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음파비파괴검사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8-07)

초음파비파괴검사기사(구)
(2005-08-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초음파탐상시험원리

1. 거리진폭특성곡선을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에코 높이 구분선의 변경과 탐상감도의 관계를 알아둔다.
  2. 굴절각도의 구분없이 동일한 거리진폭 특성곡선을 이용해야 한다.
  3. 측정범위가 다른 거리진폭특성곡선을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4. 거리진폭특성곡선 작성에 사용된 탐촉자를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굴절각도의 구분없이 동일한 거리진폭 특성곡선을 이용해야 한다." 이다. 이유는 굴절각도가 다르면 에코의 진폭이 달라지기 때문에, 동일한 거리진폭 특성곡선을 사용하면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굴절각도에 따라 다른 거리진폭 특성곡선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크기가 1/2×1인치인 장방형 크리스탈을 가진 탐촉자를 사용하여 알루미늄 시험체를 횡파로 탐상하고자 할 때 초음파의 분산 모양은 프라운호퍼(Fraunhofer)회절법칙을 이용하여 설명 될 수 있다. 이 때 크리스탈의 1/2 인치 편에서 초음파가 분산되는 각도는 얼마인가?(단, 사용한 탐촉자의 주파수는 5MHz 이며 알루미늄 시험체내의 횡파속도는 3.1×105㎝/s이다)

  1. 1.8°
  2. 3.4°
  3. 4.3°
  4. 5.2°
(정답률: 알수없음)
  • 프라운호퍼 회절법칙은 물체의 크기와 파장에 따라 분산되는 각도를 계산하는 공식이다. 이 공식은 다음과 같다.

    θ = 1.22λ/D

    여기서 θ는 분산각, λ는 파장, D는 물체의 크기이다. 이 문제에서는 크리스탈의 한 변이 1/2 인치이므로 D = 1/2 인치 = 1.27 cm 이다. 또한, 주파수가 5MHz 이므로 파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λ = v/f = 3.1×10^5 cm/s / 5×10^6 Hz = 0.062 cm

    따라서, 프라운호퍼 회절법칙에 따라 분산각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θ = 1.22λ/D = 1.22 × 0.062 cm / 1.27 cm = 0.06 rad

    이 값을 도 단위로 변환하면 약 3.4°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3.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제품 제작 중 용접부의 비파괴검사는 어느 때 실시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가?

  1. 열처리하기 전
  2. 용접 최종 공정이 끝난 후
  3. 조립한 후
  4. 용접공정이 시작될 때
(정답률: 알수없음)
  • 용접 최종 공정이 끝난 후에 비파괴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이유는 용접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용접부의 결함이나 불량이 발견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용접 최종 공정이 끝난 후에 비파괴검사를 실시하여 용접부의 결함을 미리 발견하고 조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구부러진 관 내부를 육안 검사할 때 이용하기 편리한 광학기구는?

  1. microscope
  2. borescope
  3. Magnifier
  4. telescope
(정답률: 알수없음)
  • 구부러진 관 내부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유연하고 긴 형태의 광학기구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광학기구 중에서 가장 적합한 것은 바로 "borescope"입니다. Microscope는 작은 물체를 확대해서 관찰하는데 사용되며, Magnifier는 작은 물체를 확대해서 보는데 사용됩니다. Telescope는 멀리 있는 물체를 관찰하는데 사용되며, 구부러진 관 내부를 살펴보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펄스 반사법에 의한 두꺼운 관의 두께측정시 관의 외경이 12″(300㎜)이고 탐촉자의 굴절각이 45°일 때 이 시험체의 최대 두께는 얼마인가?

  1. 35㎜
  2. 44㎜
  3. 50㎜
  4. 55㎜
(정답률: 알수없음)
  • 펄스 반사법에서 시간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시간 = 2 × 두께 ÷ 초음파 속도

    이를 변형하면 다음과 같다.

    두께 = 초음파 속도 × 시간 ÷ 2

    탐촉자의 굴절각이 45°이므로, 탐촉자에서 나가는 초음파는 시험체 내부에서 45°로 굴절되어 진행된다. 따라서, 시험체 내부에서의 초음파 속도는 다음과 같다.

    초음파 속도 = 시험체 내부 속도 ÷ cos(45°)

    시험체 내부 속도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으므로, 이 문제에서는 초음파 속도를 5900m/s로 가정한다.

    따라서, 시간을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할 수 있다.

    시간 = 2 × 두께 ÷ (5900m/s × cos(45°))

    이 문제에서는 최대 두께를 구해야 하므로, 시간이 가장 긴 경우를 고려해야 한다. 시간이 가장 긴 경우는 초음파가 시험체 내부를 완전히 통과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 시간은 다음과 같다.

    시간 = 2 × 최대 두께 ÷ (5900m/s × cos(45°))

    따라서, 최대 두께를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할 수 있다.

    최대 두께 = 시간 × 5900m/s × cos(45°) ÷ 2

    이를 계산하면, 최대 두께는 약 44m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초음파 감쇠 원인이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

  1. 흡수
  2. 산란
  3. 빔확산
  4. 굴절
(정답률: 알수없음)
  • 굴절은 초음파가 특정 매질에서 다른 매질로 옮겨갈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초음파의 감쇠 원인이 아닙니다. 초음파는 굴절할 때 일부 에너지를 잃을 수 있지만, 이는 감쇠의 주요 원인이 아닙니다. 초음파의 감쇠는 대부분 흡수, 산란, 빔확산 등의 다른 원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초음파의 분해 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가 아닌 것은?

  1. 주파수
  2. 펄스의 길이
  3. 펄스 반복률
  4. 탐촉자 조작의 숙련도
(정답률: 알수없음)
  • 초음파의 분해 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중에서 "탐촉자 조작의 숙련도"를 제외한 나머지 인자들은 모두 초음파의 파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입니다. 그 중에서 "펄스 반복률"은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펄스의 발생 빈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이 값이 높을수록 초음파의 발생 빈도가 높아져서 물질 내부에서의 파동의 전파 경로가 달라지게 됩니다. 따라서 초음파의 분해 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초음파 탐상시험시 표면파의 감쇠가 가장 심한 경우는 무엇에 기인하는가?

  1. 곡면
  2. 두꺼운 접촉매질
  3. 얇은 접촉 매질
  4. 표면 바로 아래
(정답률: 알수없음)
  • 초음파는 공기나 기체 상태에서는 전달이 어렵기 때문에 고체나 액체 상태에서 탐상시험을 진행합니다. 이때 초음파는 접촉한 물체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데, 이때 표면파가 발생합니다. 이 표면파는 접촉한 물체의 물성에 따라 감쇠가 발생하는데, 두꺼운 접촉매질일수록 표면파의 진폭이 감소하고 에너지가 소멸되기 때문에 감쇠가 가장 심합니다. 따라서 두꺼운 접촉매질일수록 초음파 탐상시험에서 표면파의 감쇠가 가장 심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에서 탐촉자로부터 발생된 초음파의 음압이 가장 높은 지역은?

  1. 탐촉자의 앞면
  2. 근거리음장의 1/2 지역
  3. 근거리음장의 끝지역
  4. 근거리음장의 2배 먼 지역
(정답률: 알수없음)
  • 근거리음장은 초음파가 발생한 탐촉자에서 일정 거리 이내에서 발생하는 음압이 높은 지역입니다. 이 지역에서는 초음파의 진폭이 크기 때문에 음압이 가장 높게 나타납니다. 따라서 근거리음장의 끝지역이 탐촉자로부터 발생된 초음파의 음압이 가장 높은 지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초음파 두께 측정기로 구리를 측정하니 10㎜였다. 이 측정기로 다른 조건은 변경하지 않고 알루미늄을 측정하면 측정기의 지시치는 얼마로 나타나겠는가? ( 단, 알루미늄과 구리의 실제 두께는 모두 10㎜, 구리의 음속=4700m/sec, 알루미늄의 음속=6300m/sec )

  1. 7.5mm
  2. 10mm
  3. 13.4mm
  4. 15.0mm
(정답률: 알수없음)
  • 초음파 두께 측정기는 초음파가 물체를 통과할 때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두께를 계산한다. 따라서, 물체의 밀도와 초음파의 속도가 측정기에서 미리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구리의 두께가 10mm이고 음속이 4700m/sec이므로, 초음파가 구리를 통과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다음과 같다.

    시간 = 두께 ÷ 음속 = 10mm ÷ 4700m/sec = 0.0021277초

    알루미늄의 음속이 6300m/sec이므로, 초음파가 알루미늄을 통과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다음과 같다.

    시간 = 두께 ÷ 음속 = 10mm ÷ 6300m/sec = 0.0015873초

    따라서, 초음파 두께 측정기는 알루미늄을 구리보다 더 빨리 통과하므로, 알루미늄의 측정치는 구리의 측정치보다 작게 나타난다. 구리의 측정치가 10mm이므로, 알루미늄의 측정치는 다음과 같다.

    두께 = 시간 × 음속 = 0.0015873초 × 6300m/sec = 10mm × 0.84 = 8.4mm

    하지만, 알루미늄과 구리의 실제 두께는 모두 10mm이므로, 알루미늄의 측정치를 10mm로 보정해야 한다. 따라서, 알루미늄의 보정된 측정치는 다음과 같다.

    보정된 측정치 = 측정치 × (실제 두께 ÷ 측정치) = 8.4mm × (10mm ÷ 8.4mm) = 10mm

    따라서, 알루미늄의 측정치는 10mm이 된다. 이는 보기에서 "10mm"을 제외하면서, 정답이 "7.5mm"이 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수침법에서 근거리 음장(near zone)현상을 없애려면 어느 방법이 가장 좋은가?

  1. 주파수를 높인다.
  2. 물의 깊이를 조절한다
  3. 탐촉자의 직경이 큰 것을 사용한다.
  4. 초점을 갖는 탐촉자를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침법에서 근거리 음장 현상은 탐촉자와 샘플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 때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를 없애기 위해서는 샘플과 탐촉자 사이의 거리를 멀리하거나, 샘플의 깊이를 깊게 조절해야 합니다. 따라서 물의 깊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초음파 탐상검사에서 결함에코 높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가 아닌 것은?

  1. 결함의 크기와 형상
  2. 초음파의 전달손실로의 감쇠
  3. 결함의 방향성과 사용 탐촉자의 주파수
  4. 동축 케이블의 임피던스 배합과 진동자 치수
(정답률: 알수없음)
  • 동축 케이블의 임피던스 배합과 진동자 치수는 초음파 탐상검사에서 결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가 아닙니다. 이는 결함의 크기와 형상, 초음파의 전달손실로의 감쇠, 결함의 방향성과 사용 탐촉자의 주파수와 같은 요소들이 결함에 영향을 미치는 것과는 달리, 동축 케이블의 임피던스 배합과 진동자 치수는 검사 시스템의 하드웨어적인 요소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주조품의 결함 중에서 정지한 주금(鑄金)과 주형(鑄型)의 상호 작용으로 생기는 결함은?

  1. 개재물
  2. 기공
  3. 탕계
  4. 라미네이션
(정답률: 알수없음)
  • 주조 과정에서 주형과 주금이 상호 작용하면서 공기 포함 등으로 인해 기공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 기공은 결함으로 작용하여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공은 주조품의 결함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파가 진행하는 매질에서의 입자의 진동과 같은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주파수
  2. 펄스 폭
  3. 진폭
  4. 파장
(정답률: 알수없음)
  • 주파수는 파가 진행하는 매질에서의 입자의 진동과 같은 것을 나타내는 단위이다. 파동의 주기적인 반복 횟수를 나타내며, 단위는 헤르츠(Hz)로 표시된다. 따라서 주파수는 파동의 진동수를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초음파 탐촉자 중 수신효율이 가장 우수한 탐촉자는?

  1. 티탄산바륨
  2. 황산리튬
  3. 수정
  4. 니오븀산납
(정답률: 알수없음)
  • 수신효율은 초음파 파장과 탐촉자의 소재에 따라 결정된다. 황산리튬은 초음파 파장과 잘 맞아 높은 수신효율을 보이기 때문에 가장 우수한 탐촉자 중 하나이다. 반면에 티탄산바륨과 니오븀산납은 초음파 파장과 맞지 않아 수신효율이 낮다. 수정은 초음파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수신효율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펄스 반사법에 의한 초음파 탐상시험의 적용한계를 설명한 것으로 틀린 내용은?

  1. 결함의 종류나 형상을 식별하기가 곤란하다.
  2. 결정입자의 크기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3. 탐상면이나 기하학적 형상에 영향을 받는다.
  4. 표면결함에 대해서 자분탐상검사에 비해 검출확률이 떨어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결정입자의 크기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틀린 내용입니다. 펄스 반사법은 초음파 파장의 길이에 따라 결함의 크기를 탐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결정입자의 크기가 초음파 파장보다 작으면 탐지가 어렵거나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공진법으로 두께를 측정하고 있다. 공전주파수가 590kHz이고 재질의 음속이 5900m/s라면 이 재료의 두께는?

  1. 10㎜
  2. 5㎜
  3. 2㎜
  4. 1㎜
(정답률: 알수없음)
  • 공진법에서는 재질 내부에서 소리의 파동이 반사되어 일어나는 공명 현상을 이용하여 두께를 측정한다. 이 때, 공진 주파수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된다.

    공진 주파수 = (음속) / (2 × 두께)

    따라서, 이 문제에서 공진 주파수가 590kHz이고 음속이 5900m/s이므로 다음과 같은 식을 세울 수 있다.

    590kHz = (5900m/s) / (2 × 두께)

    이를 정리하면,

    두께 = (5900m/s) / (2 × 590kHz) = 5mm

    따라서, 이 재료의 두께는 5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동일한 시험체를 탐상함에 있어, 같은 재질의 진동자로 만든 탐촉자를 사용한다고 할 때, 표면 근방의 결함검출에 유리한 탐촉자는?

  1. 펄스 폭이 큰 탐촉자
  2. 댐핑이 큰 탐촉자
  3. 대역폭이 작은 탐촉자
  4. Q값이 큰 탐촉자
(정답률: 알수없음)
  • 댐핑이 큰 탐촉자는 진동이 빠르게 감소하여 표면 근방에서의 신호 강도가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결함 검출에 유리하다. 반면, 펄스 폭이 큰 탐촉자는 신호의 대역폭이 넓어져 결함 검출 능력이 향상되지만, 표면 근방에서의 신호 강도가 감소할 수 있다. 대역폭이 작은 탐촉자는 신호의 대역폭이 좁아져 결함 검출 능력이 감소할 수 있으며, Q값이 큰 탐촉자는 신호의 대역폭이 좁아져 결함 검출 능력이 감소할 수 있으며, 표면 근방에서의 신호 강도가 감소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집속 탐촉자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집속방법에는 평면 진동자와 음향렌즈를 조합한 것과 구면 진동자를 사용하는 것이 있다.
  2. 초점거리는 진동자의 직경에 따라 결정된다.
  3. 다른 조건이 동일하면 주파수가 낮을수록 강하게 집속한다.
  4. 다른 조건이 동일하면 초점 길이가 길수록 강하에 집속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초점거리는 진동자의 직경에 따라 결정된다."입니다.

    평면 진동자와 음향렌즈를 조합한 집속 방법과 구면 진동자를 사용하는 방법은 집속 탐촉자의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

    주파수가 낮을수록 강하게 집속하는 것은 맞지만, 이는 집속 탐촉자의 종류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초점 길이가 길수록 강하게 집속하는 것도 맞지만, 이는 집속 탐촉자의 크기와 관련이 있습니다. 직경이 큰 집속 탐촉자일수록 초점 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초음파 공진법에 사용하는 탐촉자의 압전재료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1. X-cut 수정
  2. Y-cut 수정
  3. lithium sulfate
  4. ceramic titanate
(정답률: 알수없음)
  • Y-cut 수정은 초음파 공진법에 사용할 수 없는 탐촉자 압전재료입니다. 이유는 Y-cut 수정은 압전효과가 없기 때문입니다. 초음파 공진법에서는 탐촉자가 전기적 신호를 받아 소리를 내는데, 이때 압전효과가 없는 Y-cut 수정은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Y-cut 수정은 초음파 공진법에 사용할 수 없는 탐촉자 압전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초음파탐상검사

21. 다음 중 일반적으로 Lamb파를 이용하는 검사품은?

  1. 단조품
  2. 박판
  3. 주괴(ingot)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으로 Lamb파를 이용하는 검사품은 박판입니다. 이는 Lamb파가 금속의 두께를 측정하는 데에 가장 효과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박판과 같이 두께가 중요한 금속 제품의 품질 검사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그림과 같이(a)에서 (b)로 에코 간의 사이를 넓어지게 하거나 좁아지게 하는 기능을 하는 것은 무엇인가?

  1. 측정범위(sweep length)
  2. 음속 조정(velocity controller) 조절기
  3. 소인지연(sweep delay) 조절기
  4. 게이트 폭(gate width) 조절기
(정답률: 알수없음)
  • 그림에서 보이는 에코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은 음속 조정(velocity controller) 조절기입니다. 이는 에코가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조절하여 에코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측정범위, 소인지연, 게이트 폭과 같이 다른 기능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방사선 투과검사와 초음파 탐상검사를 병행하는 용접부를 검사한 결과 동일 결함에 대하여 방사선 투과검사는 불합격판정되었고, 초음파 탐상검사는 합격 판정되었을 때, 처리방법은?

  1. 방사선 투과검사 판정기준에 따라 불합격처리
  2. 초음파 탐상검사 판정기준에 따라 합격처리
  3. 방사선 투과검사로서 재검사
  4. 초음파 탐상검사로서 재검사
(정답률: 알수없음)
  • 방사선 투과검사와 초음파 탐상검사는 서로 다른 검사 방법이기 때문에 검출되는 결함의 종류와 크기가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동일한 결함에 대해서도 불합격 또는 합격 판정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해당 결함이 방사선 투과검사 판정기준에 따라 불합격으로 판정되었기 때문에 방사선 투과검사 판정기준에 따라 불합격 처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초음파 탐상기의 특성을 점검하는 항목 중 가장 중요한 3가지는 무엇인가?

  1. 증폭의 직선성, 브라운관의 크기, 최대감도
  2. 증폭의 직선성, 분해능, 시간축의 직선성
  3. 증폭의 직선성, 분해능, 최대 감도
  4. 증폭의 직선성, 시간축의 직선성, 브라운관의 크기
(정답률: 알수없음)
  • 초음파 탐상기의 증폭의 직선성은 입력 신호의 크기와 출력 신호의 크기가 선형적으로 비례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으로, 정확한 측정을 위해 중요합니다. 분해능은 초음파 탐상기가 두 개의 인접한 물체를 구별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며, 높은 분해능은 더 정확한 이미지를 제공합니다. 시간축의 직선성은 초음파 탐상기가 시간에 따라 정확한 신호를 출력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으로, 정확한 시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중요합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가장 중요한 3가지는 "증폭의 직선성, 분해능, 시간축의 직선성"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초음파 탐상방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CRT횡축상의 에코위치로부터 그 반사면의 위치를 추정하는 것이 기능하다.
  2. CRT상의 결함 에코 높이로부터 결함의 크기를 추정할 수 있다.
  3. 펄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반사체의 형상을 잘 알 수 있다.
  4. 수직탐상에서는 라미네이션은 잘 검출되지만 블로홀은 잘 검출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펄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반사체의 형상을 잘 알 수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초음파 탐상에서는 펄스를 사용하여 송신기에서 발생한 짧은 신호를 반사체에서 반사된 신호와 비교하여 거리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반사체의 형상을 파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설명 중 옳게 기술된 것은?

  1. 경사각 탐촉자의 입사점과 굴절각을 측정할 경우 에코의 높이는 25~45%정도로 함이 가장 좋다.
  2. 초음파 탐촉자의 가장 수신 효율이 좋은 재질은 티탄산바륨이다.
  3. 판재의 경사각 탐상시 빠뜨리기 쉬운 결함은 표면에 평행인 결함이다.
  4. 심하게 경사진 시험재를 초음파 탐상시험할 때는 신호의 진폭을 증가시켜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판재의 경사각 탐상시 빠뜨리기 쉬운 결함은 표면에 평행인 결함이다. - 경사각 탐촉자가 결함을 탐지할 때, 결함이 경사진 경우에는 탐지하기 쉽지만, 결함이 표면에 평행한 경우에는 탐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용접부의 경사각탐상시 X 개선면의 루트(root)부위 결함인 용입부족을 쉽게 검출할 수 있는 주사방법은?

  1. V 반사법
  2. K 크리프법
  3. 탬덤 주사법
  4. 투과법
(정답률: 알수없음)
  • 탬덤 주사법은 빛의 굴절 원리를 이용하여 부위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입니다. 용접부의 표면에 빛을 비추면 결함 부위에서는 빛이 굴절되어 반사되는데, 이를 탬덤(단면) 형태로 찍어서 결함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용입부족과 같은 X 개선면의 루트(root)부위 결함을 검출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경사각탐상시 용접 덧붙임을 제거한 상태에서 용접부의 가로 터짐(횡균열)등의 결함을 검출하기 위하여 탐촉자를 용접부 및 열영향부 위에 놓고 초음파 빔을 용접선 방향으로 돌려 용접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주사법은?

  1. 용접선상 주사
  2. 탠덤 주사
  3. 진자 주사
  4. 목돌림 주사
(정답률: 알수없음)
  • 용접선상 주사는 용접선을 따라 초음파 빔을 이동시키는 주사법으로, 용접선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용접부와 열영향부를 검사할 수 있기 때문에 가로 터짐 등의 결함을 검출하기에 적합합니다. 탠덤 주사는 용접선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주사법이며, 진자 주사는 용접선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주사법입니다. 목돌림 주사는 용접선 주위를 돌면서 검사하는 주사법으로, 용접선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초음파 탐상시험 방법 가운데 결함의 유무는 알 수 있으나 위치는 알아내기 곤란한 방법은?

  1. 펄스 반사법
  2. 투과법
  3. 경사각법
  4. 표면파 탐상법
(정답률: 알수없음)
  • 투과법은 초음파를 시료 내부로 보내어 시료 내부에서 반사되는 초음파를 측정하여 결함의 유무와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결함이 시료 내부에 위치해 있어도 탐지할 수 있어 위치 파악이 어렵지 않다. 반면, 표면파 탐상법은 시료 표면에서 반사되는 초음파를 이용하기 때문에 시료 내부에 위치한 결함을 탐지하기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직접접촉 수직탐촉자를 이용하여 판재의 두께측정을 할 경우 시간측 교정시 사용한 대비시험편이 재질이 판재의 재질과 다를 때 판재의 두께를 나타낸 식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 이다.

    직접접촉 수직탐촉자를 이용하여 판재의 두께를 측정할 때, 대비시험편과 판재의 재질이 다르면 측정된 값이 오차가 발생한다. 이를 보정하기 위해 대비시험편과 판재의 재질이 같은 경우에 대해 시간측 교정을 실시한다. 이때, 대비시험편과 판재의 두께가 각각 h1, h2이고, 직접접촉 수직탐촉자의 출력값이 각각 d1, d2일 때,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하여 판재의 두께를 계산한다.

    판재의 두께 = h2 × (d1/d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초음파 탐상시험은 시험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많은 노력이 요구된다. 자동화를 위한 적합한 방안이라 생각되는 것은?

  1. 정량적인 결함평가 기술개발과 검사기술자의 자격 인정 및 훈련
  2. 수동화 등에 의한 기록성 향상
  3. 결함평가 기술에 따른 재현성을 위해 수동검사를 적극 활용
  4. 검사기술자의 자격 인정과 수동화를 통한 검사장비의 시스템화 구축
(정답률: 알수없음)
  • 초음파 탐상시험은 정확한 결함평가를 위해 검사기술자의 높은 기술력과 경험이 필요하다. 따라서 검사기술자의 자격 인정과 훈련이 필요하며, 정량적인 결함평가 기술개발도 필요하다. 또한 수동화를 통해 기록성을 향상시키고, 결함평가 기술에 따른 재현성을 위해 수동검사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방안들을 통해 검사장비의 시스템화 구축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용접부를 경사각탐상할 경우 측정범위를 정확하게 조정하여 야만 되는 이유는?

  1. 결함의 패턴을 추정하기 위해서
  2. 결함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해서
  3. 결함의 크기를 추정하기 위해서
  4. 결함의 길이를 추정하기 위해서
(정답률: 알수없음)
  • 용접부를 경사각탐상할 경우 측정범위를 정확하게 조정하여 결함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해서이다. 경사각탐상은 용접부의 결함을 찾는 방법 중 하나로, 결함이 있는 부분은 경사가 더 크게 나타나기 때문에 측정범위를 정확하게 조정하여 결함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결함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면 적절한 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용접부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TOFD(time of flight diffraction)기법이 이용하는 초음파의 특성은 무엇인가?

  1. 반사
  2. 굴절
  3. 산란
  4. 회절
(정답률: 알수없음)
  • TOFD 기법이 이용하는 초음파는 회절을 이용합니다. 회절은 파동이 물체의 경계면에서 굴절, 반사, 산란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TOFD 기법에서는 초음파가 물체 내부에서 이러한 경계면을 만나면 파동이 회절되어 측정자에게 도달하는 시간이 변화하게 됩니다. 이를 이용하여 물체 내부의 결함을 검출하는 것이 TOFD 기법의 원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탐촉자 중 불감대 문제를 해결하여, 두께 측정에 우선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탐촉자는?

  1. 수직 탐촉자
  2. 경사각 탐촉자
  3. 지연-팁(delay-tip) 탐촉자
  4. 페인트-브러쉬 탐촉자
(정답률: 알수없음)
  • 지연-팁(delay-tip) 탐촉자는 불감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탐촉자의 선두 부분이 뾰족하지 않고 둥글게 되어 있어, 측정 대상과의 접촉 시간이 더 길어져 불감대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두께 측정에 우선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탐촉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수직탐상에서 탐촉자의 진동자 치수보다 불연속의 길이가 큰 경우 불연속의 길이 측정에 널리 사용되는 방법은?

  1. 결함 끝단 에코법(tip echo technique)
  2. 경과 회절시간법(TOFD technique)
  3. 랜덤법(random technique)
  4. 6dB 내림법(6 dB technique)
(정답률: 알수없음)
  • 6dB 내림법은 수직탐상에서 불연속의 길이를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탐촉자에서 발생하는 음파 신호가 불연속 부위를 지나갈 때 신호의 강도가 6dB 감소하는 지점을 측정하여 불연속의 길이를 계산합니다. 이 방법은 간단하고 정확하며 널리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같은 크기의 결함이 있을 때 초음파탐상시험으로 가장 발견하기 쉬운 결함은?

  1. 구형의 공동
  2. 초음파 진행방향과 수직인 균열
  3. 초음파 진행방향과 평행인 균열
  4. 이물질의 개재
(정답률: 알수없음)
  • 초음파탐상시험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물체 내부의 결함을 탐지하는 방법이다. 이때, 초음파는 일정한 진행방향을 가지고 진행하며, 결함이 있는 부분에서는 반사되어 돌아오게 된다. 따라서, 초음파 진행방향과 수직인 균열은 결함이 있는 부분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초음파를 가장 잘 포착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발견하기 쉬운 결함이다. 반면, 초음파 진행방향과 평행인 균열은 초음파가 진행하는 방향과 일치하기 때문에 결함이 있는 부분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초음파를 잘 포착하기 어렵다. 이물질의 개재는 결함이 아니기 때문에 초음파탐상시험으로는 발견하기 어렵다. 구형의 공동은 결함이 될 수 있지만, 결함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서 초음파탐상시험으로 발견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초음파가 결함과의 각도가 얼마일 때 최대 에코를 얻을 수 있는가?

  1. 30°
  2. 45°
  3. 60°
  4. 90°
(정답률: 알수없음)
  • 초음파는 수직으로 결함에 닿을 때 가장 강한 에코를 발생시킵니다. 따라서 초음파가 결함과 이루는 각도가 90°일 때 최대 에코를 얻을 수 있습니다. 다른 각도에서는 초음파가 결함에 수직으로 닿지 않기 때문에 에코가 약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펄스 에코(pule echo)방식 초음파 탐상기의 펄서(pulser)에서 나오는 출력전압의 범위를 나타낸 것 중 가장 알맞은 것은 어느 것인가?

  1. 1∼10V
  2. 10∼100V
  3. 100∼1000V
  4. 1000∼10000V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100∼1000V"이다.

    펄스 에코 방식 초음파 탐상기에서는 펄서에서 발생한 짧은 시간 동안의 고전압 펄스를 초음파 송신부로 전달하여 초음파를 발생시킨다. 이때, 출력전압은 초음파의 진폭과 진동수를 결정하며, 일반적으로 100∼1000V의 범위를 가진다. 이 범위는 초음파를 발생시키기에 충분한 에너지를 제공하면서도 초음파 송신부를 손상시키지 않는 적절한 범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은 초음파 탐상시 일반적인 사항이다. 올바르게 설명된 것은?

  1. 검사시기는 거친 마무리 후, 복잡한 절삭가공 후에 시험한다.
  2. 탐상방법은 제품 또는 재료의 치수나 표면 상태를 고려하며, 제품의 모양과는 무관하다.
  3. 공칭 주파수는 근거리 분해능은 고려 하나 원거리 분해능은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4. 사각 탐촉자의 굴절각은 판두께, 관의 살두께의 바깥지름의 비를 고려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사각 탐촉자의 굴절각은 판두께, 관의 살두께의 바깥지름의 비를 고려해야 한다. - 탐촉자가 물체와 접촉하는 부분이 사각형이기 때문에, 탐촉자의 굴절각은 탐촉자의 각 모서리에서 발생하는 굴절각의 평균값으로 계산된다. 이 때, 모서리에서 굴절되는 각도는 판두께, 관의 살두께의 바깥지름의 비에 따라 달라지므로 이를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종파 5900m/sec, 횡파 3236m/sec인 두께 1인치 시험체를 5MHz 수직탐촉자를 사용하여 적절히 물거리를 조절한 후 수침법으로 탐상하였다. 초음파 탐상기의 CRT 시간축 스크린을 5인치로 조절하였다면 제1저면 에코(B1)는 영점으로부터 다음 중 어디에 나타나겠는가? (단, 물에서의 속도 : 1500m/sec)

  1. 1/4인치
  2. 1/2인치
  3. 3/4인치
  4. 1인치
(정답률: 알수없음)
  • B1 에코는 송파와 수파가 만나는 지점에서 반사되어 나타난다. 이 지점은 시험체의 두께의 중심에 위치하며, 송파와 수파의 이동거리가 같아지는 지점이다.

    송파와 수파의 이동거리는 다음과 같다.

    송파 : 5900m/sec x 2.54cm x 1/5MHz = 0.296cm
    수파 : 3236m/sec x 2.54cm x 1/5MHz = 0.163cm

    따라서, 송파와 수파의 이동거리 차이는 0.296cm - 0.163cm = 0.133cm 이다. 이 값은 물에서의 초음파 속도인 1500m/sec로 나누어 주면, 0.133cm / 1500m/sec = 8.87 x 10^-6 sec 이다.

    CRT 시간축 스크린을 5인치로 조절했으므로, 이 시간만큼의 지연이 발생한다. 5인치는 12.7cm 이므로, 이 시간은 12.7cm x 1/1500m/sec = 8.47 x 10^-6 sec 이다.

    따라서, B1 에코는 영점에서 8.87 x 10^-6 sec 지연된 위치에 나타난다. 이 지연 시간에 해당하는 거리는 초음파 속도와 곱해주면 된다.

    B1 에코의 위치 = 8.87 x 10^-6 sec x 1500m/sec = 0.0133cm = 0.133mm

    시험체의 두께가 1인치이므로, B1 에코는 두께의 중심에서 0.133mm 떨어진 위치에 나타난다. 따라서, B1 에코는 두께의 중심에서 1/2인치 떨어진 위치에 나타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초음파탐상관련규격및컴퓨터활용

41. ASEM 규격에서 수동 주사방법으로 탐상시 주사 속도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1. 초당 4인치(100㎜)를 초과해서는 안된다.
  2. 초당 5인치(127㎜)를 초과해서는 안된다.
  3. 초당 6인치(152㎜)를 초과해서는 안된다.
  4. 초당 10인치(254㎜)를 초과해서는 안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사 속도가 너무 빠르면 탐상 중에 측정값이 왜곡될 수 있기 때문에 초당 6인치(152㎜)를 초과해서는 안된다. 즉, 너무 빠르게 주사하면 정확한 측정이 어렵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알루미늄 용접부의 초음파 경사각탐상시험에서 시험결과의 분류 중 1류는 홈의 길이가 어느 정도인가? (단, KS B 0897에 규정된 B종 홈이며 모재의 두께는 60㎜)

  1. 45㎜ 이하
  2. 35㎜ 이하
  3. 20㎜ 이하
  4. 15㎜ 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알루미늄 용접부의 초음파 경사각탐상시험에서 시험결과의 분류 중 1류는 홈의 길이가 15mm 이하인 경우입니다. 이는 KS B 0897에서 규정된 B종 홈의 길이 기준치인 20mm보다 작기 때문입니다. 모재의 두께가 60mm이므로, 홈의 길이가 45mm 이하, 35mm 이하, 20mm 이하, 15mm 이하인 경우 모두 1류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중에서 가장 엄격한 기준인 15mm 이하를 선택한 것입니다. 이는 보다 안전한 용접부 검사를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ASEM sec. Ⅷ, Div.1에 따라 초음파 탐상 결과를 판정하고자 할 때 결함의 길이에 관계없이 불합격 처리되는 결함은 어느 것인가?

  1. 균열
  2. 기공
  3. 슬래그
  4. 블로홀
(정답률: 알수없음)
  • ASEM sec. Ⅷ, Div.1에서는 초음파 탐상 결과를 판정할 때, 결함의 길이에 관계없이 불합격 처리되는 결함은 균열입니다. 이는 균열이 결함 중 가장 위험한 결함으로 간주되기 때문입니다. 균열은 재료의 강도를 크게 감소시키고, 더 큰 결함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불합격 처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KS B 0896의 규정에 의한 원둘레 이음 용접부의 경사를 위한 대비시험편은?

  1. RB-A4
  2. RB-A5
  3. RB-A6
  4. RB-A9
(정답률: 알수없음)
  • KS B 0896 규정에서 원둘레 이음 용접부의 경사를 위한 대비시험편은 RB-A6으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RB-A6이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인 RB-A4, RB-A5, RB-A9는 KS B 0896에서 규정되어 있지 않은 대비시험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초음파 탐상시험에 관한 KS B 0817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표준시험편의 종류는 5가지이다.
  2. 탐상도형 표시기호는 B,W,T 등이 있다.
  3. 판재의 결함은 3등급으로 나눈다.
  4. 일반적으로 채택되어 사용되는 경사각 탐촉자의 각은 35°,50°,60°,70°등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탐상도형 표시기호는 B, W, T 등이 있다는 이유는 KS B 0817에서 이러한 표시기호들이 사용되기 때문이다. 이들은 각각 블록형, 원형, 삼각형 등의 형태를 나타내며, 결함의 크기와 위치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KS B 0535에서 경사각 탐촉자의 불감대 측정시 사용되는 구멍은?

  1. STB-A1의 ø1.5㎜ 관통구멍
  2. STB-A2의 ø4×4㎜ 구멍
  3. STB-A2의 ø1.5㎜ 관통구멍
  4. STB-A1의 ø2×2㎜ 구멍
(정답률: 알수없음)
  • KS B 0535에서 경사각 탐촉자의 불감대 측정시에는 구멍의 크기가 충분히 크고, 불감대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구멍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STB-A2의 ø4×4㎜ 구멍이 선택되었습니다. STB-A1의 구멍은 지름이 작아 불감대가 움직이기 어렵고, ø2×2㎜ 구멍은 STB-A2의 구멍보다는 크지만 여전히 충분히 크지 않습니다. STB-A2의 ø1.5㎜ 관통구멍은 불감대가 움직이기에는 너무 작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KS B 0896에서 경사각 탐상사 평가의 대상으로 하는 결함(홈)은? (단, 정밀탐상시)

  1. M 검출 레벨의 경우 최대 에코 높이가 30%를 초과하는 결함(홈)
  2. M 검출 레벨의 경우 최대 에코 높이가 M선을 초과하는 결함(홈)
  3. K 검출 레벨의 경우 최대 에코 높이가 M선을 초과하는 경우(홈)
  4. 최대 에코 높이가 40%를 초과하는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KS B 0896에서 M 검출 레벨은 최대 에코 높이가 M선을 초과하는 결함(홈)을 평가 대상으로 합니다. 이는 M 검출 레벨이 최대 에코 높이를 측정하는 레벨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최대 에코 높이가 M선을 초과하는 결함(홈)은 M 검출 레벨에서 더욱 정확하게 평가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시험장치의 기능이 적절한지 점검하기 위한 교정을 ASME sec.V Art.5에 따라 실시할 경우 그 시기가 적절치 못한 것은?

  1. 각 시험의 전, 후 실시
  2. 검사자가 교체되었을 경우 실시
  3. 탐상기의 기능 불량의 의심이 있을 때
  4. 매 3시간 간격으로 실시
(정답률: 알수없음)
  • 매 3시간 간격으로 교정을 실시하는 것은 일정한 주기로 시험장치의 정확도를 점검하여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조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이는 예방적인 조치로서, 시험장치의 오차나 변화를 빠르게 감지하여 조치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매 3시간 간격으로 교정을 실시하는 것이 적절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KS B 0831에 규정된 표준시험편 STB-A3는 용접부시험에 사용된다. 이 시험편의 주요 사용목적과 거리가 먼 것은?

  1. 경사각 탐촉자의 입사점 및 굴절각의 교정
  2. 측정범위 조정
  3. 탐상감도 조정
  4. 탐상기의 원거리 분해 등 측정
(정답률: 알수없음)
  • KS B 0831에 규정된 표준시험편 STB-A3는 용접부의 강도, 인성, 경도 등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편이다. 따라서 이 시험편의 주요 사용목적은 용접부의 품질 평가이다. 반면에 "탐상기의 원거리 분해 등 측정"은 탐상기의 성능 평가와 관련된 것으로, 용접부의 품질 평가와는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KS B 0535에서 규정하고 있는 수직 탐촉자의 표시방법 중 첫 번째 기호나 나타내는 것은?

  1. 주파수 대역폭
  2. 공칭주파수
  3. 진동자의 공칭치수
  4. 형식
(정답률: 알수없음)
  • KS B 0535에서 규정하고 있는 수직 탐촉자의 표시방법 중 첫 번째 기호는 "진동자의 공칭치수"를 나타냅니다. 이는 탐촉자의 길이나 직경 등의 크기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정답이 "주파수 대역폭"인 이유는 해당 기호는 제시된 보기 중에 없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ASEM sec.V Art.4에 따라 초음파탐상검사시 시험편의 곡률반지름이 100㎜일 때, 사용되어질 수 있는 보정블록의 곡률 반지름으로 맞는 것은?

  1. 80㎜
  2. 120㎜
  3. 200㎜
  4. 250㎜
(정답률: 알수없음)
  • ASEM sec.V Art.4에서는 초음파탐상검사시 시험편의 곡률반지름이 100㎜일 때, 사용되어질 수 있는 보정블록의 곡률 반지름이 1.2배 이상이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100㎜ x 1.2 = 120㎜이 되므로, 정답은 "12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AWS D1.1에 의한 초음파 탐상시 튜브와 튜브, T-, K-, Y- 연결부를 제외한 시험체에서 적용범위는?

  1. 9㎜ 초과 25㎜ 이하
  2. 8㎜ 초과 200㎜ 이하
  3. 6㎜ 초과 250㎜ 이하
  4. 9㎜ 초과 200㎜ 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AWS D1.1에서 초음파 탐상시 적용 가능한 두께 범위는 8mm 이상 200mm 이하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이유는 초음파 검사의 원리상, 두께가 얇은 시험체는 초음파가 표면에서 반사되어 검출이 어렵고, 두께가 두꺼운 시험체는 초음파가 깊숙히 들어가면서 검출이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적용 가능한 범위를 제한하여 정확한 검사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ASME sec.V Art.5에서 주조품 검사시에 재료두께가 1인치일 때 경사각 탐상용 감도설정 시험편 구멍의 지름은?

  1. 1/4 인치
  2. 1/2 인치
  3. 3/8 인치
  4. 5/8인치
(정답률: 알수없음)
  • ASME sec.V Art.5에서는 재료두께가 1인치일 때 경사각 탐상용 감도설정 시험편 구멍의 지름을 1/4인치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경사각 탐상 검사 시에 구멍 내부에 삽입되는 검사용 프로브의 지름과 일치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4인치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ASME sec.V Art.4에 따라 압력용기를 초음파 탐상시험하는 경우에 기록해야 하는 것은?

  1. 초기 대비감응값의 20% 이상 신호
  2. 초기 대비감응값의 40% 이상 신호
  3. 초기 대비감응값의 50% 이상 신호
  4. 초기 대비감응값의 60% 이상 신호
(정답률: 알수없음)
  • ASME sec.V Art.4에 따라 압력용기를 초음파 탐상시험할 때 기록해야 하는 것은 "초기 대비감응값의 20% 이상 신호"입니다. 이는 초음파 탐상시험에서 결함을 감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준값인 초기 대비감응값과 비교하여 20% 이상 증가한 신호가 나타나면 결함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입니다. 초기 대비감응값은 결함이 없는 부분에서 측정된 초음파 신호의 강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초기 대비감응값과 비교하여 20% 이상 증가한 신호가 나타나면 결함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기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ASME sec.V SB-548에 의해 압력용기용 알루미늄 합금판에 대한 초음파 탐상시험을 실시하는 경우 최대 주사속도는?

  1. 6인치/초
  2. 8인치/초
  3. 10인치/초
  4. 12인치/초
(정답률: 알수없음)
  • ASME sec.V SB-548에서는 알루미늄 합금판의 초음파 탐상시험에 대해 최대 주사속도를 12인치/초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알루미늄 합금판의 물성과 두께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 값으로, 이 속도 이상으로 주사하면 탐상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12인치/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통신에서 데이터 신호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는?

  1. mps
  2. bit
  3. bps
  4. word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bps

    이유: bps는 "bits per second"의 약자로, 초당 전송되는 비트 수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데이터 신호 속도는 일반적으로 bps로 표시되며, 이는 데이터 전송 속도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다. 다른 보기들은 데이터의 크기나 단위를 나타내는 것이지, 데이터 신호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는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프로그램을 실행파일로 만들기 위하여 에러를 검출하고 그 위치를 알아내어 고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1. 목적 모듈(object module)
  2. 번역(translating)
  3. 디버깅(debugging)
  4. 문서화(documentation)
(정답률: 알수없음)
  • 디버깅은 프로그램을 실행파일로 만들기 위해 에러를 검출하고 그 위치를 찾아내어 고치는 과정을 말합니다. 따라서 디버깅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인터넷에서 어떤 사이트를 연결하면 연결한 사이트에 대한 데이터를 하드디스크에 저장하게된다.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경우 이런 데이터를 저장하는 폴더의 이름은?

  1. work
  2. my documents
  3. temp
  4. temporat, internet files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temporat, internet files"이다. 이는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임시로 인터넷 파일을 저장하는 폴더의 이름이다. 이 폴더는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방문한 웹 페이지의 캐시, 쿠키, 기록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이렇게 저장된 데이터는 나중에 같은 웹 페이지를 방문할 때 더 빠르게 로딩되도록 도와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인터넷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전 세계의 컴퓨터를 하나의 거미줄과 같이 만들어 놓은 컴퓨터 네트워크 통신망이다.
  2.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의 수는 InterNIC에서 매일 정확히 집계된다.
  3. TCP/P라는 통신 규약을 이용해 전세계의 컴퓨터를 연결하고 있다.
  4. 인터넷을 “정보의 바다”라고도 표현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의 수는 InterNIC에서 매일 정확히 집계된다."는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의 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InterNIC에서 매일 집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 ) 안에 적절한 용어로 짝지어지 것은?

  1. a 클라이언트, b 서버, c 프로토콜
  2. a 서버, b 클라이언트, c 프로토콜
  3. a 프로토콜, b 서버, c 클라이언트
  4. a 클라이언트 b 프로토콜 c 서버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서는 컴퓨터가 서로 통신하는 모습이 나타나 있으며, 이때 중앙에 위치한 컴퓨터가 다른 컴퓨터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중앙에 위치한 컴퓨터는 서버이며, 다른 컴퓨터들은 이 서버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받는 클라이언트 역할을 합니다. 이때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서로 통신하기 위해서는 약속된 규약인 프로토콜을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a 서버, b 클라이언트, c 프로토콜"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금속재료학

61. 절삭성을 높이기 위한 쾌삭황동(hard brass)은 황동에 1.0~3.5%의 어떤 원소를 합금시킨 것이다.

  1. P
  2. Si
  3. Sb
  4. Pb
(정답률: 알수없음)
  • 쾌삭황동에 합금시키는 원소는 절삭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데, 이 중에서도 Pb(납)은 절삭성을 높이는 효과가 가장 크기 때문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금속초미립자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표면적이 커서 촉매로 이용된다.
  2. Cr계 합금 초미립자는 빛을 잘 흡수하므로 적외선 흡수 재료로 이용된다.
  3. Fe계 합금 초미립자는 금속덩어리보다 자성이 강하므로 자성재료로 이용된다.
  4. 저온에서 열저항이 매우 커서 열의 부도체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저온에서 열저항이 매우 커서 열의 부도체이다." 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금속초미립자는 매우 작은 입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입자는 표면적이 매우 크기 때문에 촉매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Cr계 합금 초미립자는 빛을 잘 흡수하므로 적외선 흡수 재료로 이용될 수 있고, Fe계 합금 초미립자는 금속덩어리보다 자성이 강하므로 자성재료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금속초미립자는 저온에서 열저항이 매우 커서 열의 부도체로 이용될 수 있다는 특성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0.2% 탐소강의 723℃ 선상에서의 초석 α와 오스테나이트(austenite)의 양은 약 얼마인가?

  1. 초석 α 80%, 오스테나이트 20%
  2. 초석 α 50%, 오스테나이트 50%
  3. 초석 α 20%, 오스테나이트 80%
  4. 초석 α 30%, 오스테나이트 70%
(정답률: 알수없음)
  • 0.2% 탐소강의 723℃ 선상에서는 균열화가 일어나지 않고, 모든 강이 오스테나이트 상태로 존재합니다. 따라서, 초석 α는 존재하지 않으며 오스테나이트만 존재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초석 α 0%, 오스테나이트 100%" 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틀린 답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납과 주석 합금은 주로 베어링과 활자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베어링합금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white metal
  2. lead babbit
  3. tin babbit
  4. delta metal
(정답률: 알수없음)
  • 납과 주석 합금은 베어링용으로 많이 사용되는데, "white metal", "lead babbit", "tin babbit"은 모두 베어링합금에 해당한다. 하지만 "delta metal"은 베어링용이 아니라, 주로 부식방지용으로 사용되는 합금이기 때문에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0.4%C 강이 하부임계 냉각속도는 204℃/sec이며 상부임계 냉각속도는 600℃/sec이다. 만약 450℃/sec로 냉각시키면 그 조직은 어떻게 되겠는가?

  1. balder+martensite
  2. bainite+troostite
  3. troostite+martensite
  4. troostite+peallite
(정답률: 알수없음)
  • 냉각속도가 450℃/sec로 증가하면 상부임계 냉각속도를 초과하므로 강은 상부임계 냉각속도에 따라 빠르게 냉각되어 마르텐사이트를 형성할 것이다. 그러나 하부임계 냉각속도는 여전히 204℃/sec로 느리기 때문에 마르텐사이트와 함께 트루스타이트도 함께 형성될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troostite+martensit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강의 담금질시 Ms점 및 Mf점의 온도에 영향을 가장 크게 미치는 것은?

  1. 오스테나이트의 양
  2. 소입온도
  3. 강의 화학조성
  4. 냉각속도
(정답률: 알수없음)
  • 강의 담금질시 Ms점 및 Mf점은 강의 미세조직과 연관이 있습니다. 강의 화학조성은 강의 미세조직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강의 화학조성이 Ms점 및 Mf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칩니다. 다른 보기들도 중요하지만, 강의 화학조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강의 미세조직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레데뷰라이트 조직에 대하여 설명한 것 중 잘못된 것은?

  1. 보통 백주철 조직에서 잘 나타난다.
  2. α와 Fe3C의 기계적 혼합물이다.
  3. 준 안정계에서 [L]c⇄[γ]E+[Fe3C]F의 반응이다.
  4. 보통 약 1145℃에서 행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α와 Fe3C의 기계적 혼합물이다." 이다. 레데뷰라이트 조직은 α와 Fe3C의 화학적 혼합물이며, 기계적 혼합물이 아니다. 이유는 α와 Fe3C은 서로 다른 결정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서브 제로(sub-zero)에 대한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1. 0℃이하의 온도에서 냉각시키는 조작이다.
  2. 마텐자이트 변태를 중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3. 마텐자이트 변태를 진행시키기 위한 것이다.
  4. 심랭처리라고도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마텐자이트 변태를 중지시키기 위한 것이다."가 맞지 않는다. 서브 제로는 마텐자이트 변태를 진행시키기 위한 것으로, 0℃이하의 온도에서 물질을 냉각시켜 마텐자이트 변태를 유도한다. 이는 강철 등의 금속 재료를 더 단단하고 강력하게 만들기 위한 열처리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동(Cu)의 결정구조는 FCC이다. 결정 격자가 3.61Å이라면 동의 밀도는? (단, 동의 원자량은 63.57g임)

  1. 약 89.7g/cm3
  2. 약 8.97g/cm3
  3. 약 4.49g/cm3
  4. 약 44.9g/cm3
(정답률: 알수없음)
  • FCC 구조에서 원자 하나가 차지하는 체적은 (2√2r)^3/4 이다. 이때 r은 반지름을 의미한다. 동의 결정 격자 상에서 반지름은 3.61/2√2 이므로, 이를 대입하면 원자 하나가 차지하는 체적은 (2√2(3.61/2√2))^3/4 = 3.61^3/4 이 된다. 이제 이 값을 동의 원자량인 63.57g으로 나누어 주면, 단위 체적당 동의 질량을 구할 수 있다. 즉, 3.61^3/4 / 63.57 = 0.0000804cm^3/g 이다. 이 값을 역수로 취하면, 단위 질량당 체적을 구할 수 있다. 즉, 1 / 0.0000804 = 12422.89cm^3/g 이다. 마지막으로 이 값을 1000으로 나누어 주면, 단위 부피당 질량을 구할 수 있다. 즉, 12422.89 / 1000 = 12.42g/cm^3 이다. 하지만 이는 원자 하나가 차지하는 체적을 구한 것이므로, 실제 동의 밀도는 이 값의 4배가 된다. 따라서, 약 8.97g/cm^3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순철의 자기변태와 동소변태를 설명한 것 중 맞는 것은?

  1. 동소 변태란 결정 격자가 변하지 않는 변태를 말한다.
  2. 자기변태는 결정 격자가 변하는 변태이다.
  3. 동소변태점은 A3점과 A4점이고 자기변태점은 768℃이다.
  4. 동소변태점은 A1점이고 자기변태 점은 923℃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동소변태점은 A3점과 A4점이고 자기변태점은 768℃이다." 이다.

    동소변태란 결정 격자가 변하지 않는 변태를 말하고, 자기변태는 결정 격자가 변하는 변태이다. 따라서, 순철의 자기변태와 동소변태를 구분하기 위해서는 결정 격자의 변화를 살펴보아야 한다.

    순철의 동소변태점은 A3점과 A4점이다. 이는 순철이 가열되면서 알파상태에서 감마상태로 변화하는 지점을 말한다. 이때 결정 격자는 변하지 않고, 구조는 동일하게 유지된다.

    반면, 순철의 자기변태점은 768℃이다. 이는 순철이 가열되면서 감마상태에서 베타상태로 변화하는 지점을 말한다. 이때 결정 격자는 변화하고, 구조도 변화한다.

    따라서, 순철의 동소변태와 자기변태를 구분하기 위해서는 결정 격자의 변화를 살펴보아야 하며, 동소변태점과 자기변태점은 각각 A3점과 A4점, 76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자심재료인 전기강판이나 변압기의 철심으로 적합한 것은?

  1. Rimmed 강
  2. Si 강
  3. Jominy 강
  4. Emmel 강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강판이나 변압기의 철심은 자기적으로 안정적인 소재가 필요하며, Si 강은 자기적 안정성이 높아 전기강판이나 변압기의 철심으로 적합하다. Rimmed 강은 탄소량이 적어 가공성이 우수하지만 자기적 안정성이 낮아 적합하지 않고, Jominy 강과 Emmel 강은 경화처리에 적합한 소재로 전기강판이나 변압기의 철심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황동의 자연균열(season cracking)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중 틀린 것은?

  1. 도료나 아연도금을 한다.
  2. 응력제거 풀림을 한다.
  3. Sn 이나 Si를 첨가한다.
  4. Hg 및 그 화합물을 첨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Hg 및 그 화합물을 첨가한다." 이다.

    황동의 자연균열은 황과 구리 사이의 화학 반응으로 인해 발생한다. 따라서 Hg(수은) 및 그 화합물을 첨가하면 화학 반응을 억제하여 자연균열을 방지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Hg는 독성이 있기 때문에 환경오염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는 Sn(주석)이나 Si(규소)를 첨가하여 자연균열을 방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도료나 아연도금을 하는 것도 자연균열 방지에 효과적이다. 응력제거 풀림을 하는 것은 자연균열과는 관련이 없는 문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재료의 내ㆍ외부의 열처리 효과에 차이가 생기는 현상은?

  1. 연화풀림
  2. 소성변형
  3. 질량효과
  4. 가공경화
(정답률: 알수없음)
  • 재료의 내부와 외부를 가열할 때, 더 많은 물질이 가열되면 더 많은 열이 전달되어 열처리 효과가 증가하는데, 이것이 바로 질량효과입니다. 따라서, 더 많은 물질이 있는 더 무거운 물체는 더 많은 열을 흡수하고, 더 높은 온도로 가열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침탄경화 처리 순서로 올바른 것은?

  1. 침탄처리→저온풀림→1ㆍ2차 담금질→뜨임 처리
  2. 1ㆍ2차 담금질→뜨임 처리→저온처리→침탄처리
  3. 저온처리→침탄처리→1ㆍ2차 담금질→뜨임 처리
  4. 뜨임 처리→저온처리→침탄처리→1ㆍ2차 담금질
(정답률: 알수없음)
  • 침탄처리는 먼저 이루어져야 하며, 그 후에는 저온풀림, 1ㆍ2차 담금질, 뜨임 처리 순서로 진행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침탄처리→저온풀림→1ㆍ2차 담금질→뜨임 처리"가 올바른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티탄(Ti)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초음속 항공기의 보디(body), 송풍기 날개에 쓰인다.
  2. 바닷물에 강하고 용융점이 높다.
  3. 비중은 약 4.54 이다.
  4. 인장강도와 피로강도가 아주 작다
(정답률: 알수없음)
  • 티탄은 매우 가벼우면서도 강한 금속으로, 초음속 항공기의 보디나 송풍기 날개 등에 사용됩니다. 또한 바닷물에 강하고 용융점이 높아서 해양 자원 개발에도 이용됩니다. 비중은 약 4.54로 상당히 높은 편이지만, 인장강도와 피로강도가 아주 작다는 것은 티탄의 단점 중 하나입니다. 이는 티탄이 비교적 부드러운 금속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다른 금속과 합금하여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열전대선으로 사용되는 합금 중 최고사용온도가 가장 높은 재료는?

  1. chromel-alumel
  2. Fe-constantan
  3. Cu-constantan
  4. Pt-Pt.Rh
(정답률: 알수없음)
  • Pt-Pt.Rh 합금은 최고 사용 온도가 1700°C로 가장 높은 온도에서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보다 낮은 온도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냉간 가공하면 금속결정 내부에 전위나 공격지점 같은 결함이 증가함으로써 변화하는 물리적ㆍ기계적 성질이 아닌 것은?

  1. 가공하면 전위의 집적(集積)에 의하여 경화한다.
  2. 가공으로 금속 내에 공격자 점이 증가하면 전기저항이 증가한다
  3. 가공으로 공격자점의 증가로 밀도가 감소한다.
  4. 가공경화에 의해 변태강도는 감소하나, 연신은 증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공하면 공격자점이 증가하여 전기저항이 증가하고, 금속 내부의 밀도가 감소하는 등 물리적ㆍ기계적 성질이 변화하지만, 금속결정 내부의 전위나 공격지점 같은 결함은 변하지 않는다.

    가공경화에 의해 변태강도는 감소하는 이유는, 가공으로 인해 금속결정의 크기가 작아지고 결정간 거리가 가까워져 결정간 경계면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결정간 경계면에서의 변형이 발생하고, 이는 결정 내부에서의 변형보다 쉽게 일어나기 때문에 강도가 감소한다. 반면, 연신은 결정간 경계면에서의 변형이 발생하기 때문에 결정간 경계면이 많아질수록 연신이 증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Al 청동의 성질을 설명한 것으로 맞는 것은?

  1. 인장강도는 Al이 약 11%에서 최대치를 갖는다.
  2. 가공으로 금속 내에 공격자점이 증가하면 전기저항이 증가한다.
  3. 가공하면 공격자 점의 증가로 밀도가 감소한다.
  4. 가공경화에 의해 변태강도는 감소하나, 연신은 증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알루미늄은 결정 구조가 FCC 구조이며, 결정 구조 안에 존재하는 결함들이 인장강도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 중에서도 공격자점이 인장강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약 11%의 미세 구조적 결함이 존재할 때 인장강도가 최대치를 갖게 됩니다. 따라서 "인장강도는 Al이 약 11%에서 최대치를 갖는다."가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아연이 대기 중에서 산화되어 얇은 막을 형성하는 내용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막은 금속과 대기를 차단한다.
  2. 막은 공기 중의 습기를 차단한다.
  3. 막은 내부 부식을 방지한다
  4. 막을 통해 점점 부식되어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막을 통해 점점 부식되어진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아연 막은 금속과 대기를 차단하고, 공기 중의 습기를 차단하여 내부 부식을 방지합니다. 따라서 아연 막이 부식되어지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금속을 보호하여 부식을 방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구상흑연 주철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 어느 것인가?

  1. 저탄소, 저규소의 주철이다
  2. 주방상태에서 흑연이 구상으로 정출한다
  3. 흑연의 구상화는 구리, 철을 첨가한다
  4. 인장강도는 20kgf/mm2이하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방상태에서 흑연이 구상으로 정출한다"는 맞는 설명이다. 이는 주철이 주방상태(고온, 고압)에서 녹아 흑연 상태로 변화하면서 구상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후 구리나 철 등을 첨가하여 특정한 물성을 갖도록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저탄소, 저규소의 주철이다"와 "인장강도는 20kgf/mm2이하이다"도 맞는 설명이지만, "흑연의 구상화는 구리, 철을 첨가한다"는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용접일반

81. 산소-아세틸렌가스 절단에서 표준드래그의 길이는 보통 판 두께의 얼마 정도가 가장 적합한가?

  1. 1/2
  2. 1/3
  3. 1/4
  4. 1/5
(정답률: 알수없음)
  • 산소-아세틸렌가스 절단에서 표준드래그의 길이는 보통 판 두께의 1/5가 가장 적합하다. 이는 절단 시에 적절한 속도와 정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판 두께의 1/5 길이의 드래그를 사용하면, 절단 시에 적절한 속도와 정확도를 유지하면서도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이 길이는 절단 시에 발생하는 열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부식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 중 가스용접에서 용제(flox)를 사용하지 않고서는 용접을 가장 양호하게 할 수 있는 금속인 것은?

  1. 연강
  2. 구리 합금
  3. 주철
  4. 알루미늄
(정답률: 알수없음)
  • 연강은 가스용접 시 용제(flox)를 사용하지 않아도 용접이 잘 되는 금속 중 하나입니다. 이는 연강이 용접 시 산화되는 속도가 느리기 때문입니다. 반면 구리 합금, 주철, 알루미늄은 용접 시 산화되는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용제(flox)를 사용하지 않으면 용접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맞대기 용접을 할 때 모재의 영향을 방지하기 위하여 홈 표면에 다른 종류의 금속을 표면 피복 용접하는 것을 의미하는 용접 용어는?

  1. 버터링(buttering)
  2. 심용접(seam welding)
  3. 앤드 탭(end tap)
  4. 덧살(flash)
(정답률: 알수없음)
  • 버터링은 맞대기 용접 시 모재의 영향을 방지하기 위해 홈 표면에 다른 종류의 금속을 표면 피복 용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모재와 용접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열변형과 응력을 완화시켜 용접 부위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입니다. 따라서 버터링은 맞대기 용접에서 중요한 기술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미그(MIG)용접에 가장 적합한 용적이행 방식은?

  1. 단락이행
  2. 스프레이 이행
  3. 입상이행
  4. 글로뷸러 이행
(정답률: 알수없음)
  • 미그(MIG)용접에서 스프레이 이행 방식은 가장 적합하다. 이는 스프레이 이행 방식이 높은 전류와 전압을 사용하여 긴 용접부를 빠르게 용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스프레이 이행 방식은 용접 부위에 높은 에너지를 공급하여 높은 용접 속도와 깊이를 보장하며, 용접 부위의 녹는 속도를 높여 용접 부위의 녹는 양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프레이 이행 방식은 높은 생산성과 용접 품질을 보장하는 최적의 용접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용접기의 정격 사용률이 40%이고, 정격 2차 전류가 400A일 때 실제 용접전류가 300A를 사용한 경우 허용사용률은 약몇 %인가?

  1. 53.3%
  2. 60%
  3. 71.1%
  4. 75%
(정답률: 알수없음)
  • 용접기의 정격 사용률이 40%이므로, 정격 2차 전류 400A에서 40%를 사용하면 최대 사용 가능한 용접전류는 400A x 0.4 = 160A입니다.

    하지만, 실제 용접전류가 300A를 사용했으므로, 허용 사용률은 300A / 160A x 100% = 187.5%가 됩니다.

    하지만, 용접기의 최대 사용 가능한 용접전류를 넘어섰으므로, 실제 허용 사용률은 100%를 넘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허용 사용률은 100%가 최대이며, 300A를 사용한 경우의 허용 사용률은 160A를 기준으로 계산하면 300A / 160A x 100% = 187.5%가 되므로, 최대 100%를 넘지 않도록 조정하여 계산하면 71.1%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용접봉 용제(flox)의 종류에 따라서 용접금속의 충격치가 다르다. 다음 중 그 값이 가장 우수하게 나오는 계(系)는 어느것인가?

  1. 일미나이트계(ilmeite계)
  2. 산화철계
  3. 티타니아계(titania계)
  4. 저수소계
(정답률: 알수없음)
  • 저수소계 용제를 사용하면 용접금속의 충격치가 가장 우수하게 나온다. 이는 저수소계 용제가 용접금속의 인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이다. 인성이란 금속재료가 외부 충격에 대해 얼마나 견딜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용접금속의 인성이 높을수록 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안전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저수소계 용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용접부분의 뒷면을 따내든지 U형,H형의 용접 흠을 가공하기 위하여 깊은 홈을 파내는 가공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가스 가우징
  2. 스카핑
  3. 분말절단
  4. 플라스마 절단
(정답률: 알수없음)
  • 가스 가우징은 고열 가스를 이용하여 금속을 녹여 가공하는 방법으로, 깊은 홈을 파내는 용접 흠 가공에 적합합니다. 이는 가스 가우징이 다른 가공 방법에 비해 높은 열에 의한 녹임 효과로 인해 깊은 홈을 더욱 쉽게 파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스카핑, 분말절단, 플라스마 절단은 각각 다른 가공 방법으로, 깊은 홈을 파내는 용접 흠 가공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용접시 발생하는 잔류응력 발생방지 및 발생한 잔류응력을 완화나 제거하기 위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잔류응력의 억제를 위하여 자기 등을 활용한 구속용접을 한다
  2. 용접시 발생한 잔류응력을 완화하기 위하여 풀림 처리를 한다
  3. 잔류응력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스킵법을 사용한다
  4. 잔류응력의 제거방법에는 노내플림, 국부풀림, 피닝, 저온능력 완화법 등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잔류응력의 억제를 위하여 자기 등을 활용한 구속용접을 한다는 설명이 잘못되었습니다. 자기 등을 활용한 구속용접은 잔류응력을 완화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이며, 잔류응력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스킵법을 사용합니다.

    자기 등을 활용한 구속용접은 용접 후에 발생하는 잔류응력을 완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용접 부위에 자기장을 인가하여 잔류응력을 줄이는 방법입니다. 이는 용접 부위가 자기장에 의해 압축되어 잔류응력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잔류응력의 억제를 위하여 자기 등을 활용한 구속용접을 한다"는 설명이 잘못되었으며, 올바른 설명은 "잔류응력을 완화하기 위하여 자기 등을 활용한 구속용접을 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내용적이 40L인 산소용기의 압력계에 90기압이 나타났다면 프랑스식 팁 300번으로 이론적으로 몇 시간 용접할 수 있는 가? (단, 산소와 아세틸렌의 혼합비는 1:1이다.)

  1. 3시간
  2. 6시간
  3. 12시간
  4. 24시간
(정답률: 알수없음)
  • 산소와 아세틸렌의 혼합비가 1:1이므로, 산소용기와 아세틸렌용기의 용량은 같다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아세틸렌용기의 압력도 90기압이 된다.

    산소와 아세틸렌을 이용한 용접 작업에서는, 산소와 아세틸렌을 일정한 비율로 사용하게 된다. 이 비율은 일반적으로 1:1이다. 따라서, 산소와 아세틸렌을 모두 사용할 때까지 용접 작업을 할 수 있다.

    산소용기와 아세틸렌용기의 용량이 같으므로, 산소용기에서 나오는 산소와 아세틸렌용기에서 나오는 아세틸렌을 모두 사용할 때까지 용접 작업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론적으로 12시간 동안 용접 작업을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피복 아크 용접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용접 장비가 간단하다
  2. 전자세 용접이 가능하다
  3. 옥외 용접이 가능하다
  4. 보호가스가 필요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보호가스가 필요하지 않다는 것이 틀린 설명입니다. 피복 아크 용접법은 용접 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보호가스를 사용합니다. 보호가스는 용접 부위를 산화로부터 보호하고, 용접 부위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용접 부위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용접시 변형과 잔류응력을 용접시공조건에 의해서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용접 후 용접금속부위 변형을 교정하는 가우징법
  2. 용접 전에 변형방지대책을 강구하는 억제법, 역변형법
  3. 용접시공에 의한 대칭법, 후진법, 스킵법
  4. 용접 중 모재의 입열을 막아 변형을 방지하는 도열법
(정답률: 알수없음)
  • "용접 후 용접금속부위 변형을 교정하는 가우징법"은 변형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아니라 이미 발생한 변형을 교정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틀린 것입니다. 가우징법은 용접 후에 용접부위의 변형을 측정하여 교정하는 방법으로, 용접시 변형을 감소시키는 것이 아니라 이미 발생한 변형을 교정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용접 후 용접금속부위 변형을 교정하는 가우징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점 용접(spet welding)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표면이 평평하다
  2. 재료가 절약된다
  3. 산화 및 변질부분이 적다
  4. 전기를 사용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점 용접은 전기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이 특징 중 하나이다. 대신에 압력과 열을 이용하여 두 개의 부품을 접합하는 방식으로, 작은 점 하나씩 용접을 하기 때문에 표면이 평평하고, 재료가 절약되며, 산화 및 변질 부분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아크용접(arc welding)에서 피복용접봉을 사용하는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 어느 것인가?

  1. 용접 전압을 떨어뜨린다
  2. 용착 금속의 성질을 양호하게 한다
  3. 소비 전력을 적게 한다
  4. 용접기의 수명을 길게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피복용접봉은 용접 전압을 떨어뜨리고 용착 금속의 성질을 양호하게 하기 때문에 아크용접에서 가장 적합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불활성가스 금속 아크용접(MIG)에서 사용되는 용접전원 특성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수하특성 또는 상승특성
  2. 정전압특성 또는 상승특성
  3. 정전류특성 또는 상승특성
  4. 아크 부특성 또는 상승특성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정전압특성 또는 상승특성

    이유: MIG 용접은 높은 전류와 전압이 필요하며, 정전압특성 또는 상승특성의 용접전원을 사용하면 안정적인 아크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은 용접 전류와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용접 과정에서 발생하는 스파터와 스플래터를 최소화하고 용접 품질을 향상시킵니다. 또한, 이러한 특성은 용접 전원의 변화에도 민감하지 않아 용접 과정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가스용접시 역화의 원인이 될 수 없는 것은?

  1. 용접 팁의 조임 불량시
  2. 용접 토치가 냉각되었을 경우
  3. 토치의 팁 끝에 이물질이 부착시
  4. 아세틸렌가스의 압력이 낮을 때
(정답률: 알수없음)
  • 용접 토치가 냉각되었을 경우는 가스용접시 역화의 원인이 될 수 없습니다. 이는 역화의 원인으로는 너무나도 일반적인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역화는 주로 용접 팁의 조임 불량, 토치의 팁 끝에 이물질이 부착, 아세틸렌가스의 압력이 낮을 때 등의 이유로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중 용접물의 일반적인 변형 교정방법이 아닌 것은?

  1. 얇은 판에 대한 점수축법
  2. 절단에 의한 성형과 재용접하는 방법
  3. 가열 후 해머질하는 법
  4. 형재에 대한 곡선냉각법
(정답률: 알수없음)
  • 용접물의 일반적인 변형 교정방법은 용접 후에 생긴 변형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얇은 판에 대한 점수축법, 절단에 의한 성형과 재용접하는 방법, 가열 후 해머질하는 법 등이 있다. 하지만 형재에 대한 곡선냉각법은 일반적인 변형 교정방법이 아니다. 이 방법은 용접 후에 일부러 곡선 모양으로 냉각하여 용접부위를 의도적으로 변형시키는 방법으로, 일부 특수한 용도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신규 충전된 용해 아세틸렌 용기 전체 무게가 45kgf이고 사용 후의 공병의 무게가 40kgf이였다면 1kgf/cm2에서 사용한 가스량은 약 몇 L 정도인가?

  1. 1800
  2. 3600
  3. 4525
  4. 7000
(정답률: 알수없음)
  • 용기 전체 무게에서 공병의 무게를 빼면 사용한 가스의 무게가 나온다.

    45kgf - 40kgf = 5kgf

    1kgf/cm2에서 약 5kgf의 가스를 사용했으므로, 가스의 부피는 5L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4525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불활성 가스 아크용접에서 청정작용의 효과를 가장 많이 얻을 수 있는 용접조건인 것은?

  1. 헬륨 가스+직류정극성
  2. 헬륨 가스+직류역극성
  3. 아르곤 가스+직류성극성
  4. 아르곤 가스+직류역극성
(정답률: 알수없음)
  • 아크 용접에서 청정작용을 얻기 위해서는 용접 부위에 산소와 질소 등의 불순물이 적게 들어가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용접 부위를 보호하는 가스가 필요한데, 아르곤 가스는 산소와 질소 등의 불순물이 적어 청정작용을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직류 역극성은 용접 부위에서 양극에서 음극으로 전자가 흐르는 방향이므로, 용접 부위에 열이 집중되어 용접 부위가 녹아붙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르곤 가스+직류역극성"이 청정작용을 얻을 수 있는 용접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피복 아크 용접에서 용접봉의 용융속도를 가장 적합하게 나타낸 것은?

  1. 단위 시간당 소비되는 용접봉의 길이 또는 무게
  2. 단위 시간당 용착되는 용착금속의 총중량
  3. 1시간당 소비되는 용접봉의 무게
  4. 1일에 소비되는 용접봉의 총 중량
(정답률: 알수없음)
  • 피복 아크 용접에서는 용접봉을 용융시켜 용착금속을 만들어내는데, 이때 용접봉의 소비량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용접봉의 용융속도를 가장 적합하게 나타내는 것은 "단위 시간당 소비되는 용접봉의 길이 또는 무게"입니다. 이는 용접봉의 소비량을 시간 단위로 나타내어 용접 작업을 계획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다른 보기들은 용접봉의 소비량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므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법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용접 와이어에는 피복이 되어 있지 않으며, 용제에 의한 야금작용으로 용접금속의 품질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2. 피복 금속 아크 용접법보다 능률적이나 루트 간격이 너무 크면 떨어질 위험이 있다.
  3. 피복 금속 아크 용접법보다 용입이 얕으나, 전자세 용접에 적용되므로 능률적이다.
  4. 아크는 입상 플럭스에 잠겨 있으니 와이어에 대전류를 흘려줄 수 있고 열에너지의 손실도 적다.
(정답률: 알수없음)
  • "피복 금속 아크 용접법보다 용입이 얕으나, 전자세 용접에 적용되므로 능률적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법은 전자세 용접이 아니라 아크 용접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전자세 용접과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