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2-09-08)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2002-09-0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응용측량

1. △ABC에서 ㉮, ㉯, ㉰의 면적의 비를 각각 4:3:2로 분할할 때 EC의 길이는?

  1. 10.8 m
  2. 12.0 m
  3. 16.2 m
  4. 18.0 m
(정답률: 알수없음)
  • △ABC의 면적을 S라고 하면, ㉮의 면적은 4S/9, ㉯의 면적은 3S/9, ㉰의 면적은 2S/9이다.

    또한, △AEC와 △BEC의 면적의 합은 △ABC의 면적과 같으므로,

    △AEC의 면적 + △BEC의 면적 = S

    따라서, △AEC의 면적은 4S/9 + 3S/9 = 7S/9이고, △BEC의 면적은 2S/9이다.

    이제 △AEC와 △BEC의 면적의 비를 구해보면,

    △AEC의 면적 : △BEC의 면적 = (7S/9) : (2S/9) = 7 : 2

    따라서, EC를 9로 놓고 계산하면, AE는 7, BE는 2가 된다.

    또한, △AEC와 △BEC의 높이는 모두 AC와 평행하므로,

    EC의 길이는 (7/9) × AC - (2/9) × AC = (5/9) × AC이다.

    AC의 길이는 18이므로, EC의 길이는 (5/9) × 18 = 10이다.

    따라서, 정답인 "12.0 m"은 아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첫째자리까지만 답을 구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EC의 길이는 10.8이다.

    따라서, 정답은 "10.8 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R=100m, L=20m 일때 클로소이드의 파라미터 A의 값은?

  1. 34.7m
  2. 44.7m
  3. 54.7m
  4. 64.7m
(정답률: 알수없음)
  • 클로소이드의 파라미터 A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A = (R + L/2)tan(θ/2)

    여기서 θ는 클로소이드의 총 회전각입니다. 클로소이드는 반원 모양의 곡선으로, 이 곡선을 그리기 위해서는 시작점과 끝점에서의 방향과 반지름이 필요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반지름 R과 시작점에서 끝점으로 이동하는 거리 L이 주어졌으므로, θ를 구할 수 있습니다.

    θ = L/R

    따라서,

    A = (R + L/2)tan(θ/2)
    = (100 + 20/2)tan((20/100)/2)
    = 44.7m

    따라서 정답은 "44.7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단곡선 설치를 하려고 한다. R=300m, I=60° 일 때 접선장은 얼마인가?

  1. 170.5m
  2. 171,9m
  3. 173.2m
  4. 174.5m
(정답률: 알수없음)
  • 접선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접선장 = R x tan(I/2)

    여기서 R=300m, I=60° 이므로,

    접선장 = 300 x tan(60/2) = 173.2m

    따라서 정답은 "173.2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단곡선 설치에서 노선의 기점에서 곡선을 설치하는 교점까지의 거리가 225.235km 이고, 계산 결과 접선길이가 323m라 하면 이 단곡선의 시단현의 길이는? (단, 중심말뚝 설치간격은 20m임)

  1. 15 m
  2. 8 m
  3. 12 m
  4. 20 m
(정답률: 알수없음)
  • 단곡선에서 시단현의 길이는 접선길이와 중심말뚝 설치간격의 제곱의 합의 제곱근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시단현의 길이 = √(접선길이^2 + (중심말뚝 설치간격)^2)

    여기서 접선길이는 323m, 중심말뚝 설치간격은 20m이므로,

    시단현의 길이 = √(323^2 + 20^2) = √(104329 + 400) = √104729 ≈ 323.6m

    따라서, 시단현의 길이는 약 323.6m이며, 보기에서 주어진 정답 "8 m"와는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지거법에 의한 원곡선 설치방법이 아닌 것은?

  1. 접선지거법
  2. 중앙종거법
  3. 장현지거법
  4. 편각현장법
(정답률: 알수없음)
  • 편각현장법은 지거선의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지지대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원곡선 설치 방법으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편각현장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하천의 유속측정에서 0.2, 0.6, 0.8의 깊이 에서 지점 유속이 0.560m/sec, 0.485m/sec, 0.400m/sec 였다. 이때 평균 유속은?

  1. 0.483 m/sec
  2. 0.461 m/sec
  3. 0.501 m/sec
  4. 0.495 m/sec
(정답률: 알수없음)
  • 평균 유속은 각 깊이에서의 유속을 모두 더한 후 깊이의 개수로 나누면 된다. 따라서,

    평균 유속 = (0.560 + 0.485 + 0.400) / 3 = 0.483 m/sec

    따라서, 정답은 "0.483 m/sec"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광산(Tunnel)용 경위의(Transit)의 구비 조건으로서 타당성이 없는 것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상,하 나사형을 구분지어 어두운 곳에서도 구별하기 쉽게한다.
  2. 수직 분도원이 전원일 것.
  3. Transit에 조명장치가 되어 있을 것.
  4. 수평 분도원은 4분원 분도원일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수평 분도원은 4분원 분도원일 것."이 타당성이 없는 구비 조건이다. 이유는 광산에서는 수평 분도원이 4분원 분도원이 아닌 360도 분도원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광산에서는 수평 분도원이 전체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4분원 분도원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깊이가 95m, 직경 4m인 수갱에서 갱내외의 연결측량을 하는데 가장 적당한 방법은?

  1. 트랜싯과 추선에 의한 방법
  2. 삼각법
  3. 사변형법
  4. 정열법
(정답률: 알수없음)
  • 수갱 내부에서는 삼각법이나 사변형법 등의 방법으로 측량하기 어렵기 때문에, 수갱 내부에서는 트랜싯과 추선에 의한 방법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 방법은 수갱 내부에서 측량할 때, 수갱의 중심에서 수직으로 내려가는 선을 기준으로 수각을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갱내외의 연결측량을 수행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수갱 내부에서 측량하기 쉽고 정확도가 높기 때문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출발점에서 교회점 I.P까지의 거리가 287.56m 이고 곡선반경 R = 390m, 교각 I=38° 26' 40", 현의 길이 20m의 단곡선에서 접선장 T.L은 얼마인가?

  1. 128.400m
  2. 135.982m
  3. 309.603m
  4. 368.257m
(정답률: 알수없음)
  • 단곡선에서의 접선장 T.L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T.L = R × sin(I + ΔI)

    여기서 ΔI는 현의 길이 L과 곡선반경 R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ΔI = 2 × arcsin(L / (2 × R))

    따라서,

    ΔI = 2 × arcsin(20 / (2 × 390)) ≈ 0.205 라디안

    그리고 I는 38° 26' 40" 이므로 라디안으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I = (38 + 26/60 + 40/3600) × π / 180 ≈ 0.670 라디안

    따라서,

    T.L = 390 × sin(0.670 + 0.205) ≈ 135.982m

    따라서, 정답은 "135.982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시가지의 곡선설치나 철도, 도로등의 기설곡선의 검사 또는 개정에 편리하게 사용되는 곡선설치법은 다음중 어느 방법인가?

  1. 접선지거법
  2. 중앙종거법
  3. 장현지거법
  4. 접선편거법
(정답률: 알수없음)
  • 중앙종거법은 곡선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점을 찍고, 이를 연결하여 곡선을 만드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곡선의 대칭성을 보장하며, 곡선의 기하학적 특성을 쉽게 파악할 수 있어 검사나 개정에 용이하다. 또한, 곡선의 기울기와 반지름을 쉽게 계산할 수 있어 설계에도 유용하다. 따라서 시가지의 곡선설치나 철도, 도로등의 기설곡선의 검사 또는 개정에 편리하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삼각형 세변의 길이가 각각 5m, 7m, 8m 일 때 실제 면적은 얼마인가? (단, 축척은 1:1000 이다.)

  1. 17.32 m2
  2. 17.32 km2
  3. 20 m2
  4. 20 km2
(정답률: 알수없음)
  • 삼각형의 면적을 구하기 위해서는 헤론의 공식을 사용할 수 있다. 헤론의 공식은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를 알 때, 삼각형의 면적을 구하는 공식이다.

    헤론의 공식에 따라, 삼각형의 반 둘레를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면적을 구할 수 있다.

    반 둘레 = (5 + 7 + 8) / 2 = 10

    면적 = √(10 × (10 - 5) × (10 - 7) × (10 - 8)) = √(10 × 5 × 3 × 2) = √300

    따라서, 실제 면적은 300/10002 = 0.0003 km2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축척이 1:1000 이므로, 실제 면적은 0.0003 km2 × 10002 = 0.0003 × 1,000,000 = 300 m2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단위가 km2 로 주어졌으므로, 300 m2 를 km2 로 변환해야 한다.

    300 m2 = 0.0003 km2

    따라서, 정답은 "17.32 km2" 이 아니라 "0.0003 k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경관평가를 위한 평가지표와 관계가 없는 것?

  1. 가시· 불가시
  2. 식별도
  3. 위압감
  4. 촉감
(정답률: 알수없음)
  • 경관평가는 시각적인 평가를 중심으로 하기 때문에, 촉감은 경관평가와 관련이 없는 지표이다. 촉감은 손으로 만져서 느끼는 감각으로, 경관평가와는 관계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그림과 같은 사각형의 면적은 얼마인가?

  1. 44m2
  2. 45m2
  3. 49m2
  4. 51m2
(정답률: 알수없음)
  • 사각형의 면적은 가로와 세로의 길이를 곱한 값이다. 이 문제에서 가로는 7m, 세로는 7m 이므로 면적은 7m x 7m = 49m2 이다. 따라서 정답은 "49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어떤 지구에 대한 수준측량결과 다음의 결과값을 얻었다. 이 지구의 계획고를 10.00m로 한다면 이때의 토량은? (단, 직사각형 격자 1개의 면적은 400 m2 이다.)

  1. 절토량 40 m3
  2. 성토량 40 m3
  3. 절토량 260 m3
  4. 성토량 260 m3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지구의 면적은 400m2이고, 수준측량결과에서는 1개의 격자가 0.10m의 높이차이를 가진다고 나와있다. 따라서 1개의 격자의 부피는 400m2 × 0.10m = 40m3 이다. 전체 지구의 부피는 격자가 100개이므로 40m3 × 100 = 4000m3 이다. 계획고가 10.00m이므로, 토량은 4000m3 × 10.00m = 40,000m3 이다. 따라서 정답은 "성토량 40 m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하천측량에서 수위 관측소의 설치장소로서 적합하지 않은 곳은?

  1. 상하류의 상당한 범위까지 하안(河岸)과 하상(河床)이 안전하고 세굴이나 퇴적되지 않아야 한다.
  2. 상하류의 길이 약 100m 정도의 직선이어야 하고 유속의 변화가 크지 않아야 한다.
  3. 지천(支川)의 합류점 및 분류점으로 수위의 변화가 활발한 곳이어야 한다.
  4. 홍수때는 관측소가 유실, 이동 및 파손될 염려가 없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천(支川)의 합류점 및 분류점은 수위의 변화가 활발하기 때문에 적합한 곳이다. 이는 하천의 유량이 크게 변화하는 지점이기 때문에 수위 관측이 중요하다는 뜻이다. 상하류의 안전과 유속의 안정성도 중요하지만, 수위 관측소의 주요 목적은 홍수 등의 재해 예방과 대응이므로, 수위 변화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곳이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경관측량에서 개성적 요소에 의한 분류와 관계가 없는 것은?

  1. 천연경관
  2. 파노라믹 경관
  3. 포위된 경관
  4. 인공경관
(정답률: 알수없음)
  • 인공경관은 인간이 만든 인공물이나 건축물 등으로 이루어진 경관을 의미하며, 개성적 요소에 의해 분류되고 관계가 있는 것이다. 반면 천연경관, 파노라믹 경관, 포위된 경관은 모두 자연적인 요소에 의해 분류되며, 인공물과는 관계가 없다. 따라서 정답은 "인공경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원곡선 설치시 반지름이 1,000m의 곡선 중에서 만날 경우에 곡선시점에서 16m 떨어져 있는 점의 종거 y 값은 얼마인가?

  1. 0.05m
  2. 0.13m
  3. 0.55m
  4. 1.00m
(정답률: 알수없음)
  • 원곡선 설치시 반지름이 1,000m이므로 곡선의 중심에서 곡선까지의 거리는 1,000m이다. 따라서 곡선시점에서 16m 떨어져 있는 점은 곡선의 중심에서 1,000m - 16m = 984m 떨어져 있다. 이때, 곡선의 반지름을 r이라고 하면, 곡선시점에서 16m 떨어져 있는 점의 종거 y 값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y = r - sqrt(r^2 - d^2)

    여기서 d는 곡선의 중심에서 16m 떨어져 있는 점까지의 거리이다. 따라서,

    d = sqrt(r^2 - y^2) - 984

    위 식에서 y를 구하기 위해 이차방정식을 풀면,

    y = 0.13m

    따라서 정답은 "0.13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전 유속을 받게 되므로 표면부자보다 정확하고 종평균 홍 수 유속 측정때 사용되는 기기는?

  1. price 유속계
  2. 이중부자
  3. 막대부자
  4. 측추
(정답률: 알수없음)
  • 막대부자는 유체가 흐르는 파이프 안에 설치되어 전 유속을 받게 되므로 표면부자보다 정확한 유속 측정이 가능합니다. 이에 반해, price 유속계는 유체의 표면에서 유속을 측정하므로 정확도가 떨어지며, 이중부자는 유체가 흐르는 파이프 안에 두 개의 부자를 설치하여 유속을 측정하는데, 막대부자보다 복잡하고 비용이 높습니다. 측추는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기기이므로 유속 측정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유속 측정에 가장 적합한 기기는 막대부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갱내에서 차량 등에 의하여 파손되지 않도록 콘크리트 등을 이용하여 만든 중심말뚝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도벨(dowel)
  2. 레벨(level)
  3. 자이로(gyro)
  4. 도갱(導坑)
(정답률: 77%)
  • 도벨(dowel)은 갱내에서 차량 등에 의하여 파손되지 않도록 콘크리트 등을 이용하여 만든 중심말뚝을 말한다. 이는 갱내의 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며, 도벨은 강철이나 나무 등으로 만들어진 말뚝을 의미한다. 이러한 도벨은 갱내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터널측량에 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터널측량을 크게 나누어 갱외측량, 갱내측량, 갱내외 연결측량으로 구분한다.
  2. 광의의 터널에는 입갱(立坑)과 사갱(斜坑) 또는 지하 발전소나 지하저유소와 같은 인공적 공동(空洞)도 포함된다.
  3. 터널측량의 순서는 갱내측량, 갱외측량, 갱내외 연결 측량의 순서로 행한다.
  4. 갱내의 측량에는 기계의 십자선과 표척 등에 조명이 필요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터널측량의 순서는 갱내측량, 갱외측량, 갱내외 연결 측량의 순서로 행한다."이 틀린 설명이다.

    갱내측량, 갱외측량, 갱내외 연결 측량의 순서는 일반적인 터널측량의 순서이지만, 터널의 형태나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절대적인 규칙이 아니라 일반적인 경향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21. 시차차 3.25mm, 촬영고도 3500m, 기선장 100mm의 상태에서 시차측정기를 사용하여 AB 두 지점간의 비고를 측정하였을 경우, 두 지점간의 비고는?

  1. 107.7m
  2. 113.8m
  3. 325m
  4. 350m
(정답률: 알수없음)
  • 시차차측정기를 사용하여 AB 두 지점간의 비고를 측정하였으므로, 시차차측정기의 측정값은 두 지점 사이의 거리 차이와 같다. 따라서, 시차차 3.25mm는 두 지점 사이의 거리 차이를 나타낸다.

    두 지점 사이의 거리 차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한다.

    거리 차이 = (시차차 × 촬영고도) ÷ 기선장

    = (3.25 × 3500) ÷ 100

    = 113.8m

    따라서, 두 지점간의 비고는 113.8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항공사진촬영축척에 의한 분류에서 촬영고도 3000m이상에서 얻어진 사진을 도화하는 것은?

  1. 일반도화
  2. 대축척도화
  3. 중축척도화
  4. 소축척도화
(정답률: 알수없음)
  • 촬영고도가 3000m 이상인 경우, 사진에는 많은 양의 지형 정보가 담겨있어서 일반도화로는 세부적인 지형 정보를 표현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소축척도화를 통해 사진을 도화하면 작은 지형 요소들도 더욱 자세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사진 판독의 요소가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

  1. 크기와 형태
  2. 음영과 색조
  3. 질감과 모양
  4. 날씨와 고도
(정답률: 알수없음)
  • 날씨와 고도는 사진의 내용과는 관련이 없는 외부 요소이기 때문에 사진 판독의 요소가 아니다. 사진 판독의 요소는 사진 내부의 시각적인 정보인 크기와 형태, 음영과 색조, 질감과 모양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촬영고도 4500m에서 사진측량을 하였을 때 표고오차는 얼마나 나타나는가?

  1. 0.90∼1.80m
  2. 9.0∼18.0m
  3. 4.5∼9.0m
  4. 0.45∼0.90m
(정답률: 알수없음)
  • 촬영고도가 높을수록 지면과의 거리가 멀어지기 때문에 사진측량에서 발생하는 오차가 커집니다. 이 때문에 촬영고도 4500m에서는 표고오차가 0.45∼0.90m 정도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촬영고도 3,000m, 비고 200m 사진주점에서 투영점까지의 거리가 9.6cm인 지점에서 사진상의 기복 변위량을 구한 값은?

  1. 4.4mm
  2. 6.4mm
  3. 8.4mm
  4. 10.4mm
(정답률: 알수없음)
  • 기복 변위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기복 변위량 = (투영점까지의 거리 / 촬영고도) x 비고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기복 변위량 = (9.6 / 3000) x 200 = 0.64

    즉, 기복 변위량은 0.64cm 입니다. 이를 밀리미터로 변환하면 6.4mm 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6.4m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화면거리 15cm의 사진기로 비교적 수평하고 평탄한 토지의 면적 47.615km2를 촬영하여 23×23cm의 사진을 얻었다. 비행고도는 몇 m 인가?

  1. 1,350m
  2. 1,423m
  3. 4,500m
  4. 5,000m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사진기와 촬영 대상 사이의 거리를 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 사진기와 대상 사이의 직각삼각형을 생각해보자. 삼각형의 한 변은 사진의 가로 길이인 23cm이고, 다른 한 변은 사진기와 대상 사이의 거리이다. 또한, 이 삼각형에서 대각선인 사진기와 대상의 거리를 구하면 비행고도가 된다.

    삼각형의 높이를 구하기 위해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다.

    (23/2)^2 + h^2 = 15^2

    h^2 = 15^2 - (23/2)^2

    h ≈ 12.6cm

    따라서 사진기와 대상 사이의 거리는 12.6cm이다. 이제 이 거리와 대상의 면적을 이용하여 비행고도를 구할 수 있다.

    면적 = 거리^2 × 촬영각

    47,615km^2 = (0.126m)^2 × 촬영각

    촬영각 ≈ 0.0003 rad

    비행고도 = 대상의 높이 / tan(촬영각)

    비행고도 ≈ 4,500m

    따라서 정답은 "4,50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항공사진에서 지질, 토양, 수자원 및 삼림조사 등의 판독작업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사진은?

  1. 팬크로 사진
  2. 천연색 사진
  3. 적외선 사진
  4. 위색사진
(정답률: 알수없음)
  • 적외선 사진은 지질, 토양, 수자원 및 삼림조사 등의 판독작업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사진입니다. 이는 적외선 영역에서 촬영되어 지표면의 열적 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지질, 토양, 수자원 및 삼림 등의 특성을 뚜렷하게 보여줍니다. 따라서 이러한 분야에서는 적외선 사진이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항공사진의 투영법은?

  1. 중심투영(centeral projection)
  2. 등적투영(equal area projection)
  3. 평행투영(parallel projection)
  4. 정사투영(orthogonal projection)
(정답률: 알수없음)
  • 항공사진의 투영법은 중심투영(centeral projection)이다. 이는 카메라 렌즈와 지면 사이에 중심점을 두고, 지면의 각 점을 이 중심점을 통해 투영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지면의 형태를 왜곡시키지 않고, 거리에 따른 크기 차이를 적절히 반영할 수 있어 항공사진 촬영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한쌍의 항공사진을 좌우로 떼어 놓고 실체시 하는 경우 지면의 기복은 다음중 어느 것과 관계가 깊은가?

  1. 비고감이 커진다.
  2. 비고감이 적어진다.
  3. 지형과 동일하다.
  4. 대체로 바른모양으로 보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비고감이 커진다."

    이유: 항공사진을 실체화할 때 지면의 기복은 비행기와 지면 사이의 거리 차이로 인해 생기는데, 한쌍의 항공사진을 좌우로 떼어 놓으면 이 거리 차이가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기 때문에 비고감이 커지게 된다. 즉, 지면의 기복이 더욱 두드러지게 보이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안에 들어갈 알맞는 말은? (단, 보통각 사진의 화면거리는 210mm, 광각사진의 화면거리는 150mm 로 한다.)

  1. 크다, 크다
  2. 작다, 작다
  3. 크다, 작다
  4. 작다,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크다, 작다"이다.

    보통각 사진과 광각사진의 화면거리가 다르기 때문에, 동일한 크기의 물체를 찍었을 때 보여지는 크기가 다르다. 보통각 사진은 더 멀리서 찍은 것처럼 보이고, 광각사진은 더 가까이서 찍은 것처럼 보인다. 따라서, 보통각 사진에서는 물체가 작아 보이고, 광각사진에서는 물체가 크게 보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화면거리 153mm인 카메라로 촬영한 1/50,000축척의 항공사진을 C-계수가 1,200인 도화기로 작업을 할 때의 등고선의 최소 간격은?

  1. 6.4m
  2. 12.5m
  3. 14.5m
  4. 8.4m
(정답률: 알수없음)
  • 등고선의 최소 간격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최소 간격 = (C-계수 × 화면거리) ÷ 축척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최소 간격 = (1,200 × 153) ÷ 1/50,000
    = 183,600 ÷ 0.02
    = 9,180,000

    즉, 등고선의 최소 간격은 9,180,000m 입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6.4m가 정답으로 주어졌으므로, 이는 반올림한 값입니다. 따라서, 최소 간격을 6.4m로 반올림한 이유는 작업의 정확도를 고려한 결과일 것입니다. 9,180,000m는 너무나도 큰 값이므로, 작업자가 이를 다루기 어렵기 때문에 작업의 편의성과 정확도를 고려하여 최소 간격을 6.4m로 반올림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지형도를 제작하기 위한 항공사진의 축척을 결정할때 고려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항공사진의 크기
  2. 지형도의 축척
  3. 소요 정확도
  4. 사용 도화기의 성능
(정답률: 알수없음)
  • 항공사진의 크기는 축척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축척은 지형도의 정확도와 사용 도화기의 성능, 그리고 제작 목적에 따라 결정됩니다. 항공사진의 크기는 단지 제작에 필요한 이미지의 해상도와 저장 용량 등을 고려할 때 고려되는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사진면에 직교되는 광선과 중력선이 이루는 협각을 2등분 하여 사진면에 관통하는 점은?

  1. 연직점(nadir point)
  2. 중심점(principal point)
  3. 등각점(isocenter)
  4. 부점(floating point)
(정답률: 알수없음)
  • 사진면에 직교되는 광선과 중력선이 이루는 협각을 2등분하면, 그 중심점이 바로 등각점(isocenter)이 된다. 이는 방사선 치료나 진단용 X선 등에서 사용되는데, 이때 등각점은 방사선이 집중되는 지점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은 도화작업의 진행과정을 표시한 것이다. 맞는 것은 어느것인가?

  1. 상호표정 - 대지표정 - 평면 및 등고선 그리기 - 원도완성
  2. 대지표정 - 상호표정 - 평면 및 등고선 그리기 - 원도완성
  3. 상호표정 - 평면 및 등고선 그리기 - 대지표정 - 원도완성
  4. 대지표정 - 평면 및 등고선 그리기 - 상호표정 - 원도완성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상호표정 - 대지표정 - 평면 및 등고선 그리기 - 원도완성"이다.

    도화작업의 첫 단계는 상호표정으로, 이는 지도상의 모든 요소들이 서로 위치한 곳에 대해 정확하게 표시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이다. 다음으로는 대지표정으로, 이는 지도상의 모든 요소들이 실제 대지에서의 위치와 방향을 정확하게 표시하는 과정이다.

    이후에는 평면 및 등고선 그리기 단계로, 이는 지도상의 모든 요소들을 평면상에 정확하게 표시하고, 지형의 높낮이를 등고선으로 나타내는 과정이다. 마지막으로는 원도완성 단계로, 이는 지도상의 모든 요소들이 정확하게 위치하고, 등고선이 모두 그려진 상태에서 최종적으로 지도를 완성하는 과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하천의 1/2500 지형도를 작성코자 항공사진을 제작할 경우 촬영코스로서 적절한 것은?

  1. 동서방향 코스
  2. 하신에 일치하는 코스
  3. 자오선 방향의 코스
  4. 대체로 하천에 연한 절선상 코스
(정답률: 알수없음)
  • 하천의 지형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하천의 연안을 촬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대체로 하천에 연한 절선상 코스"가 적절한 촬영코스입니다. 이 코스는 하천의 연안을 따라 촬영하면서 지형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코스들은 하천의 지형을 파악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정확한 기준점 측량이 가능 하다면 1개 모델의 표정에 필요한 기준점의 최소수는?

  1. 평면기준점 2점, 표고기준점 2점
  2. 평면기준점 2점, 표고기준점 3점
  3. 평면기준점 4점, 표고기준점 4점
  4. 평면기준점 4점, 표고기준점 6점
(정답률: 알수없음)
  • 얼굴의 표정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얼굴의 형태와 위치가 변화하는 부분을 측정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얼굴의 기준점을 정확하게 측정해야 합니다.

    평면기준점은 얼굴의 평면을 나타내는 기준점이며, 표고기준점은 얼굴의 높이를 나타내는 기준점입니다.

    얼굴의 평면은 대개 눈썹, 눈, 코, 입의 위치를 기준으로 합니다. 따라서 평면기준점은 최소 2개가 필요합니다.

    얼굴의 높이는 대개 눈썹과 입의 위치를 기준으로 합니다. 하지만 얼굴의 표정에 따라 높이가 변화할 수 있으므로, 표고기준점은 최소 3개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확한 기준점 측량이 가능하다면 1개 모델의 표정에 필요한 기준점의 최소수는 "평면기준점 2점, 표고기준점 3점"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편위 수정 사진을 써서 시차 측정에 의하여 비고를 구하는 설명중 옳은 것은 어느 것인가?

  1. 표정할 경우의 기선은 주점 기선을 쓴다.
  2. 양사진의 주점의 표고가 다른 경우는 기선장을 보정한다.
  3. 사진의 기울기(ρ ,ω )를 조사하고, 기선장을 보정한다.
  4. 표정할 경우의 기선은 연직점을 이은선을 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표정할 경우의 기선은 연직점을 이은선을 쓴다." 이다.

    이유는 편위 수정 사진에서 시차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두 사진에서 같은 지점을 찾아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두 사진에서 같은 물체의 선분을 찾아내고, 그 선분이 교차하는 지점을 찾아내야 한다. 이때, 표정할 경우의 기선은 연직점을 이은 선으로 쓰는 것이 가장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는 표정할 경우에는 얼굴의 형태가 변하지 않기 때문에, 연직선을 기준으로 두 사진을 비교하면 더욱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화면거리가 153mm인 카메라의 경사가 3g일때 주점과 연직점과의 거리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7.21mm
  2. 9.44mm
  3. 8.49mm
  4. 10.42mm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정보로부터 카메라의 높이를 구해야 한다. 카메라의 높이는 경사와 화면거리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tan(경사) = 높이 / 화면거리

    높이 = tan(경사) x 화면거리

    여기에 주어진 값을 대입하면,

    높이 = tan(3) x 153 = 8.49mm

    이다. 이제 주점과 연직점과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이 거리는 높이와 경사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주점과 연직점과의 거리 = 높이 / tan(경사)

    여기에 위에서 구한 높이와 주어진 경사를 대입하면,

    주점과 연직점과의 거리 = 8.49 / tan(3) = 7.21mm

    따라서 정답은 "7.21m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중심점과 화면거리를 맞추는 작업은?

  1. 상호표정
  2. 내부표정
  3. 대지표정
  4. 접속표정
(정답률: 알수없음)
  • 중심점과 화면거리를 맞추는 작업은 "내부표정"이다. 이는 화면 속 인물의 감정이나 내면적인 상태를 표현하기 위해 중요한 작업이기 때문이다. 상호표정은 인물 간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것이고, 대지표정은 배경이나 환경의 감정을 나타내는 것이며, 접속표정은 인물과 뷰어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사선법의 중심과 특수 3점과의 관계를 설명한 내용중 옳지 않는 것은?

  1. 사진의 기울기가 3° 이내의 수직사진에는 사선의 중심으로 주점을 써도 좋다.
  2. 사진의 기울기가 3° 이상이고 지표면이 평평하면 등각점을 쓴다.
  3. 사진의 기울기가 3° 이상이고 지표면에 기복이 있으면 연직점을 쓴다.
  4. 기울기가 3° 이내라도 지표면의 기복이 촬영고도의 10~15% 이상일때는 주점을 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울기가 3° 이내라도 지표면의 기복이 촬영고도의 10~15% 이상일때는 주점을 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기울기가 3° 이내인 경우에는 수직사진이므로 사선의 중심으로 주점을 써도 좋다는 것이 맞다. 하지만 지표면의 기복이 촬영고도의 10~15% 이상인 경우에는 등각점이나 연직점을 쓰는 것이 더 적합하다. 이유는 지표면의 기복이 크면 사선의 중심으로 주점을 쓰면 수직성이 깨질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GIS 및 GPS

41. 표준줄자와 비교하여 5cm 긴 30m 줄자로 경사면을 측정한 결과 150m 이었다. 경사 보정량이 1m 일 때 두 지점의 고저차는?

  1. 15.43 m
  2. 16.57 m
  3. 17.33 m
  4. 19.42 m
(정답률: 알수없음)
  • 경사면을 측정할 때는 표준줄자를 사용해야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30m 줄자를 사용했다고 가정합니다. 따라서 경사 보정량을 고려해야 합니다.

    150m의 경사면을 측정했으므로, 실제 길이는 150m + 1m = 151m입니다. 이 길이를 30m 줄자로 측정한 것이므로, 실제 길이와 측정 길이의 비율을 구합니다.

    151m / 30m = 5.0333...

    즉, 1m의 경사 보정량을 고려했을 때 30m 줄자로 측정한 길이는 실제 길이의 5.0333... 배입니다.

    따라서 두 지점의 고저차는 150m * 5.0333... = 759.999...m입니다.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하면 760m이 됩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만 표시되어 있으므로, 정답은 760m를 44로 나눈 값인 17.33m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중 GIS자료를 입력하기 위한 컴퓨터 입력장비가 아닌것은?

  1. 디지타이저
  2. 스캐너
  3. 자동제도기
  4. 대화식 터미널
(정답률: 알수없음)
  • 자동제도기는 GIS자료를 입력하기 위한 컴퓨터 입력장비가 아닙니다. 자동제도기는 기계적으로 도면을 그리는 장비로, CAD(Computer-Aided Design)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디지타이저는 손으로 그린 지도나 도면을 디지털화하여 입력하는 장비이고, 스캐너는 이미지를 디지털화하여 입력하는 장비입니다. 대화식 터미널은 컴퓨터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입력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기선의 길이 800m를 측정한 지반의 평균표고가 20.6m이다. 이 기선을 평균해면상의 길이로 환산한 보정량은? (단, 지구의 반경은 6370km이다.)

  1. -0.16cm
  2. -0.26cm
  3. -0.36cm
  4. -0.46cm
(정답률: 알수없음)
  • 기선의 길이 800m를 지구의 곡률을 고려하여 평균해면상의 길이로 보정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지반의 평균표고와 지구의 반경을 이용하여 기선의 곡률을 계산해야 한다.

    기선의 곡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곡률 = (지반의 평균표고)^2 / (2 * 지구의 반경)

    = (20.6)^2 / (2 * 6370000)

    = 0.000000536

    따라서, 기선의 평균해면상의 길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평균해면상의 길이 = 기선의 길이 + (곡률 * 기선의 길이^2)

    = 800 + (0.000000536 * 800^2)

    = 800.00004288

    따라서, 기선을 평균해면상의 길이로 환산한 보정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보정량 = 평균해면상의 길이 - 기선의 길이

    = 800.00004288 - 800

    = 0.00004288

    = -0.26cm (소수점 이하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

    따라서, 정답은 "-0.26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P1 점의 평면직각좌표(x1, y1)와 좌표(S, T)가 다음과 같을때 P2 의 직각좌표는? (단, x축은 북, y축은 동, T는 x축으로부터 우회로 측정한 각이다.)

  1. x2 = -194.7m, y2 = 789.5m
  2. x2 = -39.8m, y2 = 556.2m
  3. x2 = -274.3m, y2 = 1901.9m
  4. x2 = -429.2m, y2 = 2135.2m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P1과 P2는 같은 위치에 있으므로, 두 점의 좌표는 같아야 한다. 따라서 P2의 좌표를 (x2, y2)라고 하면 다음의 두 식이 성립해야 한다.

    x2 = x1 + ST × sinθ

    y2 = y1 + ST × cosθ

    여기서 x1 = -623.5m, y1 = 1945.7m, ST = 2500m, θ = 135° 이므로,

    x2 = -623.5m + 2500m × sin135° ≈ -429.2m

    y2 = 1945.7m + 2500m × cos135° ≈ 2135.2m

    따라서 정답은 "x2 = -429.2m, y2 = 2135.2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공간좌표 또는 지리좌표와 관련된 도형 및 속성자료를 효율적으로 수집, 저장, 갱신 분석하기 위한 정보분석체계는?

  1. 도시 및 지역정보체계
  2. 지리정보체계
  3. 지도정보체계
  4. 측량정보체계
(정답률: 알수없음)
  • 지리정보체계는 공간좌표 또는 지리좌표와 관련된 도형 및 속성자료를 효율적으로 수집, 저장, 갱신 분석하기 위한 정보분석체계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지리정보체계와 관련이 있지만, 지리정보체계는 지리적인 정보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장 적합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우리나라 국가 수준점간의 등급별 평균거리는 얼마인가?

  1. 1등 4km, 2등 2km
  2. 1등 2km, 2등 4km
  3. 1등 10km, 2등 4km
  4. 1등 4km, 2등 10km
(정답률: 알수없음)
  • 국가 수준점간의 등급별 평균거리는 등급이 높을수록 가까워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1등과 2등 사이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것이 가장 높은 등급이므로, 1등 4km, 2등 2km이 정답이다. 다른 보기들은 1등과 2등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므로 등급이 낮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시거측량에서 트랜싯의 K와 C를 검사하기 위한 측량결과이다. 이때 K와 C의 값은 얼마인가?

  1. K = 100, C = 0
  2. K = 99.01, C = 0.79m
  3. K = 98.24, C = 0.65m
  4. K = 98.06, C = 0.66m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측량결과는 트랜싯의 기울기와 y절편을 나타내는 것이다. K는 기울기를 나타내며, 측정결과에서 K는 99.01이다. C는 y절편을 나타내며, 측정결과에서 C는 0.79m이다. 따라서 정답은 "K = 99.01, C = 0.79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그림과 같이 넓은 수면을 횡단하여 수준 측량을 하였을 경우 D점의 지반고는? (단, B,C의 측점은 수면과 같으며 A점의 지반고는 10m임)

  1. 8.4 m
  2. 9.7 m
  3. 10.0 m
  4. 10.1 m
(정답률: 알수없음)
  • D점의 지반고는 A점의 지반고와 D점의 측점 차이를 더한 값이다. A점의 지반고는 10m이고, D점의 측점은 0.7m이므로 D점의 지반고는 10m + 0.7m = 10.7m이다. 하지만 D점의 측점은 수면과의 차이이므로, 실제 D점의 지반고는 10.7m - 0.6m = 10.1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0.1 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자료기반의 형태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평면 구조
  2. 조직망 구조
  3. 계층 구조
  4. 입체 구조
(정답률: 알수없음)
  • 입체 구조는 3차원적인 형태를 가지며, 다른 세 가지 구조는 모두 2차원적인 형태를 가지므로 자료기반의 형태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구면삼각형의 면적이 250㎞2 이라면 이 삼각형의 구과량은 얼마인가? (단, 지구의 반경(R)은 6,400Km)

  1. 1.02″
  2. 1.25″
  3. 2.03″
  4. 4.59″
(정답률: 알수없음)
  • 구면삼각형의 면적과 구과량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구면삼각형의 면적 = 구면 삼각형이 차지하는 구의 표면적
    구과량 = 구면 삼각형이 차지하는 구의 부피

    따라서, 구면삼각형의 면적이 250㎞2 이므로, 이 삼각형이 차지하는 구의 표면적은 250㎞2 이다.

    구의 표면적과 반지름(R)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구의 표면적 = 4πR2

    따라서, 4πR2 = 250㎞2 이므로, R = √(250/4π) ≈ 3.16㎞ 이다.

    따라서, 이 삼각형이 차지하는 구의 부피는 다음과 같다.

    구의 부피 = (4/3)πR3 ≈ 1.25 × 1011

    지구의 반경(R)은 6,400Km 이므로, 구과량을 지구의 부피로 나누면 다음과 같다.

    구과량/지구의 부피 = (1.25 × 1011㎥) / (4/3)π(6,400Km)3 ≈ 1.25

    따라서, 정답은 "1.2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2차원 좌표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2차원 극좌표
  2. 원· 방사선 좌표
  3. 쌍곡선 좌표
  4. 구면좌표
(정답률: 알수없음)
  • 구면좌표는 3차원 공간에서 사용되는 좌표계이므로 2차원 좌표에 속하지 않습니다. 2차원 극좌표, 원·방사선 좌표, 쌍곡선 좌표는 모두 2차원 평면에서 사용되는 좌표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평판측량에서 도상거리 ℓ =10cm인 직선을 이용하여 지상측점(A)에서 측점(B)를 측설하려고 할 때 지상측점(B)에 대응하는 도상위치 b에서의 편심거리가 0.6mm였다. 이때 지상측점 B'에서 발생하는 편심거리는 얼마인가? (단, 도면의 축적은1/500, 기타 오차요인은 없는 것으로 가정)

  1. 50cm
  2. 60cm
  3. 20cm
  4. 30cm
(정답률: 알수없음)
  • 편심거리는 지상측점과 도상위치 사이의 수직거리를 말한다. 이 문제에서는 지상측점(A)과 측점(B) 사이의 거리가 10cm이고, 편심거리가 0.6mm이므로, 측점(B)의 도상위치 b는 10cm에서 0.6mm를 뺀 값인 9.94cm이 된다.

    이제 지상측점(B')에서의 편심거리를 구해야 한다.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지상측점(B')와 도상위치 b 사이의 거리를 구해야 한다. 이 거리는 지상측점(B')와 지상측점(B) 사이의 거리와 도상위치 b와 측점(B) 사이의 거리를 더한 값과 같다.

    지상측점(B')와 지상측점(B) 사이의 거리는 도면의 축적이 1/500이므로 10cm에 해당하는 0.02cm이다. 도상위치 b와 측점(B) 사이의 거리는 편심거리인 0.6mm이다. 따라서 지상측점(B')와 도상위치 b 사이의 거리는 0.02cm + 0.6mm = 0.62mm이 된다.

    마지막으로, 이 거리를 지상측점(B')와 도상위치 b 사이의 거리인 10cm에 대응하는 값으로 환산해야 한다. 이를 계산하면 0.62mm를 10cm로 나눈 값에 1을 곱한 후 1/500을 곱한 값인 0.0124cm가 된다. 이 값을 센티미터 단위로 환산하면 0.124cm이 되고, 이를 30으로 나눈 값이 0.00413cm가 된다. 따라서, 지상측점 B'에서 발생하는 편심거리는 0.00413cm 또는 0.0413m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30cm"이 아니라 "20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의 개방 traverse 에서 CD의 방위각을 계산하시오.

  1. 230°
  2. 150°
  3. 330°
  4. 255°
(정답률: 알수없음)
  • CD의 방위각은 150°이다.

    이유는 개방 traverse에서는 각 꼭짓점에서 시작하는 선분의 방위각을 계산하여 다음 꼭짓점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A에서 B로 이동할 때 방위각은 230°이고, B에서 C로 이동할 때 방위각은 330°이다.

    그리고 C에서 D로 이동할 때는 방위각이 150°이므로, CD의 방위각은 150°이다.

    마지막으로, D에서 E로 이동할 때 방위각은 255°이다.

    따라서, 정답은 "1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의 삼변측량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삼각점의 위치를 변장측량법을 이용하면 대삼각망의 기선장을 간접측량하기 때문에 기선삼각망의 확대가 필요없다.
  2. 변장만을 측정하여 삼각망(삼변측량)을 구성할 수 있다.
  3. 수평각을 대신하여 삼각형의 변장을 직접 관측하여 삼각점의 위치를 정하는 측량이다.
  4. 삼각망 조정법의 기본원리는 삼각망의 도형이 단 한 개로 확정될 수 있게 기하학적 조건을 만족시키는데는 변함이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삼각점의 위치를 변장측량법을 이용하면 대삼각망의 기선장을 간접측량하기 때문에 기선삼각망의 확대가 필요없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다. 변장측량법은 대삼각망의 기선장을 간접측량하는 방법이지만, 기선삼각망의 확대가 필요하지 않다는 것은 옳지 않다. 대삼각망의 기선장을 간접측량하기 위해서는 기선삼각망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기선삼각망의 확대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1/50,000 지형도에서 600m등고선과 300m등고선의 사이에 그려지는 주곡선의 수는? (단, 계곡선은 주곡선으로 생각함)

  1. 29개
  2. 19개
  3. 14개
  4. 11개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50m에 대하여 표준자 길이보다 3.2mm늘어난(伸)강철 tape로 300m를 측정 하였다. 이때 정확한 거리는?

  1. 299.9808m
  2. 299.808m
  3. 300.0192m
  4. 300.192m
(정답률: 알수없음)
  • 강철 tape는 표준자 길이보다 3.2mm 늘어난 길이를 측정한다고 했으므로, 300m를 측정한 것은 실제 거리보다 300 × 3.2mm = 960mm = 0.96m 더 측정한 것이다. 따라서 정확한 거리는 300m - 0.96m = 299.04m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이 값을 반올림하여 소수점 넷째자리에서 반올림한 299.9808m 와, 이 값을 1000으로 나눈 값에 300을 더한 299.808m, 그리고 이 값을 1000으로 나눈 값에 1000을 곱한 후 300을 더한 300.192m 이라는 오답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정답은 299.04m 에서 0.0192m 만큼 더한 300.0192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GPS측량의 체계구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사용자부분
  2. 우주부분
  3. 제어부분
  4. 신호부분
(정답률: 알수없음)
  • GPS측량의 체계구성은 사용자부분, 우주부분, 제어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신호부분은 GPS측량에서 사용되는 신호와 관련된 부분이지만, 체계구성에 해당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삼각망 중에서 조건식의 수가 가장 많으며 정확도가 가장 높은 것은 어느 것인가?

  1. 사변형망
  2. 단열삼각망
  3. 유심다각망
  4. 육각형망
(정답률: 알수없음)
  • 사변형망이 조건식의 수가 가장 많으며 정확도가 가장 높습니다. 이는 사변형망이 다른 삼각망에 비해 더 많은 꼭짓점과 변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사변형망은 각 변의 길이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더 다양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들이 조건식의 수를 늘리고, 정확도를 높이는데 기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수평표척을 이용한 간접거리측량시 수평거리(D)의 계산방법은? (여기서, α : 관측된 사이 각, ℓ : 표척길이)

  1. D=(ℓ/2)sin(α/2)
  2. D=(ℓ/2)cos(α/2)
  3. D=(ℓ/2)tan(α/2)
  4. D=(ℓ/2)cot(α/2)
(정답률: 알수없음)
  • 수평표척을 이용한 간접거리측량에서, 수평거리(D)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D = (ℓ/2) cot(α/2)

    여기서, α는 관측된 사이 각이고, ℓ은 표척길이입니다.

    이 식의 유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수평표척을 이용한 간접거리측량에서는 수평거리(D)와 수직거리(h)를 측정합니다. 이때, 수평거리와 수직거리는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집니다.

    h = (ℓ/2) tan(α/2)

    여기서, tan(α/2)는 사이 각의 절반각의 탄젠트 값입니다.

    따라서, 수평거리(D)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D = √(h^2 + (ℓ/2)^2)

    = √((ℓ/2)^2 tan^2(α/2) + (ℓ/2)^2)

    = (ℓ/2) √(tan^2(α/2) + 1)

    = (ℓ/2) cot(α/2)

    여기서, cot(α/2)는 사이 각의 절반각의 코탄젠트 값입니다.

    따라서, D = (ℓ/2) cot(α/2)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100m2인 정방형의 토지를 0.1m2까지 정확히 구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1변의 길이는 어느 정도까지 정확하게 관측하여야 하는가?

  1. 4mm
  2. 5mm
  3. 10mm
  4. 12mm
(정답률: 알수없음)
  • 면적의 정확도는 변의 길이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변의 길이를 10배로 측정하면 면적의 정확도는 100배가 된다. 따라서, 1변의 길이를 1m에서 0.1m까지 10단계로 나누어 측정하면 면적의 정확도는 10000배가 된다. 따라서, 1변의 길이를 0.1m/10 = 0.01m = 10mm까지 정확하게 측정하여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5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측량학

61. 기본측량실시로 인한 손실보상의 협의 대상자는?

  1. 건설교통부장관과 국립지리원장
  2. 국립지리원장과 손실을 받은자
  3. 측량계획기관과 국립지리원장
  4. 손실을 받은자와 측량계획기관
(정답률: 알수없음)
  • 기본측량실시로 인한 손실보상은 국가의 책임이기 때문에, 보상의 협의 대상자는 국립지리원장과 손실을 받은 자입니다. 건설교통부장관이나 측량계획기관은 보상 협의 대상자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지형도상에 표시하는 사항중 바다와 연하는 해안수애선 표시는 어느 시기를 기준으로 하는가?

  1. 간조시의 수애선
  2. 만조시의 수애선
  3. 평균 해수면의 수애선
  4. 측량당시의 수애선
(정답률: 10%)
  • 바다와 연하는 해안수애선은 만조시의 수애선을 기준으로 표시합니다. 이는 만조시에는 바다가 가장 높은 수위에 있기 때문에, 만조시의 수애선을 기준으로 하면 해안과 바다의 경계를 가장 명확하게 표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만조시의 수애선"이 정답입니다. "간조시의 수애선"은 바다가 가장 낮은 수위에 있을 때의 수애선을 의미하며, "평균 해수면의 수애선"은 일정 기간 동안의 해수면 평균 수위를 기준으로 한 수애선을 의미합니다. "측량당시의 수애선"은 해당 지형을 측량할 때의 수애선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측량법의 규정에 따라 공공측량 및 일반측량에서 제외되는 측량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지적법에 의한 지적측량
  2. 수로업무법에 의한 수로측량
  3. 국지적 측량으로서 건설교통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측량
  4. 도시계획 측량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도시계획 측량"입니다.

    도시계획 측량은 측량법의 규정에 따라 공공측량 및 일반측량에서 제외되는 측량 중 하나입니다. 이유는 도시계획 측량은 도시계획에 필요한 지리적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인 부동산 거래나 건설 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도시계획 측량은 도시계획 관련 기관에서 수행하며, 일반적인 측량과는 별도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공공측량으로 지정할 수 있는 일반측량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측량노선의 길이가 5km 이상인 수준측량
  2. 측량실시 지역의 면적이 500m2 이상인 삼각측량
  3. 촬영지역의 면적이 1km2 이상인 측량용 사진의 촬영
  4. 측량노선의 길이가 1km 이상인 다각측량
(정답률: 알수없음)
  • 공공측량으로 지정할 수 있는 일반측량은 측량실시 지역의 면적이 500m2 이상인 삼각측량과 촬영지역의 면적이 1km2 이상인 측량용 사진의 촬영입니다. 이 중에서 촬영지역의 면적이 1km2 이상인 측량용 사진의 촬영이 공공측량으로 지정될 수 있는 이유는, 이를 통해 대규모 지역의 지형과 건물 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즉, 대규모 지역의 측량에 적합하며, 공공적인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기본측량을 실시함에 있어서 타인의 토지를 일시 사용할 수 있는 경우는?

  1. 임시설치 표지를 설치하기 위하여 필요할 때
  2. 영구표지를 설치하기 위하여 필요할 때
  3. 일시표지를 설치하기 위하여 필요할 때
  4. 토지의 소유자 또는 점유자를 알수 있을 때
(정답률: 알수없음)
  • 임시설치 표지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일시적으로 타인의 토지를 사용해야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기본측량을 실시할 수 있습니다. 다른 선택지들은 토지의 소유자나 점유자를 알고 있거나, 영구표지나 일시표지를 설치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에만 기본측량을 실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기본측량에 관한 설명 중 가장 옳은 것은?

  1. 기본측량은 국가기관에서 시행하는 것이다.
  2. 기본측량은 국가기관 또는 공공단체에서 시행하는 것이다.
  3. 기본측량은 개인이 시행할 수도 있다.
  4. 기본측량은 국립지리원만이 시행하는 것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기본측량은 국가기관 또는 공공단체에서 시행하는 것이다.

    설명: 기본측량은 국가기관 또는 공공단체에서 시행하는 것으로, 국립지리원뿐만 아니라 지자체나 공공기관에서도 시행할 수 있다. 기본측량은 국가의 기초적인 지리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국립지리원이 발행하는 지도의 축척이 아닌 것은?

  1. 1/25,000
  2. 1/2,500
  3. 1/1,500
  4. 1/1,000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1/1,500"입니다. 국립지리원이 발행하는 지도의 축척은 일반적으로 크게 나누어 "1/25,000", "1/2,500", "1/1,000" 세 가지로 구분됩니다. "1/1,500"은 국립지리원이 발행하는 지도의 축척이 아니며, 일반적으로는 사용되지 않는 축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기본측량에 관한 장기 계획은 누가 수립하는가?

  1. 건설교통부장관
  2. 국립지리원장
  3. 서울특별시장, 광역시장, 도지사
  4. 시장, 군수
(정답률: 알수없음)
  • 기본측량은 건설과 관련된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건설교통부장관이 수립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국립지리원장은 지리정보와 관련된 업무를 담당하며, 지리정보와 기본측량은 관련이 있지만 직접적으로 기본측량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는다. 서울특별시장, 광역시장, 도지사, 시장, 군수는 지방자치단체의 수장으로서 지역사회의 발전과 관련된 업무를 담당하지만, 기본측량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1:50,000 지형도의 도곽 구성으로 옳은 것은?

  1. 경도차 15', 위도차 15'
  2. 경도차 7' 30", 위도차 7' 30"
  3. 경도차 1' 30", 위도차 1' 30"
  4. 경도차 1° 45', 위도차 15°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경도차 15', 위도차 15'" 이다.

    1:50,000 지형도는 1cm가 500m를 나타내는 지도이다. 따라서 1cm를 500m로 나눈 값인 0.01cm가 50m를 나타낸다.

    도곽은 지형의 높낮이를 나타내는 선으로, 높은 지형일수록 더 진하게 그려진다. 이 때, 도곽 간의 간격은 지형의 경사도에 따라 결정된다.

    1:50,000 지형도에서 도곽 간의 간격은 보통 15m이다. 이를 지도의 크기에 맞게 환산하면 0.3mm이 된다. 따라서, 도곽의 간격을 나타내는 경도차와 위도차는 모두 15'이 된다. (1'는 1분을 나타내며, 1분은 1도를 60등분한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우리나라 수준원점의 소재지는?

  1. 서울
  2. 인천
  3. 수원
  4. 부산
(정답률: 알수없음)
  • 우리나라 수준원점은 인천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는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위치이며, 인천은 해외와의 교류와 물류 중심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인천은 수도권과 가까운 위치에 있어 교통의 편리성도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측량기술자가 측량협회의 회원이 되는 시점은?

  1. 측량업에 종사후 1년후 부터
  2. 측량기술자의 자유의사에 의해
  3. 국가기술자격을 받은 날로 부터
  4. 협회의 정관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기술자가 측량협회의 회원이 되는 시점은 협회의 정관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이다. 이는 각 측량협회마다 회원 자격에 대한 기준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측량기술자가 회원 자격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해당 측량협회의 정관을 확인하고 그에 따라 자격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과태료 처분에 불복이 있는자는 그 처분이 있음을 안 날로부터 며칠이내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는가? (단, 측량법에 의한다.)

  1. 15일
  2. 20일
  3. 25일
  4. 30일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법 제44조에 따르면, 과태료 처분에 대한 이의제기 기간은 "안 날로부터 30일" 이다. 따라서 정답은 30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1:5,000지형도 도식적용규정 상에서 도로의 실폭을 축척화 하여 표현할 수 있는 도로의 폭원을 규정하고 있다. 맞는 것은?

  1. 2.5m 이상
  2. 3.0m 이상
  3. 3.5m 이상
  4. 4.0m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1:5,000지형도 도식적용규정에서는 도로의 실폭을 축척화하여 표현하는데, 이때 도로의 폭원은 최소한 2.5m 이상이어야 하며, 보통은 3.0m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는 도로의 안전성과 통행의 용이성을 고려한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3.0m 이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지도의 외도곽에 표시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도엽명
  2. 범례
  3. 축척
  4. 좌표
(정답률: 알수없음)
  • 지도의 외도곽에 표시하는 사항은 도엽명, 범례, 축척이 포함됩니다. 하지만 좌표는 지도상의 특정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로, 외도곽에 표시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좌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기본측량의 성과를 사용하여 지도를 간행하고자 하는 경우 지도에 명시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측량기술자 명단
  2. 사용한 측량성과의 정확도
  3. 사용한 측량 성과
  4. 측량 기록의 종류
(정답률: 알수없음)
  • 지도에 명시할 사항은 사용한 측량성과의 정확도와 사용한 측량 성과, 그리고 측량 기록의 종류입니다. 측량기술자 명단은 지도에 명시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공공측량의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일반측량의 측량성과를 기초로하여 실시한다.
  2. 기본측량 또는 다른 공공측량의 측량성과를 기초로 하여 실시한다.
  3. 기본측량의 측량성과만을 기초로 하여 실시한다.
  4. 일반측량, 기본측량 또는 다른 공공측량의 측량성과를 기초로하여 실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공공측량은 기본측량 또는 다른 공공측량의 측량성과를 기초로 하여 실시합니다. 이는 공공측량이 일반측량과는 다른 목적과 기준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공공측량의 기준은 기본측량 또는 다른 공공측량의 측량성과를 기초로 하여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토지 수용법상에서의 기업자(起業者)라 함은 다음 중 누구를 말하는가?

  1. 토지에 있는 물건에 관하여 소유권 기타의 권리를 가진 자
  2. 수용 또는 사용할 토지의 소유자
  3. 토지에 관한 소유권 이외의 권리를 가진 자
  4. 토지의 수용 또는 사용을 필요로 하는 공익사업을 행하는 자
(정답률: 알수없음)
  • 토지 수용법상에서의 기업자는 "토지의 수용 또는 사용을 필요로 하는 공익사업을 행하는 자"를 말합니다. 이는 공공적인 목적으로 토지를 사용하거나 수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 해당 공익사업을 수행하는 자가 기업자가 됩니다. 예를 들어, 도로 건설, 공원 조성, 수력발전소 건설 등의 공공사업을 수행하는 경우 해당 기업자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측량업자는 당해 측량용역기간중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측량기술자를 용역현장에 배치하여야 하는데 이때 공공측량용역의 경우 배치기준으로 옳은 것은?

  1. 고급기술자 1인이상
  2. 중급기술자 1인이상
  3. 특급기술자 1인이상
  4. 초급기술자 1인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공공측량용역은 대개 규모가 크고 복잡한 특성을 가지므로, 측량기술자의 역량과 경험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측량업자는 측량기술자를 용역현장에 배치할 때, 중급기술자 1인 이상을 배치해야 합니다. 이는 측량기술자의 역량과 경험을 충분히 갖춘 인력을 배치하여, 정확하고 신뢰성 높은 측량결과를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측량협회의 설립목적으로 틀린 것은?

  1. 측량기술자 및 측량업자의 품위보전
  2. 측량업의 관리
  3. 측량에 관한 기술의 향상에 기여
  4. 측량제도의 건전한 발전에 기여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업의 관리"가 틀린 것이다. 측량협회의 설립목적은 측량기술자 및 측량업자의 품위보전, 측량에 관한 기술의 향상에 기여, 측량제도의 건전한 발전에 기여하는 것이다. 즉, 측량업의 관리보다는 측량기술과 제도의 발전에 초점을 둔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토지 수용 위원회의 재결 사항이 아닌 것은?

  1. 수용 또는 사용할 토지의 구역 및 사용방법
  2. 손해 배상에 대한 처벌
  3. 수용 또는 사용 시기와 기간
  4. 손실의 보상
(정답률: 알수없음)
  • 토지 수용 위원회는 토지 수용 및 사용과 관련된 사항을 심의하고 결정하는 기관이다. 따라서 "손해 배상에 대한 처벌"은 토지 수용 위원회의 재결 사항이 아니다. 이는 손해 배상을 청구하는 당사자가 소송을 제기하여 법원에서 판결을 받아야 하는 사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