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식물병리학
1. 벚나무 빗자루병의 방제법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2. TMV에 의해 발병하며 주로 토양에 의하여 전염되는 병은?
3. Pseudomonas 세균의 특성으로 옳은 것은?
4. 식물병 방제를 위하여 Millardet가 개발한 것으로 당시 유행한 포도 노균병을 방제하기 위해 구리가 가진 독성을 이용한 것으로 현재에도 많이 사용되는 살균제는?
5. 벼 이삭누룩병균은 분류학상 어느 균류에 속하는가?
6. 벼 잎집무늬마름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7. 오이 덩굴쪼김병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8. 고구마 무름병의 특징적인 표징은?
9. 호박에 흰가루병을 방제하기 위해 어느 부위에 약제 처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가?
10. 병원균으 한 종이나 한 분화형 또는 변종 중에서 기주의 품종에 대한 기생성을 의미하는 용어는?
11. 무사마귀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2. 식물 중에 특정 병원체 침입에 대하여 민감하게 반응하거나 특징적인 병징을 이용한 것으로 주로 바이러스의 진단에 널리 쓰이며 세균이나 일부 균류에 의한 병의 진단에도 활용하는 방법은?
13. 병원균에 대한 기주 저항성 중 품종고유의 소수 주동유전자에 의해 발현되기 때문에 재배환경에 영향을 적게 받으나 레이스의 변이에 의하여 감수성으로 되기 쉬운 것은?
14. 다음 괄호 안에 해당하는 용어는?
15. 다음 중 윤작을 이용한 방제효과가 가장 높은 것은?
16. 벼 도열병의 전형적인 병징은?
17. 균류에 속하는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8. 논에서 벼 도열병균 분생포자의 주된 전염방법은?
19. Nepovirus를 매개하여 식물병을 감염시키는 것은?
20. 감자 Y바이러스의 특징이 아닌 것은?
2과목: 농림해충학
21. 중배엽으로부터 유래된 기관은?
22. 가루깍지벌레의 연 발생횟수는?
23. 곤충의 서식지에 따른 곤충 분류가 아닌 것은?
24. 고구마나 당근 등에 주로 발생하는 뿌리혹선충의 방제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25. 뒷날개가 평균기(Halter)로 변형되어 비행 중 몸의 균형을 유지하는 곤충은?
26. 곤충의 생활사에서 용화란 무엇인가?
27. 다음 중 내충성 품종을 이용하여 방제할 경우 가장 효과적인 해충은?
28. 다음 해충 중 완전변태를 하지 않는 것은?
29. 이화명나방의 월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0. 다음 중 암컷만으로 번식하는 단위생식을 하는 해충은?
31. 벼멸구의 분류학적 위치는 다음 중 어디에 속하는가?
32. 다음 중 위용에 해당하는 번데기를 형성하는 것은?
33. 다음 중 세계에서 가장 많은 종이 기록되어 있어 많은 해충과 익충이 포함되어 있는 것은?
34. 목화진딧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5. 외국에서 유입되어 국내에 정착한 침입해충이 아닌 것은?
36. 해충을 유이등에 모이게 하여 방제하는 방법은 해충의 어떤 습성을 이용한 것인가?
37. 다음 중 식엽성 해충이 아닌 것은?
38. 알, 유충, 번데기 등의 시기를 땅 속에서 지내다가 성충 시기에만 땅 위에서 활동하는 굼벵이형에 해당하는 곤충이 아닌 것은?
39. 다음 곤충 중 날개가 두 쌍인 것은?
40. 유충이 가해한 부위는 적갈색의 굵은 배설물과 함께 수액이 흘러나와 겉으로 쉽게 눈에 띄며, 성충은 나무껍질에 한 개씩 알을 낳는 해충은?
3과목: 농약학
41. 제초제의 토양 중에서의 변화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42. 계면활성제에 들어있는 친유기(親油基)는?
43. 농약 살포시 지켜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44. 농약의 환경 중으로의 확산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45. 수(水)불용성인 농약원제로써 제품을 만들려고 할 때 적당한 제조형태가 아닌 것은?
46. 다음 중 살충제 농약으로 분류되는 것은?
47. 과실의 수기를 촉진시켜 주는 농약으로 주로 사용되는 약제는?
48. 피에이엠(PAM)은 주로 어느 농약의 중독치료제로 사용되는가?
49. 침투성 살충제의 일반적인 특성 중 옳지 않은 것은?
50. 접촉독, 소화중독으로 효과를 나타내는 유기인계 살충제로서 야생조류에 피해를 줄 수 있고 특히 꿀벌에 잔류독성이 강하여 사용시 주의하여야 하는 농약은?
51. 어떤 살충제에 대하여 저항성이 발달한 해충이 한번도 사용한 실적은 없지만 작용기구가 같은 살충제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현상은?
52. 수화제, 수용제 등의 살포액에 기포제를 가하여 전용노즐로 공기와 교반하여 가는 거품의 집합체로 살포하는 방법은?
53. 농약의 독성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54. 우리나라에서 농약의 독성을 구분할 때 어디에 기준을 두고 분류하는가?
55. 20% PAP유제 100mL를 0.05%의 살포액으로 만드는데 소요되는 물의 양은 약 얼마인가? (단, 원액의 비중은 1이다.)
56. 유기인계 농약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57. 논에 물에 대면서 물꼬에서 약제를 처리하도록 개발한 제형은?
58. 농약 살포액 조제시 사용되는 적당한 물은?
59. 분제는 물리적 성질이 약효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다음 중 분제가 가지는 물리적 성질이 아닌 것은?
60. 다음 중 침투성 살충제는?
4과목: 잡초방제학
61. 주로 지하경에 의해 번식하지 않는 잡초는?
62. 작물의 수량 감소 정도는 작물과 잡초와의 경합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이에 관여하는 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63. 잡초의 종합방제(Integrated Control)의 의미로 가장 적합한 것은?
64. 10a당 500mL를 물 100L에 희석해서 사용하는 약제를 250m2에 살포하려고 할 때 약량과 물량은?
65. 다음 중 광엽잡초로만 나열된 것은?
66. 다음 중 수면에 떠다니는 부유성 잡초에 해당하는 것은?
67. 잡초경합 한계기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8. 잡초방제법 중에서 생태적 방법에 해당하는 것은?
69. 주로 종자번식을 하는 일년생 잡초는?
70. 다음 중 논잡초 방제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제초제로 일년생 잡초 발생 전 토양에 처리하는 것은?
71. 논에서 뚝새풀이 벼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이유로 적합
72. 잡초의 상호대립억제작용(Allelopathy)을 이용한 잡초방제법은?
73. 다음 중 다년생 잡초로만 나열된 것은?
74. 논 잡초의 방제를 위하여 사용한 제초제가 약해를 발생하는 요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75. 비선택성 제초제가 아닌 것은?
76. 다음 중 발생심도가 가장 깊은 잡초는?
77. 페녹시계 호르몬형 제초제로 이행성이 있는 것은?
78. 다음 중 잡초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79. 식물의 학명 표기에서 잘못된 약어는?
80. 주로 논이나 습지에 발생하고 화본과에 속하는 다년생 잡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