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식물병리학
1. 병원체의 작용을 억제하는 기주의 능력은 ?
2. 산성토양에서 병원균의 생육이 왕성하여, 토양산도가 낮은 토양에서 특히 발생이 많은 병해는 ?
3. 비료성분이 부족한 논에서 발생하기 쉬운 벼의 병해는 ?
4. 하우스 재배시 습도가 높을 때 많이 발생하여 피해가 큰 공기전염성 채소병해는 어느 것인가 ?
5. 바이러스병의 병징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
6. 병원균이 종자를 통해서 전염되는 병은 ?
7. 다음 곰팡이 중 분생포자(Conidia)만을 형성하는 집단은 어느 것인가 ?
8. 벼흰잎마름병균은 다음 중 어디에 속하는가 ?
9. 진단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
10. 보리 겉깜부기병의 방제에 가장 효과적인 것은 ?
11. Fusarium 균에 의한 시들음병의 방제법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 ?
12. 잎위에 하얀 밀가루를 뿌려놓은 것 같은 병징을 보이는 병은 ?
13. 애멸구에 의해서 전염되는 병은 ?
14. 다음 중 배추 무름병균의 특성은 ?
15. 태풍과 침수가 일어날 때 많이 발생하는 병은 ?
16. 뿌리혹병의 생물적 방제에 이용되는 균은 ?
17. 사과나무 붉은별무늬병균( Gymnosporangium sp.)은 진균 중 어느 균류에 속하는가 ?
18. 병 방제법의 설명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 ?
19. 식물병원 바이로이드(viroid)의 특성이 아닌 것은 ?
20. 바이러스의 혈청학적 진단법과 거리가 먼 것은 ?
2과목: 농림해충학
21. 곤충의 다리는 5마디로 되어 있다. 가슴에서부터 올바른 순서로 된 것은 ?
22. 다음 중에서 단위생식을 하지 않는 것은 ?
23. 흡수성해충(흡즙성해충)은 어떤 것인가 ?
24. 복숭아혹진딧물의 분류학적 위치는 다음 중 어디에 속하는가 ?
25. 식물을 가해하는 곤충의 충태는 유충 또는 성충이 대부분이다. 다음 중 유충과 성충이 모두 잎을 식해하는 해충으로 짝지어진 것은 ?
26. 페로몬(Pheromone)의 작용이 아닌 것은 ?
27. 솔껍질깍지벌레의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28. 성충은 1.5mm로서 2쌍의 백색 날개를 가지고 있다. 성충과 약충이 잎뒷면에서 군서생활을 하며 흡즙가해하기 때문에 시설재배에서 피해가 크다. 어떤 해충인가 ?
29. 유충(애벌레)상태로 땅속에서 월동하는 해충은 ?
30. 번데기 시기를 거치는 곤충은 ?
31. 곤충이 발산하는 페로몬 중 경제적 이용가치가 가장 높은 것은 ?
32. 벼물바구미가 벼를 가해하는데 가장 큰 피해를 주는 충태는 ?
33. 딱정벌레목 곤충은 완전변태를 하며 농림해충으로 중요한 종이 많다. 다음 중 딱정벌레목에 속하지 않는 종은 어느 것인가 ?
34. 곤충의 소화기관의 주위를 감싸고 있는 근육에 작용하는 신경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
35. 장수풍뎅이가 속하는 목(目)의 이름은 ?
36. 곤충에서 더듬이(antenna)의 기본구조는 똑같이 3부분으로 되어 있다. 끝마디인 채찍마디는 주로 무슨 역할을 하는가 ?
37. 해충의 방제 여부를 결정짓기 위한 중요 발생 예찰요소와 거리가 먼 것은 ?
38. 애벌레가 3회 탈피한 후 4회 탈피 전까지를 몇 령충이라고 하는가 ?
39. 늦가을 얼음이 얼기 전이나 이른 봄에 낙엽과수에 깍지벌레나 응애류의 월동충을 방제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약제는 ?
40. 참나무류의 종실인 도토리에 주둥이로 구멍을 뚫고 산란한 후 도토리가 달린 가지를 주둥이로 잘라 땅으로 떨어뜨리며 알에서 부화한 유충이 도토리의 과육을 식해하는 해충은 ?
3과목: 농약학
41. 농약의 약해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볼 수 없는 것은?
42. 우리나라에서 분제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증량제는?
43. 60kg의 쌀에 살충제 malathion 50% 유제를 5ppm이 되도록 처리하고자 할 때 필요한 살충제량(cc)은? (단, 비중은 1.07이다)
44. B.H.C 농약이 폐지된 이유로서 가장 합당한 것은?
45. 성페로몬을 농약으로 이용한 성유인제 농약은?
46. 제초제 농약 중 호르몬 작용을 가지고 있는 Phenoxy계 제초제 농약이 아닌 것은?
47. 미스트(mist)분무법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48. 다음 농약 중 유기인제 농약이 아닌 것은?(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 2, 3번 보기가 동일하게 출제되었습니다. 당연힌 2, 3번이 정답은 아니겠죠? 화이팅!!)
49. 농약을 식별하기 위해 라벨의 바탕 색깔을 달리하는데 황색 라벨은 어떤 약제를 뜻하는가?
50. 예방이나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약제로 침투성살균제(systemic fungicide)가 아닌 것은?
51. 다음 중 보호살균제는?
52. 살충제의 분류 중 접촉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53. 농약의 제제형태별 사용 용도를 설명한 것으로 관계가 먼 것은?
54. 다음 중 Pyrethrin의 효력증진제(Synergist)는?
55. 대기중의 산소나 물에 의해서 Ethylene thiuram monosulfate의 화합물로 변화되어 분해되는 농약은?
56. 식물생장 조정제가 아닌 것은?
57. 농약제제의 효과가 아닌 것은?
58. 현재 우리나라의 농약관리법상 농약에서 제외되고 있는 것은?
59. 농약의 사용목적에 따른 분류는?
60. 농약의 독성을 표시할 때 사용하는 LD50 의 의미는?
4과목: 잡초방제학
61. 벼 재배방법 중 잡초의 피해가 가장 큰 재배방법은 ?
62. 일반적으로 논 잡초 방제의 최적기는 ?
63. 화본과 잡초와 광엽잡초간에 나타나는 제초제의 선택성 요인은 어느 것인가 ?
64. 방동사니류 잡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65. 물옥잠과 잡초는 ?
66. 다음 중 잡초를 적절히 분류한 것은 ?
67. 다음의 다년생 논잡초 중에서 괴경이 가장 깊이 형성되는 것은 ?
68. 논잡초를 방제하기 위하여 벼의 유효분얼이 끝나고 유수형성기 이전에 살포하는 경엽처리형 제초제는 ?
69. 다음 논잡초 중 동일한 발생밀도에서도 벼의 수량감소를 가장 크게 하는 것은 ?
70. 방동사니과에 속하는 잡초는 ?
71. 대상 잡초별 방제 제초제가 잘못 연결된 것은 ?
72. 잡초를 생활형에 따라 바르게 분류한 것은 ?
73. 잡초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가장 잘 설명한 것은 ?
74. 작물과 잡초가 경합하는 요인 중 가장 관계가 없는 것은 ?
75. 입제(粒劑)제초제의 장점은 ?
76. 잡초 방제상 가장 중요한 분류 방법은 ?
77. 우리나라 논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제초제 가운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제형은 ?
78. 군락내 잡초의 총건물중이 200g인데 그 중 피의 건물중이 150g이면 피의 중요값은 ?
79. 잡초의 생육특성 중 잡초생육의 유연성이란 ?
80. 잡초의 유익작용 중 잘못 연결된 것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