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보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9-23)

식물보호산업기사
(2017-09-2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식물병리학

1. 그을음병이 식물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은 것은?

  1. 세포조직을 분해하여 연부를 일으킨다.
  2. 통도 조직을 막으므로 시들음병을 유발한다.
  3. 기주 표면을 덮으므로 광합성에 지장을 준다.
  4. 조직분화가 비정상적으로 유도되어 기형이 된다.
(정답률: 86%)
  • 그을음병은 식물의 잎이나 줄기에 나타나는 질병으로, 기생균이 식물 조직을 침입하여 세포를 파괴하고 기주 표면을 덮는다. 이로 인해 광합성에 지장을 줄 수 있으며, 식물의 성장과 생존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기주 표면을 덮으므로 광합성에 지장을 준다."가 옳은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판별품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기주의 저항성을 결정할 때 쓰는 품종
  2. 기주의 유전성을 결정하는데 사용하는 품종
  3. 병원균의 병원성 분화를 결정하는데 사용하는 품종
  4. 기주에 대한 환경의 영향을 결정할 때 쓰는 품종
(정답률: 83%)
  • 판별품종은 병원균의 병원성 분화를 결정하는데 사용하는 품종입니다. 즉, 어떤 병원균이 어떤 질병을 일으키는지를 판별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곰팡이의 유성생식 결과 만들어지는 기관이 아닌 것은?

  1. 난포자
  2. 후막포자
  3. 자낭포자
  4. 접합포자
(정답률: 73%)
  • 난포자, 자낭포자, 접합포자는 모두 곰팡이의 유성생식 결과를 만들어내는 기관입니다. 하지만 후막포자는 유성생식이 아닌, 대부분의 곰팡이에서 생기는 생식 결과물인 클로로필로 인한 녹색색소체에서 만들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유성생식 결과를 만들어내는 기관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식물 바이러스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핵단백질 거대분자이다.
  2. 살아있는 세포 내에서만 증식한다.
  3. 광학현미경을 통해서만 볼 수 있다.
  4. 막대형, 구형, 간상형 등 여러 가지 모양이 있다.
(정답률: 84%)
  • 식물 바이러스는 광학현미경을 통해서만 볼 수 없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광학현미경을 통해서 쉽게 관찰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정답은 "광학현미경을 통해서만 볼 수 있다."가 아니라, "광학현미경을 통해서 쉽게 관찰할 수 있다."가 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대추나무 빗자루병의 방제법으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1. 여름철에 살균제를 뿌려준다.
  2. 옥시테트라사이클린 수화제를 나무에 주사한다.
  3. 매개충을 구제하기 위하여 살충제를 지면에 뿌려준다.
  4. 병든 가지는 건전한 부분을 포함하여 겨울철에 잘라낸다.
(정답률: 90%)
  • 옥시테트라사이클린은 대추나무 빗자루병의 원인균인 Xylella fastidiosa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나무에 주사하여 방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대추나무 빗자루병에 대한 직접적인 효과가 없거나, 부가적인 방법일 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오이 모자이크병의 방제에 가장 효과적인 것은?

  1. 윤작
  2. 종자소독
  3. 포장위생
  4. 매개곤충 방제
(정답률: 76%)
  • 오이 모자이크병은 바이러스에 의해 전염되는 병이며, 이 바이러스는 매개곤충인 무당벌레 등을 통해 전파됩니다. 따라서 매개곤충 방제가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윤작, 종자소독, 포장위생은 오이 모자이크병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방법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에서 설명하는 병원균의 기관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흡기
  2. 버섯
  3. 균핵
  4. 후벽포자
(정답률: 90%)
  • 이 기관은 "흡기"로 불리며, 병원균이 호흡에 이용하는 기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배추 무사마귀병이 발생한 밭에 석회를 사용하여 토양의 pH를 높일 경우 예상되는 결과는?

  1. 줄어든다.
  2. 많아진다.
  3. 변함이 없다.
  4. 줄어들었다가 많아진다.
(정답률: 87%)
  • 배추 무사마귀병은 산성 토양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석회를 사용하여 토양의 pH를 높일 경우에는 무사마귀병의 발생 가능성이 줄어들게 됩니다. 즉, 석회를 사용하면 무사마귀병의 발생이 예방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줄어든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바이러스에 전신감염된 식물의 잎에서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병징은?

  1. 무름
  2. 썩음
  3. 모자이크
(정답률: 88%)
  • 모자이크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식물의 잎에서 일어나는 병징 중 하나로, 잎의 색상이 이상하게 변하거나 줄무늬나 반점 등의 패턴이 생기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바이러스가 식물의 세포를 침범하여 세포 내부에서 생명 활동을 방해하고, 이로 인해 잎의 생리적 기능이 손상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모자이크는 바이러스 감염의 대표적인 증상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토양 전염성 병이 해마다 많이 발생하는 이유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것은?

  1. 윤작
  2. 연작
  3. 사질토양
  4. 유기물 과다
(정답률: 87%)
  • 연작은 작물을 연속적으로 재배하는 것으로, 같은 작물을 연속적으로 재배하면 그 작물에 대한 병해균과 해충이 증식하여 토양에 축적되기 때문에 토양 전염성 병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연작이 가장 가능성이 높은 이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표징이 나타나는 병은?

  1. 포도 흰가루병
  2. 감자 빗자루병
  3. 과꽃 누른오갈병
  4. 감자 바이러스병
(정답률: 86%)
  • 포도 흰가루병은 포도 잎에 흰색 가루 모양의 표징이 나타나는 병이다. 이는 곰팡이균에 의해 발생하며, 잎이나 열매에 침입하여 열매의 품질을 저하시키고 수확량을 감소시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균핵을 형성하지 않는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배추 균핵병
  2. 오이 흰가루병
  3. 고추 흰비단병
  4. 벼 잎집무늬마름병
(정답률: 45%)
  • 오이 흰가루병은 균핵을 형성하지 않는 질병입니다. 균핵은 세포 내부에 있는 핵과 세포 외부를 둘러싸고 있는 핵막 사이에 형성되는 구조물로, 일부 세균이나 진균에서 발견됩니다. 따라서 오이 흰가루병은 균핵을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보기 중에서 균핵을 형성하는 질병인 "배추 균핵병", "고추 흰비단병", "벼 잎집무늬마름병"과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흰가루병이 잘 발생하지 않는 기주식물은?

  1. 오이
  2. 감자
  3. 장미
  4. 사과나무
(정답률: 80%)
  • 감자는 흰가루병에 강한 내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잘 발생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식물병의 진단방법 중 면역학적 진단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ELISA법
  2. 면역확산법
  3. 현미경관찰법
  4. 응집과 침강반응
(정답률: 74%)
  • 면역학적 진단방법은 항체와 항원의 상호작용을 이용하여 질병을 진단하는 방법이다. ELISA법과 면역확산법, 응집과 침강반응은 모두 면역학적 진단방법에 속한다. 그러나 현미경관찰법은 질병의 원인균이나 증상을 직접적으로 관찰하여 진단하는 방법으로, 면역학적 진단방법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병원균의 잠복기간이 가장 긴 것은?

  1. 벼 도열병
  2. 오이 노균병
  3. 고추 탄저병
  4. 보리 겉깜부기병
(정답률: 67%)
  • 보리 겉깜부기병의 잠복기간은 10일에서 2주로 가장 길다. 이는 병원균이 식물의 잎이나 줄기에 침투한 후, 잠복기간 동안 병원균이 증식하고 식물의 면역력을 약화시키기 때문이다. 이후에는 병원균이 식물 내부로 침투하여 병증을 유발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식물 병원체 중 가장 크기가 작은 것은?

  1. 세균
  2. 곰팡이
  3. 바이러스
  4. 바이로이드
(정답률: 93%)
  • 바이로이드는 식물 병원체 중 가장 작은 것이다. 이는 바이로이드가 바이러스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바이러스보다는 크기가 크기 때문이다. 바이로이드는 바이러스와 같이 세포 내부에서 번식하며, 식물의 병원성을 유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여름포자를 형성하지 않는 것은?

  1. 향나무 녹병
  2. 포플러 녹병
  3. 밑 줄기녹병
  4. 잣나무 털녹병
(정답률: 52%)
  • 향나무 녹병은 여름에도 잎이 노랗게 변하고 말라도 여름포자를 형성하지 않습니다. 이는 향나무 녹병의 원인인 균사체가 여름에는 활동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다른 세 종류의 녹병은 여름에도 균사체가 활동하여 여름포자를 형성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식물체의 병 발생에 관여하는 3가지 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환경
  2. 병원균
  3. 기주식물
  4. 경제적 피해
(정답률: 94%)
  • "경제적 피해"는 식물체의 병 발생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요소가 아니기 때문에 해당하지 않는다. 환경, 병원균, 기주식물은 모두 식물체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하지만 경제적 피해는 병원균이나 환경 등의 요소로 인해 식물체가 손상을 입어 생산량이나 품질이 저하되어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는 식물체의 병 발생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요소가 아니기 때문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감귤의 병은?

  1. 궤양병
  2. 탄저병
  3. 갈색썩음병
  4. 소립검은점무늬병
(정답률: 84%)
  • 감귤의 잎과 줄기에 나타나는 검은색 궤양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궤양병"이 맞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감귤의 다른 병으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잣나무 털녹병의 방제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중간기주인 송이풀을 제거한다.
  2. 중간기주인 까치밥나무를 제거한다.
  3. 담자포자가 비산하는 초봄에는 살균
  4. 병든 나무는 녹포자가 비산하기 전에 비닐로 싸준다.
(정답률: 7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농림해충학

21. 모기가 벽에 앉을 때 언제나 머리쪽이 위로 향하는 성질은?

  1. 주광성
  2. 주화성
  3. 주촉성
  4. 주지성
(정답률: 84%)
  • 모기는 벽에 앉을 때 자신의 무게 중심을 잡기 위해 머리쪽을 위로 향하게 됩니다. 이러한 성질을 "주지성"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의 피해를 유발하는 해충은?

  1. 혹명나방
  2. 벼잎벌레
  3. 끝동매미충
  4. 이화명나방
(정답률: 60%)
  • 이화명나방은 이화(꽃)의 꽃잎을 먹어서 꽃이 엉망이 되게 만들고, 꽃이 엉망이 되면 꽃가루가 제대로 수집되지 않아 꽃의 번식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이화명나방은 꽃의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피해를 유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콩나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1년에 1회 발생한다.
  2. 땅속에서 노숙유충으로 월동한다.
  3. 콩줄기 속에 파고 들어가 피해를 준다.
  4. 성충은 주로 이른 오전과 늦은 오후에 콩밭에서 떼 지어 날아다닌다.
(정답률: 59%)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밤나무혹벌 방제법으로 가장 효과적인 것은?

  1. 불임성 이용
  2. 접촉살충제 살포
  3. 내충성 품종 이용
  4. 침투성 약제 수간주사
(정답률: 66%)
  • 밤나무혹벌은 내충성 해충으로, 내충성 품종을 이용하면 해충에 대한 저항성이 높아져서 방제 효과가 높아집니다. 따라서 내충성 품종 이용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불임성 이용은 해충의 번식을 방해하는 방법이지만, 이미 발생한 해충을 제거하는 데는 효과가 떨어집니다. 접촉살충제 살포는 해충에 직접 살충제를 뿌려 제거하는 방법이지만, 해충이 발생한 후에만 효과가 있습니다. 침투성 약제 수간주사는 해충의 내부에 약제를 주입하여 제거하는 방법이지만, 적용이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듭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간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날개가 있는 수컷 진딧물이다.
  2. 날개가 있는 암컷 진딧물이다.
  3. 월동란에서 부화한 진딧물이다.
  4. 모체에서 태어난 날개가 없는 암컷진딧물이다.
(정답률: 73%)
  • 간모는 월동란에서 부화한 진딧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산란관으로 과수의 가지에 상처를 내고 산란하는 해충은?

  1. 말매미
  2. 조명나방
  3. 사과혹진딧물
  4. 사과둥근나무좀
(정답률: 68%)
  • 말매미는 산란관으로 들어가서 과수의 가지에 상처를 내고 산란하는 해충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과일을 먹거나 잎을 먹는 해충이지만, 산란을 위해 가지에 상처를 내는 특징은 말매미에만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표피를 이루는 단백질, 지질, 키틴 화합물 등을 합성 및 분비해주며 탈피 시에는 내원표피를 소화시키는 탈피액을 분비하는 곳은?

  1. 기저막
  2. 원표피
  3. 외표피
  4. 진피세포
(정답률: 80%)
  • 진피세포는 표피를 이루는 세포 중에서도 내원표피를 소화시키는 탈피액을 분비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단백질, 지질, 키틴 화합물 등을 합성하고 분비합니다. 이에 반해 기저막은 표피와 연결되어 있으며, 원표피와 외표피는 표피의 구성 요소 중 하나로, 진피세포와는 역할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곤충의 기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몸의 양옆에 존재한다.
  2. 파리목의 유충은 10쌍의 기문이 있다.
  3. 곤충 종마다 다르지만 10쌍을 넘지 않는다.
  4. 모기붙이류의 경우는 기문이 존재하지 않는다.
(정답률: 61%)
  • "파리목의 유충은 10쌍의 기문이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파리목의 유충은 기문이 없는데, 이는 파리목이 유충기간 동안 물에 서식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기문이 없어서 물 속에서 더 효율적으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외국에서 침입한 해충이 아닌 것은?

  1. 꽃매미
  2. 알락하늘소
  3. 밤나무혹벌
  4. 소나무재선충
(정답률: 67%)
  • 알락하늘소는 한국 원산 종으로, 다른 보기들은 모두 외국에서 유래한 해충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호르몬을 분비하는 내분비계가 아닌 것은?

  1. 앞가슴샘
  2. 알라타체
  3. 말피기소관
  4. 뇌신경세포
(정답률: 72%)
  • 말피기소관은 호르몬을 분비하는 내분비계가 아닙니다. 말피기소관은 소화기관의 일부로서 소화를 돕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곤충의 발육 적산온도법칙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최적발육온도
  2. 영점발육온도
  3. 유효적산온도
  4. 특정 온도에서의 발육일수
(정답률: 60%)
  • 곤충의 발육 적산온도법칙은 온도와 시간의 곱으로 발육 속도를 나타내는데, 이 중에서 최적발육온도는 해당 종의 발육에 가장 적합한 온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발육 속도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최적발육온도가 가장 관계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사과혹진딧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10월 중순경 겨울눈 부근에 월동란을 낳는다.
  2. 천적으로는 애홍점박이무당벌레, 칠성무당벌레가 있다.
  3. 사과나무의 끝 가지에서 월동한 알이 4월 중하순에 부화하여 간모가 된다.
  4. 사과 성숙잎의 뒷면에 기생하면 잎이 앞면으로 그리고 가로로 말리게 된다.
(정답률: 78%)
  • "10월 중순경 겨울눈 부근에 월동란을 낳는다."는 사과혹진딧물의 생태와 관련된 옳은 설명이다. 따라서 정답은 "사과 성숙잎의 뒷면에 기생하면 잎이 앞면으로 그리고 가로로 말리게 된다."이다.

    사과혹진딧물은 사과나무를 비롯한 과수나무의 잎에 기생하여 생활한다. 겨울에는 월동하며, 봄에는 알에서 부화하여 어린 벌레가 된다. 성장하면서 잎을 먹고, 성숙한 벌레는 사과나무의 가지나 줄기에 나무껍질을 먹는 작용을 한다. 천적으로는 애홍점박이무당벌레, 칠성무당벌레 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곤충강에 속하지 않는 해충은?

  1. 독나방
  2. 점박이응애
  3. 목화진딧물
  4. 가루깍지벌레
(정답률: 88%)
  • 점박이응애는 곤충강에 속하지 않는 해충입니다. 이는 점박이응애가 곤충이 아닌, 미기록동물(미분류 동물)로 분류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독나방, 목화진딧물, 가루깍지벌레는 모두 곤충강에 속하는 해충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분류학적으로 꿀벌과 가장 가까운 것은?

  1. 개미
  2. 흰개미
  3. 밑들이
  4. 하루살이
(정답률: 79%)
  • 개미와 꿀벌은 모두 소시오포르미스목에 속하는 공생곤충으로, 사회성이 높은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개미가 꿀벌과 가장 가까운 것으로 분류됩니다. "흰개미"와 "밑들이"는 모두 개미과에 속하지만, 꿀벌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하루살이"는 나비목에 속하는 곤충으로, 개미와 꿀벌과는 매우 먼 친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해충의 생물적 방제인자로서 포식성 천적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고치벌류
  2. 노린재류
  3. 무당벌레류
  4. 풀잠자리류
(정답률: 60%)
  • 고치벌류는 식물을 주로 먹는 벌류로, 해충을 포식하는 포식성 천적류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성충으로 월동하는 해충은?

  1. 솔잎혹파리
  2. 이화명나방
  3. 밤나무혹벌
  4. 털두꺼비하늘소
(정답률: 59%)
  • 털두꺼비하늘소는 겨울철에도 활동이 가능한 해충으로, 월동을 하며 생존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월동하지 않는 해충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번데기가 되면서 부속지가 몸에 붙어 있는 상태로 형성되어 다리나 큰턱을 따로 움직일수 없는 번데기 형태는?

  1. 나용
  2. 피용
  3. 위용
  4. 저용
(정답률: 71%)
  • 번데기는 부속지가 몸에 붙어 있기 때문에 다리나 큰턱을 따로 움직일 수 없습니다. 따라서 다리나 큰턱이 없는 번데기 형태를 가지게 됩니다. 이러한 형태를 가진 번데기는 피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수도해충으로 본답 후기 해충방제가 가장 역점을 두어야 할 대상은?

  1. 애멸구
  2. 벼멸구
  3. 끝동매미충
  4. 번개매미충
(정답률: 78%)
  • 벼멸구는 벼를 해충으로부터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벼는 세계적으로 중요한 식량작물 중 하나이며, 벼멸구는 벼를 해충으로부터 보호하여 수확량을 유지하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수도해충으로 본답 후기 해충방제가 가장 역점을 두어야 할 대상은 벼멸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성충은 벼잎을 가해하고, 애벌레는 벼뿌리를 가해하여 피해를 주는 해충은?

  1. 벼멸구
  2. 애멸구
  3. 벼물바구미
  4. 벼줄기굴파리
(정답률: 77%)
  • 성충은 벼의 잎을 먹고, 애벌레는 벼의 뿌리를 먹어서 벼에게 피해를 줍니다. 그러나 벼물바구미는 벼의 줄기를 굴리면서 벼를 굴러뜨려서 피해를 주는 해충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벼물바구미가 벼의 줄기를 굴리면서 피해를 주는 해충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씹는 형의 입을 가진 곤충에서 식물조직을 잘게 부수는 역할을 하는 것은?

  1. 큰 턱
  2. 윗입술
  3. 작은턱
  4. 아랫입술
(정답률: 78%)
  • 큰 턱은 씹는 형의 입을 가진 곤충에서 식물조직을 잘게 부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큰 턱이 강력하게 물체를 물어뜯을 수 있도록 디자인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윗입술과 아랫입술은 음식을 잡아끌어오는 역할을 하고, 작은턱은 큰 턱과 함께 음식을 부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농약학

41. 급성독성 중 일반적으로 호흡기를 통해서 흡수되는 독성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경구독성
  2. 경피독성
  3. 만성독성
  4. 흡입독성
(정답률: 83%)
  • 흡입독성은 입, 코, 목 등 호흡기를 통해 흡입되어 폐에 침착되어 발생하는 독성을 말합니다. 따라서, 호흡기를 통해 흡입되는 독성을 흡입독성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60kg의 쌀에 살충제 Malathion 50% 유제를 5ppm이 되도록 처리하고자 할 때 필요한 설충제량(mL)은? (단, 비중은 1.07 이다.)

  1. 0.42
  2. 0.56
  3. 0.64
  4. 0.72
(정답률: 58%)
  • 설충제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설충제량(mL) = (쌀의 무게(kg) × 필요한 농도(ppm) × 1000) ÷ (유제의 농도(%) × 유제의 비중)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설충제량(mL) = (60 × 5 × 1000) ÷ (50 × 1.07) ≈ 0.56

    따라서, 정답은 "0.5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계면활성제가 갖고 있는 원자단 중 친유기(親油基)는?

  1. -CN
  2. -COOH
  3. -OH
  4. -C2H5
(정답률: 70%)
  • 계면활성제는 수분과 유분 모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계면활성제가 갖고 있는 원자단 중 친유기는 유기화학에서 유기물과 상호작용하는 친유성을 나타내는 "-C2H5" 입니다. "-CN"은 친수성을 나타내는 기능기, "-COOH"은 산성을 나타내는 기능기, "-OH"는 알코올을 나타내는 기능기이기 때문에 친유성을 나타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농약 살포액의 물리적 성질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유화성
  2. 집중성
  3. 현수성
  4. 습전성
(정답률: 78%)
  • 농약 살포액의 물리적 성질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집중성"입니다. 이는 농약 살포액이 특정 지점에 집중되어 분포되지 않고 일정한 농도로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는 성질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농약 살포액을 사용할 때는 적정 농도와 적정 분포를 유지하여 효과적인 방제를 할 수 있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파라티온(Parathion)은 어느 효소작용을 억제하는가?

  1. 아밀라아제
  2. 셀룰라아제
  3. 콜린에스테라제
  4. 모노아미노옥시다제
(정답률: 64%)
  • 파라티온은 콜린에스테라제를 억제하는데, 이는 파라티온이 콜린에스테라제의 활성부위에 결합하여 효소의 기능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의 분해가 억제되어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중독 증상이 나타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분제(粉劑) 농약 제조 시 증량제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탈크(Talc)
  2. 슬래그(Slag)
  3. 규조토(硅藻土)
  4. 고령토(高嶺土)
(정답률: 73%)
  • 슬래그는 증량제로 사용되지 않는 이유는 그것이 불순물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증량제로 사용될 수 있지만, 슬래그는 불순물이 많아서 농약 제조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구조식을 가진 제초제는 어느 계에 속하는가?

  1. 요소계 제초제
  2. 트라이진계 제초제
  3. 페녹시초산계 제초제
  4. 카르바메이트계 제초제
(정답률: 61%)
  • 이 구조식은 요소계 제초제에 속합니다. 이유는 구조식에서 살포닐기(-SO2NH-)와 카르복실기(-COOH)가 함께 존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구조는 요소계 제초제의 특징 중 하나로, 살포닐기와 카르복실기가 결합하여 제초 효과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우리나라의 농약 독성구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농약의 독성구분은 원제독성을 기준으로 한다.
  2. 세계보건기구 분류기준과 거의 동일하다.
  3. 전체 등록 농약 중 고독성은 아주 적으며, 대부분 보통 및 저독성 농약이다.
  4. 술의 원료인 주정의 독성치보다 낮은 농약도 많다.
(정답률: 71%)
  • "농약의 독성구분은 원제독성을 기준으로 한다."가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농약의 독성구분은 살충력, 살균력, 제초력 등의 작용기전과 함께 원제독성, 즉 화학적 독성, 생물학적 독성, 환경 독성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물을 녹지 않는 농약성분을 이용하여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제제방법은?

  1. 입제(粒齊)
  2. 수용제(數溶齊)
  3. 액제(液齊)
  4. 유제(乳齊)
(정답률: 61%)
  • 물을 녹지 않는 농약성분은 유지성이 높은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유제(乳齊) 방법이 가장 적합하다. 유제 방법은 물 대신 유제(우유나 식물성 유지)를 사용하여 농약성분을 분산시키는 방법으로, 물과는 달리 유지성이 높아 농약성분이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유제 방법은 물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물로 인한 오염 우려가 없어 환경 친화적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농약의 독성발현시기에 따른 독성구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급성독성
  2. 흡입독성
  3. 아급성독성
  4. 만성독성
(정답률: 78%)
  • 흡입독성은 농약이 기도나 폐 등을 통해 체내로 흡입되어 발생하는 독성으로, 독성발현시기에 따른 구분과는 관계없이 독성구분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해충에 저항성이 유발되기 쉬운 농약 살포방법은?

  1. 동일 약제를 연용한다.
  2. 약제 살포 횟수를 줄인다.
  3. 매년 다른 액제를 바꾸어 살포한다.
  4. 작용 기작이 다른 약제와 교호 살포한다.
(정답률: 88%)
  • 동일 약제를 연용하는 경우, 해충은 해당 농약에 대한 저항성을 빠르게 발전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농작물을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약제를 사용하고, 살포 횟수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농약의 제제형태에 따라 검사방법이 다르다. 다음 중 액상수화제의 검사항목이 아닌 것은?

  1. 유효성분
  2. 수화성
  3. 분말도
  4. 발연성
(정답률: 60%)
  • 액상수화제는 발연성이 없기 때문에 "발연성"은 액상수화제의 검사항목이 아니다. 발연성은 고체 또는 가스 상태에서 발생하는 성질로, 액상수화제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제초제 종류 중 호르몬형 제초제는?

  1. 요소계
  2. 트리아진계
  3. 페녹시초산계
  4. 카르바메이트계
(정답률: 68%)
  • 페녹시초산계는 식물의 성장을 조절하는 호르몬인 오케이시신을 모방하여 작용하는 호르몬형 제초제이다. 따라서 이 계열의 제초제는 식물의 성장을 억제하고 죽이는 효과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파프 유제 20%를 1,000배액으로 희석하여 10a당 8말을 살포하여 해충을 방제하려 할 때 파프 유제의 소요량은 몇 mL인가? (단, 1말은 20L이다.)

  1. 144
  2. 150
  3. 160
  4. 170
(정답률: 75%)
  • 1,000배액으로 희석하면 농도가 1/1,000이 되므로, 1말을 살포하기 위해서는 20L × 1/1,000 = 0.02L = 20mL의 파프 유제가 필요하다. 따라서 10a당 8말을 살포하기 위해서는 20mL × 8 = 160mL의 파프 유제가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16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유기유황계 약제는?

  1. 만코제브 수화제
  2. 디클로르보스 유제
  3. 티오파네이트메틸 도포제
  4. 코퍼하이드록사이드 수화제
(정답률: 68%)
  • 유기유황계 약제는 해충 및 질병 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화학물질로, 식물에 적용됩니다. 이 중 "만코제브 수화제"는 유기유황계 약제 중 하나로, 주성분으로 만코제브를 함유하고 있습니다. 만코제브는 식물의 잎과 줄기에 분무하여 사용되며, 곰팡이, 균류, 해충 등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만코제브 수화제"가 유기유황계 약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유분(油分)의 작은 입자나 물에 녹지 않은 용제(溶劑))에 주제(主劑)를 녹인 액체의 입자를 물에 균일하게 분산시킨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현탁액(懸濁液)
  2. 용액(溶液)
  3. 유화액(乳化液)
  4. 유용액(油溶液)
(정답률: 56%)
  • 유분이나 용제에 주제를 녹인 액체는 서로 섞이지 않는데, 이를 물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해 유화제를 사용하여 입자를 안정적으로 분산시킨 것을 유화액이라고 한다. 따라서 정답은 "유화액(乳化液)"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농약의 구비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사용 제형의 다양성
  2. 병해충에 대한 약효 발현 정도
  3. 대상작물에 대한 약해 유발 여부
  4. 재배환경 중 잔효성 및 잔류성 정도
(정답률: 78%)
  • 농약의 구비조건 중 "사용 제형의 다양성"은 농작물에 따라 적합한 농약 제형이 다르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액상 농약은 잎사귀에 분사하기 쉽지만 뿌리에는 사용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뿌리에 문제가 있는 병해충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분말 또는 과립제형의 농약이 필요합니다. 이처럼 농작물과 병해충에 따라 적합한 농약 제형이 다르기 때문에 "사용 제형의 다양성"은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우리나라 농약의 급성경구독성 실험에서 고체인 경우 보통독성의 구분 기준(LD50)은?

  1. 20mg/kg 미만
  2. 5이상, 50mg/kg 미만
  3. 50이상, 500mg/kg 미만
  4. 50mg/kg 이상
(정답률: 64%)
  • LD50는 독성 실험에서 동물의 반응을 보고 50%의 동물이 사망하는 농도를 말합니다. 따라서, 농약의 보통독성을 구분하는 기준은 LD50이 50mg/kg 이상인 경우입니다. 그러나, 고체인 경우 LD50이 높아서 500mg/kg 미만인 경우도 보통독성으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50이상, 500mg/kg 미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광엽 및 경엽의 구별없이 식물을 고사시키는 작용을 하는 제초제는?

  1. 비 선택성 제초제
  2. 비 호르몬형 제초제
  3. 호르몬형 제초제
  4. 토양처리 제초제
(정답률: 86%)
  • 비 선택성 제초제는 광엽과 경엽을 구별하지 않고 모든 식물을 고사시키는 작용을 가지기 때문에 이름이 비 선택성 제초제이다. 다른 제초제들은 광엽과 경엽의 구별이나 특정 식물에만 작용하는 특성이 있지만, 비 선택성 제초제는 이러한 특성이 없다. 따라서, 비 선택성 제초제는 대규모 농업에서 널리 사용되며, 특정 작물을 보호하고자 할 때는 다른 제초제를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식품 중에 함유된 농약성분을 추출해내는데 주로 사용할수 있는 물질은?

  1. 증류수
  2. 황산
  3. 유기용매
  4. 가성소다
(정답률: 65%)
  • 유기용매는 물과 혼합이 가능하며, 다양한 농약성분들을 용해시킬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농약성분 추출에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잡초방제학

61. 잡초로 인해 예상되는 피해 및 손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토양침식을 유발한다.
  2. 작물의 품질이 저하된다.
  3. 작물에게 병해충을 매개한다.
  4. 농가의 경제적 부담이 가중된다.
(정답률: 86%)
  • 잡초가 토양침식을 유발하는 것은 다른 보기들과 달리 예상되는 피해와 손실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이다. 잡초는 토양을 덮고, 토양의 수분과 영양분을 차지하여 작물의 성장을 방해할 수 있지만, 이는 작물의 품질 저하나 병해충 매개 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그러나 토양침식은 토양의 유실로 인해 농지의 생산성을 저하시키고, 농가의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는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벼농사에서 잡초의 피해가 가장 많은 재배 양식은?

  1. 손이앙재배
  2. 기계이앙재배
  3. 건답직파재배
  4. 담수직파재배
(정답률: 83%)
  • 건답직파재배는 벼농사에서 쌀이 자라는 동안 잡초를 제거하지 않고, 쌀이 자라는 동안 물을 조금씩 주어 쌀이 자라는 동안 잡초를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다른 재배 방법에 비해 잡초의 피해가 가장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잡초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종자로만 번식한다.
  2. 종자의 생산이 많다.
  3. 번식력이 비교적 강하다.
  4. 불량한 환경조건에 잘 적응한다.
(정답률: 89%)
  • "종자로만 번식한다."는 잡초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잡초는 종자뿐만 아니라 뿌리, 줄기, 전연부 등 다양한 방법으로 번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뿌리를 통해 번식하는 잡초는 뿌리가 끊어져도 새로운 잡초가 자라날 수 있어 번식력이 강하다고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일년생 잡초가 아닌 것으로만 나열된 것은?

  1. 피, 바늘골
  2. 비름, 명아주
  3. 띠, 너도방동사니
  4. 바랭이, 미국가막사리
(정답률: 68%)
  • "띠, 너도방동사니"는 모두 동물의 이름이며, 일년생 잡초가 아닌 것으로만 나열되어 있습니다.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일년생 잡초의 이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생태적 잡초 방제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윤작 실시
  2. 피복 처리
  3. 재식밀도 조정
  4. 잡초저항성 품종 선정
(정답률: 73%)
  • 피복 처리는 생태적 잡초 방제법이 아닙니다. 피복 처리는 작물 주변에 플라스틱 등의 덮개를 놓아 작물을 보호하고 잡초의 성장을 억제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환경 친화적이지 않으며, 생태적인 방법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피복 처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제초제 제형 중 수화제를 나타내는 것은?

  1. G
  2. WP
  3. EC
  4. Sol
(정답률: 84%)
  • 수화제는 제초제 중에서도 물에 잘 녹아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형태를 말합니다. 따라서 "WP"는 "Wettable Powder"의 약자로, 물에 잘 녹아 수화되는 제형을 나타내기 때문에 수화제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밭잡초를 나열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래, 여뀌바늘
  2. 깨풀, 좀바랭이
  3. 메귀리, 속속이풀
  4. 개비름, 닭의장풀
(정답률: 67%)
  • 정답은 "가래, 여뀌바늘"입니다. 나머지 보기는 모두 밭잡초의 이름이지만, "가래, 여뀌바늘"은 밭잡초가 아니라 각각 가래와 여뀌바늘이라는 다른 식물의 이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잡초 방제를 위한 곤충, 병원균 및 동물 등을 이용하는 방법은?

  1. 기계적 방제법
  2. 생태적 방제법
  3. 생물적 방제법
  4. 화학적 방제법
(정답률: 82%)
  • 생물적 방제법은 잡초 방제를 위해 자연에서 발견되는 곤충, 병원균, 동물 등을 이용하여 해충을 제어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환경 친화적이며, 화학적 방제법에 비해 부작용이 적습니다. 또한, 생물적 방제법은 잡초 방제뿐만 아니라 작물 병해충 방제에도 효과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작물과 잡초 간에 영향을 미치는 타감작용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항생물질
  2. 혼합물질
  3. 약해경감물질
  4. 상호대립억제물질
(정답률: 85%)
  • 상호대립억제물질은 작물과 잡초가 서로 경쟁하는 상황에서 작물이 잡초를 억제하는 물질로, 작물이 생산하는 물질로 잡초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죽음에 이르게 합니다. 이러한 상호대립억제물질은 작물의 생존과 생산성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선택성 제초제가 아닌 것은?

  1. 이사디 액제
  2. 디캄바 액제
  3. 뷰티클로르 유제
  4. 글리포세이트암모늄 액제
(정답률: 70%)
  • 선택성 제초제는 특정 작물에만 영향을 미치고 주변 작물이나 환경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제초제를 말합니다. 하지만 "글리포세이트암모늄 액제"는 비선택성 제초제로, 적용된 지역 내 모든 식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선택성 제초제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이행형 제초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접촉한 부위에만 이행하는 제초제
  2. 체관부를 통하여 이행하지 못하는 제초제
  3. 물관부를 통하여 이행하지 못하는 제초제
  4. 처리한 부위로부터 작용점으로 이행해 가는 제초제
(정답률: 85%)
  • 이행형 제초제는 처리한 부위로부터 작용점으로 이행해 가는 제초제입니다. 이는 제초제가 처리한 부위에서 시작하여 식물체 내부로 이동하여 작용점에서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행형 제초제는 처리한 부위 이외의 부분에도 효과를 발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벼와 피를 구분하고자 할 때 주요한 형태적 차이점은?

  1. 잎신과 입혀의 유무
  2. 잎혀와 엽이의 유무
  3. 잎혀와 엽초의 유무
  4. 잎초와 엽이의 유무
(정답률: 71%)
  • 벼는 잎혀와 엽이가 있고, 피는 잎혀와 엽이가 없다. 따라서 정답은 "잎혀와 엽이의 유무"이다. "잎신과 입혀의 유무"는 잘못된 정보이며, "잎혀와 엽초의 유무"와 "잎초와 엽이의 유무"는 벼와 피를 구분하는데 사용되지 않는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잡초군락의 천이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1. 시비방법
  2. 경운방법
  3. 제초방법
  4. 물관리방법
(정답률: 73%)
  • 잡초군락의 천이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제초방법이다. 이는 잡초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잡초의 생육을 억제하거나 완전히 제거하여 작물의 성장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다른 방법들도 중요하지만, 제초방법은 작물의 생육과 수확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포자로 번식하는 잡초는?

  1. 가래
  2. 생이가래
  3. 개구리밥
  4. 방동사니
(정답률: 57%)
  • 생이가래는 포자로 번식하는 잡초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다른 번식 방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화학적 잡초방제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기계로 잡초를 방제한다.
  2. 손으로 잡초를 방제한다.
  3. 제초제를 이용하여 잡초를 방제한다.
  4. 재배방법을 이용하여 잡초를 방제한다.
(정답률: 88%)
  • 화학적 잡초방제법은 제초제를 이용하여 잡초를 방제하는 방법입니다. 제초제는 잡초를 죽이는 화학물질로, 농작물 주변에 뿌려서 잡초를 제거합니다. 이 방법은 기계나 손으로 방제하는 것보다 효율적이고 빠르며, 대규모 농경지에서도 적용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잡초종자 발아에 관계하는 환경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온도
  2. 수분
  3. 이산화탄소
(정답률: 88%)
  • 이산화탄소는 잡초종자 발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잡초종자 발아에 필요한 요소는 빛, 온도, 수분입니다. 이산화탄소는 광합성에 필요한 영양분이지만, 발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이산화탄소가 가장 거리가 먼 환경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비산형 종자로 바람에 의해 전파되는 잡초로만 나열된 것은?

  1. 벗풀, 메귀리
  2. 민들레, 엉겅퀴
  3. 가막사리, 도꼬마리
  4. 소리쟁이, 도깨비바늘
(정답률: 85%)
  • 비산형 종자는 바람에 의해 전파되는 종자를 말합니다. 이 중에서 민들레와 엉겅퀴는 대표적인 잡초로, 바람에 의해 쉽게 전파됩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식물만 나열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작물에 기생하는 잡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주식물의 줄기에 침입한다.
  2. 기주식물의 뿌리에 침입한다.
  3. 흡기조직으로 무기영양을 탈취한다.
  4. 기생식물의 종자는 기주식물의 종자에 섞여 전파되지 않는다.
(정답률: 81%)
  • "기생식물의 종자는 기주식물의 종자에 섞여 전파되지 않는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기생식물의 종자는 기주식물의 종자와 함께 전파될 수 있으며, 이는 기주식물의 씨앗에 붙어서 전파될 수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설명에 대항하는 것은?

  1. 월년생 잡초
  2. 일년생 잡초
  3. 단년생 잡초
  4. 다년생 잡초
(정답률: 76%)
  • 이 잡초는 한 해를 넘어서 살아남아 다음 해에도 자라는 "월년생"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논에서 사초과인 올방개를 방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후기 경엽처리 제초제는?

  1. 벤타존 액제
  2. 옥사디아존 유제
  3. 디티오피르 유제
  4. 알라클로르 입제
(정답률: 68%)
  • 벤타존 액제는 경작지에서 발생하는 사초과인 올방개를 방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초제입니다. 이는 벤타존이라는 화합물이 주성분으로 들어있어서 효과적으로 올방개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벤타존과는 다른 화합물이 주성분으로 들어있기 때문에 올방개를 방제하기에는 효과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