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보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9-04-27)

식물보호산업기사
(2019-04-2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식물병리학

1. 식물이 병에 걸리기 쉬운 성질은?

  1. 감수성
  2. 저항성
  3. 면역성
  4. 병회피
(정답률: 95%)
  • 감수성은 식물이 병원체에 감염되기 쉽고, 병에 걸리기 쉬운 성질을 말합니다. 따라서 감수성이 높은 식물은 병에 걸릴 가능성이 높아지며, 예방과 치료에 노력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대추나무 빗자루병 치료에 가장 효과가 있는 방제 방법은?

  1. 외과수술
  2. 추비실시
  3. 살균제 살포
  4. 항생제 나무주사
(정답률: 90%)
  • 항생제 나무주사는 대추나무 빗자루병의 원인균인 균주를 직접 살균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외과수술이나 추비실시는 치료 과정이 복잡하고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살균제 살포는 균주에 대한 효과가 미약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붕소의 결핍으로 사과나무에 발생하는 병은?

  1. 부란병
  2. 축과병
  3. 탄저병
  4. 점무늬낙엽병
(정답률: 78%)
  • 붕소는 사과나무의 생장과 열매의 발달에 중요한 영양소입니다. 축과병은 붕소 결핍으로 인해 발생하는 병으로, 열매가 작고 축축하며 당도가 낮아지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또한 잎이 찌그러지고 노랗게 변하며 엽장이 작아지는 등의 증상도 나타납니다. 따라서 축과병은 붕소 결핍으로 인한 사과나무의 병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전염성이 없고 생물로 인한 식물병이 아닌 것은?

  1. 벼 도열병
  2. 감자탄저병
  3. 맥류 흰가루병
  4. 토마토 배꼽썩음병
(정답률: 86%)
  • 토마토 배꼽썩음병은 전염성이 없으며, 생물로 인한 식물병이 아닙니다. 이 병은 토마토의 수확 후 보관 중 발생하는 질병으로, 과일의 배꼽 부분에서 시작하여 전체 과일을 부패시킵니다. 따라서 이 병은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비감염성 질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습식처리리법을 주로 사용하여 식물병을 진단하는 병원은?

  1. 곰팡이
  2. 바이러스
  3. 바이로이드
  4. 파이토플라스마
(정답률: 86%)
  • 습식처리리법은 식물의 잎이나 줄기에서 발생하는 곰팡이와 같은 질병을 진단하는 데 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곰팡이"입니다. 바이러스, 바이로이드, 파이토플라스마와 같은 질병은 다른 진단 방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토마토 풋마름병의 병징으로 옳은 것은?

  1. 무름
  2. 시들음
  3. 줄무늬
  4. 잎마름
(정답률: 78%)
  • 토마토 풋마름병의 병징 중 시들음은 식물의 잎이 점차 노랗게 변하고 말라서 시들어 보이는 증상을 말합니다. 이는 병균에 의해 식물의 뿌리가 손상되어 영양분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광학 현미경으로는 관찰이 거의 불가능한 병원은?

  1. 세균
  2. 선충
  3. 곰팡이
  4. 바이러스
(정답률: 90%)
  • 바이러스는 광학 현미경으로는 관찰이 거의 불가능한 병원입니다. 이는 바이러스가 세포 내부에서만 존재하며, 광학 현미경으로는 세포 내부를 관찰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또한 바이러스는 세포를 감염시켜 복제되기 때문에, 세포 내부에서만 존재하는 바이러스를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바이러스를 관찰하기 위해서는 전자 현미경과 같은 고성능의 현미경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복숭아나무 잎오갈병의 방제를 위한 디티아논수화제 살포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발병 초부터 10일 간격 처리
  2. 춘지 발생시 15일 간격으로 경엽처리
  3. 발아 직전 및 꽃이 피기 직전 경엽처리
  4. 6월 상순부터 9월 상순까지 10일 간격 처리
(정답률: 79%)
  • 복숭아나무 잎오갈병은 발생 초기에 대처하지 않으면 심각한 피해를 입을 수 있기 때문에 발아 직전 및 꽃이 피기 직전 경엽처리가 가장 적합하다. 이 시기에 살포하면 병원균의 번식을 억제하고, 병발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 시기에 살포하면 병원균이 잎의 표면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져 효과가 더욱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사과나무 탄저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지나 잎에도 발병한다.
  2. 병든 과실은 쓴 맛이 난다.
  3. 성숙한 과실은 상처를 통해서만 감염된다.
  4. 과실에서는 주로 성숙기 가까이에 발병한다.
(정답률: 87%)
  • "성숙한 과실은 상처를 통해서만 감염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사과나무 탄저병은 과실의 표면에 있는 자연스러운 상처나 균열을 통해서도 감염될 수 있다. 따라서 성숙한 과실 뿐만 아니라 미성숙한 과실에서도 발병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벼 도열병 발생을 억제하는 데 가장 적합한 원소는?

  1. 규소
  2. 질소
  3. 칼륨
(정답률: 69%)
  • 규소는 벼의 생장과 교발에 필요한 요소이며, 뿌리의 성장을 촉진시켜 벼 도열병 발생을 억제하는 데 가장 적합한 원소입니다. 또한 규소는 벼의 저항력을 강화시켜 병해충의 침입을 막아주는 역할도 합니다. 따라서 규소는 벼의 생장과 건강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오이 노균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세균에 의해 발생한다.
  2. 주로 줄기에 발생한다.
  3. 질소질 성분이 부족할 경우에 잘 발생한다.
  4. 시설재배보다 노지재배할 경우에 피해가 더 크다.
(정답률: 64%)
  • 오이 노균병은 질병을 유발하는 세균에 의해 발생하며, 주로 오이의 줄기에 발생합니다. 이 질병은 질소질 성분이 부족할 경우에 잘 발생하는데, 이는 질병에 걸린 식물이 질소를 흡수하지 못해 면역력이 약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적절한 비료 관리가 필요합니다. 시설재배보다는 노지재배할 경우에 피해가 더 크다는 것도 사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병원균이 자낭균류에 해당하는 것은?

  1. 파 녹병
  2. 배추 무사마귀병
  3. 벼 잎집무늬마름병
  4. 복숭아나무 잎오갈병
(정답률: 51%)
  • 병원균은 복숭아나무 잎오갈병의 원인균으로 분류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맥류의 흰가루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낭균에 의해 발생한다.
  2. 내병성 품종을 재배하여 방제한다.
  3. 주로 4~5월경부터 발생하기 시작한다.
  4. 잎에만 발생하고 잎집이나 줄기에는 발생하지 않는다.
(정답률: 83%)
  • 맥류의 흰가루병은 잎, 줄기, 꽃 등에 발생할 수 있으며, 잎에만 발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잎에만 발생하고 잎집이나 줄기에는 발생하지 않는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녹병의 표징으로 옳은 것은?

  1. 잎의 황화
  2. 뿌리에 생긴 혹
  3. 녹아버린 엽육 세포
  4. 잎 표면의 적갈색 가루
(정답률: 72%)
  • 녹병의 표징으로 옳은 것은 "잎 표면의 적갈색 가루"입니다. 이는 녹병균이 잎에 감염되어 생산하는 균사체가 잎 표면에 적갈색 가루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녹병과는 관련이 없는 다른 질병이나 증상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채소에 모자이크병을 발생하는 바이러스를 옮기는 해충으로 비영속형은?

  1. 진딧물
  2. 매미충
  3. 애멸구
  4. 장님노린재
(정답률: 81%)
  • 진딧물은 채소에 모자이크병을 발생시키는 바이러스를 옮기는 해충 중 하나입니다. 이는 진딧물이 채소를 먹고 그 속에서 바이러스를 섭취하여 다른 채소로 전파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진딧물은 비영속형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과수 뿌리혹병의 생물적 방제에 허용되는 균은?

  1. Aspergillus nige
  2. Aspergillus nidulans
  3. Agrobacterium radiobacter
  4. Agrobacterium tumefaciens
(정답률: 78%)
  • 과수 뿌리확병은 Agrobacterium radiobacter에 의해 유발됩니다. 따라서, 이 균은 과수 뿌리확병의 생물적 방제에 허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 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데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식물병 발병에 관여하는 3대 요인과 가장거리가 먼 것은?

  1. 일조부족
  2. 병원체의 밀도
  3. 중간기주의 저항성
  4. 기주식물의 감수성
(정답률: 66%)
  • 식물병 발병에 관여하는 3대 요인은 일조부족, 병원체의 밀도, 기주식물의 감수성입니다. 이 중에서 중간기주의 저항성은 가장 거리가 먼 요인입니다. 이는 중간기주가 병원체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발병 가능성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중간기주를 이용한 병원체 관리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사과에 발생되는 병으로 주로 죽은 조직을 통해 감염되고 병든 부위의 껍질을 벗겨 보면 알콜과 같은 냄새가 나는 병은?

  1. 역병
  2. 부란병
  3. 겹무늬썩음병
  4. 검은별무늬병
(정답률: 86%)
  • 부란병은 죽은 조직을 통해 감염되고, 병든 부위의 껍질을 벗겨보면 알콜과 같은 냄새가 나는 병으로, 다른 보기들과는 구별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식물병을 일으키는 곰팡이로써 무성포자에 해당하는 것은?

  1. 분생포자
  2. 접합포자
  3. 자낭포자
  4. 담자포자
(정답률: 67%)
  • 무성포자는 생식기관이 없는 곰팡이로, 대표적으로 분생포자와 자낭포자가 있습니다. 그 중에서 분생포자는 생식세포가 분생하여 생기는 포자로, 대부분의 곰팡이가 이 방식으로 번식합니다. 따라서, 식물병을 일으키는 곰팡이 중에서도 무성포자에 해당하는 것은 분생포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종자전염을 하는 식물병은?

  1. 벼 도열병
  2. 밀 줄기녹병
  3. 보리 흰가루병
  4. 벼 흰잎마름병
(정답률: 69%)
  • 벼 도열병은 바이러스에 의해 전염되는 식물병으로, 벼를 감염시켜 잎이 노랗게 변하고 열매 수확량이 감소하는 증상을 보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밀, 보리, 벼에서 발생하는 다른 종류의 식물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농림해충학

21.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해충은?

  1. 파밤나방
  2. 배추좀나방
  3. 이화명나방
  4. 애기유리나방
(정답률: 63%)
  • 해당 이미지는 파밤나방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다른 종류의 나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기주의 범위가 가장 좁은 협식성 해충은?

  1. 솔나방
  2. 독나방
  3. 밤나무혹벌
  4. 미국흰불나방
(정답률: 61%)
  • 기주란 특정한 식물에 의존하여 번식하고 생활하는 해충을 말합니다. 따라서 기주의 범위가 가장 좁은 협식성 해충은 특정한 식물에만 의존하는 해충입니다. 이 중에서 밤나무혹벌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밤나무에만 기생하며, 다른 식물에는 기생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밤나무혹벌은 기주의 범위가 가장 좁은 협식성 해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주로 가해하는 대상이 과수가 아닌 해충은?

  1. 도둑나방
  2. 콩가루벌레
  3. 가루깍지벌레
  4. 애모무늬잎말이나방
(정답률: 52%)
  • 도둑나방은 과일이나 채소 등의 작물을 직접 먹지는 않지만, 애벌레가 작물의 잎이나 줄기를 먹어서 작물의 성장을 방해하고 열매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해충입니다. 따라서, 주로 가해하는 대상이 과수가 아닌 해충은 "도둑나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땅강아지의 분류학적 위치는?

  1. 메뚜기목
  2. 노린재목
  3. 사마귀목
  4. 딱정벌레목
(정답률: 67%)
  • 땅강아지는 메뚜기목에 속합니다. 이는 땅강아지가 작은 크기와 미세한 구조, 그리고 먹이 사냥 방식 등이 메뚜기와 유사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메뚜기목에는 작은 크기의 땅생 동물들이 많이 속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2모작 맥류재배를 하면 많이 발생하는 해충은?

  1. 벼멸구
  2. 애멸구
  3. 흰등멸구
  4. 혹명나방
(정답률: 64%)
  • 맥류재배를 하면 애멸구가 많이 발생합니다. 이는 애멸구가 맥류의 잎을 먹어서 식물의 성장을 방해하고 열매의 생산량을 감소시키기 때문입니다. 벼멸구와 흰등멸구도 맥류재배에서 발생하는 해충이지만, 애멸구가 가장 많은 피해를 줍니다. 혹명나방은 맥류재배에서 발생하는 해충 중 하나이지만, 애멸구보다는 피해가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입 이후의 소화기관 순서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인두-위-모이주머니-위맹낭-직장
  2. 인두-위맹낭-모이주머니-위-직장
  3. 인두-모이주머니-위-위맹낭-직장
  4. 인두-모이주머니-위맹낭-위-직장
(정답률: 59%)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곤충의 외부 형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눈은 겹눈과 홑눈이 있다.
  2. 가슴에는 날개, 다리가 존재한다.
  3. 입틀은 씹는 모양, 빠는 모양 등이 있다.
  4. 더듬이의 모양은 곤충 종별로 크게 다르지 않다.
(정답률: 83%)
  • 더듬이의 모양은 곤충 종별로 크게 다르지 않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각각의 곤충 종마다 머리, 가슴, 복부 등의 구조와 함께 더듬이의 모양과 크기, 위치 등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벌레류에서는 머리에 있는 더듬이가 눈과 연결되어 시각을 담당하고, 개미류에서는 더듬이가 냄새를 감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곤충의 외부 형태는 종마다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모기류 수컷의 더듬이에 존재하는 존스턴기관의 주요기능으로 옳은 것은?

  1. 맛을 본다.
  2. 냄새를 맡는다.
  3. 공기의 흐름을 감지한다.
  4. 암컷의 날개 소리를 듣는다.
(정답률: 71%)
  • 존스턴기관은 모기류 수컷이 암컷의 날개 소리를 듣기 위해 사용하는 기관입니다. 이 기관은 공기의 진동을 감지하여 암컷의 날개 소리를 인지하고, 이를 통해 암컷을 찾아가서 교배를 합니다. 따라서 "암컷의 날개 소리를 듣는다."가 이 기관의 주요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곤충의 체벽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유조직
  2. 표피층
  3. 기저막
  4. 진피세포
(정답률: 72%)
  • 유조직은 곤충의 체벽을 구성하는 세포들 중 하나가 아닙니다. 표피층은 체표면을 덮고 있는 세포층, 기저막은 표피층 아래에 위치한 섬유성 물질로 된 층, 진피세포는 기저막 아래에 위치한 세포층입니다. 하지만 유조직은 곤충의 내부 조직을 구성하는 세포들의 집합체로, 체벽을 구성하는 세포들과는 다른 역할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유조직은 곤충의 체벽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곤충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생식문은 배 끝에 있다.
  2. 호흡기관과 허파는 배 아래쪽에 있다.
  3. 머리에는 입틀, 더듬이, 겹눈 등이 있다.
  4. 대체로 다리는 3쌍이고 5마디로 구성되어 있다.
(정답률: 77%)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해충은?

  1. 벼멸구
  2. 벼잎벌레
  3. 벼물바구미
  4. 벼줄기굴파리
(정답률: 68%)
  • 해당 이미지는 벼의 잎에 나타나는 작은 구멍과 함께 발견되는 벼의 잎을 먹는 작은 벌레를 보여줍니다. 이러한 특징은 벼물바구미의 특징과 일치하므로 정답은 "벼물바구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기주를 이동하며 생활하는 해충은?

  1. 파밤나방
  2. 배추좀나방
  3. 복숭아혹진딧물
  4. 털두꺼비하늘소
(정답률: 61%)
  • 복숭아혹진딧물은 기주를 이동하며 생활하는 해충으로, 복숭아나 살구 등의 과일을 먹고 살며 이동하면서 작물을 파괴합니다. 반면, 파밤나방과 배추좀나방은 각각 파와 배추를 기주로 삼아 생활하며, 털두꺼비하늘소는 나무에 서식합니다. 따라서, 복숭아혹진딧물이 기주를 이동하며 생활하는 해충임을 알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유충 성장 과정에서 2령층으로 옳은 것은?

  1. 산란 이후 부화 직전까지 유충이다.
  2. 1회 탈피 후 2회 탈피 전까지의 유충이다.
  3. 2회 탈피 후 3회 탈피 전까지의 유충이다.
  4. 부화 직후부터 1회 탈피 전까지의 유충이다.
(정답률: 78%)
  • 유충은 태어난 직후에는 아주 작고 발달이 덜 된 상태이며, 성장과정에서 피부를 벗고 새로운 피부를 갖추는 탈피를 반복하면서 크게 성장합니다. 2령층은 1회 탈피를 마치고 새로운 피부를 갖춘 후, 다시 한 번 탈피하기 전까지의 유충을 말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회 탈피 후 2회 탈피 전까지의 유충이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소나무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번데기로 월동한다.
  2. 1년에 2~3회 발생한다.
  3. 성충이 나무줄기에 구멍을 뚫어 알을 낳는다.
  4. 5℃ 내외로 기온이 낮을 때 활동이 가장 활발하다.
(정답률: 69%)
  • 소나무좀은 소나무를 주로 기생하는 나무좀으로, 번데기로 월동하며 1년에 2~3회 발생합니다. 성충은 나무줄기에 구멍을 뚫어 알을 낳는데, 이는 새로운 소나무좀을 번식시키기 위함입니다. 또한, 5℃ 내외로 기온이 낮을 때 활동이 가장 활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벼 재배 시 후기 해충 방제에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할 대상 해충은?

  1. 벼멸구
  2. 애멸구
  3. 끝동매미충
  4. 번개매미충
(정답률: 71%)
  • 벼멸구는 벼 재배 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해충 중 하나이며, 벼의 잎과 줄기를 먹어서 작물의 성장을 방해하고 수확량을 감소시킵니다. 따라서 벼 재배 시 후기 해충 방제에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할 대상 해충은 벼멸구입니다. 애멸구, 끝동매미충, 번개매미충도 벼 재배 시 해충으로 알려져 있지만, 벼멸구에 비해 발생 빈도와 피해 정도가 낮기 때문에 중요도는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고자리파리의 기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마늘
  2. 양파
  3. 배추
(정답률: 7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곤충의 생식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양성생식
  2. 다배생식
  3. 단위생식
  4. 완전생식
(정답률: 66%)
  • 완전생식은 한 개체가 자신의 생식세포를 직접적으로 다른 개체의 생식세포와 결합시켜 자손을 낳는 방식이다. 그러나 다른 생식 방법들은 한 개체가 자신의 생식세포를 직접적으로 다른 개체와 결합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완전생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식물의 선천적 내충성을 3가지로 분류할 때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내성
  2. 적응성
  3. 항생성
  4. 항객성
(정답률: 50%)
  • 식물의 선천적 내충성을 분류할 때 "적응성"은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선천적 내충성이라는 개념이 생물의 유전적으로 결정되는 성질을 의미하는 반면, "적응성"은 환경에 따라 변화하는 특성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적응성"은 후천적인 특성으로 분류되며, 선천적 내충성과는 구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해충과 천적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목화진딧물-무당벌레
  2. 온실가루-장님노린재
  3. 점박이응애-호리꽃등에
  4. 꽃노랑총채벌레-미끌애꽃노린재
(정답률: 57%)
  • 해충과 천적의 연결은 서로 상호작용하여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점박이응애-호리꽃등에"는 옳지 않은 연결입니다. 점박이응애는 호리꽃등에를 해충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호리꽃등에의 꽃가루를 수집하여 번식에 도움을 주는 꿀벌과 같은 유익한 생물입니다. 따라서 이 둘은 해충과 천적의 관계가 아니라 상생적인 관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분류학상 곤충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독나방
  2. 점박이응애
  3. 목화진딧물
  4. 가루깍지벌레
(정답률: 77%)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 점박이응애는 곤충강이 아니라 거미강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농약학

41. 유기인계 살충제의 일반적인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인축에 대한 독성이 약하다.
  2. 알칼리에는 용이하게 분해된다.
  3. 동물의 체내에서 분해가 느리다.
  4. 광선에 의한 분해가 일어나지 않는다.
(정답률: 66%)
  • 유기인계 살충제는 인체에 독성이 있을 수 있으며, 동물의 체내에서 분해가 느리기 때문에 잔류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알칼리에는 용이하게 분해되기 때문에 처리나 폐기 시에는 알칼리 처리가 효과적입니다. 광선에 의한 분해는 일어나지 않지만, 일부 살충제는 자외선에 노출되면 분해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농약이 갖추어야 할 일반적인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1. 혼용범위가 적을 것
  2. 물리성이 양호할 것
  3. 인축에 대한 독성이 낮을 것
  4. 농작물에 대한 약해가 적을 것
(정답률: 80%)
  • "혼용범위가 적을 것"이 틀린 것은 농약의 혼합 사용이 필요한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혼용범위가 적을수록 다른 농약과의 혼합 사용이 제한되어 효과적인 방제가 어려워집니다. 따라서 이 조건은 일반적인 구비조건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유기인계 살균제는?

  1. 에디펜포스
  2. 네오아소진
  3. 홀펫
  4. 라브사이드
(정답률: 50%)
  • 에디펜포스는 유기인계 살균제이다. 이는 유기물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세균, 곰팡이, 바이러스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다른 보기들은 유기물에 대한 효과가 미약하거나 없는 경우가 있어서 유기인계 살균제로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살균제의 주성분에 의한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유기수은제
  2. 토양소독제
  3. 유기주석제
  4. 무기황제
(정답률: 74%)
  • 살균제는 주로 미생물에 대한 효과를 가지는 화합물로 분류됩니다. 그러나 토양소독제는 미생물에 대한 효과보다는 토양 내 유해한 생물체를 제거하기 위한 화학물질로 분류되기 때문에 살균제의 주성분에 의한 분류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훈증제가 아닌 것은?

  1. 클로로피크린
  2. 메틸브로마이드
  3. 디클로르보스(DDVP)
  4. 인화아연
(정답률: 57%)
  • 인화아연은 살충제나 살균제로 사용되는 화학물질이지만, 훈증제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인화아연이 훈증제가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농약의 약효발현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방제적기에 농약 살포
  2. 표준희석배수의 농약 정량살포
  3. 효과가 좋은 농약만을 계속 사용
  4. 방제대상 병해충에 알맞은 농약의 선택
(정답률: 85%)
  • 효과가 좋은 농약만을 계속 사용하는 것은 농작물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해서이다. 다른 방법들도 중요하지만, 효과가 좋은 농약을 사용하지 않으면 농작물에 대한 피해가 크게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석회황합제의 살균 주성분은?

  1. CaS
  2. CaS2
  3. CaS3
  4. CaS5
(정답률: 64%)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농약의 급성독성에서 농약투여방법에 따른 독성구분이 아닌 것은?

  1. 경구독성
  2. 흡인독성
  3. 경피독성
  4. 보통독성
(정답률: 79%)
  • 보통독성은 농약의 투여방법에 따른 독성구분이 아니라, 농약의 독성이 일반적인 범위 내에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보통독성은 경구독성, 흡인독성, 경피독성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페노뷰카브 유제(50%)를 1000배로 희석해서 10a당 8말(160L)을 살포하여 벼멸구를 방제하려 할 때 페노뷰카브 유제의 소요량은 몇 mL인가?

  1. 80
  2. 160
  3. 320
  4. 480
(정답률: 6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퀴논계 제초제로서 접촉성 효과로 약효가 빠르게 나타나고 잔디밭에 발생하는 은이끼, 솔이끼 등에 우수한 제초제는?

  1. 리뉴론
  2. 뷰타클로로
  3. 티오벤카브
  4. 퀴노클라민
(정답률: 68%)
  • 퀴노클라민은 접촉성 효과로 빠르게 약효가 나타나며, 은이끼, 솔이끼 등의 잔디밭에 발생하는 이끼류에 우수한 제초효과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과실의 숙기를 촉진시키는데 주로 사용되는 에틸렌계의 약제는?

  1. 도마도톤(4-CPA)
  2. 에테폰(ethephon)
  3. 아이비에이(IBA)
  4. 지베렐린(gibberellic acid)
(정답률: 76%)
  • 에테폰은 에틸렌을 방출시켜 과실의 숙기를 촉진시키는 약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토양 내에 서식하고 있는 병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가장 적당한 농약 사용 방법은?

  1. 침지법
  2. 살포법
  3. 훈증법
  4. 도포법
(정답률: 56%)
  • 토양 내에 서식하는 병해충은 토양 속에 숨어있기 때문에 표면적으로 뿌리는 살포법이나 도포법으로는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토양 속에 있는 병해충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토양을 가열하여 병해충을 죽이는 훈증법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유제(乳劑)농약이 물에 잘 섞이는가를 검사하고자 할 때 가장 중요한 성질은?

  1. 유화성(乳化性)
  2. 부착성(附着性)
  3. 고착성(固着性)
  4. 붕괴성(崩壞性)
(정답률: 85%)
  • 유제(乳劑)농약은 유화제(乳化劑)를 사용하여 물과 섞여 안정적인 형태로 유지됩니다. 따라서 유화성(乳化性)이 가장 중요한 성질입니다. 유화성이 좋으면 농약이 물에 잘 섞이고 분산되어 작용할 수 있습니다. 부착성(附着性)은 농약이 작용할 표적에 부착되는 성질이며, 고착성(固着性)은 농약이 표적에 고정되어 작용하는 성질입니다. 붕괴성(崩壞性)은 농약이 안정적인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분리되는 성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살균제의 작용기작 중 생합성에 대한 저해작용은?

  1. SH기 저해
  2. 전자전달저해
  3. 단백질 합성저해
  4. 산화적 인산화 저해
(정답률: 72%)
  • 살균제의 작용기작 중 생합성에 대한 저해작용은 단백질 합성저해이다. 이는 살균제가 세포막을 통해 세포 내부로 침투하여, 세포 내부에서 단백질 합성에 필요한 단백질 합성체를 저해하여 세포의 생존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세균은 살균제에 노출되면 생존할 수 없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작물의 특성에 따른 약해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농약농도
  2. 작물의 감수성
  3. 잎 표면의 형태
  4. 재배조건 및 생리적 특성
(정답률: 55%)
  • 농약농도는 작물의 특성과는 관련이 없는 요인으로, 작물의 감수성, 잎 표면의 형태, 재배조건 및 생리적 특성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따라서 농약농도는 작물의 특성에 따른 약해의 원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1.5% 분제 100kg을 중량제 추가 사용 없이 2% 분제로 재제조(再制造)할 때 필요한 원제(순도90%)는 약 몇 kg인가?

  1. 0.44kg
  2. 0.45kg
  3. 0.50kg
  4. 0.57kg
(정답률: 38%)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배추 재배 시 달팽이를 없애기 위하여 사용하는 약제는?

  1. 메트알데하이드 입제
  2. 메토밀 액제
  3. 디노페푸란 입제
  4. 플루톨라닐 입제
(정답률: 55%)
  • 메트알데하이드 입제는 달팽이를 포함한 다양한 해충을 죽이는 살충제이기 때문에 배추 재배 시 달팽이를 없애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치료효과를 거두기 위해 사용되는 약제로 병이 발생한 후에도 충분한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은?

  1. 보호살균제
  2. 직접살균제
  3. 종자소독제
  4. 토양살균제
(정답률: 66%)
  • 직접살균제는 병이 이미 발생한 후에도 직접적으로 병원균을 죽이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치료효과를 거두기 위해 사용되는 약제로 적합합니다. 다른 약제들은 병을 예방하는데 더 효과적이지만, 이미 병이 발생한 경우에는 직접살균제가 가장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농양관리법에서 규정한 토양잔류성농약의 토양 중 반감기는?

  1. 30일
  2. 90일
  3. 180일
  4. 365일
(정답률: 67%)
  • 토양잔류성농약의 반감기란, 해당 농약이 토양에서 절반으로 분해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반감기가 180일인 경우, 해당 농약이 토양에서 절반으로 분해되는데 180일이 걸린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베노밀(benomyl)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살균제이다.
  2. 황색의 액체이다.
  3. 알칼리 약제와 혼용이 가능하다.
  4. 휘발성이 있어 침투이행성이 낮다.
(정답률: 67%)
  • 베노밀은 살균제이다. 이는 베노밀이 균들을 죽이는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베노밀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잡초방제학

61. 잡초의 생물적 방제 방법에 이용되는 생물의 구비 조건이 아닌 것은?

  1. 비산 및 분산 능력이 커야 한다.
  2. 번식 속도가 빠르지 않아야 한다.
  3. 대상 잡초에만 피해를 주어야 한다.
  4. 환경 적응성 및 저항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정답률: 7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제초제의 제형 중 유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물에 희석하면 투명한 액체가 된다.
  2. 원제를 기름과 혼합하여 만든 액체이다.
  3. 원제를 유기용매에 녹인 후 유화제를 넣어 만든 액체이다.
  4. 원제를 카올린, 벤토나이트 등의 분말과 혼합 분쇄한 것이다.
(정답률: 73%)
  • 제초제의 제형 중 유제는 원제를 유기용매에 녹인 후 유화제를 넣어 만든 액체입니다. 이는 원제를 유기용매에 녹여 용해시킨 후 유화제를 첨가하여 안정적인 유화액을 만들어낸 것입니다. 이러한 유화액은 물에 희석하면 투명한 액체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일년생 잡초가 아닌 것은?

  1. 메꽃, 쑥
  2. 뚝새풀, 돌피
  3. 명아주, 깨풀
  4. 바랭이, 쇠비름
(정답률: 62%)
  • 메꽃과 쑥은 일년생이 아닌 다년생 식물이기 때문입니다. 다년생 식물은 한해 동안 생장한 후에도 지속적으로 생장하며, 일년생 식물은 한해 동안 생장한 후 씨앗을 뿌리고 죽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화본과 잡초의 형태적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직립형만 존재한다.
  2. 잎몸은 좁고 잎맥이 평행한다.
  3. 줄기는 마디와 마디 사이로 연결되어 있다.
  4. 잎은 줄기를 둘러싸고 있는 잎집과 잎몸으로 구분된다.
(정답률: 74%)
  • "잎몸은 좁고 잎맥이 평행한다."는 화본과 잡초의 공통적인 형태적 특징이다. "줄기는 마디와 마디 사이로 연결되어 있다."와 "잎은 줄기를 둘러싸고 있는 잎집과 잎몸으로 구분된다."도 화본과 잡초의 공통적인 형태적 특징이다. 따라서 "직립형만 존재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화본과 잡초는 직립형 뿐만 아니라 기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장기간에 걸친 잡초의 생존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많은 종자 생산
  2. 종자만으로 번식
  3. 불량한 환경 조건에 잘 적응
  4. 먼 거리 이동이 가능한 가벼운 종자 생산
(정답률: 80%)
  • "종자만으로 번식"이 옳지 않은 것은 잡초는 대부분 씨앗과 뿌리로 번식하기 때문입니다. 씨앗은 많이 생산하지만, 뿌리도 함께 번식하기 때문에 단순히 씨앗만으로 번식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지하경이 가장 깊이 형성되는 것은?

  1. 올미
  2. 벗풀
  3. 가래
  4. 너도방동사니
(정답률: 4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잡초의 밀도가 증가하면 작물의 수량이 감소하는데 어느 밀도 이상으로 잡초가 존재하면 작물의 수량이 현저히 감쇠되는 수준까지의 밀도는?

  1. 경제적 한계밀도
  2. 잡초경합 최대밀도
  3. 잡초경합 한계밀도
  4. 잡초허용 한계밀도
(정답률: 57%)
  • 잡초허용 한계밀도는 작물과 잡초가 경쟁하는데 있어서 작물의 수량이 현저히 감소하는 수준까지의 밀도를 말합니다. 즉, 이 밀도 이상으로 잡초가 존재하면 작물의 생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를 허용할 수 있는 최대 밀도를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경제적인 측면이나 잡초 경합에 관한 것이지만, 이 문제에서는 작물의 생산성에 집중하고 있기 때문에, 잡초허용 한계밀도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제초제의 제형으로 입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살포가 간편하다.
  2. 액제보다 부피가 작다.
  3. 살포시 물이 필요하지 않다.
  4. 잎에 직접 붙지 않고 떨어지기 때문에 약해를 유발하지 않는다.
(정답률: 67%)
  • "액제보다 부피가 작다."는 입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입제는 액체 형태로 사용되는 제초제이기 때문에 부피가 작은 것이 아니라 오히려 부피가 크다. 따라서 이 보기는 틀린 설명이다.

    액제보다 부피가 작다는 설명은 살포제에 대한 것이다. 살포제는 입제와 달리 액체가 아니라 분말 또는 과립 형태로 제공되며, 살포기를 사용하여 미세한 입자로 분사되기 때문에 부피가 작다는 특징이 있다. 이로 인해 살포가 간편하고, 물이 필요하지 않으며, 잎에 직접 붙지 않고 떨어지기 때문에 약해를 유발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작물과 잡초의 경합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수분
  2. 산소
  3. 영양분
(정답률: 77%)
  • 산소는 작물이 호흡하는 데 필요한 요소이지만, 잡초도 마찬가지로 호흡을 하기 때문에 작물과 잡초 모두에게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따라서, 작물과 잡초는 산소를 놓고 경쟁을 하게 됩니다. 다른 요소들은 작물과 잡초 모두에게 필요하지만, 산소는 거리가 멀어도 작물과 잡초 모두에게 필수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경쟁 요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종자에 낚시모양의 돌기 또는 비들모양의 가시가 있어 사람이나 동물에 쉽게 부착되어 전파되는 잡초는?

  1. 바랭이
  2. 보리삥이
  3. 방동사니
  4. 도꼬마리
(정답률: 79%)
  • 도꼬마리는 종자에 낚시모양의 돌기가 있어 사람이나 동물에 쉽게 부착되어 전파되는 잡초이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도꼬마리는 매우 빠르게 번식하며, 농작물의 성장을 방해하고 경작을 어렵게 만든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잡초 종자가 휴면하는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종피가 너무 두껍다.
  2. 토양 속 묻힌 깊이가 너무 낮다.
  3. 배가 미숙하거나 후숙되지 않았다.
  4. 종자 내에 발아 억제 물질이 많이 들어있다.
(정답률: 71%)
  • 토양 속 묻힌 깊이가 너무 낮으면, 잡초 종자가 충분한 보호를 받지 못하고 바깥 환경의 영향을 받아 휴면 상태에서 벗어나기 어렵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방동사니과에 속하는 잡초는?

  1. 벗풀
  2. 가래
  3. 여뀌바늘
  4. 바람하늘지기
(정답률: 51%)
  • 방동사니과에 속하는 잡초 중 "바람하늘지기"는 그 이름처럼 바람에 흔들리며 자라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벗풀", "가래", "여뀌바늘"과는 구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작물과 잡초가 경합하고 있을 때 작물 수량 손실이 가장 높은 경우는?

  1. C4 작물과 C3 잡초
  2. C4 작물과 C4 잡초
  3. C3 작물과 C3 잡초
  4. C3 작물과 C4 잡초
(정답률: 76%)
  • C3 작물과 C4 잡초가 경쟁할 때는, C4 잡초가 더 빠르게 성장하고 광합성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작물보다 더 많은 양의 물과 영양분을 차지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작물은 더 이상 충분한 양의 자원을 얻지 못하고 성장이 제한되어 수량 손실이 가장 높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벼 재배 방법에 따라 발생하는 잡초의 종류 및 발생량이 가장 적은 방법은?

  1. 담수직파
  2. 건답직파
  3. 중묘 기계이앙
  4. 어린 모 기계이앙
(정답률: 68%)
  • 중묘 기계이앙은 벼를 재배할 때, 중간에 묘목을 심고, 그 주위를 기계로 갈아주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묘목 주위를 갈아주기 때문에 묘목 주위에 잡초가 자라지 않아 발생량이 적다. 또한, 묘목 주위를 갈아주면서 흙을 뒤집어 주기 때문에 흙속에 있는 잡초의 발생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중묘 기계이앙은 잡초 발생량이 가장 적은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제초제의 광분해와 가장 관계가 높은 것은?

  1. 복사열
  2. 자외선
  3. 적외선
  4. 가시광선
(정답률: 72%)
  • 제초제의 광분해는 자외선에 의해 발생합니다. 자외선은 높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 이 에너지가 제초제 분자를 분해시키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자외선은 제초제의 광분해와 가장 관계가 높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잡초의 경종적 방제 방법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1. 소각
  2. 윤작
  3. 파종기 조절
  4. 피복 작물 재배
(정답률: 69%)
  • 잡초의 경종적 방제 방법 중에서 "소각"은 환경오염과 안전 문제가 있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소각은 대기오염물질을 발생시키고, 불안전한 화재 위험성도 존재하기 때문에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주로 밭에서 발생하는 건생 잡초만으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올미, 마디꽃
  2. 고마리, 진득찰
  3. 바랭이, 쇠비름
  4. 냉이, 너도방동사니
(정답률: 67%)
  • 바랭이와 쇠비름은 모두 밭에서 자주 발생하는 건생 잡초이며, 다른 보기에 있는 식물들은 건생 잡초가 아니거나, 밭에서 발생하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바랭이, 쇠비름"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개체당 종자 수가 가장 많은 잡초는?

  1. 망초
  2. 별꽃
  3. 마디꽃
  4. 알방동사니
(정답률: 66%)
  • 망초는 하나의 개체당 많은 수의 작은 종자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개체당 종자 수가 가장 많은 잡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벼를 이앙한 25일 경에 논에 나가 보았더니 주로 방동사니과 잡초가 많이 발생하였을 때 방제에 가장 효과적인 제초제는?

  1. 벤타존 액제
  2. 엠시피에이 액제
  3. 뷰타클로르 캡슐현탁제
  4. 글리포세이트암모늄 입상수용제
(정답률: 58%)
  • 벤타존 액제는 방동사니과 잡초에 특히 효과적인 제초제입니다. 이는 벤타존이 잡초의 광합성을 억제하여 죽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벼를 이앙한 25일 경에 논에 나가 보았을 때 발생한 방동사니과 잡초를 제거하기에 가장 적합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작물의 생육기간 중 잡초 방제를 철저히 해주어야 하는 경합한계기간은?

  1. 파종-발아
  2. 성숙기-수확기
  3. 개화기-성숙기
  4. 초관형성기-성숙기
(정답률: 67%)
  • 작물의 초관형성기-성숙기 기간은 작물이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수확량이 많아지는 기간입니다. 이 기간 동안 잡초가 작물과 경쟁하여 영양분과 물을 빼앗아 작물의 성장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잡초 방제를 철저히 해주어야 합니다. 따라서, 경합한계기간은 초관형성기-성숙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