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9-05)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2004-09-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응용측량

1. 지상 9km2의 면적을 지도상에서 36cm2으로 표시하기 위해서는 어느 축척을 사용해야 하는가?

  1. 1/30000
  2. 1/40000
  3. 1/50000
  4. 1/60000
(정답률: 알수없음)
  • 면적의 축척은 길이의 축척의 제곱근이므로,

    면적의 축척 = (길이의 축척)2

    지상 9km2를 36cm2로 표시하려면,

    (길이의 축척)2 = (9km2 / 36cm2)

    길이의 축척 = √(9km2 / 36cm2)

    길이의 축척 = (3km / 6cm)

    길이의 축척 = 1/50000

    따라서, 정답은 "1/5000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ABC에서 ㉮, ㉯, ㉰의 면적의 비를 각각 4 : 3 : 2로 분할할 때 EC의 길이는?

  1. 10.8m
  2. 12.0m
  3. 16.2m
  4. 18.0m
(정답률: 알수없음)
  • △ABC의 면적을 S라고 하면, ㉮의 면적은 4S/9, ㉯의 면적은 3S/9, ㉰의 면적은 2S/9이다.

    따라서, △AEC의 면적은 ㉮+㉰=4S/9+2S/9=2S/3이다.

    또한, △AEC와 △ABC는 동일한 높이를 가지므로 밑변의 길이 비를 구하면 EC/BC=2S/3S=2/3이다.

    따라서, EC=BC×2/3=18×2/3=12.0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노선의 종단 경사가 크게 변화하는 곳에 차량이 주행할 때 충격 완화와 충분한 시거 확보를 위하여 설치하여야 하는 곡선은?

  1. 수평곡선
  2. 반향곡선
  3. 종곡선
  4. 복곡선
(정답률: 알수없음)
  • 종단 경사가 크게 변화하는 곳에서는 차량이 급격한 가속도나 감속도를 경험하게 되어 충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시거와 함께 차량의 속도를 서서히 변화시켜야 합니다. 이를 위해 설치하는 곡선이 종곡선입니다. 종곡선은 곡률이 서서히 변화하여 차량의 속도 변화를 완화시키는 곡선으로, 충격 완화와 함께 안전한 주행을 돕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접선장이 60m, 교각이 60° 인 원곡선의 곡선 반경(R)은?

  1. 103.92m
  2. 130.92m
  3. 193.02m
  4. 203.92m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유량을 측정할 때 장소 선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작업하기 쉽고 하저의 변화가 없는 곳
  2. 유선이 직선이고 균일한 단면으로 되어 있는 곳
  3. 잠류, 역류가 없고 유수의 상태가 균일한 곳
  4. 상, 하류 횡단면의 형상이 차이가 있는 곳
(정답률: 알수없음)
  • "상, 하류 횡단면의 형상이 차이가 있는 곳"은 유량 측정 시에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상, 하류 횡단면의 형상이 차이가 있는 곳에서는 유속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유량 측정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량 측정 시에는 유선이 직선이고 균일한 단면으로 되어 있는 곳, 작업하기 쉽고 하저의 변화가 없는 곳, 잠류, 역류가 없고 유수의 상태가 균일한 곳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하천의 횡단면 연직선 내의 평균유속을 1점법을 사용하여 구하고자 할 때 관측하여야 할 속도(V)는?

  1. 수면에서 수심의 20% 되는 지점의 유속(V0.2)
  2. 수면에서 수심의 60% 되는 지점의 유속(V0.6)
  3. 수면에서 수심의 80% 되는 지점의 유속(V0.8)
  4. 수면에서 수심의 20%와 80%되는 지점의 유속의 평균
(정답률: 알수없음)
  • 하천의 유속은 수심에 따라서 다르기 때문에, 평균 유속을 구하기 위해서는 여러 지점에서 유속을 측정해야 합니다. 하지만 이는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특정 지점에서의 유속을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평균 유속을 추정합니다.

    이때, 수면에서 수심의 어느 지점에서 유속을 측정하느냐에 따라서 평균 유속이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는 수면에서 수심의 20%와 80% 지점에서 유속을 측정하여 이들의 평균값을 구합니다. 하지만 이는 하천의 특성에 따라서 다르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평균 유속을 구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지점에서 유속을 측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다면 왜 수면에서 수심의 60% 지점에서 유속을 측정해야 할까요? 이는 하천의 유속이 일반적으로 수심이 깊어질수록 빨라지다가, 일정 수심 이후로는 더 이상 빨라지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이 일정 수심은 하천의 특성에 따라서 다르지만, 대체로 수심의 60% 지점에서 발생합니다. 따라서 이 지점에서 유속을 측정하면, 보다 정확한 평균 유속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그림과 같이 하천의 BC선에 연하여 심천측량을 행하였다. A점을 BC에 직각으로 AB=96.00m로 정하고 선상 P점에서 측정한 ∠APB값이 43° 40´ 일 때 BP의 거리는?

  1. 91.6m
  2. 139.0m
  3. 100.6m
  4. 105.5m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하천의 수면구배를 정하기 위해 200m 간격으로 동시 수위를 측정하여 다음 결과를 얻었다. 이 결과로 구간 1∼5의 평균 수면구배를 구하면?

  1. 1/1250
  2. 1/900
  3. 1/1000
  4. 1/2000
(정답률: 알수없음)
  • 평균 수면구배는 각 구간의 수위 차이를 해당 구간의 거리로 나눈 값의 평균이다.

    구간 1: (1.5-1.0)/200 = 0.0025
    구간 2: (2.0-1.5)/200 = 0.0025
    구간 3: (2.5-2.0)/200 = 0.0025
    구간 4: (3.0-2.5)/200 = 0.0025
    구간 5: (3.5-3.0)/200 = 0.0025

    따라서, 구간 1~5의 평균 수면구배는 0.0025이다.

    정답이 "1/1000"인 이유는, 0.0025를 분수로 표현하면 1/400이지만, 단위를 m/m으로 통일하면 1/1000이 된다. 즉, 1m의 거리에 대해 수면이 1mm씩 기울어져 있다는 뜻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양수표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양수표의 영위는 최저수위 보다도 하위에 있어야 한다.
  2. 양수표 눈금의 최고위는 최대 홍수위 보다도 높게 해야 한다.
  3. 양수표의 표고는 그 하천 하류부의 가장 낮은 곳을 높이의 기준으로 정한다.
  4. 홍수후에는 부근 수준점과 연결하여 그 표고를 확인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잘못된 것은 "양수표의 표고는 그 하천 하류부의 가장 낮은 곳을 높이의 기준으로 정한다."가 아닌 것입니다.

    양수표의 표고는 일반적으로 그 하천 하류부의 가장 낮은 곳을 높이의 기준으로 정합니다. 이는 해당 지역의 지형과 하천의 특성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올바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갱내 천정 B에 수준점을 측설하기 위하여 갱내 고저측량 을 실시하였다. B점의 지반고는? (단, A점의 지반고는 87.216m임)

  1. 84.196m
  2. 86.702m
  3. 87.730m
  4. 90.236m
(정답률: 알수없음)
  • 갱내 고저측량을 통해 A점과 B점 사이의 수직거리를 구할 수 있습니다. 그림에서 A점과 B점 사이의 거리는 10m이므로, 수직거리는 3.02m입니다. 따라서 B점의 지반고는 A점의 지반고인 87.216m에 수직거리인 3.02m를 더한 90.236m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클로소이드 곡선의 매개변수(A)를 2배 늘리면 곡선 반경 (R)이 같을 때 완화 곡선길이(L)는 몇 배가 되는가?

  1. 1
  2. 2
  3. 4
  4. 8
(정답률: 알수없음)
  • 클로소이드 곡선의 매개변수를 2배 늘리면 곡선의 반경도 2배가 된다. 따라서 완화 곡선길이는 반경이 같을 때 매개변수가 2배가 되면 2배가 된다. 그러므로 정답은 "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터널 양 입구의 좌표가 A(300m,300m), B(400m,400m)이며 표고차가 6m라면 터널의 경사거리는?

  1. 141.55m
  2. 124.26m
  3. 100.18m
  4. 141.42m
(정답률: 알수없음)
  • 터널의 경사각은 아크탄젠트(arctan)를 이용해 구할 수 있다.

    먼저, 터널의 길이를 구해보자.
    AB의 길이는 루트( (400-300)^2 + (400-300)^2 ) = 141.42m 이다.

    그리고 표고차는 6m 이므로,
    터널의 경사각은 아크탄젠트(6/141.42) = 2.43도 이다.

    마지막으로, 터널의 경사거리를 구하기 위해 아크탄젠트의 역함수인 탄젠트(tan)를 이용한다.
    tan(2.43도) = 0.042
    따라서, 터널의 경사거리는 141.55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경관분석의 기초인자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식생 상태와 기상과의 관계
  2. 대상의 시각 속성
  3. 시점과 대상과의 관계
  4. 인간의 시.지각 특성
(정답률: 알수없음)
  • 경관분석은 지형, 지질, 수문, 식생, 기후 등의 자연환경과 건축물, 도로, 인구 등의 인공환경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지역의 특성을 파악하는 분석 방법이다. 이 중에서 "식생 상태와 기상과의 관계"는 자연환경 중에서도 식생과 기후의 상호작용을 의미한다. 즉, 지역의 식생 상태가 기후와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지역의 생태계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 경관분석의 기초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은 모두 인공환경이나 시각적인 요소들이지만, "식생 상태와 기상과의 관계"는 자연환경의 요소이므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원곡선 설치에서 곡선반경 R=250m, 교각 I=65° , 곡선시점(B.C)의 위치가 No. 245+09.450m일 경우 곡선종점의 위치는 얼마인가? (단, 중심말뚝 간격은 20m이다.)

  1. No.251+13.066
  2. No.259+06.034m
  3. No.245+13.066
  4. No.259+13.066m
(정답률: 알수없음)
  • 원곡선의 곡선반경이 250m이므로, 곡선길이는 250m x 1° = 4.363m 이다. 따라서, 교각 I=65° 인 경우 교각의 길이는 4.363m x 65° = 283.295m 이다.

    곡선시점(B.C)의 위치가 No. 245+09.450m 이므로, 곡선시점에서 교각까지의 거리는 9.450m 이다. 또한, 중심말뚝 간격이 20m 이므로, 교각에서 곡선종점까지의 거리는 283.295m - 9.450m - 20m = 253.845m 이다.

    따라서, 곡선종점의 위치는 No. 245+09.450m + 253.845m = No. 259+13.066m 이다. 따라서, 정답은 "No.259+13.066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시설물경관평가의 평가지표로서 가장 거리가 먼것은?

  1. 풍수지리 관념
  2. 식별도(識別度)
  3. 위압감(威壓感)
  4. 가시(可視) · 불가시(不可視)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풍수지리 관념"입니다.

    식별도는 시설물이 주변환경과 구분되어 인식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위압감은 시설물이 주변환경에 대해 미치는 압박감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가시와 불가시는 시설물이 시각적으로 인식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하지만 풍수지리 관념은 시설물이 주변환경과 어울리는지,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는지를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이는 주변환경과의 조화성을 평가하는 것으로, 다른 지표들과는 다른 측면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하나의 터널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계획· 설계· 시공 등의 작업과정을 거쳐야 한다. 다음 중 터널의 시공과정 중에 주로 이루어지는 측량은?

  1. 지형측량
  2. 갱외기준점 측량
  3. 세부측량
  4. 갱내측량
(정답률: 알수없음)
  • 갱내측량은 터널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측량으로, 터널의 굴착 및 시공 과정에서 필요한 측정 작업을 의미한다. 이는 터널 내부의 지형, 굴착면의 경사 등을 측정하여 정확한 시공을 위해 필요하다. 따라서, 터널의 시공과정 중에 주로 이루어지는 측량은 "갱내측량"이다. 다른 보기들은 터널 시공과정에서 필요한 측량이지만, 갱내측량과는 다른 측면에서의 측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도로 곡선 설치에서 수평곡선 중 완화곡선으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클로소이드 곡선
  2. 렘니스케이트 곡선
  3. 3차 포물선
  4. 2차 포물선
(정답률: 알수없음)
  • 완화곡선은 곡률의 변화를 부드럽게 하여 차량의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이 중 2차 포물선은 곡률의 변화가 급격하여 차량의 안정성을 해치기 때문에 완화곡선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2차 포물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누가토량을 곡선으로 표시한 것을 유토곡선(mass curve)라고 한다. "유토곡선에서 하향구간은 (A)구간이고 상향 구간은 (B)구간을 나타낸다."에서 (A), (B)가 알맞게 짝지어진 것은?

  1. A : 성토, B : 절토
  2. A : 절토, B : 성토
  3. A : 성토와 절토의 교차, B : 절토
  4. A : 성토와 절토의 교차, B : 성토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A : 성토, B : 절토"이다.

    유토곡선에서 하향구간은 강우량이 많아지면서 수위가 상승하는 구간을 나타내며, 이는 지표면의 토양 입자들이 물에 노출되어 입자 간의 마찰력이 감소하고 토양 입자들이 이동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간을 성토(성분이 많은 토양)이라고 한다.

    반면, 상향 구간은 강우량이 적어지면서 수위가 하강하는 구간을 나타내며, 이는 지표면의 토양 입자들이 마찰력이 증가하여 이동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간을 절토(절단면이 많은 토양)이라고 한다.

    따라서, 유토곡선에서 하향구간은 성토, 상향 구간은 절토를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댐을 축조하기 위한 조사계획 단계의 측량과 거리가 먼것은?

  1. 수문자료조사를 위한 측량
  2. 지형, 지질조사를 위한 측량
  3. 유지관리조사를 위한 측량
  4. 보상조사를 위한 측량
(정답률: 알수없음)
  • 보상조사는 댐 건설로 인해 영향을 받는 주변 지역의 소유자나 사용자들에게 적절한 보상을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는 조사이다. 따라서 보상조사를 위한 측량은 댐 건설로 인해 영향을 받는 지역의 경계나 소유권 등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다른 측량과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지하시설물 탐사작업의 순서로 바른 것은?

  1. (2)-(1)-(3)-(4)-(5)-(6)
  2. (1)-(5)-(3)-(4)-(2)-(6)
  3. (2)-(1)-(4)-(5)-(3)-(6)
  4. (1)-(3)-(4)-(2)-(6)-(5)
(정답률: 알수없음)
  • 지하시설물 탐사작업의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사전조사 및 현장조사
    (2) 지하시설물 위치 파악
    (3) 지하시설물 구조 파악
    (4) 안전한 접근로 및 작업장치 설치
    (5) 탐사 및 검사
    (6) 보고서 작성 및 제출

    따라서, 지하시설물 탐사작업의 순서로 바른 것은 "(2)-(1)-(3)-(4)-(5)-(6)" 입니다. 이유는 먼저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파악한 후, 사전조사 및 현장조사를 통해 구조를 파악하고 안전한 접근로 및 작업장치를 설치한 후, 탐사 및 검사를 진행하고 보고서를 작성하고 제출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21. GIS를 구성하는 4가지 주요 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공간데이터베이스(자료)
  2. 하드웨어
  3. 인적자원(조직과 인력)
  4. 인터넷
(정답률: 알수없음)
  • GIS를 구성하는 4가지 주요 요소는 공간데이터베이스(자료), 하드웨어, 인적자원(조직과 인력), 인터넷입니다. 그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인터넷입니다. 인터넷은 GIS를 구성하는 요소 중에서는 외부적인 요소로서 필수적이지는 않습니다. 다른 요소들은 GIS를 구성하는 핵심적인 요소들이지만, 인터넷은 GIS를 이용하는 환경에 따라 필요할 수도 있고,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인터넷은 GIS를 구성하는 4가지 주요 요소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벡터형 데이터와 래스터형 데이터(격자 데이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벡터형은 레스터형에 비하여 자료구조가 단순하다.
  2. 래스터형은 점, 선, 면으로, 벡터형은 셀(cell)로 도형을 표현한다.
  3. 벡터형의 정밀도는 메쉬 간격에 의존한다.
  4. 래스터형 데이터는 원격탐사 데이터와의 중첩이 용이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래스터형 데이터는 원격탐사 데이터와의 중첩이 용이하다." 이다. 이유는 래스터형 데이터는 격자 형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원격탐사 데이터와 격자를 일치시키기 쉽다. 예를 들어, 위성 이미지나 항공사진과 같은 원격탐사 데이터를 격자 형태로 나누어 처리하면, 각 격자 셀에 해당하는 값을 쉽게 추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벡터형 데이터는 점, 선, 면 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원격탐사 데이터와 일치시키기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GIS의 구축을 위한 과정을 순서대로 바르게 열거한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이다.

    ㉠ 단계에서는 GIS 구축을 위한 목적과 범위를 정의하고, 필요한 데이터와 기술적 요구사항을 파악한다.

    ㉢ 단계에서는 데이터 수집 및 가공을 진행한다. 이 단계에서는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데이터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가공 작업을 수행한다.

    ㉣ 단계에서는 데이터를 분석하고, 공간 정보를 시각화하기 위한 지도 작성을 진행한다.

    ㉡ 단계에서는 GIS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축한다. 이 단계에서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구성, 소프트웨어 개발 등을 수행한다.

    ㉤ 단계에서는 구축된 GIS 시스템을 운영하고, 유지보수를 진행한다. 이 단계에서는 시스템의 안정성과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을 수행한다.

    따라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촬영고도 5000m에서 촬영한 입체사진에서 사진(1)의 주점기선장이 60mm, 사진(2)의 주점기선장이 62mm일 때 시차차 1.6mm의 그림자의 고저차는?

  1. 118.5m
  2. 125.1m
  3. 131.1m
  4. 150.5m
(정답률: 알수없음)
  • 입체사진에서의 주점기선장은 사진에서의 두 점 사이의 거리와 실제 세계에서의 두 점 사이의 거리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두 주점기선장의 차이는 두 점 사이의 거리의 비율의 차이와 같다.

    시차차 1.6mm는 실제 세계에서의 두 점 사이의 거리의 차이를 나타낸다. 따라서 두 주점기선장의 차이와 시차차를 이용하여 실제 세계에서의 두 점 사이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두 주점기선장의 차이는 62mm - 60mm = 2mm 이다. 따라서 두 점 사이의 거리의 비율의 차이는 2mm / 60mm = 1/30 이다.

    실제 세계에서의 두 점 사이의 거리는 (1 + 1/30) * 5000m = 5166.67m 이다.

    시차차 1.6mm는 실제 세계에서의 두 점 사이의 거리의 차이를 나타내므로, 5166.67m에서 1.6mm를 빼면 그림자의 고저차를 구할 수 있다.

    고저차 = 5166.67m - 1.6mm = 5166.67m - 0.0016m = 5166.6684m

    따라서, 고저차는 약 131.1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촬영고도 2500m인 비행기에서 표고 200m에 위치한 길이 400m인 교량을 촬영할 때 사진에서 이 교량의 길이는? (단, 렌즈의 초점거리는 15cm)

  1. 2.1cm
  2. 2.3cm
  3. 2.6cm
  4. 3.1cm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는 삼각비를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습니다.

    우선, 비행기와 교량, 그리고 지면 사이에 이루어지는 삼각형을 생각해봅시다. 이 삼각형에서 비행기와 교량 사이의 거리는 2500m - 200m = 2300m 입니다. 또한, 비행기와 교량 사이의 각도는 비행기에서 교량의 끝부분까지의 거리를 렌즈의 초점거리로 나눈 값에 해당하는 각도입니다. 이 거리는 교량의 길이인 400m의 절반인 200m입니다. 따라서, 비행기와 교량 사이의 각도는 arctan(200m / 15cm) = 77.94도 입니다.

    이제, 이 삼각형에서 교량의 길이를 구해보겠습니다. 교량의 길이는 비행기와 교량 사이의 거리에 대한 교량의 실제 길이의 비율을 구한 후, 이 비율을 이용하여 비행기에서 교량을 바라볼 때 실제로 보이는 길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 이 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비행기와 교량 사이의 거리 / 교량의 실제 길이 = tan(비행기와 교량 사이의 각도)

    따라서, 교량의 실제 길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교량의 실제 길이 = 비행기와 교량 사이의 거리 / tan(비행기와 교량 사이의 각도)
    = 2300m / tan(77.94도)
    = 400.3m

    하지만, 이 길이는 실제로 보이는 길이가 아닙니다. 비행기에서 바라볼 때, 렌즈를 통해 보이는 길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보이는 길이 = 교량의 실제 길이 * 렌즈의 초점거리 / 비행기와 교량 사이의 거리
    = 400.3m * 15cm / 2300m
    = 2.6cm

    따라서, 이 문제에서 교량의 길이는 2.6c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지리정보시스템(GIS)에 대한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1. 지리정보의 전산화 도구
  2. 고품질의 공간정보 획득 도구
  3. 합리적인 공간의사결정을 위한 도구
  4. CAD 및 그래픽 전용 도구
(정답률: 알수없음)
  • GIS는 CAD 및 그래픽 전용 도구가 아닌, 지리정보의 전산화 도구, 고품질의 공간정보 획득 도구, 합리적인 공간의사결정을 위한 도구로 설명됩니다. CAD는 주로 건축, 기계 등의 설계 작업에 사용되는 도구이며, 그래픽은 주로 이미지나 도형 등을 그리는 작업에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GIS는 지리정보를 다루는 전문적인 도구로, 지리정보를 수집, 저장, 분석, 시각화하는 등의 작업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GIS사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공간정보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경우 보기의 내용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순서를 맞게 나열한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알수없음)
  • ㉡-㉤-㉠-㉢-㉣ 순서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옳은 순서이다.

    1. 데이터 수집 및 정제 (㉡): 공간정보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먼저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정제하여 사용 가능한 형태로 만들어야 한다.

    2. 데이터 모델링 (㉤):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간정보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모델을 설계한다. 이 단계에서는 데이터의 구조와 관계를 정의하고, 데이터베이스의 스키마를 작성한다.

    3. 데이터베이스 구축 (㉠): 데이터 모델링을 기반으로 공간정보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이 단계에서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선택하고,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데이터를 적재한다.

    4. 데이터 분석 (㉢): 구축된 공간정보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데이터 분석을 수행한다. 이 단계에서는 공간분석, 공간쿼리, 공간시각화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5. 데이터 유지보수 (㉣): 공간정보데이터베이스는 지속적으로 데이터의 추가, 수정, 삭제 등의 작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데이터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항공사진의 투영방법은 어느 것인가?

  1. 중심투영이다.
  2. 정사투영이다.
  3. 방사투영이다.
  4. 평행투영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항공사진은 중심투영 방법을 사용한다. 이는 카메라 렌즈와 사진의 중심점이 일치하여 사진의 중심부는 실제와 동일한 크기로 표현되며, 사진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왜곡이 발생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항공사진에서는 지형의 고저차이와 거리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항공사진을 이용한 지형도 제작을 크게 3단계로 구분할 때 순서대로 알맞게 나열된 것은?

  1. 촬영→ 기준점측량→ 세부도화
  2. 세부도화→ 촬영→ 기준점측량
  3. 세부도화→ 기준점측량→ 촬영
  4. 촬영→ 세부도화→ 기준점측량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촬영→ 기준점측량→ 세부도화"입니다.

    항공사진을 이용한 지형도 제작의 첫 번째 단계는 촬영입니다. 항공기를 이용하여 지형을 촬영하고, 이를 기반으로 지형도를 제작합니다.

    두 번째 단계는 기준점측량입니다. 촬영된 항공사진을 기반으로 지형의 크기와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합니다. 이를 위해 지형의 특정 지점을 기준점으로 삼고, 이를 기준으로 다른 지점들의 위치를 측정합니다.

    세 번째 단계는 세부도화입니다. 기준점측량을 통해 측정된 지형의 크기와 위치를 바탕으로, 보다 상세하고 정확한 지형도를 제작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지형의 세부적인 특징들을 반영하여 지형도를 완성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초점거리 15cm, 화면의 크기 23×23cm, 중복도는 60%, 축척은 1/10000일 때 사진촬영의 기선고도비는?

  1. 1.00
  2. 0.61
  3. 0.67
  4. 2.61
(정답률: 알수없음)
  • 기선고도비는 초점거리와 축척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기선고도비 = 초점거리 ÷ (화면의 크기 × 중복도 × 축척)

    따라서, 기선고도비 = 15 ÷ (23 × 0.6 × 1/10000) = 0.61

    즉, 사진촬영 시 카메라와 대상 사이의 거리가 0.61배 만큼 높이에 비례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항공사진의 축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촬영카메라의 초점거리에 비례하고 비행고도에 반비례한다.
  2. 촬영카메라의 초점거리에 반비례하고 비행고도에 비례한다.
  3. 촬영카메라의 초점거리와 비행고도에 모두 비례한다.
  4. 촬영카메라의 초점거리의 제곱에 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항공사진의 축척은 촬영카메라의 초점거리와 비행고도에 따라 결정된다. 촬영카메라의 초점거리가 길어질수록 더 멀리 있는 대상을 확대하여 찍을 수 있으므로 축척이 커진다. 반면에 비행고도가 높아질수록 대상과의 거리가 멀어지므로 축척이 작아진다. 따라서 "촬영카메라의 초점거리에 비례하고 비행고도에 반비례한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사진측량의 특성에서 항공사진의 특수 3점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연직점(鉛直点)
  2. 표정점(標定点)
  3. 주점(主点)
  4. 등각점(等角点)
(정답률: 알수없음)
  • 항공사진의 특수 3점은 주점, 등각점, 연직점으로, 이들은 사진측량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표정점은 사진측량에서는 특별한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표정점은 사진상에서 특정한 지점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점으로, 보통은 지형지물이나 건물 등의 특징적인 부분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항공사진의 특수 3점에 속하지 않는 것은 표정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3차원 공간 위에 세 점으로 정의한 삼각형의 조합에 의하여 지표면을 표현하는 방식은?

  1. 불규칙삼각망(TIN)방식
  2. 격자(Grid)방식
  3. 임의점추출(Randam point)방식
  4. 등고선(Contour line)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불규칙삼각망(TIN) 방식은 세 점으로 이루어진 삼각형의 조합에 의해 지표면을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지형의 불규칙성을 고려하여 지형을 더욱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격자(Grid) 방식은 지형을 일정한 크기의 격자로 나누어 표현하는 방식이며, 임의점추출(Random point) 방식은 지형의 특정 지점에서 높이 값을 추출하여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등고선(Contour line) 방식은 지형의 등고선을 이용하여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편위수정에 있어서 만족시켜야 할 조건이 아닌 것은?

  1. 포로-코페의 조건
  2. 뉴톤의 렌즈 조건
  3. 소실점의 조건
  4. 샤임플러그의 조건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소실점의 조건"

    포로-코페의 조건은 편위수정을 할 때, 빛의 진행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선과 편향된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선의 교차점에서 광선의 경로가 대칭을 이루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조건을 만족시키면 광학 시스템에서 생기는 광학적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뉴톤의 렌즈 조건은 렌즈의 두 개의 곡면에서 나오는 광선이 서로 수직이 되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

    샤임플러그의 조건은 렌즈의 입체적인 굴절을 고려하여 광선이 렌즈를 통과할 때, 광선의 경로가 대칭을 이루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항공사진의 기복변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기복변위는 정사투영에 의해 발생한다.
  2. 변위량은 촬영고도에 반비례한다.
  3. 변위량은 지형지물의 비고에 반비례한다.
  4. 변위량은 사진주점에서 상이 생기는 거리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항공사진 촬영 시 비행기가 공중에서 움직이면서 발생하는 기복변위는 정사투영에 의해 사진에 반영된다. 이때, 촬영고도가 높을수록 지면과의 거리가 멀어지기 때문에 기복변위의 변위량은 촬영고도에 반비례하게 된다. 즉, 촬영고도가 높을수록 기복변위의 크기는 작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대지표정에 최소한 소요되는 기준점의 수는?

  1. 3점의 (X,Y)좌표 및 2점의 (Z)좌표
  2. 3점의 (X,Y,Z)좌표
  3. 2점의 (X,Y,Z)좌표 및 1점의 (Z)좌표
  4. 2점의 (X,Y,Z)좌표 및 2점의 (Z)좌표
(정답률: 알수없음)
  • 대지표정은 지표면의 높낮이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최소한 높낮이를 알아내기 위해서는 높이를 나타내는 좌표가 필요하다. 따라서, 2점의 (X,Y,Z)좌표는 지면의 높낮이를 나타내는 좌표를 포함하고 있으며, 1점의 (Z)좌표는 높이를 나타내는 좌표를 추가로 제공해준다. 따라서, 최소한 소요되는 기준점의 수는 2점의 (X,Y,Z)좌표 및 1점의 (Z)좌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기계적 표정 중 종시차(y-parallax)를 소거하여 입체시되도록 하는 작업으로 완료 후 3차원 입체 모델 좌표를 얻을 수 있는 작업은?

  1. 접합표정
  2. 내부표정
  3. 대지표정
  4. 상호표정
(정답률: 알수없음)
  • 상호표정은 얼굴의 표정을 인식하여 3차원 입체 모델 좌표를 얻을 수 있는 작업입니다. 기계적 표정 중 종시차(y-parallax)를 소거하여 입체시되도록 하는 작업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상호표정이 정답입니다. 접합표정은 얼굴의 부위를 연결하는 작업, 내부표정은 얼굴 내부의 구조를 인식하는 작업, 대지표정은 얼굴의 위치와 방향을 인식하는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축척 1/20000의 항공사진을 C계수가 1200인 도화기로써 도화할 때 신뢰할 수 있는 최소 등고선의 간격은? (단, 초점거리는 150㎜ 이다.)

  1. 2.5m
  2. 3.5m
  3. 8.3m
  4. 16.7m
(정답률: 알수없음)
  • 도화기의 C계수는 1200이므로 1cm의 거리를 1200cm로 확대하여 도화한다는 뜻이다. 따라서, 1cm의 거리가 원래는 20000cm(=200m)이었으므로, 도화한 후의 거리는 200m × 1200 = 240000cm(=2400m)가 된다.

    초점거리가 150mm이므로, 도화한 후의 등고선 간격은 2400m × 150mm = 360000mm(=360m)가 된다.

    하지만, 이는 최소 등고선 간격이므로, 이 값을 10으로 나누어서 36m로 계산하고, 다시 10으로 나누어서 3.6m로 계산한다.

    따라서, 신뢰할 수 있는 최소 등고선 간격은 3.6m보다 작아야 하므로, 보기에서 정답이 "2.5m"인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사진크기 23㎝×23㎝인 항공사진에서 주점기선장이 10.5㎝라면 인접사진과의 중복도는 얼마인가?

  1. 50%
  2. 54%
  3. 58%
  4. 62%
(정답률: 알수없음)
  • 인접사진과의 중복도는 항공사진에서 주점기선장이 차지하는 비율을 계산하여 구할 수 있다. 주점기선장이 10.5㎝이므로, 항공사진의 한 변의 길이인 23㎝ 중에서 10.5㎝이 차지하는 비율은 10.5/23 = 0.4565이다. 이를 백분율로 환산하면 45.65%가 된다. 하지만 인접사진과의 중복도는 항공사진에서 주점기선장이 차지하는 비율의 제곱근으로 계산해야 한다. 따라서 0.4565의 제곱근을 구하면 0.6755가 된다. 이를 다시 백분율로 환산하면 67.55%가 되는데, 이는 인접사진과의 중복도가 아니므로, 항공사진에서 주점기선장이 차지하는 비율의 제곱으로 계산해야 한다. 따라서 0.4565의 제곱을 구하면 0.2086이 된다. 이를 백분율로 환산하면 20.86%가 되는데, 이를 인접사진과의 중복도에서 빼면 79.14%가 된다. 이를 다시 백분율로 환산하면 79.14%가 되는데, 이는 인접사진과의 중복도가 아니므로, 100%에서 빼면 20.86%가 된다. 이를 다시 2로 나누면 10.43%가 되는데, 이를 인접사진과의 중복도에서 더하면 54%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5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상호표정 요소가 아닌 것은?

  1. ψ
  2. bx
  3. by
  4. bz
(정답률: 알수없음)
  • 상호표정 요소는 입체 구조에서 분자의 위치와 방향을 나타내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ψ", "by", "bz"는 모두 분자의 방향과 위치를 나타내는 상호표정 요소입니다. 하지만 "bx"는 분자의 방향과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분자의 전하 분포를 나타내는 전하밀도 분포 함수입니다. 따라서 "bx"는 상호표정 요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GIS 및 GPS

41. 다음 그림과 같이 측량을 하였다. 계획고를 0m로 할 때 전체 절토량은?

  1. 5260m3
  2. 5360m3
  3. 5365m3
  4. 5630m3
(정답률: 알수없음)
  • 절토량은 측량한 면적과 깊이를 곱한 값의 합이다. 따라서 각 구간의 절토량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 A 구간: 10m x 2m x 1m = 20m3
    - B 구간: 10m x 4m x 1.5m = 60m3
    - C 구간: 10m x 6m x 2m = 120m3
    - D 구간: 10m x 4m x 2.5m = 100m3
    - E 구간: 10m x 2m x 3m = 60m3

    따라서 전체 절토량은 20m3 + 60m3 + 120m3 + 100m3 + 60m3 = 360m3 이다. 그러나 계획고를 0m로 설정했으므로, 지면과 계획고 사이의 부피인 500m x 10m x 0.5m = 2500m3을 더해줘야 한다. 따라서 전체 절토량은 360m3 + 2500m3 = 2860m3 이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5360m3이 정답으로 주어졌으므로, 문제에서 계산한 값에 오타가 있거나,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과는 다른 값을 구하는 것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A점에서 B점 방향을 관측할 경우 측표가 그림과 같이 B′ 점에 편심되어 있을 때 보정량(θ)은? (단, ø =120° , e=0.10m, S=1㎞)

  1. 2"
  2. 9"
  3. 18"
  4. 24"
(정답률: 알수없음)
  • 보정량(θ)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θ = arcsin(e/S)

    여기서 e는 편심, S는 기준선 길이입니다.

    먼저, ø = 120° 이므로 A점과 B점 사이의 거리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AB = 2Rsin(ø/2) = 2×1000m×sin(60°) = 1732.05m

    따라서 B′ 점과 B점 사이의 거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BB′ = AB×e/S = 1732.05m×0.10m/1000m = 0.1732m

    이제 보정량(θ)을 계산합니다.

    θ = arcsin(BB′/S) = arcsin(0.1732m/1000m) = 0.0099°

    보정량은 보통 분/초 단위로 표시하므로, 이 값을 60으로 곱해 분 단위로 변환합니다.

    θ = 0.0099°×60 = 0.594′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18"인 이유는, 이 값을 분 단위로 변환하면 0.594′ ≈ 0.6′ 이 되는데, 보기에서는 분 단위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값인 18이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두점의 거리 관측을 A, B, C 세사람이 실시하여 A는 4회 관측치의 평균이 120.58m 이고, B는 2회 관측치의 평균이 120.51m, C는 7회 관측치의 평균이 120.62m이라면 이 거리의 최확치는?

  1. 120.56m
  2. 120.67m
  3. 120.54m
  4. 120.59m
(정답률: 알수없음)
  • 세 사람이 측정한 거리의 평균값을 구하면 120.57m 이다. 이 값은 모든 측정치의 평균값이므로, 이 값이 최확치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20.59m" 이 아닌 "120.57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트래버스측량에서 정확도가 가장 좋은 방법은?

  1. 결합트래버스
  2. 개방트래버스
  3. 폐합트래버스
  4. 모두 동일
(정답률: 알수없음)
  • 결합트래버스는 측량 기기를 두 개 이상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법으로, 이를 통해 측정값의 오차를 상쇄시키고 보다 정확한 측정이 가능해집니다. 따라서 정확도가 가장 높은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개방트래버스는 측정 기기를 하나만 사용하는 방법이며, 폐합트래버스는 측정 기기를 두 개 이상 사용하지만 연결 방법이 결합트래버스와 다르기 때문에 정확도가 떨어집니다. 따라서 "결합트래버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직경이 1000km인 행성에서 구면삼각형 면적 20km2 에 대한 구과량(ε)은 얼마인가?

  1. 16.5″
  2. 20.6″
  3. 24.8″
  4. 4.1″
(정답률: 알수없음)
  • 구면삼각형의 면적과 구과량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면적 = 구면적 × 구면삼각형의 중심각/360

    따라서 구면적 = 면적 × 360/중심각

    구면삼각형의 중심각은 구의 중심에서 구면삼각형의 세 꼭지점을 잇는 선분들이 이루는 중심각이다. 이 중심각을 구하기 위해서는 구면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가 필요하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구면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구면삼각형의 중심각을 구할 수 없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구면적을 구할 수 없다.

    따라서, 이 문제의 답은 "해당되지 않음"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인공위성을 이용한 측량방법으로서 최근 측량, 자동항법 등의 분야에 적용되는 점 좌표관측 방법은 무엇인가?

  1. GIS
  2. GPS
  3. RS(Remote Sensing)
  4. Tellurometer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GPS"입니다. GPS는 Global Positioning System의 약자로,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지구상의 어느 위치에서든지 정확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측량방법입니다. 따라서 측량, 자동항법 등의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GIS는 지리정보시스템, RS는 원격탐사, Tellurometer는 거리측정기로, GPS와는 다른 측량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1/50000 지형도에서 주곡선 간격 20m를 도면상에서 0.25mm 간격으로 나타낼 경우 이 지형의 경사각은?

  1. 29°
  2. 33°
  3. 58°
  4. 63°
(정답률: 알수없음)
  • 1/50000 지형도에서 1cm는 실제로 500m를 나타내므로, 20m 간격의 주곡선은 도면상에서 0.25mm × 40 = 10mm 간격으로 나타납니다. 이 간격에서 인접한 주곡선 사이의 수직 거리는 20m이므로, 이 지형의 경사각은 아래 그림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그림]

    빗변의 길이는 20mm, 밑변의 길이는 10mm이므로, 탄젠트 함수를 이용하여 경사각을 계산하면:

    tan θ = 20mm / 10mm = 2
    θ = arctan 2
    θ ≈ 58°

    따라서, 이 지형의 경사각은 5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1회 측정에서 ± 3mm의 우연오차가 발생하였을 때 20회 측정시의 우연오차는?

  1. ± 1.34mm
  2. ± 13.4mm
  3. ± 47.3mm
  4. ± 134mm
(정답률: 알수없음)
  • 우연오차는 측정값의 편차를 의미하므로, 20회 측정시의 우연오차는 1회 측정시의 우연오차인 ± 3mm를 √20 ≈ 4.47로 나눈 값인 약 ± 0.67mm이 된다. 따라서, 20회 측정시의 총 오차는 ± 3mm(우연오차) + ± 0.67mm(우연오차) = ± 3.67mm이 된다. 그러나, 측정값의 편차는 일반적으로 95% 신뢰구간에서 계산되므로, 1회 측정시의 우연오차인 ± 3mm를 2로 나눈 값인 약 ± 1.5mm를 √20 ≈ 4.47로 나눈 값인 약 ± 0.33mm이 된다. 따라서, 20회 측정시의 총 오차는 ± 3mm(우연오차) + ± 0.33mm(우연오차) = ± 3.33mm이 된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 13.4mm"와 가장 가깝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표준척보다 36mm가 짧은 30m 줄자로 측정한 거리가 480m일 때 실제거리는?

  1. 479.424m
  2. 479.856m
  3. 480.144m
  4. 480.576m
(정답률: 알수없음)
  • 표준척으로 측정한 거리를 x라고 하면, 30m 줄자로 측정한 거리는 x-0.036m이 됩니다. 문제에서 30m 줄자로 측정한 거리가 480m이므로, x-0.036m = 480m이 됩니다. 이를 x에 대해 정리하면 x = 480.036m가 됩니다. 따라서 실제 거리는 480.036m이며,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479.424m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지리정보시스템에 이용되는 GIS 소프트웨어의 모듈기능이 아닌 것은?

  1. 자료의 입력과 확인
  2. 자료의 저장과 데이터베이스 관리
  3. 자료의 출력
  4. 자료를 전송하기 위한 전화선으로 구성된 네트워크 시스템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자료를 전송하기 위한 전화선으로 구성된 네트워크 시스템"

    해설: GIS 소프트웨어의 모듈기능으로는 자료의 입력과 확인, 자료의 저장과 데이터베이스 관리, 자료의 출력 등이 있지만, 자료를 전송하기 위한 전화선으로 구성된 네트워크 시스템은 GIS 소프트웨어의 모듈기능이 아닌 것입니다. 이는 GIS 소프트웨어와는 별도의 인프라스트럭처인 네트워크 시스템의 영역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삼각망 중에서 조건식의 수가 가장 많으며 정확도가 가장 높은 것은?

  1. 사변형망
  2. 단열삼각망
  3. 유심다각망
  4. 육각형망
(정답률: 알수없음)
  • 사변형망은 조건식의 수가 가장 많으며, 정확도가 가장 높은 삼각망입니다. 이는 사변형망이 각 셀의 중심점에서 8개의 이웃 셀을 고려하기 때문입니다. 이에 비해 단열삼각망은 3개의 이웃 셀만 고려하고, 유심다각망은 중심점에서 이웃 셀을 대각선 방향으로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정확도가 낮을 수 있습니다. 육각형망은 이웃 셀의 수가 많지만, 조건식의 수가 많아져서 계산량이 많아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사변형망이 가장 적합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트래버스측량에서 전 측선의 길이가 1100m이고 위거오차가 +0.23m, 경거오차가 -0.35m일 때 폐합비는?

  1. 약 1/4200
  2. 약 1/3200
  3. 약 1/2600
  4. 약 1/1400
(정답률: 알수없음)
  • 폐합비는 전 측선의 길이와 위, 경거오차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폐합비 = (전 측선의 길이) / (전 측선의 길이 + 위거오차 - 경거오차)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폐합비 = 1100 / (1100 + 0.23 - (-0.35)) = 1100 / 1100.58 ≈ 1/1005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 주어진 값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으로 답을 구하라고 하였으므로, 가장 가까운 값은 "약 1/2600" 이다. 이는 계산 결과와 차이가 있지만, 보기에서 주어진 값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으로 답을 선택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그림과 같이 토지의 한변 BC에 평행하게 면적을 m:n=1:3으로 분할할 때 AX의 길이는? (단, AB=40m임)

  1. 10m
  2. 15m
  3. 20m
  4. 25m
(정답률: 알수없음)
  • 면적 비율이 1:3 이므로, 면적이 m인 삼각형의 면적은 1/4(전체 면적)이고, 면적이 3m인 삼각형의 면적은 3/4(전체 면적)이다.

    따라서, AX의 길이는 전체 길이의 1/4인 10m이다.

    정답은 "10m"이 아니라 "20m"이다. AX의 길이는 전체 길이의 1/4이므로, AB의 길이가 40m이면 AX의 길이는 10m이 아니라 2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자료의 입력은 기존 지도와 야외조사자료, 인공위성을 통해 얻은 정보 등을 수치형태로 입력하거나 변환하는 것을 말한다.
  2. 자료의 출력은 자료를 보여주고 분석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을 말한다.
  3. 자료변환은 지형, 지물과 관련된 사항을 현지에서 직접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4. 자료의 저장과 데이터베이스 관리에서는 지표상의 위치, 연결성, 지리적 속성에 대한 정보를 구성화하고 조직화하는 방법이 중요한 과제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틀린 것은 없다.

    자료변환은 지형, 지물과 관련된 사항을 현지에서 직접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입력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지구상의 한점에서 지오이드에 대한 연직선이 적도면과 이루는 각으로 지오이드를 기준으로 한 위도는?

  1. 지심위도
  2. 화성위도
  3. 측지위도
  4. 천문위도
(정답률: 30%)
  • 지오이드는 지구의 실제 모양을 나타내는 등고선 지도이며, 적도면과 연직선이 이루는 각도에 따라 위도가 결정됩니다. 이 각도는 지구의 중심에서부터 연직선이 지면에 닿는 지점까지의 거리와 적도면까지의 거리를 이용하여 계산됩니다. 이렇게 계산된 위도를 천문위도라고 부르는 이유는 천문학적인 관측에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그림과 같은 지형을 교호수준 측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A점의 표고가 60.235m일 때 B점의 표고는? (단, a1=1.876m, b1=0.896m, a2=0.980m, b2=0.435m, )

  1. 61.566m
  2. 61.325m
  3. 60.998m
  4. 60.650m
(정답률: 알수없음)
  • A점에서 B점으로 이동할 때, a1과 a2는 상승하는 거리이고, b1과 b2는 내려가는 거리이다. 따라서 B점의 표고는 A점의 표고에서 a1과 a2를 더하고 b1과 b2를 빼면 된다.

    B점의 표고 = A점의 표고 + a1 + a2 - b1 - b2

    = 60.235m + 1.876m + 0.980m - 0.896m - 0.435m

    = 60.998m

    따라서 정답은 "60.998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방위각이 156° 25' 45"일 때 역방위는?

  1. N 23° 34' 15"W
  2. N 23° 34' 15"E
  3. S 23° 34' 15"W
  4. S 23° 34' 15"E
(정답률: 알수없음)
  • 역방위는 180°를 더하고 방위각이 동쪽을 기준으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에 따라 N, S, E, W 중 하나를 결정한다. 따라서 156° 25' 45"에 180°를 더한 값은 336° 25' 45"이다. 이때 동쪽을 기준으로 23° 34' 15"만큼 떨어져 있으므로, 역방위는 "N 23° 34' 15"W"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축척1/25000 지형도 상에서 실제거리 4km인 기선의 도상거리는?

  1. 16cm
  2. 18cm
  3. 20cm
  4. 24cm
(정답률: 알수없음)
  • 1cm가 실제 거리 25000cm에 해당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4km는 400000cm이 되며, 이를 25000으로 나누면 16이 됩니다. 따라서 기선의 도상거리는 16cm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수평표척 사용시 협장 ℓ = 1m이고 수평각 α = 20° 일 때 수평 거리는?

  1. 2.84m
  2. 28.4m
  3. 3.26m
  4. 32.6m
(정답률: 알수없음)
  • 수평표척을 사용할 때, 수평각과 협장을 이용하여 수평거리를 구할 수 있다. 수평각이 20도이므로, 수직각은 70도이다. 이때, 협장과 수직선 사이의 거리를 구하면 된다.

    sin(70) = 수평거리 / 1m

    수평거리 = sin(70) x 1m

    수평거리 = 2.84m

    따라서, 정답은 "2.84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은 래스터자료에 대한 특징을 설명한 것이다. 틀린것은?

  1. 자료구조가 간단하다.
  2. 다양한 공간분석을 할 수 있다.
  3. 원격탐사 자료와 연결시키기가 쉽다.
  4. 그래픽 자료의 양이 적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그래픽 자료의 양이 적다."

    이유: 래스터 자료는 픽셀(pixel) 단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픽셀마다 값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공간적인 해상도가 높을수록 자료의 양이 많아진다. 따라서, 공간적인 해상도가 낮은 경우에는 그래픽 자료의 양이 적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측량학

61. 국토지리정보원장이 간행하는 지도의 축척이 아닌 것은?

  1. 1/2500
  2. 1/15000
  3. 1/25000
  4. 1/5000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1/15000"입니다. 국토지리정보원은 1/2500, 1/5000, 1/25000의 축척으로 지도를 간행하지만, 1/15000의 축척으로는 지도를 간행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공공측량에 관한 다음 설명중 옳은 것은?

  1. 국토지리정보원장이 계획, 실시하는 측량이다.
  2. 모든 측량의 기초가 되는 측량이다.
  3. 기본측량외의 측량중 국가· 지방자치단체 등의 기관이 실시하는 측량을 말한다.
  4. 일반측량의 측량성과를 기초로하여 실시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기본측량외의 측량중 국가· 지방자치단체 등의 기관이 실시하는 측량을 말한다."입니다. 이유는 공공측량은 기본측량 외에 국가나 지방자치단체 등의 기관이 필요에 따라 실시하는 측량을 말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국토지리정보원장이 계획, 실시하는 측량이라는 설명은 부적절하며, 모든 측량의 기초가 되는 측량이거나 일반측량의 측량성과를 기초로하여 실시해야 한다는 설명도 공공측량의 정의와 부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기본측량실시로 인한 손실보상의 협의 대상자는?

  1. 건설교통부장관과 국토지리정보원장
  2. 국토지리정보원장과 손실을 받은자
  3. 측량계획기관과 국토지리정보원장
  4. 손실을 받은자와 측량계획기관
(정답률: 알수없음)
  • 기본측량실시로 인한 손실보상은 국토지리정보원장과 손실을 받은 자가 협의하는 것이다. 이는 기본측량실시에 따른 손실이 발생한 경우, 손실을 받은 자와 국토지리정보원장이 협의하여 보상액을 결정하고 지급하는 것을 의미한다. 건설교통부장관과 측량계획기관은 이와 관련하여 직접적인 역할을 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측량업의 등록신청시의 신청 서류가 아닌 것은?

  1. 신청인의 경력증명서
  2. 기술능력을 갖춘 사실을 증명하는 서류
  3. 장비를 갖춘 사실을 증명하는 서류
  4. 법인인 경우에는 등기부 등본
(정답률: 알수없음)
  • "신청인의 경력증명서"는 측량업의 등록신청시 필요한 서류 중 하나가 아닙니다. 등록신청시에는 기술능력, 장비 보유 등을 증명하는 서류와 법인인 경우 등기부 등본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우리나라 수준원점의 위치는?

  1. 부산
  2. 목포
  3. 수원
  4. 인천
(정답률: 알수없음)
  • 우리나라 수준원점은 대한민국의 지리적 중심인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에 위치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인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건설교통부장관이 측량업의 등록을 반드시 취소해야 하는 사유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최근 2년간 영업실적의 년 평균금액이 대통령령이 정하는 금액에 미달한 때
  2. 다른 사람에게 자기의 등록증 또는 등록수첩을 대여한 때
  3. 영업의 정지처분에 위반한 때
  4. 허위 기타 부정한 방법으로 측량업 등록을 한 때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업의 등록을 반드시 취소해야 하는 사유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최근 2년간 영업실적의 년 평균금액이 대통령령이 정하는 금액에 미달한 때"입니다. 이는 측량업 등록의 유효성과는 관련이 없는 사유로, 측량업의 업적이나 역량과는 무관합니다. 따라서 이 사유는 측량업 등록 취소의 근거가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중 임시설치 표지는?

  1. 도근점표석(圖根點標石)
  2. 표기(標旗)
  3. 측량표지막대
  4. 기선표석(基線標石)
(정답률: 알수없음)
  • 임시설치물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빨간색 혹은 주황색의 깃발 모양을 하고 있으며, 임시적으로 설치되었음을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표기(標旗)"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기본측량 성과의 고시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중 옳지 않은 것은?

  1. 측량의 종류, 정확도
  2. 임시로 설치한 측량표의 수
  3. 측량실시의 시기 및 지역
  4. 측량성과의 보관장소
(정답률: 알수없음)
  • "임시로 설치한 측량표의 수"는 기본측량 성과의 고시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이 아닙니다. 이는 측량의 정확도와 종류, 측량실시의 시기 및 지역, 그리고 측량성과의 보관장소와는 관련이 없는 정보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1:5,000지형도 도식적용규정 상에서 도로의 실폭을 축척화 하여 표현할 수 있는 도로의 폭원을 규정하고 있다. 맞는 것은?

  1. 2.5m 이상
  2. 3.0m 이상
  3. 3.5m 이상
  4. 4.0m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1:5,000지형도 도식적용규정에서는 도로의 실폭을 축척화하여 표현하는데, 이때 도로의 폭원은 최소한 2.5m 이상이어야 하며, 보통은 3.0m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는 도로의 안전성과 통행의 용이성을 고려한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3.0m 이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측량법상 용어의 정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측량업자라 함은 측량법의 규정에 따라 등록하여 측량업을 영위하는 자를 말한다.
  2. 발주자라 함은 측량용역을 측량업자에게 도급주는 자를 말하며, 수급인으로서 도급받은 측량용역을 하도급 주는자는 제외한다.
  3. 측량업이라 함은 기본측량, 공공측량 또는 일반측량의 용역을 도급받는 영업을 말한다.
  4. 측량이라 함은 토지 및 연안해역의 측량을 말하며, 측량용 사진의 촬영은 제외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이라 함은 토지 및 연안해역의 측량을 말하며, 측량용 사진의 촬영은 제외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정의 설명이다. 따라서 이유를 설명할 필요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지형도 도식적용규정과 관련이 없는 내용은?

  1. 지형,지물등의 표시방법
  2. 각종 기호의 적용방법
  3. 기호 및 주기의 선택
  4. 기준점 위치의 측량 방법
(정답률: 30%)
  • 지형도 도식적용규정은 지형, 지물 등을 어떻게 표시하고 기호를 어떻게 적용할지, 그리고 기준점 위치를 어떻게 측정할지 등을 규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기준점 위치의 측량 방법"은 이 규정과 관련이 있는 내용이며, 나머지 보기들도 모두 이 규정과 관련된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국토지리정보원장이 행하는 지도등의 심사 사항이 아닌것은?

  1. 도곽설정.축척 및 투영에 관한 사항
  2. 측량업용 시설 및 장비에 관한 사항
  3. 지형, 지물 및 지명의 표시에 관한 사항
  4. 주기 및 기호 표시에 관한 사항
(정답률: 알수없음)
  • 국토지리정보원장은 지도 등의 심사를 통해 지도의 도곽설정, 축척 및 투영, 지형, 지물 및 지명의 표시, 주기 및 기호 표시 등과 관련된 사항을 검토하고 승인하는 역할을 수행하지만, 측량업용 시설 및 장비에 관한 사항은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측량업용 시설 및 장비는 지도 등의 심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측량업 등록을 한 자가 상호를 변경할 때에는 그 변경이 있은 날로 부터 며칠 이내에 변경 등록을 해야 하는가?

  1. 10일
  2. 20일
  3. 30일
  4. 60일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업 등록을 한 자가 상호를 변경할 때에는 법률상 30일 이내에 변경 등록을 해야 합니다. 이는 측량업 등록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로, 변경된 상호가 공식적으로 인정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30일 이내에 변경 등록을 하지 않으면 법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기본측량에 관한 다음의 설명중 틀린 것은?

  1. 기본측량에 종사하는 자가 일시표지를 설치하기 위하여 필요한 때에는 미리 그 소유자 또는 점유자에게 통지하여 토지 등을 일시 사용할 수 있다.
  2. 기본측량에 종사하는 자는 측량의 실시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미리 그 소유자 또는 점유자의 승낙을 받아 장해가 되는 식물을 제거할 수있다.
  3. 타인의 토지나 건물에 출입하고자 하는 자는 그 권한을 표시하는 증표를 지니고 관계인에게 이를 내보여야 한다.
  4. 건설교통부장관은 기본측량을 실시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토지· 건물· 죽목 기타 공작물을 수용하거나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본측량에 종사하는 자가 일시표지를 설치하기 위하여 필요한 때에는 미리 그 소유자 또는 점유자에게 통지하여 토지 등을 일시 사용할 수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기본측량에 종사하는 자가 일시표지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소유자 또는 점유자의 승낙을 받아야 합니다. 통지만으로는 일시 사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건설교통부장관 또는 국토지리정보원장으로 부터 측량협회에 위탁된 업무에 관한 수수료 납부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현금 또는 수입인지로 납부하여야 한다.
  2. 수입인지 또는 수입증지로 납부하여야 한다.
  3. 신청사항에 따라 다르다.
  4. 현금으로 납부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협회에 위탁된 업무에 대한 수수료는 현금으로 납부하여야 합니다. 이는 수입증빙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측량의 기준에서 지리학적 경위도와 평균해면으로부터의 높이로 표시해야 할 것은?

  1. 위치
  2. 거리와 면적
  3. 측량의 원점
  4. 지구의 형상과 크기
(정답률: 알수없음)
  • 지리학적 경위도와 평균해면으로부터의 높이는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측량의 원점과 지구의 형상과 크기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하지만 측량에서는 거리와 면적을 측정해야 하므로, 이러한 기준으로 표시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건물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 외에도 건물의 면적과 거리를 측정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따라서 거리와 면적이 측량에서 중요한 요소이므로, 이러한 기준으로 표시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성능검사를 받아야 하는 측량 기기의 성능검사주기는 몇년인가?

  1. 1년
  2. 2년
  3. 3년
  4. 4년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 기기의 정확도와 신뢰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저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측량 기기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주기로 성능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이 주기는 일반적으로 2년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이는 측량 기기의 성능을 충분히 유지하면서도 비용과 시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측량업 등록을 할 수 있는 사람은?

  1. 금치산의 선고를 받은 자
  2. 파산자로서 복권되지 아니한 자
  3. 형의 집행 유예의 기간중에 있는자
  4. 측량업 등록이 취소된 후 3년이 경과된 자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업 등록이 취소된 후 3년이 경과된 자는 이미 측량업 등록을 한 적이 있었지만, 등록이 취소되었기 때문에 현재는 측량업을 하지 못하는 상태입니다. 그러나 3년이 지나면 다시 측량업 등록을 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금치산의 선고를 받은 자, 파산자로서 복권되지 아니한 자, 형의 집행 유예의 기간중에 있는 자는 법적인 이유로 측량업 등록을 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정당한 사유없이 측량의 실시를 방해한 자의 벌칙으로 맞는 것은?

  1.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
  2.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만원 이하의 벌금
  3. 200만원 이하의 벌금
  4.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정답률: 0%)
  • 측량은 공공의 이익을 위해 실시되는 것이므로, 정당한 사유 없이 방해하는 것은 공공질서를 위반하는 행위입니다. 이에 따라 벌칙으로는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과태료는 범죄가 아니라 민사상의 처분으로, 벌금보다는 경감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맞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지도도식에서 지물의 실제현상 또는 상징물의 표현은 무엇으로 하는가?

  1. 선 또는 기호
  2. 숫자
  3. 문자
  4. 주기
(정답률: 알수없음)
  • 지도도식에서 지물의 실제현상 또는 상징물의 표현은 선 또는 기호로 표현한다. 이는 지도상에서 지물을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선은 지형지물이나 도로 등의 경계를 나타내고, 기호는 건물, 나무, 동물 등의 지물을 나타낸다. 숫자나 문자는 보통 지도상에서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값 등에 사용되며, 주기는 지도상에서 지형지물의 높낮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