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보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3-07)

식물보호산업기사
(2004-03-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식물병리학

1. 벼 줄무늬잎마름병의 병원체를 옮기는 해충은 ?

  1. 애멸구
  2. 벼멸구
  3. 끝동매미충
  4. 번개매미충
(정답률: 94%)
  • 애멸구는 벼 줄무늬잎마름병의 원인균인 Xanthomonas oryzae를 전염시키는 벼의 주요 해충 중 하나입니다. 애멸구는 벼의 잎을 먹고 그 속에서 원인균을 섭취하여 다른 식물에 전염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애멸구는 벼 재배에 있어서 중요한 해충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인삼, 당근의 뿌리에 혹과 같은 병징을 일으키게 하는 것은 ?

  1. 뿌리혹박테리아
  2. 뿌리혹선충
  3. 노균병균
  4. 토양수분
(정답률: 90%)
  • 뿌리혹선충은 인삼과 당근의 뿌리에 침입하여 병징을 일으키는 질병원으로, 뿌리에 혹과 같은 증상을 유발합니다. 따라서 이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은 "뿌리혹선충"입니다. 뿌리혹박테리아, 노균병균, 토양수분은 다른 질병이나 원인과 관련된 용어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밀 줄기녹병균의 중간기주는 ?

  1. 까치밥나무
  2. 낙엽송
  3. 향나무
  4. 매자나무(매발톱나무)
(정답률: 84%)
  • 밀 줄기녹병균은 매자나무(매발톱나무)와 같은 나무에서 발견되기 때문입니다. 이 나무는 밀과 같은 작물과 함께 자라는데, 밀 줄기녹병균은 밀과 같은 작물을 감염시켜 수확량을 감소시키는 식물병원균입니다. 따라서 매자나무(매발톱나무)는 밀 줄기녹병균의 중간기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균류병(곰팡이병)은 어느 것인가 ?

  1. 가지과 작물의 풋마름병
  2. 오이 노균병
  3. 감귤 궤양병
  4. 과수 근두암종병
(정답률: 75%)
  • 균류병(곰팡이병)은 "오이 노균병"이다. 이는 오이 작물에 발생하는 곰팡이병으로, 잎이나 줄기에 회색 또는 갈색의 얼룩이 생기며, 작물의 성장을 저해시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병 중 꽃감염(花器感染)을 하는 것은 ?

  1. 감자 암종병
  2. 벚나무 빗자루병
  3. 보리 겉깜부기병
  4. 보리 속깜부기병
(정답률: 60%)
  • 보리 겉깜부기병은 꽃감염을 일으키는 병 중 하나입니다. 이 병은 보리의 잎이나 줄기에 나타나는 균사가 꽃에 감염되어 꽃이 부패하고 말라지게 만듭니다. 따라서 꽃을 담은 꽃병이나 꽃꽂이에 사용된 보리가 감염원이 될 수 있습니다. 감자 암종병, 벚나무 빗자루병, 보리 속깜부기병은 꽃감염을 일으키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침입 저항성과 가장 관련이 있는 사항은 ?

  1. 두꺼운 각피
  2. 과민성 반응
  3. 파이토알렉신(phytoalexin)의 분비
  4. 페놀(phenol)물질의 집적
(정답률: 72%)
  • 두꺼운 각피는 외부 침입자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발달한 구조이며, 이는 침입 저항성과 가장 관련이 있습니다. 두꺼운 각피는 외부 자극에 대한 저항성이 높아져서 외부 침입자의 침입을 어렵게 만들어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두꺼운 각피는 피부의 침입 저항성을 높여주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병징 은폐(masking)가 일어나는 병은 ?

  1. 식물 진균병
  2. 식물 세균병
  3. 식물 바이러스병
  4. 식물 파이토플라스마병
(정답률: 82%)
  • 식물 바이러스병은 병원체가 작아서 병징이 눈에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은폐(masking)가 일어납니다. 따라서, 식물 바이러스병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의 식물병 중 일반적으로 방제하기가 가장 어려운 병은 ?

  1. 종자 전염성 병해
  2. 공기 전염성 병해
  3. 토양 전염성 병해
  4. 충매 전염성 병해
(정답률: 52%)
  • 정답은 "토양 전염성 병해"입니다. 이는 토양 속에 있는 병원균이 식물의 뿌리나 줄기에 침입하여 병을 유발하는 병으로, 토양 내 병원균의 종류와 양, 토양 조건 등이 방제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방제하기가 어렵습니다. 또한, 토양 전염성 병해는 예방이 치료보다 중요하므로, 식물을 심기 전에 토양의 상태를 파악하고 적절한 예방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식물병의 매개체가 될 수 없는 것은 ?

  1. 곤충
  2. 온도
  3. 농기구
(정답률: 86%)
  • 식물병의 매개체는 주로 병원균이나 바이러스와 같은 미생물이며, 이들은 생물체인 곤충이나 물과 같은 환경적인 요인을 통해 전파됩니다. 하지만 온도는 생물체가 아니기 때문에 식물병의 매개체가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배나무붉은별무늬병균(赤星病菌)의 중간기주는 ?

  1. 사과나무
  2. 소나무
  3. 향나무
  4. 참나무
(정답률: 95%)
  • 배나무붉은별무늬병균의 중간기주는 향나무인 이유는, 이 병균이 향나무에서 가장 잘 번식하고 생장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나무들에서도 번식은 가능하지만, 향나무에서는 특히 빠르게 번식하고 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병균을 예방하려면 향나무를 특히 조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병원체의 영양기관으로서의 표징은 ?

  1. 균사
  2. 포자
  3. 자낭각
  4. 자낭반
(정답률: 70%)
  • 병원체의 영양기관으로서의 표징은 균사입니다. 이는 병원체가 생장과 번식을 위해 필요한 영양분을 흡수하는데 사용되는 구조물입니다. 균사는 세포벽 내부에 위치하며, 세포벽과 세포막 사이에 있는 공간에서 영양분을 흡수합니다. 이러한 균사는 병원체의 생존과 번식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입자의 모양이 나머지 셋과는 다른 바이러스는 ?

  1.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TMV)
  2.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CMV)
  3. 감자X바이러스(PVX)
  4. 감자Y바이러스(PVY)
(정답률: 67%)
  •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CMV)는 다른 바이러스들과는 달리 입자의 모양이 다양하고 복잡하다. 이는 CMV가 다른 바이러스들과는 다른 유전자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CMV는 다양한 식물 종류에서 발견되며, 식물의 성장과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바이러스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선충의 이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 소나무 재선충은 토양에 존재하는 경우는 드물다.
  2. 일반적으로 한 생육기 동안 몇 미터밖에 이동하지 못한다.
  3. 기주식물의 줄기나 잎 표면을 자력으로 올라가기도 한다.
  4. 토양공극이 얇은 수막으로 되어 있을 때보다 물로 가득 차 있을 때 더 빨리 이동한다.
(정답률: 6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의 병 진단법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

  1. 바이로이드병의 진단에는 지표식물은 이용되지 못한다.
  2. 바이로이드병 진단에는 RNA 전기영동법이 이용된다.
  3. 감자의 바이러스 감염은 괴경지표법으로 검정할 수 있다.
  4. 사과나무 자주날개무늬병은 고구마를 심어 검정한다.
(정답률: 69%)
  • "사과나무 자주날개무늬병은 고구마를 심어 검정한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사과나무 자주날개무늬병은 사과나무에서 발생하는 질병으로, 고구마와는 전혀 상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고구마를 이용한 검정은 불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병징의 설명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 ?

  1. 배추 무사마귀병은 뿌리에 혹이 형성된다.
  2. 오이 노균병은 잎에 동심원의 둥근 병무늬를 형성한다.
  3. 감자 역병은 잎에 수침상 병무늬를 형성하고, 그 뒷면에 서리모양의 곰팡이가 생긴다.
  4. 벼 도열병은 잎에 암녹갈색의 점무늬가 생겨 점차 정방추형의 병무늬를 형성한다.
(정답률: 5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교차보호와 관계가 먼 것은 ?

  1. 약독바이러스 계통을 이용한다.
  2. 토마토의 TMV 방제에 이용되고 있다.
  3. 약독계통이 병원성화 될 염려는 없으므로 확대 이용되어야 한다.
  4. 약독바이러스 계통이 많지 않아 방제에 적극 이용되지 못하고 있다.
(정답률: 74%)
  • 교차보호와 관계가 먼 것은 "약독계통이 병원성화 될 염려는 없으므로 확대 이용되어야 한다." 이유는 약독계통이 병원성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안전하게 확대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교차보호는 다른 주제와 관련된 것이므로 이와는 관계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식물병원 세균 중 그램양성에 속하는 세균은 ?

  1. Pseudomonas
  2. Xanthomonas
  3. Agrobacterium
  4. Clavibacter
(정답률: 57%)
  • 그램양성 세균은 그램음성 세균과 달리 세포벽이 두껍고 펩티드글리칸이 많은 세균을 말합니다. Clavibacter는 그램양성 세균으로, Pseudomonas, Xanthomonas, Agrobacterium과는 달리 그램음성 세균이 아니라는 점에서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지표식물로 병을 진단할 수 있는 것은 ?

  1. 선충병
  2. 스피로플라스마병
  3. 세균병
  4. 바이러스병
(정답률: 75%)
  • 지표식물로 병을 진단할 수 있는 것 중 바이러스병은 다른 병원체와 달리 병원체 크기가 매우 작아서 현미경으로도 관찰하기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 식물의 잎이나 줄기 등에서 나타나는 증상을 통해 진단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바이러스병은 식물의 잎이나 줄기 등에서 노란색, 갈색, 검은색 등의 이상 색소가 생기거나, 잎이 찌그러지거나, 굳어지거나, 부러지는 등의 증상을 보이기 때문에 지표식물로 병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주로 물에 의해서 전파되는 병은 ?

  1. 벼 키다리병
  2. 벼 도열병
  3. 벼 흰잎마름병
  4. 벼 오갈병
(정답률: 79%)
  • 벼 흰잎마름병은 주로 물에 의해 전파되는 병입니다. 이 병은 벼 잎에 나타나는 짙은 갈색 반점과 함께 잎이 마르는 증상을 보이며, 이러한 감염된 잎이 물에 떠다니면서 다른 식물에 전파됩니다. 따라서 물이 병의 전파에 큰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저항성 대목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병은 ?

  1. 수박 덩굴쪼김병
  2. 고추 탄저병
  3. 오이 노균병
  4. 멜론 흰가루병
(정답률: 83%)
  • 저항성 대목은 작물이 병원균에 대해 내성을 가지는 것을 말합니다. 수박 덩굴쪼김병은 수박 작물이 병원균에 대해 일정한 내성을 가지기 때문에 저항성 대목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습니다. 이 병은 덩굴과 잎이 썩어서 색이 검게 변하고, 작물이 죽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저항성 대목을 이용하여 수박 덩굴쪼김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농림해충학

21. 농약살포 또는 화학적방제의 단점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

  1. 약제 저항성 해충의 출현
  2. 잠재해충의 해충화
  3. 잔류독성
  4. 생물상이 평형을 되찾고 안정화 됨
(정답률: 90%)
  • 생물상이 평형을 되찾고 안정화 됨은 농약살포나 화학적 방제로 인해 파괴된 생태계가 시간이 지나면서 다시 복구되어 안정화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생태계의 다양한 생물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며 균형을 맞추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이를 통해 농작물의 생산성을 유지하면서도 환경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는 농약살포나 화학적 방제의 단점이 아닌, 오히려 장점으로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곤충에서 수생식계(雄性生殖系)의 3대 구성요소와 거리가 먼 것은 ?

  1. 1쌍의 정소(精巢)
  2. 수란관(輸卵管)
  3. 수정관(輸情管)
  4. 사정관(射精管)
(정답률: 68%)
  • 수생식계의 3대 구성요소는 정소, 수정관, 사정관입니다. 이들은 각각 정자생성, 정자운반, 정자배출, 암컷의 난자생성, 난자운반, 배아발달 등의 역할을 합니다. 반면에 수란관은 암컷의 생식기관으로, 난자를 생산하고 정자와 만나서 수정관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수란관은 수생식계의 구성요소는 아니지만, 암컷의 생식기관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소나무좀의 모갱은 어떻게 만드는가 ?

  1. 침입공으로부터 윗쪽으로 만든다.
  2. 침입공으로부터 옆으로 만든다.
  3. 침입공으로부터 불규칙하게 만든다.
  4. 침입공으로부터 아래로 만든다.
(정답률: 56%)
  • 소나무좀의 모갱은 침입공(나무에 구멍을 뚫어 들어가는 벌레)이 윗쪽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모갱도 윗쪽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그렇게 하면 침입공이 모갱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진딧물, 깍지벌레, 응애류를 포식하는 이 곤충은 진딧물류를 가장 선호하는 익충이다. 어떤 곤충인가 ?

  1. 풀잠자리류
  2. 노린재류
  3. 배추흰나비고치벌
  4. 수중다리좀벌
(정답률: 79%)
  • 정답은 "풀잠자리류"입니다. 이 곤충은 진딧물류를 가장 선호하는데, 풀잠자리류는 주로 초목이나 풀밭에서 서식하며, 진딧물류가 많이 서식하는 이곳에서 먹이를 찾기 때문입니다. 노린재류나 배추흰나비고치벌, 수중다리좀벌은 다른 종류의 먹이를 선호하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곤충의 피부구조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

  1. 기저막은 일정한 모양이 형성된 비세포성 연결직이다.
  2. 원표피는 성충 표피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외원표피와 내원표피로 구성된다.
  3. 외표피는 단백질과 지질로 구성된 얇은 층으로 되어 있다.
  4. 진피세포는 표피를 이루는 단백질, 지질, 키틴 화합물 등을 합성분비하는 세포군이다.
(정답률: 68%)
  • 잘못된 설명은 "기저막은 일정한 모양이 형성된 비세포성 연결직이다."입니다. 기저막은 세포 외 기질과 세포 내부의 섬유구조로 이루어진 구조물로, 세포와 기질 사이에 위치하며 세포의 안정성과 기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기저막은 비세포성이 아닌 세포와 기질의 복합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배추흰나비 성충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

  1. 씹는 입틀을 가지고 있다.
  2. 앞날개가 뒷날개보다 작다.
  3. 더듬이는 가늘고 길다.
  4. 날개에 비늘이 없다.
(정답률: 6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점박이응애의 분류학적 위치는 어디에 속하는가 ?

  1. 갑각강
  2. 거미강
  3. 곤충강
  4. 톡톡이강
(정답률: 78%)
  • 점박이응애는 거미강에 속합니다. 이는 점박이응애가 거미류에 속하며, 거미류는 거미강에 속하는 동물들입니다. 거미강은 갑각류와 함께 절지동물의 한 분류군으로, 몸이 두 개의 세포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머리와 가슴을 합쳐놓은 전신과 복부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곤충의 몸 속에서 말피기관(Malpighian tube)의 기능은 ?

  1. 소화작용
  2. 순환작용
  3. 배설작용
  4. 호흡작용
(정답률: 79%)
  • 말피기관은 곤충의 배설기관으로서, 혈액에서 불필요한 물질을 걸러내고 그것을 체외로 배설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말피기관은 배설작용을 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벼 잎벌레의 월동 충태는 ?

  1. 유충
  2. 번데기
  3. 성충
(정답률: 60%)
  • 벼 잎벌레의 월동 충태는 성충입니다. 이는 벼 잎벌레가 겨울철에 지하나 나무껍질 등에서 월동을 하다가 봄이 되면 일어나서 번식을 하기 때문입니다. 알, 유충, 번데기는 모두 성장기에 해당하는 단계이며, 월동 충태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2령충이란 어느 기간을 뜻하는가 ?

  1. 산란 이후 부화 직전까지의 기간
  2. 부화 직후부터 1회 탈피 전까지의 기간
  3. 1회 탈피 후 2회 탈피 전까지의 기간
  4. 2회 탈피 후 3회 탈피 전까지의 기간
(정답률: 88%)
  • 2령충이란 개체가 탈피하는 과정에서 2번째로 탈피하는 기간을 뜻합니다. 따라서 "1회 탈피 후 2회 탈피 전까지의 기간"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충분히 자란 유충이 유충시대의 껍질을 벗고 번데기가 되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1. 부화
  2. 우화
  3. 용화
  4. 성충화
(정답률: 75%)
  • 용화는 충분히 자란 유충이 껍질을 벗고 번데기가 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용이 껍질을 벗고 날개를 펴는 모습과 유사하다고 해서 용화라고 부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곤충에서 가슴의 부속기관이 아닌 것은 ?

  1. 날개
  2. 기문
  3. 다리
  4. 외부생식기
(정답률: 81%)
  • 날개, 기문, 다리는 모두 곤충의 가슴 부속기관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외부생식기는 가슴 부속기관이 아닌 별도의 기관으로, 곤충의 생식에 관련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외부생식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곤충은 어떤 불리한 환경조건에 접할 경우 휴면(diapause)을 하는 것이 보통이다. 매 세대마다 한번 휴면하는 의무적 휴면(obligatory diapause)을 하는 해충은 ?

  1. 응애류
  2. 미국흰불나방
  3. 복숭아명나방
  4. 소나무좀
(정답률: 52%)
  • 소나무좀은 매 세대마다 한번 휴면하는 의무적 휴면을 하는 해충이다. 이는 소나무좀이 자연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 필요한 전략 중 하나로, 겨울철에는 눈이 많이 내리고 기온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등의 불리한 환경조건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나무좀은 겨울철에 휴면을 하여 생존율을 높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초식성 응애류는 현재 중요한 농림해충이다. 다음 중 응애류의 일반적 특징인 것은 ?

  1. 머리, 가슴, 배의 3부분으로 크게 구분된다.
  2. 가슴, 배에 마디가 있고 더듬이는 1쌍이 있다.
  3. 다리는 보통 4쌍이다.
  4. 2쌍의 날개가 있다.
(정답률: 62%)
  • 응애류는 절지동물 중 다리가 4쌍인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감자를 수확해 보니까 벌레가 먹어 들어간 구멍이 있고, 똥이 밖으로 나와 있었다. 어떤 해충의 피해인가 ?

  1. 방아벌레
  2. 감자나방
  3. 참검정풍뎅이
  4. 숯검은밤나방
(정답률: 84%)
  • 정답은 "감자나방"입니다. 감자나방은 감자의 잎이나 줄기를 먹어서 피해를 입히며, 똥을 남기는 특징이 있습니다. 반면, 방아벌레는 뿌리를 먹어서 피해를 입히고, 참검정풍뎅이는 뿌리의 노란색 부분을 먹어서 피해를 입힙니다. 숯검은밤나방은 나무를 먹어서 피해를 입히는 나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성충이 가지를 물어뜯고 산란하고 부화유충은 형성층을 식해하며 성장하면서 목질부에 텐넬을 만들며 가해하는 해충은 어느 것인가 ?

  1. 뽕나무하늘소
  2. 뽕나무깍지벌레
  3. 미국흰불나방
  4. 복숭아혹진딧물
(정답률: 62%)
  • 정답은 "뽕나무하늘소"입니다. 뽕나무하늘소는 가지를 물어뜯고 산란하며 부화유충이 형성층을 식해하며 성장하면서 목질부에 텐넬을 만들며 가해하는 해충입니다. 뽕나무깍지벌레는 뽕나무의 깍지를 먹어치우는 해충이며, 미국흰불나방은 열매를 먹어치우는 해충이고, 복숭아혹진딧물은 복숭아의 열매나 잎을 먹어치우는 해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향나무하늘소(측백나무하늘소)는 조경수인 향나무에 심한 피해를 준다. 이 해충이 가해하는 부위는 ?

  1. 잎과 줄기
  2. 줄기와 가지
  3. 뿌리와 가지
  4. 종자(열매)와 잎
(정답률: 72%)
  • 향나무하늘소는 주로 향나무의 줄기와 가지를 먹어서 식물의 성장을 방해하고 죽음으로 이어질 수 있는 심각한 피해를 줍니다. 따라서 정답은 "줄기와 가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식물체에 혹을 만들어 피해를 주는 해충이 아닌 것은 ?

  1. 포도뿌리혹벌레
  2. 복숭아혹진딧물
  3. 밤나무순혹벌
  4. 솔잎혹파리
(정답률: 68%)
  • 복숭아혹진딧물은 식물체의 혹을 먹지 않고, 복숭아의 열매나 잎을 먹어 피해를 주는 해충이기 때문에 다른 선택지들과는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양분을 저장하고 분해하며 해독작용을 하는 것은 어느 것인가 ?

  1. 지방체
  2. 편도세포
  3. 알라타체호르몬
  4. 앞가슴호르몬
(정답률: 70%)
  • 지방체는 지방을 저장하고 분해하며, 인슐린과 글루카곤 등의 호르몬을 분비하여 혈당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지방체는 여러 가지 호르몬의 해독작용을 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양분을 저장하고 분해하며 해독작용을 하는 것은 "지방체"입니다. 편도세포, 알라타체호르몬, 앞가슴호르몬은 이와는 관련이 없는 다른 기관 또는 호르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완전변태에 속하는 것은 ?

  1. 메뚜기
  2. 진딧물
  3. 잠자리
(정답률: 82%)
  • 벌은 다른 보기들과 달리 쏘아서 상대를 공격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인간에게 위협적으로 인식됩니다. 따라서 벌은 완전변태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농약학

41. 과수의 병해방제제로 강력한 살균력을 나타내며 응애나 깎지벌레 등에 대한 살충작용도 있는 약제는?

  1. 칼탑(파단)
  2. 홀펫
  3. 파라치온
  4. 석회 유황합제
(정답률: 60%)
  • 석회 유황합제는 과수의 병해방제제로 사용되며, 강력한 살균력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응애나 깎지벌레 등에 대한 살충작용도 있어 과수의 해충 피해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석회 유황합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카바메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약제는?

  1. 비피유제
  2. 아진포수화제
  3. 파프유제
  4. 이소란입제
(정답률: 61%)
  • 카바메이트는 비피유제에 속하는 항경련제이다. 따라서 카바메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약제는 비피유제이다. 아진포수화제, 파프유제, 이소란입제는 카바메이트를 주성분으로 하지 않는 약제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농약관리법에서 규정한 토양잔류성농약의 토양 중 반감기는?

  1. 30 일
  2. 90 일
  3. 180일
  4. 365일
(정답률: 84%)
  • 토양잔류성농약의 반감기란, 해당 농약이 토양에서 절반으로 분해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반감기가 180일인 경우, 해당 농약이 토양에서 절반으로 분해되는데 180일이 걸린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액제(Liquid)제형을 제제할 때 동결방지제로 사용되는 물질은?

  1. 크실렌(Xylene)
  2.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3. 벤젠(Benzene)
  4. 톨루엔(Toluene)
(정답률: 71%)
  • 에틸렌글리콜은 낮은 온도에서도 액체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동결방지제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액제제형을 제제할 때 동결방지를 위해 에틸렌글리콜이 사용됩니다. 크실렌, 벤젠, 톨루엔은 동결방지 효과가 없거나 매우 낮기 때문에 선택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농약이 갖추어야 할 일반적인 구비 조건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혼용범위가 좁을 것
  2. 인축에 대한 독성이 낮을 것
  3. 농작물에 대한 약해가 적을 것
  4. 물리성이 양호할 것
(정답률: 88%)
  • 혼용범위가 좁을 것은 농약이 다른 농약과 함께 사용할 때 상호작용이 일어나서 효과가 떨어지거나 독성이 증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혼용범위가 좁은 농약은 다른 농약과 함께 사용하기 어렵고, 단독으로 사용해야 효과를 발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농약안전사용 기준에 의해 고추의 역병, 탄저병 방제에 사용되지 않는 농약은?

  1. 메타실 디치 수화제
  2. 메타실엠 수화제
  3. 아족시트로빈 액상수화제
  4. 카프로파미드 액상수화제
(정답률: 43%)
  • 카프로파미드 액상수화제는 고추의 역병, 탄저병 방제에 사용되는 농약이지만, 농약안전사용 기준에 의해 사용이 금지된 농약입니다. 따라서 고추의 역병, 탄저병 방제에 사용되지 않는 농약은 카프로파미드 액상수화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농약 제형중 유제에 사용되는 유기용제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개발된 제형은?

  1. 수용제
  2. 액상수화제
  3. 액제
  4. 유탁제
(정답률: 67%)
  • 유탁제는 농약 제형 중 유제에 사용되는 유기용제를 줄이기 위해 개발된 제형으로, 물에 잘 녹아 희석이 용이하며, 농약의 분산성과 안정성을 높여줍니다. 따라서 더 적은 양의 유기용제를 사용하여 농약을 제조할 수 있어 환경 친화적인 제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착색 촉진제인 에세폰액제(Ethephon)의 작용기작 물질은?

  1. 지베레린(Gibbellin)
  2. 시토키닌(Cytokinin)
  3. 제아틴(Zeatin)
  4. 에틸렌(Ethylene)
(정답률: 83%)
  • 에세폰액제는 식물의 세포벽 내에서 에틸렌을 방출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이로 인해 세포벽이 약해지고, 세포 내부의 액체가 증발하여 식물이 빠르게 성장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에틸렌(Ethylen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기계유유제의 살충작용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광물유로 피복, 질식시켜 살충
  2. 식중독으로 살충
  3. 중추신경마비로 살충
  4. 훈증으로 살충
(정답률: 90%)
  • 기계유유제는 광물유로 작용하여 벌레의 피부를 덮고, 이로 인해 숨을 쉴 수 없게 만들어 질식시켜 살충하는 작용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해충이나 식물체 표면에서 약제의 부착 및 고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첨가제는?

  1. 규조토
  2. 탄화수소류
  3. 카세인
  4. 알콜류
(정답률: 56%)
  • 카세인은 접착제로 사용되는 단백질이며, 해충이나 식물체 표면에 부착되어 약제의 고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카세인은 약제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첨가제로 사용됩니다. 규조토나 탄화수소류, 알콜류는 이와 같은 효과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우리나라의 독성 구분 기준에서 저독성(Ⅳ) 고체농약에 대한 경구독성의 반수치사량(㎎/㎏체중)은?

  1. 5미만
  2. 5 ~ 50
  3. 50 ~ 500
  4. 500이상
(정답률: 64%)
  • 저독성(Ⅳ) 고체농약의 경구독성 반수치사량이 500 이상인 이유는, 해당 농약을 섭취해도 독성이 낮아 인체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지 않는 안전한 수치로 분류되어 500 이상으로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응애방지 약제로서 염소(Cl)는 함유하지 않고 탄소, 수소, 황을 함유한 약제는?

  1. 디코폴 유제
  2. 프로파가이트(프로지) 수화제
  3. 테트라디폰(테디온) 유제
  4. 클로펜테진 수화제
(정답률: 20%)
  • 염소(Cl)는 일반적으로 살충제나 살균제 등의 응애방지 약제로 사용되지만, 프로파가이트(프로지) 수화제는 탄소, 수소, 황을 함유한 약제로서 응애방지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프로파가이트(프로지) 수화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식물체의 미토콘드리아에서 산화적 인산화 반응으로 ATP합성을 저해하여 살초작용을 하는 제초제의 작용기작은?

  1. 호르몬 작용의 교란
  2. 호흡작용 저해
  3. 세포분열의 저해
  4. 지질대사의 저해
(정답률: 65%)
  • 식물체의 미토콘드리아에서는 호흡작용을 통해 ATP를 합성합니다. 따라서 호흡작용을 저해하는 제초제는 미토콘드리아에서 ATP 합성을 감소시키고, 이로 인해 식물체의 생존에 필요한 에너지 공급이 부족해져서 살초작용을 하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호흡작용 저해"가 제초제의 작용기작으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식물체내에서 다른 성분과 결합하여 포합체(conjugate)를 만들어 방동사니 잡초에 선택적으로 우수한 효과가 있는 약제는?

  1. MCPB
  2. Butachlor
  3. Bentazone
  4. Benthiocarb
(정답률: 72%)
  • Bentazone은 식물체내에서 다른 성분과 결합하여 포합체를 만들어 방동사니 잡초에 선택적으로 우수한 효과가 있는 약제입니다. 다른 보기인 MCPB, Butachlor, Benthiocarb는 이와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포장에서 저항성균에 대한 대책이 아닌 것은?

  1. 약제의 사용횟수를 줄인다.
  2. 동일 약제나 같은 작용기작을 가진 같은 계통의 약제의 연속적인 사용은 피한다.
  3. 약제의 살포량을 늘린다.
  4. 약제면에서의 대책과 병 발생의 억제 대책을 세운다.
(정답률: 80%)
  • 약제의 살포량을 늘리는 것은 포장에서 저항성균에 대한 대책이 아닙니다. 이는 약물 낭비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약제의 부작용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올바르지 않은 대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농약 중 급성 독성이 가장 낮은 농약은?

  1. 메프 유제
  2. 파라치온 유제
  3. 디디브이피 유제
  4. 모노포 액제
(정답률: 49%)
  • 메프 유제는 다른 농약들과 비교하여 급성 독성이 가장 낮은 농약 중 하나입니다. 이는 메프 유제가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능력이 상대적으로 약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메프 유제는 인체에 미치는 부작용이 적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농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작용기작이 식물호로몬 작용 교란 제초제가 아닌 것은?

  1. 2,4-D
  2. Dicamba
  3. MCPB
  4. PCP
(정답률: 74%)
  • PCP는 식물호르몬 작용 교란 제초제가 아닙니다. PCP는 페놀계 화합물로, 주로 나무 보호제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농약보조제 중 유기용제가 갖추어야할 성질이 아닌 것은?

  1. 용해도가 커야 한다.
  2. 약효를 저하시켜서는 안 된다.
  3. 용제자신이 약해를 내서는 안 된다.
  4. 농약의 독성을 증가시켜야 한다.
(정답률: 92%)
  • 농약보조제 중 유기용제가 갖추어야할 성질은 "농약의 독성을 증가시켜야 한다."가 아닙니다. 유기용제는 농약의 용해도를 높이고, 흡착력을 강화하여 농약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농약의 독성을 증가시켜야 한다."는 올바르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농약의 안전사용기준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재배기간중 사용가능 횟수 내에서 사용한다.
  2. 적용대상 농작물에 병해충 발생 확인시 어느때나 사용한다.
  3. 사용작물의 수확기 전후를 확인하여 사용시기를 준수한다.
  4. 농약사용자는 안전사용기준에 의거 적정하게 사용하여야 한다.
(정답률: 92%)
  • "적용대상 농작물에 병해충 발생 확인시 어느때나 사용한다."는 안전사용기준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농약은 적용대상 농작물에 따라 사용시기와 사용량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병해충 발생 여부와 상관없이 언제든지 사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가비중이 0.5인 유제(50%)를 0.05% 액으로 희석하여 10a 당 5말로 살포하려 할 때 소요되는 제품의 양은?

  1. 100cc
  2. 120cc
  3. 280cc
  4. 180cc
(정답률: 42%)
  • 먼저, 우리는 필요한 최종 농도와 우리가 가지고 있는 원액의 농도를 알아야 합니다. 최종 농도는 5말/10a이며, 이는 0.05% 농도와 같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0.05% 농도를 가지는 액을 만들어야 합니다.

    원액의 농도는 50%이며, 이를 0.05%로 희석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원액을 얼마나 희석해야 하는지 계산해야 합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C1V1 = C2V2

    여기서, C1은 원액의 농도, V1은 원액의 양, C2는 최종 농도, V2는 최종 액의 양입니다. 이를 우리의 문제에 적용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0.5V1 = 0.0005(10a x 10000)

    여기서, 10a를 10000으로 변환한 이유는 우리가 필요로 하는 최종 액의 양이 밀리리터 단위이기 때문입니다. 이를 계산하면,

    V1 = 100cc

    즉, 우리는 100cc의 원액을 필요로 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우리가 필요로 하는 최종 액의 양이 아닙니다. 우리는 이것을 10a 당 5말로 살포해야 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하여 필요한 최종 액의 양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V = (10a x 5말) / 0.05%

    여기서, V는 필요한 최종 액의 양입니다. 이를 계산하면,

    V = 20000cc = 200ml

    따라서, 우리는 100cc의 원액을 200ml의 용액으로 희석해야 합니다. 이것은 180cc의 제품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잡초방제학

61. 다음은 제초제의 제형(formulation)중 액체상태로 만들어 분무하는 약제를 말한다. 맞지 않는 것은 ?

  1. 수용제
  2. 유제
  3. 분제
  4. 수화제
(정답률: 75%)
  • 정답은 "분제"이다.

    제초제의 제형 중 액체상태로 만들어 분무하는 약제를 말하는데, "분제"는 액체상태가 아닌 고체상태로 만들어 분말 또는 액체에 섞어 사용하는 약제이다. 따라서 "분제"는 제초제의 액체상태로 만들어 분무하는 약제가 아니므로 맞지 않는다.

    - "수용제"는 액체상태의 용매를 말한다.
    - "유제"는 유화제를 포함한 액체상태의 제형을 말한다.
    - "수화제"는 액체상태의 수화제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제초제 사용시 유의할 점이 아닌 것은 ?

  1. 사용시기
  2. 사용량
  3. 살포방법
  4. 물의 온도가 높을 것
(정답률: 88%)
  • 물의 온도가 높을 것은 제초제 사용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제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우리나라 논에 가장 발생량이 많은 잡초로만 나열된 것은 ?

  1. 피, 올방개
  2. 올미, 바랭이
  3. 피, 여뀌
  4. 쇠비름, 사마귀풀
(정답률: 78%)
  • 정답은 "피, 올방개"입니다. 이는 논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잡초로, 피는 논에서 자주 발생하는 잡초 중 하나이며, 올방개는 논에서 가장 흔한 잡초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잡초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열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일년생 잡초가 아닌 것은 ?

  1. 바랭이, 쇠비름
  2. 둑새풀, 돌피
  3. 메꽃, 쑥
  4. 명아주, 깻풀
(정답률: 84%)
  • 메꽃과 쑥은 일년생이 아닌 다년생 식물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년생 식물은 한해 동안 생장한 후에도 지속적으로 생장하며, 일년생 식물은 한해 동안 생장한 후 씨앗을 남기고 죽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수생(水生)잡초가 아닌 것은 ?

  1. 물별
  2. 물달개비
  3. 알방동사니
  4. 속속이풀
(정답률: 63%)
  • 속속이풀은 물 속에서 자라는 수생 잡초입니다. 반면에 물별, 물달개비, 알방동사니는 모두 물 속에서 자라는 수생 식물이지만, 잡초가 아닌 다른 종류의 식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잡초의 유용성이 아닌 것은 ?

  1. 지면을 덮어서 침식을 막아준다.
  2. 토양에 유기물을 공급한다.
  3. 병해충을 매개한다.
  4. 구황작물로 이용한다.
(정답률: 78%)
  • 잡초가 지면을 덮어서 침식을 막아주고, 토양에 유기물을 공급해주며, 구황작물로 이용될 수 있지만, 병해충을 매개하는 것은 유용하지 않은 것입니다. 잡초가 병해충을 매개하면, 식물에 해를 끼치고 수확량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벼의 품종특성 중에서 잡초와의 광경합에서 유리한 종류는 ?

  1. 초관형성이 늦은 단간종
  2. 초관형성이 빠른 장간종
  3. 직립형의 장간종
  4. 초관형성이 빠른 단간종
(정답률: 84%)
  • 초관형성이 빠른 장간종은 빠른 성장력과 높은 생육력을 가지고 있어서, 잡초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벼의 품종특성 중에서 잡초와의 광경합에서 유리한 종류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가장 바람직한 잡초방제 방법이 아닌 것은 ?

  1. 사이짓기
  2. 경종적 방제
  3. 생물학적 방제
  4. 경합
(정답률: 45%)
  • 사이짓기는 잡초를 제거하기 위해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환경오염과 인체에 대한 위험이 있기 때문에 가장 바람직한 방법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사이짓기"입니다. 대신에 생물학적 방제나 경합 등 자연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환경친화적이고 안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2개 이상의 제초제 유효성분이 혼합되어 있는 제초제는 ?

  1. 옥사존 유제(론스타)
  2. 파미드 유제(데브리놀)
  3. 푸로닐 액제(스템에프-34)
  4. 부타졸 입제(푸마시)
(정답률: 33%)
  • 부타졸 입제(푸마시)는 다른 제초제 유효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범용적인 제초제입니다. 이 제초제는 다양한 작물에서 사용 가능하며, 특히 잡초와 뿌리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또한, 부타졸 입제는 농작물에 대한 안전성이 높아 사용하기에도 안전합니다. 따라서, 다른 제초제 유효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범용적인 제초제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화합물 중 콩에 대한 선택성 제초제 중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제초제는 ?

  1. Simazine
  2. Devrinol(Napropamide)
  3. Lasso(Alachlor)
  4. Ronstar(Oxadiazon)
(정답률: 54%)
  • 정답은 "Lasso(Alachlor)"입니다. 이유는 Lasso(Alachlor)가 콩에 대한 선택성 제초제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효과적인 제초 효과: Lasso(Alachlor)는 콩을 제외한 다른 잡초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2. 경제적인 가격: Lasso(Alachlor)는 다른 선택성 제초제에 비해 경제적인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습니다.

    3. 다양한 용도: Lasso(Alachlor)는 콩뿐만 아니라 다른 작물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안전성: Lasso(Alachlor)는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지 않는 안전한 제초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유효성분이 5%인 입제형의 제초제를 10a당 100g처리하고자 할 때 필요한 제품의 양은 ?

  1. 1kg
  2. 2kg
  3. 4kg
  4. 8kg
(정답률: 76%)
  • 유효성분이 5%인 제초제 100g에는 유효성분이 5g 들어있습니다. 따라서 10a당 처리해야 할 유효성분의 양은 10a × 5g = 50ag 입니다. 이를 100g씩 처리하기 위해서는 50ag ÷ 100g = 0.5kg의 제초제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kg"가 아닌 "0.5k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영양번식을 하는 잡초종의 지하경 형성에 관여하는 환경요인이 아닌 것은 ?

  1. 일장
  2. 영양생장량
  3. 광도
  4. 온도
(정답률: 63%)
  • 영양생장량은 잡초의 생장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요인이므로, 영양번식을 하는 잡초종의 지하경 형성에 관여하는 환경요인이 아닙니다. 일장, 광도, 온도는 모두 잡초의 생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지하경 형성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잡초 발생량은 많으나 방제하지 않아도 피해가 비교적 적은 잡초는 ?

  1. 콩밭의 실새삼
  2. 건답직파의 둑새풀
  3. 시금치밭의 명아주
  4. 파밭의 바랭이
(정답률: 58%)
  • 건답직파의 둑새풀은 뿌리가 깊게 내려가서 토양 중의 영양분을 흡수하기 때문에 생육력이 강하고, 잡초 발생량이 많지만 주변 작물에 큰 피해를 주지 않아 방제하지 않아도 되는 잡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잡초종자의 산포 특성상 이동거리가 가장 먼 것은 ?

  1. 도꼬마리
  2. 쇠비름
  3. 광대나물
  4. 서양민들레
(정답률: 88%)
  • 서양민들레가 이동거리가 가장 먼 이유는 그 씨앗이 바람에 의해 멀리 날아다니기 때문입니다. 서양민들레는 씨앗이 가벼워서 바람에 쉽게 흩어지며, 한 번에 수십 미터에서 수백 미터까지 이동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도꼬마리, 쇠비름, 광대나물은 씨앗이 무거워서 바람에 의한 이동거리가 서양민들레보다 짧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보리밭에 발생하는 주요 잡초가 아닌 것은 ?

  1. 별꽃
  2. 둑새풀
  3. 좀개구리밥
  4. 갈퀴덩굴
(정답률: 75%)
  • 보리밭에서 자주 발생하는 잡초는 별꽃, 둑새풀, 갈퀴덩굴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좀개구리밥"은 식물이 아니라 동물의 이름입니다. 따라서 "좀개구리밥"은 보리밭에서 발생하는 주요 잡초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제초제가 작물에 약해를 유발시키는 원인 중 가장 관계가 깊은 요인은 ?

  1. 습도
  2. 온도
  3. 광선
  4. 강우
(정답률: 74%)
  • 제초제는 작물의 잎과 뿌리를 파괴하여 작물의 성장을 방해합니다. 이때 온도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고온이나 저온에서는 작물의 성장이 둔화되고, 제초제의 독성이 더욱 강해집니다. 따라서 제초제를 사용할 때는 적정 온도에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습도, 광선, 강우도 작물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지만, 제초제의 독성과 직접적인 연관성은 온도가 더 크기 때문에 온도가 가장 관계가 깊은 요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종자에 낚시모양의 돌기 또는 비늘모양의 가시가 있어 사람이나 동물에 쉽게 부착되어 전파하는 잡초는 ?

  1. 바랭이
  2. 둑새풀
  3. 방동사니
  4. 도깨비바늘
(정답률: 90%)
  • 도깨비바늘은 종자에 낚시모양의 돌기 또는 비늘모양의 가시가 있어 사람이나 동물에 쉽게 부착되어 전파하는 잡초입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도깨비바늘이 부착된 동물이나 사람이 다른 장소로 이동하면서 씨앗을 전파하게 됩니다. 따라서 도깨비바늘은 매우 빠르게 번식하고 확산되는 잡초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논에 발생되는 피를 3-4엽기까지 방제할 수 있는 제초제 성분인 것은 ?

  1. Bentazon
  2. Butachlor
  3. Cyhalofop-butyl
  4. Pendimethalin
(정답률: 44%)
  • Cyhalofop-butyl은 논에서 발생하는 풀들을 방제하는 제초제 성분 중 하나입니다. 이 성분은 3-4엽기까지의 풀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Bentazon, Butachlor, Pendimethalin은 각각 다른 성분으로, Cyhalofop-butyl과는 다른 방식으로 작용합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는 Cyhalofop-butyl이 논에서 발생하는 피를 3-4엽기까지 방제할 수 있는 유일한 성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과 같이 작물과 잡초가 경합하고 있을 때 작물수량손실이 가장 높은 경우는 ?

  1. C3 작물과 C3 잡초
  2. C4 작물과 C3 잡초
  3. C4 작물과 C4 잡초
  4. C3 작물과 C4 잡초
(정답률: 87%)
  • C3 작물과 C4 잡초는 광합성 경로가 다르기 때문에 서로 경쟁하지 않고 자원을 공유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C4 잡초는 C3 작물과 경쟁하지 않고 자원을 더 많이 사용하여 C3 작물의 생육을 방해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C3 작물과 C4 잡초가 경쟁하는 경우 작물수량손실이 가장 높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잡초의 학명을 이명법으로 표시할 때 다음 중 바르게 설명한 것은 ?

  1. 속명과 종명의 첫글자는 대문자로 표기한다.
  2. 속명, 종명, 명명자 명의 순서로 표기한다.
  3. 원칙적으로 과명을 표시하지만 일반적으로 생략한다.
  4. 아종명(SSP.)과 변종명(VAR.)은 이태릭체로 표기하지 않는다.
(정답률: 64%)
  • 정답은 "속명, 종명, 명명자 명의 순서로 표기한다." 이다. 이유는 생물의 이름을 표기할 때는 일정한 규칙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 규칙은 생물의 분류 체계를 따르며, 속명, 종명, 명명자 명의 순서로 표기한다. 이 때 속명과 종명의 첫글자는 대문자로 표기하며, 과명은 원칙적으로 표기하지만 일반적으로 생략한다. 아종명과 변종명은 이태릭체로 표기하지 않는다. 이러한 규칙을 따르면 다른 사람들도 쉽게 생물의 이름을 이해할 수 있으며, 생물 분류체계를 유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