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식물병리학
1. 다음에 해당하는 용어로 옳은 것은?
2. 벼 흰잎마름병을 일으키는 병원체는?
3. 고추 탄저병이 발생하여 피해가 가장 큰 환경은?
4. 강풍 후에 발생이 가장 많은 식물병은?
5. 오이 모자이크병을 매개하는 곤충은?
6. 대추나무 빗자루병 방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7. 다음은 어느 병원균에 대한 설명인가?
8. 식물병의 생태학적 방제 방법에 해당하는 것은?
9. 고구마 검은무늬병 방제 방법으로 가장 효과적인 것은?
10. 보리 겉깜부기병 방제 방법으로 가장 효과적인 것은?
11. 출수 후 씨알에 발생하며 화기감염을 하는 식물병은?
12. 식물병을 일으키는 세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3. 식물병의 생물학적 진단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4. 박테리오파지(bacteriophage)의 의미로 옳은 것은?
16. 바이로이드에 의해 발생하는 식물병은?
17. 감자 Y바이러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8. 식물병원균의 생태형(race) 존재 여부를 인식할 수 있는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9. 벼 도열병을 일으키는 병원체는?
20. 사과나무 축과병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은?
2과목: 농림해충학
21. 흡즙성 해충으로만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22. 곤충의 체벽을 이루는 조직으로 탈피 시 대부분이 체내로 흡수되어 재활용되는 것은?
23. 해충이 가해하는 기주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24. 이화명나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5. 지구상에서 곤충이 번성하게 된 이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26. 다음 설명에 해당되는 해충은?
27. 벼물바구미의 분류학적 위치는?
28. 곤충의 휴면을 유발시키는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29. 식물체의 뿌리, 줄기 또는 잎을 통하여 약제가 식물체 내에 들어가고, 해충이 약제가 흡수된 식물을 섭식하는 경우에 해충 체내로 약제 성분이 들어가 죽게 하는 살충제는?
30. 가로수에 밴딩(banding)을 하여 해충을 방제하는 주요 대상은?
31. 세계에서 가장 많은 종이 기록되어 있어 많은 해충과 익충이 포함되어 있는 것은?
32. 성충과 유충이 모두 기주를 직접 가해하는 것은?
33. 곤충의 생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4. 유약호르몬이나 탈피호르몬 등을 이용하는 농약계통은?
35. 우리나라에서 월동하기 힘들고 동남아시아 및 중국으로부터 비래하여 발생하는 해충은?
36. 곤충의 가슴에 구성된 체절 수는?
37. 밤나무혹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8. 솔껍질깍지벌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9. 곤충의 소화계통 중에서 분해된 음식물의 영양분을 흡수라는 곳은?
40. 진딧물 및 매미의 입틀 모양은?
3과목: 농약학
41. methyl bromid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2. 농약제형의 형태가 직접살포제로 사용되는 것은?
43. 다음 화합물 중 협력제(協力制)는?
44. 농약의 독성을 표시할 때 사용하는 LD50의 의미는?
45. 농약에 의한 약해 발생 원인이 아닌 것은?
46. 살균제의 작용기작 중 호흡저해가 아닌 것은?
47. 농약의 주성분에 의한 분류로 주로 제초제나 생장조정제로 이용되고 있는 농약은?
48. 접촉독, 소화중독으로 효과를 나타내는 유기인계 살충제로서 야생조류에 피해를 줄 수 있고 특히 꿀벌에 잔류독성이 강하여 사용시 주의하여야 하는 농약은?
49. 액체를 포유동물에 경구 투여한 고독성농약을 반수치사량[mg/kg체중]으로 나타낸 수치로서 옳은 것은?
50. 25% DDT유제(비중:1.0) 100mL를 0.05%의 살포액으로 만드는데 소요되는 물의 양은 몇 약 L인가?
51. 농약의 물리적 성질 중 습전성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52. 수(水)불용성인 농약원제로써 제품을 만들려고 할 때 적당한 제조형태가 아닌 것은?
53. 다음과 같은 화학구조를 가지는 제초제는?
54. 유기인계 살충제의 공통적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55. 사과, 수박의 탄저병에 적용하는 벤지미다졸계살균제는?
56. 살포된 분제가 식물체 표면에 잘 달라붙게 하는 성질을 무엇이라 하는가?
57. 농약을 제조할 때 사용되는 가성소다(NaOH)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58. 대표적인 약제로는 Drin, DDT, BHC이며 사람이나 동물의 체내에 들어가면 분해되어 배설되지 않고 체내의 지방조직에 축적되는 성질이 있는 약제는?
59. 다음 중 식물생장조정제가 아닌 것은?
60. 펜프로파트린 유제를 1000배액으로 희석하여 10a 당 140L를 분무하려고 할 때 원액 몇 mL가 필요한가?
4과목: 잡초방제학
61. 사초과 잡초가 아닌 것은?
62. 식물병원균이나 곤충을 이용하여 잡초를 방제하는 방법은?
63. 잡초 발생으로 예상되는 피해가 아닌 것은?
64. 잡초에 의한 작물 피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65. 질소나 인산을 비롯한 카드뮴, 니켈 및 폐놀계의 독물질을 다량 흡수하여 수질을 정화시키는 능력이 가장 우수한 잡초는?
66. 제초제 종류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7. 혼합 제초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8. 잡초와의 광경합에서 가장 유리한 벼 품종은?
69. 주로 논에서 발생하는 다년생 잡초가 아닌 것은?
70. 제초제를 연용해도 저항성 잡초의 발현사례가 적은 이유로 옳지 않은 것은?
71. 제초제를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72. 군락 내 잡초의 총건물중이 200g, 강피의 건물중이 150g이면 강피의 중요값은?
73. 바람에 의한 잡초 종자의 이동 거리가 가장 먼 것은?
74. 입체형 제초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75. 잡초 종이 가장 많은 것은?
76. 다른 잡초 방제 방법과 비교한 화학적 방제 방법의 단점으로 옳은 것은?
77. 잡초의 생리적인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78. 벼의 경우 밭보다 논에서 잡초가 적게 발생하는 주요 이유는?
79. 잡초 방제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80. 다음 중 작물의 전 생육기간에 비하여 잡초경합 한계기간이 가장 긴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