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식물병리학
1. 유사균류에 의한 병이 아닌 것은?
2. 벼 잎에 나타난 방추형 갈색병반으로 육안적 진단이 가능한 병은?
3. 배추 등에서 무사마귀병(뿌리혹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은 무엇인가?
4. 미생물이 생산하는 물질로 다른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는 점을 이용한 농약은?
5. 식물병원균 감염 후 나타나는 저항성에 관한 것이 아닌 것은?
6. 콩 자주빛무늬병(자주무늬병) 균의 월동처는?
7. 질소비료를 적게 주어 도열병을 방제하는 방법은?
8. 밀 줄기녹병의 병원은?
9. 식물 바이러스병 진단병으로 옳지 않은 것은?
10. 병원균이 주로 종자 전염하는 병은?
11. 식물병원균의 레이스를 판단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특정한 품종을 무엇이라 하는가?
12. 경란전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3. 균사가 변형하여 유사조직을 형성하고, 구형 또는 입상 이며 불량환경에 저항성이 강한 것은?
14. 다음 중 항생물질이 아닌 것은?
15. 다음 중 진균(곰팡이)에 의해서 일어나는 병은?
16. 다음 중 산성비에 가장 강한 수종은?
17. 다음 중 배추 무름병균의 특성은?
18. 빈번한 강우조건 아래에서 가장 발생하기 쉬운 액류의 병은?
19. 다음 중 바이러스를 매개하는 선충이 아닌 것은?
20. 주로 저온에서 발생이 많은 병은?
2과목: 농림해충학
21. 곤충의 더듬이는 종이나 암수에 따라 모양이 다르나 기본적으로 3부분으로 되어 있다. 다음 중 더듬이의 3부분에 속하지 않는 것은?
22. 곤추에서 부화한 유충(또는 약충)이 성충까지 발육하는 과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23. 방패벌레는 어느 목에 속하는가?
24. 2모작 맥류재배를 하면 많이 발생하는 해충은?
25. 땅강아지의 분류학적 위치는?
26. 다음 중 곤충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7. 다음 중 신갈나무에 피해를 주는 참나무 시들음병의 매개충은?
28. 해충의 생물적 방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9. 간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0. 다음 중 번데기 시기가 없는 불완전변태를 하는 것은?
31. 벼잎벌레의 월동 충태는?
32. 딱정벌레목의 가뢰과에서 볼 수 있는 변태의 유형은?
33. 다음 중 유충이 저작형 입틀을 가진 식엽성 해충은?
34. 벼 재배시 후기 해충방제에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할 대상 해충은?
35. 곤충의 휴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6. 이화명나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7. 밤나무혹벌은 우리나라에 침입하여 재래종 밤나무에 극심한 피해를 주었다. 이 해충 방제에 우리나라에서 이용되고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제법은?
38. 곤충의 분류 중 곤충의 먹이 종류에 따라 구분하는 형태가 아닌 것은?
39. 곤충의 체벽을 이루고 있는 층 중에서 세포가 분포하고 있는 층은?
40. 소나무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과목: 농약학
41. 성유인 물질(sex attractant)의 특성이 아닌 것은?
42. 보르도액의 사용상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43. 살충제의 살충 작용점의 기작이 아닌 것은?
44. Carbamate계 살충제의 일반적인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45. 살포액(액상시용제)의 물리적인 성질이 아닌 것은?
46. 농약을 제조할 때 사용되는 가성소다(NaOH)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7. 헤테로 옥신(hetero auxin)이라고 부르는 식물생장 조절제는?
48. 비중이 0.5인 유제(50%)를 0.05% 액으로 희석하여 면적 10a당 5말(1말 : 18L)로 살포하려 할 때의 소요약량은 약 몇 mL 인가?
49. 퀴나졸린계의 살비제로서 응애의 모든 생육 단계에서 효과가 우수한 살충제는?
50. 농약을 음식물로 잘못 알고 마셨을 때 나타나는 중독은?
51. 농약의 잔류허용량을 정할 때 ADI를 사용하는데 이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52. 네레이스톡신(nereistoxin)을 기초로한 천연물 유도형의 살충제는?
53. 수화제를 희석하였을 때 고상의 미세입자가 용액 중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물리적인 성질을 무엇이라 하는가?
54. 농약원제에 발연제(니트로셀룰로오스), 방염제 등을 혼합하고 기타 보조제 및 증량제를 첨가하여 제조한 제형은?
55. 다음 농약에서 Hg는 어떤 작용과 관계가 가장 밀접한가?
56. 유기염소계의 침투성 살균제로서 예방 및 치료효과가 있으며 작물의 흰가루병 및 녹병에 적용할 수 있는 농약은?
57. 다음 중 보조제가 아닌 것은?
58. 복합저항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59. 다음 농약 중 곤충생장조절제(IGR계통)의 농약이 아닌 것은?
60. 다조에 85% 분제 1kg을 50%의 분제로 만들려면 증량제가 얼마나 필요한가?
4과목: 잡초방제학
61. 우리나라 논잡초 방제를 위하여 사용하는 제초제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제형은?
62. 벼 이앙재배에서 주로 우점하는 잡초들로만 나열한 것은?
63. 경엽처리용 제초제로 벼와 피 사이에서 속간선택성을 일으키는 것은?
64. 혼합 제초제의 효과로 볼 수 없는 것은?
65. 문제 잡초들의 특성이 아닌 것은?
66. 잡초에 의한 작물의 피해가 가장 심한 경우는?
67. 10a당 3kg을 살포하는 제초제를 100m2에 처리하고자 할 때 필요한 량은?
68. 다음 잡초 중 방동사니과(科) 잡초가 아닌 것은?
69. 종자휴면의 원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70. 제초제 중 작물에 나타나는 약해증상으로 틀린 것은?
71. 잡초종자의 수명을 좌우하는 요인 중 저장조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72. 잡초와의 경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73. 벼 재배방법 중 잡초의 피해가 가장 큰 재배방법은?
74. 잔디밭에 주로 많이 발생되는 잡초는?
75. 우리나라에서 발생하고 있는 대부분의 잡초종자의 발아 최적온도 범위는?
76. 산성토양에서 잘 적응하는 잡초가 아닌 것은?
77. 제초효과가 우수하고 일정한 지역에 손쉽게 처리할 수 있어 노력과 비용이 적게 드는 잡초 방제법은?
78. 제초제의 선택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물리적 요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79. 잡초를 생활형에 따라 바르게 분류한 것은?
80. 우리나라 논에서 발생하는 화본과 잡초가 아닌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