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식물병리학
1. 식물이 병에 걸리기 쉬운 성질은?
2. 대추나무 빗자루병 치료에 가장 효과가 있는 방제 방법은?
3. 붕소의 결핍으로 사과나무에 발생하는 병은?
4. 전염성이 없고 생물로 인한 식물병이 아닌 것은?
5. 습식처리리법을 주로 사용하여 식물병을 진단하는 병원은?
6. 토마토 풋마름병의 병징으로 옳은 것은?
7. 광학 현미경으로는 관찰이 거의 불가능한 병원은?
8. 복숭아나무 잎오갈병의 방제를 위한 디티아논수화제 살포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9. 사과나무 탄저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0. 벼 도열병 발생을 억제하는 데 가장 적합한 원소는?
11. 오이 노균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2. 병원균이 자낭균류에 해당하는 것은?
13. 맥류의 흰가루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4. 녹병의 표징으로 옳은 것은?
15. 채소에 모자이크병을 발생하는 바이러스를 옮기는 해충으로 비영속형은?
16. 과수 뿌리혹병의 생물적 방제에 허용되는 균은?
17. 식물병 발병에 관여하는 3대 요인과 가장거리가 먼 것은?
18. 사과에 발생되는 병으로 주로 죽은 조직을 통해 감염되고 병든 부위의 껍질을 벗겨 보면 알콜과 같은 냄새가 나는 병은?
19. 식물병을 일으키는 곰팡이로써 무성포자에 해당하는 것은?
20. 종자전염을 하는 식물병은?
2과목: 농림해충학
21.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해충은?
22. 기주의 범위가 가장 좁은 협식성 해충은?
23. 주로 가해하는 대상이 과수가 아닌 해충은?
24. 땅강아지의 분류학적 위치는?
25. 2모작 맥류재배를 하면 많이 발생하는 해충은?
26. 입 이후의 소화기관 순서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27. 곤충의 외부 형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8. 모기류 수컷의 더듬이에 존재하는 존스턴기관의 주요기능으로 옳은 것은?
29. 곤충의 체벽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30. 곤충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31.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해충은?
32. 기주를 이동하며 생활하는 해충은?
33. 유충 성장 과정에서 2령층으로 옳은 것은?
34. 소나무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5. 벼 재배 시 후기 해충 방제에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할 대상 해충은?
37. 곤충의 생식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38. 식물의 선천적 내충성을 3가지로 분류할 때 포함되지 않는 것은?
39. 해충과 천적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40. 분류학상 곤충강에 속하지 않는 것은?
3과목: 농약학
41. 유기인계 살충제의 일반적인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42. 농약이 갖추어야 할 일반적인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43. 다음 중 유기인계 살균제는?
44. 살균제의 주성분에 의한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45. 다음 중 훈증제가 아닌 것은?
46. 농약의 약효발현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47. 석회황합제의 살균 주성분은?
48. 농약의 급성독성에서 농약투여방법에 따른 독성구분이 아닌 것은?
49. 페노뷰카브 유제(50%)를 1000배로 희석해서 10a당 8말(160L)을 살포하여 벼멸구를 방제하려 할 때 페노뷰카브 유제의 소요량은 몇 mL인가?
50. 퀴논계 제초제로서 접촉성 효과로 약효가 빠르게 나타나고 잔디밭에 발생하는 은이끼, 솔이끼 등에 우수한 제초제는?
51. 과실의 숙기를 촉진시키는데 주로 사용되는 에틸렌계의 약제는?
52. 토양 내에 서식하고 있는 병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가장 적당한 농약 사용 방법은?
53. 유제(乳劑)농약이 물에 잘 섞이는가를 검사하고자 할 때 가장 중요한 성질은?
54. 살균제의 작용기작 중 생합성에 대한 저해작용은?
55. 작물의 특성에 따른 약해의 원인이 아닌 것은?
56. 1.5% 분제 100kg을 중량제 추가 사용 없이 2% 분제로 재제조(再制造)할 때 필요한 원제(순도90%)는 약 몇 kg인가?
57. 배추 재배 시 달팽이를 없애기 위하여 사용하는 약제는?
58. 치료효과를 거두기 위해 사용되는 약제로 병이 발생한 후에도 충분한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은?
59. 농양관리법에서 규정한 토양잔류성농약의 토양 중 반감기는?
60. 베노밀(benomyl)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4과목: 잡초방제학
61. 잡초의 생물적 방제 방법에 이용되는 생물의 구비 조건이 아닌 것은?
62. 제초제의 제형 중 유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63. 일년생 잡초가 아닌 것은?
64. 화본과 잡초의 형태적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65. 장기간에 걸친 잡초의 생존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67. 잡초의 밀도가 증가하면 작물의 수량이 감소하는데 어느 밀도 이상으로 잡초가 존재하면 작물의 수량이 현저히 감쇠되는 수준까지의 밀도는?
68. 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제초제의 제형으로 입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9. 작물과 잡초의 경합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70. 종자에 낚시모양의 돌기 또는 비들모양의 가시가 있어 사람이나 동물에 쉽게 부착되어 전파되는 잡초는?
71. 잡초 종자가 휴면하는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72. 방동사니과에 속하는 잡초는?
73. 작물과 잡초가 경합하고 있을 때 작물 수량 손실이 가장 높은 경우는?
74. 벼 재배 방법에 따라 발생하는 잡초의 종류 및 발생량이 가장 적은 방법은?
75. 제초제의 광분해와 가장 관계가 높은 것은?
76. 잡초의 경종적 방제 방법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77. 주로 밭에서 발생하는 건생 잡초만으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78. 개체당 종자 수가 가장 많은 잡초는?
79. 벼를 이앙한 25일 경에 논에 나가 보았더니 주로 방동사니과 잡초가 많이 발생하였을 때 방제에 가장 효과적인 제초제는?
80. 작물의 생육기간 중 잡초 방제를 철저히 해주어야 하는 경합한계기간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