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1과목명
1. “농문화는 농을 ( ) 하는데서 출발한다.”고 Woodward가 말했다. 여기서 괄호 안에 들어 갈 단어는?
2. 래드(Ladd)가 세계 속의 존재로서 농인의 본질적인 모습을 정의하기 위해 고안한 개념이 무엇인가?
3. 데프후드는 농인을 어떤 이름으로 부르는가?
4. 농인국가 건설에 대한 구상과 관련이 있는 자는 누구, 누구인가?
5. 농문화의 특성 중 해당이 안 되는 것은?
6. 농문화의 특징 중 관습에 해당되는 것은?
7. 농문화의 잇점이 아닌 것은?
8. 농문화가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곳은?
9. 농문화는 필연적으로 ( )의 구축에 기여하는데 괄호 안에 들어갈 말은?
10. 농문화는 무엇을 기반으로 해서 형성되는가?
2과목: 2과목명
11. 다음 중 한국수어의 수어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2. 다음 중 한국수어 [예쁘다]와 수위가 같은 수어는?
13. 한국어 “당신은 무슨 색을 좋아합니까?”를 한국수어로 표현할 때 가장 적절한 수어 어순은? (단, '/?'는 묻는 표정을 동반한 표현임)
14. 수업을 위해 작성하는 교수-학습과정안(지도안)에 포함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5. 수어교육의 방향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6. 수어 교육과정을 수어 기능, 수어 지식, 수어 태도로 구분할 때, 수어 기능에 해당하는 것은?
17. 다음 중 수어 문장의 시작 부분에 목적어를 배치하는 방법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어느 것입니까?
18. 다음 중 긍정문을 반대의 의미로 바꾸는 것을 언어학 용어로 무엇이라 합니까?
19. 수어 표현 중 ALL-NIGHT-LONG/ ALL-DAY-LONG 을 가장 잘 표현한 것은?
20. 수어 사용자가 문장 마지막에 눈썹을 올리고, 머리를 앞으로 살짝 기울리며, 동작을 잠깐 멈추는 비수지 수어 동작의 의미는 무엇인가?
3과목: 3과목명
21. 언어를 사용하는 중에 한가지 언어를 사용하다가 특정한 인사말이나 단어를 다른 언어로 변환해서 사용하는 경우는?
22. 수어 교사 연수 과정 중에 강조되는 것은 교육 과정 개발, 교수 방법 그리고 또 무엇이 있나요?
23. 다음 중 1880년 밀란 국제 회의 후 변화된 교육 현장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24. 다음 수어 단어 중 지역별로 다르게 사용되는 단어는?
25. 농인 문화와 관련해서, 복도를 지나가려고 하는데 두 명의 농인이 마주보고 서서 수어로 대화를 하고 있을 때 어떻게 해야 할까요?
26. 수어를 배우는 학생들에게 농인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27. Deaf President Now (DPN) 운동의 가장 주요한 목적은 무엇인가?
28. 다음 중 학습 양식 (learning style)을 가장 잘 나타낸 것은?
29. 다음 중 제 2 언어를 습득할 때 생기는 언어 발달 정체기를 나타내는 적절한 표현은?
30. 사라, 빌, 그리고 호세가 보여준 어려움을 가장 잘 표현한 용어는 어느 것 인가요?
4과목: 4과목명
31. 수어를 가르치는 가장 효과적인 교실 배치는?
32. 다음 수어 기능의 목표와 관련된 보기에서 제시한 내용은 어느 것에 해당되는지?
33. 교육 과정의 관점 차이에 따른 분류로 보기에서 해당하는 것은?
34. 다음은 수어 교수법에 대한 설명 글이다. 수어 교수활동 유형 중의 하나로 해당하는 것은?
35. 수어 학습에서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수업에 적용한다면 학습효과를 높이는 데 용이할 것이다. 다양한 매체와 관련이 없는 것은?
36. 수어지도 전략 부분에서 보기에서 제시하는 글 내용에 해당하는 것은?
37. 수어의 통사구조상 부정어휘가 위치하는 곳은?
38. 농아동을 위한 가정교육에서 부모의 자세로 올바르지 않는 것은?
39. 농아동의 언어발달 모델 중 일차언어는?
40. 수어의 사용을 지지하는 철학적 기초의 바탕이 되는 배경은?
정답이 "비병리화"인 이유는 농문화가 병리화되면서 농업 생산이 대규모화되고 기계화되면서 농촌의 생산성이 증가하였지만, 동시에 농업의 지속가능성과 농민의 생활환경이 악화되었기 때문이다. 반면에 비병리화된 농문화는 지역적 특성과 생태계를 고려한 지속가능한 농업 생산과 농촌의 생활환경을 보호하면서 농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