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식물병리학
1. 흰가루병 병원체에 해당하는 것은?
2. 식물병원균의 레이스를 판단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특정한 품종을 무엇이라 하는가?
3. 세균에 의한 식물병은?
4. 벼 줄무늬잎마름병을 매개하는 곤충은?
5. 식물 바이러스 전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6. 대추나무 빗자루병의 치료제로 주로 쓰이는 항생제는?
7. 밤나무 줄기마름병의 전형적인 병징은?
8. 식물이 병에 견디는 힘이 약한 성질은?
9. 벼 도열병균의 월동 형태로 옳은 것은?
10. 건전한 씨감자를 고랭지에서 생산하는 주요 원인은?
11. 식물병 성립에 필요한 3가지 요인은?
12. 유성번식을 하지 않거나 또느 매우 드물게 하는 병원균은?
13. 고구마에 발생하는 병으로 접합균류에 속하는 것은?
14. 잣나무에 발생하는 병으로 주로 줄기의 수피가 노란색 내지 갈색으로 변하며, 까치 밥나무 및 송이풀을 중간기주로 발병하는 것은?
15. 수박의 덩굴쪼김병을 방제하기 위하여 주로 사용하는 대목은?
16. 병에 걸린 곡물을 사료로 사용하면 가축에 중독중상을 일으키는 맥류의 병은?
17. 무사마귀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8. 주로 종자로 전염되는 벼의 병이 아닌 것은?
19. 잎의 앞면에는 각이 지는 황색 병반이 생기고 뒷면에는 곰팡이가 자란 것이 보이는 병은?
20. 고추 탄저병의 방제방법으로 가장 효과가 미비한 것은?
2과목: 농림해충학
21. 곤충이 번성하게 된 요인으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22. 주요 가해 부위가 나머지 셋과 다른 해충은?
24. 솔잎혹파리는 어느 충태의 기간이 가장 짧은가?
25. 벼룩잎벌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6. 유충은 벼의 뿌리를 가해하며, 연 1회 발생하고 논 주위 땅속 또는 낙엽 속에서 월동하는 해충은?
27. 완전변태를 하는 곤충은?
28. 양성 주광성이 가장 약한 곤충은?
29. 수확기가 된 콩 꼬투리의 봉합선 가까이에 작은 구멍이 있고 꼬투리 안에 들어 있는 콩의 가장자리를 벌레가 갉아 먹은 자국이 있는 경우 어느 해충의 피해로 추정되는가?
30. 살충제를 이용한 해충 방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1. 곤충의 피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2. 곤충 다리의 기본적인 구조는 몇 마디로 이루어져 있는가?
33. 천적으로 이용하기 가장 어려운 생물은?
34. 다음 ( )에 해당하는 용어로 옳은 것은?
35. 매미나방의 연 발생 횟수는?
36. 끝동매미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7. 내충성이 강한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하는 방제법은?
38. 곤충의 더듬이 끝마디인 채찍마디의 주요 역할은?
39. 단위생식에 의해 증식하는 해충은?
40. 청각 기능을 하는 존스턴 기관의 위치는?
3과목: 농약학
41. 농약의 유효성분이 잡초의 경엽으로부터 쉽게 뿌리부분으로 이행되어 살초작용을 나타내므로 약효가 서서히 나타나지만 뿌리까지 완전히 고사시킬 수 있는 일년생 및 다년생에 적용하는 비선택성 제초제는?
42. 병균의 포자 발아를 억제시켜 감염을 예방하는 보호살균제(保護殺菌劑)는?
43. 50% DDVP 유제 100mL를 0.01%의 용액으로 하여 살포하려고 한다. 희석에 소요되는 물의 양은? (단, 50% DDVP의 비중은 2.0 이다.)
44. 물에 희석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는 제형은?
45. 압축가스로 충진한 스프레이 통에 넣어 분사하거나 포그 머신을 이용하여 고압이나 열을 가하여 분무하도록 제제되는 농약은?
46. 유기인제 농약의 중량제로 가장 부적당한 것은?
47. 농약의 제제란 농약의 유효성분에 각종 용제, 중량제 등이 보조제를 조합시켜서 살포하기에 알맞게 조제된 것을 의미한다. 이것의 장점이 아닌 것은?
48. 물에 녹지 않은 원제를 잘 녹이는 용매(Solvent)에 유화제를 가하여 만든 제제는?
49. 농약을 음식물로 잘못 알고 마셨을 때 나타나는 중독은?
50. 농약독성에 따른 약해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51. 65% 지오릭스(Endosulfan) 분말 1kg을 5% 분제로 만들려면 이때 증량제의 양은 몇 kg 인가?
52. 작용기작이 서로 다른 2종 이상의 약제에 대해 저항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 개체 안에 두 가지 이상의 저항성기작이 존재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53. 콩나물의 생장촉진제로 주로 사용되는 것은?
54. 농약의 작물잔류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5. 과수용 농약으로 가장 부적당한 제형은?
56. 사용목적에 따른 농약의 분류가 아닌 것은?
57.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농약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58. 도열병 약제의 농약 명칭을 키타진으로 표기할 때 다음 중 어디에 해당하는가?
59. 농약의 독성을 표시하는 단위로서 반수치사량(중위수 치사량)을 나타내는 기호는?
60. 농약의 안전사용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4과목: 잡초방제학
61. 제초제를 흡수한 잡초 체내에서 일어나는 대사 과정으로 옳지 않는 것은?
62. 경종적 방제법이 아닌 것은?
63. 방동사니과 잡초가 아닌 것은?
64. 종합적 방제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65. 생물적 방제법에 적용하는 것으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66. 잡초 종자가 휴면하는 원인으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67. 계면활성제의 유화성과 가장 깊은 관계가 있는 제형은?
68. 주로 종자로 번식하는 잡초가 아닌 것은?
69. 잡초의 분류방법으로 식물학적 순서로 옳은 것은?
70. 잡초의 상호대립억제작용(Allelopathy)을 이용한 잡초 방제법은?
71. 잡초의 생장형에 따른 분류로 옳지 않은 것은?
72. 작물과 잡초의 경합에 있어서 잡초 허용한계밀도의 의미로 옳은 것은?
73. 잡초 발생이 물 관리에 미치는 영향이 아닌 것은?
74. 잡초 종자의 발아 습성으로 발아의 계절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75. 페녹시계 제초제로 이행성이 있는 것은?
76. 지하경을 형성하는데 일장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잡초는?
77. 논에 발생하는 잡초를 방제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초제가 아닌 것은?
78. 벼 재배 시 벼와 경합이 가장 큰 잡초는?
79. 작물의 수량에 피해가 가장 큰 경우는?
80. 주로 밭에서 생육하는 다년생 잡초가 아닌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