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식물병리학
1. 식물병의 진단에서 유관속 폐색을 일으키는 병은?
2. 병원균 중 생활사를 완성하기 위해 기주를 바꾸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3. 다음 병 중 병원이 토양전염하는 것은?
4. 다음 중 시들음을 전형적인 전신병징으로 나타내는 병은?
5. 배나무 붉은별무늬병의 녹포자는 어느 식물에서 생기는가?
6. 식물병의 넓은 의미의 생물적 방제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7. 대추나무 빗자루병(천구소병)의 치료방법은 어떤 것이 좋은가?
8. 세포벽을 가지고 있지 않는 식물병원균은?
9. 세균에 의한 병으로 진단할 수 있는 단서는?
10. 다음 병 방제법으로 잘못 설명된 것은?
11. 배나무 검은별무늬병의 방제에 가장 효과적인 것은?
12. 바이러스병의 진단법이 아닌 것은?
13. 바이러스병의 내부병징과 관계가 먼 것은?
14. 매개충의 알을 통하여 다음 대까지 바이러스가 옮겨지는 병은?
15. 식물병원체들을 크기가 작은 것부터 큰 것 순으로 맞게 나열된 것은?
16. 고추탄저병의 방제방법으로 적당치 않는 것은?
17. 식물에 병을 일으키는 원인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8. 식물병의 전염원이 될 수 없는 것은?
19. 병의 원인을 주인과 유인으로 분명하게 구분하기가 가장 어려운 병은?
20.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2과목: 농림해충학
21. 왕무당벌레붙이의 월동 충태는?
22. 곤충과 거미의 다리 마디 수를 비교한 것으로 올바른 것은?
23. 지구상에 곤충이 번창하게 된 원인이 아닌 것은?
24. 종간 상호작용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25. 솔잎혹파리 방제를 위한 침투성 약제 수간주입(수간주사)방법은 이 해충의 어느 충태를 구제하는 방법인가?
26. 곤충의 섭식 행동의 하나로서 곰팡이를 먹는 식성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27. 곤충이 알에서 유충(또는 약충), 번데기 시기를 거쳐 성충이 되고, 다시 알을 낳게 될 때까지를 무엇이라 하는가?
28. 주광성을 이용해서 성충을 유살할 수 없는 해충은?
29. 곤충의 뇌(腦)중에서 시각에 관여하는 것은?
30. 곤충에서 유약충(幼若蟲)호르몬에 해당되는 것은 어느 것인가?
31. 다음 중 단식성인 해충은?
32. 곤충의 체벽에 속하지 않는 것은?
33. 깍지벌레는 다음 중 어느 목에 속하는가?
34. 소나무류에 치명적인 피해를 주는 소나무 재선충을 매개하는 곤충은?
35. 존스턴씨기관(Johnston's organ)이 하는 일은?
36. 수정된 알세포에서 부화하기까지의 발육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37. 곤충 혈구의 기능이 아닌 것은?
38. 벼 이삭을 보았더니 이삭 끝부분을 중심으로 죽은 낱알이 부분적으로 생긴 것이 발견되었다. 다음 중 어떤 해충의 피해라고 생각하는가?
39. 곤충에서 성충기의 기문(氣門)은 최대 10쌍이다. 그 중 가슴에 위치한 기문은 몇 쌍인가?
40. 곤충의 휴면(休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과목: 농약학
41. 우리나라 농약의 경구독성 실험에서 고체인 경우 보통 독성의 구분 기준은?
42. 다음 Thiram 농약의 구조식 중 (①), (②) 속에 적당한 원소 기호는?
43. 다음 농약 중 응애방제 약제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44. 다음 농약에 중독이 되었을 때 치료할 수 있는 약제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45. 약제 50%를 0.05%로 희석하여 10a당 5말로 살포하려고 할 때 약제의 소요량은? (단, 비중은 0.7이다)
46. 다음 약제 중 생장 억제제는 어느 것인가?
47. 모든 식물을 전멸할 수 있는 제초제는?
48. 유기인계(有機燐系) 농약의 기본 구조중 하나인 것은?
49. 농약 분체분석을 위한 체분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0. dithiocarbamate(>N-CS-S-기)계 농약이 아닌 것은?
51. 사람이 일생을 통하여 매일 섭취하여도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 약량을 무엇이라 하는가?
52. 다음 중 호르몬형 제초제는?
53. 곡물용 훈증제로 많이 쓰이는 것은?
54. 분제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5. 약해가 잘 일어날 수 있는 토성은?
56. 유제(乳劑) 형태의 농약제품을 만들 때 원제를 녹이기 위해 사용하는 물질은?
57. 다음 농약 중 실험 동물(rat)에 경구독성이 가장 강한 것은?
58. 작물 잔류성이 가장 긴 약제는?
59. 다음 중 농약의 약해와 가장 관련이 적은 요인은?
60. 메타의 일반명은?
4과목: 잡초방제학
61. 우리나라 논에 주로 발생하는 다년생 잡초는?
62. 다음 잡초 중 염분농도가 높은 간척지에서 발생이 많은 잡초는?
63. 잡초로 인한 작물의 피해요인으로 맞지 않은 것은?
64. 생물학적 잡초방제법의 장점이 아닌 것은?
65. 과수원 및 비농경지 잡초 중 다년생 잡초는?
66. 콩과작물의 잡초방제 방법과 거리가 먼 것은?
67. 제초제의 약효 반응과 관련이 가장 적은 증상은?
68. 논에서 다년생 잡초가 우점하는 요인이 아닌 것은?
69. 잡초의 분류방법 중 생활형 특성에 따라 분류한 것은?
70. 잡초의 생리적 특성에 관하여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71. 종자휴면의 원인이 아닌 것은?
72. 실제 포장에서 경합이 가장 크게 일어나는 작물과 잡초의 조합은?
73. 작물의 수량감소 정도는 작물과 잡초와의 경합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이에 관여하지 않는 것은?
74. 경합의 3대 요소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75. 잡초의 종자가 전파되는 방법 중 관계가 먼 것은?
76. 광엽잡초가 아닌 것은?
77. 잡초의 생물학적 방제에 있어서 방제용으로 도입되는 생물(천적)이 구비하여야 할 조건 중 맞지 않는 것은?
78. 과수, 뽕나무 및 조림지에서 1년생 및 다년생잡초의 방제에 쓰이는 비선택성 약제는?
79. 콩을 파종하고 흙으로 덮어준 후 3%의 유효성분을 가진 제초제를 300평당 3kg을 살포하도록 되어 있다. 콩밭 600평의 면적에 살포되는 제초제의 유효성분량은?
80. 생태적 방제법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