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식물병리학
1. 사과나무 화상병의 전파는 주로 어떤 방법으로 이루어지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2. 바이러스의 혈청학적 진단법과 거리가 먼 것은?
3. 감수체(Suscept)란 어떤 뜻인가?
4. 토마토 시들음병의 발생을 증가시키는데 상호작용하는 병원균과 선충으로 옳은 것은?
5. 다음 병원균 중 알칼리 토양에서 잘 번식하는 것은?
6. 붕소의 결핍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사과병은?
7. 태풍과 침수가 일어날 때 많이 발생하는 병은?
8. 뿌리혹병(근두암종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은?
9. 다음은 어느 병의 방제법인가?
10. 큐어링에 의한 작물의 저장은 어느 병원균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것인가?
11. 식물병원균이 이종기생을 하는 경우 생활환(Life Cycle)을 완성하기 위하여 기주식물을 바꾸어 생활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2. 고추에 발생하는 병으로 장마철이나 집중호우시 재배포장의 물빠짐이 불량한 경우 큰 피해를 초래하는 병은?
13. 균류의 유성포자는 성질이 다른 2개의 핵의 융합과 분열에 의하여 만들어지며 유전적 변이의 원인이 되는데, 다음 중 유성포자에 속하지 않는 것은?
14. 잣나무에 발생하는 병으로 병든 가지 또는 줄기의 수피는 노란색 내지 갈색으로 변하며 거칠어지고 수지(Resin)가 흐르며, 송이풀류와 까치밥나무를 중간기주로 갖는 병은?
15. 균핵(菌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6. 수목병의 원인을 생물적·비생물적을 구분할 때 생물적 원인에 의한 병원이 아닌 것은?
17. 소나무 혹병의 하포자와 동포자는 어디서 월동하는가?
18. 다음 중 스파이로플라스마에 대한 특징으로 틀린 것은?
19. 곰팡이의 기관을 영양체와 번식체로 구분할 때 영양체가 아닌 것은?
20. 다음 식물병원균 중 순활물기생하는 균은?
2과목: 농림해충학
21. 건축물의 목재(예:기둥, 문틀 등), 목가공품의 표면만 남기고 내부를 불규칙하게 식해한 후 표면에 구멍을 뚫고 성충이 고운 가루를 배출하며 탈출하는 해충이 있다. 다음 중 어떤 해충인가?
22. 외국에서 새로운 해충이 우리나라에 침입해서 문제가 된 경우가 많다. 다음 중 침입해충으로만 구성된 것은?
23. 솔잎혹파리를 비롯한 혹파리과(科) 곤충의 형태적 특징으로 맞는 것은?
24. 곤충목의 분류에서 개미가 속하는 목(目)은?
25. 벼를 가해하는 해충 중 집중분포성이 가장 큰 것은?
26. 수정된 알세포에서 부화하기까지 발육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27. 곤충이 생존하기 불리한 환경이 되면 대사와 발육이 느리게 진행되고 환경이 좋아지면 즉각 정상상태를 회복하는 현상은?
28. 소나무류에 피해를 주는 솔잎혹파리의 천적이 아닌 것은?
29. 날개가 있는 것은 날개맥이 없는 가늘고 긴 날개를 가지고 있으며 그 가장자리에 긴 털이 규칙적으로 나 있으며, 좌우대칭이 아닌 입틀을 가지고 있는 곤충군은?
30. 다음 중 알라타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31. 사과웅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2. 다음 해충의 방제수단으로 이용되는 내충성품종에 대해 고려해야 할 조건들 중 부적당한 것은?
33. 다음 곤충 개체 간의 통신수단에 사용되는 물질들 중 관계가 없는 것은?
34. 애벌레가 3회 탈피한 후 4회 탈피 전까지를 몇 령층이라고 하는가?
35. 내충성이 강한 품종을 선택하는 것은 다음 중 어는 방제법에 속하는가?
36. 국내에서는 1988년에 처음 발견된 외래 해충으로 벼 재배시 성충은 벼잎을 유충은 벼뿌리를 가해하여 피해를 주는 해충은?
37. 다음 중 거세미나방의 월동 형태는?
38. 곤충의 호흡계와 소화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9. 탈피과정에서 다시 흡수되어 재활용되는 체벽의 부분은?
40. 다음 해충 중 성충의 피해가 문제되는 것은?
3과목: 농약학
41. 다음 중 유제의 성질이 아닌 것은?
42. 다음 농약 중 합성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는?
43. 가지과 작물(고추, 토마토)의 선택성 제초제는?
44. 다음 중 농약의 주성분에 의한 분류로 주로 제초제나 생장조정제로 이용되고 있는 농약은?
45. 유제용 기계유가 갖추어야 할 물리적인 성질은?
46. 농약 보조제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7. 다음 구조식을 가진 제초제는 어느 계에 속하는가?
48. 농약의 제형에서 입제와 세립제의 가장 큰 차이점은?
49. Mancozeb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50. 살비제 농약의 구비조건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51. 파라티온(Parathion)은 어느 효소 작용을 억제하는가?
52. 곤충 생장조절제로 개발되었으며 소나무의 솔껍질깍지벌레의 방제에 효과적인 약제는?
53.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살균제는?
54. DEP제(디프테릭스)가 분해하여 1차로 변하는 형태는?
55. 농약 혼용의 장점이 아닌 것은?
56. 다음 제초제 중 잡초와 작물 모두를 살멸시키는 비선택성 식물전멸약은?
57. 쥐가 먹었을 때 위산에 의하여 독극의 가스가 발생하여 살서력을 발휘하는 무기계통의 살서제는?
58. 침투성 살균제의 특성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59. 세빈 25% 유제(비중: 1.0) 100mL를 희석하여 0.05%의 살포액을 만들고자 한다. 이 때 소요되는 물의 양은 몇 L인가?
60. 다음 약제 중 응애의 알, 어린 벌레, 성충에 대해서 고루 살충효과가 큰 약제는?
4과목: 잡초방제학
61. 다음 중 제초제 그라목손(파라코액제)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62. 잡초 방제의 경제성 분석 중 다양한 잡초 발생밀도 하에서 농작물의 소득을 분석하는 방법은?
63. King의 잡초발아 5단계설 중 다섯 번째 단계는?
64. 식물 간의 상호작용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생리적으로 서로 공유하는 경우에는 기생과 공생이 있고, 생리적으로 서로 공유하지 않는 경우에는 경합, 편리작용, 편해작용, 원협작용 등이 있다. 다음 중 기생에 해당되는 것은?
65. 콩밭의 바랭이를 방제하는 데 적합하지 못한 것은?
66. 제초제를 연용하여도 저항성 잡초의 발현사례가 적은 이유가 아닌 것은?
67. 주로 종자에 의하여 번식되는 잡초는?
68. 다음 중 화곡류(禾穀類)의 어는 시기에 2, 4-D를 처리할 때 피해가 가장 큰가?
69. 잡초에 대한 작물의 경합력을 높이는 방법은?
70. 다음 중 우리나라 축산 사료용 옥수수 재배포장에 대량 발생되어 문제가 되고 있는 외래잡초는?
71. 다년생의 영양번식기관이 아닌 것은?
72. 종자 발아에 영향을 미치는 3대 환경요인이 아닌 것은?
73. 잡초의 생물학적 방제에 있어서 방제용으로 도입되는 생물(천적)이 구비하여야 할 조건 중 맞지 않는 것은?
74. 효과적인 잡초 방제를 위해서는 재배작물은 물론 발생되는 잡초의 종류와 환경적인 조건을 파악하여야 한다. 다음 비농경지 잡초 방제시 비농경지가 구비하고 있는 특성 중 옳지 않은 것은?
75. 잡초의 발아습성 중 발아기회성은 어떤 특성을 뜻하는가?
76. 잡초를 방제하지 않았을 경우 발생된 잡초가 작물에 직접 피해를 주는 가장 큰 요인은?
77. 예방적 방제수단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78. 밭에서 발생하는 초우점 화본과 잡초는?
79. 잡초를 형태학적으로 분류할 때 관계없는 것은?
80. 잡초는 해롭기만 한 것이 아니라 유용성도 있다. 다음 중 잡초의 유용성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