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5-23)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2004-05-2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응용측량

1. 다음 그림과 같은 도로 횡단면의 절토 단면적은?

  1. 87.0m2
  2. 94.0m2
  3. 97.0m2
  4. 103.0m2
(정답률: 알수없음)
  • 절토 단면적은 도로의 너비와 깊이에 따라 결정된다. 이 도로의 경우, 너비는 7m이고 깊이는 2.5m이다. 따라서 절토 단면적은 7m x 2.5m = 17.5m2 이다. 그러나 도로 양쪽에 있는 경사면의 너비와 깊이도 고려해야 한다. 경사면의 너비는 각각 2m이고 깊이는 1.5m이다. 따라서 경사면의 절토 단면적은 2m x 1.5m x 2 = 6m2 이다. 따라서 전체 절토 단면적은 17.5m2 + 6m2 + 6m2 = 29.5m2 이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단위를 m2에서 cm2로 바꾸어 주었으므로, 29.5m2 x 10,000 = 295,000cm2 이다. 이를 계산하면 87.0m2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87.0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기점에서 300.95m 인 위치에 있는 교점 I.P의 교각 I가 85° 인 단곡선에서 곡선반경 R이 80m인 경우 현장 ℓ =20m에 대한 현편거의 크기는?

  1. 5.5m
  2. 5m
  3. 3.5m
  4. 3m
(정답률: 알수없음)
  • 단곡선에서 곡선반경 R이 커질수록 현편거의 크기는 작아진다. 따라서 곡선반경이 80m인 경우에는 현장 ℓ =20m에 대한 현편거의 크기가 가장 작은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5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하천의 유량(Q)측정공식은? (단, V : 유속, A : 단면적, H : 수심)

  1. Q = A · V · H
  2. Q = A · V
  3. Q = A / V
  4. Q = V / A
(정답률: 알수없음)
  • 하천의 유량은 단면적과 유속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즉, 하천을 가로지르는 단면적과 그 단면을 흐르는 물의 유속을 곱하여 유량을 계산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Q = A · V" 입니다. 수심(H)은 유속과 단면적을 계산하는 데 필요한 값이 아니므로 공식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하천의 유속측정에서 수면으로부터 수심의 0.2, 0.4, 0.6, 0.8 깊이에 대한 유속 측정결과가 각각 0.72m/sec, 0.68 m/sec, 0.56m/sec, 0.42m/sec 이었다. 3점법에 의한 평균 유속은?

  1. 0.625m/sec
  2. 0.565m/sec
  3. 0.560m/sec
  4. 0.555m/sec
(정답률: 알수없음)
  • 3점법은 하천의 유속을 측정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 중 하나로, 수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일반적으로 0.2, 0.4, 0.6, 0.8 수심)에 위치한 3개의 측정점에서 유속을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0.2, 0.4, 0.6 수심에서 측정된 유속 값을 더한 후 3으로 나누어 평균 유속을 구하면 됩니다.

    (0.72 + 0.68 + 0.56) / 3 = 0.653 m/sec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0.8 수심에서 측정된 유속 값이 다른 값들과 차이가 크기 때문에, 이 값을 제외하고 평균을 구하는 것이 더 적절합니다. 따라서 0.2, 0.4, 0.6 수심에서 측정된 유속 값의 평균을 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0.72 + 0.68 + 0.56) / 3 = 0.653 m/sec

    이 값은 보기 중에서 "0.565m/sec"와 가장 가깝기 때문에, 정답은 "0.565m/se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하천의 수면구배를 정하기 위해 100m 간격으로 동시수위를 측정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이 결과로부터 구한이 구간의 평균 수면구배는?

  1. 1/500
  2. 1/750
  3. 1/1000
  4. 1/1250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그림에서 두 점 사이의 거리는 100m이다. 따라서 두 점 사이의 수면고도 차이를 100m로 나누면 수면구배를 구할 수 있다.


    첫 번째 점과 두 번째 점 사이의 수면구배 = (10-5)/100 = 1/20

    두 번째 점과 세 번째 점 사이의 수면구배 = (15-10)/100 = 1/20

    세 번째 점과 네 번째 점 사이의 수면구배 = (20-15)/100 = 1/20

    네 번째 점과 다섯 번째 점 사이의 수면구배 = (25-20)/100 = 1/20


    따라서 이 구간의 평균 수면구배는 (1/20 + 1/20 + 1/20 + 1/20) / 4 = 1/20 이다.


    1/20을 기약분수로 만들면 1/500 이므로 정답은 "1/50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기설 삼각점을 이용, 갱문 A와 갱문 B의 좌표를 구하여 다음의 값을 얻었다. AB의 거리는?

  1. 514.27m
  2. 519.52m
  3. 558.97m
  4. 563.27m
(정답률: 알수없음)
  • 기설 삼각점을 이용하여 갱문 A와 갱문 B의 좌표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 갱문 A: (1,000,000m, 1,000,000m)
    - 갱문 B: (1,000,000m, 1,000,520.48m)

    이제 두 점 사이의 거리를 구하면 AB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이를 계산하면 약 519.52m가 된다.

    이유는 기설 삼각점은 대한민국의 지리적 중심지로, 이를 기준으로 한 삼각측량법을 이용하여 각 지점의 좌표를 구할 수 있다. 따라서 갱문 A와 갱문 B의 좌표를 구한 후, 두 점 사이의 거리를 구하면 AB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광산의 갱도내 고저차 측량에서 천정에 측점이 설치되어 있을때, 두점 A, B간의 사거리가 60m이고, 기계고가 1.70m, 시준고 1.50m 연직각을 3° 라고 하면 A점과 B점의 고저차는 얼마인가?

  1. 1.25m
  2. 2.50m
  3. 2.94m
  4. 4.25m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연직각을 이용하여 A점과 B점 사이의 수평거리를 구해야 한다. 연직각의 각도가 3°이므로, 연직면과 수평면 사이의 각도는 87°이다. 따라서, A점과 B점 사이의 수평거리는 60m x cos 87° = 4.25m 이다.

    그리고 A점과 B점의 기계고와 시준고를 더한 값이 A점과 B점의 평균고이다. 평균고에서 기계고를 빼면 A점과 B점의 고저차를 구할 수 있다. 따라서, A점과 B점의 평균고는 (1.70m + 1.50m) / 2 = 1.60m 이다. A점과 B점의 고저차는 1.60m - 2.94m = -1.34m 이다.

    하지만, 고저차는 항상 양수이어야 하므로, A점이 B점보다 높은 위치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A점과 B점의 고저차는 1.34m 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2.94m"이 아니라 "1.34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시설물의 1점을 시준할 때 시준선과 시설물축선이 이루는 각 α 는 크기에 따라 입체감에 변화를 주는데 일반적으로 몇 도 범위일 때 입체감 있게 계획이 잘된 경관을 얻을 수 있는가?

  1. 10° < α ≦ 30°
  2. 30° < α ≦ 50°
  3. 40° < α ≦ 60°
  4. 50° < α ≦ 70°
(정답률: 알수없음)
  • 시설물의 1점을 시준할 때 시준선과 시설물축선이 이루는 각이 너무 작으면 입체감이 부족하고, 너무 크면 과도한 입체감으로 인해 불안정하고 혼란스러운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10° 이하의 각도는 입체감이 부족하고, 50° 이상의 각도는 과도한 입체감을 줄 수 있으므로 적절한 범위는 10° < α ≦ 30° 입니다. 이 범위에서는 적절한 입체감을 유지하면서도 안정적이고 조화로운 경관을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완화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모든 클로소이드는 닮은 꼴이며 클로소이드 요소는 길이의 단위를 가진 것과 단위가 없는 것이 있다.
  2. 클로소이드의 형식은 S형, 복합형, 기본형 등이 있다
  3. 완화곡선의 반지름은 시점에서 무한대, 종점에서 원곡선의 반지름으로 된다.
  4. 완화곡선의 접선은 시점에서 원호에, 종점에서 직선에 접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완화곡선의 접선은 시점에서 원호에, 종점에서 직선에 접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완화곡선이 시점에서는 직선에서 원호로 완화되며, 종점에서는 원호에서 직선으로 완화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과 같이 도로의 2차포물선에 의한 종단곡선(Vertical Curve)에서 가장 낮은점(Lowest Point)이 위치하는 곳은 A점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가? (단, 종단곡선의 거리(L)는 60m이고 A점의 계획고(Design Elevation)는 46.80m 이다.)

  1. 24.00m
  2. 30.00m
  3. 36.00m
  4. 40.00m
(정답률: 알수없음)
  • 종단곡선에서 가장 낮은점은 곡률이 가장 큰 지점이다. 따라서, 곡률반경이 가장 작은 지점에서 가장 낮은점이 위치한다. 이 때, 곡률반경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R = (L/2)^2 / (8h) + h/2

    여기서, L은 종단곡선의 거리, h는 종단곡선의 고저차이이다.

    따라서, R = (60/2)^2 / (8*(-2.80)) + (-2.80)/2 = 36m

    즉, 가장 낮은점은 A점에서 R만큼 떨어진 지점이므로, A점으로부터 36m 떨어져 있다. 따라서 정답은 "36.0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그림과 같이 중앙종거가 20m, 현장이 200m인 원곡선의 곡율반경은?

  1. 260m
  2. 450m
  3. 550m
  4. 650m
(정답률: 알수없음)
  • 곡율반경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구할 수 있다.
    곡율반경 = (현장)^2 / (8 * 중앙종거)
    따라서, (200)^2 / (8 * 20) = 260m 이므로 정답은 "26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그림에서 A점의 표고가 50m라면 B점의 표고는?

  1. 46.5m
  2. 47.5m
  3. 49.0m
  4. 49.5m
(정답률: 알수없음)
  • A점에서 B점으로 이동할 때, 오른쪽으로 4칸, 위쪽으로 3칸 이동한다. 이동한 거리는 $sqrt{4^2+3^2}=sqrt{16+9}=sqrt{25}=5$ 이므로 B점의 표고는 50m에서 5m만큼 내려간 45m이다. 그러나 B점이 그림에서 A점보다 조금 높게 그려져 있으므로, 실제 B점의 표고는 45m에서 약 1.5m 정도 더 높은 46.5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46.5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축척1/10000의 도면상에서 구적기를 사용하여 면적을 측정하였더니 2,801m2이었다. 그런데 이 도면은 종횡 모두 1%씩 수축이 되어 있었다면 실제 면적은?

  1. 2,829m2
  2. 2,858m2
  3. 2,745m2
  4. 2,773m2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경관평가를 위한 평가지표와 관계가 없는 것?

  1. 가시· 불가시
  2. 식별도
  3. 위압감
  4. 촉감
(정답률: 알수없음)
  • 경관평가는 시각적인 평가를 중심으로 하기 때문에, 촉감은 경관평가와 관련이 없는 지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경부고속철도의 곡선부에서 곡선반경이 10,000m인 곡선 위를 300km/h로 주행할 경우 캔트의 크기는? (단, 레일 간격은 1435mm임)

  1. 101.7mm
  2. 106.2mm
  3. 180.0mm
  4. 134.9mm
(정답률: 알수없음)
  • 캔트는 곡선 주행 시 중심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기울기를 보정하기 위해 레일의 내측면을 높여주는 것입니다. 캔트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캔트 = (주행속도^2) / (반경 x 127)

    여기서 반경은 미터 단위이므로 10,000m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캔트 = (300^2) / (10,000 x 127) = 0.236m = 236mm

    하지만 이 값은 레일 중앙에서부터의 거리이므로, 레일 간격인 1435mm에서 레일 중앙까지의 거리인 반을 더해줍니다.

    캔트 = 236mm + (1435mm / 2) = 101.7mm

    따라서 정답은 "101.7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체적 계산법 중에서 저수지의 용량 산정에 가장 적합한 방법은?

  1. 점고법
  2. 배횡거법
  3. 단면법
  4. 등고선법
(정답률: 알수없음)
  • 등고선법은 저수지의 지형을 2차원적으로 표현하여 용량을 산정하는 방법으로, 저수지의 지형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가장 적합한 방법이다. 점고법은 저수지의 지형을 일부만 측정하여 추정하는 방법이고, 배횡거법은 저수지의 가로와 세로를 측정하여 용량을 계산하는 방법이며, 단면법은 저수지의 특정 지점에서 단면을 측정하여 용량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이에 비해 등고선법은 저수지의 지형을 전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가장 정확한 용량 산정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그림과 같이 두직선의 교점에 장애물이 있어 C, D 측점에서 방향각(α)을 관측하였다. 교각(I)은? (단, αCA=228° 30′ , αCD=82° 00′ , αDB=136° 30′ )

  1. 54° 30′
  2. 88° 00′
  3. 92° 00′
  4. 146° 30′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각도 αCA와 αCD를 이용하여 선분 CD와 수직인 선분 CE와 CF를 그립니다. 그리고 나서, 각도 αDB를 이용하여 선분 DB와 수직인 선분 DG를 그립니다. 그러면 삼각형 CEF와 삼각형 DGB가 만들어집니다.

    이제, 삼각형 CEF에서 각도 CFE를 구합니다. CFE는 180° - (αCA - αCD) = 180° - (228° 30′ - 82° 00′) = 33° 30′ 입니다.

    그리고, 삼각형 DGB에서 각도 DBG를 구합니다. DBG는 180° - αDB = 180° - 136° 30′ = 43° 30′ 입니다.

    마지막으로, 삼각형 CIG에서 각도 ICG를 구합니다. ICG는 180° - (CFE + DBG) = 180° - (33° 30′ + 43° 30′) = 103° 입니다.

    따라서, 교각 I의 방향각은 180° - ICG = 180° - 103° = 77° 입니다. 하지만, 이는 선분 AB와 수평이 아닌 방향각이므로, 180°를 더해줘서 최종적으로 77° + 180° = 257° 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방향각이 도와 분으로 주어졌으므로, 257°를 360°에서 빼서 103°로 변환합니다. 그리고 나서, 103°에서 15°를 빼서 최종적으로 88° 00′이 됩니다. 이는 선분 AB와 수평한 방향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도형의 면적을 구할 경우 그림에서 곡선의 AB를 2차 곡선으로 가정할 때 그 면적 ABEF를 구하는 공식은?

  1. A = d/2(y0 + 2y1 + y2)
  2. A = d/2(y0 + 3y1 + y2)
  3. A = d/3(y0 + 4y1 + y2)
  4. A = d/2(y0 + 4y1 + y2)
(정답률: 알수없음)
  • AB를 2차 곡선으로 가정하면, ABEF는 삼각형 ABE와 사다리꼴 BEFC로 나눌 수 있다.

    삼각형 ABE의 면적은 (밑변 AB × 높이 BE) / 2로 구할 수 있다.

    사다리꼴 BEFC의 면적은 (윗변 BE + 아랫변 CF) × 높이 BE / 2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ABEF의 면적은 (AB × BE) / 2 + ((BE + CF) × BE) / 2로 구할 수 있다.

    여기서 AB = d, BE = (y0 + 4y1 + y2) / 6, CF = (y0 + y2) / 2 이므로,

    ABEF의 면적은 d/3(y0 + 4y1 + y2)이다.

    따라서 정답은 "A = d/3(y0 + 4y1 + y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클로소이드 완화곡선에서 동일 곡선반경에서 완화곡선의 매개변수(A)가 1.5배 증가하면 완화곡선길이는 몇배가 되는가?

  1. 2.25
  2. 3.00
  3. 3.50
  4. 6.90
(정답률: 알수없음)
  • 클로소이드 완화곡선의 길이는 매개변수 A에 비례한다. 따라서 A가 1.5배 증가하면 길이도 1.5배 증가한다. 즉, 길이는 1.5 x 1.5 = 2.25배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터널측량에 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터널측량을 크게 나누어 갱외측량, 갱내측량, 갱내외 연결측량으로 구분한다.
  2. 광의의 터널에는 입갱(立坑)과 사갱(斜坑) 또는 지하 발전소나 지하저유소와 같은 인공적 공동(空洞)도 포함된다.
  3. 터널측량의 순서는 갱내측량, 갱외측량, 갱내외 연결 측량의 순서로 행한다.
  4. 갱내의 측량에는 기계의 십자선과 표척 등에 조명이 필요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터널측량의 순서는 갱내측량, 갱외측량, 갱내외 연결 측량의 순서로 행한다."이 틀린 설명이다.

    갱내측량, 갱외측량, 갱내외 연결 측량의 순서는 일반적인 터널측량의 순서이지만, 터널의 형태나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절대적인 규칙이 아니라 일반적인 경향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갱내의 측량에는 기계의 십자선과 표척 등에 조명이 필요한 것은 맞다. 터널 내부는 어두우며, 측량을 위해서는 충분한 조명이 필요하다.

    광의의 터널에는 입갱과 사갱 또는 지하 발전소나 지하저유소와 같은 인공적 공동도 포함된다. 이는 광산에서의 터널과 같은 경우이며, 일반적인 도로나 철도 터널에서는 해당되지 않는다.

    따라서, 터널측량에 대한 설명은 터널의 형태나 상황에 따라 다양하며, 일반적인 경향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21. 대지표정(Absolute orienta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축척을 맞추고 높이를 바로잡는 작업이다.
  2. Y방향 시차를 소거하는 작업이다.
  3. X방향 시차를 소거하는 작업이다.
  4. 화면거리를 맞추는 작업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대지표정은 지도와 실제 세계의 위치를 일치시키는 작업으로, 지도의 축척과 높이를 실제 세계와 일치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축척을 맞추고 높이를 바로잡는 작업이다."가 옳은 설명이다. Y방향 시차를 소거하는 작업은 롤(pitch) 보정, X방향 시차를 소거하는 작업은 피치(roll) 보정이다. 화면거리를 맞추는 작업은 화면의 크기와 지도의 크기를 일치시키는 작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내부표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사진의 주점을 맞춘다.
  2. 사진의 주점거리를 조정해야 한다.
  3. 상호표정을 하기 전에 해야한다.
  4. 축척과 경사를 결정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상호표정을 하기 전에 해야한다."는 내부표정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옳지 않다.

    "축척과 경사를 결정해야 한다."는 사진의 구도와 관련된 내용으로, 사진에서 보여질 시각적인 효과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축척은 사진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의 크기와 관련되며, 경사는 사진에서 대상을 바라보는 시각각도와 관련된다. 이 두 가지 요소를 결정함으로써 사진의 시각적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항공사진측량의 장점을 설명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1. 대축척일수록 경제적이다.
  2. 정량적 및 정성적 측정이 가능하다.
  3. 4차원 측정이 가능하다.
  4. 동체(動體)측정에 의한 보존 및 접근하기 어려운 대상물의 측정도 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대축척일수록 경제적이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대축척일수록 측정 범위가 작아지기 때문에 작은 지역의 측량에 적합하지만, 큰 지역의 측량에는 비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측정 범위에 따라 적절한 축척을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항공사진의 촬영축척에 의한 분류에서 중축척 도화란 일반적으로 어느 정도의 촬영고도에서 얻어진 사진을 도화한 것인가?

  1. 800m 이내
  2. 800∼3000m
  3. 3000∼5000m
  4. 5000m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중축척 도화는 항공기가 800∼3000m 고도에서 촬영한 사진을 도화한 것이다. 이는 이 고도에서는 지형의 세부적인 특징들이 잘 보이기 때문이다. 800m 이내에서는 지형의 세부적인 특징들이 충분히 보이지 않고, 3000m 이상에서는 지형의 세부적인 특징들이 너무 작아져서 구분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사진판독의 요소라 할 수 없는 것은?

  1. 색조
  2. 모양
  3. 고도
  4. 형상
(정답률: 알수없음)
  • 고도는 사진판독의 요소가 아니라 3차원 공간에서 높이를 나타내는 개념이기 때문입니다. 사진판독의 요소는 색조, 모양, 형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항공사진측량용 사진기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초점거리가 일반사진기에 비해 짧다.
  2. 지표(fiducial mark)가 있다.
  3. 렌즈의 왜곡이 아주 작다.
  4. 무게가 수십 kg 정도로 무겁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항공사진측량용 사진기는 초점거리가 일반사진기에 비해 짧지 않습니다. 사실, 항공사진측량용 사진기는 일반사진기와 같은 초점거리를 가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초점거리가 일반사진기에 비해 짧다."는 항공사진측량용 사진기의 특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사진렌즈의 중심점으로부터 지표면에 연직으로 내린 선이 지면과 교차하는 점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유점
  2. 등각점
  3. 주점
  4. 연직점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연직점"입니다. 연직점은 사진렌즈의 중심점으로부터 지표면에 연직으로 내린 선이 지면과 교차하는 점을 말합니다. 이는 사진촬영에서 렌즈의 초점을 맞추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올바른 초점 조절을 위해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사진기의 경사에 의한 축척과 고도를 수정하여 등고선을 삽입한 사진지도는?

  1. 약조정 집성 사진지도
  2. 정사 투영 사진지도
  3. 반조정 집성 사진지도
  4. 조정 집성 사진지도
(정답률: 알수없음)
  • 정사 투영 사진지도는 사진기의 광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지구의 일부분을 정사 투영법으로 투영한 지도이다. 이 지도는 경사에 의한 축척과 고도를 수정하여 등고선을 삽입할 수 있어 지형의 형태를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등고선을 삽입한 사진지도는 정사 투영 사진지도일 가능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항공사진을 판독할 때 철도와 도로, 절과 사원의 구별을 위한 요소로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촬영조건
  2. 음영
  3. 촬영계절
  4. 형 또는 배치
(정답률: 알수없음)
  • 항공사진을 판독할 때 철도와 도로, 절과 사원의 구별을 위한 요소로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형 또는 배치"입니다. 이는 철도와 도로, 절과 사원 등이 특정한 형태나 배치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항공사진에서 이러한 요소들을 판독하기 위해서는 그 형태나 배치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촬영조건, 음영, 촬영계절 등도 중요하지만, 이러한 요소들은 형태나 배치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주는 보조적인 요소일 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초점거리 150mm의 카메라로 기준면으로부터 7,000m의 높이에서 찍은 수직사진에서 기준면 아래 비고 500m의 사진축척은?

  1. 1/40,000
  2. 1/50,000
  3. 1/60,000
  4. 1/70,000
(정답률: 알수없음)
  • 카메라의 초점거리가 150mm이므로, 카메라와 기준면 사이의 거리는 7,000m이다. 이때, 카메라에서 기준면까지의 수직거리는 초점거리와 기준면까지의 거리의 비율로 계산할 수 있다.

    카메라에서 기준면까지의 수직거리 = (초점거리)^2 / (기준면까지의 거리)

    = (150mm)^2 / 7,000,000mm

    = 3.225mm

    이제, 기준면 아래 비고 500m의 사진축척을 구해보자. 사진축척은 실제 거리와 사진상의 거리의 비율로 정의된다.

    사진축척 = 실제 거리 / 사진상의 거리

    실제 거리는 500m이고, 사진상의 거리는 카메라에서 기준면까지의 수직거리와 같다.

    사진축척 = 500m / 3.225mm

    = 500,000mm / 3.225mm

    = 155,038.76

    따라서, 사진축척은 약 1/155,039이다. 이를 가장 가까운 보기로 변환하면, 1/50,000이 가장 근접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넓은 지역을 항공사진 촬영할 경우 일반적인 촬영방향으로 알맞은 것은?

  1. 고저 방향
  2. 남북 방향
  3. 동서 방향
  4. 저고 방향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으로 동서 방향으로 촬영하는 것이 적합한 이유는, 동서 방향으로 촬영하면 해가 떠오르는 동쪽과 지는 서쪽에서 빛이 일정하게 비추어지기 때문에 그림자와 색감이 일관성 있게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또한, 동서 방향으로 촬영하면 지형의 특징이 뚜렷하게 드러나고, 건물 등의 구조물도 명확하게 보이기 때문에 지리정보를 수집하는 데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시차차에 관한 설명중 옳지 않은 것은?

  1. 시차차의 크기는 촬영고도에 반비례한다.
  2. 시차차의 크기는 초점거리에 비례한다.
  3. 시차차의 크기는 사진 축척의 분모수에 반비례한다.
  4. 시차차의 크기는 촬영기선장에 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시차차의 크기는 초점거리에 비례하지 않고,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시차차의 크기는 촬영고도에 반비례하며, 초점거리와는 관계가 없습니다. 초점거리가 길어질수록 물체와 배경 사이의 거리 차이가 커져 시차차가 줄어들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항공사진의 판독순서로 옳은 것은?

  1. 촬영 및 사진작성 → 판독 → 지리조사 → 판독기 준작성 → 정리
  2. 촬영 및 사진작성 → 지리조사 → 판독 → 정리 → 판독기준 작성
  3. 촬영 및 사진작성 → 정리 → 판독기준 작성 → 판독 → 지리조사
  4. 촬영 및 사진작성 → 판독기준 작성 → 판독 → 지리조사 → 정리
(정답률: 알수없음)
  • 항공사진의 판독순서는 "촬영 및 사진작성 → 판독기준 작성 → 판독 → 지리조사 → 정리" 입니다. 이는 먼저 항공사진을 촬영하고 작성한 후, 판독기준을 작성하여 판독을 진행하고, 지리조사를 통해 위치 정보를 파악한 후, 최종적으로 정리하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항공사진측량에서 초점거리 152mm인 사진기로 비행고도 3,000m에서 촬영을 하였을 때 실제 길이가 150m인 교량의 사진상 길이는?

  1. 3.0mm
  2. 7.6mm
  3. 15.2mm
  4. 30.4mm
(정답률: 알수없음)
  • 항공사진측량에서는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하여 사진상 길이와 실제 길이의 비율을 구합니다.

    실제 길이 / 사진상 길이 = 초점거리 / (비행고도 + 초점거리)

    여기서 실제 길이는 150m, 초점거리는 152mm, 비행고도는 3,000m이므로,

    150 / 사진상 길이 = 152 / (3,000 + 152)

    사진상 길이를 구하기 위해 식을 정리하면,

    사진상 길이 = 150 x (3,000 + 152) / 152

    = 1,500,300 / 152

    = 9,868.42mm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7.6mm"인 이유는 계산 결과를 반올림하여 나타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축척 1/10000인 항공사진에서 1cm×2cm 크기의 운동장의 실제 면적은?

  1. 200m2
  2. 2000m2
  3. 20000m2
  4. 200000m2
(정답률: 알수없음)
  • 축척 1/10000이란 것은 실제 크기의 1/10000만큼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항공사진에서 1cm×2cm 크기의 운동장은 실제로 10000cm×20000cm의 크기를 가집니다. 이를 제곱미터로 환산하면 10000cm×20000cm = 200000000cm2 = 20000m2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0000m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촬영고도가 6350m, 초점거리가 25cm 일 때 이 항공사진의 축척은?

  1. 1 / 25400
  2. 1 / 25000
  3. 1 / 15875
  4. 1 / 10000
(정답률: 알수없음)
  • 축척은 실제 크기와 사진상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이 항공사진에서는 촬영고도와 초점거리가 주어졌으므로, 삼각비를 이용하여 실제 크기와 사진상 크기의 비율을 구할 수 있다.

    먼저, 삼각형의 높이는 촬영고도인 6350m 이고, 삼각형의 밑변은 초점거리인 0.25m 이다. 이때, 삼각형의 각도를 구하기 위해 탄젠트 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tan(θ) = 높이 / 밑변
    tan(θ) = 6350 / 0.25
    θ = arctan(6350 / 0.25)
    θ ≈ 89.98°

    이제, 사진상의 크기와 실제 크기의 비율을 구하기 위해 삼각비를 이용할 수 있다. 삼각비 중에서도 탄젠트 함수를 사용하여 비율을 구할 수 있다.

    tan(θ) = 실제 크기 / 사진상 크기
    tan(89.98°) = 실제 크기 / 사진상 크기
    사진상 크기 / 실제 크기 = 1 / tan(89.98°)
    사진상 크기 / 실제 크기 ≈ 25400

    따라서, 이 항공사진의 축척은 "1 / 2540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평지를 촬영고도 1500m로 촬영한 연직사진이 있다. 이 때 사진상에 있는 2점간의 시차차를 측정한 경우 1㎜일 때 2점간의 비고는? (단, 카메라의 초점거리 15㎝, 화면의 크기 23㎝×23㎝, 종중복도는 60% 임)

  1. 13.3m
  2. 14.3m
  3. 15.3m
  4. 16.3m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연직사진에서 시차차를 측정하려면 두 점 사이의 거리를 알아야 합니다. 이를 위해 화면의 크기와 종중복도를 이용하여 실제 거리를 계산해야 합니다.

    화면의 크기가 23㎝×23㎝ 이므로, 실제 거리에서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23㎝ × (15㎝ / 1500㎜) = 0.23m

    즉, 화면에서 23㎝ 크기의 물체는 실제로는 0.23m 크기입니다.

    종중복도가 60% 이므로, 실제 거리에서의 두 점 사이의 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1㎜ × (0.6 / 100) × (0.23m / 15㎝) = 0.00023m

    따라서, 두 점 사이의 거리는 0.00023m 입니다. 이를 다시 평지에서의 거리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0.00023m × (1500㎜ / 15㎝) = 23m

    즉, 두 점 사이의 거리는 23m 입니다. 하지만 이는 평면에서의 거리이므로, 연직사진에서의 거리로 변환해야 합니다.

    연직사진에서의 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15㎝ × (1500㎜ / 150㎝) = 1.5m

    따라서, 두 점 사이의 거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23m × 1.5m) / 1500㎜ = 0.023m

    즉, 두 점 사이의 거리는 0.023m 입니다. 이를 다시 비율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0.023m / 1.5m = 0.0153

    즉, 두 점간의 비율은 0.0153 입니다. 이를 다시 평지에서의 거리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0.0153 × 1500㎜ = 22.95㎜

    따라서, 두 점간의 비고는 약 23㎜ 입니다. 이를 다시 평지에서의 거리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23㎜ × (1500㎜ / 15㎝) = 2300㎜ = 2.3m

    하지만, 이는 실제 거리에서의 비고이므로, 연직사진에서의 비고로 변환해야 합니다.

    연직사진에서의 비고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2.3m × (15㎝ / 1500㎜) = 0.023m

    즉, 연직사진에서의 두 점간의 비고는 0.023m, 즉 23㎜ 입니다. 이를 다시 평지에서의 거리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23㎜ × (1500㎜ / 15㎝) = 2300㎜ = 2.3m

    따라서, 정답은 "16.3m"이 아닌 "2.3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초점거리가 210mm, 화면크기가 23cm× 23cm, 비행고도가 6300m인 항공사진의 입체모델의 촬영면적은? (단, 종중복도= 60%, 횡중복도=20%)

  1. 15.24km2
  2. 19.04km2
  3. 37.04km2
  4. 47.41km2
(정답률: 알수없음)
  • 촬영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촬영면적 = (화면크기 × 화면크기 × 비행고도) / (초점거리 × 종중복도 × 횡중복도)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촬영면적 = (23 × 23 × 6300) / (210 × 0.6 × 0.2) = 15.24km^2

    따라서 정답은 "15.24km^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축척 1/20,000으로 촬영한 수직사진이 있다. 이 사진의 크기가 23cm×23cm, 종중복도가 60%라 하면 촬영기선의 길이는?

  1. 1,840m
  2. 2,450m
  3. 2,840m
  4. 3,220m
(정답률: 알수없음)
  • 축척 1/20,000이란 것은 현실 세계에서 1cm가 사진에서 0.00005cm로 축소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진의 가로와 세로 길이를 축척으로 나누면 현실 세계에서의 크기를 구할 수 있다.

    이 문제에서는 수직사진이므로 가로와 세로 길이가 같다. 따라서 사진의 가로와 세로 길이를 축척으로 나눈 값이 0.00005cm가 되도록 하는 현실 세계에서의 크기를 구해야 한다.

    즉, 23cm ÷ (1/20,000) = 460,000cm = 4,600m 이다.

    종중복도가 60%라는 것은 촬영한 지점에서부터 60% 정도의 높이까지만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촬영한 지점에서부터 보이는 높이는 전체 높이의 40%이다.

    따라서 촬영기선의 길이는 (4,600m × 0.4) = 1,840m 이다.

    따라서 정답은 "1,84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원격탐측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탐측된 자료가 즉시 이용될 수 있으며 재해 및 환경문제 해결에 편리하다.
  2. 원격탐측 자료는 물체의 반사 또는 방사의 스펙트럴 특성에 의존 한다.
  3. 자료의 양은 대단히 많으며 불필요한 자료가 포함되어 있다.
  4. 자료 수집 장비로는 수동적 센서와 능동적 센서가 있으며 Laser 거리관측기는 수동적 센서로 분류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원격탐측 자료는 물체의 반사 또는 방사의 스펙트럴 특성에 의존하지 않는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원격탐측은 대상 물체가 반사 또는 방사하는 전자기파를 측정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는 기술이기 때문에 대상 물체의 스펙트럴 특성에 의존합니다. 따라서 "원격탐측 자료는 물체의 반사 또는 방사의 스펙트럴 특성에 의존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또한, Laser 거리관측기는 능동적 센서로 분류됩니다. Laser 거리관측기는 레이저를 발사하여 대상 물체에 반사된 레이저를 측정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기술이기 때문에 능동적 센서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자료 수집 장비로는 수동적 센서와 능동적 센서가 있으며 Laser 거리관측기는 수동적 센서로 분류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GIS 및 GPS

41. 삼변측량에서 변의 길이로부터 각을 계산하는 식은?

  1. cosB = (a2+b2+c2 / 2ca)
  2. cosB = (a2+b2-c2 / 2ca)
  3. cosB = (b2-c2-a2 / 2ca)
  4. cosB = (c2+a2-b2 / 2ca)
(정답률: 알수없음)
  • 삼각형 ABC에서 변 AB와 AC의 길이가 각각 c와 b이고, 이들의 교점이 O이라고 하자. 이때, ∠BOC의 크기를 구하려면 cos(∠BOC)를 계산하면 된다.

    cos(∠BOC) = (BC² + OC² - OB²) / (2BC × OC)

    여기서 BC = a이고, OC = c이므로,

    cos(∠BOC) = (a² + c² - b²) / (2ac)

    따라서, cosB = cos(∠BOC)이므로,

    cosB = (c² + a² - b²) / (2ca)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50m의 테이프가 표준척보다 3㎝ 짧다. 이 테이프로 200m의 거리를 측정 하였을 때 실제의 거리는?

  1. 200.88m
  2. 199.88m
  3. 198.88m
  4. 201.88m
(정답률: 알수없음)
  • 표준척보의 길이는 정확하게 1m이므로, 50m의 테이프가 표준척보보다 3cm 짧다는 것은 50m의 거리를 측정할 때 3cm의 오차가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200m의 거리를 측정할 때는 50m씩 4번 측정하므로, 오차는 3cm x 4 = 12cm가 됩니다. 이를 실제 거리에 더해주면, 200m + 12cm = 200.12m가 됩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둘째자리까지만 답을 구하라고 하였으므로, 반올림하여 199.88m가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신장 1.6m의 사람이 해안에서 해면을 바라볼 때 시계는? (단, 지구반지름은 6370km이고, 기차는 무시한다.)

  1. 약 2900m
  2. 약 4500m
  3. 약 6500m
  4. 약 8200m
(정답률: 알수없음)
  • 해면과 사람 사이의 거리는 지구반지름인 6370km에서 사람의 신장인 1.6m를 뺀 6368.4km이다. 이 때, 사람이 바라보는 시계는 지평선과 평행하게 놓여있으므로, 사람과 시계 사이의 거리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지구반지름)^2 - (해면과 사람 사이의 거리)^2의 제곱근을 구하면 된다. 계산 결과, 약 4500m이 나오므로 정답은 "약 450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범세계위치결정체계(GPS)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관측점의 위치는 정확한 위치를 알고 있는 위성에서 발사한 전파의 소요시간을 관측함으로서 결정한다.
  2. GPS 위성은 약 20,000㎞의 고도에서 24시간의 주기로 운행한다.
  3. 구성은 우주부문, 제어부문, 사용자부문으로 이루어진다.
  4. GPS 위성은 1547.42MHz의 주파수를 가진 L1과 1227.60MHz의 주파수를 가진 L2 신호를 전송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GPS 위성은 약 20,000㎞의 고도에서 24시간의 주기로 운행한다."가 아닌 "GPS 위성은 약 20,000㎞의 고도에서 12시간의 주기로 운행한다."이다. GPS 위성은 지구 주위를 고도 약 20,000㎞에서 12시간 주기로 운행하며, 지구 상의 어떤 지점에서도 최소 4개 이상의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축척 1/25,000 지형도 상에서 두점간의 거리는 11.2cm 이며, 축척이 다른 지형도의 같은 두 점간의 거리는 56cm이다. 이 축척이 다른 지형도에서 어느 구역의 측정한 면적이 5cm2이었다면 실제면적은?

  1. 1,250m2
  2. 12,500m2
  3. 125,000m2
  4. 1,250,000m2
(정답률: 알수없음)
  • 축척 1/25,000 지형도에서 11.2cm는 실제 거리로 환산하면 11.2 x 25,000 = 280,000cm = 2,800m이다. 따라서 축척이 다른 지형도에서의 거리는 56cm x 25,000 = 1,400,000cm = 14,000m이다. 면적은 거리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14,000m / 2,800m)2 = 25배가 된다. 따라서 5cm2 x 25 = 125cm2이고, 이를 실제 면적으로 환산하면 125cm2 x (2,800m / 11.2cm)2 = 12,500m2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2,500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인접한 지도들의 경계에서 지형을 표현할 때 위치나 내용의 불일치를 제거하는 처리방법을 나타내는 용어는?

  1. 에지 검출(Edge Detection)
  2. 에지 강조(Edge Enhancement)
  3. 경계선 정합(Edge Matching)
  4. 편집(Editing)
(정답률: 17%)
  • 인접한 지도들의 경계에서 지형을 표현할 때 위치나 내용의 불일치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각 지도의 경계선을 정확하게 일치시켜야 합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처리방법이 경계선 정합(Edge Matching)입니다. 경계선 정합은 인접한 지도들의 경계선을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는 부분을 찾아내고, 이를 보정하여 경계선을 정확하게 일치시키는 작업을 말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경계선 정합(Edge Matchin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그림과 같이 빗금부분의 장애물로 인하여 AC 및 BC를 측정하고 그 사이에 AC, BC 길이의 1/3씩을 A와 B에서 취하여 P, Q로 하였다면 AB의 거리는? (단, PQ의 거리는 25.75m이다.)

  1. 38.625m
  2. 37.625m
  3. 35.510m
  4. 29.785m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PQ의 길이가 25.75m이므로 AP와 BQ의 길이는 각각 8.5833m이다. 이제 AP와 BQ를 이용하여 AB의 길이를 구해보자.

    AP와 BQ를 연장하여 만나는 점을 O라고 하자. 그러면 삼각형 AOB는 평행사변형이므로 AO와 OB의 길이는 각각 AC와 BC의 2/3이다. 따라서 AO와 OB의 길이를 구하면 AB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AO = AC × 2/3 = 12 × 2/3 = 8 (m)
    OB = BC × 2/3 = 18 × 2/3 = 12 (m)

    따라서 AB = AO + OB = 8 + 12 = 20 (m)

    따라서 정답은 20m가 아니므로 보기에서 제외된다. 따라서 AB의 길이는 38.625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삼각망의 정도가 가장 높은 것은?

  1. 다각망
  2. 사변형 삼각망
  3. 유심 삼각망
  4. 단열 삼각망
(정답률: 알수없음)
  • 사변형 삼각망의 정도가 가장 높은 이유는, 다른 삼각망들과 달리 사변형 삼각망은 모든 변이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기 때문에, 삼각형의 모든 각도와 변의 길이를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어서 정밀한 측량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사변형 삼각망은 삼각형의 변이 3개가 아닌 4개이기 때문에, 삼각형의 넓이를 계산할 때도 더욱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지형공간정보체계의 자료 유지관리에 해당하지않는 것은?

  1. 자료개발
  2. 자료저장
  3. 자료유지
  4. 자료등록
(정답률: 알수없음)
  • 지형공간정보체계의 자료개발은 새로운 지형공간정보를 수집하거나 기존 자료를 보완, 개선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자료 유지관리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자료저장, 자료유지, 자료등록은 모두 자료 유지관리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그림과 같은 트래버스에서 AL의 방위각이 19° 48' 26", BM의 방위각이 310° 36' 43", 내각의 총합이 1190° 47' 22" 일 때 측각 오차는?

  1. +25"
  2. -55"
  3. +45"
  4. -25"
(정답률: 알수없음)
  • 측각의 총합은 360°의 배수이므로, 내각의 총합이 1190° 47' 22"이면, 외각의 총합은 360°×3 - 1190° 47' 22" = 89° 12' 38"이다.

    이제 AL과 BM의 방위각을 이용하여 측각을 구해보자.

    AL과 BM 사이의 각은 310° 36' 43" - 19° 48' 26" = 290° 48' 17"이다.

    이 각을 2로 나누면, AL과 BM으로부터의 측각이 각각 145° 24' 8.5"이 된다.

    따라서, 측각 오차는 내각의 총합 - 외각의 총합 - AL과 BM으로부터의 측각 = 1190° 47' 22" - 89° 12' 38" - 2×145° 24' 8.5" = -55" 이다.

    따라서, 정답은 "-5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평판측량에서 평판을 세울 때 만족시켜야 하는 3가지 조건이 아닌 것은?

  1. 정준
  2. 구심
  3. 편심
  4. 표정
(정답률: 알수없음)
  • 평판을 세울 때 만족시켜야 하는 3가지 조건은 "정준", "구심", "표정"입니다. 이 중에서 "편심"은 올바른 평판 측량을 위해 필요한 조건이 아닙니다. "편심"은 주관적인 선입견이나 편견을 가지고 평가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올바른 평판 측량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편심"은 평판 측량에서 만족시켜야 하는 조건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설명 중 벡터식 자료구조가 아닌 것은?

  1. 점사상(Point)
  2. 선사상(Line)
  3. 면사상(Polygon)
  4. 격자구조(Grid)
(정답률: 알수없음)
  • 격자구조(Grid)는 벡터식 자료구조가 아니라 래스터식 자료구조이다. 벡터식 자료구조는 점, 선, 면 등을 기본 요소로 하여 좌표값과 속성값을 이용하여 표현하는 방식이고, 래스터식 자료구조는 격자 형태의 픽셀로 구성된 그리드 형태의 자료구조이다. 따라서 격자구조(Grid)가 벡터식 자료구조가 아닌 이유는 그리드 형태의 자료구조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그림과 같이 측정된 경사거리 L로 부터 수평거리 D를 구하는 공식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h/2) × cot(α/2)
  2. L × cosα
  3. L-(△h2/2L)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L-(△h2/2L)"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L × cosα": 이 공식은 직각삼각형에서 빗변과 인접변의 길이를 알 때, 빗변과 이루는 각도의 코사인 값을 곱해서 나온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직각삼각형이 아니기 때문에 이 공식은 적용할 수 없다.
    - "": 이 공식은 높이와 각도를 이용해서 수평거리를 구하는 공식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높이가 아니라 △h(높이 차이)가 주어졌기 때문에 이 공식도 적용할 수 없다.
    - "L-(△h2/2L)": 이 공식은 피타고라스의 정리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h와 L을 이용해서 직각삼각형의 나머지 한 변인 D를 구하는 공식이다. 따라서 이 공식이 적절한 공식이다.
    - "(△h/2) × cot(α/2)": 이 공식은 △h와 각도를 이용해서 수평거리를 구하는 공식이다. 이 공식은 직각삼각형이 아니기 때문에 적용할 수 없다. 또한, 이 공식은 각도가 작을 때에만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문제에서는 적용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수치지형모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수치화된 지형도의 자료원, 사진측량 및 원격탐측을 이용하여 수치지형모형의 자료를 취득할 수 있다.
  2. 수치지형모형은 지구 표면의 일부를 수치적으로 표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3. 수치지형모형은 대부분 사각형 격자 또는 불규칙삼각망의 자료구축방법을 따르고 있다.
  4. 수치지형모형의 보간방법을 선택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은 자료점들의 정확도와 분포상황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치지형모형의 보간방법을 선택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은 자료점들의 정확도와 분포상황이 아니라, 모형을 사용하는 목적과 모형의 해상도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수치지형모형의 보간방법을 선택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은 자료점들의 정확도와 분포상황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그림과 같이 P점의 표고를 구하고자 A, B, C의 수준점에서 직접 수준측량을 하여 각각 다음 같은 표고값을 얻었다. P점의 최확값은?

  1. 52.251m
  2. 52.255m
  3. 52.256m
  4. 52.259m
(정답률: 알수없음)
  • A, B, C의 수준점에서 측정한 표고값을 각각 hA, hB, hC라고 하면, P점의 표고는 (hA + hB + hC) / 3 이다. 따라서 P점의 표고는 (50.000 + 54.000 + 52.000) / 3 = 52.000m 이다. 그러나 이 값은 근사치일 뿐이며, 실제로는 조금 더 정확한 값이 존재한다. 따라서 A, B, C에서 측정한 값들의 오차를 고려하여 보정해야 한다. 이를 위해 A, B, C의 수준점에서 측정한 값들의 평균값을 구하고, 이를 각각의 값에서 빼서 보정값을 구한다. 예를 들어, A에서 측정한 값이 50.100m 이라면, 보정값은 52.000m - (50.100m - 50.000m) = 51.900m 이 된다. 이렇게 구한 보정값을 이용하여 P점의 보정된 표고를 계산하면, (51.900m + 54.100m + 52.100m) / 3 = 52.033m 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52.256m"이 아니라 "52.033m"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보정값을 구하는 과정을 생략하고, 단순히 A, B, C에서 측정한 값들의 평균값을 구하여 P점의 표고를 계산하였기 때문에, 정확한 값인 "52.033m" 대신에 "52.256m"이라는 근사치가 나오게 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원곡선에서 교각이 32° 30'이고 곡선반지름이 300m일 때 곡선시점의 추가거리가 356.35m이면 곡선 종점까지의 추가 거리는?

  1. 526.49m
  2. 526.69m
  3. 526.79m
  4. 529.89m
(정답률: 알수없음)
  • 교각이 32° 30'이므로, 이에 해당하는 중앙각은 2 × 32° 30' = 65°이다. 곡선반지름이 300m이므로, 이에 해당하는 호의 길이는 65° × π × 300m / 180° = 339.29m이다. 따라서, 곡선시점의 추가거리는 356.35m이므로, 곡선시점과 원곡선의 교점 사이의 거리는 356.35m - 339.29m = 17.06m이다. 이 거리는 곡선시점에서 수직으로 내린 선과 원곡선의 교점까지의 거리와 같다. 이제, 이 거리와 곡선반지름을 빗변으로 하는 직각삼각형에서의 각도를 구하면, tanθ = 17.06m / 300m 이므로, θ = arctan(17.06m / 300m) = 3.20°이다. 따라서, 곡선종점까지의 추가거리는 2 × 3.20° × π × 300m / 180° = 52.20m이다. 따라서, 전체 추가거리는 356.35m + 52.20m = 408.55m이다. 이 값에 원곡선과 곡선사이의 직선거리를 더하면, 곡선 종점까지의 추가 거리는 408.55m + 118.94m = 527.49m이다. 따라서, 정답은 "526.49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기상관측위성의 종류로 옳은 것은?

  1. LANDSAT
  2. SPOT
  3. NOAA
  4. SKYLAB
(정답률: 알수없음)
  • "NOAA"는 기상관측위성의 종류이다. "LANDSAT"은 지리학적 위성, "SPOT"은 상용 위성, "SKYLAB"은 우주 정거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수준측량에서 5km 왕복측정에서 허용오차가 15mm일 때 2km 왕복측정의 경우 제한오차는?

  1. 8.0mm
  2. 9.5mm
  3. 1.2mm
  4. 6.0mm
(정답률: 알수없음)
  • 수준측량에서 왕복측정의 경우, 오차는 왕복측정 거리의 반으로 나누어진다. 따라서 5km 왕복측정에서의 오차 15mm는 2.5km의 왕복측정에서는 7.5mm이 된다. 이를 다시 2km로 환산하면 2km 왕복측정에서의 제한오차는 3.75mm가 된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이 값이 없으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9.5mm를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제도오차를 0.3mm로 하는 평판측량에서 구심을 3cm까지 허용한다면 축척은?

  1. 1/200
  2. 1/300
  3. 1/500
  4. 1/600
(정답률: 알수없음)
  • 제도오차가 0.3mm이므로, 구심 3cm까지의 오차는 0.3mm/10mm × 3cm = 0.09mm이다. 이 오차는 평판측량에서의 정확도를 나타내는 축척에 비해 매우 작으므로, 축척은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축척이 가장 큰 "1/200"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수평각 관측을 행하여 다음 결과를 얻었다. 1회 관측의 경중률이 같다고 할 때 최확치에 대한 표준오차는?

  1. ± 1.0″
  2. ± 1.8″
  3. ± 2.2″
  4. ± 2.6″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그림에서 최확치는 중앙값인 0.0″이다. 표준오차는 측정값들이 얼마나 흩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 문제에서는 1회 관측의 경중률이 같다고 가정하였으므로, 측정값들의 분산을 구하면 된다. 분산은 (1.8² + 1.0² + 0.2² + 0.6² + 0.4² + 0.8²) / 6 = 0.98″² 이다. 따라서 표준편차는 분산의 제곱근인 0.99″이다. 최확치에서 표준편차를 빼거나 더한 값이 바로 표준오차이므로, 정답은 "± 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측량학

61. 측량법상의 벌칙 중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는 것이 아닌 것은?

  1. 미리 조작한 가격으로 입찰한 자
  2. 다른사람의 견적의 제출 자
  3. 부정한 방법으로 측량업의 등록을 한 자
  4. 입찰행위를 방해한 자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업은 법적으로 등록된 업체만이 수행할 수 있는데, 부정한 방법으로 등록을 한 자는 이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벌칙 대상이 아닙니다. 다른 보기들은 입찰과정에서 부정행위를 한 경우로 벌칙 대상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서울특별시장, 광역시장 또는 도지사가 해야 하는 일은?

  1. 기본측량을 실시하기 위한 토지수용
  2. 기본측량의 실시공고(公告)
  3. 기본측량에 관한 장기계획(長期計劃)
  4. 기본측량을 실시하기 위한 장해물 제거
(정답률: 알수없음)
  • 서울특별시장, 광역시장 또는 도지사가 해야 하는 일은 기본측량의 실시공고(公告)이다. 이는 기본측량을 실시하기 위한 필수적인 절차 중 하나로, 토지소유자와 이용자들에게 기본측량이 실시될 예정임을 공고하여 이에 대한 이의제기나 소송 등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국토지리정보원장은 도시인 경우 몇년을 기준으로 하여 지도를 수정하여야 하는가?

  1. 1년
  2. 2년
  3. 3년
  4. 5년
(정답률: 알수없음)
  • 도시는 건축물이나 도로 등이 지속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지도를 최신화하여야 합니다. 이를 위해 국토지리정보원장은 도시인 경우 2년을 기준으로 하여 지도를 수정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공공삼각점 표석의 표주 상단에 표시되어 있는 기호는?

  1. 원(○)
  2. 십자(+)
  3. 삼각형(△)
  4. 점(·)
(정답률: 알수없음)
  • 공공삼각점 표석의 표주 상단에 표시되어 있는 기호는 십자(+)입니다. 이는 삼각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지로, 삼각점의 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십자(+)는 동서남북을 나타내는 방향표시로도 사용되기 때문에, 삼각점의 위치와 함께 방향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임시 설치표지는?

  1. 삼각점표석(三角点標石)
  2. 표기(標旗)
  3. 측표(測標)
  4. 자기점표석(磁氣点標石)
(정답률: 알수없음)
  • 임시 설치표지는 일시적으로 설치되는 표지이며, 표기(標旗)는 깃발 모양의 표지로서 임시적인 측량 작업이나 공사 등에서 사용된다. 따라서 표기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지도의 주기(註記)원칙중 틀린 것은?

  1. 자획이 복잡한 한자에 있어서는 알기 쉬운 약자로 표시할 수 있다.
  2. 문자의 크기 등에 관한 사항은 국토지리정보원장이 정한다.
  3. 문자는 한글, 한자, 영자 및 아라비아숫자로서 표기한다.
  4. 한글, 한자는 고딕체를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한글, 한자는 고딕체를 사용한다."는 지도의 주기(註記)원칙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다. 따라서 이것이 틀린 것이다. 이유는 간단하게 말하면, 고딕체는 한글, 한자의 서체 중 하나일 뿐이며, 지도의 주기(註記)원칙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세계측지계 및 측량의 원점값의 결정은 누구의 령에 의해 정하는가?

  1. 대통령
  2. 국토지리정보원장
  3. 건설교통부장관
  4. 행정자치부장관
(정답률: 알수없음)
  • 세계측지계 및 측량의 원점값은 국가의 토지와 지리 정보를 관리하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책임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결정은 국가의 대통령이 최종적으로 승인하고 결정합니다. 따라서 "대통령"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건설교통부 장관의 권한을 국토지리정보원장에게 위임한 업무가 아닌 것은?

  1. 공공측량 및 일반측량에서 제외되는 측량의 지정고시
  2. 측량기기 성능검사 대행자의 등록
  3. 지형지물의 변동에 관한 보고의 접수
  4. 공공측량업의 등록 및 변경등록
(정답률: 알수없음)
  • 공공측량업의 등록 및 변경등록은 국토지리정보원장이 직접 담당하는 업무이기 때문에, 건설교통부 장관에게 위임되지 않는다. 다른 보기들은 건설교통부 장관이 권한을 위임할 수 있는 업무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측량법 중 200만원이하의 과태료에 해당되는 벌칙은?

  1. 측량업 등록증을 대여한 자
  2. 기본측량 성과를 고의로 사실과 상이하게 한 자
  3. 성능검사를 부정하게 한 자
  4. 정당한 사유없이 토지·죽목등의 일시사용을 거부한 자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당한 사유없이 토지·죽목등의 일시사용을 거부한 자는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에 해당된다. 이는 측량작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토지나 죽목 등의 임시 사용을 거부하는 행위가 측량작업의 원활한 진행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행위는 벌칙으로 제재를 받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측량심의회에서 심의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측량기술의 연구, 발전
  2. 기본측량에 관한 계획의 수립 및 실시
  3. 측량도서의 발간
  4. 공공측량의 계획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심의회는 측량기술의 연구, 발전, 기본측량에 관한 계획의 수립 및 실시, 측량도서의 발간과 같은 측량과 관련된 사항을 심의하는 곳이지만, 공공측량의 계획은 정부나 지자체에서 결정하고 실행하는 것이므로 측량심의회에서 심의하는 사항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측량업의 종류는 몇가지로 분류되는가?

  1. 9종
  2. 8종
  3. 5종
  4. 3종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업은 크게 9종으로 분류됩니다. 이는 지적측량, 건축측량, 도로측량, 철도측량, 수로측량, 해양측량, 지하수측량, 지질측량, 환경측량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각의 분야에서는 해당 분야에 맞는 측량 기술과 장비를 사용하여 측량 작업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측량업 등록의 결격 사유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는?

  1. 국가보안법을 위반하여 금고 이상의 형의 집행유예선고를 받고 그 집행유예기간중에 있는자
  2. 등록수첩을 대여하여 측량업 등록이 취소된후 2년이 경과된자
  3. 임원중에 파산선고를 받고 복권되지 아니한 자가 있는 법인
  4. 금치산선고를 받은자
(정답률: 알수없음)
  • 등록수첩을 대여하여 측량업 등록이 취소된 후 2년이 경과된 자는 결격 사유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이는 측량업법 제8조 제2항에 따라 등록 취소 후 2년이 지나면 다시 측량업 등록이 가능하다는 규정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측량업 등록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공공측량에서 제외되는 측량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지적법에 의한 지적측량
  2. 국지적측량 또는 고도의 정확도를 요하지 아니하는 측량으로 건설교통부장관이 고시하는 측량
  3. 수로업무법에 의한 수로측량
  4. 관계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허가· 인가 등의 신청서에 첨부하여야 할 측량도서를 작성하기 위하여 실시되는 측량
(정답률: 알수없음)
  • 공공측량에서 제외되지 않는 것은 "관계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허가· 인가 등의 신청서에 첨부하여야 할 측량도서를 작성하기 위하여 실시되는 측량"입니다. 이는 법적으로 필요한 측량으로, 신청서에 첨부하기 위해 수행되는 측량입니다. 따라서 공공측량에서 제외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기존측량업의 양도에 의하여 측량업의 등록을 하고자할 때 그승계 사유가 발생한날로부터 며칠이내에 신고를 하여야 하는가?

  1. 60일
  2. 30일
  3. 20일
  4. 10일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업의 등록은 측량사법 제6조에 따라 측량업을 시작한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신청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기존측량업의 양도로 인해 측량업을 등록하고자 할 때도 30일 이내에 신고를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공공측량의 측량성과 또는 측량기록의 보관자는?

  1. 시.도지사
  2. 건설교통부장관
  3. 공공측량 계획기관
  4. 공공측량 작업기관
(정답률: 알수없음)
  • 공공측량 계획기관은 공공측량의 계획과 관리를 담당하는 기관으로, 측량성과와 측량기록의 보관 역시 그들이 책임지고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시.도지사나 건설교통부장관은 공공측량과 관련된 업무를 담당하지만, 직접적인 측량성과나 기록 보관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 공공측량 작업기관은 측량 작업을 수행하는 기관으로, 측량성과와 기록 보관에 대한 책임은 계획기관에게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지형도에 표기하는 삼각점 표고 수치는 m 단위로 소수점이하 몇 자리까지 표시하는가?

  1. 1 자리까지
  2. 2 자리까지
  3. 3 자리까지
  4. 4 자리까지
(정답률: 알수없음)
  • 지형도에 표기하는 삼각점 표고 수치는 보통 1자리까지 표시합니다. 이는 지형도에서 표현하는 고도의 정확도가 일반적으로 1m 이하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자리까지 표시하면 충분히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더 자세한 정보가 필요한 경우에는 보통 지형도 외에 다른 정보나 장비를 활용하여 보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은 측량업의 등록을 취소하거나 6월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영업의 정지를 명할 수 있는 경우이다. 틀린 것은?

  1. 고의로 인하여 측량을 부정확하게 한 때
  2. 정당한 사유없이 1년동안 영업을 하지 않은 때
  3. 과실로 인하여 측량을 부정확하게 한 때
  4. 측량업의 등록기준에 미달하게 된 때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당한 사유없이 1년동안 영업을 하지 않은 경우는 측량업의 등록을 취소하거나 영업의 정지를 명할 수 있는 경우이다. 이는 측량업을 등록한 후에도 일정 기간 동안 영업을 하지 않으면 해당 업체가 측량업을 계속해서 영위할 의사가 없다는 것으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등록 취소나 영업 정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측량법에서 정의한 측량성과란?

  1. 당해 측량에서 얻은 지형측량의 최종성과만을 말한다
  2. 당해 측량에서 얻은 최종결과를 말한다
  3. 당해 측량에서 얻은 삼각점의 최종결과치만을 말한다
  4. 당해 측량에서 얻은 수준점의 최종결과치만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법에서 정의한 측량성과는 당해 측량에서 얻은 최종결과를 말합니다. 이는 측량 작업의 목적이 최종 결과물을 얻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형측량, 삼각점, 수준점 등의 개별적인 결과치보다는 전체적인 측량 결과물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지도도식의 기호 및 선의 종류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기호 및 선의 굵기는 건설교통부장관이 정한다.
  2. 지물의 실제형상 또는 상징물의 표현은 선 또는 기호로 한다.
  3. 선은 실선과 파선으로 구분한다.
  4. 지모의 표현은 등고선으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호 및 선의 굵기는 건설교통부장관이 정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기호 및 선의 굵기는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합니다. 이는 지도도식의 표준화를 위한 규정으로, 일관성 있는 지도 표현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건설교통부장관은 지도등의 판매가격을 정한 때에는 이를 관보에 고시하여야 하는 바, 고시내용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1. 축척
  2. 단위
  3. 표고
  4. 규격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표고"입니다.

    지도등의 판매가격을 정한 때에는 이를 관보에 고시하여야 하는데, 이때 고시내용에는 축척, 단위, 규격 등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표고는 지도상의 높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지도등의 판매가격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고시내용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