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보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9-19)

식물보호산업기사
(2015-09-1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식물병리학

1. 벚나무 빗자루병의 방제법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여름철에 살균제를 뿌려준다.
  2. 옥시테트라싸이클린계 항생제를 나무에 주사한다.
  3. 매개충을 구제하기 위해 살충제를 지면에 뿌려준다.
  4. 병든 가지는 아래쪽의 부풀은 부분을 포함하여 겨울철에 잘라낸다.
(정답률: 56%)
  • 벚나무 빗자루병은 겨울철에 병든 가지를 잘라내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이유는 빗자루병균이 가지의 내부에 존재하기 때문에, 가지를 잘라내면 병균이 퍼지는 것을 막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여름철에 살균제를 뿌려주거나 항생제를 주사하는 것은 효과가 미미하며, 매개충을 구제하기 위해 살충제를 뿌려주는 것은 빗자루병과는 관련이 없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TMV에 의해 발병하며 주로 토양에 의하여 전염되는 병은?

  1. 고추 모자이크병
  2. 마늘 모자이크병
  3. 배추 모자이크병
  4. 오이 모자이크병
(정답률: 74%)
  • TMV는 Tobacco Mosaic Virus의 약자로,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를 의미합니다. 이 바이러스는 매우 강력한 전염성을 가지고 있으며, 토양을 통해 전파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추 모자이크병은 TMV에 의해 발병하며, 토양을 통해 전염되는 병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TMV에 의해 발병하지 않거나, 전파 경로가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Pseudomonas 세균의 특성으로 옳은 것은?

  1. 그램음성의 간균으로 대부분 호기성균이다.
  2. 그램음성의 간균으로 대부분 혐기성균이다.
  3. 그램양성의 간균으로 대부분 호기성균이다.
  4. 그램양성의 간균으로 대부분 혐기성균이다.
(정답률: 67%)
  • 정답은 "그램음성의 간균으로 대부분 호기성균이다." 이다.

    Pseudomonas는 그램음성의 간균으로 대부분 호기성균이다. 이 세균은 대기 중에 존재하는 유기물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하며, 이러한 대사 과정에서 산소를 소비한다. 따라서 호기성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식물병 방제를 위하여 Millardet가 개발한 것으로 당시 유행한 포도 노균병을 방제하기 위해 구리가 가진 독성을 이용한 것으로 현재에도 많이 사용되는 살균제는?

  1. BT제
  2. PCNB
  3. 유황합제
  4. 보르도액
(정답률: 89%)
  • Millardet가 개발한 보르도액은 구리가 가진 독성을 이용하여 포도 노균병을 방제하는 것으로, 현재에도 많이 사용되는 살균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벼 이삭누룩병균은 분류학상 어느 균류에 속하는가?

  1. 난 균
  2. 담자균
  3. 자낭균
  4. 불완전균
(정답률: 58%)
  • 벼 이삭누룩병균은 자낭균에 속합니다. 이는 이 균이 세포벽 외부에 자낭을 형성하기 때문입니다. 자낭은 균의 생존과 번식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벼 잎집무늬마름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잘 발병한다.
  2. 밀식하여 재배할 경우 잘 발병한다.
  3. 칼륨 비료 시비량을 줄여 방제할 수 있다.
  4. 병원균은 논이나 토양에서 월동하며, 봄철에 벼 잎집에 부착된 균사가 별르 침해한다.
(정답률: 84%)
  • 칼륨 비료 시비량을 줄여 방제할 수 있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벼 잎집무늬마름병은 칼륨 결핍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칼륨 비료를 적절히 시용하여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칼륨 비료 시비량을 줄이는 것은 방제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오이 덩굴쪼김병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산성 토양에서는 잘 발생하지 않는다.
  2. 연작하는 포장에서 피해가 큰 병이다.
  3. 주로 18℃ 이하의 온도에서 잘 발생한다.
  4. 종자전염보다는 주로 매개층에 의해 전염된다.
(정답률: 68%)
  • 오이 덩굴쪼김병은 연작하는 포장에서 피해가 큰 병이다. 이는 오이가 연작하는 환경에서 병균에 노출되는 기회가 많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이 재배 시에는 적극적인 병해충 방제와 관리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고구마 무름병의 특징적인 표징은?

  1. 균핵
  2. 포자낭
  3. 자낭각
  4. 포자퇴
(정답률: 52%)
  • 고구마 무름병의 원인균인 Ceratocystis fimbriata는 포자를 형성하여 번식합니다. 이 포자는 포자낭 안에 형성되며, 이러한 포자낭이 고구마 무름병의 특징적인 표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포자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호박에 흰가루병을 방제하기 위해 어느 부위에 약제 처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가?

  1. 뿌리
  2. 열매
  3. 종자
(정답률: 84%)
  • 흰가루병은 잎에 생기는 병이기 때문에, 약제 처리를 하는 부위도 잎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뿌리, 열매, 종자 등 다른 부위에 약제를 처리해도 흰가루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데는 효과가 미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병원균으 한 종이나 한 분화형 또는 변종 중에서 기주의 품종에 대한 기생성을 의미하는 용어는?

  1. 아종
  2. 레이스
  3. 병원형
  4. 판별품종
(정답률: 73%)
  • 레이스는 기생성을 나타내는 용어 중 하나로, 특정 기주에 대한 변종 중에서도 그 기주의 품종에 따라서 기생성이 다르게 나타나는 경우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한 기주의 변종 중에서도 A 품종에는 강한 기생성이 나타나지만 B 품종에는 약한 기생성만 나타난다면, 이 변종은 A 품종 레이스와 B 품종 레이스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무사마귀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벼에도 잘 발생한다.
  2. 세균에 의해 발생한다.
  3. 산성토양에서 잘 발생한다.
  4. 온도가 20℃ 이하로 서늘 할 때 잘 발생한다.
(정답률: 88%)
  • 무사마귀병은 산성토양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산성토양에서 잘 발생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이 병은 벼뿐만 아니라 다른 작물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세균이 아닌 진균에 의해 발생합니다. 또한 온도가 20℃ 이하로 서늘할 때 발생하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식물 중에 특정 병원체 침입에 대하여 민감하게 반응하거나 특징적인 병징을 이용한 것으로 주로 바이러스의 진단에 널리 쓰이며 세균이나 일부 균류에 의한 병의 진단에도 활용하는 방법은?

  1. 파지에 의한 병의 진단
  2. 지표식물에 의한 병의 진단
  3. 즙액 접종에 의한 병의 진단
  4. 괴경지표법에 의한 병의 진단
(정답률: 71%)
  • 지표식물에 의한 병의 진단은 특정 병원체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식물을 이용하여 해당 병원체의 존재를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바이러스의 진단에 널리 사용되며, 세균이나 일부 균류에 의한 병의 진단에도 활용됩니다. 이는 식물이 특정 병원체에 감염되면 특징적인 병징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표식물에 의한 병의 진단은 식물 병원체 진단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병원균에 대한 기주 저항성 중 품종고유의 소수 주동유전자에 의해 발현되기 때문에 재배환경에 영향을 적게 받으나 레이스의 변이에 의하여 감수성으로 되기 쉬운 것은?

  1. 수평 저항성
  2. 침입 저항성
  3. 수직 저항성
  4. 감염 저항성
(정답률: 76%)
  • 병원균에 대한 기주 저항성 중 품종고유의 소수 주동유전자에 의해 발현되기 때문에 재배환경에 영향을 적게 받는데, 수직 저항성은 이러한 주동유전자가 수직적으로 전달되어 부모로부터 자손에게 유전되는 저항성을 말합니다. 따라서 레이스의 변이와 같은 환경적 요인에 영향을 적게 받고, 유전적으로 안정적인 저항성을 가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괄호 안에 해당하는 용어는?

  1. 변이
  2. 병회피
  3. 병면역
  4. 감수성
(정답률: 75%)
  • 괄호 안에 해당하는 용어는 "병면역"입니다.

    "병회피"는 병원체가 호스트의 면역반응을 회피하여 감염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병면역"이 정답입니다. 병면역은 호스트의 면역반응이 병원체에 의해 억제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병원체가 호스트의 면역반응을 억제하여 감염을 유지하는 것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윤작을 이용한 방제효과가 가장 높은 것은?

  1. 균핵병
  2. 흰가루병
  3. 풋마름병
  4. 무사마귀병
(정답률: 56%)
  • 윤작은 무사마귀병의 원인균인 "무사마귀균"을 억제하는 효과가 가장 높습니다. 따라서 무사마귀병 방제에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벼 도열병의 전형적인 병징은?

  1. 모무늬
  2. 얼룩무늬
  3. 겹둥근모양
  4. 실꾸리모양
(정답률: 72%)
  • 벼 도열병의 전형적인 병징은 잎사귀에 나타나는 "실꾸리모양"으로, 이는 갈색색소가 모여서 생기는 직선 또는 곡선 모양의 줄무늬로 나타납니다. 이 병징은 벼의 잎사귀에 나타나며, 병이 진행될수록 줄무늬가 짙어지고 잎사귀가 말라서 부러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균류에 속하는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난균문
  2. 끈적균문
  3. 자낭균문
  4. 담자균문
(정답률: 67%)
  • 이 균류는 난균문에 속합니다. 이유는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난균문은 구형이며, 균사체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균모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난균문은 균사체가 분열할 때 균모가 분열하지 않고 균사체가 직접 분열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논에서 벼 도열병균 분생포자의 주된 전염방법은?

  1. 토양
  2. 바람
  3. 곤충
(정답률: 71%)
  • 벼 도열병균 분생포자는 가벼운 무게와 작은 크기로 인해 바람에 의해 전파됩니다. 따라서 바람이 주된 전염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Nepovirus를 매개하여 식물병을 감염시키는 것은?

  1. 선충
  2. 멸구
  3. 매미충
  4. 진딧물
(정답률: 66%)
  • Nepovirus는 선충을 매개체로 하여 식물병을 전염시킵니다. 선충은 식물을 먹는 동안 Nepovirus를 섭취하고, 이후 다른 식물에 기생하면서 바이러스를 전파합니다. 따라서 Nepovirus를 매개하여 식물병을 감염시키는 것은 선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감자 Y바이러스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진딧물에 의해 매개된다.
  2. 풍차형 봉입체를 형성한다.
  3. 감염된 식물의 세포질 내에 흩어져 존재한다.
  4. 최근에는 조직배양에 의한 씨감자 생산보급이 확대되어 발병이 많이 감소하였다.
(정답률: 65%)
  • 최근에는 조직배양에 의한 씨감자 생산보급이 확대되어 발병이 많이 감소하였다는 것은 감자 Y바이러스의 발생 원인이 씨감자의 직접적인 전파에 의해 일어난다는 것이고, 이러한 전파를 막기 위해 조직배양을 통해 씨감자를 생산하고 보급함으로써 발병이 감소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감자 Y바이러스의 특징은 "최근에는 조직배양에 의한 씨감자 생산보급이 확대되어 발병이 많이 감소하였다."가 아닌 나머지 보기들이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농림해충학

21. 중배엽으로부터 유래된 기관은?

  1. 중장
  2. 심장
  3. 전장
  4. 신경
(정답률: 76%)
  • 중배엽은 심장의 발생과 발달에 관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중배엽으로부터 유래된 기관은 심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가루깍지벌레의 연 발생횟수는?

  1. 1년에 1회 발생
  2. 1년에 3회 발생
  3. 1년에 5회 발생
  4. 2년에 1회 발생
(정답률: 62%)
  • 가루깍지벌레는 일반적으로 따뜻한 환경에서 번식하며, 알에서부터 성체가 되기까지 약 2~4개월이 소요됩니다. 따라서 1년에 3회 발생하는 것은 가루깍지벌레의 번식 주기와 일치하며, 따라서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곤충의 서식지에 따른 곤충 분류가 아닌 것은?

  1. 공중에 사는 종류
  2. 물 위에 사는 종류
  3. 땅속에 서식하는 종류
  4. 식물체 내외에 사는 종류
(정답률: 79%)
  • "공중에 사는 종류"는 서식지에 따른 곤충 분류가 아닌 것이다. 이는 곤충이 서식하는 환경이 아닌, 곤충이 활동하는 공간에 따른 분류이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곤충이 서식하는 환경에 따라 분류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고구마나 당근 등에 주로 발생하는 뿌리혹선충의 방제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토를 소독한다.
  2. 토양의 pH가 높아지지 않도록 관리를 한다.
  3. 경작지가 논일 경우 3년마다 한 번씩 벼를 재배한다.
  4. 토양의 유기물 함량이 낮아지지 않도록 비배관리를 한다.
(정답률: 70%)
  • "토양의 pH가 높아지지 않도록 관리를 한다."가 옳지 않은 이유는 뿌리혹선충은 토양의 pH가 낮은 산성 토양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토양의 pH를 높이는 것은 방제 효과를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올바른 방법은 "상토를 소독한다.", "경작지가 논일 경우 3년마다 한 번씩 벼를 재배한다.", "토양의 유기물 함량이 낮아지지 않도록 비배관리를 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뒷날개가 평균기(Halter)로 변형되어 비행 중 몸의 균형을 유지하는 곤충은?

  1. 쉬파리
  2. 벼메뚜기
  3. 호랑나비
  4. 솔수염하늘소
(정답률: 77%)
  • 쉬파리는 뒷날개가 평균기로 변형되어 비행 중 몸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곤충의 생활사에서 용화란 무엇인가?

  1. 유충이 번데기가 되는 것
  2. 알껍질을 깨고 배자가 나오는 것
  3. 번데기가 탈피하여 성충이 되는 것
  4. 유충의 몸이 자라 묵은 표피를 벗는 것
(정답률: 60%)
  • 용화란, 곤충의 생애주기에서 유충이 번데기가 되는 것을 말합니다. 유충은 성장하면서 피부를 벗고 새로운 피부를 갖게 되는데, 이때 알껍질을 깨고 배자가 나오는 것을 말합니다. 이후 유충은 번데기로 변신하게 되고, 번데기는 탈피를 거쳐 성충이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유충이 번데기가 되는 것"이 정답입니다. "알껍질을 깨고 배자가 나오는 것"은 유충이 새로운 피부를 갖게 되는 과정을 말하며, "번데기가 탈피하여 성충이 되는 것"은 번데기가 성충으로 변신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유충의 몸이 자라 묵은 표피를 벗는 것"은 유충이 성장하면서 피부를 벗는 과정을 말하는데, 이는 알껍질을 깨고 배자가 나오는 것과 유사하지만 정확한 용어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내충성 품종을 이용하여 방제할 경우 가장 효과적인 해충은?

  1. 점박이응애
  2. 알락하늘소
  3. 밤나무흑벌
  4. 복숭아흑진딧물
(정답률: 73%)
  • 밤나무흑벌은 나무를 주로 서식지로 하며, 나무를 먹이로 하는 해충인 나무벌레를 포식하는 천적입니다. 따라서, 나무벌레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밤나무흑벌을 이용하여 방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해충 중 완전변태를 하지 않는 것은?

  1. 벼물바구미
  2. 배추순나방
  3. 끝동매미충
  4. 노랑쐐기나방
(정답률: 64%)
  • 끝동매미충은 완전변태를 하지 않습니다. 대신, 부분변태를 거쳐 성장합니다. 이는 유충이 성체로 진화하는 과정에서 날개가 발달하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끝동매미충은 유충과 성충이 비슷한 모습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 벼물바구미, 배추순나방, 노랑쐐기나방은 모두 완전변태를 거쳐 성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이화명나방의 월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잡초에서 성충으로 월동한다.
  2. 볏짚이나 잡초에서 알로 월동한다.
  3. 볏짚이나 그루터기 속에서 번데기로 월동한다.
  4. 볏짚이나 그루터기 속에서 유충으로 월동한다.
(정답률: 76%)
  • 이화명나방은 볏짚이나 그루터기 속에서 유충으로 월동합니다. 이는 겨울철 추위를 피해 생존하기 위한 전략으로, 이곳에서는 온도와 습도가 적절하게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이화명나방은 번데기와 성충으로 발달하는데, 번데기는 봄에 발생하므로 겨울철에는 유충으로 월동하여 봄이 되면 발생할 수 있도록 준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암컷만으로 번식하는 단위생식을 하는 해충은?

  1. 밤바구미
  2. 사과굴나방
  3. 밤나무혹벌
  4. 버즘나무방패벌레
(정답률: 72%)
  • 밤나무혹벌은 암컷 개체가 난자를 생산하여 자신의 몸 안에서 수컷과 결합하여 새로운 개체를 만들어내는 단위생식을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수컷과 암컷이 함께 있어야 번식이 가능한 중성생식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벼멸구의 분류학적 위치는 다음 중 어디에 속하는가?

  1. 메뚜기목
  2. 노린재목
  3. 총채벌레목
  4. 풀잠자리목
(정답률: 71%)
  • 벼멸구는 노린재목에 속합니다. 이는 벼멸구가 노린재목에 속하는 곤충들과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노린재목에는 주로 나무와 관련된 곤충들이 속하며, 벼멸구 역시 나무에서 발견되는 해충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위용에 해당하는 번데기를 형성하는 것은?

  1. 파리류
  2. 밑들이류
  3. 날도래류
  4. 풀잠자리류
(정답률: 58%)
  • 위용에 해당하는 번데기를 형성하는 것은 파리류입니다. 이는 파리류의 유충이 먹이를 먹고 자랄 때 몸 안에 있는 기름집에 기름을 저장하여 몸을 부풀리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부풀린 몸은 위용을 형성하여 적극적으로 적응할 수 있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세계에서 가장 많은 종이 기록되어 있어 많은 해충과 익충이 포함되어 있는 것은?

  1. 사마귀목
  2. 강도래목
  3. 딱정벌레목
  4. 흰개미붙이목
(정답률: 90%)
  • 딱정벌레목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종이 기록되어 있어 많은 해충과 익충이 포함되어 있는 것입니다. 이는 딱정벌레목에 속하는 곤충들이 매우 다양하고 분포가 넓기 때문입니다. 딱정벌레목에는 딱정벌레, 밤나방, 나비, 거미 등 다양한 종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목화진딧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무시충은 없고 유시충만 있다.
  2. 여름기주로는 수박, 고추 등이 있다.
  3. 겨울기주로는 무궁화나무 등이 있다.
  4. 반사필름을 이용하여 방제할 수 있다.
(정답률: 76%)
  • "무시충은 없고 유시충만 있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목화진딧물은 무시충과 유시충 모두 존재하는 해충이다. 무시충은 작은 크기로 인해 눈에 잘 띄지 않지만, 유시충은 목화진딧물의 주요 피해 원인 중 하나이다. 따라서, "무시충은 없고 유시충만 있다."는 틀린 설명이다.

    여름기주로는 수박, 고추 등이 있고, 겨울기주로는 무궁화나무 등이 있다는 설명은 맞다. 또한, 반사필름을 이용하여 방제할 수 있다는 것도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외국에서 유입되어 국내에 정착한 침입해충이 아닌 것은?

  1. 감자나방
  2. 사과면충
  3. 루비깍지벌레
  4. 복숭아심식나방
(정답률: 73%)
  • "복숭아심식나방"은 국내 원산 종으로, 외국에서 유입되어 국내에 정착한 침입해충이 아닙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외국에서 유입되어 국내에 침입한 해충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해충을 유이등에 모이게 하여 방제하는 방법은 해충의 어떤 습성을 이용한 것인가?

  1. 주화성
  2. 주지성
  3. 주식성
  4. 주광성
(정답률: 85%)
  • 해충을 유인하여 방제하는 방법은 "주광성"을 이용한 것입니다. 이는 해충이 빛을 좋아하거나 빛에 반응하여 모이는 습성을 이용하여 특정한 빛을 내는 장치를 설치하여 해충을 유인하고, 그곳에서 방제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식엽성 해충이 아닌 것은?

  1. 솔나방
  2. 천막벌레나방
  3. 복숭아명나방
  4. 미국흰불나방
(정답률: 63%)
  • 복숭아명나방은 식물의 꽃과 열매를 먹는 식물성 해충이 아니라, 주로 나무껍질에 서식하며 나무를 파괴하는 목재파멸성 해충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식엽성 해충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알, 유충, 번데기 등의 시기를 땅 속에서 지내다가 성충 시기에만 땅 위에서 활동하는 굼벵이형에 해당하는 곤충이 아닌 것은?

  1. 풍뎅이
  2. 털파리
  3. 밑들이
  4. 집게벌레
(정답률: 57%)
  • 집게벌레는 알, 유충, 번데기 등의 시기를 땅 위에서 지내며 먹이를 찾아다니는 것이 아니라, 나무와 나무 제품 등에서 나무를 먹고 살아가는 해충이기 때문에 굼벵이형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집게벌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곤충 중 날개가 두 쌍인 것은?

  1. 각다귀
  2. 무잎벌
  3. 꽃등에
  4. 고자리파리
(정답률: 60%)
  • 정답은 "무잎벌"입니다. 이는 날개가 두 쌍인 곤충 중 하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날개가 한 쌍인 곤충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유충이 가해한 부위는 적갈색의 굵은 배설물과 함께 수액이 흘러나와 겉으로 쉽게 눈에 띄며, 성충은 나무껍질에 한 개씩 알을 낳는 해충은?

  1. 솔잎혹파리
  2. 벼룩잎벌레
  3. 향나무하늘소
  4. 복숭아유리나방
(정답률: 60%)
  • 복숭아유리나방은 적갈색의 배설물과 수액이 흘러나오는 특징을 가지며, 성충은 나무껍질에 알을 낳는 해충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농약학

41. 제초제의 토양 중에서의 변화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살포된 약제의 분해는 공기나 광선과는 무관하다.
  2. 토양미생물의 작용은 제초제의 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3. 분해 생성물은 단일 성분으로 존재하며 전혀 새로운 화합물로 되지 않는다.
  4. 제초제의 변화는 환경문제에 큰 영향을 준다.
(정답률: 82%)
  • 제초제의 변화는 환경문제에 큰 영향을 준다. 이는 제초제가 대규모로 사용되면서 토양, 물, 공기 등 환경에 오랜 기간 노출되면서 생기는 부작용으로 인해 발생한다. 이러한 부작용으로는 생태계의 균형이 깨지거나 생물다양성이 감소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초제의 분해 생성물이 지하수나 지표면으로 유출되어 오염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제초제의 사용은 환경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계면활성제에 들어있는 친유기(親油基)는?

  1. -CN(청산기)
  2. -CH3(알킬기)
  3. -OH(수산기)
  4. -COOH(카르복실기)
(정답률: 66%)
  • 계면활성제는 수분과 유분을 혼합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친수성과 친유성을 모두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CH3(알킬기)"는 유기화학에서 친유성을 나타내는 기호로, 지방성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계면활성제에 들어있는 친유기는 "-CH3(알킬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농약 살포시 지켜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제4종 복합비료와의 혼용은 약해를 일으키지 않는다.
  2. 농약 안전사용과 취급제한 기준을 지켜야 한다.
  3. 다른 농약과 혼용할 때에는 혼용 가능여부를 확인 후 사용한다.
  4. 비선택성 제초제는 작물 근처에 뿌리지 않는다.
(정답률: 86%)
  • "제4종 복합비료와의 혼용은 약해를 일으키지 않는다."는 옳지 않은 내용입니다. 제4종 복합비료와 농약을 함께 사용할 경우, 농약의 효능이 감소하거나 농작물에 해를 끼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농약과 비료는 따로 사용하고, 혼용이 필요한 경우에는 반드시 혼용 가능여부를 확인한 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농약의 환경 중으로의 확산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온도
  2. 휘산
  3. 표류비산
  4. 토양 및 수질의 잔류
(정답률: 66%)
  • 온도는 농약의 환경 중으로의 확산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농약이 흐르는 물의 흐름, 토양과 수질의 특성 등과 관련이 있어 농약의 환경 중으로의 확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수(水)불용성인 농약원제로써 제품을 만들려고 할 때 적당한 제조형태가 아닌 것은?

  1. 유제(乳劑)
  2. 수화제
  3. 액제
  4. 입제
(정답률: 61%)
  • 수(水)불용성인 농약원제는 물과 섞이지 않기 때문에 액제 형태로 만들 수 없습니다. 액제는 물과 섞이는 형태의 제조형태이기 때문에 수(水)불용성인 농약원제를 액제 형태로 만들 수 없습니다. 따라서 액제는 적당한 제조형태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살충제 농약으로 분류되는 것은?

  1. 벤타존
  2. 티오파네이트메틸
  3. 페노뷰카브(BPMC)
  4. 트리사이클라졸
(정답률: 65%)
  • 페노뷰카브(BPMC)은 곤충을 죽이는 효과가 있는 살충제 농약이기 때문에 살충제 농약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과실의 수기를 촉진시켜 주는 농약으로 주로 사용되는 약제는?

  1. 6-BA 액제
  2. 나드 분제
  3. 이사디 액제
  4. 에테폰 액제
(정답률: 76%)
  • 에테폰 액제는 식물 성장을 촉진시키는 성장 조절제로, 과실의 수확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약제는 열매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열매의 수확 시기를 조절하여 농작물의 생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피에이엠(PAM)은 주로 어느 농약의 중독치료제로 사용되는가?

  1. 수은제
  2. 유기인제
  3. 동제
  4. 비소제
(정답률: 81%)
  • 피에이엠은 유기인제로, 농작물에 사용되는 유기인 농약 중독으로 인한 증상을 완화시키는 중독치료제로 사용됩니다. 수은제, 동제, 비소제는 농약 중독치료제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침투성 살충제의 일반적인 특성 중 옳지 않은 것은?

  1. 천적을 살해한다.
  2. 효력이 2~6주간 지속된다.
  3. 식물체 내에 흡수, 이행되어 식물체 전체에 퍼진다.
  4. 일반적으로 개체가 작은 흡즙해충에 유효하다.
(정답률: 78%)
  • "천적을 살해한다."는 침투성 살충제의 일반적인 특성 중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침투성 살충제가 유해한 해충을 죽이는 것이 아니라, 식물체 내에 흡수되어 해충의 발생을 억제하거나 방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천적과 같은 유익한 생물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해충에게 유효하며, 효력이 2~6주간 지속되고, 식물체 내에 흡수, 이행되어 식물체 전체에 퍼진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접촉독, 소화중독으로 효과를 나타내는 유기인계 살충제로서 야생조류에 피해를 줄 수 있고 특히 꿀벌에 잔류독성이 강하여 사용시 주의하여야 하는 농약은?

  1. 페노뷰카브
  2. 에토펜프록스
  3. 클로르피리포스
  4. 아이소프로티올레인
(정답률: 66%)
  • 클로르피리포스는 접촉독과 소화중독으로 효과를 나타내는 유기인계 살충제로서, 야생조류에 피해를 줄 수 있고 특히 꿀벌에 잔류독성이 강하여 사용시 주의해야 하는 농약입니다. 따라서, 야생조류와 꿀벌 등 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경적인 문제가 우려되는 농약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어떤 살충제에 대하여 저항성이 발달한 해충이 한번도 사용한 실적은 없지만 작용기구가 같은 살충제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현상은?

  1. 교차저항성
  2. 복합저항성
  3. 살충제저항성
  4. 저항성계수
(정답률: 73%)
  • 교차저항성은 어떤 살충제에 대한 저항성이 발달한 해충이 다른 작용기구를 가진 살충제에 대해서도 저항성을 나타내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해충이 유전적으로 살충제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발생하며, 이러한 저항성은 다른 살충제에 대해서도 유전적으로 전달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교차저항성은 살충제 사용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문제이며,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수화제, 수용제 등의 살포액에 기포제를 가하여 전용노즐로 공기와 교반하여 가는 거품의 집합체로 살포하는 방법은?

  1. 분무법
  2. 미스트법
  3. 스프링클러법
  4. 폼스프레이법
(정답률: 82%)
  • 이 방법은 살포액에 기포제를 가하여 거품을 만들고, 공기와 교반하여 거품의 집합체로 살포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을 폼스프레이법이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농약의 독성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현재 등록된 농약은 대부분 저독성 농약이다.
  2. 고독성 농약은 취급제한 기준을 설정하여 별도로 관리힌다.
  3. 독성의 정도에 따라서 급성독성, 만성독성으로 구분한다.
  4. 농약의 투여방법에 따라서 경구, 경피, 흡입독성으로 구분한다.
(정답률: 7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우리나라에서 농약의 독성을 구분할 때 어디에 기준을 두고 분류하는가?

  1. 원제
  2. 제품
  3. 희석된 제품
  4. 농약잔류량
(정답률: 65%)
  • 우리나라에서 농약의 독성을 구분할 때 기준은 "제품"에 둔다. 이는 농약의 원제나 희석된 제품, 농약잔류량 등과 같은 다른 요소들은 농약의 독성을 판단하는 데 있어서 중요하지만, 최종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제품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품의 독성이 높으면 해당 농약을 사용하는 것이 금지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20% PAP유제 100mL를 0.05%의 살포액으로 만드는데 소요되는 물의 양은 약 얼마인가? (단, 원액의 비중은 1이다.)

  1. 40L
  2. 50L
  3. 60L
  4. 70L
(정답률: 65%)
  • PAP유제 100mL의 농도는 20%이므로, 이 중에 유효 성분은 20mL이다. 이를 0.05%의 살포액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할 수 있다.

    (20mL) / (0.0005) = 40,000mL = 40L

    따라서, 정답은 "40L"이다. 즉, 20% PAP유제 100mL를 0.05%의 살포액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약 40L의 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유기인계 농약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잔류성이 길다.
  2. 알칼리에 분해되기 쉽다.
  3. 인축에 대한 독성이 강한 약제가 많다.
  4. 살충력이 강하고 적용해충 범위가 넓다.
(정답률: 61%)
  • "알칼리에 분해되기 쉽다."는 유기인계 농약의 특징 중에서 "잔류성이 길다."와는 반대되는 내용이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잔류성이 길다."는 농작물에 적용된 농약이 오랫동안 남아있어 인체에 해로울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논에 물에 대면서 물꼬에서 약제를 처리하도록 개발한 제형은?

  1. 수면전개제
  2. 입상수화제
  3. 미탁제
  4. 액상수화제
(정답률: 71%)
  • 수면전개제는 논에 물을 대면서 물꼬에서 약제를 처리할 수 있는 제형으로, 수면제의 일종입니다. 논에서 사용되는 수면전개제는 물고기 등 수생생물에게 해로울 수 있는 약제를 분해하고 제거하여 물 환경을 개선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농약 살포액 조제시 사용되는 적당한 물은?

  1. 뜨거운 물
  2. 알칼리성인 물
  3. 효소를 넣어 발효시킨 물
  4. 물의 온도가 높지 않은 일반적인 물
(정답률: 84%)
  • 농약 살포액은 식물에 직접 뿌리는 것이기 때문에 식물에 해로운 물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뜨거운 물은 식물에 불이익을 줄 수 있고, 알칼리성인 물은 식물의 pH를 바꿀 수 있습니다. 또한, 효소를 넣어 발효시킨 물은 농약 살포액에 적합하지 않은 성질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물의 온도가 높지 않은 일반적인 물이 적당한 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분제는 물리적 성질이 약효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다음 중 분제가 가지는 물리적 성질이 아닌 것은?

  1. 토분성
  2. 부착성
  3. 분산성
  4. 습전성
(정답률: 69%)
  • 정답: 습전성

    설명: 습전성은 분자가 습기를 흡수하는 성질로, 약효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반면, 토분성은 분말 형태로 존재하는 성질, 부착성은 표면에 물질이 잘 달라붙는 성질, 분산성은 물 속에서 잘 섞이는 성질로, 이들은 약물의 흡수, 용해도 등에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침투성 살충제는?

  1. 카보퓨란 입제
  2. 다이아지논 유제
  3. 페니트로티온 수화제
  4. 클로르피리포스 수화제
(정답률: 44%)
  • 침투성 살충제는 작은 구멍이나 틈새를 통해 벌레 등의 해충에게 침투하여 살충하는 살충제를 말합니다. 따라서 카보퓨란 입제가 침투성 살충제인 이유는 이 살충제가 작은 구멍이나 틈새를 통해 해충에게 침투하여 살충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이아지논 유제, 페니트로티온 수화제, 클로르피리포스 수화제는 모두 침투성 살충제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잡초방제학

61. 주로 지하경에 의해 번식하지 않는 잡초는?

  1. 벗 풀
  2. 올미
  3. 올방개
  4. 물달개비
(정답률: 58%)
  • 물달개비는 지하경이 아닌 지상부에서 번식하는 잡초이기 때문에 주로 지하경에 의해 번식하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인 벗 풀, 올미, 올방개는 지하경에서 번식하는 잡초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작물의 수량 감소 정도는 작물과 잡초와의 경합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이에 관여하는 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잡초의 발생시기
  2. 잡초의 발생밀도
  3. 잡초의 발생기간
  4. 잡초의 종자생산량
(정답률: 74%)
  • 작물과 잡초의 경합에서 가장 거리가 먼 요소는 "잡초의 종자생산량"입니다. 이는 잡초가 생산하는 종자의 양이 많을수록 작물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게 되어 작물의 수량 감소 정도가 더욱 심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잡초의 종자생산량을 줄이는 것이 작물 생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잡초의 종합방제(Integrated Control)의 의미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환경친화적인 제초수단을 이용하는 것이다.
  2. 가장 효율적인 잡초방제법을 적용하는 것이다.
  3. 여러 가지 제초제를 혼합하여 잡초를 방제하는 것이다.
  4. 생태적, 물리적, 화학적 방제 등의 여러 방제수단을 이용하는 것이다.
(정답률: 87%)
  • 잡초의 종합방제(Integrated Control)는 생태적, 물리적, 화학적 방제 등의 여러 방제수단을 이용하여 잡초를 방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환경친화적이면서도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여러 가지 제초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10a당 500mL를 물 100L에 희석해서 사용하는 약제를 250m2에 살포하려고 할 때 약량과 물량은?

  1. 약량 20mL, 물량 25L
  2. 약량 20mL, 물량 100L
  3. 약량 125mL, 물량 25L
  4. 약량 125mL, 물량 100L
(정답률: 67%)
  • 10a당 500mL를 물 100L에 희석하면 1L에 5mL의 약제가 들어있게 됩니다. 따라서 250m2에 살포하려면 250,000mL의 물이 필요합니다. 이때 물에 섞여야 하는 약제의 양은 250,000mL × 5mL/L = 1,250mL이 됩니다. 하지만 이 약제는 1L에 5mL이 들어있으므로, 1,250mL ÷ 5mL/L = 250L의 물에 섞여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약량 125mL, 물량 25L"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광엽잡초로만 나열된 것은?

  1. 돌피, 여뀌, 쇠털골
  2. 별꽃, 명아주, 바랭이
  3. 물달개비, 망초, 강아지풀
  4. 물옥잠, 사마귀풀, 쇠비름
(정답률: 56%)
  • "물옥잠, 사마귀풀, 쇠비름"은 모두 광엽잡초에 속하는 식물들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광엽잡초 이외의 식물들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수면에 떠다니는 부유성 잡초에 해당하는 것은?

  1. 가래
  2. 등에풀
  3. 생이가래
  4. 물달개비
(정답률: 65%)
  • 정답은 "생이가래"입니다.

    생이가래는 물 속에서 자라는 수면에 떠다니는 부유성 잡초입니다. 이 잡초는 물 속에서 자라면서 뿌리가 없고, 떠다니면서 자라기 때문에 수면에 떠다니는 부유성 잡초라고도 불립니다. 또한 생이가래는 물고기들이 서식하는 중요한 서식지이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잡초경합 한계기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철저한 잡초 방제가 요구되는 시기이다.
  2. 작물 생육기의 초기 1/4~1/3 정도의 기간이다.
  3. 잡초와 작물이 경합하지만 작물의 피해는 없는 한계기간이다.
  4. 한계기간 이후에는 잡초 방제를 더 하여도 작물 피해는 큰 변화가 없다.
(정답률: 61%)
  • 잡초와 작물이 경합하지만 작물의 피해는 없는 한계기간이라는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잡초방제법 중에서 생태적 방법에 해당하는 것은?

  1. 윤작 실시
  2. 낫을 이용
  3. 천적을 이용
  4. 솔라리제이션
(정답률: 68%)
  • 윤작 실시는 잡초를 제거하기 위해 화학적인 방법이나 기계적인 방법 대신에 작물 주변의 흙을 굴려서 잡초의 뿌리를 파괴하는 생태적인 방법이다. 이 방법은 환경 오염을 최소화하면서도 작물의 성장을 돕는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윤작 실시는 생태적 방법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주로 종자번식을 하는 일년생 잡초는?

  1. 가래
  2. 쇠비름
  3. 쇠털골
  4. 너도방동사니
(정답률: 48%)
  • 쇠비름은 일년생 잡초 중에서 주로 종자번식을 하는 종류이다. 이는 쇠비름이 뿌리를 내리기 전에 씨앗을 뿌려 번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쇠비름은 다른 잡초들과 달리 뿌리가 깊지 않고 씨앗이 많이 생기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논잡초 방제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제초제로 일년생 잡초 발생 전 토양에 처리하는 것은?

  1. 시마진 수화제
  2. 리뉴론 수화제
  3. 뷰타클로르 입제
  4. 알라클로르 유제
(정답률: 61%)
  • 일년생 잡초는 발생 전에 토양에 씨앗이 뿌려지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논잡초 방제용으로는 일년생 잡초 발생 전 토양에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이 중에서 뷰타클로르 입제는 일년생 잡초를 방제하는데 효과적인 제초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논에서 뚝새풀이 벼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이유로 적합

  1. 키가 벼보다 작기 때문에
  2. 발생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3. 벼와 동일한 화본과 식물이기 때문에
  4. 양분흡수에 대한 경합력이 낮기 때문에
(정답률: 60%)
  • 뚝새풀과 벼는 서로 다른 생물종이며, 뚝새풀은 벼와는 다른 시기에 자라기 때문에 뚝새풀의 수량이 증가하더라도 벼의 수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발생시기가 다르기 때문에"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잡초의 상호대립억제작용(Allelopathy)을 이용한 잡초방제법은?

  1. 생물적 방제
  2. 생태적 방제
  3. 물리적 방제
  4. 종합적 방제
(정답률: 60%)
  • 잡초의 상호대립억제작용(Allelopathy)을 이용한 잡초방제법은 "생물적 방제"이다. 이는 다른 식물이나 미생물 등의 생물체를 이용하여 잡초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환경에 미치는 부작용이 적고 지속적인 효과를 보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잡초의 상호대립억제작용은 잡초가 자신의 주변에 존재하는 다른 식물들에게 발생시키는 화학물질로 인해 잡초의 생장을 억제하거나 죽음으로 이어지게 만드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를 이용하여 잡초를 제어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다년생 잡초로만 나열된 것은?

  1. 여뀌, 명아주, 메꽃
  2. 망초, 돌피, 물달개비
  3. 냉이, 속속이풀, 뚝새풀
  4. 올챙이고랭이, 올방개, 매자기
(정답률: 67%)
  • 올챙이고랭이, 올방개, 매자기는 모두 다년생 잡초이기 때문에 다른 보기들과 달리 여러 해 동안 자라는 것이 특징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일년생이거나 생애가 짧은 것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논 잡초의 방제를 위하여 사용한 제초제가 약해를 발생하는 요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이앙심도가 깊을 때
  2. 일일 온도 변화가 작은 경우
  3. 물 관리를 소홀히 하였을 경우
  4.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과잉 살포한 경우
(정답률: 67%)
  • 일일 온도 변화가 작은 경우는 제초제의 효과를 감소시키는 요인 중 하나이다. 이는 온도 변화가 작을 경우 잡초가 더 빠르게 성장하고, 제초제의 흡수와 이동이 느려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제초제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더 많은 양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온도 변화가 큰 시기에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비선택성 제초제가 아닌 것은?

  1. 퀴노클라민 입제
  2. 글루포시시네이트암모늄 액제
  3. 글리포세이트·옥시플루오르펜 액상 수화제
  4. 벤타존소듐·글리포세이트이소프로필아민 액제
(정답률: 64%)
  • 퀴노클라민 입제는 제초작용이 없는 약물로, 알레르기나 질병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따라서 비선택성 제초제가 아닙니다. 반면에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비선택성 제초제로, 식물의 잎이나 줄기 등을 통째로 죽이는 작용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발생심도가 가장 깊은 잡초는?

  1. 올미
  2. 볏풀
  3. 올방개
  4. 너도방동사니
(정답률: 50%)
  • 올방개는 물 속에서 자라는 수중 잡초로, 뿌리가 깊게 파고들어 발생심도가 가장 깊은 잡초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물 속에서 자라는 다른 잡초들보다 더욱 깊은 곳에서 발견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페녹시계 호르몬형 제초제로 이행성이 있는 것은?

  1. 이사-디 액제
  2. 클레토딤 유제
  3. 메톨라클로르 유제
  4. 프레틸라클로르 유제
(정답률: 85%)
  • 이사-디 액제는 페녹시계 호르몬형 제초제 중에서 이행성이 있는 제초제입니다. 이사-디 액제는 잡초의 잎과 줄기를 통해 흡수되어 뿌리까지 이동하여 제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사-디 액제는 잡초의 생장을 방해하고 제거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잡초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영양번식만 가능함
  2. 종자의 휴면성이 있음
  3. 불량 환경 조건하에서도 발아력이 높음
  4. 종자생산이 많고 먼 거리 이동이 가능함
(정답률: 86%)
  • 잡초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영양번식만 가능함"이다. 잡초는 영양번식뿐만 아니라 씨앗 번식, 뿌리 번식 등 다양한 번식 방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영양번식만 가능함"은 잡초의 특성으로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식물의 학명 표기에서 잘못된 약어는?

  1. 품종 : f.
  2. 개체 : cv.
  3. 변종 : var.
  4. 아종 : ssp.
(정답률: 64%)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주로 논이나 습지에 발생하고 화본과에 속하는 다년생 잡초는?

  1. 사마귀풀
  2. 나도겨풀
  3. 물고랭이
  4. 가막사리
(정답률: 64%)
  • 주로 논이나 습지에 발생하는 다년생 잡초는 "나도겨풀"입니다. 이는 물에 잠기는 것을 좋아하며, 뿌리가 깊게 파고들어 생장력이 강하고 빠릅니다. 또한 화본과에 속하는 다년생 잡초이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