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식물병리학
1. Bacteriophage라는 것은?
2. 고온 다습한 여름 날씨에 많이 발생하는 병은?
3. 병명과 매개충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4. 자낭균문에 속하지 않는 병원균은?
5. 수도 줄무늬잎마름병의 방제법은 어느 것인가?
6. 토마토 풋마름병을 일으키는 병원체는?
7. 다음의 주요 식물병원 균류의 포자 가운데 무성포자는?
8. Pythium debaryanum 에 의해 발생하는 모잘록병의 특성으로 맞지 않는 것은?
9. 다음 중 감자역병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0. 식물병의 방제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1. 보르도액의 조성은?
12. 식물에 병적인 현상을 일으킬수 있는 요인은 비생물성과 생물성으로 구분한다. 다음 중 분류가 다른 하나는?
13. 다음 중 배추 무사마귀병의 발생이 가장 심한 토양 pH는?
14. 소나무 재선충의 방제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5. 어떤 병원체가 식물 체내에 침입되어 병징이 나타나기까지의 기간은?
16. 겨울포자를 형성하는 녹병균의 분류학적 위치는?
17. 병원균의 침입으로 수피가 쉽게 벗겨지며 알코올 냄새가 발생하는 것이 특징적인 병은?
18. 다음 중 주로 벼 도열병 발생을 조장하는 요인은?
19. 종자소독으로 방제할 수 있는 벼의 병해는?
20. 다음 진단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2과목: 농림해충학
21. 장수풍뎅이가 속하는 목(目)의 이름은?
22. 다음 중 천적으로 이용되는 생물과 거리가 먼 것은?
23. 벼 해충의 월동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24. 뇌와 배신경줄로 이루어진 곤충 신경계는?
25. 살충제를 이용하여 해충을 방제하는 화학적 방제의 특징이 아닌 것은?
26. 곤충의 피부 중 제일 바깥층에 속하는 것은?
27. 다음 중 거미류에서 멸구류나 매미층류의 포식성이 가장 뛰어난 종은?
28. 다음 설명은 어떤 종류의 번데기인가?
29. 성충은 1.5mm로서 2쌍의 백색 날개를 가지고 있다. 성충과 약충이 잎 뒷면에서 군서생활을 하며 흡즙가해하기 때문에 시설재배에서 피해가 크다. 어떤 해충인가?
30. 다음 항공방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31. 곤충의 일반적인 특징이 아닌 것은?
32. 해충 개체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3. 다음 설명하는 해충은?
34. 벼물바구미의 연간 발생 횟수는 몇 회인가?
35. 누에 암나방이 발산하는 성페로몬)Pheromone)은?
36. 다음 중 완전변태를 하는 곤충목은?
37. 벼잎선충(벼이삭선충)의 월동처는?
38. 곤충의 입이 씹는 형(Chewing Type)의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은?
39. 곤충의 배자발육 단계에서 외배엽에서 생장되는 기관이 아닌 것은?
40. 곤충의 소화기관 중에서 소화의 주체가 되는 것은?
3과목: 농약학
41. 제초제의 작물-잡초간 생리 및 생태적 선택성 인자가 아닌 것은?
42. 농약에 의한 약해 발생의 원인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43. 약제 50%를 0.05%로 희석하여 10a당 5말로 살포하려고 할 때 약제의 소요량은? (단, 1말은 18,000mL, 약제의 비중은 1.0이다.)
44. 다음 구조식의 농약은?
45. 농약 보조제 중 계면활성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6. 네레이스톡신(Nereistoxin)을 기초로 한 천연물 유도형의 살충제는?
47. 농약를 살포할 때 농작물에 농약이 잘 부착되도록 사용하는 보조제는?
48. 기계유 유제의 살충작용으로 가장 옳은 것은?
49. 광엽잡초의 생육초기부터 생육기에 효과가 우수한 잡초경엽처리제초제로서 낮은 약량으로도 높은 제초활성을 나타내는 약제는?
50. 정상적 경작조건에서의 농약잔류량을 조사한 다음 관찰된 최대 농약잔류수준과 잔류허용한계농도(PL)치를 비교 검토하여 실용적으로 설정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51. 농약의 살포 방법 중 나무의 수간 등에 유효성분을 이행시켜 병충해를 방제하는 방법은?
52. 유황의 살균성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약제가 아닌 것은?
53. 농약의 사용방법에 있어서 분무법과 비교했을 때 미스트법의 특징이 아닌 것은?
54. 45%의 유기인제 100mL가 있다. 이것을 0.1%로 희석하는데 필요한 물의 양은 몇 L인가? (단, 원액의 비중은 1이다.)
55. 농약의 독성표시 LD50가 의미하는 것은?
56. 농약관리법에서 규정한 농약의 이화학적 검사항목이 아닌 것은?
57. 다음 농약의 분류 중 유효성분 조성에 따른 분류는?
58. 생장조정제 메피콰트클로라이드 액제의 작물명 및 적용대상은?
59. 파라티온에 비하여 인축에 대한 독성이 낮고 광범위한 해충에 대하여 유효하며 잔효성이 비교적 긴 접촉제 및 소화중독제로 작용하는 살충제는?
60. 곤충의 주화성을 이용하여 개발된 성유인제 농약은?
4과목: 잡초방제학
61. 우리나라 논잡초 중 가장 문제가 되는 피의 특성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62. 다음 중 잡초를 분류함에 있어서 생활형에 따른 분류는?
63. 농경지 내에서 잡초 종간 군집이 변화하는 것을 천이라고 한다. 다음 중 잡초천이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64. 다음 잡초 중 벼와의 광경합에 가장 유리한 것은?
65. 주로 광합성을 억제하는 제초제는?
66. 50%의 유효성분을 가진 마세트 입제를 1ha당 1.0kg처리하려고 할 때의 제품량은?
67. 다음 중 잡초 발생량은 많으나 방제하지 않아도 피해가 비교적 적은 잡초는?
68. 잡초에 대한 직물의 경합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은?
69. 우리나라에서 발생하고 있는 대부분의 잡초종자의 발아 최적온도범위는?
70. 잡초와의 경합에 의해 벼의 수량 감소가 가장 큰 재배법은?
71. 다음 토양 중 제초제의 용탈이 가장 심한 토양은?
72. 경엽처리제초제가 식물 표면에 도달하거나 응집되는 양을 좌우하는 특징이 될 수 없는 것은?
73. 페녹시계 제초제는?
74. 작물과 잡초간의 경합에서 가장 큰 경합을 나타내는 무기원소는?
75. 작물종과 그 포장에서 주로 발생하는 잡초간의 관계로서 잘못 짝지어진 것은?
76. 제초제를 분류하고자 할 때 처리시기와 처리방법에 따라 분류하기도 한다. 다음 중 처리시기에 따른 분류에 해당하는 것은?
77. 잡초의 밀도가 증가하면 작물수량이 감소하는데, 어느 밀도 이상으로 잡초가 존재하면 작물수량이 현저히 감소되는 밀도는?
78. 논에서 발생하는 잡촐르 형태적으로 분류하면 화본과 방동사니과, 광엽잡초로 나눌 수 있다. 다음 중 논의 주요 방동사니과 잡초종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79. 제초제 살포 비산량의 결정에 좌우되기 않는 것은?
80. 다음 중 2년생(월년생) 잡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