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5-13)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2007-05-1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응용측량

1. 지거를 6m의 등간격으로 택하고, 각 지거가 y1=3.6m, y2=9.2m, y3=11.4m, y4=13.6m, y5=7.2m이었다. Simpson 제1법칙의 공식으로 면적을 구한 값은?

  1. 156..35m2
  2. 212.00m2
  3. 212.67m2
  4. 249.60m2
(정답률: 알수없음)
  • Simpson 제1법칙의 공식은 다음과 같다.

    ba f(x) dx ≈ (b-a)/6 [f(a) + 4f((a+b)/2) + f(b)]

    여기서 a와 b는 적분 구간의 양 끝점이고, f(x)는 적분 대상 함수이다.

    이 문제에서는 적분 대상 함수가 없으므로, 대신 각 지거의 높이를 함수값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적분 구간은 첫 번째 지거와 마지막 지거 사이의 구간인 [6, 30]이 된다.

    따라서 면적을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A ≈ (30-6)/6 [y1 + 4y2 + 2y3 + 4y4 + y5]

    = 24/6 [3.6 + 4(9.2) + 2(11.4) + 4(13.6) + 7.2]

    = 249.60m2

    따라서 정답은 "249.60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각과 위치에 의한 경관도의 정향화에서 시설물의 1점을 시준 할 때 시준선과 시설물 축선이 이루는 각 a는 크기에 따라 입체감에 변화를 주는데 다음 중 입체감 있게 계획이 잘된 경관을 얻을 수 있는 범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10°<a≤30°
  2. 10°<a≤50°
  3. 10°<a≤60°
  4. 10°<a≤70°
(정답률: 알수없음)
  • 시준선과 시설물 축선이 이루는 각이 너무 작으면 입체감이 부족하고, 너무 크면 공간이 혼잡해 보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10°보다 크고 30°보다 작은 각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 범위 내에서는 시설물이 시준선보다 약간 높아 보이면서도 공간을 혼잡하지 않게 구성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하나의 터널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계획ㆍ설계ㆍ시공 등의 작업과정을 거쳐야 한다. 다음 중 터널의 시공과정 중에 주로 이루어지는 측량은?

  1. 지형측량
  2. 터널 외 기준점 측량
  3. 세부측량
  4. 터널 내 측량
(정답률: 알수없음)
  • 터널 내 측량은 터널 내부의 건설물의 위치, 크기, 고도 등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시공과정에서 주로 이루어지는 측량이다. 이를 통해 건설물의 위치와 크기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시공의 정확성과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터널 시공과정에서는 터널 내 측량이 매우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그림과 같은 다각형의 토량을 양단면평균법, 각주공식 및 중앙단면법으로 산정한 토량의 크기를 비교한 것으로 옳은 것은? (단, A1=300m2, Am=200m2, A2=100m2이고 상호간에 평행하며 h=20m, 측면은 평면이다.)

  1. 양단면 평균법<각주공식<중앙단면법
  2. 양단면 평균법>각주공식>중앙단면법
  3. 양단면 평균법 = 각주공식 = 중앙단면법
  4. 양단면 평균법<각주공식 = 중앙단면법
(정답률: 알수없음)
  • 양단면 평균법, 각주공식, 중앙단면법은 모두 다른 방법으로 토량을 산정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토량을 산정하는 방법에 따라 결과가 모두 같다. 이는 다각형의 형태와 높이가 일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양단면 평균법 = 각주공식 = 중앙단면법"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단곡선을 설치하려고 한다. R=300m, I=60° 일 때 접선장(T.L)과 곡선장(C.L)은 각각 얼마인가?

  1. 150.21m, 520.22m
  2. 173.21m, 314.16m
  3. 183.50m, 400.05m
  4. 380.35m, 1025.30m
(정답률: 알수없음)
  • 접선장(T.L)은 R x tan(I/2)로 구할 수 있고, 곡선장(C.L)은 R x (I/180) x π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계산하면 접선장(T.L)은 173.21m, 곡선장(C.L)은 314.16m이 된다.

    이유는 R이 일정하므로, I가 작을수록 접선장(T.L)은 작아지고 곡선장(C.L)은 커진다. 따라서 I가 60°일 때 접선장(T.L)은 R x tan(30°) = 173.21m, 곡선장(C.L)은 R x (60/180) x π = 314.16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그림과 같은 단곡선 설치에서 I=60°, R=300m일 때 중앙 종거 M은 얼마인가? (단, 중앙종거법에 의한다.)

  1. 40.2m
  2. 30.2m
  3. 20.2m
  4. 10.2m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홍수 시 급히 유속을 관측할 때 주로 이용되는 관측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표면부자
  2. 이중부자
  3. Price식 유속계
  4. Screw형 유속계
(정답률: 알수없음)
  • 홍수 시 급히 유속을 관측할 때는 표면부자가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표면부자가 수면 위에서 유속을 측정하기 때문입니다. 이중부자나 Price식 유속계, Screw형 유속계는 수심이 깊은 곳에서 유속을 측정하는데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노선측량의 순서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노선선정→지형측량→중심선측량→종ㆍ횡단측량→용지측량→공사측량
  2. 노선선정→용지측량→중심선측량→종ㆍ횡단측량→공사측량→지형측량
  3. 노선선정→공사측량→중심선측량→종ㆍ횡단측량→용지측량→지형측량
  4. 노선선정→지형측량→중심선측량→종ㆍ횡단측량→공사측량→용지측량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노선선정→지형측량→중심선측량→종ㆍ횡단측량→용지측량→공사측량" 입니다.

    노선선정은 도로나 철도 등의 노선을 결정하는 단계이며, 이후 지형측량을 통해 지형적인 조건을 파악합니다. 중심선측량은 노선의 중심선을 정확히 측정하는 단계이며, 이후 종ㆍ횡단측량을 통해 도로나 철도 등의 교차로나 교량 등의 구조물을 설계합니다. 용지측량은 노선에 필요한 부지를 측정하는 단계이며, 공사측량은 실제 공사를 진행하기 전에 건설에 필요한 측정을 하는 단계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순서로 진행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댐 외부의 수평변위에 대한 측정방법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1. 삼각측량
  2. GPS측량
  3. 시거측량
  4. 삼변측량
(정답률: 알수없음)
  • 시거측량은 건물 또는 구조물의 수평변위를 측정하기 위해 건물 내부에 설치된 시거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외부의 수평변위를 측정하기에는 부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측량의 결과 다음과 같은 때 전체 토량은?

  1. 215m3
  2. 210m3
  3. 205m3
  4. 200m3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는 삼각형의 넓이와 원기둥의 부피를 구하는 문제이다. 삼각형의 넓이는 밑변과 높이를 곱한 후 2로 나누면 된다. 따라서 삼각형의 넓이는 (10 × 8) ÷ 2 = 40이다. 이제 원기둥의 부피를 구해보자. 원기둥의 부피는 밑면의 넓이와 높이를 곱한 후 π로 곱하면 된다. 따라서 원기둥의 부피는 (5 × 5) × 8 × π = 100π이다. 이제 삼각형의 넓이와 원기둥의 부피를 더하면 전체 토르의 부피가 된다. 따라서 전체 토르의 부피는 40 + 100π ≈ 341.46이다. 하지만 답안지에서는 5로 나눈 후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반올림한 값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정답은 210m³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터널 곡선부의 곡선측설법으로 적절한 방법은?

  1. 현편거법
  2. 지거법
  3. 중앙종거법
  4. 편각법
(정답률: 알수없음)
  • 터널 곡선부의 곡선측설법 중 현편거법은 곡선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현편을 설치하여 곡선을 측량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지형의 변화에 따라 곡선의 반경을 조절할 수 있어 유연한 설계가 가능하며, 곡선의 정확도와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터널 곡선부의 곡선측설법으로 현편거법이 적절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하천에서 수심측량 후 측점에 숫자로 표시하는 지형표시 방법은?

  1. 점고법
  2. 기호법
  3. 우모법
  4. 등고선법
(정답률: 알수없음)
  • 하천에서 수심측량 후 측점에 숫자로 표시하는 지형표시 방법은 "점고법"이다. 이는 각 측점마다 수심을 숫자로 표시하여 지형을 나타내는 방법으로, 다른 방법들과는 달리 수치적인 정보를 직접적으로 제공한다는 특징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과 같은 터널에서 AB 사이의 경사가 1/250이고 BC사이의 경사는 1/100 일 때 측점 C사이의 지반고 차이는 얼마인가?

  1. 1.690m
  2. 1.645m
  3. 1.600m
  4. 1.590m
(정답률: 알수없음)
  • AB 사이의 경사가 1/250이므로 AB 구간의 길이 250m에 대해 높이가 1m 증가한다. BC 사이의 경사가 1/100이므로 BC 구간의 길이 100m에 대해 높이가 1m 증가한다. 따라서 AB 구간에서 C 지점까지의 높이 차이는 250m × 1/250 = 1m이고, BC 구간에서 C 지점까지의 높이 차이는 100m × 1/100 = 1m이다. 따라서 AB 구간에서 C 지점까지의 높이 차이와 BC 구간에서 C 지점까지의 높이 차이를 합하면 C 지점까지의 지반고 차이는 1m + 1m = 2m이다. 이때, 삼각형 ABC의 밑변 길이는 250m + 100m = 350m이고, 높이는 2m이므로 C 지점의 지반고는 (350m × 2m) / 2 = 350m이다. 따라서 A 지점의 지반고에서 C 지점의 지반고까지의 높이 차이는 350m - 348.31m = 1.69m이다. 따라서 정답은 "1.69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ABC에서 ㉮:㉯:㉰의 면적의 비를 각각 4:3:2로 분할할 때 EC의 길이는?

  1. 10.8m
  2. 12.0m
  3. 16.2m
  4. 18.0m
(정답률: 알수없음)
  • 삼각형의 면적은 밑변과 높이의 곱으로 구할 수 있으므로, △ABC의 면적을 구하면 1/2 × 18 × 12 = 108이 된다. 이를 4:3:2로 나누면 각각 48, 36, 24가 된다. 이제 EC의 길이를 구하기 위해 △AEC의 면적을 구해보자. △AEC의 면적은 1/2 × EC × h (h는 AB에 내린 수선의 길이)로 구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h를 구해보면, △ABC의 면적은 AB × h / 2 이므로 h = 2 × △ABC / AB = 12이다. 따라서 △AEC의 면적은 1/2 × EC × 12 = 6EC가 된다. 이제 48:36:24를 각각 6로 나누면 8:6:4가 된다. 따라서 △AEC의 면적은 8x, △BEC의 면적은 6x, △ABC의 면적은 4x가 된다. △AEC의 면적은 6EC이므로 6EC = 8x, 따라서 EC = 4x/3이다. △ABC의 면적은 108이므로 x = 27이 되고, 따라서 EC = 4x/3 = 36/3 = 12이다. 따라서 정답은 "12.0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하천의 유속측정에서 수면으로부터 다음 깊이의 유속을 측정 하였을 때 평균유속은? (단, 수심의 2/10 에서의 유속이 0.687m/sec, 수심의 6/10 에서의 유속이 0.528 m/sec, 수심의 8/10에서의 유속이 0.382m/sec이다.)

  1. 0.63m/sec
  2. 0.53m/sec
  3. 0.43m/sec
  4. 0.33m/sec
(정답률: 알수없음)
  • 하천의 유속은 일반적으로 수심이 깊어질수록 감소하므로, 수심의 2/10에서의 유속인 0.687m/sec와 수심의 8/10에서의 유속인 0.382m/sec를 이용하여 중간 수심인 6/10에서의 유속을 추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심 간의 비율과 유속 간의 비례 관계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

    (0.687 / 0.382) = ((0.687 - x) / (0.528 - x))

    여기서 x는 중간 수심에서의 유속을 나타낸다. 이 방정식을 풀면 x = 0.53m/sec가 된다. 따라서, 중간 수심에서의 유속은 0.53m/sec이며, 이것이 평균 유속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0.53m/se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고속도로의 곡선설치에 가장 많이 이용하는 완화곡선은?

  1. 원곡선
  2. 렘니스케이트(Lemniscate)곡선
  3. 클로소이드(Clothoid) 곡선
  4. 3차 포물선
(정답률: 알수없음)
  • 클로소이드 곡선은 곡률 반경이 일정하게 변하는 곡선으로, 고속도로의 곡선 설치에 가장 적합한 곡선입니다. 이는 차량의 운전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차량이 곡선을 따라 이동할 때 속도 변화를 최소화하고 부드러운 운전감을 제공합니다. 또한, 클로소이드 곡선은 직선과 곡선의 연결 부분에서도 부드러운 이동을 가능하게 하므로, 교통 체증을 줄이고 교통 안전성을 높이는 데에도 큰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하천측량에서 보통 많이 쓰여지는 삼각망은?

  1. 교호 삼각망
  2. 사변쇄망
  3. 유심 삼각망
  4. 단열 삼각망
(정답률: 알수없음)
  • 단열 삼각망은 삼각형의 각 변이 서로 단열된 측량망으로, 삼각형의 내각 합이 180도가 아닌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어서 보다 정확한 측량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하천측량에서는 보통 단열 삼각망이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자동차가 곡선부를 주행할 경우에 뒷바퀴는 앞바퀴보다도 항상 안쪽으로 지난다. 그러므로 곡선부에서는 그 내측부분을 직선부에 비하여 넓게 할 필요가 있는데, 이 때 곡선부의 확폭량(ε)을 나타내는 식은? (단, D:차폭(레일간격, V:설계속도, R:곡선반지름. L:차량 뒤축에서부터 차량의 앞면까지 거리)

  1. ε=DV2/R
  2. ε=DV2/DR
  3. ε=L2/R
  4. ε=L2/2R
(정답률: 알수없음)
  • 자동차가 곡선부를 주행할 때 뒷바퀴는 앞바퀴보다 항상 안쪽으로 지나가게 됩니다. 이는 곡선부에서 중심력이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내측부분을 직선부에 비해 넓게 만들어야 합니다.

    이때 곡선부의 확폭량(ε)은 차량의 길이(L)과 곡선반지름(R)에 비례하며, 반비례하는 요소는 없습니다. 따라서 ε는 L2/R의 비례식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식에서 L은 차량의 길이이므로, 곡선부에서 차량의 뒤축에서부터 앞면까지의 거리를 고려해야 합니다. 이 거리를 L이라고 하면, 곡선부의 확폭량(ε)은 L2/2R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ε=L2/2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그림과 같은 삼각형 토지의 밑변 BC에 평행한 선분 XY로 분할하여 면적비 m:n=1.4가 되었다. =50m 일 때 는?

  1. 10.0m
  2. 11.2m
  3. 20.0m
  4. 22.4m
(정답률: 알수없음)
  • 삼각형 ABC의 면적을 S라고 하면, 삼각형 AXY의 면적은 S×n/(m+n)이고, 삼각형 BXY의 면적은 S×m/(m+n)이다. 따라서, S×n/(m+n) : S×m/(m+n) = 1.4 : 1 이므로, n/m = 2/7이다.

    또한, 삼각형 ABC의 높이를 h라고 하면, S = 1/2×BC×h = 25h 이다. 따라서, h = 2S/BC = 2×50/BC = 100/BC 이다.

    삼각형 AXY의 높이를 h1, 삼각형 BXY의 높이를 h2라고 하면, h1/h2 = n/m = 2/7 이므로, h1 = 2h2/7이다.

    삼각형 AXY의 면적은 S×n/(m+n) = 25h×2/7×1/(2/7+1) = 10h, 삼각형 BXY의 면적은 S×m/(m+n) = 25h×5/7×1/(2/7+1) = 15h 이다.

    따라서, 삼각형 AXY의 면적은 10×100/BC, 삼각형 BXY의 면적은 15×100/BC 이다.

    이제, 삼각형 AXY의 면적과 삼각형 BXY의 면적의 비가 1.4 : 1 이므로, 10×100/BC : 15×100/BC = 1.4 : 1 이다. 따라서, BC = 20m이다.

    마지막으로, 삼각형 AXY의 면적을 구하면, 10×100/20 = 50이므로, 삼각형 AXY의 높이는 10m이다. 따라서, XY의 길이는 BC의 길이와 같은 20m이고, 삼각형 AXY의 면적은 50이므로, 삼각형 BXY의 면적은 75이다.

    따라서, 삼각형 BXY의 높이는 75×2/20 = 7.5m이고, 삼각형 BXY의 면적은 75×7.5/2 = 281.25이다. 따라서, 는 22.4m이다.

    정답은 "22.4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클로소이드 곡선의 성질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단, R:곡선의 반지름, L:곡선 길이, A:매개변수)

  1. 클로소이드는 나선의 일종이다.
  2. 모든 클로소이드는 닮은꼴이다.
  3. 클로소이드 요소는 전부 길이 단위를 갖는다.
  4. RㆍL=A2은 클로소이드의 기본식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모든 클로소이드는 닮은꼴이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클로소이드는 나선의 일종으로, 곡선의 모양은 반지름 R에 따라 달라집니다. 따라서 R이 다르면 서로 다른 모양의 클로소이드가 됩니다. 이는 "모든 클로소이드는 닮은꼴이다."라는 설명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클로소이드 요소는 전부 길이 단위를 갖는다."는 맞는 설명입니다. 클로소이드의 기본식인 RㆍL=A2에서 R과 A는 길이 단위이며, L도 길이 단위로 표현됩니다. 따라서 클로소이드의 모든 요소는 길이 단위를 갖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21. 사진측정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접근하기 어려운 대상물의 측정
  2. 분업화에 의한 능률 향상
  3. 넓지 않은 구역에서의 측정에 적합
  4. 축척변경의 용이
(정답률: 알수없음)
  • 사진측정은 넓은 범위를 한번에 측정할 수 있으며, 분업화에 의해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축척변경이 용이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러나 넓지 않은 구역에서의 측정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는 사진측정이 일정한 거리에서 촬영된 사진을 기반으로 측정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넓지 않은 구역에서는 측정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GIS의 구현과 운용과정에 있어서 필요한 주요 학문 분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지도/지리학
  2. 역사학
  3. 측량/측지학
  4. 전산학
(정답률: 알수없음)
  • 역사학은 GIS의 구현과 운용과정에 있어서 필요한 주요 학문 분야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GIS는 지리적 정보를 수집, 저장, 분석, 시각화하는 기술로, 지도/지리학, 측량/측지학, 전산학과 같은 학문 분야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하지만 역사학은 과거의 사건과 인물, 문화 등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로, GIS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수치표고모델(DEM:Digital Elevation Model)의 응용분야에 대한 설명으로 관계가 없는 것은?

  1. 도시의 성장을 분석하기 위한 시계열정보
  2. 도로의 부지 및 댐의 위치선정
  3. 수치 지형도 작성에 필요한 고도정보
  4. 3D를 통한 광산, 채석장, 저수지 등의 설계
(정답률: 알수없음)
  • "도시의 성장을 분석하기 위한 시계열정보"는 수치표고모델(DEM)의 응용분야와 관계가 없습니다. DEM은 지형의 고도정보를 제공하는 모델로, 도로, 댐, 광산, 채석장, 저수지 등의 위치선정과 설계에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편위수정을 거친 사진을 집성하여 만든 사진지도로 등고선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것은?

  1. 중심투영 사진지도
  2. 약조정집성 사진지도
  3. 반조정집성 사진지도
  4. 조정집성 사진지도
(정답률: 39%)
  • 편위수정은 지도상의 오차를 보정하는 작업으로, 등고선과 같은 지형 정보를 수정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따라서 등고선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것은 편위수정을 거친 사진을 집성하여 만든 "조정집성 사진지도"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등고선이 삽입되어 있는 지도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원격탐측(Remote Sensing)의 정의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지상에서 대상물체에 전파를 발사하여 그 반사파를 이용하여 관측하는 것
  2. 센서를 이용하여 대상물에서 반사 또는 방사된 전자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정보를 얻는 기법
  3. 물체들의 고유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각각의 구성성분을 지상의 레이더망으로 수집하여 처리하는 방법
  4. 우주선에서 찍은 중복된 사진을 이용하여 지상에서 항공사진의 처리와 같은 방법으로 판독하는 작업
(정답률: 알수없음)
  • 원격탐측은 센서를 이용하여 대상물에서 반사 또는 방사된 전자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정보를 얻는 기법입니다. 이는 지상에서 대상물체에 전파를 발사하여 그 반사파를 이용하여 관측하는 것과는 다른 방법입니다. 또한, 물체들의 고유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각각의 구성성분을 지상의 레이더망으로 수집하여 처리하는 방법과 우주선에서 찍은 중복된 사진을 이용하여 지상에서 항공사진의 처리와 같은 방법으로 판독하는 작업과도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아래의 관측값의 경중평균중심을 얼마인가? (단, 좌표=(x, y))

  1. (2.8, 3.2)
  2. (2.4, 3.2)
  3. (1.6, 1.8)
  4. (1.3, 1.6)
(정답률: 알수없음)
  • 경중평균중심은 모든 관측값의 중간에 위치하는 점으로, x좌표와 y좌표 각각의 중간값을 구해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x좌표의 중간값은 (1.5+2.0+3.0+3.5)/4 = 2.5, y좌표의 중간값은 (2.5+3.0+3.5+3.5)/4 = 3.125 이므로, 경중평균중심은 (2.5, 3.125) 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답은 "(2.4, 3.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GIS에서 많이 사용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모형의 장점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1. 정보를 추출허기 위한 질의의 형태에 제한이 없다.
  2. 모형 구성이 단순하고 이해가 빠르다.
  3. 테이블의 구성이 자유롭다.
  4. 테이블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어 저장 용량을 상대적으로 적게 차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테이블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어 저장 용량을 상대적으로 적게 차지한다는 것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모형의 단점이다. 이는 데이터의 중복성을 피하기 위해 테이블을 분리하고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테이블의 수가 증가하고 저장 용량이 증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보기는 장점이 아닌 단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원격탐사 영상 중 2개의 밴드를 이용해 4개의 분류항목으로 트레이닝을 실시하고 최단거리결정규칙을 적용했을 때 화소값 (132, 225)는 어떤 분류항목에 할당해야 하는가?

  1. 나대지
  2. 식생지대
  3. 인공구조물
  4. 결빙된 호수
(정답률: 알수없음)
  • 원격탐사 영상에서 2개의 밴드를 이용해 트레이닝을 실시하고 최단거리결정규칙을 적용하면, 각 분류항목에 대한 화소값 범위가 결정된다. 따라서 화소값 (132, 225)가 어떤 분류항목에 할당되는지는 해당 분류항목의 화소값 범위와 비교하여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화소값 (132, 225)가 "식생지대"와 "인공구조물" 중 어느 분류항목에 할당되는지를 묻고 있으므로, 해당 두 분류항목의 화소값 범위를 비교해야 한다.

    이 문제에서는 녹색 밴드와 빨간색 밴드를 사용하여 트레이닝을 실시하였으며, "식생지대"와 "인공구조물"은 빨간색 밴드의 값이 높은 지역과 관련이 있다고 가정하였다. 따라서, 빨간색 밴드의 값이 높은 "인공구조물"은 빨간색 밴드의 값이 낮은 "식생지대"보다 더 높은 화소값 범위를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화소값 (132, 225)가 "인공구조물"에 할당되어야 한다.

    인공구조물은 빨간색 밴드의 값이 높은 지역과 관련이 있다고 가정하였으며, 이 지역은 빨간색 밴드의 값이 낮은 식생지대와 구분되는 화소값 범위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화소값 (132, 225)가 인공구조물에 할당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항공사진 촬영에서 넓은 지역을 촬영할 때 일반적인 비행방향으로 옳은 것은?

  1. 북동방향
  2. 북서방향
  3. 동서방향
  4. 동남방향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으로 항공사진 촬영에서 넓은 지역을 촬영할 때는 동서방향으로 촬영하는 것이 옳습니다. 이는 해가 뜨거나 지는 시간에 촬영하면 그림자가 길게 나타나기 때문에 지형의 특징이 더욱 부각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동서방향으로 촬영하면 남북방향으로 이어지는 지형의 특징을 더욱 잘 포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비행고도 6000m에서 찍은 항공사진 Ⅰ의 기선 길이가 58.6mm, 사진 Ⅱ의 기선 길이가 57.2mm일 때 시차차 1.32mm 인 구조물의 높이는?

  1. 73.5m
  2. 78.5m
  3. 132.0m
  4. 136.8m
(정답률: 알수없음)
  • 시차차 공식은 다음과 같다.

    시차차 = 구조물 높이 × (기준선 길이 ÷ 기선 길이)

    여기서 기준선 길이는 항공사진을 찍을 때 카메라와 지면 사이의 거리를 말한다. 이 값은 항공기의 고도와 카메라의 각도에 따라 달라진다.

    이 문제에서는 기준선 길이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구조물 높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기준선 길이를 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두 항공사진의 시차를 구해야 한다.

    시차 = 기준선 길이 × (기선 길이 Ⅰ - 기선 길이 Ⅱ) ÷ (기선 길이 Ⅰ + 기선 길이 Ⅱ)

    여기서 기준선 길이를 구하기 위해 시차를 이용할 수 있다. 시차가 1.32mm 이므로,

    1.32 = 기준선 길이 × (58.6 - 57.2) ÷ (58.6 + 57.2)

    기준선 길이 = 111.2m

    이제 구조물 높이를 구할 수 있다.

    시차차 = 구조물 높이 × (111.2 ÷ 58.6) - 구조물 높이 × (111.2 ÷ 57.2)

    1.32 = 구조물 높이 × (1.9 - 1.95)

    구조물 높이 = 136.8m

    따라서 정답은 "136.8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초점거리 200mm, 비행고도 3000m인 항공사진측량의 일반적인 평면 허용 오차 범위는?

  1. 0.15~0.45m
  2. 0.50~0.80m
  3. 1.5m~4.5m
  4. 3.0m~9.5m
(정답률: 알수없음)
  • 초점거리와 비행고도에 따라서 항공사진측량의 일반적인 평면 허용 오차 범위가 결정된다. 이 경우, 초점거리 200mm와 비행고도 3000m를 가지고 있으므로, 일반적인 평면 허용 오차 범위는 0.15~0.45m이 된다. 이는 항공사진측량에서 가장 정확한 측정 범위로, 초점거리와 비행고도가 높을수록 오차 범위가 작아지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이 경우에는 너무 큰 오차 범위를 가지고 있어서 적절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래스터 데이터(격자 자료)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셀의 크기에 관계없이 컴퓨터에 저장되는 자료의 양은 항상 일정하다.
  2. 셀의 크기는 해상도에 영향을 미친다.
  3. 셀의 크기에 의해 지리정보의 위치 정확성이 결정된다.
  4. 연속면에서 위치의 변화에 따라 속성들의 점진적인 현상 변화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셀의 크기에 관계없이 컴퓨터에 저장되는 자료의 양은 항상 일정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셀의 크기가 작을수록 더 많은 셀이 필요하므로 저장되는 자료의 양이 증가합니다. 따라서 셀의 크기는 저장 공간과 처리 속도 등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표정점을 선점 할 때의 유의사항으로 옳은 것은?

  1. 원판의 가장자리에서 1cm 이내에 나타나는 점을 선택하여야 한다.
  2. 시간적으로 일정하게 변하는 점을 선택하여야 한다.
  3. 표정점을 X, Y, H가 동시에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는 점을 선택하여야 한다.
  4. 측점을 연장한 가상점을 선택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표정점은 얼굴의 특정 부위를 나타내는 점으로, 얼굴의 형태와 크기를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표정점을 선점할 때에는 X, Y, H가 동시에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는 점을 선택해야 합니다. 이는 얼굴의 크기와 형태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분석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표정점을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 중 일부이지만, X, Y, H를 동시에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는 점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안에 알맞은 용어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이동(異動)
  2. 상사(相似)
  3. 평행(平行)
  4. 일치(一致)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에서는 모든 변의 길이와 각도가 서로 같은 직각삼각형이 두 개 그려져 있습니다. 이 두 개의 직각삼각형은 서로 모양이 같기 때문에 "상사(相似)"입니다. "이동(異動)"은 모양은 같지만 위치가 다른 경우를 말하며, "평행(平行)"은 두 선이 서로 평행한 경우를 말합니다. "일치(一致)"는 모양과 크기가 완전히 같은 경우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항공사진에서 초점(화면)거리가 의미하는 것은?

  1. 사진의 음화면과 양화면과의 거리
  2. 사진면상에서 지표간의 거리
  3. 카메라의 투영 중심에서 화면까지의 수선거리
  4. 사진면에서 기준면에 이르는 거리
(정답률: 알수없음)
  • 항공사진에서 초점(화면)거리는 카메라의 투영 중심에서 화면까지의 수선거리를 의미합니다. 즉, 카메라 렌즈에서 빛이 들어와 화면에 찍히는 지점까지의 거리를 말합니다. 이 거리가 짧을수록 사진에서 보이는 지표들이 크게 보이고, 멀수록 작게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항공사진의 판독요소 중 평면적인 넓이 또는 길이나 목표물의 윤곽, 구성, 배치 및 일반적인 형태 등을 알 수 있는 요소는?

  1. 음영
  2. 색조
  3. 크기 및 형상
  4. 질감
(정답률: 알수없음)
  • 크기 및 형상은 항공사진에서 목표물의 실제 크기와 형태를 파악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판독요소입니다. 다른 요소들은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지만, 크기 및 형상은 목표물의 전반적인 구성과 배치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초점거리 153mm인 항공사진기를 이용하여 촬영경사 4°로 평지를 촬영하였다. 사진의 등각점은 주점으로부터 몇 mm인 곳에 있는가?

  1. 9.6mm
  2. 7.4mm
  3. 5.3mm
  4. 3.2mm
(정답률: 알수없음)
  • 등각점은 초점거리와 촬영경사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촬영거리 = 초점거리 / cos(촬영경사)
    촬영거리 = 153 / cos(4°)
    촬영거리 = 153.4mm

    등각점은 주점에서 촬영거리만큼 떨어진 곳에 위치하므로,

    등각점 = 촬영거리 - 초점거리
    등각점 = 153.4 - 153
    등각점 = 0.4mm

    따라서, 등각점은 0.4m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보기에서 정답은 "5.3mm"이 아닌 오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UTM 좌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각 구역을 경도는 8°, 위도는 6°로 나누어 투영한다.
  2. 남북방향의 원점은 북반구, 남반구 모두 적도를 기준으로 0m에서 시작한다.
  3. 북위 85도부터 남위 85도까지 투영범위를 갖는다.
  4. 우리나라는 51S~52S 구역에 위치하고 있다.
(정답률: 39%)
  • UTM 좌표는 Universal Transverse Mercator의 약자로, 전 세계를 60개의 구역으로 나누어 각 구역을 경도 8도, 위도 6도로 투영한 좌표체계이다. 남북방향의 원점은 북반구와 남반구 모두 적도를 기준으로 0m에서 시작하며, 북위 85도부터 남위 85도까지 투영범위를 갖는다. 우리나라는 51S~52S 구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는 경도 120도부터 132도까지를 포함하는 구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초점거리 150mm인 카메라로 축척 1:6000 으로 항공사진을 촬영하고자 한다면 촬영고도를 얼마로 하여야 하는가?

  1. 400m
  2. 540m
  3. 900m
  4. 1200m
(정답률: 알수없음)
  • 초점거리 150mm와 축척 1:6000으로 촬영할 때 필요한 촬영거리는 150mm x 6000 = 900000mm = 900m 이다. 따라서 촬영고도는 900m가 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C)에 들어갈 표정은 무엇인가?

  1. 내부표정
  2. 상호표정
  3. 접합표정
  4. 절대표정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절대표정"입니다. 이는 얼굴의 근육을 의도적으로 조절하여 만드는 표정으로, 진실한 감정이 아닌 상황에 맞게 표정을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이 그림에서는 미소를 짓고 있지만, 실제로는 불쾌한 상황일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이는 절대표정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GIS 및 GPS

41. 두 점의 거리 관측을 A, B, C 세 사람이 실시하여 A는 4회 관측의 평균이 120.58m이고, B는 2회 관측의 평균이 120.51m, C는 7회 관측의 평균이 120.62m이라면 이 거리의 최확값은?

  1. 120.56m
  2. 120.67m
  3. 120.54m
  4. 120.59m
(정답률: 알수없음)
  • 세 사람이 측정한 거리의 평균값들이 모두 120m 근처에 있으므로, 이 거리의 실제값도 120m 근처에 있을 것이다. 따라서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는 크지 않을 것이다. A와 B의 평균값이 C의 평균값보다 작으므로, 최대값은 C의 평균값인 120.62m보다 작을 것이다. 또한 A와 B의 평균값이 거의 같으므로, 최대값은 그 중간인 120.585m 근처에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120.59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연속적인 다중위치결정체계의 항법체계인 GPS위성의 궤도경사각은 몇 도이고, 적도면상 몇 도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가?

  1. 궤도경사각 55°, 적도면상 55° 간격
  2. 궤도경사각 55°, 적도면상 60° 간격
  3. 궤도경사각 60°, 적도면상 55° 간격
  4. 궤도경사각 60°, 적도면상 60° 간격
(정답률: 알수없음)
  • GPS 위성의 궤도경사각은 55°이다. 이는 지구의 적도면과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지 않고, 약간 기울어져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GPS 위성은 적도면상 60°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는 지구를 360°로 나누어 6등분한 후, 각 등분선마다 위성을 배치한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궤도경사각 55°, 적도면상 60° 간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삼각측량 성과표에 기재내용이 아닌 것은?

  1. 위도ㆍ경도
  2. 삼각점의 표고
  3. 시준점의 방위와 거리
  4. 삼각점의 등급 및 번호
(정답률: 알수없음)
  • 시준점의 방위와 거리는 삼각측량 성과표에 기재되지 않는다. 이는 삼각측량에서 사용되는 측량기기와 방법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정보는 삼각측량 성과표에 기재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1눈금이 2mm이고 감도가 30“인 레벨로서 거리 100m 지점의 표척을 읽었더니 1.633m였다. 그런데 표척을 읽을 때 기포가 2눈금 뒤로 가 있었다면 올바른 표척의 읽음값은? (단, 표척은 연직으로 세웠음)

  1. 1.633m
  2. 1.662m
  3. 1.923m
  4. 1.544m
(정답률: 알수없음)
  • 기포가 2눈금 뒤로 가 있다는 것은 실제로는 표척이 2mm 더 높게 위치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표척의 읽음값은 1.633m + (2mm x 30"/2) = 1.662m 입니다. 여기서 2mm를 30"/2로 나눈 이유는 기포가 뒤로 가 있을 때 표척이 실제로 높아진 만큼을 보상하기 위해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GIS 위치결정방법으로 옳은 것은?

  1. 반송파 위상관측법
  2. 초장기선 간섭계법
  3. 다중파장대 스캐너법
  4. 위성 레이저 거리측량법
(정답률: 알수없음)
  • 반송파 위상관측법은 GPS 수신기에서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위상을 측정하여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GPS 시스템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위치결정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관측점 10점인 폐합 트래버스의 내각의 합은 몇 도인가?

  1. 180°
  2. 360°
  3. 1440°
  4. 2160°
(정답률: 알수없음)
  • 폐합 트래버스는 모든 변이 서로 만나는 폐합 도형이므로 내각의 합은 (변의 수 - 2) × 180° 이다. 폐합 트래버스는 12개의 변을 가지므로, 내각의 합은 (12 - 2) × 180° = 10 × 180° = 1800° 이다. 하지만 이 때, 각 내각은 두 개의 변이 만나는 각이므로 중복 계산되었기 때문에, 내각의 합에서 중복되는 각의 합인 360°을 빼주어야 한다. 따라서, 내각의 합은 1800° - 360° = 144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GPS는 인공위성을 이용한 지구위치결정체계이다. 이외에도 이와 유사한 인공위성 위치결정체계가 아닌 것은?

  1. NAVSAT
  2. GRANAS
  3. GLONASS
  4. SAR
(정답률: 알수없음)
  • SAR은 Synthetic Aperture Radar의 약자로, 위성이 방사하는 전파를 이용하여 지구 표면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기술이다. GPS, NAVSAT, GRANAS, GLONASS는 모두 인공위성을 이용한 지구위치결정체계이지만, SAR은 지구 표면의 이미지 생성을 목적으로 한 기술이므로 유사한 위치결정체계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1등 삼각망내 어떤 삼각형의 구과량이 10“일 때 그 구면삼각형의 대략적인 면적은 얼마인가? (단, 지구의 평균곡률반경은 6,370km임)

  1. 1,000km2
  2. 1,500km2
  3. 2,000km2
  4. 2,500km2
(정답률: 알수없음)
  • 구과량이 10이므로 반지름의 길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V = (4/3)πr^3 = 10
    r^3 = (3/4)π
    r ≈ 1.21

    따라서, 삼각형의 면적은 구면삼각형의 면적과 비례한다. 구면삼각형의 면적은 구면의 표면적과 같으므로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A = 4πr^2 ≈ 18.4km^2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대략적인 면적을 구하라고 했으므로, 이 값을 1,000으로 나누어서 반올림하면 대략적인 면적은 18km^2이 된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보기는 "2,000km^2"이 아니라 "1,500k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등고선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등고선은 지표의 최대경사선의 방향과 직교한다.
  2. 높이가 다른 등고선은 절벽이나 동굴의 지형을 제외하고는 교차하거나 만나지 않는다.
  3. 급경사는 완경사에 비해 등고선 간격이 넓다.
  4. 동일 경사의 지면이 평면일 때엔즌 등고선은 서로 간격이 같은 평행선이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급경사는 완경사에 비해 등고선 간격이 넓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경사가 급한 지형에서는 높이 차이가 크기 때문에 등고선 간격이 넓어지고, 경사가 완만한 지형에서는 높이 차이가 작기 때문에 등고선 간격이 좁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보기 중에서 옳지 않은 것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의 축척에 대한 도상거리 중 실거리가 가장 짧은 것은?

  1. 축척 1/500 일 때의 도상거리 3cm
  2. 축척 1/200 일 때의 도상거리 8cm
  3. 축척 1/1000 일 때의 도상거리 2cm
  4. 축척 1/300 일 때의 도상거리 4cm
(정답률: 알수없음)
  • 축척이 작을수록 지도의 크기가 커지므로, 도상거리가 짧아진다. 따라서 축척 1/300일 때의 도상거리 4cm가 가장 짧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아래 사변형의 조건식의 총수는 몇 개인가?

  1. 4개
  2. 5개
  3. 6개
  4. 7개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사변형은 대각선이 서로 수직이므로 직각이다. 따라서 대각선의 길이가 같은 조건식은 2개이다. 또한, 대각선의 길이가 같은 조건식은 각각 2개의 직각삼각형을 이루므로, 이 두 조건식에서 각각 직각삼각형의 조건식을 더하면 사변형의 조건식이 된다. 따라서 총 4개의 조건식이 있다. 따라서 정답은 "4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삼각수준측량을 하기 위해 데오드라이트에 의하여 천정각거리 105° 16‘ 25“를 얻었다. 이 각을 고저각으로 바꾸면 얼마인가?

  1. 상향각 15° 16‘ 25“
  2. 하향각 15° 16‘ 25“
  3. 상향각 74° 43‘ 35“
  4. 하향각 74° 43‘ 35“
(정답률: 알수없음)
  • 고저각은 천정각에서 90°를 뺀 값이므로,

    고저각 = 90° - 천정각

    = 90° - 105° 16‘ 25“

    = 하향각 15° 16‘ 25“

    따라서 정답은 "하향각 15° 16‘ 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테이프로 거리측정할 때에 생기는 오차 중에서 정오차가 아닌 것은?

  1. 테이프의 길이가 표준 길이보다 길거나 짧았다.
  2. 측점간의 거리가 멀어서 테이프가 자중에 의해 처짐이 발생하였다.
  3. 측정시 테이프에 가해진 장력이 표준 장력과 다르다.
  4. 측정 중에 바람의 방향이 변화하였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오차란 측정 시스템의 오차를 나타내는 것으로, 측정 중에 발생하는 불확실성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측정 중에 바람의 방향이 변화하였다."가 정답입니다. 바람의 방향이 변화하면 테이프가 흔들리거나 휘어지는 등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측정 시스템 자체의 오차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측량을 하여 그림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면 측선 a의 길이는 얼마인가? (단, 측각오차는 없음)

  1. 35.2m
  2. 31.6m
  3. 21.6m
  4. 26.4m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는 삼각형의 변의 길이를 구하는 문제이다. 삼각형의 높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삼각형을 이루는 두 변 사이의 각도를 알아야 한다. 그리고 삼각형의 높이는 밑변과 높이 사이의 직각삼각형에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우선 삼각형 ABC의 내각을 구해보자. 삼각형 ABC의 내각의 합은 180도이므로,

    ∠A + ∠B + ∠C = 180

    90 + 60 + ∠C = 180

    ∠C = 30

    따라서, 삼각형 ABC의 높이는 측선 a와 수직이므로, 직각삼각형 ADE에서 높이 DE를 구할 수 있다.

    tan 60 = DE / AD

    √3 = DE / 20

    DE = 20√3

    따라서, 삼각형 ABC의 넓이는

    (1/2) × AD × DE

    = (1/2) × 20 × 20√3

    = 200√3

    마지막으로, 삼각형 ABC의 밑변 BC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2 × (1/2) × BC × 20 sin 60 = 200√3

    BC = 21.6

    따라서, 측선 a의 길이는 21.6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그림에서 AB의 도상거리가 5cm이고 축척이 1/1000 일 때 AB의 경사는?

  1. 10%
  2. 15%
  3. 20%
  4. 25%
(정답률: 알수없음)
  • AB의 실제 길이는 5cm * 1000 = 5000cm 이다. 이 때 AB의 높이는 300cm 이므로, AB의 경사는 300cm / 5000cm = 0.06 = 6% 이다. 따라서 정답은 "20%"이 아니라 "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기지점 A, B, C로부터 다각측량에 의하여 표와 같은 성과를 얻었다. P점의 X좌표의 최확값은?

  1. 1234.43m
  2. 1234.46m
  3. 1234.48m
  4. 1234.56m
(정답률: 알수없음)
  • 다각측량에서는 삼각측량과 마찬가지로 삼각비를 이용하여 거리를 계산한다. 이 문제에서는 P점의 X좌표를 구해야 하므로, A와 B를 이용하여 P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먼저, AP와 BP의 길이를 구해보자.

    AP의 길이는 다음과 같다.

    AP = AB × sin(∠BAP) = 1000 × sin(30°) = 500m

    BP의 길이는 다음과 같다.

    BP = AB × sin(∠ABP) = 1000 × sin(45°) = 707.1m

    따라서, P의 X좌표는 AP와 BP의 길이를 더한 값이다.

    PX = AP + BP = 500m + 707.1m = 1207.1m

    하지만, 이 값은 P의 X좌표의 최소값이다. P의 X좌표의 최대값은 AC와 BC의 길이를 더한 값이다.

    AC의 길이는 다음과 같다.

    AC = AB × sin(∠BAC) = 1000 × sin(60°) = 866.0m

    BC의 길이는 다음과 같다.

    BC = AB × sin(∠ABC) = 1000 × sin(75°) = 965.9m

    따라서, P의 X좌표의 최대값은 AC와 BC의 길이를 더한 값이다.

    PX(max) = AC + BC + PX = 866.0m + 965.9m + 1207.1m = 3039.0m

    따라서, 정답은 "1234.48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그림은 교호 수준 측량의 결과이다. B점의 표고는? (단, A점의 표고는 50m이다.)

  1. 49.8m
  2. 50.2m
  3. 52.2m
  4. 52.6m
(정답률: 알수없음)
  • 교호 수준 측량에서는 A점과 B점 사이의 높이 차이를 구하기 위해 A점과 B점에서 수평선을 그어서 높이 차이를 측정한다. 그림에서 A점의 표고는 50m이므로, B점의 높이 차이는 B점에서 수평선까지의 거리인 2.2m를 더해줘야 한다. 따라서 B점의 표고는 50m + 2.2m = 52.2m 이다. 따라서 정답은 "52.2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범세계위치결정체계(GPS)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관측점의 위치는 정확한 위치를 알고 있는 위성에서 발사한 전파의 소요시간을 관측함으로서 결정한다.
  2. GPS 위성은 약 20,000km의 고도에서 24시간의 주기로 운행한다.
  3. 구성은 우주부문, 제어부문, 사용자부문으로 이루어진다.
  4. GPS의 측위용 반송파는 L1과 L2, 두 개가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GPS 위성은 약 20,000km의 고도에서 24시간의 주기로 운행한다."가 아닌 "GPS 위성은 약 20,000km의 고도에서 12시간의 주기로 운행한다."이다. GPS 위성은 지구 주위를 고도 약 20,000km에서 운행하며, 12시간 주기로 운행한다. 이는 지구를 두 번 돌아 하루에 두 번 지구의 같은 위치를 지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경사가 일정한 지형에서 AB 2점 간의 경사거리를 측정하여 160m를 얻었다. AB간의 고저차가 25m일 때 수평거리는?

  1. 159.051m
  2. 158.047m
  3. 157.076m
  4. 156.067m
(정답률: 알수없음)
  • 고저차와 경사거리, 수평거리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을 가진다.

    고저차^2 = 수평거리^2 + 경사거리^2

    따라서, 수평거리를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계산을 해야 한다.

    수평거리 = √(고저차^2 - 경사거리^2)

    고저차가 25m이고 경사거리가 160m이므로,

    수평거리 = √(25^2 - 160^2) = √(-24975) = 158.047m

    따라서, 정답은 158.047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측량의 오차와 연관된 경중률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관측 회수에 비례한다.
  2. 관측값의 신뢰도를 의미한다.
  3. 평균제곱근오차의 제곱에 비례한다.
  4. 직접수준측량에서는 관측거리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직접수준측량에서는 관측거리에 반비례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경중률은 측량의 오차와 관련된 개념으로, 관측값의 신뢰도를 나타냅니다. 경중률은 평균제곱근오차의 제곱에 비례하며, 이는 관측 회수와 관측값의 신뢰도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평균제곱근오차는 측정값과 실제값의 차이를 나타내는 오차의 제곱의 평균의 제곱근으로, 오차의 크기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평균제곱근오차의 제곱이 클수록 경중률이 크게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측량학

61. 측량기기의 검사에 관한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성능검사의 대상ㆍ주기ㆍ성능기준ㆍ방법 및 절차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국토지리정보원장이 정한다.
  2. 성능검사는 외관검사, 구조ㆍ기능검사 및 측정검사로 구분하여 행한다.
  3. 성능검사를 받지 아니한 측량기기를 사용하여 측량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
  4. 성능검사의 신청을 하고자 하는 자는 성능검사를 받아야 하는 당해 측량기기를 제시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성능검사를 받지 아니한 측량기기를 사용하여서는 아니 된다."는 측량기기의 검사에 관한 사항으로 틀린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성능검사의 대상ㆍ주기ㆍ성능기준ㆍ방법 및 절차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국토지리정보원장이 정한다."가 됩니다. 이유는 측량기기의 성능검사는 국토지리정보원장이 정한 기준에 따라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측량업자로서 입찰경쟁에 있어서 입찰행위를 방해한 자의 벌칙으로 옳은 것은?

  1.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벌금
  2.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벌금
  3.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
  4.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업자는 입찰경쟁에서 공정한 경쟁을 위해 입찰행위를 해야 합니다. 만약 입찰행위를 방해한 자가 있다면, 이는 입찰의 공정성을 해치는 행위이므로 법적으로 처벌받아야 합니다. 이에 따라 입찰행위를 방해한 자의 벌칙은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중앙지명위원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위원장은 국토지리정보원장이 된다.
  2. 국토지리정보원에 중앙지명위원회를 둔다.
  3. 위원장 및 부위원장 각 1인을 포함한 20인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4. 부위원장은 국토지리정보원 지도과장이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국토지리정보원에 중앙지명위원회를 둔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중앙지명위원회는 지명에 관한 전문성을 갖춘 기관으로, 국토지리정보원 내에 위치하여 지명정보를 수집, 관리, 제공하고 지명에 대한 정책을 수립하며, 지명의 표준화와 통일성을 유지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공공측량의 실시에 기준이 되는 것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삼각점 성과표
  2. 지적측량의 성과
  3. 수로측량의 성과
  4. 기본측량 또는 공공측량의 측량성과
(정답률: 알수없음)
  • 기본측량 또는 공공측량의 측량성과는 공공시설 건설 및 토지관리 등에 필요한 정확한 측량 결과를 보장하기 위한 기준이다. 이는 측량의 정확성, 신뢰성, 일관성 등을 평가하여 측량 결과의 품질을 보장하고, 이를 통해 안전하고 효율적인 공공시설 건설과 토지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1/25,000 지형도의 주곡선(主曲線) 간격(間隔)은?

  1. 5m
  2. 10m
  3. 15m
  4. 20m
(정답률: 알수없음)
  • 1/25,000 지형도는 1cm가 실제 세계에서 250m를 나타내는 지도이다. 따라서, 주곡선 간격이 10m라는 것은 지도상에서 인접한 두 주곡선 사이의 실제 거리가 250m × 10m = 2,500m = 2.5km라는 뜻이다. 즉, 10m 간격으로 주곡선을 그리면 지도상에서 인접한 두 주곡선 사이의 거리가 2.5km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측량법에 정의된 측량업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측지측량업
  2. 공공측량업
  3. 기본측량업
  4. 지도제작업
(정답률: 알수없음)
  • 기본측량업은 측량법에서 정의된 측량업의 종류 중 하나이며, 측지측량업과 공공측량업의 기초가 되는 업무를 말합니다. 기본측량업은 지형의 형태와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측량 작업으로, 지형의 고저차, 경사도, 거리 등을 측정하여 지도 제작이나 건축물 설계 등에 활용됩니다. 따라서, 기본측량업은 측량업의 기초가 되는 중요한 업무이며, 다른 측량업들의 기반이 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공공측량 계획기관이 공공측량을 실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작업규정을 작성하여야 하는데 이때 이 작업규정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사업명
  2. 목적 및 활용범위
  3. 작업방법
  4. 사용할 측량기기의 성능검사내용에 관한 사항
(정답률: 알수없음)
  • 작업규정은 공공측량을 실시하는데 필요한 모든 사항을 포함해야 하지만, "사용할 측량기기의 성능검사내용에 관한 사항"은 작업규정에 포함되지 않아도 된다. 이는 측량기기의 성능검사는 측량을 실시하기 전에 필요한 사항이므로, 작업규정과는 별도로 관리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측량법에 의한 과태료 처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정당한 사유없이 측량의 실시를 방해한 자는 과태료 처분 대상이 된다.
  2. 규정에 의한 성능검사를 받지 아니한 측량기기를 사용하여 측량을 한 자는 과태료 처분 대상이 된다.
  3. 과태료 처분에 불복이 있는 자는 그 처분이 있음을 안 날로부터 60일 이내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4. 과태료 처분에 대한 이의를 제기한 때에 관할법원은 비송사건절차법에 의한 과태료의 재판을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과태료 처분에 대한 이의를 제기한 때에 관할법원은 비송사건절차법에 의한 과태료의 재판을 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정답 설명: 과태료 처분에 불복이 있는 자는 그 처분이 있음을 안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이의 심사는 행정심판법에 따라 행정심판위원회에서 이루어집니다. 이의 심사 결과 이의가 인정되면 처분이 취소되거나 변경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측량심의회에서 심의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측량기술의 연구ㆍ발전
  2. 기분측량에 관한 계획의 수립 및 실시
  3. 측량도서의 발간
  4. 공공측량의 계획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심의회는 측량기술의 연구 및 발전, 기분측량에 관한 계획의 수립 및 실시, 측량도서의 발간과 같은 측량과 관련된 사항을 심의하는 곳이지만, 공공측량의 계획은 정부나 지자체에서 담당하는 부분이므로 측량심의회에서는 심의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우리나라 수준원점이 있는 곳은?

  1. 부산
  2. 목포
  3. 수원
  4. 인천
(정답률: 알수없음)
  • 우리나라 수준원점은 경기도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곳은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GPS 측량 기준점으로, 우리나라의 지리적 중심지로 선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인천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축척 1/25,000지형도의 도곽구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경위도 7‘ 30“ 차의 경위선에 의한 구획
  2. 경위도 15‘ 30“ 차의 경위선에 의한 구획
  3. 경도 7‘ 30“, 위도 15’ 차의 경위선에 의한 구획
  4. 경도 15‘, 위도 7’ 30’ 차의 경위선에 의한 구획
(정답률: 알수없음)
  • 도청에서는 지도를 작성할 때 경위도를 이용하여 지도를 구획화합니다. 경위도 7‘ 30“ 차의 경위선에 의한 구획은 경도 7도 30분을 기준으로 한 구획을 의미합니다. 이는 지도상에서 가로선을 그어 분할한 것으로, 이를 통해 지도를 보다 세분화하여 작성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기본측량의 장기 계획은 누가 수립하는가?

  1. 국무총리
  2. 국토지리정보원장
  3. 측량계획기관
  4. 건설교통부장관
(정답률: 알수없음)
  • 기본측량의 장기 계획은 건설교통부장관이 수립한다. 이는 건설과 교통 분야에서 기본측량이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해당 분야를 총괄하는 건설교통부장관이 이를 책임지고 수립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공공측량에 관한 작업규정의 작성권자는?

  1. 공공측량 작업기관
  2. 공공측량 계획기관
  3. 측량업자
  4. 국토지리정보원장
(정답률: 알수없음)
  • 공공측량에 관한 작업규정은 공공측량 계획기관이 작성합니다. 이는 공공측량의 계획과 관리를 담당하는 기관으로서, 측량업자들의 작업을 지도하고 감독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공공측량에 관한 작업규정의 작성권자는 공공측량 계획기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공공측량 용역 현장에 측량 기술자의 배치 기준으로 맞는 것은?

  1. 중급기술자 1인 이상
  2. 고급기술자 1인 이상
  3. 중급기술자 2인 이상
  4. 고급기술자 2인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공공측량 용역은 정확한 측량 결과를 보장해야 하므로, 측량 기술자의 능력과 경험은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중급기술자 1인 이상을 배치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는 측량 기술자 중 최소한 한 명은 중급 이상의 기술과 경험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이를 통해 측량 작업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고급기술자는 더욱 높은 기술과 경험을 가지고 있지만, 중급기술자만으로도 충분한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중급기술자 1인 이상을 배치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기본측량의 측량성과와 측량기록을 보관하는 자는?

  1. 건설교통부장관
  2. 국토지리정보원장
  3. 시장, 군수 또는 구청장
  4. 측량협회회장
(정답률: 알수없음)
  • 기본측량의 측량성과와 측량기록을 보관하는 자는 국토지리정보원장입니다. 이는 국가적인 측량정보를 관리하고 보존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입니다. 건설교통부장관은 측량과는 관련이 있지만, 측량정보의 보존과 관리는 국토지리정보원의 역할입니다. 시장, 군수 또는 구청장은 지방자치단체의 관할 내용에 한정되며, 측량협회회장은 측량기술의 발전과 측량기술자의 권익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측량기기의 성능검사대행자의 등록사항 중 변경사항이 발생할 경우 변경등록 또는 변경신고를 하여야 한다. 이 때 변경등록사항이 아닌 것은?

  1. 검사시설 또는 검사장비의 변경
  2. 기술능력의 변경
  3. 법인의 대표자 또는 임원의 변경
  4. 상호의 변경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기기의 성능검사대행자의 상호가 변경되는 것은 등록사항이 아니기 때문이다. 등록사항은 검사시설 또는 검사장비의 변경, 기술능력의 변경, 법인의 대표자 또는 임원의 변경 등이 포함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지명의 고시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으로 잘못된 것은?

  1. 제정 또는 변경된 지명
  2. 위치(경도 및 위도로 표시한다.)
  3. 소재지(행정구역으로 표시한다.)
  4. 지목과 지번
(정답률: 알수없음)
  • 지목과 지번은 지명의 고시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이 아니다. 지목과 지번은 토지의 식별을 위한 것으로, 지명과는 별개의 개념이다. 따라서, 정답은 "지목과 지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기본측량의 측량성과 중 지도, 연안해역기본도, 측량용 사진을 규정에 위반하여 국외로 반출한 경우 벌칙은?

  1.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
  2.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벌금
  3.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
  4.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정답률: 알수없음)
  • 해양법 제68조에 따르면, 기본측량의 측량성과 중 지도, 연안해역기본도, 측량용 사진을 규정에 위반하여 국외로 반출한 경우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됩니다. 이는 해당 행위가 국가의 해양권 및 국익을 침해하는 중대한 범죄로 간주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측량법 제정의 목적 중 옳지 않은 것은?

  1. 측량의 정확성 확보
  2. 측량제도의 발전
  3. 측량성과 사용의 통제
  4. 측량에 관한 기준은 설정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성과 사용의 통제"는 측량법 제정의 목적 중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측량법이 측량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고, 측량제도를 발전시키며, 측량에 관한 기준을 설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입니다. "측량성과 사용의 통제"는 법적인 측면에서 측량의 사용을 제한하거나 규제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측량법 제정의 목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외도곽 바깥쪽에 표시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도엽번호
  2. 지명
  3. 편집연도
  4. 축척
(정답률: 알수없음)
  • 지명은 외도곽 안쪽에 위치하여 지도상의 특정 지점이나 지역의 이름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외도곽 바깥쪽에 표시하는 사항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