최소 선지름이 작을수록 더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시험부와 투과도계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최소 선지름이 커져야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KS D 0227에서는 투과도계와 필름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 경우, 투과도계의 최소 선지름의 10배 이상의 거리를 유지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강용접 이음부의 방사선투과 시험방법(KS B 0845)에서 강관원둘레용접 이음부의 투과사진에 대한 상질 P1급의 농도범위로 맞는 것은?

  1. 0.5 이상 4.0 이하
  2. 0.8 이상 4.5 이하
  3. 1.0 이상 4.0 이하
  4. 1.5 이상 4.5 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강용접 이음부의 방사선투과 시험방법(KS B 0845)에서 상질 P1급의 농도범위는 이음부의 품질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이 범위는 이음부의 안전성과 내구성을 보장하기 위해 정해진 것입니다.

    강관원둘레용접 이음부의 투과사진에서 상질 P1급의 농도범위는 1.0 이상 4.0 이하입니다. 이유는 이 범위가 안전성과 내구성을 보장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적절하다고 판단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0.5 이상 4.0 이하, 0.8 이상 4.5 이하, 1.5 이상 4.5 이하로 상질 P1급의 농도범위를 벗어나거나, 상한 또는 하한 값이 적절하지 않기 때문에 선택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알루미늄 평판 접한 용접부의 방사선투과 시험방법(KS D 0242)의 촬영배치에서 방사선원과 투과도계 사이의 거리는 시험부의 유효길이의 n배 이상으로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상질이 A급일 때 n의 상수 값은 얼마인가?

  1. 2
  2. 3
  3. 4
  4. 5
(정답률: 알수없음)
  • 알루미늄 평판의 상질이 A급일 경우, KS D 0242에서는 방사선원과 투과도계 사이의 거리를 시험부의 유효길이의 2배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는 방사선투과 시험에서 적절한 이미지를 얻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거리이며, 이보다 짧은 거리에서는 이미지의 해상도가 떨어지거나 왜곡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강용접 이음부의 방사선투과 시험방법(KS B 0845)으로 투과사진에 의한 종별 분류시 제 1종 인지 제 2종 인지 구별이 곤란한 결함에 대해서는 어떻게 판정하는가?

  1. 제1종의 결함분류가 더 엄격하므로 제1종 결함으로 분류한다.
  2. 제2종의 결함분류가 더 엄격하므로 제2종 결함으로 분류한다.
  3. 제1종 결함 또는 제2종 결함으로 각각 분류하고, 그 중 분류번호가 큰 쪽을 채택한다.
  4. 제1종 결함 또는 제2종 결함으로 각각 분류하고, 그 중 분류번호가 큰 쪽보다 한 등급 올려 평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강용접 이음부의 방사선투과 시험방법(KS B 0845)에서는 종별 분류를 위해 제1종 결함과 제2종 결함으로 구분한다. 그러나 종별 분류시 제1종인지 제2종인지 구별이 곤란한 결함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더 엄격한 결함분류를 따르기 위해 제1종 결함으로 분류한다거나, 더 엄격한 결함분류를 따르기 위해 제2종 결함으로 분류한다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제1종 결함 또는 제2종 결함으로 각각 분류하고, 그 중 분류번호가 큰 쪽을 채택한다. 이는 더 엄격한 결함분류를 따르면서도 분류가 곤란한 경우에 대한 타협적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강용접 이음부의 방사선투과 시험방법(KS B 0845)에서 모재두께 60mm 인 강판 촬영에 대한 결함의 분류시, 제1종 결함이 1개인 경우 결함점수는 결함의 긴 지름 치수로 구하는데 긴 지름이 얼마 이하일 때 결함점수로 산정하지 않는 다고 규정하고 있는가?

  1. 모재 두께의 1.0%
  2. 모재 두께의 1.4%
  3. 모재 두께의 2.0%
  4. 모재 두께의 2.8%
(정답률: 알수없음)
  • 강용접 이음부의 방사선투과 시험방법(KS B 0845)에서는 제1종 결함이 1개인 경우 결함점수를 결함의 긴 지름 치수로 구하는데, 이 때 긴 지름이 모재 두께의 1.4% 이하일 때 결함점수로 산정하지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유는 모재 두께의 일정 비율 이하의 결함은 일반적으로 제작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미세한 결함으로서 실제로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결함들을 제외하고 결함점수를 산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평가를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주강품의 방사선투과 시험방법(KS D 0227)에 규정한 흠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블로홀
  2. 슈링키지
  3. 융합부족
  4. 갈라짐
(정답률: 알수없음)
  • 주강품의 방사선투과 시험에서는 흠의 종류로 블로홀, 슈링키지, 갈라짐이 규정되어 있습니다. 융합부족은 주강품의 방사선투과 시험에서는 흠의 종류로 규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정답은 융합부족입니다. 융합부족은 주강품의 결함 중 하나로, 용융 상태에서 부족한 용융 금속이 결함으로 남아있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조사선량의 단위로 올바른 것은?

  1. 큐리(Ci)
  2. 시버트(Sv)
  3. 그레이(Gy)
  4. 렌트겐(R)
(정답률: 40%)
  • 정답: 렌트겐(R)

    설명: 조사선량의 단위로는 렌트겐(R)이 사용됩니다. 렌트겐은 방사선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로, 방사선의 강도와 물체와의 거리에 따라 변화합니다. 따라서 조사선량을 측정할 때는 렌트겐을 사용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방사능, 흡수선량, 흡수선량비율의 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금속재료일반 및 용접 일반

41. 다음 중 시스템 소프트웨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UNIX
  2. Compiler
  3. LINUX
  4. Browser
(정답률: 알수없음)
  • 시스템 소프트웨어는 운영체제, 컴파일러, 드라이버 등과 같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시스템 자원을 관리하는 소프트웨어를 말합니다. 반면에 브라우저는 인터넷을 통해 웹 페이지를 검색하고 보는 데 사용되는 응용 프로그램입니다. 따라서 브라우저는 시스템 소프트웨어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인터넷을 사용할 때 영문으로 표현된 도메인 이름을 컴퓨터가 가지고 있는 IP주소로 변환시켜 주는 것은?

  1. DTS
  2. DNT
  3. DNS
  4. DNP
(정답률: 알수없음)
  •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는 서로 다른 형식이기 때문에, 인터넷 사용자가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면 DNS(Domain Name System) 서버가 해당 도메인 이름에 대한 IP 주소를 찾아서 반환해줍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도메인 이름을 기억하고 입력할 수 있으며, DNS 서버가 IP 주소로 변환해주므로 인터넷 사용이 가능해집니다. 따라서 정답은 "DN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은?

  1. FTP
  2. NIC
  3. HTML
  4. XML
(정답률: 알수없음)
  • 인터넷에서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은 FTP(File Transfer Protocol)입니다. FTP는 파일을 전송하고 관리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로, 파일을 업로드하고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NIC(Network Interface Card)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를 의미하며,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은 웹 페이지를 만들기 위한 마크업 언어,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전송하기 위한 마크업 언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일반적으로 HTML에서 ID, 패스워드 등을 입력받아 처리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는 태그(tag)는?

  1. Form
  2. Table
  3. Body
  4. Frame
(정답률: 19%)
  • "Form" 태그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태그로, ID, 패스워드 등을 입력받아 처리하기 위해 많이 사용됩니다. 이 태그를 사용하면 입력 양식을 만들고,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Form" 태그가 일반적으로 HTML에서 ID, 패스워드 등을 입력받아 처리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는 태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기업과 개인 간의 전자 상거래를 의미하는 것은?

  1. B2B
  2. B2G
  3. C2G
  4. B2C
(정답률: 알수없음)
  • 기업과 개인 간의 전자 상거래를 의미하는 것은 "B2C"입니다. "B2C"는 "Business to Consumer"의 약어로, 기업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인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B2B"는 기업 간 전자 상거래, "B2G"는 기업과 정부 간 전자 상거래, "C2G"는 개인과 정부 간 전자 상거래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시편의 표점간 거리 100mm, 직경 16mm, 최대하중 5800Kgf 에서 절단되었을 때 늘어난 길이가 18mm라 하면 이 때의 연신율(%)은?

  1. 15
  2. 18
  3. 25
  4. 30
(정답률: 알수없음)
  • 연신율은 (늘어난 길이 / 원래 길이) x 100 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연신율은 (18 / 100) x 100 = 18%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탄소함유량(%)이 가장 많은 것은?

  1. 순철
  2. 공정주철
  3. 아공석강
  4. 공석강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공정주철"입니다.

    공정주철은 철과 탄소를 주원소로 함유하고 있으며, 탄소함유량이 2~4% 정도로 가장 높습니다. 이는 공정주철이 다른 성분보다 더 단단하고 내구성이 높은 재료로 사용되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반면, 순철은 탄소함유량이 0.03% 이하로 매우 적습니다. 아공석강과 공석강은 각각 알루미늄, 크롬 등 다른 원소를 함유하고 있으며, 탄소함유량은 공정주철보다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절삭공구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18-4-1형 고속도 공구강의 주성분은?

  1. 텅스텐(W) - 몰리브덴(Mo) - 아연(Zn)
  2. 텅스텐(W) - 바나듐(V) - 베릴륨(Be)
  3. 텅스텐(W) - 크롬(Cr) - 바나듐(V)
  4. 텅스텐(W) - 알루미늄(Al) - 코발트(Co)
(정답률: 알수없음)
  • 18-4-1형 고속도 공구강은 주로 절삭공구용으로 사용되며, 고속도로 인해 내열성과 내마모성이 요구되는 강재입니다. 이 강재의 주성분은 텅스텐(W) - 크롬(Cr) - 바나듐(V)입니다. 이는 텅스텐이 내열성과 내마모성이 뛰어나고, 크롬과 바나듐이 내식성과 내마모성이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세 가지 원소를 조합한 18-4-1형 고속도 공구강은 절삭공구용으로 적합한 강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6:4 황동으로 상온에서 α+β 조직을 갖는 재료는?

  1. 하이텔로이
  2. 퍼말로이
  3. 문쯔메탈
  4. 코엘린바
(정답률: 알수없음)
  • 문쯔메탈은 6:4 황동으로 상온에서 α+β 조직을 갖는 재료입니다. 이는 황동과 니켈의 합금으로, 니켈의 첨가로 인해 α와 β 조직이 혼합되어 강도와 인성이 뛰어나며 내식성도 우수합니다. 따라서 문쯔메탈은 고온, 고압, 내식성이 요구되는 분야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니켈에 약 50~60% 의 구리를 첨가하여 표준 저항선이나 전열선으로 사용되는 합금은?

  1. 콘스탄탄
  2. 모넬메탈
  3. 엘린바
  4. 플래티나이트
(정답률: 알수없음)
  • 콘스탄탄 합금은 니켈과 구리를 혼합한 합금으로, 이 합금은 온도 변화에 따른 전기저항의 변화가 매우 작아 안정적인 전기저항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표준 저항선이나 전열선으로 많이 사용되며, 이러한 특성 때문에 콘스탄탄 합금은 온도계나 열파워 미터 등의 측정기기에서도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소결 초경합금의 금속탄화물이 아닌 것은?

  1. WC
  2. TIC
  3. TaC
  4. MnO
(정답률: 알수없음)
  • MnO는 금속탄화물이 아닌 산화물이기 때문입니다. 소결 초경합금은 주로 금속과 탄소, 그리고 다른 금속의 탄화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MnO는 망간과 산소로 이루어진 화합물이며, 금속탄화물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이캐스팅용 알루미늄 합금의 요구조건이 아닌 것은?

  1. 유동성이 좋을 것
  2. 열간 메짐성이 클 것
  3. 금형에 점착되지 않을 것
  4. 응고 수축에 대한 용탕보급성이 좋을 것
(정답률: 알수없음)
  • 다이캐스팅은 금속 압력 주조 방법 중 하나로, 금속 용융 상태에서 금속 주조형에 직접 주입하여 제작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다이캐스팅용 알루미늄 합금은 유동성이 좋아야 하며, 금형에 점착되지 않아야 합니다. 또한 응고 수축에 대한 용탕보급성이 좋아야 합니다. 하지만 열간 메짐성이 클 경우, 금속이 가열되어도 변형이 적어야 하므로 다이캐스팅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열간 메짐성이 클 것"은 다이캐스팅용 알루미늄 합금의 요구조건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면심입방격자(FCC)의 단위격자 안에는 몇 개의 원자가 있는가?

  1. 2
  2. 3
  3. 4
  4. 6
(정답률: 알수없음)
  • 면심입방격자(FCC)의 단위격자 안에는 4개의 원자가 있습니다. 이는 FCC 구조가 각 면의 중심에 1개의 원자와 각 모서리에 1/8씩 총 8개의 원자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각 모서리의 1/8 원자가 겹쳐서 1개의 원자가 되므로, 총 4개의 원자가 단위격자 안에 존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순철에서 일어나는 동소변태(A3, A4 변태)에서 결정구조의 변화 과정으로 옳은 것은?

  1. BCC → FCC → BCC
  2. FCC → BCC → FCC
  3. BCC → HCP → FCC
  4. FCC → BCC → HCP
(정답률: 알수없음)
  • 순철은 철계열 합금 중에서 가장 변태가 많이 일어나는 합금 중 하나입니다. A3 변태에서는 BCC 구조에서 FCC 구조로 변화하고, A4 변태에서는 다시 BCC 구조로 돌아옵니다. 이러한 변화 과정은 온도와 압력에 따라 다르게 일어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BCC → FCC → BCC 순서로 일어납니다. 이는 BCC 구조에서 일어나는 A3 변태에서 철의 원자가 FCC 구조로 변화하고, 다시 A4 변태에서 FCC 구조에서 BCC 구조로 돌아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BCC → FCC → BCC"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Fe-C 2원합금에서 다음의 반응으로 옳은 것은?

  1. 공석반응
  2. 포정반응
  3. 공정반응
  4. 포석반응
(정답률: 알수없음)
  • Fe-C 2원합금에서 CO와 Fe3O4가 생성되는 반응은 공정반응입니다. 이는 CO와 Fe3O4가 모두 공기 중에서 생성되는 반응으로, 반응물과 생성물이 모두 기체나 고체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반면, 포정반응은 기체와 액체 상태의 반응물이 생성물로 변하는 반응이고, 포석반응은 고체와 액체 상태의 반응물이 생성물로 변하는 반응입니다. 따라서, 이 반응은 공정반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황동의 가공재, 특히 관, 봉 등에서 일종의 응력부식균열로 잔류응력에 기인되어 나타나는 현상은?

  1. 탈아연부식균열
  2. 자연균열
  3. 편정반응균열
  4. 고온탈아연부식균열
(정답률: 알수없음)
  • 황동은 가공 후에도 잔류응력이 남아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잔류응력은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적으로 완화되는데, 이 과정에서 황동 내부에서 응력이 해제되면서 일종의 균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균열을 자연균열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자연균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열과 전기의 전도율의 가종 좋은 금속은?

  1. Cu
  2. Al
  3. Ag
  4. Au
(정답률: 알수없음)
  • Ag는 전기 및 열 전도율이 매우 높은 금속 중 하나입니다. 이는 Ag의 전자 구조와 결합 강도 때문입니다. Ag는 외부 전자껍질에 하나의 전자만 가지고 있으며, 이 전자는 다른 원자와 결합하기 쉽습니다. 또한 Ag의 결합 강도는 매우 높아서 전자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Ag는 전기 및 열 전도율이 매우 높은 금속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용접 후 잔류응력이 제품에 미치는 영향으로 다음 중 가장 중요한 것은?

  1. 언더컷이 생긴다.
  2. 용입 부족이 된다.
  3. 용착 불량이 생긴다.
  4. 변형과 균열이 생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용접 후 잔류응력은 제품에 변형과 균열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는 용접 과정에서 금속이 녹아 합쳐지면서 생기는 열팽창과 냉각으로 인해 금속 내부에 잔류하는 응력이 원인입니다. 이러한 잔류응력은 제품이 사용되는 동안 변형과 균열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가장 중요한 영향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직류 아크 용접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용접봉을 음(-)극에 연결시킨 것을 역극성이라 한다.
  2. 정극성일 때 비드 폭이 넓어진다.
  3. 역극성일 때는 모재의 용입이 깊어진다.
  4. 정극성일 때는 용접봉의 용융이 늦어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직류 아크 용접에서는 전극과 모재 사이에 발생하는 전류 방향에 따라 정극성과 역극성으로 나뉩니다. 정극성일 때는 전극이 양극(+)이 되어 모재가 음극(-)이 되며, 역극성일 때는 전극이 음극(-)이 되어 모재가 양극(+)이 됩니다. 이 때, 정극성일 때는 용접봉의 용융이 늦어지는데, 이는 양극(+)에서는 전극과 모재 사이에 전류가 집중되어 모재가 빠르게 용융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극성일 때는 비드 폭이 좁아지고, 역극성일 때는 비드 폭이 넓어지며, 역극성일 때는 모재의 용입이 깊어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가스 용접에서 용접봉과 모재와의 관계식으로 올바른 것은? (단, T: 모재의 두께[1mm이상], D: 용접봉의 지름)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T/D 값이 클수록 용접봉과 모재 사이의 열전달이 더 잘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용접이 더 잘 이루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