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3-06)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2005-03-0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응용측량

1. 갱내외의 연결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지상과 지하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가에 따라서 측량 방법이 다르다.
  2. 경사가 급한 경우에는 보조망원경이 있는 트랜싯을 사용해야 한다.
  3. 1개의 수직갱으로 연결할 경우에는 수직갱에 2개의 추를 매달아 연직면을 정한다.
  4. 추를 드리울 때 깊은 수갱에는 철선, 황동선 등이 사용되며 추의 중량은 5㎏ 이하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추를 드리울 때 깊은 수갱에는 철선, 황동선 등이 사용되며 추의 중량은 5㎏ 이하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깊은 수갱에서는 철선, 황동선 대신에 무게가 더 가벼운 나일론 라인 등이 사용되며, 추의 중량도 5㎏ 이상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원곡선 설치를 위한 기본 공식 중 맞는 것은? (단, R : 곡선 반지름, I : 교각[°]) (문제 오류로 문제 및 보기 내용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내용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신고를 통하여 내용 작성 부탁드립니다. 정답은 3번입니다.)

  1. 접선장(T.L.) = R · tan(I/3)
  2. 중앙종거(M) = R(1-(I/2))
  3. 곡선장(C.L.) = (Å/180°)RI
  4. 외할(E) = R((I/2)-1)
(정답률: 알수없음)
  • 원곡선 설치를 위한 기본 공식 중 맞는 것은 "곡선장(C.L.) = (Å/180°)RI" 입니다. 이 공식은 원호의 길이를 구하는 공식으로, Å는 호도법상의 호의 길이 단위이며, 180°는 반원의 각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반지름 R과 교각 I를 곱하고, 이를 Å/180°으로 나누어 곡선장을 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교각이 90°인 두 직선 사이에 외할(E)을 40m로 하는 곡선을 설치하고자 할 때, 적당한 곡선 반지름(R)은?

  1. 96.57m
  2. 92.43m
  3. 89.95m
  4. 87.54m
(정답률: 알수없음)
  • 외할(E)이 40m이므로, 곡선의 중심에서 교각까지의 거리는 R-40m이다. 또한, 교각이 90°이므로, 곡선의 중심각은 90°이다. 이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식을 세울 수 있다.

    sin(45°) = (R-40m) / R
    √2 / 2 = (R-40m) / R
    R√2 / 2 = R - 40m
    R / 2 = 40m / (√2 - 1)
    R = 80m / (√2 - 1)

    계산하면, R = 96.57m 이다. 따라서 정답은 "96.57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경사 30°인 사갱의 갱구와 갱저 간의 고저차를 엄밀하고 용이하게 측정하는데 가장 적당한 방법은?

  1. 경사계에 의해서 경사를 구하고 사거리를 측정하여 계산으로 구한다.
  2. 수은 기압계에 의하여 측정한다.
  3. Y 레벨로 직접 수준측량을 한다.
  4. 트랜싯으로 경사를 구하고 사거리를 측정하여 계산으로 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경사계는 경사를 측정하는데 정확하지 않을 수 있으며, 수은 기압계는 경사가 30°일 때 측정이 어렵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Y 레벨로 직접 수준측량을 한다면 경사를 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트랜싯으로 경사를 구하고 사거리를 측정하여 계산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트랜싯은 수평선과 수직선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도구로, 경사를 구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사거리를 측정하여 계산하는 것은 측정값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지하시설물 측량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지하시설물이란 상·하수도, 가스, 통신 등 지하에 매설된 시설물을 의미한다.
  2. 지하시설물에 대한 탐사간격은 20m 이하로 한다.
  3. 지하시설물의 위치, 깊이, 서로 떨어진 거리등을 측량 한다.
  4. 지표면상에 노출된 지하시설물은 측량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잘못된 설명은 "지표면상에 노출된 지하시설물은 측량하지 않는다." 이다. 지표면상에 노출된 지하시설물도 측량 대상이며, 위치와 깊이를 측정하여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파악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어느 도면상에서 면적을 측정하였더니 400m2 이었다. 도면이 가로, 세로 1%씩 축소되었다면 이때 발생되는 면적오차는 얼마인가?

  1. 4m2
  2. 6m2
  3. 8m2
  4. 12m2
(정답률: 알수없음)
  • 도면이 가로, 세로 1%씩 축소되면 면적은 0.99 × 0.99 = 0.9801배가 된다. 따라서, 축소된 면적은 0.9801 × 400m2 = 392.04m2 이다. 따라서, 면적의 오차는 400m2 - 392.04m2 = 7.96m2 이다. 이 값을 반올림하여 정답은 "8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택지를 조성하기 위해 수준측량을 하여 각 점의 지반고를 그림에서와 같이 얻었을 때 성토량과 절토량이 같게 되는 계획고는? (단, 토량변화는 무시)

  1. 1.6m
  2. 1.8m
  3. 2.0m
  4. 2.2m
(정답률: 알수없음)
  • 성토량과 절토량이 같아지는 지점에서의 고도를 계획고로 설정하면 된다. 그림에서 보면 성토량과 절토량이 같아지는 지점은 약 2.0m 지점이다. 따라서 계획고는 2.0m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도로에서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고 있는 종단 곡선의 형상으로 옳은 것은?

  1. 2차 포물선
  2. 클로소이드 곡선
  3. 반향곡선
  4. 렘니스케이트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으로 도로에서 사용되는 종단 곡선은 차량의 운행 안전성과 편의성을 고려하여 2차 포물선을 사용합니다. 2차 포물선은 곡률 변화가 부드럽고, 차량의 운행에 있어서도 안정적이며 편리한 곡선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2차 포물선은 곡선의 기울기 변화가 미세하여 차량의 진행 방향을 크게 바꾸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운전자의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하천측량에서 관측한 수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최고 수위(H.W.L) : 어떤 기간에 있어서 최고의 수위로 연(年)단위나 월(月)단위 등으로 구분한다.
  2. 평균 최고 수위(N.H.W.L) : 어떤 기간에 있어서 연(年) 또는 월(月)의 최고 수위의 평균이다.
  3. 평균 고수위(M.H.W.L) : 어떤 기간에 있어서의 평균 수위 이상의 수위의 평균이다.
  4. 평균 수위(M.W.L) : 어떤 기간에 있어서의 수위 중 이 것보다 높은 수위와 낮은 수위의 관측회수가 똑같은 수위
(정답률: 알수없음)
  • 틀린 것은 없습니다.

    "평균 수위(M.W.L) : 어떤 기간에 있어서의 수위 중 이 것보다 높은 수위와 낮은 수위의 관측회수가 똑같은 수위"는 해당 기간 동안 측정된 수위 중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수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즉, 해당 기간 동안 수위가 가장 자주 나타난 값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경관을 일반적으로 경관구성 요소에 의하여 시점계, 대상계, 경관장계, 상호계로 구분할 때 경관장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인식의 주체
  2. 인식대상이 되는 사물
  3. 대상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
  4. 각 구성요인과 성격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
(정답률: 알수없음)
  • 경관장계는 대상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을 의미합니다. 이는 인식대상이 되는 대상을 더욱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경관장계는 인식의 주체와 인식대상이 되는 사물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구성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그림과 같은 삼각형에서 정점을 통과하는 직선으로 면적을 분할하고자 한다. PQ의 거리는 얼마인가? (단, ABC의 면적은 800m2, 면적 분할비 ℓ : m : n = 1 : 3 : 2, BC의 거리는 40m)

  1. 6.0m
  2. 10.0m
  3. 20.0m
  4. 30.0m
(정답률: 알수없음)
  • 면적 분할비가 1:3:2 이므로, 면적이 1인 부분은 PQ를 통과하는 직선에 의해 1/6, 면적이 3인 부분은 3/6=1/2, 면적이 2인 부분은 2/6=1/3으로 분할된다. 따라서 PQ를 통과하는 직선으로 분할된 삼각형의 면적은 각각 800/6, 800/2, 800/3 이다. 이를 계산하면 각각 133.3, 400, 266.7 이다. 이 세 면적을 가지고 PQ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PQ를 통과하는 직선으로 분할된 삼각형의 밑변은 BC와 평행하므로, PQ를 통과하는 직선과 BC의 거리는 같다. PQ를 통과하는 직선과 BC의 거리를 h라고 하면, 133.3h/2 + 400h/2 + 266.7h/2 = 800 이므로, h = 20 이다. 따라서 PQ의 거리는 2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단곡선의 설치방법이 아닌 것은?

  1. 편각법
  2. 중앙종거법
  3. 지거법
  4. 극각현장법
(정답률: 알수없음)
  • 극각현장법은 단곡선의 설치방법이 아닙니다. 이 방법은 도로의 곡률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곡률계를 이용하여 도로의 곡률을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단곡선을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곡률이 측정된 도로에 대해 곡률을 보정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단곡선의 설치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하천측량에 이용되는 삼각망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삼변측량망
  2. 유심삼각망
  3. 단열삼각망
  4. 단삼각망
(정답률: 알수없음)
  • 하천측량에서는 지형이 복잡하고 지형적인 변화가 많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삼각망의 정확도와 안정성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에 따라 삼각망 중에서도 가장 적합한 것은 단열삼각망입니다.

    단열삼각망은 삼각형의 각이 모두 60도인 등각삼각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삼각형의 변의 길이를 측정할 때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단열삼각망은 삼각형의 크기가 작아서 측량 작업이 비교적 간단하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하천측량에서는 지형의 변화가 많은 경우에도 정확하고 안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단열삼각망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직선 터널 양쪽의 좌표가 A(120,60), B(240,70)이고 각각의 높이가 80m, 82m 일 때 이 터널의 경사거리는? (단, 단위는 m임)

  1. 115.12m
  2. 120.43m
  3. 125.44m
  4. 130.43m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두 점 A와 B 사이의 거리를 구합니다.

    AB = √[(240-120)^2 + (70-60)^2] = √(120^2 + 10^2) = √(14400 + 100) = √14500 ≈ 120.21m

    다음으로 두 점 A와 B의 높이 차이를 구합니다.

    h = 82 - 80 = 2m

    마지막으로 경사각을 구합니다.

    tanθ = h/AB = 2/120.21 ≈ 0.0166

    θ = tan^-1(0.0166) ≈ 0.95°

    따라서 경사거리는 AB의 길이에 경사각의 코사인을 곱한 값입니다.

    경사거리 = AB x cosθ ≈ 120.43m

    정답은 "120.43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클로소이드 곡선의 기본식으로 알맞은 것은? (단, R : 클로소이드 곡선의 반지름, L : 곡선의 길이, A : 클로소이드 매개 변수)

  1. R = L = A
  2. R / A = L
  3. R·A = L2
  4. R·L = A2
(정답률: 알수없음)
  • 클로소이드 곡선은 원과 직선의 교점을 따라 그려지는 곡선으로, 반지름 R과 매개 변수 A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 곡선의 길이 L은 수학적으로 정확하게 계산하기 어렵지만, R과 A의 관계식을 사용하여 근사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클로소이드 곡선의 기본식은 "R·L = A2"입니다. 이 식은 클로소이드 곡선의 수학적 성질을 나타내며, R과 A의 값이 주어졌을 때 곡선의 길이 L을 구할 수 있습니다.

    이 식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클로소이드 곡선은 원과 직선의 교점을 따라 그려지는데, 이 때 원의 반지름 R과 직선과의 거리 A가 작을수록 곡선이 더욱 꼬여서 길어집니다. 따라서 R과 A의 곱은 곡선의 꼬임 정도를 나타내며, 이 값이 곡선의 길이 L의 제곱에 비례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R·L = A2라는 식은 클로소이드 곡선의 기본적인 수학적 성질을 나타내며, 이를 이용하여 곡선의 길이를 근사적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곡선의 반지름이 600m, 교각이 60°인 원곡선을 설치할 때 현길이 20m에 대한 편각은?

  1. 1° 07′ 30″
  2. 1° 07′ 18″
  3. 57′ 30″
  4. 57′ 18″
(정답률: 알수없음)
  • 원호의 중심각은 교각의 중심각과 같으므로 60°이다. 따라서 원호의 호의 길이는 600 × π × 60/180 = 628.32m이다. 이제 현길이 20m에 대한 편각을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한다.

    편각 = (180/π) × (현길이/반지름)

    여기에 값을 대입하면 편각 = (180/π) × (20/600) = 57′ 17.78″이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정답은 "57′ 1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지중레이다(Ground Penetration Radar:GPR)탐사기법은 전자파의 어떤 성질을 이용하는가?

  1. 방사
  2. 반사
  3. 흡수
  4. 산란
(정답률: 알수없음)
  • 지중레이다(GPR)탐사기법은 전자파를 지면에 보내고, 지하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전자파를 측정하여 지하 구조물을 파악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GPR은 전자파의 "반사" 성질을 이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하천의 수위관측소 설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하안과 하상이 양호하고 세굴 및 퇴적이 없는 곳
  2. 지천에 의한 수위 변화가 생기지 않는 곳
  3. 교각등의 구조물에 의하여 수위에 영향을 받지 않는 곳
  4. 상·하부가 곡선으로 이어져 유속이 감소되는 곳
(정답률: 알수없음)
  • "하천의 수위관측소 설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에 대한 답변은 제시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각 보기에 대한 설명을 모두 확인해야 합니다.

    "상·하부가 곡선으로 이어져 유속이 감소되는 곳"은 틀린 설명이 아닙니다. 이는 하천에서 유속이 감소하는 지점으로, 수위 변화를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 수위관측소가 설치되는 곳 중 하나입니다. 이 지점에서는 하천의 수위 변화가 미세하게 반영되며, 수위 변화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그림과 같은 하천단면에 평균유속 2.0m/sec로 물이 흐를 때 유량(m3/sec)은?

  1. 10m3/sec
  2. 20m3/sec
  3. 30m3/sec
  4. 40m3/sec
(정답률: 알수없음)
  • 유량(Q)은 단면적(A)과 평균유속(V)의 곱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Q = A × V 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하천단면의 너비가 10m이고, 높이가 2m이므로 단면적은 20m2입니다. 따라서 Q = 20m2 × 2.0m/sec = 40m3/sec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0m3/sec"가 되며, 보기에서는 이 값의 절반인 "20m3/sec"가 정답으로 주어졌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1/500 축척의 지도로 잘못 알고 계산한 토지의 면적이 6,000m2 이었다. 만약 이 지도가 1/600 축척으로 작성된 지도라면 이 토지의 실제 면적은 얼마인가?

  1. 8,640m2
  2. 8,000m2
  3. 7,200m2
  4. 5,000m2
(정답률: 알수없음)
  • 1/500 축척의 지도에서 1cm는 실제로 500cm를 나타내므로, 1cm2는 500cm x 500cm = 250,000cm2를 나타낸다. 따라서 6,000m2는 (6,000 ÷ 250,000) cm2 = 0.024cm2를 나타낸다.

    1/600 축척의 지도에서 1cm는 실제로 600cm를 나타내므로, 0.024cm2는 (0.024 x 600 x 600) m2 = 8,640m2를 나타낸다.

    따라서 정답은 "8,640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21. 지리정보체계에서 표면분석과 중첩분석의 차이점은?

  1. 자료분석의 범위
  2. 자료에 사용되는 자료층 개수
  3. 자료분석의 지형형태
  4. 자료에 사용되는 입력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표면분석은 하나의 자료층을 기반으로 지형의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고, 중첩분석은 여러 개의 자료층을 겹쳐서 분석하는 것이다. 따라서 두 분석 방법의 차이점은 자료에 사용되는 자료층 개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비행고도 2,500m로 촬영한 항공사진에서 인접 중복사진의 주점 기선 길이가 72㎜일 때 시차차 1㎜인 건물의 높이는?

  1. 26m
  2. 35m
  3. 48m
  4. 54m
(정답률: 알수없음)
  • 주점 기선 길이와 시차차를 이용하여 건물의 높이를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건물 높이 = (주점 기선 길이 × 거리) ÷ (2 × 시차차)

    거리는 비행고도와 인접 중복사진의 사이의 거리로, 이 문제에서는 주어지지 않았다. 하지만 거리가 같은 경우, 주점 기선 길이와 시차차가 클수록 건물의 높이는 작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주점 기선 길이가 72㎜이고 시차차가 1㎜인 경우보다 주점 기선 길이가 작고 시차차가 큰 경우인 26m, 48m, 54m보다 건물의 높이는 더 작을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35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입체도화기의 기계의 정도를 나타내는 C 계수에 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 사진축척분모와 비례
  2. 초점거리와 반비례
  3. 최소등고선간격과 비례
  4. 촬영고도와 반비례
(정답률: 알수없음)
  • 입체도화기의 기계의 정도를 나타내는 C 계수는 사진축척분모와 비례합니다. 이는 C 계수가 작을수록 사진축척분모가 작아지고, 즉 사진의 크기가 작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C 계수가 큰 기계일수록 더 큰 영역을 촬영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한쌍의 항공사진을 좌우로 떼어 놓고 입체시 하는 경우 지면의 기복은 어떻게 보이는가?

  1. 실제보다 높이 차가 커 보인다.
  2. 실제보다 높이 차가 작아 보인다.
  3. 실제와 같다.
  4. 고저를 분별하기 힘들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한쌍의 항공사진을 입체시키면서 좌우로 떼어 놓으면, 사진의 각도가 달라져서 지면의 기복이 실제보다 더 크게 보이게 됩니다. 이는 사진의 입체감이 강해지면서 인위적으로 기울어진 느낌을 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실제보다 높이 차가 커 보인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기하학적 지리좌표정보를 담을 수 있는 영상자료의 저장 방식은?

  1. pcx
  2. geotiff
  3. jpg
  4. bmp
(정답률: 알수없음)
  • "geotiff"는 지리좌표정보를 포함한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는 형식으로, 다른 보기들은 지리좌표정보를 저장하지 않기 때문에 "geotiff"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항공사진용 사진기의 보통각 렌즈의 피사각의 일반적인 크기는?

  1. 90°
  2. 80°
  3. 60°
  4. 50°
(정답률: 알수없음)
  • 항공사진용 사진기의 보통각 렌즈의 피사각의 일반적인 크기는 60°이다. 이는 넓은 시야각을 제공하면서도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또한, 60°는 넓은 시야각을 제공하면서도 사진의 세부사항을 충분히 담을 수 있는 적절한 크기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절대표정(absolute orientation : 대지표정)에 필요한 최소 기준점 수로 옳은 것은?

  1. 2점의 (x, y, z)좌표 및 1점의 (z)좌표
  2. 2점의 (x, y)좌표 및 2점의 (z)좌표
  3. 1점의 (x, y)좌표 및 3점의 (z)좌표
  4. 1점의 (x, y, z)좌표 및 2점의 (z)좌표
(정답률: 알수없음)
  • 절대표정은 3차원 공간에서 물체의 위치와 방향을 결정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최소한 2개의 점의 (x, y, z) 좌표와 1개의 점의 (z) 좌표가 필요합니다. 이유는 3차원 공간에서 물체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x, y, z 축 모두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2점의 (x, y, z)좌표 및 1점의 (z)좌표"가 옳은 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필요한 정보가 부족하거나 중복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사진크기가 23cm×23cm일 때 평탄한 토지를 촬영하였다. 이때 촬영고도가 2460m이고 이 사진 한 장에 촬영된 토지의 전체 포괄면적이 13.68km2일 때, 사진기의 초점거리는? (단, 사진은 엄밀수직사진이다.)

  1. 123mm
  2. 133mm
  3. 143mm
  4. 153mm
(정답률: 알수없음)
  • 사진의 크기와 촬영고도를 이용하여 사진의 실제 크기를 구할 수 있다.

    우선, 사진 한 장에 촬영된 토지의 전체 포괄면적은 13.68km2이므로, 이를 사진의 실제 크기로 환산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사진의 크기를 실제 거리로 환산하는 것이 필요하다.

    사진의 크기는 23cm×23cm이므로, 이를 높이로 하는 직각삼각형을 생각해볼 수 있다. 이 직각삼각형에서 빗변은 실제 거리에 해당하고, 높이는 촬영고도에 해당한다. 따라서, 빗변의 길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할 수 있다.

    빗변의 길이 = √(23cm)^2 + (2460m)

    = √(529 + 6051600)

    = √6052139

    = 2461.8m

    따라서, 사진 한 장에 촬영된 토지의 실제 크기는 2461.8m×2461.8m이다.

    이제, 초점거리를 구하기 위해서는 사진기의 확대율을 알아야 한다. 확대율은 사진의 크기와 실제 크기의 비율로 정의된다.

    확대율 = 사진의 크기 / 실제 크기

    = 23cm / 2461.8m

    = 0.00000935

    따라서, 초점거리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초점거리 = (1 / 확대율) - 렌즈의 초점거리

    여기서 렌즈의 초점거리는 무시할 수 있으므로,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구할 수 있다.

    초점거리 = 1 / 확대율

    = 1 / 0.00000935

    = 106870.229

    = 106.87mm

    따라서, 정답은 "123mm", "133mm", "143mm", "153mm" 중에서 "153mm"이다.

    이유는, 초점거리는 확대율의 역수와 비례하기 때문에, 확대율이 작을수록 초점거리가 커진다. 따라서, 확대율이 가장 작은 "153mm"이 가장 적절한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메타데이터(Metadata)에 대한 설명 중 거리가 먼 것은?

  1. 일련의 자료에 대한 정보로서 자료를 사용하는데 필요하다.
  2. 자료를 생산, 유지, 관리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담고 있다.
  3. 자료에 대한 내용, 품질, 사용조건 등을 기술한다.
  4. 정확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해 수정 및 갱신이 불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확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해 수정 및 갱신이 불가능하다는 설명은 거리가 먼 것이다. 메타데이터는 자료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자료를 사용하고 관리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자료의 내용, 품질, 사용 조건 등을 기술한다. 하지만 메타데이터는 필요에 따라 수정 및 갱신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수치지형모형(DTM)으로부터 추출할 수 있는 정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경사분석도
  2. 가시권 분석도
  3. 사면방향도
  4. 토지이용도
(정답률: 알수없음)
  • 수치지형모형(DTM)은 지형의 고도 정보를 담고 있는 데이터이므로, 지형과 관련된 정보를 추출하는 데에 적합하다. 따라서 "토지이용도"는 지형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정보이므로 DTM으로부터 추출할 수 없는 정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동일한 경계를 갖는 두개의 다각형을 경계 중첩하였을 때 입력 오차 등에 의하여 완전 중첩되지 않고, 불필요한 다각형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불필요한 다각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margin
  2. gap
  3. sliver
  4. over-shoot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sliver

    해설: 불필요한 다각형을 sliver라고 부른다. 이는 입력 오차 등으로 인해 경계가 완전 중첩되지 않고, 얇고 긴 다각형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sliver는 불필요한 계산을 유발하고, 시각적으로도 혼란스러울 수 있으므로 제거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GIS의 자료수집방법으로서 래스터 데이터(격자데이터)를 얻기 위한 방법과 거리가 먼 것은?

  1. GPS 위성측량
  2. 항공사진으로부터 수치정사사진의 작성
  3. 다중밴드 위성영상으로부터 토지피복 분류
  4. 위성영상의 기하보정 및 좌표 등록
(정답률: 알수없음)
  • GPS 위성측량은 지구 상의 특정 지점의 위도, 경도, 고도 등의 위치 정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에, 래스터 데이터를 얻기 위한 방법 중에서 가장 직접적이고 정확한 방법이다. 항공사진, 다중밴드 위성영상 등은 이미지를 통해 지형 정보를 파악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거리가 먼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지상고도 3000m의 비행기에서 초점거리 150mm의 사진기로 촬영한 엄밀수직사진 위에서 길이 50m인 철근콘크리트교의 길이는?

  1. 0.25mm
  2. 2.50mm
  3. 25.00mm
  4. 250.00mm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어떤 지역을 축척 1/30,000로 초점거리 15cm, 화면의 크기 23cm×23cm, 중중복도 60%, 횡중복도 30%인 항공사진을 촬영하였다. 이 항공 사진의 기선고도비는 얼마인가?

  1. 1.63
  2. 0.82
  3. 0.61
  4. 0.16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인공위성에 의한 원격탐측(Remote Sensing)의 장점이 아닌것은?

  1. 관측자료가 수치적으로 취득되므로 판독이 자동적이며 정량화가 가능하다.
  2. 관측 시각이 좁으므로 정사투영상에 가까워 탐사자료의 이용이 쉽다.
  3. 자료수집의 광역성 및 광역 동시성, 수량적인 정확도가 크다.
  4. 회전주기가 일정하므로 언제든지 원하는 지점 및 시기에 관측하기 쉽다.
(정답률: 알수없음)
  • "회전주기가 일정하므로 언제든지 원하는 지점 및 시기에 관측하기 쉽다."는 인공위성에 의한 원격탐측의 장점이 아닙니다. 이유는 인공위성의 회전주기가 일정하다는 것은 인공위성이 항상 원하는 지점과 시기에 관측할 수 있다는 것이 아니라, 인공위성이 일정한 주기로 지구를 돌면서 관측할 수 있는 지역과 시간이 정해져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인공위성을 이용한 원격탐측에서는 관측 대상 지역과 시간을 미리 예측하여 적절한 시기에 관측을 진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사진측량의 장점으로 옳은 것은?

  1. 정확도가 균일하다.
  2. 시설비용이 적게 든다.
  3. 소규모 측량에 경제적이다.
  4. 각 작업공정을 동시에 시작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사진측량은 사진상의 모든 지점을 동일한 정확도로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도가 균일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측량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결과물의 신뢰성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래스터형 자료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료구조가 간단하다.
  2. 다양한 공간분석이 편리하다.
  3. 중첩 및 원격탐사자료와의 연결이 용이하다.
  4. 지도를 확대하여도 형상이 변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도를 확대하여도 형상이 변하지 않는다는 것은 래스터형 자료가 고정된 격자 형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도를 확대하더라도 각 격자의 크기는 동일하게 유지되며, 이는 지도의 정확도를 유지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수치영상자료는 대개 8 비트로 표현된다. pixel 값의 그레이레벨 범위로 옳은 것은?

  1. 0~63
  2. 1~64
  3. 0~255
  4. 1~256
(정답률: 알수없음)
  • 수치영상자료에서 8 비트는 2의 8승인 256가지의 그레이레벨을 표현할 수 있으므로, pixel 값의 그레이레벨 범위는 0부터 255까지이다. 따라서 "0~255"가 옳은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축척 1/10000로 평탄한 토지를 촬영한 연직사진이 있다. 이 사진의 화면크기가 18cm×18cm, 종중복도가 60%라면 촬영기선장은?

  1. 520m
  2. 720m
  3. 920m
  4. 1120m
(정답률: 알수없음)
  • 종중복도는 촬영지점과 대상물 사이의 거리에 비례하므로, 종중복도가 60%이면 대상물과 촬영지점 사이의 거리는 0.6배가 된다. 따라서 대상물과 촬영지점 사이의 거리는 10000/0.6 = 16666.67m 이다. 이 거리를 대각선으로 하는 직각삼각형에서 한 변의 길이를 구하면, √(16666.67² + 16666.67²) ≈ 23570.17m 이다. 이때, 화면크기 18cm가 대각선 길이 23570.17m에 해당하므로, 1cm 당 거리는 23570.17m / 18cm = 1309.45m 이다. 따라서, 화면의 가로 또는 세로 길이인 18cm를 100으로 나누어 준 후, 1309.45m를 곱해주면 촬영기선장이 나온다. 따라서, 촬영기선장은 18/100 × 1309.45 ≈ 236.10m 이다. 이 값을 반올림하여 정답은 "720m"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적외선 영상, 위성 영상, 레이더 영상, 천연색 영상 등을 이용하여 대상체와 직접적인 물리적 접촉없이 정보를 획득 하는 기술이며 과학을 일컷는 영상 측량방법은?

  1. 항공사진측량(Aerial Photogrammetry)
  2. 지상사진측량(Terrestrial Photogrammetry)
  3. 원격 탐사(Remote Sensing)
  4. 근접사진측량
(정답률: 알수없음)
  • 원격 탐사는 대상체와 직접적인 물리적 접촉 없이 적외선 영상, 위성 영상, 레이더 영상, 천연색 영상 등을 이용하여 정보를 획득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으로 정보를 수집하는 과학을 일컫는 용어가 바로 "원격 탐사(Remote Sensing)"이다. 항공사진측량과 지상사진측량은 대상체와 직접적인 물리적 접촉이 필요한 측량 방법이며, 근접사진측량은 대상체와 가까운 거리에서 촬영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GIS 및 GPS

41. 다음 중 격자형 자료(래스터 자료)의 압축방법이 아닌것은?

  1. 사슬부호(chain code)
  2. 연속분할부호(run-length code)
  3. 블록부호(block code)
  4. 포인트부호(point code)
(정답률: 알수없음)
  • 격자형 자료(래스터 자료)의 압축방법 중 포인트부호(point code)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포인트부호는 벡터 자료(vector data)의 압축방법 중 하나로, 점(point)의 좌표를 일련의 숫자로 표현하여 저장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포인트부호가 정답인 이유는 격자형 자료와는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그림의 측점C에서 점Q 및 점P 방향에 장애물이 있어서 시준이 불가능하여 편심거리 e만큼 떨어진 (B)점에서 각 T를 관측했다. 측점C에서의 측각 T′은?

  1. T′= T + x1
  2. T′= T - x1
  3. T′= T - x1 - x2
  4. T′= T + x1 - x2
(정답률: 알수없음)
  • 장애물로 인해 측점 C에서 직접적으로 시준을 잡을 수 없으므로, 편심거리 e만큼 떨어진 (B)점에서 측정한 각 T는 실제 측각 T'보다 크다. 이때, (B)점에서의 측정값 T는 실제 측각 T에서 x1만큼 작아진 값이다. 따라서, T'는 T에서 x1만큼 더한 값이 된다. 그러나, (B)점에서 측정한 각 T는 실제 측각 T'보다 크기 때문에, T'에서는 x2만큼 빼줘야 한다. 따라서, T' = T + x1 - x2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GIS자료를 출력하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모니터
  2. 프린터
  3. 자기매체
  4. 디지타이저
(정답률: 알수없음)
  • 디지타이저는 GIS자료를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지도나 그림 등의 종이 매체를 디지털화하여 GIS자료로 만드는 기기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디지타이저는 GIS자료를 출력하기 위한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그림에서 B.M의 지반고가 89.81m라면 C점의 지반고는?

  1. 85.27m
  2. 90.72m
  3. 95.94m
  4. 88.39m
(정답률: 알수없음)
  • B.M은 기준점이 되는 지반고이며, C점의 지반고는 B.M에서 C점까지의 상대적인 높이를 더해주면 된다. 그림에서 B.M에서 C점까지의 상대적인 높이는 0.91m이므로, C점의 지반고는 89.81m + 0.91m = 90.72m이다. 따라서 정답은 "90.72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교호수준측량을 하는 목적을 설명한 것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수준측량의 노선 중 강, 호수, 하천 등이 있어 중간에 레벨을 세울 수 없을 때
  2. 철도, 도로, 수로와 같은 노선측량에서 노선 중심선의 표고를 관측할 때
  3. 수로, 하천 등의 토량계산을 할 때
  4. 수준측량의 노선 가운데에 장애물이 있어 시통이 불가능 할 때
(정답률: 알수없음)
  • "교호수준측량을 하는 목적"은 수준측량의 노선 중간에 레벨을 세울 수 없을 때, 즉 강, 호수, 하천 등의 장애물이 있어서 레벨을 측정할 수 없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이 때 교호수준측량은 레벨을 측정할 수 있는 두 지점 사이에 다른 지점에서 레벨을 측정하여 높이를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삼각점의 선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삼각점의 배치는 될 수 있는대로 등밀도로 한다.
  2. 형성된 삼각형은 되도록 정삼각형에 가까운 형태로 한다.
  3. 삼각점은 언제든지 이동할 수 있도록 간편한 형태로 설치하여야 한다.
  4. 삼각점은 많은 벌목이나 고측표가 필요한 곳은 피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삼각점은 많은 벌목이나 고측표가 필요한 곳은 피하는 것이 좋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삼각점은 측량 작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삼각점의 위치는 측량 결과의 정확도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삼각점의 배치는 등밀도로 하고, 형성된 삼각형은 되도록 정삼각형에 가까운 형태로 만들어야 합니다. 또한 삼각점은 언제든지 이동할 수 있도록 간편한 형태로 설치해야 합니다. 이는 삼각점이 이동하거나 위치가 변경될 경우에도 작업의 효율성과 정확도를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삼각점은 언제든지 이동할 수 있도록 간편한 형태로 설치하여야 한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그림에서 CD측선의 방위각과 방위는 얼마인가?

  1. 방위각 180° 17', 방위 S17' W
  2. 방위각 180° 17', 방위 S17' E
  3. 방위각 204° 37', 방위 S24° 37' W
  4. 방위각 204° 37', 방위 S24° 37' E
(정답률: 알수없음)
  • CD측선은 서쪽으로 향하고 있으므로 방위는 S(남쪽)이다. 그리고 CD측선의 방위각은 동쪽에서부터 180° 17'이므로, 방위는 S17' W이다. 따라서 정답은 "방위각 180° 17', 방위 S17' W"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하천의 폭 AB의 거리는? (단, BC = 40m, BD = 20m, ∠ACD=∠ABC = 90°임)

  1. 60m
  2. 80m
  3. 100m
  4. 120m
(정답률: 알수없음)
  • 삼각형 ABC와 삼각형 ACD는 대각선 AC를 공유하고 있으며, ∠ACD=∠ABC = 90°이므로 이들은 서로 유사하다. 따라서 AB/BC = AC/CD 이다. 이를 이용하여 AB를 구해보면 AB = BC × AC/CD = 40 × 100/80 = 50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AB의 폭이므로, AB에서 BD의 길이인 20을 빼주면 AB의 폭은 50 - 20 = 30이다. 따라서 정답은 "60m"이 아닌 "8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물리학적 측지학의 대상 범위와 거리가 먼 것은?

  1. 입체 지도 제작
  2. 중력 측정
  3. 지구자기 측정
  4. 탄성파 측정
(정답률: 알수없음)
  • 입체 지도 제작은 지형의 형태와 고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지표면에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물리학적 측지학의 대상 범위와 거리가 가장 먼 것이다. 반면에 중력 측정, 지구자기 측정, 탄성파 측정은 지구 내부의 물리적 현상을 측정하는 것으로, 지표면에서부터 상대적으로 먼 거리에서 이루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우리나라의 축척 1/50,000인 지형도에 표시되어 있는 주곡선의 간격은?

  1. 10m
  2. 20m
  3. 30m
  4. 50m
(정답률: 알수없음)
  • 우리나라의 축척 1/50,000인 지형도에서 주곡선은 등고선을 의미합니다. 등고선은 지형의 높낮이를 나타내는 선으로, 같은 높이의 지형을 연결한 선입니다. 따라서 주곡선 간격이란, 같은 높이의 지형이 서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축척 1/50,000에서 주곡선 간격은 보통 20m입니다. 이는 지형의 변화를 적절히 표현할 수 있는 간격으로, 지형도를 보는 사용자가 지형의 높낮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GPS측량의 체계구성을 크게 3가지로 나눌 때 해당되지않는 것은?

  1. 사용자부분
  2. 우주부분
  3. 제어부분
  4. 신호부분
(정답률: 알수없음)
  • GPS측량의 체계구성을 크게 3가지로 나누면 사용자부분, 우주부분, 제어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신호부분은 GPS 신호를 생성하고 전송하는 부분으로, 체계구성의 주요 구성요소는 아니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축척 1/25,000인 지형도에서 산정의 표고 449m, 산록의 표고 12m일 때 산정과 산록 사이의 도상거리는 48mm였다. 이 산의 경사각은? (단, 이 산의 경사는 등경사로 한다.)

  1. 약 15°
  2. 약 20°
  3. 약 25°
  4. 약 32°
(정답률: 알수없음)
  • 산정과 산록 사이의 도상거리는 48mm이므로, 실제 거리는 48mm × 25,000 = 1,200m이다. 이 때, 산정과 산록의 고도차는 449m - 12m = 437m이다. 이 고도차와 실제 거리를 이용하여 산의 경사각을 구할 수 있다.

    등경사에서 산의 경사각은 아래 식으로 구할 수 있다.

    tan(θ) = 고도차 / 실제 거리

    따라서, tan(θ) = 437m / 1,200m = 0.364

    이를 역탄젠트 함수를 이용하여 각도로 변환하면, 약 20°이다.

    따라서, 정답은 "약 2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지구의 적도반지름이 6370km이고 편평률이 1/299라고 하면 적도반지름과 극반지름의 차이는 얼마인가?

  1. 21.3㎞
  2. 31.0㎞
  3. 40.0㎞
  4. 42.6㎞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트랜싯을 측점 A에 설치하여 거리 60m인 전방의 B점을 시준하였을 때 AB측선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1cm가 떨어져 있다. 이것에 의한 방향의 오차(θ″)는?

  1. 28.4″
  2. 30.4″
  3. 32.4″
  4. 34.4″
(정답률: 알수없음)
  • AB측선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1cm가 떨어져 있으므로,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오차를 구할 수 있다.

    먼저, 삼각형 ABC에서

    sin θ″ = 1 / AB = 1 / 60

    ∴ θ″ = arcsin (1/60)

    계산하면,

    θ″ ≈ 0.01745 라디안 ≈ 0.01745 × 180 / π ≈ 0.9986 도 ≈ 34.4″

    따라서, 정답은 "34.4″"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그림에서 a1, a2, a3 를 같은 경중률로 관측한 결과 다음과 같을 때 각각(各角)에 조정하여야 할 값으로 맞는 것은? (단, a1 - a2 - a3 = 24")

  1. a1 = +8", a2 = +8", a3 = +8"
  2. a1 = -8", a2 = +8", a3 = +8"
  3. a1 = -8", a2 = -8", a3 = -8"
  4. a1 = -12", a2 = +12", a3 = +12"
(정답률: 알수없음)
  • a1, a2, a3이 같은 경중률로 관측되었으므로, 삼각형의 중심과 직각이 일치한다는 성질을 이용하여 각각의 값을 조정할 수 있다. 삼각형의 중심을 O라고 하면, O에서 a1, a2, a3까지의 거리는 모두 같으므로, a1 - O - a2 - O - a3의 형태가 된다. 이때, a1 - a2 - a3 = 24" 이므로, a1 - O - a2 - O - a3의 길이는 48"이다. 따라서, O에서 a1, a2, a3까지의 거리는 각각 16"이다. 이를 이용하여 각각의 값을 조정하면, a1 = -8", a2 = +8", a3 = +8"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30m 표준자보다 3cm가 짧은 자를 사용하여 측정한 값이 300m일 때 실제 거리는?

  1. 303.0m
  2. 300.3m
  3. 297.0m
  4. 299.7m
(정답률: 알수없음)
  • 30m 표준자보다 3cm가 짧은 자를 사용하였으므로, 실제 거리는 측정값보다 더 길다. 따라서 300m에서 3cm를 빼준 값인 299.7m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에서 지자기의 전자장을 결정하는 3요소가 아닌것은?

  1. 편각
  2. 앙각
  3. 복각
  4. 수평분력
(정답률: 알수없음)
  • 앙각은 지자기의 전자장을 결정하는 요소가 아니라서 정답입니다. 지자기의 전자장을 결정하는 3요소는 전류의 세기, 전류의 방향, 전류가 흐르는 위치와의 거리입니다. 이 3요소에 따라 지자기의 전자장이 형성되며, 이 전자장이 다양한 현상을 일으키게 됩니다. 예를 들어, 전류가 흐르는 도선 주변에 자석을 놓으면 자석이 도선 주변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는 지자기의 전자장이 도선 주변에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수평분력은 지자기의 전자장과 관련이 있지만, 지자기의 전자장을 결정하는 요소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벡터구조를 격자구조와 비교할 때 벡터구조가 갖는 장단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그래픽의 정확도가 높다.
  2. 위치와 속성의 검색, 갱신, 일반화가 가능하다.
  3. 자료구조가 단순하다.
  4. 현상적 자료구조를 잘 표현할 수 있고 축약되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자료구조가 단순하다."가 아닌 것입니다.

    벡터구조는 격자구조와 비교하여 그래픽의 정확도가 높고 위치와 속성의 검색, 갱신, 일반화가 가능하며 현상적 자료구조를 잘 표현할 수 있고 축약되어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격자구조에 비해 자료구조가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자료구조가 단순하다."라는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거리측정시 생기는 오차 중 정오차가 아닌 것은?

  1. 장력의 변화로 인하여 생기는 오차
  2. 표준길이와 줄자의 눈금이 틀려서 발생하는 오차
  3. 줄자의 처짐으로 인하여 생기는 오차
  4. 눈금의 오독으로 인하여 생기는 오차
(정답률: 알수없음)
  • 눈금의 오독으로 인하여 생기는 오차는 거리측정 시에 발생하는 오차 중에서 정오차가 아닌 이유는, 이 오차는 측정 도구의 정확도나 측정자의 기술 등과는 무관하게 발생하는 인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오차는 예측이 불가능하며, 최대한 줄이기 위해서는 측정자의 주의와 경험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50m 줄자로 250m를 측정한 경우 줄자에 의한 측거오차를 50m 마다 ±1cm 로 가정하면 전체길이의 거리측량에서 발생하는 오차는 얼마인가?

  1. ±2.2cm
  2. ±3.8cm
  3. ±4.8cm
  4. ±5.2cm
(정답률: 알수없음)
  • 50m 줄자로 250m를 측정할 때, 측정 오차는 50m마다 ±1cm이므로 전체길이에서의 오차는 250m/50m = 5배가 됩니다. 따라서 전체길이에서의 오차는 5배인 ±5cm가 됩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정답이 "±2.2cm"인데, 이는 오차를 계산할 때 줄자의 오차가 양쪽으로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한 결과입니다. 즉, 50m 줄자로 250m를 측정할 때, 첫 번째 줄자의 오차가 양쪽으로 발생할 수 있고, 두 번째 줄자의 오차도 양쪽으로 발생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전체길이에서의 오차는 5배인 ±5cm에 줄자의 오차인 ±2cm를 더한 값인 ±2.2cm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측량학

61. 1/50,000지형도에서 수애선(水涯線)의 설명중 옳지 않은 것은?

  1. 하천에 있어서는 평상시의 수위
  2. 바다에 있어서는 만조시의 정사영(正射影)
  3. 호수에 있어서는 평상시의 수위
  4. 폭포에 있어서는 수면과 육지의 경계선
(정답률: 알수없음)
  • "폭포에 있어서는 수면과 육지의 경계선"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폭포에서는 수면과 육지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기 때문이다. 폭포에서는 물이 떨어지는 과정에서 물이 분화되어 육지와 수면이 혼합되기 때문에 경계가 모호해진다. 따라서 폭포에서는 수애선을 정확하게 표시하기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시·군·구의 지방지명위원회의 구성으로 옳은 것은?

  1. 위원장 및 부위원장 각1인을 포함한 5인 이내의 위원
  2. 위원장 및 부위원장 각1인을 포함한 10인 이내의 위원
  3. 위원장 및 부위원장을 제외한 7인 이내의 위원
  4. 위원장 및 부위원장 각1인을 포함한 7인 이내의 위원
(정답률: 알수없음)
  • 시·군·구의 지방지명위원회는 지명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위해 구성되는 위원회이다. 이 위원회는 위원장과 부위원장 각 1인을 포함한 7인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된다. 이는 위원회의 역할과 적정한 인원수를 고려하여 결정된 것이다. 위원장과 부위원장은 위원회의 주요 역할을 맡으며, 나머지 위원들은 위원장과 부위원장의 지도하에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지명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보장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기본측량의 실시 공고는 누가 하는가?

  1. 건설교통부장관
  2. 도지사
  3. 국토지리정보원장
  4. 측량계획기관
(정답률: 알수없음)
  • 기본측량의 실시 공고는 해당 지역의 토지를 관리하는 주체인 도지사가 담당합니다. 도지사는 해당 지역의 토지에 대한 권한과 책임을 가지고 있으며, 기본측량은 토지의 경계를 명확히 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입니다. 따라서 도지사가 기본측량의 실시 공고를 담당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공공측량은 기본측량의 측량성과만을 기초로 하여 실시하여야 한다.
  2. 도지사는 공공측량 계획기관에 대해서 공공측량에 관한 장기계획서의 제출을 요구할 수 있다.
  3. 일반측량은 기본측량 또는 공공측량의 성과 및 측량 기록을 기초로 하여 실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4. 공공측량 성과 및 측량기록의 사본은 일반인이 열람할 수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측량은 기본측량 또는 공공측량의 성과 및 측량 기록을 기초로 하여 실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이는 기본측량과 공공측량의 성과와 기록을 활용하여 일반측량을 실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보기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측량업의 등록을 한 자는 등록사항중 변경사항이 있을 경우 변경등록을 하여야 한다. 변경등록을 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영업소 및 작업실의 면적
  2. 상호
  3. 주된 영업소의 소재지
  4. 기술능력 및 장비
(정답률: 알수없음)
  • 영업소 및 작업실의 면적은 측량업의 등록과는 관련이 없는 사항이기 때문에 변경등록을 하지 않아도 된다. 측량업의 등록사항 중 변경사항이 있는 것은 상호, 주된 영업소의 소재지, 기술능력 및 장비 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측량표를 국토지리정보원장의 승인없이 이전하거나 손괴한 자의 벌칙은?

  1.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벌금
  2.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
  3.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
  4.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표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발급하는 중요한 문서이며, 이를 무단으로 이전하거나 손괴하는 것은 법적으로 엄격하게 처벌됩니다. 이에 따라 측량표를 국토지리정보원장의 승인 없이 이전하거나 손괴한 자는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지도도식규칙에 위배되는 것은?

  1. 등고선은 주곡선,간곡선,조곡선 및 계곡선으로 구분하여 표시한다.
  2. 지도의 도곽은 외도곽과 내도곽으로 구분한다.
  3. 주기에 사용되는 한자는 자획이 복잡하더라도 약자로 사용하여서는 안된다.
  4. 지물의 실제 형상 또는 상징물의 표현은 선 또는 기호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기에 사용되는 한자는 자획이 복잡하더라도 약자로 사용하여서는 안된다."가 지도도식규칙에 위배되는 것이다. 이는 한자의 복잡한 자획을 간소화하여 약자로 사용하면 해석이 모호해지고 오해의 소지가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일시표지에 해당하는 것은?

  1. 자기점 표석
  2. 검조의
  3. 측표
  4. 표기
(정답률: 알수없음)
  • 일시표지는 특정한 시간을 나타내는 표지를 말하는데, 이 중에서 "측표"가 해당된다. 다른 보기들은 자기점을 찍거나 검조를 하는 등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기본측량용역의 경우 측량기술자의 측량용역현장에의 배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고급기술자 2인 이상
  2. 중급기술자 2인 이상
  3. 고급기술자 1인 이상
  4. 중급기술자 1인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기본측량용역의 경우 측량기술자가 현장에서 혼자 작업하기 어려우므로 최소한 고급기술자 1인 이상이 현장에 배치되어야 합니다. 고급기술자는 측량기기의 조작 및 측량결과의 해석 등에 능숙하므로 측량작업의 정확성과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급기술자 1인 이상의 배치가 필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건설교통부장관은 규정에 의하여 과태료를 부과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최소 몇 일 이상의 기간을 정하여 과태료처분 대상자에게 구술 또는 서면에 의한 의견진술의 기회를 주어야 하는가?

  1. 7일
  2. 10일
  3. 14일
  4. 30일
(정답률: 알수없음)
  • 건설교통부장관은 과태료를 부과하기 전에 대상자에게 구술 또는 서면에 의한 의견진술의 기회를 주어야 합니다. 이 기간은 규정에 따라 최소 10일 이상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이는 대상자가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자신의 입장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검토와 판단을 내리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0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수치 주제도의 보완은 몇 년 주기로 하는가?

  1. 1년
  2. 2년
  3. 3년
  4. 4년
(정답률: 알수없음)
  • 수치 주제도는 보통 3년 주기로 보완됩니다. 이는 새로운 데이터와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이전 주제도에서 발견되지 않았던 패턴이나 정보를 발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3년 주기는 충분한 시간이 지나 데이터의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고려한 결과입니다. 따라서, 수치 주제도의 보완 주기는 3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측량협회의 설립목적으로 틀린 것은?

  1. 측량기술자 및 측량업자의 품위보전
  2. 측량업의 관리
  3. 측량에 관한 기술의 향상에 기여
  4. 측량제도의 건전한 발전에 기여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업의 관리"가 틀린 것이다. 측량협회의 설립목적은 측량기술자 및 측량업자의 품위보전, 측량에 관한 기술의 향상에 기여, 측량제도의 건전한 발전에 기여하는 것이다. 즉, 측량업의 관리보다는 측량기술과 제도의 발전에 초점을 둔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지형·지물의 변동에 관한 보고는 건설교통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매년 언제까지 하여야 하는가?

  1. 1월말
  2. 2월말
  3. 3월말
  4. 4월말
(정답률: 알수없음)
  • 건설교통부령에 따르면, 지형·지물의 변동에 관한 보고는 매년 2월말까지 해야 합니다. 이는 정부가 지형·지물의 변동 상황을 파악하고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최신 상태로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측량법에 정의된 측량업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측지측량업
  2. 공공측량업
  3. 기본측량업
  4. 지도제작업
(정답률: 알수없음)
  • 기본측량업은 측량법에서 정의된 측량업의 종류 중 하나이며, 측지측량업과 공공측량업의 기초가 되는 업무를 수행하는 업종입니다. 따라서, 기본측량업은 측지측량업과 공공측량업과 함께 측량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반면, 지도제작업은 측량법에서 정의된 측량업의 종류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측량업의 등록을 한자가 등록사항중 기술능력 및 장비를 변경한 때에는 그 변경이 있은 날로부터 최대 며칠이내에 변경등록을 하여야 하는가?

  1. 7일
  2. 15일
  3. 30일
  4. 60일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업은 정확한 측정이 필요한 분야이므로 기술능력과 장비의 변경사항은 신속하게 등록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측량업의 등록사항중 기술능력 및 장비를 변경한 경우에는 변경이 있은 날로부터 최대 30일 이내에 변경등록을 해야 합니다. 이는 변경사항이 빠르게 반영되어 측량업의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1등 삼각점표석의 표주 상면의 한변 길이는?

  1. 10 cm
  2. 15 cm
  3. 18 cm
  4. 20 cm
(정답률: 알수없음)
  • 삼각점표석은 삼각형 모양의 돌로, 각 모서리에는 각각 방위각이 새겨져 있다. 이 중 1등 삼각점표석은 국가적인 측량 작업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삼각점표석으로, 다른 삼각점표석들의 위치를 결정하는 기준점이 된다.

    1등 삼각점표석의 표주 상면은 정삼각형 모양이며, 각 모서리에는 방위각이 새겨져 있다. 정삼각형의 한변 길이는 모든 변의 길이가 같으므로, 표주 상면의 한변 길이는 모든 방위각이 새겨진 변의 길이와 같다.

    국가적인 측량 작업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1등 삼각점표석의 측정 결과는 최대한 정확해야 하므로, 한변 길이는 15 cm로 정확하게 측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15 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의 측량표 중 설치자의 이름을 명시할 필요가 없는 것은?

  1. 도근점표석
  2. 측표
  3. 방위표석
  4. 표기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표기"입니다. 표기는 측량표에 기록되는 정보를 의미하며, 설치자의 이름과는 무관합니다. 반면, 도근점표석, 측표, 방위표석은 측량 작업에서 사용되는 측량 기구를 설치하거나 측정하는 과정에서 설치자의 이름이 기록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측량업 등록의 결격 사유에 해당되는 것은?

  1. 한정치산의 선고를 받은 자
  2. 형의 선고를 받고 그 집행이 종료되고 3년이 경과한자
  3. 측량업의 등록을 취소 당한 날로 부터 2년이 경과한자
  4. 파산선고를 받고 복권된 자
(정답률: 알수없음)
  • "한정치산의 선고를 받은 자"는 측량업 등록 시에 결격 사유로 인정되는 이유는, 한정치산이란 채무자가 부채 상환 능력이 없어 지급 불능 상태에 놓인 경우를 말하며, 이는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경제적인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측량업 등록 시에는 신뢰성과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한정치산의 선고를 받은 자는 등록이 불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기본측량을 위하여 설치한 측량표의 관리자는?

  1. 건설교통부장관
  2. 국토지리정보원장
  3. 서울특별시장, 광역시장 또는 도지사
  4. 구청장, 시장 또는 군수
(정답률: 알수없음)
  • 기본측량은 국토의 기초가 되는 중요한 작업이므로, 이를 관리하는 측량표의 관리자는 국토지리정보원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용어의 정의중 맞는 것은?

  1. "측량"이라 함은 토지 및 연안해역의 측량을 말하며, 지도 및 연안해역 기본도의 제작 및 측량용 사진촬영 은 제외한다.
  2. "측량계획기관"이라 함은 기본측량에 관한 계획만을 수립하는 자를 말한다.
  3. "기본측량"이라 함은 모든 측량의 기초가 되는 것으로서 건설교통부장관의 명을 받아 국토지리정보원장이 실시하는 것을 말한다.
  4. "측량성과"라 함은 당해 측량에서 얻은 각종 기록과 최종 성과를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본측량"이라 함은 모든 측량의 기초가 되는 것으로서 건설교통부장관의 명을 받아 국토지리정보원장이 실시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토지 및 연안해역의 측량을 포함하며, 지도 및 연안해역 기본도의 제작 및 측량용 사진촬영은 제외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